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164B1 - 실 장력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실 장력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164B1
KR102393164B1 KR1020200071242A KR20200071242A KR102393164B1 KR 102393164 B1 KR102393164 B1 KR 102393164B1 KR 1020200071242 A KR1020200071242 A KR 1020200071242A KR 20200071242 A KR20200071242 A KR 20200071242A KR 102393164 B1 KR102393164 B1 KR 10239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device
disk
tension adjusting
pressing for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485A (ko
Inventor
다카키 시바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4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apply pressure to material
    • B65H59/225Tension dis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을 증감시킬 때의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되는 쌍방향으로의 이동이 컴팩트하고 또한 저렴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되도록 하여, 장치 자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 장력조정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서로 대치하는 제1 및 제2디스크(21, 22)의 대치면(211, 221)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Y)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정하는 실 장력조정장치(2)에 있어서, 제1디스크(21)를, 제2디스크(22)에 대하여 동일한 축(23) 상에서 접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1디스크(21)에 영구자석(24)을 설치하는 한편, 제2디스크(22)에, 전원에 자극을 변경할 수 있도록 또한 통전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전자석(25)을 설치한다. 제1디스크(21)의 대치면(211)을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측에 가까워지게 되도록 상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7)을, 축(23)의 일단에 나사체결하여 부착된 나사부재(28)와 제1디스크(21)의 대치면(211)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수축되도록 장착한다.

Description

실 장력조정장치{YARN TENSION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대치(對峙)되는 대치면(對峙面)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yarn)에 부여되는 장력(張力)을 조정하도록 한 실 장력조정장치(yarn 張力調整裝置)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실 장력조정장치는, 얀콘(yarn cone)으로부터의 실이 필요 이상으로 인출(引出)되지 않도록 횡편기(橫編機)의 톱 텐션장치(top tension裝置)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고, 서로 대치되는 쌍방의 대치면 사이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쌍방의 대치면 중 일방(一方)의 대치면은, 타방(他方)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接離)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당해 일방의 대치면측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타방의 대치면측으로 상시(常時)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은, 그 신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축단(軸端)에 나사체결되어 부착된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이 나사부재의 체결·풀림동작에 의하여 신축방향으로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타방의 대치면측에 대한 일방의 대치면의 가압력을 증감시켜서, 대치면 사이에서 실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실 장력조정장치로서는, 보빈 스탠드(bobbin stand)로부터의 윗실을 바늘까지 공급하는 미싱(sewing machine)의 급사경로(給絲經路) 상에 있어서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을 참조). 이 실 장력조정장치는, 서로 대치하는 쌍방의 대치면 중 일방의 대치면에, 타방의 대치면측에 가까워지게 되도록 상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과 전자 솔레노이드(電磁 solenoid)에 의하여 누르는 플런저(plunger)를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플런저의 누르는 힘을 가미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는 조달되지 않는 압력을 타방의 대치면측에 대하여 부가한 상태에서 윗실의 장력을 넓은 범위에 걸쳐서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21027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실 장력조정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플런저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증대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감쇠(減衰)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으로부터 이반(離反)시키는 방향으로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눌러서 이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한 기구를 새롭게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증감시킴에 있어서,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接離)되는 쌍방향으로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누르는 플런저를 구비한 기구를 2개 설치하면, 장치 자체가 매우 대형화되고, 비용도 늘어나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증감시킬 때의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되는 쌍방향으로의 이동이 2개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플런저를 구비한 기구를 각각 사용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장치 자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 장력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로 대치하는 대치면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정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를 구비한 실 장력조정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 대치면 중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일방의 대치면측에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한편, 타방의 대치면측에, 전원에 대하여 자극(磁極)을 변경할 수 있도록 또한 통전량(通電量)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전자석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일방의 대치면측에, 당해 일방의 대치면을 상기 타방의 대치면측에 가까워지게 되도록 상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당해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변경하는 가압력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압력 변경수단에 의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의 변경동작을 전동수단에 의하여 전동으로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를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상, 실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일방의 대치면측에 영구자석을 설치함과 아울러,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는 한편, 타방의 대치면측에 자극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석을 설치함으로써 