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475B1 -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475B1
KR101905475B1 KR1020110141754A KR20110141754A KR101905475B1 KR 101905475 B1 KR101905475 B1 KR 101905475B1 KR 1020110141754 A KR1020110141754 A KR 1020110141754A KR 20110141754 A KR20110141754 A KR 20110141754A KR 101905475 B1 KR101905475 B1 KR 10190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sette
paper
butt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746A (ko
Inventor
이호일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75B1/ko
Priority to US13/551,850 priority patent/US8622383B2/en
Publication of KR2013007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용지 카세트에 있어서, 용지 카세트는, 용지들을 수납하는 카세트 본체 및 카세트 본체 내에 장착된 용지정렬장치를 포함하며, 용지정렬장치는, 수납된 용지들의 일측 모서리들과 접촉 가능한 용지정렬면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정렬장치 본체 및 정렬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카세트 본체에 로킹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며, 로킹유닛은 로킹될 때 그리고 언로킹될 때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PAPER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용지정렬장치를 구비한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스캐너 등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신호를 기록매체인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기는 장치를 지칭하며, 통상 팩시밀리,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및 복합기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형성부와, 용지를 화상형성부로 공급하기 위한 용지 카세트를 포함한다. 용지 카세트에는 일반적으로, 용지 카세트에 수납되는 용지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용지정렬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용지정렬장치는 통상적으로, 용지 진입 방향(용지 카세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용지 내측단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용지들을 정렬하는 정렬장치 본체와, 용지정렬장치를 카세트 본체에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
로킹유닛이 카세트 본체에 로킹되면 용지정렬장치가 카세트 본체에 고정되고, 로킹유닛의 로킹이 해제되면 용지정렬장치는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로써 로킹유닛의 로킹 및 로킹해제는 로킹유닛에 구비된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기면 용지정렬장치가 로킹되고 당겨진 레버를 놓아주면 용지정렬장치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지정렬장치가 적용될 경우, 용지 카세트에는 용지정렬장치의 로킹유닛에 구비된 레버의 이동 및 조작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용지 카세트의 소형화 설계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설계에 유리한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카세트로서, 용지들을 수납하는 카세트 본체; 및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장착된 용지정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정렬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정렬장치 본체; 및 상기 정렬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정렬장치 본체의 슬라이딩을 차단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에 로킹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하방 가압에 의해 로킹 및 로킹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로킹유닛은, 로킹된 상태에서 하방 가압되면 로킹해제되고,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하방 가압되면 로킹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은,
로킹 및 로킹해제시 사용자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버튼몸체와 삽입부를 가진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이며, 상기 중공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홈에 삽입 가능한 로킹유지리브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로킹유지부재; 상기 로킹유지부재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카세트 본체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로킹부; 및 상기 로킹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유지부재는, 상기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이 로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된 로킹유지부재의 로킹유지리브가 걸리는 치형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는 적어도 그것의 버튼몸체가 상기 정렬장치 본체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유지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카세트 본체에 로킹 가능한 로킹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로킹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킹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장치 본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후벽부와 나란히 마주하도록 배치된 연직부; 및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저벽부와 나란히 마주하도록 배치된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연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저벽부에는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부가 로킹되는 로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용지 카세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지 카세트에 구비된 용지정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지 카세트에 구비된 용지정렬장치의 로킹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될 때 로킹유닛에 구비된 로킹유지부재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도 3의 로킹유닛의 로킹해제시 동작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용지정렬장치와 상부 프레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지 카세트에 구비된 용지정렬장치의 단면도이다.
용지 카세트(10)는, 용지들을 수납하는 카세트 본체(20)와, 카세트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용지정렬장치(100)를 포함한다.
카세트 본체(20)는 용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지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용지정렬장치(100)는 카세트 본체(20) 내에서 카세트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즉,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용지정렬장치(10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용지정렬장치(100)와 카세트 본체(20)의 후벽부(21) 사이의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
용지정렬장치(100)는, 연직부(120)와 수평부(130)를 구비하는 정렬장치 본체(110)와, 정렬장치 본체(110)의 연직부(120)에 장착된 로킹유닛(200)을 포함한다.
정렬장치 본체(110)의 연직부(120)는 카세트 본체(20)의 후벽부(21)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용지 카세트(10)에 수납되는 용지들의 내측 모서리들과 접촉하여 그 용지들을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렬장치 본체(110)의 수평부(120)는 카세트 본체(20)의 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카세트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직부(120)가 수납된 용지들에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렬장치 본체(110)의 수평부(120)에는 랙 기어(131)가 장착된다.
