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007B1 -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007B1
KR100871007B1 KR1020070079419A KR20070079419A KR100871007B1 KR 100871007 B1 KR100871007 B1 KR 100871007B1 KR 1020070079419 A KR1020070079419 A KR 1020070079419A KR 20070079419 A KR20070079419 A KR 20070079419A KR 100871007 B1 KR100871007 B1 KR 10087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hread
release
solenoid
tension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808A (ko
Inventor
요시히데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추 구멍 재봉틀(M)의 실 조절 장치(38)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에 의해 돌출되는 출력축(55a)이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를 서로 이격시켜 상부 실에 부여한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기구(39)를 구비한다. 이 실 조절 장치(38)에서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의해 장력 해방 기구(39)를 장력 해방 상태로 구동시킨 후, 해방 유지 기구(56)에 의해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한다. 장력 해방 기구(39)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 상태에서, 정지 기구[제어 장치(8)]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킨다.
실 조절 장치, 실 조절 접시,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 해방 유지 기구, 천 누름 장치

Description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THREAD TENSION GUID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본 바느질 재봉틀이나 단추 구멍 재봉틀 등의 각종 재봉틀에서 실 조절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실 조절 장치는 실 공급원으로부터 천평을 경유하여 재봉침에 이르는 실 공급 경로에 있어서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이 실 조절 장치에 상부 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실 조절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작업자)는 실 조절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가공 천의 종류나 천 두께, 이송 피치 등의 봉제 요소에 따른 봉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성4년 제24083호 공보에 개시하는 실 조절 장치가 있다. 이 실 조절 장치는 재봉틀을 좌우로 관통하는 실 조절축을 구비하고 있다(공보의 도1 참조). 실 조절축의 우측부에, 상부 실을 끼우는 좌우 1쌍의 실 조절 접시와, 실 조절 손잡이와, 이들 실 조절 접시를 압박하기 위한 조절 접시 누르개 및 실 조절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실 조절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실 조절 스프링의 실 조절 접시에 대한 압박력을 변화시켜 상부 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 다. 실 조절축에 그 내부를 관통하는 실 이완 핀이 설치되어 있다. 실 이완 핀은 우측 단부가 조절 접시 누르개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좌측 단부가 실 이완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접촉하고 있다. 이 재봉틀에 있어서 실 절단을 하는 경우 등에 실 이완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킨다. 이 때, 실 이완 솔레노이드는 그 플런저로 실 이완 핀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실 이완 핀의 이동에 의해 조절 접시 누르개가 실 조절 스프링을 압축하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실 조절 접시가 서로 이격 가능해지고,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순시에 해방한다.
실을 절단하지 않을 때에도, 상부 실의 장력의 해방(즉 실 이완)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패턴 바느질을 반복하여 봉제할 때, 각 패턴 바느질을 종료할 때마다 실 절단을 하지 않고 실 이완을 행할 때가 있다. 이 실 이완을 행한 상태에서, 봉제한 가공 천 조각을 취출한 후 다음에 봉제하는 가공 천 조각을 준비한다. 이 때, 상기 실 조절 장치의 실 이완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킴으로써, 상부 실의 장력의 해방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실 이완 솔레노이드는 그 구동 시간이나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발열량이 증대한다. 실 이완을 행하는 시간이 길면, 실 이완 솔레노이드의 여자(勵磁) 코일이 타서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여자 코일이 타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장치에 작동 타이머를 설치한 재봉틀이 있다. 이 재봉틀에서는, 봉제 종료시에 천 누르개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것과 동시에, 실 이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 타이머의 계시 동작을 개시시킨다.
이 계시 동작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천 누르개를 하강시켜 실 이완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 경우, 작동 타이머로 시간을 측정하는 소정 시간에 따라서는, 패턴 바느질을 종료한 가공 천 조각을 취출하는 도중에, 혹은 다음의 가공 천 조각의 준비 중에 천 누르개가 하강하는 동시에 상부 실에 장력이 작용하여 작업을 중단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시간이 길어져도, 장력 해방용 액츄에이터의 발열을 억제하여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쌍의 실 조절 접시의 압박력에 의해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하고,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돌출되는 출력축이 상기 1쌍의 실 조절 접시를 서로 이격시켜 상기 상부 실에 부여한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를 장력 해방 상태로 구동시킨 후,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하는 해방 유지 기구와, 상기 해방 유지 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 상태에서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제시에, 실 조절 장치의 1쌍의 실 조절 접시에 의해 상부 실에 적절하게 장력을 부여한다. 봉제 개시시의 실 꿰기 작업이나 봉제 종료시의 실 절단 작업 등에 있어서,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하는 경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에 통전한다. 이 통전에 의해,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가 장력 해방 기구를 장력 해방 상태로 구동시키면, 해방 유지 기구가 장력 해방 기구의 장력 해방 상태를 유 지한다. 이 경우, 정지 기구가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정지시켜도 장력 해방 기구는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다. 따라서, 장력 해방 시간이 긴 경우에도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패턴 바느질 등의 봉제 작업에 있어서, 작업을 중단시켜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해방 유지 기구는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상기 출력축에 갖는 피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 위치와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절환 구동시키는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결합부를 비결합 위치와 결합 위치로 절환할 수 있어, 장력 해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는 전동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전동 모터의 큰 토크를 이용하여 결합부를 비결합 위치와 결합 위치로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는 에어 실린더라도 좋다. 