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758B1 -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758B1
KR101199758B1 KR1020080020897A KR20080020897A KR101199758B1 KR 101199758 B1 KR101199758 B1 KR 101199758B1 KR 1020080020897 A KR1020080020897 A KR 1020080020897A KR 20080020897 A KR20080020897 A KR 20080020897A KR 101199758 B1 KR101199758 B1 KR 10119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syndiotactic poly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764A (ko
Inventor
한승훈
채승훈
이재욱
김성룡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2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c) N-페닐말레이마이드(N-phenylmaleimide),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 내열성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및 d) 상기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광택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후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무광택제인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을 일정량 포함하여 내후성(내광성), 내열성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하고,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무도장, 괴상중합, ABS 공중합체,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내후성, 무광택 특성, 자동차 내장재

Description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A Good Weather Resistance And Low Gloss}
본 발명은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중합체, 내후성이 우수한 ASA 중합체 및 무광택제인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을 일정량 포함하여 내후성(내광성), 내열성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하고,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이하 'ABS'라 함) 열가소성 수지는 내충격성, 내화학성, 성형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각종 사무용 기기,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내?외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최근에는 제품의 디자인이 제품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면서 수요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광택 수지뿐만 아니라, 저광택 수지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장재의 경우 그 쓰임 상 내광성 및 무광 특성이 더욱 요구되 는데, 이의 소재로 사용되는 수지에 무광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무광도장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환경오염, 작업장에서의 안전성, 새차 증후군 등이 문제되면서 이러한 무광도장 공정을 없애는 대신 수지 자체가 내광 및 무광 특성을 갖도록 하여, 환경 파괴 및 용매의 독성과 비산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피해를 줄이고,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내광성 관련 특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426123호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수지를 기초로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고, 무광 특성 관련 특허로 미국특허 제5,965,655호는 무기물이 함유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459323호는 가교형 유기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내광성(내후성)이 좋으면 무광 특성이 열악하고, 무광 특성이 우수하면 내광성(내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후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무광택제인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을 일정량 포함하여 내후성(내광성), 내열성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하고,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c) N-페닐말레이마이드(N-phenylmaleimide),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 내열성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및 d) 상기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광택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후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무광택제인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을 일정량 포함하여 내후성(내광성), 내열성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하고,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c) N-페닐말레이마이드(N-phenylmaleimide),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 내열성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및
d) 상기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광택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기초수지는 SAN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기 a) 내지 d), SAN 수지(e) 및 활제(f) 등을 순차적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괴상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 10 내지 45 중량부, 스티렌계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 내지 25 중량부,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5 내지 12 중량부, 폴리부텐 0.01 내지 15 중량부, 개시제 0.01 내지 1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괴상중합하여 제조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상기 반응 매질은 일반적으로 괴상중합에 의한 ABS 공중합체 제조시 사용될 수 있는 반응 매질인 경우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에틸벤젠, 톨루엔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ABS, ASA 및 내열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이하 '기초수지'라 함)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 미만인 경우 무광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화중합으로 제조 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비하여 그 입경이 크고, 유화제 및 응집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 물성 저하를 가져오는 잔류물이 적으며, 응집 및 탈수건조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2,500 내지 5,000 Å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4,500 Å인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또는 평균입경이 500 내지 2,000 Å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500 Å인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이다.
상기 대구경 및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694456호(2006.04.26 공개)에 개시된 대구경 및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는 상기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총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그라프트율이 낮아져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된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상기 ASA 그라프트 공 중합체 총 함량에 대하여 각각 10 내지 50 중량% 및 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유화중합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694456호 (2006.04.26 공개)에 개시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화중합방법이다.
상기 유화중합이 종결된 후 중합용액은 pH 8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9 내지 10.5이다.
상기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함량이 높을 경우 흐름성 및 가공성은 향상되나 기초수지의 광택도가 증가하고,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이 높을 경우 광택도는 감소되나 충격강도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7 중량%이다.
c) 내열성 공중합체
상기 내열성 공중합체는 N-페닐말레이마이드(N-phenylmaleimide) 단량체 30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로 나이트릴 단량체 0 내지 20 중량부 및 스티렌 단량체 20 내지 50 중량부로부터 제조되고, 그 제조장치는 원료투입펌프, 연속교반조, 예비가열조, 휘발조, 폴리머 이송펌프 및 압출가공기로 구성되며, 그 제조공정은 연속공정이다.
상기 내열성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인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d) 무광택제
상기 무광택제는 결정질 중합체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이하 sPS 라고 함) 및 이의 유도체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은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사슬에 대하여 곁가지인 페닐기나 치환 페닐기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종전의 무정형 범용 아탁틱 폴리스티렌과는 달리 결정성 구조를 갖고, 이의 입체규칙도(tacticity)는 13C-NMR에 의거하여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sPS의 입체 규칙도는 다이애드(dyad) 분율(분자쇄 중의 다이애드 단위에서 이소탁틱 쇄의 비율)에 의하는 경우 85 % 이상, 펜타드(라세미펜타드) 분율(분자쇄 중의 펜타드 단위에서 이소탁틱 쇄의 비율)에 의하는 경우 3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광택제는 용융온도가 260 내지 280 ℃이고, 아택틱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에 비하여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상기 무광택제는 상기 기초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무광 특성이 향상된다.
e) SAN 공중합체
상기 SAN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40 중량% 및 스티렌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지고, 그 제조장치는 원료투입펌프, 연속교반조, 예비가열조, 휘발조, 폴리머 이송펌프 및 압출 가공기로 구성되며, 그 제조공정은 연속공정이다.
