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688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688B1
KR101005688B1 KR1020080130602A KR20080130602A KR101005688B1 KR 101005688 B1 KR101005688 B1 KR 101005688B1 KR 1020080130602 A KR1020080130602 A KR 1020080130602A KR 20080130602 A KR20080130602 A KR 20080130602A KR 101005688 B1 KR101005688 B1 KR 10100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ground level
original
reading
image information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115A (ko
Inventor
히로까즈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5Correction of errors due to scanning a two-sided document, i.e. show-through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원고의 양면을 판독할 때에, 임의의 복잡한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앞면에 대한 뒷면 화상의 뒷 비침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앞면과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고, 앞면 화상 정보로부터 제1 배경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1 배경 레벨과 뒷면 화상 정보의 농도에 따라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고, 제2 배경 레벨을 사용하여 앞면의 배경을 제거한다.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원고의 양면의 화상을 판독하고 용지를 통해 뒷면의 인쇄가 보이는 뒷 비침(showthrough)을 방지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로 대표되는 화상 판독기는,원고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 ADF(Auto Document Feeder) 등을 사용하여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자동으로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면이 인쇄된 원고를 원고대 유리(document glass)에 두번, 앞면 및 뒷면을 각각, 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양면이 인쇄된 원고를 취득하는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최근에, 앞면 및 뒷면을 각각 판독하기 위한 두개의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단일 판독기 내에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단일 판독 동작을 통해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동시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판독기가 양면이 인쇄된 원고를 판독하는 경우, 원고 용지의 두께 또는 이미지 센서로의 광량에 따라, 뒷면 화상이 때때로 앞면 화상에 나타난다. 이것은 판독된 화상의 품질을 손상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통상적으로, 원고의 뒷 비침 화상 문제점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앞면 화상으로부터 뒷면 화상의 미러(mirror) 화상을 뺌으로써, 앞면 화상으로부터 뒷면 화상의 영향을 제거하는 처리가 일반적이다.
일본특허공개번호 평08-265563(1996)호 공보에 따르면, 뒷 비침은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가산 연산으로 앞면 화상에 대한 뒷면 화상의 영향을 제거하는 처리에 의해 감소된다.
일본특허공개번호 평05-63968(1993)호 공보에 따르면, 프리스캔(prescanning)에 의해 원고의 배경 레벨을 판정하고, 산출된 배경 레벨보다 높은 휘도의 화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원고의 색재현성의 손상을 방지하는 연구가 연산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지만, 그것은 뒷면 화상의 의도하지않은 출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뒷 비침이 많은 원고 배경으로부터 뒷 비침을 제거할 수 없다.
그러나, 전술된 합성 처리를 달성하기 위해,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사이의 정렬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양면 사이의 등록 위치, 즉, 앞면 화상의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뒷면 화상의 좌표 위치가 200㎛ 만큼 어긋나는 경우, 이것은 600dpi의 해상도로 판독된 화상에서 5 픽셀(pixel)의 어긋남에 상응한다. 5 픽셀이 어긋난 원고의 차감 합성(subtracting combining)을 수행하는 경우, 반대로 차감 합성은 때때로 정렬 정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판독 디바이스가 등록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렬 정밀도가 낮은 경우, 뒷 면 화상이 나타나지 않는 위치들에서 만들어지는 차감 합성의 결과로서 뒷 비침 그림자들이 나타난다.
또한,입력이 2매의 화상인 차감 합성 회로의 크기, 처리 비용 및 메모리가 필요하고, 이 인자들은 판독 디바이스의 정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비용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점을 제공한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앞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앞면 판독 수단(unit);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뒷면 판독 수단; 앞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앞면의 화상 정보로부터 제1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제1 배경 레벨 및 뒷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에 따라,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및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제2 배경 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앞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하기 위한 배경 제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뒷면 화상의 농도를 고려하여 앞면 화상의 배경 제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뒷면 화상이 앞면 화상에 나타나는 뒷 비침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기술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기술된다.
<실시예 1>
정보가 기재된 원고의 정보를 전자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사기, 팩시밀리 및 컴퓨터 입력용의 스캐너 등의 화상 판독기가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원고의 화상 정보인,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자동으로 판독하는 자동 양면 판독기로서, 반전부를 통해 원고의 양면을 반전시킴으로써 원고를 판독하는 방법이 탑재되어 가장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한 원고 반전부를 이용하는 자동 양면 판독기는, 도 2에 참조 번호 201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컬러 원고가 컬러 화상 데이터의 형태로 판독된다는 가정 하에서 기술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원고 거치대(202), 픽업 롤러(pickup roller)(203), 반송 롤러(204), 롤러(205), 반전 반송/용지 배출 롤러(206), 분리 손톱(207), 광원(208), 판독부(209), 원고대 유리(210), 원고(211)를 도시한다.
