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725B1 -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 Google Patents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725B1
KR101812725B1 KR1020160129272A KR20160129272A KR101812725B1 KR 101812725 B1 KR101812725 B1 KR 101812725B1 KR 1020160129272 A KR1020160129272 A KR 1020160129272A KR 20160129272 A KR20160129272 A KR 20160129272A KR 101812725 B1 KR101812725 B1 KR 10181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centrate
weight
mixtur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리
Original Assignee
강화홍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화홍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화홍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은 재료들인 꿀과 생약재들을 준비하는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중탕 가열하여 침출액을 제조하는 중탕 단계(S300); 상기 중탕된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침출액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가열 농축 단계(S500); 상기 농축액을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는 가열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가열 숙성된 농축액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농축액을 건조하여 환(丸)으로 제조하는 냉각 건조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은 꿀과 각종 생약재를 혼합하고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환으로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되고 생약재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MANUFACTURING METHOD FOR PILLS USING MEDICAL PLANTS COMPRISING GINSENG AND PILLS USING MEDICAL PLANTS COMPRISING GINSENG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꿀과 각종 생약재를 혼합하고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환으로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되고 생약재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식습관에 기인하는 만성질환의 증가, 식품의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증진효과 및 질병예방의 효과 등이 연구로 증명되면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수준이 높아져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진 실정이다.
현재 경제성장과 산업화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국민의식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게 되면서 식품산업, 식품서비스업, 외식산업 등이 크게 발전 되었으며, 그 가운데 식품첨가물의 사용증가와 불규칙한 식생활 등으로 인해 암이나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등 소위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식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지방 및 인스턴트식품 등의 고칼로리식품의 섭취가 늘어난 반면, 섬유질 섭취나 운동량 부족으로 인하여 변비와 비만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급속한 생활의 변화로 말미암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식사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대신 인스턴트식품으로 대체하거나 끼니를 건너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함으로써 몸의 영양소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거식증, 폭식증, 생리불순, 또는 불임 등의 이상현상이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나 음주 및 흡연 등의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로 인하여 고도비만, 혈액순환장애, 고혈압, 심장병, 장염, 두통이나 신경쇠약, 우울증, 불면증, 소화불량, 탈모현상 등의 성인병이 증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장기능저하 및 심폐질환 등 각종 건강관련 문제가 발병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꿀과 각종 생약재를 혼합하고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환으로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되고 생약재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55163호(2014년 10월 2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815333호(2008년 03월 13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33717호(2008년 04월 17일 공개)
본 발명은 꿀과 각종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혼합하고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환으로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되고 생약재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은 재료들인 꿀과 생약재들을 준비하는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중탕 가열하여 침출액을 제조하는 중탕 단계(S300); 상기 중탕된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침출액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가열 농축 단계(S500); 상기 농축액을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는 가열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가열 숙성된 농축액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농축액을 건조하여 환(丸)으로 제조하는 냉각 건조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생약재들은 홍삼, 생지황, 당귀,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및 지골피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상기 꿀은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홍삼은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생지황은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당귀는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백복령은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백하수오는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천문동은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지골피는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중탕 단계(S300)에서의 가열은 83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15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숙성 단계(S400)는 중탕된 혼합물을 65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가열 숙성 단계(S600)는 농축액을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농축 단계(S500)는 (1) 추출기 내부의 바닥에 가열 살균된 게르마늄 원석을 배치하는 추출기 준비 단계; (2) 상기 게르마늄 원석 상에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투입하는 침출액 투입 단계; (3) 상기 침출액을 투입한 추출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 (4) 상기 추출기를 4 내지 4.5kgf/cm2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3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 단계; (5) 상기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기에 통과시켜 액화시키는 냉각 단계; 및 (6) 상기 냉각된 추출물을 포집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포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에서 상기 농축액의 냉각과 건조는 5 내지 8℃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고,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를 거쳐 제조된 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이 14 내지 16%가 되도록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은 꿀과 각종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혼합하고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환으로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되고 생약재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은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 혼합 단계(S200), 중탕 단계(S300), 숙성 단계(S400), 가열 농축 단계(S500), 가열 숙성 단계(S600), 및 냉각 건조 단계(S700)를 포함한다.
