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000B1 -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000B1
KR102281000B1 KR1020140079967A KR20140079967A KR102281000B1 KR 102281000 B1 KR102281000 B1 KR 102281000B1 KR 1020140079967 A KR1020140079967 A KR 1020140079967A KR 20140079967 A KR20140079967 A KR 20140079967A KR 102281000 B1 KR102281000 B1 KR 10228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cover
printer cover
prin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536A (ko
Inventor
가즈유키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Abstract

편측 로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최적의 세트 상태로 확실히 조합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를 제공한다.
플래튼 유닛(4)은,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115)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또한 제2 회동축(115)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프린터 커버(3)에 부착되며, 프린터 커버(3)와 플래튼 유닛(4) 사이에는, 제2 회동축(115) 둘레의 플래튼 유닛(4)의 회동 방향 중, 프린터 커버(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서멀 프린터로서, 라인 서멀 헤드(이하, 간단히 서멀 헤드라고 한다)와, 이 서멀 헤드에 접하는 플래튼 롤러가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분리 타입)이 알려져 있다. 분리 타입의 서멀 프린터는, 예를 들면 롤지를 수납하는 하우징측에 서멀 헤드를 가지는 헤드 유닛이 부착되며, 하우징에 대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측에 플래튼 롤러를 가지는 플래튼 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 및 플래튼 유닛이 하우징 내부에 일체적으로 조합된 구성(일체 타입)에 비해, 기록지 세트 시, 종이 걸림 처리 시, 혹은 서멀 헤드나 플래튼 롤러 등의 메인터넌스 시, 교환 시 등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분리 타입의 서멀 프린터에서는, 통상, 프린터 커버를 닫았을 때에, 플래튼 롤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서멀 헤드에 대해 플래튼 롤러의 전체가 균일하게 압접한 상태로 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구성 부품의 부품 정밀도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발생되어 버리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를 닫았을 때에, 플래튼 롤러의 로크가 불충분하거나, 로크 그 자체를 할 수 없는 경우나, 로크가 이루어져도 서멀 헤드에 대해 플래튼 롤러의 전체가 균일하게 접촉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것이었다. 그래서, 부품 정밀도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흡수하기 위한 대책이 생각되고 있다.
그 하나의 종래예로서, 하우징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걸림 핀과, 프린터 커버측에 배치되어 각 걸림 핀이 각별하게 걸려짐과 함께,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걸림쇠를 구비하고, 걸림쇠가 프린터 커버의 덜컹거림 변위량 분의 윤곽 확대부를 가지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는, 하기의 과제가 남아 있었다. 통상, 프린터 커버의 열림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해제부(해제 레버나 해제 버튼 등)를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에 공통의 조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닫힘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프린터 커버의 임의의 위치를 가압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그 조작 위치가 다르다. 예를 들면, 프린터 커버 중, 프린터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압 조작하는 경우나, 플래튼 롤러의 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압 조작하는 경우 등, 그 조작 위치는 동일 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프린터 커버 중,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압 조작(편측 누름 조작)한 경우, 그 가압력이 플래튼축에 부착된 일방의 베어링 부재측에 집중한다. 즉, 프린터 커버의 조작 위치의 영향에 의해 프린터 커버로의 압입력의 편차가 발생하여, 플래튼 유닛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이동하기 쉬웠다. 그 결과, 일방의 베어링 부재측만 로크가 이루어지고, 타방의 베어링 부재측이 로크되지 않거나 혹은 로크가 불충분해진, 이른바 편측 로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다. 편측 로크가 발생하면, 서멀 헤드에 대해 플래튼 롤러가 균일하게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인자 불량이나 인자 품질의 저하를 초래해 버릴 뿐만 아니라, 종이 걸림 등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버리는 것이였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에서는, 편측 로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최적의 세트 상태로 확실히 조합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프린터는, 기록지가 수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서멀 헤드를 가지는 헤드 유닛과,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조합됨과 함께,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가지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2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터 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유닛 사이에는,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의 상기 플래튼 유닛의 회동 방향 중, 상기 프린터 커버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유닛이 프린터 커버에 대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 커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성 부품의 부품 정밀도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있었다고 해도,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 중에, 플래튼 유닛의 전체가 프린터 커버에 대해 적절히 슬라이드, 및 요동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유닛을 헤드 유닛에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특히, 플래튼 유닛이,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프린터 커버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프린터 커버의 닫힘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프린터 커버에 대한 플래튼 롤러(플래튼 유닛)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헤드 유닛에 대한 프린터 커버측의 플래튼 유닛의 상대 위치의 편차를 억제하여, 프린터 커버의 조작 위치의 영향에 의한 프린터 커버로의 압입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측 누름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플래튼 유닛을 헤드 유닛에 확실히 로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편측 로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최적의 세트 상태로 확실히 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품질의 인쇄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 걸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서는, 상기 프린터 커버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장 커버와, 상기 외장 커버를 내면측으로부터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장 커버 및 외장 커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의 복수 부품으로 프린터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프린터 커버 전체의 강성을 확보한 다음에, 프린터 커버를 1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 및 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커버의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외장 커버의 휨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 커버의 조작 위치에 상관없이, 플래튼 유닛 전체를 균일하게 압입할 수 있어,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장 커버 중, 상기 제2 회동축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 중, 제1 회동축측보다 프린터 커버의 조작 위치에 가까운 제2 회동축과 겹치는 위치에 제1 보강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의 조작 위치 주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장 커버 중,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 간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보강 부재가, 외장 커버 중, 제1 회동축과 제2 회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제1 회동축 둘레의 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편측 로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최적의 세트 상태로 확실히 조합할 수 있다.