자동 양면 판독기(201)에 적재된 원고(211)는, 픽업 롤러(203)에 의해 한장씩 판독 경로로 보내진다. 픽업 롤러(203)를 통해 한장씩 판독 경로로 보내진 원고는, 반송 롤러(204)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경로 1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판독부 (209)는 광원(208)과 병치(juxtapose)되어 있다. 광원(208)은, 가시광 영역의 파장 영역에서의 분광 강도(spectral intensity)를 갖는다. 경로 1을 통해 판독 위치에 도달한 원고에는 광원(208)이 조사되고,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은 판독부(209) 에 입사된다. 적어도 광전 변환기를 구비한 판독부(209)는 입사된 광의 강도에 따른 전하들을 축적하고, 도시되지 않은 A/D 변환기를 통해 그것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원고의 화상 정보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판독부(209)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는 원고의 정보에 포함되는 분광 반사율의 분포에 의존한다.
경로 1을 통해 판독 위치에 도달한 원고(211)에 대하여, 광원(208)과 판독부(209)는 표면에 기재된 화상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에, 원고(211)는, 반전 반송/용지 배출 롤러(206)에 도달하고, 일단 원고의 후단까지 배출된다. 그 후에, 반전 반송/용지 배출 롤러(206)는, 그 회전을 반전시켜 원고(211)를 다시 자동 양면 판독기(201)로 보낸다. 원고(211)는 분리 손톱(207)에 의해 경로 2의 방향으로 유도되고 반송 롤러(204)에 의해 경로 1을 통해 다시 통과되어, 원고 판독 위치에서 광원(208) 및 판독부(209)에 의해 원고(211)의 뒷면에 기재된 화상 정보가 판독된다. 후속하여, 반전 반송/용지 배출 롤러(206)는 원고(211)를 배출한다.
전술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원고 거치대(202)에 적재된 원고의 그룹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화상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자동 양면 판독기가 원고의 양면에 기재된 화상 정보를 이러한 방법으로 판독하는 경우, 그것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양면 판독기는, 단일 광원 및 판독부를 이용하여 양면의 화상을 판독하며, 그 광학 시스템도 단일이다. 따라서, 자동 양면 판독기 는 양면의 판독 화상에 대하여 동일한 기하 특성 및 색조 특성을 갖는다. 반면에, 자동 양면 판독기는, 그것이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각각 판독할 때마다 그 자체 내의 원고를 반송하기 때문에 화상을 판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자동 양면 판독기의 원고 반송은 복잡하기 때문에,잼(jam)의 확률이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단일 반송 중에 앞면과 뒷면에 기재된 정보를 갖는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동시에 판독하는 동시 양면 판독기가, 도 3의 참조 번호 301로 표시된다.
도 3은 용지 배출 롤러(302), 광원 B(303), 및 판독부 B(304)를 도시하고, 나머지 컴포넌트들은 자동 양면 판독기의 기능들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도 2의 참조 번호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원고 거치대(202)에 적재된 원고(211)는, 픽업 롤러(203)에 의해 한장씩 판독 경로로 보내진다. 픽업된 원고(211)는, 반송 롤러(204)를 통해 경로 3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원고(211)는 광원(208)과 판독부(209)가 원고(211)의 앞면에 기재된 화상 정보를 판독하도록 경로 3을 통해 판독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에, 원고(211)가 판독부 B(304)의 판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광원 B(303)와 판독부 B(304)는 원고(211)의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에, 원고 (211)는 용지 배출 롤러(302)에 의해 배출된다.
전술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원고 거치대(202)에 적재된 원고의 그룹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화상 정보들이 단일 반송을 통해 각각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 양면 판독기가 원고의 양면에 기재된 화상 정보를 이러한 방법으로 판독하는 경우, 그것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을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양면 판독기는, 단일 반송을 통해 각각의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 양면 판독기는 화상을 판독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판독 장치로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시 양면 판독기는 원고를 반송하기 위해 하나의 경로만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잼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시 양면 판독기는 앞면 판독과 뒷면 판독을 위해 광원(208)과 광원 B(303) 및 판독부(209) 및 판독부 B(304)와 같은 화상 판독 디바이스들을 각각 갖는다.
