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93B1 -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6093B1 KR101216093B1 KR1020090077731A KR20090077731A KR101216093B1 KR 101216093 B1 KR101216093 B1 KR 101216093B1 KR 1020090077731 A KR1020090077731 A KR 1020090077731A KR 20090077731 A KR20090077731 A KR 20090077731A KR 101216093 B1 KR101216093 B1 KR 101216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very container
- container
- housing
- recovery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03G2221/1624—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transporting cleaned toner into separate vessels, e.g. photoreceptors, external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수 용기를 하우징으로부터 취출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출체(排出體)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210)와, 상방에 개구하여 회수 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상자(310)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동시에 수용 상자를 지지하고, 회수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수용 상자를 하우징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지지 부재(410)를 구비하고, 회수 용기(210)가, 인출하는 방향 전방이며 회수 용기 상부에 마련되어진 손잡이(212)를 갖고, 수용 상자(310)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面)에,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회수 용기(210)의 손잡이(212)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었을 때에, 회수 용기(210)의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214)를 수용 상자(310)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회수 용기(210)의,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의 경사를 허용하는 절결부(notch)를 갖는다.
회수 용기, 회수 장치, 화성 형성 장치, 수용 상자, 지지 부재, 배출체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분체(粉體)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불필요한 폐 토너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를 장치하우징 내에 설치해 두고, 그 회수 용기가 가득 차면 회수 용기를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하고, 빈 회수 용기를 다시 그 장치 하우징 내에 설치하는 작업이 행하여진다.
특허 문헌 1에는,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회수 용기를 취출하는데 있어서, 회수 용기를 지지하는 틀을 회전시키는 제 1 조작을 행해서 회수 용기를 회전시키고, 이어서 그 제 1 조작을 행한 손을 바꿔 들어, 그 틀을 남긴 채 회수 용기를 들어올리는 제 2 조작을 행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선행 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09286호 공보
본 발명은 배출체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를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하는데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회수 장치, 및 그 회수 장치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회수 장치는, 배출체(排出體)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와,
상방에 개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상자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상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수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상기 수용 상자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 용기가, 인출하는 방향 전방이며 상기 회수 용기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갖고,
상기 수용 상자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面)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손잡이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렸을 때에,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일부분을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의 경사를 허용하는 절결부를 갖는 회수 장치이다.
청구항 2의 회수 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상자 및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서로 맞닿아서 상기 회수 용기의 더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수용 상자측 맞닿음 부(storage-box-side abutment part) 및 회수 용기측 맞닿음 부(collection-container-side abutment part)를 각각 갖는 회수 장치이다.
청구항 3의 회수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하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접해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을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회수 장치이다.
청구항 4의 회수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상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 상기 회수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를 쥐는 한쪽의 손과는 반대의 다른 한쪽의 손을 보조하는 보조부(auxiliary part)를 갖는 회수 장치이다.
