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32B1 - 환경 관리 장비 - Google Patents

환경 관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32B1
KR102257032B1 KR1020200180142A KR20200180142A KR102257032B1 KR 102257032 B1 KR102257032 B1 KR 102257032B1 KR 1020200180142 A KR1020200180142 A KR 1020200180142A KR 20200180142 A KR20200180142 A KR 20200180142A KR 102257032 B1 KR102257032 B1 KR 10225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steam
management
management equipment
pollut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filed Critical 김종식
Priority to KR102020018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6Clearing snow or ice exclusively by means of rays or streams of gas or steam, or by suction with or without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황사, 미세먼지, 유연탄 연소가스, 산업배출시설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원점이나 오염 지역에서 차량에 탐재된 시스템 구성인 보일러를 가동하여 발생된 증기와 오염물질 포집제를 촉매로 혼합 살포하면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없이도 증기는 1,673배로 확산되어 상승기류를 이루며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증기가 응집되어 내려오는 과정에서도 오염물질을 포집 하면서 대기를 정화하고,
본원발명의 재난관리방지를 운반수단에 탑재하여 육상과 해상, 공중에서 이동하며 실시하거나, 기상레이더로 황사발원 포착 즉시 신속 이동하여 황사 등의 오염물질이 확산되기 전에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촉매를 화생방 관리용, 제설, 제빙관리용, 황사 관리용, 방역관리용으로 필요시 증기에 분산 혼합하여 재난관리에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환경 관리 장비{Environment management equipment}
본 발명은 환경 관리 장비에 관한 것이다.
황토고원과 사막으로부터 발원하는 황사와 산업시설과 유연탄 연소시 나오는 스모그는 북반구로부터 편서풍을 타고 그대로 주거지역으로 날아오는데 무방비 상태이다. 또한 국내 자체에서 나오는 차량배기가스와 발전소. 제철. 제련시설 등의 산업시설에서 나오는 미세먼지 또한 무시할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치 수준이다. 결국 위 오염물질은 사회문제로 매우 심각하다
이러한 오염물질을 발원지 또는 원점에서 제거한다면 간단하겠지만 대부분 산업시설이고 황토고원이나 사막은 그 범위가 광대하여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오염물질에 대처하는 인류의 노력은 마스크착용, 실내공기청정기, 물 뿌리기 등의 매우 소극적인 방법이 권유되고 있고 실효성도 매우 낮다. 실외의 경우 물 뿌림에 의존하나 이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경제성이 없다. 헬기를 이용한 물 뿌림도 경제성이 낮고 안전하지 않다. 현재의 기술은 자연 앞에서 너무도 무기력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적극적인 방법으로 실내 보다는 실외나 오염물질이 확산되기 전에 발원지 원점에서 조기 차단하거나 적극적이면서 적은 에너지로 광범위한 면적을 정화 한다면 자연스럽게 마스크도 필요 없고, 실내공기가 탁하면 창문을 열고 맑은 공기로 마음 놓고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기체와 액체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기술은 국내특허등록10-0565815, 국내특허등록10-0319431호로 알려져 있으나 촉매를 사용하여 분사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고압증기 발생기술은 국내특허등록10-0544158호로 알려졌으나 역시 촉매를 사용하여 분사하는 기술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사.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이나 화생방 제독을 함에 있어서 기존에는 단순하게 물 뿌림하는 수준이어서 넓은 면적의 대기정화. 화생방제독이 국소적이고 비효율적이었다. 살균. 살충하는 방역관리 역시 약제를 단순 분무(분사)하는 수단으로 한정되어 역시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보다 넓은 면적을 관리하지 못하였고, 제설제빙 또한 기계적인 수단이나 단순 염화칼슘. 소금을 사용하여 2차 환경오염을 발생하게 하는 종래의 환경 관리 장비 수준을 본발명은 촉매와 증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보일러에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
선택한 촉매를 촉매조에서 정량공급하는 정량펌프;
정량펌프에서 공급받은 촉매를 40~90℃로 가열하는 가열수단;
증기발생기에서 발생한 고압증기에 가열수단을 지난 가열촉매가 촉매증기를 이루도록 분산 혼합시키는 혼합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촉매증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균질기; 및
균질기를 지난 촉매증기를 분배시키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환경 관리 장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증기에 촉매를 혼합한 촉매증기를 사용하여 화생방관리, 제설관리, 황사와 미세먼지 관리, 폭설, 결빙지역 등의 제설관리, 살균 및 살충의 방역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장비를 제공한다. 특히 황사발원지로 차량자체 이동이나 헬기 등으로 신속하게 투입되어 황사가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기 전에 조기에 증기와 촉매를 혼합한 촉매증기를 분사하여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물질를 제거 할 수 있다.
