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600B1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600B1
KR102585600B1 KR1020180085940A KR20180085940A KR102585600B1 KR 102585600 B1 KR102585600 B1 KR 102585600B1 KR 1020180085940 A KR1020180085940 A KR 1020180085940A KR 20180085940 A KR20180085940 A KR 20180085940A KR 102585600 B1 KR102585600 B1 KR 10258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pinion
rack
movable blad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537A (ko
Inventor
신이치 스도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91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96627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3Rack-and-pin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을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타고 오른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와,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해제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가동 날을 상기 대기 위치에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서멀 프린터에는 인자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인자 유닛은, 가동 날을 대기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로 종이를 절단한다. 가동 날을 절단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종이 잼(즉, 종이 걸림)이 발생하여, 가동 날이 고정 날에 타고 오른 위치에서 멈춰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종이 잼을 해제하기 위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간극을 두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함으로써, 종이 잼의 부하를 제거한다. 종이 잼의 부하를 제거함으로써, 가동 날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홈 포지션(이하, 대기 위치라고 함)에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고정 날과 가동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간극보다 큰 종이 잼이 발생한 경우에, 종이 잼의 부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의 1회의 조작으로 고정 날과 가동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해도 가동 날이 복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조작 레버를 몇 번이나 조작하여 종이 잼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종이 잼의 해제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잼을 해제할 수 없으면, 가동 날이 고정 날에 타고 오른 위치에서 멈춘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날이 부착된 프린터의 커버를 개방할 수 없다. 즉, 고정 날과 가동 날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도 없다. 이 때문에, 간극보다 큰 종이 잼이 발생한 경우에, 종이 잼의 해소가 어렵고, 이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남겨져 있었다.
따라서, 이 종류의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있어서는, 종이 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선행기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1630호(2009.12.29)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을,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타고 오른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와,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해제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가동 날을 상기 대기 위치에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구동 기구의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치(齒)에 맞물리고, 상기 록 해제 레버에 연동 가능한 복귀 피니언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록 해제 레버의 회전 중심과 동축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1 톱니바퀴 및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리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록 해제 레버의 이동에 추종하여 공전하는 플래니터리 기어와,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에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톱니바퀴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랙은, 상기 복귀 랙이 상기 절단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복귀 랙이 상기 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복귀 피니언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가동 날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된 랙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피니언은, 상기 구동 랙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 피니언의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피니언은, 피니언치(齒) 중 1치가 제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제1 톱니바퀴는, 상기 복귀 피니언에 최초로 맞물림 가능하고, 또한, 경방향 내측으로 퇴피 가능한 제1 치(齒)부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을 갖는 서멀 프린터는,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프린터 본체에 상기 가동 날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에 상기 고정 날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를 폐쇄 위치에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를 개방 위치에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인자 유닛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을 나타내는 도 3의 V 화살 표시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을 나타내는 도 3의 VI-V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가동 날을 대기 위치에 복귀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플래튼 유닛과 헤드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인자 유닛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을 나타내는 도 10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톱니바퀴의 제1 치부를 복귀 피니언에 맞물리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톱니바퀴의 제1 치부가 복귀 피니언의 날끝을 타고 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귀 피니언의 피니언치의 날끝을 타고 넘은 제1 치부가 다음의 피니언치의 측면에 맞닿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가동 날을 대기 위치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플래튼 유닛과 헤드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터 커버(3)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3)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감열지, 종이)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P)를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이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프린터 본체)(2)과, 프린터 커버(3)와, 프린터 커버(3)측에 설치된 플래튼 유닛(4)과, 케이싱(2)측에 설치된 헤드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4) 및 헤드 유닛(5)으로 인자 유닛(8)이 구성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커버(3)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좌하측(프린터 커버(3)측)을 전방(화살표 FW 방향), 우상측(케이싱(2)측)을 후방(화살표 BA 방향),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한다. 또한, 기록지(P)는 전방(FW)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L1) 및 상하 방향(L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L3)으로 한다. 그 때문에, 각 도면에 따라서는 각 방향이 반대로 되는 경우도 있다.
케이싱(2)은,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전방(FW)에 개구하는 큐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은, 기본 골격이 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를 덮는 외장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롤지(R)가 수용되는 기록지 수용부(10)가 형성되고,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함으로써 기록지 수용부(10)가 개방된다. 기록지 수용부(10)는, 전술한 프레임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 전방(FW)을 향해서 개구하는 상자형으로 되고, 그 내측에 롤지(R)가 폭방향을 좌우 방향(L3)으로 일치시킨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케이싱(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회동축(1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회동축(11)에는, 프린터 커버(3)가 케이싱(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3)는, 케이싱(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도 1의 위치)와, 케이싱(2)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에서 90도 정도의 각도 범위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케이싱(2)의 개구부(즉, 기록지 수용부(10))가 프린터 커버(3)로 개폐된다. 프린터 커버(3)가 개방 위치일 때에 기록지 수용부(10)가 개방되고, 예컨대 롤지(R)를 기록지 수용부(10) 내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소위 드롭 인 방식).