청구항 5의 화상 형성 장치는, 배출체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와,
상방에 개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상자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상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수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상기 수용 상자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 에 수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 용기가, 인출하는 방향 전방이며 상기 회수 용기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갖고,
상기 수용 상자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面)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손잡이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렸을 때에,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일부분을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의 경사를 허용하는 절결부를 갖는 회수 장치와,
기록재(記錄材)에 화상을 형성하고 분체(粉體)의 배출을 수반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배출 분체를,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는 상기 회수 용기 내에 반송하는 분체 반송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6의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 기재의 화성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상자 및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맞닿아서 상기 회수 용기의 더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수용 상자측 맞닿음 부 및 회수 용기측 맞닿음 부를 각각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7의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하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접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을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8의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상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 상기 회수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손잡을 쥐는 한쪽의 손과는 반대의 다른 한쪽의 손을 보조하는 보조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의 종래 예와 비교하여 회수 용기를 하우징 외부로 취출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회수 장치에 의하면, 회수 용기의 경사를 적당한 기울기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수 장치에 의하면, 회수 용기를 수용 상자로부터 취출할 때의 마찰의 저감(低減)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수 장치에 의하면, 회수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는, 급지 유닛(1A)과, 화상 형성 유닛(1B)과, 배지 유닛(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 유닛(1A)은 용지를 수용하는 제 1 용지 수용부(11) ~ 제 4 용지 수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용지 수용부(11) ~ 제 4 용지 수용부(14)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각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를 화상 형성 유닛(1B)에 접속된 반송로로 송출하는 송출롤(15~18)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1B)은, 소위 텐덤 형이고,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20), 화상 형성부(2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1), 및 예를 들면 화상 판독 장치(4)나 퍼스널컴퓨터(PC)(5)에 접속되고, 이들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6개의 화상 형성 엔진(30T, 30P, 30Y, 30M, 30C, 30K)(이하, 단순히 「화상 형성 엔진(3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 화상 형성 엔진(30)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31),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을 일정하게 대전하는 대전롤(32), 감광체 드럼(3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33), 감광체 드럼(31) 표면의 미(未) 전사 토너 등을 제거하는 드럼 클리너(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엔진(30T, 30P, 30Y, 30M, 30C, 30K)의 각각의 감광체 드럼(31)을 레이저광으로 주사 노광하는 레이저 노광 장치(26)가 마련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각 화상 형성 엔진(30)은, 현상기(33)에 수납된 토너의 색이나 종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엔진(30Y, 30M, 30C, 30K)의 각각에서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토너 상(像)이 형성된다.
그런데, 프로세서 컬러인 옐로,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4색에 더해서, 이 4색에서는 표현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했던 특정 색 등을 이용하여,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유저 전용의 코포레이트 컬러(corporate color)의 토너, 점자용의 발포 토너, 형광색 토너,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 강자성 토너, 또는 적외선영역에 감도를 갖는 불가시(不可視) 토너 등을 이용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유닛(1B)에서는, 프로세스 컬러나 흑색 토너에 의한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엔진(30Y, 30M, 30C, 30K)에 부가하여, 특정 색 등에 의한 화상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엔진(30T, 30P)이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는, 각 화상 형성 엔진(30)의 감광체 드럼(31)에서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像)이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41), 각 화상 형성 엔진(30)의 각 색 토너 상을 1차 전사부(T1)에서 중간 전사 벨트(41)에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시키는 1차 전사롤(42), 중간 전사 벨트(41) 위에 전사된 중첩 토너 상을 2차 전사부(T2)에서 용지 위에 일괄해서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롤(40), 중간 전사 벨트(41) 표면의 미전사 토너 등을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45), 2차 전사된 화상을 용지 위에 정착하는 정착기(8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제어부(2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우선, 화상 판독 장치(4)나 PC(5)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22)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시행되어, 레이저 노광 장치(26)에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마젠타(M)의 화상 형성 엔진(30M)에서는, 대전롤(32)에 의해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이 미리 정해진 전위(電位)로 일정하게 대전된 후, 레이저 노광 장치(26)에 의해, 화상 처리부(22)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로 변조된 레이저광이 감광체 드럼(31)에 주사 노광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31)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33)에 의해 현상되고, 감광체 드럼(31) 위에는 마젠타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화상 형성 유닛(30Y, 30C, 30K)에서, 옐로, 시안, 흑색의 토너 상이 형성되고,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서, 특정 색 등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각 화상 형성 유닛(30)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 상은, 도 1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41) 위에, 1차 전사롤(42)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전적(靜電的)으로 1차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41) 위에 중첩된 토너 상이 형성된다.