이하에서, 광원(208)과 판독부(209)의 조합은 판독 디바이스 A로 지칭되고, 광원 B(303)와 판독부 B(304)의 조합은 판독 디바이스 B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판독 디바이스 A는, 원고대 유리(210) 아래에 배치되고, 따라서 원고(211)가 원고대 유리(210) 위에 놓여지는 경우, 판독 디바이스 A는, 원고의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것을 판독할 수 있다.
전술된 판독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원고의 양면에 인쇄된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모두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원고의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은, 그것들이 판독되는 경우, γ 보정 또는 공간 필터링 등의 화상 처리를 통해 통과된 후에 HDD와 같은 기억 매체에 한시적으로 스풀(spool)된다. 그 후에, 화상 처리를 수행하여, 그것들은 프린터로부터 인쇄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로 송신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다.
단계 S101에서, 판독 장치는 원고의 앞면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02에서, 단계 S101에서 판독 장치에 의해 취득된 원고의 앞면 화상 정보에 따라,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RGB 각각에 대한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한다. 후속하여, 단계 S103에서,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단계 S102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높은 발생 빈도를 갖는 화소값(피크 위치)을 탐색하고, 그 화소값을 배경 레벨(제1 배경 레벨)로서 산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04에서, 판독 장치는 원고의 뒷면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후속하여, 단계 S105에서,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단계 S104에서 취득된 뒷면 화상 정보의 해상도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단계 S104에서 취득된 뒷면의 화상 정보의 해상도를 약 1/10의 해상도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복수의 화소들을 평균함으로써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후속하여, 단계 S106에서,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해상도가 감소된 뒷면 화상의 미러 화상을 주주사 방향으로 생성한다. 단계 S107에서, CPU는 뒷면 화상 정보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서 뒷면 화상이 앞면 화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뒷면 화상의 농도가 짙은(휘도가 낮은) 위치에서 앞면 화상에 대한 뒷 비침의 정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반대로,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뒷면 화상의 농도가 낮은 위치에서 앞면의 화상에 대한 뒷 비침의 정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107에서,CPU는 뒷면 화상의 농도로부터 배경의 오프셋량을 산출한다. 배경의 오프셋 량의 산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07에서 산출된 배경의 오프셋량과 단계 S103에서 산출된 앞면 화상의 배경 레벨에 따라, 단계 S108에서 판독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CPU는 앞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2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 및 단계 S103에서 산출된 배경 레벨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4는, 화상의 휘도값의 발생 빈도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도시한다.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갖는 위치(401)가 배경 레벨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고 화상이 배경 레벨을 갖는 경우, 배경 영역은 출력에서 동일한 레벨로 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고의 배경 제거는, 화상의 배경 영역에서 RGB 각각에 대해 8bit/sample을 갖는 화상에 대하여 R=G=B=255로 치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경 제거의 연산은 이하에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이하에 기술될 바와 같이, 배경 제거는 배경 레벨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단계 S102에서, CPU는 RGB 각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단계 S103에서 배경 레벨(RW, GW, BW)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배경 레벨(RW, GW, BW)에 따라, CPU는 단계 S101에서 취득된 앞면 화상의 입력 화소값(R, G, B)에 따른 도 9의 식 1의 연산을 실행하여 출력 화소값(R', G', B')을 취득한다. 따라서, 출력 화소값(R', G', B')은, 배경 제거 처리 후의 화소값이다.
식 1에서, fR(R, G, B), fG(R, G, B) 및 fB(R, G, B)는, 각각 R 컴포넌트, G컴포넌트 및 B 컴포넌트의 오프셋 값이다. 입력 화소가 배경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경우, 오프셋 값은 크다. 반면에,입력 화소가 배경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 오프셋 값은 작다. 또한,R, G 와 B의 차이가 큰 경우(높은 채도를 갖는 화소)에도 오프셋 값이 작으므로, 원본(original)의 색재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취득된 출력 화소값(R', G', B')은 입력 화소값(R, G, B)이 배경 레벨 부근의 색인 컬러들에 대하여 R'=G'=B'=255에 가까운 값으로 변환된다. 또한, 높은 채도를 갖는 컬러들에 대하여, 그것들의 원래의 컬러는 유지된다. 따라서, 배경 이외의 영역에서 색재현성의 열화(deterioration)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배경 레벨을 백색 레벨로서 적응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뒷면 화상의 농도를 사용하여 단계 S103에서 산출된 배경 레벨(RW, GW, BW)을 수정하고, 수정된 배경 레벨(RW' GW' BW')(제2 배경 레벨)을 사용하여 오프셋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어 "오프셋 값"은 fR(R, G, B), fG(R, G, B) 및 fB(R, G, B)를 지칭한다. 도 9의 식 1에서 앞면의 배경 레벨(RW, GW, BW)의 값은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각각의 원고에 대하여 상수들로서 고유하게 취득된다. 다음으로, (RW, GW, BW)의 값에 대하여, 단계 S107에서 산출된 배경의 오프셋량(g(x, y))을 사용하여 화소단위로 미세 조정을 수행한다. 이 g(x, y)는 입력 좌표 위치 (x, y)에 따라 변화하는 조정량이 된다.
