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158B1 -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58B1
KR100809158B1 KR1020070045741A KR20070045741A KR100809158B1 KR 100809158 B1 KR100809158 B1 KR 100809158B1 KR 1020070045741 A KR1020070045741 A KR 1020070045741A KR 20070045741 A KR20070045741 A KR 20070045741A KR 100809158 B1 KR100809158 B1 KR 10080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eet
electronic
shape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171A (ko
Inventor
가쯔야스 히라따
오사무 시마다
가즈히로 오오하시
다까유끼 이이즈까
히로시 신따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5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평면 표시 장치 그 외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수납체에 있어서,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저코스트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전기 제품의 손상이나 분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체의 회수 등을 위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용의 표시 패널 모듈(2)을 순차적으로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1)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수지 시트(1)의 표면측 시트부(1A)와 뒷면측 시트부(1B)를 융착하여 접합함으로써, 각 표시 패널 모듈(2)을 소정 개소에 위치 결정하면서 보유하는 수납부(15)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수납부(15)의 열의 양측에는 귀부(14, 1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띠 형상 수납체(10)를, 예를 들면 나선상으로 감은 상태로 마분지 상자(4)안에 채워, 조립 공장에까지 반송한다. 이 때, 감겨진 귀부(14, 16)가 완충 작용을 행한다.
띠 형상 수납체, 표시 패널 모듈의 수송, 반송 트레이, 캐리어 테이프, 셀 카세트

Description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NIC OR ELECTRIC PRODUCTS SUCH AS FLAT-PANEL DISPLAY DEVICES AND UNPACKING DEVICE THEREFOR}
도1은 표시 패널 모듈이 수납된 경우의 띠 형상 수납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2는 전자·전기 제품을 수지 시트의 사이에 끼워 넣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
도3은 마분지 상자내로의 띠 형상 수납체의 수납 방식의 일례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4는 전자·전기 제품을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수지 시트끼리를 떼어 내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5는 마분지 상자내로의 띠 형상 수납체의 수납 방식의 다른 일례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6은 마분지 상자내로의 띠 형상 수납체의 수납 방식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7은 표시 패널 모듈이 수납된 경우의 띠 형상 수납체의 다른 일례를 도시 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8은 표시 패널 본체가 수납된 경우의 띠 형상 수납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9는 표시 패널 본체가 수납된 경우의 띠 형상 수납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10은 표시 패널 모듈이 수납된 경우의 도9와 같은 띠 형상 수납체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11은 실시예의 개봉(unpacking) 디바이스를 작동 상태에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도.
도12는 도11의 개봉 디바이스를 상방에서 본 외관도.
도13은 도11의 개봉 디바이스를 전방의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외관도.
도14는 실시예의 개봉 디바이스의 작동의 모습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15는 실시예의 개봉 디바이스의 구동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16은 도11의 개봉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절개 외관도.
도17은 실시예의 포장(packing)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전면에서의 외관도.
도18은 실시예의 포장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비스듬한 상방에서의 외관도.
도19는 실시예의 포장 디바이스에서의 만곡면의 근방을 도시하는 기울기 상방에서의 외관도.
도20은 실시예의 포장 디바이스에서의 시트 개방용 가이드의 근방을 도시하는 상방에서의 외관도.
도21은 실시예의 포장 디바이스에서의 가열 밀봉부의 근방을 도시하는 전방에서의 외관도.
도22는 수납전의 띠 형상 수지 시트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23은 띠 형상 수납체를 공(空)수납부 부분에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접은 형태의 포장 유닛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24는 띠 형상 수납체를 공수납부 부분에서 절곡하여, 마분지 상자에 감은 형태의 포장 유닛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25는 포장 유닛을 수납하는 내부 상자를 열은 상태로, 그 포장 유닛(도24의 양식)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26은 포장 유닛을 수납하는 격벽이 딸린 외부 상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7은 도25의 상자를 도26의 외부 상자에 수납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8은 변형예의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10에 대응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29는 표시 패널 본체를 추출 및 재삽입이 가능하게 수납할 뿐만 아니라 소정 간격으로 공수납부를 설치한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30은 표시 패널 모듈을 수납한 경우의 도29와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31은 공수납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도29와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32는 표시 패널 본체를 삽입하기 전의 수납부가 딸린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도시하는 도1과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33은 도31의 띠 형상 수납체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34는 도33의 상태의 띠 형상 수납체를 벤치 스케일·오토클레이브에 내장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35는 한 세트의 전자·전기 제품이 일련의 수납부에 수납된 경우의 도9와 같은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
도36은 한 세트를 이루는 전자·전기 제품이 각 띠 형상 수납체에 각각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5와 같은 모식적인 사시도.
도37은 띠 형상 수납체의 양 연부에서 뒷면측 시트부가 표면측 시트부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는 도10과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38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마다 상이한 전자·전기 제품이 수납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착색이 더해진 경우에 대해 도시하는 도10과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39는 ㄷ자 형상의 포켓부가 설치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에 대해 도시하는 도22와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40은 직각으로 접히는 Z자 형상의 툴에 의해, 표시 패널 본체의 4주를 둘러싸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가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는 도9와 같은 평면적인 사시 도.
도41은 예정 파단선을 이루는 절삭의 전형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42는 절삭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3은 절삭 형상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4는 절삭 형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5는 2개의 예정 파단선의 간격이 변화하는 경우의 도36과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46은 개별 추출선을 포함하는 예정 파단선의 구성에 대해 도시하는 도37과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47은 개별 추출선을 포함하는 예정 파단선의 다른 구성에 대해 도시하는 도45와 같은 도면.
도48은 예정 파단선이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는 도45와 같은 도면.
도49는 시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정 파단선이 표시 패널 본체의 양 연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는 도9와 같은 평면적인 사시도.
