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042B1 - 축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042B1
KR101233042B1 KR1020117000369A KR20117000369A KR101233042B1 KR 101233042 B1 KR101233042 B1 KR 101233042B1 KR 1020117000369 A KR1020117000369 A KR 1020117000369A KR 20117000369 A KR20117000369 A KR 20117000369A KR 101233042 B1 KR101233042 B1 KR 10123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lance
balance control
battery module
voltag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343A (ko
Inventor
다께히꼬 니시다
데쯔로오 시게미즈
가쯔오 하시자끼
가즈유끼 아다찌
신지 무라까미
요시히로 와다
고오지 구라야마
히로후미 후지따
Original Assignee
규슈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규슈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규슈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전지의 열화 및 운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셀 밸런스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회로(3)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여,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하고, 또한,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아암의 조전지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의 조전지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로 된 경우에,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축전 시스템 {ELECTRICIT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조전지를 구비하는 전지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축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차 전지의 셀 밸런스 방식으로서, 저항 바이패스 방식, 트랜스 방식, 플라잉 캐패시터 방식, 충전 전원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제안, 실용화되어 있다. 이들의 방식은, 모두, 셀을 복수개 직렬 접속한 조전지로 각 셀의 충전 상태를 균등화하는 것이다.
셀 밸런스 방식은, 각 셀 전압을 균등화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균등화 제어중에 있어서, 충방전 전류와 내부 저항에 기인하는 전압 강하에 의한 밸런스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대전류로 충방전을 행하는 경우, 이 오차는 현저해지므로, 종래는, 충방전 정지중이나 충방전 전류가 작을 때에 균등화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3229696호 공보
그런데, 복수의 셀을 직렬 접속하여 아암을 구성하고, 이 아암이 또한 복수개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조전지에 있어서는, 하나의 아암에 대해서 균등화가 필요해진 경우, 모든 아암의 동작을 정지시켜 균등화를 행한다고 하면, 균등화가 필요하지 않은 아암에 대해서도 동작 정지를 해야만 되어, 운전 효율이 악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지의 열화 및 운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셀 밸런스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축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렬로 접속되는 동시에, 충방전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와 접속되는 복수의 전지 모듈과, 상기 전지 모듈의 각각과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모듈의 각각은, 복수의 전지가 직렬로 접속된 조전지와, 상기 조전지에 대응하여 설치된 셀 밸런스 회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여,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종료하고, 또한,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내로 된 경우에,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각 전지 모듈과 전력 변환 장치의 사이에 개폐 장치를 설치했으므로,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전지 모듈만을 전력 변환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다른 전지 모듈에 대해서는 충방전을 계속하여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접속 상태로 한 전지 모듈을 재투입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지 모듈과의 전압차를 고려하므로,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개폐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모듈의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내로 된 경우에,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개폐 장치에 병렬 접속되어 있는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그 전지 모듈과 전력 변환 장치를 저항부를 통하여 접속하므로,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저항부를 설치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전지 모듈을 빠른 시기에 전력 변환 장치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축전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개폐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기 전지 모듈에 관해서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전지 모듈의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내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그 전지 모듈과 전력 변환 장치를 저항부를 통하여 접속하므로,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저항부를 설치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전지 모듈을 빠른 시기에 전력 변환 장치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축전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조전지의 각각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에 따라, 상기 충방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한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컸을 경우에는, 충방전 장치를 작동시켜 당해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한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을 빠른 시기에 다른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에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비접속 상태로 되어 있던 전지 모듈을 빠른 시기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조전지의 각 셀 전압을 계측하는 기간에 한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 전압을 계측하는 약간의 시간만, 전지 모듈을 전력 변환 장치와 분리시키면 되므로, 이 사이에 있어서의 전지 모듈의 전압 변화를 작은 범위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전지 모듈과의 전압차를 고려하는 일 없이, 이 전지 모듈을 빠르게 재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개폐 장치 대신에 전압 변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압 변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개폐 장치 