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120A -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120A
KR20220170120A KR1020210080754A KR20210080754A KR20220170120A KR 20220170120 A KR20220170120 A KR 20220170120A KR 1020210080754 A KR1020210080754 A KR 1020210080754A KR 20210080754 A KR20210080754 A KR 20210080754A KR 20220170120 A KR20220170120 A KR 2022017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water
purification
unit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훈
Original Assignee
대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120A/ko
Publication of KR2022017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워터커튼이 수차례 형성되도록 하여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 및 분진을 여러번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스프레이 도장이 실시되는 곳으로서 밀폐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도장부스 본체; 도장부스 본체에서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배출부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정화부를 포함하며; 정화공간을 제공하는 정화부스;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유도판;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부에 이격되게끔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경사유도판; 제2물공급부;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1경사유도판 위에 떨어뜨리기 위하여 상기 제1경사유도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통;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단과 제2경사유도판의 하단이 평면상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제1경사유도판 및 제2경사유도판에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워터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Structure Of Painting Booth With Dust Filt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워터커튼이 수차례 형성되도록 하여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 및 분진을 여러번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장작업 과정에서 도료를 분사할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 잔존 도료 등은 바로 대기, 토양 및 해양으로 배출되면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이를 정화시켜 배출해야 한다. 그래서 종래 기술로는 도장부스의 유해성분 제거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2856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장부스의 내측 벽 상부에 설치된 물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내려 그 일부는 배출구와 와류부 및 배출로를 통하여 회수탱크에 회수되고, 나머지 일부의 물은 바닥면을 흘러 슬러지회수탱크로 유입되게 한 도장부스의 유해성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배출구의 전방 바닥판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시켜 골을 마련하고, 그 골에는 물 공급파이프가 설치되며, 회수탱크에는 펌프를 설치하되 그 펌프에는 물 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제1바이패스 관과 골로 물을 공급하는 제2바이패스 관을 설치하였다.
이 종래기술은 바닥판을 높임으로써 형성된 골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분사 된 도료가 바닥판에 묻지 않고 물과 함께 배출되도록 하며, 물 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제1바이패스 관과 골로 물을 공급하는 제2바이패스 관을 설치하여 회수탱크로 회수된 물을 재사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과 함께 유해성분을 한차례만 여과시키기 때문에 미처 여과되지 못한 유해성분이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28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789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커튼이 수차례 형성되도록 하여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 및 분진을 여러번 여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스프레이 도장이 실시되는 곳으로서 밀폐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도장부스 본체; 도장부스 본체에서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배출부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화부는 상기 도장부스 본체 내부에 제1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오염공기가 상기 제1워터커튼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장부스 본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물공급관; 물이 분출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제1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노즐; 상기 제1물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물공급부; 및 상기 제1노즐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화부는 상기 제1정화부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를 재차 정화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것으로서,
정화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제1정화부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정화부스;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유도판;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부에 이격되게끔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경사유도판;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전체 구간에 걸쳐 물을 떨어뜨리기 위한 제2물공급부;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1경사유도판 위에 떨어뜨리기 위하여 상기 제1경사유도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에서 떨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단과 제2경사유도판의 하단이 평면상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제1경사유도판 및 제2경사유도판에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워터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수통는,
앞판과 뒤판과 한 쌍의 옆판을 포함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앞판의 상단에는 물이 고르게 떨어지도록 물흐름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수통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뒤판의 높이보다는 낮고, 앞판의 높이보다는 높게 되어 있는 구획판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커튼이 수차례 형성되도록 하여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 및 분진을 여러번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배수통을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 및 분진이 여과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의 배수통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동시에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특정 도면 내지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작업은 도장부스(100)에서 피도장물(J)에 분사장치(101)로 도료(P)를 도포하는 것이다. 도장부스(100)는 밀폐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도장부스 본체(107)와 정화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부스(106)를 포함한다. 도장부스 본체(107)에서 도장 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화배출부(103)가 설치된다. 정화배출부(103)는 제1정화부(110)와 제1정화부(110)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정화부(120)를 포함한다.
