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43A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43A
KR20220132443A KR1020220034596A KR20220034596A KR20220132443A KR 20220132443 A KR20220132443 A KR 20220132443A KR 1020220034596 A KR1020220034596 A KR 1020220034596A KR 20220034596 A KR20220034596 A KR 20220034596A KR 20220132443 A KR20220132443 A KR 2022013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rack
unit
platen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타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6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shearing means, e.g. shearing blades, ab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5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utters, e.g. guillotines, used in a label maker or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쪽의 유닛은,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날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랙 부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을 갖고,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을 갖고,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랙 부재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랙 톱니를 가진 구동 랙과, 상기 구동 랙과는 따로 독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귀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복귀 랙 톱니를 가진 복귀 랙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서멀 프린터에는 인자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인자 유닛은, 가동 날을 대기 위치부터 절단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 사이에서 종이를 절단하는 유닛이다. 가동 날을 절단 위치까지 이동시켜 종이의 절단을 행할 때, 가동 날과 고정 날 사이에 종이 잼(즉, 종이 걸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동 날이 고정 날에 올라앉은 위치에서 멈추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종래부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플래튼 유닛의 조작 레버와, 가동 날의 복귀 기구를 구비한 구성의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 사이에서 가동 날을 이동시킨다. 조작 레버는,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복귀 기구는, 가동 날이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와 연동하여, 구동 랙을 통해 가동 날을 절단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서멀 프린터에서는, 이러한 복귀 기구에 의해, 가동 날이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한 조작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을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가동 날을 대기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서멀 프린터의 구성에서는, 가동 날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의 피니언 기어와, 가동 날을 대기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 기구의 피니언 기어가, 같은 구동 랙에 맞물려 있다.  이로 인해, 구동 기구의 피니언 기어와 복귀 기구의 피니언 기어가 동위상에서 구동된다. 즉, 구동 기구의 동작과 복귀 기구의 동작이 동기한 것이 된다. 이로 인해, 구동 기구와 복귀 기구에서, 각각 최적인 설계로 하려면 제한을 받는 일이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구동 기구와, 복귀 기구에서, 각각 높은 자유도로 설계를 행할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쪽의 유닛은,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날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랙 부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을 갖고,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을 갖고,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랙 부재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랙 톱니를 가진 구동 랙과, 상기 구동 랙과는 따로 독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귀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복귀 랙 톱니를 가진 복귀 랙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구동 랙과 상기 복귀 랙은 병렬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 랙의 상기 구동 랙 톱니와 상기 복귀 랙의 상기 복귀 랙 톱니는, 위상, 및 피치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귀 피니언에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기어 톱니부를 가진 복귀 기어를 더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수의 기어 톱니부는, 상기 복귀 기어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랙의 상기 복귀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기어 톱니부 중,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상기 복귀 기어의 회동 방향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기어 톱니부와, 상기 복귀 피니언이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서멀 프린터는, 상기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프린터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기어 커버 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래튼 프레임 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수용 홈과 플래튼 베어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고정 날과 가동 날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랙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랙 부재와, 구동 피니언, 복귀 피니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복귀 기어 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조작 레버, 및 복귀 기구 주변을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복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조작 레버의 주변을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크 위치에서 조작 레버를 압하(押下)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복귀 기어가 복귀 피니언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비교를 위해, 구동 랙과 복귀 랙이 동위상인 경우에 있어서, 복귀 기어가 복귀 피니언에 맞물린 제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를 위해, 구동 랙과 복귀 랙이 동위상인 경우에 있어서, 복귀 기어가 복귀 피니언에 맞물린 제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하고, 조작 레버의 부딪침면을 이탈 아암의 보스에 부딪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하여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플래튼 베어링을 수용 홈의 개방구에 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롤지형의 기록지(감열지)(P)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P)를, 예를 들면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프린터이다.
서멀 프린터(1)는, 예를 들면 점포의 점두에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그 때문에, 서멀 프린터(1)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를 기록지(P)에 인쇄함과 더불어, 인쇄한 기록지(P)를 배출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서멀 프린터(1)는, 예를 들면 점두의 설치면(S) 상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는 큐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S)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L1)이라고 하고, 설치면(S)에 대해서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제2 방향)(L2) 및 좌우 방향(제1 방향)(L3)이라고 한다. 또한, 전후 방향(L2) 중, 전방을 화살표 FW로 나타내고, 후방을 화살표 BK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면(紙面)에 대하여 좌하측이 전방(FW), 우상측이 후방(BK)으로 되어 있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본 발명에 따르는 프린터 본체)(2)과, 프린터 커버(3)와, 헤드 유닛(5) 및 플래튼 유닛(6)으로 구성되는 인자 유닛(4)을 구비하고, 기록지(P)가 전방(FW)으로 배출되는, 이른바 전방 배출 타입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프린터 커버(3) 측에 플래튼 유닛(6)이 설치되고, 케이싱(2) 측에 헤드 유닛(5)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프린터 커버(3) 측에 헤드 유닛(5)을 설치하고, 케이싱(2) 측에 플래튼 유닛(6)을 설치해도 상관없다.
케이싱(2)은, 합성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방(FW)에 개구부를 갖는 큐브형으로 형성되고, 설치면(S)에 대향하는 저면(11)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면(10)을 갖고 있다. 단, 케이싱(2)의 형상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복수의 외면(10) 중, 저면(11)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마주보는 외면을 윗면(12)이라고 한다. 또 복수의 외면(10) 중, 전방(FW) 측에 위치하는 외면을 전면(13)이라고 하고, 후방(BK) 측에 위치하는 외면을 후면(14)이라고 한다. 이들 전면(13) 및 후면(14)은, 전후 방향(L2)으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복수의 외면(10) 중, 좌우 방향(L3)으로 마주보는 외면을 한 쌍의 측면(15)이라고 한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케이싱(2)의 전면(1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롤형의 기록지(P)를 수납 가능한 기록지 수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3)가 열렸을 때에, 기록지 수납부(16) 내에 전방(FW)으로부터 롤형의 기록지(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3)는, 케이싱(2)의 전면(13) 측의 하부에, 회전축부(17)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는, 회전축부(17) 둘레로 대략 90도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 당해 프린터 커버(3)의 선단과 케이싱(2)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록지(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FW)으로 인출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이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18)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는, 프린터 커버(3)가 닫혔을 때, 플래튼 유닛(6)과 헤드 유닛(5)의 조합에 따라 로크된다. 이에 의해서, 프린터 커버(3)는 닫힘 상태로 로크된다.