전자석의 자극을 변경하면, 영구자석의 극성에 대한 흡인력과 반발력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전자석의 자극을 영구자석과는 다른 극성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흡인력에 의하여 증대되는 한편, 전자석의 자극을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성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반발력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이 일방의 대치면측의 영구자석 및 가압수단과 타방의 대치면측의 자극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통전량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석에 의하여 실 장력조정장치가 구성됨으로써,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증감시킬 때의 일방의 대치면을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되는 쌍방향으로의 이동이, 전자석의 자극의 변경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의 절체와 전자석으로의 통전량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의 크기에 따라 실시되게 되어, 2개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플런저를 구비한 기구를 각각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실 장력조정장치 자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하여 자력(磁力)에 의존하지 않고 대치면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에 대하여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전력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부가하여 가압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타방의 대치면에 대하여 이동하는 일방의 대치면측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지만, 전자석을 구비한 타방의 대치면측도 경량이기 때문에,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증감시키는 기구가 경량으로 된다. 이에 따라 전자석의 자극 변경이나 통전량 변경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에 따른 일방의 대치면의 높은 응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에 가압력을 변경하는 가압력 변경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자력에 의존하지 않고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어, 실에 대한 장력을 임의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장력일정제어나 임의의 타이밍으로 장력을 부여하는 것과 같은 제어에는 적합하여, 소비전력을 더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력 변경수단에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전동에 의하여 변경하는 전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개개의 실 장력조정장치의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전동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어, 인위적인 가압수단의 가압력의 변경작업을 없앨 수 있다. 이때에 전동수단에 의한 가압수단의 가압력 변경은, 장력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장력값에 의거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실의 장력을 장력센서에 의하여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실밥의 퇴적 등 외적요인에 의한 장력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를 톱 텐션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스페이스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개개의 톱 텐션장치에, 대치면 상호간을 가압수단의 가압력만으로 가압하는 기존의 실 장력조정장치를 대신하여 무리없이 설치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실 장력조정장치를 구비한 톱 텐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 도1의 실 장력조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 도2의 실 장력조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실 장력조정장치(yarn 張力調整裝置)를 구비한 톱 텐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텐션장치(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횡편기(橫編機)에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얀 패키지(yarn package)로부터 인출된 실(yarn)(Y)에 부여되는 장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실 장력조정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 장력조정장치(2)는, 톱 텐션장치(1)의 프레임(10)의 기단(基端)측(급사경로(給絲經路)의 상류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횡편기의 측면에는, 톱 텐션장치(1)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실(Y)을 편침(編針)에 급사할 때에 느슨해짐 등을 제거하는 사이드 텐셔너(side tensioner)가 복수 설치되고, 이들 사이드 텐셔너에 의하여 다수의 급사경로가 밀집되어 있다.
또한 톱 텐션장치(1)는, 프레임(10)의 상방의 선단(先端)을 향하여 신장되는 텐션암(tension arm)(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호 12∼17은, 실(Y)을 안내하여 삽입·통과되는 도사부(導絲部)이다. 그리고 얀 패키지로부터 인출된 실(Y)은, 실 장력조정장치(2)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도사부(12∼15)를 거쳐서 텐션암(11)의 도사부(16) 및 도사부(17)에서 캐리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측으로 급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도사부(13)는, 프레임(10)의 기단측 부근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搖動)되는 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Y)이 끊어졌을 때에 암이 스윙되어 실 끊어짐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실 장력조정장치(2)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실 장력조정장치(2)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장력조정장치(2)는, 서로 대치(對峙)하는 제1 및 제2디스크(21, 22)의 대치면(對峙面)(211, 221)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Y)에 장력을 부여하여 조정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디스크(21, 22)는 동일한 축(23) 상에 설치되고, 당해 양 디스크(21, 22) 중에서 제2디스크(22)가 축(23)의 타단(他端)측(도3에서는 우단(右端)측)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디스크(21)는 축(23) 상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디스크(21)는, 그 대치면(211)(일방(一方)의 대치면)이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타방(他方)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接離)할 수 있도록 축(23)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디스크(21)에는, 대치면(211)의 이면측에 대략 원환 모양의 영구자석(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디스크(22)에는, 대치면(221)의 이면측에 전자석(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석(25)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원에 대하여 전류의 방향 및 통전량(通電量)을 변경하는 변환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통하여 자극(磁極)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통전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그 변경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횡편기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된다.