도50은 키트 부재 추출선을 포함하는 예정 파단선의 다른 구성에 대해 도시하는 도45와 같은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 시트
1A : 수지 시트(1)에서의 표면측 시트부
1B : 수지 시트(1)에서의 뒷면측 시트부
1C : 수지 시트(1)에서의 절곡부
1D : 커버 시트
1E : 베이스 시트
2 : 표시 패널 모듈
4 : 마분지 상자
5 : 개봉 디바이스
6 : 포장 디바이스
7 : 벤치 스케일·오토클레이브
10 : 띠 형상 수납체
11A :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
11B :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
12 : 접합부
12A : 크레이프(梨子地) 박리 가능한 접합부
12B : 보다 강고한 접합부
12E : 표시 패널 모듈의 위치 고정용의 점상 접합부
13 : 위치 결정용의 구멍
14, 16 : 귀부
15 : 수납부
15A : 공수납부
15B : 포켓부(삽입구 봉쇄전의 수납부)
15C : 삽입구
17 : 연통부
18 : 예정 파단선
31∼33 : 롤
34 : V자 형상 가이드 부재
41 : 마분지 상자내의 격벽
42 : 소실
43 : 공극실
45 : 직사각형의 마분지
46 : 마분지로 이루어지는 내부 상자
47 : 단면 ㄷ자 형상으로 접은 마분지
55 : 베이스부
56 : 수직부
57 : 베이스부의 천정판
58 : 커버 시트 회수 상자
61 : 표시 패널 삽입부
63 : 만곡판
64 : 가열 밀봉부
65 : 스틸대
69 : 수직 지지·슬라이딩판
71 : 오토클레이브 본체
72 : 오토클레이브의 덮개
74 : 감압·가압 배관
75 : 환형 케이지
76 : 가열 쟈켓
511 : 전방의 지지 롤러
512 : 전방의 구동 롤러
513 : 전방의 보조 롤러
514 : 구동 롤러의 중앙부에 있는 소경부
515 : 후방의 지지 롤러
516 : 후방의 구동 롤러
517 : 후방의 보조 롤러
521∼522 : 광학 센서
531 : 타이밍 벨트
535 : 모터
537 : MPU
538 : 풋 스위치
551∼552 : 좌우의 측벽부
553 :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
554 :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의 혀 모양 돌기부
555 : 전방 지지 롤러 분리용의 레버
556 : 절결 형상 누름대부
561∼562 : 좌우의 문기둥 형상 측판
565 : 후방의 보조 롤러를 들어 올리기 위한 레버
566 : 후방의 보조 롤러의 지지부의 긴 구멍
571 : 천정판의 누름대부
572 : 천정판 측부의 추출품 안착부
573 : 누름대부 전방에 있는 전방 프레임부
574 : 누름대부내의 가로대
575 : 천정판 후부에 있는 도입부
576 : 누름대부 후방에 있는 후방 프레임부
577 : 도입부의 슬로프
581 : 커버 시트 회수 상자의 선반 형상 연부
582 : 선반 형상 연부의 커터날 삽입용 슬릿
584 : 선반 형상 연부로부터의 혀 모양 돌기
585∼586 : 고무 시트
601 : 수평 이송부
602 : 수직 이송부
615∼616 : 아크릴판
617 : 계수용의 광학 센서
620 : 계수 표시기
621∼622 : 시트 개방용 가이드
624 : 시트 개방용 가이드의 선단의 가스 노즐
631 : 만곡판의 누름대부
641 : 가열부
642 : 누름 장치
646 : 가열 밀봉부 작동용의 광학 센서
651 : 스틸대의 수평 천정판
661 : 경사 천정판
664 : 시트 이송용 가이드
671∼674 : 제1∼4의 시트 이송용 롤러 세트
675∼676 : 표면측 및 뒷면측의 롤러 샤프트
677 : 수지 롤러
[문헌 1] JP 2002-332023 A
[문헌 2] JP 2004-018094 A
[문헌 3] JP 2002-337951 A
[문헌 4] JP 2003-095216 A
[문헌 5] JP 2001-348008 A
[문헌 6] JP 2002-184837 A
[문헌 7] JP 2004-231257 A
[문헌 8] JP 2000-310785 A
[문헌 9] JP 평 9-175592 A
본 발명은 평면 표시 장치 그 밖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수납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전자·전기 제품이란, 최종 제품 뿐만 아니라, 중간 제품 혹은 반제품, 및, 각종의 전자·전기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소형(패널 대각 치수 1∼3인치) 또는 중형(패널 대각 치수 4∼10인치)의 표시 패널이나 도광판, 박형의 반도체칩,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을 포함한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를 시작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의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PDA), 카네비게이션 장치 등에 이용되는 중소형의 평면 표시 장치의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면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표시 패널 본체의 형성 후,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접속 기판을 장착함으로써 접속 기판 부착의 표시 패널의 형성이 행하여지고, 또한 이 다음에 면광원 장치 등을 조합시킴으로써 표시 패널 모듈의 형성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표시 패널 모듈이 휴대 전화 등의 최종 소비 제품에 내장된다. 표시 패널의 형성과, 표시 패널 모듈의 형성과, 표시 패널 모듈로부터의 최종 소비 제품의 형성은, 각각이 별개의 제조 설비 또는 부지내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접속 기판 장착전의 표시 패널(표시 패널 본체)의 형성과 접속 기판의 장착도, 종종, 별개의 설비나 부지내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서 표시 패널 또는 표시 패널 모듈의 수송이 행해지고 있다.
표시 패널 등의 운반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한 반송용 트레이가 이용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2-3320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0180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2-337951호 공보).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평형의 반송용 트레이의 상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납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이들 오목부내에 각 1개의 표시 패널이 안정적으로 끼워 맞춰져 보유된다(일본 특허공개 제2002-332023호 공보). 이와 같이 하여, 트럭, 철도 또는 항공기에 의해 수송될 때에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표시 패널의 파손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수납용 오목부로부터 표시 패널 등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빠져 나오는 것도 방지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4-018094호 공보).
한편,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보다 미세한 부품에 대해서는, 띠 형상의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하는 수납·반송 방법이 여러가지 검토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3-0952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1-348008호 공보). 캐리어 테이프는 띠 형상의 플라스틱 필름상에, 일렬로 등간격으로 수납용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커버 필름이 이용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연부와 각 수납용 오목부에 보유된 반도체 패키지 등의 미세한 부품을 밀봉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3-095216호 공보). 수납용 오목부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일본 특허공개 제2003-095216호 공보), 또는 베이스 필름을 뚫어 오목부를 형성한 후, 배접 필름을 붙임으로써 형성된다(일본 특허공개 제2001-348008호 공보).
한편, 반도체칩을 반송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에 대신하여, 띠 형상으로 얇고 평탄한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2-184837호 공보). 스테인레스 강판 위에 반도체칩을 일정 간격으로 안착한 다음, 커버 필름을 붙여 반도체칩을 수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칩끼리가 서로 부딪쳐 깨지거나 이지러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또한, 반도체칩을 수납한 띠 형상 강판을 릴 형상으로 감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는 릴에 감겨진 상태로 반송되며, 캐리어 테이프로의 부품의 탑재는 엠보싱 테이프 등의 각 포켓부에 부품을 삽입한 후, 커버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4-231257호 공보).
