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381B1 -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381B1
KR101321381B1 KR1020120012687A KR20120012687A KR101321381B1 KR 101321381 B1 KR101321381 B1 KR 101321381B1 KR 1020120012687 A KR1020120012687 A KR 1020120012687A KR 20120012687 A KR20120012687 A KR 20120012687A KR 101321381 B1 KR101321381 B1 KR 10132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cursor
rack
pap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078A (ko
Inventor
노부히로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65H2403/411Double rack cooperating with one pinion, e.g. for performing symmetrical displacement relative to pin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시트 폭 규제 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쪽 단부와 다른 쪽 단부를 구비하는 시트가 적재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시트의 한쪽 단부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시트의 다른 쪽 단부를 규제하는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다른 쪽 단부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한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제 1 이동 커서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제 1 안내부와 이간되고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피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상기 제 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 2 피안내부와,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 1 피안내부의 이동과 상기 제 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 2 피안내부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부재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SHEET WIDHT REGUL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용 시트나 원고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트 폭 규제 장치나, 화상 형성을 행하지 않는 스캐너 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등, 여러 가지 시트의 방향을 맞추는 시트 폭 규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용지를 수용한 센터 레지스트 방식의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급지 카세트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는 용지의 폭 치수를 규제하는 한 쌍의 커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커서에 의해 용지의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커서는 용지의 방향을 반송 방향을 따르도록 맞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용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커서는 통상 용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예를 들면 20㎝∼30㎝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커서는 여러 가지 사이즈의 용지의 폭 치수를 규제하기 위해서, 유저가 커서를 손으로 잡고 용지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커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커서의 끝을 잡고 커서를 움직였을 경우, 유저가 커서를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커서에 가해지는 힘에 편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커서가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서의 경사가 생길 우려를 저감시키는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는 시트 폭 규제 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쪽 단부와 다른 쪽 단부를 구비하는 시트가 적재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시트의 한쪽 단부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시트의 다른 쪽 단부를 규제하는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다른 쪽 단부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한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제 1 이동 커서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상기 제 1 안내부와 이간되고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피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상기 제 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 2 피안내부와,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 1 피안내부의 이동과 상기 제 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 2 피안내부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부재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복사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복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사기에 설치된 급지 카세트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급지 카세트에 설치된 용지 폭 규제 유닛을 상면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지 폭 규제 유닛에서 한쪽의 폭 커서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용지 폭 규제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6은 폭 커서를 하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한쪽 벽면을 제거한 상태에서 폭 커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폭 커서에 설치된 록킹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록킹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록킹 부재와 피니언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록킹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록킹 부재와 피니언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는 동일한 부재인 것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복사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복사기의 급지 카세트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도 5 중의 화살표 F 및 화살표 R은 급지 카세트를 복사기에 장착했을 때의 기기 전면측(F) 및 기기 후면측(R)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복사기(10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복사기(100)는 센터 레지스트 방식의 복사기로서, 기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급지부(1)와, 이 급지부(1)의 측방 및 상방에 설치된 용지 반송부(2)와, 이 용지 반송부(2)의 상방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3)와, 이 화상 형성부(3)보다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정착부(4)와, 이들 화상 형성부(3) 및 정착부(4)의 상방에 설치된 광학계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판독부(5)와, 화상 판독부(5)의 상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자동 원고 반송 장치(ADF)(7)를 구비하고 있다.
급지부(1)는 기기 본체에 대하여 삽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6)에 적층 적재된 용지(P) 다발을 원기둥 형상의 급지 롤러(11)의 회전 동작에 의해 급지 카세트(6)의 출구측(도 1에서는 우측)으로 송출함과 아울러, 각 급지 카세트(6)의 출구측 상부에 설치된 처리부(12)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최상 위치의 용지(P)부터 1매씩 확실하게 용지 반송부(2)에 급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복사기(100)는 상기 급지 카세트(6)의 기기 본체에 대한 삽탈 방향이 급지 카세트(6)로부터 기기 본체로의 용지(P)의 급지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지(P)는 시트의 일례이다. 시트는 예를 들면 OHP 필름 등이라도 좋다.
용지 반송부(2)는 급지부(1)로부터 급지된 용지(P)를 반송 롤러 쌍(21) 및 레지스트 롤러 쌍(22)에 의해 화상 형성부(3)를 향해서 반송하고, 또한 화상 형성부(3)로부터 정착부(4)에 있어서 화상 형성이 실시된 용지(P)를 배출 롤러 쌍(23)에 의해 배출 트레이(24) 상에 배출하게 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3)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용지(P)에 소정의 토너 상(像)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상 형성부(3)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광도전성을 갖는 감광체 드럼(31)과, 이 감광체 드럼(31)의 주위에 설치되는 대전 유닛(32), 노광 유닛(33), 현상 유닛(34), 전사 유닛(35), 클리너(36) 및 제전(除電) 유닛(37)을 구비하고 있다.
