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96B1 -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96B1
KR101064096B1 KR1020087023834A KR20087023834A KR101064096B1 KR 101064096 B1 KR101064096 B1 KR 101064096B1 KR 1020087023834 A KR1020087023834 A KR 1020087023834A KR 20087023834 A KR20087023834 A KR 20087023834A KR 101064096 B1 KR101064096 B1 KR 10106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
light
adhesive layer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350A (ko
Inventor
유타카 모로이시
다카시 도미나가
유지 호타
후미코 나카노
가즈미 히가시
마코토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 및 겔 분율이 35 내지 85%인 점착제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서 접합해 있는 백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시스템의 제조 방법,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BACKLIGHT SYSTEM AND OPTICAL SHEET WITH ADHESIVE}
본 발명은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광원(백라이트 시스템)의 구성 및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광학 부재와의 계면의 광의 전반사가 적어, 접착성이나 응집력이 우수함과 아울러, 장기적인 내구성도 우수한 광학용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광을 출사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것이다.
TV나 모니터, 게임기, 휴대 전화 등의 광학 기기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화면의 밝기에 직접 영향을 주고, 그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밝기나 콘트라스트 등의 보기 좋음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 또한, 출사되는 광을 조명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연, 그 휘도는 밝기에 직접 영향을 주고, 휘도가 높은 것은 전류값을 낮출 수 있는 등의 에너지 절약적인 이점도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광원의 광을 균일하게 출사시키기 위해서 도광판의 설계 나, 냉극관이나 LED 등의 발광체 자체의 형상이나 배치 등 설계 등의 고안이 이루어져 있어, 가능한 한 저전력으로 발광시키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내지 2 참조). 또는, 도광판 위에,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 재귀 반사판 등의 광학 필름 등에 의해 균일하게 또한 휘도가 향상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모니터 등에 있어서도, 광원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광판으로부터 나가는 광을 균일하게 하는 확산판은, 도광판 위에 단순히 놓여져 있을(얹혀져 있을) 뿐이며(예컨대, 특허 문헌 1 내지 2 참조), 당연, 도광판과 확산판 사이에는 얇은 공기층이 있기 때문에, 광의 손실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손실을 없애기 위해서, 도광판 자체에 표면 처리를 하여 확산 기능을 갖게 하는 고안이나, 도광판과 확산판 사이에 매칭 오일 등을 이용하여 공기층을 없애는 연구 등도 검토했지만, 전자에서는 공정의 대폭 증가나 크기 등의 제품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고, 후자에서는 광원의 열에 의해 액 누설 등의 문제도 생기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를, 점착제를 통해서 고정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예컨대, 특허 문헌 3 내지 8 참조), 폴리에스터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착체(예를 들면, 도광판)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접착하면, 피착체와 점착제의 계면에 기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도광판에 사용되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 내의 수분 등이 백라이트의 점등에 의한 열의 영향으로 휘발하기 때문에, 점착제층과 도광판의 계면 에서 발포한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점착제는 알려져 있지 않고, 예컨대, 특허 문헌 3 내지 6에는,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나 렌즈 시트를 투명한 점착제(양면 테이프도 가능)로 접착된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점착제에 관한 상세한 기재는 없어, 어떠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지 불명확하다.
또한, 특허 문헌 7 내지 8에는, 지향성 광확산 필름이 광확산 점착제를 통해서 도광판 또는 프리즘 시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면광원 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그 광확산 점착제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도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계면에서 기포가 발생한다는 과제에 대한 기재는 없다. 지금까지 상기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각종 액정 모니터나 액정 TV 등을 분해하더라도, 점착제를 이용하여 도광판에 광학 필름을 부착하고 있었던 예는 없고, 도광판의 위에 놓여져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이들 특허 문헌에서는, 이러한 대책 등의 기술은 전혀 없어, 어떠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지 불명확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7949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8861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30110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0934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10131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33419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44744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50654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도록, 광학 부재와의 계면의 광의 전반사가 적어, 접착성이나 응집력이 우수함과 아울러, 장기적인 내구성도 우수한 광학용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광을 출사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백라이트 시스템 및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통상의 도광판으로서 사용되는 수지에 이용하더라도, 계면에서의 발포 현상이 보이지 않는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광을 출사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백라이트 시스템 및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부재와의 계면의 광의 전반사가 적어, 접착성이나 응 집력이 우수함과 아울러, 장기적인 내구성도 우수한 광학용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광을 출사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백라이트 시스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을 출사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출사광의 휘도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의 백라이트 시스템 및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 및 겔 분율이 35 내지 85%인 점착제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는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광확산판 등의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예를 들면, 10이나 12)과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예를 들면, 30)를 점착제층(20)를 통해서 접합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우수한 휘도 향상 효과를 발현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이란, 광학 테이프나 광학 시트 등의 필름 형상의 다른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체가 광원, 도광체, 또는 광원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이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광확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이 복수층의 광학 필름이 적층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000 내지 1,000,000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착체의 굴절률이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상기 광학 필름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는 상술한 백라이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상술한 백라이트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광학 필름의 최외층에 상기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환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tackifier) 10 내지 150중량부, 및 가교제 0.03 내지 2중량부를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로 고굴절률 단량체를 공중합한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질소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20중량%,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5중량%,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로 고굴절률 단량체를 공중합한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실레인 커플링제 0.01 내지 2중량부 배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50 내지 99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점착제층이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를 분산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2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와,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을, 점착제층을 통해서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사광의 휘도 향상 방법은 상술한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체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도광판이나 밀봉재나 광원 유닛의 위에, 점착제를 통해서, 마이크로 렌즈나 확산판 등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요철의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의 반대면(요철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면)을 부착함으로써, 대폭적으로 휘도가 향상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으로서는, 그 투명성이나 내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해도 좋지만, 굴절률이 높은 점착제를 이용하면, 보다 휘도가 향상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었다. 상기 작용 효과가 발현하는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광학 부재의 굴절률은, 유리에서 1.50 내지 1.55, 폴리카보네이트에서 1.54,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1.50으로, 아크릴계 점착제의 1.47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광학 부재와 점착제의 계면에 굴절률차가 발생하여, 얕은 각도로 광이 들어가면 전반사가 일어나므로, 광의 유효 이용이 방해된다고 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은 아닌지 추측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굴절률의 측정 파장은 589nm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와,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을, 점착제층을 통해서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간편하게 출사광의 휘도를 대폭 향상시킨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사광의 휘도 향상 방법은, 상술한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매우 간편하게 출사광의 휘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적층한 광학 필름, 10: 마이크로 렌즈 시트, 12: 확산 시트, 14: 휘도 향상 필름, 20: 점착제층, 3: 광원 유닛, 30: 도광체, 32: 발광 디바이스(광원), 40: 점착제층, 50: 액정 모듈, 6: 백라이트 시스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6)은, 도 1 내지 5에 예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예를 들면, 30)와,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예를 들면, 10이나 12)을, 점착제층(20)을 통해서 접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도 6에 예로서 도시하는 구성 등에 의해, 이대로 조명 장치로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피착체로서는, 예컨대, 광원, 도광체, 광원 유닛 등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광원(32), 도광체(30), 또는 광원 유닛(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으로서, 예컨대, PDP 형광체, LED 형광체, 유기 EL, 냉극관, 레이저 광원 등을 들 수 있고,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큰 효과가 관찰된다. 이들 광원에 직접 점착제층을 통해서 광학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이들 광원을 내장한 구성의 것, 예컨대, 표면이 유리판이나 아크릴판인 액정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의 백라이트 등이나, LED를 광원으로 하는 도광판, 유기 EL 발광체 등의 유리 기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광원에 직접,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내부에 가두지 않고, 효율적으로 출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통상, 백라이트 상에 확산판 등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의 상부에 광학 시트를 얹을 뿐이며, 백라이트와 광학 시트 사이에는, 굴절률이 1.0인 얇은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의 손실이 일어나고 있었지만,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서 광학 시트를 마련함으로써 이러한 손실이 적어지고, 또는, 특히 피착체인 백라이트의 표면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의 점착제층을 마련함으로써, 광의 손실이 거의 없어져,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찰(推察)된다.
