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770A -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770A
KR20060048770A KR1020050057810A KR20050057810A KR20060048770A KR 20060048770 A KR20060048770 A KR 20060048770A KR 1020050057810 A KR1020050057810 A KR 1020050057810A KR 20050057810 A KR20050057810 A KR 20050057810A KR 20060048770 A KR20060048770 A KR 2006004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mechanism
thread tension
solenoid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히로 카츠마타
카츠아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 및 장력의 설정단계를 바꾸는 것이다.
전류량에 따라 추력(推力)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1)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 제어수단과, 실 장력조절 디스크(21)를 폐쇄시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 장력조절기(2)와,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링크비에 따라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기구(3)를 가지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100)에 있어서, 링크기구의 링크비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THREAD TENSION CONTROL DEVICE FOR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의 일부를 단면에서 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따른 실 장력조절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따른 제 1 연결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레노이드 2 : 실 장력조절기
21 : 실 장력조절 디스크 3 : 링크기구
31 : 제 1 링크기구 32 : 제 2 링크기구
33 : 연결링크부재 100 : 실 장력조절장치
C1 : 제 1 연결부 C2 : 제 2 연결부
본 발명은 실 장력조절기와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구동력을 작용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 장력조절장치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와 실 장력조절기를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링크기구에 의해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 장력조절기에 구비된 실 장력조절 디스크(tension disk)간의 가압력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여 실에 부여되는 장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25488호
그러나, 종래의 실 장력조절장치에서는, 전기량의 제어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최대출력은 변경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실 장력조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장력은 고정적이며, 예컨대 두꺼운 천을 봉제할 때나 굵은 실을 이용할 때 소정의 실 장력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 장력조절장치에서는, 전기량의 제어에 따라 상기 최대출력의 범위에서 소정의 단계, 가령 255단계의 출력변경이 가능하며, 이로써 실 장력조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을 변경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피봉제물, 특히 얇은 피봉제물의 수나 두께가 봉제 도중에 바뀌는 경우에 실 장력을 미세하게 설정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고정적인 단계제어로는 이러한 미세한 설정변경이 곤란하며, 상기 피봉제물의 수나 두께가 변할 때 소정의 실 장력을 얻을 수 없어, 스티치가 아름답지 못하게 되고 봉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기적 제어에 관계없이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을 가변화하는 동시에 봉제조건에 대응하여 장력의 설정을 바꿀 수 있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류량에 따라 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 제어수단과, 실 장력조절 디스크를 폐쇄시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 장력조절기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링크비에 따라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기구를 가지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비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발생된 추력은 링크기구를 통해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되는데, 링크기구에서, 링크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로부터 전달된 추력을 링크비에 따라 증감시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링크기구만으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한 추력의 조정과 병용하면,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봉제물이 두꺼운 경우와 같이 커다란 장력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 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링크기구의 링크비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의한 실 장력조절기의 장력설정단계에 있어서 더욱 자세하게 장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설정단계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어, 봉제물이 얇은 경우와 같이 작은 장력만 필요한 경우나 미세한 장력변경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최적의 장력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실 장력조절기의 연결부와,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한 쪽의 연결부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발생된 추력은 링크기구를 통해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되는데, 링크기구와 실 장력조절기의 연결부와, 링크기구와 솔레노이드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한 쪽의 연결부가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로부터 전달된 추력을 연결부에 따라 증감시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연결부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한 추력의 조정과 병용하면,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봉제물이 두꺼운 경우와 같이 커다란 장력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부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의한 실 장력조절기의 장력설정단계에 있어서 더욱 자세하게 장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설정단계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어, 봉제물이 얇은 경우와 같이 작은 장력만 필요한 경우의 봉제에 대해서도 최적의 장력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연결부를 변경할 때에는, 제 1 링크기구와 연결링크부재간의 연결을 완화시키거나 해제하고,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임의의 장소에서 제 1 링크기구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다시 연결하는 것만으로, 제 1 연결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링크비를 바꿀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比)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2 연결부를 변경할 때에는, 제 2 링크기구와 연결링크부재간의 연결을 완화시키거나 해제하고,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임의의 장소에서 제 2 링크기구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다시 연결하는 것만으로, 제 2 연결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링크비를 바꿀 수가 있다.