1.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
상기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는 환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는 꿀과 각종 생약재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약재들로는 홍삼, 생지황, 당귀,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및 지골피가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에 예시된 생약재들 이외에도 각종 천연 생약재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꿀은 꿀벌이 식물의 꽃이나 다른 당단물을 날라다가 가공하여 벌방에 저장한 진한 단맛이 나는 액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벌꿀은 빚깔이나 향기, 맛, 성분 등이 꽃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벌꿀에 함유된 구성성분은 포도당 30~40 중량%, 과당 30~45 중량%, 자당 1~10 중량%, 올리고당 1~30 중량%, 맥아당 0.5~3 중량%, 아미노산(17종) 0.2~0.5 중량%, 비타민(10종) 0.05 중량% 이하, 미네랄(12종) 0.1 중량% 이하, 유기산 3 중량% 이하, 효소 극미량, 수분 21 중량% 이하 등일 수 있다. 꿀의 효능으로는 당으로 분류된 것은 인체의 에너지원이며, 체내의 노폐물 배출 기능, 장내 유익한 비피더스균의 증식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아미노산은 성장촉진, 대사 및 조직강화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미네랄은 신체의 균형유지에 효과를 보이며, 신진대사촉진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비타민은 인체의 영양을 공급하고, 각종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꿀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40 내지 5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홍삼은 인삼을 이용한 제조과정에서 사포닌(ginsenoside)의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구조의 변화로 화학적인 성분이 변화되어 유익한 특수 성분이 생기게 되는데, 수삼이나 백삼 등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말톨(Maltol),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등의 특유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중 말톨(Maltol)은 항암 및 노화억제기능을, 진세노사이드는 암세포증식억제, 항산화 및 항종양의 기능을 가진 생리활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홍삼은 원재료가 인삼인 것으로, 이러한 인삼에는 진세노사이드라는 사포닌 물질이 여러 종류로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이들 진세노사이드가 각각 자양강장 이외에 불안신경증, 불면, 우울상태 등 중추신경의 증상개선효과, 학습기능의 증진과 기억력을 개선시켜 지적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능, 외적 유해인자에 대한 비특이적 생체저항력을 증진시켜 주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외적 변화에 대하여 생체를 정상화시켜 주며 혈당강하기능, 해독 촉진작용, 간 손상보호 및 간 재생회복 촉진작용, 심근 세포 보호작용 및 심기능 강화작용, 혈중콜레스테롤의 함량저하 작용, 혈압조절작용 암세포전이와 항암제의 내성형성을 억제하는 활성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효능이 있으므로 인삼은 예로부터 한약재로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 다양한 가공식품이 제조되어 소비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삼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지황은 즙의 형태, 생지황즙으로 사용될 수 있고, 약리적으로 혈당을 내리고, 순환기 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 작용을 보이며, 간기능 보호작용, 항균작용이 있어, 당뇨병, 토혈, 코피, 자궁출혈, 생리불순, 변비 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황은,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회경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for.hueichingensis Hshlao)의 날 뿌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황은 예컨대, 생지황과 생지황을 찐 숙지황으로 분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기 지황으로서 생지황을 사용하지만, 숙지황의 적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지황의 구성 성분은 베타-시스토스테롤(β-sis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레흐마닌(rehmanin), 알칼로이드(alkaloid), 및 지방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지황즙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10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귀(當歸)는 미나리과(傘形科: Apiaceae/Umbelliferae)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당귀는 시중에서 구입 또는 직접 재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보혈작용이 있고, 사지관절에 동통이 있는 것을 치료하며, 타박상, 골절상에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귀는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복령은 빛깔이 흰, 담지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이고, 땀을 적당히 조절해 주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며 담즘, 설사 등을 다스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복령은 베타-파치만(β-pachyman)을 포함하고, 다수의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백복령은 소변을 잘 못보고 배와 전신이 붓는 증상에 효력을 나타내며 해수, 구토, 설사, 건망증, 유정의 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신장 부종에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내고, 궤양형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당강화 및 접촉성 피부염 억제 작용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복령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하수오는 인삼, 구기자와 더불어 3대 명약으로 불리우며, 레시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새치의 원인인 맬라닌 세포의 생성과 재생에 효과가 있어 탈모예방, 두피, 모발, 갱년기 증상을 완하시키고, 흰머리를 검게하고 모발을 굵고 윤기있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항산화, 항노화 성분이 풍부하고, 현대인의 잘못된 식습관이나 오염된 환경, 과로, 스트레스, 갱년기 장애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하수오는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는데, 이러한 뿌리는 약재로 이용되고, 노인의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문동의 유효성분으로는 아스파라진(asparagi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뇨, 강장 효과가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문동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골피는 구기자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몸이 허약하여 생기는 식은땀, 해수, 천식, 토혈, 코피, 소변출혈, 고혈당, 고혈에 좋으며 신경통, 두통, 어깨통증, 근육통, 요통, 허리와 무릎의 무력감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상기 지골피는 심혈관계통의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골피는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2.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 단계(S200)는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환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꿀 40 내지 50 중량부, 홍삼 5 내지 15 중량부, 생지황즙 10 내지 20 중량부, 당귀 5 내지 10 중량부, 백복령 5 내지 10 중량부, 백하수오 5 내지 10 중량부, 천문동 5 내지 10 중량부 및 지골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3. 중탕 단계(S300)
상기 중탕 단계(S300)는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중탕 가열하여 침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탕 단계(S300)에서는 혼합물이 수용된 용기가 직접 화기에 닿지 않도록 중탕기에 물을 넣은 후, 상기 물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탕 단계(S300)에서의 가열은 83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15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가열이 83℃ 미만에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가열이 85℃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의 물성이 물러져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침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4.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 단계(S400)는 상기 중탕된 혼합물을 65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중온 가열함으로써 침출액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 단계(S400)에서는 상기 중탕된 혼합물이 중온에서 가열됨으로써 상기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어 숙성시킬 수 있다.