또한, 상술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점착제층이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표면적이 증가하는 요철의 가공 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가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최후에 공기층으로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렌즈, 광확산판, 프리즘 시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광확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는, 표면에 1 내지 100㎛의 균일한 포탄 형상이나 구 형상, 피라미드 형상의 가공 처리가 실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는 균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층으로의 균일한 광의 출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f넘버(렌즈 초점 거리/유효 구경)가 0.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0이다.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백라이트의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균일한 시트를 금형 등으로 프레스하여 표면 성형 가공을 행하는 방법이나, 액상 수지를 도포하여 UV나 열로 경화시킴으로써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확산 입자를 분산시킨 폴리머 용액을, 미립자의 입경보다 작은 건조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표면에 요철 형상을 제작한 확산판이나, 폴리머 용융물에 미립자를 넣어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표면에 광확산 기능을 갖게 한 확산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면과, 공기층면의 요철의 가공 처리면에서 상이한 재질의 복수의 광학 필름이 적층된 광학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층면에 강도를 보지(保持)하는 기능, 공기면에 가공 처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게 하는 등의 고안도 가능하다.
광학 필름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투명하면 사용 가능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 표면의 굴절률<점착제층의 굴절률<광학 필름의 굴절률의 순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각 층간의 광의 손실을 없애기 때문에 바람직한 구성이다. 예컨대, 광이 출사되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의 도광판의 표면 굴절률이 1.49, 아크릴계 점착제의 굴절률이 1.49 이상, 광학 필름의 굴절률이 1.50 이상으로 되는 구성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은, 복수 층의 광학 필름이 적층된 것(광학 필름)(1)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된 광학 필름(1)의 적층 방법으로서, 단순히 중첩할 뿐이더라도 좋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액정 모듈까지 광을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광학 필름(광학 부재)으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광학 부재로서는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편광판에는,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폼알화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계 부분 폼알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서 1축 연신한 것, 폴리바이닐 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 바이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적합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내지 80㎛ 정도이다.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여, 원래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 아연, 염화 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은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좋다.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록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좋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좋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좋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마련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다이아세틸셀룰로스나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타이렌이나 아크릴로나이트릴ㆍ스타이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타이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계 내지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바이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설폰계 폴리머, 폴리에터설폰계 폴리머, 폴리에터에터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폴리머, 바이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바이닐리덴계 폴리머, 바이닐뷰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43529호 공보(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컨대,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및 나이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아이소뷰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나이트릴ㆍ스타이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당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에서 1 내지 500㎛ 정도이다. 특히 1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필름은 가능한 한 유색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Rth=(nx-nz)ㆍd(단, nx는 필름 평면 내의 지상축(遲相軸) 방향의 굴절률,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 d는 필름 두께임)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이 -90nm 내지 +75nm인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이 -90nm 내지 +75nm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호 필름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착색(광학적인 착색)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값(Rth)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nm 내지 +60nm, 특히 -70nm 내지 +45nm가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특히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 적합하다. 또한,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마련하는 경우, 그 표리(表裏)에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이용해도 좋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통상, 수계(水系) 점착제 등을 통해서 밀착해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바이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은 면에는,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고착 방지나, 확산 내지 눈부심 방지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더라도 좋다.
하드 코팅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당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틱킹(sticking) 방지 처리는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눈부심 방지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하여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粗面化)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0.5 내지 50㎛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산화 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인 경우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 내지 50중량부 정도이며, 5 내지 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눈부심 방지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시각 확대 기능 등)을 겸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틱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눈부심 방지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로 마련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함),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일이 있는 광학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상기 편광판에, 실용에 있어서 적층하여, 1층 또는 2층 이상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또는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마련한 것으로, 시인측(표시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투명 보호층 등을 사이에 두고 편광판의 한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투명 보호 필름의 한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을 갖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상기한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서 지향성이나 번쩍번쩍한 돋보임을 방지하여,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한, 미립자 함유의 투명 보호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컨대, 진공 증착 방식, 이온 플레이팅 방식, 스퍼터링 방식 등의 증착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금속을 투명 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에 직접 부여하는 방식 대신에, 그 투명 필름에 준한 적당한 필름에 반사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 등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반사면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 방지, 나아가서는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의 점이나, 보호층의 별도 부설의 회피의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에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의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안쪽에 마련되어,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표시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 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 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 하에서도 내장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또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판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서는, 이른바 1/4파장판(λ/4판이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1/2파장판(λ/2판이라고도 함)은 통상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슈퍼트위스트 네마틱(STN)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발생한 착색(청색 또는 황색)을 보상(방지)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삼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발생하는 착색도 보상(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컨대, 화상이 컬러 표시로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가지런히 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의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으로서는, 고분자 소재를 1축 또는 2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내지 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고분자 소재로서는,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뷰티랄, 폴리메틸바이닐에터,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터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설폰,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바이닐, 셀룰로스계 중합체, 노보넨계 수지, 또는 이것들의 2원계, 3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연신 필름)로 된다.
