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714B1 -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 Google Patents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714B1
KR101665714B1 KR1020100048682A KR20100048682A KR101665714B1 KR 101665714 B1 KR101665714 B1 KR 101665714B1 KR 1020100048682 A KR1020100048682 A KR 1020100048682A KR 20100048682 A KR20100048682 A KR 20100048682A KR 101665714 B1 KR101665714 B1 KR 10166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ed blade
fixed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206A (ko
Inventor
히로유키 고히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2007/2685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flexibl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645With means to clamp work during dw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48Tool displaceable to inactive position [e.g., for work loading]
    • Y10T83/8749By pivotal mo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고정날의 높은 요동성을 가능하게 하고,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날의 형상의 심플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한변쪽이 날끝(11a), 다른변쪽이 근원부(11b)로 된 고정날(11)과, 근원부를 중심으로 하여 날끝이 상하로 요동하도록 고정날을 토대부(20)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유지하는 고정날 홀더(12)와,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 넣으면서 절단하는 가동날과, 고정날을 토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13)를 구비하고, 고정날 홀더가, 토대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근원부를 접촉시켜 고정날을 가동날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벽부(21)와, 고정날의 날끝의 부상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22)와, 토대부와 근원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날의 근원부의 부상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는 커터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본 발명은, 고정날에 대해서 가동날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기록지를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절단하는 커터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열을 가하면 발색하는 특수한 기록지에 서멀 헤드를 가압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서멀 프린터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것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토너나 잉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매끄러운 문자의 인쇄나 다채로운 그래픽 인자(印字)가 가능하므로, 영수증이나 티켓의 인쇄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서멀 프린터로 대표되는 바와같이, 인쇄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를 구비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많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금전 등록기나 휴대 단말 장치 등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 커터 기구는, 고정날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가동날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기록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고정날의 상면 혹은 하면에 올라타도록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위와 같이, 양날로 기록지를 사이에 끼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날은, 날끝쪽이 상하로 요동하도록 유지되어 있음과 더불어, 코일 용수철 등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날끝이 가동날에 대해서 가압되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날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왔을 때, 양날은 적절한 접촉압으로 접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를 깨끗이 절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통상 가동날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날에 올라탈때에 좌우 2점에서 고정날에 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날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이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가 기록지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상기 기록지의 폭방향을 따르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를 좌우 양측에서 치우치지 않고 양호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양호하게 절단하기 위해서는,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에 있어서, 가동날과 고정날이 균등하게 압접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압접력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는, 다 잘리지못하고 남을 가능성이 있거나,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는 것의 하나로서, 가동날에 대한 고정날의 압접력이 날의 폭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되도록 보정할 수 있는 절단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절단 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고정날의 근원측(날끝의 반대측)에는, 2개소 이상의 돌기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날을 유지하는 고정날 유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받침 구멍이 지지부의 수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받침 구멍은, 삽입된 지지부와의 사이에 여유 간극이 확보되도록, 지지부 보다도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날은 지지부가 받침 구멍에 요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날 유지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고정날은 판용수철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날끝측이 가동날에 대해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날이 고정날에 올라타면, 판용수철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 고정날과 가동날이 적절한 접촉압으로 압접한다. 이 때, 지지부와 받침 구멍의 사이에 여유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고정날은 날의 폭방향으로 약간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에 압접력의 차이가 있다고 해도, 고정날이 날의 폭방향으로 요동하여, 압접력을 균등하게 하도록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국 특허 제3801423호 공보
그러나, 받침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부가, 고정날에 2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의 폭방향으로의 높은 요동성을 기대하는 것이 어려웠다. 즉, 지지부와 받침 구멍의 사이에 확보된 여유 간극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날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지지부가 2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여유 간극을 각각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려워, 요동량이 아무래도 제한되어 버렸다.
따라서, 날 폭방향으로의 높은 요동성을 기대할 수 없어, 자르기 시작하는 곳부터 다 잘려지는 곳까지,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의 압접력을 균등하게 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기록지를 절단할 때에, 여전히 다 잘리지못하고 남음 등이 발생할 우려가 남아 있었다.
또한, 통상 고정날을 제작할 때,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하는데, 지지부를 2개소 이상 형성하기 때문에, 금형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특히, 고정날의 재료로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금속재료가 채용되는 경우가 많아, 프레스시에 금형에 고부하가 작용하기 쉽다. 따라서, 금형의 형상이 복잡하고 미세하게 될수록, 이지러짐이나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워, 금형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고정날의 제작 비용에 반영되어 버려, 고정날의 고비용화로 연결되어 버린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정날에는 가능한한 심플한 형상이 요구되는 것이 현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날의 높은 요동성을 가능하게 하여, 끝까지 다 잘리지 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날의 형상의 심플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는, 이 커터 기구를 구비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는,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로서,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평행하는 양변 중 한변쪽이 날끝, 다른변쪽이 근원부가 된 고정날과, 상기 근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날끝이 상하로 요동하도록, 상기 고정날을 토대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유지하는 고정날 홀더와, 상기 고정날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시에 고정날에 올라타 상기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절단하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의 가동날과, 상기 토대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날을 토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날 홀더가, 상기 토대부 상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근원부를 접촉시켜 상기 고정날을 상기 가동날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벽부와, 탄성 가압된 상기 고정날의 날끝의 부상(浮上)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토대부와 상기 근원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탄성 가압된 상기 고정날의 근원부의 부상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는, 고정날이 고정날 홀더의 토대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근원부를 중심으로 하여 날끝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고정날은, 근원부가 벽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토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 때, 제1 규제 부재에 의해 날끝의 부상이 규제되고, 제2 규제 부재에 의해 근원부의 부상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가압 부재에 저항하는 힘이 고정날에 작용하면, 상기 고정날은 근원부를 중심으로 하여 날끝이 활모양 궤적을 그리도록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토대부와 근원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날은 이 간극을 이용하여 날 폭방향으로 자유롭고 또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기록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고정날에 대해서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동날은, 고정날에 올라탄 상태로 겹쳐지고,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넣어 절단한다. 이 때, 가동날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2점에서 고정날에 접한다. 따라서, 가동날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절단할 수 있어, 기록지를 치우치지 않고 양호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가동날이 고정날에 올라타면 상기 고정날은 토대부측으로 밀려 되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고정날은,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날의 날끝과 가동날을 적당한 접촉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의 날끝과 가동날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 기록지를 양호한 잘림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날은, 날 폭방향으로의 요동성이 제한되어 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토대부와 근원부의 사이에 확보된 소정의 간극을 이용하여, 날 폭방향으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르기 시작하는 곳부터 다 잘려진 곳까지 상황에 따라 날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고,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의 압접력을 항상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끝까지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의 신뢰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커터 기구로 할 수 있다.