제1정화부(110)는 도장부스 본체(107) 내부에 제1워터커튼(131)을 형성하여 오염공기 및 분진이 제1워터커튼(131)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물공급관(111), 제1노즐(112), 제1물공급부(113) 및 제1배수부(114)를 포함한다. 제1물공급관(111)은 도장부스 본체(107)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노즐(112)은 물이 분출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제1물공급관(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물은 떨어지면서 제1워터커튼(131)을 형성한다. 제1노즐(112)의 후단에는 벽체(102)가 설치되어 오염공기 및 분진이 벽체(102)를 따라 물과 함께 하강한다. 제1배수부(114)는 벽체(1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노즐(112)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배수한다. 또한 제1물공급부(113)는 제1물공급관(111)으로 물을 공급한다.
제2정화부(120)는 제1정화부(110)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를 재차 정화하여 외부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정화부스(106) 내부의 구조에 의해서 가능하다.
정화부스(106)의 상부에는 흡입펌프(108)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04)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제1정화부(110)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5)가 마련된다. 정화부스(106)의 내부에는 제1경사유도판(121), 제2경사유도판(122), 제2물공급부(123), 제2물공급관(133), 제2배수부(124) 및 배수통(125)이 설치된다. 판형태인 제1경사유도판(121) 및 제2경사유도판(122)은 정화부스(106)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경사유도판(122)은 제1경사유도판(121)의 하부에 이격되게끔 설치된다. 제2물공급부(123)는 제1경사유도판(121)의 전체 구간에 걸쳐 물을 떨어뜨리기 위해 설치된다. 제2물공급부(123)에서 공급받은 물이 일정하게 떨어질 수 있게 배수통(125)이 제1경사유도판(121)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125)은 앞판(127)과 뒤판(126)과 한 쌍의 옆판(128)을 포함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앞판(127)의 상단에는 물흐름판(129)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물흐름판(129)은 앞판(127)을 절곡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배수통(125)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구획판(130)이 마련된다. 구획판(130)의 높이는 뒤판(126)의 높이 보다는 낮고, 앞판(127)의 높이보다는 높게 되어 있다. 구획판(130)과 뒤판(126)에 의해 1차급수공간(W1)이 제공되고, 구획판(130)과 앞판(127)에 의해 2차급수공간(W2)이 제공된다.
제2물공급관(133)은 배수통(125)의 옆판(128)에 결합된다. 제2물공급부(123)는 제2물공급관(133)을 통해 배수통(125)으로 물을 공급한다. 물이 배수통(125)의 1차급수공간(W1)과 2차급수공간(W2)에 차례대로 채워진 후 물흐름판(129)을 통해 흘러 떨어진다. 경우에 따라, 배수통(125)의 내부에는 구획판(130)이 없을 수도 있다.
배수통(125)에서 떨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정화부스(106)의 하단에는 제2배수부(124)가 마련된다. 도장부스(100)의 바닥판(109)은 제1배수부(114)에서 제2배수부(124)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제2배수부(124)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유도판(121)의 하단과 제2경사유도판(122)의 하단이 평면상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배수통(125)에서 떨어지는 물이 제1유도판(121) 및 제2유도판(122)에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제2워터커튼(13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도장부스의 구조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공기 및 분진과 물의 이동 경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진 여과 기능을 설명하겠다. 물의 이동방향은 실선화살표(W)로 도면에 도시한다. 물은 도장부스 본체(107)의 제1노즐(112)에서 분출되어 제1워터커튼(131)을 형성하고, 제1배수부(114)를 통과하여 제2배수부(124)로 배출된다. 또한, 물은 배수통(125)에서 떨어져 제1경사유도판(121) 및 제2경사유도판(122)에 의해 제2워터커튼(132)을 형성한다.
오염공기 및 분진의 이동방향은 점선화살표(D)로 도시한다. 오염공기 및 분진은 제1워터커튼(131)에 의해 물과 함께 제1배수부(114)를 통과하여 제2배수부(124)로 배출된다.
