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017B1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017B1
KR101164017B1 KR1020077006824A KR20077006824A KR101164017B1 KR 101164017 B1 KR101164017 B1 KR 101164017B1 KR 1020077006824 A KR1020077006824 A KR 1020077006824A KR 20077006824 A KR20077006824 A KR 20077006824A KR 101164017 B1 KR101164017 B1 KR 10116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laminated film
film
lamin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519A (ko
Inventor
야수시 타카다
마사토 야나기바시
마사토 우시지마
유타카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6Forming hydrophil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Abstract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조성물(A), 에폭시계 가교제(B),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이 형성된 적층 필름으로서, 조성물(A)이 적어도 폴리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와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또한, 적층막중에 조성물(A)과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15~100중량부 함유하고,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50nm이며, 또한, 상기 적층 필름중에 함유되는 평균 입경 100㎛이상의 내부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종래 달성할 수 없었던 높은 레벨의 도전성, 이형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도 겸비한 적층 필름으로 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LAYERED FILM}
본 발명은 적층 필름, 특히 코팅에 의한 적층막을 형성한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테레비젼, 카 네비게이션용 디스플레이, 휴대전화의 액정 디스플레이,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편광판 등의 가공, 실장시에 있어서의 표면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성형 부품에 직접 열전사하는 핫 스탬핑 호일법이나, 사출성형과 동시에 전사인쇄하는 인몰드 전사법이나, 전사용 필름과 성형 부품간의 공기를 감압시킨 후, 가압 가열함으로써 전사인쇄하는 진공 프레스 전사법 등에 이용된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혁명과 더불어, 소위 브라운관형 테레비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로의 전환이 현저하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주요 구성부재인 편광판 등의 광학용 시트를 가공하고, 실장하는 공정이 있지만, 표면보호의 목적으로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투명한 보호용의 필름, 소위 표면보호 필름에 상기 부재와 붙이기 위해서 점착제 등을 도포하거나 해서 적층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이들 보호 필름을 박리, 제거하는 것이지만, 이 박리시에, 소위 박리대전 현상이 발생해서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부착되거나, 또는, 붙여진 상태 그대로 대전되어 먼지 등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먼지 부착의 문제는, 예를 들면 제품의 검사시에 액정부재 자체의 결점인지, 표면에 부착된 먼지에 의한 것인지 판별이 어렵고, 또한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제조공정상의 중대한 문제이기도 했다. 또한 특히, 최근의 고정밀 디스플레이 등에서는 상기한 먼지 부착에 의한 문제 외에, 박리대전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전자소자의 파괴라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전방지제를 섞어 넣은 것은 투명성이 떨어지며,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조립된 후의 제품의 결점검사시, 상기 보호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검사 정밀도가 떨어지거나, 검사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라도, 미처리인 것에서는 대전방지성이 없기 때문에, 먼지 부착 등의 대전현상 유래의 트러블이 다발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전방지제를 섞어 넣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대전방지제를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검토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로서 이온 전도형을 사용한 경우에는, 아크릴 수지 등과 병용함으로써 필름제막공정중에서 도포, 건조, 연신, 열처리하는 인라인 코트법에 적용한 경우라도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한편, 전자 전도형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계 대전방지제(특허문헌2), 산화 주석계 대전방지제(특허문헌3), 폴리티오펜계 대 전방지제(특허문헌4) 등이 제안되어 있다. 특히, 전자 전도형의 폴리티오펜계 대전방지제와 라텍스 중합체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5).
또한 상기한 접합시, 점착제를 사용하지만, 이 때 의도하지 않게 부착된 점착제, 특히 반대면의 적층 필름면에 부착된 점착제가 간단하게 닦아 떨어지는 등, 소위 방오성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요구되고 있어, 방오성을 갖는 층을 형성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6).
다음에 전사용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사 필름이란, 전사용 필름을 기재로 해서, 그 표면상에 피전사물을 적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피전사물을 원하는 제품 등에 전사시켜서 이용하는 것이다. 오늘날 환경의식이 높아진 속에, 최종제품화공정 등에서 유기용매 등을 사용하지 않고 도안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최근 특히 재평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정용 전화(電化)제품, 자동차용 제품, 주택건재제품, 그래픽제품, 보안제품, 안전표시 관계제품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제품이나 금속부품 등은 그 의장성의 다양화가 진행되어, 종래와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표면에 정밀한 도안이 실시된 것이 이용되어져 오고 있다. 이들 플라스틱제품이나 금속부품 등에 도안인쇄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인몰드 전사법, 진공 프레스 전사법, 핫 스탬핑 호일법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인몰드 전사법은, 전사박을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위치결정해 두고, 그 후 사출성형기에 의해 금형내에 수지를 압입해서 성형과 동시에 전사박의 도안을 칠하는 방법이다. 진공 프레스 전사법은 전사박을 성형품 에 대향시켜, 전사박과 성형품 사이의 공기를 감압시킴으로써 전사박을 성형품 표면에 접촉시켜, 가압 가열함으로써 전사박의 도안을 칠하는 방법이다.
또한 종래의 도안전사에만 그치지 않고, IT?플랫 패널 디스플레이?휴대전화?광학용도 등의 급속한 시장확대 중, 예를 들면 종래는 최종제품 조립시에 유기용매를 함유한 하드코트 도료를 도포, UV 경화시켜서 내찰과성을 부여하고 있었던 것도, 폐기설비가 갖추어진 제조공정에서, 상기 전사용 필름상에 하드코트층과 접착제층을 형성해 두고, 그 적층체를 제품 조립시에 전사시키는 등의 방법도, 종래는 생각되어지지 않았던 품위가 엄격한 광학관계 용도 등에서도 이용되게 되었다.
이들 전사박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특히 내열성이나 성형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상기 전사박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재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 도안층, 접착제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것이다. 또, 도안층은 전체면에 형성되는 일도 있으면,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도포한 전사박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지만,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형층의 접착성을 개선할 목적의 것이다.(특허문헌7).
또, 한편으로, 제조공정의 고속화에 따라 풀림시의 박리대전에 의해 방전현상이나 불꽃이 발생하거나, 도안의 고정밀화에 따라 먼지 부착이 극단적으로 꺼려지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사박에 대전방지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에, 그 요구기능은 점점 높아져 저습도하에서의 대전방지성이 요구되거나, 106Ω/□이하라는 도전성 레벨이 요구되는 일도 있다. 대전방지성 부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저분자량의 대전방지제를 첨가해 도포하는 방법이 개시되고(특허문헌8), 습도의존성이 없는 전자전도 타입의 대전방지제인 안티몬 도핑된 산화주석계 도전제를 도포하는 방법(특허문헌9), 전자전도 타입의 대전방지제인 폴리티오펜계 도전제를 도포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0).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소61-204240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평7-330901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평7-329250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4:일본 특허공개 평1-313521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5:일본 특허공개 평6-295016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6:일본 특허공개 2003-154616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7:일본 특허공개 평10-114039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8:일본 특허공개 소60-141525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9:일본 특허공개 평7-329250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특허문헌10:일본 특허공개 평9-31222호 공보(제1페이지, 청구항 등)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대전방지성의 부여에 관해서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이온 전도형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경우, 그 도전 메커니즘은 이온에 의한 공기중의 수분의 흡착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습도의존성이 존재하고, 특히 저분자량 타입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현저하게 나타나며, 겨울철 등 습도가 낮은 환경하에서는 전혀 도전성이 얻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도전 메커니즘으로서 공역전자를 사용한 전자 전도성 도전제, 예를 들면 산화주석 안티몬 도프계 대전방지제나 폴리티오펜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한 습도의존성은 없지만, 조성물 자체가 강직하며, 예를 들면 필름제막공정중에서 도포, 건조, 연신, 열처리하는 인라인 코트법에 적용한 경우, 연신 추종성이 없기 때문에, 연신에 의해 도막에 균열이 생기고, 도막이 백화되고, 상기한 제품검사시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단지 대전방지제를 도포한 기술에서만은, 상기 대전방지층에 방오성이나 이형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편광판 보호용 필름 등에서는 제품의 검사시에 액정부재 자체의 결점인지, 표면에 부착된 점착제인지 판별이 어려워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제조공정상의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표면이 거칠어진 필름이나, 조대한 돌기를 갖는 필름 등을 사용한 경우도, 그 결점상의 것이 액정부재 자체의 결점인지, 단순한 필름의 결점, 예를 들면 돌기 유래의 결점인지 판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사용 필름 등에서는 도안층이나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것과는 반대면의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면과 접착제층이 블록킹되어 버려 롤로부터 풀어질 수 없는 등의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최근의 매우 강고한 접착성을 발현하는 접착제층과의 상기 브록킹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반대면측에 소위 「이형 기능층」이 필요하지만, 이들을 만족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IT?플랫 패널 디스플레이?휴대전화?광학용도 등의 급속하게 시장확대되고 있는 용도에서, 예를 들면 부재로서 적층상태로 이용되는 광학 필름이나 그 보호 필름 등을 전사용 필름으로부터 박리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그 박리후의 부재표면의 평활성이나 광택성이 매우 중요시되지만, 대전방지성이나 평활성을 고도의 레벨로 만족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조성물(A), 에폭시계 가교제(B),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막이 형성된 적층 필름으로서, 조성물(A)이 적어도 폴리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와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또한, 적층막중에 조성물(A)과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15~100중량부 함유하고,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50nm이며, 또한, 상기 적층 필름중에 함유되는 평균 입경 100㎛이상의 내부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조성물(A)과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에 대해서, 고형분 중량비로,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총량이 50~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적층막중에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조성물(A)과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1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 필름.