이에 따르면, 에어 실린더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결합부를 비결합 위치와 결합 위치로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에 의한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어, 장력 해방 기구의 장력 해방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를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에 대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의 반대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력 해방 기 구의 반대측에는 공간이 비어 있다. 따라서, 설치상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출력축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출력축이 동일 축선 상이 되도록 상기 에어 실린더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에어 실린더의 왕복 동작을 솔레노이드의 출력축과 동일 축선 상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의 구동시에 피결합부, 결합부, 솔레노이드 등에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고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출력축의 선단부에 완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결합부와 피결합부가 결합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단추 구멍 스티치를 형성하는 단추 구멍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일례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구멍 재봉틀(M)은 재봉틀 테이블(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재봉틀 테이블(4)의 하측의 우측 단부(도1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을 전방으로 함)에 제어 박스(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박스(6)의 전방부에 단추 구멍 스티치(도시 생략)나 버튼 구멍을 형성하는 다양한 패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7)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박스(6)는 각종 봉제 제어를 행하는 제 어 장치(8)(도7 참조)를 구비한다. 재봉틀 테이블(4)의 하측 중앙부에 재봉틀 모터(5)가 설치되어 있다. 재봉틀 모터(5)는 그 구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밸트를 통해 재봉틀 주축(도시 생략)을 회전시킨다. 재봉틀 테이블(4)의 다리부(4a)에 후술하는 답입 페달(9)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단추 구멍 재봉틀(M)은 베드부(1)와, 이 베드부(1)의 후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리 기둥부(2)와, 이 다리 기둥부(2)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를 갖고 있다. 아암부(3)의 전단부에 재봉침을 갖는 침봉(모두 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봉틀 주축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침봉 구동 기구를 통해 침봉을 상하로 구동한다. 아암부(3)에 이 침봉 구동 기구 외에, 후술하는 실 조절 장치(3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베드부(1)의 상면부에 가공 천을 지지하는 이송대(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대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대 구동 기구에 의해 이동(천 이송)한다. 베드부(1)에 상기 재봉침과 협동하여 단추 구멍 스티치를 형성하는 회전 커버(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3)의 전단부에 천 누르개(25)를 갖는 누름 봉(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봉(16)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천 누름 장치(10)에 대해 도2(도2의 좌측을 전방으로 함)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아암부(3)의 전단부의 재봉틀기 프레임에 L형 레버(11)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3)의 후단부의 재봉틀기 프레임에 L형 레버(12)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L형 레버(11)와 L형 레버(12)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판(18)이 배치되어 있다. 링크판(18)은 전단부가 L형 레버(1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단부가 L형 레버(1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L형 레버(11)의 타단부에, 링크 부재(15)를 통해 압박 봉(16)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누름 봉(16)의 하단부에 천 누르개(2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L형 레버(12)의 타단부에 후술하는 실 절단 기구(30)로부터 연장되는 링크 부재(17)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링크 부재(17)의 하방에 우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핀(24)이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의 후방측에 천 누름 모터(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천 누름 모터(19)의 구동축에 원판(20)이 고착되어 있다. 원판(20)의 일단부에 우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핀(21)이 고정되어 있다. 천 누름 모터(19) 근방의 재봉틀기 프레임에 요동 레버(23)가 좌우 배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핀(22)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레버(23)에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두 갈래부(23a)와 제2 두 갈래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레버(23)는 제1 두 갈래부(23a)에서 원판(20)의 결합 핀(21)과 결합하고, 제2 두 갈래부(23b)에서 링크 부재(17)의 결합 핀(24)과 결합하고 있다.
도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원판(20)과 결합 핀(21)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칭한다. 이 경우, 천 누르개(25)는 베드부(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승 위치(Pu)(도2의 실선 참조)에 있다. 천 누름 모터(19)를 정회전(正轉)시키면 원판(20)이 도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결합 핀(21)과 결합하는 요동 레버(23)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강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상방의 요동 위치(2점 쇄선 참조)로 요동한다. 동시에, 제2 두 갈래부(23b)에 결합하는 결합 핀(24)과 함께 링크 부재(17)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L형 레버(1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L형 레버(12)의 회전이 링크판(18)을 통해 L형 레버(11)에 전달됨으로써 누름 봉(16)을 하방으로 소정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공 천을 베드부(1) 상으로 압박하는 압박 위치(Pp)(도2의 2점 쇄선 참조)로 천 누르개(25)는 하강한다.
천 누름 모터(19)를 역회전(逆轉)시키면, 원판(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 레버(23)가 요동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요동한다. 동시에, 링크 부재(17)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L형 레버(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L형 레버(12)의 회전이 링크판(18)을 통해 L형 레버(11)로 전달됨으로써, 누름 봉(16)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천 누르개(25)는 압박 위치(Pp)로부터 상승 위치(Pu)로 상승한다.