액정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 형상 원자단(메소겐)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형이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형의 액정성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에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컨대,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터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의 액정성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통해서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환상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성 폴리머는, 예컨대,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 규소를 사방(斜方) 증착 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 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위상차판은, 예컨대,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당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당히 조합하여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그것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진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 위상차판으로서는, 예컨대, 위상차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위상차판은, 그 면방향으로 1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데 반하여,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2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1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머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여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서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소재 원료 폴리머는, 앞서의 위상차판에서 설명한 폴리머와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되고,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근거하는 시인각의 변화에 의한 착색 등의 방지나 시인성이 좋은 시야각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적당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인성이 좋은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점 등에서,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부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안쪽 사이드에 마련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안쪽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아울러,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서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한 광을 더욱 그 뒤쪽에 마련된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전시켜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아울러,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서,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안쪽으로부터 편광자를 지나서 광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어 버려서, 편광자를 투과하지 않는다. 즉, 이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약 50%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어 버리고, 그 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서 휘도 향상 필름에서 일단 반사시키고, 더욱 그 뒤쪽에 마련된 반사층 등을 통해서 반전시켜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되는 것을 반복하여,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으로 된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은 투과시켜서 편광자에 공급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광확산 시트)을 마련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서 반사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함과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로 된다. 즉, 확산판은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린다. 이 비편광 상태,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해서, 반사층 등을 통해서 반사하고,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마련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의 얼룩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마련함으로써, 첫번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횟수가 적당하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서로 작용하여 균일하게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위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그 밖의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 어느 한쪽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가지런히 하여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하여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위상차판으로서 1/4파장판을 이용함으로써,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1/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면, 파장 550nm의 담색광에 대하여 1/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컨대, 1/2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의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좋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위한 것의 조합으로써 2층 또는 3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 영역 등이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그것에 근거하여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의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층 또는 3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좋다. 따라서, 상기의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더라도 좋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하여 광학 부재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제층 등의 적당한 접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다른 광학층의 접착에 있어서, 그것들의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서 적당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의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의 각 층에는, 예컨대, 살리실산 에스터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이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점착제 부착의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 등의 액정 모듈(50)과 점착제 부착의 광학 부재,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당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내장함으로써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컨대, TN형이나 STN형, 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점착제 부착의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이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부재는 액정 셀의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확산판, 눈부심 방지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과 접합한 경우의 투묘력(anchoring power)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광학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이착(易着) 처리나 언더코팅(undercoating)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이며,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6)은, 예컨대 도 1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을 통해서,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예를 들면, 30)와,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예를 들면, 10나 12)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점착제층(20)은 단독층이더라도 좋고, 또한 2층 이상을 적층하여 사용해도 좋다.
점착제층(20)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점착제나 고무계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천연 고무, 천연 고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성분과의 공중합물,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 및,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천연 고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성분과의 공중합물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측쇄의 탄소수가 4 이상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가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이용한 점착제 조성물(및 점착제층)이, 내열성의 면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할 때는,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중량% 공중합된다. 상기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장기적인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딱딱하게 되어 내구성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공중합되는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가 사용되고,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특히, 베이스 폴리머에 첨가되는 점착 부여 수지와의 상용성을 고려하면, n-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그때에는 아크릴 공중합체 내에 50 내지 99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9중량%이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는,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모노머 성분)을 적절히 공중합해도 좋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 바이닐, 아크릴아마이드, 다이메틸아미노메틸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로일모폴린, 글라이시딜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이나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 유도체, 바이닐톨루엔이나 α-바이닐톨루엔 등의 유도체 등의 고굴절률 단량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나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접착성을 향상시키거나 응집력을 올리거나, 효율적으로 가교하여 내열성을 올리기 위해서, 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도 사용된다.
상기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할 때는,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 공중합된다. 상기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지나치게 적으면 접착성이 뒤떨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 부여 수지와의 상용성이 크게 저하되어 점착제가 뿌옇게 흐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질소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20중량%,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5중량%,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중량%로 조정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착제 폴리머((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내에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작용기와 카복실기가 공존하면, 그 상호 작용에 의해 내부 응집력이 더욱 향상하여,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통상의 도광판으로서 사용되는 수지에 제공해도, 계면에서의 발포 현상을 볼 수 없게 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상기 질소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미노기 또는 이미드기 또는 아마이드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메트)아크릴산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N-(메트)아크릴로일모폴린, N-바이닐-2-피롤리돈,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뷰틸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질소 함유 모노머를 사용할 때는, 0.1 내지 2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공중합된다. 상기 질소 함유 모노머가 지나치게 적으면 내부 응집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고,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6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70만 내지 300만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내구성이 부족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작업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공지된 임의의 제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용액 중합에서는,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등의 중합 개시제를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2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중량부 사용한다. 아세트산에틸 등의 중합 용매를 사용하여, 질소 기류하에서 50 내지 70℃에서 8 내지 3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굴절률을 조절하거나 내부 응집력을 올리거나, 내열성을 올릴 목적으로, 변성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변성 처리로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의 존재하에,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상이한 조성의 단량체(모노머 성분)를 10 내지 2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부 가하고, 필요에 따라 매체도 조정하여, 과산화물 0.02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2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여기서 조성이 상이한 단량체라고 하는 것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볼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나, 스타이렌이나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 유도체, 바이닐톨루엔이나 α-바이닐톨루엔 등의 유도체 등의 고굴절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의 굴절률을 높일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이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에, 필요한 단량체와 점도 조정되는 용매를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과산화물 0.02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2중량부를 가하여, 50 내지 80℃에서 4 내지 15시간 가열하여,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유화 중합이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분산액에 고형 분량을 조정하는 물을 가하고, 추가로 필요한 단량체를 가하여,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체 입자에 단량체를 흡수시킨 후에, 수용성의 과산화물 수용액을 가하고, 50 내지 80℃에서 4 내지 15시간 가열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존재하에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이 단량체의 호모폴리머도 생성하지만,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의 그래프트 중합도 일어남으로써, 다른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에 균일하게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의 개시제로서 사용되는 과산화물이 적으면 그래프트 중합 반응의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고, 지나치게 많으면 단량체의 호모폴리머가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에 있어서는 점착 부여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착색이고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컨대, 방향족환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이고, 굴절률이 1.51 내지 1.7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화점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을 초과하거나, 연화점이 90℃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투명의 기준으로서는, 5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가드너 색상 1 이하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 올리고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스타이렌과 α-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 바이닐톨루엔과 α-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 C9계 석유 수지의 수첨물, 터펜 페놀의 수첨물, 로진 및 그 유도체의 수첨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연화점이 40℃ 이하의 점착 부여 수지는 그 사용량을 30중량부 미만으로 하고, 연화점이 50℃ 이상의 점착 부여 수지와 병용하여 20중량부(합계 50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내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중량부 사용되어, 소정의 굴절률로 조정된다. 지나치게 적으면 굴절률이 충분히 오르지 않고, 지나치게 많으면 딱딱하게 되어 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에 있어서는 가교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이용할 때, 가교함으로써 응집력이나 내구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나, 각종 폴리올로 변성한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환이나 뷰렛체나 알로파네이트체를 형성시킨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방족이나 지환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가교물이 투명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3 내지 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응집력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화 중합으로 제조한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분산액에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가 물과 반응하기 쉽기 때문에, 블록화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해도 좋다.