또한, 돌기형상의 지지부를 필요로 했던 종래의 고정날과는 달리, 근원부가 평평한 단순한 판상의 고정날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의 형상의 심플화를 도모할수 있는데다, 고정날을 제작하는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메인티넌스의 빈도를 삭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금형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 및 커터 기구의 저비용화로 이어질 수 있다.
(2)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 기구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 상에는, 상기 고정날의 날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상기 근원부에 접촉하여 상기 근원부를 상기 제2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함과 더불어,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날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는, 고정날이 볼록부와 제2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동날이 고정날에 올라탔을 때에 고정날 전체가 토대부측으로 달아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의 날끝을 가동날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압접시킬 수 있어, 절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같이 고정날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시, 자르기 시작하는 곳부터 다 잘려진 곳까지 상황에 따라 고정날을 요동시켜,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의 압접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끝까지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가, 상기 고정날에 상기 가동날이 올라탔을 때에, 상기 고정날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는, 기록지를 절단할 때에, 만일 가동날과 고정날의 사이에 기록지가 걸려, 양날의 물림이 발생해 버렸다고 해도,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다. 즉, 물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 규제 부재에 의해, 고정날의 날끝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 가압 부재에 저항하는 힘으로 고정날을 요동시킨다. 이에 따라, 맞물림의 원인이 되었던 가동날과 고정날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지를 제거하는 등으로 하여, 즉각 복구시킬 수 있다.
(4)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 상기 고정날 홀더 및 상기 탄성 가압 부재가 내장된 제1의 유닛과, 상기 가동날이 내장되고, 상기 제1의 유닛에 대해서 조합되는 제2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유닛과 상기 제2의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다른쪽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는, 제1의 유닛과 제2의 유닛을 조합함으로써, 기록지를 사이에 끼고 고정날과 가동날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마주보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1의 유닛과 제2의 유닛을 분리시킴으로써, 기록지 셋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고정날과 가동날이 분리되는 분리형의 커터 기구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터 기구를 보다 다양한 용도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롤지를 빈번하게 교환하는 것과 같은 서멀 프린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관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 기구와, 상기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인쇄부에서 기록지의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인쇄한 후, 커터 기구에 의해 인쇄후의 기록지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절단한 기록지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커터 기구에 의해,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사용하기 쉽고, 절단 성능의 신뢰성이 향상된 프린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절단 후의 기록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터 기구에 의하면, 고정날이 높은 요동성을 가능하게 하여,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날의 형상의 심플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의하면, 커터 기구에 의해,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사용하기 쉬운데다, 절단 성능의 신뢰성이 향상된 프린터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개폐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개폐도어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구성하는 커터 기구의 구성품인 플래튼(platen)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부착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플래튼 유닛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표시하는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하는 플래튼 유닛을 고정날의 날끝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구성하는 커터 기구의 구성품인 본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쇄 중에 있어서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시켜, 고정날과 가동날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사이에 있어서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을 화살표 B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5(a)는 도 13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을 화살표 C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피니언에 내장되는 코일 용수철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되는 요동 플레이트와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되는 요동 플레이트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하는 플래튼 유닛과 도 10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을 조합시켰을 때의 커터 기구를, 윗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고 있는 상태, (b)는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 (c)는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 (d)는 개폐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날을 눌러내려,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정날 홀더의 토대부 상에 돌기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 플라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플래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하는 플래튼 유닛을, 고정날의 날끝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정날 홀더의 토대부 상에 둑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 플래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부터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일예로서,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에 인쇄를 행한 후, 상기 기록지(P)를 적절히 절단하여,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2)과, 커터 기구(3)와, 서멀 헤드(인쇄부)(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2)은,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료로 성형된 케이싱(2)이며, 상면에 투입구(2a)가 빈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투입구(2a)로부터 투입된 롤지(R)를 재치하기 위한 재치대(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치대(2b)는, 원호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상의 롤지(R)를 안정되게 재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2)의 상면에는, 힌지부(5)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개폐도어(6)가 부착되어 있다. 이 개폐도어(6)는, 도 2에 도시하는 열린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닫힌 상태에 걸쳐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6)를 열었을 때에 투입구(2a)가 나타나고, 롤지(R)를 케이싱(2)의 내부에 투입하거나, 내부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도어(6)를 닫았을 때에, 개폐도어(6)의 선단과 케이싱(2)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비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기록지(P)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2c)로서 기능한다.
