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688B1 -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 Google Patents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688B1
KR101321688B1 KR1020117026853A KR20117026853A KR101321688B1 KR 101321688 B1 KR101321688 B1 KR 101321688B1 KR 1020117026853 A KR1020117026853 A KR 1020117026853A KR 20117026853 A KR20117026853 A KR 20117026853A KR 101321688 B1 KR101321688 B1 KR 10132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veyor
tank
paint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52A (ko
Inventor
미노루 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ublication of KR2012000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2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5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using substantially vertical liquid curtains or wetted walls behind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9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herein the washing material is the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4Regenerating the wash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5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by gas flow re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4Fan arrangements for providing induced d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도장 부스(10)에 정화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정화 장치(12)는, 수조(20)와, 펌프(21)와, 워터 로프 형성 기구(22)와, 슬러지 제거 기구(26)와, 배기 기구(28)와, 배리어 부재(70)를 포함하고 있다. 워터 로프 형성 기구(22)는, 도장실(11)의 상부에 배치된 워터 케이스(40)를 갖고 있다.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에 다수의 노즐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각 노즐부(50)는, 유입구(5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경이 감소하는 통부(56)와 원형의 유출구(57)를 갖고 있다. 유출구(57)로부터 직선형상으로 낙하하는 물에 의해서, 서로 평행한 다수의 워터 로프(60)가 형성된다.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워터 로프(6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료 미스트가 포집된다. 배리어 부재(70)의 배면측에 배기실(7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PAINT BOOTH EQUIPPED WITH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도장실의 공기에 포함된 도료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에 관한 것이다.
분무 노즐 등의 도료 분사 장치를 사용하여 도장실내에서 도장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 도장 부스가 사용되고 있다. 도장 부스는, 도장실내의 작업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혹은 외부로 도료 미스트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73292 호 공보(특허 문헌 1)에, 벤투리 부스 타입의 도장 부스가 개시되어 있다. 벤투리 부스 타입의 도장 부스에서는,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배기 팬에 의해서 소용돌이실에 흡인된다. 이 소용돌이실내에서 생기는 공기의 원심력에 의해서, 도료 미스트가 공기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도료 미스트가 수막에 충돌함으로써 포집된다. 포집된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물은, 수중 덕트로부터 수조로 되돌려져 재이용된다. 상기 소용돌이실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엘리미네이터(eliminator)에 의해서 탈수된 후, 배기구로부터 토출되고 있다.
한편, 일본의 특허 제 3704084 호 공보(특허 문헌 2)에 워터 부스 타입의 도장 부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도장 부스에서는, 펌프에 의해 퍼 올린 물을 수류판을 따라서 막형상으로 흘리는 것에 의해, 워터 커튼이 형성된다. 이 워터 커튼에 도료 미스트가 접촉함으로써, 도료 미스트가 씻겨 내려간다. 또한, 상기 수류판의 후면에 배치된 샤워 노즐로부터 샤워수를 분출한다. 이 샤워수에 의해서, 상기 워터 커튼에서는 다 포집되지 못한 도료 미스트가 수중에 떨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73292 호 공보 일본 특허 제 3704084 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도장 부스는 모두, 포집된 도료 미스트가 물과 함께 수조내에 떨어져 응집된다. 이 때문에 수조내에서 도료 슬러지(sludge)(도료 찌꺼기)가 발생한다. 이 도료 슬러지가 수면에 뜨거나 수조내에 침전하거나 하여, 도료 슬러지가 수조내에 모인다. 종래의 도장 부스는 수조내의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작업원이 인력으로 도료 슬러지를 없애고 있다. 그렇지만 정기적인 청소를 해도, 오염된 물은 교환하지 않는 한 청정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료 슬러지가 점차 수조내에 모여, 도료 슬러지가 수조의 저부나 수면 부근에서 고체화 된다. 이 때문에 도료 슬러지를 제거하기 어려워, 도장 부스가 오염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벤투리 부스 타입(특허 문헌 1)은, 물을 소용돌이실로 빨아올리기 위한 강한 부압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대용량의 배기 팬이 필요하게 되고, 소음이 크다던가 전력 소비가 큰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워터 부스 타입(특허 문헌 2)에서는, 도료 미스트가 워터 커튼의 한쪽면에만 접촉한다. 이 때문에, 도료 미스트를 포집할 수 있는 표면적이 작다. 이 때문에 종래의 워터 부스 타입은 도료 미스트를 포집하는 능력이 적다. 포집 능력을 높이려면, 보다 면적이 넓은 워터 커튼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장 부스가 대형화되고, 게다가 대용량의 펌프가 필요한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도장 부스와 비교하여 컴팩트하면서, 도료 미스트를 효율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는 정화 능력이 높은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는, 피도장물이 수용되는 도장실과, 상기 도장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도료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정화 장치를 갖고 있다. 이 정화 장치는, 상기 도장실에 배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의 물을 퍼 올리는 펌프와, 워터 로프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워터 로프 형성 기구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퍼 올려진 물을 수용하는 워터 케이스를 갖고 있다. 워터 케이스의 저벽에 복수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각 노즐부는 각각, 유입구와 해당 유입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저벽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통부와, 해당 통부의 하단에 개구하는 원형상의 유출구를 갖고, 각각의 유출구로부터 직선형상으로 낙하하는 물에 의해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워터 로프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 정화 장치는 배리어 부재와, 스플래쉬 가드 부재와, 상기 배리어 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장실과 구획된 배기실과, 배기 기구와, 슬러지 제거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배리어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고 있다. 상기 스플래쉬 가드 부재는, 상기 노즐부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상기 수조의 수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 로프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배리어 부재 근방의 하단부를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물받이면을 갖고 있다. 배기 기구는, 상기 도장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기실을 지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팬을 갖고, 상기 도장실내의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워터 로프에 접촉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상기 슬러지 제거 기구는, 상기 수조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조내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워터 로프 형성 기구의 상기 각 노즐부가 상기 워터 케이스의 상방에서 보아, 각 노즐부간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예를 들면 각 노즐부가 각각 정삼각형의 정점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단, 노즐부의 배치는 이외의 형태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스플래쉬 가드 부재의 하방의 상기 컨베이어상에, 해당 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치된 워터 섀더를 갖고 있다.
