KR101407846B1 -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846B1
KR101407846B1 KR1020140013253A KR20140013253A KR101407846B1 KR 101407846 B1 KR101407846 B1 KR 101407846B1 KR 1020140013253 A KR1020140013253 A KR 1020140013253A KR 20140013253 A KR20140013253 A KR 20140013253A KR 101407846 B1 KR101407846 B1 KR 10140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makgeolli
yuzu
rice win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준
Original Assignee
김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준 filed Critical 김홍준
Priority to KR102014001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846B1/ko
Priority to US14/596,871 priority patent/US20150218500A1/en
Priority to CN201510019455.2A priority patent/CN104818180A/zh
Priority to JP2015007495A priority patent/JP604977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05Methods or means to load or unload, to weigh or to sample the vintage; Replenishing; Separation of the liquids from the solids before or after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유자당 절임단계와; 유자청완성단계와; 유자원액혼합단계와; 막걸리혼합단계와; 유자피제거단계와; 진공숙성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숙성단계를 거쳐 막걸리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유자막걸리에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완성하기 위한 타피오카혼합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자막걸리에 유자막걸리침전단계와; 청주추출단계와; 증류주혼합단계와; 탄산수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된 베이스완성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를 냉각하는 냉각베이스완성단계와; 애플민트향첨가단계와; 베이스추가혼합단계와; 타피오카혼합단계와; 탄산수추가혼합단계와; 라임/레몬혼합단계;를 거쳐 칵테일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는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Citron rice w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자청을 막걸리와 혼합하고 숙성시켜 타피오카, 애플민트, 탄산수, 증류주를 첨가하여 칵테일, 유자막걸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는 유자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막걸리는 쌀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우리 민족 고유의 대표적인 발효주로써, 막걸리 제조시 사용되는 곡류 혹은 첨가물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구비한 막걸리가 제조되게 된다. 일반적인 막걸리에 다양한 향과 맛을 첨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출원번호 제 10-2010-0135000호 “유자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출원번호 제10-2009-0102644호 “과일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유자 또는 과일 액기스 등을 혼합하여 과일막걸리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은 막걸리에 과일 발효액 혹은 액기스를 혼합하여 맛을 부가한 것에 불과하여 막걸리의 맛과 과일의 향이 완벽하게 융합되지 아니하여 과일향의 깊이를 느끼기 어려웠다. 즉, 기존에는 과즙과 막걸리를 분리하여 숙성시켰기 때문에 맛과 향의 어우러짐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더욱이, 막걸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시되지 아니하였다. 이에 대하여, 과즙과 막걸리를 혼합한 후 일체로 숙성시키는 공정을 구비하여 막걸리와 과즙 발효액이 효과적으로 융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과일 막걸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는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자와 막걸리의 맛과 향을 융합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함으로써 목넘김이 부드러울 뿐 아니라 뒷맛이 깔끔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자청과 막걸리를 혼합하고 이를 2~36시간 동안 일체로 진공숙성시킴으로 유자 및 막걸리의 맛과 향을 융합시킨 유자막걸리를 제조한 후, 이에 타피오카, 청주, 증류주, 탄산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칵테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자 막걸리는 막걸리 제품의 단점인 저장 기간을 연장하여 