뒷면 화상의 농도가 큰 경우, CPU는 뒷 비침이 크게 작용한다고 판정하고, g(x, y)를 작은 값 또는 마이너스(minus) 값으로 설정한다. 반대로, 뒷면 화상의 농도가 낮은 경우, CPU는 g(x, y)를 큰 값으로 설정한다(도 9의 식 2를 참조).
단계 S108에서,미세 조정을 통한 배경 레벨(제2 배경 레벨)에 도 9의 식 1과 같은 비선형 변환을 적용하는 것은, 뒷 비침이 많은 영역에 대하여 가중된 배경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4에서 결정된 배경 레벨을 오프셋에 대해 좌우로 스윙하는 것에 대응함).
연산식을 사용하는 것은,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의 직접 연산 처리를 사용하는 뒷 비침 제거와 비교하여, 복잡한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다소 단순한 회로를 이용하여 배경 제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처리 중의 화상을 도시한다. 도 5의 화상은 앞면 입력 화상을 도시한다. 그것은 배경이 뒷 비침을 커버하고 이를 통해 뒷면 화상이 보이는 것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6은 반대로 앞면 화상이 보이는 뒷면 화상의 입력 화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뒷면 화상에 해상도 변환 및 미러 화상 반전을 수행함으로써 취득된 화상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화상을 배경 레벨 오프셋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뒷면 화상의 농도를 고려한 배경 제거 처리를 수행하여, 뒷면 화상이 앞면에 대하여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경우에도, 입력 화소값에 따라 화소 오프셋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호한 뒷 비침 및 배경 제거를 수행할 수 있 다.
본 실시예는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 모두를 한번에 판독하는 예시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은 독립적으로 판독될 수도 있다.
또한,전술된 실시예는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배경 레벨을 취득하지만, 장치 내에서 그것을 디폴트값으로 유지하고,히스토그램으로부터 그것을 취득하는 처리를 스킵(skip)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경 레벨의 결정을 위한 화상 프리 스캔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앞면 화상과 뒷면 화상 사이의 관계는 역으로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원고의 뒷면 화상이 원고의 앞면에 있다고 가정하면, 뒷면 화상에 부주의하게 나타나는 앞면 화상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예시들에서, 도 5에 도시된 화상과 도 6에 도시된 화상 사이의 관계를 역으로 하는 처리에 의해, 도 5에 도시되고 도 6에 도시된 화상에 의도하지 않게 나타나는 화상 컴포넌트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식들을 배경 제거 연산식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배경 제거 연산식은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뒷면 화상의 농도를 고려하여 앞면 화상의 배경 제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뒷면 화상이 앞면 화상에 의도하지 않게 나타나는 뒷 비침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2>
전술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비선형 배경 제거 연산식의 뒷 비침 보정값 g(x, y)는 각각의 화소들에 대하여 동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RW, GW 및 BW의 값이 일정하기 때문에 연산식은 뒷면 화상을 고려함으로써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변화한다. 더 구체적으로,배경 레벨이 화상 내에서 균일한 경우, 도 9에 도시된 식 1의 제수(divisor)에 대하여, 계수들이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그것은 미리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g(x, y)의 구성요소들이 오프셋되는 경우, 각각의 화소들에 대하여 재연산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재연산을 필요로 하는 계수들에 대해서는, 뒷면 화상의 배경 레벨의 오프셋에 따라 전환되도록 복수의 후보 계수들이 미리 준비될 수 있다.
