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213A -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213A
KR20160021213A KR1020167000876A KR20167000876A KR20160021213A KR 20160021213 A KR20160021213 A KR 20160021213A KR 1020167000876 A KR1020167000876 A KR 1020167000876A KR 20167000876 A KR20167000876 A KR 20167000876A KR 20160021213 A KR20160021213 A KR 2016002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convex portion
output signal
m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448B1 (ko
Inventor
쇼고 모모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depending on the stopping of moving members in a mechanical slot machine, e.g. "fruit"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인형의 피검출체의 진위 등을 식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있어서, 외경 및 두께는 서로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를 제공한다. 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내부에는, 코인형의 피검출체(2)가 통과하는 통과로 PW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통과로 PW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DEVICE FOR IDENTIFYING COIN-SHAPED BODIES TO BE DETECTED}
본 발명은, 코인형 피검출체의 진위나 양호 불량 등을 식별하기 위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는 메달 셀렉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메달 셀렉터는,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이며, 사이즈가 작은 부정한 메달을 메달 받침 접시로 배출함과 함께, 정규 메달을 메달 탱크로 송출하고 있다. 이 메달 셀렉터에는,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이 통과하는 메달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메달 셀렉터에서는, 이 메달 통로를 사용하여 메달을 선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2300호 공보
최근, 슬롯 머신이 설치되는 점포에서는, 동일 점포 내에서, 외경 및 두께는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메달을 진짜 메달로서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즉, 동일 점포 내의 어떤 영역에 설치되는 슬롯 머신에서는, 어떤 투자율의 메달을 진짜 메달로서 사용하고, 다른 영역에 설치되는 슬롯 머신에서는, 외경 및 두께는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메달을 진짜 메달로서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점포 내의 어떤 영역에 설치되는 슬롯 머신에서는,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비자성의 메달을 진짜 메달로서 사용하고, 다른 영역에 설치되는 슬롯 머신에서는, 외경 및 두께는 동등하지만 비자성 재료의 표면에 니켈 도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 메달이나 연자성 재료로 형성된 메달 등의 자성을 갖는 메달을 진짜 메달로서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메달 셀렉터에서는, 메달의 외경과 두께가 동등하면,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메달을 식별하여 선별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코인형의 피검출체의 진위나 양호 불량 등을 식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있어서, 외경 및 두께는 서로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함께, 통과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통과로를 통과하는 복수 종류의 피검출체의 외경 및 두께가 서로 동등해도 투자율이 상이하면, 피검출체의 종류에 따라,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할 때의 자기 센서의 출력 레벨의 변동량에 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비자성의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할 때의 자기 센서의 출력 레벨의 변동량과, 자성을 갖는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할 때의 자기 센서의 출력 레벨의 변동량에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경 및 두께는 서로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갖고,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체를 구비하고, 제1 코어에는, 제2 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2 코어에는, 제1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통과로와 제1 볼록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는, 통과로와 제2 볼록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영구 자석에서 발생해 자기 센서를 통과하는 자속의 밀도를,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에 의해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검출체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면, 코어체는, 제1 코어와, 제2 코어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코어의 일단부와 제2 코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코어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코어의 타단부와 제2 코어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코어를 갖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영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코어체로부터의 누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영구 자석에서 발생해 자기 센서를 통과하는 자속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피검출체의 식별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코어체를 자기 실드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외부 자계에 기인하는 피검출체의 식별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기 센서는, 예를 들어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자기 임피던스 소자, 홀 소자 또는 플럭스 게이트 소자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과,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 중 어느 한쪽이 권회되는 제3 코어와,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 중 어느 다른 쪽이 권회되는 제4 코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피검출체의 외경, 두께 및/또는 재질 등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와 여자용 코일과 검출용 코일과 제3 코어와 제4 코어가 수용되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여자용 코일, 검출용 코일, 제3 코어 및 제4 코어와, 영구 자석 및 자기 센서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케이스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영구 자석 및 자기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검출 기구와,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 등으로 구성되는 검출 기구를 공통의 케이스체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자기 센서 및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자기 센서는, 검출용 코일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어부에는, 자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와,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커지는 경우,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및 보텀값 중 어느 한쪽과,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의 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를 사용한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고,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는 경우,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및 보텀값 중 어느 한쪽과,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의 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를 사용한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피검출체가 통과를 완료한 직후의 센서 출력 신호의 값과,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또는 보텀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를 사용한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에 피검출체가 없는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에 따라 변동되어도, 이 변동분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피검출체를 고정밀도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 중 어느 한쪽에 권회되는 여자용 코일과,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에 권회되는 검출용 코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피검출체의 외경, 두께 및/또는 재질 등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기 센서를 통과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코어체에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기 때문에, 코어체 외에,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는 코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면, 제1 코어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볼록부 양측의 각각에, 제2 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2 코어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볼록부 양측의 각각에, 제3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4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1 볼록부와 제3 볼록부에는, 검출용 코일로서의 제1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고, 제1 볼록부에는, 검출용 코일로서의 제2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고, 제2 볼록부와 제4 볼록부에는, 여자용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 검출용 코일을 사용하여, 주로 피검출체의 외경을 식별하고, 제2 검출용 코일을 사용하여, 주로 피검출체의 재질이나 두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금속제의 피검출체가 통과할 때에는, 피검출체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비자성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자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은, 와전류의 영향에 따라 변동된다. 한편, 자성을 갖는 피검출체가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은,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피검출체가 가리는 것의 영향과 와전류의 영향에 따라 변동된다. 또한, 와전류의 영향만에 의해 변동되는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및 보텀값은,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속도에 따라서 변동한다.