또한 케이싱(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13)과 윗면(12)과 한쪽의 측면(15)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플래튼 유닛(6)과 헤드 유닛(5)의 조합(로크)을 해제하기 위한 레버(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의 로크에 대해서도 해제할 수 있어,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버(19)는, 예를 들면 하방을 향해서 압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에는,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종이 이송 버튼으로 된 조작 버튼(3a)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3a)은, 프린터 커버(3)의 외면에 압하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 버튼(3a)은 레버(19)의 하방에 상하 방향(L1)으로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4)은, 케이싱(2) 측에 설치된 헤드 유닛(5)과, 프린터 커버(3) 측에 설치되고, 헤드 유닛(5)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5)은, 당해 헤드 유닛(5)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헤드 프레임(20)과, 헤드 프레임(20)을 전방(FW) 및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헤드 커버 플레이트(21)와,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기어 커버(22, 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주로 헤드 프레임(20)을 이용하여 장착되고, 헤드 커버 플레이트(21) 및 기어 커버(22, 23)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 유닛(5)은, 케이싱(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은, 기록지 수납부(16)의 상방이며, 케이싱(2)의 전면(13) 근처에 배치되고, 주로 헤드 프레임(20)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케이싱(2)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유닛(5)은, 가동 날(26)의 날끝(26a)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헤드 유닛(5)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래튼 유닛(6)은, 당해 플래튼 유닛(6)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플래튼 프레임(40)과, 플래튼 프레임(40)을 전방(FW) 및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플래튼 프레임(4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6)은, 플래튼 롤러(45) 및 고정 날(46)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플래튼 롤러(45) 및 고정 날(46)은, 주로 플래튼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장착되고,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래튼 유닛(6)은, 주로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를 통해 프린터 커버(3)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플래튼 유닛(6)은,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헤드 유닛(5)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유닛(6)은 고정 날(46)의 날끝(46a)이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날(46)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되었을 때, 날끝(46a)이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플래튼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40)에는, 고정 날(46)보다 후방(BK)에 위치하는 부분에 플래튼 롤러(45)를 수납하는 플래튼 수납 공간(47)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플래튼 수납 공간(47)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플래튼 롤러(45)를 지지하는 지지벽(48)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45)는, 기록지(P)를 프린터 커버(3)의 외부로 반송하는 고무 롤러이며,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는 플래튼 축(50)에 권회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45)는, 헤드 유닛(5) 측에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플래튼 수납 공간(47) 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더불어, 지지벽(48)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롤러(45)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래튼 축(50)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의 플래튼 베어링(51)이 각각 씌워져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눌렀다고 하더라도,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축(50)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베어링(51)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종동 기어(52)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벽(48)은, 예를 들면 슬릿 구멍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사이에 끼워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45)는, 플래튼 수납 공간(47) 내에 수납된 상태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통해 한 쌍의 지지벽(4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은, 지지벽(4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각각 수용된다. 또한, 도 5에서는, 플래튼 유닛(6) 중 주로 플래튼 롤러(45) 및 플래튼 베어링(51)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헤드 유닛(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25)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라인 형으로 늘어선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발열 소자를 갖고,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플래튼 롤러(45)에 대향하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록지(P)는, 플래튼 롤러(45)와 서멀 헤드(25) 사이를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멀 헤드(25)와 헤드 프레임(20) 사이에는, 서멀 헤드(25)를 플래튼 롤러(45) 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45)에 의해서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서멀 헤드(25)를 확실히 누를 수 있어, 인자 유닛(4)에 의한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20)은, 플래튼 유닛(6)에 있어서의 플래튼 프레임(40)의 지지벽(4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60, 6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60, 61)에는,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각각 내부에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수용 홈(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2)의 후방(BK)(제2 방향의 일방측)으로 파인, 측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고, 플래튼 유닛(6) 측을 향하는 전방(FW)에 개방구(62a)를 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에 있어서의 홈 저부(62b)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한쪽의 측벽부(60)에 형성된 수용 홈(62)를 도시하고, 그 외의 각 구성품에 도시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수용 홈(62)의 내측면에는,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홈 저부(62b) 측을 향함에 따라서 개구 폭을 좁히도록 형성되고, 플래튼 베어링(51)을 홈 저부(62b) 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은, 개방구(62a)가 가장 개구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안내 돌기(63)에 있어서의 정점부(63a) 부근에서 개구 폭이 가장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에 안내 돌기(6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플래튼 베어링(51)을 안내 돌기(63)를 따라서 홈 저부(62b) 측에 넣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60, 61)에 수용 홈(6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했을 때에,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은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끼워 넣어져,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래튼 베어링(51)은, 홈 저부(62b)에 접한 상태로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되었을 때에, 날끝(26a)이 플래튼 유닛(6) 측을 향하도록 구동 기구(27)를 통해 헤드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가동 날(26)은 고정 날(46)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절단 위치(P1)로 이동했을 때에, 고정 날(46)에 대해서 전후 방향(L2)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26)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동으로부터 날끝(26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V자 모양의 판형 날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은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 이동시키고, 고정 날(46)과 가동 날(26)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은, 가동 날 홀더(70)를 통해 랙 부재(300)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날(26)은, 구동 기구(27)의 동작에 의하여 헤드 프레임(20)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은 고정 날(46)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는, 절단 위치(P1)와 대기 위치(P2)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절단 위치(P1)란, 가동 날(26)이 고정 날(46)에 올라앉음으로써, 가동 날(26)이 고정 날(46)과 함께 기록지(P)를 절단하는 위치(도 8 참조)이다. 