대전 유닛(32)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대전 와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대전 유닛(32)은 이 대전 와이어로부터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체 드럼(31) 표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노광 유닛(33)은 후술하는 화상 판독부(5)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 발광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폴리곤 미러 및 반사경을 통해서 감광체 드럼(31)에 조사함으로써 감광체 드럼(31) 표면의 전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이 감광체 드럼(31)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현상 유닛(34)은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여 감광체 드럼(31) 표면에 토너 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사 유닛(35)은 감광체 드럼(31) 표면의 토너 상을 용지(P)에 전사하는 것이다. 이 복사기에 있어서는 전사 유닛(35)은 감광체 드럼(3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전사 롤러를 구비한다. 클리너(36)는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31)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다. 제전 유닛(37)은 감광체 드럼(31) 표면의 잔류 전하를 제거하는 것이다.
정착부(4)는 화상 형성부(3)의 용지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부(3)에 있어서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P)를 가열 롤러(41)와 가압 롤러(42)에 의해 끼워서 가열하여 용지(P) 상에 토너 상을 정착시키는 것이다.
화상 판독부(5)는 콘택트 유리(51) 상에 적재된 원고에 노광 램프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화상 판독부(5)는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반사경을 통해서 CCD 라인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전 변환부에 안내함으로써 원고의 화상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노광 램프 및 반사경은 화상 판독부(5)의 주사 동작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주사 동작부가 소정의 속도로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영역(52)을 이동 동작함으로써 콘택트 유리(51) 상에 적재된 원고의 전체면을 주사하여 원고 전체면의 화상을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급지 카세트(6)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지 카세트(6)는 트레이용 프레임(61)과, 트레이용 프레임(61)에 적재되고 또한 부착된 급지 트레이(62)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용 프레임(61)은 슬라이딩 기구(61a)를 통해서 기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용 프레임(61)의 앞면 커버(61b)에 형성된 핸들을 유저가 당김으로써 슬라이딩 기구(61a)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해당 급지 카세트(6)를 앞쪽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인출된 급지 카세트(6)의 급지 트레이(62)에 유저가 용지(P)를 적재한다.
급지 트레이(6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P)를 적재해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오목 형상의 용지 수용부(62a)를 구비하고 있다. 그 용지 수용부(62a)의 저부에는 용지(P)의 폭 방향(용지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규제하는 용지 폭 규제 유닛(63)과, 용지(P)의 길이 방향을 규제하는 길이 커서(81)와, 이것을 지지하는 길이 커서 레일 부재(8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 폭 규제 유닛(63)과 길이 커서(81)에 의하여 용지(P)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의 용지 위치가 규제되게 되어 있다. 용지 폭 규제 유닛(63)은 시트 폭 규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길이 커서(81)는 길이 커서 레일 부재(82) 상을 용지(P)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길이 커서(81)는 이 길이 커서(81)와 이것에 대향하는 급지 트레이(62)의 내벽면(도 2에서는 우측 내벽면)에 의하여 용지(P)의 길이 방향(용지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용지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용지 폭 규제 유닛(63)의 상부에는 용지(P)의 급지 방향 전단부를 들어올려서 급지 롤러(11)에 접촉시키는 대략 판 형상의 리프트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 부재(65)에는 길이 커서(81)와 길이 커서 레일 부재(82)를 피하도록 형성된 컷아웃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컷아웃부로부터 길이 커서(81)가 리프트 부재(6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 부재(65)에는 2개의 개구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개구부(65a)로부터 후술하는 베이스판(73) 상의 폭 커서(71a, 71b)가 리프트 부재(6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되어 있다.
리프트 부재(65)는 각 커서(71a, 71b, 81)의 슬라이딩 이동에 간섭하지 않고 급지 트레이(62)의 저면을 덮는 것이 가능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프트 부재(65)의 용지 반송 방향의 안쪽(도 2의 좌측) 전후 양단은 급지 트레이(62)의 전후 측면부에 부착된 도시 생략된 핀에 의해 각각 축지지됨으로써, 리프트 부재(65)의 용지 반송 방향 출구측(도 2의 우측)이 급지 트레이(62)의 저면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용지 폭 규제 유닛(63)을 상면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용지 폭 규제 유닛(63)으로부터 폭 커서(71b)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용지 폭 규제 유닛(63)의 저면도이다.