5. 가열 농축 단계(S500)
상기 가열 농축 단계(S500)는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농축 단계(S500)는 (1) 추출기 내부의 바닥에 가열 살균된 게르마늄 원석을 배치하는 추출기 준비 단계; (2) 상기 게르마늄 원석 상에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투입하는 침출액 투입 단계; (3) 상기 침출액을 투입한 추출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 (4) 상기 추출기를 4 내지 4.5kgf/cm2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3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 단계; (5) 상기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기에 통과시켜 액화시키는 냉각 단계; 및 (6) 상기 냉각된 추출물을 포집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포집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 추출기 내부의 바닥에 가열 살균된 게르마늄 원석을 배치하는 추출기 준비 단계와 (2) 상기 게르마늄 원석 상에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투입하는 침출액 투입 단계를 거치는데, 상기 게르마늄 원석은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 상기 침출액을 투입한 추출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와 (4) 상기 추출기를 4 내지 4.5kgf/cm2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3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 단계를 거치는데,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고온 고압에서 가열함으로써 상기 침출액을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6. 가열 숙성 단계(S600)
상기 가열 숙성 단계(S600)는 상기 농축액을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농축 단계(S500)를 거친 농축액은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가열 숙성 단계(S600)를 거침으로써 상기 농축액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가열되어 숙성된 농축액의 점도를 높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숙성 단계(S600)에서는 상기 농축액을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숙성시키는데, 상기 가열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여 농축액의 점도가 너무 낮을 수 있고, 상기 가열이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과도하게 제거되어 농축액의 점도가 너무 높고 농축액의 물성이 변화할 수 있다.
7. 냉각 건조 단계(S700)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는 상기 가열 숙성된 농축액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농축액을 건조하여 환(丸)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에서 상기 농축액의 냉각과 건조는 5 내지 8℃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한 범위 내의 온도에서 상기 농축액을 냉각시켜 환(丸)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농축액의 물성 변화없이 안전하게 환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를 거침으로써 상기 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이 14 내지 16%가 되도록 건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꿀 45 중량부, 홍삼 10 중량부, 생지황즙 15 중량부, 당귀 7 중량부, 백봉령 8 중량부, 백하수오 8 중량부, 천문동 7 중량부 및 지골피 8 중량부를 준비하여 혼합하였고, 83 내지 85℃의 온도에서 17시간 동안 중탕한 후 67℃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침출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침출액을 상술한 가열 농축 단계(S500)에 제시된 방법으로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고, 97℃의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숙성된 농축액의 점도를 증가시켰다.
이어서, 상기 점도가 증가된 농축액을 7℃의 온도에서 냉각한 후 건조하여 15%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丸)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물 및 함량을 이용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환의 수분 함량이 8%가 되도록 냉각 건조하였다.
< 비교예 2 >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물 및 함량을 이용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환의 수분 함량이 25%가 되도록 냉각 건조하였다.