이 천 누름 장치(10)와 답입 페달(9)과의 관계에 대해, 도1, 도7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답입 페달(9)은 아무런 조작이 없는 경우, 도1에 나타내는 기준 위치에 있다. 답입 페달(9)은 기준 위치보다도 전방측으로 크게 답입한 답입 위치와, 기준 위치보다도 후방측으로 답입한 답입 복귀 위치로 회전한다. 답입 페달(9)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드(26)가 연결되어 있다. 재봉틀 테이블(4)의 하측에 페달 위치 검출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페달 위치 검출 기구의 입력 레버에 연결 로드(26)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페달 위치 검출 기구는 포텐쇼미터(72)(도7 참조)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제어 장치(8)는 포텐쇼미터(72)로부터 출력 전압을 받음으로써, 답입 페달(9)의 조작 위치로서의 기준 위치, 답입 위치, 답입 복귀 위치를 검출한다. 답입 페달(9)이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천 누르개(25)는 상승 위치(Pu)에 있다. 답입 페달(9)을 답입 위치까지 답입하면, 천 누름 모터(19)가 정회전하여 천 누르개(25)를 압박 위치(Pp)로 하강시킨다. 답입 페달(9)을 답입 복귀 위치로 답입하면, 실 절단을 실행하는 동시에, 재봉틀 모터(5)가 구동을 정지하고, 천 누르개 모터(19)가 역회전하여 천 누르개(25)를 상승 위치(Pu)로 상승시킨다.
다음에, 가공 천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실과 하부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기구(30)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드부(1)의 상면부에 침판(1a)이 설치되어 있다. 침판(1a)에 재봉침이 통과 가능한 바늘 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침판(1a)의 하측에 가동 날(31)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31)은 나사(32)에 의해 침판(1a)의 하측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날(31)의 바로 하측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L」자 형상의 고정날(33)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날(33)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침판(1a)에 고정되어 있고, 설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 고정날(33)의 선단부에 하향의 날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날(31)의 선단부에 예각 형상의 실 취급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취급부(31a)에 연속해서 천측 상부 실을 안내하는 완만한 만곡 형상의 실 유도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유도부(31c)에 연속하여, 실 유도부(31c)에서 안 내한 천측 상부 실을 포착하는 굴곡 형상의 실 포착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날(31)의 실 취급부(31a)의 근방에 원형의 날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가동 날(31)이 왕복 운동하기 전의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가동 날(31)의 위치를 대기 위치라 칭한다. 가동 날(31)의 우측 단부(도3에 있어서)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레버(34)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요동 레버(34)의 후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실 절단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 절단 구동 기구는 실 절단 솔레노이드(78)(도7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실 절단 솔레노이드(78)의 구동에 의해, 실 절단 구동 기구를 통해 요동 레버(34)가 전방으로 소정 스트로크만큼 구동하면, 가동 날(31)은 대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정회전(전진)한다. 이 때의 가동 날(31)의 위치를 회전 위치라 칭한다.
가동 날(31)은 이 전진시, 좌측 상부 실과 하부 실을 실 유도부(31c)를 거쳐서 실 포착부(31d)측으로 안내한다.
실 절단 솔레노이드(78)의 구동이 정지하면,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요동 레버(34)가 후방으로 소정 스트로크만큼 구동한다. 이 경우, 가동 날(31)은 반대로, 회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복귀)한다. 가동 날(31)은 이 복귀시에, 천측 상부 실과 하부 실을 실 포착부(31d)에서 보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재봉침측의 상부 실을 소정량만큼 조출한다. 이 가동 날(31)의 복귀에 의해 고정날(33)의 날부(33a)와 가동 날(31)의 날부(31b)가 만나 천측 상부 실과 하부 실을 동시에 절단한다.
이 실 절단시에, 재봉침측 상부 실을 조출하기 위해서는,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할 필요가 있다. 이 장력의 해방에 의해, 차회의 봉제 개시시에 절단 후의 상부 실 단부가 재봉침의 땀 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실 조절 장치(38)와 장력 해방 기구(39)에 의해 상부 실에 대한 장력의 부여와 그 장력의 해방을 행한다.
다음에,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 조절 장치(38)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3)의 하방에 우측부 프레임(3a)과 좌측부 프레임(3b)을 접속하는 지지 프레임(3c)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c)은 전체적으로 중공 봉 형상을 이루고, 이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c)의 우측 절반 부분에 후술하는 중간 로드(49)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직경 구멍부(3d)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c)의 좌측 절반 부분에 소직경 구멍부(3d)보다도 직경이 큰 대직경 구멍부(3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3f)와 소직경 구멍부(3d)는 경사 단차부(3e)를 통해 연속되어 있다.
우측부 프레임(3a)에 소직경 구멍부(3d)에 연통하는 고정 구멍(3g)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구멍(3g)의 주연부에 우측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3h)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3g)에 원통 형상의 실 조절대(36)가 수용되어 있다. 실 조절대(36)는 고정 나사(37)에 의해 고정부(3h)에 고정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조절대(36)의 내부에, 좌측에 원기둥 형상의 베어링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 베어링 구멍(36a)에 연속되는 스프링 수용 구 멍(36b)이 형성되어 있다.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조절 장치(38)는 실 조절축(41),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 실 조절 스프링(44), 실 조절 나사(4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 조절축(41)은 좌측의 소직경 축부(41a)와, 그 소직경 축부(41a)의 우측으로 연속되는 대직경 축부(41b)와, 그 대직경 축부(41b)의 우측으로 연속되는 나사 형성 축부(41c)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나사 형성 축부(41c)의 외주부에 수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형성 축부(41c)는 그 중앙부에 소정 폭을 갖는 슬릿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 반달 형상의 상하 1쌍의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직경 축부(41a)와 대직경 축부(41b)에 이들 축 중심부를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4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구멍(41e)에 후술하는 구동 로드(46)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실 조절축(41)은, 그 소직경 축부(41a)를 실 조절대(36)의 베어링 구멍(36a)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47)에 의해 실 조절대(36)에 고정되어 있다.