대기 위치(P2)란, 고정 날(46)로부터 가동 날(26)이 적절히 떨어진 위치(도 4 참조)이다. 구동 기구(27)는, 구동용 모터(75), 구동 중간 바퀴(76), 2단 중간 바퀴(77),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75)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 되고,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75)의 구동축은, 감속 기구(75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감속 기구(75a)의 출력축(75b)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구동 중간 바퀴(76)는, 한쪽의 측벽부(6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되고, 감속 기구(75a)의 출력축(75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중간 바퀴(76)는, 감속 기구(75a)를 통한 구동용 모터(75)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 중간 바퀴(77)는, 구동 중간 바퀴(76)와 구동 피니언(78)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 지지축(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단 중간 바퀴(77)는, 대경 중간 바퀴(77a), 및 대경 중간 바퀴(77a)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소경 중간 바퀴(77b)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 중간 바퀴(77a)는,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구동 중간 바퀴(76)에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의 전체는, 구동 중간 바퀴(76)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또한, 소경 중간 바퀴(77b)는, 대경 중간 바퀴(77a)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동 피니언(78)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구동 피니언(78)은, 소경 중간 바퀴(77b)보다 조작 레버(28) 측에 위치하고, 또한 구동 랙(71)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피니언 지지축(81)에 대해서 동축(同軸)에 배치된 상태로 당해 피니언 지지축(8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피니언(78) 및 피니언 지지축(81)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 구동 피니언(78)은, 소경 중간 바퀴(77b)에 맞물려 있음과 더불어, 구동 랙(71)에 있어서의 구동 랙 톱니(71a)에 맞물려 있다.
구동 랙(71)은, 랙 부재(300)에 설치되어 있다. 랙 부재(3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뿐만이 아니라,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도 배치되며, 헤드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지지축(81)은,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좌우 방향(L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은, 피니언 지지축(81)을 통해, 동기한 상태로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랙 부재(300)는, 가동 날 홀더(70)의 좌우 방향(L3)을 따르는 양단부에 장착되고, 상하 방향(L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랙 부재(300)는, 가동 날 홀더(70)를 통해 가동 날(26)에 대해서 조합되어 있다. 랙 부재(300)는, 가동 날(26)과 일체로 이동 가능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부재(300)는, 구동 랙(71)과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복귀 랙(130)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랙(71)에는, 상하 방향(L1)의 전역에 걸쳐서,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가 소정의 피치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은, 이 구동 랙 톱니(71a)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랙(71)을 통해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와 절단 위치(P1)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한쪽의 측벽부(60) 측(구동용 모터(75) 측)에 위치하는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위치하는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75)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대경 중간 바퀴(77a) 및 소경 중간 바퀴(77b))를 통해 구동 피니언(78)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구동 랙(71)을, 복귀 기구(29)의 후술하는 복귀 랙(130)과 더불어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같은 방향으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부터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용 모터(75)를 역회전 시킴으로써,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를 통해 구동 피니언(78)을 역회전 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더불어 화살표 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같은 방향으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2단 중간 바퀴(77)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축(80)은,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윙 플레이트(90)에 고정되어 있다. 도 7, 도 9,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90)에는, 당해 스윙 플레이트(90)를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함과 더불어 피니언 지지축(81)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스윙 플레이트(90)는, 삽입 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 내에 피니언 지지축(81)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측벽부(60)의 벽면을 따라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윙 플레이트(90)는, 구동 중간 바퀴(76)와 구동 랙(71)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제1 플레이트부(92)와, 후술하는 로크 아암(140)의 요동 축선(O2)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플레이트부(93)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지지축(80)은, 제1 플레이트부(92)로부터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지지축(80)에 지지되어 있는 2단 중간 바퀴(77)는, 스윙 플레이트(90)에 수반해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부(93)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결합 핀(9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윙 플레이트(9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2단 중간 바퀴(77)의 대경 중간 바퀴(77a)가 구동 중간 바퀴(76)에 대해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제1 탄성 가압 부재(10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한쪽의 측벽부(60)에 돌출되어 설치된 코일 지지축(105)에 지지된 코일부(100a)와, 헤드 프레임(20)에 걸린 제1 코일 단부(100b)와, 스윙 플레이트(90)의 걸림 돌기(94)에 걸린 제2 코일 단부(100c)를 갖는다.
이에 의해, 스윙 플레이트(9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부(93)가 조작 레버(28) 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므로, 대경 중간 바퀴(77a)가 구동 중간 바퀴(76)에 대해서 눌린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탄성 가압 부재(10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 스윙 플레이트(90)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따라, 결합 핀(95)이 후술하는 밀어 올림 캠(113)에 의해서 밀어 올려짐으로써,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2단 중간 바퀴(77)가 구동 중간 바퀴(76)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는,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어 플래튼 롤러(45)와 평행하게 배치된 레버 지지축(10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8)는, 레버 지지축(106)을 중심으로 하여, 로크 위치(P3)로부터 후술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P4)나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한쪽의 측벽부(60)를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측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압입(押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버 지지축(106)은, 기어 커버(22)의 내면으로부터 한쪽의 측벽부(60)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지지축(106)의 중심축선이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이 된다.
로크 위치(P3)란, 헤드 유닛(5)에 대해서 플래튼 유닛(6)이 로크되는 위치를 말한다. 맞물림 해제 위치(P4)란, 조작 레버(28)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밀어 올림 캠(113)에 의해서 스윙 플레이트(90)가 요동하여, 2단 중간 바퀴(77)의 대경 중간 바퀴(77a)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를 말한다. 로크 해제 위치(P5)란,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6)의 로크가 해제되는 위치를 말한다.