한편, 1차 전사시에 감광체 드럼(31) 위에 잔류한 미전사 토너 등은, 1차 전사롤(42)의 하류측에 설치된 드럼 클리너(34)에 의해 제거된다. 드럼 클리너(34)는, 감광체 드럼(31)의 축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져 제거된 미전사 토너 등을 화상 형성 유닛(1B)의 배면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3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부재(341)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1B)의 배면측으로 반송된 미전사 토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폐기 분체(粉體)는,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1B)의 배면측에 마련된 반송 기구(1OO)에 의해, 배지(排紙) 유닛(1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진 제 1 회수 용기(210) 또는 제 2 회수 용기(220)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회수 용기(210) 및 제 2 회수 용기(220)의 2개의 회수 용기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일방의 회수 용기가 가득 찼을 때에 타방의 회수 용기에 미전사 토너 등을 반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예를 들면, 대용량의 하나의 회수 용기에 미전사 토너 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미전사 토너 등이 수용된 회수 용기를 제거할 때의 회수 용기의 중량을 감(減)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회수 용기(210)의 검지(檢知)를 행하는 제 1 센서(S1), 제 2 회수 용기(220)의 검지를 행하는 제 2 센서(S2)가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제 1 회수 용기(210)의 상부까지 미전사 토너 등이 도달한 경우, 즉 제 1 회수 용기(210)가 미전사 토너 등에 의해 가득 찼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센서(S3)가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제 2 회수 용기(220)의 상부까지 미전사 토너 등이 도달한 경우, 즉 제 2 회수 용기(220)가 미전사 토너 등에 의해 가득찼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 4 센서(S4)가 마련되어져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 유닛(1C)에 제 1 회수 용기(210) 및 제 2 회수 용기(220)가 마련되어 있지만, 화상 형성 유닛(1B)에 이들을 마련해도 좋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41) 위에 형성된 중첩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41)의 이동에 따라 2차 전사롤(40)과 백업롤(49)이 설치된 2차 전사부(T2)를 향해서 반송된다. 한편, 용지는, 예를 들면 송출롤(15)에 의해 제 1 용지 수용부(11)로부터 취출되고 반송로를 경유한 후, 레지스트롤(74)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중첩 토너 상이, 2차 전사부(T2)에 반송되면, 그 타이밍에 맞춰서 레지스트롤(74)로부터 2차 전사부(T2)에 용지가 공급된다. 그리고, 2차 전사부(T2)에서 2차 전사롤(40)과 백업롤(49) 사이에 형성된 전사 전계(電界)의 작용에 의해, 중첩 토너 상은 용지 위에 일괄해서 정전적으로 2차 전사된다.
그 후에, 중첩 토너 상이 정전 전사된 용지는, 중간 전사 벨트(41)로부터 박리되고, 정착기(80)까지 반송된다. 정착기(80)에 반송된 용지 위의 미정착 토너 상은, 정착기(80)에 의해 열 및 압력에 의한 정착 처리를 받음으로써 용지 위에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배지 유닛(1C)에 마련된 컬(curl) 보정부(81)를 경유한 후,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배지 적재부에 반송된다.
한편,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41) 표면에 잔류한 미전사 토너 등은, 2차 전사의 종료 후에 중간 전사 벨트(41)에 접촉 배치된 벨트 클리너(45)에 의해 제거된다. 벨트 클리너(45)는, 화상 형성 유닛(1B)의 전면측(前面側)에서 배면측을 향해서 마련되어져 제거된 미전사 토너 등을 화상 형성 유닛(1B)의 배면측에 반송하는 반송 부재(4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부재(451)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1B)의 배면측에 반송된 미전사 토너 등은, 반송 기구(100)에 의해, 제 1 회수 용기(210) 또는 제 2 회수 용기(220)에 반송된다. 또, 이하, 드럼 클리너(34) 및 벨트 클리너(45)로부터 반송 기구(100)에 반송되는 미전사 토너 등을 폐(廢)토너라고 칭한다.
