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851B1 -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851B1
KR100983851B1 KR1020087019626A KR20087019626A KR100983851B1 KR 100983851 B1 KR100983851 B1 KR 100983851B1 KR 1020087019626 A KR1020087019626 A KR 1020087019626A KR 20087019626 A KR20087019626 A KR 20087019626A KR 100983851 B1 KR100983851 B1 KR 10098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forming
forming material
thermal transf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211A (ko
Inventor
가쿠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8008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33Natural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cellulose, protei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53Intermediate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6Substrates for image-receiving members; Image-receiving members comprising only one lay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53Temperature change for delamination [e.g., heating during delamin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11Heating or cooling delaminating means [e.g., melting means, freezing means,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고 소거하는 일련의 반복 과정에서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에 적합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도니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열전사를 통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재사용되며,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이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이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 종이이며,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METHOD FOR REUSING RECORDING MEDIUM, REUSABLE RECORDING MEDIUM, METHOD FOR PRODUCING REUSABLE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고 소거하는 반복적인 일련의 과정에서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에 적합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사진법, 잉크젯기록법 또는 열전사 기록법을 기반으로 하는 프린터, 아날로그 복사기, 디지탈 복사기 및 인쇄기 등이 널리 보급되어, 대량의 종이가 기록 매체로 소비되고 있다. 기록 매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는 나무로부터 생산된 재생가능한 펄프로 제조된다.
그러나, 다양한 종이 제조 단계, 예컨대 목재로부터 셀룰로스 섬유를 추출하는 펄프화 단계 및 최종 종이를 건조하기 위한 종이 건조 단계 등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이러한 단계들의 일부에서는 화석 연료 대신 펄프 추출 잔사물 인 흑액 등의 생연료를 사용하여 CO2의 양을 줄이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들 단계 모두가 이러한 생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화석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CO2 가스는 지구의 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여겨지고 있고, 또한 화석 연료 자원의 고갈 및 환경 보호도 심각한 문제로서, 종이의 소비량을 줄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연료의 절약을 통해서, 연료가 생연료인 경우에도, 종이 생산 이외의 분야를 위해서 사용되는 유효 연료를 얻을 수 있다. 최근, 종이 제조를 위한 목재의 난벌은 감소하였지만, 모든 종이가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삼림에서 얻어지는 목재일 수가 없으므로, 종이 소비량을 억제하여서 삼림을 보호하고 지구 환경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이다.
또한, 종이에는 일반적으로 연소 및 부패하지않는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기때문에, 종이를 처분하면 일정 비율로 매립이 필요한 폐기물이 발생한다. 하지만, 폐기물 매립지는 분명히 제한적이고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문제라는 관점에서도 종이의 소비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사용된 정보 기록 용지를 회수하고, 이 회수된 종이를 제지 공장에서 일단 펄프로 분해한 후 다시 종이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종이를 재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새로운 목재 자원은 필요로하지 않지만, 회수/운송, 재펄프화 및 종이 제조를 위해 다른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펄프로부터 출발해 종이를 제조하는 것과 거의 동등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강도, 백색도 및 인쇄시 번짐 등과 같은 품질상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보 기록 용지로서 사용되는 고품질 용지에 대해서 재생되는 펄프의 비율을 약 30%로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백색도가 높은 고품질의 정보 기록 용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재생되는 펄프의 비율을 제한하고 재생된 폐지로부터 펄프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일부 경우에서는 새로운 목재로부터 종이를 제조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높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의 회수 및 재생은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회사 또는 가정 밖으로 유포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기밀이나 개인 정보의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번 사용한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을 소거하여 기록 매체로서 재생하고 그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기록 매체로서 플라스틱, 금속, 액체 침투성이 없는 종이, 세라믹 등을 이용하며, 이 기록 매체와 열용융 화상 사이에 열용융성 박리체를 개재시키고 열용융성 박리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박리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형제로 처리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표면상에 열용융성 수지를 갖는 무한 벨트를 이용하여 전사 및 박리 제거하는 화상 제거 장치가 제안되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코트지 상에 실리콘 밀봉제를 코팅 및 건조하여 제조한 시트 또는 보통지상의 화상을 테이프를 접착 및 박리하여 제거하는 소거가능한 종이가 제안되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3에는 소거가능한 종이와 보통지를 혼동하여 잘못 폐기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화상 소거 장치로 보통 지가 잘못 처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기계적으로 보통지와 구별하기 위한 표시 또는 표식이 있는 소거가능 종이를 기술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 표시는 인쇄하거나 손으로 작성할 수 있고 표식은 구멍을 뚫어서 소거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문헌들에 기술된 기록 매체는 기재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실리콘 밀봉재를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 함유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재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기록 매체의 경우, 전자 사진법의 전사 단계 동안 상기 재료가 전하를 축적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전하는 전사 이후에도 재료로부터 거의 방산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사용자가 전기 충격을 받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은 대체로 종이보다 고가이다.
화상 제거가 용이하도록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용 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허 문헌 4등에 제안되어 있다. 확실히, 기록 매체 내 실리콘 화합물은 기록 매체 상에 박리제를 코팅하지 않고도, 열 및 압력을 이용한 전사를 통해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화성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실리콘 화합물은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 매체는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실리콘 화합물은 대체로 화상 정착능을 지나치게 떨어뜨려서, 화상 형성시 오프셋이 생겨 화질이 열화되거나, 사용시 화상 형성 물질이 기록 매체에서 탈락하여 화상을 판독할 수 없고/없거나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성펜이나 유성펜등을 이용하여, 실리콘 화합물이 코팅된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고, 실리콘 화합물이 수용성이 아니므로 수성 액체를 코 팅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플루오르화된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안하였다(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플루오르화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한 문제가 있었다. 즉, 불소 화합물도 역시 고가이므로, 기록 매체의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플루오로탄소 화합물은 대체로 과다한 발화상형성 효과를 제공하므로, 기록 매체 상에서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탄소 수지가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능을 과도하게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정착능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고/어렵거나 수성펜 또는 유성펜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플루오로탄소 화합물은 수불용성이고 일반적인 유기 용매에 대해서도 난용성이기 때문에 코팅을 위해서는 할로겐 함유 용매가 필수적이지만, 이는 환경 문제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플루오로탄소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알킬 기 함유 계면 활성제로 구성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함유하는 기록 매체를 제안하였다(예컨대, 특허 문헌 6 참조). 그러나, 플루오로탄소 화합물 및/또는 실리콘 화합물의 사용으로 상기 기술한 바와 유사한 문제들이 야기된다. 일부 경우에서, 알킬 기를 함유하는 발토너제가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계면 활성제가 단분자이고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이 계면 활성제가 박리 부재, 화상 형성 물질 및/또는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 결과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양 또는 비율이 변화가능하며,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능이 불안정하고/하거나 화상 형성 물질의 박리가 불충분하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여기서 전자 사진법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종이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함침시키고, 종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을 약하게 한 상태로 종이와 박리 부재를 가열 상태로 접촉시키고 압력을 가하여, 종이를 사용하여 열가요성 화상 형성 물질을 박리 제거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7 참조). 이 방법에 따르면, 수팽윤 종이 섬유와 비팽윤 화상 형성 물질간에 전단력이 발생되어 낮아진 접착력하에서 전사 및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일반적인 보통지에 적용하면, 종종 화상 형성 물질과 종이 사이 접착력이 증가되어 화상 형성 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않거나, 때때로 종이의 일부가 화상 형성 물질과 함께 박리 제거된다. 이는 또한, 물의 첨가가 주름이나 말림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추가되는 물을 미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 및/또는 화상 소거 장치에서 반복적으로 사용시에 종이 걸림이 야기된다는 문제가 있다. 물을 대량으로 가하면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재생된 기록 매체의 치수 변화가 초래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특허 문헌 7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물을 함유하는 액체에 함침시켜서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의 표면 상에 알킬 케텐 이량체와 같은 알킬 기를 갖는 화합물을 도포하여, 토너와 표면 장력이 동일한 액체와의 접촉각을 제어하여 토너와의 접착 력을 제어한 기록 매체를 제안하였다(예컨대, 특허 문헌 8 참조). 특허 문헌 8에서는, 알킬 케텐 이량체와 같은 합성 사이징제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물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제안은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과 기록 매체간의 접착력은 물을 첨가하여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에 따라, 접착력이 과도하게 강하기 때문에 화상 소거 촉진 액체로서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화상 소거 과정에 특허 문헌 8에 개시된 기록 매체를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사이징제의 알킬 케텐 이량체는 융점이 40∼70℃인 단분자 화합물이므로, 화상 형성 물질을 소거하는 과정 및/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고온으로 알킬 케텐 이량체가 융해되어 박리 부재, 화상 형성 물질 및/또는 기록 매체로의 이동이 촉진되고, 그 결과 기록 매체 표면 상에 존재하는 양 또는 비율이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의 반복 사용은 종종 정착능이 불안정해지거나 화상 형성 물질의 박리가 어려워지거나, 기록 매체의 마찰 계수가 저하되거나, 기록 매체의 수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록 매체 상에 적용된 알킬 케텐 이량체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화상 소거 장치의 급지 롤러로 이동하여, 기록 매체의 수송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8은 알킬 케텐 이량체 이외에도 계면 활성제로서 스티렌, 올레핀 또는 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이들 중합체의 구체적인 분자 구조 또는 알킬 케텐 이량체보다 우수한 효과 등의 관점에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출원(JP-A) 제01-297294호(일본 특허(JP-B) 제2958772호)
특허 문헌 2 : JP-A 제04-64472호(JP-B 제2584112호)
특허 문헌 3 : JP-A 제04-67043호
특허 문헌 4 : JP-A 제10-319620호(JP-B 제3690063호)
특허 문헌 5 : JP-A 제06-219068호(JP-B 제3222613호)
특허 문헌 6 : JP-A 제10-74025호
특허 문헌 7 : JP-A 제07-13383호(JP-B 제3345472호)
특허 문헌 8 : JP-A 제08-286579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기재한 이점 (i) 내지 (v)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더욱 다른 목적은 다른 측면으로부터 하기에 기재한 이점 (i) 내지 (v)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일반적인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 특히 전자 사진 방법에 적용할 수 있고, 그 화상은 실용적인 방식으로 정착될 수 있으며, 형성된 화상을 물이나 유기 용매 등의 화상 제거 촉진액을 도포하지 않고,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일련의 화상 형성/소거 과정에 반복적으로 적용가능하다.