도 1은,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헤드 유닛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동 날을 슬라이드시켜, 고정 날과 가동 날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7의 D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0은, 맞물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에 상당하는 헤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E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2는, 도 3의 F-F선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커버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G-G선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의 H-H선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의 정면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롤지 R(도 2 참조)로부터 인출된 기록지 P(감열지)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 P를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이며, 케이싱(2)과, 프린터 커버(3)와, 프린터 커버(3)측에 설치된 플래튼 유닛(4)(도 2 참조)과, 케이싱(2)측에 설치된 헤드 유닛(5)(도 2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왼쪽 하측(프린터 커버(3)측)을 전방(화살표 FW 방향), 오른쪽 상측(케이싱(2)측)을 후방(화살표 BA 방향),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하고, 기록지 P는 전방 FW로 배출되는 것으로 한다. 또, 전후 방향 L1 및 상하 방향 L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L3으로 한다. 그 때문에, 각 도에 따라서는 각 방향이 역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은,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방 FW에 개구하는 큐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본 골격이 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를 덮는 외장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롤지 R이 수납되는 롤지 수납부(10)가 형성되며, 프린터 커버(3)를 엶으로써 롤지 수납부(10)가 개방된다. 롤지 수납부(10)는, 상기 서술한 프레임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 전방 FW를 향해 개구하는 상자형이 되며, 그 내측에 롤지 R이 폭방향을 좌우 방향 L3에 일치시킨 상태로 수납된다.
또, 케이싱(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회동축(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회동축(11)에는, 프린터 커버(3)가 케이싱(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3)는, 케이싱(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닫힘 위치(도 1의 상태)와, 케이싱(2)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90도 정도의 각도 범위(도 6 중의 쇄선 T1)에서 회동함으로써, 케이싱(2)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그리고, 프린터 커버(3)가 열림 위치일 때에 롤지 수납부(10)가 개방되며, 예를 들면 롤지 R을 롤지 수납부(10) 내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이른바 드롭 인 방식).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서는,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의 선단부(도 1에 있어서의 상단부)와 케이싱(2)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지 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 FW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간극은 기록지 P의 배출구(12)로서 기능한다. 또한,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됨으로써, 로크가 이루어진다(이것에 대해서는 상세히 서술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2)에 있어서의 상부 전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 중, 좌우 방향 L3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에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을 해제하고,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을 행할 때의 해제 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3)는, 로크 위치 P1과 릴리스 위치 P2 사이에서 회동 조작 가능하게 되며, 릴리스 위치 P2로 이동했을 때에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의 로크를 해제하는 레버이다. 구체적으로, 해제 레버(13)는, 레버 본체(14), 조작 돌기(15), 및 연결체(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4)는, 좌우 방향 L3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반원 형상이 되며, 케이싱(2)의 전면(2a)보다 후방으로 일단(一段) 패인 패임면(2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체에 설치된 좌우 방향 L3으로 연장되는 연결축부(17)(도 4 참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해제 레버(13)는, 연결축부(17) 둘레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 본체(1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해제 레버를 로크 위치 P1을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다.
조작 돌기(15)는, 레버 본체(14)의 전부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서술한 패임면(2b)보다 전방 FW로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싱(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 조작 돌기(15)의 전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조작 돌편(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돌편(15a)에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을 걸면서, 해제 레버(13)를 로크 위치 P1로부터 릴리스 위치 P2를 향해 회동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돌기(15)의 전단부는, 케이싱(2)의 전면(2a)과 단차가 없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체(16)는, 레버 본체(14)의 하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L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단면 U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 헤드 유닛(5)의 후술하는 레버부(25)가 끼워 맞춰져 있다.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21) 및 가동 날(22)이 주로 장착된 유닛이며, 케이싱(2) 내에 있어서의 상부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헤드 유닛(5)은, 케이싱(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된 내부 플레이트(2c) 상에 고정되어, 롤지 수납부(10)보다 전방 FW에서 유지되어 있다.
도 7은 헤드 유닛(5)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내부 플레이트(2c) 상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헤드 프레임(23)과, 상기 서술한 서멀 헤드(21) 및 가동 날(22)과, 가동 날(22)을 구동시키는 가동 날 구동계(24)와, 헤드 프레임(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부(25)와, 레버부(25)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 날(22)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는 해제 기구(26)(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23)은,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27)와, 기부(2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L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28a, 28b)와, 기부(27) 및 각 측벽부(28a, 28b)를 전방 및 측방으로부터 둘러싸는 커버 프레임(29)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가동 날(22)을 슬라이드시켜, 고정 날(82)과 가동 날(22) 사이에서 기록지 P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은,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이 조합되었을 때에, 고정 날(82)에 전후 방향 L1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근원으로부터 칼끝(22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V자형상의 판형상의 칼날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은, 근원측에 있어서 가동 날 홀더(31)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날 홀더(31)는,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이 되며, 가동 날 구동계(24)의 동작에 의해 헤드 프레임(23)에 대해 상하 방향 L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D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 구동계(24)는, 가동 날 홀더(31)에 부착된 랙(32)과, 랙(32)에 맞물려져, 정역회전 가능한 커터용 모터 M1과, 커터용 모터 M1의 구동축 M1a에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33)와, 구동 톱니바퀴(33)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며, 랙(32)을 상하 방향 L2를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피니언(34)을 구비하고 있다.
