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343B1 -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43B1
KR100973343B1 KR1020080010708A KR20080010708A KR100973343B1 KR 100973343 B1 KR100973343 B1 KR 100973343B1 KR 1020080010708 A KR1020080010708 A KR 1020080010708A KR 20080010708 A KR20080010708 A KR 20080010708A KR 100973343 B1 KR100973343 B1 KR 10097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ckwheat
tea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492A (ko
Inventor
이태훈
이경훤
여명재
김용택
Original Assignee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43B1/ko
Priority to JP2009021358A priority patent/JP5582519B2/ja
Publication of KR2009008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틴이 함유된 타타리메밀과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는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을 사용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타타리메밀,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보이차, 인삼, 귤피, 뽕잎, 감잎, 삼백초 등 음용가능한 원료의 열수 추출물 조성물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밀에 포함된 루틴은 항종양성 물질과 면역력 강화, 혈액 속의 지방 수치와 당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지만 메밀은 곡류라는 특성상 가공방법이 한정적이고,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은 프리라디칼 제거 활성, 환원력, Fe2+ 이온의 킬레이팅 효과 등이 농도 의존적으로 추출된 단백 다당체에 대한 프리라디칼 제거활성도 제거 등의 기능성이 있지만 그 기호성은 우수하지 않는 바, 본 발명에서는 높은 농도의 루틴 함량을 갖는 메밀 추출물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혼합차, 메밀,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IXED TEA COMPOSITION HAVING THE IMPROVED TASTE,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루틴이 함유된 타타리메밀과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는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을 사용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타타리메밀,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보이차, 인삼, 귤피, 뽕잎, 감잎, 삼백초 등 음용가능한 원료의 열수 추출물 조성물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밀에 포함된 루틴은 항종양성 물질과 면역력 강화, 혈액 속의 지방 수치와 당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지만 메밀은 곡류라는 특성상 가공방법이 한정적이고,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은 프리라디칼 제거 활성, 환원력, Fe2+ 이온의 킬레이팅 효과(chelating effect) 등이 농도 의존적으로 추출된 단백 다당체에 대한 프리라디칼 제거활성도(Lie F, Life Sci ., 60:763-771., 1997, Lee BC, Enz Microb Technol ., 6274:1-8., 2003) 제거 등의 기능성이 있지만 그 기호성은 우수 하지 않는 바, 본 발명에서는 높은 농도의 루틴 함량을 갖는 메밀 추출물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에 따라 생활환경의 개선, 풍요한 식생활 및 의료제도 및 시설의 혜택 등으로 평균 수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영양의 과다 섭취 등이 그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는 암, 고혈압, 뇌졸증, 당뇨병, 동맥 경화 등의 만성 성인병 질환 및 노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체내 활성산소로 인한 노화 등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들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활성산소로 인한 노화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우리 나라의 전통식품 중 메밀국수나 메밀묵은 민간요법으로 고혈압 등에 예방 및 치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메밀에 소량 함유되어 있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틴(rutin)이라는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1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루틴(Rutin)은 비타민 P로도 알려져 있는데, 메밀의 루틴은 혈관의 저항성을 강하게 하여 뇌출혈을 예방하는 중요한 비타민의 일종으로 루틴은 혈관계질환의 치료제로서 혈관의 지나친 투과성을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다(Tetsuo Murakami, et al., Agric. Biol. Chem., 49(4), 909-914, 1985).