< 비교예 3 >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물 및 함량을 이용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가열 농축 단계(S500)를 거치지 않고 숙성 단계(S400) 이후에 가열 숙성 단계(S600)를 거침으로써 환의 수분 함량이 15%가 되도록 냉각 건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1, 2, 3을 통해 제조된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향, 가공성, 견고성 및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외형 식감 견고성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5 8.6 8.7 8.6
비교예 1 6.3 6.0 6.1 6.3
비교예 2 6.4 5.9 5.8 6.0
비교예 3 6.2 6.4 6.4 6.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외형, 식감, 견고성 및 종합적 선호도가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생약재를 이용한 환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하여 환을 제조할 경우에 소비자가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수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환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가열 농축 단계를 거쳐 영양 성분이 농밀하게 함유되어 있는 농축액을 이용하여 환을 제조함으로써, 외형이 견고함과 동시에 환을 취식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배가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재료들인 꿀과 생약재들을 준비하는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중탕 가열하여 침출액을 제조하는 중탕 단계(S300);
    상기 중탕된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침출액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가열 농축 단계(S500);
    상기 농축액을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는 가열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가열 숙성된 농축액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농축액을 건조하여 환(丸)으로 제조하는 냉각 건조 단계(S700)를 포함하되,
    상기 꿀 및 생약재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생약재들은 홍삼, 생지황, 당귀,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및 지골피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상기 꿀은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홍삼은 10 내지 15 중량부, 상기 생지황은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당귀는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백복령은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백하수오는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천문동은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지골피는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중탕 단계(S300)에서의 가열은 83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15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숙성 단계(S400)는 중탕된 혼합물을 65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가열 농축 단계(S500)는 (1) 추출기 내부의 바닥에 가열 살균된 게르마늄 원석을 배치하는 추출기 준비 단계; (2) 상기 게르마늄 원석 상에 상기 숙성된 침출액을 투입하는 침출액 투입 단계; (3) 상기 침출액을 투입한 추출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 (4) 상기 추출기를 4 내지 4.5kgf/cm2의 압력에서 3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3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 단계; (5) 상기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기에 통과시켜 액화시키는 냉각 단계; 및 (6) 상기 냉각된 추출물을 포집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포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숙성 단계(S600)는 농축액을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며,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에서 상기 농축액의 냉각과 건조는 5 내지 8℃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고, 상기 냉각 건조 단계(S700)를 거쳐 제조된 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이 14 내지 16%가 되도록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KR1020160129272A 2016-10-06 2016-10-06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KR10181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72A KR101812725B1 (ko) 2016-10-06 2016-10-06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72A KR101812725B1 (ko) 2016-10-06 2016-10-06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725B1 true KR101812725B1 (ko) 2017-12-27

Family

ID=6093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72A KR101812725B1 (ko) 2016-10-06 2016-10-06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7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32B1 (ko) * 2018-02-22 2019-05-28 류창우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0122397A1 (ko) * 2018-12-13 2020-06-18 박서영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102356517B1 (ko) 2021-04-20 2022-02-08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20B1 (ko) * 2011-01-31 2013-01-04 이요신 한약재와 아카시아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1268201B1 (ko) 2010-04-30 2013-05-27 장흥군 경옥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01B1 (ko) 2010-04-30 2013-05-27 장흥군 경옥고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620B1 (ko) * 2011-01-31 2013-01-04 이요신 한약재와 아카시아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32B1 (ko) * 2018-02-22 2019-05-28 류창우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0122397A1 (ko) * 2018-12-13 2020-06-18 박서영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102356517B1 (ko) 2021-04-20 2022-02-08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7698B (zh) 一种冬季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4017700B (zh) 一种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8244630A (zh) 一种补气养血复合益生菌植物酵素饮品的制备方法
CN103027155A (zh) 一种桑叶降脂降压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6360540A (zh) 一种怀姜糖膏及其生产工艺
CN106072527A (zh) 一种排毒养颜的纳豆组方及其制备方法
CN108029811A (zh) 一种改善吸烟和饮酒人群体质的黄精茶及其制备工艺
CN105062829A (zh) 一种高粱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1812725B1 (ko)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CN108991078A (zh) 一种防控富贵病的桑叶食品及其制备方法
CN108157547A (zh) 一种改善阴虚体质的黄精茶及其制备工艺
CN102021101B (zh) 可防治心脑血管疾病的益寿养生酒的制备方法
CN106343091A (zh) 一种减肥瘦身茶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725467B (zh) 一种高丽参红葡萄酒的制备方法
CN105076617A (zh) 一种苦荞茶及其制备方法
CN101597553B (zh) 从银杏中提取银杏粉和制备银杏健康酒的方法
CN106235216A (zh) 一种保健蓝莓蜂蜜粉及其制备方法
CN106070783A (zh) 一种薏米祛湿茶的生产工艺
CN105779246A (zh) 一种车厘子醋饮料
CN105166262A (zh) 一种滋补安神山药南瓜脯的加工方法
CN104489842B (zh) 红小豆玫瑰营养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642905A (zh) 玫瑰风味发糕的制作方法
CN107372947B (zh) 一种泡袋式降糖茶及其制备方法
KR20160016371A (ko) 경옥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경옥고
CN104255922A (zh) 适宜三高人群饮用的保健牛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