대신에 전압 변환 장치를 구비하므로, 이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각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도록 전압 변환 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는,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전지 모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이라 함은, 전류가 제로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환언하면, 전압 변환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 부하의 상태에 따른 요구 전력량을 다른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의 전력 공급만으로는 부담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정지시켜,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지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 다른 전지 모듈 만으로는 요구 전력량을 부담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정지시켜,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전지 모듈을 통상의 운전 상태로 복귀시키므로,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도 축전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한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조전지의 각 셀 전압을 계측하는 기간에 한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압 변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셀 전압의 계측 후는,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 전압을 계측하는 약간의 시간만, 전지 모듈의 충방전 전류를 억제하면 되므로, 전지 모듈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한다」라 함은, 전류가 제로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환언하면, 전압 변환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축전 시스템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접속되는 전압 변환 장치와, 각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사이에 설치된 제4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4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제4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압 변환 장치의 동작 조건에 따라서는, 셀 밸런스 제어 중의 아암을 항상 전력 변환 장치와 접속된 상태로 해 둘 수 있으므로, 셀 밸런스 제어 중이라도 아암의 충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축전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최대 개수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최대 개수의 범위내에서 셀 밸런스 제어를 실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전압의 편차가 큰 전지 모듈로부터 우선시켜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지 모듈간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편차를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와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전지 모듈의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지 모듈간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편차를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과도한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최대 개수는, 평균적인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축전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달성하면서, 각 전지 모듈에 있어서의 셀간 전압을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의 열화 및 운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셀 밸런스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전 시스템은,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아암(전지 모듈)(1-1, 1-2, …1-m)을 구비하고 있다. 각 아암(1-1, 1-2, …1-m)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1-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암(1-1)은, 복수의 셀(전지) C1, C2, …, Cn이 직렬로 접속된 조전지(2)와, 셀 밸런스 회로(3)와, 각 셀 C1, C2, …, Cn의 전압을 계측하는 셀 전압 센서(4)와,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을 계측하는 조전지 전압 센서(5)와, 셀 밸런스 회로(3) 등을 제어하는 아암 제어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아암(1-1, 1-2, …1-m)은, 개폐 장치(10-1, 10-2, …10-m)를 통하여 전력 변환 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 변환 장치(20)는, 예를 들어 부하가 접속되어 있는 상용 계통에 접속되어 있고, 축전 시스템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거나, 상용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도입하여, 축전 시스템을 충전한다.
각 개폐 장치(10-1, 10-2, …10-m), 전력 변환 장치(20)는, 시스템 제어 장치(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 장치(30) 및 각 아암(1-1, 1-2, …1-m)이 구비하는 아암 제어 장치(6)는, 정보의 수수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셀 밸런스 회로(3)의 작동 타이밍에 동기하여 시스템 제어 장치(30)가 개폐 장치(10-1, 10-2, …10-m)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각 아암(1-1, 1-2, …1-m)의 아암 제어 장치(6)는, 서로 정보를 수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각 아암(1-1, 1-2, …1-m)이 구비하는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을 아암간에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전 시스템의 동작 중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의해, 모든 개폐 장치(10-1, 10-2, …10-m)가 폐쇄 상태로 되어, 각 아암(1-1, 1-2, …1-m)과 전력 변환 장치(20)가 접속 상태로 된다. 방전시에 있어서는, 각 아암(1-1, 1-2, …1-m)이 구비하는 조전지(2)에 축전된 전력이 전력 변환 장치(20)를 통하여 부하로 공급되고, 충전시에 있어서는, 상용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이 전력 변환 장치(20)를 통하여 각 조전지(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운전 동작 중에 있어서, 각 아암(1-1, 1-2, …1-m)의 셀 전압 센서(4)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조전지(2)를 구성하는 각 셀 C1, C2, …Cn의 셀 전압을 검출하여, 이 검출 결과를 아암 제어 장치(6)에 출력한다. 또한, 조전지 전압 센서(5)에 의해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이 검출되어, 검출 결과가 아암 제어 장치(6)에 출력된다.
아암 제어 장치(6)는, 각 셀의 전압차를 산출하고, 이 전압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균등 범위 이외였던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셀 전압의 균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그 취지의 신호를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출력한다.