또한, 개폐도어(6)는, 닫았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케이싱(2)에 대해서 잠금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잠금 기구는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원터치로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개폐도어(6)를 신속하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터 기구(3)는, 플래튼 유닛(제1의 유닛)(7)과, 본체 유닛(제2의 유닛)(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유닛(8)은, 후술하는 가동날(30), 가동날 구동 시스템(31), 레버부(32) 및 서멀 헤드(4)가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도 1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2)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지(R)가 재치되는 재치대(2b)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내부 플레이트(2d)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부터 도 3에서는, 가동날(30) 및 서멀헤드(4)를 대표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7)은, 후술하는 고정날(11), 고정날 홀더(12), 코일 용수철(탄성 가압 부재)(13), 연동 기구(14) 및 플래튼 롤러(10)가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부착판(15)을 통하여 개폐도어(6)의 선단측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유닛(7)은, 개폐도어(6)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본체 유닛(8)에 조합되거나, 본체 유닛(8)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부터 도 3에서는, 고정날(11) 및 플래튼 롤러(10)를 대표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먼저 플래튼 유닛(7)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래튼 유닛(7)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기록지(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10)와, 플래튼 롤러(10)에 대해서 기록지(P)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날(11)과, 플래튼 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고정날(11)을 유지하는 고정날 홀더(12)와, 고정날(11)을 탄성 가압하는 코일 용수철(13)과,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11)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시키는 연동 기구(14)와, 고정날 홀더(12)의 윗쪽을 덮는 금속성의 부착판(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4로부터 부착판(15)을 떼어낸 상태의 도면이다.
플래튼 롤러(10)는, 양단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축체가 신장되어 있고, 상기 축체에 원통형상의 베어링(10a)이 각각 씌워져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베어링(10a)을 압압했다고 해도,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롤러(10)는, 이 베어링(10a)을 통하여 고정날 홀더(12)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플래튼 롤러(10)의 일단측에는, 베어링(10a)을 사이에 끼고 종동 기어(10b)가 축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특히 이 플래튼 롤러(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폐도어(6)를 닫고 플래튼 유닛(7)과 본체 유닛(8)이 조합되었을 때에,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본체 유닛(8)측의 서멀 헤드(4)에 대해서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종동 기어(10b)는, 본체 유닛(8)측의 후술하는 플래튼용 기어열(600)에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래튼 롤러(10)는, 개폐도어(6)를 닫은 후, 본체 유닛(8)측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배출구(2c)로부터 케이싱(2)의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날(11)은, 도 5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록지(P)의 폭방향으로 신장된 판상의 날이며, 평행한 양변 중 한변쪽이 날끝(11a)으로 되고, 다른변쪽이 근원부(11b)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날(11)의 날 폭방향이란, 기록지(P)의 폭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길이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날(11)은, 개폐도어(6)를 닫았을 때, 날끝(11a)이 송출된 기록지(P)에 대향하도록 고정날 홀더(12)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고정날(11)은, 근원부(11b)를 중심으로 하여 날끝(11a)이 상하(가동날(30)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로 요동하도록, 후술하는 토대부(20)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날 홀더(1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날 홀더(12)는, 플래튼 롤러(10)의 윗쪽에 위치한 평탄한 토대부(20)와, 이 토대부(20) 상에 돌출 설치되고, 근원부(11b)를 접촉시켜 고정날(11)을 가동날(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벽부(21)와,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탄성 가압된 고정날(11)의 날끝(11a)의 부상(浮上)을 규제하는 스토퍼(제1 규제 부재)(22)와, 토대부(20)와 근원부(11b)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H)(도 7 참조)을 둔 상태로 탄성 가압된 고정날(11)의 근원부(11b)의 부상을 규제하는 샤프트(제2 규제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일 용수철(13)은, 토대부(20) 상에 고정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날(11)의 날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3개 고정되어 있다. 고정날(11)은, 이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토대부(2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날(11)의 날끝(11a)은, 항상 들릴 수 있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용수철(13)을 채용한 예를 나타내는데, 고정날(11)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판 용수철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코일 용수철(13)의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토대부(20) 상에, 코일 용수철(13)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를 재치하고, 이 위치 결정 플레이트를 통하여 코일 용수철(13)을 고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코일 용수철(13)에 탄성 가압된 고정날(11)은, 상술한 것처럼 토대부(20)로부터 이간하고, 근원부(11b)를 벽부(21)에 접촉시킨 상태로 날끝(11a)이 활 모양 궤적을 그리도록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술한 것처럼, 스토퍼(22)가 날끝(11a)의 부상을 규제하고, 샤프트(23)가 근원부(11b)의 부상을 규제하고 있다.