또한, 서멀 프린터(1)는, 프린터 커버(3)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의 선단부와 케이싱(2)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지(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FW)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약간의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12)로서 기능한다. 또,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록된다. 또한, 케이싱(2)에 있어서의 상부 전측에 위치하는 각부 중, 좌우 방향(L3)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각부에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을 해제하여, 프린터 커버(3)의 개방 조작을 행할 때의 조작 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인자 유닛(8)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도시하지 않음) 및 가동 날(22)이 주로 삽입된 유닛으로서, 케이싱(2) 내에서의 상부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유닛(5)은, 케이싱(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여 설치된 내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기록지 수용부(10)보다도 전방(FW)에서 유지되고 있다.
헤드 유닛(5)은, 헤드 프레임(23)과, 서멀 헤드와, 가동 날(22)과, 가동 날 구동 기구(구동 기구)(24)와, 록 해제 레버(25)와, 복귀 기구(26)와, 록 해제 기구(27)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프레임(23)은, 예컨대, 금속제의 프레임이다. 서멀 헤드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라인형상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 소자를 갖고 있다.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내면의 상부에 있어서, 보강 부재(31)와 전후 방향(L1)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부착되고,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헤드 유닛(5)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유닛(4)은, 플래튼 롤러(33)와, 고정 날(34)과, 플래튼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롤러(33)는, 기록지(P)를 프린터 커버(3)의 외부에 반송하는 롤러이다. 고정 날(34)은, 프린터 커버(3)의 내부에 설치되고, 플래튼 롤러(33)에 대하여 전방(FW)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프레임(35)은, 플래튼 롤러(33) 및 고정 날(34)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고정 날(34)은 프린터 커버(3)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을 구동하는 가동 날 구동 기구(24)를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프린터 커버(3)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프린터 커버(3)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의 인자 유닛(8)에 따르면, 헤드 유닛(5)의 서멀 헤드는, 좌우 방향(L3)(기록지(P)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라인형상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 소자를 갖고 있다. 서멀 헤드에 의해 기록지(P)에 인자된다. 또한, 서멀 헤드는, 프린터 커버(3)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33)에 대향하고, 플래튼 롤러(33)와의 사이에 기록지(P)가 통지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33)의 사이에는, 서멀 헤드를 하방(플래튼 롤러(33)측)을 향해서 가압하는 코일 용수철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래튼 롤러(33)에 의해서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하여 서멀 헤드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고, 인자 유닛(8)에 의한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가동 날(2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은, 가동 날 구동 기구(24)를 개재하여 케이싱(2)(도 2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프린터 커버(3)의 폐쇄 위치(도 1 참조)에 있어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 날(34)에 전후 방향(L1)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날뿌리(22a)로부터 날끝(22b)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V자형상의 판형상의 날이다. 또한, 가동 날(22)은, 가동 날 홀더(29)를 개재하여 가동 날 구동 기구(24)의 구동 랙(46)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가동 날 구동 기구(24)의 동작에 의해서 헤드 프레임(23)에 대하여 상하 방향(L2)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 날(22)은, 고정 날(34)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V 화살표시도이다.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 구동 기구(24)는, 절단 위치(P1)와 대기 위치(P2)와 가동 날(22)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절단 위치(P1)란,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타고 올라, 가동 날(22)이 고정 날(34)과 함께 기록지(P)를 절단하는 위치이다. 대기 위치(P2)란, 고정 날(34)로부터 가동 날(22)이 떨어진 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날 구동 기구(24)는, 구동용 모터(M1)와, 제1∼제4 구동톱니(41∼44)와, 구동 피니언(45)과, 구동 랙(4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용 모터(M1)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이다. 제1 구동톱니(41)는, 구동용 모터(M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구동톱니(41)는, 제2∼제4 구동톱니(42∼44)를 개재하여 구동 피니언(4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45)은, 피니언 지지축(지지축)(48)에 동축 상에 부착되어 있다. 피니언 지지축(48)은 구동 피니언(45)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 피니언(45)은, 좌우 방향(L3)으로 각각 한쌍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구동 피니언(45)은, 좌우 방향(L3)의 구동 랙(46)에 맞물려져 있다. 한쌍의 구동 피니언(45)은, 피니언 지지축(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동 랙(46)은, 대기 위치(P2)측의 단부(상단부)(46a)로부터 절단 위치(P1)측의 단부(하단부)(46b)까지 복수의 구동 랙치(47)가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 랙(46)은, 구동 랙(46)의 전역에 구동 랙치(47)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랙(46)은, 가동 날 홀더(29)의 좌우 방향(L3)을 따르는 양단부에 부착되고, 상하 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즉, 구동 랙(46)에는 가동 날 홀더(29)를 개재하여 가동 날(22)이 부착되어 있다. 이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동용 모터(M1)측의 구동 피니언(45) 및 구동 랙(46)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구동용 모터(M1)의 반대측의 구동 피니언(45) 및 구동 랙(46)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용 모터(M1)가 정회전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1)의 회전이 제1∼제4 구동톱니(41∼44)를 거쳐 구동 피니언(45)에 전해진다. 구동 피니언(45)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랙(46)이 복귀 기구(26)의 복귀 랙(58)(후술함)과 함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랙(46)이 이동함으로써, 구동 랙(46)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즉, 가동 날(22)이 절단 위치(P1)까지 이동한다.