(ii) 화상 형성 방법, 특히 전자 사진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열정착시에 오프셋에 의한 화상의 탈락 및/또는 배경 번짐없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iii) 기록 매체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화질, 정착능 또는 소거능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iv) 기록 매체의 제조에서 비용 및/또는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v) 화상 형성 또는 화상 소거를 위한 장치 또는 과정에서의 자원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 또는 소거 과정에서 산출되는 매립해야하는 폐기물, 환경 부하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열전사를 통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이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상기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 종이이고,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image-repellent substance)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 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는 실용적인 정착능을 가지고 기록 매체에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 상기 중합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물질은 화상 제거 촉진액을 사용하지 않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고화질 화상이 형성되고 정착능이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얻어진 화상은 열전사법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완전하게 소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는 알파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가지며, 탄소 원자수가 10 이상인 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를 비누화시켜서 제조한다.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방법에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비누화 중합체를 함유하는 기록 매체는 열가교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과 적절한 접착력을 나타내고 열전사 방법을 통해서 기록 매체 상에 정착된 화상 형성 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 매체의 마찰 계수가 적당한 범위에 있게 되므로, 기록 매체의 수송성 및/또는 필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중합체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므로, 일반적인 종이 제조용 사이즈 프레스 설비를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연소성에 대한 대책없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처리액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이외에도,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 및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고형분으로서 상기 중합체 대 화합물의 중량비가 1:50∼1:1인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중합체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저렴하여, 기록 매체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 범위의 양으로 상기 기술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필기성을 향상시키고/시키거나, 기록 매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정착능과 박리성의 균형성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전분 및 전분 유도체는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CO2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환경 부하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액은 고형분으로서 0.5∼4 g/㎡의 양으로 종이의 한쪽 면에 도포하게 된다.
상기 양의 처리액으로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성 및 소거성의 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즉, 화상 형성 물질과의 적절한 접착성을 비롯하여 셀롤로스 섬유에 의한 비교적 큰 불규칙성으로 인해 정착능이 증가하고,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영향도 균형감이 좋아서, 열전사를 통해서 박리 부재 상에서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통해서 재사용이 가능한 기록 매체 상에 표식을 표시한다.
기록 매체 상의 표식은 사용자가 재사용가능한 물질을 희망하는 경우에 확실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및/또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자의 선택 또는 화상 형성 또는 화상 소거 장치에서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표식은 화상 소거 장치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기록 매체가 도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러한 도입에 의한 종이 막힘 등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육안으로 재사용 불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재사용가능하다는 표식은 다양한 경우에 가치가 있다.
바람직하게, 화상 형성 물질은 화상 제거 촉진액을 도포하지 않고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제거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화상 제거 촉진액을 배제하는 것은 기록 매체에서 셀룰로스 섬유의 불균일한 팽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화상 형성 또는 화상 소거 장치에서 구김, 주름 또는 막힘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기록 매체의 재사용 회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물과 같은 매질을 증발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화상 형성 물질은 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왁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화상 형성 물질 중 1 중량% 이상의 왁스는 실리콘 오일 등의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화상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부분 또는 부재 예컨대 정착 롤러, 정착 벨트, 중간 전사 롤러 등으로 화상 형성 물질이 전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 전사에서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박리 부재의 표면 층내 열가소성 수지는 불규칙성이 높더라도 기록 매체 상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는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 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이용한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를 통해서 화상 형성 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박리 부재의 내구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상은 열가소성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전자 사진 방법을 통해서 형성된다.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의 사용을 통해서, 비교적 표면 불규칙성이 높은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하기 기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의 경우에서 적절한 정착능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사용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종이이고,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기술한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기술한 이점은 화상 형성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이의 반복 사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서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이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방법은 건조 단계를 1회를 넘지 않게 수행가능하게 하여서, 기록 매체의 생산 비용 및 환경 부하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중합체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종이 제조용 사이즈 프레스 설비를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는 열가소성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열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열정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열정착 수단은 화상의 탈락 또는 배경 번짐없이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열정착 수단은 정착 부재의 표면상에 액체 이형제를 도포하는 기능이 없는 무오일 정착 장치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물질은 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왁스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물질 중 1 중량%의 왁스는 실리콘 오일 등과 같은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착 롤러, 정착 벨트, 중간 전사 롤러 등의 화상 형성 과정 중 다양한 부분 또는 부재 상으로 화상 형성 물질이 전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급지 카세트로서, 다수의 급지 카세트 중 하나 이상은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저장하는 것인 복수의 급지 카세트, 및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경우에 따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사용을 선택가능하게 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가 재사용가능한 것을 도시하기 위해 부여되는 예시적인 표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가 재사용가능한 것을 도시하기 위해 부여되는 예시적인 표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가 재사용가능한 것을 도시하기 위해 부여되는 예시적인 표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가 재사용가능한 것을 도시하기 위해 부여되는 예시적인 표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방법을 통해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급지 카세트의 급지 방향에서 보이는 후단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화상 소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A는 복수 홈 나선형 엣지를 포함하는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블레이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B는 복수 홈 나선형 엣지를 포함하는 도 4에 도시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박리 부재의 측면 엣지와 접촉하는 디스크 클리닝 블레이드의 확대도이다.
도 7은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화상 소거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방법은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상기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종이이고,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 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셀룰로스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이를 제조한 후,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도포하여, 화상 제거 촉진액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종이 제조에 사용되는 셀룰로스 섬유는 목재 예컨대 화학 펄프 및 기계적 펄프, 비목재 예컨대 사탕수수 찌끼 및 케나프, 헌종이의 재생 펄프, 또는 폐시트로부터의 재생 펄프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셀룰로스 섬유는 탄산칼슘,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및 황산바륨 등의 안료 및/또는 사이징제 예컨대 로진계, 알케닐 숙시네이트 및 알킬 케텐 이량체, 및 다른 화학물을 함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는 기록 매체와 그 위의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을 감소시켜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열전사를 통해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그 측쇄에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아킬기를 갖는 중합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비교적 긴 측쇄에 의해 기록 매체 내 및/또는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기록 매체의 반복 사용시에 화상 형성 물질의 안정한 정착능 및 박리성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 기술로 기재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계면 활성제 또는 왁스류의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는 화상 형성 물질을 전사 또는 소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지만, 계면 활성제나 왁스는 분자량이 작은 단분자이기 때문에, 특히 고온 다습한 조건하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 매체를 보관하는 경우에 정착능 및/또는 박리성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반복 사용 동안, 박리 및/또는 제거 단계에서 열스트레스 및/또는 가압 작용으로 인해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가 박리 부재, 화상 형성 물질 또는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능 및/또는 박리성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는 중합체이므로, 비교적 긴 분자 길이로 계면 활성제 및 단량체 등의 단량체에 비해 분자 이동이 억제되며, 그 결과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의도한 효과를 발휘하고 보관 또는 반복 사용에서의 불안정성이라는 문제가 해결된다.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중합체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 3∼5000이다. 중합체의 중합도가 너무 낮으면, 단분자 계면 활성제 또는 왁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박리 부재, 화상 형성 물질 또는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능 및 박리성이 불안정하게 된다. 반면, 중합도가 과도하게 높은 중합체는 수용해성이 감소하거나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중합체 용액을 코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중합체의 중합도는 특히 20∼1000이 바람직하다.
측쇄에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는 물이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리 부재 상에서 화상 형성 물질의 열 전사를 가능하게 하고, 기록 매체에서 제거하기에 충분하게 화상 형성 물질의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미만인 알킬 기를 갖는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는 접착력을 충분하게 저하시키지 않는다.