또한,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를 비자성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경우,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외부 요인의 변동이 없으면,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 및 자기 센서의 중심과 피검출체의 중심이 일치할 때의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은,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사이에 피검출체가 없는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동등해진다. 또한,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의 중심과 피검출체의 중심이 일치할 때,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은, 피크값 또는 보텀값이 되기 때문에, 여자용 코일이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 중 어느 한쪽에 권회되고, 검출용 코일이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에 권회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 및 자기 센서의 중심과 피검출체의 중심이 일치할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은, 피크값 또는 보텀값이 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자기 센서 및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는, 자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와,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커지는 경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피크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를 사용한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고, 피검출체가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는 경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보텀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를 사용한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와전류의 영향으로 변동되는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및 보텀값이 통과로를 통과하는 피검출체의 속도에 따라 변동되어도,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피크 시 또는 보텀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과 동등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검출체가 자성을 갖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검출체가 자성을 갖는지 여부의 식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인형의 피검출체의 진위나 양호 불량 등을 식별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있어서, 외경 및 두께는 서로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피검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제1 검출 기구를 저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여자용 코일, 검출용 코일 및 보빈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검출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검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검출용 코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코일 출력 신호 및 자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센서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자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센서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에 있어서의 코일 출력 신호 및 센서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제1 검출 기구(4)를 저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는, 코인형의 피검출체인 메달(2)의 진위를 식별하거나, 진짜 메달(2)이 양품인지 아니면 불량품인지(즉, 진짜 메달(2)에 마모나 변형 등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거나 하기 위한 장치이며, 슬롯 머신(도시 생략)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즉,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는,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메달(2)의 진위 등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형태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1)를 「메달 식별 장치(1)」라고 한다. 이 메달 식별 장치(1)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와, 케이스체(3)에 수용되는 제1 검출 기구(4) 및 제2 검출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달 식별 장치(1)의 내부에는, 메달(2)이 통과하는 통과로 PW가 형성되어 있다. 메달(2)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달(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의 각각을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이라고 하고, X 방향을 좌우 방향, Y 방향을 전후 방향, Z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X1 방향측을 「우」측, X2 방향측을 「좌」측, Y1 방향측을 「전」측, Y2 방향측을 「후(뒤)」측, Z1 방향측을 「상」측, Z2 방향측을 「하」측이라 한다.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한다. 즉, 상하 방향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통과 방향이다.
케이스체(3)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3)는 케이스체(3)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부(3a)와, 케이스체(3)의 전후 좌우의 4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3b)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3)의 하면은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체(3)의 하면의 개구 부분은, 커버 부재(7)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 부재(7)는 얇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3) 내부의 하단부측에는, 회로 기판(6)이 고정되어 있다. 상면부(3a)에는, 상면부(3a)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오목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c)는 커버 부재(17)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 부재(17)는 얇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상면부(3a)의 하측에 제1 검출 기구(4)가 배치되고, 오목부(3c)에 제2 검출 기구(5)가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7)에는, 메달(2)이 통과하는 슬릿 형상의 통과 구멍(17a)(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3a), 회로 기판(6) 및 커버 부재(7)에도, 메달(2)이 통과하는 슬릿 형상의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3a), 회로 기판(6) 및 커버 부재(7)에 형성되는 통과 구멍 및 통과 구멍(17a)은, 통과로 PW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체(3)에는, 통과 구멍(17a)에 메달(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도시 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6)은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강성 기판이고,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6)에는, 구리박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6)은, 그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과 일치하도록 케이스체(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1 검출 기구(4)의 하면을 덮고 있다. 커버 부재(17)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3b)를 구성하는 4개의 측면의 전후 좌우의 외측면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얇은 금속판(도시 생략)이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6), 커버 부재(17) 및 측면부(3b)에 고정되는 금속판은, 메달 식별 장치(1)의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제1 검출 기구(4) 및 제2 검출 기구(5)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실드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1 검출 기구 및 제2 검출 기구의 구성)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여자용 코일(8), 검출용 코일(9) 및 보빈(20, 21)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1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환상 코어(11)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검출 기구(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검출 기구(5)의 측면도이다.
제1 검출 기구(4)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자용 코일(8)과, 검출용 코일(9, 10)과, 여자용 코일(8) 및 검출용 코일(9, 10)이 권회되는 환상 코어(11)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코어(11)는 연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환상 코어(11)는 페라이트, 아몰퍼스, 퍼멀로이 등의 철계의 연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코어(11)는 얇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환상 코어(11)의 두께는, 0.5㎜ 정도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의 두께 방향과 상하 방향이 일치하도록, 메달 식별 장치(1)가 배치되어 있고, 메달(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한다. 즉,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의 두께 방향과 메달(2)의 통과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은,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두께 방향이다. 또한, 본 형태의 좌우 방향은, 메달(2)의 통과 방향과 메달(2)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이다.
환상 코어(11)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코어(11)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코어(11)는 환상 코어(11)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코어(12)와, 환상 코어(11)의 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코어(1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코어(13)와, 코어(12)의 우측 단부와 코어(13)의 우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연결 코어(14)와, 코어(12)의 좌측 단부와 코어(13)의 좌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연결 코어(14)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연결 코어(15)로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환상 코어(11)는 프레스의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코어(12, 13)와 연결 코어(14, 1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코어(12)는 제4 코어이고, 코어(13)는 제3 코어이다.