지구 북반구의 나라들은 동절기에는 난방용 유연탄을 많이 사용하여 발생되는 미세먼지의 발생량이 매우 많아서 안개가 발생한 것보다 더 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기오염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특히 지리적으로 날씨가 춥고 유연탄 사용이 많은 지구 북반구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적용 한다면 편서풍을 타고 피해를 주는 황사나 미세먼지를 대부분 제거될 것이고 본 기술이 적용될 경우 전 세계에 대기오염물질이 상당부분 정화될 것으로 예견되고 지구촌 환경정화에 기여하고, 본 발명은 물 1톤을 증기로 변환하면 1,673배의 증기가 되는 원리(도 5의 포화증기표 참조)를 이용하므로, 서행 이동하면서 살포할 경우 공기체적 10~20만㎥ 정도를 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촉매로 제설 기능의 염수나 염화칼슘수 희석액을 사용하면 제설에 효과가 있다.
화생방의 경우 촉매로 수용성1형의 이염화이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을 필요에 따라 희석시켜 사용하면 제독효과가 촉매증기 형태로 넓은 지역으로 확산지속되어 화생방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화생방 제독관리에 좋다.
또한 살균이나 살충시 별도의 약제를 물에 희석하여 촉매로 증기와 혼합한 촉매증기를 분사하면 역시 살균 및 살충시 확산 면적이 늘어서 방제 효과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기 및 균질기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설차량 설치사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리가 기재된 포화증기표이다.
본 발명에서의 환경 관리란 황사, 각종미세먼지, 유연탄연소가스 등의 모든 공해물질과 화생방물질, 폭설이나 얼음으로 인한 도로마비 발생, 코로나19나 같은 바이러스나 병균이나 메뚜기떼 같은 해충 발생을 제거토록 관리하는 것을 환경 관리로 정의하였고, 본 발명은 이러한 환경을 파괴하는 재난을 해소토록 관리하는 장비를 재난관리장비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재난발생 요인을 제거(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실내 공기정화 또는 도로에 물 뿌리기 등의 소극적인 방법보다, 본원발명에서는 황사의 발원지인 사막이나 유연탄을 사용하는 북반부 지역 국가도심 대기에 증기와 약제(촉매)를 혼합한 촉매증기를 살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재난관리장비를 사용하여 도심이나 해상. 도로. 공항전체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고, 촉매를 화생방 방지제를 사용한 화생방관리, 제설용 촉매를 사용한 제설,제빙관리, 병균 및 해충을 제거하는 방역관리를 수행토록 한다.
본원발명의 장비 구성은 운반수단에 연결하는 트레일러 같은 프레임(80)에 보일러(11), 발전기(밧데리로 사용할 수도 있어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음), 수조(13), 포집약제 촉매를 수용하며 각각의 촉매(31~3n)를 선택하여 공급받는 촉매조(30);
보일러(11)에서 고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10);
선택한 촉매를 촉매조(30)에서 정량공급하는 정량펌프(20);
정량펌프(20)를 통해 공급받은 촉매를 40~90℃로 가열하는 가열수단(40);
증기발생기(10)에서 발생한 고압증기에 가열수단을 지난 가열촉매가 촉매증기를 이루도록 분산 혼합시키는 혼합기(50);
혼합기(50)에서 혼합된 촉매증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균질기(60); 및
균질기(60)를 지난 촉매증기를 분배시키는 분배기(66)를 포함하여 설치하여, 화생방, 제설, 황사, 방역 관리 장비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열수단(40)과 혼합기(50) 사이의 촉매관(41)에 촉매공급량을 개폐 각도로 조절하는(조절수단은 수동식, 자동식, 전동식 등으로 선택 사용토록 제어 가능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정량조절밸브(42)를 부가한 것이 좋다. 상기 가열수단(40)에서 40℃ 미만으로 가열하면 고압증기와 혼합이 덜되고, 90℃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상기, 균질기(60)는 도 2 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63)과, 하우징 내면이나 중심축에 촉매증기 이송방향이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회전이동 방향이 엇갈리게 반복되는 제 1핀(61)과 제 2 핀(62)이 상호 절단 상태로 연속 반복 설치된다.