랙(32)은, 상기 서술한 가동 날 홀더(31)의 좌우 방향 L3을 따르는 양단부에 한 쌍으로 부착되며, 상하 방향 L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커터용 모터 M1은, 헤드 프레임(23)의 각 측벽부(28a, 28b) 간 중, 일방의 측벽부(28a)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커터용 모터 M1의 구동축 M1a는, 일방의 측벽부(28a)를 관통하여 일방의 측벽부(28a)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 부분에 구동 톱니바퀴(33)가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34)은, 대응하는 각 랙(32)에 맞물리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피니언(34)들은,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피니언(34) 중, 일방의 측벽부(28a)측에 위치하는 피니언(34)과, 구동 톱니바퀴(33) 사이에는, 양자(구동 톱니바퀴(33) 및 피니언(34))에 맞물리는 중간 톱니바퀴(3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용 모터 M1의 구동에 의해 구동 톱니바퀴(33)가 회전하면, 커터용 모터 M1의 회전력이 중간 톱니바퀴(36)를 통하여 피니언(34)에 전해져, 랙(32)이 직선 이동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샤프트(35) 중, 피니언(34)과 일방의 측벽부(28a)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L자형상의 요동 플레이트(37)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 플레이트(37)는, 그 중앙부가 상기 서술한 샤프트(35)에 지지되어, 중앙부로부터 상방 및 후방 BA를 향해 각각 아암(도 9 중에서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만 나타낸다)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아암 중,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에는 상기 서술한 중간 톱니바퀴(3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플레이트(37)가 요동한 경우에는, 중간 톱니바퀴(36)가 샤프트(35)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을 향해 요동한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플레이트(37)의 아암 중,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에는, 좌우 방향 L3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핀(38)이 설치되어 있다. 또, 헤드 프레임(23)의 일방의 측벽부(28a) 중, 구동 톱니바퀴(33)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좌우 방향 L3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고정 핀(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핀(41)에는, 비틀림 스프링(42)이 고정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42)은, 상기 서술한 핀(38)과 일방의 측벽부(28a) 사이에 개재하여, 핀(38)을 구동 톱니바퀴(3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상 시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간 톱니바퀴(36)와 구동 톱니바퀴(33)가 맞물린 상태(도 9 중의 맞물림 상태)가 된다. 한편, 요동 플레이트(37)가 비틀림 스프링(42)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핀(38)이 구동 톱니바퀴(3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면, 중간 톱니바퀴(36)가 구동 톱니바퀴(3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간 톱니바퀴(36)와 구동 톱니바퀴(33)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가동 날(22)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해제된다. (도 10 중의 맞물림 해제 상태). 또한, 도 10은, 맞물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에 상당하는 헤드 유닛(5)의 측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레버부(25)는, 일방의 측벽부(28a) 중, 요동 플레이트(37)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회동 지지되어, 후방을 향해 압입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25)의 선단부(하단부)는, 상기 서술한 해제 레버(13)에 있어서의 연결체(16)의 내측에 끼워 맞춰져 있어, 해제 레버(13)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조작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3)를 로크 위치 P1로부터 릴리스 위치 P2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레버부(25)가 회동 조작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25)의 기단부에는, 좌우 방향 L3의 내면측에 내측 톱니바퀴(2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부(28a)측에 있어서, 레버부(25)와 요동 플레이트(37) 사이에는, 부채꼴형상의 해제 플레이트(43)가 일방의 측벽부(28a)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43)는, 레버부(25)의 내측 톱니바퀴(25a)의 일부에 맞물리는 해제 톱니바퀴(43a)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의 조합을 해제하는 릴리스 캠(43b)을 가지고 있다. 릴리스 캠(43b)은, 해제 플레이트(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해제 플레이트(4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서술한 요동 플레이트(37)의 핀(38)이 비틀림 스프링(4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요동 플레이트(37), 비틀림 스프링(42) 및 해제 플레이트(43)는, 상기 서술한 해제 기구(26)로서 기능한다.
도 11은, 도 7의 E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23)의 타방의 측벽부(28b)측에는, 피니언(34)에 맞물리는 제1 톱니바퀴(45)가 타방의 측벽부(28b)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45)에는 코일 스프링(46)이 장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6)은, 피니언(34)이 회전하여 가동 날(22)이 고정 날(82)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압축되어, 피니언(34)을 역전시키는 방향으로 제1 톱니바퀴(45)를 탄성 가압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맞물림 상태에 있어서, 타방의 측벽부(28b)측의 피니언(34)은 샤프트(35)를 통하여 구동 톱니바퀴(33)에 걸려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46)(도 10 참조)의 힘으로는 역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맞물림 해제 상태에 있어서, 타방의 측벽부(28b)측의 피니언(34)은, 샤프트(35)를 통한 구동 톱니바퀴(33)와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코일 스프링(46)의 힘에 의해 역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 날(22)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측벽부(28b)측에 있어서, 제1 톱니바퀴(45)의 후방에는,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을 조합했을 때에, 플래튼 유닛(4)의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81)를 구동시키는 플래튼 구동 기구(51)가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구동 기구(51)는, 플래튼용 모터 M2와, 플래튼용 모터 M2의 구동축 M2a에 연결된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52)와,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52)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톱니바퀴열(53)을 가지고 있다. 플래튼용 톱니바퀴열(53)은,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52)에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54)와, 제2 톱니바퀴(54)에 맞물리는 제3 톱니바퀴(55)와, 제3 톱니바퀴(55)에 맞물림과 함께 플래튼 롤러(81)의 후술하는 종동 톱니바퀴(95)에 맞물리는 제4 톱니바퀴(56)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21)는, 기부(27)의 전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 L3(기록지 P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이 되며, 좌우 방향 L3을 따라 라인형상으로 늘어선 복수의 발열 소자(21a)를 가지고 있다. 서멀 헤드(21)는, 도 15에 나타내는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81)에 대향하여, 플래튼 롤러(81)와의 사이로 기록지 P가 통과된다. 또, 서멀 헤드(21)와 기부(27) 사이에는, 서멀 헤드(21)를 하방(플래튼 롤러(81)측)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1b)(도 15 참조)이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81)에 의해 송출되는 기록지 P에 대해 서멀 헤드(21)를 확실히 누를 수 있어,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27) 중, 서멀 헤드(21)의 후방 BA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롤지 수납부(10)의 기록지 P를 서멀 헤드(21)와 플래튼 롤러(81)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대(57)가 배치되어 있다.
