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171B1 -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171B1
KR100840171B1 KR20037012479A KR20037012479A KR100840171B1 KR 100840171 B1 KR100840171 B1 KR 100840171B1 KR 20037012479 A KR20037012479 A KR 20037012479A KR 20037012479 A KR20037012479 A KR 20037012479A KR 100840171 B1 KR100840171 B1 KR 10084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ppm
content
polyvinyl aceta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1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546A (ko
Inventor
미야께요시따까
시마즈히로노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cetal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4/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olyalcohols; Addition polymers of heterocyclic oxygen compounds containing in the ring at least once the grouping —O—C—O—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제 없이도 변색 및 악취 발생이 억제되는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색조 및 장기간 보관 시에도 점도 안정성이 우수한 도료 및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을 알데히드와 응축시켜 제조한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은 중합도가 100 내지 3000이고, 잔류 아세틸 함량이 25 몰% 이하이며, 잔류 히드록실 함량이 17 내지 35 몰%이고, 잔류 알데히드 함량이 100 ppm 이하이고, 잔류 부티르산 함량이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에틸-2-헥세날 함량이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 함량이 300 ppm 이하이며, 잔류 항산화제가 전혀 없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도료, 잉크, 알데히드

Description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A METHOD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OLORING AND A FOUL ODOR OF THE POLYVINYL ACETAL RESIN}
본 발명은, 항산화제가 전혀 사용되지 않더라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자체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우수한 색조 및 장기간의 보관 시에도 높은 점도 안정성을 갖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료 및 잉크는, 결합제 수지의 매질에 의한 용매에 착색제 및 기타 첨가제를 그 용도에 따라 첨가하여 형성된 것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필름 형성성, 안료 분산성, 도포될 표면에 대한 접착성 및 알코올 가용성 등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도료 및 잉크 분야에서 결합제 수지로서 사용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보통 폴리비닐 알코올에 산 촉매를 사용하여 이를 알데히드로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그러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상기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알데히드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잔존하게 되므로, 알데히드의 산화물 및 알데히드끼리의 반응물의 발생으로 인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착색되어, 형성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의 색상이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며,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의 점도가 장기간의 보관 시에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 공 개공보 평-11-349889 호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함유 인쇄용 잉크 및 도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악취 또는 장기간의 보존 안정성에 대한 기재는 없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폴리비닐 알코올의 아세탈화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알데히드를 산화로부터 보호하고, 형성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산화로부터 보호하며 내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보통 반응계 또는 수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항산화제는 수득될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의 안료 분산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식품 및 의약품의 포장용 잉크 재료로서 사용될 때 안전성의 문제가 있으므로, 사용되는 항산화제의 양은 최대한 제한되어야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제가 전혀 사용되지 않더라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자체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우수한 색조 및 장기간의 보관 시에도 높은 점도 안정성을 갖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의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 여기서 중합도는 100 내지 3,000이고,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은 25 몰% 이하이고,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은 17 내지 35 몰%이며;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pm 이하이며, 항산화제는 전혀 남지 않는다.
제 2의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 여기서 중합도는 100 내지 3,000이고,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은 25 몰% 이하이고,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은 17 내지 35 몰%이며;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pm 이하이며; 항산화제는 전혀 남지 않는다.
제 3의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 여기서 중합도는 100 내지 3,000이고,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은 25 몰% 이하이고,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은 17 내지 35 몰%이며;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pm 이하이며; 항산화제는 전혀 남지 않는다.
제 4의 본 발명은 제 1, 제 2 또는 제 3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수득가능한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이다. 제 4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 조성물에서 주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용매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중합도의 하한치가 100 이고 상한치가 3,000이며,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은 25 몰% 이하이고, 잔류 히드록 실기의 비율은 하한치가 17 몰%이고 상한치가 35 몰%이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 내에 속하면, 안료가 수득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 중에 쉽게 분산되고, 형성되는 도막의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도막공정 또한 쉬워진다.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치 및 상한치는 각각 200과 1,000이다.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이 25 몰% 초과이면, 수득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장기간 보관 시 점도가 변하여 도막이 서로 블록킹 (blocking)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화상이 선명해지지 않는다. 잔류 아세틸기의 바람직한 비율은 15 몰% 이하이다.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이 17 몰% 미만이면, 안료가 쉽게 분산되지 않고 수득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 내에서 침전하며, 보관 시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고,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이 35 몰% 초과이면, 수득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의 도막의 방수성 및 용매 가용성이 불충분해진다. 잔류 히드록실기의 바람직한 비율 및 상한치는 각각 19 몰%와 35 몰%이다.
