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700B1 -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Google Patents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9700B1 KR100849700B1 KR1020060102222A KR20060102222A KR100849700B1 KR 100849700 B1 KR100849700 B1 KR 100849700B1 KR 1020060102222 A KR1020060102222 A KR 1020060102222A KR 20060102222 A KR20060102222 A KR 20060102222A KR 100849700 B1 KR100849700 B1 KR 100849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al
- sensor
- rolling
- game machine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8—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using gravity, i.e. apparatus for rolling off the ball, e.g. a slope, ramp or slan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사용되는 적어도 재질이 상이한 메달을 캔슬할 수 있는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의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서 선별하는 메달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서 상기 선별장치는 적어도 메달의 재질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상기 재질센서의 하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이다.
게임기, 메달, 투입장치, 롤링레일, 진위판별, 선별장치, 재질센서, 캔슬장치, 자기센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선별장치를 장착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A), B-B선 단면도(B), C-C선 단면도(C)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캔슬러 및 구동장치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판별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기준치 설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작동설명용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실시예 1의 도 2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 *
102 : 투입구 104 : 메달
106 : 롤링레일 112 : 선별장치
142 : 센서장치 144 : 캔슬장치
146 : 직경용 코일식 자기센서 148 :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
150 : 재질용 코일식 자기센서 170 : 중앙실린더
172 : 외벽 174 : 저벽
176 : 코어 190 : 타이밍센서
194 : 가동가이드 196 : 캔슬러
240 : 피벗축 270 : 제어장치
332 : 선별기준치취득모드설정수단 334 : 기억수단
340 : 연산수단 342 :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
본 발명은 게임기에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메달의 직경과 두께에 더하여 재질이 상이한 메달을 선별할 수 있는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하는 메달의 선별기준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메달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메달을 굴리면서 이동시키는 메달안내통로의 도중의 저부에 소정두께 미만의 메달의 통과를 허용하고, 소정두께 이상의 메달의 통과를 저지하는 메달선별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소정직경 미만의 메달을 상기 안내통로의 측방에서 배제하는 소직경의 메달배제수단을 설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 11-76598 호 (도 1~3, 제 2 ~ 4 면)]
종래기술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에서는 투입된 메달의 직경과 두께만 규격에서 벗어난 메달을 캔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직경 및 두께이며 재질이 상이한 메달이 게임기로 투입될 우려가 있다.
환언하면, 상이한 게임장의 메달을 혼입하는 문제가 있다.
메달은 고객이 대금을 지불하여 구입하기 때문에, 다른 게임장의 메달을 사 용하는 경우, 무료로 게임을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게임기 내에 타점의 메달이 혼입되어 있는 것은 고객의 타점 메달의 사용을 조장하기 때문에, 하루의 영업종료후 모든 메달로부터 타점 메달의 배제작업을 하고 있고, 극히 막대한 노력을 요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사용되는 적어도 재질이 상이한 메달을 캔슬할 수 있는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의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서 선별하는 메달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메달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적어도 메달의 재질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상기 재질센서의 하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이다.
이 구성에서 메달이 롤링레일 위를 롤링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재질센서에 의해 검지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위가 판별된다.
그 판별결과에 기하여 재질센서의 하류에 위치하는 캔슬장치를 작동시켜, 해 당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여, 배제한다.
따라서, 재질이 상이한 타점의 메달을 게임기에 투입하는 일이 없고, 재질이 상이한 메달을 한군데에 집약시킬 수 있으므로, 타점 메달의 분별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직경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직경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상기 직경용 코일식 자기센서 보다도 상기 롤링레일에 가까운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재질과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재질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메달의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선별장치는 코일식 자기센서로 구성되는 직경센서와 재질센서 및 두께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투입된 메달은 재질, 직경 및 두께에 의해 진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므로 타점 메달의 선별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메달의 재질과 두께에 관한 데이타는 하나의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따라서, 통상 별개로 센서를 이용하지만, 하나의 센서로 2개의 메달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선별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경센서에 대하여 재질용 자기센서와 두께용 자기센서는 직경센서보 다도 롤링레일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롤링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어서, 전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서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질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는 중앙에 중앙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외벽부를 가지며, 이들 중앙실린더와 외벽부가 저벽에서 접속된 폿트형 코어의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링형상의 두께용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두께용 코일의 외측에 링형상의 재질용 코일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재질 및 두께센서는 공통의 폿트형 코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캔슬장치는 상기 메달롤링통로의 측방에서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피벗축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캔슬러를 포함하며, 상기 캔슬러는 상기 피벗축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상기 메달롤링통로로 전진후퇴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캔슬러는 메달의 롤링통로에 대하여 상류측의 피벗축을 지점으로 피벗운동하여 선단부가 횡방향으로부터 롤링통로로 돌출한다.
따라서, 캔슬러는 롤링통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하기 때문에, 메달은 서서히 롤링레일로부터 이탈되므로, 연속하여 롤링하여 온 메달을 확실하게 캔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서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캔슬장치는 상기 롤링레일에 대하여 상기 캔슬러의 반대측으로 롤링하는 메달의 상단부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캔슬러를 마주보며 롤링레일 위를 롤링하는 메달의 상단부가 가동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캔슬러가 롤링통로로 돌출하여 강제적으로 밀려진 경우, 메달은 롤링레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롤링레일이 미세하게 좌우이동된 경우, 메달의 상단부가 측면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롤링레일로부터 낙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객이 게임의 기술로서 롤링레일을 미소하게 좌우이동시킨 경우에도 진짜 메달은 롤링레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낙하구에 도달할 수 있고, 캔슬러에 의해 강제적으로 횡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낙하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캔슬러에 의해 메달이 횡방향으로 밀려진 경우, 메달이 튕겨 날아갈 우려가 있지만, 메달의 상단부가 가동가이드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메달은 튕겨 날라가지 않고, 낙하위치가 거의 일정하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가이드는 상기 메달롤링통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가짜 메달이 캔슬러에 의해 급격히 밀려진 경우, 가동가이드는 가짜 메달의 상단부에 의해 탄성력에 반발하여 급히 이동된다.