코어(12)와 코어(1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코어(14)와 연결 코어(1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코어(1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11)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좌우 방향에 평행한 중심선 CL1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11)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전후 방향에 평행한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12)에는, 코어(13)를 향해서(즉,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12a, 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a 내지 12c)의 전단부(즉, 볼록부(12a 내지 12c)의 기단부)는 코어(12)의 기초부(12d)에 연결되어 있다. 볼록부(12a 내지 12c)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즉, 선단면)은, 좌우 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볼록부(12a 내지 12c)의 좌우의 단부면은,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2a)는 우측 단부측에 배치되고, 볼록부(12b)는 좌측 단부측에 배치되며, 볼록부(12c)는 볼록부(12a)와 볼록부(1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2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의 중심과 코어(1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볼록부(12a)와 볼록부(12b)는, 중심선 CL2를 대칭 축으로 하는 선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2a)와 볼록부(12b)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어(12)는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2a)와 연결 코어(14)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2b)와 연결 코어(15)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2a)와 볼록부(12c)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2b)와 볼록부(12c)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2a)와 볼록부(12c) 사이의 기초부(12d)의 후단부면(12e)과, 볼록부(12b)와 볼록부(12c) 사이의 기초부(12d)의 후단부면(12f)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2a)와 연결 코어(14) 사이의 기초부(12d)의 후단부면(12g)과, 볼록부(12b)와 연결 코어(15) 사이의 기초부(12d)의 후단부면(12h)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면(12e, 12f)은, 후단부면(12g, 12h)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13)는 코어(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축 CL1을 대칭 축으로 하는 선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코어(13)에는, 코어(12)를 향해서(즉,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13a, 13b, 13c)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a 내지 13c)의 후단부(즉, 볼록부(13a 내지 13c)의 기단부)는 코어(13)의 기초부(13d)에 연결되어 있다. 볼록부(13a 내지 13c)는 볼록부(12a 내지 12c)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3a 내지 13c)의 전단부면(즉, 선단면)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는 볼록부(12a)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고, 볼록부(13b)는 볼록부(12b)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며, 볼록부(13c)는 볼록부(12c)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13a)는 볼록부(12a)를 향하여 돌출되고, 볼록부(13b)는 볼록부(12b)를 향하여 돌출되고, 볼록부(13c)는 볼록부(12c)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코어(12)와 마찬가지로, 코어(13)는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와 연결 코어(14)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3b)와 연결 코어(15)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a)와 볼록부(13c)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볼록부(13b)와 볼록부(13c)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3a)와 볼록부(13c) 사이의 기초부(13d)의 전단부면(13e)과, 볼록부(13b)와 볼록부(13c) 사이의 기초부(13d)의 전단부면(13f)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3a)와 연결 코어(14) 사이의 기초부(13d)의 전단부면(13g)과, 볼록부(13b)와 연결 코어(15) 사이의 기초부(13d)의 전단부면(13h)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면(13e, 13f)은, 전단부면(13g, 13h)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의 사이는, 통과로 PW의 일부로 되어 있다. 통과로 PW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체(3)에는, 통과 구멍(17a)에 메달(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는,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의 사이에서, 메달(2)이 통과하도록, 메달(2)을 통과 구멍(17a)으로 안내하고 있다. 즉,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도 6 참조)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거리 L1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은,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될 것으로 상정되는 메달(2)이며,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이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거리 L1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2c, 13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해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의 전체가 메달(2)과 겹치게 형성되고, 또한, 배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 또는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 메달(2)의 외주 단부가 일치하도록,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의 전체가 메달(2)과 겹치도록, 볼록부(12c, 13c)가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와의 거리 L2(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내지 12c)의 후단부면과 볼록부(13a 내지 13c)의 전단부면과의 거리 L2, 도 6 참조)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연결 코어(14)의 좌측 단부면과의 거리 L3(도 6 참조)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 연결 코어(15)의 우측 단부면과의 거리 L4(도 6 참조)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와 볼록부(13c)의 거리 L2는, 볼록부(12c)와 볼록부(13a)의 최단 거리(즉, 볼록부(12c)의 우측 단부면의 후단부와 볼록부(13a)의 좌측 단부면의 전단부와의 최단 거리) 및, 볼록부(12c)와 볼록부(13b)의 최단 거리(즉, 볼록부(12c)의 좌측 단부면의 후단부와 볼록부(13b)의 우측 단부면의 전단부와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우측 단부면과의 거리 L5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a, 13a)의 좌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거리 L6은, 메달(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거리 L5, L6은, 슬롯 머신의 메달 투입구로부터 투입될 것으로 상정되는 메달(2)이며, 가장 작은 외경을 갖는 메달(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여자용 코일(8)은,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2a 내지 12c)의 상하 양면, 볼록부(12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2b)의 좌측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보빈(20)을 개재하여, 여자용 코일(8)이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즉, 여자용 코일(8)은 볼록부(12a 내지 12c)가 그 내주측에 배치되도록, 보빈(20)을 개재하여 볼록부(12a 내지 12c)에 권회되어 있다. 보빈(20)의 전단부면은, 코어(12)의 후단부면(12g, 12h)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보빈(20)에는, 단자 핀(23)이 고정되어 있다. 단자 핀(23)에는, 여자용 코일(8)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 핀(23)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자 핀(23)의 하단부측은, 회로 기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9)은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3a 내지 13c)의 상하 양면,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보빈(21)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9)이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즉, 검출용 코일(9)은, 볼록부(13a 내지 13c)가 그 내주측에 배치되도록, 보빈(21)을 개재하여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보빈(21)의 후단부면은, 코어(13)의 전단부면(13g, 13h)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보빈(21)에는, 단자 핀(24)이 고정되어 있다. 