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490B1 -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490B1
KR100883490B1 KR1020077012124A KR20077012124A KR100883490B1 KR 100883490 B1 KR100883490 B1 KR 100883490B1 KR 1020077012124 A KR1020077012124 A KR 1020077012124A KR 20077012124 A KR20077012124 A KR 20077012124A KR 100883490 B1 KR100883490 B1 KR 10088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drain
antimicrobial agent
drain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448A (ko
Inventor
하루오 나카타
마키오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891With holder for solid, flaky or pulverized material to be dissolved or entra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762With leakage or drip col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드레인 팬(8)과, 드레인 팬(8) 내에 세워 설치되는 항균부재(50)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가 제공된다. 항균부재(50)는 항균제(50B)를 구비하고 있다. 항균부재(50)의 상하 방향의 길이(L3)는, 드레인 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가 최소 수위(L1)일 때에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가 드레인수 중에 침지되고, 또한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b)가 드레인 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최대 수위(L2)보다 소정의 길이(H) 이상 노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DRAIN WATER BACTERIOSTATIC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본원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기의 하부에는, 드레인수를 받아들여 외부에 배출하는 드레인 팬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 내에 저장된 드레인수는, 창형 또는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에는, 드레인 팬 내에 설치된 경사홈으로부터 드레인 배관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고, 천정 매입형 또는 천정 적하(吊下)형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에는(드레인 업킷을 포함한다), 드레인 펌프에 의해 퍼올려진 후에 드레인 배관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드레인 팬 내에 드레인수가 소정 시간 정체한다. 그 때문에,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에 세균이 번식하여, 슬라임 생성에 의한 이취(異臭) 및 드레인 배관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대책으로서, 드레인 팬의 내벽면 상에, 항균제 함유 수지 조성물층과, 수지제 시트 또는 필름을 차례차례 적층하는 기술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항균제함유 수지 조성물층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무기 충전재, 및 항균 제를 함유한다. 그리고, 이 기술은, 수지제 시트 또는 필름을 투과한 항균제가 드레인수에 작용함으로써, 드레인수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 살균 작용을 갖는 구리합금박을 드레인 팬의 저면 상에 접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드레인 팬을 형성하는 재료 중에 살균제를 혼합함과 동시에, 자외선 램프에 의해 드레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상기 어떤 기술에 있어서도, 드레인 팬 자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슬라임 생성 등의 오염의 진행에 따라서, 점차 정균효과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의 경우, 공기 조화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하나의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드레인 팬 전체에 걸쳐서 자외선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복수의 자외선 램프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기술에는, 자외선 램프의 설치 비용 및 런닝 비용이 모두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일반적으로는, 도 2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쉬 구조를 갖는 용기(50A) 내에 입자형상 또는 펠릿(pellet)형상의 항균제(50B)를 충전한 항균부재(50)가, 그 전체가 드레인수에 몰입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항균제(50B)는 물에 용해하여 살균 효과를 발휘한다. 항균제(50B)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계 항균제를 담지한 수용해성 유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정균구조의 경우, 일정기간의 사용에 의해 용기(50A) 내의 항균제(50B)가 없어지 면, 항균부재(50)가 새로운 항균부재(50)로 교환된다.
항균제(50B)에는, 정균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한도의 농도가 존재한다. 이 최소 농도는, 사용하는 항균제(50B)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그래서, 항균제의 초기량(침지량)은, 통상 사용 조건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최악의 조건(항균제의 용출농도가 가장 낮아지는 조건) 아래에 있어서 이 최소 농도를 확보하고, 또한 사용 연수 간의 전체에 걸쳐 안정되어 유효한 정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항균제(50B)의 사용 연수(시간)와,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50B)의 농도와의 관계를 도 24에 나타낸다. 사용 연수와 함께 항균제(50B)는 소모되고, 항균제(50B)의 농도도 저하된다(도 24 중의 A~B 참조). 따라서, 정균효과를 N연간에 걸쳐 발휘하기 때문에, 항균제의 초기량은, N년 후에 필요 최저 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항균제량과 N연간 소모하는 항균제량의 합이 되므로, 많은 항균제가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결정된 양의 항균제 전체가,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수 중에 몰입한 상태로 사용되면, 항균제(50B)의 용출량이 많아지므로 유효하게 정균효과가 발휘되지만, 항균제의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항균제를 쓸데없이 소비한다.