용지 폭 규제 유닛(63)은 용지(P)의 폭 방향을 규제하는 한 쌍의 폭 커서(71a, 71b)와, 이들 한 쌍의 폭 커서(71a, 71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판(73)과, 한 쌍의 폭 커서(71a, 71b)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의 일례인 랙(74a, 74b) 및 피니언(745)(도 5)과, 전면측 폭 커서(71b)에 부착된 폭 커서(71b)의 베이스판(73)에 대한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부재(77)(도 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면측 폭 커서(71b) 및 후면측 폭 커서(71a)는 본 발명의 제 1 이동 커서 및 제 2 이동 커서의 일례를 나타내지만, 상술한 연동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전면측 또는 후면측 중 한쪽의 폭 커서만이 이동 가능하게 되고, 다른 쪽이 고정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고정된 폭 커서가 규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전면측 폭 커서(71b) 및 후면측 폭 커서(71a)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트레이용 프레임(61)의 내벽면을 규제 부재로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면측 폭 커서(71b)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후면측 폭 커서(71a)의 벽면(711a)과 대향하는 트레이용 프레임(61)의 내벽면이 규제 부재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후면측 폭 커서(71a)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전면측 폭 커서(71b)의 벽면(711b)과 대향하는 트레이용 프레임(61)의 내벽면이 규제 부재가 된다.
스토퍼 부재(77)는 예를 들면 베이스판(73)의 상면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도시 생략된 맞물림 클로를 갖고 있다. 이 맞물림 클로를 베이스판의 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스토퍼 부재(77)는 폭 커서(71b)의 위치를 베이스판(73)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폭 커서(71a 및 71b)는 베이스판(73) 상을 용지(P)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랙(74a, 74b) 및 피니언(745)에 의해 서로 떨어지거나 근접하거나 해서 이동함으로써 양쪽의 폭 커서(71a, 71b)의 간격(폭)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폭 커서(71a, 71b)는 소정의 높이, 길이, 폭을 갖는 상자체에 의해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 폭 커서(71a, 71b)에는, 또한 서로 다른 쪽의 폭 커서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수평부(713a, 713b)가 폭 커서(71a, 71b)의 하우징 하부에 연달아 접속되어 있다.
폭 커서(71a)의 하우징은 용지(P)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711a, 712a)을 구비하고 있다. 폭 커서(71b)는 용지(P)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711b, 71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폭 커서(71a, 71b)의 내측[폭 커서(71a, 71b)가 대향하는 쪽] 벽면(711a, 711b)이 용지(P)에 접촉함으로써 용지(P)의 폭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수평부(713a, 713b)는 용지(P)의 측가장자리 근방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이에 따라 용지(P)를 맞춰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이스판(73)의 하면측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랙(74a, 74b)이 각 랙 톱니부(742a, 742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랙(74a, 74b)은 부착부(741a, 741b)에 의해 각 폭 커서(71a, 71b)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판(73)에는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장공(730)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741a, 741b)는 베이스판(73)의 상면측에 설치된 폭 커서(71a, 71b)와 베이스판(73)의 하면측에 설치된 랙(74a, 74b)을 한 쌍의 가이드 장공(730)을 통해서 접속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장공(730) 사이에는 각 랙 톱니부(742a, 742b)에 맞물리는 피니언(7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랙(74a, 74b)은 각 폭 커서(71a, 71b)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피니언(745)은 상기 피니언(745)의 보스 삽입 구멍에, 베이스판(73)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보스(746)가 삽입됨으로써 보스(746)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용지 폭 규제 유닛(63)의 연동 구조에 의하면, 한쪽의 폭 커서[예를 들면, 전면측 폭 커서(71b)]를 유저가 이동시킴으로써 이 이동에 따르는 구동력이 폭 커서(71b)에 접속된 랙(74b)의 랙 톱니부(742b)를 통해서 피니언(745)의 톱니부에 전달되어서 피니언(745)이 보스(746) 주위에서 회전한다. 또한, 이 회전에 따르는 구동력이 피니언(745)에 맞물리는 랙 톱니부(742a)를 통해서 랙(74a)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랙(74a)이 랙(74b)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동일량만큼 이동한다. 이 결과, 한쪽의 폭 커서[전면측 폭 커서(71b)]만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쪽의 폭 커서[후면측 폭 커서(71a)]도 반대 방향을 향해서 동일량만큼 한쪽의 폭 커서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한쪽 커서를 움직여서 시트의 단부에 붙이면 다른 쪽 커서도 연동해서 시트를 다른 한쪽 커서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움직이므로, 시트를 중앙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유저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73)의 상면에는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921a, 921b)(제 1 랙)과, 랙(921a, 921b)과 용지(P)의 반송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랙(921a, 921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922a, 922b)(제 2 랙)이 설치되어 있다.