단자 핀(24)에는, 검출용 코일(9)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 핀(24)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자 핀(24)의 하단부측은, 회로 기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10)은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3c)의 상하 양면 및 좌우의 양 단부면을 덮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보빈(22)을 개재하여, 검출용 코일(10)이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즉, 검출용 코일(10)은, 볼록부(13c)가 그 내주측에 배치되도록, 보빈(22)을 개재하여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보빈(22)의 후단부면은, 코어(13)의 전단부면(13e, 13f)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보빈(22)에는, 단자 핀(25)이 고정되어 있다. 단자 핀(25)에는, 검출용 코일(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 핀(25)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자 핀(25)의 하단부측은, 회로 기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제2 검출 기구(5)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와, 코어체로서의 환상 코어(31)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코어(31)는, 환상 코어(11)와 마찬가지로, 연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환상 코어(31)는 페라이트, 아몰퍼스, 퍼멀로이 등의 철계의 연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코어(31)는 얇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0.5㎜ 정도로 되어 있다. 이 환상 코어(31)는, 그 두께 방향과 상하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환상 코어(31)의 두께 방향과 메달(2)의 통과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환상 코어(31)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코어(31)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코어(31)는, 환상 코어(31)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코어(32)와, 환상 코어(31)의 후방측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코어(3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코어(33)와, 코어(32)의 우측 단부와 코어(33)의 우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연결 코어(34)와, 코어(32)의 좌측 단부와 코어(33)의 좌측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연결 코어(34)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의 연결 코어(35)로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환상 코어(31)는, 프레스의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코어(32, 33)와 연결 코어(34, 3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코어(32)는 제2 코어이고, 코어(33)는 제1 코어이다. 또한, 연결 코어(34)는 제1 연결 코어이고, 연결 코어(35)는 제2 연결 코어이다.
코어(32)와 코어(3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코어(34)와 연결 코어(3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코어(31)는,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환상 코어(31)의 중심과 환상 코어(11)의 중심이 대략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중심선 CL1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중심선 CL2에 대하여 선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32)에는, 코어(33)를 향해서(즉, 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2 볼록부로서의 볼록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2a)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2a)의 후단부면(즉, 선단면)은 좌우 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볼록부(32a)의 좌우의 단부면은,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32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32a)의 중심과 코어(3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어(33)에는, 코어(32)를 향해서(즉, 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로서의 볼록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3a)는 볼록부(32a)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33a)는 볼록부(32a)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33a)는 볼록부(32a)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영구 자석(29)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영구 자석(29)은, 그 두께 방향과 전후 방향이 일치하도록 케이스체(3)에 고정되어 있다. 영구 자석(29)은, 그 전방면의 자극과 그 후방면의 자극이 상이한 자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자기 센서(30)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자기 임피던스 소자, 홀 소자 또는 플럭스 게이트 소자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자기 센서(30)는, 기판(36)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36)은 케이스체(3)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36)에는, 도시를 생략하는 리드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리드선의 타단부는, 회로 기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는, 통과로 PW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는, 통과로 PW의 일부로 되어 있다.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31)의 중심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32a, 33a)의 중심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9)은 볼록부(33a)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30)는 기판(36)을 개재하여 볼록부(32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영구 자석(29)은 통과로 PW와 볼록부(33a)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30)는 통과로 PW와 볼록부(3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검출 기구(4)는, 케이스체(3)의 상면부(3a)의 하측에서, 케이스체(3)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에는, 보빈(20, 21)의 상면이 접촉하는 보빈 접촉면(3d)과, 환상 코어(11)의 외주측 부분이 접촉 가능한 코어 지지면(3e)이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3)의 내측에는, 단자 핀(24, 25)과 케이스체(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부(3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3)에는, 회로 기판(6)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면(3f)이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검출 기구(5)는, 상면부(3a)의 오목부(3c) 중에서 케이스체(3)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검출 기구(4)를 구성하는 여자용 코일(8), 검출용 코일(9) 및 환상 코어(11)와, 제2 검출 기구(5)를 구성하는 영구 자석(29), 자기 센서(30) 및 환상 코어(3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케이스체(3)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9), 자기 센서(30) 및 환상 코어(31)는, 여자용 코일(8), 검출용 코일(9) 및 환상 코어(11)보다도, 메달(2)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3c)의 저면(3h)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3h)에 환상 코어(31)의 외주측 부분이 고정되어 있다.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회로 구성)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2 및 자기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자기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자용 코일(8)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에는, 교류 전원(41)이 접속되고, 여자용 코일(8)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42), 정류 회로(43) 및 레벨 조정 회로(44)를 통하여 제어부로서의 MPU(Micro Processing Unit)(45)에 접속되고,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46), 정류 회로(47) 및 레벨 조정 회로(48)를 통하여 MPU(45)에 접속되고,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레벨 조정 회로(44)와 MPU(45)의 사이에는, 콤퍼레이터(5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기 센서(30)는 증폭 회로(51)를 통하여 MPU(45)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 회로(42, 46, 51), 정류 회로(43, 47), 레벨 조정 회로(44, 48), MPU(45) 및 콤퍼레이터(50)는 회로 기판(6)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증폭 회로(51)는 기판(36)에 실장되어도 된다.