과산화물로서는, 가열에 의해 래디컬을 발생시켜서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의 가교를 진행시키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지만, 작업성이나 안정성을 감안하여, 1분간 반감기 온도가 8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의 과산화물을 사용한다. 1분간 반감기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도포 건조하기 전에 보존시에 반응이 일어나, 점도가 높아져서 도포 불능으로 되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높으면 가교 반응시의 온도가 높아져서 부반응이 일어나고, 과산화물이 잔존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가교가 진행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산화물로서는, 예컨대, 다이(2-에틸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0.6℃), 다이(4-t-뷰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1℃), 다이-sec-뷰틸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4℃), t-뷰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03.5℃),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09.1℃),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10.3℃), 다이라우로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6.4℃), 다이-n-옥타노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7.4℃),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24.3℃), 다이(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28.2℃), 다이벤조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30.0℃),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36.1℃), 1,1-다이(t-헥실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1분간 반감기 온도: 149.2℃)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이(4-t-뷰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1℃), 다이라우로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6.4℃), 다이벤조일퍼옥사이드(1분간 반감기 온도: 130.0℃)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과산화물의 반감기란, 과산화물의 분해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과산화물의 잔존량이 절반으로 되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임의의 시간에서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 온도나, 임의의 온도에서의 반감기 시간에 관해서는, 제조사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고, 예컨대, 일본 유지 주식회사의 「유기 과산화물 카탈로그 제9판(2003년 5월)」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과산화물 0.03 내지 2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4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1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3중량부 미만에서는, 응집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한편, 2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교 형성이 과다로 되어, 접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방향족계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경화 후의 점착제가 착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지방족이나 지환족계 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가교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3 내지 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지나치게 적으면 응집력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상기 가교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은,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하고, 가교 후의 점착제의 겔 분율이 3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중량%로 되도록 가교 처리된다. 겔 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응집력이 뒤떨어지고, 지나치게 크면 접착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지만,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아크릴판 등에 접합시켰을 때에는, 아크릴판으로부터의 수분이나 잔존 모노머의 발생이 있더라도, 아크릴판과 점착제의 접착 계면에서의 발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점착제 폴리머((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란, 가교 구조에 취입되지 않는 점착 부여 수지를 이용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미가교의 폴리머와 함께 점착 부여 수지도 용매에 용해하기 때문에, 그 점착 부여 수지의 양을 수정한, 최초의 점착제 폴리머에 대한 가교한 폴리머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가열 보존 등에 의해 겔 분율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지만, 겔 분율의 증가는 10중량%을 목표로, 최대 95중량%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겔 분율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교제의 양을 조정하는 것도 당연하지만,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 처리 온도나 시간도 중요하고, 과산화물의 분해량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으로 되도록 가교 처리 온도와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과산화물의 분해량이 작으면 잔존하는 과산화물이 많아져서 시간 경과에 따른 가교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가교 처리 온도가 1분간 반감기 온도에서는, 1분에 분해량은 50중량%, 2분에 75중량%로 되어, 1분 이상의 가열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가교 처리 온도에서의 과산화물의 반감기 시간이 30초이면, 30초 이상의 가교 처리가 필요하게 되며, 가교 처리 온도에서의 과산화물 반감기 시간이 5분이면, 5분 이상의 가교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과산화물에 따라 가교 처리 온도나 시간은, 과산화물이 일차 비례한다고 가정하여 반감기 시간으로부터 비례 계산되어 조정되지만, 부반응의 우려 때문에 최고 170℃까지로 가열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온도는 건조시의 온도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건조 후에 처리해도 좋다.
가교 처리 시간에 관해서는, 생산성이나 작업성을 고려하여 설정되지만, 0.2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분이 사용된다.
과산화물을 사용할 때에, 방향족계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경화 후의 점착제가 착색하는 경우가 있고,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지방족이나 지환족계 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은 23℃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000 내지 1,000,000Pa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0Pa,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400,000Pa의 점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저장 탄성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부착한 후에서의 벗겨짐 등이 일어나기 쉽고, 지나치게 크면 접착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으로서,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를 분산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광투과성의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점착제 조성물(확산 점착제층)에 분산 함유시키는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로서는, 무색 투명성의 적당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로서, 예컨대, 실리카나 알루미나, 티타니아나 지르코니아, 산화 주석이나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이나 산화 안티몬 등의 도전성인 것도 있는 무기계 입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각종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무착색 입자의 함유에 의해 광확산율이 10% 이하인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확산 점착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광확산율이 10%를 초과하면 광의 확산도가 과대하게 되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에 시인하는 경우의 정면(수직) 방향의 밝기가 부족하게 된다. 광의 확산성에 따른 양호한 시인의 시야각의 확대와 상기 정면 방향의 밝기의 밸런스 등의 점에서 바람직한 광확산율은, 1 내지 9%, 1.5 내지 8%, 특히 2 내지 7%이다.
또한, 상기 광확산율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7006호 공보의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확산 점착층(1)에 수직광 H를 입사시킨 경우에, 그 수직 입사광 H의 수직 투과 방향 I0에 대하여 10도 경사한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강도를 I10, 상기 I0에 대하여 30도 경사한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강도를 I30으로 했을 때, 100×I30/I10(%)으로 정의된다.