또, 사용 기간이 단기간인 경우, 최소 농도를 확보하는데 충분한 양의 항균제가 존재하면 되지만, 장기간(예를 들면 수년~수십년)에 걸쳐 정균효과가 발휘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항균제의 양을 많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 농 도가 상기 필요 최소 농도를 크게 웃돌아 항균제를 쓸데없이 소비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개평10-78240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국 특개평2-106630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국 특개평2000-97447호 공보
본원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항균제를 필요로 할 때에 필요한 양만큼 용출시킴으로써 항균제의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어 효율적으로 정균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형태로서,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드레인 팬(8)과, 드레인 팬(8) 내에 세워 설치되는 항균부재(50)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가 제공된다. 항균부재(50)는 항균제(50B)를 구비하고 있다. 항균부재(50)의 상하 방향의 길이(L3)는, 드레인 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최소 수위(L1) 시에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가 드레인수 중에 침지되고, 또한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b)가 드레인 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최대 수위(L2)보다 소정의 길이(H) 이상 노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에 있어서 드레인수 중에 침지되어 있는 항균제(50B)가 드레인수에 용출하여 점차 감소해도, 그에 따라서 드레인수의 실제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용출하지 않은 새로운 항균제(50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차례차례 공급된다.
따라서, 수위에 따른 소모량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H)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긴 기간 내에 걸쳐 일정한 농도에서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같은 구성에서는, 항균부재(50)의 구성만으로 대응할 수 있고, 드레인 팬(8)의 구성은 종래인 채로 좋으므로, 드레인수 정균구조는 간단하며 저비용이다.
상기 항균부재(50)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용기(50A)와, 상기 용기(50A) 내에 수용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가 용기(50A)의 구멍으로부터 항균부재(50)의 외부에 용출하여 살균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항균제(50B)의 용출에 의해 생긴 공간에는, 그 상방에 위치하는 새로운 항균제(50B)가 중력에 의해 순조롭게 강하하여 보급된다.
이때, 공기 조화기(1)가 드레인 펌프(22)를 구비하고, 항균부재(50)가 드레인 펌프(22)의 설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드레인 펌프(22)의 구동시의 미진동에 의해, 상술의 공간에 새로운 항균제(50B)가 상방으로부터 순조롭게 공급되고, 보다 확실한 항균제(50B)의 보급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는 랜덤하게 배치됨으로써, 이 구성은, 상술의 공간에 대해서 항균제(50B)를 상방으로부터 순조롭게 공급하는 효과가 높다. 또한, 드레인 펌프(22)가 설치된 개소는 본래,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로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 연수가 경과한 항균부재(50)의 교환도 용이하다.
또, 상기 항균부재(50)는, 수용성을 갖는 항균제 보유재(50D)와, 상기 보유재(50D) 중에 혼입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항균 보유재(50D)의 용해에 따라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가 용출하여 살균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항균 보유재(50D)의 용해에 따라서, 중량에 의해 항균부재(50) 전체가 순조롭게 침강한다. 그 때문에, 살균 작용을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드레인수 정균구조가 적용되는 각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저면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항균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항균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a)는 항균부재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소정 기간 경과 후의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항균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변형예 1에 관한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항균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다른 구성예에 관한 항균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변형예 2에 관한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항균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의 (a)은 종래의 드레인수 정균구조에 있어서의 항균부재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소정 기간 경과 후의 항균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에 있어서의 항균 작용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그래프.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의 정균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 조화기의 구조의 일례를 도 1, 도 2에 나타낸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는, 천정(14)에 형성된 개구(7)의 상방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 본체(1)와,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에 대해서 개구(7)를 덮는 화장 패널(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는 대략 육각형을 이루는 카세트형의 본체 케이싱(3)을 구비하고, 본체 케이싱(3) 내에는, 대략 고리형상의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4)의 중심에 배치되고, 흡입측을 하방에 배향하고, 또한 공기 취출측을 열교환기(4)의 내주면에 배향한 팬(원심 날개차)(5) 및 팬 모터(9)와, 팬(5)의 흡입측에 배치된 벨 마우스(6)(공기 흡입구(6a))가 설치되어 있다.
