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049B1 -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049B1
KR101763049B1 KR1020157018264A KR20157018264A KR101763049B1 KR 101763049 B1 KR101763049 B1 KR 101763049B1 KR 1020157018264 A KR1020157018264 A KR 1020157018264A KR 20157018264 A KR20157018264 A KR 20157018264A KR 101763049 B1 KR101763049 B1 KR 10176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coil
signal
detect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792A (ko
Inventor
쇼고 모모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172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005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172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524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를 제공한다. 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제1 센서(4)를 구성하는 검출용 코일(9, 10)과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제1 센서(4)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5)가 접속되는 제어부(29)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부(29)에는, 검출용 코일(9, 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가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29)는, 제2 센서(5)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제1 센서(4)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고 있다.

Description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COIN-SHAPED DETECTION OBJECT IDENTIF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IN-SHAPED DETECTION OBJECT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코인형의 피검출체의 진위나 양호 불량을 식별하기 위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이러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는 메달 검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메달 검출 장치에서는,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이 통과하면 수광량이 변화되는 광 센서와, 메달이 통과하면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정전 용량 센서의 2종류의 센서가 메달 유로에 설치되어 있다. 이 메달 검출 장치에서는, 2종류의 센서를 사용하여, 메달이 식별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62143호 공보
최근 들어, 다수의 메달이 메달 투입구로부터 연속 투입되는 슬롯 머신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그로 인해, 시장에서는, 다수의 메달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메달을 적절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달 검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연속 투입되는 메달을 고속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메달 검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코인형의 피검출체를 고속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와, 검출용 코일 및 제2 센서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제1 센서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제1 센서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검출체(2)가 제1 센서(4)를 통과하면, 제1 센서(4)를 구성하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검출체(2)의 재질, 외경 및 두께 등에 따라서 변동된다. 따라서, 제1 센서(4)를 피검출체(2)가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과 코일 출력 신호(SG1)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2)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피검출체(2)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으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1 센서(4)를 피검출체(2)가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과 코일 출력 신호(SG1)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다수의 피검출체(2) 각각을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제1 센서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해서, 예를 들어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으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한 닢째의 피검출체를 제2 센서가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기준 신호값과, 제1 센서를 다수의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다수의 피검출체 각각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센서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고 있기 때문에, 투입구로부터 피검출체가 투입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변동되었다고 해도, 제어부는, 이 변동분의 영향을 배제하고,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검출체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전의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를 구비하고, 레벨 조정부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행하고, 제어부는,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하면, 레벨 조정부에 의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정지시켜서, 기준 신호값을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레벨 조정부에 의해 조정되기 때문에,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제어부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 레벨 조정부에 의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이 정지되기 때문에, 제어부는, 안정된 기준 신호값을 기억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어부는,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레벨 조정부에 의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재개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중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어부에서 취득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역치는, 복수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피검출체 각각이 제1 센서를 통과할 때마다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역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복수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소정 시간 간격으로 피검출체마다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의 진위를 의해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역치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어부에 있어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역치 이하로 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센서는,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와,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제1 코어에는, 제2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여자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제2 코어에는, 제1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검출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여자용 코일은, 여자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검출용 코일은, 검출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여자측 볼록부와 검출측 볼록부 사이는, 통과로로 되어 있고,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고, 직교 방향의 일방측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직교 방향의 타방측을 제2 방향이라고 하고, 여자측 볼록부의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1 단부면이라고 하고, 여자측 볼록부의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2 단부면이라고 하고, 검출측 볼록부의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3 단부면이라고 하고, 검출측 볼록부의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4 단부면이라고 하면,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3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4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3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4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자측 볼록부와 검출측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로로부터 피검출체의 일부가 벗어나지 않도록, 통과로에서 피검출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서는, 제어부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에 관계없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이 취득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취득되어 처리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코인형의 피검출체를 고속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예를 들어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역치는, 복수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피검출체 각각이 제1 센서를 통과할 때마다 코일 출력 신호가 역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복수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소정 시간 간격으로 피검출체마다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역치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어부에 있어서,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역치 이하로 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보다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검출용 코일로서, 제1 검출용 코일과, 제2 검출용 코일을 구비하고, 제1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를 제1 코일 출력 신호라고 하고, 제2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를 제2 코일 출력 신호라고 하면, 제어부는,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및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및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과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고정밀도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및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제어부가 취득하는 경우에도, 제어부에서 취득되어 처리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전의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제어부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에 기인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비교되는 역치를 일정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역치의 설정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검출체(2)가 제1 센서(4)를 통과하면, 제1 센서(4)를 구성하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검출체(2)의 재질, 외경 및 두께 등에 따라서 변동된다. 