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03B1 -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03B1
KR101441103B1 KR1020120104066A KR20120104066A KR101441103B1 KR 101441103 B1 KR101441103 B1 KR 101441103B1 KR 1020120104066 A KR1020120104066 A KR 1020120104066A KR 20120104066 A KR20120104066 A KR 20120104066A KR 101441103 B1 KR101441103 B1 KR 10144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ller
sliding
lever
fix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653A (ko
Inventor
박재한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2010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 롤러와 연동되며,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슬라이딩 브라켓;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레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착 롤러와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 제약을 해소함과 동시에 이 공간에 다른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Engaging and disengaging device for fixing roll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 롤러와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 제약을 해소함과 동시에 이 공간에 다른 착탈식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공지된 전사 롤러에 의해 용지 표면에 전사된 현상액을 용지에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정착 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정착 유닛은 서로 밀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정착 롤러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정착 롤러는 열을 가하는 가열 롤러와 가열 롤러에 밀착되어 압력을 가하는 가압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착 유닛은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간의 압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봉투 등의 두꺼운 용지를 통지하기 위해서 롤러 간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구를 장착하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은 정착 롤러가 가압된 상태, 도 2는 정착 롤러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롤러(10) 및 가압 롤러(20)로 구성된 한 쌍의 정착 롤러의 배면에는 용지 잼 제거를 위해 개방 가능한 배면 커버(30)가 위치되고,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정착 롤러를 지지하는 정착 롤러 브라켓(4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가압 롤러(20)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정착 롤러 브라켓(4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50)와, 슬라이딩 부재(5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가압 롤러(20)가 가열 롤러(1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미도시) 및 가압 해제를 위해 일단에 캠 형상부(61)를 구비하고 회전시 캠 형상부(61)가 슬라이딩 부재(50)와 접촉하여 슬라이딩 부재(5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레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레버(60)의 회동축(7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의 타측면과 연동되어 정착 롤러 브라켓(40)의 타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배면 커버(30)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레버(60)를 회동 조작하여 정착 롤러(10, 20)의 가압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60)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인 경우, 슬라이딩 부재(50)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가압 롤러(20)는 슬라이딩 부재(50)와 연동되어 가열 롤러(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정착 롤러(10, 20)의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레버(6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레버(60)의 캠 형상부(61)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5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압 롤러(20)는 슬라이딩 부재(50)와 연동되어 가열 롤러(10)와의 압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봉투 등의 두꺼운 용지의 통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레버(60)가 회동식으로 구성되어 레버(60)가 대략 90°가량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배면 커버(30)와 정착 롤러 브라켓(50) 사이에 큰 간격이 요구되어, 콤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레버(60)가 정착 롤러 브라켓(40)과 배면 커버(30)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레버(60)의 회동축(70) 역시 정착 롤러 브라켓(40)과 배면 커버(30)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정착 롤러 브라켓(40)과 배면 커버(30) 사이에 클리닝 롤러와 같은 다른 구조물을 장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정착 롤러 브라켓과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 제약을 해소함과 동시에 이 공간에 다른 착탈식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 롤러와 연동되며,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슬라이딩 브라켓;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레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미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링크는 타단에 캠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형상부는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동축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와 대면하는 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된 제1장공 및 제2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상기 제1장공에 삽입된 제1핀과 결합하여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를 연결하는 제1핀이 상기 제2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 사이와 대면하는 측면에 상기 가압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기구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닝 기구는, 상기 가압 롤러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압 롤러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에 착탈 가능한 클리닝 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정착 롤러 브라켓을 향하여 연장된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삽입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이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레버가 삽입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이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레버는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1레버 및 상기 제1레버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제2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돌출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본 발명에 따르면, 정착 롤러 브라켓과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 제약을 해소하여 콤팩트한 디자인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착 롤러 브라켓과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에 다른 착탈식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정착 롤러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정착 롤러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가압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정착 롤러 브라켓의 후방에 클리닝 기구가 장착되려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정착 롤러 브라켓의 후방에 클리닝 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가압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슬라이딩 브라켓(100), 슬라이딩 브라켓(100)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레버(200) 및 슬라이딩 브라켓(100)과 슬라이딩 레버(200)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3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브라켓(10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측면에 상하 방향, 정확하게는 소정각도 경사를 갖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정착 롤러 브라켓(400)은 가열 롤러(410) 및 가압 롤러(420)로 구성된 정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라이딩 브라켓(100)은 가압 롤러(420)의 회전축을 지지하므로, 가압 롤러(420)와 연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브라켓(100)과 정착 롤러 브라켓(400) 사이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브라켓(100)이 상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압 롤러(420)가 가열 롤러(410) 방향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개된 절개부(430)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브라켓(100)은 이 절개부(43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압 롤러(420)와 가열 롤러(410) 사이의 압력이 완화되고, 슬라이딩 브라켓(10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가압 롤러(420)와 가열 롤러(410) 사이에 일정 압력이 작용한다.
