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473B1 -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73B1
KR100786473B1 KR1020050080258A KR20050080258A KR100786473B1 KR 100786473 B1 KR100786473 B1 KR 100786473B1 KR 1020050080258 A KR1020050080258 A KR 1020050080258A KR 20050080258 A KR20050080258 A KR 20050080258A KR 100786473 B1 KR100786473 B1 KR 10078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rubber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770A (ko
Inventor
김동철
안성태
차성제
조윤경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8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4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입경이 0.5∼15 ㎛인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광택도를 가져 외관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압출시트(sheet)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압출시트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무기계 필러, 저광택, 충격강도, 인장강도, 압출시트

Description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STYRE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낮은 광택도를 가져 외관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압출시트(sheet)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압출시트에 관한 것이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내충격성, 강성한 정도의 물성 밸런스, 내약품성, 성형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OA기기, 가전제품, 일반잡화 등의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이용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하기 위해서 표면광택이 낮은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자동차 내장재의 경우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과 햇빛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에 의한 눈부심에 의하여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저광택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시트(sheet) 형태로 가공한 후, 진공성형하여 자동차의 내장재로써 매우 접합하게 사용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 제조에는 먼저 시트 형성으로 수지 시트를 만들고, 수지 시트를 진공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진공성형된 제품은 자동차의 내장재, 천장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햇빛 광의 난반사를 위하여 낮은 광택이 반드시 요구된다.
종래 시트에 무광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롤 표면에 엠보처리하는 방법, 무기충전제를 수지에 혼합하는 방법(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20384호), 열가소성 수지에 겔(gel)화된 폴리머를 혼합하는 방법(미국특허 제5,336,701호), 비결정성 수지와 걸정성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70984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롤 표면에 엠보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무광효과의 편차가 크고, 원하는 무광효과를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무기충전제를 수지에 혼합하는 방법은 무기충전제에 의해서 시트 표면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에 가교폴리머를 혼합하는 경우 사출제품에서는 무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나, 시트가공시에는 롤에 의해 무광효과가 현저히 감소하여 원하는 무광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공범위가 좁아서 스티 가공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낮은 광택도를 가져 외관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압출시트(sheet)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광특성이 향상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압출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무입경이 0.5∼15 ㎛인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및
b)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시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입경이 0.5∼15 ㎛인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고무를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연속식 괴상중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반응용매에 스티렌계 단 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녹인 혼합용액에 부타디엔계 고무를 가하여 용해시켜 중합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중합용액에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를 첨가하여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9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차 중합하고, 130 내지 160 ℃의 온도에서 2차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괴상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용매는 톨루엔, 에틸벤젠, 또는 자이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합용액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원료 모노머(스티렌계 단량체 +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styrene), α-메틸스티렌(α-methylstryrene), p-브로모스티렌(p-bromostyrene), p-메틸스티렌(p-methylstyrene), p-클로로스티렌(p-chlorostyrene), 또는 o-브로모스티렌(o-bromostyre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료 모노머에 4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리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또는 에타크릴로니트릴(ethacrylonitril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료 모노머에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무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원료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개시제는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1,1-bis(t-butylperoxy)-3,3,5-trimethyl cyclohexane),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1,1-bis(t-butylperoxy) cyclohexane), 1,1-비스(t-부틸퍼옥시)-3-메틸 시클로헥산(1,1-bis(t-butylperoxy)-2-methyl cyclohexane), 또는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 시클로헥실)프로판(2,2-bis(4,4-di-t-butylperoxy cyclohexyl) 등의 통상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료 모노머에 0.01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5-도데실 머캅탄, n-옥틸 머캅탄 등의 티올계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료 모노머에 0.01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고무입경은 0.5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평균입경이 0.5 ㎛ 미만일 경우에는 무광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5 ㎛를 초과할 경우에는 괴상중합의 특성상 충격강도가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b)의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ⅰ) 불연속상인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인 고무성분 40 내지 80 중량부 및 ⅱ) 연속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인 고무성분은 불연속상으로 디엔 고무, 천연 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니트릴 고무 등과 같은 디엔 고무의 공중합체, 올레핀 고무, EPDM, EPM 등과 같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 고무, 아크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불소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인 고무성분은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에 4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무광효과의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성 등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연속상으로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브로모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t-부틸 스티렌 등의 치환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불연속상인 고무 성분을 가황시키기 위하여 가황제 및 가교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큐밀퍼옥사이드, 유기과산화물, 황을 함유하는 테트라메틸 티우람디설페이드(TMTDS, 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을 함유하는 산화아연,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브롬화 알킬 페놀 포름알데히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황제 및 가교제는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먼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고무성분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여기에 가황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고무성분을 가교시킨 다음 냉각시켜 제조할 수 있다. 즉, 사이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연속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불연속상인 고무 성분이 물리적으로 블렌딩(blending)되어 제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평균입경이 1 내지 50 ㎛인 무기계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필러는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에 첨가되어 저광택도와 기계적 물성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무기계 필러는 실리케이트계 무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활석(talc), 운모(mica),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실리카, 유리 비스(glass beads), 유리 플레이트, 탄산칼슘, 메탈옥사이드 등의 판상 또는 구상의 실리케이트계 무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필러는 평균입경이 1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평균입경이 1 ㎛ 미만일 경우에는 무광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품의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무기계 필러는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제조시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무광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충격강도와 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시트 제조시 무광효과의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스티 제조시 표면상태가 거칠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적하방지제, 안료, 또는 무기 충전재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블렌딩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압출시트를 제공하는 바, 상기 압출시트는 낮은 광택도를 가져 외관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제조)
Haake internal mixer를 이용하여 180 ℃, 100 rpm 조건에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50 중량부에 평균입경이 3∼6 ㎛인 실리케이트계 판상 필러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융상태가 된 후, 니트릴 고무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였다. 그 다음, 토크의 변화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와 니트릴 고무의 혼련 여부를 확인한 후, 가교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니트릴 고무를 가교시켰다. 이때, 가교 여부는 토크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하였고, 가교반응이 끝난 후 냉각시켜 무기계 필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니트릴 고무가황물을 수득하였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및 평균입경이 1.0∼5.0 ㎛인 부타디엔 고무 10 중량부를 연속식 괴상중합법으로 제조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엘지화학 제품)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제조)
Haake internal mixer를 이용하여 180 ℃, 100 rpm 조건에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완전히 용융상태가 된 후, 니트릴 고무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였다. 그 다음, 토크의 변화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와 니트릴 고무의 혼련 여부를 확인한 후, 가교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니트릴 고무를 가교시켰다. 이때, 가교 여부는 토크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하였고, 가교반응이 끝난 후 냉각시켜 무기계 필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니트릴 고무가황물을 수득하였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및 평균입경이 1.0∼5.0 ㎛인 부타디엔 고무 10 중량부를 연속식 괴상중합법으로 제조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엘지화학 제품)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대신하여 평균입경이 3∼6 ㎛인 실리케이트계 판상 필러 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10 중량부를 대신하여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5 중량부 및 평균입경이 50∼100 ㎛인 실리케이트계 판상 필러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에서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및 평균입경이 0.1∼0.5 ㎛인 부타디엔 고무 10 중량부를 에멀젼 중합법으로 제조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엘지화학 제품)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4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조드 충격강도, 인장강도, 신율, 시트 광택도, 및 시트 외관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아이조드 충격강도 - ASTM D256에 따라 측정하였다.
ㄴ) 인장강도 및 신율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230 ℃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준비한 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ㄷ) 시트 광택도 - 단일 시트 압출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티 다이 온도가 230 ℃, 롤 온도가 100 ℃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시트 형태로 압출하여 시트를 만든 후, 시트 표면의 광택을 45 °의 광입사각 조건으로 하여 ASTM E97에 따라 측정하였다.
ㄹ) 시트 외관품질 - 육안으로 관찰하여 시트 외관이 거칠면 ×로 분별하였고, 거칠지 않으면 ○로 분별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아이조드 충격강도 (㎏·㎝/㎝) 24 33 32 18 12 30 38
인장강도 (kgf/㎠) 365 375 340 360 347 450 305
신율 (%) 48 50 49 44 20 28 48
시트 광택도 (%) 33 21 43 50 34 90 12
시트 외관품질 × ×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에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동등 수준 이상의 충격강도, 인장강도, 및 신율을 가지면서 동시에 광택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무광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기계 필러가 첨가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무기계 필러를 첨가하지 않은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사용한 실시예 3보다 무광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제조시 무기계 필러를 첨가할 경우 무광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평균입경이 1∼50 ㎛보다 큰 무기 필러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시트의 외관품질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낮은 광택도를 가져 외관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압출시트(sheet)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무기계 필러를 첨가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을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상기 저광택도, 외관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4)