랙(921a, 921b)의 기어 톱니의 피치와 랙(922a, 922b)의 기어 톱니의 피치는 같게 되어 있다. 또한, 랙(921a, 921b)은 베이스판(7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베이스판(73)에는 랙(921a)의 근방에 있어서 랙(921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장공(93a)(슬릿)과, 랙(921b)의 근방에 있어서 랙(921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장공(93b)(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이동 커서의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이 슬릿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제 1 안내부에 의해 제 1 피안내부를 안내시키면서 이동 커서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가이드 장공(93a)의 일단부에는 폭이 넓은 확대부(931a)가 형성되고, 가이드 장공(93b)의 일단부에는 폭이 넓은 확대부(9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73)의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 가장자리부(924a, 924b)에는 확대부(931a, 931b)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컷아웃부(923a, 92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폭 커서(71a)를 하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벽면(711a)을 제거한 상태에서 폭 커서(71a)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폭 커서(71b)는 후술하는 록킹부(720)를 구비하지 않고 스토퍼 부재(77)를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거의 폭 커서(7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폭 커서(71a)의 하부에는 벽면(711a, 712a) 사이에 벽면(711a, 712a)과 평행하고, 또한 베이스판(73)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결 축(76)이 축지지되어 있다. 연결 축(76)의 일단 부근에는 피니언(761)(제 1 피니언)이 동일 축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연결 축(76)의 타단 부근에는 피니언(762)(제 2 피니언)이 동일 축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761, 762)은 연결 축(76)에 의해 연결되어서 동일 축으로 연동해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피니언(761, 762)의 직경 및 톱니의 수(피치)는 서로 같다.
그리고, 피니언(761)의 상방에는 피니언(761)의 연결 축(76) 주위의 회전을 록킹하는 록킹부(7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폭 커서(71a)의 하부에는 피니언(761) 근방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물림부(751)(제 1 맞물림부)와, 피니언(762) 근방이고 폭 커서(71a)의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물림부(752)(제 2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751, 752)의 선단부에는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돌기부(751x, 752x)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751x)와 돌기부(752x)가 베이스판(73)의 확대부(931a)와 컷아웃부(923a)에 위치 결정되고, 폭 커서(71a)가 베이스판(73)에 부착되면 폭 커서(71a)의 하면이 베이스판(73)의 상면에 접촉하고, 피니언(761, 762)이 랙(921a, 922a)과 맞물리며, 또한 돌기부(751x)와 돌기부(752x)가 베이스판(73)의 하면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폭 커서(71a)를 화살표(R)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돌기부(751x)가 가이드 장공(93a)의 가장자리부에 들어가고, 또한 베이스판(73)의 가장자리부이기도 한 가장자리부(932a)를 감싸듯이 맞물린다. 또한, 돌기부(752x)는 베이스판(73)의 가장자리부(924a)를 감싸듯이 맞물린다.
또한, 폭 커서(71a)가 슬라이딩되면 피니언(761, 762)이 랙(921a, 922a) 상을 이동하는 결과, 랙(921a, 922a) 상의 이동에 따라서 피니언(761, 762)이 종동 회전한다. 이때, 피니언(761, 762)은 연결 축(76)에 의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니언(761)의 회전량과 피니언(762)의 회전량은 필연적으로 같아진다.
