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135B1 -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 Google Patents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135B1
KR101143135B1 KR1020090080862A KR20090080862A KR101143135B1 KR 101143135 B1 KR101143135 B1 KR 101143135B1 KR 1020090080862 A KR1020090080862 A KR 1020090080862A KR 20090080862 A KR20090080862 A KR 20090080862A KR 101143135 B1 KR101143135 B1 KR 10114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ece
opening
clos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318A (ko
Inventor
가쯔히꼬 유까와
쥰이찌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0005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정 커버의 상단부와 개폐 커버의 상단부 사이의 시일 부재 상에 눈이나 흙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선회대에 엔진이 탑재되는 동시에, 엔진을 덮는 보닛이 설치되고, 보닛은 고정 커버와 고정 커버에 대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를 구비하고, 개폐 커버는 그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종축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개폐 커버의 폐색 시에 개폐 커버의 상단부를 고정 커버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한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에 있어서,
개폐 커버의 상벽 또는 고정 커버의 상벽의 한쪽에, 개폐 커버의 폐색 시에 상기 시일 부재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다른 쪽의 상벽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Figure R1020090080862
선회 작업기, 보닛, 선회대, 시일 부재, 개폐 커버

Description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BONNET SEAL STRUCTURE OF SWIVELING WORK MACHINE}
본 발명은 백호 등의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백호 등의 선회 작업기에는 선회대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엔진을 덮는 보닛을 설치하여, 보닛을, 엔진의 전방측을 덮는 전방 커버와, 엔진의 좌측을 덮는 좌측 커버와, 엔진의 후방을 덮는 후방 커버 등으로 구성하고, 전방 커버와 좌측 커버를, 엔진을 걸치는 지지 프레임 등에 고정하고, 후방 커버를 전방 커버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하여 후방 커버를,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지지 프레임 등에 종축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선회 작업의 보닛 시일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보닛 시일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여, 후방 커버의 폐색 시에 후방 커버의 상단부를 고정 커버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었다(공지 문헌으로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실제의 백호 등의 선회 작업기에 대해 그와 같이 구성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8048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50029호 공보
따라서, 종래의 경우, 고정 커버의 상단부와 개폐 커버의 상단부 사이의 시일 부재에 눈이나 흙이 쌓여, 동결에 의해 당해 시일 부재의 주위가 고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정 커버의 상단부와 개폐 커버의 상단부 사이의 시일 부재 상에 눈이나 흙이 쌓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선회대에 엔진이 탑재되는 동시에, 엔진을 덮는 보닛이 설치되고, 보닛은 고정 커버와 고정 커버에 대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를 구비하고, 개폐 커버는 그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종축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개폐 커버의 폐색 시에 개폐 커버의 상단부를 고정 커버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한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에 있어서,