상기 균질기(60)를 지난 촉매증기를 분배하는 분배기(70)는 분배기 출구마다 연장관(67)이 설치되며 연장관(67)에는 노즐이 도 4와 같이 설치(노즐 설치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되며, 모든 장비는 배관과 전기도선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3 은 본원발명의 시스템 제어 블럭 구성도로, 마이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81)와, 제어부(81)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으로 작업을 지시하는 조작부(82), 가열수단(40)의 온도센서, 수조(13)의 수위센서, 촉매조의 수위센서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하고 인식값을 제어부(81) 입력단(I1)에 인가하는 센서부(83), 보일러(11)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선 인가 접점을 스위칭 하도록 제어부(81) 출력단(O1)에 연결된 릴레이(Ry), 제어부(81)의 출력단(O2)에 연결되어 해당 밸브(15,42, 64)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밸브구동부(84), 히터를 내장한 관체형 가열수단(40)의 온도를 인식하여 항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부(81)의 출력단(O3)에 의하여 작동하는 가열구동부(85), 조작부(82)에 의한 선택모드와 센서부(83)의 센서 인식값과, 작동 밸브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6)와, 황사가 자주 발생하는 오지에서 황사발생 대기중 무인 운전시 원격제어나 제어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모뎀(87)과, 모뎀(87)과 연결된 유무선 LAN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11)의 입수부에는 적합한 수질관리를 위해서 보일러 메이커에서 장착하는 경수연화장치를 부가하면 좋다.
본원발명에서 보일러(11)와 발전기(도시하지 않음) 연료로 사용되는 연료탱크는 자동차용 디젤 연료를 사용하거나 이원화 하여 별도의 연료탱크(예를 들어 LPG)를 추가 설치하여 연료로 사용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의 촉매는 물(황사와 같은 대기오염 관리용 촉매), 염수나 염화칼슘 30% 수용액(제설 관리용 촉매), 페이스트 상의 접착성이 있는 촉매겔(해충 관리용 촉매)(예를들어 생분해 가능한 전분을 원료로 하는 겔 상태의 점착성 촉매), 살균 이나 살충용 약제를 촉매(방역관리 촉매)를 수용하는 각 촉매 1내지 촉매 n(31 내지 3n)에 각각 수용하였다가 도시하지 않는 공급밸브를 통하여 필요한 방제를 위한 촉매를 선택하여 촉매조(30)로 이송시킨 다음 정량펌프(20)를 사용하여 정량의 촉매공급을 촉매관(41)을 이용하여 혼합기(50)로 공급한다. 단일 촉매일 경우는 촉매 선택 과정이 필요 없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포집약제를 사용하는 촉매는 정량펌프(20)에서 정량 공급한다. 이때 촉매의 종류와 오염물질의 종류, 외기온도. 도심과의 거리에 따라서 촉매의 종류와 투입량은 정량펌프(20)나 밸브(15)(42)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본원발명에서의 제설용 촉매 예로는 염수 또는 염화칼슘수 30% 수용액를 사용하면, 노면에 잔류하게 되어 노면에 운전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검은 얼음으로 인한 빙판생성을 방지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염수 또는 염화칼슘수 30% 수용액을 증기와 혼합한 촉매증기는 촉매 성분을 혼합하여도 온도가 유지되어 제설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하여 촉매조(30)에 염수를 채운 경우, 정량펌프(20)를 통하여 정량의 염수(바람직하기는 영하 10℃를 초과하면 염수를, 영하 10℃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면 염화칼슘수 30% 수용액을 사용한다) 가 지속 공급되면 이를 40℃~90℃로 가열시키는 관체형 가열수단(40)을 통과시킨다. 이는 고압증기와 혼합시 증기 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고, 촉매의 영향으로 눈이나 얼음을 녹여주는 기능을 높이고 재결빙을 방지한다. 물론 가열촉매 공급량은 정량조절밸브(42)를 통하여 세밀하게 유량을 조절 가능하다. 증기관(15)에서 공급된 고온(150℃~160℃) 고압(1-7kg/cm2)의 증기를 홉합기(50)로 공급하고, 혼합기(50)의 인입노즐(43)이 설치된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촉매관(41)을 통해 정량펌프(20)의 공급압력을 받는 가열촉매는 정량조절밸브(42)의 공급각도 조절로 공급량이 공급되고, 혼합기에 혼합되기전에 인입노즐(43)에서 미세하게 1차 입자화되고, 이어 고압증기 입자와 충돌하여 촉매는 2차 입자화된다.