한편, 구동용 모터(M1)가 역회전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1)의 회전이 제1∼제4 구동톱니(41∼44)를 거쳐 구동 피니언(45)에 전해진다. 구동 피니언(45)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랙(46)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랙(46)이 이동함으로써, 구동 랙(46)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즉,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까지 이동한다.
록 해제 레버(25)는, 헤드 프레임(23)의 측벽부(23a)에 레버 지지축(51)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체적으로는, 록 해제 레버(25)는, 후방을 향해서 압입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 해제 레버(25)의 선단부(25a)는, 조작 레버(13)에 있어서의 연결체(16)(도 2 참조)의 내측에 끼워맞춰져 있다. 조작 레버(13)(도 2 참조)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록 해제 레버(25)가 조작된다.
즉,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에 회동 조작함으로써, 록 해제 레버(25)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록 해제 레버(25)의 기단부(25b)에는, 제1 톱니바퀴(54)와 제2 톱니바퀴(5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54)는, 복귀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제2 톱니바퀴(55)는, 록 해제 기구(27)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26)는,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복귀시키는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복귀 기구(26)는, 제1 톱니바퀴(54)와, 복귀 피니언(57)과, 복귀 랙(5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톱니바퀴(54)는, 록 해제 레버(25)의 기단부(25b)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54)의 전상측에 복귀 피니언(57)이 배치되어 있다. 복귀 피니언(57)은, 피니언 지지축(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구동 피니언(45)에 인접하여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귀 피니언(57)은, 좌우 방향(L3)에 있어서 구동 피니언(45)의 케이싱(2)(도 2 참조)의 중앙측에, 구동 피니언(45)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귀 피니언(57)은, 제1 톱니바퀴(54)에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복귀 피니언(57)의 전방에서, 또한,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림 가능하게 복귀 랙(58)이 배치되어 있다. 복귀 랙(58)은, 좌우 방향(L3)에 있어서 구동 랙(46)의 케이싱(2)(도 2 참조)의 중앙측에, 구동 랙(46)의 측면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58)이 구동 랙(46)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 갯수를 늘리지 않고 복귀 랙(58)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자 유닛(8)(즉, 서멀 프린터(1))의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더욱 비용이 억제된다.
복귀 랙(58)은, 구동 랙(46)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구동 랙(46)과는 구동 랙치(47)의 치수가 상이하다. 즉, 구동 랙(46)은, 구동 랙(46)의 전역에 구동 랙치(4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복귀 랙(58)은,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의 단부(상단부)(58a)로부터 복귀 랙(58)의 대략 중앙의 부위(58b)까지 복귀 랙치(랙치)(59)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복귀 랙(58)은,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에만 복귀 랙치(59)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치(59)는, 구동 랙(46)의 구동 랙치(47)와 치형이 동일하고, 또한, 구동 랙치(47)와 동일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가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에만 형성됨으로써, 복귀 랙(58)이 대기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에 대한 복귀 피니언(5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도 8 참조). 한편, 복귀 랙(58)이 절단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가 복귀 피니언(57)과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된다.
