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273B1 - 사이클 재봉틀 - Google Patents

사이클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273B1
KR100658273B1 KR1020010019309A KR20010019309A KR100658273B1 KR 100658273 B1 KR100658273 B1 KR 100658273B1 KR 1020010019309 A KR1020010019309 A KR 1020010019309A KR 20010019309 A KR20010019309 A KR 20010019309A KR 100658273 B1 KR100658273 B1 KR 10065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hread
thread cutting
sewing
ra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522A (ko
Inventor
시이나 다카유키
가키자키 야스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7/00Use of special elements
    • D05D2207/05Magnet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클램프 장치의 동작이 불필요할 때에는, 실 절단 동작만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이클 재봉틀을 제공한다.
가동 메스(13) 등으로 이루어진 실 절단 수단과, 천을 누르는 클램프 기구(7)를 상승시키는 클램프 상승 레버(5)와,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이동 위치에 따라 실 절단 수단 및 클램프 상승 레버(5)를 동작시키는 작동 아암(4)과, 작동 아암(4)을 구동하는 구동 솔레노이드(1)를 구비하고, 작동 아암(4)은 상기 한 방향으로 이동해갈 때, 대기 위치, 실 절단 종료위치(클램프 상승 개시 위치), 및 클램프 상승 종료 위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체인 스티치(chainstitch) 재봉틀(100)에 있어서, 작동 아암(4)이 클램프 상승 개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구동 솔레노이드(1)에 공급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CPU(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이클 재봉틀{CYCLE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로서 체인 스티치 재봉틀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체인 스티치 재봉틀에 설치된 실 절단·클램프 상승 장치(70)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치(7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체인 스티치 재봉틀에 설치된 와이퍼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와이퍼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네 구멍 단추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네 구멍 단추의 봉제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8은 네 구멍 단추의 봉제 처리에 있어서 작동 아암과 와이퍼 링크의 이동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도 9는 실 제거 동작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0은 실 절단 동작처리(A)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1은 실 절단 동작처리(B)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12는 실 절단·클램프 상승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구동 솔레노이드(구동수단) 1a : 플런저
2 : 제 1 스프링 4 : 작동 아암(작동부재)
5 : 클램프 상승 레버(클램프 상승수단) 5a : 돌출부(걸림결합부)
6 : 실 절단 레버 7 : 클램프 기구(클램프 장치)
7a : 후크부 8 : 연결 레버
10 : 제 2 연결 아암 11 : 제 2 연결 아암
13 : 가동 메스 14 : 고정 메스
15 : 제 2 스프링 40 : 와이퍼 장치(실 제거 수단)
42 : 와이퍼 솔레노이드 43 : 플런저
45 : 와이퍼 50 : 제어 장치
51 : 기동 페달 52 : 조작 패널(선택 수단)
53 : CPU(제어수단) 54 : RAM
55 : ROM 59 : 재봉틀 모터
70,80 : 실 절단·클램프 상승 장치 81 : 스테핑 모터(구동 수단)
82 : 피니언 기어 84 : 랙
100 : 체인 스티치 재봉틀(사이클 재봉틀)
본 발명은, 실 절단 수단과 클램프 장치를 구비하는 사이클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스를 포함하는 실 절단 수단과 봉제중에 천을 누르는 클램프 장치를 구비하고, 실 절단 수단과 클램프 장치가 공통의 구동력 공급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의 사이클 재봉틀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클 재봉틀에서는, 사이클 봉제가 종료될 때 상기 구동력 공급원을 구동하여 실 절단 수단에 의한 실 절단 동작과 클램프장치에 의한 클램프 상승 동작을 연속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사이클 재봉틀에 의한 봉제 작업에서는, 1회째 사이클 봉제이후, 2회째의 사이클 봉제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네구멍 단추(BT)를 바탕천에 박음질 하는 경우, 우선 2개의 단추구멍에 바느질땀(S1)을 형성하고, 이어서 다른 2개의 구멍에 바느질 땀(S2)을 형성한다. 바느질 땀(S1, S2)을 연속 형성하면, 양자간에 실(x)이 걸쳐진다. 그러나, 외관상 걸쳐진 실(x)이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느질 땀(S1)을 형성한 후에 실을 절단하고 그 다음에 바느질 땀(S2)을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사이클 재봉틀에서는 처음에 바느질 땀을 형성한 후에 실을 절단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도 연속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클램프가 일단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천이 어긋나게 되어 다음 바느질 땀의 개시위치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클램프 장치가 단추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천을 누르는 형태의 사이클 재봉틀에서는, 클램프 장치가 상승하면 단추와 천이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다음에 클램프 장치를 내려도 단추가 벗어나 버리거나 바탕천이 접혀 겹쳐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해, 바느질 땀을 형성하고자 하면 바늘이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또 클램프 장치가 상승하기 위한 사이클 타임이 길어져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이클 봉제가 종료되었을 때 실 절단 수단과 클램프 장치가 공통의 구동력 공급원에 의해 구동되는 사이클 재봉틀에 있어서, 사이클 봉제가 종료되었을 때 클램프 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실의 절단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수단(실 절단 레버(6), 연결 레버(8), 제 1 연결 아암(10), 제 2 연결 아암(11), 가동 메스(13), 고정 메스(14))과,
천을 누르는 클램프 장치(클램프 기구(7))를, 천이 분리되도록 상승시키는 클램프 상승 수단(클램프 상승레버(5))과,
실 절단 수단과, 클램프 상승 수단의 각각에 연결되며, 대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이동 위치에 따라 실 절단 수단 및 클램프 상승 수단을 동작시키는 작동 부재(작동 아암(4))와,
작동 부재를 상기 일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구동 솔레노이드(1))을 구비하고,