탄소 원자수의 한계치는 없지만, 탄소 원자수가 26 이상인 화합물은 입수가 곤란하다.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기록 매체의 적절한 발화상형성성 및 정착능과 박리성의 적절한 균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24,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2이다.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알킬기는 화상 형성 물질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킬 기의 탄소 원자 수가 클수록,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가 보다 커진다. 구체적으로, 최적의 탄소 원자수는, 알킬기 이외의 분자 구조 또는 중합체 내 알킬기의 함량이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합체에 따라 다양하다.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중합체의 구체예는 비누화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올레핀-아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공중합체, 올레핀-메타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과 올레핀의 그라프트 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과 올레핀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아크릴산 중합체는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알콜과 (메타)아크릴산의 반응 산물인 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반응시켜서 합성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 중에서, 기록 매체의 적절한 발화상형성성 및 정착능과 박리성간의 적절한 균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올레핀과 말레산 무수물의 중합체의 수성 또는 수분산성 비누화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올레핀은 바람직하게 탄소 원자수가 10 이상이고 알파 위치 또는 사슬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가지며, 부가 중합 반응을 통해서 중합가능한 탄화수소를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하기 식에서, R1은 직쇄 알킬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2
올레핀은 또한 알파 위치 또는 사슬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가지고 탄소 원자수가 10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하기 식에서, R3 및 R4는 각각 선형 알킬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3
알파 위치 이외에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4에서, R5 및 R6은 각각 탄소 원자 수가 1 이상인 직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4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중합체를 형성하는 올레핀 단량체는 상기 어떠한 예의 화합물이더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파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을 사용한다. 즉, 알파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을 중합하는 경우, 주쇄 내에 알파 올레핀 단량체의 말단에 두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측쇄에 다른 탄소 원자를 갖는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원자 수가 13인 알파 올레핀을 중합할 경우, 탄소 원자 수가 11개인 중합체가 합성된다.
바람직하게, 올레핀 단량체의 탄소 원자 수는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20이다. 탄소 원자 수가 10보다 적은 경우에는, 발화상형성성이 불충분할 수 있는데, 특히, 유기 용매 또는 계면 활성제 함유 액체 없이는 박리 부재로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이 거의 전사되지 않는다.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는 가열 및 가압하에서 올레핀과 말레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합성할 수 있다.
시판되는 대량 생산물로서 올레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 원자수가 다양한 올레핀의 혼합물이다. 탄소 원자 수가 9 이하인 올레핀을 도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정착능이나 소거성에 대해서 효과가 거의 없다.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기록 매체의 정착능 또는 소거성은 올레핀 혼합물 내 탄소 원자수가 높은 화합물에 따라 다양하다. 올레핀은 알파 위치에 이중 결합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파 위치 이외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은, 중합 반응이 거의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다른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말레산 무수물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5
말레산 무수물 및 올레핀에 대해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둘 모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양자를 유기 용매 없이 양자를 혼합하고 고압 반응기에서 가열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중합 반응에서 올레핀 단량체 대 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는 바람직하게 1.3/1∼1/1.3의 범위이고, 적절한 정착능 및 안정한 화상 소거성을 제공하는 중합체가 생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지만, 몰비의 범위에 따라 규칙성이 높은 교대식 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의 중합체가 생기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달리 말해서, 발화상형성성을 부여하는 올레핀부와 수용성을 부여하는 말레산부를 규칙적으로 갖는 중합체를 종이 제조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도포하여 제조된 기록 매체의 종이는, 기록 매체를 건조한 후에도 말레산부가 이에 화상 형성 물질과의 친화도를 부여하는 표면을 가지고, 따라서 말레산부에 의한 정착능 및 올레핀부에 의한 화상 소거능의 균형성이 좋아서, 결과적으로 안정하게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리핀 단량체와 말레산 무수물 단량체의 중합 반응에 의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가수분해하고 비누화하여,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용 처리액으로서 사용되는 수용성 중합체를 제조한다.
알칼리 용액에서 가수분해 및 비누화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기 식에서, M1 및 M2는 각각 염기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6
염기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4급 암모늄 화합물 및 포스포늄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에서 비누화시켜서 수용성 중합체로서 사용한다.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암모늄 염을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 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종이 제조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가열 및 건조하면, 염으로부터 암모니아가 이탈하여 비누화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가 물에 난용성 또는 불용성이 되어서,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함유하는 물질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염기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및 비누화시켜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수용성으로 만들고, 수성 용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상에 가하는 일련의 공정들은, 공정에서 유기 용매보다는 수성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하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누화된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는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전분, 전분 유도체 및 폴리비닐 알콜 등의 일반적인 저렴한 표면 사이징제와 혼합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표면 사이징제와의 조합을 통해서 안정성이 높고 환경 부하가 적으면서 저렴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실리콘 화합물 또는 플루오로탄소 화합물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 제안되었지만, 실리콘 화합물 또는 플루오로탄소 화합물은 물에 거의 용해되거나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이들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은 곤란하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은 화상 소거성이 만족스럽더라도 화상 정착능을 과도하게 저하시키므로, 화상 형성시 오프셋에 의해 화질이 악화되고, 사용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의 탈락하여, 화상을 판독하기 어렵고/어렵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한 후, 이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함유하는 처리액은 얻어진 종이가 완전하게 건조되기 전에 도포되는데, 그러면 처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종이 제조 후 및 처리액 도포 후에서의 이중 건조를 피하게 된다.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물 및 친수성 유기 용매 이외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곤란한데, 물은 생산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용매이다. 따라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일 것이 요구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에서 비누화하여 수용성 중합체로서 사용하게 되고, 또한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수용성 또는 이온성 화합물로서 사용한다.
종이 제조 단계 후 사이즈 프레싱 단계는 종이 제조 방법에서 일반적인 단계이므로, 얻어진 종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이 단계에서 사이징제를 첨가하다.
2롤 사이징 프레스, 메탈링 롤이 구비된 게이트 롤 사이징 프레스, 및 메탈링 롤이 구비된 로드 메탈링 사이징 프레스가 일반적으로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임의 사이징 프레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통상의 사이징 프레스를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기 위한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처리액에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 및 수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고형분으로서 상기 중합체 대 상기 화합물의 비율이 1/50∼1/1의 양으로 포함시킨다.
이들 화합물은 비교적 저렴하므로, 기록 매체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중합체와 상기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을 통해서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 간의 정착능 및 박리성의 균형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화합물 중에서,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산화전분 및 인산전분 등은 식물로부터 유도된 것으로서, CO2의 배출량을 줄이고 환경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의 액체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 및 다른 화합물을 고형분으로서 1/50∼1/1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함량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효과가 불충분하여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이 충분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한 화합물없이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의 중합체만을 사용하여 정착능 및 박리성의 균형성을 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중합체 이외의 화합물을 도입하면, 종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볼펜, 연필, 만년필, 유성 잉크 마커 및 수성 잉크 마커 등의 필기 도구를 사용한 필기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들의 저렴한 가격 덕분에 기록 매체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처리액은 백색도, 투명도 및 마찰 계수, 식별 정보용 착색 등의 관점에서 기록 매체를 개선시키고, 필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백색 안료의 예로는 무기 안료 예컨대 카올린,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탄산칼슘, 알루미나, 규조토, 황산바륨 및 실리카 등, 및 유기 안료 예컨대 가교된 스티렌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및 우레아 수지 등이 포함된다.
프탈로시아닌 등의 유색 안료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인지 아닌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추가 염료는 상기 정보를 위해서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착색시킬 수 있다.
사이즈 프레싱 단계에서 도포되는,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함유하는 처리액의 최적량은 화상 형성 물질 또는 셀룰로스 섬유의 두께 또는 길이에 따라 다양하고, 고 품질 종이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라프트 펄프의 경우에서는 한쪽 면에 대해서, 고형분으로 바람직하게 0.5∼4 g/㎡의 양을 사용한다.
양면을 사용하고 구김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양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물을 동일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조성물의 양은 건조량으로서 1∼8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의 평활도를 증강시키기 위해서, 기록 매체에 대해서 수퍼 칼렌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리는 화상 소거능을 증강시키고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화상 형성 물질을 소거한 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식별하기 위한 표식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일반적인 재사용 불가능한 기록 매체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여된 조성물의 양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육안으로 재사용 불가능한 기록 매체와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여러 경우에 있어서 재사용가능한 것을 식별하기 위한 표식은 가치가 있다.
재사용가능을 식별하는 표식의 예로는 도 1A와 같은 절취부(notch), 도 1B에 도시한 구멍, 도 1C에 도시한 다수의 구멍, 및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코드 등이 있으며, 또는 바코드 이외에 UV선 및 IR선 등과 같이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는 흡광 잉크, 형광 잉크, 염료 및 안료 등을 이용해서 인쇄한 마크를 비롯하여, 전자기파에 감응하거나 이를 발생시키는 IC 팁을 이용할 수 있다.
재사용가능을 식별하는 표식은 화상 형성 또는 소거 과정 동안 거의 사라지지 않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기술한 절취부 또는 구멍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본 발명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수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화상을 형성 및 소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고, 여기서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 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 사이의 접착력보다 높다.
종이와 같이 표면이 불규칙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열전사를 통해서 화상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데, 열가소성이 없는 화상 형성 물질은 화상 형성 물질과 박리 부재 사이에 충분한 접촉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가열하여 화상 형성 물질을 연화시키고,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과 박리 부재를 접촉시킨 후, 기록 매체와 박리 부재를 분리하고, 박리 부재 상에 화상 형성 물질을 전사시켜서,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록 매체 상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물질은 하기의 특성을 필요로 한다: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을 가지며 박리 부재에 부착한다; 화상 형성 물질은 기록 매체와 박리 부재를 분리시 기록 매체와의 접착력보다 응집력이 크다; 화상 형성 물질은 기록 매체로 깊이 침투하지 않도록 열연화 조건에서 중간 정도의 탄성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 물질은 박리 부재와 접촉하도록 기록 매체 상에 어느 정도 두께를 갖는다.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은 화상 형성 물질이 상기 기술한 필수적인 특성을 갖는 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방법은 예를 들어 통상의 전자 사진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 감광체에 정전기적으로 전하를 부여하고, 노광을 통해 형성된 잠상은 분말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시키며, 이 현상된 톤 화상을 직접 기록 매체 상에 전사하거나, 중간 전사체를 통해 전사하고, 가열을 통해 화상 형성 물질을 정착시킨다.