계속해서, 반송 기구(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반송 기구(10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기구(100)는 각 화상 형성 유닛(30)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드럼 클리너(34)로부터의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기구(11O)를 구비한다. 또한, 벨트 클리너(45)로부터의 폐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반송 기구(11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2 반송 기구(120), 제 2 반송 기구(1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3 반송 기구(130), 제 3 반송 기구(13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4 반송 기구(140), 제 4 반송 기구(14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제 1 회수 용기(210) 또는 제 2 회수 용기(220)에 반송하는 제 5 반송 기구(15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반송 기구(110)는, 드럼 클리너(34)에 마련된 반송 부재(341)(도 1 참조)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管狀) 부재(111),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하 이동시켜 관상 부재(111)의 내 벽면에 부착되는 폐 토너를 부수는 코일스프링(112), 반송 부재(341)를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112)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 1 모터(M1)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부재(341)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는, 이 관상 부재(111)의 내부를 낙하해 간다.
코일스프링(112)은, 선재(線材)에 의해 형성되고, 또 나선 모양(코일 모양) 의 형상을 갖고 있어서, 그 중심부를 폐 토너가 통과 가능하며, 관상 부재(111)에서의 폐 토너의 낙하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12)은, 제 1 모터(M1)에 의해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고,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서 굳어진 폐 토너를 부수거나, 관상 부재(111)의 내벽으로부터 폐 토너를 제거하거나 한다.
제 2 반송 기구(120)는, 화상 형성 엔진(30T, 30P, 30Y, 30M, 30C, 30K)이 배열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11) 및 배출부(170)에 접속되어, 폐 토너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각기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22), 반송 부재(122)를 회전 구동하는 제 2 모터(M2)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모터(M2)가 회전하면, 반송 부재(122)에 의해 관상 부재(121) 내의 폐 토너가 제 3 반송 기구(130)를 향해서 반송된다.
제 3 반송 기구(13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21)에 접속되어, 폐 토너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31)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하 이동가능한 코일스프링(132), 코일스프링(132)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 3 모터(M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반송 기구(1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는, 이 관상 부재(131)의 내부를 낙하해 간다.
코일스프링(132)은, 상기 코일스프링(112)과 마찬가지로, 선재에 의해 형성 되고, 또한 나선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갖고, 그 중심부를 폐 토너가 통과 가능하며, 관상 부재(131)에서의 폐 토너의 낙하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32)은, 제 3 모터(M3)에 의해 관상 부재(131)로 상하 이동하고, 굳어진 폐 토너를 부수거나, 관상 부재(131)의 내벽으로부터 폐 토너를 제거하거나 한다.
제 4 반송 기구(14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폐 토너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 3 반송 기구(13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42), 반송 부재(142)를 회전 구동하는 제 4 모터(M4)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반송 기구(150)는, 제 4 반송 기구(140)에서의 관상 부재(141)보다도 하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4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폐 토너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5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52), 반송 부재(152)를 회전 구동하는 제 5 모터(M5)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반송 기구(14O)에서는, 제 3 반송 기구(13O)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받아들여 반송 부재(142)가 제 4 모터(M4)에 의해 회전 이동됨으로써 그 받아들인 폐 토너를 제 5 반송 기구(150)에 주고받는다. 제 5 반송 기구(150)에서는,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 받아들인 폐 토너를 제 1 회수 용기(210)나 제 2 회수 용기(220)로 진행시켜서 이들 회수 용기(210, 220)에 폐 토너를 수용시킨다. 여기에서, 이 제 5 반송 기구(150)에 구비한 제 5 모터(M5)는, 정역전(正逆轉) 가능한 데이터로서, 제 5 반송 기구(150)에서는, 그 제 5 모터(M5)의 정전에 의해 반송 부 재(152)가 정전하면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 받아들인 폐 토너가 제 l 회수 용기(210)에 반송되어서 제l회수 용기(210)에 폐 토너가 수용된다. 제 1 회수 용기(210)가 폐 토너로 가득 차면, 이번에는 제 5 모터(M5) 역전하여 반송 부재(152)가 역전되고,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 받아들인 폐 토너는 이번에는 제 2 회수 용기(220)에 수용된다. 제 2 회수 용기(220)가 폐 토너로 가득 차면, 제 5 모터(M5)는 다시 정전을 행하고, 이것을 교대로 되풀이한다.