이하, 아암(1-1)에 있어서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셀 밸런스 제어의 필요성이 통지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아암(1-1)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10-1)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개폐 장치(10-1)를 개방 상태로 한 취지의 신호를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고, 아암 제어 장치(6)는, 셀 밸런스 회로(3)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어, 각 셀 C1, C2, …Cn 사이의 전압차가 서서히 균등화된다. 그리고, 셀 전압의 차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균등 범위 내로 들어가면, 아암 제어 장치(6)는 셀 밸런스 회로(3)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취지를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통지한다.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제어의 종료 통지를 수신하면, 각 아암(1-1, 1-2, …1-m)이 구비하는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각 아암(1-1, 1-2, …1-m)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아암(1-1)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1-2, 1-m)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의 전압차가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내로 된 경우에, 아암(1-1)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10-1)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아암(1-1)이 전력 변환 장치(20)에 재접속되어, 충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해 온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각 아암(1-1, 1-2, …1-m)과 전력 변환 장치(20)의 사이에 개폐 장치(10-1, 10-2, …10-m)를 설치했으므로,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1-1)만을 전력 변환 장치(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다른 아암(1-2, …1-m)에 대해서는 충방전을 계속하여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접속 상태로 된 아암(1-1)을 재투입하는 경우에는, 다른 아암(1-2, …1-m)과의 전압차를 고려하므로,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아암(1-1)이 구비하는 조전지(2)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셀 밸런스 회로(3)는,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 기준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설정ㆍ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셀 전압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상이었을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아암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여, 이 아암과 전력 변환 장치를 비접속 상태로 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시스템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의한 개폐 장치의 개폐 타이밍이 다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아암(1-1)에 있어서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면, 아암(1-1)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개방 상태로 한 취지의 통지를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에 대하여 송신한다. 아암 제어 장치(6)는, 개폐 장치(10-1)가 개방 상태로 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면, 셀 밸런스 제어에 관한 각 처리를 소정의 순서로 실행한다.
우선, 셀 밸런스 제어에서는, 셀 전압 센서(4)에 의해 셀 전압이 계측되어, 이 계측 결과가 아암 제어 장치(6)에 출력된다. 아암 제어 장치(6)는, 셀 전압의 계측 결과를 취득하면,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대하여 셀 전압의 계측이 종료된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이 통지를 수신하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개폐 장치(10-1)를 폐쇄 상태로 한다.
또한,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는, 셀 전압 센서(4)로부터 각 셀 전압의 계측 결과를 취득하면, 이 셀 전압의 편차로부터 셀 밸런스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한 후, 셀 밸런스 회로(3)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아암 제어 장치(6)는, 셀 밸런스 회로(3)의 작동 개시로부터 계산한 상기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셀 밸런스 회로(3)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취지를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통지한다.
이상 설명해 온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에 있어서 셀 전압을 계측하는 약간의 기간에 한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을 전력 변환 장치(20)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이 사이에 있어서의 아암의 조전지(2)의 전압 변화를 작은 범위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할 때의 전압 조정이 필요없게 되는 동시에, 아암을 빠른 시기에 전력 변환 장치와 재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면서도, 통상의 충방전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셀 밸런스 제어에 의한 축전 시스템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아암(1-1)에 있어서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각 개폐 장치(10-1, 10-2, …10-m)에 대해 전류 억제부(40-1, 40-2, …40-m)를 병렬로 접속한 점이다. 전류 억제부(40-1, 40-2, …40-m)는, 각각 저항 소자(저항부)(41)와 제2 개폐 장치(4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면, 폐쇄 상태였던 개폐 장치(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아암(1-1)과 전력 변환 장치(20)를 비접속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가 아암 제어 장치(6)의 제어하에서 행해지고,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하면, 아암 제어 장치(6)는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대하여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취지의 통지를 송신한다. 이 통지를 수신하면,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개폐 장치(10-1)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 채, 아암(1-1)에 대응하는 전류 억제부(40-1)의 제2 개폐 장치(42)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전력 변환 장치(20)와 아암(1-1)이 저항 소자(41)를 통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아암(1-1)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내로 된 경우에, 전류 억제부(40-1)의 제2 개폐 장치(42)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아암(1-1)의 개폐 장치(10-1)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그 아암과 전력 변환 장치(20)를 저항 소자(41)를 통하여 접속하므로, 아암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저항 소자(41)를 설치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었던 아암을 빠른 시기에 전력 변환 장치(20)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축전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개폐 