작동 부재는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해 갈 때, 실 절단 수단이 실 절단을 시작하는 실 절단 개시위치, 실 절단 수단이 실 절단을 종료하는 실 절단 종료위치, 클램프 상승 수단이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키기 시작하는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및 클램프 상승 수단이 클램프의 상승을 종료하는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사이클 재봉틀(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의 사이에 정지할 수 있도록,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실 절단 동작과 클램프 상승 동작이 연속 수행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클램프 상승의 개시 위치를 넘으면 클램프 상승 동작이 시작되어 버린다. 그러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 작동 부재는 실 절단의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의 개시위치까지의 사이에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실 절단이 종료된 후 클램프 상승동작은 개시되지 않으며 실 절단 동작만 단독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장치의 상승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운 범위내에서 연속하여 봉제할 경우에,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고 불필요하게 클램프 장치가 동작되는 일은 없으며, 또 도중에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란, 실 절단 종료위치,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및 이들 2개 위치의 사이를 포함한다. 또한, 실 절단 종료위치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가 대략 동일한 위치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구동 수단으로는 플런저(plunger)를 가지는 솔레노이드나, 스테핑 모터 등이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사이클 재봉틀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제어 수단은, 작동 부재가 대기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실 절단 종료위치에서 클램프 상승 개시 위치까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작동 부재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존하여도 되고, 스프링 등의 다른 작용력에 의해 복귀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사이클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대상물의 하방에서, 바늘로부터 봉제 대상물에 이어진 실을 절단하는 상기 실 절단 수단과,
실 절단 후에 봉제 대상물의 상방에서, 바늘에 이어진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 수단(와이퍼 장치(40))과,
실 제거 수단에 의한 실 제거 동작에 대하여 유효 또는 무효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조작 패널(52))과,
실 제거 동작이 유효라고 선택될 때에는, 실 절단 수단에 의한 실 절단 동작후에 반드시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 제거 동작이 무효일 때, 작동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로 이동한 다음 복귀할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은 수행하지 않고, 상기 대기 위치에서 실 절단 종료위치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간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다음 대기 위치로 복귀할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 실 제거 수단이 무효라고 선택된 경우에도 작동 부재는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즉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이 수행된다. 이로써, 클램프 장치의 상승이 불필요한 근거리 범위내에서 연속적으로 봉제할 경우, 1개 1개씩 봉제한 후에 실 제거 동작이 확실히 이루어지며 바늘에 이어지는 실끝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연속적으로 원활히 봉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효를 선택하여 작동 부재를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시킬 경우, 즉 실 절단 동작에 이어서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지만,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킬 경우, 봉제 대상물을 떼어내면 바늘에 이어지는 실끝은 자유로워지므로 실 제거 동작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실 제거 동작의 무효를 선택함으로써 클램프 장치가 상승될 때 불필요한 실 제거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이클 재봉틀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솔레노이드이고,
클램프 상승수단은 작동 부재가 상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클램프 장치의 일부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돌출부(5a))를 가지고, 걸림결합부를 통해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 수단은 작동 부재를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처음 소정 시간동안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보다 작은 전류를 공급하여, 작동 부재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 처음에는 소정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소정 크기의 전류보다 작은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작동 부재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를 넘어 이동하지 못하고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전류 제어의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펄스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되고, 전류 제어 회로를 설치하여 그 회로에서 전류의 크기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실 절단 동작이 완료되는 데 있으므로, 일단 작동 부재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보다 작은 전류로도 실 절단 동작까지 진행할 수 있다면, 작동 부재가 실 절단 종료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 크기의 전류보다 작은 전류로 변환하여도 무방하다.
청구항 2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이클 재봉틀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단추 부착용 재봉틀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네구멍 단추를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단추 부착용 재봉틀로서,
제어 수단은,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제 1 봉제가 종료된 후, 작동 부재를 대기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실 절단 종료위치에서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실 절단이 종료된 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며,
이어서, 다른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제 2 봉제가 종료된 후, 작동 부재를 대기위치에서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네구멍 단추를 봉제할 때,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 한 후,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고 클램프 장치는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봉제와 제 2 봉제간에서 클램프 장치가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는 만큼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 제 2 봉제가 개시될 때 단추나 바탕천의 상태가 어긋남에 따라 바늘이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점에서도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높은 생산성으로 단추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단추 부착용 재봉틀인 체인 스티치(chainstitch) 재봉틀(100)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기타 센서 등에 대해서는 생략되어있다.
