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621B1 -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621B1
KR100872621B1 KR20000007497A KR20000007497A KR100872621B1 KR 100872621 B1 KR100872621 B1 KR 100872621B1 KR 20000007497 A KR20000007497 A KR 20000007497A KR 20000007497 A KR20000007497 A KR 20000007497A KR 100872621 B1 KR100872621 B1 KR 10087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value
flash
luminan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0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081A (ko
Inventor
후루이겐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38Diffuse reflection, e.g. also for testing fluids, fib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021/558Measuring reflectivity and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요철에 의해 발생하는 섬광 강도의 정량적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백색광원(1, 4)으로부터의 빛을 매트릭스필터(2, 5)를 통하여 대상물(3) 표면으로 입사시켜서 대상물(3)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CCD카메라(6)로 촬영하여 컴퓨터(7)에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빛의 휘도분포의 화상처리를 행하여 휘도분포의 분산의 표준편차를 구하고, 구한 표준편차치를 대상물의 섬광치로 하여 섬광치가 소정치 이하인지 아닌지에 따라 대상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섬광, 방현성 필름, 휘도분포

Description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Method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scinti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평가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측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측정의 흐름에서의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화상처리에 의한 휘도분포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섬광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의 휘도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과광 측정용 백색광원 2, 5 : 매트릭스필터
3 : 방현성 필름(샘플) 4 : 반사광 측정용 백색광원
6 : CCD카메라 7 : 컴퓨터
본 발명은 표면요철 때문에 발생하는 섬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이며, 또한 섬광방지 특성이 좋은 방현성(防眩性)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섬광(scintillation)이라 불리우는 현상이 발생하여 관찰자가 표시내용을 보기 어렵게 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섬광은 표시장치의 화면을 점등하였을 때 화면에 작은 휘도의 불균형이 나타나서 시각을 바꾸어 가면 그 휘도 불균형의 위치가 이동하여 바뀌어 가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으로, 특히 전면 백색표시나 전면 녹색표시인 경우에 보이기 쉽다. 표시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섬광이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할 필요가 있고, 시험편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정반사하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20°경면광택도 측정법(specular glossiness measuring method)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광은 표면요철 등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반사광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섬광을 방지하기 위한 방현성 필름의 좋고 나쁨의 판정을 위하여 목시(目視)평가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한 섬광의 평가에서는 개인차가 발생하거나 정확성이 결여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방현성 필름 등의 개발에서는 그 성능의 파악을 위하여 섬광의 강도를 정량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요철 등에 의해서 변화하는 섬광의 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광방지 특성이 우수한 방현성 필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은, 백색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매트릭스필터(matrix filter)를 통하여 대상물 표면으로 입사시키고,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촬영하여 데이터로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빛의 휘도(輝度)분포의 화상(畵像)처리를 행하여 휘도분포의 분산의 표준편차를 구하고, 구한 표준편차치를 대상물 표면의 섬광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상기 대상물이 방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섬광치가 소정치 이하인지 아닌지에 따라 대상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섬광치의 소정치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광의 정량적 평가장치는, 적어도 백색광원, 매트릭스필터, 촬영장치, 컴퓨터로 구성되고, 백색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매트릭스필터를 통하여 대상물 표면으로 입사시켜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촬영장치로 촬영하여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휘도분포의 분산의 표준편차를 구하고, 구한 표준편차치를 대상물 