감광체가 구비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 사진 장치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화상 형성 물질로서 사용되는데, 이 화상 형성 물질을 기록 매체 상에 전사한 후, 화상 형성 물질을 가열 롤러, 열정착 벨트, 광조사 수단 등으로 구성된 열정착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사시킨다.
감광체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방법 외에도, 바늘 전극 등을 이용하여 이온 스트림을 제어해서 정전 화상을 형성하고, 분체 토너를 이용해 현상하는 정전 기록 방법, 또는 분체 토너 입자의 스트림을 전극을 통해 제어하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소위 토너-젯 방법 등의 다른 방법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하게 기록 매체 상에 열정착되는 열가소성 토너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용융된 잉크를 중간 전사체에 토출하고 얻어진 화상을 기록 매체 상으로 전사시키는 열용융 잉크젯 기록 방법, 열감응성 전사 리본 상의 잉크를 가열 소자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기록 방법, 그라비어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패드 인쇄법 및 스텐실 인쇄법 등의 인쇄 방법을, 잉크를 열가소성으로 적당한 점탄성을 갖도록 제조한다면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다.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의 입경은 사용 분야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체적 평균 입자 크기가 3∼15 ㎛인 것이 기록 매체 상에 비교적 두꺼운 우수한 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은 통상의 밀링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거나, 또는 밀링 방법과 비교하여 입자 직경, 입자 직경 분포, 형상 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분산 중합법 및 현탁 중합법 등과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것, 또는 기타 본 발명에 적절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정착능 및 박리성을 나타내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 p-클로로스티렌, 스티렌-p-클로로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나프탈렌 공중합체, 스티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옥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알파-클로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케톤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인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에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수지; 에폭시폴리올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아크릴산 수지, 로진, 변성 로진, 테르펜 수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석유계 수지 등이 포함된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스티렌-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의 함량은 화상 형성 물질 중에서 바람직하게 50∼9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97 중량%이다. 화상 형성 물질 내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온도 Tg, 용융 온도 및 점탄성은 화상 형성 물질의 적절한 정착능/소거성을 나타내기 위해 중요하다. 40℃∼100℃의 유리 전이 온도를 통해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정착 및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절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유리 전이 온도는 50℃∼70℃이다.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수지는 주파수 20 Hz 및 온도 80℃ 이상, 바람직하게, 90∼160℃에서 저장 탄성률이 10000 dyne/㎠로 나타난다.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정착시키는 공정에서, 100℃ 이상에서 가열된 정착 부재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 형성 물질을 가압하고 정착시킨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력은 선속, 가열 기간 및 압력에 의존적인데, 일반적으로 100℃보다 낮은 온도의 가열 부재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그 정착력이 불충분하므로, 바람직한 정착 부재의 가열 온도는 100∼240℃ 이다.
화상 형성 물질은 선택 성분으로서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착색제의 예로는 흑색 안료 예컨대 카본 블랙 및 산화철; 노란색 안료 예컨대 C.I.피그먼트 옐로우 12, C.I.피그먼트 옐로우 13, C.I.피그먼트 옐로우 14, C.I.피그먼트 옐로우 15, C.I.피그먼트 옐로우 17, C.I.피그먼트 옐로우 93, C.I.피그먼트 옐로우 94, C.I.피그먼트 옐로우 138, C.I.피그먼트 옐로우 155, C.I.피그먼트 옐로우 156, C.I.피그먼트 옐로우 180, C.I.피그먼트 옐로우 185, 등; 마젠타 안료 예컨대 C.I.피그먼트 레드 2, C.I.피그먼트 레드 3, C.I.피그먼트 레드 5, C.I.피그먼트 레드 16, C.I.피그먼트 레드 48:1, C.I.피그먼트 레드 53:1, C.I.피그먼트 레드 57:1, C.I.피그먼트 레드 122, C.I.피그먼트 레드 123, C.I.피그먼트 레드 139, C.I.피그먼트 레드 144, C.I.피그먼트 레드 166, C.I.피그먼트 레드 177, C.I.피그먼트 레드 178 및 C.I.피그먼트 레드 222 등; 시안 안료 예컨대 C.I.피그먼트 블루 15, C.I.피그먼트 블루 15:2, C.I.피그먼트 블루 15:3, C.I.피그먼트 블루 16 및 C.I.피그먼트 블루 60 등이 포함된다. 이들 착색제는 바람직하게 0.5∼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1∼10 중량%의 양으로 화상 형성 물질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물질은 몰드 이형제로서 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의 예로는 카르나우바 왁스, 몬탄 왁스, 밀납, 파라핀 왁스 및 미세결정성 왁스가 포함된다. 이들 왁스를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화상 형성 물질에 도입하는 것을 통해서 열 정착 롤러 또는 정착 벨트에 실리콘 오일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열정착 롤러 또는 정착 벨트 상에 부분적으로 화상 형성 물질이 부착되는 소위 오프셋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록 매체는 셀룰로스 섬유을 주성분으로 하고, 추가 고형분 함량이 사이즈 프레싱에서 첨가할 수 있는 양보다 많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물질은 셀룰로스 섬유와 서로 엮어질 수 있고, 정착능은 실제 사용에서 충분한 정도의 기계적 앵커 효과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서, 오프셋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상 제거 촉진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박리 부재에 대해 화상 형성 물질을 전사 및 제거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추가되는 고형분 함량이 사이즈 프레싱에서 첨가할 수 있는 양보다 많지 않고 셀룰로스 섬유에 의한 일부 불규칙성이 잔존하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틸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내열성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니켈 등의 금속만으로 형성된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충분히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소거 공정에서,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표면층을 갖는 박리 부재와 기록 매체를 접촉시키고 가열하는 경우, 열가소성층이 가소적으로 변형되어서, 오목부에서 높이가 낮은 화상 또는 높이가 높은 문자 화상으로 둘러싸인 저밀도 그레이 스케일 화상과 박리 부재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여서 기록 매체 상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열가소성 표면층을 갖는 박리 부재의 사용만으로는 구체적으로 내구성으로 인해 어떠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제공하고, 박리 단계를 하류 및 상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류에 대한 박리 부재는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 표면층을 갖는 박리 부재이다.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전사 사진 방법을 통해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노란색(Y), 마젠타(M), 시안(C), 블랙(K) 화상을 각각 감광체상에 형성시키고, 상이한 스테이션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 화상 전사 부재(217) 상으로 전사하고, 중간 화상 전사 부재(217)에 전사된 화상을 기록 매체 수납 용기(231)로부터 운송된 기록 매체(237) 상에 전사시키고, 화상 형성 물질로부터 형성된 분말 화상을 화상 정착 롤러(244)를 이용하여 열정착을 통해 기록 매체(237)에 정착시킨다. 이러한 전자 사진 칼라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이며, 통상적인 직렬형 칼라 전사 사진 장치로 분류된다.
상기 노란색(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하기와 같은 공지의 전자 사진 장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감광체(201)(201Y, 201M, 201C 및 201K), 감광체(201)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202)(202Y, 202M, 202C 및 202K), 광조사 수단(도시하지 않음), 현상기(203)(203Y, 203M, 203C 및 203K), 코로나 와이어 대전기(205)(205Y, 205M, 205C, 205K), 전계 인가용 수단(206)(206Y, 206M, 206C 및 206K) 및 클리닝 수단207(207Y, 207M, 207C 및 207K)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임의 선택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의 예로는, 화상 전사 후 감광체(201) 상에서 대전을 제거하기 위한 대전 제거 수단 예컨대 AC 대전기 및 광 조사기; 반복 사용에 의한 열화 또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라도 일정 수준으로 감광체(201)의 표면 전위를 유지시키기 위한 대전기(202)에 인가된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함께 감광체(201)에 인가된 대전 전압을 검지하기 위한 제어 수단 등이 있다. 화상 전사후 감광체(201)로부터 토너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클리닝 수단(207)(207Y, 207M, 207C 및 207K)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201) 상에 형성된 분말 화상을 대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코로나 와이어 대전기(205)(205Y, 205M, 205C 및 205K)를 제외시킬 수 있다.
무한 벨트인 중간 전사 벨트(217)는 롤러(211, 212, 214 및 215)가 이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장력 인가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중간 화상 전사 벨트(217)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한다. 중간 화상 전사 벨트(217)는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21), 예컨대 브러시 또는 롤러 등을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한 후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거나 균일하게 하기 위한 대전 제거 수단 및/또는 대전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상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 수납 용기(231)(231a, 231b, 231c, 231d)에 수납되어 있고, 급지 롤러(232)(232a, 232b, 231c, 231d)에 의해 종이 수송 시스템으로 공급되고, 급지 롤러쌍(233)(233a, 233b, 233c, 233d, 233e, 233f, 233g, 233h, 233i)을 통해 수송된다. 전계 인가용 수단(242), 예컨대 전압 인가 롤러 또는 코로나 와이어 대전기 등의 작용으로, 분말 화상은 중간 화상 전사 벨트(217)로부터 기록 매체로 전사된다.