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은 제어 장치(50)와, 제어 장치(50)에 접속된 재봉틀 모터(59), 구동 솔레노이드(1), 와이퍼 솔레노이드(42)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50)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 53), RAM(Random Access Memory ; 54), 및 ROM(Read Only Memory ; 55)이 설치되어 있다. ROM(55)은 각종 봉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RAM(54)은 조작 패널(5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나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한다. CPU(53)는 ROM(55) 및 RAM(54)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근거로 각종 연산을 수행하며 그 연산 결과를 실행하여 재봉틀(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를 제어 구동하는 본 발명의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기동 페달(51)은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봉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조작 패널(52)은 봉제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키나 버튼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실 제거 동작에 대하여 유효 또는 무효를 선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택 수단을 구성하는 버튼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장치(70)는 체인 스티치 단추 부착용 재봉틀(100)의 실 절단과 클램프 상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수단인 구동 솔레노이드(1)는, 재봉틀(100)의 프레임(도시 생략)에 고정되며, 구동 회로(57)를 통해 CPU(53)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솔레노이드(1)는 펄스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CPU(53)는 듀티비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1)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솔레노이드(1)의 플런저(1a)의 단부에는 작동 부재인 작동 아암(4)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다. 작동 아암(4)의 선단과 재봉틀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핀(20)간에 제 1 스프링(2)이 배치되며, 이로써, 작동 아암(4)은 제 1 스프링(2)에 의해 도 2의 R방향으로 가압되어, 그 선단이 재봉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스토퍼(3)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작동 아암(4)의 선단측에는 클램프 상승 수단인 클램프 상승 레버(5)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상승 레버(5)는 대략 L자 형상이며, 그 굴곡 부분에서 재봉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 상승 레버(5)의 타단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부(5a)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 베드상에 설치된 클램프 기구(7)는 그 후단부에서 부착축(7b)을 통해 송출대(feed base ; 도시 생략)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도록 축 지지되어 있다. 이 클램프 기구(7)의 전단부에는 단추 클램프(21)가 고정되어 단추를 부착할 때 단추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추 클램프(21)의 하방에는 재봉틀 베드상에 고정되어 있는 침판(needle plate;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기구(7)의 중앙부와 그보다 상방에 배치된 도시가 생략된 핀의 사이에, 제 1 스프링(2)보다 상당히 강한 가압력을 가지는 제 2 스프링(15)이 걸려 고정되어, 클램프 기구(7) 전체가 제 2 스프링(15)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어 있다. 상기 제 2 스프링(15)의 작용력에 의해 단추 클램프(21)와 침판(12)간에 천을 끼워 눌러 붙이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기구(7)에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 후크(7a)가 상방으로 기립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후크(7a)의 수평 부분이 상기 돌출부(5a) 상방에 소정의 간극(E)을 두고 대향 배치되며, 클램프 상승 레버(5)가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5a)가 상승하면, 돌출부(5a)가 후크(7a)에 맞닿아 걸림결합되어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작동 아암(4)의 기단측에는 중간부를 재봉틀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실 절단 레버(6)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 절단 레버(6)의 타단에는 캠롤러(6a)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단부를 재봉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 레버(8)는 중간부에 대략 원호상의 캠홀(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홀(8a)에 상기 캠롤러(6a)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어 실 절단 레버(6)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레버(8)의 하단부는 연결핀(22)을 통해 L자형의 연결판(9)의 수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9)의 수평부에는 제 1 연결 아암(10)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연결 아암(10)의 타단에는 제 2 연결 아암(1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연결 아암(11)의 전단부(1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판(12)의 하측에서, 수직핀(23)을 통해 침판(1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메스(13)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침판(12)에는 가동 메스(13)에 대하여 바늘 구멍(25)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고정 메스(14)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메스(13)는 핀(23)을 중심으로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바늘 구멍(25)을 통과하는 바늘실을 잡은 다음 고정 메스(14)와 걸림결합되어 바늘실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 절단 레버(6), 연결 레버(8), 제 1 연결 아암(10), 제 2 연결 아암(11), 가동 메스(13), 고정 메스(14)에 의해 본 발명의 실 절단 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재봉틀(100)에는 실이 절단된 후에 천의 하방으로부터 바늘(30)로 이어지는 실(T)을 천 위로 꺼내기 위해 도 4와 같이 실을 제거하는 와이퍼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40)는 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의 아암부(102) 측면에 부착된 솔레노이드 장치(41), 와이퍼 링크(44), 와이퍼(45), 부착판(46)을 갖는다. 솔레노이드 장치(41)는 와이퍼 솔레노이드(42)와 플런저(43)에 의해 구성되고, 와이퍼 솔레노이드(42)는 구동 회로(58, 도 1)를 통해 CPU(53)에 의해 제어되며, 플런저(43)는 보통 도시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와이퍼 링크(44)의 일단이 플런저(43)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핀(24a)을 통해 와이퍼(45)가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측방에서 볼 때 와이퍼(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0)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며 와이퍼(45)의 하단부에는 우측방향으로 연장돌출되는 돌출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재봉틀의 아암부(102)에 일단이 고정된 부착판(46)은 그 타단부에는 핀(24b)을 통해 와이퍼(45)가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와이퍼 장치(40)에서는 실을 절단한 후에 플런저(43)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B방향으로 구동되면, 와이퍼(45)는 핀(24b)을 중심으로 C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바늘(30)로부터 천의 하방으로 이어지는 실을 돌출부(45a)에 의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실을 제거한 후, 플런저(43)는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실이 절단된 후의 와이퍼 장치(40)의 동작에 대해서는 조작 패널(52)을 통해 동작의 유효/무효를 선택할 수 있으며, 유효를 선택했을 때에는 실을 절단한 후에 반드시 와이퍼 장치(40)가 동작하며, 무효를 선택했을 때에는 원칙적으로 실 절단 이후에 와이퍼 장치(40)는 동작하지 않는다.