로킹유닛(200)은 정렬장치 본체(110)의 슬라이딩을 차단하기 위해 정렬장치 본체(110)의 연직부(12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닛(200)은 정렬장치 본체(110)의 연직부(120)의 중앙에 배치되며 그 일부분(정확히는, 후술하는 버튼부재)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연직부(120) 내에 은닉된다.
이러한 로킹유닛(200)에 대해 도 3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용지 카세트에 구비된 용지정렬장치의 로킹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로킹유닛(200)은 사용자 등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버튼부재(210)와, 버튼부재(21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0)와, 일방이 버튼부재(210)와 접촉 가능하며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한 로킹유지부재(250)와, 카세트 본체(20)의 로킹홈(22a)에 로킹되는 로킹부재(270)를 포함한다.
버튼부재(210)는 버튼몸체(210A), 및 버튼몸체(210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삽입부(210B)를 포함한다.
버튼몸체(210A)는 로킹유닛(200)의 로킹 또는 로킹해제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몸체(210A)는 정렬장치 본체(110) 밖으로 노출된다. 버튼몸체(210A)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들이 대안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버튼부재(210)의 삽입부(210B)는 대략적으로 내부 중공을 가진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버튼부재(210)의 외주 상에는 버튼부재(210)가 상하 방향 이동시 삽입부(210B)가 그것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리브(21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리브(212)는 4개 구비되어 있지만 다른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예로써, 1개, 3개, 5개, 6개 등). 회전방지리브(212)는 리브 형상을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부재(230)의 안내홈(232)에 삽입된다..
버튼부재(210)의 삽입부(210B)의 하단에는 톱니 형상의 버튼부재 치형(214)이 형성되며, 로킹유지부재(250)의 상단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버튼부재(210)의 삽입부(210B)의 하단이 로킹유지부재(250)의 상단에 접촉 가능하여 버튼부재(210)의 하방 가압시 로킹유지부재(25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230)는 대략 내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정렬장치 본체(110)의 연직부(120, 도 1 참조)에 구비된 가이드부재 안착부(12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가이드부재(230)의 내벽에는 복수 개의 안내홈(2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홈(232)은 전술한 회전방지리브(212)의 개수에 대응하여 4개 구비된다. 안내홈(232)은 가이드부재(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재(230)의 내벽에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32)에는 버튼부재(210)의 회전방지리브(212)와, 후술하는 로킹유지부재(250)의 로킹유지리브(252)가 삽입된다.
가이드부재(230)의 하단에는 톱니 형상의 가이드부재 치형(234)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로킹유지부재(250)는 로킹부재(270)의 로킹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대략 내부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로킹유지부재(250)의 외주면 상에는 복수 개의 로킹유지리브(252)가 형성되며, 로킹유지리브(252)는 전술한 회전방지리브(212)의 개수에 대응되게 4개 구비된다.
이들 로킹유지리브(252)는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로킹부재(270)는 로킹유지부재(250)와 접촉되어 그것에 의해 하방 가압되는 접촉부(271)와, 후술하는 탄성부재(28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72)와, 정렬장치 본체(110)의 수평부(130)에 형성된 관통홀(114)에 관통되며 정렬장치 본체(110)의 수평부(130)에 형성된 관통홀(114)에 관통되며 카세트 본체(20)의 저벽부(22)에 형성된 로킹홈(22a)에 걸림 가능하도록 하부에 형성된 로킹부(27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80)는 로킹부재(270)에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로써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로킹유닛(200)의 로킹 및 로킹 해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8은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될 때 로킹유닛에 구비된 로킹유지부재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며, 도 9는 도 3의 로킹유닛의 로킹해제시 동작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먼저, 로킹유닛(200)의 로킹 동작을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닛(200)의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로킹부재(270)의 로킹부(274)가 카세트 본체(20)의 저벽부(22)에 형성된 로킹홈(22a)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용지정렬장치(100)는 카세트 본체(2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용지정렬장치(100)를 카세트 본체(20)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살표 방향으로 버튼부재(210)의 버튼몸체(210A)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버튼부재(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로킹유지부재(250)를 하방으로 밀어내며, 그 로킹유지부재(250)는 로킹부재(270)를 역시 하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로킹부재(270)의 로킹부(274)는 카세트 본체(20)의 저벽부(22)에 형성된 로킹홈(22a)에 로킹되며 따라서 용지정렬장치(100)는 카세트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재(2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버튼부재(2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버튼부재(210)의 회전방지리브(212)는 가이드부재(232)의 안내홈(232)을 따라 이동하므로 버튼부재(210)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버튼부재(21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킹유지부재(250)도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로킹유지부재(250)의 로킹유지리브들(252)은 가이드부재(230)의 안내홈(23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버튼부재(2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힘과 탄성부재(28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힘의 작용으로 인해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가이드부재(232)의 가이드부재 치형(234)에 걸림된다.