도4, 도5에 도시하는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는 서로 대향하고, 좌측이 고정측의 실 조절 접시(42)를, 우측이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를 구성한다. 고정측의 실 조절 접시(42)의 중앙부에 대직경 축부(41b)의 외경보다도 약간 직경이 작은 삽입 관통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의 중앙부에, 1쌍의 나사 형성 축부(41c)를 삽입 관통 가능한 1쌍의 삽입 관통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실 조절 접시(42)는 삽입 관통 구멍(42a)을 실 조절축(41)의 대직경 축부(41b)의 우측 단부 단차부(41d)에 우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결합시키 고 있다.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는 고정측의 실 조절 접시(42)의 우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 1쌍의 나사 형성 축부(41c)는 1쌍의 삽입 관통 구멍(43a)에 삽입 관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의 우측으로 돌출된 1쌍의 나사 형성 축부(41c)의 외주부에 실 조절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형성 축부(41c)의 우측 단부에 실 조절 나사(45)가 배치되어 있다. 실 조절 나사(45)는 내주부에 암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작업자가 실 조절 나사(45)를 우측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실 조절 나사(45)가 실 조절 접시(43)측으로 이동하여 실 조절 스프링(44)의 스프링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 사이에 공급하는 상부 실의 장력이 커진다. 작업자가 실 조절 나사(45)를 우측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실 조절 나사(45)가 실 조절 접시(43)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여 실 조절 스프링(44)의 스프링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 사이에 공급하는 상부 실의 장력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실 조절 나사(45)를 회전 조작하여, 상부 실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봉제하는 가공 천의 종류나 천 두께, 사용하는 상부 실의 종류나 굵기에 따른 봉제를 행할 수 있다.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를 서로 이격시켜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기구(39)에 대해 설명한다. 장력 해방 기구(39)는 실 조절 장치(38)에 의해 작용하는 장력을 해방하는 중간 로드(49)와, 상기 구동 로드(46)를 갖고 있다.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로드(46)는 소정 길이를 갖고, 소직경 축부(41a)와 대직경 축부(41b)를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41e)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구동 로드(46)의 우측 단부는 고정측의 실 조절 접시(42)의 삽입 관통 구멍(42a)을 삽입 관통하여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의 중앙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로드(49)는 소정 길이를 갖고, 지지 프레임(3c)의 대직경 구멍부(3f)와 소직경 구멍부(3d)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로드(49)의 우측 단부는 구동 로드(46)의 좌측 단부를 우측으로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3f)측의 중간 로드(49)의 외주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52)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로드(49)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52)의 좌우 양측에서 결합하는 1쌍의 와셔(50), 와셔(51)를 각각 끼워 넣고 있다. 이들 와셔(50), 와셔(51)의 외경 치수는 대직경 구멍부(3f)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중간 로드(49)에, 좌측 와셔(51)의 바로 좌측에 위치하여「E」자 형상의 멈춤 링(53)이 설치되어 있다. 멈춤 링(53)은 좌측 와셔(51)의 좌측 단부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부 프레임(3b)의 외측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장력 해방용 액츄에이터에 상당함)가 우측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의 우측 단부에 중간 로드(49)의 좌측 단부가 고정 너트(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작동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 압축 코일 스프 링(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우측의 와셔(50)는 항상 경사 단차부(3e)에 좌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좌측의 와셔(51) 및 멈춤 링(53)을 통해 중간 로드(49)와 출력축(55a)이 일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한 후퇴 위치(도4 참조)로 압박되어 있다. 이 중간 로드(49)의 우측 단부와 구동 로드(46)의 좌측 단부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는 통전에 의해 장력 해방측으로 작동하여, 장력 해방 기구(39)를 장력 해방 상태로 구동시킨다. 이 경우, 중간 로드(49)와 출력축(55a)은 압축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소정 스트로크만큼 우측으로 이동한 전진 위치(도10 참조)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구동 로드(46)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의 중앙부를 우측으로 누르고, 압박측의 실 조절 접시(43)를 고정측의 실 조절 접시(42)로부터 이격시켜 압박측 실 조절 접시(43)와 고정측 실 조절 접시(42) 사이에서 상부 실에 부여되어 있던 장력을 해방한다.