또한, 대기중의 공기는 인체의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몸속에서 산소 90%를 제외하고 약 7% 가량은 활성산소로 변하게 되는데, 이 활성산소는 현대사회에서 농약, 살충제, 배기가스, 유해한 화학물질, 파괴된 오존층을 통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서 발생되는 대량의 활성산소와 함께 체내의 조직과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하게 되는데,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내의 페놀성분이 체내의 활성 산소 제거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메밀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0787호에 발아메밀녹차혼합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9381호에 타타리메밀혼합녹차조성물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968호에 영지버섯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3837호에 상황버섯을 함유하는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5207호에 차가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메밀,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은 그 섭취방법이 까다롭고 기호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섭취방법이 간편하고 기호성이 뛰어난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상기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연구 노력한 결과, 혈관의 저항성을 강하게 하여 뇌출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루틴이 함유된 볶은 메밀과 항 스트레스 억제 기능성이 있는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을 원료로 한 혼합 및 제조 공정의 적정 추출 온도 및 추출배수를 설정하여 제조한 기호성이 우수하며 일반인들 누구나 자연스럽게 또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마시며 생활 질병으로부터 몸을 사전에 보호해줄 수 있는 차(茶) 음료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볶은(roasting) 타타리메밀과 1 내지 8 중량부의 영지버섯, 1 내지 8 중량부의 상황버섯 및 1 내지 8 중량부의 차가버섯을 원료로 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의 결명자, 10 내지 20 중량부의 우롱차, 3 내지 10 중량부의 녹차, 1 내지 5 중량부의 둥글레, 2 내지 7 중량부의 구기자, 1 내지 4 중량부의 보이차, 0.5 내지 1.5 중량부의 인삼, 0.3 내지 1.5 중량부의 진피, 0.3 내지 2.5 중량부의 삼백초, 0.3 내지 1.7 중량부의 뽕잎 및 0.3 내지 1.5 중량부의 감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원료로 하는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볶은 타타리메밀을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55 ℃부터 95 ℃까지 등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2 내지 4회의 순환식 추출하는 공정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으로 이루어진 원료와 70 ℃ 내지 80 ℃의 그 원료의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침지식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차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보이차, 인삼, 진피, 삼백초, 뽕잎 및 감잎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더 포함하는 70 ℃ 내지 80 ℃의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침지식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차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루틴을 포함하는 메밀 추출물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혈관의 저항성을 강하게 하여 뇌출혈을 예방하는 효과와 항 스트레스 억제 기능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기호성도 우수하다.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에 따라 생활환경의 개선, 풍요한 식생활 및 의료제도 및 시설의 혜택 등으로 평균 수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영양의 과다 섭취 등이 그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는 암, 고혈압, 뇌졸증, 당뇨병, 동맥 경화 등의 만성 성인병 질환 및 노화가 증가하고 있고, 웰빙(wellbeing)문화 추세에 따라 건강음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체내 활성산소로 인한 노화 등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들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활성산소로 인한 노화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메밀의 루틴은 혈관의 저항성을 강하게 하여 뇌출혈을 예방하는 중요한 비타민으로 혈관계질환의 치료제로서 혈관의 지나친 투과성을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으며(Tetsuo Murakami, et al., Agric. Biol. Chem., 49(4), 909-914, 1985), 몸속의 활성산소는 체내의 조직과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하게 되는데,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내의 페놀성분이 체내의 활성 산소 제거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이들의 식품화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메밀은 곡류라는 특성상 빵이나 국수 등 일부 밀가루 원료 제품에 적용되었고 기타 식품 개발에 적용이 부족한 실정이고, 혈관의 저항성 기능을 갖는 루틴의 함량이 문제되며, 또한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은 그 기호성이 문제되는 바, 이러한 상기 문제점과 요구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이 끊임없이 연구한 결과 아래와 같은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메밀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을 사용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본 발명은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볶은(roasting) 타타리메밀과 1 내지 8 중량부의 영지버섯, 1 내지 8 중량부의 상황버섯 및 1 내지 8 중량부 차가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추출물은 열수(뜨거운 물)로 추출한 추출액을 의미한다.