여과된 공기의 이동방향은 빈화살표(K)로 도시한다. 여과된 공기는 정화부스(106)의 배기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펌프(108)에 의해 공기 및 미세한 분진이 상승되는데, 이 때 제2워터커튼(132)에 의해 공기만 여과되어 배기구(104)로 배출된다. 오염공기 및 미세한 분진은 제2워터커튼(132)을 형성하는 물과 함께 하강하여 제2배수부(124)로 배출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00 : 도장부스 101 : 분사장치
102 : 벽체 103 : 정화배출부
104 : 배기구 105 : 유입구
106 : 정화부스 107 : 도장부스 본체
108 : 흡입펌프 109 : 바닥판
110 : 제1정화부 111 : 제1물공급관
112 : 제1노즐 113 : 제1물공급부
114 : 제1배수부 120 : 제2정화부
121 : 제1경사유도판 122 : 제2경사유도판
123 : 제2물공급부 124 : 제2배수부
125 : 배수통 126 : 뒤판
127 : 앞판 128 : 옆판
129 : 물흐름판 130 : 구획판
131 : 제1워터커튼 132 : 제2워터커튼
133 : 제2물공급관

Claims (3)

  1. 스프레이 도장이 실시되는 곳으로서 밀폐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도장부스 본체; 도장부스 본체에서 도장작업 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배출부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화부는 상기 도장부스 본체 내부에 제1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오염공기가 상기 제1워터커튼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장부스 본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물공급관; 물이 분출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제1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노즐; 상기 제1물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물공급부; 및 상기 제1노즐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화부는 상기 제1정화부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를 재차 정화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것으로서,
    정화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제1정화부를 통과한 1차 정화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정화부스;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유도판;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부에 이격되게끔 상기 정화부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경사유도판;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전체 구간에 걸쳐 물을 떨어뜨리기 위한 제2물공급부;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1경사유도판 위에 떨어뜨리기 위하여 상기 제1경사유도판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에서 떨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유도판의 하단과 제2경사유도판의 하단이 평면상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물공급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제1경사유도판 및 제2경사유도판에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워터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는,
    앞판과 뒤판과 한 쌍의 옆판을 포함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앞판의 상단에는 물이 고르게 떨어지도록 물흐름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뒤판의 높이보다는 낮고, 앞판의 높이보다는 높게 되어 있는 구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KR1020210080754A 2021-06-22 2021-06-22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KR20220170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54A KR20220170120A (ko) 2021-06-22 2021-06-22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54A KR20220170120A (ko) 2021-06-22 2021-06-22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20A true KR20220170120A (ko) 2022-12-29

Family

ID=8453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54A KR20220170120A (ko) 2021-06-22 2021-06-22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1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56B1 (ko) 2006-03-16 2006-12-28 정지만 도장부스의 유해성분 제거장치
KR101817899B1 (ko) 2017-07-05 2018-01-11 조윤성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56B1 (ko) 2006-03-16 2006-12-28 정지만 도장부스의 유해성분 제거장치
KR101817899B1 (ko) 2017-07-05 2018-01-11 조윤성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88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RU26101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аждения перераспыла, а также установк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RU23920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бразуемого жидким лаком красочного тумана
US9545645B2 (en) Paint spray booth
JP6310871B2 (ja) 塗装設備
US6027566A (en) Paint spray booth
JP4886124B2 (ja) 散水式集塵装置
KR102051460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20220170120A (ko) 분진 여과기능을 가진 도장부스의 구조
US4601236A (en) Pump-less paint spray booth
CN106039886A (zh) 涂装废气处理设备
JPH0568920A (ja) 簡易塗装ブース
CN214077425U (zh) 一种水帘式喷漆室
JP6335830B2 (ja) 液滴捕集装置、及び、その液滴捕集装置を用いた塗装排気洗浄装置
CN208660715U (zh) 一种废气净化塔
JP3390600B2 (ja) 回収型水溶性塗料の塗装装置
KR20020079613A (ko)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CN205683772U (zh) 涂装废气处理设备
TWM581501U (zh)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KR960007355Y1 (ko) 스프레이식 도장설비의 도료분진 제거장치
US5425670A (en) Spray booth overspray removal arrangement and method
SU939124A1 (ru) Камера окраски с боковым отсосом воздуха
SU691211A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 окрасочна камера
CN214914591U (zh) 一种无泵水帘除尘器
RU20609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сто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