표면의 섬광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장치는, 상기 촬영장치가 CCD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장치는, 상기 대상물이 방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장치는, 섬광치가 소정치 이하인지 아닌지에 의해 대상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장치는,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섬광치의 소정치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섬광치가 0보다 크고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베이스의 한쪽 면에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성 필름에서, 백색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매트릭스필터를 통하여 방현성 필름 표면으로 입사시켜서 방현성 필름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촬영장치로 촬영하여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빛의 휘도분포의 화상처리를 컴퓨터로서 행하여 휘도분포의 분산의 표준편차를 구하고, 구한 표준편차를 방현성 필름 표면의 섬광치로 하여 섬광치가 소정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방현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촬영장치는 CCD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섬광치의 소정치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평가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투과광 측정용 백색광원(1)의 위에 약간 틈을 두고 가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매트릭스필터(2)를 배치하고, 이 매트릭스필터(2)에 방현성 필름(AG필름)(3)을 방현처리 가공한 면을 촬영측으로 하여 밀착시킨다. 마찬가지로 방현성 필름(3)의 가공처리한 면에 마주보게 반사광 측정용 백색광원(4)의 위에 약간 틈을 두고 가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매트릭스필터(5)를 배치한다. 방현성 필름(3)의 가공처리된 면은 주로 미립자를 함유하는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매트릭스필터(2, 5)는 예를 들면 세로 85㎜, 가로 65㎜, 두께 1㎜, 피치 140㎛×170㎛의 지그재그 격자로, 블랙 매트릭스만으로 구성되고 착색되어 있지 않은 의사적(擬似的)인 컬러필터이다. 여기서는 의사적인 컬러필터를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착색된 컬러필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광원으로서는 백색평면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광원 "1" 또는 "4"에서 매트릭스필터 "2" 또는 "5"를 통하여 조명(照明)된 방현성 필름(3)의 가공면을 목시(目視)에 가까운 상태에서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CD카메라(6)로 촬영한다. CCD카메라(6)와 샘플(방현성 필름)의 거리는 예를 들면 약 250㎜이다. CCD카메라(6)의 초점은 매트릭스필터(2, 5)의 매트릭스로 선명하게 될 정도로 맞추고, 조리개를 적당한 곳에 맞춘다. 또한 백색광원, 매트릭스필터, 샘플, CCD카메라의 구성으로 측정을 행하는 것은 액정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상정하고 그것을 의사적으로 재현하기 위함이다.
촬영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컴퓨터(7)에 저장한다. 이 때, 화상처리의 계산에서의 끊어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8비트·그레이·스케일의 저장된 데이터를 16비트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수치화하기에 적절한 값을 얻기 위한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는 로우패스 필터링(low-pass filtering), 셰이딩(shading) 보정, 콘트라스트(contrast) 강조로 되어 있다. 콘트라스트의 강조는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93, 감마 30, 휘도(brightness) 48로 설정한다. 이 때 휘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거나 하면 CCD의 조리개를 조절하여 측정을 처음부터 다시한다. 이 때 평균휘도는 145cd/㎡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광의 강도의 수치화는 휘도의 분산을 표준편차로서 구하여 표준편차치로 나타내는 것이고, 구한 섬광치를 소정치와 비교함으로써 샘플의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측정환경의 변화(매트릭스필터의 오염, 광원의 흔들림 등)에 의해 완전하게 동일한 상태가 항상 재현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속으로 측정할 때 이외는 표준샘플을 설치하여 그 값의 변화에 의한 보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의한 측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매트릭스필터상에 측정할 필름을 배치하고 이것을 CCD카메라로 필름 표면을 촬영하고, 이어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도 3은 처리되는 화상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처리에서는 저장된 그대로의 화상에 대하여 화상처리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이것은 방현성 필름이 붙어 있는 부분만을 화상처리의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 고, 도 3의 (a)는 그 생화상(生畵像)이다. 이 화상에서는 매트릭스필터의 매트릭스에 의한 휘도변화가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 3의 (b)는 생화상에 대하여 필터링 처리하여 고주파를 제거한 화상이고, 매트릭스필터의 매트릭스에 의한 휘도변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필터링은 섬광을 눈으로 평가하는 경우 매트릭스필터의 매트릭스까지 인식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조건으로 하기 위하여 행하고 있는 처리이다. 필터링은 매트릭스를 알 수 없게 될 정도로 로우패스필터를 가하여 행하고, 구체적으로는 사용한 소프트웨어의 로우패스필터를 커넬(kernel) 7×7, 100%를 3회 가하고 있다.