슬라이딩 레버(200)는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레버(20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21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이 손잡이(210)를 잡고 슬라이딩 레버(200)를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레버(200)의 "후방 단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500)를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레버(200)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손잡이(21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500)를 향하여 위치된다. 그리고 배면 커버(500)는 용지 잼 등의 상황 발생시 개방 가능한 부품이다.
링크 부재(300)는 슬라이딩 브라켓(100)과 슬라이딩 레버(200)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레버(2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브라켓(1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링크 부재(300)는 제1링크(310) 및 제2링크(320)로 구성된다. 제1링크(310)는 슬라이딩 레버(200)의 일단, 즉 슬라이딩 레버(200)의 전방 단부(전술한 후방 단부와 반대편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320)는 일단이 제1링크(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브라켓(100)의 일단과 접촉한다. 여기서, 제2링크(320)는 슬라이딩 브라켓(100)의 전방 단부의 상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레버(200)가 전방(배면 커버(5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 브라켓(100)을 하방으로 민다.
바람직하게는, 제2링크(320)는 타단에 캠 형상부(3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캠 형상부(321)는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동축(330)과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딩 레버(200)의 전방 이동시에 제1링크(31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2링크(320)가 제1링크(310)와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캠 형상부(321)가 슬라이딩 브라켓(100)의 단부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딩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열 롤러(410)와 가압 롤러(420) 사이의 압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봉투와 같은 두꺼운 용지의 통지가 가능하다.
반대로, 슬라이딩 레버(200)의 후방 이동시에 제1링크(31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링크(320)가 제1링크(310)와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캠 형상부(321)는 더 이상 슬라이딩 브라켓(100)을 하방으로 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딩 브라켓(100)에 구비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브라켓(10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열 롤러(410)와 가압 롤러(420) 사이의 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봉투와 같은 두꺼운 용지의 통지가 어려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가열 롤러(410)와 가압 롤러(420) 사이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가 정착 롤러 브라켓(400)과 배면 커버(50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종래의 회동식 가압 해제 기구에 비해 훨씬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콤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배면 커버(500)와 정착 롤러 장착 위치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슬라이딩 레버(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 설치 위치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레버(200)는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연동축(330)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는 슬라이딩 레버(200) 및 링크 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버(200) 및 링크 부재(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60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브라켓(600)은 수평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된 제1장공(610) 및 제2장공(6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장공(610) 및 제2장공(620)에는 각각 제1핀(630) 및 제2핀(640)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제1핀(630)은 슬라이딩 레버(200)의 중심 부근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레버(200)의 이동시 제1장공(610)을 따라서 슬라이딩 레버(2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핀(630)은 링크 부재(300)의 제1링크(310)와 슬라이딩 레버(200)가 연결된 회동축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레버(200)의 이동시 제2장공(620)을 따라서 슬라이딩 레버(2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장공(610) 및 제2장공(620)을 구비한 가이드 브라켓(600)에 의해 슬라이딩 레버(200)의 수평방향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가압 해제 기구의 구성에 의해, 연동축(33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과 배면 커버(500) 사이의 공간이 아니라,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연동축(330)의 위치로 인해, 정착 롤러 브라켓(400)과 배면 커버(500) 사이에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정착 롤러 클리닝 기구와 같은 구조물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후방에 클리닝 기구(700)가 장착되려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후방에 클리닝 기구(7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가압 해제 기구를 생략하였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정착 롤러 브라켓(400)에는 정착 롤러, 정확하게는 가압 롤러(42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기구(400)가 착탈될 수 있다. 이 클리닝 기구(700)는 배면 커버(500)와 대면하는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측면 하부에 착탈된다.
구체적으로, 클리닝 기구(700)는 클리닝 롤러(710) 및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을 포함하고,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은 체결 부재를 구비하여 정착 롤러 브라켓(400)에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클리닝 롤러(710)는 가압 롤러(420)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압 롤러의 표면에 묻은 현상제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한다. 여기서, 클리닝 롤러(710)는 중심축 및 중심축의 외주연에 구비된 클리닝 부재를 포함하고, 클리닝 부재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은 클리닝 롤러(7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클리닝 롤러(71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과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는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정착 롤러 브라켓(400)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크(721)를 포함한다. 또한, 체결 부재는 정착 롤러 브라켓(400)을 향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버(7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착 롤러 브라켓(400)에는 체결 부재의 후크(721) 및 레버(72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440)을 구비한다.
이 결합홈(440)은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후방 하부의 양단에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 부재가 결합홈(440)에 삽입되면, 한 쌍의 후크(721)가 각각 결합홈(440)의 하부턱 및 상부턱과 밀착되고, 레버(722b)가 결합홈(440)의 측면턱과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을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후방에 밀어 넣으면, 체결 부재와 결합홈(440)의 체결에 의해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이 정착 롤러 브라켓(400)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클리닝 롤러(700)가 가압 롤러(420)와 밀착되어 정착 유닛의 구동시 가압 롤러(420) 표면을 클리닝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레버(722a, 722b)는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1레버(722a) 및 제1레버(722a)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제2레버(722b)를 포함하고, 제2레버(722b)의 측면에는 결합홈(440)에 삽입되어 결합홈(440)의 측면턱과 체결되는 돌출턱(722c)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레버(722a)는 후크(721)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제2레버(722b)는 후방으로 갈수록 제1레버(722a)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된다. 즉, 레버(722)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레버(722a) 및 제2레버(722b)의 단부를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잡아서 누를 수 있다.