본원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 기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원료인 폴리알코올 수지의 히드록실기 두 개의 아세탈화에 의해 형성되므로, 잔류 아세틸기 및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은, 아세탈화된 두 개의 히드록실기를 계수하는 방법에 의해 아세탈화도(degree of acetalization) (몰%)를 구하고 수득된 아세탈화도 값을 근거로 계산함으로써 구한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산 촉매를 사용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되므로, 미반응 알데히드 및 미반응 산 촉매가 수지 중에 잔존한다. 카르복실산 또는 알돌이 잔류 알데히드의 산화 또는 알돌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므로, 이는 수지의 착색 및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며, 수지가 도료 및 잉크 조성물로서 사용될 때, 장기간 보관 시 점도의 증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있어서, 잔류 알데히드, 각각 잔류 알데히드의 산화물인 부티르산 및 아세트산, 및 각각 잔류 알데히드의 알돌화 반응물인 2-에틸-2-헥세날 및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수지의 착색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또한, 잔류 산 촉매가 잔류 알데히드의 알돌화 반응의 촉매로서 작용하므로,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수지의 착색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제 1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있어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pm 이하이다.
제 2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있어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pm 이하이다.
제 3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있어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며,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은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은 300 p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는 항산화제가 전혀 잔존하지 않는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서는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이 100 ppm 이하이므로, 잔류 알데히드를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항산화제가 첨가되지 않더라도, 수지의 착색 및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상술한 알데히드는, 예를 들면 지방족 불포화 알데히드, 예컨대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n-부티르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이소부티르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n-헥실 알데히드, 2-에틸헥실 알데히드, n-옥틸 알데히드, n-노닐 알데히드 및 n-데실 알데히드; 및 방향족 알데히드, 예컨대 벤즈알데히드 및 신남알데히드가 있다. 이들 중, 아세탈화에서 월등한 n-부티르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제조하는 구체적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수용액, 알코올 용액, 물/알코올의 혼합 용 액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 용액 중에서 산 촉매를 사용하여 상술한 폴리비닐 알코올을 상술한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술한 산 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유기산 또는 무기산이 사용될 수 있고, 산 촉매로는 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 질산, 황산, 염산 등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해 알칼리 중화가 보통 수행되는데, 중화에 사용되는 알칼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질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등이 있다.
수득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중의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잔류 2-메틸-2-펜테날 및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술한 반응에 의해 수득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다량의 물로 반복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분자 내에 다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상기 히드록실기는 안료를 흡착시켜 안료의 분산성을 증강시키므로, 수지가 도료 및 잉크 조성물로 사용될 때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매우 높다. 또한,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잔류 2-메틸-2-펜테날 및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이 일정량 미만이므로, 항산화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더라도, 수지는 착색되지 않고 악취를 발생시키지도 않는다.
제 4의 본 발명은 제 1, 제 2 또는 제 3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수득되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이다.
제 4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료 및 용매, 및 추 가로 접착촉진제, 접착지연제, 가소화제, 왁스, 상용화제 (compatibility accelerator), 계면활성제, 분산제, 점성화제 등을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 용매가 환경 문제의 관점에서 주 용매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안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카본 블랙, 디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산화티탄 안료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제 4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 조성물에 배합되는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이다. 또한, 상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농축형 도료 및 잉크 조성물 중에는 2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최종 도료 및 잉크 조성물 중에는 10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제 4의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은, 본 발명의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므로, 색조 및 장기간 보관 시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항산화제가 전혀 함유되지 않으므로, 식품 및 의약품의 포장용 잉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 리터 짜리 탈착가능한 플라스크 (separable flask) 내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도 230, 비누화도 99.0 몰%) 280 g을 증류수 3200 g 중에 가열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을 0℃의 온도에서 유지시키고, 35 중량% 염산 82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n-부티르알데히드 150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n-부티르알데히드를 첨가한 지 1 시간 후에 용액의 온도를 25℃로 상승시키고, 용액을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시, 수득된 수지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세척한 수지를 증류수에 재분산시키고, 수지 분산액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7 로 조정하였다. 상기 분산액을 40℃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 하에서 5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다음, 수득한 수지를 고체 함량의 500 배 되는 양의 증류수로 세척하고, 또한 세척한 수지를 증류수에 재분산시키고, 수지 분산액을 40℃에서 5 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다시 수지를 500 배 되는 양의 증류수로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건조시켜서, 백색 분말 형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수득하였다.