메밀은 일년생 쌍떡잎 식물로서 식물분류학적으로 단메밀(Fagopyrum esculentum, 일반메밀)과 타타르메밀(Fagopyrum tataricum)로 나누어진다. 한국에서는 단메밀이 재배되고 있는데 타타르메밀은 중국, 네팔, 부탄, 내몽고를 비롯한 고산지대에서 재배되고 있다. 단메밀은 주로 메밀국수, 묵, 빵, 부침, 전병, 떡, 차 등을 만드는데 이용되고 타타르메밀은 메밀죽, 빵, 비스켓, 간장, 식초, 기능성면 등을 만드는데 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메밀은 식품영양학적으로 유용한 작물이면서 많은 기능성 성분들이 있다. 메밀 내에는 페놀화합물인 루틴, 헤파린,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등의 플라보 놀(Flavonols)과 비텍신, 비텍신 이성질체, 오리엔틴, 오리엔틴 이성질체 등의 플라본(Flavones) 및 그 밖의 많은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하며, 이 중 메밀의 루틴은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 당뇨병, 항산화 효과, 심혈관계질환의 예방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루틴 함량을 비교하자면,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타리메밀은 단메밀에 비하여 메밀껍질의 경우 5.5배, 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의 경우 69배, 메밀쌀의 경우에는 159배의 루틴을 함유하고 있다(BJ, PARK, KOREAN J. Corp Sci, 50(S): 175-180).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2
볶은(roasting) 타타리메밀은 색차계(Chromameter CR-30, Minolta, Japan)의 L값(명도값)이 5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혼합차 조성물은 높은 루틴을 함량하며, 구수한 맛을 갖는다. 20 내지 35 중량부 볶은 타타리메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가 기호성이 우수하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담자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살은 코르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상층은 거의 백색이고 관공(管孔)부분의 하층은 연주황색이다. 불로초로 불릴 정도로, 예부터 한방에서 건위, 건뇌, 강장, 강심, 이뇨, 해독, 항균, 면역, 진해, 신통, 신경쇠약, 불면증, 급·만성 간염, 위궤양, 혈압강하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지만, 그 맛은 대단히 쓰므로 그 물을 다려서 꿀들을 첨가하여 음료수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추출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영지버섯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미하고 8 중량부 이상이면 그 쓴맛으로 인하여 기호성이 우수하지 않으므로, 1 내지 8 중량부 영지버섯을 사용한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진흙버섯과의 버섯으로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B-셀(B-cell)의 기능 향상과 함께 상황버섯에서 추출된 다당체가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촉진하며, 사이토키인 조절을 통한 항암효과, 면역조절작용, 항산화효과, 항고혈압효과 및 항관절염 효과가 있다. 상황버섯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FDA)으로부터 식품으로 승인받은 것처럼 독성은 없지만, 자연산 상황버섯은 적은 양으로도 한의학상의 현상으로 복약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예기치 못한 여러 가지 반응인 명현현상이 강하게 나타남으로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야생상황 3 내지 5 g이 체중 70 Kg인 성인 1일 복용량으로 일정량 이상의 복용은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장시간 동안 탕기로 다려내어 마시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그 복용법이 매우 제한적이다.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추출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상황버섯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미하고 8 중량부 이상이면 그 명현현상이 문제되므로, 1 내지 8 중량부 영지버섯을 사용한다.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β-글루칸, 트리체페놀산, 호로마도겐, 폴리페놀, 옥시페놀카르본산, 휘노친, 차가산(60%), 바닐라산, 파라옥시향산, 프테린, 스테롤, 리그닌등의 많은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DPPH 자유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 효과가 있는 바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씁쓸한 맛을 가지고 있어 기호성이 떨어진다.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추출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차가버섯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미하고 8 중량부 이상이면 그 씁쓸한 맛으로 인하여 기호성 우수하지 않으므로 1 내지 8 중량부 차가버섯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보이차, 인삼, 진피, 삼백초, 뽕잎 및 감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
결명자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결명초의 씨를 말린 것으로 달고 쓰며 짠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성분으로는 크리소파놀, 에모딘, 루부로후사린, 젠티오바이오시드(Gentiobioside), 옵스투신(Obstusin),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글리코시드(Glycoside)를 함유하고 있으며, 시력감퇴, 야맹증, 두통, 어지럼증 및 변비 등에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롱차엽은 주로 중국 대만성과 복건성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량은 중국차 전체의 약 9%정도이며, 이뇨작용, 해독작용, 비만방지 효과, 비타민류의 장내체류 촉진, 지질의 과산화억제, 혈액순환 촉진 및 콜레스테롤의 축적방지 등의 의학적, 약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녹차는 차나무(Thea sinesis L., Theaceae)의 잎을 말린 것으로서 최근 녹차 중의 카테킨류에 대하여 혈압강화작용, 항산화작용, 암발생 예방작용, 충치예방, 혈소판응집저해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다. 또한, 녹차유래 항산화성물질들의 암예방효과, 녹차추추물의 수산기 라디칼(hydroxyl radical)과 초과산화 음이온 소거 활성(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녹차카테킨류의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억제효과, 수산기 라디칼에 의한 DNA 절단(DNA Break)에 대한 억제효과, 1,2-디메틸히드라진(1,2-dimethylhydrazine)유도 산화적 DNA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
구기자는 수분과 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xanth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피사린(physalien), 콜린(cholin) 등이며 이들 중 베타인은 수용성으로 체내 강장, 근육, 뼈, 피부 미백의 기능성 효과가 있다.