이 워터 섀더는, 상기 배리어 부재와 상기 스플래쉬 가드 부재 사이의 간극의 하방에 배치된 정상부와, 이 정상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의 체인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 1 안내면과, 상기 정상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의 체인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 2 안내면을 갖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의 일례는, 상기 수조의 수면 부근을 이동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수조의 저부 부근을 이동하는 하측 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해당 수조 밖의 슬러지 배출부로 반송한다. 상기 컨베이어의 일례는 제 1 방향과, 해당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해당 컨베이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한다.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조의 저부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한다. 이 경우, 상기 수조의 수면을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상측 부분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면 높이 보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슬러지 제거 기구는 예를 들면, 필터 드럼과 스크레이핑 부재와 클린 탱크를 갖고 있다. 상기 필터 드럼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조내의 물을 해당 드럼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에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수조내의 물을 여과한다.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필터 드럼의 주위면에 접함으로써, 해당 필터 드럼의 막힘을 방지한다. 상기 클린 탱크는, 상기 필터 드럼에 의해서 여과된 물을 상기 펌프에 공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워터 커튼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워터 커튼 형성 수단은, 상기 배리어 부재를 따라서 물을 흘리는 것에 의해, 워터 로프의 배후에 워터 커튼을 형성한다.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이 워터 커튼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료 미스트의 일부가 워터 커튼에 의해서 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도장 부스와 비교하여 도료 미스트가 접촉할 수 있는 물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의 용량이 작아도 도료 미스트를 효율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벤투리 부스 타입이나 워터 부스 타입의 도장 부스와 비교하여, 배기 팬의 용량이 작아, 그만큼, 전력이 절약 되며, 발생하는 소음도 작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로프 형성 기구는, 워터 케이스의 저벽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부로부터 각각 직선형상으로 연속하여 떨어지는 물에 의해서, 여러 개의 워터 로프를 형성한다. 이들 워터 로프는, 배리어 부재의 수직인 벽부를 따라서 곧게 떨어져 스플래쉬 가드 부재로 향한다. 이 때문에, 도장실내의 작업원이 워터 로프의 근처에서 작업하고 있어도, 물에 젖기 어려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장실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노즐부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스플래쉬 가드 부재에 의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해, 수조내의 수면이 크게 물결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정화 장치는 도료 슬러지가 수면에 뜨기 쉬워져, 수면에 뜬 도료 슬러지를 컨베이어에 의해서 효율 양호하게 반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의 단면도,
도 2는 도 1 중의 F2-F2선을 따르는 도장 부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장 부스에 사용되는 워터 케이스의 노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노즐부를 구비한 워터 케이스의 일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4 중 F5-F5선을 따르는 노즐부를 구비한 워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장 부스의 슬러지 제거 기구에 사용되는 필터 드럼의 일부 평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도장 부스(10)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장 부스(10)를 도 1 중의 화살표(F2-F2)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장 부스(10)는, 도장 작업을 하는 도장실(11)과, 정화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정화 장치(12)는 도장실(11)내에 발생한 도료 미스트(M)(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냄)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장실(11)은 거의 밀폐된 벽 부재(13) 및 천정 부재 등에 의해서, 외부 환경과 구획되어 있다.
도장실(11)의 내부에서 도장 작업을 할 때, 도장실(11)내에, 분무 노즐(15)을 구비한 도료 분사 장치와, 피도장물(16)이 수용된다. 분무 노즐(15)로부터 안개형상으로 분출하는 도료에 의해서 도료 미스트(M)가 발생한다. 정화 장치(12)는, 도장실(11)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도료 미스트(M)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에 이 정화 장치(12)에 대해 설명한다.