이렇게 미립자 상태의 가열촉매와 고압증기가 혼합된 촉매증기는 균질기(60)에서 하우징(63) 내벽이나 중심축에 회전방향이 반대이고 서로 이격홈을 두고 이격되어 있어, 촉매증기가 제 1핀(61)에서 역회전 방향으로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다가, 제 2핀(82)에서 정회전방향으로 화살표와 같이 회전 방향이 바뀌는 것을 반복하면 결국 지그재그로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고압의 증기입자와 가열촉매입자가 단위부피당 균일하게 홉합되도록 기능한다. 이는 제설작업시 가열촉매입자에 의하여 증기가 바로 상승하여 제설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막아주고, 균일 혼합된 촉매증기에 의하여 균일한 제설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필요시 균질관(65)이나 연장관(67)에서 별도의 소분용 이동탱크에 저장후, 별도의 분사 장비를 사용한다면, 차가 못들어가는 도로가 좁은 지역이나 공중에도 헬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균질관(65) 및 분배밸브(64) 작동으로 분배기(66)의 출구에 연결시킨 연장관(67)을 도 4 와 같이 제설차의 제설삽 전면 공간에 설치하고, 연장관(67)에 분사 노즐을 설치하면, 제설삽으로는 눈을 모아주고, 모은 눈은 염수가 혼합된 촉매증기로 녹여주므로, 차량의 출력이 작아도 많은 눈을 녹일 수 있어 제설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즉, 고압증기와 혼합된 염수 입자 상태의 가열촉매가 균일하게 혼합된 촉매증기를 사용하므로 염수만 사용할 때보다 적은양의 염수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설관리 외에 방충 및 살균의 방역관리에도 뛰어난 방제효과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서 촉매조(30)에 촉매를 물과 겔상의 점착성 촉매성분이 혼합된 것을 촉매증기로 사용하면, 메뚜기 방제 효과가 탁월하는바, 이는 촉매의 점성 입자가 메뚜기 날개에 묻어 잘 날지 못하게 하고, 촉매성분이 호흡기를 막아 질식하는 효과를 주어, 별도의 화학적 살충제 없이도 방제를 가능토록 한다. 여기서 갤상의 촉매성분이라 함은 점도를 가지는 겔상의 것으로 해충등의 몸이나 날개에 묻을 경우 잘 떨어지지 않아 날지 못하게 하거나 호흡기를 막아 질식사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점성을 가지는 다른 균등물로도 대체 사용 가능함은 알 수 있을 것이며, 필요시 점성을 조절하거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동점도는 CSt90~170 이다. 본원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촉매의 바람직한 예로는 물, 전분, 카보머, 글리세린을 혼합한 것을 들 수 있고, 이를 단순히 겔상의 촉매로 표기하였다.