제1 검출 기구(4)에서는, 교류 전원(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여자용 코일(8)이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에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메달(2)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영향에 의해(즉, 와전류 손실에 의해)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의 교류 자계가 변동된다. 환상 코어(11)의 내주측의 교류 자계가 변동되면,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의 레벨 및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의 레벨이 변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용 코일(9)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42), 정류 회로(43) 및 레벨 조정 회로(44)를 통하여, MPU(45)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 SG1이 레벨 조정 회로(44)로부터 MPU(45)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검출용 코일(10)을 구성하는 도선의 일단부는, 증폭 회로(46), 정류 회로(47) 및 레벨 조정 회로(48)를 통하여 MPU(45)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 SG2가 레벨 조정 회로(48)로부터 MPU(45)에 입력된다.
본 형태에서는,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면, 도 10의 (A),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 SG2가 MPU(45)에 입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12a, 13a)의 우측 단부면과 볼록부(12b, 13b)의 좌측 단부면과의 좌우 방향의 거리 L1은, 통과로 PW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등하게 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9)은 볼록부(13a 내지 13c)의 상하 양면, 볼록부(13a)의 우측 단부면 및 볼록부(13b)의 좌측 단부면을 덮도록, 보빈(21)을 개재하여 볼록부(13a 내지 13c)에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외경의 영향에 따라 변동된다.
한편, 볼록부(12c, 13c)는, 볼록부(12a, 13a)와 볼록부(12b, 13b)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통과로 PW의 어느 위치를 메달(2)이 통과하더라도,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부(12c, 13c)의 전체가 메달(2)과 겹치게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고, 검출용 코일(10)은 볼록부(13c)에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은, 주로,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및 두께의 영향에 따라 변동된다.
여기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은,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영향에 따라 변동되는 일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이 발생해도,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MPU(45)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MPU(45)로부터 출력되어 레벨 조정 회로(44)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 조정 회로(44)가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MPU(45)로부터 출력되어 레벨 조정 회로(48)에 입력되는 레벨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 조정 회로(48)가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MPU(45)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th 이상으로 되어 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콤퍼레이터(50)가 레벨 조정 회로(44)로부터 입력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과 역치 th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MPU(45)에 출력한다. 또한, MPU(45)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상으로 되어 있을 때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값을 취득한다.
메달(2)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바뀌기 때문에,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종류에 따라,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P1 및,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P2가 변한다. 그로 인해, MPU(45)는, 피크값 P1과 피크값 P2에 기초하여,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 MPU(45)는,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인 기준값과 피크값 P1과의 차 ΔL1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메달(2)이 환상 코어(11)를 통과하기 전의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인 기준값과 피크값 P2의 차 ΔL2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ΔL1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거나, ΔL2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거나 하는 경우에,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30)는, 증폭 회로(51)를 통하여 MPU(45)에 접속되어 있고, 자기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 SG3이 증폭 회로(51)로부터 MPU(45)에 입력된다. 여기서,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메달(2)이 통과하면, 영구 자석(29)이 발생시키는 직류 자계의 영향으로, 금속제의 메달(2)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메달(2)의, 영구 자석(29)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방향과, 메달(2)의, 영구 자석(29)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방향은 반대의 방향이 된다. 그로 인해, 이 와전류의 영향만을 고려하면, 1개의 메달(2)이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했을 경우에,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은,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동된다. 또한, 와전류의 영향만을 고려한 경우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및 보텀값은,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할 때의 메달(2)의 속도에 따라서 변동된다.
또한, 자성을 갖는 메달(2)이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통과하면,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 사이의 직류 자계가 차단되기 때문에, 자기 센서(30)를 통과하는 직류 자계가 변동된다. 본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29)이 발생시키는 직류 자계 내를, 자성을 갖는 메달(2)이 통과하면,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직류 자계의 변동만을 고려하면, 1개의 메달(2)이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했을 경우에,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은,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동된다. 그로 인해, 메달(2)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영향과 자기 센서(30)를 통과하는 직류 자계의 변동을 고려하면,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은, 예를 들어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동된다.
이상으로부터, 비자성의 메달(2)이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면,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이 MPU(45)에 입력되고, 자성을 갖는 메달(2)이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면, 예를 들어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변동되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이 MPU(45)에 입력된다. 그로 인해, MPU(45)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P3(도 10 참조)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 MPU(45)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에 메달(2)이 없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인 기준값과 피크값 P3과의 차 ΔL3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메달(2)이라고 판단하고, ΔL3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비자성의 메달(2)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2 검출 기구(5)를 비자성의 메달(2)이 통과하는 경우,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외부 요인의 변동이 없으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과 메달(2)의 중심이 일치할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은,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에 메달(2)이 없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과 동등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30)는 검출용 코일(9, 10)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메달(2)이 통과로 PW를 통과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은,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보다도 먼저 변동된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하로 될 때에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메달(2)이 완전히 통과를 종료하도록, 제1 검출 기구(4) 및 제2 검출 기구(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하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을 기준값으로 하고 있고, 이 기준값과 피크값 P3과의 차 ΔL3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가 식별되고 있다.
이와 같이, MPU(45)는, ΔL1, ΔL2에 기초하여,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또한, ΔL3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진위나 양호 불량을 식별한다.
또한,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의 보텀값과 기준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한지 여부가 식별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을 기준값으로 하고, 이 기준값과 피크값 P3의 차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가 식별된다.