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에 있어서, 단추를 단추 클램프(21)로 끼우면서 단추 클램프(21)와 침판(12)간에 끼워진 바탕천에 상기 단추를 박고, 그 박음질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장치(7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구동 솔레노이드(1)가 ON되고 이로써 플런저(1a)가 제 1 스프링(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끌린다. 이에, 작동 아암(4)이 P방향으로 이동하고, 실 절단 레버(6) 및 클램프 상승레버(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실 절단 레버(6)가 회전하면, 연결 레버(8)를 통해 제 1 연결 아암(10) 및 제 2 연결 아암(11)이 Q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가동 메스(13)가 도 3에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메스(14)와 가동 메스(13)간의 실을 절단한다.
상기 실 절단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클램프 상승레버(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5a)는 상방으로 이동해가지만, 클램프 상승레버(5)가 상기 간극(E)의 거리를 이동하는 이동초기에는 돌출부(5a)와 후크부(7a)는 걸림결합되지 않는다. 실 절단 종료와 거의 동시에, 즉 클램프 상승레버(5)가 상기 간극(E)만큼 이동하였을 때, 돌출부(5a)와 후크부(7a)가 걸림결합되고, 클램프 상승레버(5)가 더욱 이동함으로써, 제 2 스프링(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돌출부(5a)에 의해 후크부(7a)가 밀어올려진다. 후크부(7a)가 밀어올려짐으로써 클램프 기구(7)가 부착축(7b)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클램프(21)는 침판(12) 상방으로 분리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작동 아암(4)이 정지하면 클램프 기구(7)도 회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단추 및 바탕천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기구(7)의 상승(클램프 상승 동작)시에, 작동 아암(4)이 P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 절단 레버(6)도 계속 회전하지만, 캠홀(8a)의 형상에 의해 연결 레버(8)에 대하여 회전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동 솔레노이드(1)가 OFF되면, 제 1 스프링(2), 제 2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장치(7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와이퍼 장치(40)는 실 절단 동작이 종료된 후에 상기 실 제거 동작을 진행하고 바늘(30)에 연결되는 실을 천 위로 뽑아내어 다음의 봉제에 준비한다.
상기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 절단·클램프 상승의 일련의 동작 중, 처음의 실 절단 동작은 비교적 약한 스프링인 제 1 스프링(2)에 대항하여 각 부재를 기계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며, 클램프 상승 동작은 강력한 제 2 스프링(15)에 대항되고 게다가 클램프 기구(7) 전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이므로 실 절단 동작과 비교할 때 한층 강력한 힘을 요한다.
상기한 내용에서는 봉제 종료후의 장치(7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클램프 상승동작은 행하지 않고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에서 네구멍 단추(BT)를 걸쳐지는 실없이 봉제할 경우에는, 바느질 땀(S1)과 바느질 땀(S2)을 연속 봉제하는 동안에 클램프 상승 동작은 불필요하므로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한다. 또한, 이 경우, 바느질 땀(S1)의 실 절단 동작 후에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바느질 땀(S2)을 봉제하기 시작하면, 절단된 실의 단부가 단추구멍(H)의 위치에서 천안에 남겨지므로, 외관상 걸쳐진 실이 남게 된다. 때문에, 상기의 경우, 실 절단 동작 후에 반드시 와이퍼 솔레노이드(42)가 가압되어 와이퍼 장치(40)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 패널(52)을 통해 와이퍼 장치(40)의 동작을 무효로 했을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네구멍 단추(BT)를 걸쳐진 실없이 봉제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7의 플로우 챠트 및 도 8의 타이밍 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의 타이밍 챠트는 작동 아암(4)의 이동 위치와 봉제 처리의 각 동작간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으로서, 와이퍼(45)를 구동하는 와이퍼 링크(44)의 이동 위치에 대해서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횡축은 도 7에 도시된 봉제 처리의 시간 경과에 따른 것이며 종축은 작동 아암(4), 와이퍼 링크(44)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 절단·클램프 상승 동작은 구동 솔레노이드(1)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아암(4)이 도 2의 P방향으로 이동해감에 따라 수행된다. 즉, 작동아암(4)의 P방향 이동 위치와 일련의 동작에는 일정한 대응관계가 있다. 실 절단 수단이 실 절단 동작을 개시할 때의 작동 아암(4)의 이동 위치를 실 절단 개시위치로 하고, 마찬가지로 실 절단 수단이 실 절단을 종료할 때의 이동 위치를 실 절단 종료위치, 클램프 상승 레버(5)가 클램프 기구(7)의 상승을 개시할 때의 이동 위치를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그리고 클램프 상승 레버(5)가 클램프 상승을 종료할 때의 이동 위치를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대기 위치와 실 절단 개시위치, 실 절단 종료위치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와이퍼 링크(44)의 이동위치를 작동아암(4)의 이동위치와 함께 나타냄으로써 실 절단 동작시의 실 제거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7은 제어 장치(50)에 의해 수행되는, 도 6의 단추(BT)를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네구멍 단추의 봉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는, 바느질 땀(S1)을 형성하는 제 1 공정(제 1 봉제)과, 바느질 땀(S2)을 형성하는 제 2 공정(제 2 봉제)으로 구분된다.