샤프트(23)는, 고정날(11)의 근원부(11b)의 윗쪽에 상기 고정날(11)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토대부(20) 상에 돌출 설치된 2개의 베어링 부재(25)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2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날(11)의 근원부(11b)의 부상을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샤프트(23)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22)가 연결되어 있고, 고정날(11)의 양쪽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스토퍼(22)는, 샤프트(23)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고정날 홀더(12)에 일부가 걸림 고정되어 윗쪽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날끝(11a)의 부상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2개의 스토퍼(22) 중, 한쪽의 스토퍼(22)에는 부채형 기어(2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채형 기어(26)는, 개폐도어(6)를 닫았을 때에, 본체 유닛(8)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눌러내림 조작 가능한 레버부(32)의 내부 기어(32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부(32)의 조작에 연동, 즉,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채형 기어(26)가 회전하면, 2개의 스토퍼(22)를 눌러내리도록 샤프트(2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후 「레버부(32)의 조작에 연동」을 「레버부(32)의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으로서 적절히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22)는, 단순히 고정날(11)의 날끝(11a)의 부상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부채형 기어(26)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23)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날(11)의 날끝(11a)을 아래쪽을 향해 눌러 내리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날(11)은,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하여, 양날(11, 30)의 접촉압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2개의 스토퍼(22), 부채형 기어(26) 및 샤프트(23)는, 레버부(32)의 조작에 연동하여 고정날(11)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양날(11, 30)의 접촉압을 해제하는 연동 기구(14)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상술한 고정날(11)은,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토대부(20)로부터 이간하고 있는데다, 근원부(11b)와 토대부(20)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날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또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체 유닛(8)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 유닛(8)은, 고정날(1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날(30)과, 상기 가동날(30)을 구동시키는 가동날 구동 시스템(31)과, 눌러내림 조작 가능한 레버부(32)와, 레버부(32)의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하여 후술하는 구동 기어(41)와 랙(rack)(40)의 기계적인 연결을 분리하는 해제 기구(33)와, 인출된 기록지(P)에 기록을 행하는 서멀 헤드(4)와, 이들 각 구성품을 지지하고, 내부 플레이트(2d) 상에 고정되는 금속성의 지지 프레임(35)과, 가동날(30)의 윗쪽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로부터 커버 플레이트(36)를 떼어낸 상태의 도면이다.
가동날(30)은, 고정날(11)과 협동하여 커터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개폐도어(6)가 닫히고 본체 유닛(8)과 플래튼 유닛(7)이 조합되었을 때에, 기록지(P)를 사이에 끼고 고정날(11)에 대해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날(30)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근원으로부터 날끝(30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의 판상의 날이다. 그리고,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날(11)의 상면에 올라탄 상태로 되고, 고정날(11)과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넣어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가동날(30)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2점(도 12에 도시하는 점 N)에서 고정날(11)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기록지(P)를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날(30)이 슬라이드했을 때, 고정날(11)은 가동날(30)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측에 눌러내려진 상태로 된다. 그러나, 고정날(11)은,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윗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절한 접촉압으로 가동날(30)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으로 되돌아와, 가동날 구동 시스템(31)은, 가동날(30)에 부착된 랙(40)과, 상기 랙(40)에 맞물리고, 정역 회전가능한 커터용 모터에 연결된 구동 기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랙(40)을 직선 이동시키는 제1 기어(랙용 기어)(42) 및 제3 기어(랙용 기어)(43)(도 9 및 도 10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8)에 상기 커터용 모터 및 구동 기어(4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41)는,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커터용 모터의 구동축(M1)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 유닛(8)의 한쪽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구동 기어(41)는, 원호상의 보호 커버(K)에 의해 둘레면의 일부가 보호되어 있다. 구동 기어(41)의 윗쪽에는, 상기 제1 기어(42)가 랙(40)에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기어(42)와 구동 기어(41)의 사이에는, 양 기어(41, 42)에 맞물리는 제2 기어(44)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41)가 회전하면, 제2 기어(44)를 통하여 제1 기어(42)에 회전력이 전해지고, 랙(40)이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기어(42)는, 구동 기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랙(4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기어(42)는, 본체 유닛(8)의 다른쪽의 측면측까지 신장한 샤프트(4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 유닛(8)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있어서, 랙(40)에 맞물린 상기 제3 기어(43)가 이 샤프트(45)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기어(42)의 회전에 따라, 제3 기어(43)도 회전하고, 랙(40)을 동일하게 직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 기어(42) 및 제3 기어(43)에 각각 맞물린 랙(40)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동날(30)의 근원측에 고정된 평평한 지지 플레이트(46)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기어(42) 및 제3 기어(43)가 회전하면, 2개의 랙(40)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가동날(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 기어(42)의 안쪽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면에서 봐서 대략 C형으로 형성된 요동 플레이트(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요동 플레이트(5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기어(42)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45)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동 플레이트(50)에 제2 기어(44)가 회전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 플레이트(50)가 요동한 경우에는, 제2 기어(44)가 샤프트(45)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플레이트(50)의 단부에는, 본체 유닛(8)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한 핀(5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핀(51)을 구동 기어(41)에 접근시키도록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이면 제2 기어(44)가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핀(51)을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하도록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이면 제2 기어(44)가 구동 기어(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기어(41)의 아래쪽에는,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호 커버(K)에 인접하여 고정 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핀(52)에는, 비틀림 용수철(53)이 고정되어 있다. 