팬(5)은, 상방에 위치하는 허브(5a)와 하방에 위치하는 슈라우드(5c)와의 사이에 복수매의 블레이드(5b)를 구비한 원심 팬에 의해 구성되고, 허브(5a)의 중심축부분이 상기 팬 모터(9)의 모터축(9a)에 고정됨으로써,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팬 모터(9)는, 그 팬 모터 부착 블래킷(9b)이 복수의 팬 모터 부착부재(11)에 의해 본체 케이싱(3)의 천판(32)에 부착됨으로써, 천판(32)에 지지되고 있다.
열교환기(4)의 하방에는, 상기 열교환기(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드레인 팬(8)이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4)의 외주에는 공기 취출통로(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취출통로(10)의 하류에는 공기 분출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형의 본체 케이싱(3)은,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측벽(3a)과, 상기 측벽(3a)의 상부를 덮는 상술의 천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4)는, 복수의 전열관(42)과, 복수의 플레이트 핀(41)을 구비한 크로스 핀 코일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열관(42)은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대략 고리형상으로 만곡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열의 전열관렬을 구성하고 있다. 각 플레이트 핀(41)은 각 전열관(42)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4)의 양 개방단에는 관판이 각각 설치되고, 각 관판 간은 소정의 구획판(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싱(3)의 천판(32), 각 관판, 구획판(12) 및 벨 마우스(6)의 하면에 부착되는 스위치 박스(13)는, 모두 금속판 제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32) 및 스위치 박스(13)는, 구획판(12)의 상하 양단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벨 마우스(6)의 한 측에는 스위치 박스(13)를 수납하는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4) 내에 스위치 박스(13)가 끼워 맞춰져 있다.
상기 구획판(12)의 하단에는, 각 관판의 하단에 대한 결합부로서의 한 쌍의 설치편(19)이 구획판(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편(19)은, 관판에 대해 서 나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고정된다.
공기 조화기는, 실외를 향해 연장되는 드레인 호스 접속구(21), 드레인 펌프 수용부(24)에 배치된 드레인 펌프(22), 및 플로트 스위치(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드레인 펌프 수용부(24)는 구획판(13a)에 의해 나뉘어 있다. 스위치 박스(13)는 덮개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드레인 팬 및 항균부재의 설치 구조)
상기 드레인 팬(8)은 도 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팬(8) 전체는 소정의 단열재에 의해 대략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팬(8)의 상면에 있어서,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벽(8a)과 내주측에 위치하는 측벽(8b)과의 사이에는, 열교환기(4)의 각 플레이트 핀(41)이 탑재되는 제1 홈(81)과, 상기 제1 홈(81)보다 깊은 드레인수 배출용 제2 홈(82)의 2개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홈(82) 내에는 항균부재(50)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항균부재(50)는 항균제(50B)를 구비하고(도 6 참조), 제1 홈(81) 및 제2 홈(82) 내에 저류(유출 상태도 포함한다)된 드레인수에 대해서 항균제(50B)(도 6 참조)를 작용시켜 드레인수의 정균을 행하다.
이 항균부재(50)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3)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용기 본체(50A)와, 상기 용기 본체(50A) 내에 대략 충만하는 상태로 수용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50A)의 상하 양단은 폐색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50A)의 벽에는 복수 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항균부재(50)는 상기 제1, 제2 홈(81, 82)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수위가 최소일 때, 즉 드레인수가 최소 수위(L1)일 때에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가 드레인수 중에 침지하도록, 제2 홈(82)의 바닥부 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길이(L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균부재(50)가 제2 홈(82)의 바닥부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제2 홈(81, 82)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수위가 예측되는 최대일 때, 즉 드레인수가 최대 수위(L2)일 때에,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c)가 드레인수의 최대 수위(L2)보다 소정의 길이(H) 이상 노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항균제(50B)는 물에 용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8)의 제1, 제2 홈(81, 82) 내의 드레인수의 양(침지량)에 따라 용해하고, 용기 본체(50A)의 벽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용출하여 드레인수를 살균한다.