계속해서, 휘도를 평탄화한다. 도 3의 (c)는 도 3의 (b)의 화상에 휘도보정을 가한 것으로 광원자체의 휘도에 면분포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휘도분포를 보정하는 셰이딩 보정을 한 것이고, 최대점이 10픽셀(pixel)로 하였다.
도 3의 (d)는 콘트라스트 강조한 것이다. 콘트라스트의 강조는 수치화 한 후에 본질적이지는 않지만 섬광을 평가한 뒤에 휘도분포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처리된 화상에서 매트릭스필터의 손상 등에 의한 휘도변화가 없는 부분에서 휘도의 표준편차치를 구한다. 이 때, 휘도의 평균치가 샘플마다 거의 같은 값이 되도록 화상처리의 영역을 이동시킨다. 결국, 광원에 휘도분포가 있어서 영역에 따라서 평균치가 변하기 때문이다. 어디로 움직여도 부적당한 경우는 CCD카메라의 조리개를 변경한다.
도 4는 화상처리에 의한 휘도분포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화상처리 전과 화상처리 후의 화상과 휘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는 픽셀수 160×120, 실제의 크기는 10㎜×7.5㎜이다.
도 4의 (a)는 저장한 생화상이고, 도 4의 (b)는 그 때의 휘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분포가 매트릭스필터의 매트릭스의 영향으로 매우 작게 변화되어 있고, 앞에서 서술한 화상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 4의 (c)와 같은 화상이 얻어지며, 그 때의 휘도분포는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 때의 변화의 크기 A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데이터이다.
도 5는 섬광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의 휘도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섬광이 작은 화상으로 그 때의 휘도분포가 도 5의 (b)와 같이 된다. 도 5의 (b)에서는 휘도의 변화 B가 극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c)는 섬광이 큰 화상으로 그 때의 휘도분포가 도 5의 (d)에 나타낸 것으로 휘도의 변화 C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휘도의 변화의 크기 B, C가 표준편차로 되고 이 값을 섬광의 강도의 수치로 한다. 수치가 클수록 섬광이 강한 것이 된다. 절대적인 수치는 측정장치(광원, 매트릭스필터, CCD카메라), 화상처리 소프트웨어나 미세한 화상처리방법의 차이로 변하지만 상대적인 관계는 유지된다. 이들을 동일하게 하여 측정을 행하면 재현성이 있는 수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정에 사용한 기기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광학장치 : 사상성(mapping type) 평가장치 형식 MJ-RTS(Mizojiri
Optical Co., Ltd.)에서의 투과측정모드
CCD수광부 : CCD카메라(KP-M1)
C마운트 어댑터(Nikon)
클로즈업 링(PK-11A ; Nikon)
카메라 렌즈(50㎜, F1. 4s NIKKOR)
광원 : LIGHTBOX 45 (HAKUBA)
매트릭스필터 : 피치:140㎛×170㎛, 카메라 두께:1㎜
화상처리 소프트웨어 : 윈도우즈 95판 Image-Pro Plus 3.0
(Media Cybemetics)
도 6은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의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광택도 측정장치를 사용한 것{글로스(gloss) 20°}, 감각테스트, 본 발명의 섬광치에 대하여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샘플 1 : 입경 1∼2㎛의 실리카 입자함유(Ra=0.256 Sm=40.1)
샘플 2 : 입경 1∼2㎛의 실리카 입자함유(Ra=0.186 Sm=30.2)
샘플 3 : 입경 1∼2㎛의 실리카 입자함유(Ra=0.307 Sm=30.5)
샘플 4 : 입경 1∼2㎛의 실리카 입자함유(Ra=0.385 Sm=29.7)
샘플 5 : 입자비함유(엠보스) (Ra=0.102 Sm=31.1)
샘플 6 : 입경 3㎛의 실리카 입자함유 (Ra=0.205 Sm=25.9)
샘플 7 : 입경 3㎛의 실리카 입자함유 (Ra=0.264 Sm=23.7)
샘플 8 : 실리카 입자함유 (Ra=0.323 Sm=36.2)
TAC 방현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한 필름(베이스필름)
여기서 Ra는 JIS규격의 표면거칠기를 나타낸 측정치의 하나(중심선 평균거칠기)로, 단위는 ㎛로 나타낸 수치, Sm은 표면요철의 골짜기에서 골짜기까지의 간격을 ㎛단위로 표시한 수치이다.