한편, 표시 패널이나 유리 기판과 같은 반제품을 공장의 동일 건물내 또는 동일 부지내와 같은 근린의 처리 설비나 가공 라인에까지 반송하기 위해서는, 셀 카세트 또는 셀랙이라 불리는 수납구가 이용되고 있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0-310785호 공보). 셀 카세트는 직사각형의 광체의 전면이 개구하고, 좌우의 측벽으 로부터 표시 패널을 계지하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돌출하여, 이에 따라 다수의 표시 패널을 상하로 늘어놓아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표시 패널 등에 대해 감압이나 가열 등의 처리를 행할 때에, 많은 경우, 셀 카세트째로 감압실이나 가열실로 넣어진다(일본 특허공개 제2000-310785호 공보 ).
반송 트레이나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수납 오목부의 치수가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와 거의 일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전자·전기 제품의 품종 등이 바뀔 때마다 수납 오목부의 치수가 상이한 것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는 오로지 미세한 부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완충 작용 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과 같은 비교적 치수가 크고, 파손의 가능성도 큰 전자·전기 제품에 대해서는,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는 것 외에 적당한 방법을 전혀 생각할 수 없었다.
그런데,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여 반송을 행하는 경우, 수송중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표시 패널의 에지부가 반송 트레이의 보유면을 마모시켜 분진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모듈을 표시 패널 생산지로부터 최종 소비 제품의 생산지로 수송하는 경우, 반송 트레이를 폐기하지 않고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비운 반송 트레이를 표시 패널 모듈의 생산지로 돌려 보낼 필요가 있었다. 특히, 반송 트레이는 접거나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반송시, 적재시에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커 수송 코스트가 늘어나게 되어 있었다.
또한,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에, 밀봉이 비교적 곤란하여, 미세한 분진이나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반송 트레이를 포개어 쌓은 것에 대해, 두꺼운 수지 시트로 감싸 밀봉하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띠 형상 스테인레스 강판상에 커버 필름으로 붙이는 방식은, 두께가 큰 반도체칩과 같은 균열에 강한 전자·전기 제품을 근접한 개소에 반송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은 말할 것도 없고, 반도체칩이라도 박형의 것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강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송 중량이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전자·전기 제품을 반송 트레이에 적재하여 수납하는 개소에서는, 적재전 및 적재후의 반송 트레이를 쌓아 둘 스페이스가 필요하였다. 또한, 반송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적재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빈 반송 트레이를 위에 포개어 쌓는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재 작업의 수고·노력이 커지고 있었다. 로봇암 등에 의해 적재를 행할 때에도, 그 위치 제어의 설정이 복잡하게 되어, 비용 증가가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반송 트레이로부터 추출할 때에도 완전히 마찬가지로 반송 트레이를 쌓아 둘 스페이스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추출 작업의 수고·노력이 크고, 로봇암에 의한 처리도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다른 한편, 셀 카세트를 이용하여 근린 개소로 반송하는 경우, 적재 및 추출 의 수고·노력은 비교적 적지만, 셀 카세트를 배치할 스페이스가 필요하였다. 또한, 표시 패널 등의 치수가 변화한 경우, 셀 카세트를 교환하거나, 또는, 셀 카세트를 다시 조립하여 좌우의 측벽간의 간격 또는 돌기의 돌출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다수의 셀 카세트를 서로 교환하여 이용하는 것은, 필요한 셀 카세트의 수가 많아져, 셀 카세트 그 자체 또는 그 보관 장소를 위해 코스트가 증대해 버린다. 또한, 셀 카세트의 재조립 등에는, 상당한 작업 시간이 들 뿐만 아니라, 정밀한 조정을 위해 숙련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유리 기판, 또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과, 수지로 이루어지는 셀 카세트의 벽면 또는 돌기가 충돌하거나 또는 마찰하여, 유리 기판에 균열이나 이지러짐이 생기거나, 연삭 부스러기에 의한 쓰레기(이물)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의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평면 표시 장치 그 밖의 전자·전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포장 장치에 있어서,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 변화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저코스트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전기 제품의 손상이나 분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전기 제품의 수납이나 수납체의 회수 등을 위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형(平形)의 제1 전자·전기 제품에 대해, 순차적으로,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사이에 끼워 넣을 뿐만 아니라, 그 수지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또한 한개마다 하나의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지 시트 끼리를 융착 또는 접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상기 제1 전자·전기 제품이 1열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수납된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고, 이 후, 그 띠 형상 수납체의 상태로 상기 제1 전자·전기 제품을 보관 또는 반송하여 제2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전자·전기 제품이란, 본 명세서의 기술 분야의 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자·전기 분야에 포함되는 각종 제품 및 중간품 및 이들에 내장되는 각종의 부품, 장치 및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지 시트란, 두께가 두꺼운 것 뿐만 아니라, 수지제에 한하여 일반적으로 필름 또는 시트라 불리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사이에 그 수지 시트간을 접합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을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를 1열로 형성하여, 얻어진 수납부가 딸린 띠 형상 시트에 상기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을 일단 수납하여 띠 형상 수납체로 한 후, 이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 상기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을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전기 제품의 띠 형상 수납체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사이에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이 소정의 간격으로 1열로 배치되고, 그 각 전자·전기 제품을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가 상기 수지 시트간을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형성되며, 그 접합부에 의해 각 전자·전기 제품이 소정 위치에서 보유되고, 또한, 상기 수납부의 열의 양 측에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귀부(耳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전기 제품의 띠 형상 수납체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한쪽의 연부를 따라 표면측 및 뒷면측 시트부의 사이에 제1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이 후, 그 띠 형상의 수지 시트를 상기 한쪽의 연부가 하방으로 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그 수지 시트의 다른 한쪽의 연부측으로부터 상기 표면측 및 뒷면측 시트부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열면서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 디바이스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띠 형상의 수지 시트를 한편의 연부가 하방으로 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와, 그 수평 이송부에 있어서, 그 수지 시트에서의 다른 한쪽의 연부측에서 표면측의 시트부와 뒷면측의 시트부의 사이를 열어, 상기 전자, 전기 제품의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 개방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봉 디바이스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띠 형상 수납체의 수지 시트로부터 인출된 제1 띠 형상 시트부를 감아 견인하는 제1 구동 롤러와, 그 수지 시트로부터 인출된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감아 견인하는 제2 구동 롤러와, 실질상 이들 제1 및 제2 구동 롤러의 회전 구동만에 의해 상기 띠 형상 수납체를 순차적으로 끌어 들일 뿐만 아니라, 이것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역방향으로 견인하여 파단 또는 박리에 의해 분리하는 시트 분리 진행 개소와, 상기 시트 분리 진행 개소와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중간에 있으며,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상기 제1 띠 형상 시트부상에서 추출 가능하게 안착하는 추출 개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건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열심히 검토하는 가운데, 반송 트레이나 셀 카세트에 대신하는 수납재의 탐색을 여러가지 시도하였다. 특히, 표시 패널에 균열이나 이지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재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유한다고 하는 곤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발포 재료나 적층 복합 시트 등의 이용을 검토하였다.