또한, 40℃에서 2 개월 간 방치시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1 g을 계량하여 255 ㎖ 유리 용기에 넣고, 에탄올 64 g을 첨가하여 수지를 용해시킨 후, 로다민 (Rhodamine; 적색 안료) 25 g 및 유리 비드 100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혼합기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중합도가 250이고 비누화도가 97.0 몰%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고, n-부 티르알데히드를 알데히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중합도가 800이고 비누화도가 99.0 몰%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고, n-부티르알데히드를 알데히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중합도가 300이고 비누화도가 99.0 몰%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고, n-부티르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알데히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중합도가 600이고 비누화도가 99.0 몰%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고, n-부티르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알데히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중합도가 300이고 비누화도가 97.0 몰%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고, 아세트알데히드를 알데히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수지를 고체 함량의 20 배 되는 양의 증류수로 2 회 세척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잉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지를 고체 함량의 20 배 되는 양의 증류수로 2 회 세척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수지를 고체 함량의 20 배 되는 양의 증류수로 2 회 세척하고, 또한 항산화제로서 BHT를 0.1 중량%의 양으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제조하였다. 또한, 항산화제가 첨가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절차를 따름으로써,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대해, 아세탈화도,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 및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잔류 2-메틸-2-펜테날 및 잔류 산 촉매 및 냄새를 평가하고,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잉크에 대해, 경시변화 (secular changes) 및 광택을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아세탈화도, 잔류 히드록실기의 비율 및 잔류 아세틸기의 비율의 측정)
상기를 1H-NMR 측정 (DMSO-d6 중에서)으로 구하였다.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및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의 측정)
측정 장비로서, Shimadzu Corporation 사에서 제조한 헤드스페이스(headspace)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SHIMADZU GC-14A) 및 HS GL SCIENCE Headspace Auto Sampler 7000H를 사용하였고, FID 형을 검출기로서 사용하고, TC-WX를 칼럼으로 선택하였고, HS 조건을 20℃에서 10 분간, 샘플의 양을 0.50 g 으로 설정하여,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및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의 측정)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 g을 정확히 계량하여 Erlenmeyer 플라스크에 넣고, 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 (에탄올:물 = 9:1 (부피비)) 40 ㎖를 수지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탕 용해시켰다. 용해시킨 후, 0.02 몰/ℓ 수산화칼륨/알코올 용액이 든 마이크로뷰렛을 사용하고, 페놀프탈레인 1 중량% 수용액을 지시제로 사용하여, 묽은 적색이 30 초간 유지되는 시점까지 상기 용액을 적정하였다. 바탕 시험을 별도로 수행하여,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하기 일반식 1 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일반식 1]
Figure 112003035506242-pct00001
A: 실제 시험에서 사용된 수산화칼륨의 양 (㎖)
B: 바탕 시험에서 사용된 수산화칼륨의 양 (㎖)
f: 0.02 몰/ℓ 수산화칼륨/알코올 용액의 역가
(냄새의 평가)
악취의 존재를 관능검사 (sensory analysis)로 확인하였다.
(잉크의 경시변화의 평가)
잉크의 제조 후 1 일 및 7 일 후의 잉크 점도를 B 형 회전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점도의 경시변화 (%)를 하기 일반식 2 에 따라 구하였다.
[일반식 2]
경시변화 (%) = {(7 일 후의 점도 - 1 일 후의 점도) / (1 일 후의 점도)} ×100
(잉크 광택의 평가)
잉크를 바-코터 (bar-coater)로 두께가 4 내지 5 ㎛이 되도록 PET 필름에 도포한 후, 70°의 반사율을 측정하고, 광택기준면에 대해 광택 (%)을 구하였다.
