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931A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7931A KR20160027931A KR1020150122904A KR20150122904A KR20160027931A KR 20160027931 A KR20160027931 A KR 20160027931A KR 1020150122904 A KR1020150122904 A KR 1020150122904A KR 20150122904 A KR20150122904 A KR 20150122904A KR 20160027931 A KR20160027931 A KR 20160027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n
- frame
- unit
- head unit
- platen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헤드 유닛과,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은,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 및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을 갖고 있다. 헤드 유닛은,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플래튼 프레임의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있다. 플래튼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록지(감열지)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로서,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서멀 프린터는, 인자 유닛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 토너나 잉크 등도 사용하지 않고 간소한 구성인 점 등으로부터, 금전 등록기나 휴대 단말 장치 등에 채용되어,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인자 유닛으로서, 예를 들면 롤지를 수납하는 케이싱 본체측에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 프레임이 부착되고, 케이싱 본체에 대해 힌지부를 통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측에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이 부착된, 소위 분리형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분리형의 인자 유닛에서는, 프린터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의 압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로크 기구로서,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받아들이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헤드 프레임에 형성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가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서멀 헤드가 탄성가압 부재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측에 눌러짐으로써, 플래튼 롤러가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걸어맞춰진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헤드 프레임에 설치된 해제 레버 등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를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향해서 밀어올린다. 이 때,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을, 플래튼 프레임이나 프린터 커버를 통해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 전달시킴으로써,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게 되어 있다.
또, 인자 유닛에서는, 인쇄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커터 기구는, 예를 들면 상술한 헤드 프레임측에 내장된 가동날과, 상술한 플래튼 프레임측에 내장된 고정날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날을 고정날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날 및 고정날 사이에 기록지를 끼워넣어 절단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해제하는 것이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이 플래튼 프레임이나 프린터 커버를 통해 타단부에 전달될 때,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서 프린터 커버가 비틀려,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까지 밀어올리는 힘이 충분히 전달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플래튼 롤러 중, 일단부만이 걸어맞춤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으로부터 해제된, 소위 한 쪽 열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프린터 커버 등을 보강하여,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까지 밀어올리는 힘을 전달하기 쉽게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로크 기구로서, 예를 들면, 헤드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서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로크 암을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해제 레버 등의 조작에 연동하여 각 로크 암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로부터 이격함으로써, 플래튼 롤러를 오목부 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로크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는, 로크 암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나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술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 기록지의 양호한 절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날이 슬라이드할 때에 고정날 및 가동날들이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하도록, 가동날 및 고정날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고정날의 날끝이 가동날에 눌리도록 고정날을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분리형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는, 가동날 및 고정날의 위치 관계는, 프린터 커버 및 케이싱 본체의 위치 정밀도(예를 들면, 힌지부의 위치 등)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에 대한 힌지부의 위치(높이)에 의해서 고정날의 각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프린터 커버 및 케이싱 본체의 위치 정밀도가 나쁜 경우에는,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고정날 및 가동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어려워, 절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기술 분야에서는,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고, 또 가동날 및 고정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여 우수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설치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 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헤드 유닛으로부터 플래튼 유닛을 분리시킬 때에는, 우선 해제 레버를 조작하여, 플래튼 유닛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지지부측을 분리 방향을 향해서 가압한다. 그러면, 플래튼 프레임이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여 서브 프레임에 대해 분리 방향을 향해서 회동함으로써, 플래튼 롤러가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해나간다. 