상기 SAN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인데, 그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내열도가 저하되고, 20 중량% 미만인 경우 유동성이 저하된다.
f) 활제 ,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상기 기초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인데, 상기 범위 내에서 용융혼련시 압출기에 과도한 무리를 주지 않고,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초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부인데, 상기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열도와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상기 기초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부인데, 상기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열도와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공중합체의 제조>
a)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반응매질인 에틸 벤젠 35 중량부에 단량체인 스티렌 41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13.5 중량부를 녹인 혼합 용액에 부타디엔 고무 7.5 중량부를 녹인 후 수평균 분자량 900인 폴리부텐 5 중량부, 개시제인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0.02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인 t-도데실 메르캅탄 0.03 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합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10 L/hr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1 단계로 110 ℃에서 중합하고, 2 단계로 130 ℃에서 중합한 다음, 3 단계로 중합용액에 0.8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을 99.2 중량부의 에틸 벤젠에 녹인 혼합 용액을 10 L/hr로 투입하면서 145 ℃에서 중합한 다음 휘발조를 거쳐 미반응 단량체와 반응 매질을 제거하고 펠렛 형태의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L의 반응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디 2-에틸헥실 술포 숙시네이트 나트륨염 0.015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02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0.1 중량부, 칼륨 퍼술페이트 0.04 중량부 및 소정량의 이온교환수를 일괄투여하고 반응온도를 70 ℃까지 승온시킨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 체 씨드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디 2-에틸 헥실 술포 숙시네이트 나트륨염 0.28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0.1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를 혼합한 혼합물과 개시제인 칼륨 퍼술페이트 0.06 중량부를 각각 70 ℃에서 3시간 동안 연속투여하면서 중합하여 평균입경이 3,000 내지 4,000 Å인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평균입경이 3,000 내지 4,000 Å인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50 중량%에 스티렌 3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반응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온교환수 63 중량부, 로진산칼륨 1.4 중량부, 수산화칼륨 0.042 중량부 및 t-도데실 메르캅탄 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과 칼륨 퍼술페이트 0.1 중량부를 각각 70 ℃에서 5 시간 동안 연속투여하면서 중합 반응시킨 후, 중합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80 ℃에서 1 시간 동안 더 반응시킨 후, 60 ℃까지 냉각시켜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구경 아크릴레이트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평균입경은 4,500 Å이고 중합전환율은 99 %였으며, pH는 9.5이고 그라프트율은 45 %였다.
상기 제조된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염화칼슘 수용액을 사용하여 85 ℃, 상압 조건에서 응집하고, 95 ℃에서 숙성시켜 탈수 및 세척한 후, 90 ℃의 열풍으로 30 분 동안 건조하여 최종적 으로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c) N- 페닐말레이마이드 ,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되는 내열성 공중합체
상기 내열성 공중합체로 중량평균 분자량 10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65 ℃이며, N-페닐말레이마이드 함량이 50 중량%인 MSNB 제품(DENKA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d) 무광택제
상기 무광택제로 용융온도가 270 ℃인 sPS(130ZC, 이데미츠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e) SAN 공중합체
상기 SAN 공중합체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7 중량%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000인 LG 화학 SAN 92HR 제품을 사용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의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부, 상기 b)의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부, 상기 c)의 내열성 공중합체 30 중량부, 상기 d)의 무광택제 3 중량부, 활제로 EBA(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마이드) 1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270 ℃에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a)의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28 중량부, b)의 내열성 공중합체 26 중량부, c)의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32 중량부 및 d)의 SAN 공중합체 14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a)의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28 중량부, b)의 내열성 공중합체 26 중량부, c)의 대구경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6 중량부, 소구경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16 중량부 및 d)의 SAN 공중합체 14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광택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c)의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d)의 SAN 공중합체 32 중량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a) 괴상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대신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입자 크기가 300 nm인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 량부(유화중합 ABS, LG화학 제조)를 사용하고, 상기 b)의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으며, d) 무광택제로 B-MAT(가교형 유기 마이크로 입자, GE제조) 및 e)의 SAN 공중합체 3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ㄱ)내후성(내광성) - SAE J1885에 의거하여 Grey Scale로 평가하였다.