Figure 112003035506242-pct00002
표 1 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잔류 알데히드, 잔류 부티르산, 잔류 아세트산, 잔류 2-에틸-2-헥세날 및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이 100 ppm 이하이고,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이 300 ppm 이하였으므로,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잉크는 점도의 경시변화가 적었고, 보존 안정성이 높았으며, 또한 우수한 광택을 지녔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부적합한 세척으로 인해 잔류 물질들의 함량이 높아서 악취를 발생시켰고,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잉크는 점도 안정성이 낮았고, 안료 분산성이 열악하여 광택이 좋지 못하였다. 특히,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항산화제의 과다한 함량으로 인해 안료 안정성이 상당히 낮고 광택이 매우 좋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라, 항산화제가 전혀 사용되지 않더라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자체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료 및 잉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우수한 색조 및 장기간 보관 시에도 높은 점도 안정성을 갖는 도료 및 잉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항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및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300 ppm 이하로 감소시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항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및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300 ppm 이하로 감소시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항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폴리비닐 알코올과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잔류 알데히드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부티르산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아세트산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2-에틸-2-헥세날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잔류 2-메틸-2-펜테날의 함량을 100 ppm 이하로, 및 잔류 산 촉매의 함량을 300 ppm 이하로 감소시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37012479A 2001-03-28 2002-03-25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KR10084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3378 2001-03-28
JP2001093378 2001-03-28
PCT/JP2002/002821 WO2002079281A1 (fr) 2001-03-28 2002-03-25 Resine polyvinylique acetalique servant de revetement et de coloration, et compositions de revetement et de col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546A KR20040030546A (ko) 2004-04-09
KR100840171B1 true KR100840171B1 (ko) 2008-06-23

Family

ID=1894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12479A KR100840171B1 (ko) 2001-03-28 2002-03-25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6662B2 (ko)
EP (1) EP1384732B1 (ko)
JP (1) JP3995966B2 (ko)
KR (1) KR100840171B1 (ko)
CN (1) CN1610706A (ko)
WO (1) WO2002079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13485A (en) * 2002-07-26 2004-08-01 Orient Chemical Ind Solid pigment composition for pigment ink, pigment ink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se
DE102004054569A1 (de) * 2004-11-11 2006-05-24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Niedrig scherverdünnende Polyvinylacetale
CN1873408B (zh) * 2005-05-30 2011-02-23 天津市燕化新材料有限公司 聚乙烯醇缩丁醛中2-乙基己烯醛的提取和含量测定方法
JP4865403B2 (ja) * 2006-05-15 2012-02-0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粉体塗料
FR2928929B1 (fr) * 2008-03-19 2012-01-13 Saint Gobain Composition serigraphiable sur polyvinylbutyral
PL2410027T3 (pl) * 2010-07-21 2013-05-31 Kuraray Europe Gmbh Zastosowanie poliwinyloizoacetali w kompozycjach farb drukarskich
JP5667536B2 (ja) * 2011-07-29 2015-02-12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RU2505550C1 (ru) * 2012-12-03 2014-01-2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промторг Росс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винилацеталей
CN103183756A (zh) * 2013-04-03 2013-07-03 东莞市龙怡阻燃材料有限公司 一种聚乙烯醇缩丁醛树脂、制备方法及其用途
JP6501761B2 (ja) * 2013-05-21 2019-04-17 サン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アセタール化した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バリアコーティング材
JP6221147B2 (ja) * 2014-02-17 2017-11-01 株式会社クラレ インキ又は塗料用バインダー及びその用途
JP5920854B2 (ja) * 2014-09-26 2016-05-18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の連続繊維からな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27179A (ja) * 2015-11-11 2016-0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KR102097205B1 (ko) * 2018-05-08 2020-04-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용 중간막
US10717862B2 (en) * 2018-07-11 2020-07-21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KR102057396B1 (ko) * 2018-08-16 2019-12-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접합용 필름
CN109679604B (zh) * 2019-01-28 2021-01-0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耐盐耐高温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3819344A1 (en) * 2019-11-11 2021-05-12 Kuraray Europe GmbH Use of certain polyvinyl acetals as binders in printing inks
CN110903421A (zh) * 2019-12-19 2020-03-24 四川东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耐热型低粘度聚乙烯醇缩醛树脂及其制备方法