(4)적층 필름의 헤이즈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5)적층 필름의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가 100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6)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가 50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7)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8)적층막의 도전성이 1×103~1×107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9)적층 필름의 TD에 대해서 측정한 단면 두께 변화에 있어서, TD에 3cm마다 측정한 0.3㎛이상의 두께 편차의 개수가 5개이하/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100㎛이상의 부착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1)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수지중합 촉매에 티탄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2)동시 2축 연신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3)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4)적층 필름에 있어서, 적층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5)열가소성 수지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6)편광판 보호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17)전사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18)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에 기재된 적층 필름.
(19)전사박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에 기재된 적층 필름.
(20)적층막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에 기재된 적층 필름.
(21)적층 필름의 적층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높은 레벨의 도전성이 습도변화에 상관없이 발현되고, 또한, 방오성, 이형성, 내수성, 평활성,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필름 내부의 이물이 적기 때문에 검사시에 최적이며, 편광판 보호용 적층 필름이나 전사용 적층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이란, 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되는 필름의 총칭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유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이나 폴리스티렌 필름 등의 아크릴계 필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염화 비닐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불소계 필름, 폴리페닐렌술피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호모폴리머이어도 공중합 폴리머이어도 좋다. 이들 중, 기계적 특성, 치수안정성, 투명성 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등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 범용성 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대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대표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란, 에스테르 결합을 주쇄의 주요한 결합쇄로 하는 고분자의 총칭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프로필렌-2,6-나프탈레이트, 에틸렌-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구성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구성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2종이상 병용해도 좋지만, 그 중에서도 품질,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에 열이나 수축응력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나 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에스테르에는, 또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이 일부, 바람직하게는 20몰%이하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중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유기의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핵제 등이 그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의 극한점도(25℃의 o-클로로페놀중에서 측정)는 0.4~1.2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8dl/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층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2축 배향된 것이 바람직하다.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란, 일반적으로, 미연신 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2.5~5배 정도 연신되고, 그 후에 열처리가 실시되어서 결정배향이 완료된 것이며, 광각 X선 회절에 의해 2축 배향의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이 사용되는 용도나 종류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지만, 기계적 강도, 핸들링성 등의 점에서 통상 바람직하게는 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9~50㎛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공압출에 의한 복합 필름이어도 좋다. 특히 2층이상의 복합 필름으로 했을 때, 예를 들면 스킨층에 이활성의 미립자를 첨가하고, 코어층은 무입자로 하는 등, 이활성과 표면 거칠기를 양립시키기 쉽다. 또한 3층 복합 필름으로 했을 때, 예를 들면 스킨층에 이활성의 미립자를 첨가하고, 코어층은 무입자 또는 회수 원료를 이용하거나 한 경우라도, 이활성과 표면 거칠기를 양립시키기 쉬운 등의 메리트가 있다. 한편, 얻어진 필름을 각종의 방법으로 접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막이란, 기재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표면에 적층 구조적으로 형성되어 존재하는 막형상의 것을 말한다. 상기 막 자체는, 단일층이어도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은 조성물(A), 에폭시 가교제(B),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막이다. 또한 조성물(A)이 적어도 폴리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와 폴리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즉, 적층막중의 조성물(A),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함유량이 적층막 전체의 50중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중량%이상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의 조성물(A)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티오펜 및 폴리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적층막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A)로서는, 하기의 화학식1
(화학식1)
Figure 112007023563752-pct00001
및/또는, 하기의 화학식2
(화학식2)
Figure 112007023563752-pct00002
로 나타낸 화합물을, 폴리 음이온의 존재하에서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화학식1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소, 탄소수 1~12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시클로헥실렌기, 벤젠기 등이다. 화학식2에서는, n은 1~4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식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티오펜,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화학식2에서, n=1(메틸렌기), n=2(에틸렌기), n=3(프로필렌기)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n=2의 에틸렌기의 화합물, 즉,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폴리티오펜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티오펜환의 3위치와 4위치의 위치가 치환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예시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3위치와 4위치의 탄소원자에 산소원자가 결합된 화합물이 예시된다. 상기 탄소원자에 직접,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가 결합된 것은 도포액의 수성화가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에 사용하는 조성물(A) 중 폴리 음이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폴리 음이온은 유리(遊離)산 상태의 산성 폴리머이며, 고분자 카르복실산, 또는, 고분자 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등이다. 고분자 카 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말레인산이 예시되고, 고분자 술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술폰산이 예시되고, 특히, 폴리스티렌술폰산이 도전성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산은 일부가 중화된 염의 형태를 취해도 좋다.
이들 폴리 음이온을 중합시에 사용함으로써, 본래, 물에 불용인 폴리티오펜계 화합물을 물분산 또는 수성화하기 쉽고, 또한, 산으로서의 기능이 폴리티오펜계 화합물의 도핑제로서의 기능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 카르복실산이나 고분자 술폰산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등과 공중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 음이온으로서 이용되는 고분자 카르복실산이나 고분자 술폰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제의 안정성이나 도전성의 점에서,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100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150000이다.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리튬염이나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염이나 암모늄염 등을 함유해도 좋다. 중화된 염의 경우도, 매우 강한 산으로서 기능하는 폴리스티렌술폰산과 암모늄염은 중화후의 평형반응의 진행에 의해, 산성 사이드에 평형이 어긋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도펀트로서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에 대해서, 폴리 음이온은 고형분 중량비로 과잉으로 존재시킨 쪽이 도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티오펜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가 1중량부에 대해서, 폴리 음이온은 1중량부 보다 많고, 5중량부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보다 많고, 3중량부이하이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조성물(A)중에 다른 성분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조성물(A)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6-2950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7-2920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31352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6324호 공보, 유럽 특허 EP 602713호, 미국특허 US 5391472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 이외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수성 도포액으로서, Bayer사/H.C.Starck사(독일국)로부터 "Baytron"P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A)은, 예를 들면 3,4-디히드록시티오펜-2,5-디카르복시에스테르의 알칼리 금속염을 출발물질로 해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얻은 후, 폴리스티렌술폰산 수용액에 퍼옥소 2황산칼륨과 황산철과, 먼저 얻은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도입하고, 반응시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의 폴리티오펜에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의 폴리 음이온이 복합체화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에 사용하는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8~25개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중의 탄소수 18~25개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비율은 35중량%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중합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8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이며, 방오성이나 공중합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이하, 「장쇄 알킬기」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를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는 아크릴산 옥타데실, 아크릴산 노나데실, 아크릴산 에이코실, 아크릴산 헨에이코실, 아크릴산 도코실, 아크릴산 트리코실, 아크릴산 테트라코실, 아크릴산 펜타코실, 메타크릴산 옥타데실, 메타크릴산 노나데실, 메타크릴산 에이코실, 메타크릴산 헨에이코실, 메타크릴산 도코실, 메타크릴산 트리코실, 메타크릴산 테트라코실, 메타크릴산 펜타코실 등의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가 이용된다. 