따라서, 제 2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 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연결부를 변경할 때에는, 제 1 링크기구와 연결링크부재간의 연결을 완화시키거나 해제하고,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임의의 장소에서 제 1 링크기구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다시 연결하는 것만으로, 제 1 연결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링크비를 바꿀 수가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를 변경할 때에는, 제 2 링크기구와 연결링크부재간의 연결을 완화시키거나 해제하고,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임의의 장소에서 제 2 링크기구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다시 연결하는 것만으로, 제 2 연결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링크비를 바꿀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 장력조절장치의 구성>
실 장력조절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전(通電)되는 전류량에 따라 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1)와, 상기 솔레노이드(1)의 구동력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장치(도시생략)와, 실 장력조절 디스크(21)를 폐쇄시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 장력조절기(2)와, 솔레노 이드(1)의 추력을 링크비에 따라 실 장력조절기(2)에 전달하는 링크기구(3)를 구비한다. 여기서, 실 장력조절기(2)는 링크기구(3)에 의해 솔레노이드(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는 그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플런저(11)를 가지며, 직접 혹은 브래킷을 통해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1)는 플런저(11)에 대하여 전류량에 따라 추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전류량이 일정하여 플런저(11)의 출몰(出沒)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추력을 발생하는 플런저(11)의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를 갖는 특성이 있다.
플런저(11)의 선단에는 링크기구(3)와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핀부재(12)가 설치되어 있고, 플런저(11)는 상기 핀부재(12)를 통해 링크기구(3)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플런저(11)의 축방향의 동작에 따라 링크기구(3)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1)는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어장치에 의해 흐르는 전류량, 즉, 전류량에 따라 발생시키는 추력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장치는 적어도 장력 및 장력을 부여하는 시기를 설정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봉제중에도 그 진행에 따라 장력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실 장력조절기(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간에서 실을 핀칭하는 한 쌍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와, 한 쌍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의 중심구멍에 동시에 삽입되는 실 장력조절봉(22)과, 실 장력조절봉(22)을 유지하는 통형상 프레임(23)과, 한쪽 실 장력조절 디스크(21)에 인접하며 그 중심구멍에 실 장력조 절봉(22)이 삽입되어 유지되는 해제부재(24)와, 해제부재(24)를 통해 한 쌍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25)과,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26)를 구비한다.
실 장력조절봉(22)은 그 일단부가 통형상 프레임(23)에 삽입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통형상 프레임(23)은 실 장력조절봉(22)이 삽입되는 개구부와 반대쪽의 내부 바닥면에 작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실 장력조절봉(22)의 일단부의 단면이 외부에 나타나 보인다. 더욱이, 실 장력조절봉(22)은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는 그 중심에 원형의 중심구멍이 형성되고, 그 중심구멍에 실 장력조절봉(22)이 나사측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실 장력조절봉(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해제부재(24)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에 인접하여 실 장력조절봉(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일단부가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25)은 해제부재(24)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해제부재(24)의 타단부 내면에 맞닿는 동시에 타단부가 통형상 프레임(23)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28)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해제부재(24)의 타단부 내면으로부터 부착부재(28)까지의 거리는 가압 스프링(25)의 자연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가압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부재(24)는 항상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절나사(26)는 그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실 장력조절봉(22)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조절나사(26)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26)를 실 장력조절봉(2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링크기구(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장력조절기(2)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31)와, 솔레노이드(1)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32)와, 제 1 링크기구(31)와 제 2 링크기구(32)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33)를 구비한다.
제 1 링크기구(31)는 재봉기 프레임(F)에 고정된 지지부재(31a)와, 상기 지지부재(31a)에 연결된 제 1 링크부재(31b)를 구비한다.
지지부재(31a)는 그 중앙부근에서 만곡형성된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재봉기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가 핀부재(31c)를 통해 제 1 링크부재(31b)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부재(31b)는 그 일단부 근방에서 만곡형성된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실 장력조절기(2)의 실 장력조절봉(22)에 연결되고, 일단부 근방의 만곡부에서 핀부재(31c)를 통해 지지부재(31a)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부재(31b)의 타단부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붙이 나사(31x) 및 너트(31y)를 통해 연결링크부재(33)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를 제 1 연결부(C1)라 부르기로 한다. 제 1 링크부재(31b)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3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1e)은, 제 2 링크기구(32)와 연결링크부재(33)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 (C2)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33)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연결링크부재(33)의 일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는 상기 긴 구멍(31e)의 범위 내를 연결링크부재(33)가 이동할 수 있도록 단붙이 나사(31x) 및 너트(31y)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단붙이 나사(31x)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붙이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헤드부(31n)와, 제 1 링크부재(31b)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긴 구멍(31e)의 폭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는 삽입통과부(31r)와, 삽입통과부(31r)의 선단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너트(31y)에 의해 제 1 링크부재(31b)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31s)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붙이 나사(31x) 중 적어도 걸림고정부(31s)에는 수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31y)에는 내주면에 걸림고정부(31s)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 홈이 형성된 나사결합부(31t)가 형성되어 있어, 걸림고정부(31s)에 나사결합부(31t)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링크기구(32)는 일단부가 핀부재(12)에 의해 솔레노이드(1)의 플런저(11)에 연결된 제 2 링크부재(32b)를 구비한다.