도 7의 봉제 처리가 시작될 때(도 8의 시간(t0)), 천 및 단추를 셋트하기 위해 클램프 기구(7)는 가장 높이 상승된 상태가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아암(4)은 가장 솔레노이드(1) 측인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에 있다. 또한, 와이퍼 링크(44)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힘에 의해 도 4에 있어 가장 상방향의 대기 위치에 있다.
도 7의 처리에 있어, 조작자가 천 및 단추를 세트하고, 기동 페달(51)을 조작함으로써 바느질 땀(S1)을 봉제하기 시작한다. 우선, 단계(S1)에서, 구동 솔레노이드(1)가 OFF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아암(4)이 R방향(도 2)으로 이동하여 스토퍼(3)에 맞닿아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써, 장치(70)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단계(S2)에서 재봉틀 모터(59)를 기동하고, 제 1 공정의 봉제를 개 시한다(도 8의 시간(t1)).
단계(S3)에서는 실 절단 지령이 내려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바느질 땀(S1)의 봉제가 종료될 때까지 그 판정을 반복한다.
봉제가 종료되고 실 절단 지령이 내려진 경우, 단계(S4)의 실 절단 동작처리(A, 도 10)와 단계(S5)의 실 제거 동작처리(도 9)가 실행된다. 이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아암(4)이 도 2의 P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시간(t2)이후), 실 절단 종료위치까지 이동한다. 작동 아암(4)은 실 절단 종료위치에서 소정 시간동안 머물고, 소정 시간이 경과(도 8의 시간(t3))된 후에 구동 솔레노이드(1)가 OFF되면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실 절단 동작처리의 제어흐름에 대해서는 후술 한다.
또한, 상기 실 절단 동작처리에 있어서 실 절단 종료위치에서 정체하는 중에 와이퍼 솔레노이드(42)가 가압되어 와이퍼 링크(44)가 도 8과 같이 대기 위치로부터 실 제거 종료위치까지 이동하며, 그 후 와이퍼 솔레노이드(42)에 대한 가압력이 소멸되어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8의 시간(t3)에 있어 구동 솔레노이드(1)가 OFF된 후, 도 7의 단계(S6)에서 재봉틀 모터(59)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작동 아암(4)이 대략 대기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시간(t4)), 단계(S7)에서 다시 재봉틀 모터(59)를 기동하여 바느질 땀(S2)의 봉제를 개시한다.
단계(S8)에서, 상기 단계(S3)와 마찬가지로 판정을 반복하고, 봉제가 종료되어 실 절단 지령이 내려졌을 경우, 단계(S9)에서 와이퍼 동작의 유효/무효를 판단한다. 와이퍼 동작의 유효가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실 절단 동작처리(B,단계(S10))만이 실행되고,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와이퍼 처리동작(단계(S12))와 클램프 상승 동작을 포함한 실 절단 동작처리(B, 단계(S11))가 실행된다.
이들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아암(4)이 대기 위치에서 이동하기 시작하여(시간(t5)이후), 실 절단 종료위치, 나아가서는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조작자에 의해 실 제거가 유효인 것으로 미리 선택되어 있다면, 단계(S11, S12)에 의해 실 절단 동작처리와 실 제거 동작처리가 실행되어 와이퍼 링크(44)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위치로부터 실 제거 종료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복귀한다. 마지막으로 재봉틀 모터(59)를 정지시키고(단계(S13)), 처리를 종료한다.
도 9에는 실 제거 동작처리를 나타낸다. 단계(S21)에 있어 일정 시간(여기서는 50msec)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S21)에 있어 일정 시간 대기함으로써 실 절단 동작의 종료를 기다리게 된다.