또한, 자성을 갖는 메달(2)이 직류 자계 내를 통과했을 때, 직류 자계의 변동만을 고려한 경우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즉, 도 11의 (B)에 도시하는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이며, 또한,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커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하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을 기준값으로 하고, 이 기준값과 센서 출력 신호 SG3의 보텀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가 식별된다.
또한, 자성을 갖는 메달(2)이 직류 자계 내를 통과했을 때, 직류 자계의 변동만을 고려한 경우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이며, 또한,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 SG2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을 기준값으로 하고, 이 기준값과 센서 출력 신호 SG3의 보텀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가 식별된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가 통과로 PW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외경 및 두께는 동등하지만 투자율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메달(2)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질, 외경 및 두께는 동일한데, 표면에 니켈 도금이 실시된 메달(2)과, 표면에 니켈 도금이 실시되지 않은 메달(2)을 제1 검출 기구(4)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본 형태에서는, 제2 검출 기구(5)를 사용하여 이 2종류의 메달(2)을 식별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31)는,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영구 자석(29)은 통과로 PW와 볼록부(33a)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30)는 통과로 PW와 볼록부(3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29)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환상 코어(31)로부터의 누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영구 자석(29)에서 발생하여 자기 센서(30)를 통과하는 자속의 밀도를, 볼록부(32a, 33a)에 의해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검출용 코일(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외경의 영향에 따라 변동되고, 검출용 코일(1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는 코일 출력 신호 SG2의 신호 레벨은, 주로,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및 두께의 영향에 따라 변동된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검출용 코일(9)을 사용하여, 주로, 메달(2)의 외경을 식별하고, 검출용 코일(10)을 사용하여, 주로 메달(2)의 재질이나 두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는,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X 방향과 Y 방향으로 구성되는 XY 평면 내에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외부 자계 중에 메달 식별 장치(1)가 배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외부 자계에 기인하는 자로는, 통과로 PW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의 사이에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력선의 방향이 뒷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외부 자계(도 12 중의 화살표) 내에 메달 식별 장치(1)가 배치되었다고 하더라도,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자계에 기인하는 자로는, 통과로 PW의, 볼록부(12a 내지 12c)와 볼록부(13a 내지 13c)의 사이에 형성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31)는,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XY 평면 내에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외부 자계 내에 메달 식별 장치(1)가 배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외부 자계에 기인하는 자로는, 통과로 PW의,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에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본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 31)를 자기 실드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메달 식별 장치(1)의 외부 자계에 기인하는 메달(2)의 식별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하 방향(Z 방향)을 향하고 있는 외부 자계 내에 메달 식별 장치(1)가 배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하 방향은, 검출용 코일(9, 10) 및 자기 센서(30)의 감자 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메달 식별 장치(1)는 외부 자계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본 형태에서는, 제1 검출 기구(4)와 제2 검출 기구(5)가 공통의 케이스체(3)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하로 될 때,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메달(2)이 완전히 통과를 종료하도록, 제1 검출 기구(4) 및 제2 검출 기구(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역치 th 이하로 되었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을 기준값으로 하고, 이 기준값과 피크값 P3과의 차 ΔL3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가 식별되고 있다. 즉, 본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메달(2)이 통과를 완료한 직후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과 피크값 P3과의 차 ΔL3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30)를 사용한 메달(2)의 식별을 행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에 메달(2)이 없는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이,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에 따라 변동되어도, 이 변동분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메달(2)을 고정밀도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검출 기구의 변형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메달 식별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메달 식별 장치(1)에 있어서의 코일 출력 신호 SG1, SG2 및 센서 출력 신호 SG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와 별도로 환상 코어(31)가 설치되어 있고, 환상 코어(31)에 형성되는 볼록부(33a)와 통과로 PW의 사이에 영구 자석(29)이 배치되고, 환상 코어(31)에 형성되는 볼록부(32a)와 통과로 PW의 사이에 자기 센서(30)가 배치되어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코어(11)에 형성되는 볼록부(13c)와 통과로 PW의 사이에 영구 자석(29)이 배치되고, 환상 코어(11)에 형성되는 볼록부(12c)와 통과로 PW의 사이에 자기 센서(30)가 배치되어도 된다.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코어(11)의 중심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이 일치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c, 13c)의 중심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가 배치됨과 함께, 영구 자석(29)이 볼록부(13c)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30)가 볼록부(12c)의 후방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환상 코어(11) 외에, 환상 코어(31)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달 식별 장치(1)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환상 코어(11)가 코어체로 되고, 코어(12)가 제2 코어로 되고, 코어(13)가 제1 코어로 되고, 연결 코어(14)가 제1 연결 코어로 되고, 연결 코어(15)가 제2 연결 코어로 된다. 또한, 볼록부(12c)가 제2 볼록부로 되고, 볼록부(13c)가 제1 볼록부로 되고, 볼록부(12a, 12b)가 제4 볼록부로 되고, 볼록부(13a, 13b)가 제3 볼록부로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MPU(45)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피크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30)를 사용한 메달(2)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과 메달(2)의 중심이 일치할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검출용 코일(9)의 중심과 메달(2)의 중심이 일치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과 메달(2)의 중심이 일치할 때,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은 피크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비자성 메달(2)이 통과할 경우, 메달 식별 장치(1)의 주위 온도의 변동 등의 외부 요인의 변동이 없으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9) 및 자기 센서(30)의 중심과 메달(2)의 중심이 일치할 때,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은,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에 메달(2)이 없을 때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과 동등해진다.