제 2 링크부재(32b)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만곡형성된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핀부재(12)를 통해 솔레노이드(1)의 플런저(11)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링크부재(32b)의 타단부는, 핀부재(32c)를 통해 연결링크부재(33)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부재(32b)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솔레노이드(1)에 설치된 부착판(32a)에 핀부재(32d)를 통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이 부착부가 제 2 링크부재(32b)의 회동 지점이 된다. 또한, 제 2 링크부재(32b)의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이면(裏面)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3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2e)에는 핀부재(12)가 삽입되어 있으며, 핀부재(12)를 임의의 위치에서 제 2 링크부재(32b)에 고정시킴으로써 연결링크부재(33)의 스트로크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링크부재(33)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봉(33a)의 양단부에 제 1 링크기구(31) 및 제 2 링크기구(3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3b,33c)를 설치한 것이다. 연결부재(33b)의 선단부에는, 단붙이 나사(31x)를 삽입시켜 너트(31y)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3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멍(33c)에 단붙이 나사(31x)가 삽입된다. 또, 연결부재(33c)의 선단부에는 핀부재(32c)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실 장력조절장치의 동작설명>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 장력조절장치(1)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링크부재(31b)의 긴 구멍(31e)의 원하는 위치에서,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를 단붙이 나사(31x) 및 너트(31y)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 때, 솔레노이드(1)의 동작중에 연결링크부재(33)가 긴 구멍(31e) 내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둔다.
이어서,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1)에 원하는 전류를 흘려 솔레노이드(1)를 구동시킨다. 솔레노이드(1)가 구동함에 따라, 플런저(11)는 솔레노이드 본 체쪽으로 견인되고, 핀부재(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부재(32b)의 일단부도 솔레노이드 본체쪽으로 견인된다. 제 2 링크부재(32b)의 일단부가 솔레노이드 본체쪽으로 견인됨에 따라, 제 2 링크부재(32b)는 핀부재(32d)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 2 링크부재(32b)의 타단부에 연결된 연결링크부재(33)의 타단부는, 우측방향(도 1의 A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링크부재(33)가 A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링크부재(33)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 1 링크부재(31b)의 타단부도 A방향으로 견인되므로, 제 1 링크부재(31b)는 핀부재(31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1 링크부재(31b)의 일단부는 실 장력조절봉(22)을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실 장력조절봉(22)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짐에 따라, 해제부재(24)가 실 장력조절 디스크(21)쪽으로 이끌리며, 실 장력조절기(2)의 한 쪽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는 다른 쪽의 실 장력조절 디스크(21)를 향해 이동하여 실을 핀칭하여 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실 장력조절장치(1)에 따르면, 솔레노이드(1)에 발생되는 추력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255단계로 조정이 가능하지만, 최대 전류시의 최대추력은 일정하다. 솔레노이드(1)에 의해 발생된 추력은 제 2 링크부재(32b), 연결링크부재(33), 제 1 링크부재(31b)를 통해 실 장력조절기(2)에 전달된다. 여기서,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C1)는, 제 1 링크부재(31b)에 형성된 긴 구멍(31e)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연결위치에 따라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의 링크비가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1)로부터 출력되는 추력이 일정할 경우, 연결링크부재(33)를 긴 구멍(31e)의 일단부(도 1에 나타낸 위치), 즉, 회동지점이 되는 핀부재(31c)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에서 연결했을 경우에는, 제 1 링크부재(31b)의 핀부재(31c)를 중심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는 가장 커지기 때문에, 제 1 링크부재(31b)의 타단부가 실 장력조절봉(22)을 상방으로 당기는 힘도 최대가 된다. 이로써,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에 핀칭되는 실에는 가장 커다란 장력이 가해져 최대장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한편, 연결링크부재(33)를 긴 구멍(31e)의 타단부, 즉, 회동지점이 되는 핀부재(31c)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했을 경우에는, 제 1 링크부재(31b)의 핀부재(31c)를 중심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는 가장 작아지므로, 제 1 링크부재(31b)의 타단부가 실 장력조절봉(22)을 상방으로 당기는 힘도 최소가 된다. 이에 따라, 실 장력조절 디스크(21,21)에 핀칭되는 실에는 가장 작은 장력이 가해져 최대장력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위치를 무단계(無段階)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의 링크비가 무단계로 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1)로부터 전달된 추력을 연결부에 따라 증감시켜 실 장력조절기(2)에 전달할 수가 있다.
이로써,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1)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연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 장력조절기(2)에 전달할 추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에 의한 추력의 조정과 병용하면, 실 장력조절기(2)의 최대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봉제물이 두꺼운 경우와 같이 커다란 장력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1)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1)에 의한 실 장력조절기(2)의 장력설정단계에서 더욱 자세하게 장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설정단계를 더욱 세분할 수 있어, 봉제물이 얇은 경우와 같이 미세한 장력변화나 작은 장력만이 요구되는 경우의 봉제에 대해서도 최적의 장력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실 장력조절장치(100)를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력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의 장력조정이 요구되는 재봉기에 대해서도 효과적이다.