측정방법
[글로스(20°)]
JIS-S-Z-8741에 따라서 필름 이면을 양면테이프로 누름판(광택이 없는 흑)에 붙이고, 무라카미(村上)색채기술연구소에서 제조된 GM-26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감각테스트]
백색면광원(검사 뷰어(viewer))의 위에 매트릭스필터를 가공면을 아래로 하여 두고 그 위에 방현성 필름을 가공면이 위로 되도록 두고, 손으로 필름의 끝을 누르면서 섬광을 관찰한다.
◎--- 섬광이 보이지 않는다.
○--- 섬광이 약간 있지만 느끼지 못할 정도.
△--- 섬광이 느껴지는 정도이다.
×--- 섬광이 강하다.
그로스(20°)의 경우 수치가 클수록 섬광이 크다고 하고 있지만, 도 6의 결과로부터 감각테스트와 맞는 경우도 있고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샘플 1, 샘플 3, 샘플 4, 샘플 6, 샘플 7은 비교적 부합하고 있지만, 샘플 2, 샘플 5, 샘플 8, 베이스필름에서는 부합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구한 섬광치는 전시료에 걸쳐서 감각테스트와 부합하고 있다. 또한,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섬광치가 15 이하인지 아닌지에 따라 방현성 필름의 섬광 특성이 좋고 나쁨의 판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분포를 측정하고 화상처리하여 그 표준편차를 섬광치로 함으로써 감각테스트와 거의 부합하도록 섬광을 수치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방현성 필름 등의 개발에서 매우 유효하다.

Claims (13)

  1. 백색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매트릭스필터를 통하여 대상물 표면으로 입사시키고,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촬영하여 데이터로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빛의 휘도(輝度)분포의 화상처리를 행하여 휘도분포의 분산의 표준편차를 구하고, 구한 표준편차치를 대상물 표면의 섬광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방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 평가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섬광치가 소정치 이하인지 아닌지에 따라 대상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 평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저장화상의 평균휘도 145cd/㎡에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섬광치의 소정치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 평가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000007497A 1999-02-19 2000-02-17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KR10087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1051 1999-02-19
JP4105199 1999-02-19
JP?12-17345 2000-01-26
JP2000017345A JP4484177B2 (ja) 1999-02-19 2000-01-26 面ぎらの定量的評価方法及び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158A Division KR20060079787A (ko) 1999-02-19 2006-06-20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70015749A Division KR20070023809A (ko) 1999-02-19 2007-02-15 방현성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81A KR20000058081A (ko) 2000-09-25
KR100872621B1 true KR100872621B1 (ko) 2008-12-09

Family

ID=263805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7497A KR100872621B1 (ko) 1999-02-19 2000-02-17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KR1020060055158A KR20060079787A (ko) 1999-02-19 2006-06-20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158A KR20060079787A (ko) 1999-02-19 2006-06-20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577756B1 (ko)
JP (1) JP4484177B2 (ko)
KR (2) KR100872621B1 (ko)
TW (1) TW4389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1180B2 (en) 2011-02-28 2016-08-0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arkle
US9588263B2 (en) 2012-08-17 2017-03-07 Corning Incorporated Display element having buried scattering anti-glare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040A1 (de) * 1998-09-14 2000-03-23 Betriebsforschungsinstitut Vdeh Institut Für Angewandte Forschung Gmbh Messsystem für die oberflächengeometrie und planheit von flachprodukten
JP4484177B2 (ja) * 1999-02-19 2010-06-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ぎらの定量的評価方法及び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592972B2 (ja) * 2001-02-08 2010-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光拡散フィルム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DE602004030697D1 (de) * 2003-09-16 2011-02-03 Paper Australia Pty Ltd Blattoberflächen-analysator und verfahren zum analysieren einer blattoberfläche