또한, 피니언(761, 762)은 직경 및 톱니의 피치가 서로와 같게 되어 있고, 또한 랙(921a)의 기어 톱니의 피치와 랙(922a)의 기어 톱니의 피치는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니언(761)의 회전량과 피니언(762)의 회전량이 같으면 피니언(761)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커서(71a)의 슬라이딩량과, 피니언(762)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커서(71a)의 슬라이딩량이 같아진다. 그렇게 하면, 폭 커서(71a)는 평행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커서의 용지 반송 방향에 대한 경사가 생길 우려가 없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제 1 이동 커서를 한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 1 랙 및 제 2 랙이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이 회전한다. 이때, 연결 축에 의해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이 동일 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의 회전량은 같아진다. 따라서,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이 제 1 랙 및 제 2 랙이 설치된 베이스판 상을 이동하는 이동량도 같아진다.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은 이간되어서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이 베이스판 상을 이동하는 이동량이 같으면 이동 커서는 평행 이동하는 결과, 커서의 경사가 생길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돌기부(751x)는 가장자리부(932a)를 감싸듯이 맞물리고, 돌기부(752x)는 가장자리부(924a)를 감싸듯이 맞물려 있으므로 슬라이딩 중 폭 커서(71a)가 베이스판(73)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슬라이딩 중 랙(921a, 922a)과 피니언(761, 762)의 맞물림이 유지되어 기어가 미끄러질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랙(921a, 922a)과 피니언(761, 762) 사이의 미끄럼에 기인해서 커서의 경사가 생길 우려가 저감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이동 커서는 제 1 안내부의 근방과 제 2 안내부의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판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그 결과,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와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이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에 의해 확실하게 안내되므로 커서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는 확실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는 제 1 이동 커서가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와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이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와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이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피니언(761, 762)은 서로 이간되어서 연결 축(76)에 축지지되어 있으면 좋고, 피니언(761, 762)이 연결 축(76)과 연결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폭 커서(71a)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A)가 피니언(761, 762) 사이에 위치하도록 피니언(761, 762)이 설치되는 것이 커서의 경사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이동 커서의 중앙으로부터 한쪽 단측과 다른 쪽 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설치되고, 그 위치에 있어서의 베이스판 상에서의 제 1 이동 커서의 이동량이 같아지기 때문에, 제 1 이동 커서를 평행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밸런스 좋게 생기는 결과 커서의 경사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제 1 안내부의 일례로서 랙(921a, 921b)(제 1 랙)을 나타내고, 제 2 안내부의 일례로서 랙(922a, 922b)(제 2 랙)을 나타내고, 제 1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피니언(761)(제 1 피니언)을 나타내고, 제 2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피니언(762)(제 2 피니언)을 나타내고, 동기 부재의 일례로서 연결 축(76)을 나타냈지만,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는 랙에 한하지 않고,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는 피니언에 한하지 않고, 동기 부재는 연결 축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안내부로서 베이스판(73)의 상면에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도록 복수의 작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제 2 안내부로서 베이스판(73)의 상면에 제 1 안내부와 평행하게 열을 이뤄서 볼록부를 형성하고, 또한 제 1 안내부와 제 2 안내부의 볼록부 열의 배열 피치를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동 커서는 제 1 피안내부로서 제 1 안내부의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는 제 1 클로 부재를 구비하고, 제 2 피안내부로서 제 2 안내부의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는 제 2 클로 부재를 구비해도 좋다. 제 1 클로 부재 및 제 2 클로 부재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클로 부재 및 제 2 클로 부재는 이동 커서가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오목부로의 끼워짐과 볼록부의 넘어가기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 상을 진행한다.
동기 부재로서 제 1 클로 부재 및 제 2 클로 부재의 오목부로의 끼워짐과 볼록부의 넘어가기 동작을 동기시키는 연결봉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커서가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 1 클로 부재 및 제 2 클로 부재가 동기해서 볼록부를 넘어간다. 그 결과, 이동 커서는 제 1 클로 부재가 부설된 위치의 이동량과 제 2 클로 부재가 부설된 위치의 이동량이 같아지므로 이동 커서를 슬라이딩시킬 때에 이동 커서가 경사지게 될 우려가 저감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제 1 이동 커서를 한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제 1 안내부 및 제 2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이동한다. 이때, 동기 부재에 의해 제 1 피안내부의 이동과 제 2 피안내부의 이동이 동기되므로 제 1 피안내부와 제 2 피안내부가 평행하게 이동한다.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는 이간되어서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가 베이스판 상을 평행하게 이동하면 제 1 이동 커서는 평행 이동하는 결과, 커서의 경사가 생길 우려가 저감된다.
도 8, 도 9, 도 10은 록킹부(7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록킹부(720)는 스위칭 노브(72)(스위칭 부재)와 록킹 부재(78)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노브(72)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 부재이다. 그리고, 스위칭 노브(72)의 하부 대략 중앙 부근 양측에 벽면(711a, 712a)을 향해서 돌출되는 보스(721, 721)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721)는 벽면(711a, 712a)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오목부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스위칭 노브(72)는 보스(721)에 의해 축지지되어 보스(7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칭 노브(72)의 양측 벽면에는 보스(721, 721)로부터 용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보스 구멍(723, 7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노브(72)의 벽면(712a)과 대향하는 측의 벽면에는 벽면(712a)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부(722)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벽면(712a)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간되어서 구멍(74)과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노브(72)의 상면, 용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B)가 눌리면 스위칭 노브(72)가 회동하여 스위칭 노브(72)의 상면,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C)가 상승하고, 돌기부(722)가 상측 구멍(74)에 끼워져서 스위칭 노브(72)가 록킹된다. 이하, 돌기부(722)가 상측 구멍(74)에 끼워져서 스위칭 노브(72)가 록킹된 상태를 록킹 자세라고 칭한다.