그 후,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양 유닛의 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이 여압 기구에 의해서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되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에 의한 플래튼 프레임의 가압시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플래튼 프레임의 접촉부로부터의 부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로부터 한쪽의 축지지부측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은, 연결부를 통해 타방측의 축지지부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가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 레버의 가압력을 양 축지지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한쪽 열림의 발생을 억제해, 양 유닛을 확실히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플래튼 유닛이 장착되는 프린터 커버를 보강하거나, 로크 암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플래튼 유닛(플래튼 프레임)과 헤드 유닛이 접촉부를 통해 접촉하므로, 양자를 같은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2차 방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해제 레버의 가압력을 양 축지지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이 헤드 유닛의 접촉부에 접촉하므로, 양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양 유닛이 소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 되게 된다. 즉, 플래튼 유닛 및 헤드 유닛이,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연결 부분, 및 플래튼 프레임과 헤드 유닛의 접촉부의 접촉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플래튼 프레임은 여압 기구에 의해서 접촉부를 향해서 탄성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플래튼 롤러에 대한 힌지부의 위치에 불균일이 있던 경우라도, 그 위치 불균일을 여압 기구의 변형량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 및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타방측에 설치된 가동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뛰어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프레임이 플래튼 롤러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이 플래튼 롤러 이외의 별도 부재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프린터는, 상기 인자 유닛을 갖고,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측에, 상기 헤드 유닛이 장착되고, 또한,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측에, 상기 플래튼 유닛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프린터는,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에 장착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프린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장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인자 유닛 및 상기 인자 유닛을 구비한 프린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 및 프린터에 의하면,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도 1은, 프린터 커버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인자 유닛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인자 유닛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프린터 커버의 열림 동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인자 유닛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프린터 커버의 열림 동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1, 도 2는, 서멀 프린터(1)의 단면도이며, 도 1은 프린터 커버(6)의 열림 위치를 나타내고, 도 2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면 상하 방향을 단순히 상하방향(L1),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L2), 상하방향(L1) 및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L3)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2) 및 헤드 유닛(3)을 갖는 인자 유닛(9)과, 인자 유닛(9)이 내장됨과 더불어, 기록지(P)가 권회된 롤지(R)를 수용하는 케이싱(4)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4)은, 롤지(R)를 수용하는 롤지 수용부(5a)가 형성된 케이싱 본체(5)와, 롤지 수용부(5a)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6)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커버(6)는, 힌지부(7)를 통해 케이싱 본체(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롤지 수용부(5a)의 개구 가장자리와, 프린터 커버(6)의 선단부 사이에는, 기록지(P)를 외부(상방)로 배출하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플래튼 유닛(2)은,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이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프린터 커버(6)의 내면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유닛(2)은, 프린터 커버(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함으로써, 헤드 유닛(3)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다. 한편, 헤드 유닛(3)은, 예를 들면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이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케이싱 본체(5)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헤드 유닛(3)은, 롤지 수용부(5a)에 인접하여 설치된 내부 플레이트(5b) 상에, 서멀 헤드(12)를 롤지 수용부(5a)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6)가 닫히고,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됐을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에 대해 서멀 헤드(12)가 눌림과 더불어, 고정날(13)에 대해 가동날(11)이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또한, 고정날(13) 및 가동날(11)에 의해 커터 기구(14)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은 인자 유닛(9)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인자 유닛(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9)의 단면도이며, 도 6은 플래튼 유닛(2)의 사시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2)은, 상술한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과, 이들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을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21)과, 플래튼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은, 금속 등의 판재가 굴곡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전후방향(L3)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해서 개방된 コ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프레임(21)은, 좌우방향(L2)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24)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됨과 더불어, 각 축지지부(24)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2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축지지부(24)에 있어서의 전후방향(L3)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0)의 후술하는 베어링(29)이 유지되어 있다. 또, 각 축지지부(24) 중, 좌우방향(L2)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축지지부(24)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L2)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0)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됐을 때,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헤드 유닛(3)측의 서멀 헤드(12)에 대해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10)는,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래튼축(27)과, 플래튼축(27)에 외장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28)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축(27)의 양단부에는, 베어링(29)이 각각 외장되어 있다. 