둥글레는 당뇨병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간장, 신장 및 폐의 지질과산화물 조직의 과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세륨(Se)의 황산화 효과가 있다.
보이차는 중국 문헌인 본초강목십이유에서 숙취 해소, 중성 지방 분해, 위를 깨끗하게 하며, 갈증 해소의 효과가 있다.
인삼은 인슐린의 분해억제 작용을 증강, 항지방 분해작용, 당뇨병 수반증상의 개선기능 및 저혈압인 경우 혈압을 높여 정상화시켜 주고, 고혈압은 혈압을 낮춰주며, 정상인의 혈압은 유지시키며,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 순환을 개선시키는 등 동맥경화증의 발생 억제와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을 방어해주는 효과가 있다.
진피는 천연 페놀화합물 중에는 항암 효과뿐만 아니라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항염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뽕잎은 말토스(Maltose), 사카라아제(Saccharase) 등의 이당류 분해효소의 활성저해 혈당저하작용과 칼슘, 칼륨, 비타민 A, 카로틴 같은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감잎은 비타민 C 함유량이 100 g 중에 100 mg이나 되어, 비타민 C가 많다고 알려진 레몬의 약 20배 분량. 괴혈병, 빈혈, 고혈압에 뚜렷한 효과가 있으며 칼슘 또한 많아 임산부와 어린이에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밀,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밀은 타타리메밀로 한정되고, 이들 메밀,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의 물 추출물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혼합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볶은 타타리메밀을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55 ℃부터 95 ℃까지 등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2 내지 4회의 순환식 추출하는 공정과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차가버섯으로 이루어진 원료와 70 ℃ 내지 80 ℃의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침지식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차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료는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보이차, 인삼, 진피, 삼백초, 뽕잎 및 감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추출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색차계(Chromameter CR-30, Minolta, Japan) L값(명도값) 50 내지 60인 볶은(roasting) 타타리메밀을 사용하는 것은 루틴의 함량이 높은 혼합차를 얻기 위함이고, 볶은 타타리메밀 기준 25 내지 35 중량부의 물로 추출하는 것은 유효성분 및 기호성을 갖는 적합한 농도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호화(糊化)특성이란 녹말에 물을 넣어 가열할 때에 부피가 늘어나고 점성이 생겨서 풀처럼 끈적끈적하게 되는 것을 말하는 데, 메밀은 이러한 호화특성을 갖는 바,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물을 55 ℃부터 95 ℃까지 등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2 내지 4회의 순환식 추출하는 공정을 통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이는 55 ℃ 이하의 온도에서는 추출이 효과가 떨어지고, 높은 온도일수록 추출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보이차, 인삼, 진피, 삼백초, 뽕잎 및 감잎의 경우에는 순환식 추출공정의 추출물이 수율은 좋으나, 수율은 떨어지지만 기호성이 우수한 침지식 추출하는 공정을 통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침지식 추출은 물에 원료를 담가서 우려내는 방식을 말하며, 원료 기준 25 내지 35 중량부의 물로 추출하는 것은 유효성분 및 기호성을 갖는 적합한 농도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70 ℃ 내지 80 ℃의 물을 사용하는데, 이는 영지버섯, 우롱차, 녹차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추출온도는 70 ℃ 내지 80 ℃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추출물을 냉각한 여액을 정해진 표준 배합비로 배합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기능성 혼합차를 제조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혼합차의 제조공정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타타리메밀 추출물의 제조
타타리메밀을 건조시키고 탈피시킨 후, 열풍건조기에서 220 ℃ 내지 300 ℃에서 3분 내지 10분 동안 볶는 공정을 통하여 색체계 명도 L값 50의 볶은 타타리메밀을 제조한다.