예의 검토를 계속하던 중에, 우연히도, 평탄한 범용 수지 시트의 사이에 표시 패널을 끼워 넣어 적절히 시트간을 가열 밀봉한다고 하는 단순한 방법을 시도하기에 이르렀다. 그러자, 전혀 의외로, 조건에 따라, 표시 패널의 보유와 충격 등으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띠 형상의 수납체를 제작하여 릴에 감거나 릴로부터 풀어내면서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건 발명자는, 한층 더 검토를 행한 결과, 신규 띠 형상의 수납체는 반드시 릴에 감을 필요가 없고, 적당히 절곡하거나 되접으면서, 포개어 수납할 수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띠 형상의 수납체를 제작하여 전자·전기 제품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의 제작 및 수납보다 간편한 방법 및 장치로 수납 및 포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본 건 발명자는, 더 검토하던 중에, 신규 띠 형상 수납체를 셀 카세트 대신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즉, 포켓부의 개구측을 닫지 않고 반 개 상태로 수납하여, 그 개구를 상방으로 하여 배치한다면, 셀 카세트와 마찬가지의 수납구로서 이용 가능하였다.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로서는, 어느 정도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인성(toughness), 내구성(durability) 및 유연성(flexibility)이 있으면서도 융착 또는 접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융착 가능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열가소성의 융착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라도 무방하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접착성을 구비한 시트라면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처리에 의해 조면화 또는 극성화를 행한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지 시트는 경우에 따라서는,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가요성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수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띠 형상 수납체에서의 적어도 한쪽 면의 시트부가 투명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면의 시트부가 모두 투명하다. 이에 따라, 포장된 전기·전자 제품의 종류나 성상(性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전자 제품에 각인된 제조 로트 번호나 품종명 등을, 개봉하지 않고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외형부의 파손과 같은 불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수지 시트의 한쪽 면측만을 투명한 시트로 하는 경우에, 다른 한쪽의 면을 발포성의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수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띠 형상 수납체에서의 적어도 한쪽 면의 시트부가, 대전 방지성을 갖는다. 그 시트부를 이루는 수지층의 전체에 대전 방지성의 재료가 브렌드된 것이라도 되며, 또한, 표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대전 방지성을 부여함으로써, 포장, 반송 및 추출의 각 공정에 있어서, 원하지 않는 정전기의 발생과 이에 따른, 전자·전기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대전 방지성의 부여는, 예를 들면, 안티몬복산화물이나, 인듐을 도핑한 산화 주석(ITO) 또는 산화 아연(IZO)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시킨 투명 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전성 카본 입자와 같은 비투명성의 입자에 의해 대전 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9-175592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층으로 하고,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칼륨·아이오노머의 층을 한쪽의 표면에 형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아이오노머는 융착 및 박리의 용이한 밀봉층을 이룰 뿐만 아니라, 대전 방지의 역할을 한다.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융착은, 초음파 융착(=초음파 밀봉(ultrasonic sealing) 또는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 임펄스 밀봉(impulse heat sealing) 등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에 의해 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응성이나 비반응성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각종 일반적인 플라스틱용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띠 형상 수납체의 표면측의 면 및 뒷면측의 면을 이루는 시트부는,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특히 바람직한 내용에 있어서는, 한장 의 띠 형상의 수지 시트가 중앙선 부근의 개소를 따라 접혀서 구성된다. 이와 같으면, 융착성을 부여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수지 시트의 공급이나 회수 그 밖의 조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수지 시트의 두께는 비발포성의 시트인 경우, 전형적으로는 10∼300㎛이고, 특히 약 30∼80㎛이다.
띠 형상 수납체에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은, 평형의 것이다. 즉, 종방향 및 횡방향의 치수에 대한 두께의 비가, 매우 작아 적어도1/5 이하이고, 통상은 약 1/10∼1/100이다. 평판이나 가요성 시트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판상에 소형 부품을 다수 장착한 것이라도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의 만곡을 갖는 판상의 물품이라도 무방하다.
띠 형상 수납체에는, 바람직하게는, 동일 종류의 전자·전기 제품이,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하나씩이 대응하는 수납부내에 수납되어 보유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전기 제품을 일정한 순서로 수납할 수도 있으며, 간격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 로트가 전환되는 부분에서, 수납부간의 간격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전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부재를 키트로 하여 일련의 수납부내에 수납할 수도 있다. 또,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가 예를 들면 3인치 이하로 작은 치수이며, 표면측 및 뒷면측 시트부를 별개의 시트에 의해 설치하는 경우, 띠 형상 수납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열 또는 3열을 이루도록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띠 형상 수납체의 각 수납부가 접합에 의해 형성될 때, 바람직하게는, 수납 되는 전자·전기 제품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즉, 수지 시트상에 배치된 전자·전기 제품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위치 조정을 더 행하면서, 그 소정 위치에서 보유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전자·전기 제품의 모서리부나 각부에 대해 수지 시트에 의한 장력이 더해짐으로써, 전자·전기 제품이 수지 시트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유된다. 수지 시트의 폭 방향에 대한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되는 경우, 접합시에 수지 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유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띠 형상 수납체가 특별히 적합한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으로서, 접속 기판을 장착하기 전 또는 장착한 후의 표시 패널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표시 영역의 대각 치수가 1O인치 이하, 바람직하게는 8인치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인치 이하인 표시 패널을 들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전형적으로는, 액정 표시 패널이지만, 유기 EL 이나 무기 EL, 그 밖의 것이라도 마찬가지이다. 표시 패널은, 특히, 유리 기판 등의 비교적 파손이 용이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의 다른 예로서는, 평면 표시 장치용의 면광원 장치, 도광판, 또는, 구동 회로 기판 등으로, 외형 치수가 상기의 표시 패널에 거의 같은 것, 즉, 중소형의 표시 패널에 대응한 치수의 것을 들 수 있다.