도 6 내지 도 8로부터 로킹유지리브들(252)이 가이드부재(230)의 안내홈들(232)로부터 빠져나와 가이드부재 치형(234)에 걸림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재(210)를 누르면 로킹유지부재(250)의 로킹유지리브들(252)은 가이드부재(230)를 빠져나오며 이때 로킹유지부재(250)는 일정 각도 회전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지부재(250)의 로킹유지리브들(252)은 가이드부재 치형(234)에 걸리게 되고, 이에 의해 로킹부재(270)의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킹유닛(200)의 로킹 해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닛(200)이 로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버튼부재(210)를 하방으로 누르면, 로킹유닛(200) 전체가 로킹된 상태에서보다 좀 더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가이드부재 치형(234)에 대한 로킹유지리브(252)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때 로킹유지부재(250)가 다시 일정 각도 회전되어 로킹유지리브(252)가 가이드부재(230)의 안내홈(232)에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재(21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80)의 상방 탄성력에 의해 로킹부재(270)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로킹부(274)가 카세트 본체(20)의 저벽부(22)에 형성된 로킹홈(22a)에서 빠져 나옴으로써 로킹유닛(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때, 로킹부재(270)의 상부와 접촉하는 로킹유지부재(250)는 로킹유지리브(252)가 가이드부재(230)의 안내홈(232)에 끼워진 채로 상부로 이동되고, 로킹유지부재(250)의 상부와 접촉하는 버튼부재(210) 역시 이에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용지정렬장치(100)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지정렬장치(100)의 슬라이딩은 로킹유닛(200)의 로킹 해제시에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용지정렬장치(100)의 슬라이딩을 통해 용지 등을 정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술한 로킹유닛(200)의 로킹을 해제시키고, 이후,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용지정렬장치(10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원하는 위치로 용지정렬장치(100)를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용지정렬장치(100)의 위치가 정해지면, 카세트 본체(20)에 용지정렬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로킹유닛(200)의 버튼부재(210)을 눌러 용지정렬장치(100)를 카세트 본체(2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카세트(10)에서는 정렬장치 본체(110)의 슬라이딩의 차단 및 허용이 로킹유닛(200)을 하방 가압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로킹 조작에 할애되는 카세트 본체(20)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어 용지 카세트(10)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용지정렬장치와 상부 프레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유닛(200)은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상부가 용지정렬장치의 연직부(120)의 상부 높이보다 위로 돌출된다. 돌출 높이는 용지 카세트를 닫을 때,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카세트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30)에 걸림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카세트는 만약, 로킹유닛(200)의 로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용지 카세트를 닫는 경우, 로킹유닛(200)의 상부가 상부 프레임(30)에 걸림되므로 사용자가 로킹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로킹 유무 확인은 용지 카세트를 닫는 작업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10: 용지 카세트 20: 카세트 본체
21: 후벽부 22: 저벽부
22a: 로킹홈 30: 상부 프레임
100: 용지정렬장치 110: 정렬장치 본체
114: 관통홀 120: 연직부
121: 가이드부재 안착부 130: 수평부
131: 랙 기어 200: 로킹유닛
210: 버튼부재 210A: 버튼몸체
210B: 삽입부 212: 회전방지리브
214: 버튼부재 치형 230: 가이드부재
232: 안내홈 234: 가이드부재 치형
250: 로킹유지부재 252: 로킹유지리브
270: 로킹부재 271: 접촉부
272: 스프링 지지부 274: 로킹부
280: 탄성부재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세트는,
    용지들을 수납하는 카세트 본체; 및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장착된 용지정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정렬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정렬장치 본체; 및
    상기 정렬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정렬장치 본체의 슬라이딩을 차단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에 로킹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로킹 및 로킹해제시 사용자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버튼몸체와 삽입부를 가진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이며, 상기 중공의 내벽에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홈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로킹유지리브가 형성된 로킹유지부재;
    상기 로킹유지부재에 의해 하방 가압되며, 카세트 본체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로킹부재; 및
    상기 로킹부재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에는 상기 로킹유지리브에 작용하여 상기 로킹유지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치형들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로킹유지리브가 걸리는 치형들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유닛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재가 하방 가압되면 상기 로킹유지부재가 회전되고 상기 로킹유지리브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안내홈으로 삽입됨으로써 로킹해제되고,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재가 하방 가압되면 상기 로킹유지리브가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상기 로킹유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에 걸려 로킹되는 용지 카세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지부재는,