또, 탄소수가 25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곤란하며, 탄소수가 25정도인 것이 상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는, 환경면의 배려에서 수계의 도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멀젼화하기 위해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하기의 아크릴계 모노머나 비닐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톡시에틸,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아크릴산 2- 부톡시에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초산 비닐, (메타)아크릴산, 스티렌,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에스테르, 비닐술폰산소다, 스티렌술폰산소다, 무수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에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계 가교제(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폭시계 가교제(B)를 수용성으로 분자량을 1000이하로 함으로써, 연신공정에서의 유연성이나 유동성이 발현되고, 적층막을 형성하는 혼합체의 건조후의 연신 추종성을 높이고, 도막의 균열에 의한 백화현상을 억제하여 투명성이 부여된다. 한편, 예를 들면 분자량이 지나치게 커지면, 도포, 건조후의 연신시에 도막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분자량을 80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이하로 함으로써, 조성물(A)이나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계 수지(C)와 에폭시 가교제(B)가 보다 상용(相溶)되기 쉬워져 투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폭시계 가교제(B)는 투명성, 도전성 등이 향상되므로, 수용성의 가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의 가교제란, 수용율이 80%이상인 가교제를 말하며, 「수용율」이란 23℃에서, 가교제의 고형분 10부를 90부의 물에 용해시켰을 때 가교제가 용해되는 비율을 말한다. 즉, 수용율이 80%란, 23℃에서, 10부의 가교제 중 80중량%가 90부의 물에 용해되고, 나머지 20중량%의 가교제가 미용해물로서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수용율 100%란 사용한 10부의 가교제가 90부의 물에 모두 용해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에폭시계 가교제(B)는 수용율이 9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율이 100%이다. 수용율이 높으면 도포액 자체를 수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성이나 도전성의 점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수용성의 에폭시계 가교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등의 고비점 용매 등의 첨가에 비해, 블록킹을 일으키지 않고, 열처리공정을 행하는 텐터 내부의 오염이나, 대기오염이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이하의 에폭시계 가교제(B)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가세 켐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에폭시 화합물 "데나콜"(EX-611, EX-614, EX-614B, EX-512, EX-521, EX-421, EX-313, EX-810, EX-830, EX-850 등), 사카모토 야쿠힝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디에폭시?폴리에폭시계 화합물(SR-EG, SR-8EG, SR-GLG 등), 다이니폰잉크 고교 가부시키가이 샤제 에폭시 가교제 "EPICLON" EM-85-75W, 또는 CR-5L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B)는 에폭시 당량(weight per epoxy equivalent)이 100~300WPE인 것이 반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폭시 당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200WPE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이용되는 도포액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물을 주된 매체로 하는 수성의 도포액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이용되는 도포액은, 도포성의 향상, 투명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을 정도로 적당량의 유기용매를 함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콜, t-부틸셀로솔브, n-부틸셀로솔브, 에틸세로솔브,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에탄올, 메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도포액중에 20중량%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이다. 또, 도포액중에 다량의 유기용매를 함유시키면, 소위 인라인 코팅법에 적용한 경우, 예열, 건조, 연신 및 열처리공정 등을 행하는 텐터에 있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에폭시계 가교제(B)는, 적층막의 상태에 있어서는, 적층막을 구성하는 성분에 함유되는 관능기와 결합된 상태이어도 좋고, 미반응의 상태이어도 좋고, 부분적으로 가교구조를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에폭시계 가교제(B)는, 적층막의 상태에서는, 도막의 강도나 내블록킹성이나 접착감, 또한 내수 성 등의 점에서 가교되어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또, 가교는, 다른 성분에 함유되는 관능기와 결합된 상태이어도 좋고, 가교제 자체의 자기 가교구조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교제의 병용도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예를 들면 에폭시계 가교제(B)와 멜라민계 가교제, 또는 에폭시계 가교제(B)로서 다른 종류의 에폭시계 가교제의 병용은 양자의 특성이 발현되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 이용되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미드에폭시 화합물, 티타늄킬레이트 등의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메티롤화 또는 알키롤화된 요소계, 아크릴아미드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은, 적층막중에, 고형분 중량비로, 조성물(A)과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에 대해서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 50~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 50중량%미만에서는 도전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 예를 들면 10중량%미만 등의 경우, 미처리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과 동일한 절연체 레벨로 되고, 또한, 도막의 백화가 커서 투명성도 나쁘다. 한편,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 95중량%를 넘으면 투명성은 좋게 되지만, 도전성에 기여하는 조성물(A)의 양이 지나치게 적어, 도전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 50~80중량%인 것이 투명성이나 도전성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중량%이다. 적층막중의 에폭시계 가교제(B)의 함유량을 50~90중량%로 함으로써, 투명성과 도전성을 매우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은, 상기한 조성물(A)과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 이외에,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조성물(A)과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15~100중량부 함유함으로써 방오성이 발현되지만, 또한 15~40중량부 함유함으로써 편광판 보호용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매우 고도의 방오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도전성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사용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매우 고도의 이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도전성도 부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중량부로 함으로써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 도전성에 대해서도 매우 높은 레벨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폴리티오펜계 조성물(A)이나 에폭시계 가교제(B) 등의 친수성을 갖는 화합물, 즉 물질의 표면에너지가 높은 것과,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 등과 같은 소수성의 화합물, 즉 물질의 표면에너지가 낮은 것과의 양자의 상분리현상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라인 코트법과 같은 고온에서의 열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본 현상이 보다 현저하게 발현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은, 조성물(A),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필수성분으로 하지만, 또 다른 수지,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 적어도 1종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단, 예를 들면 편광판 보호용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적층막중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 다른 수지성분이 20중량%를 넘는 경우 등은 본 발명의 특성, 특히 방오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첨가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사용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이형성의 점에서, 70중량%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적층막과는 반대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적층막이 형성된 측은 습도의존성이 없는 높은 레벨의 도전성, 방오성, 평활성, 내수성,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을 갖고, 또한, 반대측은 접착성 등을 갖는 별도의 기능층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층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거나, 인쇄층을 형성하거나 하는 경우, 접착성이 향상되는 등 유용하다.
또한 적층막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의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유기의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핵제 등이 배합되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포액중에 무기입자를 첨가배합해서 2축 연신한 것은 이활성이 향상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무기입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실리카, 콜로이달실리카, 알루미 나, 알루미나졸, 카올린, 탤크, 마이카,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용되는 무기입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의 것이면 된다.
다음에 표면 거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 필름의 표면 거칠기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50nm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얻은 필름의 하나의 용도인 편광판 보호 용도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의 평활성이 중요시되므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는, 큰 돌기나 오목부 등을 특징짓는 것이다. 이들의 값이 크면, 예를 들면 편광판의 결점검사시 등, 상기 돌기가 이물로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 보호용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SRa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5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0nm이며, SRz는 1500nm이하, 또한 10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nm이하이다. SRa, SRz는 광촉침식 3차원 조도계 ET-30HK(고사카 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측정방법의 항목에 기재된 대로, JIS-B-0601에 따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부재로서 적층상태에서 이용되는 광학 필름이나 그 보호 필름 등을 본 발명의 전사용 필름으로부터 박리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그 박리후의 부재표면의 평활성이나 광택성이 매우 중요시되므로, 적층 필름의 표면 거칠기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사물을 형성하는 측의 필름 면의 표면 거칠기가 매우 중요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3~6nm이다. 또한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는, 큰 돌기나 오목부 등을 특징짓는 것이며, 본 값이 크면 전사물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크게 거칠고, 광택감이 상실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사용으로서 사용할 경우 SRz가 5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nm이하이다. 