루틴 함량이 높은 메밀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잘 로스팅한 명도 L값 50의 볶은 타타리메밀 100 kg을 순환식 추출기(100)의 원료 추출 탱크(102)에 넣고, 원료 기준의 중량대비 30배수의 55 ℃ 물을 추출 탱크에 준비하여 놓고, 열교환기(101)를 이용하여 1차 55 ℃ 6분간, 2차 75 ℃ 6분간, 3차 95 ℃ 6분간 추출하고, 3차 95 ℃ 6분 추출이 끝남과 동시에 분당 500 ℓ씩 배출(Drain)하여 15 ℃ 냉각기(110)를 거쳐 냉각하고, 원심분리기(120)로 원심분리 후 3 ㎛ 필터로 여과 후, 열수로 얻은 추출액인 추출물을 추출물 저장 탱크(130)에 저장 보관하였다.
제조예 2.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등의 추출물의 제조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는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과 기호성이 우수한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보이차, 인삼, 귤피, 뽕잎, 감잎, 삼백초 원료를 일정한 배합비에 의하여 배합된 원료 100 kg를 침지식 추출기(200)에 원료 기준의 30배수의 70 ℃ 내지 80 ℃ 열수를 미리 준비하고 원료를 투입 10분간 침지 후 박 분리하여 15 ℃ 냉각기(210)를 거쳐 냉각하고, 원심분리기(220)로 원심분리 후 3 ㎛ 필터로 여과 후, 열수로 얻은 추출액인 추출물을 추출물 저장 탱크(230)에 저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1-4. 다양한 배합비에 따른 혼합차 음료 조성물
상기 제조예의 각각의 추출물 저장 탱크(130, 230)에 저장된 추출물은 일정한 배합비에 의하여 배합 탱크(300)로 이송되어 15 rpm의 속도로 배합 탱크(300)에서 5분간 잘 교반하고, 첨가물 용해 탱크를 이용하여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적당량 물 25.0 내지 70.0 중량%에 완전 용해하여 배합액에 첨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배합비로 배합액을 완성하여 혼합차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3
시험예 1. 혼합차 조성물의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루틴 함량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4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하여, 타타리메밀 대신에 단메밀을 사용하여 제조한 혼합차 음료의 루틴 함량을 측정하여 상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단메밀의 루틴 함량은 수치상 의미 없는 값인 극소량임에 대조하여 타타리메밀의 루틴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타타리메밀 명도 L값에 따른 추출물의 루틴의 함유량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5
타타리메밀의 볶은 정도를 달리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제조예에 의한 추출물을 얻고, 이에 명도 L값에 따른 루틴의 함량을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 L값이 40 및 50인 타타리메밀의 루틴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지만, 40인 경우에는 기호성이 좋지 아니하였다. L값이 60인 타타리메밀은 기호성도 우수하고, 루틴 함량도 비교적 높았다.