띠 형상 수납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수납부의 열의 양측에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귀부가 설치된다. 이 귀부는, 띠 형상 수납체가 감겨지거나, 또는 접어진 상태에서 수납부를 보호하는 완충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 전자·전기 제품을 추출할 때에는, 수납부를 열어 행 할 필요가 있으며, 전자·전기 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추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띠 형상 수납체는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띠 형상 수납체의 표면측 시트부와 뒷면측 시트부를 서로 떼어 내도록 적당한 응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면측 시트부에는 띠 형상 수납체의 한쪽의 연부를 따라 예정 파단 개소가 설치되어, 띠 형상 수납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찢어 각 수납부를 순차적으로 열어 갈 수 있다.
박리 가능한 접합부에 의해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납부의 열의 외측에, 수지 시트의 연부끼리가 비접합 상태로 겹쳐진 2중 에지의 귀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2중에지의 귀부를 이루는 수지 시트의 연부끼리를 떼내어 감으로써, 용이하게 박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2중에지의 귀부로부터, 띠 형상 수납체에 중도의 임의의 개소에서 하나의 수납부만을 개봉함으로써, 전자·전기 제품을 발출하여, 각종의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모듈에 대해 점등 검사라 불리는 표시 성능 테스트를 행할 수 있다. 또, 이 2중에지의 귀부는, 바람직하게는, 떼어 내는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쪽 시트부의 연부가 다른 한쪽의 시트부의 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예정 파단 개소에 의해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 예정 파단 개소가 한쪽의 시트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표면측의 시트부에만 설치된다. 예정 파단 개소는, 바람직하게는, 띠 형상 수납체의 중도의 개소에서 하나의 수납부만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그 양측으로 떼어 내는 적당한 응력에 의해 파단 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정 파단 개소는, 예를 들면, 파선상 또는 점선상으로 개구를 설치하거나, 또는, 단면 노치 형상으로 절삭된 부분이 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띠 형상 수납체에 순차적으로 수납하고, 또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조립 개소에 근접하여 반송 트레이 등의 저장 개소나 추출 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조립이 완료되는 즉시 포장하고, 또한, 다음의 조립의 직전에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의 부착 등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는데 있어서의 수지 시트의 사이로의 전자·전기 제품의 공급은,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지 시트가 단면 V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면서 상방을 향해 연린 상태에서, 이 단면 V자 형상의 간극내에 떨어뜨려지거나 밀어 넣도록 하여 행해진다. 또한, 이 때, 단면 V자 형상의 바닥에까지 달하지 않도록, 적당한 계지 작용에 의해, 수지 시트의 폭 방향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표면측 시트부와 뒷면측 시트부의 사이를 적절히 융착하여 포켓부를 미리 설치하여 둔다. 띠 형상 수납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 디바이스는, 수평 이송부와 수직 이송부를 구비하고, 수평 이송부에서는 포켓부의 개구측을 시트 개방용 가이드에 의해 열면서, 예를 들면 휴대 전화용의 표시 패널을, 순차적으로 포켓부로 삽입한다. 수평 이송부로부터 수직 이송부로의 이행은, 행로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곡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누름대부를 갖는 만곡판을 따라서 행해진다. 그리고, 수직 이송부에서는, 적절히, 가열 밀봉부에 의해 포켓부를 닫는다.
이와 같이, 수평 이송부와 수직 이송부를 조합함으로써, 포장 디바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포켓부를 닫는다면, 수지 시트가 충분히 펼쳐져, 주름이나 일그러짐이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의 밀봉이 가능해진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정 개수마다 공수납부가 설치되고, 이 공수납부의 개소에서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상 또는 감긴 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의 선단에는, 공수납부가 연속한 형태, 또는 앞뒤의 시트부간에 접합부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에서의 리드부를 형성해 둘 수 있다.
띠 형상 수납체는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대로, 또는 완충성의 심체 주위에, 나선상으로 감겨져, 이 상태로 보관 또는 반송이 행해진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결 형상으로 번갈아 절첩된 상태로 보관 또는 반송이 행해진다. 이들 수납 상태에 있어서, 각 수납부내의 공기 또는 그 외의 기체가 완충 작용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결 형상으로 번갈아 절첩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분지 상자 등의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 복수의 소실이 설치되고, 이 소실이 외벽 및 근처의 소실로부터 완충성의 공극 또는 완충재층에 의해 격리된다.
띠 형상 수납체내의 수납부는,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기로부터 차단되어 밀봉되고, 이에 따라, 쓰레기의 침입이나 습기의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전자·전기 제품이 보호된다. 접합시, 밀봉되는 수납부는, 각각 독립된 밀봉 개소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적당한 연통부에 의해 서로 연통시킬 수도 있다.
밀봉시에, 내부를 질소나 탄산 가스와 같은 비활성의 기체에 의해 치환해 둘 수도 있고, 이에 대신하여, 수납부의 내부를 감압해 둠으로써 산소를 배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압실내에서 밀봉을 행하여, 대기압하에서 수지 시트가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의 수납부를 밀봉하는 경우, 내부에 흡습제, 탈산소제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의 층을 수지 시트의 내면에 형성함으로써, 흡습제층으로 할 수도 있다.
하나의 띠 형상 수납체내에, 일련의 부재,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본체, 프레임 및 접속 기판이 이 순서로 반복되도록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부재를 각 띠 형상 수납체내에 수납하고, 각각, 하나의 마분지 상자내의 소실에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띠 형상 수납체내의 수납부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전기 제품의 추출 및 재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포켓부의 개구가 열린 상태이다. 즉, 전자·전기 제품을 삽입할 때의 삽입구가 열린 채로 있다. 이와 같은 형태라면, 예를 들면 근린의 개소간에서 전자·전기 제품의 반송을 행하는 경우에, 수납부 첨부의 띠 형상 시트를 반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띠 형상 수납체의 상태로 오토클레이브, 반응 용기, 처리 챔버 등에 내장, 감압, 가압, 가열, 냉각, 압체, 온풍 처리, 가스 치환, 에이징, 클리닝 그 밖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수납부 첨부의 띠 형상 시트를 카세트 케이스에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전기 제품을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가공 처리시의 보유구로 하는 경우, 내구성 또는 내열성이 높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에 예시한 폴리에틸렌(PE)계 수지 외에, 보다 내열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내구성 및 내열성이 높은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FEP)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도전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메시층을 라미네이트하여도 된다.