장치의 전환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지 않은 아암에 관하여는, 상기 아암에 대응하는 제2 개폐 장치(42)와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셀 밸런스를 행하는 아암에 대응하는 제2 개폐 장치(42)와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아암에 대응하는 제2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또한,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아암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내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아암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개폐 장치의 전환을 행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아암(1-1)에 있어서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지고 있던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각 아암(1-1, 1-2, …1-m)에, 조전지(2)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장치(7)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되면, 아암 제어 장치(6)는, 아암(1-1)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1-2, …1-m)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을 비교하고, 이들의 차분이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결과, 허용 범위내가 아니면, 아암 제어 장치(6)는 대응하는 충방전 장치(7)를 작동시켜, 조전지(2)의 충방전을 행함으로써, 이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을 다른 아암(1-2, …1-m)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전압차가 허용 범위 내로 된 시점에, 그 취지를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통지한다.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이 통지를 수신하면, 아암(1-1)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10-1)를 폐쇄 상태로 하고, 아암(1-1)을 전력 변환 장치(20)와 재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한 아암(1-1)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아암(1-2, …1-m)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컸을 때에는, 충방전 장치(7)를 작동시켜 당해 아암(1-1)의 단자간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한 아암(1-1)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을 다른 아암의 조전지(2)의 단자간 전압에 빠른 시기에 근접시킬 수 있어,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한 아암(1-1)의 재투입의 시기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아암(1-1, 1-2, …1-m) 내에 충방전 장치(7)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1, 1-2, …1-m)의 외부에 충방전 장치(7)를 하나 설치하고, 이 충방전 장치(7)와 각 아암(1-1, 1-2, …1-m)의 조전지(2)를 제3 개폐 장치(12-1, 12-2, …12-m)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충방전이 필요한 조전지(2)에 대응하는 제3 개폐 장치만을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조전지(2)와 충방전 장치(7)를 접속함으로써, 조전지(2)의 충방전을 행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아암(1-1)에 있어서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축전 시스템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개폐 장치(10-1, 10-2, 10-m) 대신에, 전압 변환 장치(50-1, 50-2, 50-m)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전압 변환 장치(50-1, 50-2, 50-m)는, 예를 들어, 컨버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1-1)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 전압 변환 장치(50-1)를 제어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전압 변환 장치(50-1)의 작동을 정지시켜도 좋다.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아암(1-1)에 흐르는 전류를 제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취지의 통지를 아암(1-1)의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전압 변환 장치(50-1)의 운전을 서서히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아암(1-1)에 흐르는 전류가 상승하여, 소정의 기간 후에는, 통상의 충방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개폐 장치(10-1, 10-2, 10-m)대신에 전압 변환 장치(50-1, 50-2, 50-m)를 구비하므로, 이 전압 변환 장치(50-1, 50-2, 50-m)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각 아암(1-1, 1-2, …1-m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도록 전압 변환 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는, 서서히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아암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압 변환 장치의 동작 조건에 따라서는, 셀 밸런스 제어 중의 아암을 항상 전력 변환 장치(20)와 접속된 상태로 해 둘 수 있으므로, 셀 밸런스 제어 중이라도 아암의 충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축전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 다른 아암(1-2, …1-m)에 의해 요구 전력량을 부담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아암(1-1)의 셀 밸런스 제어를 정지시키고,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지고 있었던 아암(1-1)에 대응하는 전압 변환 장치(50-1)의 운전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도 축전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한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셀 밸런스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기간에 걸쳐, 전압 변환 장치(50-1)의 작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셀 전압의 계측시에 한하여 전압 변환 장치(50-1)의 작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빠른 시기에 전압 변환 장치(50-1)를 통상의 운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셀 밸런스 제어에 의한 축전 시스템의 충방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아암에 대응하여 전압 변환 장치(50-1, 50-2, 50-m)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전압 변환 장치(50)를 설치하고, 이 전압 변환 장치(50)와 각 아암(1-1, 1-2, …1-m)을 제4 개폐 장치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아암(1-1)에 대응하는 제4 개폐 장치만을 폐쇄 상태로 하고, 이 아암(1-1)을 전압 변환 장치(50)를 통하여 전력 변환 장치(20)와 접속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아암(1-1)을 셀 밸런스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아암의 셀 밸런스 제어를 동시에 행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시스템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관한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아암의 최대 개수를 보유하고 있고, 이 최대 개수의 범위 내에서 셀 밸런스 제어를 실시시킨다. 