정화 장치(12)는 수조(20)와, 펌프(21)와, 워터 로프 형성 기구(22)와, 컨베이어(25)를 구비한 슬러지 제거 기구(26)와, 배기 기구(28)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조(20)는 도장실(11)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21)는 수조(20)내의 물(W)을 퍼 올린다. 워터 로프 형성 기구(22)와 슬러지 제거 기구(26)와 배기 기구(28)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수조(20)는, 컨베이어(25)가 수용되는 탱크 본체(30)와, 여과 후의 물이 수용되는 클린 탱크(31)를 갖고 있다. 클린 탱크(31)에 상기 펌프(21)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30)와 클린 탱크(31)는 유통부(32)를 거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워터 로프 형성 기구(22)는, 수조(20)의 상방에 배치된 홈통형상의 워터 케이스(40)와 워터 케이스(40)를 따라서 배치된 쿠션 탱크(41)를 포함하고 있다. 워터 케이스(40)와 쿠션 탱크(41) 사이에, 예를 들면 펀칭 메탈 등의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세 억제 부재(43)(도 2에 도시함)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펌프(21)에 의해서 퍼 올려진 물(W)은, 밸브(42)(도 2에 도시함)를 갖는 배관계(42a)와, 쿠션 탱크 유입부(41a)를 거쳐서, 쿠션 탱크(41)에 공급된다. 쿠션 탱크(41)에 공급된 물(W)은 수세 억제 부재(43)를 통과하여, 워터 케이스(40)에 유입된다. 워터 케이스(40)와 쿠션 탱크(41)는, 각각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터 케이스(40)와 쿠션 탱크(41)는,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은 워터 케이스(4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워터 케이스(4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45)과 측벽(46) 등을 갖고 있다. 측벽(46)은 저벽(45)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46)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저벽(45)과 측벽(46)은,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어 있다.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에, 다수의 노즐부(50)가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노즐부(50)를 갖는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에 형성된 각 노즐부(50)는, 서로의 거리가 모두 동일해지도록, 예를 들면, 상방에서 보아 정삼각형(51)의 정점(도 4에 도시함)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노즐부(50)간의 거리(S)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노즐부(50)의 배치는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이외라도 좋다. 즉, 각 노즐부(50)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노즐부(50)가 3열 배치되어 있지만, 노즐부(50)는 예를 들면 2열이라도 좋고, 혹은 3열 이상이라도 좋다. 요컨데 노즐부(50)가 1열이상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 5는, 노즐부(50)의 종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부(50)는 각각, 유입구(55)와 저벽(45)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통부(56)와 유출구(57)를 갖고 있다. 유입구(55)는,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의 표면에 개구하고 있다. 통부(56)는 유입구(5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경(D)이 감소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출구(57)는, 통부(56)의 하단에 개구하고 있다. 유입구(55)와 유출구(57)는 상방에서 보아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입구(55)와 유출구(57)는 상방에서 보아, 유입구(55)의 내측에 유출구(57)가 동심원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부(56)의 내주면(56a)은, 도 5에 도시하는 종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유입구(55)로부터 유출구(57)를 향하여 원호형상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유입구(55)로부터 통부(56)의 내주면(56a)에 나란하게 늘어선 개소는, 흐르는 물이 난류(亂流)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둥근 형상을 띤 매끄러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통부(56)의 하단면은, 분열이나 비틀림 등이 없도록,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완성되어, 난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노즐부(50)는, 형(型)을 이용한 소성 가공의 일종인 버링 가공과 마무리 가공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부(50)를 구비한 워터 케이스(40)의 저벽(45)상에 물(W)이 공급된다. 이 물(W)은 유입구(55)로부터 통부(56)에 흘러들며, 또한, 유출구(57)로부터 하부로 자유 낙하한다. 각 노즐부(50)의 유출구(57)로부터 떨어지는 물은, 난류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하부를 향하여 곧게 떨어진다. 이 때문에, 적어도 유출구(57)로부터 수조(20)에 도달하는 도중까지는 물이 선형상으로 연속함으로써, 로프형상의 물 기둥이 형성된다. 이 명세서에서 워터 로프(water rope; 60)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이들 워터 로프(60)는, 하방으로 갈수록 낙하 속도가 커지기 때문에, 하부를 향하여 점차 가늘어진다. 노즐부(50)의 통부(56)는, 그곳을 흐르는 물이 난류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수조(20)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물이 거의 선형상으로 연속할 수 있다. 즉, 각 노즐부(50)의 유출구(57)로부터 낙하하는 워터 로프(60)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며, 또한, 각 워터 로프(60)간의 거리가 서로 동일한 상태로 낙하한다. 이 때문에, 워터 로프(60)끼리가 합류하는 일 없이, 여러개의 워터 로프(60)로 이루어지는 물기둥의 무리가 워터 케이스(40)와 수조(20)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도장실(11)의 후방부[워터 로프(60)의 배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금제의 배리어 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장 부스(10)의 내부가 배리어 부재(70)에 의해서 도장실(11)과 배기실(71)로 구획되어 있다. 배리어 부재(70)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배리어 부재(70)는, 벽부(70a)와 굽힘부(70b)를 포함하고 있다. 