한편, 스위칭 노브(72)의 상면,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C)가 눌리면 스위칭 노브(72)가 회동하여 단부(C)가 하강하고, 돌기부(722)가 하측 구멍(75)에 끼워져서 스위칭 노브(72)가 록킹된다. 이하, 돌기부(722)가 하측 구멍(75)에 끼워져서 스위칭 노브(72)가 록킹된 상태를 록킹 해제 자세라고 칭한다.
도 9는 록킹 부재(78)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록킹 부재(78)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긴 판 형상 부재(781)를 구비하고 있다. 판 형상 부재(781)의 상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785, 785)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785, 785)는 보스 구멍(723, 723)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록킹 부재(78)는 보스(785, 785)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판 형상 부재(781)의 하단부에는 피니언(761)의 둘레면의 기어 톱니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리는 톱니부(782)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부(782)의 상부에는 용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783, 783)가 형성되어 있다. 폭 커서(71a)의 벽면(711a, 712a) 사이에는 록킹 부재(78)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715, 716)가 걸쳐져 있다(도 7). 가이드 부재(783, 783)는 판 형상 부재(715)에 접촉함으로써 톱니부(782)를 피니언(761)의 둘레면에 위치 결정한다.
또한, 판 형상 부재(781)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 부근의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784, 78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84, 784)는 폭 커서(71a)의 벽면(711a, 712a)의 내벽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벽면(711a, 712a)의 내벽면에는 피니언(76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도시 생략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에 가이드 부재(784, 78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노브(72)가 록킹 해제 자세로 되면, 보스 구멍(723, 723)의 상승과 함께 보스(785, 785)가 끌어올려져서 록킹 부재(78)가 상승하고, 톱니부(782)와 피니언(761)이 이간된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761, 762)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해지는 결과 폭 커서(71a, 71b)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위칭 노브(72)가 록킹 자세로 되면, 보스 구멍(723, 723)의 하강과 함께 보스(785, 785)가 눌려서 록킹 부재(78)가 하강하고, 피니언(761)의 상방으로부터 톱니부(782)가 맞물린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의 화살표(D) 방향으로부터 록킹부(720)를 본 도면이고, 스위칭 노브(72)가 록킹 자세로 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톱니부(782)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피니언(761)에는 전체 둘레에 기어 톱니가 생성되어 있지만, 도 10에서는 일부의 톱니를 생략해서 기재하고 있다.
스위칭 노브(72)가 록킹 자세로 된 상태에서는 피니언(761)의 축 주위의 회전이 톱니부(782)에 의해 록킹된다. 그렇게 하면, 연결 축(76)에 의해 피니언(761)과 연결된 피니언(762)의 회전도 록킹된다. 그 결과, 피니언(761, 762)이 랙(921a, 922a)에 대하여 고정되어서 폭 커서(71a)의 슬라이딩 이동이 저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복사기(100)는 급지 카세트(6)로부터 장치 본체로의 용지(P)의 급지 방향이 상기 급지 카세트(6)의 장치 본체에 대한 삽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6)를 기기 본체에 장착할 때에 상기 급지 카세트(6)에 적층 수용된 용지(P)의 관성력에 의한 큰 충격[화살표(R) 방향의 충격]이 급지 트레이(62)의 삽입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후면측 폭 커서(71a)에 대하여 가해진다.