비틀림 용수철(53)의 일단측은, 지지 프레임(35)에 고정되고, 타단측은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을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통상시에는 제2 기어(44)와 구동 기어(41)가 항상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플레이트(50)에 인접하여 상기 레버부(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부(32)는, 커버 플레이트(36)의 안쪽에 회전 지지되어 있고, 아래쪽을 향해 눌러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레버부(32)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기구를 통하여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부(32)의 안쪽에는 내측 기어(32a)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도어(6)를 닫고 본체 유닛(8)과 플래튼 유닛(7)을 조합했을 때에, 플래튼 유닛(7)측의 부채형 기어(26)에 일부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레버부(32)의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하여 연동 기구(14)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버부(32)와 요동 플레이트(50)의 사이에는, 부채형으로 형성된 해제 플레이트(55)가 배치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3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55)에는, 해제 기어(56)가 부착되어 있고, 레버부(32)의 내측 기어(32a)의 일부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레버부(32)를 눌러내리면, 해제 플레이트(55)는 구동 기어(41)측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해제 플레이트(55)의 측면에는, 비틀림 용수철(53)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이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제 플레이트(55)가 구동 기어(41)측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용수철(53)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51)을 구동 기어(41)측으로 밀어,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기어(44)를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시켜 양자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어(44), 제1 기어(42) 및 랙(40)은,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즉, 랙(40)과 구동 기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떼어내고, 랙(40)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여 자유로운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술한 요동 플레이트(50), 핀(51), 비틀림 용수철(53) 및 해제 플레이트(55)는, 상기 해제 기구(33)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 유닛(8)의 다른쪽 측면에는, 제3 기어(43)에 맞물리는 피니언(57)이 지지 프레임(3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이 피니언(57)에는,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코일 용수철(58)이 내장되어 있다. 이 코일 용수철(58)은, 제3 기어(43)가 회전하여 가동날(30)을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 비틀리면서 오그라들고, 그로부터의 복원력에 의해 제3 기어(43)를 역회전시키도록 피니언(57)을 회전 탄성 가압하고 있다. 단, 통상시에는, 제3 기어(43)는, 샤프트(45)를 통하여 구동 기어(41)와 관계되어 있으므로, 코일 용수철(58)의 힘으로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해제 기구(33)에 의해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코일 용수철(58)의 힘에 의해 제3 기어(43)는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가동날(30)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코일 용수철(58)은,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에,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탄성 가압하여 자동적으로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피니언(57)의 아래쪽에는, 본체 유닛(8)과 플래튼 유닛(7)을 조합했을 때에, 플래튼 유닛(7)측의 종동 기어(10b)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기어열(600)과,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용 모터의 구동축(M2)에 연결됨과 더불어 플래튼용 기어열(600)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구동 기어(61)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용 기어열(600)은, 플래튼용 구동 기어(61)에 맞물리는 제4 기어(62)와, 상기 제4 기어(62)에 맞물리는 제5 기어(63)와, 상기 제5 기어(63) 및 종동 기어(10b)에 맞물리는 제6 기어(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멀 헤드(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록지(P)의 폭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개폐도어(6)가 닫혔을 때에 플래튼 롤러(1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서멀 헤드(4)는, 다수의 도시하지 않은 발열 소자를 가짐과 더불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용수철 등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측에 탄성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래튼 롤러(10)에 의해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서멀 헤드(4)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어,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멀 헤드(4)의 아래쪽은, 기록지(P)를 원활하게 끌어들이도록 만곡 형성된 가이드대(65)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대(65)의 윗쪽에는, 플래튼 롤러(10)의 축부에 덮어씌워진 베어링(10a)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도어(6)를 닫으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자연스럽게 이 끼워맞춤 구멍(66)에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 유닛(8)과 플래튼 유닛(7)이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7)에는, 끼워맞춤 구멍(66)의 아래쪽에 형성된 잠금 홈(67)에 끼워넣는 도시하지 않은 록 샤프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록 샤프트는, 플래튼 롤러(10)의 근방에 상기 플래튼 롤러(10)와 평행하게 배치된 샤프트이며, 양 유닛(7, 8)을 조합했을 시에 잠금 홈(67) 내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잠기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한, 양 유닛(7, 8)은 분리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잠금의 해제는, 개폐도어(6)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기구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것처럼 구성된 서멀 프린터(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폐도어(6)를 연 상태로 롤지(R)를 투입구(2a)로부터 케이싱(2) 내에 투입한다. 이 때, 미리 기록지(P)를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해 둔다. 그리고, 인출된 기록지(P)를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 인출한 상태 그대로, 개폐도어(6)를 닫아 잠금 기구에 의해 개폐도어(6)를 잠근다. 개폐도어(6)가 닫히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본체 유닛(8)측의 끼워맞춤 구멍(66)에 끼워넣어 맞춰짐과 더불어, 록 샤프트가 본체 유닛(8)측의 잠금 홈(67)에 끼워져 자동적으로 잠긴다. 이에 따라, 본체 유닛(8)과 플래튼 유닛(7)이, 서로 조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기록지(P)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4)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됨과 더불어, 배출구(2c)로부터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롤지(R)의 세트가 종료한 후,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정보의 인쇄를 행한다.
우선,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래튼용 모터를 구동하여 플래튼용 구동 기어(6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회전력은, 플래튼용 기어열(600)을 통하여 종동 기어(10b)에 전해지므로 플래튼 롤러(1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플래튼 롤러(10)의 외주면과 서멀 헤드(4)의 사이에 끼워진 기록지(P)가 케이싱(2)의 윗쪽으로 송출됨과 더불어, 재치대(2b) 상에 재치된 롤지(R)가 회전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서멀 헤드(4)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다수의 발열 소자가 적절한 열을 발한다. 이에 따라, 송출된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 후, 플래튼 롤러(10)에 의해 더 송출된 기록지(P)는, 커터 기구(3)로 보내지고,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사이를 통과한다.
다음에, 인쇄가 종료하여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커터용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 기어(4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회전력은, 제2 기어(44)를 통하여 제1 기어(42)에 전해지고, 상기 제1 기어(42)를 회전시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샤프트(45)를 통하여 제1 기어(42)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43)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기어(42) 및 제3 기어(43)에 각각 맞물려 있는 랙(40)이 직선 이동한다. 이에 따라, 랙(40)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46)를 통하여, 도 19 및 도 21(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20 및 도 21(b)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도록, 가동날(30)을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1(a)에 도시하는 상태는, 가동날(30)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의 상태이고, 가동날(30)이 소정의 위치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고정날(11) 및 가동날(30)을 해칭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이동한 가동날(3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날(11)의 상면에 올라타므로, 상호 날끝(11a, 30a)이 겹친다. 이에 따라, 기록지(P)를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사이에 끼워넣어 절단할 수 있다.