전자석(25)은, 철심(鐵心)(251)과 이 철심(251)에 감긴 코일(252)을 구비하고,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측이 자극면(磁極面)으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디스크(21, 22)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비자성체(非磁性體)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23)의 타단은 철심(251)에 끼워져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디스크(21, 22)의 대치면(211, 221)의 사이에 위치하는 축(23)의 대응위치에는, 대략 원형모양의 삽통구멍(揷通孔)(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구멍(231)에는 외측방향과 연통(連通)되는 연통홈(連通groove)(232)이 형성되고, 이 연통홈(232)을 통하여 삽통구멍(231)에 삽입·통과된 실(Y)에 대하여 제1 및 제2디스크(21, 22)의 대치면(211, 221) 상호간의 사이에서 장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디스크(21)에는, 그 대치면(211)을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측에 가까워지게 되도록 상시(常時)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7)은, 그 신축방향을 축(23) 상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23)의 일단(一端)(도3에서는 좌단(左端))에 나사체결하여 부착되는 나사부재(28)와 제1디스크(21)의 대치면(211)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수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나사부재(28)는, 수동에 의한 체결·풀림동작(변경동작)에 의하여 축(23) 상을 코일 스프링(27)의 신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을 변경하는 가압력 변경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Y)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제1디스크(21)에 영구자석(24)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디스크(21)의 대치면(211)을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제2디스크(22)에 자극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석(2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석(25)의 자극을 변환기에 의하여 변경하면, 영구자석(24)의 극성에 대한 흡인력과 반발력이 얻어진다. 또한 전자석(25)은 전원에 대하여 통전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전량에 따라 영구자석(24)에 대한 흡인력 및 반발력이 가변(可變)으로 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은, 전자석(25)의 자극을 영구자석(24)과는 다른 극성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흡인력에 의하여 증대되는 한편, 전자석(25)의 자극을 영구자석(24)과 동일한 극성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반발력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이 제1디스크(21)의 영구자석(24) 및 코일 스프링(27)과 제2디스크(22)에 있어서 자극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통전량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석(25)으로 실 장력조정장치(2)가 구성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증감시킬 때의 제1디스크(21)의 대치면(211)을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에 대하여 접리되는 쌍방향으로의 이동이, 전자석(25)의 자극의 변경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의 절체(切替)와 전자석(25)으로의 통전량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의 크기에 따라 실시되게 되어, 2개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플런저를 구비한 기구를 각각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실 장력조정장치(2) 자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하여 자력에 의존하지 않고 제1 및 제2디스크(21, 22)의 대치면(211, 221)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Y)에 대하여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자석(25)에 대한 전력의 상시 공급을 불필요하게 하여 소비전력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부가하여 코일 스프링(27)을 구비한 상태에서 제2디스크(22)의 대치면(221)에 대하여 이동하는 제1디스크(21)에는 영구자석(24)이 설치되어 있지만, 전자석(25)을 구비한 제2디스크(22)보다 경량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증감시키는 기구가 경량으로 된다. 