다음에, 장력 해방 기구(39)의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하는 해방 유지 기구(56)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해방 유지 기구(56)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설치한 피결합판(57), 이 피결합판(57)에 결합 가능한 결합판(59), 이 결합판(59)을 구동시키는 해방 유지 모터(58), 후술하는 제어 장치(8)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보다도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55a)의 좌측 단부에 원형의 피결합판(57)(피결합부에 상당함)이 고정 볼 트(60)로 고착되어 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바로 상측의 좌측부 프레임(3b)에 해방 유지 모터(58)(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에 상당함)가 고착되어 있다. 이 해방 유지 모터(58)의 구동축(58b)에 결합판(59)(결합부에 상당함)이 고정 볼트(61)로 고정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판(59)은 원형의 일부를 반월 형상으로 절취되어 있다. 이 결합판(59)의 절취된 모서리부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하부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59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59a)는, 도6에 있어서 가늘고 긴 삼각 형상을 이룬다. 결합판(59)은 가이드부(59a)가 상측으로 면하는 결합 위치(도6의 2점 쇄선 참조)와, 가이드부(59a)가 하측으로 면하는 비결합 위치(도6의 실선 참조) 사이를 반회전(半回轉)한다. 결합판(59)은 비결합 위치에 있을 때, 피결합판(57)에 접촉하지 않는다.
상부 실에 대한 장력 해방시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구동시켜 출력축(55a)이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절환되면, 피결합판(57)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와 이격된 좌측 위치(도4 참조)로부터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근접하는 우측 위치(도10 참조)로 절환한다.
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 중에 해방 유지 모터(58)의 구동축(58b)이 도6 중 시계 방향으로 반회전하여 결합판(59)을 도4에 나타내는 비결합 위치로부터 도10에 나타내는 결합 위치로 반회전시킨다. 이 때, 결합판(59)의 가이드부(59a)는 결합판(59)을 피결합판(57)의 좌측으로 안내하여 결합판(59)의 일부를 피결합판(57)의 일부에 결합시킨다. 이 결합판(59)은 피결합판(57)을 장력 해 방 솔레노이드(55)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후술하는 정지 기구에 의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을 정지해도 압축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결합판(59)이 피결합판(57)을 통해 출력축(55a)을 전진 위치로 유지한다. 그 결과, 해방 유지 기구(56)에 의해 장력 해방 기구(39)의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다.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장력 해방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해방 유지 모터(58)가 도6 중 반시계 방향으로 반회전하여 결합판(59)을 결합 위치로부터 비결합 위치까지 반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피결합판(57)으로부터 결합판(59)이 제거되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결합판(57)이 좌측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동한다(도4 참조). 장력 해방 기구(39)는 장력 부여 상태로 절환되고,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가 실 조절 스프링(4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밀착 상태가 되어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다음에, 단추 구멍 재봉틀(M)의 제어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8)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하고 있고, 내부에 CPU(65), ROM(67), RAM(68), 그것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 등의 버스(66), 입력 인터페이스(69), 출력 인터페이스(70) 등을 갖는다.
입력 인터페이스(69)에 포텐쇼미터(72), 기동 정지 스위치(73), 조작 패널(7)을 접속하고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69)는 답입 페달(9)의 조작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신호를 포텐쇼미터(72)로부터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69)는 기동 정지 스위치(73)로부터의 스위치 신호 및 조작 패널(7)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출력 인터페이스(70)에 재봉틀 모터(5)를 위한 구동 회로(74), 이송대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는 이송 모터(75)를 위한 구동 회로(76), 천 누름 모터(19)를 위한 구동 회로(77), 실 절단 솔레노이드(78)를 위한 구동 회로(79),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위한 구동 회로(80), 및 해방 유지 모터(58)를 위한 구동 회로(81), 및 조작 패널(7)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구동 회로(80)는 출력 인터페이스(70)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과, 그 구동력의 정지를 행한다. 이 구동 회로(80)와 제어 장치(8)는 정지 기구에 상당한다. 이송 모터(75), 천 누름 모터(19), 및 해방 유지 모터(58)는 각각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ROM(67)에 각종 단추 구멍 스티치를 위한 복수 종류의 패턴 봉제 데이터, 후술하는 봉제 제어 프로그램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패턴 봉제 데이터의 몇 가지에 봉제 종료시에 실 절단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실 절단 코드를 봉제 데이터의 마지막에 저장하고 있는 것이 있다. RAM(68)에 각종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메모리나 카운터나 버퍼를 설치하는 동시에, CPU(65)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1차적으로 저장하는 각종 메모리 등을 설치하고 있다.
제어 장치(8)는 봉제 제어 프로그램 및 패턴 봉제 데이터에 따라서 재봉틀 모터(5) 등의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여, 가공 천에 대한 단추 구멍 스티치를 형성하여 실 절단이나 장력 해방을 행한다.
이 제어 장치(8)에 실행시키는 봉제 제어에 대해,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 도8은 봉제 제어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면 중 부호 Si(i = 11, 12, 13…)는 각 스텝을 나타내고 있다.
단추 구멍 재봉틀(M)의 전원 투입시에는, 천 누르개(25)가 상승 위치(Pu)로 상승되어 있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통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 실에 실 조절 장치(38)에 의한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 전원의 투입에 의해 제어 장치(8)는, 우선 봉제 준비를 위해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처리(도9 참조)를 개시한다(S11).
제어 장치(8)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통전에 의해 소정 단시간(예를 들어 1 내지 2초 정도의 미소 시간) 구동시킨다(S31). 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 중에, 제어 장치(8)는 해방 유지 모터(58)를 반회전만 정회전시켜 결합판(59)을 결합 위치로 반회전시킨다(S32).