탁월한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통 쌀 발효주에 유자와 같은 과일발효액을 첨가하고 일체로 숙성시켜 과일의 종류에 따라 풍미의 변화를 줄 수 있고 과일향 및 맛이 첨가됨으로써 소비자가 음용시 목넘김이 부드러울 뿐 아니라 뒷맛이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자막걸리를 침전시켜 청주를 추출해 낸 후 타피오카, 탄산수 또는 증류주 등을 혼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칵테일과 같은 주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성기간을 조절함으로써 막걸리의 신맛 및 청량감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유자막걸리 제조 공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유자당 절임단계와; 유자청완성단계와; 유자원액혼합단계와; 막걸리혼합단계와; 유자피제거단계와; 진공숙성단계와; 막걸리추출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막걸리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유자막걸리에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완성하기 위한 타피오카혼합단계를 거치며, 상기 추출된 유자막걸리에 유자막걸리침전단계와; 청주추출단계와; 증류주혼합단계와; 탄산수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된 베이스완성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를 냉각하는 냉각베이스완성단계와; 애플민트향첨가단계와; 베이스추가혼합단계와;타피오카혼합단계와; 탄산수추가혼합단계와; 라임/레몬혼합단계;를 거쳐 제조된 칵테일완성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피를 제거하지 아니한 유자와 정백당을 1:1로 혼합하는 유자당절임단계(s1a)를 통하여 제조된 유자당혼합물과 과당, 나트륨, 탄수화물 및 비타민 C가 각각 7.1:2.8:14.2:75.7의 비율로 혼합된 추가첨부재를 각각 6.5:3.5의 비율로 혼합하는 유자청완성단계(s1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자청을 100% 유자원액과 혼합하여 유자액기스를 제조하는 유자원액혼합단계(s1b)와; 상기 유자액기스와 6% 도수의 막걸리를 각각 7~16 : 84~93의 비율로 혼합하는 막걸리혼합단계(s2)의 공정 후 유지피를 제거하는 유자피제거단계(s3)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자청, 유자원액 및 6% 도수의 막걸리는 각각 5~10 : 2~6 : 84~93의 비율로 혼합시켰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고객 100명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상기 유자액기스와 막걸리를 각각 7~16 : 84~93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선호가 가장 높았다.
구분 혼합비율
쌀막걸리비율(%) 60~70 71~83 84~93 94~99
유자액기스(%) 30~40 17~29 7~16 1~6
선호도(명) 0 8 85 7
상기 유자피제거단계(s3)후 진공숙성단계(s4)를 거치는데 발효되는 숙성시간에 의하여 발효 정도가 결정되며 자체 탄산이 생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자막걸리를 추출하기 위하여는 2~36시간 진공숙성을 하며 유자막걸리추출단계를 거쳐 유자막걸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를 통하여 제조된 유자막걸리는 칵테일이나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제조하는 기본 구성으로 사용된다.
첫번째로,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에서 제조된 유자막걸리에 타피오카를 각각 80~98 : 2~20의 비율로 혼합하는 타피오카 혼합 단계(s5a)를 거쳐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완성한다
또한, 두번째로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에서는 완성된 유자막걸리를 48 ~ 96시간 침전시켜 부유물을 안착시키는 유자막걸리침전단계(s5b) 후, 청주를 추출하는 청주추출단계(s6b)를 거침으로써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어 막걸리의 탁한 맛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청주추출단계(s6b)를 통하여 제작된 청주에 도수 25%의 증류주, 탄산수, 그 외 맛과 향을 첨가하기 위한 레몬 또는 라임, 애플민트를 각각 30~35 : 15~20 : 47~51 : 1.2~4.3의 비율로 혼합하는 증류주혼합단계(s7b)와 탄산수혼합단계(s8b)를 통하여 칵테일의 베이스를 제조하는 베이스완성단계(s9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성된 베이스 중 일부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베이스를 분쇄하여 슬러시 형태의 냉각베이스를 제조하는 냉각베이스완성단계(s9ba)를 통하여 완성된 슬러시 형태의 냉각베이스에 애플민트향을 첨가(s10ba)하거나 상기 베이스완성단계(s9b)에서 완성된 베이스 중 일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는 베이스추가혼합단계(s10bb), 타피오카를 혼합하는 타피오카 혼합단계(s11b), 칵테일의 탄산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혼합하는 탄산수추가혼합단계(s11bb) 또는 칵테일의 산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임/레몬 혼합단계(s12b) 중 1 이상의 단계를 거쳐 칵테일(s13b)이 완성된다.