복귀 기구(26)에 따르면, 록 해제 레버(25)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제1 톱니바퀴(54)가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25)를 계속하여 회동 조작함으로써, 복귀 피니언(57)이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귀 피니언(57)이 회전함으로써, 복귀 랙(58)이 구동 랙(46)과 함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다. 복귀 랙(58)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록 해제 레버(25)의 화살표 E 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에 연동시켜, 가동 날(22)을 화살표 G 방향(즉, 대기 위치(P2))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귀 피니언(57)은, 복수의 피니언치(57a) 중, 인접하는 피니언치(57a) 사이의 1치(피니언치(57a))가 제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피니언치(57a) 사이의 1치를 제거함으로써, 인접하는 피니언치(57a) 사이의 간격이 크게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피니언치(57a)를 복귀 랙치(59)에 맞물리게 할 때에, 피니언치(57a)의 선단이 복귀 랙치(59)의 선단과 맞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치(57a)를 복귀 랙치(59)에 원활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인접하는 피니언치(57a) 사이의 1치가 제거되지 않은 형상의 복귀 피니언(57)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귀 피니언(57)은, 피니언 지지축(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해도, 록 해제 레버(25)의 레버 조작에 의한 동력은 가동 날 구동 기구(25) 및 가동 날(2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종이 잼(즉, 종이 걸림) 등의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한 경우에는,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의 록 해제만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록 해제 레버(25)의 기단부(25b)에는, 록 해제 기구(27)의 제2 톱니바퀴(55)가 형성되어 있다. 록 해제 기구(27)는, 록 해제 레버(25)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프린터 커버(3)(도 1 참조)의 록을 해제하는 기구이다. 바꾸어 말하면,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록이 록 해제 레버(25)로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록 해제 기구(27)는, 제2 톱니바퀴(55)와, 해제 플레이트(62)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프레임(23)의 측벽부(23a)측에 있어서, 제2 톱니바퀴(55)의 후방에는, 해제 플레이트(62)가 플레이트 지지축(66)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62)는, 해제 톱니바퀴(63)와, 릴리스 캠(64)을 구비하고 있다.
해제 톱니바퀴(63)는, 록 해제 레버(25)의 제2 톱니바퀴(55)에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캠(64)은, 해제 톱니바퀴(63)와 일체로 형성되고,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의 조합을 해제하는 캠이다. 릴리스 캠(64)은, 해제 플레이트(62)의 회전 중심(즉, 플레이트 지지축(66))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록 해제 기구(27)에 따르면, 록 해제 레버(25)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는 것에 있어, 제2 톱니바퀴(55)가 해제 톱니바퀴(63)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25)를 계속하여 회동 조작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가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제 톱니바퀴(63)가 회전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와 함께 릴리스 캠(64)이 화살표 H 방향으로 요동한다. 릴리스 캠(64)이 요동함으로써, 릴리스 캠(64)이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측의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춘다. 릴리스 캠(64)이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춤으로써, 록 핀(72)을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캠 종동절부(71)를 압출한다. 록 핀(72)이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도 2 참조)의 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하여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할 때에, 구동 피니언(45)을 비회전 상태(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유지한 상태로,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멀 프린터(1)의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81)이 발생한 경우에 복귀 기구(26)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까지 복귀시키는 예를 도 7,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복귀 기구(26)를 작동시키는 록 해제 레버(25)는, 조작 레버(13)(도 2 참조)에 연동한다. 그러나, 도 7, 도 8에 있어서는, 복귀 기구(26)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복귀 기구(26)의 동작의 설명을, 록 해제 레버(25)의 조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7은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종이 걸림)(81)이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81)이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종이 잼(81)이 발생함으로써,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타고 오른 위치에서 멈춰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가동 날(22)이 멈춘 경우, 록 해제 레버(25)를 화살표 I 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 제1 톱니바퀴(54)가 복귀 피니언(57)을 향해서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25)를 계속하여 회동 조작함으로써, 제1 톱니바퀴(54)로 복귀 피니언(57)을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귀 피니언(57)이 회전함으로써, 복귀 랙(58)이 화살표 L 방향으로 이동한다. 복귀 랙(58)이 이동함으로써, 복귀 랙(58)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 L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은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57)의 회전에 의해, 가동 날(22)을 화살표 L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기 위치(P2)까지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에 복귀 피니언(57)을 맞물리게 했다. 또한, 복귀 피니언(57)에 록 해제 레버(25)를 연동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복귀 피니언(57)과 복귀 랙(58)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귀 랙(58)은 구동 랙(46)(도 5 참조)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랙(46)에는 가동 날(22)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복귀 피니언(57) 및 복귀 랙(58)에 의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복귀 랙(58)은,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에만 복귀 랙치(5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까지 복귀된 상태에 있어서,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로부터 복귀 피니언(57)이 벗어난다. 즉,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에 대한 복귀 피니언(5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킨 후, 프린터 커버(3)(도 1 참조)의 록을 해제할 때에, 복귀 랙(58)을 이동시키지 않고,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유지한 상태로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멀 프린터(1)의 프린터 커버(3)의 록을 록 해제 기구(27)로 해제하는 예를 도 2,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도, 록 해제 기구(27)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복귀 기구(26)의 동작의 설명을, 록 해제 레버(25)의 동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9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록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킨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25)를 화살표 I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동 조작한다. 록 해제 레버(25)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제2 톱니바퀴(55)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제 톱니바퀴(63)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25)를 더욱 계속하여 회동 조작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가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제 톱니바퀴(63)가 회전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와 함께 릴리스 캠(64)이 화살표 N 방향으로 요동한다.