제어 장치(8)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의 통전을 개시한 후 미소 시간 경과하면, 그 통전을 중지하여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키고(S33), 이 장력 해방 처리를 종료하여 봉제 제어의 스텝 S12로 이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해도 장력 해방 기구(39)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하기 때문에, 압박측 실 조절 접시(43)가 고정측 실 조절 접시(42)로부터 이격된(즉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한) 상태를 계속한다. 스텝 S31, 스텝 S32 및 스텝 S33을 실행하는 제어 장치(8)가 정지 기구에 상당한다.
봉제 제어에 있어서, 봉제를 개시하기 위해, 작업자가 답입 페달(9)을 답입 위치로 답입하면(S12 : 예), 제어 장치(8)는 천 누름 모터(19)를 정회전시켜 천 누르개(25)를 압박 위치(Pp)로 하강시킨다(S25). 제어 장치(8)는 해방 유지 모터(58)를 반회전만 역회전시켜, 결합판(59)을 비결합 위치로 반회전시킨다(S26). 그 결과, 장력 해방 기구(39)가 장력 부여 상태로 절환되고, 1쌍의 실 조절 접시(42, 43)가 밀착 상태가 되어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답입 페달(9)이 원래의 기준 위치로 복귀되어 있는 경우에(S12 : 아니오), 봉제 개시를 위해 작업자가 기동 정지 스위치(73)를 온(ON) 조작한다(S13 : 예). 이 온 조작에 의해, 제어 장치(8)는 재봉틀 모터(5)를 구동하여(S14) 재봉틀 주축을 회전시키고, 침봉을 구동하여 봉제 처리를 실행한다(S15). 이 봉제 처리에서는, 미리 선택한 단추 구멍의 패턴 봉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1 바늘 낙하 위치 데이터로부터 1침분의 봉제 데이터를 판독할 때마다 이송 모터(75)를 구동시켜 이송대 구동 기구를 통해 이송대를 천 이송 구동시킨다.
봉제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S16 : 아니오), 제어 장치(8)는 스텝 S15와 스텝 S16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봉제 처리가 종료된 경우(S16 : 예), 제어 장치(8)는 실 절단의 유무를 판단하고, 실 절단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즉 실 절단 코드를 판독하였을 때, S17 : 예), 소정의 실 절단 타이밍까지 대기한다(S18 : 아니오). 실 절단 타이밍이 되면(S18 : 예), 제어 장치(8)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통전에 의해 구동시켜(S19), 상부 실의 장력을 해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어 장치(8)는 실 절단 기구(30)에 의한 실 절단 처리를 실행시킨다(S20).
제어 장치(8)는 재봉틀 모터(5)의 구동을 정지하고(S21), 해방 유지 모 터(58)를 반회전만 정회전시켜, 결합판(59)을 결합 위치로 반회전시킨다(S22). 이 상태에서, 제어 장치(8)는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킨다(S23). 이 경우, 장력 해방 기구(39)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하므로,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한 상태가 계속된다.
제어 장치(8)는 천 누름 모터(19)를 역회전시켜, 천 누르개(25)를 상승 위치(Pu)로 상승시킨다(S24).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봉제를 종료한 가공 천을 취출할 수 있다.
스텝 S19, 스텝 S22 및 스텝 S23을 실행하는 제어 장치(8)가 정지 기구에 상당한다.
봉제 처리가 종료된 경우에(S16 : 예), 제어 장치(8)가 실 절단 없다고 판단하였을 때(즉 판독하는 실 절단 코드가 없을 때, S17 : 아니오), 재봉틀 모터(5)의 구동을 정지한다(S27). 제어 장치(8)는 상기의 장력 해방 처리를 실행하고(S28), 스텝 S12로 처리를 복귀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다음의 봉제 준비를 한다. 제어 장치(8)는 스텝 S12 이후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실 절단 기구(30)에 의한 실 절단시에, 상부 실에 부여한 장력을 해방하는 경우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통전한다. 이 통전에 의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일단 장력 해방측으로 작동시키면, 해방 유지 기구(56)에 의해 그 장력 해방측으로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력 해방 기구(39)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 상태에서, 상기 정지 기구[제어 장치(8)]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므로, 장력 해방 시간이 길어진 경우에도 장력 해 방 솔레노이드(55)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천 조각에 패턴 스티치인 단추 구멍 스티치를 반복하여 봉제할 때, 패턴 바느질을 종료할 때마다 실 절단하지 않고 장력 해방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장력 해방을 행한 상태에서, 봉제한 가공 천 조각을 취출한 후 다음에 봉제하는 가공 천 조각을 새롭게 준비한다. 이 때,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구동시키게 되지만, 미소 시간 경과 후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해방 유지 기구(56)는 장력 해방 처리(도9 참조)시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미소 시간만큼 구동시키고, 그 구동 중에 해방 유지 모터(58)를 구동시켜 결합판(59)을 결합 위치로 절환한다. 이에 의해,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력 해방시의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의 통전을 미소 시간에 끝내고,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발열을 전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 해방 상태를 장시간 계속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종래의 실 조절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중단의 문제를 해소하여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결합판(59)이 피결합판(57)에 결합하였을 때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므로,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장력 해방측에의 작동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장력 해방용 액츄에이터를 솔레노이드인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로 구성하였다. 이 솔레노이드의 빠른 응답성에 의해 상부 실의 장력 해방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실 절단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를 전동 모터 인 해방 유지 모터(58)로 구성하였다. 이 전동 모터의 큰 토크를 이용하여, 결합판(59)을 비결합 위치와 결합 위치로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어, 장력 해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방 유지 모터(58) 대신에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해방 유지 실린더(58A)를 이용하고 있다. 이 해방 유지 실린더(58A)는 좌측부 프레임(3b)에 설치한 설치대(3i)에 하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해방 유지 실린더(58A)의 플런저(58a)는 결합부에 상당한다. 플런저(58a)의 선단부(58c)에 좌측 하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해방 유지 실린더(58A)가 구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런저(58a)는 선단부(58c)가 피결합판(57)보다도 상측으로 퇴피한 비결합 위치에 있다. 