또, 헤드 프레임(23)의 각 측벽부(28a, 28b) 중, 서멀 헤드(21)보다 하방이며, 가이드대(57)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오목부(61) 및 제2 오목부(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61)는, 전방 FW를 향해 개구하는 직사각형형상의 오목부이며,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81)의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81c)를 수용한다. 또, 각 측벽부(28a, 28b) 중, 제1 오목부(61)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전방 FW를 향함에 따라 상하 방향 L2의 폭이 점차 축소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삼각형형상인 가이드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63)는, 상방에 위치하는 면이 플래튼 롤러(81)의 베어링 부재(81c)를 제1 오목부(61) 내에 안내하는 플래튼 가이드(63a)를 구성하고, 하방에 위치하는 면이 후술하는 로크 핀(105)을 제2 오목부(62) 내에 안내하는 로크 핀 가이드(63b)를 구성하고 있다. 제2 오목부(62)는, 앞으로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반원 형상의 오목부이며,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의 후술하는 로크 핀(105)을 수용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커버(3)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장 커버(71)와, 외장 커버(7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장 커버(71)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제1 보강 부재(77) 및 제2 보강 부재(78))를 가지고 있다. 외장 커버(71)는, 외면이 상기 서술한 케이싱(2)의 외장 커버와 함께 서멀 프린터(1)의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기 서술한 제1 회동축(11)이 연결되어 있다. 외장 커버(71)에 있어서, 좌우 방향 L3을 따르는 일방측(상기 서술한 해제 레버(13)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서멀 프린터(1)를 조작하는 조작 유닛(7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장 커버(71) 중, 조작 유닛(73)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케이싱(2)측에 배치된 해제 레버(13)를 피하는 여유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유닛(73)은, 조작 버튼(74) 및 조작 기판(75)을 가지고 있다. 조작 버튼(74)은,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종이 이송 버튼이며, 외장 커버(71)의 외면에 압하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조작 버튼(74)은, 상하 방향 L2를 따라 해제 레버(13)와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 기판(75)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전자 부품이나, 조작 버튼(74)의 압하에 의해 ON이 되는 스위치(예를 들면 멤브레인 스위치 등)가 실장되고, 조작 버튼(74)의 압하에 따라 전원의 ON/OFF나 종이 이송 조작을 제어하는 기판이며, 외장 커버(71)의 내면측이며, 조작 버튼(74)의 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멀 프린터(1)의 작동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판은, 케이싱(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77, 78)는, 외장 커버(71)의 내면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77)와, 제1 보강 부재(77)의 하방(상기 서술한 여유부(71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78)를 가지고 있다.
도 12는 도 3의 F-F선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77)는,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이 되며, 외장 커버(71)의 내면 중, 상하 방향 L2를 따르는 조작 유닛(73)의 상부와 배출구(1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프린터 커버(3)의 조작 위치 주변)에, 좌우 방향 L3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보강 부재(77)는, 플래튼 유닛(4) 중, 적어도 후술하는 제2 회동축(115)(도 15 참조)과 전후 방향 L1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 부재(78)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이 되며, 외장 커버(71)의 내면을 좌우 방향 L3을 따르는 전체에 걸쳐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강 부재(78)는, 상기 서술한 조작 기판(75)을 후방 BA로부터 덮는 보호 커버부(78a)(도 4 참조)와, 상기 서술한 롤지 수납부(10)를 전방 FW로부터 덮는 롤지 가이드부(78b)를 가지고 있다.
롤지 가이드부(78b)는, 보호 커버부(78a)로부터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속 설치되며, 그 내면측이 전방을 향해 패인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롤지 가이드부(78b)는, 상기 서술한 롤지 수납부(10)와 함께 롤지 수용 공간을 획성한다. 또한, 롤지 가이드부(78b)의 외면측에는, 상하 방향 L2 및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메쉬형상의 리브(78c)(도 6 참조)가 전방 FW를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 부재(78)의 상부는, 제1 보강 부재(77)의 하부에 겹쳐진 상태로 외장 커버(7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보강 부재 각 보강 부재(77, 78)는, 상기 서술한 외장 커버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단단한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플래튼 유닛(4)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커버 프레임(87)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튼 유닛(4)의 사시도이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내면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1 보강 부재(77)와 전후 방향 L1로 겹치는 위치에 부착되며,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헤드 유닛(5)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유닛(4)은, 기록지 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81)와, 플래튼 롤러(81)에 대해 전방 FW에 배치된 고정 날(82)과, 이들 플래튼 롤러(81) 및 고정 날(82)을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83)과, 플래튼 유닛(4)을 헤드 유닛(5)에 조합하기 위한 로크 기구(84)를 가지고 있다.