US7339664B2 (en) * 2004-09-29 2008-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a light-management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light-management film
JP2006234502A (ja) * 2005-02-23 2006-09-07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評価支援装置
KR101408637B1 (ko) * 2005-03-30 2014-06-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학 적층체
US7803449B2 (en) 2005-08-02 2010-09-28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 same, antireflection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 sam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81927B2 (ja) 2005-09-07 2010-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ぎらつき測定方法およびぎらつき測定装置
KR100780948B1 (ko) * 2006-02-2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ES2318994B1 (es) * 2006-10-09 2010-02-03 Construcciones Mecanicas Jose Lazpiur S.A. Equipo de control dimensional.
JP2008170378A (ja) * 2007-01-15 2008-07-24 Seiko Epson Corp シンチレーション評価方法およびシンチレーション評価装置
EP2132590A1 (en) * 2007-02-16 2009-1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film for automated inspection
JP5167095B2 (ja) * 2007-12-28 2013-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5948763B2 (ja) 2011-08-29 2016-07-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867649B2 (ja) 2013-02-19 2016-02-24 旭硝子株式会社 光学装置
US8736685B1 (en) * 2013-12-11 2014-05-27 Anritsu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rightness response of a camera operating in automatic exposure mode
CN106461502B (zh) * 2014-05-14 2020-01-24 Agc株式会社 评价透明基体的光学特性的方法及透明基体
JP6471435B2 (ja) * 2014-09-11 2019-0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ギラツキ定量的評価方法
JP6706088B2 (ja) * 2015-03-02 2020-06-03 株式会社きもと 表示装置、それに用いられる保護フィルム、表示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を使用する方法
JP6938943B2 (ja) * 2017-02-17 2021-09-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透明物品の評価方法
CN109115783A (zh) * 2018-06-26 2019-01-01 南京理工大学 一种闪点强弱测量装置及方法
CN109633489B (zh) * 2018-12-21 2021-06-04 常州工学院 Led蓝光危害亮度测试和蓝光泄漏预测的方法及其装置
CN113646446B (zh) * 2019-04-05 2023-03-21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粉率测定方法及装置
JP7432134B2 (ja) * 2019-04-22 2024-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測定装置および光学測定方法
JP7413907B2 (ja) 2020-04-20 2024-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測定装置および光学測定方法
CN114061907A (zh) * 2020-07-29 2022-02-1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光晕量化系统及方法
WO2022070437A1 (ja) 2020-10-02 2022-04-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ぎらつきコントラストの補正方法、比較方法および比較装置、電子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及び防眩層の製造方法
CN114323594A (zh) * 2022-01-04 2022-04-1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的测试方法、处理设备和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498A (ko) * 1994-02-15 1995-12-18 기타지아 요시토시 광학 기능성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EP0726456A1 (en) * 1993-10-26 1996-08-1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nonuniformity of glossiness and thickness of printed image
KR19990009051A (ko) * 1997-07-07 1999-02-05 차근식 많은 수의 시료를 동시에 정량분석할 수 있는 광센서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7000953A (ja) * 2005-06-22 2007-01-11 Canon Chemicals Inc 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327B2 (ja) * 1992-10-28 2003-09-08 旭化成株式会社 光沢むらおよび印刷むら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726801U (ja) * 1993-10-18 1995-05-19 しなのポリマー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タ
JP3474033B2 (ja) * 1995-08-08 2003-12-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透明フィルム