이 때, 가동날(30)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2점에서 고정날(11)에 접한다. 따라서, 가동날(3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기록지(P)를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절단할 수 있고, 기록지(P)를 치우치지 않고 양호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후의 기록지(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가동날(30)이 고정날(11)에 올라타면 상기 고정날(11)은 토대부(20)측으로 밀려되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고정날(11)은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윗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날(11)과 가동날(30)을 적당한 접촉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날(11)의 날끝(11a)을 가동날(30)의 날끝(30a)에 대해서 적당히 압접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날끝(11a)과 가동날(30)의 날끝(30a)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 기록지(P)를 양호한 잘림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고정날(11)은, 날 폭방향으로의 요동성이 제한되어 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토대부(20)와 근원부(11b)의 사이에 확보된 소정의 간극(H)을 이용하여, 날 폭방향으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르기 시작하는 곳부터 다 잘려진 곳까지 상황에 따라 날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고,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의 압접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끝까지 다 잘리지 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P)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에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사이에 기록지(P)가 걸려, 양날(11, 30)의 맞물림이 발생했다고 해도,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우선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부터 본체 유닛(8)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부(32)를 눌러내림 동작한다. 그러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버부(32)의 내측 기어(32a)가 회전하므로, 플래튼 유닛(7)측의 부채형 기어(26)가 회전한다. 부채형 기어(26)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샤프트(23) 및 2개의 스토퍼(22)가 회전한다. 즉, 2개의 스토퍼(22)는,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버부(32)의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날(11)의 날끝(11a)측을 아래쪽을 향해 눌러 내린다. 즉, 상면에 올라타 있는 가동날(30)로부터 분리되도록, 고정날(11)의 날끝(11a)을 코일 용수철(13)에 저항하는 힘으로 강제적으로 요동시킨다. 이에 따라, 맞물림의 원인이 되었던 가동날(30)과 고정날(11)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종이 걸림에 의해 비교적 접촉압이 높은 경우라도, 레버부(32)의 눌러내림 정도로 스토퍼(22)의 눌러내림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11)의 요동량을 조정할 수 있어 확실하게 양날(11, 30)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하여, 스토퍼(22)는, 고정날(11)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날(11)의 양단을 아래쪽을 향해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양단에 균등하게 힘을 전할 수 있어, 고정날(11)을 기울이지 않고 눌러내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압을 보다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레버부(32)를 눌러내림 조작하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측 기어(32a)의 회전에 따라 부채형 기어(26)가 회전하는 동시에, 해제 기어(56)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해제 플레이트(55)가 구동 기어(41)측으로 회전하고,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을 비틀림 용수철(53)에 저항하는 힘으로 구동 기어(41)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요동 플레이트(50)가 회전하여 제2 기어(44)를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시킨다. 즉, 해제 기구(33)가 레버부(32)의 눌러내림 동작에 연동하여, 구동 기어(41)에 맞물려 있는 제2 기어(44)를 구동 기어(41)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21(c)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랙(40)과 구동 기어(41)의 기계적인 연결이 분리되어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커터용 모터와의 관계가 없어지므로, 제1 기어(42) 및 제3 기어(43)를 커터용 모터에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코일 용수철(58)에 의한 회전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피니언(57)이 회전하고, 제3 기어(43)가 역회전한다. 이 제3 기어(43)는, 샤프트(45)를 통하여 제1 기어(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기어(42)도 동시에 역회전시킨다. 이 때, 상술한 것처럼 플래튼 유닛(7)측의 연동 기구(14)에 의해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이 이미 해제되어 있으므로,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기어(42) 및 제3 기어(43)의 역회전에 의해 랙(40)이 이동하고, 가동날(30)이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자동적으로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단시간에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32)를 눌러내림 조작함으로써, 스토퍼(22)를 이용하여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가동날(30)을 원래의 위치로 단시간에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잠금 기구를 해제하여 개폐도어(6)를 연다. 이 때, 잠금 기구의 해제에 의해, 본체 유닛(8)의 잠금 홈(67)에 끼워 잠기었던 록 샤프트도 해제된다. 이 때문에, 개폐도어(6)를 열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본체 유닛(8)의 끼워맞춤 구멍(66)으로부터 벗어나, 도 21(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래튼 유닛(7)이 본체 유닛(8)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폐도어(6)를 열어, 맞물림의 원인이 되었던 기록지(P)의 종이 걸림 부분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대응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개폐도어(6)를 닫음으로써, 플래튼 유닛(7)과 본체 유닛(8)을 조합하여 복구할 수 있고, 인쇄 작업으로 즉각 이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커터 기구(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날(11)의 높은 요동성을 가능하게 하여, 끝까지 다 잘리지않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P)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사용하기 쉬운데다, 절단 성능의 신뢰성이 향상된 프린터로 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32)를 눌러내림 조작하는 것만의 간단한 방법으로, 스토퍼(22)를 이용하여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없애고,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부담을 주지않고 신속하게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양날(11, 30)의 접촉압을 없애고,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이 걸림에 의해 양 유닛(7, 8)의 분리가 곤란한 경우라도, 맞물림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종이 걸림의 상황에 영향받지않고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하여, 레버부(32)를 눌러내림 조작하는 것만의 간단한 방법으로, 랙(40)과 제1 기어(42)의 맞물림 상태도 동시에 해제할 수 있고, 가동날(30)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종이 걸림이 생겼다고 해도 용이하게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 프린터로 할 수 있다. 