플래튼 프레임(83)은, 좌우 방향 L3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85a, 85b)를 가짐과 함께, 플래튼 롤러(8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래튼 블록(86)과, 플래튼 블록(86)을 전방에서 덮는 커버 프레임(87)을 가지고 있다.
도 15는 도 3의 G-G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3,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87)은,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이 되며, 플래튼 블록(86)의 전방 및 하방을 덮는 단면에서 봤을 때에 L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87) 중, 플래튼 블록(86)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88)는, 플래튼 블록(86)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88)의 양단부에는, 플래튼 블록(86)에 대해 좌우 방향 L3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89)(도 1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프레임(87) 중, 플래튼 블록(86)의 하방에 위치하는 언더 커버(91)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연결된 한 쌍의 부착편(92)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편(92)은, 언더 커버(9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L3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그 두께 방향(좌우 방향 L3)을 따라 관통하는 부착 구멍(93)(도 15 참조)을 가지고 있다. 부착 구멍(93)은, 상하 방향 L2를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81)는, 프린터 커버(3)를 닫아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었을 때에, 기록지 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헤드 유닛(5)측의 상기 서술한 서멀 헤드(21)에 대해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81)는,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플래튼축(81a)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81b)가 외장된 것이다. 플래튼 롤러(81)는, 플래튼 블록(86)의 측벽부(85a, 85b) 간에 수납됨과 함께, 플래튼축(81a)의 양단부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81c)를 통하여 측벽부(85a, 8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81c)는, 측벽부(85a, 85b)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었을 때에, 헤드 유닛(5)측의 상기 서술한 제1 오목부(61) 내에 끼워 넣어진다. 플래튼 롤러(81)의 플래튼축(81a) 중, 좌우 방향 L3을 따르는 일단에는, 측벽부(85a)의 외측에 있어서 종동 톱니바퀴(95)가 고정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 톱니바퀴(95)는, 헤드 유닛(5)측의 플래튼용 톱니바퀴열(53)의 상기 서술한 제4 톱니바퀴(56)에 맞물려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날(82)은, 플래튼 프레임(83) 중, 플래튼 블록(86)과 커버 프레임(87) 사이에 있어서,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 날(82)은,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그 칼끝(82a)이 송출된 기록지 P에 대향하도록 고정 날 홀더(9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날(82)은, 칼끝(82a)측이 전후 방향 L1(가동 날(22)의 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날(82)은, 고정 날 홀더(96)와 고정 날(82) 사이에 설치된 탄성 가압 부재(97)(도 15 참조)에 의해, 칼끝(82a)측이 고정 날 홀더(96)로부터 이격하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고정 날(82)과 커버 프레임(87) 사이에는, 고정 날(82)의 근원측을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101)가, 플래튼 블록(86)의 측벽부(85a, 8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01)의 양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압하부(102)가 연결되어 있다. 압하부(102)는, 선단부(상단부)가 고정 날(82)의 칼끝(82a)과 전후 방향 L1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샤프트(10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 L1(고정 날(82)에 접근 이격하는 방향)로 요동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01)의 타단측에 있어서, 측벽부(85b)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선형(扇形) 톱니바퀴(103)가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톱니바퀴(103)는,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헤드 유닛(5)측에 설치된 상기 서술한 레버부(25)의 내측 톱니바퀴(25a)에 맞물린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84)는, 플래튼 롤러(81)의 하방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8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크 핀(105)과, 로크 핀(105) 및 플래튼 롤러(81) 간을 연결하는 로크 핀 지지체(106)를 가지고 있다. 로크 핀(105)은, 상기 서술한 제2 오목부(62) 내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 걸어 맞춰지는 것이며, 그 양단부가 측벽부(85a, 85b)에 형성된 긴 구멍(107)(도 14 참조) 내에 지지되어 있다. 긴 구멍(107)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해 경사지는 타원 형상을 이루며, 로크 핀(105)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12,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지지체(106)는, 기단부에 플래튼 롤러(81)의 플래튼축(81a)이 연결되고, 선단부에 로크 핀(105)이 연결되어 있다. 로크 핀 지지체(106)의 선단부 중, 좌우 방향 L3에서 상기 서술한 릴리스 캠(43b)과 동일한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캠 종절부(106a)(도 1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캠 종절부(106a)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을 해제할 때에, 상기 서술한 릴리스 캠(43b)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플래튼 블록(86)과 로크 핀(105) 사이에는, 로크 핀(105)을 긴 구멍(107)의 상단부측(도 14 중의 상단부측)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110)(도 15 참조)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플래튼 유닛(4)은, 베이스 프레임(111)을 통하여 프린터 커버(3)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C자형상으로 굴곡된 판재이며, 프린터 커버(3)에 고정된 고정판부(112)와, 고정판부(112)의 양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부착판부(113)를 가지고 있다. 고정판부(112)는, 좌우 방향 L3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서술한 제1 보강 부재(77)와 전후 방향 L1로 겹쳐진 상태로, 제1 보강 부재(77)와 함께 나사 등의 체결 부재(119)에 의해 프린터 커버(3)(외장 커버(7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 부착판부(113) 간에는, 각 부착판부(113)들을 걸친 제2 회동축(115)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회동축(115)은, 좌우 방향 L3을 따라 상기 서술한 제1 회동축(11)과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상기 서술한 부착편(92)의 각 부착 구멍(93)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유닛(4)은, 제2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도 12 중의 쇄선 T2)하게 지지됨과 함께, 제2 회동축(115)(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부착 구멍(9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회동 중심(제1 회동축(11))과 평행한 회동 중심(제2 회동축(115)) 둘레로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진다. 또한,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면내 방향(L2, L3) 중, 제2 회동축(115)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 L2(헤드 유닛(5)에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헤드 유닛(5)에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1)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부착편(92)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부착편(92)에 전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스토퍼 핀(122)이 배치되어 있다.