이 최대 개수는, 예를 들어, 평균적인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수로 설정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각 아암(1-1, 1-2, …1-m)이 구비하는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셀 밸런스 제어가 필요하다고 통지된 아암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를 초과하고 있던 경우에는, 각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셀 전압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셀 전압의 편차가 큰 아암으로부터 우선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시점에서,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을 전환함으로써, 순서 대기의 아암에 대해서도 순서대로 셀 밸런스 제어를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시스템에 따르면, 셀 밸런스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아암간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편차를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되었을 때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의 전환을 행하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아암의 전환 시기를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 장치(30)는, 정기적으로,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아암의 아암 제어 장치(6) 및 셀 밸런스 제어 대기 아암의 아암 제어 장치(6)로부터, 각각의 조전지(2)의 각 셀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한 각 아암에 있어서의 셀 전압으로부터 셀 전압차의 최대치를 아암마다 산출한다. 그리고,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아암의 셀 전압차의 최대치와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아암의 셀 전압차의 최대치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아암의 전환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간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편차를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아암에 있어서의 셀 전압의 과도한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아암(1-1, 1-2, …1-m) 내에 아암 제어 장치(6)를 설치하고, 이 아암 제어 장치(6)와 시스템 제어 장치(30)의 사이에서 정보를 수수함으로써, 셀 밸런스 제어 등을 행하고 있었지만, 이들 제어 장치(30)의 구성이나 배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아암(1-1, 1-2, …1-m)에 설치되어 있던 아암 제어 장치(6)(도1 참조)를 생략하는 동시에, 이 아암 제어 장치(6)의 기능을 시스템 제어 장치(30)에 담당시킴으로써, 시스템 제어 장치(30)만으로 셀 밸런스 제어에 관한 모든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 장치(30)를 전력 변환 장치(20')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1, 1-2, …1-m : 아암
2 : 조전지
3 : 셀 밸런스 회로
4 : 셀 전압 센서
5 : 조전지 전압 센서
6 : 아암 제어 장치
7 : 충방전 장치
10-1, 10-2, …10-m : 개폐 장치
12-1, 12-2, …12-m : 제3 개폐 장치
20, 20' : 전력 변환 장치
30 : 시스템 제어 장치
40-1, 40-2, …40-m : 전류 억제부
41 : 저항 소자
42 : 제2 개폐 장치
50, 50-1, 50-2, …50-m : 전압 변환 장치

Claims (15)

  1. 병렬로 접속되는 동시에, 충방전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와 접속되는 복수의 전지 모듈과,
    상기 전지 모듈의 각각과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모듈의 각각은,
    복수의 전지가 직렬로 접속된 조전지와,
    상기 조전지에 대응하여 설치된 셀 밸런스 회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되고, 또한,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내로 된 경우에,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모듈의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내로 된 경우에,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개폐 장치에 병렬 접속되어 있는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지 않는 상기 전지 모듈에 관해서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전지 모듈의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내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전지의 각각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과 다른 상기 전지 모듈의 단자간 전압의 차분에 따라, 상기 충방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축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조전지의 각 셀 전압을 계측하는 기간에 한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 대신에, 전압 변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압 변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축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제어 중에 있어서, 부하의 상태에 따른 요구 전력량을 다른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의 전력 공급만으로는 부담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정지시키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행해지고 있던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축전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조전지의 각 셀 전압을 계측하는 기간에 한하여,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압 변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셀 전압의 계측 후는,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운전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축전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접속되는 1대의 전압 변환 장치와,
    각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전압 변환 장치의 사이에 설치된 제4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스 회로에 의한 셀 밸런스 제어가 개시되는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상기 제4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셀 밸런스 제어가 종료된 경우에, 개방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 상태로 하는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어 있던 상기 제4 개폐 장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축전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최대 개수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최대 개수의 범위 내에서 셀 밸런스 제어를 실시시키는, 축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전압의 편차가 큰 전지 모듈로부터 우선하여 상기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게 하는, 축전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와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전지 모듈의 전환을 행하는, 축전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최대 개수는, 평균적인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수로 설정되어 있는, 축전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와 셀 밸런스 제어 대기의 상기 전지 모듈의 셀 전압차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전지 모듈의 전환을 행하는, 축전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동시에 셀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최대 개수는, 평균적인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수로 설정되어 있는, 축전 시스템.