릴리스 캠(64)이 요동함으로써, 릴리스 캠(64)이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측의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춘다. 릴리스 캠(64)이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춤으로써, 록 핀(72)을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캠 종동절부(71)를 압출한다. 록 핀(72)이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도 2 참조)의 조합 상태의 록이 해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록이 해제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를 제1 회동축(11)을 축으로 하여 개방한다. 이에 따라, 기록지 수용부(10)가 개방되고, 종이 잼(81)(도 8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 도 7∼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의 록을 해제하기 전에, 록 해제 레버(25)를 복귀 기구(26)와 연동하도록 했다. 록 해제 레버(25)로 복귀 기구(26)를 조작함으로써, 복귀 기구(26)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킴으로써,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81)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1)가 얻어진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25)를, 복귀 기구(26)에 연동시킴으로써,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25)를 종이 잼(81)을 제거하는 레버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자 유닛(8)(즉, 서멀 프린터(1))의 부품 갯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여기서, 록 해제 레버(25)의 선단부(25a)는, 조작 레버(13)에 있어서의 연결체(16)의 내측에 끼워맞춰져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3)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록 해제 레버(25)가 조작된다.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에 회동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13)에 연동하여, 록 해제 레버(25)가 후방을 향해서 회동한다. 따라서, 복귀 기구(26)나 록 해제 기구(27)를, 도 7∼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에 회동 조작함으로써, 복귀 기구(26)나 록 해제 기구(27)를 작동시켜 종이 잼(81)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100)을 도 10,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100)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8)과 동일, 유사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100)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100)은, 제1 실시형태의 록 해제 레버(25)를 록 해제 레버(102)로 바꾸고, 제1 실시형태의 복귀 기구(26)를 복귀 기구(103)로 바꾼 것이다. 인자 유닛(100)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8)과 동일하다.
록 해제 레버(102)는, 록 해제 레버(102)의 회전 중심과 동축 상에 레버 지지축(104)이 지지되어 있다. 이 레버 지지축(104)을 개재하여 제1 톱니바퀴(105) 및 선 기어(107)가 동축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105) 및 선 기어(10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105) 및 선 기어(107)는, 복귀 기구(103)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복귀 기구(103)는, 제1 실시형태의 복귀 기구(26)와 동일하게,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복귀시키는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복귀 기구(103)는, 제1 톱니바퀴(105)와, 복귀 피니언(57)과, 복귀 랙(58)과, 가속 기구(10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톱니바퀴(105)는, 록 해제 레버(102)의 레버 지지축(104)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지지축(104)은, 록 해제 레버(102)의 회전 중심과 동축 상에 지지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105)는, 제1 치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치부(112)는, 시계 방향의 단부(105a)측에 있어서, 제1 톱니바퀴(105)의 원호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치부(112)는, 시계 방향에 있어서 제1 톱니바퀴(105)의 가장 앞의 치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제1 톱니바퀴(105)가 반시계 둘레 방향(화살표 O)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톱니바퀴(105) 중 제1 치부(112)가 가장 앞에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다.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 후, 제1 톱니바퀴(105)가 반시계 둘레 방향(화살표 O)으로 계속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 치부(112)의 후방의 제1 톱니바퀴(105)가 복귀 피니언(57)에 연속하여 맞물린다.