폐 토너로 가득 찬 회수 용기(제 1 회수 용기(210) 또는, 제 2 회수 용기(220))는, 배지 유닛(IC)(도 1 참조)의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되고, 빈 회수 용기가 다시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이하, 회수 용기의 지지 구조 및 배지 유닛의 하우징으로부터의 회수 용기의 취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회수 용기(210, 220)를 대표하여 회수 용기(210)라고 칭한 것이 있다.
도 3은 회수 용기의 취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회수 용기(210)는, 그 하측의 거의 반 정도가 수용 상자(310)에 수용되어 있다. 그 수용 상자(310)는 지지 부재(41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410)는, 수용 상자(310)를 외부로 인출할 때에 장치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암(411)과, 수용 상자(310)를 외부로 인출할 때에 그 고정 암(4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해서, 수용 상자(310)의 인출 동작에 연동해서 인출되는 동시에 수용 상자(31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가동 암(412) 및 제 2 가동 암(413)을 갖는다. 제 1 가동 암(412)은 고정 암(411)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 2 가동 암(413)은 그 제 1 가동 암(41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그 수용된다. 지지 부재(410)는, 1개의 회수 용기(310)에 대해 그 양측에 1쌍 구비되어 있고, 그 한 쌍의 지지 부재(410) 중 외측의 지지 부재(410)는, 그 고정 암(411)이 배지 유닛의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내측의 지지 부재는, 그 고정 암(411)이 지지 암(414)을 통해서 배지 유닛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회수 용기(210)에는 윗면에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受入口)(211)를 갖고, 제 5 반송 기구(150)(도 2 참조)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이 수입구(211)로부터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이 회수 용기(210)는, 도 3의 (A)에 화살표 A로 나타낸 인출하는 방향 전방으로서 그 회수 용기(210)의 상부에 손잡이(212)를 갖는다.
회수 용기(210)를 배지 유닛의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할 때는, 우선, 도 3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도 3의 (A)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의 회수 용기(210)의 손잡이(212)를 손으로 쥐고 인출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지지 부재(410)의 제 1 및 제 2 가동 암(412, 413)이 늘어나고, 회수 용기(210)가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다.
회수 용기(210)를 수용 상자(310)에 수용한 상태 그대로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면,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회수 용기(210)의 손잡이(212)를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눌러서 회수 용기(210)를 화살표 B방향으로 기울인다. 회수 용기(210)가 적절하게 기울면 회수 용기(210)와 수용 상자(310)가 간섭하여 그 이상의 경사가 방지된다. 다음으로, 회수 용기(210)를 기울인 상태 또한 손잡이(212)를 손으로 쥔 그대로의 상태로, 도 3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수 용기(210)를 위로 끌어올려서 회수 용기(2l0)를 수용 상자(310)로부터 취출한다. 회수 용기(210)에는, 그 회수 용기(210)의 상부이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보조부(auxiliary part)(213)를 갖는다. 여기에서 보조부는, 회수 용기(210)에 폐 토너가 가득 차게 수용되어 있어서 무거울 때는, 회수 용기(210)를 위에 끌어올리는데 있어서, 손잡이(212)를 쥐고 있는 한쪽의 손과는 반대의 다른 한쪽 손을 보조해서 양손으로 끌어올리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 부위(部位)이다.
이렇게, 회수 용기(210)를 취출할 때는 손을 바꿔 쥐는 작업 없이 회수 용기(210)의 손잡이(212)를 쥔 채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고, 그대로 들어올려서 회수 용기(210)를 취출할 수 있다.
