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039B1 -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039B1
KR101429039B1 KR1020070025278A KR20070025278A KR101429039B1 KR 101429039 B1 KR101429039 B1 KR 101429039B1 KR 1020070025278 A KR1020070025278 A KR 1020070025278A KR 20070025278 A KR20070025278 A KR 20070025278A KR 101429039 B1 KR101429039 B1 KR 10142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pa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100A (ko
Inventor
윤운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0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누름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가지는 버튼 조립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후킹하는 걸림턱;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급지카세트가 취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복원력을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복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급지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됨은 물론,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에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버튼, 록킹장치, 급지카세트, 록킹해제

Description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feeding cassette lo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 록킹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록킹장치의 걸림턱과 탄성복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록킹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버튼동작에 의해 급지카세트가 취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본체 2; 가이드 레일
100; 버튼 조립체 110; 버튼
111; 제 1 탄성부재 121, 122; 제 1 및 제 2 레버
130; 레버 샤프트 200; 걸림턱
210; 경사면 300; 탄성복원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수 매의 인쇄용지를 수납하여,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가 마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지카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급지카세트는 카세트 몸체(10), 용지 지지대(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에는 급지카세트의 취출을 돕기 위한 손잡이(30)가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손잡이(30)를 이용하여 급지카세트를 취출할 경우, 사용자는 일정 힘 이상을 상기 급지카세트에 작용해야만 이를 취출할 수 있다. 만일 급지카세트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여유가 크지 않을 경우, 급지카세트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탈착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0)를 파지한 상태로 급지카세트에 과도한 힘을 주어야한다. 이처럼 급지카세트에 과도한 힘을 가할 경우 급지카세트의 탈착소음이 커지거나, 취출과정에서 과도하게 작용된 힘이 화상형성장치의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급지카세트에 손잡이(30) 설치를 위한 별도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경우,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적은 힘으로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누름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가지는 버튼 조립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후킹하는 걸림턱;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급지카세트가 취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복원력을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복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버튼; 상기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가 동일 회전량을 가지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레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는, 상기 걸림턱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급지카세트 양 측벽면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복원유닛은, 상기 급지카세트의 양 측벽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홈; 상기 흘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의 후킹이 해제될 경우 상기 급지카세트를 취출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하며, 전면으로 탈착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를 탈착하는 탄성복원유닛을 포함한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급지카세트의 우측 상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는 급지카세트(C)가 버튼동작에 의해 탈착될 수 있도록 록킹장치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 록킹장치는 버튼 조립체(100), 걸림턱(200) 및 탄성복원유닛(300)을 포함한다.
버튼 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설치되며, 버튼(110), 제 1 및 제 2 레버(121)(122) 및 레버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110)은 상기 급지카세트(C)의 우측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버튼(110)을 화상형성장치의 오른 쪽에 치우치게 설치한 이유는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많은 점을 감안한 것이며, 급지카세트(C)의 상측에 배치한 이유는, 급지카세트(C)의 우측에 설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버튼(110)은 제 1 탄성부재(11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누름동작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는 급지카세트(C) 양 측벽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걸림턱(2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적은 힘으로도 상기 급지카세트(C)의 이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23)에는 토션스프링(124)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가 상기 버튼(110)과 항상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토션스프 링(124)에 의해, 상기 버튼(110)의 누름동작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레버 샤프트(130)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가 동일 회전량을 가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 1 레버(121)가 버튼(11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 2 레버(122)는 이에 연동하여 동일 회전량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걸림턱(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C)에 마련되며, 급지카세트(C)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와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지카세트(C)가 장착위치까지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는 상기 걸림턱(200)에 후킹되어 급지카세트(C)를 장착위치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급지카세트(C)의 양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가 손쉽에 진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210)을 가진다.
탄성복원유닛(300)은 상기 급지카세트(C)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급지카세트(C)가 취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복원력을 작용한다. 상기 탄성복원유닛(300)은, 상기 급지카세트(C)의 장착시 상기 급지카세트(C)를 탈착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므로,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급지카세트(C)의 양 측벽면에 2개소에 설치되 어 있다.
상기 탄성복원유닛(300)은 슬라이딩 홈(310), 푸쉬부재(320) 및 제 2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홈(310)은, 상기 급지카세트(C)의 양 측벽면에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흘라이딩 홈(310)을 따라 상기 푸쉬부재(320)가 제 2 탄성부재(330)의 개재 하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쉬부재(320)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을 밀어내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2)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급지카세트(C)가 정확한 위치에서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급지카세트(C)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과 맞물리도록 가이드 리브(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탄성부재(330)는 상기 푸쉬부재(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푸쉬부재(320)가 상기 급지카세트(C)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부재(320)는 상기 급지카세트(C)가 장착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2)에 의해 도 4a와 같이 이동되고, 상기 급지카세트(C)가 탈착되는 위치에서는 도 4b와 같은 위치로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급지카세트(C)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장착된다. 급지카세트(C)를 장착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는 상기 급지카세 트(C)에 마련된 가이드 리브(3) 상측과 간섭되므로, 급지카세트(C)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로부터 완전히 탈착한 후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버튼(110)을 누른 상태로 상기 급지카세트(C)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리브(3)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일측 단부는 상기 급지카세트(C) 양측벽에 설치된 탄성복원유닛(300)의 푸쉬부재(320)를 가압하여 도 4a와 같이 이동시켜, 제 2 탄성부재(330)가 압축되도록 한다.
장착된 급지카세트(C)는 탄성복원유닛(300)에 의해 탈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와 걸림턱(200)의 후킹동작에 의해 장착위치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급지카세트(C)의 위치고정은 상기 버튼 조립체(100)의 누름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면, 버튼(110)은 상기 걸림턱(200)에 후킹되어 있던 제 1 레버(121)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레버(122)는 상기 레버 샤프트(130)에 의해 상기 제 1 레버(12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레버(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레버(122)는 상기 제 1 레버(121)와 동일한 회전량으로 동시에 회전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는 상기 걸림턱(200)으로부터 동시에 이탈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121)(122)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200)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급지카세트(C)의 장착을 지지하는 힘이 사라지므로, 상기 탄성복원유닛(3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급지카세트(C)는 탈착 방향으로 취출된다.
상기 탄성복원유닛(300)은 급지카세트(C)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돕기위해 설치된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압축된 푸쉬부재(320)가 급지카세트(C)의 양 측벽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홈(310)에 제 2 탄성부재(330)에 의해 탄력지지된 것이므로, 탄성복원력이 급지카세트(C)의 양쪽에서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조립체(100)가 제 1 레버(121)만을 가압하더라도, 탈착시 급지카세트(C)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급지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됨은 물론,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에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누름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가지는 버튼 조립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후킹하는 걸림턱;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급지카세트가 취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복원력을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복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버튼;
    상기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가 동일 회전량을 가지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레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는,
    상기 걸림턱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급지카세트 양 측벽면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유닛은,
    상기 급지카세트의 양 측벽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홈;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의 후킹이 해제될 경우 상기 급지카세트를 취출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6.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카세트; 및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지카세트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25278A 2007-03-15 2007-03-15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42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78A KR101429039B1 (ko) 2007-03-15 2007-03-15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78A KR101429039B1 (ko) 2007-03-15 2007-03-15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00A KR20080084100A (ko) 2008-09-19
KR101429039B1 true KR101429039B1 (ko) 2014-08-11