띠 형상 수납체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에 대한 기종, 품종, 제조 로트, 제조일, 생산지, 발송지, 발송 기종, 또는 취급상의 주의 등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 또는 기호를 인쇄해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전기 제품 자체로의 각인이나 라벨 부착에 대신하여, 다음 공정의 조작에 의해, 필요한 정보나 주의점 등을 바코드나 주의를 재촉하는 기호, 문자열 등에 의해 나타내 두어, 전자·전기 제품의 추출시에 판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띠 형상 수납체 및 포장 방법은, 단순히, 중간 제품 또는 최종 제품의 출하를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 방법에 의해, 제품의 완성으로부터 시간을 두지 않고 순차적으로 포장을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출하처에서 는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사용 또는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띠 형상 포장체로부터의 전자·전기 제품의 추출은, 모두 수동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범용 로보트 장치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하기와 같은 개봉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하여 떨어뜨리거나 하는 원인에 의한 전자·전기 제품의 손상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개봉 디바이스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구동에 의해, 그 한쪽측으로부터 띠 형상 수납체를 수용하면서, 특정의 선을 따른 수지 시트의 파단, 박리 또는 절단에 의해, 띠 형상 수납체의 각 수납부를 순차적으로 열어 간다. 그리고, 1개 또는 복수개씩의 전자·전기 제품을 수동, 또는 로봇암 등의 전달 수단에 의해 다음의 공정으로 제공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정 파단 개소 또는 예정 박리 개소가 띠 형상 수납체의 양 연부를 따라 설치된다. 개봉 디바이스는 표면측 시트부 또는 그 일부와 뒷면측 시트부 또는 그 일부를, 잡아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떼어냄으로써, 띠 형상 수납체를 개봉하여, 수납되어 있던 전자·전기 제품을 추출 가능하게 한다.
〈1. 제1 실시 형태〉
〈실시예 1-1〉
실시예 1-1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도1 내지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은 표시 패널 모듈(2)이다.
도1은 실시예 1-1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이고,도2는 표시 패널 모듈(2)을 수지 시트(1)의 사이에 끼워 넣는 모습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3는 띠 형상 수납체(10)로부터 표시 패널 모듈(2)을 추출하는 모습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표시 패널 모듈(2)은 표시 패널 본체(21)와, 이 주연부에 접속된 접속 기판(22)과, 표시 패널 본체(21)의 주연부를 보유하는 프레임(23)과, 면광원 장치로 이루어진다. 구체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 모듈(2)은 폴더형의 휴대 전화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접속 기판(22)이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FPC)과 이 위에 탑재된 콘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진다. 표시 패널 본체(21)는 한쌍의 유리 기판 사이의 미세한 간극에 액정 재료가 봉입되어 보유된 것이다. 예를 들면, 고선명 컬러 표시를 행하기 위해 폴리실리콘(p-Si)형 TFT를 각 화소 도트의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한 것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의 대각 치수가 약 3인치이다.
띠 형상 수납체(10)를 이루는 수지 시트(1)는, 구체예에 있어서, 비가교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에,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칼륨·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비대전성의 밀봉층을 형성한 투명 시트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수납체(10)를 이루는 띠 형상의 수지 시트(1)는 중앙선의 근방을 따라 반으로 접어진 상태로, 각 표시 패널 모듈(2)을 끼워 넣고 있다. 즉, 표면측 시트부(1A)와 뒷면측으로 되접어 꺾인 뒷면측 시트부(1B)의 사이에 각 표시 패널 모듈(2)을 보유하고 있으며, 절곡 개소(1C)가 띠 형 상 수납체(10)의 한쪽 연부를 이루고 있다. 또, 접어진 내측의 층이 상기의 비대전성의 밀봉층을 이룬다.
띠 형상 수납체(10)의 다른 한쪽의 연부, 즉 절곡 개소(1C)와는 반대측의 연부의 개소에서는,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11A)와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11B)가 겹쳐져 있다. 상세하게는,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11B)가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11A)보다 시트폭 방향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면측 시트부(1A)와 뒷면측 시트부(1B)는 펄스파 형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 형상의 접합부(12)에서 서로 접합되고 있다. 구체예에 있어서, 접합부(12)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접합부(12)를 형성하는 시트부간의 융착은 소정 형상의 툴이 순차적으로 소정 위치에 할당되어, 초음파가 인가됨으로써 행해진다.
선 형상의 접합부(12)에 의해, 각 1개의 표시 패널 모듈(2)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납부(15)와, 서로 이웃하는 수납부(15)끼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7)가 형성된다. 한편, 수납부(15)의 열의 양측에는, 귀부(14, 16)가 형성되고, 이들 귀부(14, 16)에는 각 수납부(15)의 중앙점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용 홀(13)이 펀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쪽 귀부(14)의 외연부가 상기의 절곡 개소(1C)이고, 다른 한쪽의 귀부(16)는, 상기와 같이,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11B)가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11A)보다 돌출하여 2중 에지로 되어 있다.