따라서, 제1 센서(4)를 피검출체(2)가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과 코일 출력 신호(SG1)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2)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피검출체(2)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으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1 센서(4)를 피검출체(2)가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과 코일 출력 신호(SG1)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다수의 피검출체(2) 각각을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2 센서가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제1 센서를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해서, 예를 들어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으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한 닢째의 피검출체를 제2 센서가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의 기준 신호값과, 제1 센서를 다수의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다수의 피검출체 각각의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센서는,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와,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제1 코어에는, 제2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여자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제2 코어에는, 제1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검출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여자용 코일은, 여자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검출용 코일은, 검출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여자측 볼록부와 검출측 볼록부 사이는, 통과로로 되어 있고,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고, 직교 방향의 일방측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직교 방향의 타방측을 제2 방향이라고 하고, 여자측 볼록부의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1 단부면이라고 하고, 여자측 볼록부의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2 단부면이라고 하고, 검출측 볼록부의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3 단부면이라고 하고, 검출측 볼록부의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4 단부면이라고 하면,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3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4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면의 제2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3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4 단부면의 제1 코어 측단부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자측 볼록부와 검출측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로로부터 피검출체의 일부가 벗어나지 않도록, 통과로에서 피검출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도, 피검출체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인형의 피검출체를 고속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케이스체에 수용되는 자기 센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여자용 코일, 검출용 코일 및 보빈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코일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있어서의 피검출체의 식별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 타이밍을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의 정지, 재기동 타이밍 및 도 1에 도시하는 셔터의 개폐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케이스체(3)에 수용되는 자기 센서(4)의 사시도이다.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는, 코인형의 피검출체인 메달(2)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이며, 슬롯 머신(도시 생략)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즉,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는,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를 「메달 식별 장치(1)」라고 한다. 또한, 메달(2)은, 자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달 식별 장치(1)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에 수용되는 제1 센서로서의 자기 센서(4)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제2 센서로서의 광학식 센서(5)와, 자기 센서(4)에 메달(2)을 안내하는 메달 가이드(6)와, 자기 센서(4)를 향해서 이동하는 메달(2)을 정지시키기 위한 셔터(7)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 센서(4)에는, 메달(2)이 통과하는 통과로 PW가 형성되어 있다. 즉,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2)은, 자기 센서(4)를 통과한다.
케이스체(3)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3)의 6개의 측면 중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도 1의 상면 및 하면)에는, 메달(2)이 통과하는 슬릿 형상의 통과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 구멍은, 통과로 PW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체(3)에는, 메달 가이드(6)가 고정되어 있다.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2)은, 도 1에 있어서의 케이스체(3)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과 구멍을 통과하도록, 메달 가이드(6)에 안내된다.
자기 센서(4)는, 여자용 코일(8) 및 검출용 코일(9, 10)과, 여자용 코일(8) 및 검출용 코일(9, 10)이 권회되는 환상 코어(11)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코어(11)는,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환상 코어(11)는, 페라이트, 아몰퍼스, 퍼멀로이 등의 철계의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코어(1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기 센서(4)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학식 센서(5)는, 자기 센서(4)보다도 메달 투입구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광학식 센서(5)는, 메달(2)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자기 센서(4)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광학식 센서(5)는, 메달 가이드(6)에 안내되는 메달(2)의 두께 방향에서 메달(2)을 사이에 두도록 서로 대향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를 향하는 광이 메달(2)에 의해 차단되면, 광학식 센서(5)에 의해 메달(2)이 검출된다. 또한, 광학식 센서(5)에 의해 메달(2)이 검출됨으로써,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된 것이 검출된다.
셔터(7)는, 메달(2)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자기 센서(4)와 광학식 센서(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7)에는, 도시를 생략하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이 연결되어 있고, 셔터(7)는, 메달 가이드(6)의, 메달(2)이 통과하는 개소에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달 가이드(6)의, 메달(2)이 통과하는 개소에 셔터(7)가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자기 센서(4)를 향해서 이동하는 메달(2)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메달 가이드(6)의, 메달(2)이 통과하는 개소로부터 셔터(7)가 퇴피해 있을 때에는, 자기 센서(4)를 향해서 메달(2)이 통과 가능하게 된다.
(자기 센서의 구성)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여자용 코일(8), 검출용 코일(9) 및 보빈(20, 21)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1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11)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 각각을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X 방향을 좌우 방향, Y 방향을 전후 방향, Z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X1 방향측을 「우측」, X2 방향측을 「좌측」, Y1 방향측을 「전방측」, Y2 방향측을 「후방측」이라 한다.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의 두께 방향과 상하 방향이 일치하도록, 자기 센서(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은, 환상 코어(11)의 두께 방향에서 통과로 PW를 통과한다. 즉, 상하 방향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통과 방향이다. 또한, 전후 방향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두께 방향이다. 또한, 본 형태의 좌우 방향은, 메달(2)의 통과 방향과 메달(2)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이며, 우측은, 직교 방향의 일방측이며, 좌측은, 직교 방향의 타방측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4)는, 여자용 코일(8) 및 검출용 코일(9, 10)과, 여자용 코일(8) 및 검출용 코일(9, 10)이 권회되는 환상 코어(11)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코어(11)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코어(11)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코어(11)는, 환상 코어(11)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제1 코어(12)와, 환상 코어(11)의 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제1 코어(1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제2 코어(13)와, 제1 코어(12)의 우측 단부와 제2 코어(13)의 우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제1 연결 코어(14)와, 제1 코어(12)의 좌측 단부와 제2 코어(13)의 좌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제1 연결 코어(14)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제2 연결 코어(15)로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환상 코어(11)는, 프레스의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코어(12)와 제2 코어(13)와 제1 연결 코어(14)와 제2 연결 코어(1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어(12)와 제2 코어(1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 코어(14)와 제2 연결 코어(1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코어(1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11)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좌우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 CL1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11)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전후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어(12)에는, 제2 코어(13)를 향해서(즉, 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여자측 볼록부로서의 볼록부(12a, 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a 내지 12c)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즉, 선단면)은,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볼록부(12a 내지 12c)의 좌우 단부면은,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의 폭은, 볼록부(12a, 12b)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본 형태의 볼록부(12a 내지 12c)의 우측 단부면은 제1 단부면이며, 볼록부(12a 내지 12c)의 좌측 단부면은 제2 단부면이다.