벽부(70a)는 워터 로프(60)를 따라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굽힘부(70b)는 벽부(70a)의 하부로부터 배기실(71)의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70)는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펌프(21)에 의해서 퍼 올려진 물이, 워터 케이스(40)에 공급된다. 워터 케이스(40)에 공급된 물의 일부가 슬릿(47)으로부터 배리어 부재(70)를 향하여 유출된다. 슬릿(47)은 워터 케이스(40)의 측벽(46)에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부재(70)에 도달한 물은, 배리어 부재(70)의 벽부(70a)의 전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워터 로프(60)의 배후에 유수로 이루어지는 워터 커튼(75)이 형성된다. 슬릿(47)과 벽부(70a)는 워터 커튼 형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수조(20)의 수면(W1)의 상방에는, 노즐부(50)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판금제의 스플래쉬 가드 부재(8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플래쉬 가드 부재(80)도,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래쉬 가드 부재(80)는, 워터 로프(6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단부(80a)와 배리어 부재(70)의 근처에 위치하는 하단부(80b)와 물받이면(81)을 갖고 있다. 물받이면(81)은,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의 상단부(80a)로부터 하단부(80b)를 향하여 낮아지도록, 각도(θ)를 이루며 경사져 있다.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의 하단부(80b)와 배리어 부재(70)의 상기 굽힘부(70b) 사이에, 슬릿형상의 간극(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8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의 하방에, 워터 셰더(water shedder; 90)가 배치되어 있다. 워터 셰더(90)는 컨베이어(25)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컨베이어(2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워터 셰더(90)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워터 셰더(90)는 상부에 볼록형상을 이루고, 그 가장 높은 위치에 능선형상의 정상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상부(91)는, 배리어 부재(70)와 스플래쉬 가드 부재(80) 사이의 상기 간극(8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터 셰더(90)는, 제 1 안내면(92)과 제 2 안내면(93)을 갖고 있다. 제 1 안내면(92)은, 정상부(91)로부터 컨베이어(25)의 한쪽 체인(25a)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안내면(93)은, 정상부(91)로부터 컨베이어(25)의 한쪽 체인(25b)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간극(82)으로부터 워터 셰더(90)의 정상부(91) 부근에 떨어지는 물은, 제 1 안내면(92)과 제 2 안내면(93)으로 나누어져, 컨베이어(25)의 각 체인(25a, 25b) 부근에 공급된다.
상기 배리어 부재(70)의 굽힘부(70b)의 하단과 워터 셰더(90) 사이에, 간극(9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95)은, 상기 간극(82)과 마찬가지로 도장실(11)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간극(82, 95)을 거쳐서, 도장실(11)과 배기실(71)이 서로 연통하고 있다.
배기 기구(28)는 배기실(71)과, 배기실(71)의 상부에 배치된 배기 팬(100)과 배기실(71)의 내부의 복수 개소에 마련된 일리미네이터(101)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배기 팬(100)은 모터(102)에 의해서 구동되며, 도장실(11)내의 공기를 배기실(71)을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이 배기 기구(28)는, 도장실(11)의 내부의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워터 로프(60)와 워터 커튼(75)에 접촉할 수 있도록, 도장실(11)내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어서, 컨베이어(25)를 구비한 슬러지 제거 기구(26)에 대해 설명한다.
슬러지 제거 기구(26)는, 수조(20)에 수용된 상기 컨베이어(25)와, 수조(20)내의 수면(W1) 하부에 배치된 필터 드럼(1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20)의 측부에는, 경사진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프트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115)의 상부에 슬러지 배출부(116)와, 컨베이어(25)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17)가 배치되어 있다. 슬러지 배출부(116)와 모터(117)는, 수조(20)의 수면(W1)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슬러지 배출부(116)의 하방에 슬러지 회수 박스(120)가 놓여 있다.
컨베이어(25)는, 권괘 전동체의 일례인 체인(25a, 25b)(도 1에 도시함)과, 복수의 스크레이퍼(125)를 갖고 있다. 스크레이퍼(125)는 체인(25a, 25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25)는, 상측의 스프로킷(121)과 하측의 스프로킷(122) 사이를 무단 주행한다. 이들 스프로킷(121, 122) 사이를 주행하는 컨베이어(25)는, 상측 부분(왕로 부분)(130)과 하측 부분(귀로 부분)(131)을 갖고 있다. 상측 부분(130)은, 수조(20)의 수면(W1)을 따라서 이동한다. 하측 부분(131)은 수조(20)의 저부(20a)를 따라서 이동한다.
컨베이어(25)는, 모터(117)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도 2에 화살표(F)로 도시하는 제 1 방향과 화살표(R)로 도시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모터(117)는, 전환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마다 회전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는, 제 1 방향(F)이 제 2 방향(R)보다 장시간이 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타이밍(인터벌)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117)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부(115)에 제 1 가이드판(135)과 제 2 가이드판(136)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판(135)은, 컨베이어(25)의 상측 부분(130)을 따라서, 탱크 본체(30)로부터 슬러지 배출부(116)를 향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가이드판(136)은, 수조(20)의 저부(20a)로부터 슬러지 배출부(116)를 향하여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135, 136)의 상면에, 각각 컨베이어(25)의 스크레이퍼(125)가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컨베이어(25)가 제 1 방향(F)으로 이동하면, 수면(W1) 부근에 떠 있는 도료 슬러지가 컨베이어(25)의 상측 부분(130)의 스크레이퍼(125)와 함께, 제 1 가이드판(135)을 따라서 슬러지 배출부(116)를 향하여 이동한다.