도 5, 도 9, 도 10,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의 기단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부채꼴로 형성된 레버 플레이트(110)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110)의 외면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항하여 플래니터리축(111)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110)에는, 경방향 외측을 항하여 불룩한 밀어 올림 캠(113) 및 규제 돌출편(114)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니터리축(111)은, 레버 지지축(106)에 대해서 오프셋 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밀어 올림 캠(113)은, 레버 지지축(106)을 축으로 하여, 스윙 플레이트(90)에 형성된 결합 핀(95)보다 시계 회전 방향 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회전했을 때, 결합 핀(95)에 대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밀어 올림 캠(113)의 외면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항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걸림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출편(114)은, 밀어 올림 캠(113)보다 시계 방향 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헤드 프레임(20)에 형성된 규제 벽부(116)에 대해서 시계 방향 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28)의 전체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이에 의해서 로크 위치(P3)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는, 로크 해제 위치(P5)로 이동하여, 더 후방으로 눌러 움직이는 조작이 되었을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기어 커버(22)의 규제벽부(117)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는, 로크 해제 위치(P5)를 넘어서 더 크게 압하 조작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 레버(28)의 선단부는, 케이싱(2)에 설치된 레버(19)에 있어서의 연결체(19a)(도 2 참조)의 내측에 감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28)는, 레버(19)의 조작에 연동하여 조작된다. 이에 의해, 레버(19)를 조작함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작 레버(28)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로크 위치(P3)를 향하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제2 탄성 가압 부재(12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기어 커버(22)의 내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코일 지지축에 지지된 코일부(120a)와, 기어 커버(22)의 내면에 걸린 제1 코일 단부(120b)와, 조작 레버(28)의 걸림 돌기(115)에 걸린 제2 코일 단부(120c)를 갖는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는,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의 탄성 가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므로, 조작 레버(28)의 선단부가 로크 위치(P3)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한,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의 규제 돌출편(114)이 헤드 프레임(20)의 규제 벽부(116)에 대해서 접촉하므로, 더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고, 로크 위치(P3)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2 탄성 가압 부재(12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이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29)는, 예를 들면 종이 잼의 발생 등에 의해서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에 가해진 조작력(회전력)을 이용하여, 플래튼 로크 기구(30)가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도 10,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29)는, 랙 부재(300)에 형성된 복귀 랙(130)과,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131)과,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귀 기어(132)와, 복귀 기어(132)와 일체로 설치된 선 기어(133)에 맞물림과 더불어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公轉)하는 플래니터리 기어(134)와, 플래니터리 기어(134)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1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 기어(133), 플래니터리 기어(134) 및 인터널 기어(135)는, 증속 기구(136)(도 14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복귀 피니언(131)은, 구동 피니언(7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피니언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피니언(131)은, 구동 피니언(78)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은,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귀 기어(132)와 맞물림 가능하게 되고, 복귀 기어(132)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은, 복귀 랙(130)에 있어서의 복귀 랙 톱니(130a)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귀 랙(130)은, 도 10~도 12,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에 있어서의 구동 랙(71)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랙 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다. 즉, 랙 부재(300)는, 구동 랙(71)과, 복귀 랙(130)을 구비하고 있다. 복귀 랙(130)은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를 갖고 있다.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는,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와 좌우 방향(L3)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좌우 방향(L3)으로 간극(S)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위상을 다르게 해서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면, 간극(S)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는, 상하 방향(L1)으로 소정의 피치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피치 및 모듈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위상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란, 동일한 랙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의 배열 방향(상하 방향(L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톱니(구동 랙 톱니(71a)들, 또는 복귀 랙 톱니(130a)들)의 중심간 거리이다. 「위상」이란, 톱니의 배열 방향(상하 방향(L1))에 있어서의 각 구동 랙 톱니(71a)의 중심 위치와, 각 복귀 랙 톱니(130a)의 중심 위치이다. 즉,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에서 위상이 상이하다는 것은, 복귀 랙(130)과 구동 랙(71)에서, 구동 랙 톱니(71a)의 중심 위치와 복귀 랙 톱니(130a)의 중심 위치가, 톱니의 배열 방향(상하 방향(L1))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의 위상이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의 반(半)피치분 상이하다. 이들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는,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이 아니라, 밑동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랙(130)은,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131)과 맞물리고, 또한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131)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 중, 적어도 일부의 복귀 랙 톱니(130a)(상하 방향(L1)에 있어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복귀 랙 톱니(130a))는,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에 대해, 상하 방향(L1)의 상방에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 중,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에 위치하는 복귀 랙 톱니(130a)는, 변위 가능한 복귀 랙 톱니(130b)로 되어 있다. 이 복귀 랙 톱니(130b)는, 랙 아암(139)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랙 아암(139)의 기단부는, 구동 랙(71) 중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랙 아암(139)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 아암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랙 아암(139)을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 복귀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 가능하게 형성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복귀 랙(130)이 도 9에 나타내는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b)가 복귀 피니언(131)에 있어서의 톱니부의 톱니끝에 맞닿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복귀 랙(130)의 이동이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에서 저지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복귀 랙 톱니(130b)를 랙 아암(139)의 선단부에 형성함으로써, 랙 아암(139)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복귀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시켜,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을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복귀 랙 톱니(130b)가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을 타고 넘은 후, 랙 아암(139)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복귀 랙 톱니(130b)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복귀한 복귀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에 있어서의 다음의 톱니부에 적절히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랙(130)의 이동이 저해되어 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b)와 복귀 피니언(131)을 적절히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 및 도 10,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는, 조작 레버(28)에 있어서의 레버 플레이트(11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레버 지지축(10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기어(132)는,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조작 레버(28)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한다.