여기서,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는, 아암부(113)의 선단부(113a)에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13)의 기단부(113b)는, 제1 톱니바퀴(105)의 베이스부(105b)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부(105b)는, 레버 지지축(104)에 대하여 동축 상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05b)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아암부(113)가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13)는, 기단부(113b)를 지점으로 하여 제1 톱니바퀴(105)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부(113)를 베이스부(105b)를 향해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제1 치부(112)를 제1 톱니바퀴(105)의 경방향 내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제1 치부(112)를 제1 톱니바퀴(105)의 경방향 내측으로 퇴피 가능하게 형성한 이유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톱니바퀴(105)는, 가속 기구(106)의 선 기어(10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속 기구(106)는, 선 기어(107)와, 플래니터리 기어(108)와, 인터널 기어(내치 기어)(109)를 구비하고 있다. 선 기어(107)는, 제1 톱니바퀴(105)에 대하여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선 기어(107)는, 제1 톱니바퀴(105)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선 기어(107)에 맞물리도록 플래니터리 기어(108)가 배치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기어(108)는, 록 해제 레버(102)에 플래니터리 축(115)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축(115)은, 레버 지지축(104)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록 해제 레버(102)가 레버 지지축(10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록 해제 레버(102)의 이동에 따라서 플래니터리 축(115)(즉, 플래니터리 기어(108))이 레버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108)는 인터널 기어(109)에 맞물려져 있다. 인터널 기어(109)는, 커버 만곡부(117)의 내주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만곡부(117)는, 인자 유닛(100)의 측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11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기구(103)에 따르면, 록 해제 레버(102)가 레버 지지축(104)을 축으로하여 조작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록 해제 레버(102)의 이동에 따라서 플래니터리 축(115)(즉, 플래니터리 기어(108))이 레버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108)가 공전함으로써, 플래니터리 기어(108)는 인터널 기어(109)에 맞물리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따라서, 선 기어(107)는, 반시계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 기어(107)와 함께, 제1 톱니바퀴(105)가 반시계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108)로 선 기어(107)를 반시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 기어(107)와 일체로 제1 톱니바퀴(105)가 반시계 둘레 방향(화살표 O)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록 해제 레버(102)의 스트로크량에 대하여 제1 톱니바퀴(105)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톱니바퀴(105)가 록 해제 레버(102)에 대하여 개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톱니바퀴(105)에 가속 기구(106)의 선 기어(107)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록 해제 레버(102)의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한 상태로 제1 톱니바퀴(105)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킬 때에, 록 해제 레버(102)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인자 유닛(100)의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81)이 발생한 경우에 복귀 기구(103)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까지 복귀시키는 예를 도 12∼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복귀 기구(103)를 작동시키는 록 해제 레버(102)는, 조작 레버(13)(도 2 참조)에 연동한다. 그러나, 도 12∼도 16에 있어서는, 복귀 기구(103)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복귀 기구(103)의 동작의 설명을 록 해제 레버(102)의 조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2는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종이 걸림)(81)이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81)이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종이 잼(81)이 발생함으로써,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타고 오른 위치에서 멈추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가동 날(22)이 멈춘 경우, 록 해제 레버(102)를 화살표 P 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 플래니터리 기어(108)가 레버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Q 방향으로 공전하고, 또한, 플래니터리 축(115)을 중심으로 화살표 R 방향으로 자전한다. 따라서, 선 기어(107)가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 기어(107)가 회전함으로써, 선 기어(107)와 함께 제1 톱니바퀴(105)가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3은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를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리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톱니바퀴(105)가 복귀 피니언(57)을 향해서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다. 제1 톱니바퀴(105)가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릴 때에, 우선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린다. 여기서, 복귀 피니언(57)은 피니언 지지축(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에 맞물릴 때에, 복귀 피니언(57)의 피니언치(57a)의 날끝(57b)이, 제1 치부(112)의 날끝(112a)에 대하여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생각된다.
도 14는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의 날끝(57b)을 타고 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57)의 날끝(57b)에 제1 치부(112)의 날끝(112a)이 맞닿은 경우, 제1 톱니바퀴(105)의 회전이 복귀 피니언(57)으로 저지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톱니바퀴(105)의 제1 치부(112)를 아암부(113)의 선단부(113a)에 형성하도록 했다. 따라서, 아암부(113)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제1 치부(112)를 제1 톱니바퀴(105)의 경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화살표 T 방향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톱니바퀴(105)가 반시계 둘레 방향을 향해서 화살표 S와 같이 회전하여,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의 피니언치(57a)의 날끝(57b)을 타고 넘는다.
도 15는 복귀 피니언(57)의 피니언치(57a)의 날끝(57b)을 타고 넘은 제1 치부(112)가 다음의 피니언치(57a)의 측면(57c)에 맞닿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치부(112)가 복귀 피니언(57)의 피니언치(57a)의 날끝(57b)을 타고 넘은 후, 아암부(113)의 복원력으로 제1 치부(112)가 퇴피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 복귀한 제1 치부(112)가, 다음의 피니언치(57a)의 측면(치면)(57c)에 맞닿는다.