컨베이어(25)가 제 2 방향(R)으로 이동할 때는, 수조(20)의 저부(20a)에 가라앉아 있는 도료 슬러지가 컨베이어(25)의 하측 부분(131)의 스크레이퍼(125)에 의해서 긁어내어진다. 이 때문에, 저부(20a)에 가라앉아 있는 도료 슬러지는, 제 2 가이드판(136)을 따라서 슬러지 배출부(116)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30)와 클린 탱크(31) 사이에, 수면 보지판(140)이 마련되어 있다. 수면 보지판(140)은, 수조(20)의 수면 높이를 보지하기 위한 수면 높이 보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필터 드럼(110)을 통하여 여과된 여과 후의 물(W)은, 이 수면 보지판(140)으로부터 오버 플로우 하는 것에 의해서 클린 탱크(31)에 유입된다. 이것에 의해, 수조(20)내의 수면(W1)의 위치가 컨베이어(25)의 상측 부분(130)의 스크레이퍼(125)와 접할 수 있는 높이로 유지된다.
수조(20)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 드럼(110)은, 필터 요소로서 기능하는 다공판(150)(도 6에 일부를 도시함)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필터 드럼(110)은, 수평 방향의 축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필터 드럼(110)은 탱크 본체(30)의 내부에 있어서, 컨베이어(25)의 상측 부분(130)과 하측 부분(1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 드럼(110)은, 모터(155)를 구동원으로 하는 필터 회전 기구(156)에 의해서,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공판(150)은, 소정 피치로 형성된 다수의 유통 구멍(160)을 갖고 있다. 유통 구멍(160)은, 예를 들면 포토 에칭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필터 드럼(11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필터 드럼(11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레이핑 부재(161)(도 2에 일부만 도시함)가 접하고 있다. 이 스크레이핑 부재(161)에 의해서 긁어내진 도료 슬러지는, 컨베이어(25)의 하측 부분(131)을 향하여 떨어진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정화 장치(12)를 구비한 도장 부스(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조(20)로부터 펌프(21)에 의해서 퍼 올린 물이, 쿠션 탱크(41)와 수세 억제 부재(43)를 거쳐서 워터 케이스(40)에 공급된다. 워터 케이스(40)내의 물이 각 노즐부(50)의 유출구(57)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출함으로써, 다수의 워터 로프(60)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워터 로프(60)는, 노즐부(50)로부터 유출하여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에 도달하기까지, 물이 거의 확산하지 않는다. 또한, 낙하한 물이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에 의해서 비교적 조용하게 워터 셰더(90)의 표면에 안내된다. 이 때문에, 도장실(11)내에 물이 비산하는 일이 없어, 작업원이 워터 로프(60)의 근처에 있어도 물에 젖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장실(11)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워터 케이스(40)에 공급된 물(W)의 일부는, 워터 케이스(40)의 측벽(46)에 형성된 슬릿(47)으로부터 배리어 부재(70)를 향하여 유출한다. 이 물(W)이 배리어 부재(70)를 타고 하방으로 유출됨으로써, 배리어 부재(70)의 전면측에 물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워터 커튼(75)이 형성된다. 스플래쉬 가드 부재(80) 위에 떨어진 물은, 간극(82)로부터 워터 셰더(90)의 상면으로 안내된다.
배기 팬(100)이 구동되는 것에 의해, 도장실(11)내의 공기가 간극(82, 95) 등을 통하여 배기실(71)에 빨려 들어가 도장실(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 중의 도료 미스트(M)가 워터 로프(60)와 워터 커튼(75)을 향하여 이동한다. 공기 중의 도료 미스트(M)는, 우선 워터 로프(60)에 말려들어 포집된다. 다 포집되지 못한 도료 미스트(M)가 워터 커튼(75)에 의해서 씻겨 내려간다. 씻겨 내려간 도료 미스트(M)는, 스플래쉬 가드 부재(80)를 지나 워터 셰더(90)의 안내면(92, 93)을 통하여, 수조(20)에 흘러들어간다.
전착 도장에서는, 피도장물(16)과 도료 미스트(M)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정전기를 띠게 하여 도장을 실행한다. 사용되는 도료는 예를 들면 수성의 양이온 전착 도료이다. 이 경우, 도료 미스트(M)는 플러스 이온을 띤다. 본 실시형태의 정화 장치(12)에 의해서 형성되는 워터 로프(60)는, 폭포나 샤워 등과 마찬가지로 다량의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플러스 이온을 띤 도료 미스트(M)를 워터 로프(60)에 부착시키기 쉽고, 도료 미스트(M)를 포집하기 쉽다는 특성이 있다. 게다가, 도장실(11)내에 다량의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오염의 원인 물질[도료 미스트(M)]에 의한 플러스 이온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장실(11)내에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의 레나드 효과(Lenard effect)에 의해서, 도장실(11)의 환경이 개선되어 도장실(11)내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사람의 일의 능률이나 쾌적성 등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배기 팬(100)에 의해서 배기실(71)내를 상승하는 공기는, 도 1에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리미네이터(101)에 충돌하는 등 사행(蛇行)하면서 이동한다. 이 상승의 도중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일리미네이터(101)에 부착하는 등 하여 낙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장실(11)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도료 미스트는, 우선 워터 로프(60)에 의해서 포집된다. 다 포집되지 못한 도료 미스트는, 워터 로프(60)의 배후에 있는 워터 커튼(75)에 의해서 포집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집된 도료 미스트는, 물과 함께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의 물받이면(81)상에 떨어진다. 물받이면(81)상에 떨어진 도료 미스트는, 워터 셰더(90)의 제 1 안내면(92)과 제 2 안내면(93)을 지나, 수조(20)에 유입된다. 제 1 안내면(92)과 제 2 안내면(93)으로부터 떨어진 물은, 컨베이어(25)의 체인(25a, 25b) 부근에 공급된다. 이 물에 의해서, 체인(25a, 25b)에 부착된 도료 슬러지를 씻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25a, 25b)에 도료 슬러지가 부착하여 고체화 되어 버리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수조(20)에 유입된 도료 슬러지의 대부분은, 수조(20)의 수면(W1)에 뜬다. 수면(W1) 부근의 도료 슬러지는, 컨베이어(25)가 제 1 방향(F)으로 이동할 때에, 스크레이퍼(125)에 의해서 슬러지 배출부(116)에 반송된다. 수조(20)의 저부(20a)에 가라앉아 있는 도료 슬러지는, 컨베이어(25)가 제 2 방향(R)으로 이동할 때에, 스크레이퍼(125)에 의해서, 수조(20)의 저부(20a)로부터 슬러지 배출부(116)에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러지 배출부(116)에 도달한 도료 슬러지는, 슬러지 회수 박스(120)내에 떨어진다.