장력 해방시에, 해방 유지 실린더(58A)를 구동시키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58a)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플런저(58a)의 선단부(58c)는 플런저(58a)를 피결합판(57)의 좌측으로 안내하여, 피결합판(57)의 일부에 좌측으로부터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절환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단시간만 일단 구동시키고, 그 구동 중에 해방 유지 실린더(58A)를 구동시켜 플런저(58a)를 결합 위치로 절환한다. 이 때, 상기 정지 기구[제어 장치(8)]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켜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장력 해방측으로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해방해 두는 장력 해방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력 해방 상태를 장시간 계속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작업 중단의 문제를 해소하여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를 에어 실린더인 해방 유지 실린더(58A)로 구성하였다. 이 에어 실린더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플런저(58a)를 비결합 위치와 결합 위치로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었다. 에어 실린더에 의해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피결합판(57)을 통해 장력 해방 기구(39)를 장력 해방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밖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의해 상부 실의 장력 해방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를 에어 실린더로 구성하고 있고,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좌측부 프레임(3b)의 외측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덮는 케이스(89)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89)는 우측을 개방한 상자 형상을 이루고, 그 개구부로부 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부(89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89)는 플랜지부(89a)에 있어서, 고정 나사(90)에 의해 좌측부 프레임(3b)에 고정되어 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대해 장력 해방 기구(39)의 반대측에 해방 유지 실린더(58B)가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해방 유지 실린더(58B)를 그 플런저(58d)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이 동일 축선 상이 되도록 배치하고, 케이스(89)의 내벽부에 우측 배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플런저(58d)는 선단부에 완충부(91)(결합부에 상당함)를 갖는다. 완충부(91)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91)는 플런저(58d)가 고정 볼트(60)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해방 유지 실린더(58B)가 구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완충부(91)는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플런저(58d)와 함께 좌측으로 후퇴한 비결합 위치에 있다(도13 참조). 장력 해방시에, 해방 유지 실린더(58B)를 구동시키면, 완충부(91)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58d)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완충부(91)는 장력 해방측으로 작동한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을 고정 볼트(60)(피결합부에 상당함)측으로부터 압박하는 결합 위치로 절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를 단시간만 일단 구동시키고, 그 구동 중에 해방 유지 실린더(58B)를 구동시켜 완충부(91)를 결합 위치로 절환한다. 이 때, 상기 정지 기구[제어 장치(8)]가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정지시켜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장력 해방측에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해방 유지 실린더(58B)를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의 축선 상에 배치하고 또한 플런저(58d)와 출력축(55a)을 동일 축선 상으로 하였으므로,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왕복 동작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과 동일 축선 상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구동시에, 고정 볼트(60), 완충부(91),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 등에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고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해방 유지 실린더(58B)를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 대해 장력 해방 기구(39)의 반대측에 배치하였다. 이 장력 해방 기구(39)의 반대측은 다른 부재가 없어 설치상의 제약이 적다. 따라서,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크기나 케이스(89)의 형상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력 해방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는 등,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플런저(58d)와 출력축(55a)을 동일 축선 상에 설치하지 않고, 다소 상하로 어긋나게 배치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피결합부로서 고정 볼트(60) 대신에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출력축(55a)을 이용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결합부로서 완충부(91) 대신에 해방 유지 실린더(58B)의 플런저(58d)를 이용해도 좋다. 플런저(58d)의 선단부에 고정 볼트(60)와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어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하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1) 수동 조작에 의해 실 꿰기를 행하도록 한 실 꿰기 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이 실 꿰기 기구에 의한 실 꿰기 조작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이며, 장력 해방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고, 작업 중단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을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에의 통전의 중지에 의해 정지시켰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구동력의 정지라 함은, 그 구동 전압을 0 볼트로 할 뿐만 아니라, 구동 전압을 미소 전압으로 하는(혹은 미약한 통전으로 하는) 경우 등, 널리 장력 해방 솔레노이드(55)의 장력 해방측에의 작동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추 구멍 재봉틀의 사시도.
도2는 천 누름 기구의 우측면도.
도3은 실 절단 기구의 평면도.
도4는 단추 구멍 재봉틀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5는 실 조절 장치의 구성 부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6은 결합판과 피결합판의 좌측면도.
도7은 단추 구멍 재봉틀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8은 봉제 제어의 흐름도.