이에 의해, 가짜 메달은 롤링레일로부터 벗어나 낙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가이드가 탄성적으로 이동되고, 이동도 힘을 감쇄시키므로, 거의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환언하면, 작은 직경으로부터 큰 직경의 메달까지 동일한 메달선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5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질센서와 상기 캔슬장치와의 사이에 메달의 타이밍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진위신호와 상기 타이밍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캔슬러를 작동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메달이 캔슬러에 의해 캔슬되는 경우, 재질센서의 하류에 배치된 타이밍센서로부터의 메달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캔슬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타이밍센서와 캔슬러와의 거리는 일정하며, 메달은 거의 일정의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메달이 캔슬러와 마주보고 있고, 또는 마주보고 있기 전에 캔슬러를 롤링통로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캔슬해야하는 메달은 확실히 캔슬러에 의해 롤링레일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적어도 메달의 재질센서를 포함하는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 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설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메달선별장치에 있어서, 선별기준취득모드 설정수단과 선별기준취득모드시에 상기 센서로부터의 메달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기준치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하여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선별장치이다.
이 구성에서,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선별기준치취즉모드로 설정하고, 또한, 진짜 메달을 투입한 경우, 적어도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기억된다.
기억된 적어도 재질센서로부터의 취득데이타는 연산수단에 의해 기준치작성을 위해 처리된다.
이렇게 작성된 기준치는 설정수단에 의해 기준치로 설정된다.
환언하면, 고객이 사용할 메달의 재질 등이 변한 경우, 메달투입장치에 새로운 메달을 소정매수 투입하므로써 메달선별을 위한 기준치를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메달의 직경, 재질 혹은 두께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센서는 중앙에 중앙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외벽을 가지고, 이들 중앙실린더와 외벽부가 저벽에서 접속된 폿트형 코어의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링형상의 코일을 배 치한 센서유닛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유닛의 쌍은 상기 선별장치에서의 상기 롤링레일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에 각각 대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롤링레일은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하는 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기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상기 자기센서의 하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선별장치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직경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직경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상기 직경용 코일식 자기센서 보다도 상기 롤링레일에 가까운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재질과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재질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메달의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재질용 코일식 자기센서와 두께용 코일식 자기센서는 중앙에 중앙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외벽부를 가지며, 이들 중앙실린더와 외벽부가 저벽에서 접속된 폿트형 코어의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링형상의 두께용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두께용 코일의 외측에 링형상의 재질용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상기 재질센서의 하류에 배치하고, 상기 캔슬장치는 상기 메달롤링통로의 측방에서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피벗축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캔슬러를 포함하며, 상기 캔슬러는 상기 피벗축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상기 메달롤링통로로 전진후퇴이동하고, 상기 캔슬장치는 상기 롤링레일에 대해 상기 캔슬러의 반대측으로 롤링하는 메달의 상단부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가이드는 상기 메달롤링통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재질센서와 상기 캔슬장치와의 사이에 메달의 타이밍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진위신호와 상기 타이밍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캔슬러를 작동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선별장치를 장착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A), B-B선 단면도(B), C-C선 단면도(C)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캔슬러 및 구동장치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판별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기준치 설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의 선별장치의 작동설명용 그래프이다.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100)는 투입구(102)로 투입된 게임용의 메달(medal : 104)을 롤링레일(rolling rail : 106)을 따라서 롤링시켜서 투입구(108)로부터 낙하시키고, 롤링레일(106) 위에서 롤링하는 부정 메달을 캔슬(cancel)하는 기능을 가진다.
메달투입장치(100)는 대략, 롤링레일(106), 롤링레일(106)의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 : 110), 메달의 투입구(102), 메달의 선별장치(112) 및 투출구(108)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롤링레일(106)을 설명한다.
롤링레일(106)은 투입구(102)로부터 투입된 메달(104)을 롤링시켜서 투출구(108)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롤링레일(106)은 투입되는 메달(104)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두께를 가지고, 또한, 가늘고 길어서 상면이 롤링면(114)인 직선형의 가이드레일(116)과, 이 가이드레일(116)의 양측에 고정된 평판형의 좌측 가이드판(118) 및 우측 가이드판(120)을 포함하고 있다.
롤링레일(106)은 피벗베어링(110)에 소정의 각도로 전방하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다.
전방하측이란 투입구(102) 보다도 투출구(108)가 내려가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메달(104)은 가이드레일(116)의 롤링면(114), 좌측 가이드판(118) 및 우측 가이드판(120)으로 둘러쌓인 가늘고 길며, 또한, 좁은 폭의 롤링통로(122)를 롤링한다.
이어서, 피벗베어링(110)을 설명한다.
피벗베어링(110)은 롤링레일(106)을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며, 작은 각도의 범위에서 축선 주위로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피벗베어링(110)은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샤프트형상이며, 그 상하로 돌출하는 지축(130, 132)이 게임기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작은 각도의 범위로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관통공(134)이 피벗베어링(110)의 축중심을 횡단하여 천공되어 있다.
롤링레일(106)은 관통공(134)에 삽입되어, 그 중간이 피벗베어링(1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롤링레일(106)은, 지축(130, 132) 주위로 상기 소정의 작은 각도의 범위로 좌우로 피벗운동가능하다.
또한, 이 작은 각도의 피벗운동은 고객이 메달투입장치(100)로부터 메달(104)이 낙하하는 타이밍을 콘트롤하기 위해 이용된다.
환언하면, 롤링레일(106)을 약간씩 좌우로 피벗운동시키므로써, 롤링면(114) 위를 롤링하는 메달(104)을 좌측 가이드판(118) 및 우측 가이드판(120)에 접촉시키므로써 제동력을 부여하고, 이로써 메달(104)의 롤링속도를 조정하므로써 투입구(108)로부터의 낙하타이밍을 콘트롤할 수 있다.
이어서, 투입구(102)를 설명한다.
투입구(102)는 고객이 투입하는 메달(104)을 롤링레일(106)의 롤링통로(122)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투입구(102)는 사용가능 메달(104)의 최대 직경 및 최대 두께 보다도 약간 큰 사이즈이며, 수지로써 성형된 커버(140)의 단부에 형성된 상향의 사각형의 개구이다.
따라서, 투입구(102)는 소정치 이상의 대직경 메달 및 두꺼운 부정 메달의 투입방지 기능을 가진다.
커버(140)는 롤링레일(106)의 게임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투출구(108)를 설명한다.
투출구(108)는 롤링레일(106)의 게임기 내에 위치하는 단부이며, 메달(104)의 롤링통로(122)의 출구이다.