    상기 로킹유닛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이 로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된 로킹유지부재의 로킹유지리브가 걸리는 치형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적어도 그것의 버튼몸체가 상기 정렬장치 본체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삽입부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유지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카세트 본체에 로킹 가능한 로킹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로킹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킹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 본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후벽부와 나란히 마주하도록 배치된 연직부; 및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저벽부와 나란히 마주하도록 배치된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연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저벽부에는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부가 로킹되는 로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카세트.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지 카세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10141754A 2011-12-23 2011-12-23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05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54A KR101905475B1 (ko) 2011-12-23 2011-12-23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551,850 US8622383B2 (en) 2011-12-23 2012-07-18 Paper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54A KR101905475B1 (ko) 2011-12-23 2011-12-23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46A KR20130073746A (ko) 2013-07-03
KR101905475B1 true KR101905475B1 (ko) 2018-10-10

Family

ID=4865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54A KR101905475B1 (ko) 2011-12-23 2011-12-23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22383B2 (ko)
KR (1) KR101905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9272B2 (ja) * 2011-06-03 2015-08-05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580258B1 (en) * 2016-03-04 2017-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Removable media tray having a media restraint with sliding cams and pivoting latching cams operable without the use of pinching
US9604802B1 (en) * 2016-03-04 2017-03-28 Lexmark International, Inc. Removable media tray having a media restraint with translating and pivoting latching cams operable without the use of pinching
US9663312B1 (en) * 2016-03-04 2017-05-30 Lexmark International, Inc. Removable media tray having a media restraint with a latching plunger operable without the use of pinching
JP6772628B2 (ja) * 2016-07-28 2020-10-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規制部材
JP6789714B2 (ja) * 2016-08-02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98407B2 (ja) * 2018-04-27 202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822A1 (en) 2006-02-15 2007-08-16 Mitsutaka Nakamura Sheet Feeding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99986A1 (en) 2006-10-31 2008-05-01 Underwood John A Media registr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48B2 (ja) * 1991-09-13 2000-12-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
JPH0632468A (ja) * 1992-07-14 1994-02-08 Nec Eng Ltd 給紙カセット
US5333852A (en) * 1993-07-19 1994-08-02 Xerox Corporation Auto paper size sensing mechanism for an adjustable cassette
EP0663624A3 (en) * 1994-01-14 1996-03-20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adjustment mechanism and sheet cassette.
JP5202109B2 (ja) * 2008-05-29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353306B (en) * 2009-09-01 2011-12-01 Kinpo Elect Inc Paper tray of printer
JP5398757B2 (ja) * 2011-02-14 2014-0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822A1 (en) 2006-02-15 2007-08-16 Mitsutaka Nakamura Sheet Feeding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99986A1 (en) 2006-10-31 2008-05-01 Underwood John A Media registr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22383B2 (en) 2014-01-07
KR20130073746A (ko) 2013-07-03
US20130161898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75B1 (ko)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2105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884735B2 (en) Sheet tray and sheet conveying apparatus
GB2275465A (en) Cassettes for piles of sheets
JP5094611B2 (ja) 給紙カセット
US20130164064A1 (en) Medium loader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812058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21381B1 (ko) 시트 폭 규제 장치, 및 시트 폭 규제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2006206319A (ja) 給紙装置およびその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75561B2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US10210692B2 (en) Coin storage cassette
US9511961B2 (en) Cassette,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06504B2 (ja) 画像形成装置
US9242811B2 (en) Medium mounting mechanism and recording apparatus
CN112805230B (zh) 薄片体收容装置、具备薄片体收容装置的图像处理装置和薄片体定位部件
JP7066482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2144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987524A (zh) 图像形成装置
US9889998B2 (en) Recording apparatus with movable feed roller
JP2018016426A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89885A (ja) 給紙カセット
JP2008239263A (ja) 給紙カセット
JP2016049746A (ja) 印刷装置
JP2009046252A (ja) 手差しトレイ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0045220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