CA3234774A1 (en) * 2021-11-03 2023-05-11 Constantia Pirk Gmbh & Co. Kg Printed packaging material with improved recyclability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CN115651103B (zh) * 2022-11-01 2024-02-27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低醛含量聚乙烯醇缩丁醛树脂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916A (ja) * 1991-10-04 1993-11-16 Hoechst Ag 改善された溶融粘度特性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H06228227A (ja) * 1993-02-04 1994-08-16 Sekisui Chem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JPH0720599A (ja) * 1993-07-02 1995-01-24 Mitsubishi Chem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性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中間膜の製造方法
JPH093428A (ja) * 1995-06-19 1997-01-07 Sekisui Chem Co Ltd 接着剤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接着剤組成物
JP2000235243A (ja) * 1998-12-14 2000-08-29 Sekisui Chem Co Ltd 熱現像性感光材料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熱現像性感光材料用変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並びに熱現像性感光材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034A (en) * 1981-01-20 1982-11-15 Tokyo Ohka Kogyo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4665124A (en) * 1985-08-02 1987-05-12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Resin
EP0211406A3 (de) * 1985-08-02 1988-08-17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hotopolymerisierbares Gemisch mit Polyvinylacetal als Bindemittel und daraus hergestelltes Aufzeichnungsmaterial
US4743409A (en) * 1986-05-27 1988-05-10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a substrate for optical recording media
US6027573A (en) * 1994-10-06 2000-02-22 Xomed Surgical Products, Inc. Industrial cleaning sponge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sidue from a sponge material
DE19617893C1 (de) * 1996-05-04 1997-10-0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vinylacetalen und -ketalen
JPH10338713A (ja) 1997-06-09 1998-12-22 Sekisui Chem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得られた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
DE19816722A1 (de) 1998-04-16 1999-10-21 Clariant Gmbh Druckfarben und Lacke enthaltend Polyvinylbutyrale basierend auf teilverseiften Polyvinylalkoholen
EP1270608B2 (en) 2000-01-19 2010-10-20 Sekisui Chemical Co., Ltd. Polyvinyl acetal resin for heat-developable photosensitive material and heat-developable photosensitive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916A (ja) * 1991-10-04 1993-11-16 Hoechst Ag 改善された溶融粘度特性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H06228227A (ja) * 1993-02-04 1994-08-16 Sekisui Chem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JPH0720599A (ja) * 1993-07-02 1995-01-24 Mitsubishi Chem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性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中間膜の製造方法
JPH093428A (ja) * 1995-06-19 1997-01-07 Sekisui Chem Co Ltd 接着剤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接着剤組成物
JP2000235243A (ja) * 1998-12-14 2000-08-29 Sekisui Chem Co Ltd 熱現像性感光材料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熱現像性感光材料用変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並びに熱現像性感光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6662B2 (en) 2005-08-30
EP1384732A1 (en) 2004-01-28
KR20040030546A (ko) 2004-04-09
JP2002356511A (ja) 2002-12-13
US20040157987A1 (en) 2004-08-12
WO2002079281A1 (fr) 2002-10-10
EP1384732B1 (en) 2016-11-09
EP1384732A4 (en) 2004-05-12
CN1610706A (zh) 2005-04-27
JP3995966B2 (ja)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71B1 (ko)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착색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JP3727663B2 (ja) 界面活性剤含有アセトアセトキシ官能及びエナミン官能ポリマー
US6211289B1 (en) Modified polyvinylacetals with low solution viscosity
US3468829A (en) Gravure ink for paper
US5705597A (en) Ketone-aldehyde resin with wide compatibility,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A2471189A1 (en) Resins based on ketones and aldehydes, having improved solubility properties and low color numbers
US6172174B1 (en) Phenolic rosin resin compositions
BR102015003529A2 (pt) resina de dispersão para preparações de pigmentos tendo conteúdo orgânico volátil baixo
KR19990083205A (ko)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콜을 기본으로하는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프린팅 잉크 및 피복물
JP2002293825A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組成物、インク及び塗料
JPH02504524A (ja) 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法
US3288880A (en) Condensation polymers, for stabilizing polymeric structures, composed of hydroxyaromatic ketone, aldehyde, and phenol
CN103154063B (zh) 环脲与多官能醛的反应产物的制备方法
JP2002060427A (ja) インク用又は塗料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又は塗料用組成物
JP5228175B2 (ja) 接着促進化合物
JP2000128937A (ja) 樹脂組成物
US5405935A (en) Non-volatile solvent replacement
JPH0551505A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組成物
JPS61225268A (ja) 接着剤組成物
US2963464A (en) Thermoplastic, high melting polyspiranes
JP2825418B2 (ja) ジスアゾ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4966445B2 (ja) アルキルアセタール化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樹脂、インク及び樹脂の製造方法
JP4849791B2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水性分散液組成物
US2291843A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ester gum
JP2002114931A (ja) インク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