상기한 표면 거칠기(SRa와 SRz)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박리후의 부재표면의 평활성이나 광택성, 또는 전사박의 광택성 등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을 형성한 면을 전사물을 형성하는 면으로서 이용해도 좋고, 상기 적층막을 형성한 것과는 반대면을 전사물을 형성하는 면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표면 거칠기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막에 첨가하는 입자로서는, 평균 입경 0.01~0.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0.1㎛이며, 고형분에 대한 배합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비로 0.05~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의 헤이즈가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9~3.5%이다. 5%보다 크면, 투과 광의 산란이 커서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결점 등의 검사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극단적으로 투명성이 우수한 경우에는, 필름중의 이물 등 편광판 보호용도에서는 문제되지 않는 레벨의 결점까지 보여져서 역효과가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중에 함유되는 평균 입경 100㎛이상의 내부이물은 10개/㎡미만인 것이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미만이다. 10개/㎡이상이면, 예를 들면 제품의 검사시에 액정부재 자체의 결점이 아닌데도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의 내부이물을 잘못 카운트해 버려, 제품이 불량품으로 판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내부이물을 상기 범위내로 하기 위해서는, 압출기로부터 구금 사이에 고정밀도의 필터를 넣거나, 불순물이 적은 원료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압출온도로 함으로써, 상기 범위내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막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필터로서 평균 메시 3~15㎛, 바람직하게는 5~10㎛의 스테인레스강 섬유를 소결 압축한 필터(FS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테인레스 섬유를 소결 압축한 필터 뒤에, 평균 메시 10~30㎛의 스테인레스강 분말체를 소결한 필터(PSS)를 이 순서로 연속 여과하거나, 또는 하나의 캡슐안에 상기 2종류의 필터를 아울러 갖는 복합필터(FP)를 사용한다. 이것으로, 촉매응집물이나 조대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수지의 겔화물이나 열열화(熱劣化)물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필터 수명이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응집물을 생성시키기 어려운 금속촉매로서, 예를 들면 티타늄 화합물이나 게르마늄 화합물을 중합시의 촉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폭방향(TD)에 대해서 측정한 단면 두께 변화에 있어서, TD에 3cm마다 측정한 0.3㎛이상의 두께 편차의 개수가 5개이하/m인 것이 바람 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이하/m,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이하/m이다.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예를 들면 이 두께 편차가 발생하면 검사시에 그 부분을 라인상의 결점으로서 카운트하여, 편광판은 문제가 없는데도 불합격품으로 판정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결점은 구금에 상처가 생거거나, 구금의 립부분에 열화 폴리머가 부착됨으로써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이물이 적은 원료를 사용하거나, 구금의 청소를 하거나, 구금의 립간극을 넓혀 열화 폴리머가 부착되기 어렵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범위내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 편차란, 필름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했을 때에 그 측정범위내에서 두께의 최대값과 두께의 최소값의 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의 100㎛이상의 부착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미만이다. 10개/㎡이상이면,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제품의 검사시에 액정부재 자체의 결점이 아닌데도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의 부착이물을 잘못 카운트해 버려, 제품이 불량품이라고 판정될 우려가 있다. 부착이물을 상기 범위내로 하기 위해서는, 제막실의 클린도를 좋게 하는 것이나, 스텐터내에서의 올리고머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나, 제막 라인중에 점착롤을 사용해서 부착이물을 제거하거나, 제막 라인중에 제진기 등의 에어로 부착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범위내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계수지의 도포방법은, 예를 들면 리버스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로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적층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005~0.2㎛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0.05㎛이다. 적층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도전성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적층막을 형성하는데에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중에 도포해서 기재 필름과 함께 연신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용융압출된 결정배향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2.5~5배정도 연신하고, 1축 연신된 필름에 연속적으로 도포액을 도포한다. 도포된 필름은 단계적으로 가열된 존을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폭방향으로 2.5~5배정도 연신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150~250℃의 가열존에 도입되어 결정배향을 완료시키는 방법(인라인 코트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도포액은 환경오염이나 방폭성의 점에서 수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액을 도포하기 전에, 기재 필름의 표면(상기 예의 경우, 1축 연신 필름)에 코로나 방전처리 등을 실시해서 상기 표면의 습윤장력을 바람직하게는 47mN/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N/m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층막의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셀로솔브,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유기용매를 도포액중에 약간량 함유시켜서 습윤성이나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약칭함)를 기재 필름으로 한 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 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해서 설명한다. 극한점도 0.5~0.8dl/g의 PET 펠릿을 진공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260~300℃에서 용융한다. 그 후에 3~15㎛ 컷 스테인레스 섬유소결 필터(FSS)로 여과한 후,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10~60℃의 경면 캐스팅 드럼에 감아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PET 필름을 제작한다. 이 미연신 필름을 70~120℃로 가열된 롤간에서 세로방향(필름의 진행방향)으로 2.5~5배 연신한다. 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해서 상기 표면의 습윤장력을 47mN/m이상으로 하고, 그 처리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도포액을 도포한다. 이 도포된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해서 70~150℃로 가열된 열풍존에 도입하여 건조시킨 후, 폭방향으로 2.5~5배 연신하고, 계속해서 160~250℃의 열처리존으로 도입하여 1~3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결정배향을 완료시킨다. 이 열처리공정중에서, 필요에 따라서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1~10%의 이완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2축 연신은, 세로, 가로 순차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 세로, 가로 연신후, 세로, 가로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재연신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00㎛가 바람직하다. 동시 2축 연신법이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동시에 연신하는 방식이며, 동시 2축법일 때의 연신온도는 70~180℃가 바람직하고, 또한 연신배율은 9~35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적층막이 형성되는 기재 필름중에, 적층막 형성 조성물, 또는 적층막 형 성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적층막과 기재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거나, 이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막 형성 조성물, 또는 이들 반응 생성물의 첨가량은 그 첨가량의 합계가 5ppm이상 20중량%미만인 것이 접착성, 이활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환경보호, 생산성을 고려하면, 상기 적층막 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재생 펠릿을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용 적층 필름은 높은 레벨의 도전성이 습도변화에 상관없이 발현되어, 방오성, 평활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놀랄 정도로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도 겸비하므로, 특히 편광판 보호용도의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전사용 적층 필름은 높은 레벨의 도전성, 이형성, 내수성, 광택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도 겸비한다. 이 때문에, 핫 스탬핑 호일법이나, 인몰드 전사법이나, 진공 프레스 전사법 등에 이용되는 전사박의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T?플랫 패널 디스플레이?휴대전화?광학용도 등에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상에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과 접착제층을 형성해 두고, 그 적층체를 제품 조립시에 전사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면상에 직접, 광학용 부재가 되는 필름상이나 시트형상물을 도포 등의 방법으로 적층해 두고, 본 발명에 따른 적층막의 이형성을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박리하고, 그 평활성도 이용해서, 광택성이 우수한 광학용 부재를 박리법이나 용액 캐스트법 등으로 얻는 것도 가능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성의 측정방법 및 효과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적층막의 두께
샘플, 예를 들면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을 초박절편으로 잘라, RuO4 염색, OsO4 염색, 또는 양자의 2중염색에 의한 염색 초박절편법에 의해, TEM(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 사진촬영을 행했다. 그 단면사진으로부터 적층막의 두께측정을 행했다. 또, 측정 시야중의 10개소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관찰방법
?장치:투과형 전자현미경(히타치(주)제 H-7100FA형)
?측정조건:가속 전압 100kV
?시료조정:초박절편법
?관찰배율:20만배.
(2) 표면 거칠기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했다. JIS-B-0601에 따라,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 및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는 광촉침식 3차원 조도계 ET-30HK(고사카 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측정길이 0.5mm, 측정개수 80개, 컷오프 0.25mm, 이송피치 5㎛, 촉침하중 10mg, 스피드 100㎛/초로 측정했다. 또, 3회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했다.
(3)도전성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도전성을 측정했다. 도전성은, 표면비저항의 값을 사용했다. 표면비저항의 측정은 보통의 상태(23℃, 상대습도 65%)에 있어서 24시간 방치후, 그 분위기하에서, JIS-K-7194에 준거한 형태로, 로레스터EP(미츠비시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형번:MCP-T360)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단위는 Ω/□이다. 또, 본 측정기는 1×106Ω/□이하가 측정가능하다.
한편, 1×106Ω/□이상의 영역에 대해서는, 디지털 초고저항/미소전류계 R8340A(아드반테스트(주)제)를 사용하여, 인가전압 100V, 10초간 인가후, 측정을 행했다. 단위는 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106Ω/□이하의 것이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것이며, 또한 1×105Ω/□이하는 매우 우수한 도전성이 있다라고 판단했다.
또한 도전성의 습도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23℃, 상대습도 20%의 환경에 1시간 방치한 후, 상기와 같은 측정을 행했다. 또, 상기 측정은 각각 2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4)내수성
적층 필름을 수도물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로 1분간 세정후, 60℃에서 5분간 바람으로 건조시킨 후, (3)항에 기재된 도전성의 평가를 행했다. 내수성평가를 하기 전의 도전성과 비교해서, 상기 내수성평가를 행한 후의 도전성의 변화가 작은 것이 우수한 내수성을 갖는 것이다.