그리고, 후크(721)와 레버(722)는 일체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1레버(722a)를 제2레버(722b) 방향, 즉 클리닝 롤러(710) 방향으로 누르면, 레버(722)를 결합홈(440)에 쉽게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부재에 구비된 레버(722)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양손으로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의 양단부에 구비된 레버(722)를 눌러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을 정착 롤러 브라켓(400)에 결합시키면, 레버(722)가 별다른 저항없이 정착 롤러 브라켓(400)의 결합홈(440)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722)에서 손을 떼면, 제2레버(722b)의 돌출턱(722c)이 결합홈(440)에 고정된다.
한편, 한 쌍의 후크(72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하부를 둘러싸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 한 쌍의 후크(721) 사이에는 클리닝 롤러(71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부싱(730)이 수용된다.
부싱(730)은 클리닝 롤러(710)의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구비하고, 이 축공은 일측이 절개되어 클리닝 롤러(710)의 중심축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싱(730)과 클리닝 롤러 브라켓(720), 정확하게는 제1레버(722a)와 제2레버(722b)가 합쳐지는 부분 사이에는 탄성 부재(740)가 설치된다. 이 탄성 부재(740)는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부싱(730)을 클리닝 롤러(710)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리닝 롤러(710)가 가압 롤러(42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클리닝 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클리닝 롤러를 정착 롤러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브라켓 200: 슬라이딩 레버
210: 손잡이 300: 링크 부재
310: 제1링크 320: 제2링크
330: 연동축 400: 정착 롤러 브라켓
410: 가열 롤러 420: 가압 롤러
430: 절개부 440: 결합홈
500: 배면 커버 600: 가이드 브라켓
610, 620: 장공 630, 640: 핀
700: 클리닝 기구 710: 클리닝 롤러
720: 클리닝 롤러 브라켓 721: 후크
722: 레버 722a: 제1레버
722b: 제2레버 722c: 돌출턱
730: 부싱 740: 탄성 부재

Claims (10)

  1.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 롤러와 연동되며,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슬라이딩 브라켓;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버;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레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링크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된 제1장공 및 제2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상기 제1장공에 삽입된 제1핀과 결합하여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회동축에 결합되는 제2핀이 상기 제2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미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타단에 캠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형상부는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동축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를 향하는 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는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커버와 대면하는 측면에 상기 가압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기구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기구는,
    상기 가압 롤러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압 롤러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에 착탈 가능한 클리닝 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은 양단부에 각각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레버가 삽입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이 상기 정착 롤러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는 상기 클리닝 롤러 브라켓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제1레버 및 상기 제1레버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제2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돌출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KR1020120104066A 2012-09-19 2012-09-19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KR10144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66A KR101441103B1 (ko) 2012-09-19 2012-09-19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66A KR101441103B1 (ko) 2012-09-19 2012-09-19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53A KR20140037653A (ko) 2014-03-27
KR101441103B1 true KR101441103B1 (ko) 2014-09-19

Family

ID=5064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066A KR101441103B1 (ko) 2012-09-19 2012-09-19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58B1 (ko) * 2015-05-13 2016-12-06 주식회사 신도리코 코팅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878439B1 (ko) * 2017-04-10 2018-07-13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45U (ja) * 1993-08-31 1995-03-20 日星電気株式会社 定着ユニットの加圧装置
JPH08179650A (ja) * 1994-12-22 1996-07-12 Hitachi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80099514A (ko) * 2007-05-09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45U (ja) * 1993-08-31 1995-03-20 日星電気株式会社 定着ユニットの加圧装置
JPH08179650A (ja) * 1994-12-22 1996-07-12 Hitachi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80099514A (ko) * 2007-05-09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53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4012B1 (en) Dual-side printing apparatus
US8564633B2 (en) Thermal printer
JP4548586B2 (ja) 画像記録装置
EP1955833A1 (en) Sheet cutting device and printer
JP2009226757A (ja)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KR10144110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US9061530B2 (en) Printer apparatus
JP2004268207A (ja) 鋏式記録紙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EP3042775A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US20170096309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KR101591159B1 (ko)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CN104423216A (zh) 图像形成装置以及显影装置
JP536150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60078911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5471332B2 (ja) 画像記録装置
JP3668003B2 (ja) 給紙装置
JP2004262016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サーマルヘッド着脱装置
JP5517545B2 (ja) プリンタ装置
JP4110730B2 (ja) 用紙搬送装置
KR20160027931A (ko) 인자 유닛 및 프린터
KR101441102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클리닝 기구
JP6225567B2 (ja) 印刷ヘッド、及び、印刷装置
JP2006023325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11194590A (ja) 切断具のカバー機構及び印刷装置
JP2004277148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