본원발명에서 보일러(11)와 정량펌프(20)등에 전원을 인가하는 발전기는 소요전력에 부합하는 발전용량으로 보일러 1톤 기준 3상 380볼트 10kwh 규모라면 충분하고 보일러는 자동운전되며 본 시스템에 모든 전기 동력을 공급한다. 이 때 발전기연료는 탑재연료탱크의 디젤자동차용 연료를 사용할 수 있고, 본원발명의 프레임(80)에 함께 적재할 수도 있고, 발전기가 설치된 트레일러에 본원발명의 프레임(80)을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보일러(11)는 메이커에서 검사대상기기 제품 셋트를 구매하여 사용하면 문제가 없으며 자동 운전되고 정량펌프(20)도 자동제어에 의해서 필요로 하는 압력으로 자동 운전되거나 필요시 밸브(15) 및 정량조절밸브(42)의 공급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부(82)를 통하여 제어부(81)에서 이를 인식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기성 제품은 제조검사와 설치검사를 필해야 한다.
연료탱크는 보일러(11)와 발전기의 연료로 사용되고 자동차용 디젤유를 기본으로 사용하나 보일러의 연료탱크를 별도로하여 다른 연료유(예를들어 LPG)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시 보일러(11)에 제어부(81)의 릴레이(Ry) 작동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수조(13)에서 공급받은 물이 보일러(11) 작동으로 가열되고 증기를 발생한다. 증기의 압이 조정압력에 이르면 정지되고 물은 수조(13)에서 자동 급수 된다(이 시스템 구성 및 자체 작동은 보일러 기성 제품과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오염물질제거가 필요한 경우 밸브(15)와 분배밸브(64)를 개방하여 대기에 살포하면 별도의 장치나 추가적인 에너지 없이 증기의 체적이 커지고 자체 열에너지로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물 촉매의 량에 따라서 저층부나 상층부로 확산한다. 이 순간부터 증기는 오염물질을 포집 정화 한다. 증기의 특성으로 상승 확산하면서 오염물질을 포집 하여 입자가 커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응축 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면서도 오염물질을 포집하는데 이를 이용하는 원리이다. 때문에 본원발명은 고압증기에 가열촉매를 혼합시켜 습도를 조절하여 무조건의 상승이 아닌 지상 저면에 체류 또는 상공으로 확산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오염물질을 방제 관리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의 촉매는 필요에 따라 증기에 수분을 조절하는 물(증기의 수분관리용 촉매)이나, 제설 관리용 염수나 염화칼슘 희석수나, 메뚜기 등의 곤충 방제용 촉매로 겔상의 점착성 촉매나, 화생방 수용성1형의 약제를 사용한 화생방관리용 촉매나, 살균용 약제를 촉매로 사용한 방역관리용의 촉매를 일종 선택하여 촉매증기로 원하는 방제관리를 제공하여 재난관리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관(14)을 개폐하는 분배밸브(64)에는 고온 고압에 내성이 있는 호스와 증기분사 건에 장착하여 세차하는 형식으로 쌓인 눈, 빙판, 공사현장, 중장비 등의 세차, 비행기동체 결빙제거, 건물실내외 지하철 공간의 비산먼지와 오염물질 제거에 사용되고 방역, 청소, 살균 소독 등의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증기의 상승기류는 기후적인 영향으로 고공으로 확산 되는 것도 있지만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온도가 낮아진 무거운 입자는 지상으로 낙하되어 그 수명을 다한다.