이어서 선별장치(112)를 설명한다.
선별장치(112)는 투입구(102)에 투입된 후, 롤링통로(122)를 롤링하는 메달(104)의 진위를 판별하고, 가짜 메달의 경우, 롤링통로(122)로부터 배제하여 투출구(108)로부터 낙하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진다.
선별장치(112)는 센서장치(142) 및 캔슬장치(144)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센서장치(142)를 설명한다.
센서장치(142)는 롤링통로(122)를 롤링하는 메달(104)의 진위판별을 위한 데이타를 얻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장치(142)는 직경센서(146), 두께센서(148), 재질센서(150), 제 1 본체(152) 및 제 2 본체(154)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직경센서(146),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는 코일식 자기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페라이트코어와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제 1 본체(152)와 제 2 본체(154)는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수지로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제 1 본체(152)는 거의 사각형이고, 피벗베어링(110) 보다도 하류에서, 가이드레일(116)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본체(152)의 상부에는 횡방향의 베어링(154, 156)이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되어, 센서지축(158)이 가이드레일(116)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본체(152)의 롤링통로(122)측의 측면(153)은 평면이고, 최대직경 메달의 직경보다도 약간 롤링면(114)으로부터 이격된 상방으로 립(rib)형의 스페이서돌기(160)가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스페이서돌기(160)는 가이드레일(116)에 대하여 평행하게 최대직경 메달의 직경 보다도 약간 떨어져 위치하고, 그 돌출량은 가이드레일(116)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 2 본체(154)는, 제 1 본체(152)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인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센서지축(158)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롤링통로(122)의 측면(155)은 평면이다.
또한, 제 2 본체(154)는 그 중간이 센서지축(158)에 감겨져 있고, 일단이 제 2 본체(154)의 내측상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타단이 외측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62)에 의해 도 5(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를 받는다.
따라서, 스페이서돌기(160)와 가이드레일(116)의 두께에 의해 제 1 본체(152)와 제 2 본체(154)의 간격이 규제된다.
이 구성에 의해, 센서장치(142)의 메달(140)의 롤링통로(122)는, 롤링면(114), 제 1 본체(152)의 측면(153), 스페이서돌기(160) 및 제 2 본체(154)의 측면(155)에 둘러쌓인 편평공간이다.
제 2 본체(154)는 소정의 힘으로 회동되므로써, 도 5(B)에서 센서지축(158)을 지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가능하다.
제 2 본체(154)가 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된 경우, 제 2 본체(154)와 가이드 레일(116)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롤링통로(122)에 끼워진 메달(104)을 그 간극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이어서,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를 설명한다.
두께센서(148)은 메달(104)의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재질센서(150)는 메달(104)의 재질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는, 제 1 본체(152) 및 제 2 본체(154)의 배면에 부착된 한 쌍의 자기센서이다.
두께센서(148)는 원통형의 중앙실린더(170)와 중앙실린더(170)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형의 외벽(172) 및 중앙실린더(170)와 외벽(172)을 연결하는 저부(174)를 가지고, 페라이트로 만들어진 폿트형의 코어(176)와, 중앙실린더(170)에 감겨진 코일(178)에 의해 구성된 센서유닛(180)을 제 1 본체(152)와 제 2 본체(154)의 배면에 각각 대향배치하므로써 구성되어 있다.
재질센서(150)는 코어(176)와 코일(178)의 외측에 감겨진 코일(18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176)의 단면은 사용될 최소직경의 메달의 면에 대하여, 전면이 마주보도록 롤링면(114)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코어(176)에 2개의 코일(178 및 182)을 감아서 두께센서(148)와 재질센서(150)을 구성한 경우, 각각 별개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센 서장치(142)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두께센서(148)와 재질센서(150)를 별개의 코어에 감아서 각각 독립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직경센서(146)를 설명한다.
직경센서(146)는 롤링면(114)을 롤링하는 메달(104)의 직경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직경센서(146)은 중앙실린더와 외벽과 이들과 접속하는 저부를 가지는 폿트형의 코어에 코일을 감아 구성된 코일식 자기센서이다.
직경센서(146)는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 보다도 투입구(102)에 가까운 롤링통로(12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먼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직경센서(146)와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링통로(122)의 길이방향에서, 약간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센서장치(14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본체(154)를 전자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5(B)에서 시계방향으로 센서지축(158)을 지점으로 피벗운동가능하게 배치하므로써, 센서장치(142)에 끼인(jamed) 메달(104)을 롤링통로(122)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이어서, 캔슬장치(144)를 설명한다.
캔슬장치(144)는 센서장치(142)로부터 얻어진 메달(104)의 직경, 두께 및 재질에 관한 데이타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어장치가 "가짜 메달"로 판별하고, 캔슬 신호를 출력한 경우, 그 가짜 메달(104)을 캔슬하는 기능을 가진다.
환언하면, 캔슬장치(144)는 메달(104)을 롤링통로(122)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캔슬장치(144)는 메달(104)을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캔슬장치(144)는 타이밍센서(190), 고정본체(192), 가동가이드(194), 캔슬러(196), 구동장치(198) 및 스토퍼(200)를 포함한다.
타이밍센서(190)는 캔슬러(196)의 구동장치(198)의 작동개시 타이밍신호 CTS(도 10(B))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타이밍센서(190)는 센서장치(142)의 바로 하류에 배치되어, 가이드레일(116)에 브라켓(202)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밍센서(190)는 롤링통로(122)를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된 투과식 광전센서(204)이다.
투과식 광전센서(204)의 광축은 가이드레일(116)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메달(104)이 연속하여 롤링하는 경우, 메달(104)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삼각형 공간(206)(도 10(B))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센서(190) 대신에 두께센서(148) 혹은 재질센서(150)의 하강 신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캔슬러(196)와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타이밍센서(19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고정본체(192)를 설명한다.
고정본체(192)는 롤링통로(122)의 일측면을 한정하는 기능 및 가동가이드(194)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고정본체(192)는 사각형 판 형상이며 제 1 본체(152)와 일체로 가이드레일(116)의 하류측으로 배치되고, 그 하단부가 가이드레일(116)에 고정되어 있다.
측면(210)은 평판형이고 롤링통로(122)의 일측면을 한정하고 있다.
고정본체(192)는 제 1 본체(152)와 별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가동가이드(194)를 설명한다.