볼록부(12a)는, 우단부측에 배치되고, 볼록부(12b)는, 좌단부측에 배치되고, 볼록부(12c)는, 볼록부(12a)와 볼록부(1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의 중심과 제1 코어(1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볼록부(12a)와 볼록부(12b)는, 중심선 CL2를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2a)와 볼록부(12b)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코어(12)는,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2a)와 제1 연결 코어(14) 사이(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a)의 우측 단부면과 제1 연결 코어(14)의 좌측 단부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2b)와 제2 연결 코어(15) 사이(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b)의 좌측 단부면과 제2 연결 코어(15)의 우측 단부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2a)와 볼록부(12c) 사이(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a)의 좌측 단부면과 볼록부(12c)의 우측 단부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2b)와 볼록부(12c) 사이(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b)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c)의 좌측 단부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어(12)는,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2a)와 제1 연결 코어(14)의 간극과, 볼록부(12b)와 제2 연결 코어(15)의 간극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고, 볼록부(12a)와 볼록부(12c)의 간극과, 볼록부(12b)와 볼록부(12c)의 간극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볼록부(12a)와 볼록부(12c) 사이 및 볼록부(12b)와 볼록부(12c) 사이의 제1 코어(12)의 후단부면은, 볼록부(12a)와 제1 연결 코어(14) 사이 및 볼록부(12b)와 제2 연결 코어(15) 사이의 제1 코어(12)의 후단부면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코어(13)는, 제1 코어(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축 CL1을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코어(13)에는, 제1 코어(12)를 향해서(즉, 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검출측 볼록부로서의 볼록부(13a, 13b, 13c)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a 내지 13c)는, 볼록부(12a 내지 12c)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3a 내지 13c)의 전방 단부면(즉, 선단면)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볼록부(13a 내지 13c)의 우측 단부면은 제3 단부면이며, 볼록부(13a 내지 13c)의 좌측 단부면은 제4 단부면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는, 볼록부(12a)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고, 볼록부(13b)는, 볼록부(12b)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고, 볼록부(13c)는, 볼록부(12c)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어(12)와 마찬가지로, 제2 코어(13)는,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와 제1 연결 코어(1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3b)와 제2 연결 코어(15) 사이에는, 볼록부(13a)와 제1 연결 코어(14)의 간극과 동일한 크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와 볼록부(13c)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3b)와 볼록부(13c) 사이에는, 볼록부(13a)와 볼록부(13c)의 간극과 동일한 크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어(12)와 마찬가지로, 볼록부(13a)와 볼록부(13c) 사이 및 볼록부(13b)와 볼록부(13c) 사이의 제2 코어(13)의 후단부면은, 볼록부(13a)와 제1 연결 코어(14) 사이 및 볼록부(13b)와 제2 연결 코어(15) 사이의 제2 코어(13)의 후단부면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 사이는, 통과로 PW로 되어 있고, 통과로 PW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도 5 참조)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거리 L1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은,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될 것이 상정되는 메달(2)이며,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이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거리 L1은 크게 되어 있다. 본 형태의 볼록부(12a)의 우측 단부면은, 가장 우측(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면이며, 볼록부(12b)의 좌측 단부면은, 가장 좌측(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면이며,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은, 가장 우측에 배치되는 제3 단부면이며,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은,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4 단부면이다.