(5)방오성(물방울 접촉각)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방오성을 평가했다. 방오성은 표면에너지가 낮은 것이 우수하고, 소수성 표면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방울 접촉각을 방오성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물방울 접촉각이 큰 것일수록 우수한 방오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95도이상이면 방오성이 양호한 것이며, 또한 98도이상이 방오성이 우수하고, 100도이상은 매우 우수한 방오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측정은, 23℃, 상대습도 65%의 조건하에서 접촉각계 CA-D형(교와카이멘 카가쿠(주)제)으로 행하고, 3회 측정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6)이형성(물방울 접촉각)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이형성을 평가했다. 이형성은 표면에너지가 낮은 것이 우수하고, 소수성표면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방울 접촉각을 이형성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고, 물방울 접촉각이 큰 것일수록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95도이상이면 이형성이 양호한 것이며, 또한 98도이상이 이형성이 우수하고, 100도이상은 매우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측정은, 23℃, 상대습도 65%의 조건하에서 접촉각계 CA-D형(교와카이멘 카가쿠(주)제)으로 행하고, 3회 측정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7)헤이즈
투명성의 지표로서 헤이즈를 사용했다. 헤이즈의 측정은 보통상태(23℃, 상대습도 65%)에서, 적층 필름을 2시간 방치한 후, 스가 시켄키(주)제 전자동 직독 헤이즈 컴퓨터「HGM-2DP」를 이용해서 행했다. 3회 측정한 평균값을 상기 샘플의 헤이즈값으로 했다.
(8)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1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을 평가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적층 필름을 180℃의 열풍 오븐속에 30분간 방치하고, 기재 필름으로부터 올리고머를 석출시켰다. 반대면을(단, 반대면에도 적층막이나 도포층을 형성한 것은 그 표면)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적신 "벤코튼"(아사히 카세이고교(주)제)을 이용하여 상기 면을 닦아내고, 상술의 헤이즈 측정방법에 따라, 헤이즈를 측정했다. 또, 헤이즈 상승이 작은 것이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이 우수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9)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2
적층 필름의 적층막표면의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을 평가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적층 필름을 180℃의 열풍 오븐속에 30분간 방치하고, 기재 필름으로부터 올리고머를 석출시켰다. 10cm×10cm의 크기의 상기 적층막표면을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3분간 침지하고, 용출된 상기 DMF중의 올리고머량을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제공하여 정량했다. 또, 단위는 침지한 필름 표면 1㎡당의 석출량(mg)으로 환산했다. 또, 평가는, 단위면적당의 석출량이 적은 것일수록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이 높고, 예를 들면 약 2mg/㎡이면 충분히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10)광택성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전사 용도에 사용한 경우의 전사물의 광택성의 모델 테스트로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적층막에 0.5㎛의 알루미늄 증착을 실시하여, 상기 표면의 광택감을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우수):균일하게 매우 우수한 광택성이 있음
(양호):우수한 광택성이 있음
(불가):광택성이 없고, 무광택상태로 되어 있음.
(11)내부이물검사
크로스 니콜법으로 이물검사를 실시한다. 즉 2장의 편향판 사이에 샘플을 넣어서 검사를 한다. 측정기는 신토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변형 검사기 HEIDON-13형」을 사용했다. 에어 더스터를 이용하여 표면의 먼지 등을 제거하고 나서 샘플을 면적 10㎡분에 대해서 검사를 행하고, 이물이 있는 경우는 그 크기를 광학현미경(50~400배)으로 측정한다. 크기는 이물의 가장 긴 곳의 길이(장축)를 측정하고, 그것이 100㎛이상인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모든 개수를 A개로 하고, 이하의 식과 같이 환산해서 값을 비교했다.
내부이물개수[개/㎡]=A[개]/10[㎡].
(12)두께 편차
접촉식 연속 두께계 안리쓰(주)제 「KG601B」를 사용했다. 샘플의 평가방향은 폭방향(TD)이며, 제품의 전체폭분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빈도는 길이방향(MD)에 대해서 10m마다 1회 전체폭 측정하고, 그것을 5회 반복한다. 그 측정결과로부터 필름의 3cm길이당 0.3㎛이상의 두께 편차의 개수를 카운트해서 그 모든 개수를 B개로 하고, 이하의 식과 같이 환산해서 값을 비교했다.
두께 편차[개/m]=B[개:5회분 합계]/5[회]/1회 측정의 폭길이[m].
(13)부착이물검사
암실에서 3파장 형광등의 반사광을 사용해서 육안으로 검사를 행한다. 샘플을 10㎡분에 대해서 검사를 행하고, 이물이 있는 경우는 그 크기를 광학현미경(50~400배)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크기는 이물의 가장 긴 곳의 길이(장축)를 측정하고, 장축길이가 100㎛이상인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모든 개수를 C개로 하고, 이하의 식과 같이 환산해서 값을 비교했다.
부착이물개수[개/㎡]=C[개]/10[㎡].
(14)편광판 검사성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여 경화형 실리콘수지(신에츠 카가쿠고교(주)제 「KS-779H」) 100부, 경화제(신에츠 카가쿠고교(주)제 「CAT-PL-8」 1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용매 2200부로 이루어지는 이형제를 도포량이 0.2g/㎟가 되도록 도포해서 175℃에서 15초의 건조를 행하고, 이형 필름을 얻었다. 미리 이물?휘점 결점이 없는 편광판을 2장 준비하고, 편광판A, 편광판B라고 이름붙였다. 그 이형 필름의 폭방향이 편광 필름의 배향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점착제를 통해 이형 필름을 편광판A에 밀착시켰다. 다음에 이 편광판A 아래에 배향축이 필름 폭방향과 직교하도록 편광판B를 겹쳐서 편광판B의 하측에서 백색광을 조사했다. 편광판A의 상측으로부터 3명의 검사원이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고, 결점이 발견되면 마킹하고, 그 후 광학현미경으로 사이즈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육안 검사성을 하 기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측정 면적은 1인당 10㎡ 관찰했다. 또, 광학현미경의 측정 배율은 50~400배를 사용하고, 결점 사이즈를 측정했다.
(우수):결점의 장축길이가 100㎛이상인 것이 0~3개/㎡미만 있음.
(양호):결점의 장축길이가 100㎛이상인 것이 3개/㎡이상, 10개/㎡미만 있음.
(불가):결점의 장축길이가 100㎛이상인 것이 10개/㎡이상 있음.
(15)박리대전 평가법
상기 (14)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의 이형층면에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닛토-31B)를 붙이고 5kg의 압착롤러로 압착해서 70℃, 24시간의 조건으로 유지한 후, 이형 필름측을 아래로 해서 수평으로 고정하고, 인장속도 500mm/분으로 180도 박리를 한 후,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의 점착제면의 전위를 점착제면으로부터 측정기 심코 재팬(주)제 「FMX-002」를 사용하여 25mm의 거리로부터 측정하고, 박리대전량으로 했다. 측정회수는 10회 행했다.
(양호):박리대전량이 -2KV~2KV의 범위내이며, 이음도 없이 박리된다.
(불가):박리대전량이 -2KV미만, 또는, 2KV보다 클 때.
(16)라인상 결점평가
상기 (14)와 같이 이형 필름을 제작하고, 상기 (14)와 동일하게 해서 육안으로 관찰한다.
(양호):라인상의 결점이 관찰되지 않는다.
(불가):라인상의 결점이 관찰된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고순도 테레프탈산 100kg에 대해서 에틸렌글리콜 45kg의 슬러리를, 미리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약 123kg이 투입되고, 온도 250℃, 압력 1.2×105Pa로 유지된 에스테르화 반응조에 4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공급했다. 공급 종료후 다시 1시간에 걸쳐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이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조로 이송시켰다. 계속해서,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 이송된 상기 중축합 반응 조에, 디에틸포스포노 초산 에틸을 0.01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초산 마그네슘 4수염을 0.04중량부, 또한 중합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스미토모긴조쿠 코우잔(주)제)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안티몬 원자환산으로 400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또한 첨가제로서 평균 입경 0.4㎛의 실리카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0.01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0.006중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그 후에 저중합체를 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계를 250℃에서 285℃까지 60분에 걸쳐 승온시킴과 아울러, 압력을 40Pa까지 내렸다. 또 최종압력 도달까지의 시간은 60분으로 했다. 소정의 교반 토크로 된 시점에서 반응계를 질소 퍼지해서 상압으로 되돌려 중축합반응을 정지시키고, 20℃의 냉수에 스트랜드상으로 토출시키고, 바로 커팅해서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얻었다. 또, 감압개시부터 소정의 교반 토크 도달까지의 시간은 3시간이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펠릿은 극한점도 0.63dl/g, 카르복실 말단기량 40당량/톤, 유리전이온도(Tg) 78℃, 환상 3량체 함유량 1.1중량%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수분율 20ppm으로 진공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해서 285℃의 온도에서 용융했다. 그 후에 8㎛ 컷 스테인레스 섬유소결 필터(FSS)로 여과한 후, 립간극 3.5mm의 T자형 구금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했다. 압출된 폴리머를 정전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20℃의 경면 캐스팅 드럼에 감아 냉각 고화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88℃의 온도로 가열해서 길이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1축 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면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도포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이 도포된 1축 연신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예열존에 도입하고, 95℃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후,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110℃의 온도의 가열존에서 폭방향으로 3.8배 연신했다. 또한 230℃의 온도의 가열존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결정배향이 완료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PET필름 두께는 38㎛이며, 적층막의 두께는 0.025㎛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액A1: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수성 도포액(Bayer사/H.C.Starck사(독일국)제 "Baytron"P).