수조(20)내의 물은 필터 드럼(110)에 의하여 여과된다. 여과된 물(W)이 유통부(32)를 지나 클린 탱크(31)에 유입한다. 클린 탱크(31)내의 물(W)이 펌프(21)에 의해서 퍼 올려져 다시 워터 케이스(40)에 공급된다.
필터 드럼(110)의 둘레면에 흡착된 도료 슬러지는, 필터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스크레이핑 부재(161)에 의하여 긁어내진다. 긁어내진 도료 슬러지는 컨베이어(25)의 하측 부분(131)을 향하여 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정화 장치(12)를 구비한 도장 부스(10)에 의하면, 워터 케이스(40)의 다수의 노즐부(50)로부터 직선형상으로 곧게 연속하여 떨어지는 물에 의해서, 여러 개의 워터 로프(60)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단순한 워터 커튼과 비교하여, 물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들 워터 로프(60)에 의해서 도료 미스트가 포집되고, 다 포집되지 못한 도료 미스트가 워터 로프(60)의 배후의 워터 커튼(75)에 의해서 포집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도장 부스와 비교하여, 도료 미스트가 접촉할 수 있는 물의 표면적을 현격히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21)의 용량이 작아도, 도료 미스트를 효율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벤투리 부스 타입이나 워터 부스 타입의 도장 부스와 비교하여, 배기 팬(100)의 용량이 작아도 된다. 배기 팬(100)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력이 절약되며, 또한, 발생하는 소음이 작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노즐부(50)로부터 낙하하는 물[워터 로프(60)]을 스플래쉬 가드 부재(80)의 물받이면(81)에 의해 받아들이기 때문에, 수조(20)내의 수면(W1)이 크게 물결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료 슬러지가 수면(W1)에 뜨기 쉬워져, 수면(W1)에 뜬 도료 슬러지를 컨베이어(25)에 의해서 효율 양호하게 반출할 수 있다.
컨베이어(25)는, 제 1 방향(F)과 제 2 방향(R)으로 전환 가능하다. 컨베이어(25)가 제 1 방향(F)으로 이동할 때에, 수면(W1)에 부유하고 있는 도료 슬러지를 컨베이어(25)의 상측 부분(130)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다. 컨베이어(25)가 제 2 방향(R)으로 이동할 때에, 수조(20)의 저부(20a)에 가라앉아 있는 도료 슬러지를 컨베이어(25)의 하측 부분(131)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조(20)내의 도료 슬러지를 빠른 단계로 제거할 수 있어, 도료 슬러지가 수조(20)내에서 고체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드럼(110)에 의해서 정화된 깨끗한 물을 펌프(21)에 의해서 재순환 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도료 미스트가 발생하는 도장 부스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워터 로프 형성 기구를 시작으로 하여, 배리어 부재, 스플래쉬 가드 부재, 펌프, 배기 기구, 슬러지 제거 기구 등,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의 구성 요소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노즐부의 형상이나 배치 등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10 : 도장 부스 11 : 도장실
12 : 정화 장치 20 : 수조
21 : 펌프 22 : 워터 로프 형성 기구
25 : 컨베이어 26 : 슬러지 제거 기구
28 : 배기 기구 40 : 워터 케이스
50 : 노즐부 55 : 유입구
56 : 통부 57 : 유출구
70 : 배리어 부재 80 : 스플래쉬 가드 부재
90 : 워터 셰더 110 : 필터 드럼

Claims (12)

  1. 피도장물이 수용되는 도장실과, 상기 도장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도료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도장실에 배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의 물을 퍼 올리는 펌프와,
    상기 수조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는 배리어 부재(barrier)와,
    상기 펌프에 의해서 퍼 올려진 물을 수용하기 위한 워터 케이스를 갖는 워터 로프 형성 기구로서, 이 워터 로프 형성 기구는, 상기 워터 케이스의 저벽에 상기 배리어 부재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즐부로 이루어지는 노즐 열을, 상기 배리어 부재의 전방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하고, 각 노즐부는 각각,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저벽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하단으로 개구하는 원형의 유출구를 가지며, 각각의 유출구로부터 직선형상으로 낙하하는 물에 의해서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워터 로프를 상기 배리어 부재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워터 로프의 열을, 상기 배리어 부재의 전방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형성하는, 상기 워터 로프 형성 기구와,
    상기 노즐부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상기 수조의 수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 로프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배리어 부재 근방의 하단부를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물받이면을 갖는 스플래쉬 가드 부재와,
    상기 배리어 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장실과 구획된 배기실과,
    상기 도장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기실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을 갖는 배기 기구로서, 상기 도장실내의 도료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워터 로프에 접촉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상기 배기 기구와,