개폐 커버의 상벽 또는 고정 커버의 상벽의 한쪽에, 개폐 커버의 폐색 시에 상기 시일 부재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다른 쪽의 상벽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개폐 커버의 상벽에, 상기 덮개편이 설치되는 동시에 덮개편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하강편이 설치되고, 고정 커버의 상벽에, 상벽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하강편에 대향하도록 기립한 기립편이 설치되고, 기립편은 개폐 커버가 폐색되었을 때에 덮개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수직 하강편 또는 기립편의 한쪽에, 개폐 커버가 폐색되었을 때에 수직 하강편 또는 기립편의 다른 쪽에 접촉하도록 상기 시일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선회대의 후방부에 엔진 및 라디에이터가 탑재되는 동시에, 엔진을 걸치도록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에 엔진의 상면측 및 전방면측을 덮도록 고정 커버가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에 엔진의 후방면측을 덮는 개폐 커버가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종축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개폐 커버는 커버 본체와 커버 본체의 상단부에 전방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 상부 커버체를 갖고, 상부 커버체의 상벽에 상기 덮개편과 수직 하강편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라디에이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구획하는 구획 커버가 개폐 커버의 좌우 방향의 자유 단부를 따르도록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구획 커버는 천장벽부와 천장벽부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후방벽부를 갖고, 상부 커버체의 자유 단부측에, 개폐 커버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의 천장벽부에 접촉하는 상부 시일 부재가 설치되고, 커버 본체의 자유 단부에, 개폐 커버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의 후방벽부에 접촉하는 후방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덮개편의 돌출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 돌출편이 설치되고, 개폐 커버가 폐색되었을 때에, 기립편이 덮개편의 하방이며 하방 돌출편보다도 수직 하강편측으로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커버의 상벽 또는 개폐 커버의 상벽의 한쪽에, 개폐 커버의 폐색 시에 시일 부재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다른 쪽의 상벽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 커버를 폐색하고 있을 때에, 눈이 내려도, 또한 굴착 작업 등에 의해 들어 올려진 흙이 보닛 위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도, 시일 부재 상에 눈이나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덮개편 및 하방 돌출편에 의해 시일 부재를 상측으로부터 덮어 보호할 수 있어, 시일 부재 상에 눈이나 흙이 쌓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시일 부재의 주위에 눈이나 흙 등이 쌓여, 동결에 의해 당해 시일 부재의 주위가 고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선회 작업기인 백호(1)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체를 갖는 주행 장치의 상부에, 선회 베어링을 통해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선회대(2)를 탑재한 것으로 되어 있다.
선회대(2)는 저부에 판 형상의 선회 기판(3)을 갖는 동시에, 선회 기판(3) 상을 전후로 구획하는 종벽(5)을 갖고, 종벽(5)은 선회 기판(3)의 전후 중도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선회 기판(3)에 좌우 한 쌍의 세로 리브(6, 7)가, 선회 기 판(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세로 리브(6, 7)의 전방부측에 장착 브래킷(9)이 선회 기판(3)으로부터 전방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 장착 브래킷(9)을 통해 선회대(2)의 전단부에 굴착용 작업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선회 기판(3)의 후단부에 카운터 웨이트(11)가 설치되고, 선회 기판(3)의 후단부이며 카운터 웨이트(11)의 전방측에 원호 형상의 설치벽(12)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선회 기판(3)의 후단부의 설치벽(12)의 전방측에 엔진(14)이 설치되고, 선회 기판(3)의 좌측에 연료 탱크가 설치되고, 선회 기판(3)의 우측에 배터리, 오일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는 종벽(5)보다 전방측이며 좌측 세로 리브(6)의 바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및 오일 탱크는 종벽(5)의 전방측이며 우측 세로 리브(7)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대(2)의 종벽(5)의 후방측에 엔진 룸(20)이 형성되어 있고, 선회대(2)의 후방부에 엔진(14), 라디에이터(15) 등이 탑재되고, 엔진(14)의 좌측에 유압 펌프(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2)의 엔진(14)의 전방측에 엔진 룸(20)의 전방측을 구획하도록 전방 커버(22)가 설치되고, 전방 커버(22)의 하단부가 종벽(5)에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선회대(2)의 후단부에 후방 커버(24)가 설치되고, 선회대(2)의 후방 커버(24)의 좌측에 좌측 커버(25)가 설치되고, 선회대(2)의 전방 커버(22)의 우측에 우측 내벽 커버(26)가 설치되고, 선회대(2)의 우측 내벽 커버(26)의 우측에 우측 커버(28)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커버(22)는 전단부 하부의 기립벽(31)과, 기립벽(31)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경사벽(32)과, 경사벽(3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상벽(33)을 갖고, 기립벽(31)의 하부가 종벽(5)의 상부에 중첩되어, 종벽(5)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방 커버(22)의 경사벽(32)에 점검용 등의 개구창(35)이 형성되고, 개구창(35)을 도시 생략의 덮개 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후방 커버(24)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측에 있고, 카운터 웨이트(11)와 후방 커버(24)는 엔진 룸(20)의 후방측을 포위하고, 좌측 커버(25)는 엔진 룸(20)의 좌측을 포위하고, 종벽(5)과 전방 커버(22)는 엔진 룸(20)의 전방측 및 상측을 포위하고, 우측 커버(28)의 후방부는 엔진 룸(20)의 우측을 포위하고 있다. 