복귀 기어(132)는, 기어 플레이트(132a)와,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전체 둘레가 아니라, 둘레 방향의 일부의 걸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대략 반주(半周)에 걸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는,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최초로 맞물리는 기어 톱니부(132b)는,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을 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고,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부로부터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최초로 맞물리는 기어 톱니부(132b)는,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조작 레버(28)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복귀 기어(132)의 회동 방향(Dr)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기어 톱니부(132b)이다.
기어 톱니부(132b)는, 탄성 아암부(132c)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132c)는, 기단부가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 중 기어 톱니부(132b)의 미형성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아암부(132c)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에 기단부를 통해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음과 더불어,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아암부(132c)가 기어 플레이트(132a) 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함으로써,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을 항하여 변위시킬 수 있고,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부로부터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기어(133)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내면에 일체 형성되고,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 기어(133)는 복귀 기어(132)와 함께 회전 축선(O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기어(134)는, 선 기어(133)에 맞물린 상태로, 조작 레버(28)에 플래니터리축(11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니터리 기어(134)는, 조작 레버(28)가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公轉)한다. 기어 커버(22)의 내면에는, 플래니터리 기어(134)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1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니터리 기어(134)는,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함으로써, 인터널 기어(135)에 맞물리면서 자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래니터리 기어(134)가 자전함으로써,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를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복귀 기어(132)의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의 조작(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에 의해서 조작 레버(28)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복귀 기어(132)의 회동 방향(Dr)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기어 톱니부(132b)에 대해,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가 맞물리도록,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는,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있을 때의 복귀 피니언(131)의 각도를 규정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플래튼 롤러(45)와 평행하는 요동 축선(O2) 둘레로 요동 가능한 로크 아암(140, 150)을 구비하며, 플래튼 롤러(45)를 로크하는 로크 상태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로크 아암(140)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누르고, 또한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래튼 유닛(6)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여 요동 축선(O2) 둘레를 요동하고,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동시에 로크할 수 있음과 더불어, 동시에 로크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연장되고, 플래튼 롤러(45)와 평행하게 배치된 긴 연결축부(14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부(14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의 샤프트이며,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한쪽의 측벽부(60) 및 다른 쪽의 측벽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141)의 중심축선이 요동 축선(O2)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연결축부(14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연결축부(141)를 통해 요동 축선(O2) 둘레로 동기한 상태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축부(141)는,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수용 홈(62)보다 후방(BK)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L3)에 배치된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들을, 연결축부(141)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 및 연결축부(141)를, 1매의 판금 등을 구부려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일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한쪽의 로크 아암(1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140)은, 수용 홈(62)보다 상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L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40)의 기단부가 연결축부(141)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140)의 선단부에는,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덮는 로크 클로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클로부(145)와 수용 홈(62)에 있어서의 홈 저부(62b) 사이에서 플래튼 베어링(51)을 사이에 끼우도록, 플래튼 베어링(51)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클로부(145)의 외측면은,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 내에 세팅할 때에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 내에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145b)으로 되어 있다. 이 안내면(145b)은, 수용 홈(62) 측의 안내 돌기(63)와의 사이에 측면에서 볼 때 V자형의 V 홈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의 기단부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항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 벽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벽부(146)는,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조작했을 때, 밀어 올림 캠(113)이 결합 핀(95)을 통해 스윙 플레이트(90)를 요동시킨 후에, 조작 레버(28)에 설치된 레버 돌출부(112)(도 17 참조)가 접촉하는 벽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40)의 전체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수반하여 결합 벽부(146)를 통해 레버 돌출부(112)로부터 눌려,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로크 아암(140)은, 플래튼 유닛(6) 측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아암(140)의 로크 클로부(145)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해제 위치(P5)에 이르렀을 때에, 수용 홈(62)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에 퇴피하여 개방구(62a)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도 13,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이탈 아암(20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탈 아암(200)은, 좌우 방향(L3)의 일방측의 측벽부(60)에 설치되어 있다. 이탈 아암(200)은, 측벽부(60)로부터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돌출하는 아암 지지축(21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암 지지축(210)은,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어 플래튼 롤러(45)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아암 지지축(210)은, 로크 아암(14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축부(141), 및 조작 레버(2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축(106)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지지축(210)은,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그 적어도 일부가, 플래튼 롤러(45)의 최대 외경부와 겹쳐지고 있다. 또한, 아암 지지축(210)은,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그 적어도 일부가, 플래튼 베어링(51)과 겹쳐지고 있다. 또,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아암 지지축(210)은, 레버 지지축(106)에 대해서 플래튼 베어링(5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탈 아암(200)은, 조작 레버(28)에 대해서 좌우 방향(L3)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탈 아암(200)은, 조작 레버(28)에 대해서, 좌우 방향(L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탈 아암(200)은, 아암 본체(201)와, 보스(203)와, 이탈 압압면(押壓面)(205)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 본체(201)는, 좌우 방향(L3)에 직교하는 면을 따른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아암 본체(201)는, 아암 지지축(210)이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함으로써, 아암 지지축(210)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스(203)는, 아암 본체(201)에 있어서, 아암 지지축(210)에 대해서 경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203)는, 아암 본체(201)로부터 좌우 방향(L3)의 외측, 즉 조작 레버(28) 측에 돌출해 있다. 도 13,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에는, 보스(203)를 삽입 가능한 보스 수용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수용 홈(118)은, 아암 지지축(210)을 중심으로 하고, 아암 지지축(210) 및 보스(203) 사이를 곡률 반경으로 하는 가상 원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파여 있다. 