가동가이드(194)는 캔슬장치(144)와 마주보는 롤링통로(122)를 롤링하는 메달(104)의 상단부 측면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고정본체(192)와 마주보고, 또한, 롤링통로(122)의 반대측에 사각형 링형상의 가동가이드 프레임(210)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가이드 프레임(2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본체(154)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가동가이드(194)는 제 2 본체(154)의 바로 하류에 배치되고, 스프링(234)에 의해 고정본체(192)를 향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사각형의 개구(212)의 하부 모서리(214)는 롤링면(114)에 대하여 동일면 혹은 그 하방에 위치하고, 상부 모서리(216)는 최대 메달직경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롤링면(114)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218, 220)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가이드(movable guide : 194)는 가이드레일(116)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평판이고, 그 측면(210)에 대면하는 가동측면(222)은 통상상태인 안내위치에 있는 경우, 측면(210)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롤링통로(122)를 한정한다.
지지레버(224, 226)가 가동가이드(194)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축(support axe : 228, 230)이 설치되어 있다.
지축(228, 230)은 각기 베어링(218, 220)에 피벗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축(228, 230)은 가동가이드(194)의 가동측면(222)의 연장 위에 위치하고, 또한, 가급적 롤링통로(122)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가이드(194)가 반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한 경우, 롤링통로(122)의 측방에 형성되는 개구를 크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롤링통로(122)를 롤링하는 메달(104)를 가급적 안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가동가이드(194)는 탄성수단(230)에 의해 도 5(C)에서 소정의 힘으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탄성수단(230)은 프레임(21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돌출부(232)에 감겨진 스프링(234)이다.
이 스프링(234)은 메달(104)이 캔슬러(196)에 의해 롤링면(114)으로부터 낙하하여 후술하는 스토퍼(200)에 충돌한 때에, 접촉하고 있는 낙하도상의 메달(104)의 상단부의 급격한 움직임을 완충하도록 스프링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완충에 의해 메달(104)이 거의 수직으로 낙하하기 때문이다.
거의 수직하게 낙하한 메달(104)은 그 장소에 축적시키고, 또는, 그 낙하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경유하여 반환구로 복귀된다.
탄성수단(230)은 스프링(234) 외에 추(bob), 압력가스식의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대체가능하다.
이어, 캔슬러(canceller : 196)를 설명한다.
캔슬러(196)는 캔슬장치(144)의 롤링통로(122)를 롤링하는 메달(104)을 롤링통로(122)로부터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환언하면, 캔슬러(196)는 롤링면(114)을 롤링하는 메달(104)을 롤링면(114)으로부터 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캔슬러(196)는 롤링면(114)의 측방에서 롤링면(11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벗축(240)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된 L형의 캔슬레버(242)이다.
피벗축(240)은 고정본체(192)의 배면에 설치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캔슬레버(242)는 고정본체(192)의 롤링면(114)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롤링면(114)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사각형의 통공(246)에서 롤링면(114)에 대하여 평행 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캔슬레버(242)의 가이드면(248)은 롤링통로(122)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고 또한 롤링면(114)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따라서, 캔슬레버(242)는 롤링통로(122)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진퇴가능하다.
환언하면, 가이드면(248)은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고정본체(192)의 측면(210)에 대하여 동일한 면 혹은 약간 통공(246) 내로 들어가 있다.
캔슬레버(242)가 캔슬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면(248)은 롤링통로(122)에 대하여 경사지게 교차한다.
따라서, 롤링통로(122)를 롤링하여 온 메달(104)은 이 가이드면(248)에 의해 롤링면(1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안내되므로, 롤링통로(122)로부터 제거되어,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낙하한다.
캔슬러(196)는 캔슬레버(242)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동레버(250)를 가지고, 피동레버(250)에는 장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구동장치(198)를 설명한다.
구동장치(198)는 캔슬러(196)를 캔슬위치로 이동시키고, 캔슬위치에 있는 캔슬러(196)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구동장치(198)는 고정본체(192)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장치(198)는 액츄에이터(254)를 포함하고, 액츄에이터(254)의 출력축(256) 선단의 핀(258)은 장공(25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핀(258)이 도 5(A)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캔슬레버(242)는 반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하여 가이드면(248)이 롤링통로(122)로 돌출하고, 캔슬위치로 이동한다.
핀(258)이 캔슬위치에 있는 경우에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도 5(A)의 위치로 이동하고, 캔슬레버(242)의 가이드면(248)은 측방(210)과 동일면이 된다.
액츄에이터(254)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솔레노이드(260)이고, 출력축(256)은 철심(262)이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60)가 여자된 경우, 철심(262)이 당겨져 도 5(A)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캔슬레버(242)를 반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시켜서 캔슬위치로 이동시킨다.
솔레노이드(260)가 소자된(demagnetized) 경우, 철심(262)에 작용하는 복귀스프링(264)에 의해 철심(262)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캔슬레버(242)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스토퍼(200)를 설명한다.
스토퍼(200)는 롤링통로(122)로부터 제거된 메달(104)이 충돌하고, 그 낙하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스토퍼(200)는 개구(212)의 하류에 있고, 또한, 롤링통로(122)의 측방에 배치되고, 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200)는 메달(104)의 튐이 작아지도록, 탄력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경질고무 등이 적용된다.
이어서, 패싱센서(266)를 설명한다.
패싱센서(passing sensor, 266)는 고정본체(192)에 고정된 발광수광기(267) 및 프레임(210)에 고정된 프리즘(268)을 포함한다.
발광수광기(267)의 투광부로부터의 투광은, 롤링통로(122)를 횡단한 후, 프리즘(268)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롤링통로(122)를 횡단한 후, 발광수광기(267)의 수광부로 입광한다.
투광의 횡단위치는 롤링면(114)에 가까운 위치에서, 선별부를 통과하는 모든 메달(104)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수광기(267)의 수광부가 메달(104)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하지 않는 경우, 패싱센서(266)는 메달통과신호 CS를 출력한다.
게임기는 이 메달통과신호 CS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270)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270)는 각 센서(146, 148, 150)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투입된 메달(104)의 진위를 판별하고, 가짜 메달의 경우 타이밍센서(190)로부터의 타이밍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장치(198)를 작동시켜서 가짜 메달을 롤링통로(122)로부터 제거하여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직경 센서(146)는 코일(280, 282)을 가지고, 이들 코일(280, 282)은 화동접속(cumulatively connected)되어 발진회로(284)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회로(284)는 저주파수로 설정되어, 검파회로(286), AD 변환회로(288)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접속되어 있다.