?도포액B1: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히드록시알칸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주)제 CR-5L(에폭시 당량 180, 수용율 100%))을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2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10/90으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1이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1과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1/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또, 이 때, 각 도포액의 고형분 중량비는, 도포액A1/도포액B1/도포액C1=10/90/20이었다.
(실시예2)
실시예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3)
실시예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D1:
평균 입자지름이 45nm인 콜로이달실리카의 수성 도포액.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과 도포액D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도포액D1=100/25/3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4)
실시예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06중량%를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100/25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5)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100/3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 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6)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40/60으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3이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3과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3/도포액C1=100/15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7)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2: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기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2=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8)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3: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3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3=100/4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9)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3: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3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3=100/10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0)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4: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62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22)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3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4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4=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1)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B2:
에폭시 가교제로서,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614B(분자량 약 550, 에폭시 당량 173, 수용율 94%))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4는 실시예9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2를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2=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4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4와 도포액C4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4/도포액C4=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 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2)
실시예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펠릿(극한점도 0.65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3)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5: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 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62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22)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3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5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5=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 투명성, 검사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1)
실시예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도포층의 두께를 0.08㎛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E1:
폴리스티렌술폰산 암모늄염(중량 평균 분자량:65000)을 물에 용해한 수성 도 포액.
?도포액F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유리전이온도:42℃)를 입자상으로 물에 분산시킨 수성 도포액(에멀젼 입자지름은 50nm).
<공중합성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2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1)
에틸아크릴레이트 35중량%
(알킬쇄의 탄소수2)
아크릴산 2중량%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1중량%
상기한 도포액E1과 도포액F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E1/도포액F1=20/8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도전성, 방오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2)
실시예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B3: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512(분자량 약 630, 에폭시 당량 168,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G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G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G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방오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3)
실시예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산화티탄을 14중량% 함유하고, 또한 평균 입경 4㎛의 실리카 입자를 0.5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2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 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또, 얻어진 PET필름 두께는 188㎛이며, 적층막의 두께는 0.025㎛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내지만, 도전성이나 방오성은 양호하지만, 산화티탄에 의한 은폐성이 발현되어 버려, 투명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아 편광판 보호용 필름으로서는 부적합했다. 또한 내부이물량도 정량화할 수 없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B3: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512(분자량 약 630, 에폭시 당량 168,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비교예4)
실시예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2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PET필름 두께는 7㎛이며, 적층막의 두께는 0.025㎛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 다. 도전성이나 방오성은 양호하지만, 투명성, 검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투명성이 나쁘고, 내부이물량도 정량화할 수 없는 레벨이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B3: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512(분자량 약 630, 에폭시 당량 168,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1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비교예5)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1, 및 도포액C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40/60으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3이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3과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3/도포액C1=100/1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방오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6)
실시예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1은 실시예4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G2: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G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G2=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방오성이 떨어 지는 것이었다.
(표1)
Figure 112010050066945-pct00009
(표2)
Figure 112010050066945-pct00010
(실시예14)
고순도 테레프탈산 100kg에 대해서 에틸렌글리콜 45kg의 슬러리를, 미리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약 123kg이 투입되고, 온도 250℃, 압력 1.2× 105Pa로 유지된 에스테르화 반응조에 4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공급했다. 공급 종료후 다시 1시간에 걸쳐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이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조로 이송시켰다. 계속해서,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 이송된 상기 중축합 반응조에, 디에틸포스포노 초산 에틸을 0.01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초산 마그네슘 4수염을 0.04중량부, 또한 중합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스미토모긴조쿠 코우잔(주)제)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안티몬 원자환산으로 400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또한 첨가제로서 평균 입경 2.3㎛, 비표면적 300㎡/g의 이산화규소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0.04중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그 후에 저중합체를 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계를 250℃에서 285℃까지 60분에 걸쳐 승온시킴과 아울러, 압력을 40Pa까지 내렸다. 또 최종압력 도달까지의 시간은 60분으로 했다. 소정의 교반토크로 된 시점에서 반응계를 질소 퍼지해서 상압으로 되돌려 중축합반응을 정지시키고, 20℃의 냉수에 스트랜드상으로 토출시키고, 즉시 컷팅해서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얻었다. 또, 감압개시부터 소정의 교반토크 도달까지의 시간은 3시간이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펠릿은, 극한점도 0.62dl/g, 카르복실 말단기량 40당량/톤, 유리전이온도(Tg) 78℃, 환상 3량체 함유량 1.1중량%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수분율 20ppm으로 진공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해서 285℃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8㎛ 컷 스테인레스 섬유소결 필터(FSS)로 여과한 후, 립간극 3.5mm의 T자형 구금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25℃의 경면 캐스팅 드럼에 감아서 냉각 고화시켰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92℃의 온도로 가열해서 길이방향으로 3.5배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그 습윤장력을 50mN/m이상으로 하고, 그 처리면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도포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이 도포된 1축 연신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예열존으로 도입하고, 115℃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에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100℃의 온도의 가열존에서 폭방향으로 3.8배 연신하고, 다시 온도 225℃에서 2.6초, 230℃에서 2.6초의 가열존에서 열처리를 실시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결정배향이 완료된 적층 PET필름을 얻고, 감기전에 필름의 양면에 제진기를 사용해서 표면의 먼지를 제거했다. 얻어진 PET필름 두께는 38㎛이며, 적층막의 두께는 0.025㎛였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100㎛이상의 내부이물, 헤이즈, 두께 편차, 100㎛이상의 부착이물이 우수한 것이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수성 도포액(Bayer사/H.C.Starck사(독일국)제 "Baytron"P).
?도포액B3: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512(분자량 약 630, 에폭시 당량 168,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2: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기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2=100/25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5)
실시예14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2.3㎛의 이산화규소입자를 0.07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2dl/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6)
실시예14에서 사용한 PET 펠릿을 중합할 때에 티타늄계 중합촉매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7)
실시예14에서는 순차 2축 연신이었지만, 그것을 동시 2축 연신법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8)
실시예14에서 제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19)
실시예14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2.3㎛의 콜로이달실리카를 0.06중량%, 및, 평균 입경 3.8㎛의 콜로이달실리카를 0.03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0)
실시예14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 라인상 결점, 박리대전 평가,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7)
실시예14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도포층의 두께를 0.08㎛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E1:
폴리스티렌술폰산 암모늄염(중량 평균 분자량:65000)을 물에 용해한 수성 도포액.
?도포액F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유리전이온도:42℃)를 입자상으로 물에 분산시킨 수성 도포액(에멀젼 입자지름은 50nm)
<공중합성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2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1)
에틸아크릴레이트 35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2)
아크릴산 2중량%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1중량%
상기한 도포액E1과 도포액F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E1/도포액F1=20/80으 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박리대전 평가가 떨어지는 결과였다.
(비교예8)
실시예14에서 사용한 8㎛ 컷 스테인레스 섬유소결 필터(FSS) 대신에 14㎛ 컷 스테인레스 분체 소결 필터(PSS)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나타낸다. 편광검사성에 대해서 떨어지는 것이었다.