도 4는 수용 상자로부터 취출된 상태의 회수 용기 단체(單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회수 용기(210)에는, 상술한 수입구(211), 손잡이(212), 및 보조부(213) 외에, 돌출부(214), 돌출부(214)의 양측의 맞닿음 부(abutment part)(215), 및 접촉부(contact part)(216)를 갖는다. 이하, 이들 각 부(214, 215, 216)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수용 상자에 수용되어서 기울인 상태의 회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용 상자(310)에는,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에 절결부(notch)(311), 맞닿 음 부(215), 및 접촉부(216)를 갖는다. 여기에서, 절결부(311)는,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회수 용기(210)의 손잡이(212)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렸을 때에, 회수 용기(210)의 돌출부(214)를 수용 상자(310)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회수 용기(2l0)의,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의 경사를 허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맞닿음 부(215)는,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회수 용기(210)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수용 상자(310)의 절결부 양측의 내벽면에 마련되고, 맞닿음 부(215)에 접촉하는 수용 상자 측의 맞닿음 부에 맞닿게 되어, 회수 용기(2l0)의 그 이상의 기울어짐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회수 용기(210)의 경사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회수 용기(210)의 접촉부(216)는, 맞닿음 부(215)와 수용 상자측의 맞닿음 부(storage-box-side abutment part)를 접촉시킨 상태로 회수 용기(210)를 들어올렸을 때에, 수용 상자의 인출 방향 전방측에서 수용 상자와 맞닿게 되고, 회수 용기(210)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6은 수용 상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하우징에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 용기(210)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410) 중 외측의 지지 부재는, 그 고정 암(411)이 직접적으로 배지 유닛(1C)(도 2 참조)의 하우징(300)에 고정되고, 내측의 지지 부재는 그 고정 암이 지지 암(414)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1개의 수용 상자(310)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410)는,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외측의 지지 부재보다도 내측의 지지 부재가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 도 6에 다른 하나의 회수 용기(220)의 일부가 보이지만, 그 회수 용기(220)를 수용하는 다른 하나의 수용 상자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 중 내측(2개의 회수 용기(2l0, 220)에 끼워진 측)의 지지 부재가, 전방에서 보이는 수용 상자(310)를 지지하는 내측의 지지 부재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2개의 지지 부재를 옆으로 늘어놓음으로써 생기는 무용(無用)의 스페이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여, 2개의 회수 용기(210, 220)는, 동일한 구조에 의해, 서로 독립하여, 하우징으로부터의 취출, 하우징에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상태의 회수 용기(210)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또한 회수 용기(210)를 기울게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하우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회수 용기(210)의,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부분과 수용 상자(310)와의 위치 관계를 알도록, 회수 용기(210)의, 수용 상자(310)에 수용된 부분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회수 용기(210)를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이면, 회수 용기측 맞닿음 부(collection-container-side abutment part)(215)가 수용 상자측 맞닿음 부(312)에 맞닿게 하여, 회수 용기(210)를 들어올리기 때문에 적당한 경사로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회수 용기(310)의,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217)이 수용 상자 내벽면(313)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회수 용기(210)의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에 관해서는, 접촉부(216)만이 수용 상자 내벽면(313)에 접한 상태로 된다.
회수 용기(210)의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217)이 수용 상자 내벽면(313)에 넓은 면적을 따라서 접촉하고 있으면, 회수 용기(210)를 끌어올려서 수용 상자(310)로부터 취출할 때에 접촉 부분에 큰 마찰력이 발생해서 회수 용기(210)의 인상(引上)이 무거워지지만, 여기에서는, 회수 용기(210)를 기울게 하고, 회수 용기(2l0)의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217)에 관해서는 접촉부(216)만 수용 상자 내벽면(313)에 접촉시킴으로써 회수 용기(210)의 인상 시의 마찰력을 저감하고, 그 만큼 가볍게 인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회수 용기(210)를 취출하여 새로운 빈 회수 용기(210)를 하우징에 장착할 때는, 취출했을 때와 반대의 순서로 손잡이(212)를 들어서 수용 상자(310)에 수용시키고, 그대로 그 손잡이(212)를 눌러서 회수 용기(210)를 수용 상자(310)마다 하우징 내에 밀어 넣는다.