보스 수용 홈(118)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회동했을 때에 보스(203)의 외주면에 부딪치는 부딪침면(118f)을 갖고 있다. 조작 레버(28)의 부딪침면(118f)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정해진 각도 이동을 했을 때에, 보스(203)의 외주면에 부딪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28)가, 부딪침면(118f)이 보스(203)의 외주면에 부딪치는 보스 부딪침 위치(P6)(도 17 참조)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튼 베어링(51)이 수용 홈(62)으로부터 이탈할 때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로크 아암(140)이 퇴피한 상태가 되었을 때이다. 조작 레버(28)가 보스 부딪침 위치(P6)에 도달하는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로크 아암(140)이 로크 상태에서 로크 해제 상태로 이행하기 시작하여, 로크 아암(140)에 의해서 플래튼 베어링(51)이 수용 홈(62) 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구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 된다. 아암 본체(201)는, 조작 레버(28)를 더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회동시키면, 부딪침면(118f)에 의해서 보스(203)가 압압됨으로써, 아암 본체(201)가 아암 지지축(210) 둘레로 회동한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203)는,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플래튼 베어링(51)에 대해서 아암 지지축(210)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의 회전 중심인 레버 지지축(106)으로부터, 보스(203)까지의 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보스(203)를 효율적으로 압압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탈 압압면(205)은, 아암 본체(201)에 있어서, 아암 지지축(210)을 사이에 두고 보스(203)와는 상하 방향(L1)으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탈 압압면(205)은, 전방(FW)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탈 압압면(205)은, 아암 본체(201)가 아암 지지축(210) 둘레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 홈(62)의 내부에 수용된 플래튼 베어링(51)을, 전방(FW)으로 압압한다. 이 때, 이탈 압압면(205)은, 수용 홈(62)의 홈 저부(62b)에 접촉한 플래튼 베어링(51)에 부딪친 상태에서, 홈 저부(62b)에 대해, 가능한 한 평행에 가깝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탈 압압면(205)은, 수용 홈(62)의 홈 저부(62b)에 접촉한 플래튼 베어링(51)에 부딪친 상태에서, 상하 방향(L1)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에 대해, 이탈 압압면(205)에 의한 압압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탈 아암(200)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 지지축(210) 둘레로 회동하고,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내부로부터 개방구(62a) 측을 향해서 압압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래튼 유닛(6)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에 조합되었을 때, 종동 기어(52)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 윤열(輪列) 기구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튼 윤열 기구는, 플래튼 롤러(45)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용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작동하고, 그 동력을 종동 기어(5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했을 때,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켜 기록지(P)의 이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멀 프린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의 기록지(P)를 케이싱(2)의 기록지 수납부(16) 내에 투입하여 세팅한 후, 프린터 커버(3)를 닫힘 조작함으로써, 플래튼 유닛(6)을 헤드 유닛(5)에 대해서 접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를 완전히 닫음으로써, 기록지(P)를 서멀 헤드(25)와 플래튼 롤러(45) 사이에 둔 상태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튼 롤러(45)의 플래튼 베어링(51)이 수용 홈(62)의 안내 돌기(63) 및 로크 클로부(145)의 안내면(145b)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용 홈(62) 내에 끼이도록 안내되어,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다.
로크 아암(140, 150)은, 플래튼 베어링(51)에 의해서 눌린 후,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요동 축선(O2) 둘레를 요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로크 클로부(145)를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누른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의 각각을 누를 수 있으므로, 수용 홈(62) 내로부터 플래튼 베어링(51)이 빠져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에 있어서, 로크 아암(140, 150)이 플래튼 베어링(51)에 의해서 눌린 상태에서는, 부딪침면(118f)은 보스(203)에는 맞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에 있어서, 이탈 아암(200)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로크 아암(140, 150)이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복귀하기까지의 동안에 플래튼 베어링(51)이 이탈 압압면(205)에 맞닿지 않는 구성이라면, 이탈 아암(200)이 약간 이동해도 된다.
이에 의해,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의 조합을 로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2)에 대한 프린터 커버(3)의 로크도 행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됨으로써, 기록지(P)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서멀 헤드(25)와 플래튼 롤러(45)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된다. 또, 기록지(P)는, 가동 날(26)과 고정 날(46)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구(18)로부터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래튼 롤러(45)의 종동 기어(52)가, 헤드 유닛(5) 측의 플래튼 윤열 기구에 맞물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정보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용 모터를 구동하고, 플래튼 윤열 기구를 통해 종동 기어(52)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서멀 헤드(25)와의 사이에서 끼워진 기록지(P)를 배출구(18)을 향해서 이송시킬 수 있다. 또, 이와 동시에 서멀 헤드(25)에 인자 데이터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 소자를 적절히 발열시킨다. 이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인쇄된 기록지(P)는 고정 날(46)과 가동 날(26) 사이를 통과한다.
다음으로,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용 모터(75)를 구동하여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중간 바퀴(76)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대경 중간 바퀴(77a) 및 소경 중간 바퀴(77b))를 통해 구동 피니언(78)을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함께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부터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P)를 고정 날(46)과의 사이에서 끼워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P)를 예를 들면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지(P)의 절단 후, 구동용 모터(75)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를 통해 구동 피니언(78)을 역회전시킬 수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함께 화살표 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기록지(P)의 절단 시, 복귀 피니언(131)은, 복귀 기어(132)에 있어서의 기어 톱니부(132b)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있어, 공전(空轉)이 허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로 이동했을 때에,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 130b)가 복귀 피니언(131)이 맞물린 경우이더라도, 복귀 피니언(131)을 공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귀 피니언(131)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구동 랙(71) 및 복귀 랙(130)을 이동시킬 수 있어, 기록지(P)의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동 날(26)과 고정 날(46)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 조작 레버(28)를 조작함으로써, 종이 잼의 해소를 행하면서, 플래튼 유닛(6)의 로크 해제를 행하고,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하는 경우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기록지(P)의 절단 중에 종이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조작한다. 이에 의해,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 레버(2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따라, 인터널 기어(135)에 맞물려 있는 플래니터리 기어(134)를, 플래니터리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자전시키면서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公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래니터리 기어(134)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를,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날(26)과 고정 날(46)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하여,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멈춰져 있는 경우,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회동시켜 가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에 맞물린다. 여기서, 복귀 랙(130)의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는, 구동 랙(71)의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와는 위상이 상이하다. 이에 의해, 구동 피니언(78)과 복귀 피니언(131)이, 그 중심축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기어 톱니의 위치(각도)가 상이하다.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있을 때에,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와,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가, 안정적으로 같은 위치 관계로 맞물리는 각도로, 복귀 피니언(131)의 둘레 방향의 각도가 규정된다.