따라서, 종벽(5)과 전방 커버(22)와 좌측 커버(25)와 우측 커버(28)의 후방부와 카운터 웨이트(11)와 후방 커버(24)로, 엔진(14)의 주위[엔진 룸(20)]를 둘러싸고 있다. 우측 커버(28)는 선회대(2) 상의 기기를 포위하고, 배터리 및 오일 탱크의 외측을 덮고 또한 엔진 룸(20)의 우측방을 덮고 있고, 배터리, 오일 탱크 등의 기기가 있는 선회 기판(3) 상의 우측 전방측의 전방부, 상부 및 외측부를 덮고, 우측 내벽 커버(26)는 배터리, 오일 탱크 등의 기기가 있는 선회 기판(3) 상의 우측 전방측의 내측부를 덮고 있다.
전방 커버(22), 좌측 커버(25), 우측 커버(28)의 후방부 및 후방 커버(24)에 의해 후방부 보닛(36)이 구성되고, 우측 커버(28) 및 우측 내벽 커버(26)에 의해 측부 보닛(37)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2)의 종벽(5) 및 전방 커버(22)의 전방측에 운전석(38)이 배치되고, 선회대(2)의 종벽(5)의 전방측에 운전석(38)이나 조종 레버를 갖는 조종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커버(22) 상에 운전석(38)(조종부)을 보호하는 캐노피(39)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2)의 후방부에 엔진(14)을 걸치는 지지 프레임(4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3)은 좌측 전방 각체(leg body)(45)와 좌측 후방 각체(46)와 우측 후방 각체(47)와 우측 전방 각체와 횡지지판(49)과 종지지판(50)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엔진(14)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지지판(49)은 각체(45, 46, 47)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종지지판(50)은 횡지지판(49)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도시 생략의 우측 전방 각체는 종지지판(50)의 전방부측을 지지하고 있다.
좌측 전방 각체(45) 및 우측 전방 각체(48)의 하단부는 종벽(5) 등을 통해 선회 기판(3)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좌측 후방 각체(46) 및 우측 후방 각체(47)의 하단부는 설치대(55, 56) 등을 통해 선회 기판(3)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횡지지판(49)은 가로로 긴 띠판 형상이고, 횡지지판(49)의 좌측 단부와 좌측 전방 각체(45)의 상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횡지지판(49)의 좌우 방향 중도부와 좌측 후방 각체(46)의 상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횡지지판(49)의 우측 단부와 우측 후방 각체(47)의 상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종지지판(50)의 후단부가 횡지지판(49)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후방 각체(47)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커버(25)는 지지 프레임(43)의 횡지지판(49)에 설치 브래킷(53) 등을 통해 지지 고정되고, 우측 내벽 커버(26)는 지지 프레임(43)의 횡지지판(49)에 설치 브래킷 등을 통해 지지 고정되고, 우측 커버(28)는 지지 프레임(43)의 종지지판(50)에 힌지구를 통해 전후 방향의 지지축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커버(22)의 상벽(33)이 지지 프레임(43)의 횡지지판(49) 상에 배치되고, 횡지지판(49)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 도 13,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3)의 횡지지판(49)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편(59)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편(59)은 횡지지판(49)으로부터 후방 돌출되고, 전방측의 수평한 설치 베이스부(59a)와 후방측의 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경사 고정부(59b)를 갖고 있다. 전방 커버(22)의 상벽(33)의 후방부는 복수의 고정편(59) 상에 배치되고, 전방 커버(22)의 상벽(33)의 후단부는 각 고정편(59)의 경사 고정부(59b)에 대응하여 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경사부(33a)로 되어, 고정편(59)의 경사 고정부(59b)에 볼트 등의 고정구(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5)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구획하는 구획 커버(62)가 후방 커버(24)의 우측 단부(좌우 방향의 자유 단부)를 따르도록 지지 프레임(43)의 우측 후방 각체(47)에 고정되어 있다. 구획 커버(62)는 천장벽부(62a)와 천장벽부(62a)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후방벽부(62b)와 천장벽부(62a) 및 후방벽부(62b)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방 또는 전방으로 돌출된 측 벽부(62c)를 갖고 있다. 또한, 이 구획 커버(62)는 라디에이터(15) 외주의 전후 좌우 중 후방측을 좌우로 구획하고 있다. 