각 베어링(29)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21)에 유지되고, 이들 베어링(29)을 통해 플래튼 롤러(10)가 플래튼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플래튼축(27)의 타단부(플래튼축(27)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베어링(29)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이하의 기재에서,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일단측』은, 좌우방향(L2)에 있어서 돌출편(26)이 설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닛(2) 측이며,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은, 좌우방향(L2)에 있어서 『일단측』과는 반대측의 플래튼 유닛(2) 측, 즉,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장착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한다. 이 플래튼용 톱니바퀴(31)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되었을 때, 헤드 유닛(3)측의 후술하는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도 4 참조)에 맞물려, 플래튼 롤러(1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12)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넣으면서 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날(13)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그 날끝을 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 상에 고정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22)은, 플래튼 프레임(21)보다도 한층 커져 있고, 플래튼 프레임(21)을 상방 및 좌우방향(L2)의 양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22)은, 좌우방향(L2)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33)와, 각 측벽부(33) 사이를 연결하는 기부(基部)(34)를 갖고 있다. 대응하는 측벽부(33)에 있어서의 전후방향(L3)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0)의 각 베어링(29)이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프레임(22)은,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을 회전 가능, 또한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면 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각 측벽부(33)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부에는, 좌우방향(L2)의 내측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전후방향(L3)의 『일단부』는, 플래튼 유닛(2)에 있어서 베어링(29)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하고, 전후방향(L3)의 『타단부』는, 플래튼 유닛(2)에 있어서 굴곡편(36)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한다.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21)과 서브 프레임(22) 사이에는, 플래튼축(27) 둘레로 플래튼 프레임(21)을 서브 프레임(2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는 한 쌍의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다. 각 여압 기구(37)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L1)을 따라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가 서브 프레임(22)의 상술한 대응하는 굴곡편(36)에 각각 연결되고, 상단부가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린터 커버(6)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21)은, 서브 프레임(22)에 대해 기운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예를 들면, 도 8 참조).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유닛(3)은, 상술한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과, 이들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을 지지하는 헤드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프레임(41)은, 전후방향(L3)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コ자형상을 나타내고, 좌우방향(L2)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42), 및 측벽부(42)의 상단부들을 건너지르는 천정벽부(43)를 갖고 있다. 측벽부(42)에는,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각각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오목부(44)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함과 더불어, 전후방향(L3)을 따르는 폭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소하고 있다. 또,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내주연에는,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에 상방으로부터 걸어맞춰지는 스토퍼부(45)가, 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해서 돌츨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42)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는,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조합된 상태로,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에 접촉하는 접촉부(47)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47)는,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 중, 좌우방향(L2)의 양단부이며,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10)보다도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여압 기구(37)는,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고,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이,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에 대해 소정 위치(즉, 급지 가능한 위치 및 용지 절단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 이 때의 플래튼 프레임(21)에는,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플래튼 롤러(10)가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이탈 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여압 기구(37)의 탄성가압력은,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된 상태로, 플래튼 롤러(10)와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탄성가압력에 의해서만 이탈하지 않을 정도이고, 또한 프린터 커버(6)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41)에 있어서, 측벽부(4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48)에 있어서의 좌우방향(L2)의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패인 수용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48a) 내에는,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술한 플래튼 롤러(10)의 롤러 본체(28)가 수용된다. 그리고, 롤러 본체(28)의 외주면과 수용부(48a)의 바닥면 사이를 기록지(P)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41)의 각 측벽부(42)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일단측의 측벽부(42)에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의 조합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51)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레버(51)는, 좌우방향(L2)에서 바라봐서 측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이고, 그 정상부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동축(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레버(51) 중, 정상부에 대해 일단측(도 3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케이싱 본체(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 부재가 걸리는 레버 걸림부(51a)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해제 레버(51)는, 레버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해제 레버(51) 중, 정상부에 대해 타단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플래튼 프레임(21)의 상술한 돌출편(26)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접촉편(51b)을 구성하고 있다. 