또, 플래튼 유닛(4)과 프린터 커버(3) 사이에는, 제2 회동축(115) 둘레의 회동 방향(프린터 커버(3)의 개폐 방향) 중, 프린터 커버(3)의 닫힘 방향을 향해 플래튼 유닛(4)을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탄성 가압 부재)(120)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 커버(71) 중,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방이며, 프론트 커버(88)와 전후 방향 L1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후방을 향해 개구하는 패임부(121)가 형성되며, 이 패임부(121) 내에 코일 스프링(120)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20)은, 패임부(121)의 저부와, 프론트 커버(88) 사이에 개재되어, 플래튼 유닛(4)을 프린터 커버(3)의 닫힘 방향(프린터 커버(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또한, 패임부(121)는, 좌우 방향 L3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면, 2) 형성되어, 각 패임부(121) 내에 각각 코일 스프링(120)이 수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서술한 서멀 프린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지 R을 케이싱(2)의 롤지 수납부(10) 내에 투입한 후, 프린터 커버(3)를 닫힘 조작한다. 이 때, 미리 기록지 P를 케이싱(2)의 외측에,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해 둔다. 그리고, 인출한 기록지 P를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인 채로, 프린터 커버(3)를 닫는다. 그러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됨으로써, 프린터 커버(3)가 케이싱(2)에 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 P는, 플래튼 롤러(81)와 서멀 헤드(21)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됨과 함께, 배출구(12)로부터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기록지 P에 대해 각종 정보의 인쇄를 행한다. 우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용 모터 M2를 구동하여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5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52)의 회전력이 플래튼용 톱니바퀴열(53)을 통하여 종동 톱니바퀴(95)에 전달됨으로써, 플래튼 롤러(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멀 헤드(21)와의 사이에서 끼워 넣어진 기록지 P를 이송할 수 있다. 또, 이것과 동시에 서멀 헤드(21)에 인자 데이터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 소자(21a)를 적절히 발열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지 P에 대해,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 후, 인쇄가 이루어진 기록지 P는 고정 날(82)과 가동 날(22) 사이를 통과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 P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커터용 모터 M1을 구동하고, 구동 톱니바퀴(3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 톱니바퀴(33)의 회전력이, 중간 톱니바퀴(36) 및 피니언(34)을 통하여 랙(32)에 전달됨으로써, 가동 날 홀더(31)와 함께 가동 날(22)을 고정 날(82)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2)이 고정 날(82)의 전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어, 고정 날(82)과의 사이에서 기록지 P를 끼워 넣고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한 기록지 P는, 예를 들면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날(82)은 가동 날(22)의 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 L3으로 요동할 뿐만 아니라, 탄성 가압 부재(97)에 의해 전방을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가동 날(22)에 대해 적절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고정 날(82)의 칼끝(82a)과 가동 날(22)의 칼끝(22a)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호한 절단감으로 기록지 P를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 커버(3)의 열림 동작 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3)의 조작 돌편(15a)에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을 걸면서, 해제 레버(13)를 로크 위치 P1로부터 릴리스 위치 P2로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해제 레버(13)에 연동하여, 헤드 유닛(5)의 레버부(25)가 후방을 향해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25)의 내측 톱니바퀴(25a)에 맞물리는 선형 톱니바퀴(103)가 회동함으로써, 압하부(102)를 통하여 고정 날(82)이 가동 날(2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후방)을 향해 요동한다. 또한, 레버부(25)의 내측 톱니바퀴(25a)에 맞물리는 해제 플레이트(43)가 회동함으로써, 해제 플레이트(43)를 통하여 핀(38)이 비틀림 스프링(42)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요동 플레이트(37)가 요동하여, 상기 서술한 맞물림 해제 상태가 된다. 맞물림 해제 상태가 되면, 중간 톱니바퀴(36)와 구동 톱니바퀴(3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커터용 모터 M1로부터 가동 날(22)로의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해제 플레이트(43)가 회동하면, 해제 플레이트(43)의 릴리스 캠(43b)이 플래튼 유닛(4)측의 캠 종절부(106a)에 걸어 맞춰지고, 로크 핀(105)을 제2 오목부(62)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캠 종절부(106a)를 밀어 낸다. 그리고, 로크 핀(105)이 제2 오목부(62)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이 해제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해제 플레이트(43)는, 커터용 모터 M1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과, 로크 핀(105)을 이탈하는 기능 양쪽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핀(105)이 제2 오목부(62)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프린터 커버(3)를 열림 방향을 향해 회동시킴으로써, 플래튼 롤러(81)의 베어링 부재(81c)가 제1 오목부(61)로부터 이탈함과 함께, 롤지 수납부(10)가 개방된다. 그 후, 프린터 커버(3)가 열림 위치가 됨으로써, 롤지 수납부(10) 내로부터 롤지 R을 취출하거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 시의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16, 17은, 프린터 커버(3)의 개폐 조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16은 도 3의 H-H선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초기 상태(열림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은,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 제2 회동축(115) 둘레의 프린터 커버(3)의 닫힘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유닛(4)은 프론트 커버(88)가 외장 커버(71)의 내면에 대해 기운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우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를 제1 회동축(11)(도 6 참조) 둘레의 닫힘 방향을 향해 회동시켜,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접근하면, 플래튼 유닛(4)측의 로크 핀(105)이 헤드 유닛(5)측의 로크 핀 가이드(63b)에 맞닿는다. 이 상태로, 프린터 커버(3)를 닫힘 방향으로 더 밀어 넣음으로써, 로크 핀(105)이 로크 핀 가이드(63b)에 의해 하방(탄성 가압 부재(11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 눌러져, 긴 구멍(107)(도 14 참조) 내의 하단부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 로크 핀(105)이 로크 핀 가이드(63b) 및 헤드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측벽부(28a, 28b)의 하단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한, 플래튼 롤러(81)는, 베어링 부재(81c)가 플래튼 가이드(63a)에 안내되면서, 헤드 유닛(5)의 제1 오목부(61) 내에 진입한다. 