라디에이터(15)의 외주의 전방측, 좌측 및 우측의 구획에 대해서는 도시 생략의 다른 구획 커버 등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 5, 도 7, 도 8,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커버(24)는 커버 본체(64)와 커버 본체(64)의 상단부에 전방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 상부 커버체(65)를 갖고 있다. 커버 본체(64)는 후방벽(64a)과 후방벽(64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설치 테두리부(64b)를 갖고, 후방벽(64a)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좌우 양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활형으로 만곡되는 동시에, 후방벽(64a)의 상부측이 전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부 커버체(65)는 상벽(65a)과 상벽(65a)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된 좌우 한 쌍의 측벽(65b)과 상벽(65a)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된 후방벽(65c)을 갖고 있다. 상부 커버체(65)의 후방부가 커버 본체(64)의 설치 테두리부(64b)에 적재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부 커버체(65)가 커버 본체(6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64)[후방 커버(24)]의 좌측 단부의 내면측에 역ㄷ자 형상의 설치 부재(68)가 설치되고, 설치 부재(68)에 지지 부재(69)가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 부재(69)의 돌출 단부에 상하 한 쌍의 지지 통체(70)가 고착되어 있다. 횡지지판(49)의 좌측 단부에 역ㄷ자 형상의 지지 브래킷(72)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지지 브래킷(72)에 상부 지지체(73)가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지지체(73)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체(74)가 연결체(75)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 지지체(73)와 하부 지지체(74) 사이에 종축(77)이 연결되어 있다. 종축(77)은 지지 부재(69)의 상하 한 쌍의 지지 통체(70)에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지지 프레임(43)에 후방 커버(24)가 좌측 단부(좌우 방향의 일단부측)를 지지점으로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 커버(24)의 우측 단부의 내면측에 로크 기구(79)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79)는 후방 커버(24)를 폐색했을 때에 지지 프레임(43)측에 설치한 걸림부에 자동적으로 결합하여 후방 커버(24)를 폐색 상태로 로크 해제 가능하게 로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체(65)[후방 커버(24)]의 상벽(33)에, 덮개편(81)이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덮개편(81)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하강편(82)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커버(22)의 상벽(33)[상벽(33)의 경사부(33a) 상단부]에, 수직 하강편(82)에 대향하도록 기립한 기립편(83)이 설치되어 있다. 기립편(83)은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덮개편(8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수직 하강편(82)에,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기립편(83)에 접촉하도록 시일 부재(84)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84)는 후방 커버(24)의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84)는 U자 형상의 설치부(85)와 원통 형상의 접촉부(86)를 갖고, 설치부(85)가 수직 하강편(82)의 하부에 하측으로부터 끼워 맞춤 고착되어 있어,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시일 부재(84)의 접촉부(86)가 기립편(83) 에 압박 접촉하여, 후방 커버(24)의 상단부와 전방 커버(22)의 상단부를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편(81)의 돌출 단부(전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 돌출편(87)이 설치되고,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기립편(83)이 덮개편(81)의 하방이며 하방 돌출편(87)보다도 수직 하강편(82)측(후방)으로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편(81)은 시일 부재(84)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 또는 시일 부재(84)의 전단부에 도달할 정도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방 커버(24)의 폐색 시에, 시일 부재(84)가 전방 커버(22)의 상단부[기립편(83)]에 압박 접촉하여 후방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과 더불어, 덮개편(81)이 시일 부재(84)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전방 커버(22)의 상벽(33)[기립편(83) 또는 상벽(33) 후단부]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체(65)의 자유 단부측[우측 측벽(65a)의 하단부]에,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62)의 천장벽부(62a)에 접촉하는 상부 시일 부재(90)가 설치되고, 커버 본체(64)의 자유 단부[후방벽(64a)의 우측 단부]에,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62)의 