단계(S21)의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단계(S22)에서 와이퍼 솔레노이드(42)를 구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실 제거 동작이 개시된다. 이어서, 단계(S23)에 있어 일정 시간(여기서는 50msec)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이유는 와이퍼(45)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실을 제거할 때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단계(S24)에 있어 와이퍼 솔레노이드(42)를 OFF처리 하고, 실 제거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의 봉제 처리시에, 제 1 공정후에는 작동 아암(4)이 실 절단 종료위치에서 머물고, 제 2 공정후에는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는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솔레노이드(1)의 듀티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0에는 도 7에 도시된 단계(S4)의 실 절단 동작처리(A)의 흐름을 나타낸다.
실 절단 동작처리(A)가 개시되면, 단계(J1)에서 100%의 듀티비로 구동 솔레노이드(1)를 구동한다.
이어서, 단계(J2)에 있어 단계(J1)의 솔레노이드 구동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60msec)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경과되지 않았다면 이 판정을 반복하며 경과되었다면 단계(J3)로 이행한다.
단계(J3)에 있어, 듀티비를 50%로 하는 처리를 행하고, 단계(J4)에 있어 일정 시간(240msec)이 경과되기를 기다린다. 이로써 실 절단 처리를 완전히 종료한다.
이어서, 단계(J5)에 있어 구동 솔레노이드(1)를 OFF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구동 솔레노이드(1)의 OFF처리후, 제 1 스프링(2)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1a), 작동 아암(4)등의 각 부재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도 10과 같이 처음에 100%의 듀티비로 구동 솔레노이드(1)를 구동하는 이유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제 1 스프링(2)에 대항하여 작동 아암(4)이 움직이기 시작하려면 어느 정도 강력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 듀티 100%의 시간을 일정 시간(여기서는 60msec)으로 한정하고, 곧이어 듀티비를 50%로 하는 이유는 강력한 힘을 요하는 클램프 기구(7)의 상승 구동은 50%의 듀티비로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이에, 작동 아암(4)은 클램프 상승 레버(5)의 돌출부(5a)를 클램프 기구(7)의 후크(7a)에 걸림결합시킨 위치, 즉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에서 머물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단계(S10, S11)의 실 절단 동작처리(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이러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우선, 단계(J11)에 있어, 100%의 듀티비로 구동 솔레노이드(1)를 구동한다.
이어서 단계(J12)에서 단계(J11)의 솔레노이드 구동개시로부터 일정 시간(75msec)이 경과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경과되지 않았다면 이 판정을 반복하고, 경과되었다면 단계(J13)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듀티비 100%의 시간을 도 10의 플로우와 다른 일정 시간(여기서는 75초)으로 함으로써, 솔레노이드(1)가 클램프 상승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작용력을 계속 출력하게 되고, 실 절단 동작에 이어서 클램프 기구(7)의 상승 동작도 이루어진다. 일단, 상승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 단계(J13)에서는 듀티비를 50%로 낮추고,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듀티비가 50%인 상태는 유지되며 클램프 기구(7)는 상승된 상태이다.
이상의 체인 스티치 재봉틀(100)에 따르면, 네구멍 단추를 바탕천에 박음질할 때, 제 1 공정의 봉제후에는, 구동 솔레노이드(1)에 대하여 시작 듀티비 100%로 펄스 전류를 공급하고, 60msec후에는 듀티비를 50%로 함으로써, 클램프 상승 레버(5)의 돌출부(5a)를 통해 클램프 기구(7)를 들어올릴 수 없어, 작동 아암(4)이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에서 정지하고 만다. 따라서, 제 1 공정 후에 있어서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고 불필요한 클램프 기구(7)의 상승 동작은 없어지며, 또한 도중에 클램프 기구(7)를 올림으로써 발생하는 단추의 위치가 어긋남이나 천이 겹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 패널(52)을 통해 실 제거 수단이 무효임이 선택된 경우, 작동 아암(4)을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즉 실 절단 동작에 이어서 클램프 기구(7)를 상승시킬 때, 실 제거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다. 즉, 봉제 대상물을 떼어내면 바늘(30)에 이어지는 실의 끝은 자유로워지므로 실 제거 동작이 불필요해지지만, 상기와 같이 실 제거 동작의 무효를 선택함으로써, 필요치 않는 클램프 기구(7)의 상승시 실 제거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마찬가지로 실 제거 수단이 무효라 하더라도, 작동 아암(4)을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직전까지 이동시켜 복귀시킬 때, 즉 제 1 공정의 실 절단 후에만은 실 제거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공정 후에 바늘(30)에 이어지는 실의 끝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제 2 공정의 봉제를 원활히 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솔레노이드(1)의 듀티 제어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100%와 50%의 2단계가 아닌 3단계 이상으로 변경하여도 되고, 각 단계의 경과 시간 또한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또한, 듀티비의 제어가 아닌, 구동 솔레노이드(1)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 제어 회로를 설치하여, 그 회로로부터 솔레노이드(1)로 송출하는 전류값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였으나, 도 12와 같이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도 된다.