    상기 수조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내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갖는 슬러지 제거 기구를 구비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로프 형성 기구의 상기 각 노즐부가, 상기 워터 케이스의 상방에서 보아, 각 노즐부 사이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각 노즐부가 배치되어 있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래쉬 가드 부재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컨베이어상에,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치된 워터 섀더를 갖고, 상기 워터 섀더는 상기 배리어 부재와 상기 스플래쉬 가드 부재 사이의 간극의 하방에 배치된 정상부와, 이 정상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한쪽 체인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 1 안내면과, 상기 정상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다른쪽 체인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 2 안내면을 갖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의 수면 부근을 이동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수조의 저부 부근을 이동하는 하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수조 밖의 슬러지 배출부로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의 수면 부근을 이동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수조의 저부 부근을 이동하는 하측 부분을 갖고,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수조 밖의 슬러지 배출부로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의 수면 부근을 이동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수조의 저부 부근을 이동하는 하측 부분을 갖고,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수조 밖의 슬러지 배출부로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하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조의 저부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하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조의 저부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상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면 부근의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하측 부분에 의해서 상기 수조의 저부에 존재하는 도료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10. 제 4 항 내지 제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면을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상측 부분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면 높이 보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 기구는,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수조내의 물을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수조내의 물을 여과하는 필터 드럼과,
    상기 필터 드럼의 주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필터 드럼의 막힘을 방지하는 스크레이핑 부재와,
    상기 필터 드럼에 의해서 여과된 물을 상기 펌프에 공급하는 클린 탱크를 갖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워터 커튼 형성 수단을 더 갖고, 이 워터 커튼 형성 수단은, 상기 펌프에 의해서 퍼 올려진 물을 상기 배리어 부재의 상기 벽부의 전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흘림으로써, 상기 워터 로프의 배후에 워터 커튼을 형성하는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20117026853A 2009-05-12 2010-04-26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321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5828 2009-05-12
JP2009115828 2009-05-12
PCT/JP2010/057372 WO2010131564A1 (ja) 2009-05-12 2010-04-26 浄化装置を備えた塗装ブ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52A KR20120008052A (ko) 2012-01-25
KR101321688B1 true KR101321688B1 (ko) 2013-10-23

Family

ID=4308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853A KR101321688B1 (ko) 2009-05-12 2010-04-26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35348B2 (ko)
EP (1) EP2409779B1 (ko)
JP (1) JP5339642B2 (ko)
KR (1) KR101321688B1 (ko)
CN (1) CN102421535B (ko)
HU (1) HUE026311T2 (ko)
MY (1) MY158801A (ko)
PL (1) PL2409779T3 (ko)
SG (1) SG176050A1 (ko)
WO (1) WO2010131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32B1 (ko) * 2020-12-21 2021-05-26 김종식 환경 관리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6580B2 (ja) 2011-07-08 2013-09-11 株式会社 ユーブイ・テクニカ 塗料スプレーミストの処理方法
DE102012009723A1 (de) * 2012-05-16 2013-11-21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Overspray sowie Anlage mit einer solchen
CN102784737A (zh) * 2012-08-28 2012-11-21 孙金魁 循环液帘式喷涂台
WO2014196238A1 (ja) 2013-06-07 2014-12-11 株式会社ブンリ 浄化装置を備えた塗装ブース
CN103394252B (zh) * 2013-07-02 2015-05-1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金属部件涂装废气处理装置
CN104128279A (zh) * 2014-07-25 2014-11-05 曹宏安 一种炮弹自动涂漆设备
CN104399630B (zh) * 2014-12-11 2017-05-10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可净化处理的喷漆房
CN104399629B (zh) * 2014-12-11 2016-10-05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双重雾化漆雾捕捉结构的喷漆房
CN104399632B (zh) * 2014-12-11 2016-10-05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除渣功能的喷漆房
CN104399631B (zh) * 2014-12-11 2016-10-05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专用于清理喷漆房内漆渣的刮渣机
CN104437949B (zh) * 2014-12-11 2017-02-01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双重雾化捕捉静电喷漆房
CN104384057B (zh) * 2014-12-11 2016-08-31 天津赛智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净化功能的静电喷房
CN104741274A (zh) * 2015-02-05 2015-07-01 北京三友盛创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渣式无泵水幕伸缩喷漆房
CN104858091A (zh) * 2015-05-13 2015-08-26 吴伟枝 一种气旋环保装置