비교를 위하여,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랙(130)의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구동 랙(71)의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가, 동일한 위상, 그리고 동일한 피치, 동일한 모듈이며, 좌우 방향(L3)에서 보아 그 전체가 겹쳐져 있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이 경우,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있을 때에,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에 대해서, 복귀 피니언(131)의 회동 방향(Dr)의 전방 측에 맞물리는 경우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에 대해서, 복귀 피니언(131)의 회동 방향(Dr)의 후방 측에 맞물리는 경우의 양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낸 경우와, 도 21에 나타낸 경우에서는, 조작 레버(28)가 로크 해제 위치(P5)에 도달했을 때에, 가동 날(26)의 이동량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에 대해서 기어 톱니부(132b)가 맞물릴 때의 복귀 기어(132)의 회전 위치가 상이하면, 맞물린 후, 조작 레버(28)가 로크 해제 위치(P5)까지 이동할 때의 가동 날(26)의 이동량이 상이하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의 회동 방향(Dr)의 전방 측에 맞물리는 경우란, 소정의 톱니(131t)와, 소정의 톱니(131t)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톱니(131f) 사이에 기어 톱니부(132b)가 진입한 상태이다. 회동 방향(Dr)의 후방 측에 맞물리는 경우란, 소정의 톱니(131t)의 꼭대기부에 기어 톱니부(132b)가 접촉한 상태(소정의 톱니(131t)와, 소정의 톱니(131t)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톱니(131r) 사이에 기어 톱니부(132b)가 완전히 진입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동 랙(71)과는 위상을 상이하게 한 복귀 랙(130)에 의해, 복귀 피니언(131)의 각도가,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와, 복귀 피니언(131)의 소정의 톱니(131t)가, 안정적으로 동일한 위치 관계로 맞물리도록 규정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밀어 올림 캠(113)이 결합 핀(95)에 대해서 접촉하고, 결합 핀(95)을 통해 스윙 플레이트(90)에 대해서 외력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추가적인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밀어 올림 캠(113)으로 스윙 플레이트(90)를 밀어 올릴 수 있고,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 플레이트(90)를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윙 플레이트(90)에 장착되어 있는 2단 중간 바퀴(77)를 구동 중간 바퀴(76)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조작 레버(28)의 위치가 맞물림 해제 위치(P4)에 상당한다.
또, 스윙 플레이트(90)의 요동과 동시에,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수반하여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된 타이밍에,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귀 피니언(13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맞물림 해제 위치(P4)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28)를 더 조작함으로써,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의 나머지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순차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고, 복귀 피니언(131)을 계속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려 있는 복귀 랙(130)을 화살표 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로 강제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날(46)에 대해서 가동 날(26)이 겹친 상태를 해소할 수 있어, 종이 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을 이용하여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 복귀시킬 때, 복귀 랙(130)과 함께 구동 랙(71)도 이동하므로, 구동 피니언(78)이 회전한다. 이 때,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구동 피니언(78) 및 이에 맞물려 있는 2단 중간 바퀴(77)를 각각 공전(空轉)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구동 피니언(78) 및 2단 중간 바퀴(77)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로 복귀함으로써,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 130b)가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 복귀시켜 종이 잼의 해제를 행한 단계에서,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 130b)와 복귀 피니언(131)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로 복귀한 타이밍에, 조작 레버(28)의 레버 돌출부(112)가 한쪽의 로크 아암(140)의 결합 벽부(146)에 대해서 접촉하고, 결합 벽부(146)를 통해 로크 아암(140)에 대해서 외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40)을, 플래튼 유닛(6) 측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아암(140)의 요동에 수반하여, 로크 클로부(145)를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서서히 이격시킬 수 있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소정 각도 회동시켜 보스 부딪침 위치(P6)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딪침면(118f)이 보스(203)의 외주면에 부딪친다. 조작 레버(28)를, 더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회동시키면, 아암 지지축(210)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 보스(203)가 압압되고, 이탈 아암(200)이 아암 지지축(210) 둘레로 회동해,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내부로부터 개방구(62a) 측을 향하여 압압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를, 로크 해제 위치(P5)까지 회동시키면, 로크 아암(140)이 로크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이탈 아암(200)에 의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이 수용 홈(6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이탈 아암(200)은, 안내 돌기(63)의 정점부(63a)보다, 개방구(62a) 측으로 플래튼 롤러(45)의 롤러 중심이 이동할 때까지, 플래튼 베어링(51)을 압압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28)를 로크 해제 위치(P5)에 위치시킴으로써,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래튼 유닛(6)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4) 및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구동 기구(27)에 의해서 구동 피니언(78)을 회전시키면, 구동 피니언(78)에 맞물리는 랙 부재(300)와 더불어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와 절단 위치(P1)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서 고정 날(46)에 올라앉음으로써, 기록지(P)가 절단된다. 기록지(P)를 절단한 가동 날(26)은, 절단 위치(P1)에서 대기 위치(P2)로 돌아온다. 절단 위치(P1)에서 고정 날(46)과 가동 날(26) 의 사이에서 발생한 종이 잼에 의해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정지한 경우, 복귀 기구(29)로 복귀 피니언(131)을 회전시킴으로써, 복귀 피니언(13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복귀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귀 랙(130)을 이동시켜, 랙 부재(300)와 더불어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에서 대기 위치(P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구동 랙(71)과 복귀 랙(130)은 따로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 랙(71)은, 복귀 기구(29)에 의해서 가동 날(26)을 되돌릴 때의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구동 기구(27)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설계로 할 수 있다. 또, 복귀 랙(130)도, 구동 기구(27)에 의해서 가동 날(26)을 이동시킬 때의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복귀 기구(29)로 가동 날(26)을 되돌리는데 적합한 설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 기구(27)와, 구동 기구(27)와 복귀 기구(29)로, 각각 높은 자유도로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구동 랙 톱니(71a)와 복귀 랙 톱니(130a)에서, 위상, 및 피치 중 적어도 한쪽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구동 기구(27)와 복귀 기구(29)에서 동작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 랙 톱니와 복귀 랙 톱니를, 구동 랙 톱니, 복귀 랙 톱니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 복귀 피니언의 경방향에서 위치를 상이하게 하지 않고, 구동 기구와 복귀 기구에서 동작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구동 랙 톱니, 복귀 랙 톱니의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의 변경이 발생기기 어렵고, 설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와 로크 해제 위치(P5) 사이에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8)의 회동에 수반하여, 조작 레버(28)(플래니터리축(111))에 설치된 플래니터리 기어(134)를 통해 복귀 기어(132)가 회동한다. 