도 12는 실 절단·클램프 상승 장치(80)를 나타낸다. 이 장치(80)는 도 2의 장치(70)와 대략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그 부호를 사용하며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장치(80)에서는 구동 수단으로서 스테핑 모터(81)를 이용한다. 스테핑 모터(81)의 출력 축에는 피니언 기어(82)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재봉틀 프레임에는 금속제의 베어링(83,83)이 고정되고, 이들 베어링(83,83)에 상기 피니언 기어(82)에 맞물리는 랙(84)이 설치되며, 상기 랙(84)의 전단부에 작동 아암(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장치(80)에서는 스테핑 모터(81)를 구동함으로써 랙(84)을 통해 작동 아암(4)이 P방향 및 R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 스테핑 모터(81)에 부여되는 펄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작동 아암(4)이 소정량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도 8과 같은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및 변형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가령, 실 절단 종료위치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는 대략 동일하였으나, 실 절단 종료위치 다음에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가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네구멍 단추를 봉제하는 경우였으나, 3공정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봉제에 대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사이클 재봉틀은 체인 스티치 재봉틀로 한정되지 않는다.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 작동 부재는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의 사이에 정지할 수 있으므로, 실 절단 동작 후에 클램프 상승 동작을 개시하지 않고, 실 절단 동작만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천을 이동시킬 필요없는 가까운 범위 내에서 연속하여 봉제하는 경우,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여 불필요하게 클램프 장치가 동작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도중에 클램프 장치를 올림으로써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2의 발명 효과에 부가하여,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 실 제거 수단이 무효로 선택된 경우에도 작동 부재가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대기 위치로 복귀될 경우, 즉 실 절단 동작만 수행하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이 수행된다. 이로써, 클램프 장치의 상승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까운 범위내에서 연속적으로 봉제할 경우, 하나 하나 봉제한 후에 실 제거 동작이 확실히 이루어져 바늘에 이어지는 실끝이 천으로부터 이끌려 실이 걸쳐지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효를 선택하여 작동 부재를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시킬 경우, 즉 실 절단 동작에 이어서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지만,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킬 경우, 봉제 대상물을 떼어내면 바늘에 이어지는 실의 끝은 자유로워지므로 실 제거 동작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실 제거 동작의 무효를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한 클램프 장치 상승시의 실 제거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 처음에 소정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소정 크기의 전류보다 작은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작동 부재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를 넘어 이동하지 않고 결국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네구멍 단추를 봉제할 때,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한 후, 실 절단 동작만이 실행되고 클램프 장치는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봉제와 제 2 봉제간에 불필요한 클램프 장치의 동작이 없어져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봉제가 개시될 때 단추나 바탕천의 상태가 어긋남에 따라 바늘이 부러지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단추 부착 봉제가 가능해진다.

Claims (5)

  1. 천을 누르는 클램프 장치를 천이 분리되도록 상승시키는 클램프 상승 수단과,
    클램프 장치 근방에 있어 재봉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수단을 구비한 사이클 재봉틀로서,
    대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 절단 수단이 실을 절단하기 시작하는 실 절단 개시위치, 실 절단 수단이 절단을 종료하는 실 절단 종료위치, 클램프 상승수단이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키기 시작하는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및 클램프 상승수단이 클램프의 상승을 종료하는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로 이동가능하며, 그 이동 위치에 따라 실 절단 수단 및 클램프 상승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실 절단 수단과 클램프 상승수단의 각각에 연결된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각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 직전까지의 사이에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작동 부재가 대기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실 절단의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의 개시위치까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봉제 대상물의 하방에서 바늘로부터 봉제 대상물에 이어지는 실을 절단하는 상기 실 절단 수단과,
    실을 절단한 후에, 봉제 대상물의 상방에 있어 바늘에 이어진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 수단과,
    상기 실 제거 수단에 의한 실 제거 동작에 대하여 유효 또는 무효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실 제거 동작이 유효일 때에는, 실 절단 수단에 의한 실 절단 동작 후에 항상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실 제거 동작이 무효일 때, 작동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의 종료위치로 이동한 다음 복귀할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실 절단의 종료위치와 클램프 상승의 개시위치간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다음 대기 위치로 복귀될 경우에는, 실 제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 재봉틀.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솔레노이드이고, 상기 클램프 상승수단은 작동 부재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클램프 장치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를 가지고, 걸림결합부를 통해 클램프 장치를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은 작동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처음 소정시간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보다 작은 전류를 공급하여, 작동 부재가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 재봉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은 네구멍 단추를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단추 부착 재봉틀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제 1 봉제가 종료된 후, 작동 부재를 대기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실 절단 종료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개시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실 절단이 종료된 후에는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며,
    이어서 다른 한 쌍의 단추구멍을 바탕천에 박음질하는 제 2 봉제가 종료된 후, 작동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클램프 상승 종료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 재봉틀.