상기한 광확산율의 달성성과 접착력의 제어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착색 입자는, 그 평균 입경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9㎛ 이하, 특히 2 내지 8㎛인 것이다. 또한, 후방 산란을 억제하여 투과 방향에 양호한 확산성을 갖게 하는 점 등에서는 무착색 입자의 굴절률을 n1, 점착층의 굴절률을 n2로 했을 때, 식: 0.01<|n1-n2|<0.1, 바람직하게는 |n1-n2|<0.09, 특히 -0.08<n1-n2<-0.01을 만족하는 조합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 점착층에 분산 함유시키는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의 양은, 상기한 광확산율 등에 근거하여 적절히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접착력을 확보하는 점 등에서 점착제 조성물(고형분) 100중량부당, 5 내지 2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중량부의 무착색 입자가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 내에 미립자를 분산시키거나,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의 변성시에 첨가 단량체의 중합물에 의한 도메인 형성에 의한 헤이즈의 발현 등에 의해, 점착제 자체에도 확산 기능을 갖게 하는 설계도 가능하여, 보다 광의 분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이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계면에서의 내수성을 올리기 위해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레인 커플링제가 0.01 내지 1중량부 배합된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예컨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실레인,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3-트라이에톡시실릴-N-(1,3-다이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레인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은 내구성의 향상에 바람직하다.
상기 실레인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레인 커플링제 0.01 내지 2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1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내구성의 향상 효과에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2중량부를 초과하면, 액정 셀 등의 광학 부재로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증대하여 재박리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가황제, 점착 부여제,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가루, 입자 형상, 박상물(箔狀物)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원제를 가한 레독스계를 채용해도 좋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지지체로서 광학 시트(광학 필름)가 사용되고,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 가교 처리하여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된다. 박리 처리한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각종 광학 시트에 전사하는 것도 통상 실시된다. 엠보싱 가공한 박리 처리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광학 시트에 전사한 경우는, 점착제층 표면을 요철화할 수 있어,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기포가 빠지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상술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리버스 코터, 콤마 코터나 립 코터, 다이 코터 등 임의의 도포 방법으로, 통상 건조 후의 점착제 두께가 2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로 되도록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상기 백라이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의 한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내부에 가두지 않고, 효율적으로 출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는, 광이 하부로부터 조사되는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광이 나오는 피착체의 표면의 굴절률보다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높고, 또한 점착제층의 굴절률보다 광학 시트의 굴절률이 높다고 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각 층간에서의 반사가 없어지기 때문에, 출사되는 광의 손실이 없어,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사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효율적인 광의 출사 방법을 발견한 것이기도 하다.
한편, 이러한 광원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있어서, 광을 손실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것은, 점착제의 부드러움이라는 특징 때문에 이러한 요철 부분에 점착제가 들어가서, 요철에 의한 공기층의 말려 들어감을 없애고, 또한 굴절률의 높음에 의한 효과라고 생각된다.
또는, FED 방식 등에서 볼 수 있는 발광 휘도의 편차를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와,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을,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서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간편히 출사광의 휘도를 대폭 향상시킨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사광의 휘도 향상 방법은 상술한 백라이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매우 간편히 출사광의 휘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 에틸233중량부를 용제로 하여, 아크릴산 뷰틸 98중량부, 아크릴산 1.0중량부,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1.0중량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을 실시한 후, 55℃로 승온시켜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97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6이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 수지로서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72-77℃, 중량 평균 분자량: 1350, 굴절률: 1.59,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피코라스틱 A75) 40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3량체(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70N) 0.1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9중량%, 굴절률 1.50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톨루엔 100중량부에, 폴리스타이렌수지(PS 재팬사 제품, HH105) 20중량부를 용해하여, 폴리스타이렌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24㎛의 폴리에스터(테이진 듀폰사 제품, PET 필름 G2, 굴절률: 1.50) 표면에, 상기 폴리스타이렌 용액을 도포하여, 폴리스타이렌층(굴절률: 1.59, 경화 후의 두께: 5㎛)을 형성하고, 160℃의 열프레스에 의해 반경 5㎛로 가공한 마이크로 렌즈(f넘버: 0.86)를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8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8중량%, 굴절률 1.52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2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의 스타이렌과, 중합 개시제로서의 벤조일퍼옥사이드 0.15중량부를 가하고, 질소 치환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7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연화점: 82-88℃,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굴절률: 1.61, 이스트만 케미 컬사 제품, 크리스탈렉스 3085) 8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사 제품, 콜로네이트 L) 0.1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7중량%, 굴절률 1.53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3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점착 부여 수지를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4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7%, 굴절률 1.51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4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5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 에틸 233중량부를 용제로 하여, 아크릴산 뷰틸 98.5중량부, 아크릴산 0.5중량부,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1.0중량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을 넣 고, 질소 치환을 행한 후, 55℃로 승온시켜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112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의 스타이렌과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2.5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의 벤조일퍼옥사이드 0.25중량부를 가하고, 질소 치환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점착 부여 수지로서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8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사 제품, 콜로네이트 L) 0.1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5중량%, 굴절률 1.53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5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연화점: 82-88℃,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굴절률: 1.61, 이스 트만 케미컬사 제품, 크리스탈렉스 3085) 40중량부,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실온 이하, 중량 평균 분자량: 430, 굴절률: 1.60,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피코라스틱 A5) 10중량부, 벤조일퍼옥사이드 0.3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아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40N) 0.0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2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4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0중량%, 굴절률 1.52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것을, 100㎛의 두께의 광확산 시트에 부착하여, 실시예 6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점착 부여 수지 이외의 처방을 실시하여,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고, 실시예 7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점착제의 굴절률: 1.46,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 70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의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그래프트 중합 반응할 때에, 스타이렌 40중량부와 아크릴로일모폴린 10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8중량%, 굴절률 1.54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 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8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9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 에틸 233중량부를 용제로 하여, 아크릴산 뷰틸 92중량부, 아크릴산 2중량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1중량부, 아크릴로일모폴린 5중량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을 행한 후, 55℃로 승온시켜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118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7이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 수지로서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72 내지 77℃, 중량 평균 분자량: 1350, 굴절률: 1.59,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피코라스틱 A75) 40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60N) 0.1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층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6%, 굴절률 1.51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9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의 스타이렌과, 중합 개시제로서의 벤조일퍼옥사이드 0.15중량부를 가하고, 질소 치환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연화점: 82-88℃,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굴절률: 1.61,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크리스탈렉스 3085) 8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사 