그 때문에, 폭 커서(71a)가 용지(P)의 관성력에 의해 움직여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폭 커서(71a)는 록킹부(7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저가 스위칭 노브(72)를 조작해서 록킹 자세로 함으로써 폭 커서(71a)에 용지(P)의 관성력이 작용했을 경우라도 폭 커서(71a)가 이동할 우려를 막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록킹부에 의해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이동이 록킹된다.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는 동기 부재에 의해 이동이 동기하므로,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이동이 록킹되면 제 1 피안내부 및 제 2 피안내부의 이동이 양쪽 모두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 커서가 베이스판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록킹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과 맞물리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의 축 주위의 회전이 정지된다. 록킹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과 이간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의 축 주위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위칭 부재에 의해 이동 커서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상태와 이동 커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급지 트레이(62)의 삽입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후면측 폭 커서(71a)에 스토퍼 부재(77)를 부착했을 경우, 유저로부터 보면 폭 커서(71a)를 넘어서 더욱 안쪽에 손을 넣어 스토퍼 부재(77)를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조작하기 어렵다. 그러나, 스위칭 노브(72)는 폭 커서(71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조작하는 스위칭 부재가 제 1 이동 커서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유저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록킹부(720)는 피니언(761)의 상방에 설치되므로 스위칭 노브(72)를 폭 커서(71a)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록킹부(720)는 폭 커서(71a)의 용지 반송 방향에 대한 경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피니언(761)과 랙(921a)을 이용해서 폭 커서(71a)의 이동을 억제하므로, 폭 커서(71a)의 이동 억제만을 위해서 별도 스토퍼 부재(77)나 베이스판(73)의 맞물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록킹 부재(78) 대신에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록킹 부재(78a)를 사용해도 좋다. 록킹 부재(78a)는, 록킹 부재(78)와는 톱니부(782) 대신에 톱니부(782a)를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록킹 부재(78a)는 폭 커서(71a)를 화살표(R) 방향[폭 커서(71a, 71b)가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피니언(761)의 회전 방향(Y)에 있어서의, 피니언(761)의 정상(T)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부(782a)를 구비하고, 또한 피니언(761)의 정상(T)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여기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록킹 부재(78)가 피니언(761)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적층된 용지(P)의 관성력에 의해 폭 커서(71a)를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져 피니언(761)을 회전 방향(Y)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생기면, 회전 방향(Y)의 정상(T)보다 하류측에서는 피니언(761)의 톱니가 톱니부(782)와 맞물려서 톱니부(782)를 하측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회전 방향(Y)의 정상(T)보다 상류측에서는 피니언(761)의 톱니가 톱니부(782)를 중력 방향에 거슬러서 상방으로 밀어올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톱니부(782)와 피니언(761)의 맞물림력이 약화되어 용지(P)의 관성력에 완전히 저항하지 못해 톱니부(782)와 피니언(761)이 미끄러져서 폭 커서(71a)가 움직이기 쉬워진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내는 록킹 부재(78a)를 사용했을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니언(761)을 회전 방향(Y)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생겼을 경우라도 회전 방향(Y)의 정상(T)보다 하류측에서 피니언(761)의 톱니와 톱니부(782a)가 맞물려서 톱니부(782a)를 하측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피니언(761)의 톱니와 톱니부(782a)의 맞물림력이 증대되는 한편, 회전 방향(Y)의 정상(T)보다 상류측에는 톱니부(782a)의 톱니가 없기 때문에 톱니부(782a)와 피니언(761)의 맞물림력이 약화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폭 커서(71a)가 용지(P)의 관성력에 의해 움직여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급지 장치에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급지 장치가 움직여지면, 시트가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한 쌍의 커서 사이를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 피니언의 정상보다 이동 커서의 피니언이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의 하류측에서는 피니언이 록킹 부재를 끌어내리는 방향, 즉 피니언과 록킹 부재의 맞물림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한다. 한편, 피니언의 정상보다 이동 커서의 피니언이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의 상류측에 톱니가 있으면 피니언이 중력에 반하여 록킹 부재를 끌어올리는 방향, 즉 피니언과 록킹 부재의 맞물림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한다. 그래서, 록킹 부재를 피니언의 정상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니언과 록킹 부재의 맞물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폭 커서(71a)만이 록킹부(720)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폭 커서(71b)가 록킹부(720)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폭 커서(71a, 71b)가 양쪽 모두 이동 가능한 이동 커서인 예를 나타냈지만, 폭 커서(71a, 71b) 중 어느 한쪽이 베이스판(73)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용지 폭 규제 유닛(63)이 급지 카세트(6) 내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지 폭 규제 유닛(63)은 예를 들면 자동 원고 반송 장치(7)에 설치되어서 원고의 폭을 규제하기 위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용지 폭 규제 유닛(63)은 도시 생략된 수동 급지 트레이에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폭 규제 장치의 일례인 용지 폭 규제 유닛(63)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사기 이외의 프린터나 팩시밀리, 그것들의 복합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장치를 급지 카세트의 삽탈 방향이 기기 본체로의 급지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구성의 복사기에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급지 카세트의 삽탈 방향과 기기 본체로의 급지 방향이 동일해지는,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급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구성의 복사기의 급지 장치에 상술한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Claims (13)

  1. 서로 평행한 한쪽 끝부와 다른 쪽 끝부를 구비하는 시트가 적재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시트의 한쪽 끝부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시트의 다른 쪽 끝부를 규제하는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다른 쪽 끝부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1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제 1 이동 커서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상기 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랙과,
    상기 제 1 랙과 이간하고,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랙과,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고, 상기 제 1 랙과 맞물리는 제 1 피니언과,
    상기 제 1 이동 커서에 부설되고, 상기 제 2 랙과 맞물리는 제 2 피니언과,
    상기 제 1 피니언 및 상기 제 2 피니언을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연결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이동 커서는, 상기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 중 적어도 한쪽의 피니언의 축 주위의 회전을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의 둘레면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리는 록킹 부재와,