US6393046B1 (en) * 1996-04-25 2002-05-21 Sirf Technology, Inc. Spread spectrum receiver with multi-bit correlator
JPH1020103A (ja) * 1996-07-05 1998-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H1096696A (ja) * 1996-09-25 1998-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対象物にあるむら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US6131874A (en) * 1999-03-15 2000-10-17 Ims Innovation Limit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H11326608A (ja) * 1998-05-08 1999-1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及び透過型表示装置
JP4211088B2 (ja) * 1998-06-16 2009-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JP2000009669A (ja) * 1998-06-26 2000-01-14 Hiroshi Katagawa 被検査体の表面性状検査装置
JP4484177B2 (ja) * 1999-02-19 2010-06-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ぎらの定量的評価方法及び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02943B2 (en) * 2000-07-19 2003-01-07 Fuji Photo Film Co., Ltd. Antiglare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2189106A (ja) * 2000-12-20 2002-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性フィルムを用いた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6456A1 (en) * 1993-10-26 1996-08-1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nonuniformity of glossiness and thickness of printed image
KR950031498A (ko) * 1994-02-15 1995-12-18 기타지아 요시토시 광학 기능성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90009051A (ko) * 1997-07-07 1999-02-05 차근식 많은 수의 시료를 동시에 정량분석할 수 있는 광센서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7000953A (ja) * 2005-06-22 2007-01-11 Canon Chemicals Inc 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ロ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1995-31498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1180B2 (en) 2011-02-28 2016-08-0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arkle
US9588263B2 (en) 2012-08-17 2017-03-07 Corning Incorporated Display element having buried scattering anti-glar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81A (ko) 2000-09-25
KR20060079787A (ko) 2006-07-06
US20040131245A1 (en) 2004-07-08
TW438965B (en) 2001-06-07
US20030185429A1 (en) 2003-10-02
JP4484177B2 (ja) 2010-06-16
US6577756B1 (en) 2003-06-10
JP2000304648A (ja) 2000-11-02
US7079676B2 (en) 2006-07-18
US6697515B2 (en) 200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621B1 (ko) 섬광의 정량적 평가방법
JP5546103B2 (ja) 透明又は反射部品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CN107884414B (zh) 一种剔除灰尘影响的镜面物体表面缺陷检测系统及方法
JP3653591B2 (ja) シュリーレン分析方法及び装置
KR100334222B1 (ko) 투명판의 표면 요철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150116850A (ko) 투명 기체의 광학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JPH08247954A (ja) 光学歪の測定方法
KR20070023809A (ko) 방현성 필름
JP3417494B2 (ja) 硝子基板の表面うねり検査方法及び装置
JP2011232192A (ja) 表面性状測定装置および表面性状測定方法
JP2001059795A5 (ko)
CN111487795B (zh) 漏光亮度检测系统及检测方法
TW200839220A (en) Surface morphology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JP4297457B2 (ja) 防眩性を評価する方法
JP2000019064A (ja) フィルム評価方法およびフィルム評価装置
JPH08152403A (ja) 光学歪の測定方法および形状の測定方法
JPH01212338A (ja) ガラス板の表面性状測定装置
Boynton et al. Meeting the metrology needs of the microdisplay industry
JPH01313743A (ja) 着色周期性パターンの検査方法
JP2006275704A (ja) 膜厚ムラ検出方法
JPH0868767A (ja) 壜胴部の欠陥検査装置
CN113703203A (zh) 一种针对lcd屏的显示均匀性自动测试法
JP2001153752A (ja) 拡散板の品質評価方法
Wolfe Characterization of on-screen image noise in BlackScreen, a high-contrast high-resolution rear-projection screen for cockpit avionics displays
KR20050001915A (ko) 엘시디 모듈화면검사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16

Effective date: 2008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