도 9의 식 3에 도시된 계수들의 후보 계수들로서 예를 들어, 뒷면 화상의 배경 레벨의 오프셋에 따라서, (Rcoef(n), Gcoef(n), Bcoef(n))의 8개의 세트(n=0-7)가 준비된다. 계수들은 앞면 화상으로부터 취득된 배경 레벨 RW, GW, BW 및 뒷면 화상의 배경 오프셋 값을 씨닝(thinning)하여 나타나는 레벨들을 제한함으로써 미리 취득된 레벨들로부터 연산된다(도 9의 식 3을 참조).
이 8개 세트의 계수들을 뒷면 화상의 배경 레벨의 오프셋 값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연산 처리의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배경 레벨의 오프셋의 단계들이 러프(rough)해지지만, HW(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각각의 화소들에 대하여 임의의 숫자들로 나누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셀렉터(selector)만을 준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시예 3>
제1 및 제2 실시예는 뒷면 화상의 투명도가 용지의 유형에 상관없이 균일하다는 것을 가정하여 기술되었지만, 용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판독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앞면 화상에 대한 뒷면 화상의 투명도를 고려할 수 있다.
센서는 용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센서는 용지의 투명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도 1의 단계 S107의 배경 레벨의 오프셋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용지가 얇은 경우, 뒷면 화상은 앞면 화상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배경 레벨의 조정량 및 그 변동이 증가한다. 반대로, 용지가 두꺼운 경우, 조정량 및 그 변동은 감소한다.
이것은 용지의 두께를 고려하여 뒷 비침 제거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연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전술된 제3 실시예는 용지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사용자가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앞면 화상에 대한 뒷면 화상의 투과도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판독하기를 원하는 원고의 투과도 또는 두께의 정도를 지정하기 위한 설정값을 설정하며, 그 설정값은 전술된 단계 S107의 배경 레벨의 오프셋을 생성하는 단계에 반영된다.
또한,앞면 화상의 배경 레벨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UI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계 S103에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배경 레벨을 취득하는 것 대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배경 레벨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용지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설치 없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뒷 비침 방지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외의 실시예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들(컴퓨터, 인터페이스 기기, 판독기 및 프린터 등)로부터 구성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단일 디바이스(복합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등)로 이루어지는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실시예에 도시된 흐름도의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 (또는 CPU 또는 MPU)를 이용하여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한다. 따라서,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도 본 발명을 구성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RO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은 판독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용어 "프로그램의 실행"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OS 등이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에 따라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 를 포함한다.
또한,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의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 유닛의 메모리로 기입된다. 그 후에,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에 따라, 확장 보드 또는 확장 유닛의 CPU는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한다. 기능 확장 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에 의한 그러한 처리는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의 범주는 그러한 모든 수정들 및 등가적인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광범위한 해석을 주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자동 양면 판독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동시 양면 판독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에 따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에 따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에 따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에 따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배경 제거의 연산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원고 거치대
203: 픽업 롤러
204: 반송 롤러
205: 롤러
206: 반전 반송/용지 배출 롤러
207: 분리 손톱
208: 광원
209: 판독부
210: 원고대 유리

Claims (13)

  1. 원고의 앞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앞면 판독 수단;
    상기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뒷면 판독 수단;
    상기 앞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앞면의 상기 화상 정보로부터 제1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 수단;
    상기 제1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1 배경 레벨과 상기 뒷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 수단; 및
    상기 제2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앞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하기 위한 배경 제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산출 수단이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경우에, 상기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배경 레벨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의 해상도는 상기 앞면의 상기 화상 정보의 해상도보다 더 낮은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1 배경 레벨은, 상기 앞면의 상기 화상 정보로부터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갖는 휘도값으로서 산출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두께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고의 두께가 커질수록 상기 제1 배경 레벨의 조정량이 감소되는 화상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원고의 앞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앞면 판독 단계;
    상기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뒷면 판독 단계;
    상기 앞면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앞면의 상기 화상 정보로부터 제1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
    상기 제1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1 배경 레벨과 상기 뒷면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 및
    상기 제2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앞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경우에, 상기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배경 레벨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컴퓨터가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원고의 앞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앞면 판독 단계;
    상기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뒷면 판독 단계;
    상기 앞면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앞면의 상기 화상 정보로부터 제1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
    상기 제1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1 배경 레벨과 상기 뒷면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 및
    상기 제2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앞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1 배경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2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경우에, 상기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배경 레벨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0. 원고의 앞면과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과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의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배경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의 배경을 제거하기 위한 배경 제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앞면의 배경 레벨의 휘도값들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삭제