이러한 정균작용을 실현하는 경우, 전술과 같이, 항균제(50B)에는, 유효한 정균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농도가 존재한다. 이 최소 농도는, 사용하는 항균제(50B)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그래서, 항균제의 초기량(침지량)은 통상,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조건의 범위 내의 최악 조건(항균제의 용출농도가 가장 낮아지는 조건) 아래에 있어서 상기 최소 농도를 확보하고, 또한 사용 연수(N년) 사이에서 안정되어 유효한 정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양의 항균제 전체가 종래(도 23)와 같이 드레인수 중에 몰입한 상태로 사용되면, 최악 조건하에서도, 그 이외의 조건하에서도 유효하게 정균효과가 발휘되지만, 상기 그 이외의 조건하에서는, 항균제의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항균제를 쓸데없이 소비한다.
또, 사용 기간이 단기간인 경우, 상기 최소 농도를 확보하는데 충분한 양의 항균제가 존재하면 되지만, 장기간(예를 들면 수년~수십년간)에 걸쳐 유효한 정균효과가 발휘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항균제의 양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 이때,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의 초기 농도가 필요 최소 농도를 크게 웃돌기 때문에, 항균제를 쓸데없이 소비한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내의 드레인 팬(8)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길이(L3)를 갖도록 항균부재(50)가 형성된다. 또한, 드레인수의 최소 수위(L1)에 있어서도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가 드레인수에 침지되고, 또한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c)가 드레인수의 최대 수위(L2)보다 소정의 길이(H) 이상 높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에 있어서, 드레인수 중에 침지하고 있는 항균제(50B)가 드레인수에 용출(용해)하여 점차 감소해도, 그에 따라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수의 실제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전혀 용출하고 있지 않은 새로운 항균제(50B)가, 중력에 의해 상방에서 하부로 점차 하강하여 차례차례 보급된다.
따라서, 수위에 따른 소모량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H)가 사용 연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부의 항균제(50B)가 소모 되어 버릴 때까지의 원하는 긴 기간에 걸쳐 연속한 항균부재(50)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같은 구성에서는, 항균부재(50)의 구성만으로 대응할 수 있고, 드레인 팬(8)의 구성은 종래인 채로 좋기 때문에, 드레인수 정균구조는 간단하며 저비용이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항균부재(50)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을 갖는 용기 본체(50A)와, 상기 용기 본체(50A) 내에 수용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가 용기 본체(50A)의 복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용출되고, 또 항균제(50B)가 용출한 하단부(50a)에는 그 상방으로부터 새로운 항균제(50B)가 중력에 의해 순조롭게 하강하여 보급된다.
이러한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항균부재(50) 전체의 몰입의 경우와 달리, 항균제(50)의 쓸데없는 소모를 억제하고, 일정하고 안정된 농도로 최대한까지 길고 또한 유효하게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즉, 같은 구성에서는, 항균제(50B)가 필요할 때에 필요한 양만큼 용출되고, 항상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50B)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장기간 안정되어 효율적으로 정균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항균부재(50)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항균제(50B)의 사용 연수(시간)(N)와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50B)의 농도와의 관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 연수와 함께 항균제(50B)는 소모되지만, 도 24에 나타내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항균제(50B)의 침지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50B)의 농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균효과를 N년간 발휘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항균제의 초기량은, N년간에 걸쳐 필요 최저 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항균제량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같은 N년간에 소모되는 항균제의 양은 종래보다 상당히 감소한다.
(변형예 1)
변형예 1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항균부재(50)의 형상을 편평한 파이프형상으로 변경한 이외는,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레인 팬(8) 내의 제2 홈부(82)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항균부재(5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용기 본체(50A)를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메쉬 부재(합성 수지제)에 의해 구성하는 것에 적합하다. 용기 본체(50A)가 메쉬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어 꺾은 구조로 하여, 메쉬부재의 한 측 및 상하 양단을 접합하거나, 또는 봉합시킴으로써, 용기 본체(50A)를 편평한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2)
변형예 2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항균부재(50)를, 수용성을 갖는 항균제 보재로서의 합성 수지재(50D) 내에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를 균일하게 반죽했으므로 원주형상으로 형성한 이외는, 상 기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항균부재(5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재(50D) 및 항균제(50B)가 용해함에 따라서 항균부재(50)가 짧아진다. 그 때문에, 어떠한 보유 수단으로 항균부재(5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하는 것만으로, 상술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일정한 농도에서의 장기에 걸친 안정된 항균 작용의 지속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도 15 및 도 16은,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의 항균부재(50)를 열교환기(4)의 각 플레이트 핀(41) 간의 틈새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드레인 팬(8)의 제2 홈부(82) 내에 항균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모두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실시의 형태 1과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 특별한 부착부재 또는 부착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낮다.