도9는 장력 해방 제어의 흐름도.
도10은 장력 해방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추 구멍 재봉틀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2는 장력 해방 상태에 있어서의 도11의 상당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추 구멍 재봉틀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4는 장력 해방 상태에 있어서의 도13의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부
2 : 다리 기둥부
3 : 아암부
6 : 제어 박스
7 : 조작 패널
10 : 천 누름 장치
11 : L형 레버
16 : 압박 봉
25 : 천 누르개
38 : 실 조절 장치
M : 단추 구멍 재봉틀

Claims (7)

1쌍의 실 조절 접시의 압박력에 의해 상부 실에 장력을 부여하고,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돌출되는 출력축이 상기 1쌍의 실 조절 접시를 서로 이격시켜 상기 상부 실에 부여된 장력을 해방하는 장력 해방 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를 장력 해방 상태로 구동시킨 후, 장력 해방 상태를 유지하는 해방 유지 기구와,
상기 해방 유지 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가 장력 해방 상태를 계속한 상태에서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유지 기구는,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의 상기 출력축에 갖는 피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 위치와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절환 구동시키는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는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유지용 액츄에이터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해방용 솔레노이드에 대해 상기 장력 해방 기구의 반대측에 상기 에어 실린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의 출력축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출력축이 동일 축선 상이 되도록 상기 에어 실린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의 출력축의 선단부에 완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KR1020070079419A 2006-08-08 2007-08-08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KR100871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15344 2006-08-08
JP2006215344A JP2008036192A (ja) 2006-08-08 2006-08-08 ミシンの糸調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808A KR20080013808A (ko) 2008-02-13
KR100871007B1 true KR100871007B1 (ko) 2008-11-27

Family

ID=3908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419A KR100871007B1 (ko) 2006-08-08 2007-08-08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36192A (ko)
KR (1) KR100871007B1 (ko)
CN (1) CN1011220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4897B (zh) * 2008-04-25 2011-12-07 中捷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中夹线器的控制装置
JP5271744B2 (ja) * 2009-02-16 2013-08-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CN102031647B (zh) * 2009-09-29 2013-10-23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的夹线装置
JP5808886B2 (ja) * 2009-10-16 2015-1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12065965A (ja) * 2010-09-27 2012-04-05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JP2013212171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ミシン
CN102747542A (zh) * 2012-06-20 2012-10-24 吴江市隆泰喷织厂 一种缝纫机稳定型紧线器
CN104131421A (zh) * 2014-07-30 2014-11-05 江阴市恒超机电有限公司 一种夹线器
CN104278445A (zh) * 2014-10-22 2015-01-14 上海鲍麦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控制线张力控制器
CN105133210B (zh) * 2015-09-29 2017-06-3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夹线器
CN106988038A (zh) * 2016-01-20 2017-07-28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面线张力装置
CN114473096A (zh) * 2022-03-18 2022-05-13 慨而慷精密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电火花线切割机床电极丝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183A (ja) 1999-01-18 2000-07-25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20020066963A (ko) * 2001-02-02 2002-08-21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하이송 재봉틀 및 실텐션 장치
JP2005261629A (ja) 2004-03-18 2005-09-2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20060048770A (ko) * 2004-07-22 2006-05-18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1229A (en) * 1951-06-20 1953-12-23 Singer Mfg Co Thread tension device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JPH03143482A (ja) * 1989-10-31 1991-06-19 Juki Corp 糸切断装置を有するミシンにおける上糸案内装置
JP2003230784A (ja) * 2002-02-13 2003-08-19 Juki Corp ミシン本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183A (ja) 1999-01-18 2000-07-25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20020066963A (ko) * 2001-02-02 2002-08-21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하이송 재봉틀 및 실텐션 장치
JP2005261629A (ja) 2004-03-18 2005-09-2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20060048770A (ko) * 2004-07-22 2006-05-18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2071A (zh) 2008-02-13
KR20080013808A (ko) 2008-02-13
CN101122071B (zh) 2011-12-07
JP2008036192A (ja)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07B1 (ko)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KR100658273B1 (ko) 사이클 재봉틀
JP2009219780A (ja) 二本針ミシン
US7267063B2 (en) Embroidery presser for embroidery machine
JP2013208156A (ja) ミシン
CN105316875B (zh) 缝纫机
JP2001300169A (ja) 二重環縫いミシン
JP3746149B2 (ja) ミシンの糸緩め装置
JP3897641B2 (ja) ミシン
JP2012176182A (ja) ミシン
CN109576910B (zh) 缝纫机和缝纫机的控制方法
US5046437A (en) Device in a button sewing machine for maintaining looseness in needle thread while preventing the thread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sewing needle
JP2009050638A (ja) ミシン
JP2012165849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JP2006020757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JP3531524B2 (ja) 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JP5507040B2 (ja) 2本針ミシン
JP3826390B2 (ja) 縫製装置
JP2917477B2 (ja) 糸通し装置付きミシン
JP2019017653A (ja) ミシン
US3980031A (en)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H0137584Y2 (ko)
JPH01300990A (ja) 糸切り制御装置を備えた2本針角縫いミシン
JP2001038083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ボタン穴形成装置
JPH01357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