(표3)
Figure 112007023563752-pct00005
(표4)
Figure 112010050066945-pct00011
(실시예21)
고순도 테레프탈산 100kg에 대해서 에틸렌글리콜 45kg의 슬러리를, 미리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약 123kg이 투입되고, 온도 250℃, 압력 1.2× 105Pa로 유지된 에스테르화 반응조에 4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공급했다. 공급 종료후 다시 1시간에 걸쳐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이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조로 이송시켰다. 계속해서,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 이송된 상기 중축합 반응조에, 디에틸포스포노 초산 에틸을 0.01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초산 마그네슘 4수염을 0.04중량부, 또한 중합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스미토모긴조쿠 코우잔(주)제)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안티몬 원자환산으로 400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또한 첨가제로서 평균 입경 0.4㎛의 실리카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0.01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0.006중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그 후에 저중합체를 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계를 250℃부터 285℃까지 60분에 걸쳐 승온시킴과 아울러, 압력을 40Pa까지 내렸다. 또 최종압력 도달까지의 시간은 60분으로 했다. 소정의 교반토크로 된 시점에서 반응계를 질소 퍼지해서 상압으로 되돌려 중축합반응을 정지하고, 20℃의 냉수에 스트랜드상으로 토출하고, 즉시 컷팅해서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얻었다. 또, 감압개시부터 소정의 교반토크 도달까지의 시간은 3시간이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펠릿은, 극한점도 0.63dl/g, 카르복실 말단기량 40당량/톤, 유리전이온도(Tg) 78℃, 환상 3량체 함유량 1.1중량%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수분율 20ppm으로 진공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해서 285℃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8㎛ 컷 스테인레스 섬유소결 필터(FSS)로 여과했다. 그 후에 립간극 3.5mm의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25℃의 경면 캐스팅 드럼에 감아서 냉각 고화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92℃의 온도로 가열해서 길이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1축 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그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도포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이 도포된 1축 연신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예열존에 도입하고, 95℃의 온도에서 건조후,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100℃의 온도의 가열존에서 폭방향으로 3.5배 연신하고, 다시 225℃의 온도의 가열존에서 열처리를 실시해서 결정배향이 완료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PET필름 두께는 38㎛이며, 적층막의 두께는 0.025㎛였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수성 도포액(Bayer사/H.C.Starck사(독일국)제 "Baytron"P).
?도포액B3: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나가세 켐텍스(주)제 "데나콜"EX-512(분자량 약 630, 에폭시 당량 168,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2: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 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기 탄소수 1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2=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또, 이 때, 각 도포액의 고형분 중량비는 도포액A1/도포액B3/도포액C2=25/75/20이었다.
(실시예22)
실시예2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06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PET필름의 두께를 16㎛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 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2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40/60으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6이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6과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6/도포액C1=100/15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3)
실시예22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 도포액C1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4)
실시예22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 도포액C1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4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5)
실시예22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 도포액C1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10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6)
실시예22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펠릿(극한점도 0.65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PET필름의 두께를 10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3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6: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22)
메타크릴산 3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6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6=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7)
실시예26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6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 도포액C2는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2=100/3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8)
실시예26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6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B1:
에폭시 가교제로서, 폴리히드록시알칸폴리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가교제(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주)제 CR-5L(에폭시 당량 180, 수용율 100%))를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도포액C1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1=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2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2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2/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29)
실시예28에 있어서, 적층막을 형성한 것과는 반대면에, 하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상기 적층막을 형성하는 동시에 인라인 코트법으로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28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또, 이 때, 상기 도포층을 형성한 측의 표면 거칠기는 SRa=5nm, SRz=70nm였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반대면에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상에 산화 중합형 인쇄잉크층을 형성한 경우,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도포층 형성 도포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물분산체:
하기의 공중합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입자상으로 물에 분산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테레프탈산 70몰%
이소프탈산 23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7몰%
에틸렌글리콜 70몰%
디에틸렌글리콜 30몰%
(실시예30)
실시예2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016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3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1은 실시예2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 올리고머의 석출 억제성, 광택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9)
실시예2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도포층의 두께를 0.08㎛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E1:
폴리스티렌술폰산 암모늄염(중량 평균 분자량:65000)을 물에 용해한 수성 도포액.
?도포액F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유리전이온도:42℃)를 입자상으로 물에 분산시킨 수성 도포액(에멀젼 입자지름은 50nm).
<공중합성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2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1)
에틸아크릴레이트 35중량%
(알킬쇄의 탄소수 2)
아크릴산 2중량%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1중량%
상기한 도포액E1과 도포액F1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E1/도포액F1=20/8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도전성, 이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0)
실시예2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 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3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G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8)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G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G1=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이형성,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1)
실시예21에서 사용한 적층막 형성 도포액 대신에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3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G2: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70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1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G2를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G2=100/2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이형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2)
실시예21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06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PET필름의 두께를 16㎛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및 도포액B3은 실시예2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도포액C1:
하기의 공중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와 n-부틸셀로솔브 5중량%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 수성 도포액.
<공중합성분>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장쇄 알킬쇄 탄소수 22)
메타크릴산 25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25/75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5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5와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5/도포액C1=100/5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이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3)
비교예12에서 사용한 PET 펠릿으로서, 평균 입경 1.5㎛의 실리카 입자를 0.06중량% 함유하는 PET 펠릿(극한점도 0.63dl/g)을 사용하고, 하기의 적층막 형성 도포액을 사용하고, 또한, PET필름의 두께를 16㎛로 한 것 외에는, 비교예1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PET필름을 얻었다.
「적층막 형성 도포액」
?도포액A1, 도포액B3, 도포액C1은 비교예12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상기한 도포액A1과 도포액B3을 고형분 중량비로, 도포액A1/도포액B3=40/60으로 혼합한 것을 5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켰다(숙성 도포액6이라고 약칭함). 그 후에 상기 숙성 도포액6과 도포액C1을 고형분 중량비로, 숙성 도포액6/도포액C1=100/10으로 혼합한 것을 적층막 형성 도포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낸다. 이형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14)
도레이(주)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루미러"U35의 미처리면에,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두께가 150nm인 ITO(인듐?주석 복합 산화물)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금속산화물층을 제막했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나타내지만, 광택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이형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본 제법은, 고진공상태를 필요로 하는 한편, 연속제막은 곤란하여 비용적으로도 매우 불리한 방법이다.
(표5)
Figure 112007023563752-pct00007
(표6)
Figure 112010050066945-pct00012
본 발명은, 적층 필름, 특히 코팅에 의한 적층막을 형성한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높은 레벨의 도전성, 이형성, 내수성이 우수하 고, 또한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도 겸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학부재 관계의 표면보호에 사용하는 용도 등에 이용하는 공정 필름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용하다. 예를 들면 액정 테레비젼, 카 네비게이션용 디스플레이, 휴대전화의 액정 디스플레이,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편광판 등의 가공, 실장시에 있어서의 표면보호용으로 사용되는 편광판 보호용 적층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높은 레벨의 도전성, 이형성, 내수성, 광택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열시의 올리고머 석출 억제성도 겸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학부재 관계의 전사 용도 등에 이용하는 공정 필름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용하다. 예를 들면 성형 부품에 직접 열전사하는 핫 스탬핑 호일법이나, 사출성형과 동시에 전사인쇄하는 인몰드 전사법이나, 전사용 필름과 성형 부품간의 공기를 감압시킨 후, 가압 가열함으로써 전사인쇄하는 진공 프레스 전사법 등에 이용되는 전사박용 적층 필름, 광학용 부재를 전사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박리법이나 용액 캐스트법 등에서 얻기 위한 이형기능을 갖는 전사용 적층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1)

  1.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조성물(A), 에폭시계 가교제(B),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막이 형성된 적층 필름으로서,
    조성물(A)이 적어도 폴리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와 폴리 음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또한, 적층막중에 조성물(A)과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C)를 15~100중량부 함유하고,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50nm이며,