접촉편(51b)은, 해제 레버(51)의 회동시에 돌출편(26)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상방을 향해서 밀어올린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벽부(42)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측벽부(42)에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서로 조합됐을 때, 플래튼 유닛(2)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맞물리는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는,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용 윤열(輪列)기구를 통해 헤드 프레임(41)에 탑재된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도 5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력을 플래튼용 윤열기구, 및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를 통해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전달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12)는, 좌우방향(L2)(기록지(P)의 지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헤드 프레임(41) 중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48)보다도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12)의 표면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12a)가 라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발열 소자(12a)는, 가이드 부재(48)에 있어서의 수용부(48a)의 바닥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12)는, 가이드 부재(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헤드 지지체(55)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55)는, 헤드 프레임(41)의 천정벽부(43)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56)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에 의해서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타단측을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에는, 서멀 헤드(12)가 압접되게 되어 있다.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날(11)은, 프린터 커버(6)를 닫고 헤드 유닛(3)과 플래튼 유닛(2)이 조합됐을 때, 기록지(P)를 사이에 끼고 고정날(13)에 대해 전후방향(L3)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날(11)은, 가동날 프레임(61)과, 가동날 프레임(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날 본체(62)와, 가동날 본체(62)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날 프레임(61)은, 헤드 프레임(41)의 천정벽부(43) 상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날 본체(62)는, 상하방향(L1)에서 바라봐서 평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이고, 밑부분에서부터 날끝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 기구(63)는, 가동날 프레임(61) 상에 탑재된 정역전 가능한 커터용 모터나, 커터용 모터 및 가동날 본체(62) 사이에 접속되는 윤열기구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동날 본체(62)는, 커터용 모터의 구동력이 윤열기구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한다.
다음에, 상술한 서멀 프린터(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도 9는, 서멀 프린터(1)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우선, 프린터 커버(6)의 닫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지(R)를 롤지 수용부(5a) 내에 투입한 후, 프린터 커버(6)를 닫으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헤드 유닛(3)의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각각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동작에 수반하여,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가 헤드 프레임(41)의 접촉부(47)에 맞닿는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로 프린터 커버(6)를 더욱 닫힘 방향을 향해서 밀어넣으면, 서브 프레임(22)이 프린터 커버(6)와 함께 회동함과 더불어,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프린터 커버(6)(서브 프레임(22))에 대해서 회동한다.
그러면, 플래튼 롤러(10)는,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내주연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하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는,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을 때, 롤러 본체(28)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12)에 접촉해,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해서 서멀 헤드(12)를 가압한다. 그리고,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의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은 후, 롤러 본체(28)가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L3)의 타단측을 향해서 가압됨으로써,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가 됨과 더불어,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장착되고,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여압 기구(37)는 접촉부(47)에 대해 전후방향(L3)의 타단측에서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하고 있다.
여기서,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2)은, 플래튼 롤러(10)가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유지됨과 더불어,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에 접촉하고 있다. 즉, 플래튼 유닛(2) 및 헤드 유닛(3)이, 플래튼 롤러(10)와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연결 부분, 및 플래튼 프레임(21)과 헤드 유닛(3)의 접촉부(47)의 접촉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서 위치 결정된다. 특히, 플래튼 프레임(21)은 여압 기구(37)에 의해서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플래튼 롤러(10)에 대한 힌지부(7)의 위치에 불균일이 있던 경우라도, 그 위치 불균일을 여압 기구(37)의 변형량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헤드 유닛(3)과 플래튼 유닛(2)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기록지(P)가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1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 이 기록지(P)는, 가동날(11)과 고정날(13)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구(8)로부터 케이싱(4)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래튼 유닛(2)측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헤드 유닛(3)측의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에 맞물린다.
그 후,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를 구동시켜, 그 회전력을 플래튼 유닛(2)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전달시킨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서멀 헤드(12)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넣으면서 급지시킬 수 있다. 또, 이 급지와 동시에, 서멀 헤드(12)의 발열 소자(12a)를 적절하게 발열시킴으로써, 급지되는 기록지(P)에 대해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자할 수 있다.