또한, 볼록부(12c, 13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해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 전체가 메달(2)과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배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 또는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 메달(2)의 외주 단부가 일치하도록,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했다고 해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 전체가 메달(2)과 중첩되도록, 볼록부(12c, 13c)가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와의 거리 L2(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과 볼록부(13a 내지 13c)의 전방 단부면과의 거리 L2, 도 5 참조)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제1 연결 코어(14)의 좌측 단부면과의 거리 L3(도 5 참조)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 제2 연결 코어(15)의 우측 단부면과의 거리 L4(도 5 참조)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와 볼록부(13c)와의 거리 L2는, 볼록부(12c)와 볼록부(13a)와의 최단 거리(즉, 볼록부(12c)의 우측 단부면의 후단부와 볼록부(13a)의 좌측 단부면의 전단부와의 최단 거리) 및 볼록부(12c)와 볼록부(13b)와의 최단 거리(즉, 볼록부(12c)의 좌측 단부면의 후단부와 볼록부(13b)의 우측 단부면의 전단부와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우측 단부면과의 거리 L5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좌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거리 L6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거리 L5, L6은,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될 것이 상정되는 메달(2)이며, 가장 작은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여자용 코일(8)은,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2a 내지 12c)의 상하 양면, 볼록부(12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2b)의 좌측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 통 형상의 보빈(20)을 개재하여, 여자용 코일(8)이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즉, 볼록부(12a 내지 12c)의 상하 양면, 볼록부(12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2b)의 좌측 단부면을 덮도록, 보빈(20)을 개재하여, 여자용 코일(8)이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9)은,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3a 내지 13c)의 상하 양면,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 통 형상의 보빈(21)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9)이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즉, 볼록부(13a 내지 13c)의 상하 양면,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을 덮도록, 보빈(21)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9)이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본 형태의 검출용 코일(9)은, 제1 검출용 코일이다.
검출용 코일(10)은,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3c)의 상하 양면, 우측 단부면 및 좌측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 통 형상의 보빈(22)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10)이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즉, 볼록부(13c)의 상하 양면, 우측 단부면 및 좌측 단부면을 덮도록, 보빈(22)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10)이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본 형태의 검출용 코일(10)은, 제2 검출용 코일이다.
(메달 식별 장치의 회로 구성)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메달 식별 장치(1)에 있어서의 메달(2)의 식별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자용 코일(8)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에는, 교류 전원(25)이 접속되고, 여자용 코일(8)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26), 정류 회로(27) 및 레벨 조정 회로(28)를 개재하여, 제어부로서의 MPU(Micro Processing Unit)(29)에 접속되고,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31), 정류 회로(32) 및 레벨 조정 회로(33)를 개재해서 MPU(29)에 접속되고,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레벨 조정 회로(28)와 MPU(29) 사이에는, 비교기(35)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MPU(29)에는, 광학식 센서(5)가 접속되어 있고, 광학식 센서(5)로부터의 출력 신호(센서 출력 신호) SG11이 입력되어 있다. 광학식 센서(5)는, 메달(2)을 검출하였을 때의 신호 레벨이 「Hi」로 결정되고, 메달(2)을 검출하지 않았을 때의 신호 레벨이 「Lo」로 되는 디지털 형상의 센서 출력 신호 SG11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함과 함께 그 후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메달(2)이 한 닢 더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 광학식 센서(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센서 출력 신호 SG11을 출력한다.
자기 센서(4)에서는, 교류 전원(2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여자용 코일(8)이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에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의 교류 자계가 변동된다.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의 교류 자계가 변동되면,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 및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변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26), 정류 회로(27) 및 레벨 조정 회로(28)를 개재하여, MPU(29)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 형상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이 레벨 조정 회로(28)로부터 MPU(29)에 입력된다. 본 형태에서는,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닢의 메달(2)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하면(즉, 한 닢의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이 MPU(29)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면,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이 MPU(29)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함과 함께 그 후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메달(2)이 한 닢 더 자기 센서(4)를 통과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이 MPU(29)에 입력된다. 또한, 본 형태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은, 제1 검출용 코일인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제1 코일 출력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31), 정류 회로(32) 및 레벨 조정 회로(33)를 개재해서 MPU(29)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 형상의 코일 출력 신호 SG2가 레벨 조정 회로(33)로부터 MPU(29)에 입력된다. 본 형태에서는,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함과 함께 그 후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메달(2)이 한 닢 더 자기 센서(4)를 통과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2가 MPU(29)에 입력된다. 또한, 본 형태의 코일 출력 신호 SG2는, 제2 검출용 코일인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제2 코일 출력 신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9)은, 볼록부(13a 내지 13c)의 상하 양면,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을 덮도록, 보빈(21)을 개재해서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외경의 영향에 의해 변동된다.
한편, 볼록부(12c, 13c)는, 볼록부(12a, 13a)와 볼록부(12b, 13b)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해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 전체가 메달(2)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10)은,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은, 주로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및 두께의 영향에 의해 변동된다.
여기서,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도 8의 E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발생해도,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MPU(29)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기 전의 대기시(즉,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되기 전의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MPU(29)로부터 출력되고 레벨 조정 회로(28)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 조정 회로(28)가,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은, 도 8의 F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발생해도,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이 MPU(29)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MPU(29)로부터 출력되고 레벨 조정 회로(33)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 조정 회로(33)가,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본 형태의 레벨 조정 회로(28, 33)는,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이다.
레벨 조정 회로(28, 33)에 의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은,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면 정지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면,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레벨 조정 스테이터스는, 「Hi」로부터 「Lo」로 전환된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조정 타이밍을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를 MPU(29)가 구비하고 있고, MPU(29)가, 이 타이머를 정지시킴으로써,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을 정지시킨다.