「다음의 피니언치(57a)」란, 제1 치부(112)가 타고 넘은 피니언치(57a)에 대하여, 제1 치부(112)의 회전 방향(즉, 화살표 S 방향)에 인접하는 피니언치(57a)를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치부(112)가 피니언치(57a)를 타고 넘은 후,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치부(112)가 최초로 맞닿는 피니언치(57a)를 말한다. 복귀한 제1 치부(112)가, 다음의 피니언치(57a)의 측면(57c)에 맞닿음으로써, 복귀 피니언(57)을 제1 치부(112)(즉, 제1 톱니바퀴(105))에서 화살표 U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6은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해제 레버(102)를 계속해서 화살표 P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제1 톱니바퀴(105)로 복귀 피니언(57)을 화살표 U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한다. 복귀 피니언(57)이 회전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귀 랙(58)이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복귀 랙(58)이 이동함으로써, 복귀 랙(58)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 위치(P2)까지 되돌아간다.
여기서, 제1 톱니바퀴(105)에 가속 기구(106)의 선 기어(10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제1 톱니바퀴(105)의 회전량을, 록 해제 레버(102)의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한 상태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 해제 레버(102)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복귀 랙(58)은,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에만 복귀 랙치(5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까지 되돌아간 상태에 있어서,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로부터 복귀 피니언(57)이 벗어난다. 즉,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귀 랙(58)의 복귀 랙치(59)에 대한 복귀 피니언(5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킨 후, 프린터 커버(3)(도 1 참조)의 록을 해제할 때에, 복귀 랙(58)을 이동시키지 않고, 록 해제 레버(102)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유지한 상태로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멀 프린터(1)의 프린터 커버(3)의 록을 록 해제 기구(27)로 해제하는 예를 도 2,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도, 록 해제 기구(27)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복귀 기구(103)의 동작의 설명을 록 해제 레버(102)의 동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7은 플래튼 유닛과 헤드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킨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102)를 화살표 P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동 조작한다. 록 해제 레버(102)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제2 톱니바퀴(55)가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제 톱니바퀴(63)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록 해제 레버(102)를 더욱 계속해서 화살표 P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가 화살표 W 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제 톱니바퀴(63)가 회전함으로써, 해제 톱니바퀴(63)와 함께 릴리스 캠(64)이 화살표 W 방향으로 요동한다.
릴리스 캠(64)이 요동함으로써, 릴리스 캠(64)이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측의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춘다. 릴리스 캠(64)이 캠 종동절부(71)에 걸어맞춤으로써, 록 핀(72)을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캠 종동절부(71)를 압출한다. 록 핀(72)이 오목부(73)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도 2 참조)의 조합 상태의 록이 해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록이 해제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를 제1 회동축(11)을 축으로 하여 개방한다. 이에 따라, 기록지 수용부(10)가 개방되고, 종이 잼(81)(도 16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 도 12∼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의 록을 해제하기 전에, 록 해제 레버(102)를 복귀 기구(103)와 연동하도록 했다. 록 해제 레버(102)로 복귀 기구(103)를 조작함으로써, 복귀 기구(103)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확실하게 복귀시킴으로써,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81)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1)가 얻어진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102)를, 복귀 기구(103)에 연동시킴으로써,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102)를 종이 잼(81)을 제거하는 레버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자 유닛(8)(즉, 서멀 프린터(1))의 부품 갯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여기서, 록 해제 레버(102)의 선단부(102a)는, 조작 레버(13)에 있어서의 연결체(16)의 내측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3)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록 해제 레버(102)가 조작된다.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에 회동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13)에 연동하여, 록 해제 레버(102)가 후방을 향해서 회동한다. 따라서, 복귀 기구(103)나 록 해제 기구(27)를, 도 12∼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에 회동 조작함으로써, 복귀 기구(103)나 록 해제 기구(27)를 작동시켜 종이 잼(81)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날(34)을 프린터 커버(3)(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에 설치하고, 가동 날(22)을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에 설치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고정 날(34)을 케이싱(2)에 설치하고, 가동 날(22)을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날(34)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록 해제 레버(25)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킴으로써, 종이 잼(81)을 제거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록 해제 레버(25)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킬 때에, 고정 날(34)을 가동 날(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 날(34)을 가동 날(22)로부터 분리하는 동작도 록 해제 레버(25)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록 해제 레버(25)를 조작 레버(13)의 회동 동작에 연동시킨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록 해제 레버(25)의 선단부(25a)를 케이싱(2)의 외측에 노출시켜,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록 해제 레버(25)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랙(58)을 구동 랙(46)에 일체로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복귀 랙(58)을 구동 랙(46)과는 별개로 개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귀 랙(58)을 가동 날(22)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랙(58)을 구동 랙(46)의 내측에 배치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의 예로서, 예컨대 복귀 랙(58)을 구동 랙(46)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속 기구(106)를 선 기어(107), 플래니터리 기어(108), 및 인터널 기어(109)로 구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가속 기구(106)를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을,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타고 오른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레버와,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해제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록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가동 날을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치(齒)에 맞물리고, 상기 록 해제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복귀 피니언을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록 해제 레버의 회전 중심과 동축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1 톱니바퀴 및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리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록 해제 레버의 이동에 추종하여 공전하는 플래니터리 기어와,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에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톱니바퀴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귀 랙은,
    상기 복귀 랙이 상기 절단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복귀 랙이 상기 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복귀 피니언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가동 날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된 랙치를 갖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귀 피니언은,
    상기 구동 랙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 피니언의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귀 피니언은, 피니언치 중 1치가 제거되어 있는, 인자 유닛.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바퀴는,
    상기 복귀 피니언에 최초로 맞물림 가능하고, 또한, 경방향 내측으로 퇴피 가능한 제1 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 피니언은,
    상기 구동 랙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 피니언의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인자 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 피니언은, 피니언치 중 1치가 제거되어 있는, 인자 유닛.