인자된 기록지(P)는 고정날(13)과 가동날(11)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기록지(P)가 소정의 길이 통과한 후, 구동 기구(63)를 구동시켜, 가동날 본체(62)를 고정날(13)을 향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날(13)과 가동날(11)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 커버(6)의 열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프린터 커버(6)의 열림 동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 부재를 조작하면, 레버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제 레버(51)가 회동축(O1) 둘레로 회동한다. 그러면, 해제 레버(51)의 접촉편(51b)이 돌출편(26)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상방을 향해서 밀어올린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서브 프레임(22)에 대해 상방을 향해서 회동한다. 그러면, 플래튼 롤러(10)는, 롤러 본체(28)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12)를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면서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해나간다. 이 때,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음으로써, 베어링(29)과 스토퍼부(4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양 유닛(2, 3)의 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를 끌어올림으로써, 프린터 커버(6)가 열림 위치가 된다.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21)이 여압 기구(37)에 의해서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51)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플래튼 프레임(21)의 접촉부(47)로부터의 부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51)로부터 돌출편(26)(일단측의 축지지부(24))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은, 연결부(25)를 통해 타단측의 축지지부(24)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의 양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해제 레버(51)의 밀어올리는 힘을 양 축지지부(24)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한 쪽 열림의 발생을 억제해, 양 유닛(2, 3)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프린터 커버(6)를 보강하거나, 로크 암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플래튼 유닛(2)(플래튼 프레임(21))과 헤드 유닛(3)이 접촉부(47)를 통해 접촉하므로, 양자를 같은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2차 방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래튼 프레임(21)과 서브 프레임(22) 사이에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여압 기구(37)가 장착된 상태로, 인자 유닛(9)을 케이싱(4)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린터 커버(6)와 플래튼 유닛(2) 사이에 여압 기구(37)를 개재시키는 경우에 비해, 인자 유닛(9)을 케이싱(4)에 장착할 때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51)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해제 레버(51)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여압 기구(37)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해제 레버(51)의 밀어올리는 힘을 양 축지지부(24)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프레임(21)이 헤드 유닛(3)의 접촉부(47)에 접촉하므로, 양 유닛(2, 3)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양 유닛(2, 3)이 소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게 된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3)에 설치된 가동날(11)에 대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설치된 고정날(13)을, 프린터 커버(6)에 대한 가동날(11)의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터 기구(14)의 뛰어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또, 서브 프레임(22)이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22)이 플래튼 롤러(10) 이외의 별도의 부재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서는, 상술한 인자 유닛(9)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여압 기구(37)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구성이면 가압 위치는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프레임(21)에 고정날(13)이 설치되고, 헤드 프레임(41)에 가동날(11)이 설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플래튼 프레임(21)에 가동날(11)이 설치되고, 헤드 프레임(41)에 고정날(13)이 설치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여압 기구(37)가 복수 설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수여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구성에서는, 여압 기구(37)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구성이면,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51)가 플래튼 프레임(21)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밀어올리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유닛(2)을 밀어올려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프레임(21)이 서브 프레임(2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플래튼 프레임(21) 및 서브 프레임(22) 사이에 여압 기구(37)를 개재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서브 프레임(22)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21)이 프린터 커버(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플래튼 프레임(21) 및 프린터 커버(6) 사이에 여압 기구(37)가 개재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100)는, 프린터 커버(6)의 선단부에 있어서, 좌우방향(L2)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스테이(10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스테이(101)에는, 플래튼 롤러(10)의 각 베어링(29)(도 6 참조)이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6)는,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을 회전 가능, 또한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면 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스테이(101)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부에는,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보스(10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프레임(21)과 프린터 커버(6) 사이에는, 플래튼축(27) 둘레로 플래튼 프레임(21)을 프린터 커버(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는 한 쌍의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더불어, 플래튼 유닛(2)이 프린터 커버(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래튼 프레임(21)과 프린터 커버(6) 사이에 별도로 서브 프레임을 개재시키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 상술한 각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상관없다.