Family

ID=4002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278A KR101429039B1 (ko) 2007-03-15 2007-03-15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417A (ko) * 2015-07-14 2017-01-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자동장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38U (ja) * 1992-08-11 1994-03-08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扉の開閉構造
JP2794726B2 (ja) 1988-10-24 1998-09-10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KR20030093018A (ko) * 2002-06-01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카세트
KR20040008989A (ko) * 2002-07-20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 카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4726B2 (ja) 1988-10-24 1998-09-10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JPH0618338U (ja) * 1992-08-11 1994-03-08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扉の開閉構造
KR20030093018A (ko) * 2002-06-01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카세트
KR20040008989A (ko) * 2002-07-20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00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75465A (en) Cassettes for piles of sheets
US7097172B2 (en) Paper feeding cassette to load paper of various sizes
US6547347B2 (en) Device unit housing apparatus
JP4853840B2 (ja) ステープラ
JP2006206319A (ja) 給紙装置およびその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429039B1 (ko)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4213999A (ja) スライダ付きカードコネクタ
US6978102B2 (en)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389758B2 (ja) 給紙カセット
US7571843B2 (en) Staple storage cassette and cassette type stapler
US20050104486A1 (en) Detachable device case and top cover mounting structure
WO2013145119A1 (ja) 浴槽用手摺り
WO2020100526A1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シート収容装置を備える画像処理装置、シート位置決め部材
JP3717994B2 (ja) 給紙カセット
KR10144110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JP6848587B2 (ja) 挿抜装置、交換ユニット、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729295B2 (ja) ドライバ装置用のマガジン機構
US9436154B2 (en) Sheet containing apparatus having a containing portion with lock mechanism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taining portion with lock mechanism
JP2002037469A (ja) 記録紙給紙装置
JP4720325B2 (ja) 取手構造
KR0183604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JP2008222420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KR10061916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취출장치
JP2008149466A (ja) 印刷装置のオプション装置固定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10094561A (ko)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