치수 구성의 일 구체예를 든다면,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이 150∼200㎜, 귀부(14, 16)의 폭이 10∼30㎜, 각 수납부(15)의 시트 길이 방향의 치수가 5∼100 ㎜이고, 수납부(15) 사이의 간격이 10∼30㎜이다. 접합부(12)의 폭은, 예를 들면 1∼3㎜이고, 수지 시트(1)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50㎛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시트(1)는 거의 중앙선을 따라 반으로 꺾어진 상태로 롤(31)에 감겨져 있다. 이 상태에서의 절곡 개소는, 띠 형상 수납체(10)의 형성후의 절곡 개소(1C)와 동일하다. 따라서, 절곡 개소에서 보아서 다른 한쪽의 연부는 상기의 2중 에지로 되어 있고,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11B)가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11A)보다 조금 돌출하고 있다. 이 수지 시트(1)는,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통 형상으로 성형된 후, 1개소에서 길이 방향에 연속적으로 절단될 뿐만 아니라 소정 개소에서 반으로 접혀지면서, 롤(31)에 감긴 것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31)로부터 내보내진 수지 시트(1)는 이송되면서 V자 형상으로 열려, 이와 같이 열린 틈에 표시 패널 모듈(2)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떨어뜨려진다. 이 때, 수지 시트(1)는 단면 V자 형상의 가이드 부재(34)의 내면(34A, 34B)과 슬라이딩하면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도시의 구체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4)의 한쪽의 내면(34A)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내면(34b)이 수직에서 약 10∼25°경사져 있어, 이 경사진 내면(34B)을 따라 뒷면측 시트부(1B)가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진 뒷면측 시트부(1B)를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하여, 표시 패널 모듈(2)이 떨어뜨려진다. 이 때, 가이드 부재(34)의 개방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 모듈(2)은 V자의 바닥에 이르기 전에, 모서리부(稜部)가 가이드 부재(34)의 거의 수직인 내 면(34A)에 걸려 버린다. 이와 같이 하여, 떨어뜨려진 표시 패널 모듈(2)이 V자의 밑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만큼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다. 즉, 폭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수지 시트(1)의 길이 방향에서의 표시 패널 모듈(2)의 위치 및 간격은, 떨어뜨리는 타이밍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가이드 부재(34)의 내면(34A, 34B)에는, 필요에 따라 불소 수지 코팅 등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표시 패널 모듈(2)이 수지 시트(1)의 소정 위치에서 끼워넣어진 후, 초음파 융착이 행해져 접합부(12)가 형성된다. 접합부(12)를 형성할 때에, 표시 패널 모듈(2)에 대해 위치 결정이 더 행해진다. 즉, 접합부(12) 형성시, 특히, 표시 패널 본체(21) 또는 프레임(23)의 각부가 수지 시트의 긴장력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표시 패널 모듈(2)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이 상태로 보유되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하는 예에 의하면, 열융착시에, 공기는 형성된 수납부(15)로부터 수지 시트(1)의 폭 방향 외측으로 빠져 나갈 수는 없지만, 연통부(17)를 통해서 빠져 나갈 수 있다. 그 때문에, 적당한 양의 공기를 각 수납부(15)내에 남겨 완충 작용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띠 형상 수납체(10)의 말단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면, 수납부(15) 및 연통부(17)가 접합부(12)에 의해 외기로부터 밀봉되게 된다. 그 때문에, 띠 형상 수납체(10)의 내부에 질소 가스나 이산화탄소 가스와 같은 비활성의 기체를 봉입할 수도 있다. 특히, 수납부(15)가 연통부(17)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띠 형 상 수납체(10) 말단부의 밀봉을 행하기 전에 비활성의 기체를 봉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띠 형상 수납체(10)의 선단으로부터 질소 가스를 불어 넣어, 초음파 융착 개소의 근방 등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질소 가스에 의한 치환을 행해 둘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띠 형상 수납체(10)를 형성한 후, 그 말단으로부터 진공 흡인함으로써, 내부를 감압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도3에는 띠 형상 수납체(10)를 나선상으로 감은 다음, 마분지 상자(4)에 채워 넣은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띠 형상 수납체(10)는 시트면이 거의 수직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있고, 귀부(14, 16)의 전체가 수납부(15)의 집합체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은 완충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띠 형상 수납체(10)를 이용하는 이와 같은 포장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동일한 표시 패널 모듈(2)을 동일 개수만큼 종래의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여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재 하물의 체적을 약 2/3로 줄일 수 있었다. 또한, 통상의 도로를 통해 수백 킬로 트럭 수송한 경우에도,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 본체(21)에 균열이나 이지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쓰레기나 습기의 발생이나 침입과 같은 문제가 전혀 생기지 않았다.
도4에는 띠 형상 수납체(10)로부터 표시 패널 모듈(2)을 추출하는 모습에 대해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수지 시트(1)를 절곡 개소(1C)에서 절단하면서, 표면측 시트부(1A)와 뒷면측 시트부(1B)를 상하로 떼어 내어 박리하고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시트(1)는 수평의 가이드면(35)을 따라 이송 되고, 가이드면(35)의 종단부(35A)에 도달하기 전에, 표면측 시트부(1A)가 뒷면측 시트부(1B)로부터 분리되어 롤(32)에 감긴다. 그리고, 가이드면(35)의 종단부(35A)에서 추출 가능해진 표시 패널 모듈(2)이, 예를 들면, 진공척(37)을 구비한 로봇암(36)에 의해, 휴대 전화의 조립 개소로 반송된다. 또, 가이드면(35)에는 필요에 따라 불소 수지 등의 코팅이 행해진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대해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2는 띠 형상 수납체(10)를 마분지 상자(4)에 수납하는 방식만 실시예 1-1(도3)과 상이하다.
마분지 상자(4)의 내부에는, 마분지 상자(4)의 소재와 동일한 하니콤 코어의 마분지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다수의 격벽(41)이 거의 수직 방향을 향하면서 또한, 단면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면 직사각형의 소실(42)이 4개 형성되고, 각 소실(42)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띠 형상 수납체(10)가 물결 형상으로 접어져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 상태에서도, 표시 패널 모듈(2)은 실시예 1의 경우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귀부(14, 16)의 중합 부분에 의한 상하로부터의 완충 작용을 받으면서 보유되고 있다.
각 소실(42)은 마분지 상자(4)의 외벽으로부터도, 또한, 근처의 소실(42)로부터도, 격벽(41)에 의해 형성된 단면 직사각형의 공극실(43)을 통해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소실(42)에 배치된 띠 형상 수납체(10)는 측방으로부터 받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고 있다.
〈실시예 1-3〉
도6에 도시하는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와 완전히 마찬가지의 수납 방식(도5)에 있어서, 띠 형상 수납체(10)의 시트면이 거의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각 소실(42) 및 격벽(41)도 거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격벽(41) 및 공극실(43)에 의한 완충 작용이 수직 방향으로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실시예 2의 경우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1-4〉
도7에 도시하는 실시예 1-4는, 실시예 1-1과 같은 띠 형상 수납체(10)(도1)에, 미싱눈(작은 개구의 열) 등으로 이루어지는 예정 파단선(예정 파단 개소)(18)이 형성된 것이다. 단, 접합부(12)는 각 표시 패널 모듈(2)을 수납하는 각 개별로 독립의 수납부(15)를 형성하고, 수납부(15)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17)는 생략되어 있다.
예정 파단 개소(18)는 표면측 시트부(1A)에만 설치되고, 띠 형상 수납체(10)의 한쪽의 연부를 따라 그 연부에 평행으로 연속하여 연장되고 있다. 예정 파단선(18)의 형성은, 예를 들면, 롤(31)로부터 내보내진 수지 시트(1)를 V자 형상으로 벌린 상태에서, 표시 패널 모듈(2)을 떨어뜨리기 전에, 표면측 시트부(1A)에 대해 펀치 구멍을 일렬로 형성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예정 파단 개소(18)는 절곡 개소(1C)에 근접하여 연장되고 있다.