후방벽부(62b)에 접촉하는 후방 시일 부재(88)가 돌출편(89)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커버 본체(64)의 기단부[후방벽(64a)의 좌측 단부]에 기단부 시일 부재(91)가 돌출편(92)을 통해 설치되고,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좌측 커버(25)의 우측 단부에 접촉하여, 좌측 커버(25)와 후방 커버(24)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1)의 좌측 상부 에, 유압 펌프(16)에 대응하여 개구창(95)이 형성되고, 개구창(95)을 폐색하는 커버체(96)가 카운터 웨이트(11)에 볼트 등의 체결구(9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16)를 점검 등을 위해 선회대(2)로부터 제거할 때에 커버체(96)를 제거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11)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 유압 펌프(16)를 선회대(2)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96)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커버(24)를 종축(77) 주위로 회전하여 후방 커버(24)를 폐색하면, 상부 커버체(65)의 시일 부재(84)가 전방 커버(22)의 기립편(83)에 압박 접촉하여, 후방 커버(24)의 상단부와 전방 커버(22)의 상단부를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시일한다. 이때, 기립편(83)이 덮개편(81)의 하방이며 하방 돌출편(87)보다도 수직 하강편(82)측(후방)으로 인입하고, 덮개편(81)이 시일 부재(84)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전방 커버(22)의 상벽(33)[기립편(82) 또는 상벽(33) 후단부]의 상방에 도달한다. 따라서, 눈이 내려도, 또한 굴착 작업 등에 의해 들어 올려진 흙이 후방부 보닛(36) 상에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도, 시일 부재(84) 상에 눈이나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덮개편(81) 및 하방 돌출편(87)에 의해 시일 부재(84)를 상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시일 부재(84) 상에 눈이나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84)의 주위에 눈이나 흙 등이 쌓여, 동결에 의해 당해 시일 부재(84)의 주위가 고착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24)를 폐색하면, 상부 커버체(65)의 자유 단부측[우측 벽(65b)의 하단부]의 상부 시일 부재(90)가 구획 커버(62)의 천장벽부(62)에 접촉하는 동시에, 커버 본체(64)의 자유 단부(후방벽의 우측 단부)의 후방 시일 부재(88)가 구획 커버(62)의 후방벽부(62b)에 접촉하여, 후방 커버(24)와 구획 커버(62) 사이를 시일한다. 커버 본체(64)의 기단부(후방벽의 좌측 단부)의 기단부 시일 부재(91)가 좌측 커버(25)의 우측 단부에 접촉하여, 좌측 커버(25)와 후방 커버(24) 사이를 시일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방 커버(22)의 기립편(83)의 상단부에 시일 부재(84)를 장착하고, 후방 커버(24)를 종축(77)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후방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 기립편(83)의 시일 부재(84)가 후방 커버(24)의 수직 하강편(82)에 압박 접촉하여, 후방 커버(24)의 상단부와 전방 커버(22)의 상단부를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시일하도록 구성하고, 이때, 기립편(83)이 덮개편(81)의 하방이며 덮개편(81)의 선단(81A)보다도 수직 하강편(82)측(후방)으로 인입하고, 덮개편(81)이 시일 부재(84)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전방 커버(22)의 상벽(33)[기립편(82) 또는 상벽(33) 후단부]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도 11 및 도 16의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커버(24)의 상벽(65a)에, 개폐 커버(24)의 폐색 시에 시일 부재(84)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고정 커버(22)의 상벽(33)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81)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후방으로부터 후방부 보닛을 본 경우에, 개폐 커버(24)와 고정 커버(22) 사이의 단차가 덮개편(81) 등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어, 형상이 심플하고 미관이 좋아지지만, 이것 대신에, 고정 커버(22)의 상벽(33)에, 개폐 커버(24)의 폐색 시에 시일 부재(84)를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개폐 커버(24)의 상벽(65a)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81)을 돌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 11 및 도 16의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커버(24)의 상벽(65a)에, 덮개편(81)이 설치되는 동시에 덮개편(81)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하강편(82)이 설치되고, 고정 커버(22)의 상벽(33)의 선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편(82)에 대향하도록 기립한 기립편(83)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고정 커버(22)의 상벽(33)에 덮개편(81)을 설치하는 동시에 덮개편(81)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하강편(82)을 