두께센서(148)의 코일(178)은 코일(302, 304)을 포함하고, 이들 코일(302, 304)은 차동접속되어, 발진회로(306)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회로(306)는 검파회로(308), AD변환회로(310)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접속된다.
발진회로(31)의 발진주파수는 고주파수로 설정된다.
재질센서(150)의 코일(182)은 코일(312, 314)을 포함하고, 이들 코일(312, 314)은 화동접속하고, 발진회로(316)에 접속된다.
발진회로(316)는 검파회로(318), AD변환회로(320)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접속된다.
발진회로(316)는 저주파수로 설정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CPU(322), ROM(324) 및 RAM(326)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ROM(324)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322)가 RAM(326)과 교신하고, 또한, 기준치 설정장치(328)의 데이타와 비교하여 메달(104)의 진위판정을 행하고, 가짜 메달의 경우 솔레노이드(260)를 소정시간 여자한다.
이 여자시간은 메달(104)이 연속하여 롤링하여 온 경우에도 캔슬가능하도록 단시간에 행한다.
그러나, 연속하여 가짜 메달(104)이 롤링하는 경우, 연속하여 여자할 수 있다.
이어서, 메달의 진위판별의 기준치 설정장치(33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치 설정장치(3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준치 설정장치(330)는 선별기준치취득모드 설정수단인 모드설정 스위치(332), 기억수단인 샘플링데이타 기억장치(334), 평균연산장치(336), 최대최소치 연산장치(338), 연산수단인 기준치 연산장치(340) 및 기준치 설정장치(342)를 포함한다.
모드설정 스위치(332)는 기준치설정모드와 선별모드의 절환을 위한 스위치이다.
따라서, 선별모드의 경우, 상기와 같이 각 센서(146, 148, 150)의 검지데이타에 기초하여 메달(104)의 진위가 판별되어, 가짜 메달(104)의 경우 캔슬러(196)에 의해서 캔슬된다.
기준치설정모드의 경우, 소정수의 메달(104)의 각 센서(146, 148, 150)로부터의 검지데이타를 샘플링하여 기억해두고, 소정수의 메달(104)이 투입된 경우, 이들 데이타의 평균치 및 최대최소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치를 연산한 후, 기준치설정장치(342)에 의해 기준치 기억장치(326)에 기억된다.
샘플링데이타 기억장치(334)는 기준치설정모드에서 메달(104)의 투입마다 직경센서(146),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에 의해 각각 취득된 샘플링데이타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평균치 연산장치(336)는 소정매수의 메달(104)이 투입된 경우, 샘플링데이타기억장치(334)에 기억된 샘플링데이타에 기초하여 직경, 두께, 재질에 관한 평균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최대최소 연산장치(338)는 평균치 연산장치(336)와 동일의 소정매수의 메달이 투입된 경우, 기억장치(336)에 기억된 샘플링데이타에 기초하여, 직경, 두께, 재질의 각각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준치 연산장치(340)는 평균치 연산장치(336) 및 최대최소 연산장치(338)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기준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준치 연산장치(340)에 의해 연산된 기준치는 기준치 설정장치(342)에 의해 기준치 기억회로(328)에 새롭게 기억된다.
새로운 기준치를 작성한 후, 모드설정 스위치(332)를 선별모드로 절환하고, 게임기를 게임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평균치와 최대최소치에 의해 기준치를 설정한 경우, 평균치로부터 벗어난 적정 메달이 최대치와 최소치의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캔슬되지 않고 받아들여진다.
즉, 평균치만 사용하는 경우, 평균치로부터 벗어난 진정 메달(104)은 캔슬되어, 원활한 게임을 행할 수 없지만, 최대치와 최소치를 가미하여 기준치를 설정한 경우, 평균치를 벗어난 경우에도 소정의 관계를 가진 경우, 진정 메달로 판별되어 게임기를 고객의 위화감 없이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예는 최초의 대직경의 가짜 메달(104L)이 투입된 후 진정 메달(104T)이 2매 연속하여 투입된 예이다.
메달(104)은 롤링면(114) 위를 롤링하고, 센서장치(142)를 통과한 후, 캔슬장치(144)에 도달한다.
센서장치(142)에서, 먼저 메달(104)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센서(146)를 마주본 후,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를 마주본다.
가짜 메달인 대직경의 메달(104L)을 마주본 경우, 직경센서(146)의 자계가 상대면적에 비례하여 영향을 받고, 검파회로(286)의 출력전압은, 도 10에 DL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저하한다. 이 아날로그신호가 AD 변환회로(288)에 의해 디지탈변환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0)로 보내진다.
진정 메달(104T)의 경우, 직경센서(146)와 마주보는 면적이 대직경 메달 보다도 작으므로, 검파회로(286)의 출력전압은 DT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저하가 적다.
이 아날로그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300)로 보내진다.
이어서,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의 자계가 메달(104)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먼저, 두께센서(148)를 설명하면, 그 전면이 메달(104)과 마주하기 때문에, 검파회로(308)의 출력이 라인(T)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냄비바닥형상으로 저하한다.
이 출력은 AD변환회로(310)에 의해 디지탈변환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0) 로 보내진다.
이이서, 재질센서(150)를 설명하면, 그 전면이 메달(104)과 마주하기 때문에, 검파회로(318)의 출력이 라인(M)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물선형상으로 변화한다.
이 출력은 AD변환회로(320)에 의해 디지탈변환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0)로 보내진다.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서의 메달(104)의 진위판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스탭에서, 직경센서(146)의 출력(라인 D)이 기준치 기억장치(326)의 기준치와 비교된다.
직경센서(146)의 출력이 기준치 내의 경우, 제 2 스탭으로 진행하고, 기준치 외의 경우 캔슬신호를 출력한다.
도 9의 경우, 대직경의 가짜 메달(104L)이기 때문에, 기준치 외로 판별되어, 캔슬신호가 출력된다.
제 2 스탭에서, 두께센서(148)의 출력(라인 T)이 기준치와 비교되어, 기준치 외의 경우, 캔슬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치 내의 경우 제 3 스탭으로 진행한다.