(실시의 형태 3)
도 17 및 도 18은,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열교환기(4)의 각 플레이트 핀(41)에 있어서, 외주 측에 위치하는 전열관(42)에 대해서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항균부재(50)를 걸어 맞 춤부재(52)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드레인 팬(8)의 제2 홈(82) 내에 항균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모두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어 맞춤부재(52)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을 이루는 것과 동시에 플레이트 핀(41)을 향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C자 모양의 링(52a)과, 상기 링(52a)의 측벽으로부터 플레이트 핀(41)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걸어 맞춤편(52b, 52c)으로 이루어진다. 링(52a)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항균부재(50)의 용기 본체(도 6의 50A)가 끼워 맞춰진다. 각 걸어 맞춤편(52b, 52c)은 암형상을 이루고, 링(52a)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개소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각 걸어 맞춤편(52b, 52c)의 선단에는, 플레이트 핀(41)을 향해 개구하는 U자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링부(52a)에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c)를 끼워맞춤 및 보유한 후에, 2개의 걸어 맞춤편(52b, 52b)의 U자형상 홈을 소정의 플레이트 핀(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열관(42)에 걸어 맞추는 것만으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재(52)는 항균부재(50)를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2의 경우에 비해, 항균부재(50)보다 확실한 지지가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19 및 도 20은,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2 및 3의 구성에서는, 항균부재(50)가 열교환기(4)의 각 플레이트 핀(41)에 접촉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 핀(41) 간의 통풍량이 저하한다.
그래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항균부재(50)를, 걸어 맞춤부재(51)에 의해 드레인 팬(8)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벽(8a)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각 플레이트 핀(41) 간의 통풍량의 저하를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걸어 맞춤부재(51)는, 항균부재(50)의 상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원고리형상의 링(51c)과, 상기 링(51c)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드레인 팬(8)의 측벽(8a)에 고정되는 고정편(51a)을 갖는 역J자 모양의 훅(51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레인 팬(8)의 측벽(8a)에 대해서 훅(51b)의 고정편(51a)을 걸어 맞추는 것만으로 항균부재(5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항균부재(50)의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해진다.
(실시의 형태 5)
도 21 및 도 22는,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의 항균부재(50)가 드레인 펌프(22)의 설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설치 개소는 일반적으로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로서 설정되고, 항균부재(50)는 적당한 진동(미진동)을 받기 쉽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 펌프(22)는 열교환기(4)의 외주측에 대 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고, 제2 홈(82)에 있어서 드레인 펌프(22)가 설치된 개소는, 다른 개소에 비해 소정 길이만큼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홈(82) 내에는, 드레인 펌프(22)의 흡수구(22a)가 드레인수를 흡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펌프(22)의 드레인수 배출구(22b)에는 드레인 호스(20)의 일단이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실시의 형태의 경우,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 펌프(22)의 펌프 케이싱의 한 측에는, 한 쌍의 걸어 맞춤편(22c)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펌프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 맞춤편(22c)의 사이에는,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b)가, 드레인 팬(8) 내의 드레인수의 최대 추이(L2)보다 소정의 길이(H)만큼 노출하도록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항균부재(50)의 설치에 의해, 각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드레인 펌프(22)의 구동시의 미진동에 의해, 하단부(50a)에 있어서 항균제(50B)가 소모됨으로써 생긴 공간에 새로운 항균제(50B)가 상방으로부터 순조롭게 공급되고, 보다 확실한 항균제(50B)의 보급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는 랜덤하게 배치됨으로써, 상술의 공간에 대해서 항균제(50B)를 상방으로부터 순조롭게 공급하려면 약간의 궁리가 필요하다. 이 실시의 형태는, 그 대책으로서의 효과가 높다.
또한, 드레인 펌프(22)가 설치된 개소는 본래,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로서 설 정되어 있음으로써, 사용 연수가 경과한 항균부재(50)의 교환도 용이하다.