이에 따라 횡편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푸쉬니팅(push knitting)과 풀니팅(pull knitting)으로 실의 장력을 절체하는 타이밍, 즉 캐리지가 반전되는 타이밍이라는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자석(25)의 자극 변경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에 따른 제1디스크(21)의 높은 응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7)을 제1디스크(21)와의 사이에서 수축되도록 장착하는 나사부재(28)가,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체결·풀림에 의하여 변경하는 가압력 변경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영구자석(24)과 전자석(25)의 자력에 의존하지 않고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어, 실(Y)에 대한 장력을 임의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장력일정제어나 임의의 타이밍으로 장력을 부여하는 것과 같은 제어에는 적합하여, 소비전력을 더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20)가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1)에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횡편기의 측면과 같이 복수의 사이드 텐셔너에 의하여 다수의 급사경로가 밀집되어 있는 부위에 비하여 스페이스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상부측의 개개의 톱 텐션장치(1)에, 대치면 상호간을 가압수단의 가압력만으로 가압하는 기존의 실 장력조정장치를 대신하여 무리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그 이외의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27)의 가압력을 변경할 때에 나사부재(28)를 수동에 의하여 체결·풀림동작을 시켰지만, 나사부재의 체결·풀림동작이 모터 등의 전동수단에 의하여 전동으로 실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개개의 실 장력조정장치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을 전동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어, 인위적인 나사부재의 체결·풀림동작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동수단에 의한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의 변경은, 장력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장력값에 의거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실의 장력을 장력센서에 의하여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실밥의 퇴적 등 외적요인에 의한 장력변동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모터의 회전량에 따른 나사부재의 체결·풀림동작에 의하여 변경되는 것은, 횡편기에 의한 편성 도중이 아니라 편성하기 전의 사전(事前)의 타이밍이고, 이러한 점으로부터, 편성 도중과 같은 빠른 장력의 제어는 요구되지 않아 컴팩트하고 저렴한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27)을 사용하였지만, N자형의 판 스프링이나 M자형의 판 스프링이어도 좋고, 이들 판 스프링이 축의 일단의 나사부재와 제1디스크의 대치면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수축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 장력조정장치(2)를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1)에 설치하였지만, 얀 패키지로부터 인출된 실이 편침에 급사되기까지의 급사경로이면, 횡편기의 측면에 있어서 각 사이드 텐셔너를 회피하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 장소를 막론하고 어디에 실 장력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 : 톱 텐션장치
2 : 실 장력조정장치 20 :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
211 : 제1디스크의 대치면(일방의 대치면)
221 : 제2디스크의 대치면(타방의 대치면)
24 : 영구자석 25 : 전자석
27 : 코일 스프링(가압수단) 28 : 나사부재(가압력 변경수단)
Y : 실

Claims (4)

  1. 서로 대치하는 대치면(對峙面) 상호간의 사이에 끼워진 실(yarn)에 부여되는 장력(張力)을 조정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yarn 張力調整裝置 本體)를 구비한 실 장력조정장치로서,
    상기 양 대치면 중 일방(一方)의 대치면은, 타방(他方)의 대치면에 대하여 접리(接離)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방의 대치면측에는 영구자석(永久磁石)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타방의 대치면측에는, 전원에 대하여 자극(磁極)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통전량(通電量)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전자석(電磁石)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대치면측에는, 상기 일방의 대치면을 상기 타방의 대치면측에 가까워지게 되도록 상시(常時)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변경하는 가압력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변경수단에 의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의 변경동작은, 전동수단(電動手段)에 의하여 전동(電動)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장력조정장치 본체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top tension裝置)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장력조정장치.