특히, 개폐도어(6)를 열지 않아도, 레버부(32)를 눌러내림 조작하는 것만의 원터치 조작으로,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의 해제와, 가동날(30)의 자동적인 끌어들임 동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고정날(11)은, 돌기형상의 지지부를 필요로 했던 종래의 고정날과는 달리, 근원부(11b)가 평평한 단순한 판상의 고정날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형상의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는데다, 고정날(11)을 제작하는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메인티넌스의 빈도를 삭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금형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 및 커터 기구(3)의 저비용화로 이어질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서멀 프린터(1)의 저비용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3으로부터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날 홀더(12)의 토대부(20) 상에 돌기형상으로 솟아오른 볼록부(60)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 볼록부(60)는, 고정날(11)의 날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근원부(11b)에 접촉하여 상기 근원부(11b)를 샤프트(23)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함과 더불어,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날(11)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정날(11)이 볼록부(60)와 샤프트(23)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동날(30)이 고정날(11)에 올라탔을 때에, 고정날(11)이 토대부(20)측으로 밀려내려가도록 달아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날끝(11a)을 가동날(30)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압접시킬 수 있어, 절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볼록부(60)가 접촉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같이 고정날(11)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시 자르기 시작하는 곳부터 다 자른 곳까지 상황에 따라 고정날(11)을 요동시켜, 좌우 2점의 접촉 포인트의 압접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끝까지 다 잘리지 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P)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60)는, 고정날(11)의 날 폭방향의 대략 중앙 1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단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고정날(11) 전체를 확실하고 또한 안정되게 요동시킬 수 있어, 상술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60)를 토대부(20) 상에 설치하는 대신에, 볼록부(60)에 상당하는 돌기부를 고정날(11)의 근원부(11b)의 하면측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60)를 돌기형상이 아니라, 고정날(11)의 날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둑 형상으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둑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고정날(11)에 근원부(11b)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고정날(11)의 요동성이 약간 낮아진다. 따라서, 볼록부(6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일예로서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서멀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쇄부를 잉크 젯 헤드로 하고, 잉크방울을 이용하여 기록지에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의 상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된 서멀 프린터로 했는데, 케이싱의 전면에 개폐도어를 설치하고, 인쇄된 기록지가 전면측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설계해도 상관없다. 또한, 롤지를 투입하여 단순히 재치대 상에 놓는 드롭인 방식의 서멀 프린터로 했는데, 이 방식이 아니라, 케이싱의 내부에 롤지를 축 지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기구를 설치한 축 지지식의 서멀 프린터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날이 내장된 플래튼 유닛을 개폐도어측에 설치하고, 가동날이 내장된 본체 유닛을 케이싱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했는데, 이와는 반대로 플래튼 유닛을 케이싱측에 설치하고, 본체 유닛을 개폐도어측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고정날을 본체 유닛측에 설치하고, 가동날을 플래튼 유닛측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즉, 고정날 및 가동날은, 본체 유닛 또는 플래튼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설치해도 되고, 프린터의 설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개폐도어의 개폐에 따라 분리되는 타입의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고, 이에 맞추어 커터 기구를 고정날과 가동날이 분리되는 분리형 타입으로서 설명했는데, 본체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분리되지 않는 타입의 서멀 프린터에 커터 기구를 채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고정날과 가동날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의 커터 기구로 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고정날의 높은 요동성을 가능하게 하여, 끝까지 다 잘리지못하고 남는일 없이 확실하게 기록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절단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주 목적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 기구가 일체적으로 내장된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었는데, 커터 기구만을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날을 고정날의 하류측에 배치시키고, 고정날의 상면에 올라타도록 구성했는데, 커터 기구를 분리형 혹은 일체형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구성하는 경우나, 가동날을 고정날의 상류측에 배치시켜도 상관없다. 어쨌든, 고정날과 가동날의 위치 관계는, 어느쪽이 상류측 혹은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고정날의 날끝의 부상을 규제함과 더불어, 샤프트를 이용하여 고정날의 근원부의 부상을 규제했는데, 제1 규제 부재 및 제2 규제 부재는, 이들 스토퍼 및 샤프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날 홀더에 간단히 클로부 나 돌기부 나 벽부 등을 형성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날끝 및 근원부의 부상을 규제해도 상관없다.
P : 기록지 1 : 서멀 프린터(커터가 달린 프린터)
3 : 커터 기구 4 : 서멀 헤드(인쇄부)
7 : 플래튼 유닛(제1의 유닛) 8 : 본체 유닛(제2의 유닛)
11 : 고정날 11a : 고정날의 날끝
11b : 고정날의 근원부 12 : 고정날 홀더
20 : 고정날 홀더의 토대부 13 :코일 용수철(탄성 가압 부재)
30 : 가동날 21 :고정날 홀더의 벽부
22 :스토퍼(제1 규제 부재) 23 : 샤프트(제2 규제 부재)
60 : 볼록부

Claims (5)

  1.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로서,
    판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평행한 양변 중 한변쪽이 날끝, 다른변쪽이 근원부가 된 고정날과,
    상기 근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날끝이 상하로 요동하도록, 상기 고정날을 토대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유지하는 고정날 홀더와,
    상기 고정날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시에 고정날에 올라타 상기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상기 기록지를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절단하는 가동날과,
    상기 토대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날을 토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날 홀더는,
    상기 토대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근원부를 접촉시켜 상기 고정날을 상기 가동날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벽부와,
    탄성 가압된 상기 고정날의 날끝의 부상(浮上)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토대부와 상기 근원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탄성 가압된 상기 고정날의 근원부의 부상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은, 상기 날끝과 상기 근원부가 상기 토대부에 대해 부침(浮沈)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날 홀더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 상에는, 상기 고정날의 근원부에 접촉하여 상기 근원부를 상기 제2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함과 더불어,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날을 날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는, 상기 고정날에 상기 가동날이 올라탔을 때, 상기 고정날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기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 상기 고정날 홀더 및 상기 탄성 가압 부재가 내장된 제1의 유닛과,
    상기 가동날이 내장되고, 상기 제1의 유닛에 대해서 조합되는 제2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유닛과 상기 제2의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은, 다른쪽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기구.