시험예 3. 물의 온도에 따른 추출물의 루틴의 함유량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6
볶은 타타리메밀을 온도를 달리한 25 질량배 물로 추출하고, 타타리메밀 추출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루틴의 함량을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루틴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타타리메밀 특유의 풍미 또한 우수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혼합차의 기호성에 대한 관능시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루틴(Rutine)이 함유된 타타리메밀과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는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을 사용한 혼합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열수 온도별와 원료기준 열수 추출비율을 27 내지 32배 추출을 통하여 10인의 훈련된 전문 패널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8655309-pat00007
상기 표 6에 나타난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70 ℃ 내지 80 ℃ 열수로 추출한 혼합차가 기호성이 우수했다. 그 결과 추출에 사용되는 열수의 온도는 70 ℃ 내지 80 ℃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3과 실시예 4의 배합비의 혼합차가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차 제조공정에 관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순환식 추출기 101 : 열 교환기
102 : 원료 추출 탱크 110 : 냉각기
120 : 원심분리기 130 : 추출액 저장 탱크
200 : 침지식 추출기 210 : 냉각기
220 : 추출액 저장 탱크 300 : 배합 탱크

Claims (4)

  1. 삭제
  2.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볶은(roasting) 타타리메밀; 1 내지 8 중량부의 영지버섯; 1 내지 8 중량부의 상황버섯; 및 1 내지 8 중량부의 차가버섯; 및 20 내지 30 중량부의 결명자, 10 내지 20 중량부의 우롱차, 3 내지 10 중량부의 녹차, 1 내지 5 중량부의 둥글레, 2 내지 7 중량부의 구기자, 1 내지 4 중량부의 보이차, 0.5 내지 1.5 중량부의 인삼, 0.3 내지 1.5 중량부의 진피, 0.3 내지 2.5 중량부의 삼백초, 0.3 내지 1.7 중량부의 뽕잎 및 0.3 내지 1.5 중량부의 감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을 원료로 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
  3. 삭제
  4. 색차계 명도 L값 50 내지 60을 갖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볶은 타타리메밀을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55 ℃부터 95 ℃까지 등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2 내지 4회의 순환식 추출하는 공정과
    1 내지 8 중량부의 영지버섯, 1 내지 8 중량부의 상황버섯 및 1 내지 8 중량부의 차가버섯을 포함하고, 20 내지 30 중량부의 결명자, 10 내지 20 중량부의 우롱차, 3 내지 10 중량부의 녹차, 1 내지 5 중량부의 둥글레, 2 내지 7 중량부의 구기자, 1 내지 4 중량부의 보이차, 0.5 내지 1.5 중량부의 인삼, 0.3 내지 1.5 중량부의 진피, 0.3 내지 2.5 중량부의 삼백초, 0.3 내지 1.7 중량부의 뽕잎 및 0.3 내지 1.5 중량부의 감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원료와 70 ℃ 내지 80 ℃의 그 원료의 25 내지 35 중량배의 물로 침지식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차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80010708A 2008-02-01 2008-02-01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08A KR100973343B1 (ko) 2008-02-01 2008-02-01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021358A JP5582519B2 (ja) 2008-02-01 2009-02-02 嗜好性が優れた混合茶飲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08A KR100973343B1 (ko) 2008-02-01 2008-02-01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92A KR20090084492A (ko) 2009-08-05
KR100973343B1 true KR100973343B1 (ko) 2010-07-30

Family

ID=4106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708A KR100973343B1 (ko) 2008-02-01 2008-02-01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82519B2 (ko)
KR (1) KR100973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758B1 (ko) * 2017-11-28 2018-04-17 이원경 산양삼과 보이차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8447A (ko) 2021-01-04 2022-07-12 손경순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4480B2 (ja) * 2009-11-18 2012-04-11 ヤン‐サム チャン 自然健康茶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13255B (zh) * 2011-06-09 2013-12-25 李文雅 一种功能性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2308895B (zh) * 2011-06-17 2014-04-02 朱世宗 灵芝苦荞茶
PL2731597T3 (pl) * 2011-07-12 2024-04-29 Vanderbilt University Sposoby leczenia stanu zapalnego i nadciśnienia tętniczego za pomocą wychwytywaczy gamma-ketoaldehydowych
CN102526377B (zh) * 2012-02-16 2013-10-30 陕西天铭岭南春茶业有限公司 有助于心脑血管疾病、促进睡眠的中草药茶及其制备方法
CN103109946A (zh) * 2013-03-15 2013-05-22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一种大肚子袋泡茶及其制法
CN103283899B (zh) * 2013-04-28 2016-01-27 福建东山康圣食品有限公司 一种桑叶茶的制备方法