제품, 콜로네이트 L) 0.1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3%, 굴절률 1.54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0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8의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그래프트 중합 반응할 때에, 아크릴로일모폴린 대신에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8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70중량%, 굴 절률 1.54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1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2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 에틸 233중량부를 용제로 하여, 아크릴산 뷰틸 99중량부, 아크릴산 0.5중량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0.5중량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을 행한 후, 55℃로 승온시켜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103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40중량부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2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20중량부를 가하고, 질소 치환을 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7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연화점: 82-88℃,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굴절률: 1.61,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크리스탈렉스 3085) 6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10N) 0.2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74중량%, 굴절률 1.52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2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의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80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수첨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20N) 0.1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71중량%, 굴절률 1.53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3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4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 에틸 233중량부를 용제로 하여, 아크릴산 뷰틸 99중량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1중량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을 행한 후, 55℃로 승온시켜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93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50중량부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2.5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25중량부를 가하여, 질소 치환을 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나가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8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10N) 1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82중량%, 굴절률 1.53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4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 40중량부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2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중합 개시제로 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20중량부를 가하여, 질소 치환을 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7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α-메틸스타이렌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연화점: 82-88℃,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굴절률: 1.61,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품, 크리스탈렉스 3085) 6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수첨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20N) 0.7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80중량%, 굴절률 1.52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5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5의 점착제 조성물에,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로서, 멜라민-폼알데하이드 축합물 입자(니혼쇼쿠바이사 제품, 에포스타 S6)를,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가하여 균일한 상태로 하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균일한 상태로 하여,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 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60중량%, 굴절률 1.53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6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4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1.5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15중량부를 가하며, 질소 치환을 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4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미쓰이 화학 폴리우레탄사 제품, 타케네이트 D-110N) 0.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75중량%, 굴절률 1.52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7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4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벤질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1.5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15중량부를 가하며, 질소 치환을 하면서, 60℃에서 5시간, 70℃에서 8시간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이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타이렌올리고머(연화점: 82-85℃, 중량 평균 분자량: 1380, 굴절률: 1.60,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 SX-85) 80중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닛폰 폴리우레탄사 제품, 콜로네이트 L) 1.0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38㎛의 PET에, 점착제의 건조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 건조ㆍ가교를 행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이 81중량%, 굴절률 1.54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에 전사하여, 실시예 18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 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를 광원에 부착하지 않은, 백라이트 상에 설치해 놓은 확산판, BEF, 확산판의 3장을 그대로 얹어 비교예 1의 광학 시트로서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양을 0.5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은 93중량%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양을 0.02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겔 분율은 30중량%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점착제 부착의 광학 필름)에 대해서 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분자량의 측정>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ㆍ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ㆍ분석 장치: 도소사 제품, HLC-8120 GPC
ㆍ컬럼: 도소사 제품, G7000HXL+GMHXL-H+GMHXL
ㆍ저분자량물의 컬럼: 도소사 제품, GMHHR-H+GMHHR+G2000MHHR
ㆍ컬럼 크기: 각 7.8mmφ×30cm(계90cm)
ㆍ컬럼 온도: 40℃
ㆍ유량: 0.8㎖/min
ㆍ주입량: 100㎕
ㆍ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
ㆍ검출기: 시차 굴절계(RI)
또한, 분자량은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해 산출하였다.
<겔 분율의 측정>
각 실시예ㆍ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을 W1g 취출하여, 아세트산 에틸에 실온(약 25℃) 하에서 7일간 침지하였다. 그 후, 침지 처리한 점착제층(불용분)을 아세트산 에틸 내로부터 취출하여, 130℃에서 2시간 건조 후의 중량 W2g를 측정하였다.
또한, 점착제 배합시의 점착제 폴리머((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중량부 수를 A라고 할 때,
겔 분율(중량%)=(W2/W1)×(100+A)
로서 계산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점착 부여 수지는 폴리머의 가교 구조에 취입되지 않고, 아세트산 에틸에 침지한 상태에서 완전히 용해한다.
<접착력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폭 25mm)의 요철의 가공 처리면에 폴리에스터 점착 테이프(닛토 덴코사 제품, No.31B)를 받침으로 하여 부착하고, 그것 을 무알칼리 유리에 2kg 롤러로 롤 1왕복하여 점착하였다. 그 후, 50℃, 0.5MPa의 오토클레이브로 30분간 처리한 후, 23℃×50% RH 분위기하에 있어서 3시간 방치 후, 박리 각도 90°, 박리 속도 300mm/min로 박리 접착력(N/20mm)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60℃에서 6시간 보존하고, 23℃×50% RH 분위기 하에서 3시간 방치 후, 박리 각도 90°, 박리 속도 300mm/min로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여, 그 값을 가열 후의 접착력(N/20mm)으로 하였다.
<굴절률의 측정>
25℃의 분위기 하에서, 나트륨 D선(589nm)을 조사하여, 아베 굴절률계(ATAGO사 제품, DR-M2)를 이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휘도의 측정>
삼손 전자사 제품 17인치 컬러 디스플레이(SyncMaster 712N)의 백라이트의 도광판 상에, 상기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를 부착하고,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 점착제층, 반대면에 표면적이 증가하는 요철의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백라이트 시스템(광원)의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고 있었던 확산판, BEF, 확산판의 3장을 그대로 중첩하고, 휘도계로서 TOPCON사 제품 Bm-9을 이용하여, 광원과 휘도계의 거리를 350mm으로 하고, 20mm 각의 부분 이외를 차광한 광원의 중심에 휘도계를 합쳐서, 암실 내에서 휘도를 측정(cd/cm2)하였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
동적 점탄성의 측정은 이하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ㆍ장치: 티에이 인스트루먼트사 제품 ARES
ㆍ변형 모드: 비틀림
ㆍ측정 주파수: 일정 주파수 1Hz
ㆍ승온 속도: 5℃/분
ㆍ측정 온도: 점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 부근으로부터 160℃까지 측정
ㆍ형상: 페럴렐 플레이트 8.0mmφ
ㆍ시료 두께: 0.5 내지 2mm(부착 초기)
23℃에서의 저장 탄성율(G')을 판독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적 점탄성으로 측정되는 23℃에서의 저장 탄성율(G')이 10,000 내지 1,000,000Pa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0Pa,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400,000Pa의 점착제가 사용된다. 저장 탄성율(G')이 지나치게 작으면 점착제가 밀려나오거나 하여 가공성이나 작업성이 나빠지고, 한편, 저장 탄성율(G')이 지나치게 크면 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겨서, 실온에서 피착체에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한다. 이하, 저장 탄성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ㆍ(실시예 1) 70,000Pa
ㆍ(실시예 2) 85,000Pa
ㆍ(실시예 3) 155,000Pa
ㆍ(실시예 4) 104,000Pa
ㆍ(실시예 5) 202,000Pa
ㆍ(실시예 6) 116,000Pa
ㆍ(실시예 7) 132,000Pa
ㆍ(실시예 8) 264,000Pa
ㆍ(실시예 9) 170,000Pa
ㆍ(실시예 10) 272,000Pa
ㆍ(실시예 11) 255,000Pa
ㆍ(실시예 12) 133,000Pa
ㆍ(실시예 13) 146,000Pa
ㆍ(실시예 14) 196,000Pa
ㆍ(실시예 15) 188,000Pa
ㆍ(실시예 16) 292,000Pa
ㆍ(실시예 17) 104,000Pa
ㆍ(실시예 18) 96,000Pa
<아크릴판에 부착시의 발포 시험>
실시예ㆍ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의 광학 시트의 점착제면을, 아크릴판(스미토모 화학제, 스미펙스 E00, 두께 2mm)에 부착하여, 50℃, 0.5MPa의 오토 클레이브로 30분 처리한 후, 70℃ 및 80℃에서의 건조기에 투입하여, 24시간 후의 발포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8에서는, 70℃, 80℃ 모두 발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2, 3에서는, 70℃에서는 발포가 보이지 않지만, 80℃에서는 발포가 관찰되었다.