기록 매체에 전사된 화상 형성 물질은 가열 롤러 또는 가열 벨트(244) 및 가압 롤러(245)를 포함하는 화상 정착 수단의 작용에 의해 정착된다. 정착 화상을 보유한 기록 매체는 배지 롤러쌍(241)을 지나서 배지 트레이(240) 상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급지 카세트(231a, 231b, 231c, 231d) 중에서, 급지 카세트(231a)에 수납되고, 재사용 불가능한 기록 매체는 다른 카세트(231b, 231c, 231d)에 수납된다.
도 3은, 급지 카세트(231a)를 급지 방향에서 본, 후단 엣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급지 카세트(231a)의 후단 및 측단부 근방에 발광 소자(238)와 수광 소자(239)가 설치되어 절취부나 구멍을 검지한다.
수광 소자(239)의 신호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되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인쇄하는 제1 인쇄 모드 또는 재사용 불가능한 기록 매체를 인쇄하는 제2 인쇄 모드의 인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 패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1 화상 형성 모드는 예컨대 "재사용", "종이 재사용", "재사용 모드", "전용지", "재사용 종이", "자원 절약", "단기 열람" 또는 "단기 사용" 등으로 표시되는 버튼이나 선택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모드는 예를 들어, "화상 정착 모드", "고 화상 정착", "정착 모드", "보통지", "새로운 종이", "문서 보관" 또는 "외부 배포" 등으로 표시되는 버튼이나 선택지로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모드의 선택은 또한,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모드를 우선 모드이도록 하고,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을 가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제1 화상 형성 모드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제2 화상 형성 모드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제2 화상 형성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화상 소거에 사용하는 화상 소거 장치는 하기에 일례로 설명하는 박리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예 (i)
도 4에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사용하는 화상 소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장치는 열전사에 의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가 두 가지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가압 롤러(711), 가열 롤러(712), 가열기(213), 박리 부재(717), 분리 블록(714), 장력 롤러(715), 클리닝 백업 롤러(716), 클리닝 블레이드(310) 및 화상 형성 물질 회수 용기(719)는 기록 매체와 접하는 표면층이 가열 및 가압 온도에서 비가소성인 박리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물질 제거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가압 롤러(711)는, 예컨대, 직경 35 mm, 두께 3 mm의 알루미늄이나 스테인 레스로 이루어지는 롤러이며, 두께 3 mm의 실리콘 고무등의 탄성층을 갖고 있다. 스프링, 수압 또는 공기압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가압 롤러(711)와 가열 롤러(712) 사이에 제공되어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700)와 박리 부재(717)가 접촉하고 가압된다. 가열 롤러(712)는, 예컨대, 직경 35 mm, 두께 3 mm의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롤러이며, 그 표면은 화상 형성 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되지 않도록 플루오로탄소 수지로 처리된다.
가압 롤러(711)의 표면도 화상 형성 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되지 않도록 플루오로탄소 수지로 처리된다. 가열 롤러(712)의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및 적외선 램프 등의 가열기(213)가 내장되어있다. 가열 롤러(712)의 표면 온도는 표면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검지되고, 검지된 온도를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하여 가열기로의 전력을 제어하여 설정 수준으로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유지시킨다.
박리 부재(717)는 무한 벨트이고, 가열 롤러(712), 분리 블록(714), 장력 롤러(715) 및 클리닝 백업 롤러(716)에 걸쳐서 뻗어있다. 장력 롤러(715)는 압박 수단이 설치되어서 박리 부재의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박리 부재(717)와 화상 형성 물질의 접착력은 화상 형성 물질과 기록 매체의 접착력보다도 강한 것이 필요하다.
박리 부재(717)는 두께가 약 75 ㎛∼300 ㎛이다. 박리 부재(717)의 재료는 바람직하게 필름이고 일반적인 화상 전사 온도인 60∼150℃에서 가소성이 없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는데,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틸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등이 포함된다.
가압 롤러(711)는 기어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동 모터에 결합하여 구동된다. 박리 부재(717)는, 예컨대, 선속 15∼150 mm/sec로 구동된다.
클리닝 블레이드(310)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 스틸로 제조된 직경 25 mm의 복수의 나선형 홈부를 갖는 블레이드 롤러이다. 기록 매체(770)로부터 전사된 박리 부재(717) 상의 화상은, 클리닝 블레이드(310)를 박리 부재(717)에 대해 역으로 회전시키면서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310)를 박리 부재(717)와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서, 310a는 나선형 홈의 엣지이고, 310b는 나선형 홈부이며, θa는 블레이드 롤러의 중심축과 나선형 홈의 엣지 사이의 각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θa는 박리 부재(717)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이 적합하게 제거되는 범위로 설정된다. 클리닝 백업 롤러(716)는 스폰지와 같이 경도가 낮은 탄성체를 표면에 보유하고 있고, 스프링, 수압 또는 공기압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서, 닙이 형성되도록 클리닝 블레이드(310)에 압력을 가한다. 박리 부재(717)에 의해 파기되어진 화상 형성 물질(730)은 화상 형성 물질의 회수 용기(719)에 모아진다.
도 4에 있어서, 가압 롤러(721), 가열 롤러(722), 가열기(723), 박리 부재(727), 분리 롤러(724), 클리닝부-가열 롤러(226), 가열기(720), 화상 형성 물질-가압 롤러(225), 클리닝 블레이드(728) 및 화상 형성 물질 회수 용기(729)는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표면층이 상기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박리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물질-제거/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압 롤러(721)는 상류측의 화상 형성 물질 제거/처리부와 유사하게, 실리콘 고무와 같은 내열 탄성층을 갖는다. 가압 롤러(721)와 가열 롤러(722) 사이에 스프링, 수압, 공기압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700)와 박리 부재(727)를 접촉시키고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 롤러(722)의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및 적외선 램프 등의 가열기(723)가 내장되어 있다. 가열 롤러(722)의 표면 온도는 표면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검지되고, 검지된 온도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어 가열기로의 전력을 제어하여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설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박리 부재(727)는 무한 벨트이고, 가압 롤러(721), 분리 롤러(724),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에 걸쳐서 뻗어있다. 압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는 분리 롤러(724)가 장착되어서 박리 부재의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가한다. 분리 롤러는 직경 약 10 mm 정도의 롤러이며, 그 곡율에 의해 기록 매체와 박리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의 많은 부분이 상류측에서 제거되므로, 상류에 비하여 하류쪽에서 기록 매체와 박리 부재 사이의 접착력이 비교적 작으며, 따라서 하류의 분리 블록은 상류에서 처럼 곡율이 작을 필요는 없다.
박리 부재(727)는 두께 약 75∼300 ㎛의 벨트이고, 그 표면에는 통상의 화상 전사 온도인 60∼160℃의 범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층이 제공된다.
박리 부재(727)의 기재는 화상 형성 물질과 기록 매체 사이에서 보다 강하게 가소성 층과 부착할 필요가 있는데, 재료는 상류측의 박리 부재(717)의 중합체 필름과 유사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틸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토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이다.
기재는 분사 처리, 코로나 방출, UV선 조사, 이온 조사, 전자빔 조사 및 산화 처리 등을 통해 표면을 거칠게 하여서 가소성 층과의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기재 상의 가소성층은 바람직하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나일론 등이 적합하다. 기재 상의 가소성층의 적어도 표면 근처는 전사 단계에서 화상 형성 물질과 상호혼합되므로, 가소성 층의 재료는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 내 수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기록 매체 상에서 사용되는 화상 형성 물질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물질과 동일한 수지의 사용을 통해서 장기간 화상 형성 물질 소거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화상 소거성이 안정할 수 있는데, 가소성 층의 조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화상 형성 물질 가압 롤러(225)는 말단면과 비교하여 롤 중심에서 직경이 보다 큰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제조된다. 표면에 화상 형성 물질의 접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플루오로탄소와 같이 표면 에너지가 낮은 조성물로 표면을 처리한다. 스프링, 수압, 공기압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화상 형성 물질-가압 롤러(225)와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의 사이에 제공된다. 적어도 박리 부재(727)를 클리닝할 때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와 화상 형성 물질-가압 롤러(225) 사이에 압력을 인가하면, 그에 따라서 박리 부재(727) 상의 가소성층의 가소성 물질이 화상 형성 물질-가압 롤러(225)의 직경이 보다 작은 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의 표면 근방에는 실리콘 고무 및 스폰지 등의 탄성체층이 설치되고, 상기 기술한 가압 수단과 화상 형성 물질-가압 롤러(225) 사이에 닙이 형성된다. 클리닝부-가열 롤러(226)는 내부에 할로겐 램프, 적외선 램프 등의 가열기(720)가 설치된다.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의 표면 온도는 표면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검지하고, 검지된 온도를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입력하여 가열기(720)로의 전력을 제어하여서 설정된 수준으로 클리닝부-가열 롤러(226)의 표면 온도를 유지시킨다.
가열기(720)는 박리 부재(727) 상의 가소성층을 가열하여서 박리 부재(727)를 클리닝시에 가소성층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클리닝 시 가소성 층의 가열 온도는 화상 형성 물질 제거시의 온도보다 높으며, 가소성층의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박리 부재(727)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물질 제거시에 박리 부재로 적절하게 화상 형성 물질을 전사시키기 위해서, 화상 형성 물질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고, 가소성층은 높은 응집력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보다 낮은 응집력을 갖는 화상 형성 물질과 기록 매체간의 분리는, 화상 형성 물질이 박리 부재 및 기록 매체로 분리되므로 기록 매체 상에 잔류하는 화상 형성 물질이 잔존할 수 있다.