또한, 메달(2)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을 재개시킨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2)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레벨 조정 스테이터스는, 「Lo」로부터 「Hi」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 후, 소정의 시간 T10이 경과되고 또한 센서 출력 신호 SG11의 신호 레벨이 「Lo」이면(즉,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지 않았으면), MPU(29)는, 타이머를 재기동시켜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을 재개시킨다. 또한,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 후, 소정의 시간 T10이 경과되어도, 시간 T10이 경과되는 동안에 후술하는 식별 스테이터스의 레벨 전환이 행해진 경우에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을 재개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비교기(35)가, 레벨 조정 회로(28)로부터 입력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과 역치 th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디지털 형상의 출력 신호(비교 출력 신호) SG5를 MPU(29)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기(35)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고,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미만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Lo」로 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비교기(3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를 출력한다. 또한, MPU(29)는, 입력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었을 때의 범위 T 내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비교기(35)는, MPU(29)에 있어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 취득 범위(샘플링 범위)를 정하기 위한 기능을 하고 있다. 본 형태의 비교기(35)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과 역치 th를 비교하는 비교부이다.
역치 th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마다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복수의 메달(2) 중 한 닢의 메달(2)의 중심이 자기 센서(4)의 중심을 통과한 후, 다음의 메달(2)의 중심이 자기 센서(4)의 중심을 통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보다도 낮아지도록, 역치 th가 설정되어 있다.
MPU(29)는,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 BL1과, 자기 센서(4)를 메달(2)이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피크값(최댓값) PL1과의 차 ΔL1, 및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 BL2와, 자기 센서(4)를 메달(2)이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피크값(최댓값) PL2와의 차 ΔL2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 MPU(29)는, 소정의 상한값 UL1과 하한값 LL1 사이에 차 ΔL1이 있고, 또한 소정의 상한값 UL2와 하한값 LL2 사이에 차 ΔL2가 있는 경우에,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한값 UL1과 하한값 LL1 사이에서 차 ΔL1이 벗어나 있거나, 상한값 UL2와 하한값 LL2 사이에서 차 ΔL2가 벗어나 있거나 하는 경우에,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또한, 상한값 UL1 및 하한값 LL1은, 기준 신호값 BL1을 기준으로 규정되고, 상한값 UL2 및 하한값 LL2는, 기준 신호값 BL2를 기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MPU(29)는, 차 ΔL1, ΔL2를 산출하기 위해서, 기준 신호값 BL1 및 기준 신호값 BL2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MPU(29)는, 메달(2)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억한 기준 신호값 BL1, BL2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MPU(29)는, 비교 출력 신호 SG5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 취득이 종료되고, 취득된 신호값으로부터 차 ΔL1, ΔL2를 산출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 후, 소정의 시간 T10이 경과될 때까지, 기억한 기준 신호값 BL1, BL2를 유지한다. 즉, MPU(29)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 출력 신호 SG5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 취득을 개시하고 나서, 취득된 신호값에 기초하여 차 ΔL1, ΔL2를 산출하고,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다 식별할 때까지의 동안에 「Hi」로 되어 있는 식별 스테이터스가 「Lo」로 전환되고 나서 시간 T10이 경과될 때까지, 기억한 기준 신호값 BL1, BL2를 유지한다.
또한, 비교 출력 신호 SG5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 취득이 종료되고, 취득된 신호값으로부터 차 ΔL1, ΔL2를 산출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 후, 소정의 시간 T10이 경과된 후에도, 시간 T10이 경과되는 동안에 식별 스테이터스의 레벨 전환이 행해진 경우, 및 센서 출력 신호 SG11의 신호 레벨이 「Hi」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인 경우에는, MPU(29)는, 기억한 기준 신호값 BL1, BL2를 더 유지한다.