또, 플래튼 유닛(4)은, 제2 회동축(115) 둘레의 프린터 커버(3)에 접근하는 방향(코일 스프링(12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 커버(3)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81)의 베어링 부재(81c)가, 헤드 유닛(5)의 제1 오목부(61) 내에 끼워 넣어지는 타이밍에, 로크 핀(105)이 제2 오목부(62)에 도달한다. 이 때, 로크 핀(105)은, 탄성 가압 부재(11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긴 구멍(107)(도 14 참조) 내를 상단부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 핀(105)이 제2 오목부(62) 내에 끼워 넣어진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어,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가 된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의 프론트 커버(88)와 외장 커버(71)는,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오목부(61) 및 제2 오목부(62)의 개구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81)의 베어링 부재(81c)와, 로크 핀(105)이 각각 제1 오목부(61) 및 제2 오목부(62) 내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 제1 오목부(61)의 개구 방향을 따라 베어링 부재(81c)가 이동하는 것을, 로크 핀(105)에 의해 방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핀(105)을 제2 오목부(62) 내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한, 베어링 부재(81c)를 제1 오목부(61) 내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을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4)측의 종동 톱니바퀴(95)가 헤드 유닛(5)측의 제4 톱니바퀴(56)에 맞물리고, 플래튼 유닛(4)측의 선형 톱니바퀴(103)가 헤드 유닛(5)측의 내측 톱니바퀴(25a)에 맞물린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플래튼 유닛(4)이 프린터 커버(3)에 대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 커버(3)를 따라 상하 방향 L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제1 회동축(11)과 평행한 제2 회동축(115)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성 부품의 부품 정밀도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있었다고 해도,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 중에, 플래튼 유닛(4)의 전체가 프린터 커버(3)에 대해 적절히 슬라이드, 및 요동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81)의 베어링 부재(81c)를 제1 오목부(61) 내에 확실히 끼워 넣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튼 유닛(4)이,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 프린터 커버(3)의 닫힘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프린터 커버(3)에 대한 플래튼 롤러(81)(플래튼 유닛(4))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케이싱(2)측의 헤드 유닛(5)에 대한 프린터 커버(3)측의 플래튼 유닛(4)의 상대 위치의 편차를 억제하여, 프린터 커버(3)의 조작 위치의 영향에 의한 프린터 커버(3)로의 압입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측 누름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양단의 베어링 부재(81c)를 헤드 유닛(5)에 확실히 로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은 편측 로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멀 헤드(21)와 플래튼 롤러(81)를 최적의 세트 상태로 확실히 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품질의 인쇄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 걸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외장 커버(71) 및 외장 커버(71)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77, 78)의 2부품으로 프린터 커버(3)를 구성함으로써, 프린터 커버(3) 전체의 강성을 확보한 다음에, 프린터 커버(3)를 1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 및 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커버(3)의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외장 커버(71)의 휨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 커버(3)의 조작 위치에 상관없이, 플래튼축(81a) 전체를 균일하게 압입할 수 있어,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린터 커버(3) 중, 제1 회동축(11)측보다 프린터 커버(3)의 조작 위치에 가까운 제2 회동축(115)과 겹치는 위치에 제1 보강 부재(7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3)의 조작 위치 주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튼 유닛(4)이,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제1 보강 부재(77)에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를 채용한 경우여도, 플래튼 유닛(4)의 금속 부분(예를 들면, 커버 프레임(87))과 제1 보강 부재(77) 사이의 접촉 저항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정전기 노이즈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 부재(78)가, 외장 커버(71) 중, 제1 회동축(11)과 제2 회동축(11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 시에 있어서, 제1 회동축(11) 둘레의 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편측 로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강 부재(78)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지 R과 제2 보강 부재(78)의 롤지 가이드부(78b)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롤지 R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지 P가 전방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프린터의 설치 자세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싱(2)을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기록지 P가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를 들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는 기구나, 가동 날(22)이 이동하는 기구 등의 각종의 기구는,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커버(71)와 보강 부재(77, 78)에 의해 프린터 커버(3)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해도 되고, 프린터 커버(3)를 1부품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제1 보강 부재(77)를 별체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양자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유닛(5)이 가동 날(22)을 구비하고, 플래튼 유닛(4)이 고정 날(82)을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헤드 유닛(5)이 고정 날(82)을 구비하고, 플래튼 유닛(4)이 가동 날(2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 고정 날(82) 및 가동 날(22)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탄성 가압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120)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레버(13)를 로크 위치 P1과 릴리스 위치 P2 사이에서 회동시켰지만, 이 회동 조작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누름 조작이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해제 레버(13)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어쨌든, 로크 위치 P1과 릴리스 위치 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프린터 커버(3)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1)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기의 각 기능을 더 부가시켜도 된다.