그에 반해, 화상 형성 물질의 높은 유동성은 하류측에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에서, 박리 부재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부에서 온도는,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의 박리 부재에서의 온도보다 약 20∼90℃ 정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클리닝 블레이드(728)는 박리부 상에 있는 것들을 문질러서 세정하려는 것보다는 박리 부재보다 비어져 나온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부재의 한면 상에 블레이드(111)를 갖는 보다 얇은 두께의 절단 블레이드로서 기능을 한다.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700)를 소거할 면을 하류로 향하게 하여 급지 카세트(701)에 셋팅한다. 기록 매체(700)를 픽업 롤러(702)를 이용하여 하나씩 픽업하고 급지 롤러(703) 쌍을 이용하여 상류의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로 이송한다. 기록 매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가압 롤러(711) 및 가열 롤러(712) 사이의 닙을 이용하여 가열 및 가입하고, 가소성이 된 화상 형성 물질을 박리 부재(717)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기록 매체와 박리 부재는 곡율 반경이 약 2 mm인 엣지를 갖는 분리 블록(714)으로 분리된다. 이 단계에서, 고밀도 그레이 스케일 화상을 고체 화상 및 문자 화상 중의 박리 부재로 전사시킨다. 이후, 기록 매체를 급지 롤러(704) 쌍을 통해서 하류쪽의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로 수송한다.
상류에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소거할 때마다 클리닝 블레이드(31)를 사용하여 박리 부재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화상 형성 물질의 온도는 하류보다 상류에서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에서 가압할 때보다 고온이 화상 형성 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보다 높은 높이로 화상을 무너뜨릴 수 있어서, 보다 높은 화상에 인접한 낮은 화상 또는 그레이 스케일 화상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류에서 제거되는 화상 형성 물질의 양은 온도를 승온시켜서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화상 형성 물질이 상이한 높이로 박리 부재 상에 남아있고 또한 전사 온도가 보다 높은 경우, 화상 형성 물질은 기록 매체의 배경 등에 역으로 전사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박리 부재의 낮은 평면성은 박리 부재와 낮은 화상의 접촉이 부족함으로 인해 제거가능한 화상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류에서 박리 부재상의 화상 형성 물질은 화상 형성 물질의 소거시 마다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박리 부재로 전사되는 화상 형성 물질은 역전사를 방지하거나 수명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에서 대부분의 화상 형성 물질이 제거된 기록 매체는 하류에 유사하게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에서 처리된다. 이 하류측에서, 박리 부재의 표면은 기록 매체 및 박리 부재가 접촉, 가열 및 가압될 때 가소성을 나타낸다. 박리 부재의 가소성에 의해서 박리 부재가 다양한 상태의 화상 형성 물질과 접촉가능하게 되고 화상 형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하류에서 박리 부재의 온도는 상류의 온도보다 낮게 제어된다.
하류의 온도가 상류보다 높은 경우, 박리 부재의 가소성층이 기록 매체와 강하게 접착되어서, 기록 매체와 박리 부재의 분리를 어렵게 만들거나 박리 부재의 가소성층의 기록 매체로의 역전사를 촉진하게 된다. 따라서, 하류에서 박리 부재의 온도는 상류에서 박리 부재의 온도보다 5∼30℃ 만큼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이의 온도는 55∼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류에서 박리 부재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또는 클리닝은 박리 부재에 의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공정때마다 수행할 필요는 없다. 도 4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제거 또는 클리닝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간헐적으로 제어된다. 하류에서 제거되는 화상 형성 물질의 양은 비교적 적으며 전사 화상간의 갭이 비교적 적으므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공정은 박리 부재의 제거 공정 때마다가 아니더라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류에서 박리 부재로부터 가소성층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소성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공정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에너지 절약이라는 관점에서 박리 부재를 빈번하게 가열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하류에서 박리 부재의 클리닝은 바람직하게, 간헐적으로 수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공정과 동시에 수행하기보다는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공정의 중지 기간에 수행한다. 이는 가소성층이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클리닝부에서 고온은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로 낮추어야 하고, 이에 따라서 박리 부재용 냉각 수단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박리 부재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예 (ii)
도 7은 기록 매체를 재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화상 소거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은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였다. 도 7에서, 할로겐 램프 및 적외선 램프와 같은 가열기(424)를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제조한 가열/분리 블록(423)의 내부에 내장시킨다. 가열/분리 블록(423)의 표면 온도는 표면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검지하고, 검지된 온도를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입력하여 가열기(720)로의 전력을 제어하여서 설정 수준으로 가열/분리 블록(423)의 표면 온도를 유지시킨다.
가압 롤러(711)는 예컨대, 직경 50 mm 및 두께 3 mm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것이고, 표면에 두께 3 mm의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의 탄성층을 갖고 있다. 스프링, 수압, 공기압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가열/분리 블록 사이에 제공되어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기록 매체(700) 및 박리 부재(717)가 접촉 및 가압된다.
도 7에 있어서, 가압 롤러(711), 가열/분리 블록(423), 가열기(424), 박리 부재(717), 장력 롤러(715), 클리닝 백업 롤러(716), 클리닝 블레이드(310) 및 화상 형성 물질 회수 용기(719)는, 기록 매체와 접하는 박리 부재의 표면층이 가열 및 가압 온도에서 비가소성인 박리 부재를 사용하는, 도 4의 상류부로서, 화상 형성 물질 제거부를 구성하고 있다.
무한 벨트인 박리 부재(717)는 가열/분리 블록(423), 장력 롤러(715) 및 클리닝 백업 롤러(716)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장력 롤러(715)에는 박리 부재의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박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분리 블록(423)은 곡율 반경이 3 mm인 엣지부를 갖는다. 제거할 화상이 있는 기록 매체(700) 및 박리 부재(717)는 가열/분리 블록(423)과 가압 롤러(711) 사이의 닙에서 가열 및 가압된 후, 가열/분리 블록(423)의 엣지부에서 분리된다. 박리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가열/분리 블록(423)의 상층 표면은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고 화상 형성 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피하도록 플루오로탄소 수지로 처리한다.
박리 부재(717), 클리닝 백업 롤러(716), 클리닝 블레이드(310) 및 화상 형성 물질(719)의 회수 용기(719)는 도 4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화상을 소거하며, 클리닝 조작은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때마다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도 7에 도시한 화상 형성 물질 제거용 장치의 일례에서, 하류에서 박리 부재(417)는 웹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어(425, 426) 상에 감겨서 다수의 기록 매체 시트를 처리한다. 분리/가압 롤러(428)는 직경이 약 30 mm 정도의 롤러이고, 스프링, 수압, 공기압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압 롤러(711)와 함께 닙을 형성하고 있다. 할로겐 램프 및 적외선 램프 등의 가열기(429)가 가압 롤러(711)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는 표면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검지되어, 검지된 온도를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해서 가열기(429)로의 전력을 제어하여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하류측의 박리 부재(417) 및, 상류측에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고 박리 부재로부터 분리된 기록 매체를 분리/가압 롤러(428)와 가압 롤러(711) 사이에서 접촉 및 가압시킨다. 가소성층을 갖는 박리 부재상으로 전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화상 형성 물질이 제거된 기록 매체는 가이드판(431)의 작용으로 유도되어 수송 롤러(705, 706) 쌍에 의해 배지 트레이(709)에 저장된다.
도 7에 도시한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 하류에서 박리 부재를 통한 클리닝은 이 장치 내에서 실행하지 않는다. 도 4와 유사하게 열가소성 수지가 하류에서 박리 부재의 표면에 위치하고, 박리 부재의 기재는 바람직하게 가열 및 가압 조건에서 가소성이 없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의 예로는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틸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기술한 기재 이외에도, 본질적으로 셀룰로스 섬유로 형성된 종이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에서 적절하게 사용한다. 즉, 일반적인 종류의 종이는 다공성이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나일론 등의 가소성층으로 표면을 처리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접착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기록 매체 및 박리 부재를 기재와 가소성층 사이에서 계면 분리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면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종이는 저렴하고 용이하게 연료 또는 재생 종이로 전환된다.
도 7에 도시한 하류측의 웹 유사 박리 부재(417)는 코어(426)에 감겨있고,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에서 코어(425)에 권취된다. 웹 말단 근방에 말단 표지가 위치한다. 말단 표지 검지 수단(733)이 말단 표지를 검지하면, 가압 해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분리/가입 롤러(428)와 가압 롤러(711) 사이의 압력을 해제하고, 하류의 박리 부재가 코어(426)에 권취되며, 하류에서 박리 부재(417)는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에 다수회 사용된다. 하류에서 박리 부재(417)는 하나의 박리 부재 당 기록 매체 100 내지 1000 시트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데, 단 박리 부재의 면적과 기록 매체 한 시트의 면적은 동일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용 중합체를 함유하는 처리액을 합성예 1 내지 6, 및 비교 합성예 1에서 제조하였는데, 여기서 중합체는 각각 측쇄에 알킬기를 갖는 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의 비누화 중합체였다.
하기에서, 모든 비율 및 부는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중량에 대하여 표시하였다.
합성예 1
선형 알파 올레핀 혼합물(C12 올레핀/C13 올레핀/C14 올레핀의 몰비 = 4:3:3)및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하도록 두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1).
합성예 2
직쇄 알파 올레핀의 혼합물(C16 올레핀/C17 올레핀/C18 올레핀의 몰비= 5:3:2)과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2).