제 3 스탭에서, 재질센서(150)의 출력(라인 M)이 기준치과 비교되어, 기준치 외의 경우 캔슬신호가 출력되고, 기준치 내의 경우, 처음으로 진정 메달으로서 판정된다.
진정 메달의 경우, 캔슬장치(196)의 구동장치(198)는 작동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솔레노이드(260)는 여자되지 않는다.
또한, 진정 메달은 패싱센서(266)의 광축을 차단하므로 통과신호 CS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캔슬신호가 출력된 경우,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270)는 타이밍센서(190)로부터의 메달신호 CTS의 하강으로부터 소정시간 T1 후에 솔레노이드(260)를 소정시간 T2 동안 여자한다.
이에 의해, 가짜 메달(104l)이 캔슬레버(242)에 도달하기 전에 캔슬레버(242)가 롤링통로(122)로 돌출하거나, 혹은 롤링면(114)을 롤링하는 메달(104)의 측면을 밀도록 동작한다.
결과로서, 가짜 메달(104L)은 롤링통로(122)로부터 벗어나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낙하된다.
낙하한 가짜 메달(104L)은 관성력에 의해 경사지게 낙하하여, 스토퍼(200)에 충돌한다.
이 때, 가짜 메달(104L)의 상부는 롤링통로(122)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가짜 메달(104L)의 상부는 가동 가이드(194)의 가동측면(222)과 고정본체(192)의 측면(210)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가짜 메달(104L)이 스토퍼(200)에 충돌한 반동에 의해 복잡하게 운동한 경우에도, 가동가이드(194)의 스프링(234)에 의한 누름력에 의해 충돌되어, 복잡한 운동은 억제되고, 거의 수직으로 낙하한다.
또한, 가짜 메달(104L)에 연속하여 진정 메달(104T)이 롤링하고, 또한, 캔슬레버(242)의 대기위치로의 복귀동작이 늦어진 경우, 진정 메달(104T)의 상단부가 가동가이드(194)에 의해 안내되고 있으므로, 낙하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수로 진정 메달(104T)을 낙하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낙하된 가짜 메달(104L)은 거의 수직으로 퇴적되던가 또는 통로를 통하여 반환구로 복귀된다.
진정 메달(104T)이 캔슬장치(144)를 통과하는 경우, 솔레노이드(260)는 여자되지 않으므로, 롤링통로(122)를 롤링하여 투출구(108)로부터 낙하한다.
사용 메달을 변경한 경우, 상술하는 바와 같이, 모드설정 스위치(332)를 기준치 설정모드로 하여 소정매수의 새로운 메달을 투입하므로써, 자동적으로 새로운 기준치가 작성되고, 기준치 기억장치(326)에 기억된다.
또한, 제어장치(270)에서의 소정시간 T1은 메달신호 CTS의 상승 신호로부터 시계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시간 T1 및 T2는 메달 사이즈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기억테이블로부터 선택되어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은 실시예 2의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메달에 관한 특성을 정밀도 좋게 취득할 수 있는 선별장치의 예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16)은 제 1 본체 (15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2 본체(154)를 향하여 하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사면(352), 및 제 2 본체(154)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1 본체(152)를 향하여 하향으로 돌출하는 제 2 사면(3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메달(104)의 롤링면(114)은 제 1 사면(352) 및 제 2 사면(3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사면(352)은 제 1 본체(152)의 측면(153)과 스페이스돌기(160)를 접속하는 사면이고, 수평선에 대하여 약 60 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제 2 사면(354)은 제 2 본체(154)의 측면(155)으로부터 측방으로 약간 돌출하는 돌기(356)의 상면이고, 수평선에 대해 약 60 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 1 사면(352))과 제 2 사면(354)은 롤링통로(122)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롤링통로(122)의 폭은 제 1 본체(152)의 측면(153)과 제 2 본체(154)의 측면(155)에 의해 한정되고, 스페이서돌기(160)의 선단을 제 2 본체(154)의 돌기(356)의 선단에 접촉시키므로써, 메달(104)의 두께 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2에서, 직경센서(146)는 가이드레일(116)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동일 직선상에,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 보다도 가이드레일(116)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두께센서(148), 재질센서(150) 및 직경센서(146)는 거의 동시에 메달(104)과 마주하므로, 메달(148)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거의 동시에 취득할 수 있으므로, 센서장치(14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결과로서 메달투입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실시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선별장치(112)에서, 메달(104)은 그 좌하단원주면이 제 2 사면(354), 그 우하단원주면이 제 1 사면(352) 위를 롤링한다.
이에 의해, 메달(104)은 대략 좌우의 제 2 사면(354), 및 제 1 사면(352)으로부터 반력이 밸런스하는 위치를 롤링한다.
환언하면, 메달(104)은 롤링통로(122)의 중앙, 구체적으로는 측면(153, 155)의 중앙을 통과한다.
메달(104)이 경사져 그 상단이 측면(153, 155)에 기대면서 롤링하는 경우에도, 메달(104)의 하단은 제 1 사면(352) 및 제 2 사면(354)으로부터의 반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자동적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환언하면, 메달(104)의 하단은 좌우의 센서유닛(180)의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서, 두께센서(148) 및 재질센서(150)에서, 좌우 한 쌍의 센서유닛(180)의 중앙에 메달(104)이 위치하므로, 좌우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거의 균등하게 작용하므로, 정밀도가 높은 메달(104)의 특징정보를 얻을 수 있고, 결과로서 정밀도가 높은 진위판별을 할 수 있다.