    또한, 상기 적층 필름중에 함유되는 평균 입경 100㎛이상의 내부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A)과 에폭시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에 대해서, 고형분 중량비로, 에폭시계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총량이 50~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적층막중에 탄소수가 18~25인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계 수 지(C)를, 조성물(A)과 가교제(B) 및/또는 그 반응 생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1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헤이즈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가 100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의 3차원 10점 평균 거칠기(SRz)가 50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적층막의 도전성이 1×103~1×107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TD에 대해서 측정한 단면 두께 변화에 있어서, TD에 3cm마다 측정한 0.3㎛이상의 두께 편차의 개수가 5개이하/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100㎛이상의 부착이물이 10개/㎡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수지중합 촉매에 티탄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동시 2축 연신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적층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편광판 보호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전사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9. 제17항에 있어서, 전사박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적층막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의 3차원 중심선 평균 거칠기(SRa)가 3~1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적층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KR1020077006824A 2004-09-29 2005-09-26 적층 필름 KR101164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3762 2004-09-29
JPJP-P-2004-00283762 2004-09-29
JPJP-P-2005-00150634 2005-05-24
JP2005150634 2005-05-24
PCT/JP2005/017572 WO2006035684A1 (ja) 2004-09-29 2005-09-26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519A KR20070063519A (ko) 2007-06-19
KR101164017B1 true KR101164017B1 (ko) 2012-07-18

Family

ID=361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824A KR101164017B1 (ko) 2004-09-29 2005-09-26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7788B2 (ko)
JP (1) JP4784511B2 (ko)
KR (1) KR101164017B1 (ko)
TW (1) TWI388425B (ko)
WO (1) WO2006035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1750B2 (ja) * 2005-03-02 2011-06-15 東レ株式会社 偏光板保護用積層フィルム
JP5151007B2 (ja) * 2005-03-24 2013-02-27 東レ株式会社 転写箔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298963A (ja) * 2006-04-07 2007-11-15 Toray Ind Inc 液晶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4983119B2 (ja) * 2006-07-05 2012-07-25 東レ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71826B2 (ja) * 2007-02-23 2012-07-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5402627B2 (ja) * 2007-03-12 2014-0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像変換パネル
JP5015640B2 (ja) * 2007-03-19 2012-08-29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
JP5223221B2 (ja) * 2007-03-30 2013-06-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加飾シート、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
KR100917709B1 (ko) * 2007-10-23 2009-09-2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용액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막
JP4562795B2 (ja) * 2009-02-16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WO2011090126A1 (ja) * 2010-01-21 2011-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5271293B2 (ja) * 2010-02-07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894758B1 (ko) * 2010-03-30 2018-09-0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810504B2 (ja) 2010-10-18 2015-11-11 Jnc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84694B1 (en) * 2011-03-08 2016-03-02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molding member, comp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91945B2 (ja) * 2011-04-15 2015-10-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12141101A1 (ja) * 2011-04-15 2012-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20130045371A1 (en) 2011-08-18 2013-02-21 Dennis P. O'Donnell Screen protector film
JP5979157B2 (ja) * 2012-08-01 2016-08-24 東レ株式会社 耐久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封止用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
JP6297772B2 (ja) 2012-09-03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6164810B2 (ja) * 2012-09-03 2017-07-19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
FR3000415B1 (fr) * 2012-12-27 2015-10-16 Toray Films Europ Procede d'enduction d'un support avec une dispersion a base de polymere acrylique et de reticulant, procede de revetement d'un tel support enduit et utilisations dudit support enduit et revetu
JP5613276B2 (ja) 2013-03-01 2014-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6206165B2 (ja) * 2013-03-29 2017-10-04 東レ株式会社 転写箔用フィルム
JP6277490B2 (ja) * 2014-02-10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塗膜物の製造装置
JP6473701B2 (ja) * 2014-02-12 2019-02-20 デンカ株式会社 雨樋
CN106794679B (zh) 2014-10-24 2019-06-11 富士胶片株式会社 转印薄膜及其制造方法和层叠体、静电电容型输入装置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675051B1 (ko) * 2014-12-19 2016-11-10 율촌화학 주식회사 직접접합용 커버글라스의 표면 보호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커버글라스의 직접접합 방법
JP2017013419A (ja) * 2015-07-03 2017-01-19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能性フィルム
JP6745153B2 (ja) * 2016-07-11 2020-08-2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導電性離型層形成用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85024A (zh) * 2016-12-28 2017-04-26 江苏东材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低析出光学聚酯基膜及其制备方法
KR102508298B1 (ko) 2018-03-29 2023-03-1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필름을 구비한 방오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6553800B1 (ja) * 2018-12-26 2019-07-31 グンゼ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粘着層付き保護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フィルム
JP6658927B2 (ja) * 2019-01-22 2020-03-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感光性樹脂積層体
JP6906745B1 (ja) * 2020-01-27 2021-07-21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640A (ja) 2000-06-20 2002-03-19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2002301787A (ja) 1997-09-25 2002-10-15 Mitsubishi Chemicals Corp 蒸着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4058648A (ja) 2001-12-06 2004-02-26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181708A (ja) 2002-12-02 2004-07-02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711121A (nl) * 1977-10-11 1979-04-17 Akzo Nv Uv-hardbare bekledingscompositie.
JPS6017298B2 (ja) * 1977-12-20 1985-05-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被覆用組成物
JPS60141525A (ja) 1983-12-28 1985-07-26 Toyobo Co Ltd 易接着制電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法
JPS61204240A (ja) 1985-03-08 1986-09-10 Diafoil Co Ltd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DE3843412A1 (de) 1988-04-22 1990-06-28 Bayer Ag Neue polythiophe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0602713B1 (en) 1992-12-17 1998-10-14 Agfa-Gevaert N.V. Permanent antistatic primer layer
JP2544707B2 (ja) 1994-04-27 1996-10-16 ナショナル・サイエンス・カウンシル 可溶性で加工可能なド―プされた導電性ポリマ―およびその導電性ポリマ―ブレンド
JPH07329250A (ja) 1994-06-03 1995-12-19 Teijin Ltd 制電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427486B2 (ja) 1994-06-10 2003-07-14 東洋紡績株式会社 水性溶剤可溶性ポリアニリン組成物、これを用いた導電性薄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524132A1 (de) * 1995-07-03 1997-01-09 Bayer Ag Kratzfeste leitfähige Beschichtungen
JP3210211B2 (ja) 1995-07-21 2001-09-17 帝人株式会社 制電性フイルム
US6013733A (en) * 1996-02-16 2000-01-11 Ppg Industries Ohio, Inc. Coating of film-forming resin and functional flow control copolymer
JP3205271B2 (ja) 1996-10-15 2001-09-04 帝人株式会社 転写箔用フィルム
JP4408306B2 (ja) 1998-06-19 2010-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
JP2000026817A (ja) 1998-07-14 2000-01-25 Teijin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EP1081546A1 (en) * 1999-08-30 2001-03-07 Eastman Kodak Company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electrically-conductive polymer and solvent mixture
KR100444332B1 (ko) * 1999-12-20 2004-08-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흡수필터
DE10030217A1 (de) * 2000-06-20 2002-01-03 Beiersdor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crylaten
JP2002079670A (ja) * 2000-06-27 2002-03-19 Kyocer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US20030013050A1 (en) * 2001-06-26 2003-01-16 Schwark Dwight W.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thiophene, film-forming binder, and solvent mixture
US20030025106A1 (en) * 2001-06-26 2003-02-06 Schwark Dwight W.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thiophene and solvent mixture
US20040135126A1 (en) * 2001-06-26 2004-07-15 Schwark Dwight W.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thiophene and solvent mixture
US20050029496A1 (en) * 2001-06-26 2005-02-10 Schwark Dwight W.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thiophene, film-forming binder, and solvent mixture
US7534500B2 (en) * 2001-10-05 2009-05-19 Bridgestone Corporation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touch panel
ES2280410T3 (es) * 2001-10-25 2007-09-16 Pirelli Tyre S.P.A. Metodo y procedimiento para cortar una cinta de tejido revestido de caucho.
JP2003137337A (ja) 2001-10-31 2003-05-1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54616A (ja) 2001-11-20 2003-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269709B (en) * 2001-12-06 2007-01-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JP4052021B2 (ja) * 2002-06-04 2008-02-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JP4889190B2 (ja) * 2003-04-16 2012-03-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アクリル系熱伝導性組成物及び熱伝導性シート
JP4213989B2 (ja) * 2003-05-08 2009-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10335727A1 (de) * 2003-08-05 2005-02-24 H.C. Starck Gmbh Transparente Elektrode für elektro-optische Aufbau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787A (ja) 1997-09-25 2002-10-15 Mitsubishi Chemicals Corp 蒸着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2079640A (ja) 2000-06-20 2002-03-19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2004058648A (ja) 2001-12-06 2004-02-26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181708A (ja) 2002-12-02 2004-07-02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2297A1 (en) 2007-08-30
WO2006035684A1 (ja) 2006-04-06
TW200619021A (en) 2006-06-16
TWI388425B (zh) 2013-03-11
US8137788B2 (en) 2012-03-20
KR20070063519A (ko) 2007-06-19
JP4784511B2 (ja) 2011-10-05
JPWO2006035684A1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017B1 (ko) 적층 필름
KR101415115B1 (ko) 이접착성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JP4701750B2 (ja) 偏光板保護用積層フィルム
CN100577413C (zh) 叠层薄膜
JP476571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9200126B2 (en) Laminated film
WO2004085524A1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51007B2 (ja) 転写箔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90032725A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2006297853A (ja) 成形用フィルム
JP4983119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21560A (ja) 積層フィルム
JP4696578B2 (ja) 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0174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4114B2 (ja) 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0261910A1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01121893A (ja) 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13689A (ja) 成型加飾用積層フィルム、成型加飾用積層シート
JP5193524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94108B2 (ja) 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3039591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73242A (ja) 貼合せ化粧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147390A (ja) インサート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40059334A (ko) 인몰드 장식용 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67872A (ja) 貼合せ加飾材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