설치하고, 개폐 커버(24)의 상벽(65a)의 선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편(82)에 대향하도록 기립한 기립편(83)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수직 하강편(82)에 시일 부재(84)를 장착해도 좋고, 기립편(83)에 시일 부재(84)를 장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커버인 후방 커버(24)를 좌우 방향의 좌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개폐 커버인 후방 커버(24)를 좌우 방향의 우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커버(22)를 고정 커버로 하고, 후방 커버(24)를 개폐 커버로 하여 후방 커버(24)의 폐색 시에 후방 커버(24)의 상단부를 전방 커버(22)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84)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고정 커버는 전방 커버(22)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개폐 커버는 후방 커버(24)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좌측 커버(25)를 개폐 커버로 하고, 전방 커버(22)를 고정 커버로 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 좌측 커버(25)를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좌측 커버(25)의 폐색 시에 좌측 커버(25)의 상단부를 전방 커버(22)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84)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백호의 상부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선회대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 보닛 부분의 좌측면도.
도 4는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 보닛 부분의 배면도.
도 5는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 보닛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 커버 부분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 커버 부분의 배면도.
도 9는 상기 선회대의 후방 커버의 좌측 단부의 배면도.
도 10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 커버의 좌측 단부의 평면도.
도 11은 상기 선회대의 후방 커버 부분의 측단면도.
도 12는 상기 후방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 선회대의 구획 커버 부분의 사시도.
도 14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좌측 부분의 사시도.
도 15는 상기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의 카운터 웨이트의 좌측 부분의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선회대의 후방 커버 부분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호
2 : 선회대
3 : 선회 기판
5 : 종벽
14 : 엔진
15 : 라디에이터
22 : 전방 커버(고정 커버)
24 : 후방 커버(개폐 커버)
33 : 상벽
36 : 후방부 보닛
43 : 지지 프레임
62 : 구획 커버
64 : 커버 본체
65 : 상부 커버체
65a : 상벽
77 : 종축
81 : 덮개편
82 : 수직 하강편
83 : 기립편
84 : 시일 부재
87 : 상부 시일 부재
88 : 후방 시일 부재

Claims (5)

  1. 선회대(2)에 엔진(14)이 탑재되는 동시에, 엔진(14)을 덮는 보닛(36)이 설치되고, 보닛(36)은 고정 커버(22)와 고정 커버(22)에 대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24)를 구비하고, 개폐 커버(24)는 그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개폐 커버(24)의 폐색 시에 개폐 커버(24)의 상단부를 고정 커버(22)의 상단부에 대해 시일 부재(84)를 통해 접촉시키도록 한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에 있어서,
    개폐 커버(24)의 상벽(65a) 또는 고정 커버(22)의 상벽(33)의 한쪽에, 개폐 커버(24)의 폐색 시에 상기 시일 부재(84)를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다른 쪽의 상벽(33, 65a)의 상방에 도달하도록 덮개편(81)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 커버(24)의 상벽(65a)에, 상기 덮개편(81)이 설치되는 동시에 덮개편(81)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하강편(82)이 설치되고, 고정 커버(22)의 상벽(33)에, 상벽(65a, 33)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하강편(82)에 대향하도록 기립한 기립편(83)이 설치되고, 기립편(83)은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덮개편(8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수직 하강편(82) 또는 기립편(83)의 한쪽에,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수직 하강편(82) 또는 기립편(83)의 다른 쪽에 접촉하도록 상기 시일 부재(8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선회대(2)의 후방부에 엔진(14) 및 라디에이터(15)가 탑재되는 동시에, 엔진(14)을 걸치도록 지지 프레임(43)이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43)에 엔진(14)의 상면측 및 전방면측을 덮도록 고정 커버(22)가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43)에 