특히, 두께센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동접속되기 때문에, 메달(104)과 센서유닛(180) 사이의 거리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예 2에서, 제 1 사면(352) 및 제 2 사면(354)에 의해 메 달(104)의 하단부는 대략 롤링통로(122)의 중앙을 롤링하기 때문에, 좌우의 센서유닛(180)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서 정밀도가 높은 판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질센서를 구비한 메달선별장치를 사용하므로써, 게임기에 직경과 두께는 물론 재질이 상이한 부정 메달을 사용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식 자기 센서로 구성되는 두께센서와 재질센서를 일체화하고 직경센서와 중첩하여 배치하므로써 메달선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메달의 재질 등을 변경하는 경우 메달투입장치에 새로운 메달을 소정 매수 투입하므로써 메달선별을 위한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메달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 투입구(102)로부터 투입한 메달(104)을 롤링레일(106) 위를 롤링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을 따라서 형성된 메달롤링통로(122)로 이동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112)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있어서,상기 선별장치는 적어도 메달의 재질센서(150)를 포함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144)를 상기 재질센서의 하류에 배치하고,상기 캔슬장치는 상기 메달롤링통로의 측방에서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피벗축(240)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캔슬러(196) 및 가동가이드(194)를 포함하며,상기 캔슬러는 상기 피벗축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상기 메달롤링통로로 전진후퇴 이동가능하고,상기 가동가이드는 상기 롤링레일에 대한 상기 캔슬러의 반대측에서 롤링하는 메달의 상단부 측면을 가이드하고, 또한 상기 메달롤링통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직경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직경센서(146)와,상기 직경센서 보다도 상기 롤링레일에 가까운 상기 메달롤링통로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메달의 재질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재질센서(150)와 메달의 두께에 관한 데이타를 취득하는 두께센서(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질센서와 두께센서는 중앙에 중앙실린더(170)를 가지고,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외벽(172)를 가지며, 이들 중앙실린더와 외벽부가 저벽(174)으로 접속된 폿트형 코어(176)의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링형상의 상기 두께센서용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두께센서용 코일의 외측에 링형상의 상기 재질센서용 코일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질센서와 상기 캔슬장치의 사이에 메달의 타이밍센서(190)를 배치하고, 상기 재질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가짜 신호와 상기 타이밍센서의 검지에 기하여 상기 캔슬러를 작동하는 제어장치(2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선별기준취득모드 설정수단(332)과,선별기준취득모드시에 상기 센서장치로부터의 메달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334)과,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에 기하여 기준치를 연산하는 연산수단(340)과,상기 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3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메달을 롤링레일 위를 롤링시켜서 게임기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고 상기 롤링레일의 도중에 메달의 선별장치를 배치한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에 있어서,상기 선별장치는 메달의 직경, 재질 혹은 두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검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고,상기 자기센서는 중앙에 중앙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외벽을 가지고, 이들 중앙실린더와 외벽부가 저벽으로 접속된 폿트형 코어의 상기 중앙실린더의 외측에 링형상의 코일을 배치한 센서유닛(180)의 쌍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센서유닛의 쌍은 상기 선별장치에서의 상기 롤링레일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제 1 본체(152)와 제 2 본체(154)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고,상기 롤링레일은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하는 사면(352, 354)으로 구성되어,상기 자기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롤링하는 메달을 상기 롤링레일로부터 제거하는 캔슬장치를 상기 자기센서의 하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08760 | 2005-10-24 | ||
JP2005308760 | 2005-10-24 | ||
JPJP-P-2006-00253406 | 2006-09-19 | ||
JP2006253406A JP5617096B2 (ja) | 2005-10-24 | 2006-09-19 | ゲーム機のメダル投入装置におけるメダル選別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4360A KR20070044360A (ko) | 2007-04-27 |
KR100849700B1 true KR100849700B1 (ko) | 2008-07-31 |
Family
ID=3767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2222A KR100849700B1 (ko) | 2005-10-24 | 2006-10-20 |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51799A1 (ko) |
EP (1) | EP1777662B1 (ko) |
JP (1) | JP5617096B2 (ko) |
KR (1) | KR100849700B1 (ko) |
CN (1) | CN1956014B (ko) |
AU (1) | AU2006233183A1 (ko) |
TW (1) | TW20072796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61689B2 (ja) * | 2005-10-24 | 2013-08-14 | 旭精工株式会社 | ゲーム機のメダル投入装置におけるにメダル選別装置 |
GB2452143B (en) * | 2007-08-21 | 2011-02-16 | Namco Bandai Games Inc | Token game machine |
JP5109072B2 (ja) * | 2007-09-12 | 2012-12-26 | 旭精工株式会社 | 価値媒体処理装置 |
JP5109071B2 (ja) * | 2007-09-12 | 2012-12-26 | 旭精工株式会社 | メダル選別手段を有するメダル処理装置 |
JP6386714B2 (ja) * | 2013-10-18 | 2018-09-05 | 株式会社オーイズミ | 遊技媒体計数機 |
JP6277350B2 (ja) * | 2014-12-16 | 2018-02-14 | 旭精工株式会社 | 硬貨識別装置 |
CN106447890B (zh) * | 2016-12-07 | 2022-05-24 | 东北大学 | 一种轨道式硬币分离器 |
CN111754673A (zh) * | 2020-06-23 | 2020-10-09 | 广州畅阳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硬币循环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11294A (ja) * | 1991-04-10 | 1992-11-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硬貨識別装置 |
JPH09128583A (ja) * | 1995-11-06 | 1997-05-16 | Tamura Electric Works Ltd | 硬貨選別装置 |
JP2002260048A (ja) * | 2001-03-06 | 2002-09-13 | Omron Corp |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2189A (en) * | 1984-03-14 | 1986-04-15 | Reed Industries, Inc. | Coin validation apparatus |
GB2235559A (en) * | 1989-08-21 | 1991-03-06 | Mars Inc | Coin testing apparatus |
GB2266400B (en) * | 1991-09-28 | 1995-11-22 | Anritsu Corp |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
JP2766572B2 (ja) * | 1991-12-17 | 1998-06-18 | アルゼ株式会社 | コインセレクタの不正検出装置 |