10;증기발생기 11;보일러 13;수조 14;증기관 15;밸브 20;정량펌프 30;촉매조 31~3n;촉매 40;가열수단 41;촉매관 42;정량조절밸브 43;인입노즐 50;혼합기 60;균질기 61;제 1핀 62;제 2핀 63;하우징 64;분배밸브 65;균질관 66;분배기 67;연장관 68;노즐 70;분배기 80;프레임 81;제어부 82;조작부 83;센서부 84;밸브구동부 85;가열구동부 86;디스플레이 87;모뎀 Ry;릴레이

Claims (7)

  1. 보일러(11)에서 고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10);
    액상의 촉매를 촉매조(30)에서 정량공급하는 정량펌프(20);
    정량펌프(20)에서 공급받은 촉매를 40~90℃로 가열하는 가열수단(40);
    증기발생기(10)에서 발생한 증기에 가열수단을 지난 가열촉매가 촉매증기를 이루도록 분산 혼합시키는 혼합기(50);
    혼합기(50)에서 혼합된 촉매증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균질기(60); 및
    균질기(60)를 지난 촉매증기를 분배시키는 분배기(66)를 포함하는 환경 관리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균질기(60)를 지난 균질관(65)이나, 분배기(66)에 연결한 연장관(66)에는 좁은 도로나 공중으로 이동시 촉매증기를 보관하는 소분용 이동탱크를 부가하고, 소분용 이동탱크에는 별도의 분사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균질기(60)는 혼합기(50)와 출구가 이어지는 원통형 하우징(63)과, 하우징 내면이나 중심축에 촉매증기 이송방향이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회전이동 방향이 엇갈리게 반복되는 제 1핀(61)과 제 2 핀(62)이 상호 절단 상태로 연속 반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촉매는 물 또는 갤상의 촉매이며, 촉매증기를 분사하여 황사, 미세먼지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는 살균, 살충 약제 중의 일종을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살균, 살충 약제 중의 일종을 사용하는 촉매를 혼합한 촉매증기를 분사하여 방역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는 화생방 제독용 약제를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화생방 제독용 약제 희석액 촉매를 혼합한 촉매증기를 분사하여 화생방 제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는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을 선택하여 물과 희석한 것이며, 분배기(66)에 연결하는 연장관(67)을 제설차의 제설삽 전후면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설치하고, 연장관(67)에는 일정 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제설삽으로 1차 제설하고, 촉매가 노면에 잔류하여 2차 제설함과 동시에 재결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장비.
KR1020200180142A 2020-12-21 2020-12-21 환경 관리 장비 KR10225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42A KR102257032B1 (ko) 2020-12-21 2020-12-21 환경 관리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42A KR102257032B1 (ko) 2020-12-21 2020-12-21 환경 관리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32B1 true KR102257032B1 (ko) 2021-05-26

Family

ID=761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42A KR102257032B1 (ko) 2020-12-21 2020-12-21 환경 관리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878B1 (ko) * 2021-10-20 2022-11-10 주식회사 현진기업 물을 이용한 친환경 제설 및 미세먼지 제거 다목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39B1 (ko) * 2005-09-26 2013-09-25 유니버시티 오브 리드스 약물 전달기
KR101321688B1 (ko) * 2009-05-12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467832B1 (ko) * 2013-12-18 2014-12-02 (주)부로무역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20200015116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지투비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39B1 (ko) * 2005-09-26 2013-09-25 유니버시티 오브 리드스 약물 전달기
KR101321688B1 (ko) * 2009-05-12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467832B1 (ko) * 2013-12-18 2014-12-02 (주)부로무역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20200015116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지투비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878B1 (ko) * 2021-10-20 2022-11-10 주식회사 현진기업 물을 이용한 친환경 제설 및 미세먼지 제거 다목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7091B (zh) 飞行昆虫捕捉装置和飞行昆虫捕捉系统
WO2016029620A1 (zh) 利用液体还原剂的空气净化设备及其工作和应用方法
US6050025A (en) Infrared insect/mosquito killing system
US8296993B2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KR102257032B1 (ko) 환경 관리 장비
Choudhary et al.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of air pollution
US20070084105A1 (en) Portable pest control system
KR20230049603A (ko) 정화형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락볼트, 지보재, 방수재, 포장재, 구성물, 숏크리트, 그라우팅, 환기시스템, 살수시스템, 소화시스템
US10136632B2 (en) Modified field incinerating arrangement
US2685146A (en) Spraying device
CN110893316A (zh) 一种巨型雾霾空气净化系统及其雾霾空气净化方法
KR10051611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
CN110575723A (zh) 控制大气污染及火险的液态风道
Sivaramanan Air Pollution sources, pollutants and mitigation measures
CN210364398U (zh) 一种适用于无人机的高效喷药装置
US10363515B2 (en) Atmospheric negative ionizer
Patel et al. Air pollutants all are chemical compounds hazardous to ecosystem
KR200439319Y1 (ko) 연소식 모기박멸장치
RU26871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ловли насекомых
US20220105459A1 (en) Air purifier
Farhadloo et al. Reduce Dust Pollution Using Water Suppression
CN217389753U (zh) 一种农业轻量化越野杀虫车装备
KR102236833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Cowling Acid rain and other airborne pollutants: Their human causes and consequences
CN109011930A (zh) 一种雾霾配方以及全智能调节雾霾治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