KR1020117000369A 2008-08-13 2008-10-30 축전 시스템 KR101233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8429A JP5529402B2 (ja) 2008-08-13 2008-08-13 蓄電システム
JPJP-P-2008-208429 2008-08-13
PCT/JP2008/069806 WO2010018644A1 (ja) 2008-08-13 2008-10-30 蓄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343A KR20110028343A (ko) 2011-03-17
KR101233042B1 true KR101233042B1 (ko) 2013-02-13

Family

ID=4166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369A KR101233042B1 (ko) 2008-08-13 2008-10-30 축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3792B2 (ko)
EP (1) EP2315336B1 (ko)
JP (1) JP5529402B2 (ko)
KR (1) KR101233042B1 (ko)
CN (1) CN102089953B (ko)
WO (1) WO2010018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185B2 (ja) * 2010-02-08 2013-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CN102208820B (zh) * 2010-03-29 2013-08-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组并联装置及其控制方法
JP5618359B2 (ja) * 2010-08-02 2014-11-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パック接続制御方法、および、蓄電システム
WO2012043723A1 (ja) * 2010-10-01 2012-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5487070B2 (ja) * 2010-10-13 2014-05-07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充電状態平均化装置、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電池システムへの接続方法
WO2012049963A1 (ja) * 2010-10-15 2012-04-19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池を含む電源システム
CN103081278B (zh) * 2010-12-21 2013-12-1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源装置
KR101488866B1 (ko) * 2011-01-26 2015-02-0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전동 차량용 축전 시스템
JP5517965B2 (ja) * 2011-02-14 2014-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WO2012124554A1 (ja) * 2011-03-17 2012-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源装置及び移動体
KR101367875B1 (ko) * 2011-03-21 2014-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JP5709601B2 (ja) * 2011-03-25 2015-04-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の電圧均等化方法
US20120248868A1 (en) * 2011-04-04 2012-10-04 Fahim Usshihab Mobin Swappable battery car and battery car station
US20140042974A1 (en) * 2011-04-22 2014-02-13 Sk Innovation Co., Ltd. Detachable battery modu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harge equalization of a battery string using same
JP5298158B2 (ja) * 2011-04-27 2013-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5621044B2 (ja) * 2011-05-31 2014-11-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力貯蔵用単位ラックを連結するための電圧平準化装置及びこれを含む電力貯蔵システム
JP5967378B2 (ja) * 2011-06-03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組電池の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電力供給システム
WO2013008859A1 (ja) * 2011-07-12 2013-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池集合体制御システム
JP6004350B2 (ja) * 2011-07-29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集合体の充放電制御システム
JP5664491B2 (ja) * 2011-08-03 2015-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制御装置
JP5755540B2 (ja) * 2011-09-20 2015-07-29 株式会社東芝 蓄電池装置及び蓄電池装置の運転方法
JP2013078241A (ja) * 2011-09-30 2013-04-25 Toshiba Corp 蓄電池装置、蓄電池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078227A (ja) * 2011-09-30 2013-04-25 Sanyo Electric Co Ltd 残容量調整装置
JP5375927B2 (ja) * 2011-11-02 2013-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均等化装置および方法
JP5688359B2 (ja) * 2011-12-09 2015-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レー制御装置
JP6056344B2 (ja) * 2011-12-12 2017-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接続制御装置
JP2013126343A (ja) * 2011-12-16 2013-06-24 Hitachi Ltd 蓄電デバイスを備えた電力蓄積システム
JP5472282B2 (ja) * 2011-12-19 2014-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801176B2 (ja) * 2011-12-19 2015-10-28 株式会社東芝 蓄電装置及びその保守方法
US9404956B2 (en) * 2011-12-19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selectable battery pack isolation detection circuitry using precision resistors
WO2013115034A1 (ja) * 2012-01-31 2013-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5748689B2 (ja) * 2012-02-28 2015-07-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5859341B2 (ja) * 2012-02-28 2016-0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圧均等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それを備えた電力貯蔵システム
JP5971626B2 (ja) * 2012-03-15 2016-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システム