합성예 3
직쇄 알파 올레핀의 혼합물(C14 올레핀/C15 올레핀/C16 올레핀의 몰비= 3:5:2)과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3).
합성예 4
분지형 알킬쇄를 갖는 알파 올레핀의 혼합물(C12 올레핀/C13 올레핀/C14 올레핀의 몰비= 2:4:4)과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되도록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4).
합성예 5
분지형 알킬쇄를 갖는 알파 올레핀의 혼합물(C18 올레핀/C19 올레핀/C20 올레핀의 몰비= 5:3:2)과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5).
합성예 6
탄소 원자 수가 18∼20인 선형 알킬쇄로 에스테르화한 아크릴산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한 후, 얻어진 중합체를 건조시키고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에 용해하여 측쇄로서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고형분으로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처리액 6).
비교 합성예 1
분지형 알킬쇄를 갖는 알파 올레핀의 혼합물(C8 올레핀/C9 올레핀의 몰비= 6:4)과 말레산 무수물을 1/1(올레핀/말레산 무수물)의 몰비로 고압 반응기에 부었다. 이 고압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다시 채우고,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20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비누화하여 중합체를 고형분으로 20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비교 처리액 1).
상기 처리액 1 내지 6, 및 비교 처리액 1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부 사이징제인 중성 로진 사이징제, 황산알루미늄 및 클레이를 각각 0.11 중량부, 0.6 중량부 및 5 중량부로 여수도 400 ㎖로 정제된 Kraft 펄프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 및 분산시켜서 펄프 분산물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한 후, 종이의 양면에 총 건조량 5.6 g/㎡로 종이 상에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을 도포 및 건조시켜서 72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처리액 1 중 성분량은 고형분으로서 나타내었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
산화전분: 9%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98%): 1%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2%
물: 최종 100%로 맞춤(80%)
*1) 합성예 2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약 25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하였다. 얻어진 롤형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한 후, 기요틴 절단기를 이용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임을 알리기 위해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2를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4.5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71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2
산화전분 : 6%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5%
물 : 100%가 되도록 첨가(89%)
*1) 합성예 1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평활도가 약 200초가 되도록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3을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3.2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70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3
산화전분 : 6%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98%) : 1%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 0.5%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2%
물 : 100%가 되도록 첨가(90.5%)
*1) 합성예 2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평활도가 약 300초가 되도록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 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부 사이징제인 알킬케텐 이량체 사이징제 및 클레이를 각각 0.2 중량부 및 3 중량부로 여수도 400 ㎖로 정제된 Kraft 펄프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고 분산시켜서 펄프 분산물을 제조하고,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이로부터 종이를 제조한 후 종이의 양면에 총 건조량 3.8 g/㎡로 종이 상에 하기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4를 도포 및 건조시켜서 70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산화전분: 4%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2%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4%
물: 최종 100%로 맞춤(90%)
*1) 합성예 4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약 60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5를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6.4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73 g/ ㎡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5
산화전분 : 5%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 3%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5%
물 : 100%가 되도록 첨가(87%)
*1) 합성예 5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한 표면 처리없이 A4로 절단하고(평활도 약 35초), 이후 실시예 1과 같이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6을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6.2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73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6
산화전분 : 3%
합성예 6의 아크릴 중합체 : 7%
물 : 100%가 되도록 첨가(90%)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약 35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7을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1.0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69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7
산화전분 : 2%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 1%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4%
물 : 100%가 되도록 첨가(93%)
*1) 합성예 2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약 60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8을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8.0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69 g/㎡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8
산화전분 : 8%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 2%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3%
물 : 100%가 되도록 첨가(87%)
*1) 합성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진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평활도가 42초인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9를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4.5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9
산화전분 : 6%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5%
물 : 100%가 되도록 첨가(89%)
*1) 비교 합성예 2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약 20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0을 얻어진 종이의 양쪽면 상에 3.2 g/㎡의 총 건조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0
산화전분 : 6%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98%) : 1%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 0.5%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1) : 2%
물 : 100%가 되도록 첨가(90.5%)
*1) 비교 합성예 1
얻어진 기록 매체는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약 300초의 평활도로 표면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A4 크기의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에 실시예 1과 같이 절취부를 만들어서 비교예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A4 크기의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를 칼렌더를 이용하여 양면에서 평활도가 약 800초가 되도록 표면 처리하여 비교예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의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5를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한쪽 면당 건조량 4.1 g/㎡의 양으로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기록 매체를 실시예 5와 같은 방식으로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비교예 기록 매체 5를 제조하였다. 즉, 이 비교예 5에서는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5를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 이외에서 도포하였다.
비교예 6
퍼플루오로알킬 카르복실산염(단량체 계면 활성제)의 5% 수용액을 디아조 복사기의 현상액 도포 장치에 충전하고, 한 면당 건조량 0.15 g/㎡로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이후 얻어진 종이를 실시예 1과 같이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비교예용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단량체 계면 활성제)의 15% 수용액을 디아조 복사기의 현상액 도포 장치에 충전하고, 한 면당 건조량 0.3 g/㎡로,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이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비교예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포드리니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고, 고형분 함량으로서 하기 도시한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1을 양면에서 총 건조량 4.3 g/㎡으로 최종 종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이즈 프레스-처리액 11
산화전분 : 7%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98%) : 3%
알킬케텐 이량체(에멀션) : 4%
물: 100%가 되도록 첨가(86%)
얻어진 기록 매체를 평활도가 양면에서 약 350초가 되도록 칼렌더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2.5 g/㎡의 양으로 무용매 실리콘 수지 예비중합체를 시판 PPC 용지(Ricoh Co., 제조: 타입 6200, 평량: 약 70 g/㎡)의 양면에 도포하 고, 수지 예비 중합체를 UV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으며, 얻어진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A4 크기로 절단하고 절취부를 표시하여 비교예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실시예 8, 및 비교예 1∼비교예 9로 얻어진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칼라 화상 형성 및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를 반복한 후, 선명성, 오프셋 및 정착능을 비롯한 화상 소거성 등의 화상 특성을 측정하였다.
평가 조건
화상 형성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절취부 검지 수단이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실리콘 오일을 열정착 롤러에 가하지 않았다. 각각 절취부를 갖는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9의 기록 매체를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카세트에 수납하고, 왁스를 1 중량% 이상으로 함유하고, 기본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토너(Ricoh Co., 제조, Imagio Neo C285 착색제)를 현상 수단에 충전시키고, 하기 조건하에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착색제(Imagio Neo C285)에 왁스를 함유하는 조건을 "왁스"로서 표시하고, 착색제(Imagio Neo C385)에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조건을 "무왁스"로 표시하였다. "무왁스" 조건에서, 정착 롤러에 실리콘 오일이 공급된 조건을 또한 실시하였다.
조건:
프로세스 선속 : 130 mm/sec
정착 롤러 온도 : 170℃
정착 롤러 압력: 15 N/㎠
얻어진 화상은 하기 방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a) 화상의 선명성(밀도)
고체 화상의 화상 밀도는 반사 화상 밀도계(Gretag MacBeth Co. 제조)로 측정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화상 밀도의 판정 기준
A : > 1.6
B : 1.0∼1.6
C : < 1.0
(b) 오프셋의 유무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이차 칼라 고체 화상 및 저밀도의 그레이 스케일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화상의 결함을 조사한 후, 화상 누락을 기준으로 오프셋을 평가하였다.
오프셋의 판정 기준
A : 누락 없음
B : 일부 누락 있음
C : 누락이 많음
(c) 화상 정착능 I(번짐(smear) 프로세스)
시계형 미터기에 부착된 백색 천을 이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화상(면적율 :30%)을 10회 문지르고, 천의 화상 밀도를 반사 화상 밀도계(Gretag MacBeth Co. 제조)로 측정하고 천 자체의 밀도는 감하였다.
밀도의 판정 기준
A : ≤ 0.20
B : 0.20∼0.39
C : ≥ 0.40
(d) 화상 정착능 II(묘화법(drawing) 프로세스)
루비로 제조된 선단을 갖는 바smf에 300 g의 가중을 인가하여, 녹색 고체 화상 상에서 원을 그리도록 이동시킨 후, 화상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박리의 판정 기준
A : 좁고 얇은 박리, 또는 박리 없음
B : 약 20%의 바늘 궤적으로 좁은 박리 발생
C : 바늘 궤적의 20%보다 많이 박리됨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기록 매체에 형성된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는 도 4에 도시한 화상 소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8, 및 비교예 1∼9의 기록 매체에 형성된 화상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는 동일한 기록 매체 상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상을 형성하면서 최대 20회 수행하였다.
화상 형성 물질의 제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건
프로세스 선속(박리 부재의 속도) : 40 mm/sec
상류에서 화상 제거부
박리 부재 : 100 ㎛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클리닝 블레이드 : 4-홈 나선형 클리닝 블레이드, 절삭강, 직경 25 mm
클리닝 백업 롤러의 표면 : 우레탄 스폰지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 박리 부재의 역방향
가열 롤러 : 135℃
하류에서 화상 제거부
박리 부재 : 위에 25 ㎛ 두께로 흑색 토너(Ricoh Co. 제조, Imagio Neo C385 착색제)를 열정착시킨 100 ㎛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화상 형성 물질용 가압 롤러 : 중심 직경 30 mm, 엣지면에 비하여 0.5 mm 만큼 큼
가열 롤러 : 110℃
화상 소거성은 노란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고체 화상을 소거하고, 반사 화상밀도계(Gretag MacBeth Co. 제조)로 잔류 화상 밀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가장 많이 남은 밀도에 대해 수행하고, 미사용 기록 매체 자체의 밀도를 감하였다.