  1. a) 고무입경이 0.5∼15 ㎛인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b) 열가소성 고무가황물 5 내지 15 중량부
    을 포함하고,
    상기 b)의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이
    ⅰ) 불연속상인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인 고무성분 40 내지 80 중량부, 및
    ⅱ) 연속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7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고무변성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가 스티렌계 단량체 40 내지 8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 및 부타디엔계 고무 10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가 스티렌(styrene), α-메틸스티렌(α-methylstryrene), p-브로모스티렌(p-bromostyrene), p-메틸스티렌(p- methylstyrene), p-클로로스티렌(p-chlorostyrene), 및 o-브로모스티렌(o-bromo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리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및 에타크릴로니트릴(ethacrylonitril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가 평균입경이 0.5 내지 15 ㎛인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인 고무성분이 디엔 고무,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니트릴 고무, 디엔 고무의 공중합체, 올레핀 고무, EPDM, EP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 고무, 아크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브로모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무가황물이 평균입경이 1 내지 50 ㎛인 무기계 필러 5 내지 2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필러가 활석(talc), 운모(mica),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실리카, 유리 비스(glass beads), 유리 플레이트, 탄산칼슘, 및 메탈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판상 또는 구상의 실리케이트계 무기 필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활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적하방지제, 안료, 및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 기재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시트.
KR1020050080258A 2005-08-30 2005-08-30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8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58A KR100786473B1 (ko) 2005-08-30 2005-08-30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58A KR100786473B1 (ko) 2005-08-30 2005-08-30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770A KR20070024770A (ko) 2007-03-08
KR100786473B1 true KR100786473B1 (ko) 2007-12-17

Family

ID=3809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258A KR100786473B1 (ko) 2005-08-30 2005-08-30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75B1 (ko) * 2017-11-01 2020-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106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106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770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8527B2 (ja) 軋み音を低減した自動車内装部品
KR1019337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10505370A (ja) 充填剤入りカーボネートポリマーブレンド組成物
US6274243B1 (en) Automobile exterior components
EP385891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100665804B1 (ko) 내화학성과 내크랙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 수지 조성물
KR100567834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4174098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resin articles
KR101154413B1 (ko)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0786473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039533B2 (en) Synthetic styrene resin composition for environment-friendly window frame
TWI478974B (zh) 樹脂組成物
US5516842A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H05279549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013338B2 (ja) 塗装性に優れ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用成形品
JP3388854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1720104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製嵌合品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447742B1 (ko) 광택도가 낮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29255B1 (ko) 블로우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3138122A (ja) 車両用外装材料および車両用外装部品
KR19980027068A (ko)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JP201602918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13047288A (ja) 黒色系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JP345101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