또한, MPU(29)는, 유지하고 있는 기준 신호값 BL1, BL2에 기초하여, 차 ΔL1, ΔL2를 산출하고,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MPU(29)는, 광학식 센서(5)가 한 닢째의 메달(2)을 검출했을 때 기억된 기준 신호값 BL1, BL2와,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의 피크값 PL1, PL2와의 차 ΔL1, ΔL2에 기초하여,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셔터의 개폐 타이밍 등)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조정 타이밍을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 정지, 재기동 타이밍 및 도 1에 도시하는 셔터(7)의 개폐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달 식별 장치(1)에서는, MPU(29)는, 일정 주기로 정기적으로,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스텝 S1에 있어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MPU(29)는,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즉, MPU(29)는, 센서 출력 신호 SG11의 신호 레벨이 「Hi」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스텝 S1에 있어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인 경우에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조정이 종료하고 나서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고 있고, 센서 출력 신호 SG11의 신호 레벨이 「Hi」인 경우에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조정 타이밍을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를 정지시킨다(스텝 S3). 이 타이머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MPU(29)로부터 레벨 조정 회로(28, 33)를 향해서 레벨 조정 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그 후, 메달 가이드(6)의, 메달(2)이 통과하는 개소를 폐쇄하고 있던 셔터(7)가 개방되어, 자기 센서(4)를 향해서 메달(2)이 통과 가능한 상태로 된다(스텝 S4). 그 후, MPU(29)는,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인지 여부의 다음의 판단 타이밍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스텝 S5에 있어서,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인지 여부의 다음의 판단 타이밍이 된 경우에는, 스텝 S1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5에 있어서,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조정 중인지 여부의 다음의 판단 타이밍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판단 타이밍이 되고 나서 스텝 S1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에 있어서,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지 않았고, 센서 출력 신호 SG11의 신호 레벨이 「Lo」인 경우에는, MPU(29)는, 식별 스테이터스가 「Hi」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스텝 S6에 있어서, 식별 스테이터스가 「Hi」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6에 있어서, 식별 스테이터스가 「Lo」인 경우에는, MPU(29)는, 식별 스테이터스가 「Lo」로 전환되고 나서 시간 T10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
스텝 S7에 있어서, 시간 T10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7에 있어서, 시간 T10이 경과된 경우에는, 메달 가이드(6)의, 메달(2)이 통과하는 개소를 개방하고 있던 셔터(7)가 폐쇄되어, 자기 센서(4)를 향해서 메달(2)이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스텝 S8). 그 후,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조정 타이밍을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를 재기동시키고 나서(스텝 S9), 스텝 S5로 진행한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 MPU(29)는, 광학식 센서(5)가 한 닢째의 메달(2)을 검출했을 때 기억된 기준 신호값 BL1과,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의 피크값 PL1과의 차 ΔL1에 기초하여,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여,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 PL1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에도, 광학식 센서(5)가 한 닢째의 메달(2)을 검출했을 때 기억된 기준 신호값 BL1과,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의 피크값 PL1과의 차 ΔL1, ΔL2에 기초하여, 메달(2)을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형태에서는, 다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메달(2)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기준 신호값 BL1과 피크값 PL1과의 차 ΔL1 및 기준 신호값 BL2와 피크값 PL2와의 차 ΔL2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변동되었다고 해도, MPU(29)는, 이 변동분의 영향을 배제하여, 메달(2)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레벨 조정 회로(28, 33)는, MPU(29)로부터 출력되고 레벨 조정 회로(28, 33)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발생해도,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MPU(29)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레벨 조정 회로(28, 33)에 의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정기적인 조정은,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하면 정지되기 때문에, 광학식 센서(5)가 메달(2)을 검출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 BL1, BL2를 기억하는 MPU(29)는, 안정된 기준 신호값 BL1, BL2를 기억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MPU(29)에서 취득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MPU(29)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MPU(29)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속도가 변동되어도,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피크값 PL1, PL2를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역치 th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마다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메달(2)마다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다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메달(2)의 진위를 보다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고,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미만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Lo」로 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를 비교기(35)가 MPU(29)에 출력함과 함께, MPU(29)는, 비교 출력 신호 SG5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었을 때의 범위 T 내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MPU(29)에서,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MPU(29)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해도, 메달(2)의 일부가,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 사이에 형성되는 자로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메달(2)의 통과 위치에 기인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외경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에 관계없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이 취득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MPU(29)에서 취득되어 처리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MPU(29)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MPU(29)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메달(2)을 고속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속도가 변동되어 있어도,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피크값 PL1, PL2를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역치 th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마다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메달(2)마다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다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메달(2)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수를 용이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고,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미만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Lo」로 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를 비교기(35)가 MPU(29)에 출력함과 함께, MPU(29)는, 비교 출력 신호 SG5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었을 때의 범위 T내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MPU(29)에서,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MPU(29)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MPU(29)에서의 처리를 보다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외경의 영향에 의해 변동하고,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은, 주로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및 두께의 영향에 의해 변동된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검출용 코일(9)을 사용하여, 주로 메달(2)의 외경을 식별하고, 검출용 코일(10)을 사용하여, 주로 메달(2)의 재질이나 두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값 및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값을 MPU(29)가 취득하는 경우에도, MPU(29)에서 취득되어 처리되는 