(그 외의 실시의 형태)
(a)적용되는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이상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천정 매입형의 공기 조화기를 대상으로 했지만, 본원 발명의 정균구조는, 그 외의 타입의 공기 조화기, 예를 들면 천정 적하형 공기 조화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또는 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정균에도 유효하다. 공기 조화기는, 드레인 팬이 설치된 개소에 드레인 펌프를 가져도 되고 갖지 않아도 된다 .
드레인 팬 및 드레인 펌프로서, 예를 들면 드레인 팬, 드레인 펌프, 및 수위 제어 기구를 구비한 드레인 업킷이 사용되어도 된다. 같은 킷은, 공기 조화기 본체(1)와 별도로 설치되어 독립(전기 계통은 연동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하여 사용되고 있고, 유입한 드레인수를 단독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품에 탑재되어 있는 드레인 펌프에서는 양정(揚程)이 부족한 경우는, 이 킷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도, 본원 발명의 드레인수 정균구조는 유효하다.
(b)항균제에 대해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항균제로서 유기계 항균제, 무기계 항균제 또는 그러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임의로 선택되어 사용된다. 유기계 항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류, 할로 알킬류, 요오드류, 벤츠 이미다졸류, 티오카바메이트류, 이종환식 질소 화합물, 퀴논류, 이소티아졸린류, 제4급 암모늄염류, 시아네이트류, 아닐리드류의 외, 트리클로로컬바니드, 폴리헥사메틸렌 바이그아니드 하이드로클로리 드, 또는 옥타데실 디메틸-3-트리메톡시 시릴 프로필 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무기계 항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은, 동, 아연, 주석 등의 무기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무기계 항균제나, 이러한 항균제를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카올린 크레이, 규조토, 탈크, 벤토나이트, 세라믹스, 활성탄, 어퍼타이트 등에 담지시킨 무기계 항균제를 들 수 있다.
세라믹스, 활성탄, 어퍼타이트 등에 담지된 무기계 항균제는, 예를 들면 항균성이 높고, 비휘발성이며, 또한 수지와 혼합반죽하기 쉽다는 메리트가 있다. 따라서, 상술의 변형예 2(도 12~도 14)에 관한 항균부재(50)에 적합하다.
변형예 2에 관한 합성 수지재(50D) 및 항균제(50B)를 함유하는 항균제 함유 수지 조성물은, 본원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소취제, 착향제 등의 첨가제가 임의로 첨가 배합됨으로써, 제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 상술의 물에 용해하는 특성을 갖는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서, 예를 들면 상기 무기계 항균제를 담지한 수용해성 유리 등과 같이, 물에 용해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갖는 항균제가 서서히 용출하는 입자형상 또는 펠릿구조의 항균제도 채용가능하다.

Claims (4)

  1.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드레인팬(8)과, 드레인팬(8)의 바닥부에 세워 설치되는 항균부재(50)를 구비하고,
    상기 항균부재(50)는 수용성의 항균제(50B)를 구비하고, 상기 항균부재(50)의 상하 방향의 길이(L3)는, 드레인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가 최소 수위(L1)일 때에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가 드레인수 중에 침지되고, 또한 항균부재(50)의 상단부(50b)가 드레인팬(8) 내에 있어서의 드레인수의 최대 수위(L2)보다 소정의 길이(H) 이상 노출하도록 설정되어, 드레인수 중의 항균제(50B)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항균부재(5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수용성을 갖는 원기둥형상의 항균제 유지재(50D)와, 이 유지재(50D) 중에 혼입된 입자형상 또는 펠릿형상의 항균제(50B)로 이루어지고,
    항균부재(50)의 하단부(50a)에 있어서 드레인수 중에 침지되어 있는 항균제가 드레인수에 용출되어 감소함에 따라 드레인수의 실제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용출되지 않은 항균제(50B)가 중력에 의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7012124A 2004-12-13 2005-12-13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KR100883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0316 2004-12-13
JP2004360316A JP4252530B2 (ja) 2004-12-13 2004-12-13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静菌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448A KR20070065448A (ko) 2007-06-22
KR100883490B1 true KR100883490B1 (ko) 2009-02-16

Family

ID=3658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124A KR100883490B1 (ko) 2004-12-13 2005-12-13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4502B2 (ko)
EP (1) EP1835236A4 (ko)
JP (1) JP4252530B2 (ko)
KR (1) KR100883490B1 (ko)
CN (1) CN100535533C (ko)
AU (1) AU2005314903B2 (ko)
WO (1) WO2006064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414A (ja) * 2006-12-18 2008-07-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5233113B2 (ja) * 2006-12-18 2013-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869105B2 (ja) * 2007-02-23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9180386A (ja) * 2008-01-29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5205099B2 (ja) * 2008-03-27 2013-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2085711B1 (en) * 2008-01-29 2014-12-31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ntibacterial unit for drain water