CN105344542B (zh) * 2015-11-30 2017-11-28 东莞丰卓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幕变容自洁喷漆室
CN106140545B (zh) * 2016-08-29 2019-04-30 杭州洁皇净化设备有限公司 双进风水旋式水帘柜
CN106984482A (zh) * 2017-05-25 2017-07-28 江苏永益环保科技有限公司 带漆雾净化功能的水幕喷漆房
CN107626489B (zh) * 2017-09-07 2023-07-14 惠州市路旺鞋业有限公司 一种高跟鞋鞋跟喷漆自动化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107469517A (zh) * 2017-09-14 2017-12-15 郑州远东耐火材料有限公司 锆刚玉电熔砖组装车间空气净化系统
CN109718986B (zh) * 2019-03-06 2023-09-15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铝箔纸石蜡油雾喷涂装置改进结构
JP7033238B1 (ja) 2019-10-28 2022-03-09 蘇州緑如藍環保科技有限公司 スプレー塗着用の環境保護装置
CN112275524A (zh) * 2020-10-15 2021-01-29 湖州中福人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管道生产加工的保护层涂覆装置
CN114226131A (zh) * 2021-12-20 2022-03-25 广东凡海环保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漆雾分离水帘柜
KR102472005B1 (ko) * 2022-05-20 2022-11-29 주식회사 명성산업 자동 도장 시스템
CN115155864B (zh) * 2022-06-24 2023-06-16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生产用一体化喷涂装置
JP7490280B1 (ja) 2023-12-20 2024-05-27 株式会社Sbヤード 塗装ブースの改造方法及び塗装ブー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808A (en) * 1969-07-05 1976-11-30 Kearney T J Treating contaminated liquids
US5741178A (en) * 1994-12-09 1998-04-21 Binks Manufacturing Company Reducing area, increasing velocity paint booth structure and method
KR100811921B1 (ko) * 2006-10-25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도장 부스
US7395935B2 (en) * 2006-02-23 2008-07-08 Bunri Incorporation Filt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8954A (en) * 1955-07-12 1957-04-16 Cline Electric Mfg Co Spray booth
US4096066A (en) * 1969-07-05 1978-06-20 Kearney T J Treating contaminated liquids
JPS5420974B2 (ko) * 1974-08-01 1979-07-26
US4567818A (en) 1983-04-20 1986-02-04 Protectaire Systems Co. Circular spray booth
US5256308A (en) * 1992-08-19 1993-10-26 Betz Laboratories, Inc. Method for the cure and removal of overspray paint from the water wash system of paint spray booths
JP3955382B2 (ja) * 1998-04-02 2007-08-08 ニチハ株式会社 スプレー塗装装置におけるスラッジ回収装置
JP2002273292A (ja) * 2001-03-22 2002-09-24 Nippon Paint Plant Engineering Co Ltd ウォーターカーテン用移動ライザーを備えた水溶性塗料の塗装ブース
JP3704084B2 (ja) * 2001-12-19 2005-10-05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循環水流を用いた水洗式塗装ブ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808A (en) * 1969-07-05 1976-11-30 Kearney T J Treating contaminated liquids
US5741178A (en) * 1994-12-09 1998-04-21 Binks Manufacturing Company Reducing area, increasing velocity paint booth structure and method
US7395935B2 (en) * 2006-02-23 2008-07-08 Bunri Incorporation Filtering device
KR100811921B1 (ko) * 2006-10-25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도장 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32B1 (ko) * 2020-12-21 2021-05-26 김종식 환경 관리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5348B2 (en) 2013-05-07
MY158801A (en) 2016-11-15
US20120048189A1 (en) 2012-03-01
CN102421535A (zh) 2012-04-18
EP2409779A1 (en) 2012-01-25
KR20120008052A (ko) 2012-01-25
CN102421535B (zh) 2014-05-28
EP2409779A4 (en) 2013-01-23
EP2409779B1 (en) 2015-10-28
WO2010131564A1 (ja) 2010-11-18
JP5339642B2 (ja) 2013-11-13
HUE026311T2 (en) 2016-06-28
SG176050A1 (en) 2011-12-29
PL2409779T3 (pl) 2016-04-29
JPWO2010131564A1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88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688287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RU23920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бразуемого жидким лаком красочного тумана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0684127B1 (ko) 측배기 방식의 습식 도장 부스 장치
US6027566A (en) Paint spray booth
CN109475894B (zh) 排气排水机构
KR200397612Y1 (ko) 측배기 방식의 습식 도장 부스 장치
JP4848475B1 (ja) 塗料かす処理装置
JP2003176713A (ja) 排気ガス処理装置
WO2021153656A1 (ja) 湿式ミスト捕集装置
CN220143802U (zh) 一种喷漆机漆雾收集处理水箱
CN216756911U (zh) 一种高效去除漆雾的水帘柜
KR20220170120A (ko)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JP2003181345A (ja) 循環水流を用いた水洗式塗装ブース
CN115738654A (zh) 一种含硫化物有机废气的处理系统
CN109537210A (zh) 一种带有易排气外壳的喷雾涂布机
SU110654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краски изделий
JPS5830576Y2 (ja) 気体洗浄装置
JPH07236845A (ja) 塗装ブースの塗料ミスト除去装置
JPH0576587U (ja) 廃液処理槽
JPH06328025A (ja) 塗装ブース
JPH0655170A (ja) 浄水装置
JPH0685089U (ja) 円形沈澱池のスカム除去装置
JPH04126715U (ja) 塗料ミスト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