KR1020010019309A 2000-04-12 2001-04-11 사이클 재봉틀 KR100658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1100 2000-04-12
JP2000-111100 2000-04-12
JP2001-62025 2001-03-06
JP2001062025A JP4782295B2 (ja) 2000-04-12 2001-03-06 サイクル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522A KR20010098522A (ko) 2001-11-08
KR100658273B1 true KR100658273B1 (ko) 2006-12-14

Family

ID=2658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309A KR100658273B1 (ko) 2000-04-12 2001-04-11 사이클 재봉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82295B2 (ko)
KR (1) KR100658273B1 (ko)
CN (1) CN1325715C (ko)
DE (1) DE10115384A1 (ko)
TW (1) TW4995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05B1 (ko) 2002-05-14 2010-11-25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CN101570922B (zh) * 2008-04-30 2013-01-16 飞马缝纫机制造株式会社 送出臂型缝纫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56A (ko) * 2001-04-12 2002-10-23 페이-룽 구 재봉틀 보조장치
JP3973484B2 (ja) * 2002-05-14 2007-09-12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付ミシン
CN100371514C (zh) * 2003-10-29 2008-02-27 星锐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自动切线双向电磁铁装置
JP5273632B2 (ja) * 2005-08-22 2013-08-28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自動糸切り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2007068829A (ja) 2005-09-08 2007-03-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における切断装置
JP5160030B2 (ja) * 2005-10-14 2013-03-13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ボタン付け方法
JP2009268788A (ja) * 2008-05-09 2009-11-19 Juki Corp サージングマシン
JP5408946B2 (ja) * 2008-09-29 2014-02-05 Juki株式会社 ミシン
EP3006615B1 (en) * 2009-10-13 2017-08-16 JUKI Corporation Sewing machine
CN101899752B (zh) * 2010-02-26 2013-03-20 顾飞龙 防止车缝链目松脱的勾切装置
DE102012205049A1 (de) * 2012-03-29 2013-10-02 Dürkopp Adler AG Faden-Schneid-Baugruppe für eine Schnürloch-Nähmaschine
JP6108742B2 (ja) * 2012-09-28 2017-04-05 Juki株式会社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CN102926139B (zh) * 2012-11-02 2015-02-11 谭英 一种自动钮扣绕脚机
GB201319964D0 (en) * 2013-07-11 2013-12-25 Taltech Ltd Sewing machine throat plate assembly
JP7152185B2 (ja) 2018-05-18 2022-10-12 株式会社ジャノメ 針板着脱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ミシン
CN109487445B (zh) * 2019-01-03 2024-04-05 浙江乐江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驱动机构
CN109811480B (zh) * 2019-03-11 2020-11-27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刺绣机用多点反馈的勾线装置
CN112210909A (zh) * 2020-10-14 2021-01-12 刘爱鸣 一种服装加工用切线装置
CN112430912A (zh) * 2020-11-13 2021-03-0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钉扣机及其抬压剪线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838A (en) * 1969-01-07 1970-05-05 Union Special Machine Co Sewing machine for attaching articles to workpieces
JPS56151089A (en) * 1980-04-25 1981-11-21 Hitachi Ltd Controller for sewing machine
JPS6015277A (ja) * 1983-07-04 1985-01-25 長谷 実 使い捨てサドルカ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68085A (ja) * 1984-09-10 1986-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H0137584Y2 (ko) * 1984-09-29 1989-11-13
JPS61134793A (ja) * 1984-12-05 198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2177995A (ja) * 1988-12-28 1990-07-11 Juki Corp ボタン付けミシンのボタン保持機構
JPH04276288A (ja) * 1991-03-05 1992-10-01 Brother Ind Ltd 縫製装置
JP2833685B2 (ja) * 1993-11-20 1998-12-09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H11156073A (ja) * 1997-11-26 1999-06-15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017756A (ja) * 1999-05-06 2001-01-23 Juki Corp 環縫いボタン付けミシ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05B1 (ko) 2002-05-14 2010-11-25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CN101570922B (zh) * 2008-04-30 2013-01-16 飞马缝纫机制造株式会社 送出臂型缝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2295B2 (ja) 2011-09-28
TW499523B (en) 2002-08-21
CN1317607A (zh) 2001-10-17
CN1325715C (zh) 2007-07-11
DE10115384A1 (de) 2001-11-15
JP2001353385A (ja) 2001-12-25
KR20010098522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273B1 (ko) 사이클 재봉틀
US5331909A (en) Presser foot and needle drive device in an embroidery machine
KR20090004680A (ko) 재봉기
JP2006102399A (ja) ミシン
JPH04156882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6271467A (ja) ミシン
JP2012176182A (ja) ミシン
JP2006020757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JP2005278931A (ja) ミシンの上糸挟持機構
JP4404974B2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JP5318357B2 (ja) 電動式ミシン
JP2833685B2 (ja)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H0238699Y2 (ko)
KR20020067971A (ko) 재봉기의 윗실 클램프장치
JPH0137584Y2 (ko)
JP3811931B2 (ja) 糸調子開放機能付きミシン
JP2001286693A (ja) 布押さえ装置付きミシン
JP2005278856A (ja) ミシン
JPH09299663A (ja) ミシンの糸切り方法および装置
JPH1119364A (ja) 水平釜ミシン
JPH0265894A (ja) ミシンの縫製データプログラム装置
JP3425059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の押え足装置
JPH0538702Y2 (ko)
JPH07313756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S62241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