DE202008003864U1 (de) * 2008-03-19 2009-08-13 Tinnefeld, Hans Klimatisierungssystem für Räume
JP5495527B2 (ja) * 2008-09-11 2014-05-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0112674A (ja) * 2008-11-10 2010-05-20 Sanden Corp 熱交換器
JP4582246B1 (ja) * 2009-06-30 2010-1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20130104588A1 (en) * 2010-03-30 2013-05-02 Sanden Corporation Heat Exchanger
ES2398514T3 (es) 2010-05-13 2013-03-19 Lg Electronics, Inc. Acondicionador de aire
US9022846B1 (en) 2010-09-10 2015-05-05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110 CFM bath fan with and without light
US9175874B1 (en) * 2010-09-10 2015-11-03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70 CFM bath ventilation fans with flush mount lights and motor beneath blower wheel
US9416989B1 (en) 2010-09-17 2016-08-16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80/90 CFM bath fan with telescoping side extension brackets and side by side motor and blower wheel
US9097265B1 (en) 2010-09-17 2015-08-04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50/60 CFM bath exhaust fans with flaps/ears that allow housings to be mounted to joists
US8961126B1 (en) 2010-09-21 2015-02-24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70 CFM bath fan with recessed can and telescoping side suspension brackets
US9103104B1 (en) 2010-10-08 2015-08-11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Bath fan and heater with cover having adjustable luver or depressible fastener and depressible release
JP5611132B2 (ja) * 2011-06-29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抗菌剤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9028212B1 (en) 2011-09-16 2015-05-12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50 CFM bath fans with lens cover and flaps/ears that allow housings to be mounted to joists
JP5909069B2 (ja) * 2011-10-05 2016-04-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及びそのドレンパン清浄方法
FR2982354B1 (fr) * 2011-11-08 2013-12-20 Sauermann Ind Sa Dispositif de relevage de condensats, mettant en oeuvre un metal bactericide.
JP5464207B2 (ja) * 2011-12-28 2014-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6112540B2 (ja) * 2012-10-11 2017-04-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5831431B2 (ja) * 2012-11-15 2015-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4119131A (ja) * 2012-12-13 2014-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686151B2 (ja) * 2013-03-11 2015-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693658B2 (ja) * 2013-05-20 2015-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9414142B1 (en) 2013-09-06 2016-08-09 Chien Luen Industries Co., Ltd., Inc. Wireless bath fan speaker
US9366070B2 (en) 2014-05-19 2016-06-14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Active water management for fenestration assembly
JP6458984B2 (ja) * 2014-10-10 2019-01-3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WO2016084216A1 (ja) * 2014-11-28 2017-05-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9459016B1 (en) 2015-03-12 2016-10-04 Gary E. Kopp After market installable closed loop humidifier system and kit utilizing high efficiency furnace condensate water or city water inlet for humidifying an enclosed space
CN107429938A (zh) * 2015-03-27 2017-12-01 佐伯午郎 空调吹出口的风向调整装置和抗菌构件
US20180195790A1 (en) * 2015-07-08 2018-07-12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6300525B (zh) * 2016-08-31 2019-05-31 江苏苏航船业集团有限公司 一种船用自适应充电桩
WO2019159284A1 (ja) * 2018-02-15 2019-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002960B2 (ja) * 2018-02-16 2022-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機