KR1020200071242A 2019-06-18 2020-06-12 실 장력조정장치 KR102393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2448A JP2020204106A (ja) 2019-06-18 2019-06-18 糸張力調整装置
JPJP-P-2019-112448 201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485A KR20200144485A (ko) 2020-12-29
KR102393164B1 true KR102393164B1 (ko) 2022-04-29

Family

ID=7110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242A KR102393164B1 (ko) 2019-06-18 2020-06-12 실 장력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53887B1 (ko)
JP (1) JP2020204106A (ko)
KR (1) KR102393164B1 (ko)
CN (1) CN112095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1965A1 (de) * 2021-06-11 2022-12-14 KARL MAYER STOLL R&D GmbH Fadenbremse
KR102563089B1 (ko) * 2021-12-17 2023-08-04 주식회사 펌프킨 컨택트바 스프링 장력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228A1 (de) * 1997-12-03 1999-06-10 Iro Patent Ag Fadenbremsvorrichtung
JP2008119078A (ja) * 2006-11-09 2008-05-29 Juki Corp ミシンの下糸張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2813A1 (de) * 1982-08-26 1984-03-08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Tokyo Verfahren zum steuern des oberen fadens in einer naehmaschine
CN1045479C (zh) * 1991-03-26 1999-10-06 Iro有限公司 纱线制动装置
JPH0568764A (ja) * 1991-09-13 1993-03-23 Juki Corp ミシンの下糸制御装置
JPH06170074A (ja) * 1992-10-08 1994-06-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の上糸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770878A (ja) * 1993-09-03 1995-03-14 Tagawa Kikai Kk 糸把持装置及び流体噴射織機
DE19538138A1 (de) * 1995-10-13 1997-07-03 Beck Textilmaschinen Fadenbremse
DE19720795A1 (de) * 1997-05-16 1998-11-19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bremse und damit ausgerüstete Textilmaschine und Fadenliefervorrichtung
JP2002210279A (ja) 2001-01-19 2002-07-30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調子装置
CN1517465A (zh) * 2003-01-09 2004-08-04 陈仁惠 压纱器的结构改良
WO2006074674A1 (de) * 2004-12-23 2006-07-20 Memminger-Iro Gmbh Fadenbremse mit einstellbarer bremskraft
JP2008023047A (ja) * 2006-07-20 2008-02-07 Juki Corp 下糸張力制御装置
US8640637B2 (en) * 2009-06-16 2014-02-04 Nsd Corporation Sewing-machine bobbin thread tension controller, and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228A1 (de) * 1997-12-03 1999-06-10 Iro Patent Ag Fadenbremsvorrichtung
JP2008119078A (ja) * 2006-11-09 2008-05-29 Juki Corp ミシンの下糸張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95216B (zh) 2022-08-09
EP3753887B1 (en) 2023-03-15
KR20200144485A (ko) 2020-12-29
CN112095216A (zh) 2020-12-18
EP3753887A1 (en) 2020-12-23
JP2020204106A (ja)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164B1 (ko) 실 장력조정장치
CN101039859B (zh) 线张紧装置
US4526329A (en) Magnetic tensioning device
US4325314A (en)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69324137T2 (de) Fadenspannvorrichtung
US2754071A (en) Thread tensioning device
JP5253980B2 (ja) 下糸張力制御装置
US2978203A (en) Tension roller device
MXPA01003083A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US20170129736A1 (en) Wire electrode supply apparatus and wire electrode supply method
KR20060048770A (ko) 재봉기의 실 장력조절장치
US3764773A (en) Device for stopping a yarnworking machine in response to thread tension
JP2008023047A (ja) 下糸張力制御装置
US20010022201A1 (en) Thread brake for weaving looms
JP2007020791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5197129B2 (ja) 下糸張力制御装置
CN203583162U (zh) 平头钮孔缝纫机面线张力控制装置
JP2008119078A (ja) ミシンの下糸張力制御装置
CN205027930U (zh) 一种电动切丝装置
JP5271744B2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S5931356B2 (ja) ミシンの下糸張力発生装置
JPH042394A (ja) ミシンの糸張力調整装置
JP2647768B2 (ja) ミシンの糸調子器
CN116926793A (zh) 一种弹性松线式电子夹线器、以及缝纫机
SU15324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ни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