상기, 증류주혼합단계(s7b), 탄산수혼합단계(s8b)는 도1의 흐름도와 관계없이 선후 단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완성단계(s9b)에서 제조된 베이스, 탄산수, 애플민트, 타피오카, 탄산수, 라임 또는 레몬 중 1 이상을 취향에 따라, 상기 냉각베이스완성단계(s9ba)에서 완성된 슬러시 형태의 냉각베이스에 첨부하는 애플민트향첨가단계(s10b), 베이스추가혼합단계(s10bb), 타피오카혼합단계(s11b), 탄산수추가혼합단계(s11bb) 또는 라임/레몬 혼합단계(s12b) 중 1이상의 단계;를 통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민트향첨가단계(s10b), 베이스추가혼합단계(s10bb), 타피오카혼합단계(s11b), 탄산수추가혼합단계(s11bb) 또는 라임/레몬 혼합단계(s12b) 중 1 이상을 혼합 또는 첨가할 때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자를 비롯하여 기호에 따라 유자 대신 다양한 과일을 막걸리와 함께 숙성시킴으로써 종류별 과일의 맛과 향기를 첨가할 수 있다는 점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설시하지 아니하여도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Claims (6)

  1. 유자막걸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피를 제거하지 아니한 유자와 정백당을 1:1로 혼합하여 유자당혼합물을 제조하는 유자당절임단계(s1a)와;
    상기 제조된 유자당 혼합물과 7.1:2.8:14.2:75.7의 비율로 혼합된 과당, 나트륨, 탄수화물 및 비타민 C로 구성된 추가첨부재를 각각 6.5 : 3.5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자청을 제조하는 유자청완성단계(s1c)와;
    상기 제조된 유자청과 100% 유자원액을 혼합하여 유자액기스를 제조하는 유자원액혼합단계(s1b)와;
    상기 제조된 유자액기스와 6% 도수의 막걸리를 각각 7~16 : 84~93의 비율로 혼합하는 막걸리혼합단계(s2)와;
    상기 막걸리와 혼합된 유자액기스에서 유자피를 제거하는 유자피제거단계(s3)와;
    상기 유자피제거단계 후 유자피가 제거된 유자액기스와 6% 도수의 막걸리 혼합물을 2~36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진공숙성단계(s4)와;
    상기 진공숙성단계 후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막걸리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에서 제조된 유자막걸리에 타피오카를 각각 80~98 : 2~20의 비율로 혼합하는 타피오카 혼합 단계(s5a)를 더 포함하여 타피오카유자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막걸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유자막걸리추출단계(s5)에서 제조된 유자막걸리를 48 ~ 96시간 침전시켜 부유물을 안착시키는 유자막걸리침전단계(s5b)와; 상기 부유물을 안착시킨 후 청주를 추출하는 청주추출단계(s6b)와; 상기 청주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청주에 순서와 관계없이 증류주 및 탄산수를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증류주 및 탄산수 혼합단계(s7b, s8b)로; 구성되어 있어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막걸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완성단계(s9b)에서 완성된 베이스를 냉각시킴 후 분쇄하여 슬러시형태의 냉각베이스를 제조하는 냉각베이스완성단계와(s9ba); 상기 슬러시 형태의 냉각베이스에 애플민트향첨가단계(s10b), 베이스완성단계(s9b)에서 제조된 베이스, 탄산수, 애플민트, 타피오카, 탄산수, 라임 또는 레몬 중 1 이상을 추가 첨부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애플민트향첨가단계(s10b), 베이스추가혼합단계(s10bb), 타피오카혼합단계(s11b), 탄산수추가혼합단계(s11bb) 라임 또는 레몬 혼합단계(s12b) 중 1 이상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어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막걸리 제조방법.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유자막걸리, 타피오카유자막걸리 또는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막걸리.