엔진(14)의 후방면측을 덮는 개폐 커버(24)가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을 지지점으로 종축(77) 주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개폐 커버(24)는 커버 본체(64)와 커버 본체(64)의 상단부에 전방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 상부 커버체(65)를 갖고, 상부 커버체(65)의 상벽(65a)에 상기 덮개편(81)과 수직 하강편(82)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15)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구획하는 구획 커버(62)가 개폐 커버(24)의 좌우 방향의 자유 단부를 따르도록 지지 프레임(43)에 고정되고, 구획 커버(62)는 천장벽부(62a)와 천장벽부(62a)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후방벽부(62b)를 갖고, 상부 커버체(65)의 자유 단부측에,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62)의 천장벽부(62a)에 접촉하는 상부 시일 부재(90)가 설치되고, 커버 본체(64)의 자유 단부에,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구획 커버(62)의 후방벽부(62b)에 접촉하는 후방 시일 부재(8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편(81)의 돌출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 돌출편(87)이 설치되고, 개폐 커버(24)가 폐색되었을 때에, 기립편(83)이 덮개편(81)의 하방이며 하방 돌출편(87)보다도 수직 하강편(82)측으로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KR1020090080862A 2008-11-17 2009-08-31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KR101143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3491 2008-11-17
JP2008293491A JP5061085B2 (ja) 2008-11-17 2008-11-17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318A KR20100055318A (ko) 2010-05-26
KR101143135B1 true KR101143135B1 (ko) 2012-05-11

Family

ID=4160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862A KR101143135B1 (ko) 2008-11-17 2009-08-31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8681B2 (ko)
EP (1) EP2186949B1 (ko)
JP (1) JP5061085B2 (ko)
KR (1) KR101143135B1 (ko)
CN (1) CN101736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565B2 (ja) * 2008-03-31 2011-05-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上部構造
JP5061085B2 (ja) * 2008-11-17 2012-10-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JP5411173B2 (ja) * 2011-02-07 2014-02-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5758338B2 (ja) * 2012-03-29 2015-08-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923391B2 (ja) * 2012-06-11 2016-05-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6028588B2 (ja) * 2013-01-22 2016-1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04444973B (zh) * 2014-11-12 2016-11-16 湖南星邦重工有限公司 作业平台及其转台的覆盖装置
CN107614799B (zh) * 2015-09-30 2020-02-28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械
JP7126993B2 (ja) * 2019-06-26 2022-08-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191783B2 (ja) * 2019-06-26 2022-12-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3992372A4 (en) * 2019-06-26 2023-11-15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540A (ko) * 1995-10-30 1997-05-30 배순훈 감광층 패턴 형성 방법
KR970041610A (ko) * 1995-12-27 1997-07-24 한승준 본네트 시일구조
KR970039030A (ko) * 1995-12-28 1997-07-24 한승준 본네트 전단부 시일구조
KR19980065019U (ko) * 1997-04-30 1998-11-25 토니 헬샴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54Y2 (ko) * 1984-11-14 1990-03-20
JPH0880740A (ja) * 1994-09-14 1996-03-26 Suzuki Motor Corp ウエザーストリップ構造
DE69603210T2 (de) * 1995-02-17 2000-01-20 Kubota Kk Schaufelbagger mit einer Motorhaube an welcher der Fahrersitz befestigt ist
JP3572719B2 (ja) *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H09189050A (ja) * 1996-01-11 1997-07-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外装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3533077B2 (ja) * 1997-12-26 2004-05-3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ガードカバー