그로 인해, 영구 자석(29)과 자기 센서(30)의 사이를 메달(2)이 통과하기 직전 또는 직후의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을 MPU(45)가 취득하면, 와전류의 영향만을 고려한 경우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의 피크값 및 보텀값이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할 때의 메달(2)의 속도에 따라 변동되어도,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피크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이, 대기 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신호 레벨과 동등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4 참조). 따라서,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증폭 회로(51)와 MPU(45)의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MPU(45)에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이 입력된다. 또한, 여자용 코일(8)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메달(2)이 제1 검출 기구(4)를 통과했을 때,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메달 식별 장치(1)의 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코일 출력 신호 SG1의 신호 레벨의 보텀 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값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30)를 사용한 메달(2)의 식별을 행하면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있어서, 검출용 코일(10)을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증폭 회로(51)와 MPU(45)의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와 고역 통과 필터를 병렬로 배치하고,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의 센서 출력 신호와 코일 출력 신호 SG1에 기초하여, 통과로 PW를 통과하는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이, 메달 식별 장치(1)가 탑재되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어야 할 메달(2)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적합한지 여부를 식별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의 일례이기는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는, 제1 검출 기구(4)와 제2 검출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메달 식별 장치(1)는, 제2 검출 기구(5)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제2 검출 기구(5)를 사용하여,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지만, 제2 검출 기구(5)를 사용하여, 자성을 갖는 복수 종류의 메달(2)의 투자율의 상이를 식별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제1 검출 기구(4)와 제2 검출 기구(5)가 공통의 케이스체(3)에 보유 지지되어 있지만, 제1 검출 기구(4)와 제2 검출 기구(5)가 별개로 형성된 케이스체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MPU(45)는, 센서 출력 신호 SG3의 기준값과 피크값 P3과의 차 ΔL3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MPU(45)는, 피크값 P3의 절댓값에 기초하여, 제2 검출 기구(5)를 통과하는 메달(2)이 자성을 갖는 것인지 여부를 식별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코어(32, 33)와 연결 코어(34, 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코어(32, 33), 연결 코어(34, 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별체로 형성되고, 코어(32, 33)와 연결 코어(34, 35)가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한, 환상 코어(31)는, 예를 들어 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금속박과, 이 금속박이 부착되는 얇은 수지제의 보강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코어(12, 13), 연결 코어(14,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별체로 형성되고, 코어(12, 13)와 연결 코어(14, 15)가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한, 환상 코어(11)는, 예를 들어 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금속박과, 이 금속박이 부착되는 얇은 수지제의 보강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제2 검출 기구(5)는 환상으로 형성되는 환상 코어(31)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2 검출 기구(5)는 환상 코어(3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 검출 기구(5)는 환상 코어(31) 대신에, 코어(32, 33), 연결 코어(34, 35)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갭(끊어진 곳)이 형성된 코어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갭은 비자성 재료로 매립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검출 기구(4)는 환상 코어(11) 대신에, 코어(12, 13), 연결 코어(14, 15)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갭(끊어진 곳)이 형성된 코어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환상 코어(11, 31)는, 대략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환상 코어(11, 31)는, 원 환상, 타원 환상 또는 장원 환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사각 환상 이외의 다각 환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메달 식별 장치(1)는 슬롯 머신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메달 식별 장치(1)는, 메달 구입기나 메달 계수기에 탑재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슬롯 머신에서 사용되는 메달(2)을 식별하기 위한 메달 식별 장치(1)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는, 예를 들어 게임기에서 사용되는 메달 등의 다른 코인형의 피검출체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인형의 피검출체는, 슬롯 머신이나 게임기 등에서 사용되는 메달에 한정되지 않고, 경화여도 된다. 또한, 메달 구입기는, 현금을 넣어서 메달을 구입하기 위한 장치이며, 슬롯 머신 사이이나 홀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각 슬롯 머신으로부터 모이는 메달의 수를 세기 위한 장치이다. 이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소정 대수의 슬롯 머신에 대하여 1대 설치되어 있고(예를 들어,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고), 메달 계수기가 설치된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슬롯 머신에서 모인 메달(2)의 수를 센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구역마다 모인 메달(2)을 다시 모아서, 그 수를 세는 일괄 집중 처리기이다. 또한, 메달 계수기는, 예를 들어 메달(2)을 경품으로 바꾸기 위하여 메달(2)의 수를 세는 장치이다.