신호값의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MPU(29)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형태에서는, 레벨 조정 회로(28, 33)는, MPU(29)로부터 출력되고 레벨 조정 회로(28, 33)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발생해도,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MPU(29)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에 기인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과 비교되는 역치 th를 일정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역치 th의 설정이 용이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 MPU(29)는, 광학식 센서(5)가 한 닢째의 메달(2)을 검출했을 때 기억된 기준 신호값 BL1과,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의 피크값 PL1과의 차 ΔL1에 기초하여,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세 닢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통과하여,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값 PL1로부터 하강해 가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완전히 하강되기 전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에도, 광학식 센서(5)가 한 닢째의 메달(2)을 검출했을 때 기억된 기준 신호값 BL1과, 세 닢의 메달(2) 각각이 자기 센서(4)를 통과할 때의 피크값 PL1과의 차 ΔL1, ΔL2에 기초하여, 메달(2)을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형태에서는, 다수의 메달(2)이 간극 없이 연속으로 자기 센서(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메달(2)의 진위를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기준 신호값 BL1과 피크값 PL1의 차 ΔL1 및 기준 신호값 BL2와 피크값 PL2의 차 ΔL2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의해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변동되었다고 해도, MPU(29)는, 이 변동분의 영향을 배제하여, 메달(2)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해도, 메달(2)의 일부가,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 사이에 형성되는 자로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메달(2)의 통과 위치에 기인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외경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의 일례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대기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적은 환경에서 메달 식별 장치(1)가 사용되는 것이면,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기 센서(4)를 메달(2)이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피크값(최솟값)과 기준 신호값 BL1과의 차 및 자기 센서(4)를 메달(2)이 통과할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피크값(최솟값)과 기준 신호값 BL2와의 차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가 식별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이 취득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고,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미만으로 되었을 때의 신호 레벨이 「Lo」로 되는 비교 출력 신호 SG5를 비교기(35)가 MPU(29)에 출력함과 함께, MPU(29)는, 비교 출력 신호 SG5의 신호 레벨이 「Hi」로 되었을 때의 범위 T 내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비교기(35)를 설치하지 않고, MPU(29)에서,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MPU(29)가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th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에 관계없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MPU(29)는,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MPU(29)는, 기준 신호값 BL1과 피크값 PL1과의 차 ΔL1 및 기준 신호값 BL2와 피크값 PL2와의 차 ΔL2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MPU(29)는, 피크값 PL1의 절댓값과 피크값 PL2의 절댓값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이 정규의 것인지 여부를 식별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자기 센서(4)는, 2개의 검출용 코일(9, 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자기 센서(4)가 구비하는 검출용 코일의 수는, 1개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검출용 코일의 수에 따라, 제2 코어(13)에 볼록부가 형성되면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광학식 센서(5)에 의해,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된 것이 검출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광학식 센서(5) 대신에, 접점 스위치 등을 갖는 기계식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의 다른 센서에 의해, 메달 투입구로부터 메달(2)이 투입된 것이 검출되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는, 슬롯 머신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메달 식별 장치(1)는, 메달 구입기나 메달 계수기에 탑재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는 메달(2)을 식별하기 위한 메달 식별 장치(1)를 예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예를 들어 게임기에서 사용되는 메달 등의 다른 코인형의 피검출체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인형의 피검출체는, 슬롯 머신이나 게임기 등에서 사용되는 메달에 한정되지 않고, 경화이어도 된다. 또한, 메달 구입기는, 현금을 넣어서 메달을 구입하기 위한 장치이며, 슬롯 머신 사이나 홀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각 슬롯 머신으로부터 모이는 메달의 수를 세기 위한 장치이다. 이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소정 대수의 슬롯 머신에 대하여 1대 설치되어 있고(예를 들어, 섬마다 설치되어 있고), 메달 계수기가 설치된 섬을 구성하는 복수의 슬롯 머신으로부터 모인 메달(2)의 수를 센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섬마다 모인 메달(2)을 더 모으고, 그 수를 세는 일괄 집중 처리기이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메달(2)을 경품으로 바꾸기 위해서 메달(2)의 수를 세는 장치이다.
1 메달 식별 장치(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2 메달(피검출체)
4 자기 센서(제1 센서)
5 광학식 센서(제2 센서)
8 여자용 코일
9 검출용 코일(제1 검출용 코일)
10 검출용 코일(제2 검출용 코일)
12 제1 코어
12a, 12b, 12c 볼록부(여자측 볼록부)
13 제2 코어
13a, 13b, 13c 볼록부(검출측 볼록부)
28, 33 레벨 조정 회로(레벨 조정부)
29 MPU(제어부)
35 비교기(비교부)
BL1, BL2 기준 신호값
PL1, PL2 피크값
PW 통과로
SG1 코일 출력 신호(제1 코일 출력 신호)
SG2 코일 출력 신호(제2 코일 출력 신호)
th 역치
X 직교 방향
X1 제1 방향
X2 제2 방향
Y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
Z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
ΔL1, ΔL2 피크값과 기준 신호값의 차

Claims (17)

  1.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상기 검출용 코일 및 상기 제2 센서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센서를 상기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상기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전의 대기시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벨 조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면, 상기 레벨 조정부에 의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정지시켜서, 상기 기준 신호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레벨 조정부에 의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조정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중 피크값과 상기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는,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할 때마다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역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상기 역치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와, 상기 통과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에는, 상기 제2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여자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에는, 상기 제1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검출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여자용 코일은, 상기 여자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상기 검출용 코일은, 상기 검출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여자측 볼록부와 상기 검출측 볼록부 사이는, 상기 통과로로 되어 있고,
    상기 통과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직교 방향의 일방측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직교 방향의 타방측을 제2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여자측 볼록부의 상기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1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여자측 볼록부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2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검출측 볼록부의 상기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3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검출측 볼록부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4 단부면이라고 하면,