    상기 록킹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피니언과 맞물리는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피니언과 이간된 위치에 스위칭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은,
    상기 제 1 이동 커서의 상기 다른 쪽 끝부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가, 상기 제 1 피니언과 상기 제 2 피니언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커서는,
    상기 제 1 랙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랙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랙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 1 랙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결합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한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제 2 이동 커서이고,
    상기 제 1 커서 및 제 2 커서를 상기 한쪽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해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커서는,
    상기 제 1 피니언 및 제 2 피니언 중 적어도 한쪽 피니언이 상기 제 1 랙 및 제 2 랙 중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제 1 이동 커서를 상기 규제 부재와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의 정상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톱니와 결합하는 톱니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한쪽 피니언의 정상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톱니와 결합하는 톱니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위치의 스위칭을 행하는 부재이고, 상기 제 1 이동 커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폭 규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기재된 시트 폭 규제 장치와,
    상기 시트 폭 규제 장치로부터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12687A 2011-02-14 2012-02-08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321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8430A JP5398757B2 (ja) 2011-02-14 2011-02-14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JP-P-2011-028430 2011-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078A KR20120093078A (ko) 2012-08-22
KR101321381B1 true KR101321381B1 (ko) 2013-10-23

Family

ID=4565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687A KR101321381B1 (ko) 2011-02-14 2012-02-08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6243B2 (ko)
EP (1) EP2487125B1 (ko)
JP (1) JP5398757B2 (ko)
KR (1) KR101321381B1 (ko)
CN (1) CN1026331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4620B2 (ja) * 2010-09-06 2013-02-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収納装置、防塵カバー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905475B1 (ko) * 2011-12-23 2018-10-10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677357B2 (ja) * 2012-04-09 2015-0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載置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6185244B2 (ja) * 2013-01-08 2017-08-23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ガイド機構
JP6206034B2 (ja) * 2013-09-24 2017-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載置機構、記録装置
JP6953853B2 (ja) * 2017-07-18 2021-10-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52295B2 (en) * 2020-02-07 2022-02-1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528A (en) * 1994-01-14 1997-03-18 Mita Industrial Company, Ltd. Image-forming machine equipped with a cassette for feeding sheet materials
KR20030080858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용 용지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601A (en) * 1987-12-28 1991-02-26 Canon Kabushiki Kaisha Anti-skew sheet fee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storage device for use therein
KR100234297B1 (ko) * 1997-12-12 1999-12-15 윤종용 인쇄기용 용지 수납 케이스의 용지크기 표시장치
JP2002255359A (ja) * 2001-02-23 2002-09-11 Canon Inc シート位置規制積載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3697217B2 (ja) * 2002-03-08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075356A (ja) * 2002-08-21 2004-03-11 Canon Inc シート材ガイド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材給送装置並びに記録装置
JP2004315159A (ja) * 2003-04-16 2004-11-11 Sharp Corp 給紙装置
JP4105593B2 (ja) * 2003-05-30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給紙トレイ
JP4633609B2 (ja) 2005-11-21 2011-02-1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04718B2 (ja) 2007-04-12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78478B2 (ja) * 2008-11-28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9159B2 (ja) 2009-07-23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528A (en) * 1994-01-14 1997-03-18 Mita Industrial Company, Ltd. Image-forming machine equipped with a cassette for feeding sheet materials
KR20030080858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용 용지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33139B (zh) 2015-05-13
EP2487125A1 (en) 2012-08-15
CN102633139A (zh) 2012-08-15
US20120205859A1 (en) 2012-08-16
US8496243B2 (en) 2013-07-30
JP2012166887A (ja) 2012-09-06
EP2487125B1 (en) 2013-12-25
JP5398757B2 (ja) 2014-01-29
KR20120093078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381B1 (ko)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9604806B2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is
JP5820829B2 (ja) スライドレ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532796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80714A (ko) 화상형성장치
JP2017193437A (ja) 抽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7011471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cassette
JP2014148400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11961B2 (en) Cassette,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3798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75561B2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5386524B2 (ja) シート収納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87956B2 (ja) 給紙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13117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06544A (ja) シート積載装置
JP200610393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03812A (ja) 給紙トレイと画像形成装置
JP6953853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209313A (ja) 画像形成装置
JP6146393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46086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045220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3082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2664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28270A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