KR1020140013253A 2014-02-05 2014-02-05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53A KR101407846B1 (ko) 2014-02-05 2014-02-05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US14/596,871 US20150218500A1 (en) 2014-02-05 2015-01-14 Citron rice w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1510019455.2A CN104818180A (zh) 2014-02-05 2015-01-14 柚子米酒及其制备方法
JP2015007495A JP6049770B2 (ja) 2014-02-05 2015-01-19 柚子マッコリ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53A KR101407846B1 (ko) 2014-02-05 2014-02-05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644A Division KR101583410B1 (ko) 2014-04-16 2014-04-16 유자막걸리 식초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846B1 true KR101407846B1 (ko) 2014-07-02

Family

ID=5174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253A KR101407846B1 (ko) 2014-02-05 2014-02-05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18500A1 (ko)
JP (1) JP6049770B2 (ko)
KR (1) KR101407846B1 (ko)
CN (1) CN1048181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5601U1 (de) * 2016-10-07 2017-01-13 HeraVita GmbH Erfrischungsgetränk
CN107794164A (zh) * 2017-11-17 2018-03-13 四川凤和黄酒有限责任公司 紫薯米酒配方及配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113B1 (ko) 2000-03-03 2002-07-24 강상태 유자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자주
KR100549286B1 (ko) 2005-08-09 2006-02-03 이연주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092482B1 (ko) 2009-10-28 2011-12-13 임효상 과일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480A (ja) * 1983-06-30 1985-01-18 Masahisa Takeda 白濁酒の製造方法
JPS61247370A (ja) * 1985-04-24 1986-11-04 Tamon Syuzo Kk 酒類の製造方法
US4790999A (en) * 1986-10-31 1988-12-13 Heublein, Inc. Alcoholic soft ice
JPH03219865A (ja) * 1990-01-25 1991-09-27 Oyama Kk シャーベット状飲料及び半凍結状飲料
CN1171986C (zh) * 2000-06-09 2004-10-20 蔡子健 强化维生素c的桔子汽酒
JP2003230374A (ja) * 2002-02-07 2003-08-19 Takara Holdings Inc 容器入り果汁含有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95068A (ja) * 2003-09-25 2005-04-14 Choya Umeshu Co Ltd アルコール飲料
US7534462B2 (en) * 2004-12-23 2009-05-19 Tropicana Products, Inc. Beverage thickener system, beverage and method
KR100927215B1 (ko) * 2008-05-29 2009-11-16 장영삼 주류 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73025A (ko) * 2010-12-24 2012-07-04 거제시농업기술센터 유자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JP5909050B2 (ja) * 2011-04-25 2016-04-2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果汁含有貯蔵原酒を含むアルコール飲料
CN102894268B (zh) * 2012-11-06 2013-10-30 张红 一种果汁醪糟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113B1 (ko) 2000-03-03 2002-07-24 강상태 유자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자주
KR100549286B1 (ko) 2005-08-09 2006-02-03 이연주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092482B1 (ko) 2009-10-28 2011-12-13 임효상 과일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9770B2 (ja) 2016-12-21
US20150218500A1 (en) 2015-08-06
JP2015146804A (ja) 2015-08-20
CN104818180A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5645A (ko) 자소의 신선하고 자연적인 방향을 갖는 증류주류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04585A (ja) ポリフェノール含有アルコール飲料
WO2017195434A1 (ja) レモン風味飲料、レモン風味飲料ベース、レモン風味飲料の製造方法、レモン風味飲料ベースの製造方法、及び、レモン風味飲料の風味向上方法
JP2011030577A (ja) 乳酸発酵果汁含有の麦芽発酵飲料の製造方法
CN103351981A (zh) 菠萝果酒的制备方法
KR101407846B1 (ko) 유자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04178407B (zh) 蓝莓零度果酒的制备方法
JP2011147386A (ja) ノンアルコールワイン
CN101333484A (zh) 一种果酒酿造工艺
CN108913448A (zh) 一种零添加优质白兰地及其酿造方法
KR101330274B1 (ko) 천연소재의 발효공정을 이용한 발효탄산음료 제조방법
JP2011000066A (ja) 発泡性の酒類の製造方法
JP6974041B2 (ja) 飲料、飲料ベース、飲料の製造方法、飲料ベースの製造方法、及び、オレンジフラワー様の香気の付与方法
JP6974043B2 (ja) 飲料、飲料ベース、飲料の製造方法、飲料ベースの製造方法、及び、ユズフラワー様の香気の付与方法
KR100790504B1 (ko)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20200081659A (ko) 은행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4450468A (zh) 一种白酒制备方法
KR101583410B1 (ko) 유자막걸리 식초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초
JP2005192562A (ja) 乳酸発酵果汁含有の麦芽発酵飲料の製造方法
JP7329357B2 (ja) 柑橘果実様飲料
JP6974042B2 (ja) 飲料、飲料ベース、飲料の製造方法、飲料ベースの製造方法、及び、ライムフラワー様の香気の付与方法
KR20090025396A (ko) 식혜 농축액의 제조방법
JP2005176727A (ja) 発酵トマト飲料の製造方法。
JP2004337039A (ja) 梅酒の製造方法
Kuotsu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Current Microbiology and Applied Sc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