또한, 연결부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제 1 링크부재(31b)와 연결링크부재(33)간의 연결을 완화하거나 해제하고, 제 2 연결부(C2)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연결링크부재(33)를 회동시켜, 임의의 장소에서 제 1 링크부재(31b)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다시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제 1 연결부(C1)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링크비를 바꿀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부(C1)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링크비를 변경하는 수단은 긴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복수의 연결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긴 구멍은 제 1 링크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링크부재에 형성할 수도 있고, 제 1 링크부재와 제 2 링크부재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링크부재의 수, 형상, 배치 등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링크기구만으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한 추력의 조정과 병용하면,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봉제물이 두꺼운 경우와 같이 커다란 장력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링크기구의 링크비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의한 실 장력조절기의 장력설정단계에 있어서 더욱 자세하게 장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설정단계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어, 봉제물이 얇은 경우와 같이 작은 장력만 필요한 경우의 봉제에 대해서도 최적의 장력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연결부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할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한 추력의 조정과 병용하면, 실 장력조절기의 최대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봉제물이 두꺼운 경우와 같이 커다란 장력이 필요한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추력을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부를 변경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의한 실 장력조절기의 장력설정단계에 있어서 더욱 자세 하게 장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설정단계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어, 봉제물이 얇은 경우와 같이 작은 장력만 필요한 경우의 봉제에 대해서도 최적의 장력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2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변경작업에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링크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전류량에 따라 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 제어수단과, 실 장력조절 디스크를 폐쇄시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 장력조절기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링크비에 따라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기구를 가지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비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실 장력조절기의 연결부와,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한 쪽의 연결부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실 장력조절기에 연결된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제 2 링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기구와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회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연결링크부재의 타단부의 회동궤적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KR1020050057810A 2004-07-22 2005-06-30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KR20060048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4473A JP2006034341A (ja) 2004-07-22 2004-07-22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JP-P-2004-00214473 2004-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770A true KR20060048770A (ko) 2006-05-18

Family

ID=3589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810A KR20060048770A (ko) 2004-07-22 2005-06-30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034341A (ko)
KR (1) KR20060048770A (ko)
CN (1) CN1724740A (ko)
TW (1) TW2006094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007B1 (ko) * 2006-08-08 2008-11-27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KR100940146B1 (ko) * 2006-12-15 2010-02-03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WO2013100543A1 (ko)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썬스타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39785B (zh) * 2007-09-26 2011-08-17 中捷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中夹线器的控制装置
JP5271744B2 (ja) * 2009-02-16 2013-08-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5519172B2 (ja) * 2009-04-14 2014-06-11 Juki株式会社 上下送りミシン
CN104516281B (zh) * 2013-09-30 2018-03-02 北京中电科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螺线管驱动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007B1 (ko) * 2006-08-08 2008-11-27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실 조절 장치
KR100940146B1 (ko) * 2006-12-15 2010-02-03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WO2013100543A1 (ko)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썬스타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34341A (ja) 2006-02-09
CN1724740A (zh) 2006-01-25
TW200609403A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8770A (ko)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CA2162318A1 (en) Drive apparatus with a drive element made from a shape memory alloy
JP3005783B2 (ja) ワイヤクランパ
JPS63159161A (ja) 押圧力の調整可能なワイパ装置
EP0272348A1 (de) Gasregelgerät mit Servodruckregler
KR102393164B1 (ko) 실 장력조정장치
CZ20001414A3 (cs) Zařízení na seřizování napětí nitě, využívající elektromagnetický solenoid
DE10000818A1 (de) Fadenspannapparat für eine Nähmaschine
JPH05259213A (ja) ワイヤクランパ
JPH0341251A (ja) バックラッシュを予め設定したねじ調節機構
EP1554508A1 (en) Transmission amplifier assembly for a bowden cab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930815B2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CN101736537A (zh) 下线张力控制装置
US4729397A (e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for a pressure fluid and associated method
CN1950553B (zh) 梭口形成机构和安装有该机构的织机
JP2007097651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DE102007005314A1 (de) Fadenspann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US7077168B2 (en) Thread tension regulation in a thread brake device and method in a textile processing machine
CN113998536A (zh) 一种纺织纱线张紧调节机构
CN219827797U (zh) 夹管比例阀
KR200153158Y1 (ko) 클러치 조작 장치
CN220581620U (zh) 一种皮带调节恒力机构
JPH11200195A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調整装置
CN220381356U (zh) 一种镜头组件
JP2647768B2 (ja) ミシンの糸調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