1: 메달 식별 장치(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2: 메달(피검출체)
3: 케이스체
8: 여자용 코일
9: 검출용 코일(제1 검출용 코일)
10: 검출용 코일(제2 검출용 코일)
11: 환상 코어(코어체)
12: 코어(제4 코어, 제2 코어)
12a, 12b: 볼록부(제4 볼록부)
12c: 볼록부(제2 볼록부)
13: 코어(제3 코어, 제1 코어)
13a, 13b: 볼록부(제3 볼록부)
13c: 볼록부(제1 볼록부)
14: 연결 코어(제1 연결 코어)
15: 연결 코어(제2 연결 코어)
29: 영구 자석
30: 자기 센서
31: 환상 코어(코어체)
32: 코어(제2 코어)
32a: 볼록부(제2 볼록부)
33: 코어(제1 코어)
33a: 볼록부(제1 볼록부)
34: 연결 코어(제1 연결 코어)
35: 연결 코어(제2 연결 코어)
45: MPU(제어부)
P3: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PW: 통과로
SG1, SG2: 코일 출력 신호
SG3: 센서 출력 신호
X: 직교 방향
Y: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
Z: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

Claims (10)

  1. 코인형의 피검출체가 통과하는 통과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통과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와,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를 갖고,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에는, 상기 제2 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에는, 상기 제1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통과로와 상기 제1 볼록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통과로와 상기 제2 볼록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코어체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어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코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코어와,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어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코어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코어를 갖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자기 임피던스 소자, 홀 소자 또는 플럭스 게이트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자용 코일 및 검출용 코일과,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여자용 코일 및 상기 검출용 코일 중 어느 한쪽이 권회되는 제3 코어와,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여자용 코일 및 상기 검출용 코일 중 어느 다른 쪽이 권회되는 제4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기 센서와 상기 여자용 코일과 상기 검출용 코일과 상기 제3 코어와 상기 제4 코어가 수용되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여자용 코일, 상기 검출용 코일, 상기 제3 코어 및 상기 제4 코어와, 상기 영구 자석 및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 및 상기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검출용 코일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자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와, 상기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출체가 상기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커지는 경우,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및 보텀값 중 어느 한쪽과,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하로 되었을 때의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센서를 사용한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고,
    상기 피검출체가 상기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피크값 및 보텀값 중 어느 한쪽과,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센서를 사용한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 중 어느 한쪽에 권회되는 여자용 코일과,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에 권회되는 검출용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체의 통과 방향과 상기 피검출체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코어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볼록부 양측의 각각에, 상기 제2 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의,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볼록부 양측의 각각에, 상기 제3 볼록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4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3 볼록부에는, 상기 검출용 코일로서의 제1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고,
    상기 제1 볼록부에는, 상기 검출용 코일로서의 제2 검출용 코일이 권회되고,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제4 볼록부에는, 상기 여자용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 및 상기 검출용 코일이 접속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자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센서 출력 신호와, 상기 검출용 코일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형 코일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출체가 상기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커지는 경우,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피크 시에 있어서의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센서를 사용한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고,
    상기 피검출체가 상기 통과로를 통과했을 때,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코일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보텀 시에 있어서의 상기 센서 출력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센서를 사용한 상기 피검출체의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KR1020167000876A 2013-07-18 2014-04-07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KR10182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9163A JP6175301B2 (ja) 2013-07-18 2013-07-18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JP-P-2013-149163 2013-07-18
PCT/JP2014/060072 WO2015008513A1 (ja) 2013-07-18 2014-04-07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13A true KR20160021213A (ko) 2016-02-24
KR101826448B1 KR101826448B1 (ko) 2018-02-06

Family

ID=5234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876A KR101826448B1 (ko) 2013-07-18 2014-04-07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16710B2 (ko)
JP (1) JP6175301B2 (ko)
KR (1) KR101826448B1 (ko)
WO (1) WO2015008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301B2 (ja) 2013-07-18 2017-08-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US10497198B2 (en) * 2017-04-10 2019-12-03 Douglas A. Pinnow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gold and silver coins and bars from counterfeit
US11333232B2 (en) * 2019-03-14 2022-05-17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Eddy current senso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2300A (ja) 2007-09-19 2009-04-09 Daito Giken:Kk メダルセレクタ、およびメダルセレクタを備えるスロットマ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110A (en) * 1976-07-23 1978-11-07 Orin W. Coburn Magnetic coin element sensor
US4334604A (en) * 1979-03-15 1982-06-15 Casino Investment Limited Coin detecting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genuine coins from slugs, spurious coins and the like
JPH11328473A (ja) * 1998-03-17 1999-11-30 Nippon Conlux Co Ltd 硬貨検知方法および装置
US6640955B1 (en) * 1999-10-06 2003-11-04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JP2003004407A (ja) * 2001-06-20 2003-01-08 Sankyo Seiki Mfg Co Ltd 変位測定装置
JP2003021620A (ja) * 2001-07-06 2003-01-24 Ctc:Kk 金属物の識別センサ、金属物の識別方法、金属コインの識別方法
US20040119470A1 (en) * 2002-09-13 2004-06-24 Sankyo Seiki Mfg. Co., Ltd. Winding type magnetic sensor device and coin discriminating sensor device
JP4474563B2 (ja) * 2002-12-26 2010-06-09 旭精工株式会社 バイメタルコインの検出装置
JP2008293337A (ja) * 2007-05-25 2008-12-04 Magune Brain:Kk コインセンサ
JP5882772B2 (ja) * 2012-02-10 2016-03-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識別用磁気センサ
JP6175301B2 (ja) 2013-07-18 2017-08-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2300A (ja) 2007-09-19 2009-04-09 Daito Giken:Kk メダルセレクタ、およびメダルセレクタを備えるスロットマ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3141A1 (en) 2016-06-09
US9916710B2 (en) 2018-03-13
WO2015008513A1 (ja) 2015-01-22
JP2015019776A (ja) 2015-02-02
JP6175301B2 (ja) 2017-08-02
KR101826448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48B1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KR20150090088A (ko) 자기 센서 장치
KR20120075383A (ko) 자기 센서 장치, 및 자기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4010118A (ja) 磁気センサ装置
WO2014181584A1 (ja) メダル識別装置
KR101741932B1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JP6141685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6454086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6141686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6175241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JP6401465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6246541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KR101763049B1 (ko)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 및 코인형 피검출체 식별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4192378A1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US6382386B1 (en) Eddy-current sensor for coin evaluation
CA2293767C (en) Eddy-current sensor for coin evaluation
JP2014233331A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JP6100543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および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の制御方法
JP4431732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2008293336A (ja) コインセンサ
JP2017067608A (ja) 磁気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