CN103262922A (zh) * 2013-06-09 2013-08-28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一种冬瓜荷叶袋泡茶及其制法
CN103549078B (zh) * 2013-10-25 2014-11-19 何运仲 一种排毒瘦身茶及其制备方法
CN103549066B (zh) * 2013-11-21 2014-08-06 王玉兰 美容保健茶
CN103584243B (zh) * 2013-11-22 2014-12-10 济南凯因生物科技有限公司 保健饮料的制备方法
KR101694431B1 (ko) * 2014-07-22 2017-01-09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기호성이 우수한 한방 혼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86760A (zh) * 2014-07-29 2014-12-10 安徽明珍堂养生品有限公司 一种灯笼菠萝保健沫茶
CN104115956A (zh) * 2014-07-30 2014-10-29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一种特色红参速溶茶
JP6512589B2 (ja) * 2014-08-07 2019-05-15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蓄積抑制剤及びコレステロール蓄積抑制作用を向上する方法
WO2016035915A1 (ko) * 2014-09-05 2016-03-10 박명희 상황버섯차 제조방법
CN104304571A (zh) * 2014-10-12 2015-01-28 曹石 一种香菇枸杞保健茶的制作方法
CN108651788A (zh) * 2017-03-29 2018-10-16 康师傅饮品控股有限公司 苦荞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00831B1 (ko) * 2017-09-14 2019-07-17 모링가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CN108077487A (zh) * 2018-02-06 2018-05-29 霍山县天下泽雨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养胃的石斛茶
CN108740135A (zh) * 2018-06-20 2018-11-06 贵州江口梵净山云峰野生植物开发有限公司 一种养身茶叶及其制备工艺
CN111887323A (zh) * 2020-07-14 2020-11-06 江西省蚕桑茶叶研究所(江西省经济作物研究所) 一种迷迭香桑叶茶及其制作工艺
CN114287617A (zh) * 2022-01-14 2022-04-08 北京汉方食源生态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桑葚酵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A (ja) * 1991-06-25 1993-01-08 Tomoko Watabe 蕎・霊芝茶の製造方法
KR100380287B1 (ko) * 1999-11-12 2003-05-01 주식회사 경인제약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381A (ja) * 1983-12-17 1985-07-11 Akira Terayama 薬草美容茶製造法
JP3527625B2 (ja) * 1997-09-09 2004-05-17 アイ・エム・ビー株式会社 飲料用ホウトウクウ組成物
JPH11137221A (ja) * 1997-11-10 1999-05-25 Fukujuen:Kk にがそば入り茶
JP3872369B2 (ja) * 2002-03-28 2007-01-24 岐阜県 ホオノキ葉の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535622A (zh) * 2003-04-09 2004-10-13 北京君阳爱玛科技有限公司 以苦荞麦为原料制作饮食品的加工工艺
JP2007236363A (ja) * 2006-03-03 2007-09-20 Masao Umemoto チャーガ含有ココア
JP2008000121A (ja) * 2006-06-20 2008-01-10 Bamen Kenichi 免疫賦活食品,免疫賦活補助食品,抗腫瘍食品および抗酸化食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A (ja) * 1991-06-25 1993-01-08 Tomoko Watabe 蕎・霊芝茶の製造方法
KR100380287B1 (ko) * 1999-11-12 2003-05-01 주식회사 경인제약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758B1 (ko) * 2017-11-28 2018-04-17 이원경 산양삼과 보이차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8447A (ko) 2021-01-04 2022-07-12 손경순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3285A (ja) 2009-08-20
JP5582519B2 (ja) 2014-09-03
KR20090084492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43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405950B (zh) 豆腐渣银杏桑叶杂粮饼干及其制造方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101812725B1 (ko)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514B1 (ko) 라이스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라이스 고로케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KR20070048574A (ko) 기능성 곡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곡물
CN108741046B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CN110876476A (zh) 一种安神健脑清热养颜桂花藕粉冲调羹及其制备方法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680B1 (ko)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KR10184674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반건조 고구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KR101897591B1 (ko) 고형소재를 함유하는 항산화기능성 베리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637B1 (ko) 인삼, 미강, 우유,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인삼 제조방법
KR20200127114A (ko) 밤을 포함하는 쌍화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666461B1 (ko) 장 건강 개선을 위한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4111B1 (ko) 5단계 덖음 및 5단계 건조를 거친 연심차 및 그 제조방법
CN108477614A (zh) 用于改善睡眠质量的黑莓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60714B1 (ko) 누룽지 닭강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