ㄴ)유동성 -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ㄷ)내열도(열변형온도, HDT) -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ㄹ)광택도 -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후성 4급 4급 4급 3급 3급 3급
유동성(g/10min) 1 1.8 2.3 3.8 0.1 5.1
내열도(1/4", ℃) 106.0 103.5 104 105.9 96 96.3
광택도(45°) 5.5 7.5 12 25 15 1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내후성(내광성) 및 무광특성(낮은 광택도)이 우수하나,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무광택제인 sSP 등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비교예 1 내지 3)은 내후성 및 무광특성(높은 광택도)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a) 평균입경이 10000 Å 이상이고, 부타디엔 또는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5 내지 15 중량부,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평균입경이 2,500 내지 5,000Å인 대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또는 평균입경이 500 내지 2,000Å인 소구경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ASA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c) N-페닐말레이마이드(N-phenylmaleimide),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 내열성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및
    e) SAN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및
    d) 상기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광택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초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활제 0.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광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 10 내지 60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30 내지 50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은, 다이애드(dyad) 분율이 85 % 이상 또는 펜타드 분율이 3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의 유도체는, 폴리할로겐화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안식향산에스테르스티렌,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sPS-MAH), 카르복실 말단-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COOH), 무수 말레산-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MAH), 말레산-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MA), 푸마르산-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FA),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GMA)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9. 제 8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룸미러 하우징 또는 콘솔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KR1020080020897A 2008-03-06 2008-03-06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9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97A KR101199758B1 (ko) 2008-03-06 2008-03-06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97A KR101199758B1 (ko) 2008-03-06 2008-03-06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64A KR20090095764A (ko) 2009-09-10
KR101199758B1 true KR101199758B1 (ko) 2012-11-08

Family

ID=4129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897A KR101199758B1 (ko) 2008-03-06 2008-03-06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557A1 (ko) * 2016-11-04 2018-05-11 (주) 엘지화학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50596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25B1 (ko) * 2009-10-12 2013-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마킹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1885895B (zh) * 2010-07-28 2012-07-04 太仓市华鼎塑料有限公司 一种abs树脂的改性方法及改性abs树脂
KR20140068672A (ko) * 2012-11-28 2014-06-09 제일모직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791736B1 (ko) 2015-04-27 2017-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택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외장재
CN105419216A (zh) * 2015-12-25 2016-03-23 常熟市华锡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保温包装塑料桶
KR102066598B1 (ko) 2017-01-02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CN109627665B (zh) * 2018-12-20 2021-05-28 广州辰东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激光直接成型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65681B1 (ko) 2019-09-06 2022-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1045429A1 (ko) 2019-09-06 2021-03-11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20220135786A1 (en) 2019-10-07 2022-05-05 Lg Chem, Ltd. Asa-based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including asa-base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KR102547327B1 (ko) 2019-10-07 2023-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Asa계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이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664583B1 (ko) * 2019-10-11 2024-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012796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KR20220012637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2019408A1 (ko) * 2020-07-23 2022-01-27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220012638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220012775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642820B1 (ko) 2020-07-23 2024-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KR20220039543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5315481A (zh) * 2021-03-08 2022-11-08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含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外部材料
CN113136086B (zh) * 2021-04-30 2022-04-12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667065B (zh) * 2021-08-24 2024-03-08 长春工业大学 一种哑光型asa树脂的制备方法
KR20240055631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5269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5272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5270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55273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5275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5276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21B1 (ko) 2000-02-16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택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21B1 (ko) 2000-02-16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택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557A1 (ko) * 2016-11-04 2018-05-11 (주) 엘지화학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50596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8084558A3 (ko) * 2016-11-04 2018-07-19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8473748A (zh) * 2016-11-04 2018-08-31 株式会社Lg化学 具有优异的耐候性的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模制品
EP3385327A4 (en) * 2016-11-04 2018-10-24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US20190023892A1 (en) * 2016-11-04 2019-01-24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art including the same
KR102056742B1 (ko) * 2016-11-04 2019-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80102B1 (ko) * 2016-11-04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0640638B2 (en) 2016-11-04 2020-05-05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art including the same
US10822488B2 (en) 2016-11-04 2020-11-03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art including the same
CN108473748B (zh) * 2016-11-04 2021-03-16 株式会社Lg化学 具有优异的耐候性的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模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64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758B1 (ko) 내광 및 무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337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6528994A (ja) 低光沢性と耐衝撃性に優れるスチレ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150016B1 (ko)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12010053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6274243B1 (en) Automobile exterior components
JP2001220486A (ja) リサイクル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再生成形材料
KR101339384B1 (ko) 무광 및 내후성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3109441A (ja) 発泡体
KR102354837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제조방법
KR100590821B1 (ko) 환경 친화형 창호재용 스티렌계 합성수지 조성물
KR100774821B1 (ko) 내열성, 증착광택 및 신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21621B1 (ko) 식용 오일에 대한 내환경응력균열저항이 우수한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속 제조방법
KR20130068871A (ko) 고온에서의 가공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60653A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重合体
JP2003020377A (ja) 複合樹脂組成物
KR102087151B1 (ko) 열가소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372568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786473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330425A (ja) スチレン系樹脂用加工助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737169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1147920A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重合体
KR100519117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70027773A (ko)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