상기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8292986-pc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8에서 제작한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모두 접착성이 우수하여, 휘도가 대폭 향상해 있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을 특정한 형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07년 2월 28일부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2007-049883), 및, 2008년 2월 5일부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2008-025416)에 근거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또한, 여기에 인용되는 모든 참조는 전체로서 취입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체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도광판이나 밀봉재나 광원 유닛 상에, 점착제를 사이이 두고, 마이크로 렌즈나 확산판 등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요철의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의 반대면(요철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면)을 부착함으로써, 대폭 휘도가 향상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는, 에너지 절약, 장수명에도 공헌하는 기술로 되는 것이다.

Claims (19)

  1. 광이 출사되는 피착체,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요철 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 및 겔 분율이 35 내지 85%인 점착제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요철가공 처리를 실시한 광학 필름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는 광원, 도광체, 또는 광원 유닛인 백라이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마이크로 렌즈 또는 광확산판인 백라이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복수층의 광학 필름이 적층된 것인 백라이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10,000 내지 1,000,000Pa인 백라이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의 굴절률은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은 상기 광학 필름의 굴절률보다 작은 백라이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은 1.50 이상인 백라이트 시스템.
  8. 청구항 1에 기재된 백라이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청구항 1에 기재된 백라이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청구항 1에 기재된 백라이트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광학 필름의 최외층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환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tackifier) 10 내지 150중량부, 및 가교제 0.03 내지 2중량부를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로 고굴절률 단량체를 공중합한 변성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질소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20중량%,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5중량%,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0.1 내지 10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실레인 커플링제 0.01 내지 2중량부 배합한 것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n-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50 내지 99중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광투과성의 무착색 입자를 분산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500㎛인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18. 삭제
  19. 삭제
KR1020087023834A 2007-02-28 2008-02-26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KR101064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9883 2007-02-28
JP2007049883 2007-02-28
JP2008025416A JP4228026B2 (ja) 2007-02-28 2008-02-05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粘着剤付光学シート
JPJP-P-2008-00025416 2008-02-05
PCT/JP2008/053323 WO2008105423A1 (ja) 2007-02-28 2008-02-26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粘着剤付光学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50A KR20090064350A (ko) 2009-06-18
KR101064096B1 true KR101064096B1 (ko) 2011-09-08

Family

ID=3972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834A KR101064096B1 (ko) 2007-02-28 2008-02-26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62617A1 (ko)
EP (2) EP2028412B1 (ko)
JP (1) JP4228026B2 (ko)
KR (1) KR101064096B1 (ko)
CN (2) CN101542195B (ko)
TW (2) TWI502250B (ko)
WO (1) WO2008105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4384B (zh) 2008-07-10 2016-10-12 3M创新有限公司 粘弹性光导
CN107037526A (zh) 2008-08-08 2017-08-11 3M创新有限公司 具有粘弹性层的用于控制光的光导
KR100983026B1 (ko) * 2008-12-18 201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5356801B2 (ja) 2008-12-25 2013-1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10205506A (ja) * 2009-03-02 2010-09-16 Toppan Printing Co Ltd El素子
JP5679696B2 (ja) * 2009-05-22 2015-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0606B2 (ja) * 2009-08-04 2014-10-22 株式会社クラレ 面光源部材及び面光源部材の製造方法
JP5581029B2 (ja) * 2009-09-18 2014-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モジュール
FR2950981A1 (fr) * 2009-10-02 2011-04-08 Francois Parmentier Film autocollant applique a l'optique guidee
JP5590582B2 (ja) * 2009-11-05 2014-09-1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I426332B (zh) * 2009-12-31 2014-02-11 Chi Lin Optoelectronics Co Ltd 背光模組及其光學板
JP5651344B2 (ja) * 2010-02-04 2015-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熱伝導性両面粘着シート
CN102754003B (zh) * 2010-02-10 2014-06-18 3M创新有限公司 具有粘弹性层的照明装置
WO2011105876A2 (ko) * 2010-02-26 2011-09-01 (주)Lg화학 편광판
EP2549303A4 (en) * 2010-03-16 2016-10-12 Nitto Denko Corp OPTICAL FILM WITH HAFT COA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OPTICAL FILM WITH HAFTSCHICHT, LIGHT SOURCE WITH THE OPTICAL FILM WITH HAFTSCHICHT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THE OPTICAL FILM WITH HAFTSCHICHT
JP5876986B2 (ja) * 2010-03-16 2016-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接着剤層付光学シートおよび粘接着剤層付光学シートを作成する方法
JP5658490B2 (ja) * 2010-06-23 2015-01-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シート、光学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光学積層シート付光源、および光学積層シート付画像表示装置
JP5517776B2 (ja) * 2010-06-23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シート付部材の製造方法
TWI407199B (zh) * 2010-10-29 2013-09-01 Au Optronics Corp 平面顯示結構及其製造方法
KR101629522B1 (ko) * 2010-12-10 2016-06-13 (주)엘지하우시스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716505B1 (ko) * 2010-12-10 2017-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351621B1 (ko) * 2010-12-29 2014-01-15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1251738B1 (ko) 2011-03-22 201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324651B2 (ja) * 2011-03-29 2018-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2224804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357583B1 (ko) * 2011-07-29 2014-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22662B1 (ko) * 2011-09-08 2014-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TWI611933B (zh) * 2011-09-15 2018-01-21 Nitto Denko Corp 具有接著劑層之影像顯示裝置用單元及使用該單元的影像顯示裝置
JP2013097041A (ja) * 2011-10-28 2013-05-20 Dic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保護フィルム
JP5860297B2 (ja) 2012-02-06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4219531A (ja) * 2013-05-08 2014-11-20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偏光光学素子、光学ローパスフィルタ及び撮影装置
WO2014208429A1 (ja) * 2013-06-25 2014-12-3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面光源装置
JP5420786B1 (ja) * 2013-07-23 2014-02-19 株式会社オプトメイト 粘着剤層付きマイクロレンズフイルム
JP6327817B2 (ja) * 2013-09-17 2018-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054832B2 (ja) * 2013-09-17 201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KR102317623B1 (ko) * 2013-12-27 2021-10-2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및 면광원 장치