  10.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갖는 서멀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프린터 본체에 상기 가동 날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에 상기 고정 날이 설치되어 있는, 서멀 프린터.
KR1020180085940A 2017-07-31 2018-07-24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102585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7873 2017-07-31
JPJP-P-2017-147873 2017-07-31
JPJP-P-2017-189157 2017-09-28
JP2017189157A JP6966279B2 (ja) 2017-07-31 2017-09-28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537A KR20190013537A (ko) 2019-02-11
KR102585600B1 true KR102585600B1 (ko) 2023-10-06

Family

ID=630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40A KR102585600B1 (ko) 2017-07-31 2018-07-24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86442B2 (ko)
EP (1) EP3437811B1 (ko)
KR (1) KR102585600B1 (ko)
CN (1) CN109318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0735B2 (en) 2019-12-02 2022-08-02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CN112428695B (zh) * 2020-11-24 2022-01-11 珠海正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式精密打印头
JP2022147153A (ja) * 2021-03-23 2022-10-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9574A (ja) 2005-04-13 2006-10-26 Nec Infrontia Corp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JP2014040077A (ja) 2012-08-23 2014-03-06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JP2015009397A (ja) 2013-06-27 2015-01-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891B2 (ja) 1999-10-29 2006-07-26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JP5265972B2 (ja) * 2008-06-18 2013-08-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4577436B2 (ja) * 2008-10-08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の切断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5378900B2 (ja) * 2009-07-29 2013-12-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6293439B2 (ja) * 2013-08-28 2018-03-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9156284B2 (en) * 2014-01-21 2015-10-1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er apparatus
JP6425449B2 (ja) * 2014-08-05 2018-11-21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604474B2 (en) * 2014-09-02 2017-03-28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printer
KR101797840B1 (ko) * 2016-01-12 2017-11-15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 장치
JP6966279B2 (ja) * 2017-07-31 2021-11-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9574A (ja) 2005-04-13 2006-10-26 Nec Infrontia Corp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JP2014040077A (ja) 2012-08-23 2014-03-06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JP2015009397A (ja) 2013-06-27 2015-01-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7811A3 (en) 2019-02-27
EP3437811B1 (en) 2020-06-17
US10486442B2 (en) 2019-11-26
CN109318601B (zh) 2021-04-20
EP3437811A2 (en) 2019-02-06
KR20190013537A (ko) 2019-02-11
CN109318601A (zh) 2019-02-12
US20190030923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600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US8783984B2 (en) Auto-cutter for roll paper printer
JP4581677B2 (ja) ピーラー機能付きプリンタ
KR20090131630A (ko) 커터가 달린 프린터
JP6262429B2 (ja) プリンタ
EP2052907A2 (en) Assist grip
CN105729527A (zh) 切割器以及打印机
US20230182801A1 (en) Vehicle steering wheel with movable structure and locking device
TWI763890B (zh) 印字單元以及熱列印機
KR101297646B1 (ko) 인쇄용지 절단장치와 잠금 및 해제수단이 구비된 프린터
EP3677395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JP2021154718A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KR2021006900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US4236753A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2009035060A (ja) 車両用シート
JP7189052B2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US20240034388A1 (en) Motor vehicle steering wheel with foldable or retractable rim
CN112977193B (zh) 一种集成保持功能的定点回位机构及其汽车座椅
JP2004255865A (ja) カバーロック機構付きプリンタ
KR20220132443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2006082752A (ja) 折畳み収納式自動車用シート
KR20220132442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2006082762A (ja) 折畳み収納式自動車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