화상 소거성의 판정 기준(잔류 화상 밀도)
A : ≤ 0.02
B : 0.03∼0.09
C : 0.10∼0.29
D : ≥ 0.30
[표 1]
Figure 112008057302313-pct00007
표 1에 도시한 결과에 따르면, 탄소 원자 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처리액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기록 매체가 우수한 정착능을 비롯하 여 우수한 화상 소거성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연속적인 화상 형성/소거 프로세스하에서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처리액 5로 제조된 비교예 5의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에 실리콘 오일을 공급한 화상 형성 장치를 비롯하여 왁스가 없는 화상 형성 물질의 조건에서 비교적 우수한 정착능 및 우수한 화상 소거성을 나타냈지만, 실리콘 오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사용 기록 매체 상에서도 오프셋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은 화상을 반복적으로 형성 및 소거하게되는 기록 매체, 구체적으로 종이를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므로,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하는데 기여한다. 화상 형성 방법은 화상 형성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면, 전자 사진법, 토너-젯트법 및 이온 플로우법 등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당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는 다양한 측면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이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 종이이고,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image-repellent substance)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의 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고,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는 α-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고 탄소 원자의 수가 10 이상인 올레핀, 및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제조한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처리액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이외에도,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션, 비닐아세테이트 에멀션, 및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고형분으로서 상기 중합체 대 화합물의 중량비가 1:50∼1:1이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처리액은 고형분으로서 0.5∼4 g/㎡의 양으로 종이의 한면에 도포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에는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식이 표시된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은 화상 제거 촉진액을 도포하지 않고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제거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물질은 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열전사시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은 열가소성 수지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을 사용하여 전자사진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11.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이용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 종이이고,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으며,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12.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이때,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고,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3.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열가소성 분말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이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열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열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을 통해서 제조되고,
    여기서,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이때,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고,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열정착 수단은 정착 부재의 표면 상에 액체 이형제를 도포하는 기능이 없는 무오일 정착 장치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물질은 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5.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급지 카세트로서, 이 복수의 급지 카세트 중 하나 이상은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인 복수의 급지 카세트, 및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를 공급하도록 경우에 따라 선택하게 구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종이 제조 후 사이즈 프레싱에서 처리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처리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을 통해서 제조되고,
    여기서, 처리액은 화상 형성 물질 반발성 제재로서 측쇄에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인 알킬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형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박리 부재를 이용하여 열전사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이때, 화상 형성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박리 부재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은 기록 매체와 화상 형성 물질간의 접착력보다 높고,
    화상 형성 물질은 2종의 상이한 박리 부재를 사용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열전사를 통해 제거되고,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열전사시에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하류측에서의 박리 부재의 표면층은 화상 형성 물질의 열전사 온도에서 가소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7019626A 2006-01-30 2007-01-30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983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0656A JP4964471B2 (ja) 2006-01-30 2006-01-30 被記録材の繰り返し使用方法
JPJP-P-2006-00020656 2006-01-30
PCT/JP2007/051857 WO2007086614A1 (en) 2006-01-30 2007-01-30 Method for reusing recording medium, reusable recording medium, method for producing reusable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211A KR20080083211A (ko) 2008-09-16
KR100983851B1 true KR100983851B1 (ko) 2010-09-27

Family

ID=3830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626A KR100983851B1 (ko) 2006-01-30 2007-01-30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2955B2 (ko)
EP (1) EP1979788A4 (ko)
JP (1) JP4964471B2 (ko)
KR (1) KR100983851B1 (ko)
CN (1) CN101375214B (ko)
WO (1) WO2007086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4671A1 (en) * 2008-01-31 2010-12-01 Jeffrey David Stewart Exercise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9265610A (ja) * 2008-04-02 2009-11-12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0243596A (ja) * 2009-04-01 2010-10-28 Sharp Corp 画像記録媒体、画像記録媒体の再利用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の再利用方法
US8177347B2 (en) * 2009-07-16 2012-05-15 Xerox Corporation Dual mode printer
JP5889079B2 (ja) * 2012-03-28 2016-03-22 日本製紙株式会社 電子写真用転写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247784B2 (en) 2012-06-22 2016-02-02 Jeffrey David Stewart Wearable exercise apparatuses
JP5808368B2 (ja) * 2013-06-06 2015-11-10 株式会社東芝 環境貢献支援装置及び支援プログラム
US9969200B2 (en) * 2015-02-05 2018-05-15 Kabushiki Kaisha Toshiba Decol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891896B2 (ja) * 2016-09-30 2021-06-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画像除去装置、被記録材の再生方法及び画像除去方法
CN108859503A (zh) * 2018-08-10 2018-11-23 青岛理工大学 废纸回用铅笔生产装置
CN113211949B (zh) * 2020-02-06 2022-08-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案转印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8772B2 (ja) 1988-05-26 1999-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方法とクリーニング装置並びに表示方法と表示装置
JPH0467043A (ja) 1990-07-05 1992-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レーザブルペーパ
JP2584112B2 (ja) 1990-07-05 1997-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レーザ
JP3345472B2 (ja) 1992-08-31 2002-1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保持支持体の再生方法
JP3222613B2 (ja) 1992-12-03 2001-10-29 株式会社リコー 再生可能記録紙
US5607534A (en) 1993-08-20 1997-03-04 Ricoh Company, Ltd. Method of recycling support material for image-bearing member
JP3273874B2 (ja) 1994-02-25 2002-04-15 株式会社リコー 被記録材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3234101B2 (ja) 1994-05-09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被記録材の皮膜状画像形成物質除去装置
JPH0836334A (ja) 1994-05-16 1996-02-06 Ricoh Co Ltd 画像除去促進液および該画像除去促進液を用いた被記録材の再生方法
JP3276786B2 (ja) 1994-09-06 2002-04-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被記録材の再生方法
JPH08152731A (ja) 1994-09-28 1996-06-11 Ricoh Co Ltd リサイクル専用画像支持体および該リサイクル専用画像支持体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GB2293612B (en) 1994-09-30 1997-04-16 Ricoh Kk Recording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recycling recording material
JPH08286579A (ja) 1995-02-17 1996-11-01 Ricoh Co Ltd 被記録材及び画像保持被記録材の再生方法
JPH08314178A (ja) 1995-05-22 1996-11-29 Ricoh Co Ltd 被記録材の製造方法
JP3650232B2 (ja) 1995-08-30 2005-05-18 株式会社リコー 被記録材
JPH1074025A (ja) 1996-07-01 1998-03-17 Ricoh Co Ltd 複写用紙
JP3441935B2 (ja) 1996-10-07 2003-09-02 株式会社リコー 像保持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3690063B2 (ja) 1997-05-22 2005-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再生可能な画像記録用紙
JPH11143109A (ja) 1997-11-06 1999-05-28 Goyo Paper Working Co Ltd 再記録可能な用紙及びその再生方法
JP2002225450A (ja) 2001-02-02 2002-08-14 Ricoh Co Ltd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4018414B2 (ja) 2002-03-19 2007-12-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物質の剥離性向上方法及び装置
JP2004286854A (ja) * 2003-03-19 2004-10-14 Ricoh Co Ltd リサイクル方法及び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5221572A (ja) 2004-02-03 2005-08-18 Toshiba Corp 画像消去装置
JP4234032B2 (ja) * 2004-02-19 2009-03-0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紙、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JP4445801B2 (ja) 2004-05-27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80274B2 (ja) * 2004-07-07 2011-09-2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製紙用表面サイズ剤及び塗工紙
JP4512456B2 (ja) * 2004-09-08 2010-07-28 株式会社リコー リユース可能な電子写真用被記録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211A (ko) 2008-09-16
CN101375214B (zh) 2012-01-04
JP2007199594A (ja) 2007-08-09
US20080317487A1 (en) 2008-12-25
EP1979788A1 (en) 2008-10-15
EP1979788A4 (en) 2011-05-04
US8152955B2 (en) 2012-04-10
JP4964471B2 (ja) 2012-06-27
CN101375214A (zh) 2009-02-25
WO2007086614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851B1 (ko) 기록 매체의 재사용 방법,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 재사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US8080358B2 (en) Reusable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mage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repeatedly using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edium
JP4063755B2 (ja) 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
US7386266B2 (en) Image removing method, image re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43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from recording material, and image peeling member for peeling image from recording material
JP3663833B2 (ja) 画像記録体の再生方法
JPH1020541A (ja) 画像形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記録体
EP0852345B1 (en) Image stripping member, image stripping apparatus and image stripping method using the image stripping member
JP2005234162A (ja) 電子写真用紙、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JP2001056579A (ja) 画像記録体
JP3485703B2 (ja) 再生可能な画像記録体及びその再生方法
JP4795315B2 (ja) 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
US7635507B2 (en) Receiving paper f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49030A (ja) 画像除去方法・画像除去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13189A (ja) 画像除去装置及び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
JPH10849A (ja) 偽造防止用記録シート
JP5168655B2 (ja) 画像除去装置及び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
JP2004205837A (ja) 剥離材料、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217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31965A (ja) 画像記録体、画像記録体再生方法および画像記録体の再生装置
JP2000352833A (ja) 画像記録体
JPH1039699A (ja) 画像保持体の再生方法
JPH1049011A (ja) 画像保持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