복귀 기어(132)의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복귀 기어(132)의 회동을 복귀 피니언(131)을 통해 복귀 랙(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복귀 랙(130)을 이동시켜,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에서 대기 위치(P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를 회전시키고, 복귀 기어(132)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려 있는 동안에만, 복귀 랙(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려 있지 않을 때에는, 복귀 피니언(131)이 회전하지 않고, 복귀 랙(130)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의 회동 각도에 따라, 복귀 랙(130)을 이동시키는 타이밍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복귀 랙(130)의 복귀 랙 톱니(130a)는,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있을 때,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조작 레버(28)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복귀 기어(132)의 회동 방향(Dr)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기어 톱니부(132b)와, 복귀 피니언(131)이 맞물린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있을 때 조작 레버(28)를 회동시킨 경우에, 복귀 피니언(131)의 회동 방향(Dr)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리는 타이밍을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를 회동시켰을 때의 복귀 랙(130)의 이동 타이밍, 이동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에 확실히 되돌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형태는, 그 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의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피치(복귀 랙 톱니(130a),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의 간격)가 상이해도 된다. 또,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위상, 모듈 및 피치가 모두 상이해도 된다. 또, 복수의 복귀 랙 톱니(130a)와, 복수의 구동 랙 톱니(71a)는, 전후 방향(L2)에 있어서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고, 구동 피니언(78)과 복귀 피니언(131)의 외경 치수를 상이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복귀 랙 톱니(130a) 및 구동 랙 톱니(71a)의 톱니 폭이나 톱니 길이(톱니바닥에서 톱니끝까지의 치수)가 상이해도 된다. 즉, 복귀 랙 톱니(130a)는, 예를 들면 구동 랙 톱니(71a)와 병렬로 설치된 경우에, 병렬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돌출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랙 부재(300)를, 헤드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의 양측에 배치하도록 했으나, 헤드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의 한쪽에만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날(26) 등이 헤드 유닛(5)(다른 쪽의 유닛)에 설치되고, 고정 날(46)이 플래튼 유닛(6)(한쪽의 유닛)에 설치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날(26) 등이 플래튼 유닛(6)(한쪽의 유닛)에 설치되고, 고정 날(46)이 헤드 유닛(5)(다른 쪽의 유닛)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랙(130)과 구동 랙(71)을 병렬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복귀 랙(130)과 구동 랙(71)은, 병렬시키지 않고, 적절히 다른 배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그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동 날(26)과 더불어 랙 부재(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로 나타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다른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Claims (6)

  1.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쪽의 유닛은,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날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랙 부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을 갖고,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랙 부재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을 갖고,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랙 부재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랙 톱니를 가진 구동 랙과,
    상기 구동 랙과는 따로 독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귀 피니언에 맞물리는 복수의 복귀 랙 톱니를 가진 복귀 랙을 구비하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랙과 상기 복귀 랙은 병렬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 랙의 상기 구동 랙 톱니와 상기 복귀 랙의 상기 복귀 랙 톱니는, 위상, 및 피치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인자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귀 피니언에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기어 톱니부를 가진 복귀 기어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어 톱니부는, 상기 복귀 기어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귀 랙의 상기 복귀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기어 톱니부 중,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상기 복귀 기어의 회동 방향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기어 톱니부와, 상기 복귀 피니언이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KR1020220034596A 2021-03-23 2022-03-21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20220132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8289A JP2022147153A (ja) 2021-03-23 2021-03-23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JP-P-2021-048289 2021-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43A true KR20220132443A (ko) 2022-09-30

Family

ID=8093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596A KR20220132443A (ko) 2021-03-23 2022-03-21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63136B1 (ko)
JP (1) JP2022147153A (ko)
KR (1) KR20220132443A (ko)
CN (2) CN217598149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600B1 (ko) * 2017-07-31 2023-10-06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US11072192B2 (en) * 2018-12-28 2021-07-27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US11400735B2 (en) * 2019-12-02 2022-08-02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598149U (zh) 2022-10-18
EP4063136A1 (en) 2022-09-28
CN115107378A (zh) 2022-09-27
JP2022147153A (ja) 2022-10-06
EP4063136B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600B1 (en) Printer
US8783984B2 (en) Auto-cutter for roll paper printer
JP2011140109A (ja)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EP3437811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KR102281000B1 (ko) 서멀 프린터
KR2021006900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5596983B2 (ja) プリンタ
JP2011148240A (ja) プリンタ
TWI763890B (zh) 印字單元以及熱列印機
KR20220132443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20220132442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5912047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CN112297644B (zh) 热敏打印机
EP3677395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CN214606608U (zh) 印字单元及热敏打印机
JP7515333B2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CN111070904B (zh) 热敏打印机
JP3823971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付きプリンタ
JP2018103629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022704B2 (ja) 印字装置
JPH07290779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511679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の用紙搬送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