JP6791284B2 (ja) * 2019-02-22 2020-1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ドレンパン、ドレンパン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2021081136A (ja) * 2019-11-20 2021-05-2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11149723B2 (en) * 2019-12-31 2021-10-19 Psg California Llc Diaphragm pump leak detection
US20220073385A1 (en) * 2020-09-08 2022-03-10 William Herbkersman Method and device for limiting algae growth in condensate drain lines
US20220186979A1 (en) * 2020-12-14 2022-06-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Heating systems with unhoused centrifugal fan and wraparound heat exchanger
US11859858B1 (en) 2022-02-02 2024-01-02 Terry Zarling Copper coated AC drain pan bas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402A (ja) * 1996-02-07 1997-08-12 Hitachi Ltd 壁設置型空気調和機
JPH10109872A (ja) * 1996-10-08 1998-04-2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の低速運転装置
JPH10217876A (ja) * 1997-02-06 1998-08-18 Yazaki Corp ルーフ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03014249A (ja) * 2001-06-19 2003-01-15 Lg Electronics Inc 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855A (en) * 1974-09-20 1976-11-09 Cdc Chemical Corporation Clog prevent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ondensate drain pans
JPS6373039A (ja) 1986-09-17 1988-04-0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US4869075A (en) * 1987-11-16 1989-09-26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JPH02106630A (ja) 1988-10-14 1990-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H059692U (ja) 1991-07-17 1993-02-09 株式会社加藤機械製作所 殺菌フロート
US5514344A (en) * 1994-08-15 1996-05-07 D'agaro; Raymond Solution dispenser for air conditioning microorganism control
JPH1078240A (ja) 1996-09-03 1998-03-2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パン
US5976364A (en) * 1997-04-28 1999-11-02 Innovation Unlimited, Inc. Apparatus for treating air conditioner condensate with algicide
JP2000097447A (ja) 1998-07-13 2000-04-04 Century Corp 殺菌機能を有する熱交換装置
JP2002257400A (ja) * 2001-02-26 2002-09-11 Osaka Gas Co Ltd 空気調和室内機の保守装置
US7392821B2 (en) * 2002-10-29 2008-07-01 Daikin Industries, Ltd. Drain water discharge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JP2004149585A (ja) 2002-10-29 2004-05-27 Hokushin Ind Inc 親水性基含有ポリ(p−ビニルフェノ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402A (ja) * 1996-02-07 1997-08-12 Hitachi Ltd 壁設置型空気調和機
JPH10109872A (ja) * 1996-10-08 1998-04-2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の低速運転装置
JPH10217876A (ja) * 1997-02-06 1998-08-18 Yazaki Corp ルーフ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03014249A (ja) * 2001-06-19 2003-01-15 Lg Electronics Inc 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314903A1 (en) 2006-06-22
AU2005314903B2 (en) 2009-04-30
CN100535533C (zh) 2009-09-02
US20110126917A1 (en) 2011-06-02
JP2006170478A (ja) 2006-06-29
EP1835236A4 (en) 2009-12-16
CN101069044A (zh) 2007-11-07
EP1835236A1 (en) 2007-09-19
KR20070065448A (ko) 2007-06-22
WO2006064812A1 (ja) 2006-06-22
JP4252530B2 (ja) 2009-04-08
US8104502B2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490B1 (ko)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수 정균구조
US20080053134A1 (en) Air Conditioner
JP4670087B2 (ja) 循環式の水の濾過装置
JP2006194494A (ja) 空気調和機
JP2006194491A (ja) 空気調和機
JPH0824909B2 (ja) 蒸発式冷却装置の再循環流体処理法
JP4696547B2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静菌構造
JP4441163B2 (ja) 酸素供給水冷却装置及び濾過装置並びにこれ等を用いた濾過機能付随水冷却装置
WO2006062182A1 (ja) ドレンアップキット
JP2005345047A (ja) 気化式加湿器の殺菌方法及び殺菌式気化式加湿器並びにそのための銀イオン発生装置
JP5610896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キャップ
JP5335449B2 (ja) 空気調和装置
JP4696559B2 (ja) 空気調和機
JP4639762B2 (ja) 空気調和機
JP2006322677A (ja) 抗菌材料及び抗菌材料を備えた装置
JP5278525B2 (ja) 空気調和装置
JPH11318271A (ja) 水槽用冷却装置
JP2003139488A (ja) 冷却塔の水処理装置
JP2000083511A (ja) 水槽用冷却装置
JP5233113B2 (ja) 空気調和機
CN112556489B (zh) 冷却塔清洁装置和冷却塔
US11859858B1 (en) Copper coated AC drain pan basin
JP5416739B2 (ja) 抗菌ユニット
CN115321638A (zh) 一种智能厨下型油脂分离器
JP2008249188A (ja) 散水槽用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