KR101648239B1 (ko) * 2012-06-29 2016-08-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돌입 전류를 저감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JP5547355B1 (ja) * 2012-08-24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可搬型電源装置
WO2014033880A1 (ja) * 2012-08-30 2014-03-06 株式会社安川電機 蓄電装置
KR101942970B1 (ko) 2012-09-21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싱 방법 및 배터리 시스템
JP5892024B2 (ja) * 2012-10-01 2016-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源装置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切り替え方法
JP6215220B2 (ja) * 2012-10-29 2017-10-18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5583194B2 (ja) * 2012-11-21 2014-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電池管理装置及び電池管理方法
US9118198B2 (en) * 2012-12-20 2015-08-25 Nokia Technologies Oy Balancing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JP6013227B2 (ja) * 2013-02-22 2016-10-25 株式会社東芝 蓄電装置
JP2014176152A (ja) * 2013-03-07 2014-09-22 Tdk Corp 蓄電システム
US10788539B2 (en) * 2013-04-26 2020-09-2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battery system using same
CN103280854B (zh) * 2013-05-23 2018-10-02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汽车动力电池充电系统及充电方法
JP2015012725A (ja) * 2013-06-28 2015-01-19 ソニー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制御方法
JP6127856B2 (ja) * 2013-09-17 2017-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CN103647309A (zh) * 2013-11-20 2014-03-19 南京利维斯通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无环流的电池供电系统
GB2522242A (en) * 2014-01-20 2015-07-22 Nokia Technologies Oy Additional battery pack
KR101586286B1 (ko) * 2014-05-30 2016-01-21 주식회사 코캄 충방전 경로 선택이 가능한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6467816B2 (ja) 2014-08-21 2019-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システム
US20160149421A1 (en) * 2014-11-24 2016-05-26 Southwest Electronic Energy Corporation Low voltage charging and balancing of a high voltage, series-connected string of battery modules
KR101729820B1 (ko) * 2014-12-08 2017-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릴레이 컨트롤 장치 및 방법
WO2016147306A1 (ja) * 2015-03-16 2016-09-22 株式会社東芝 蓄電池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80448B2 (en) * 2015-10-30 2020-06-09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torage unit and power storage system
WO2017085838A1 (ja) * 2015-11-19 2017-05-26 株式会社東芝 電池管理装置および電圧制御方法
JP2017103996A (ja) * 2015-12-04 2017-06-08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システム、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135069A1 (ja) * 2016-02-01 2017-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DE102016207272A1 (de) * 2016-04-28 2017-1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ltbares Speichersystem für ein Fahrzeug
US20170373512A1 (en) * 2016-06-21 2017-12-28 Chunyi Wang First Series Then Parallel Battery Pack System
JP6708011B2 (ja) * 2016-06-22 2020-06-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US10203358B2 (en) * 2016-07-19 2019-02-12 Lg Chem, Ltd. Systems for determining a voltage out-of-range high condition and a voltage out-of-range low condition of a battery module
KR20180044484A (ko) 2016-10-21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전전압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US11233419B2 (en) * 2017-08-10 2022-01-25 Zoox, Inc. Smart battery circuit
US10730402B2 (en) * 2017-11-16 2020-08-04 Lg Chem, Ltd. Electrical control system
JP7059723B2 (ja) * 2018-03-19 2022-04-2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102338938B1 (ko) * 2018-05-03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A3102800A1 (en) * 2018-06-28 2020-01-02 Snap Inc. Regulated power sources
JP7167581B2 (ja) * 2018-09-19 2022-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二次電池装置
KR102347920B1 (ko) 2018-10-12 2022-0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JP7178067B2 (ja) * 2019-06-12 2022-11-25 株式会社エネルギーの島 電池システム及び電池ユニットの充電方法
CN110182103A (zh) * 2019-06-26 2019-08-30 上海海得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动力系统
JP7401216B2 (ja) * 2019-07-26 2023-12-1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均等化装置及び均等化方法
CN113875113B (zh) * 2019-10-22 2024-02-27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使并联连接的电池组平衡的装置和方法
JP7287908B2 (ja) * 2020-01-30 2023-06-06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制御装置
DE102020206520A1 (de) 2020-05-26 2021-12-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atteriesystems