    가장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단부면의 상기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상기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단부면의 상기 제1 코어 측단부와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 단부면의 상기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상기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4 단부면의 상기 제2 코어 측단부와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8.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상기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센서를 상기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상기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9.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와, 상기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며,
    상기 역치는,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할 때마다 상기 코일 출력 신호가 상기 역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상기 역치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코일로서, 제1 검출용 코일과, 제2 검출용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코일 출력 신호를 제1 코일 출력 신호라고 하고, 상기 제2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코일 출력 신호를 제2 코일 출력 신호라고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상기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및 상기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1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 및 상기 제2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전의 대기시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출체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했을 때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인 기준 신호값을 기억함과 함께,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 완료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기준 신호값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센서를 상기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의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피크값과 상기 기준 신호값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와, 상기 통과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에는, 상기 제2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여자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에는, 상기 제1 코어를 향해서 돌출되는 검출측 볼록부가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여자용 코일은, 상기 여자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상기 검출용 코일은, 상기 검출측 볼록부에 권회되고,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여자측 볼록부와 상기 검출측 볼록부 사이는, 상기 통과로로 되어 있고,
    상기 통과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직교 방향의 일방측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직교 방향의 타방측을 제2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여자측 볼록부의 상기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1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여자측 볼록부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2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검출측 볼록부의 상기 제1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3 단부면이라고 하고, 상기 검출측 볼록부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을 제4 단부면이라고 하면,
    가장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단부면의 상기 제1 코어 측단부와, 가장 상기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단부면의 상기 제1 코어 측단부와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및 가장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 단부면의 상기 제2 코어 측단부와, 가장 상기 제2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4 단부면의 상기 제2 코어 측단부와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피검출체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7.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가짐과 함께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를 식별하며,
    상기 역치는,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가 간극 없이 연속으로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상기 피검출체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를 통과할 때마다 상기 코일 출력 신호가 상기 역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7018264A 2013-01-31 2013-12-25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763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7203A JP6100543B2 (ja) 2013-01-31 2013-01-31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JP2013017204A JP6175241B2 (ja) 2013-01-31 2013-01-31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JPJP-P-2013-017203 2013-01-31
JPJP-P-2013-017204 2013-01-31
PCT/JP2013/084657 WO2014119193A1 (ja) 2013-01-31 2013-12-25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792A KR20150093792A (ko) 2015-08-18
KR101763049B1 true KR101763049B1 (ko) 2017-07-28

Family

ID=512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264A KR101763049B1 (ko) 2013-01-31 2013-12-25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63049B1 (ko)
CN (1) CN104919497B (ko)
WO (1) WO2014119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2124B2 (ja) * 2014-09-16 2018-07-0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48B1 (ko) * 2002-12-26 2006-05-1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KR100580153B1 (ko) 2002-12-26 2006-05-1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446Y2 (ja) * 1980-05-19 1983-08-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貨幣選別装置
JPS57155682A (en) * 1980-12-04 1982-09-25 Nat Rijiekutaazu Inc Gmbh Coin selector
JPS57148272U (ko) * 1981-03-06 1982-09-17
JPS5824870U (ja) * 1981-08-10 1983-02-17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選別装置
JPS5991594A (ja) * 1982-11-17 1984-05-26 神鋼電機株式会社 電子検銭装置
JPS61221990A (ja) * 1985-03-28 1986-10-02 アンリツ株式会社 硬貨選別回路
JP2875151B2 (ja) * 1994-04-15 1999-03-2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H11175795A (ja) * 1997-12-12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硬貨識別装置
US20040047106A1 (en) * 2001-08-27 2004-03-11 Masuo Maruyama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tal body
CN1979563A (zh) * 2005-12-09 2007-06-13 蔡宁 多向量分析硬币鉴别模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48B1 (ko) * 2002-12-26 2006-05-1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KR100580153B1 (ko) 2002-12-26 2006-05-1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193A1 (ja) 2014-08-07
CN104919497A (zh) 2015-09-16
CN104919497B (zh) 2017-05-17
KR20150093792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12167A1 (en) Magnetic sensor
JP2008009894A (ja) コイン識別センサおよびコインセレクタのコイン識別装置
KR101763049B1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10023596A1 (en) method of examining a coin for determining its validity and denomination
JP6175241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21213A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JP6100543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WO2014181584A1 (ja) メダル識別装置
KR101741932B1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JPH08212416A (ja) 硬貨判別装置
KR101328637B1 (ko) 주화 식별 장치
WO2014155866A1 (ja) 異物検出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JP6401465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2015195025A (ja) カードリーダおよびカードリーダの制御方法
JP6386714B2 (ja) 遊技媒体計数機
JP4431732B2 (ja) コインセレクタ
US9530269B2 (en) Device for identifying coin-shaped identification object
TWI582723B (zh) 硬幣處理裝置
JP6454086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3204559B2 (ja) コイン識別装置
CN108122323B (zh) 硬币识别装置
US20120217126A1 (en) Coin detector
JP2010108337A (ja) 紙幣識別装置
WO2015000630A1 (en) A coin recognition apparatus
JP4251311B2 (ja) コインセレクタの直径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