JP3441803B2 (ja) * | 1994-07-19 | 2003-09-02 | アルゼ株式会社 | 遊技機等のコイン選別装置 |
US5971128A (en) * | 1994-09-09 | 1999-10-26 | Mars, Incorporated | Apparatus for validating items of value, and method of calibrating such apparatus |
JP3031525B2 (ja) * | 1995-01-27 | 2000-04-10 | 旭精工株式会社 | 電子式の硬貨選別装置 |
US5673781A (en) * | 1995-11-21 | 1997-10-07 | Coin Acceptors, Inc. | Coin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US6520308B1 (en) * | 1996-06-28 | 2003-02-18 | Coinstar, Inc. |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
JP3867111B2 (ja) * | 1997-05-26 | 2007-01-10 | 旭精工株式会社 | 円板体の判別装置 |
GB2331614A (en) * | 1997-11-19 | 1999-05-26 | Tetrel Ltd | Inductive coin validation system |
JP3386355B2 (ja) * | 1997-12-22 | 2003-03-17 |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硬貨処理機 |
AUPP480498A0 (en) * | 1998-07-23 | 1998-08-13 | Microsystem Controls Pty Ltd | Improvements in coin validators |
JP2000187746A (ja) * | 1998-12-22 | 2000-07-04 | Canon Electronics Inc | 硬貨選別装置 |
JP4423704B2 (ja) * | 1999-07-02 | 2010-03-03 | 株式会社セガ | メダルプッシャゲーム装置 |
US6640955B1 (en) * | 1999-10-06 | 2003-11-04 |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 Coin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
JP2001175913A (ja) * | 1999-12-20 | 2001-06-29 | Tamura Electric Works Ltd | 硬貨処理装置 |
US7635059B1 (en) * | 2000-02-02 | 2009-12-22 | Imonex Servic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ng jammed coins |
US6667615B2 (en) * | 2000-02-10 | 2003-12-23 | Sankyo Seiki Mfg. Co., Ltd. | Coin identifying device using magnetic sensors |
DE10042167C1 (de) * | 2000-08-17 | 2002-04-04 | Trenner D Wh Muenzpruefer | Mechanischer Münzprüfer mit Sperrklinke |
JP4143711B2 (ja) * | 2000-08-30 | 2008-09-03 | 旭精工株式会社 | コインセンサのコア |
JP3547125B2 (ja) * | 2001-02-21 | 2004-07-28 | 株式会社オリンピア | メダルセレクタ |
JP3481211B2 (ja) * | 2001-02-27 | 2003-12-22 | コナミ株式会社 | メダル遊技機 |
SE522752C2 (sv) * | 2001-11-05 | 2004-03-02 | Scan Coin Ind Ab | Metod att driva en myntdiskriminator och en myntdiskriminator där påverkan på spolorgan mäts när mynt utsätts för magnetfält alstrade av spolorgan utanför myntet |
JP4022583B2 (ja) * | 2002-03-11 | 2007-12-19 | 旭精工株式会社 | コインセレクタ |
JP2004008503A (ja) * | 2002-06-07 | 2004-01-15 | Kato Seisakusho:Kk | プッシャーゲーム機 |
JP4334192B2 (ja) * | 2002-08-22 | 2009-09-30 |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 硬貨処理機 |
JP3759923B2 (ja) * | 2002-11-18 | 2006-03-29 | 株式会社オリンピア | 遊技機及び遊技機における不正行為防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WO2004104945A1 (ja) * | 2003-05-22 | 2004-12-02 |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 硬貨メタル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JP4324414B2 (ja) * | 2003-07-11 | 2009-09-02 | オムロン株式会社 | 投入メダル選別装置の接合構造 |
JP2005177449A (ja) * | 2003-11-28 | 2005-07-07 | Olympia:Kk | スロットマシン及び遊技機 |
JP4257265B2 (ja) * | 2004-01-29 | 2009-04-22 | 株式会社オリンピア | 遊技機 |
JP4026769B2 (ja) * | 2004-02-05 | 2007-12-26 | 株式会社タイトー |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機のメダルシューター装置 |
JP5261689B2 (ja) * | 2005-10-24 | 2013-08-14 | 旭精工株式会社 | ゲーム機のメダル投入装置におけるにメダル選別装置 |
-
2006
- 2006-09-19 JP JP2006253406A patent/JP5617096B2/ja active Active
- 2006-10-13 TW TW095137698A patent/TW200727963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0-20 EP EP06122698A patent/EP1777662B1/en not_active Ceased
- 2006-10-20 KR KR1020060102222A patent/KR1008497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0-23 US US11/551,837 patent/US200702517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10-23 CN CN2006101356964A patent/CN195601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0-24 AU AU2006233183A patent/AU2006233183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11294A (ja) * | 1991-04-10 | 1992-11-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硬貨識別装置 |
JPH09128583A (ja) * | 1995-11-06 | 1997-05-16 | Tamura Electric Works Ltd | 硬貨選別装置 |
JP2002260048A (ja) * | 2001-03-06 | 2002-09-13 | Omron Corp |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251799A1 (en) | 2007-11-01 |
AU2006233183A1 (en) | 2007-05-10 |
TWI321061B (ko) | 2010-03-01 |
EP1777662B1 (en) | 2008-11-26 |
CN1956014A (zh) | 2007-05-02 |
JP2007144126A (ja) | 2007-06-14 |
KR20070044360A (ko) | 2007-04-27 |
EP1777662A1 (en) | 2007-04-25 |
TW200727963A (en) | 2007-08-01 |
CN1956014B (zh) | 2011-12-21 |
JP5617096B2 (ja) | 2014-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9700B1 (ko) | 게임기의 메달투입장치 | |
FI83821C (fi) | Anordning foer raekning och sortering av slantar i en ansamling. | |
WO1994001837A3 (en) | Document counting and batching apparatus with counterfeit detection | |
US7946407B2 (en) | Valu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 |
JP5261689B2 (ja) | ゲーム機のメダル投入装置におけるにメダル選別装置 | |
JP2013003673A (ja) | コインセレクタ | |
JP5636565B2 (ja) | 硬貨選別装置 | |
JP5299761B2 (ja) | Icコインゲーム機 | |
JP2002251646A (ja) | メダルセレクタ | |
JP2010072859A (ja) | コイン判別装置におけるコイン画像取得装置、コイン画像取得装置を備えたコイン選別装置、及びゲーム機のコイン投入装置におけるコイン選別装置 | |
US8827776B1 (en) | Coin sensor arrangement for coin processing machine | |
JP2010119757A5 (ko) | ||
JP4235742B2 (ja) | コイン選別装置のコインキャンセル装置 | |
JP6710838B2 (ja) | 円盤体選別装置 | |
KR101763049B1 (ko) |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 |
JP4583412B2 (ja) | メダル選別装置 | |
KR101028446B1 (ko) | 가치 매체 처리 장치 | |
JP4644773B2 (ja) | ディスクの振分装置 | |
JP6707744B2 (ja) | 円盤体検知装置 | |
JP6364163B2 (ja) | 遊技媒体使用機 | |
JP5568802B2 (ja) | コイン選別装置 | |
AU660061B2 (en) | Coin/token separator | |
JP2012160088A (ja) | コインセレクタ | |
JPH0455996A (ja) | 硬貨選別装置 | |
WO1994009451A1 (en) | Coin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