이렇게,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수 용기(210)를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하는데 있어서, 손잡이(212)를 쥐고, 손잡이(212)를 쥔 손을 바꿔 쥐지 않고 회수 용기(210)의 취출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손을 바꿔 쥘 필요한 있는 구성과 비교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조립된 폐 토너 회수 기구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폐 토너에 한하지 않고, 배출 분체(粉體) 등의 배출체를 회 수하는 회수 장치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반송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회수 용기의 취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용 상자로부터 취출된 상태의, 회수 용기 단체(單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수용 상자에 수용되어서 기울어진 상태의 회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수용 상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하우징에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태의 회수 용기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회수 용기를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여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형성 장치
1A: 급지 유닛
1B: 화상 형성 유닛
1C: 배지 유닛
4: 화상 판독 장치
5: 퍼스널 컴퓨터(PC)
20: 화상 형성부
80: 정착부
170: 배출부
210: 제 1 회수 용기
212: 손잡이
213: 보조부
214: 돌출부
215: 맞닿음 부
216: 접촉부
217: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
220: 제 2 회수 용기
310: 수용 상자
311: 절결부
313: 수용 상자 내벽면
410: 지지 부재
411: 고정 암
412: 제 1 가동 암
413: 제 2 가동 암
Claims (8)
- 배출체(排出體)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와,상방(上方)에 개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상자와,하우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상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수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상기 수용 상자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회수 용기가, 인출하는 방향 전방(前方)이며 상기 회수 용기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갖고,상기 수용 상자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面)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손잡이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렸을 때에,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일부분을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의 경사를 허용하는 절결부(notc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 상자 및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서로 맞닿아서 상기 회수 용기의 더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수용 상자측 맞닿음 부(storage-box-side abutment part) 및 회수 용기측 맞닿음 부(collection-container-side abutment part)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하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접해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前方)의 벽면을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상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 상기 회수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를 쥐는 한쪽의 손과는 반대의 다른 한쪽의 손을 보조하는 보조부(auxiliary par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장치.
- 배출체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와,상방에 개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상자와,하우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상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수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상기 수용 상자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회수 용기가, 인출하는 방향 전방이며 상기 회수 용기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갖고,상기 수용 상자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면(面)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손잡이가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밀렸을 때에,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의 일부분을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의 경사를 허용하는 절결부를 갖는 회수 장치와,기록재(記錄材)에 화상을 형성하고 분체(粉體)의 배출을 수반하는 화상 형성부와,상기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배출 분체를,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는 상기 회수 용기 내에 반송하는 분체 반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 상자 및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서로 맞닿아서 상기 회수 용기의 더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수용 상자측 맞닿음 부 및 회수 용기측 맞닿음 부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하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에,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회수 용기를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접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상기 인출하는 방향 전방의 벽면을 상기 수용 상자 내벽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회수 용기 상부이며 상기 인출하는 방향 후방에, 상기 회수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손잡을 쥐는 한쪽의 손과는 반대의 다른 한쪽의 손을 보조하는 보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68613A JP4692660B2 (ja) | 2009-03-19 | 2009-03-19 | 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JP-P-2009-068613 | 2009-03-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5311A KR20100105311A (ko) | 2010-09-29 |
KR101216093B1 true KR101216093B1 (ko) | 2012-12-26 |
Family
ID=4273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7731A KR101216093B1 (ko) | 2009-03-19 | 2009-08-21 |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195079B2 (ko) |
JP (1) | JP4692660B2 (ko) |
KR (1) | KR101216093B1 (ko) |
CN (1) | CN101840190B (ko) |