US6565148B1 (en) * 1999-09-10 2003-05-20 Toyoda Gosei Co., Ltd. Assembly structure for cowl louver
JP4236229B2 (ja) * 1999-10-08 2009-03-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吸音ブレード取付構造
US6634449B2 (en) * 1999-12-09 2003-10-21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ccess hatch reinforcement module & method of installing an access hatch to an existing hood for a mobile vehicle
US6626256B2 (en) * 1999-12-09 2003-09-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ccess hatch reinforcement module & method of installing an access hatch to an existing hood for a mobile vehicle
JP3626392B2 (ja) * 2000-04-24 2005-03-09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の旋回台
JP2004150029A (ja) * 2002-10-28 2004-05-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266868B2 (ja) * 2004-03-29 2009-05-2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旋回台構造
JP4226507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カバー装置
CN100482901C (zh)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US7255189B2 (en) * 2004-06-18 2007-08-14 Cnh America Llc Radiator mounting system
JP4515232B2 (ja) * 2004-11-22 2010-07-2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619168B2 (ja) * 2005-03-28 2011-01-2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KR101176513B1 (ko) * 2005-07-05 2012-08-23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US7967094B2 (en) * 2006-11-28 2011-06-2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686565B2 (ja) * 2008-03-31 2011-05-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上部構造
JP5185721B2 (ja) * 2008-07-29 2013-04-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061085B2 (ja) * 2008-11-17 2012-10-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540A (ko) * 1995-10-30 1997-05-30 배순훈 감광층 패턴 형성 방법
KR970041610A (ko) * 1995-12-27 1997-07-24 한승준 본네트 시일구조
KR970039030A (ko) * 1995-12-28 1997-07-24 한승준 본네트 전단부 시일구조
KR19980065019U (ko) * 1997-04-30 1998-11-25 토니 헬샴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21290A (ja) 2010-06-03
EP2186949B1 (en) 2015-12-02
EP2186949A2 (en) 2010-05-19
US8528681B2 (en) 2013-09-10
EP2186949A3 (en) 2014-01-22
US20100122862A1 (en) 2010-05-20
KR20100055318A (ko) 2010-05-26
CN101736770A (zh) 2010-06-16
JP5061085B2 (ja) 2012-10-31
CN101736770B (zh)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135B1 (ko)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US20220097585A1 (en) Working machine
US20030079925A1 (en) Swivel type working vehicle
US20090273196A1 (en) Front Guard of Working Vehicle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2014047462A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US9327772B2 (en) Cabin device of working machine
US7975793B1 (en) Tilting foot pod for the operator cab of a skid steer vehicle
JP4847974B2 (ja) バックホー
JP5000558B2 (ja) 作業車
JP5205835B2 (ja) 車体構造
US20160375758A1 (en) Working vehicle
JP4933345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投入箱
JP5949726B2 (ja)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JP3836728B2 (ja) 旋回作業機
JP4875600B2 (ja) 建設機械
JP6002091B2 (ja) 作業機
US11313101B2 (en) Construction machine
JP2938782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6414136B2 (ja) 建設機械
US6824190B1 (en) Truck vault
JP2001090110A (ja) 旋回作業機
JP2007056502A (ja) キャブ用補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4663595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構造
JP4614894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