Claims (14)
-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설치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갖고,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측에, 상기 헤드 유닛이 장착되고, 또한,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측에, 상기 플래튼 유닛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 - 청구항 6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갖고,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측에, 상기 헤드 유닛이 장착되고, 또한,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측에, 상기 플래튼 유닛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 -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에 장착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 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장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는, 프린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프린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78522 | 2014-09-02 | ||
JPJP-P-2014-178522 | 2014-09-02 | ||
JP2014260733A JP6422333B2 (ja) | 2014-09-02 | 2014-12-24 |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
JPJP-P-2014-260733 | 2014-1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7931A true KR20160027931A (ko) | 2016-03-10 |
KR102356765B1 KR102356765B1 (ko) | 2022-01-27 |
Family
ID=5574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2904A KR102356765B1 (ko) | 2014-09-02 | 2015-08-31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422333B2 (ko) |
KR (1) | KR102356765B1 (ko) |
TW (1) | TWI64816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14646B2 (ja) | 2019-06-26 | 2023-07-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023A (ja) * | 1996-09-19 | 1998-06-02 | Seiko Epson Corp | サーマルプリンタ |
JP2000272200A (ja) * | 1999-03-25 | 2000-10-03 | Seiko Epson Corp | プリンタ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55731A (en) * | 1997-10-17 | 2000-12-05 |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 Printing apparatus with cover actuated drive source |
US5964541A (en) * | 1998-07-28 | 1999-10-12 | Ncr Corporation | Thermal printer apparatus |
JP3599595B2 (ja) * | 1999-05-10 | 2004-12-08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JP4247251B2 (ja) * | 2006-06-29 | 2009-04-02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JP2007320121A (ja) * | 2006-05-31 | 2007-12-13 | Toshiba Tec Corp | 両面印刷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サーマルヘッド保持方法 |
US7828490B2 (en) * | 2006-05-31 | 2010-11-09 |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holding a thermal head and a platen roller on a hinged frame |
JP5106238B2 (ja) * | 2008-05-08 | 2012-12-26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JP2010052278A (ja) * | 2008-08-28 | 2010-03-11 | Seiko Instruments Inc | サーマルプリンタ |
-
2014
- 2014-12-24 JP JP2014260733A patent/JP6422333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8-18 TW TW104126877A patent/TWI648169B/zh active
- 2015-08-31 KR KR1020150122904A patent/KR1023567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023A (ja) * | 1996-09-19 | 1998-06-02 | Seiko Epson Corp | サーマルプリンタ |
JP2000272200A (ja) * | 1999-03-25 | 2000-10-03 | Seiko Epson Corp | プリン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22333B2 (ja) | 2018-11-14 |
TWI648169B (zh) | 2019-01-21 |
KR102356765B1 (ko) | 2022-01-27 |
JP2016052773A (ja) | 2016-04-14 |
TW201615441A (zh) | 2016-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7270B1 (en) |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 |
KR101665714B1 (ko) |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 |
US9623672B2 (en) | Thermal printer with platen lock mechanism and head urging member | |
JP6533433B2 (ja) |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 |
US7988374B2 (en) | Sheet cutting device and printer | |
EP3002130B1 (en) | Printing unit and printer | |
JP2013095045A (ja) |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
JP2015168178A (ja) |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
US11440334B2 (en) | Cutter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 |
US9061530B2 (en) | Printer apparatus | |
KR102429223B1 (ko)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
KR20160027931A (ko)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
JP5912047B2 (ja) | サーマルプリンタ | |
JP2012171116A (ja) | プリンタ | |
CN111070904B (zh) | 热敏打印机 | |
JP4995932B2 (ja) | 印刷装置 | |
JP6480223B2 (ja) |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