WO2015151092A1 (en) * 2014-04-02 2015-10-08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Polarized light source device
CN104279515A (zh) * 2014-09-23 2015-01-14 苏州仁捷瑞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光学膜片
JP6295237B2 (ja) * 2014-09-30 2018-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波長変換部材
SG11201706552PA (en) * 2014-09-30 2017-09-28 Nitto Denko Corp One-side-protected polarizing film,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same
JP6516211B2 (ja) * 2014-11-18 2019-05-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TW201626067A (zh) * 2015-01-13 2016-07-16 王仁宏 具有光學功能膜之顯示模組及其製程方法
JP6600954B2 (ja) * 2015-03-20 2019-11-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6511314B2 (ja) * 2015-03-26 2019-05-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KR102069489B1 (ko) * 2015-07-02 2020-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광 필름
KR102063058B1 (ko) * 2015-07-02 202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광 필름
CN105629373B (zh) * 2016-04-07 2019-05-03 张浩楠 一种lcd导光板及其制造工艺
CN105739183B (zh) * 2016-05-11 2019-06-14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一种背光源、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6903470B2 (ja) * 2016-05-12 2021-07-14 Eneos株式会社 光学位相差部材及びプロジェクタ
CN105870361B (zh) * 2016-05-27 2017-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膜的制作方法、光学器件、显示基板及显示装置
JP6321107B2 (ja) * 2016-10-04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DE102016120377A1 (de) * 2016-10-25 2018-04-26 Anton Paar Optotec Gmbh Refraktometer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dynamischer Eigenschaften einer Probe
JP2019101092A (ja) * 2017-11-29 201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589456B2 (en) 2017-12-08 2023-02-21 Molex, Llc Backlit user interface
TWI676844B (zh) * 2018-05-16 2019-11-1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9031794B (zh) * 2018-10-26 2024-01-30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反射片、背光模组、显示装置
JP6770569B2 (ja) * 2018-12-27 2020-10-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906560B2 (ja) * 2019-04-03 2021-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2513848B1 (ko) * 2020-07-02 2023-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및 액정셀
WO2022016464A1 (zh) * 2020-07-23 2022-01-27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旋光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058287A (zh) * 2020-08-04 2022-02-18 三星Sdi株式会社 粘附膜、包括其的光学构件和包括其的光学显示器
JP7105286B2 (ja) * 2020-09-25 2022-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
JP7089075B2 (ja) * 2021-01-27 2022-06-21 藤森工業株式会社 光拡散粘着剤層、及び光拡散粘着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915A (ja) * 2000-04-28 2001-11-09 Kuraray Co Ltd 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7023225A (ja) * 2005-07-21 2007-02-01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80A (en) * 1882-02-21 Cotton-picker s wagon
JPH10301109A (ja) * 1997-04-30 1998-11-1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1133419A (ja) * 1997-10-31 1999-05-21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0347006A (ja) 1999-06-07 2000-12-15 Nitto Denko Corp 拡散粘着層、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CN1161628C (zh) 1999-11-12 2004-08-11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透明薄膜及其制造方法和包含该透明薄膜的椭圆形偏振片
JP2001343529A (ja) 2000-03-30 2001-1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02568A (ja) * 2001-10-24 2003-07-18 Sharp Corp 導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面状光源装置、表示装置
JP2003181967A (ja) * 2001-12-14 2003-07-03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および剥離ライナー付感圧性接着シート
JP4433145B2 (ja) * 2003-02-12 2010-03-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030555B2 (en) * 2003-04-04 2006-04-18 Nitto Denko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planar 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5050654A (ja) * 2003-07-28 2005-02-24 Clariant Internatl Ltd 面光源装置
JP2005048003A (ja) * 2003-07-31 2005-02-24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型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4566527B2 (ja) * 2003-08-08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型粘着シート
JP3822213B2 (ja) * 2004-06-03 2006-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力調整方法、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
JPWO2006009250A1 (ja) * 2004-07-22 2008-05-0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4759317B2 (ja) * 2005-05-26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736953B2 (ja) * 2005-06-03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遮光層付フライアイ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透過型スクリーンならびに背面投影型画像表示装置
JP4800673B2 (ja) * 2005-06-09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部材、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025110A (ja) * 2005-07-14 2007-02-01 Alps Electric Co Ltd 表示素子及び表示素子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素子を備えた電子機器
US7641946B2 (en) * 2005-08-08 2010-01-05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049883A (ja) 2005-08-09 2007-02-22 Kuniko Akiyama エネルギーを消耗せず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5219359B2 (ja) * 2006-02-21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643511B2 (ja) 2006-07-19 2011-03-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915A (ja) * 2000-04-28 2001-11-09 Kuraray Co Ltd 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7023225A (ja) * 2005-07-21 2007-02-01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50A (ko) 2009-06-18
CN101542195A (zh) 2009-09-23
EP2028412B1 (en) 2013-04-10
CN101542195B (zh) 2012-12-05
TW201312219A (zh) 2013-03-16
JP2008243803A (ja) 2008-10-09
US20090162617A1 (en) 2009-06-25
EP2028412A4 (en) 2011-02-16
TWI502250B (zh) 2015-10-01
EP2028412A1 (en) 2009-02-25
WO2008105423A1 (ja) 2008-09-04
TWI427365B (zh) 2014-02-21
CN102654261A (zh) 2012-09-05
EP2544044B1 (en) 2014-09-17
EP2544044A1 (en) 2013-01-09
CN102654261B (zh) 2014-10-15
TW200905314A (en) 2009-02-01
JP4228026B2 (ja)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96B1 (ko) 백라이트 시스템 및 점착제 부착의 광학 시트
KR101037571B1 (ko) 광학용 점착제,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5248642B2 (ja)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粘着剤付光学シート
KR10118564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의 제조방법,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KR101010889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5258332B2 (ja) 光散乱粘着剤組成物、光散乱粘着剤層、光散乱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JP4805240B2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888573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및 그 제조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CN100460948C (zh) 剥离力调整方法、粘合剂层及带粘合剂的光学构件
KR20100013337A (ko) 광학 필름용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3863151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190462A (ja) 光学用粘着剤、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54436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