DE102021104236A1 (de) 2021-02-23 2022-08-25 Sma Solar Technology Ag Transfereinheit, system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s batterieinternen ausgleichsvorga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629A (ja) 2002-03-27 200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蓄電装置の電圧均等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7259612A (ja) 2006-03-24 2007-10-04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696B2 (ja) 1993-02-25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充電方法
JP3580123B2 (ja) * 1998-03-20 2004-10-20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3469228B2 (ja) * 2002-02-13 2003-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の充放電制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並びに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4032871A (ja) * 2002-06-25 2004-01-2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走行車両用電源システム
US6774606B1 (en) * 2003-01-24 2004-08-10 The Boeing Company Charg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harging multiple battery cells
JP2004236473A (ja) * 2003-01-31 2004-08-19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装置
US7081737B2 (en) * 2003-06-19 2006-07-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JP3766076B2 (ja) * 2003-06-25 2006-04-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 ファシリティーズ 電池充電装置
JP2005176461A (ja)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US7282814B2 (en) * 2004-03-08 2007-10-16 Electrovaya Inc. Battery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JP4622645B2 (ja) * 2005-04-15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内燃機関装置並びに車両
JP4337848B2 (ja) * 2006-07-10 2009-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温度管理方法
US8030895B2 (en) * 2007-12-27 2011-10-04 Fenghua Xiao Cell balancing systems with multiple controllers
US8294421B2 (en) * 2008-09-05 2012-10-23 O2Micro Inc Cell balancing systems employing transform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629A (ja) 2002-03-27 200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蓄電装置の電圧均等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7259612A (ja) 2006-03-24 2007-10-04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343A (ko) 2011-03-17
EP2315336B1 (en) 2019-01-02
US20110127964A1 (en) 2011-06-02
JP2010045923A (ja) 2010-02-25
EP2315336A1 (en) 2011-04-27
WO2010018644A1 (ja) 2010-02-18
CN102089953A (zh) 2011-06-08
JP5529402B2 (ja) 2014-06-25
US8653792B2 (en) 2014-02-18
EP2315336A4 (en) 2016-04-20
CN102089953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042B1 (ko) 축전 시스템
JP6332924B2 (ja) セルバランシング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ルバランシング方法
KR101107999B1 (ko) 전압 센서와 전하 균일 장치가 결합된 배터리 운용 시스템
US923144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7928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ell equalization with isolated charging sources
KR101470735B1 (ko) 직렬 연결된 다수의 2차 전지 충방전을 위한 능동 벨런스회로와 알고리즘을 구비한 2차 전지 충방전 제어장치 및 방법
JP5587421B2 (ja) 電源システム
JP5910889B2 (ja) 蓄電システム
JP6928347B2 (ja) 管理装置、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WO2010051439A2 (en) Autonomous balancing of series connected charge storage devices
CN108028536B (zh) 电池监视装置
US11158888B2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JP2013121242A (ja) Soc推定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5314626B2 (ja) 電源システム、放電制御方法および放電制御プログラム
JP2014050269A (ja) 組電池の均等充電システム
WO2019188889A1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制御方法
WO2019188890A1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RU2743789C1 (ru) Балансир напряжений электрических накопителе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выравни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заряда на соединенны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n электрических накопителях энергии
EP4053966A1 (en) Electric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JP4607087B2 (ja) 電池システムおよび出力電流制御方法
WO2023037599A1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102151652B1 (ko) 척컨버터 토폴로지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셀밸런싱 장치
WO2020079868A1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2000023381A (ja) 組電池の充電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CN116865316A (zh) 一种模块化储能的双向变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