AU (1) | AU2009208090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98733B2 (ja) * | 2006-09-25 | 2009-07-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JP2010008606A (ja) * | 2008-06-25 | 2010-01-14 | Fuji Xerox Co Ltd |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5333162B2 (ja) * | 2009-11-12 | 2013-11-06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5768385B2 (ja) * | 2011-01-27 | 2015-08-2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954150B2 (ja) * | 2012-12-11 | 2016-07-2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214298B2 (ja) | 2013-09-19 | 2017-10-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614856B2 (ja) * | 2015-08-20 | 2019-1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512069B2 (ja) * | 2020-04-15 | 2024-07-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22141548A (ja) * | 2021-03-15 | 2022-09-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0850A (ja) | 2005-06-29 | 2007-01-18 | Kyocera Mita Corp | 廃トナー回収装置 |
JP2008003294A (ja) | 2006-06-22 | 2008-01-1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2008216278A (ja) | 2007-02-28 | 2008-09-18 | Sharp Corp |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15878B2 (ja) * | 1993-12-27 | 1998-02-18 | コクヨ株式会社 | サスペンションレールの引出取付構造 |
JPH09204128A (ja) * | 1996-01-24 | 1997-08-05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回収物の回収装置 |
JP2000019916A (ja) * | 1998-06-30 | 2000-01-21 | Copyer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3790845B2 (ja) * | 1998-10-27 | 2006-06-28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廃インク回収装置 |
JP3921906B2 (ja) | 2000-01-28 | 2007-05-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3771880B2 (ja) * | 2002-08-12 | 2006-04-26 | 株式会社沖データ | トナー回収装置 |
JP4185461B2 (ja) * | 2004-02-10 | 2008-11-26 | 株式会社ノーリツ | 引き出し式収納装置 |
JP4598434B2 (ja) * | 2004-05-24 | 2010-12-15 | 株式会社リコー | 支持案内装置、画像形成装置 |
JP2007219426A (ja) * | 2006-02-20 | 2007-08-30 | Toshiba Corp |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7219454A (ja) * | 2006-02-20 | 2007-08-30 | Toshiba Corp |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6195492A (ja) * | 2006-04-14 | 2006-07-27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4409557B2 (ja) * | 2006-10-24 | 2010-02-03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7894760B2 (en) * | 2007-09-10 | 2011-02-22 | Kabushiki Kaisha Toshiba | Disposed toner collect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2009
- 2009-03-19 JP JP2009068613A patent/JP469266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8-06 US US12/536,934 patent/US819507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8-10 AU AU2009208090A patent/AU2009208090B2/en not_active Ceased
- 2009-08-21 KR KR1020090077731A patent/KR101216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9-17 CN CN2009101758434A patent/CN10184019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0850A (ja) | 2005-06-29 | 2007-01-18 | Kyocera Mita Corp | 廃トナー回収装置 |
JP2008003294A (ja) | 2006-06-22 | 2008-01-1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2008216278A (ja) | 2007-02-28 | 2008-09-18 | Sharp Corp |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9208090B2 (en) | 2012-01-19 |
AU2009208090A1 (en) | 2010-10-07 |
JP4692660B2 (ja) | 2011-06-01 |
US20100239341A1 (en) | 2010-09-23 |
CN101840190A (zh) | 2010-09-22 |
CN101840190B (zh) | 2013-01-30 |
KR20100105311A (ko) | 2010-09-29 |
JP2010224025A (ja) | 2010-10-07 |
US8195079B2 (en) | 2012-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093B1 (ko) | 회수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CN103631109B (zh) | 电子照相成像设备 | |
KR100990568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KR101238353B1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 |
JP6007787B2 (ja) | 画像形成装置 | |
CN102759879A (zh) | 处理盒和图像形成装置 | |
US20130308168A1 (en) | Rotatable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366045B2 (ja) |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CN101539737A (zh) | 图像形成设备 | |
US6763211B2 (en) | Vertical path sheet jam recovery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327145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66935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602864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34779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7210318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2300769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2021063945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820375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955871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3037098A (ja) | 画像形成装置 | |
JP5505882B2 (ja) | 用紙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2037812A (ja) | 現像剤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013002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2006085027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ユニット | |
JP2003216002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