  12. 원고의 앞면과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앞면과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상기 뒷면의 배경 레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배경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상기 뒷면의 화상의 배경을 제거하기 위한 배경 제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원고의 앞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원고의 뒷면의 배경 레벨의 휘도값들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원고의 앞면과 뒷면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
    상기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과 뒷면의 상기 화상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의 배경 레벨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상기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배경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상기 앞면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원고의 뒷면의 화상 정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원고의 앞면의 배경 레벨의 휘도값들이 감소되도록 수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080130602A 2007-12-20 2008-12-1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005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9341 2007-12-20
JP2007329341A JP5196987B2 (ja) 2007-12-20 2007-12-20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115A KR20090067115A (ko) 2009-06-24
KR101005688B1 true KR101005688B1 (ko) 2011-01-05

Family

ID=4078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602A KR101005688B1 (ko) 2007-12-20 2008-12-1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43333B2 (ko)
JP (1) JP5196987B2 (ko)
KR (1) KR101005688B1 (ko)
CN (1) CN101465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1167B2 (ja) * 2007-10-25 2010-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44311B2 (ja) * 2008-01-24 2010-09-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1107274A (ja) 2009-11-13 2011-06-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8503733B2 (en) * 2009-11-16 2013-08-06 Xerox Corporation Show-through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inks on media
JP5915123B2 (ja) * 2010-12-27 2016-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12374B2 (ja) * 2011-09-29 2016-04-2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画像検査装置
WO2013052025A1 (en) * 2011-10-03 2013-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gion selection for counterfeit determinations
JP5539952B2 (ja) * 2011-12-28 2014-07-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79140B2 (ja) * 2012-02-03 2016-03-0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画像検査装置及び印刷画像検査方法
JP2015076832A (ja) * 2013-10-11 201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47210B2 (ja) * 2014-01-28 2016-01-20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82092B2 (ja) * 2014-03-10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001010B2 (ja) * 2014-06-11 2016-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23090A (zh) * 2016-03-17 2016-10-12 陈于中 一种消除拍摄得到的页面图像中透出的背面内容的方法
CN108073877A (zh) * 2016-11-18 2018-05-25 北京体基科技有限公司 基于种子区域和临近像素识别手部区域的方法及装置
JP6638884B2 (ja) * 2016-12-14 2020-0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8136654A (ja) * 2017-02-21 2018-08-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460191B1 (en) * 2018-08-20 2019-10-29 Capital One Services, Llc Dynamically optimizing photo capture for multiple subjects
JP7229723B2 (ja) * 2018-10-30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770A (ja) * 1996-05-22 1997-12-02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2004247789A (ja) 2003-02-10 2004-09-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読取処理装置、画像読取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6254472A (ja) 2006-03-28 2006-09-2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77797A (ja) 2007-01-18 2008-07-3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裏写り画像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528B2 (ja) 1991-09-04 2001-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3359180B2 (ja) 1995-03-28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3194352B2 (ja) * 1995-05-05 2001-07-30 アグフア−ゲヴエルト・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合成画像を再現する方法
JPH10257325A (ja) * 1997-03-10 1998-09-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320584A (ja) * 2000-05-08 2001-11-1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43028B2 (ja) * 2000-11-16 2005-04-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入力方法
JP2003338930A (ja) * 2002-05-21 2003-11-28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7209599B2 (en) * 2002-07-12 2007-04-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canned image bleedthrough processing
EP1739947B1 (en) * 2005-06-30 2013-10-02 Canon Kabushiki Kaisha Density determination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770A (ja) * 1996-05-22 1997-12-02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2004247789A (ja) 2003-02-10 2004-09-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読取処理装置、画像読取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6254472A (ja) 2006-03-28 2006-09-2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77797A (ja) 2007-01-18 2008-07-3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裏写り画像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115A (ko) 2009-06-24
US20090161124A1 (en) 2009-06-25
JP2009152900A (ja) 2009-07-09
US8243333B2 (en) 2012-08-14
CN101465942B (zh) 2011-03-02
CN101465942A (zh) 2009-06-24
JP5196987B2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688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JP488190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909490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CN108513039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记录介质
JP2010252344A (ja) 画像データの出力画像調整
US8018631B2 (en) Original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3847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502869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0154152A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US200601527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process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600994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22756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277752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739165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473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42157A (ja) 画像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200706790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245883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JP3989687B2 (ja) カラー画像処理方法、カラー画像処理装置、カラー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501125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200602003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389483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297810A (ja) デジタル画像データのセットに関連する画像のサイズを決定する方法
JP2023042893A (ja) 画像処理装置、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特徴量検出方法
JP438999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