  5.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커터 기구와,
    상기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
KR1020100048682A 2009-07-29 2010-05-25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KR101665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6800A JP5378900B2 (ja) 2009-07-29 2009-07-29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JP-P-2009-176800 2009-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206A KR20110013206A (ko) 2011-02-09
KR101665714B1 true KR101665714B1 (ko) 2016-10-12

Family

ID=4333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682A KR101665714B1 (ko) 2009-07-29 2010-05-25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6190B2 (ko)
EP (1) EP2279834B1 (ko)
JP (1) JP5378900B2 (ko)
KR (1) KR101665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494B1 (ja) 2010-12-15 2011-12-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固定刃支持装置、用紙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5864115B2 (ja) * 2011-03-18 2016-02-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RU2614483C2 (ru) * 2011-11-10 2017-03-28 ПЭКСАЙЗ, ЭлЭлСи Обрабатывающая машина
WO2013106180A1 (en) 2012-01-09 2013-07-18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with an upward outfeed guide
JP6430127B2 (ja) * 2014-02-28 2018-11-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440368B2 (ja) * 2014-02-28 2018-12-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325382B2 (ja) * 2014-07-28 2018-05-1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扉開閉装置
JP2016030417A (ja) * 2014-07-30 2016-03-07 ソニー株式会社 医療用プリンタ
JP6578099B2 (ja) * 2014-12-25 2019-09-18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US10093438B2 (en) 2014-12-29 2018-10-09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JP2016182724A (ja) * 2015-03-26 2016-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596980B2 (ja) * 2015-06-30 2019-10-30 株式会社寺岡精工 切断機構及び印刷装置
CN109311256B (zh) 2016-06-16 2021-06-22 派克赛泽有限责任公司 箱模板生产系统和方法
US10850469B2 (en) 2016-06-16 2020-12-0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US11242214B2 (en) 2017-01-18 2022-02-08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with fold sensing mechanism
SE541921C2 (en) 2017-03-06 2020-01-07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SE540672C2 (en) 2017-06-08 2018-10-09 Packsize Llc Tool hea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onverting machi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tool heads in a converting machine
JP6929519B2 (ja) * 2017-07-20 2021-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切断機構及び印刷装置
JP2019025576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切断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66279B2 (ja) * 2017-07-31 2021-11-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KR102585600B1 (ko) * 2017-07-31 2023-10-06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7027732B2 (ja) * 2017-08-31 2022-03-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切断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173685B2 (en) 2017-12-18 2021-11-16 Packsize Llc Method for erecting boxes
US11305903B2 (en) 2018-04-05 2022-04-19 Avercon BVBA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US11247427B2 (en) 2018-04-05 2022-02-15 Avercon BVBA Packaging machine infeed, separation, and creasing mechanisms
WO2019246344A1 (en) 2018-06-21 2019-12-26 Packsize Llc Packaging machine and systems
SE543046C2 (en) 2018-09-05 2020-09-29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US11524474B2 (en) 2018-11-30 2022-12-13 Packsize Llc Adjustable cutting and creasing heads for creating angled cuts and creases
US11072192B2 (en) * 2018-12-28 2021-07-27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WO2020146334A1 (en) 2019-01-07 2020-07-16 Packsize Llc Box erecting machine
US11701854B2 (en) 2019-03-14 2023-07-18 Packsize Llc Packaging machine and systems
JP6704152B2 (ja) * 2019-04-24 2020-06-03 株式会社寺岡精工 印刷装置
JP7384501B2 (ja) * 2022-02-07 2023-11-21 株式会社寺岡精工 印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204A (ja) 2004-03-22 2005-10-06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731A (en) * 1997-10-17 2000-12-05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Printing apparatus with cover actuated drive source
JPH11123692A (ja) * 1997-10-23 1999-05-11 Seiko Epson Corp シート切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装置
JP3801423B2 (ja) 2000-06-07 2006-07-26 日立金属株式会社 分離型スライド式シート材切断装置
JP4093876B2 (ja) * 2003-02-05 2008-06-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ッタ部を備えたプリンタ
JP4515057B2 (ja) * 2003-08-12 2010-07-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174489B2 (ja) * 2005-04-13 2008-10-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JP2007038367A (ja) * 2005-08-04 2007-02-15 Seiko Instruments Inc シート材切断ユニット、および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204A (ja) 2004-03-22 2005-10-06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9834A2 (en) 2011-02-02
US8506190B2 (en) 2013-08-13
EP2279834B1 (en) 2012-09-19
JP5378900B2 (ja) 2013-12-25
EP2279834A3 (en) 2011-12-14
KR20110013206A (ko) 2011-02-09
JP2011031398A (ja) 2011-02-17
US20110026999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714B1 (ko)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KR101510908B1 (ko) 커터가 달린 프린터
KR101505205B1 (ko) 커터가 달린 프린터
JP5230337B2 (ja) プリンタ
EP2343166B1 (en) 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US6508600B1 (en) Printer
US5833380A (en) Printer having cutting apparatus and protective device for use in a printer
EP1985456B1 (en) Printer device
JP6262429B2 (ja) プリンタ
EP1955833A1 (en) Sheet cutting device and printer
JP2007038313A (ja) 紙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2010099852A (ja)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EP3042775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EP2343193A1 (en) Printer
US9296232B2 (en) Thermal printer
JP4803158B2 (ja) カッ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003305907A (ja) ロール紙プリンタ
JP2020059110A (ja) カッタおよび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