(1) 롤지 R의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기구.
(2) 기록지 P에 인쇄 등에 의해 미리 명시된 마크 등의 식별을 검출하는 기구.
(3) 기록지 P의 반송 부하를 경감시키는 기구.
(4) 텐션 롤러와 같은, 기록지 P의 느슨함을 제거하는 기구.
(5) 기록지 P의 순간적인 당김에 대한 댐퍼 기구.
(6) 기록지 P의 컬되려는 성질을 제거하는 기구.
(7) 프린터 커버(3)의 급격한 개폐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댐퍼 기구.

Claims (5)

  1. 기록지가 수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서멀 헤드를 가지는 헤드 유닛과,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조합됨과 함께,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가지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2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터 커버에 부착되고,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유닛 사이에는,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에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프린터 커버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는 플래튼 블록과
    상기 플래튼 블록을 덮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부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편은 상기 제2 회동축이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을 가지며,
    상기 부착 구멍은 상기 제 2 회동축의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며, 또한,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부착 구멍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되어 있는, 서멀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커버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장 커버와, 상기 외장 커버를 내면측으로부터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장 커버 중, 상기 제2 회동축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장 커버 중,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간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5. 삭제
KR1020140079967A 2013-06-28 2014-06-27 서멀 프린터 KR10228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6988 2013-06-28
JP2013136988A JP6313548B2 (ja) 2013-06-28 2013-06-28 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36A KR20150002536A (ko) 2015-01-07
KR102281000B1 true KR102281000B1 (ko) 2021-07-23

Family

ID=5211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67A KR102281000B1 (ko) 2013-06-28 2014-06-27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6232B2 (ko)
JP (1) JP6313548B2 (ko)
KR (1) KR102281000B1 (ko)
CN (2) CN104249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3548B2 (ja) * 2013-06-28 2018-04-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US11539686B2 (en) 2017-10-12 2022-12-27 Mx Technologies, Inc. Data aggregation management based on credentials
US11072192B2 (en) * 2018-12-28 2021-07-27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JP2022104155A (ja) * 2020-12-28 2022-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WO2024072473A1 (en) * 2022-09-29 2024-04-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lade supporting device with movable blade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00A (ja) * 1999-03-25 2000-10-0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2006243699A (ja) * 2005-02-01 2006-09-14 Ricoh Co Ltd 装置の外装カバー、これを用いた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920Y2 (ja) * 1991-01-14 1998-05-1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H08276637A (ja) * 1995-04-07 1996-10-22 Seiko Instr Inc 小型プリンタの筺体構造
JP3546762B2 (ja) * 1999-06-03 2004-07-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JP3364183B2 (ja) * 1999-10-21 2003-01-0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扉構造
JP3741003B2 (ja) * 2001-06-25 2006-0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DE60211596T2 (de) * 2001-06-25 2006-12-21 Seiko Epson Corp. Drucker
JP4761465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9029092A (ja) 2007-07-31 2009-02-12 Seiko Epson Corp 情報機器装置
JP5082749B2 (ja) * 2007-10-15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11051158A (ja) * 2009-08-31 2011-03-17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2162056A (ja) * 2011-02-09 2012-08-30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12201456A (ja) * 2011-03-25 2012-10-22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2206369A (ja) * 2011-03-29 2012-10-2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および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
JP5702215B2 (ja) * 2011-04-20 2015-04-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ラテンローラ固定構造及びプリンタ
CN202428838U (zh) * 2011-12-22 2012-09-12 珠海赛达精密电子技术有限公司 票据打印机机芯
CN202782190U (zh) * 2012-09-20 2013-03-13 珠海赛达精密电子技术有限公司 票据打印机机芯
JP6313548B2 (ja) * 2013-06-28 2018-04-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00A (ja) * 1999-03-25 2000-10-0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2006243699A (ja) * 2005-02-01 2006-09-14 Ricoh Co Ltd 装置の外装カバー、これを用いた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077080U (zh) 2015-01-07
KR20150002536A (ko) 2015-01-07
CN104249565B (zh) 2017-08-18
JP2015009472A (ja) 2015-01-19
CN104249565A (zh) 2014-12-31
JP6313548B2 (ja) 2018-04-18
US9296232B2 (en) 2016-03-29
US20150002604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000B1 (ko) 서멀 프린터
US6508600B1 (en) Printer
JP5498802B2 (ja)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6262429B2 (ja) プリンタ
JP5469469B2 (ja) プリンタ
JP6112995B2 (ja) プリンタ
JP5596983B2 (ja) プリンタ
JP2013095045A (ja)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2017035803A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5912047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US10421302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printer
JP6709851B2 (ja) プリンタ
JP6450484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2021006900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N111070904B (zh) 热敏打印机
JP7300339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5798422B2 (ja) プリンタ
JP5798854B2 (ja) プリンタ
JP3823971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付きプリンタ
KR102356765B1 (ko) 인자 유닛 및 프린터
JP5293228B2 (ja) 記録装置
JP2024018384A (ja)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5254620A (ja) プリンタ
JP5850707B2 (ja) プリンタ
JP2015124043A (ja) 媒体幅検出装置およ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