예정 파단선(18)을 찢어 수납부(15)를 개봉함으로써, 표시 패널 모듈(2)에 대해 표시 패널 본체(21)측으로부터 끌어 당겨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예정 파단 개소(18)가 띠 형상 수납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기 때문에, 띠 형상 수납체(10)의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또한 연속적으로 예정 파단 개소(18)로부터의 개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10)의 중도의 개소에서, 하나의 수납부(15)의 개봉만을 행할 수도 있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 접합부(12)는 예정 파단선(18)과 교차하는 개소에서 생략되어 있어, 연속적인 파단이 순조롭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정 파단 개소(18)에 의해 각 수납부(15)의 개봉이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접합부(12)는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것이 아니라도 된다.
예정 파단선(18)은 미싱눈에 대신하여, 연속한 선상의 박육부(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수납부(15)의 내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밀봉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부(15) 사이의 영역 또는 접합부(12)의 개소에, 양 쐐기 형상 또는 선상의 개구를 「절개구」로서 형성해 둘 수도 있다. 즉, 「절개구」로부터 찢어 감으로써, 수납부(15)를 개봉하도록 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 가능하다.
〈실시예 1-5〉
도8에 도시하는 실시예 1-5는 실시예 1-1과 거의 같은 띠 형상 수납체(10)(도1)에, 접속 기판(22) 등이 장착되기 전의 표시 패널, 즉 표시 패널 본체(21)가 수납된 것이다. 단, 도시의 예에 있어서, 수납부(15)는 밀봉되지 않고, 수납부의 구석 각부에서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열려 있다. 또한, 연통부(17)도 형성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의 띠 형상 수납체를 이용한 경우에도, 밀봉이나 가스 치환 등이 가능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1의 경우와 완 전히 동일하다.
〈2. 제2 실시 형태-개봉 및 포장 장치 및 방법〉
〈2-1 띠 형상 수납체〉
이하에, 도9∼도28을 이용하여, 개봉 및 포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한 예를 나타낸다. 도9 및 도10은 개봉 또는 제조의 대상으로 한 띠 형상 수납체를 도시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수납부(15)간에 폭이 넓은 밀봉부(12)가 1개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레이프를 이루어 박리가 용이한 밀봉부(12A)와, 보다 강하게 접합한 밀봉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박리가 용이한 밀봉부(12A)는 표시 패널(21)을 수납하기 전에, 경도의 초음파 밀봉에 의해 미리 형성되어 포켓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밀봉부(12B)는 표시 패널(21)을 삽입한 후에, 임펄스 밀봉 장치를 이용한 가열 밀봉 등에 의해 포켓부를 닫아 각 수납부(15)를 형성하는 것이다.
치수 구성의 일 구체예를 들면,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이 150∼200㎜, 귀부(14, 16)의 폭이 10∼30㎜, 각 수납부(15)의 시트 길이 방향의 치수가 5∼100㎜이고, 수납부(15) 사이의 간격이 10∼30㎜이다. 접합부(12A)의 폭은, 예를 들면 5∼15㎜, 접합부(12B)의 폭은, 예를 들면 1∼3㎜이고, 수지 시트(1)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50㎛이다. 표시 패널 모듈(2), 표시 패널 본체(21) 및 수지 시트(1)의 재질은, 실시예 1-1(도1)에 관해 설명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의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2-2 개봉 디바이스 및 개봉 방법〉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의 추출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및 개봉 방법의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 도11 내지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1 내지 도13은 작동시의 개봉 디바이스의 외관도이다. 도14 및 15는 작동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16은 개봉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의 외관 구성에 대해 도시하는 절개 외관도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띠 형상 수납체(10)를 공급하는 측을, 개봉 디바이스(5)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개봉 대상의 띠 형상 수납체(10)로서, 도9 또는 도10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1 내지 13에는 표시 패널 본체(21)가 수납된 경우(도9)가 도시되어 있지만, 표시 패널 모듈(2)이 수납된 경우(도10)도 완전히 같기 때문에, 적절히, 표시 패널로서 설명한다.
도시의 구체예에 있어서, 개봉 디바이스(5)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부(55)와, 베이스부(55)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6)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에서 보아서 거의 L자 형상이다. 또, 도11 및 도1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56)의 상부에는 후방으로부터 시트 회수 상자(58)가 장착되고 있으며, 미개봉의 띠 형상 수납체(10)는 시트 회수 상자(58)의 하부에 배치되어, 베이스부(55)상으로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개봉 디바이스(5)의 베이스부(55)는 좌우 한쌍의 측벽부(551, 552)와, 이들 측벽부의 전방 단부의 사이에 걸쳐진 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1∼513)와, 천정판(57)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55)의 천정판(57)은 좌우의 연부에 따른 추출품 안착부(572)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넓은 직사각형의 누름대부(571)와, 누름대 부(571)의 후방에 있는 슬로프(577)(도14 및 도16)가 딸린 도입부(575)로 이루어진다. 한편, 개봉 디바이스(5)의 수직부(56)는 베이스부(55)의 좌우의 측벽부(551, 552)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 562)와, 이것들의 사이에 걸쳐진 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5∼517)로 이루어진다.
띠 형상 수납체(10)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각 연부를 따라 일직선을 이루는 미싱눈(18)이 들어가 있어, 이 미싱눈(18)을 따라 개봉이 행해지도록,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부(1A, 1B)가 서로 떼어 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표면측 시트부(1A)에서의 미싱눈(18)의 사이의 부분(이후, 커버 시트(1D)라고 한다)이 그 외의 시트부(이후, 베이스 시트(1E)라고 한다)로부터 떼어 내진다. 개봉 디바이스(5)의 롤러 기구(51)에 의해, 베이스부(55)의 상면으로 도입된 띠 형상 수납체(10)로부터, 커버 시트(1D)가 거의 수평 방향 후방으로 끌려가 회수되어 갈 뿐만 아니라, 베이스 시트(1E)가 거의 수평 방향 전방으로 끌려가 회수되어 간다. 그리고, 베이스부(55)의 상면에 있어서, 복수개(도시의 예에서는 5개)의 표시 패널 본체(21)가 추출 가능하게 되었다면, 일단, 롤러 기구(51)의 구동을 정지하고, 표시 패널 본체(21)를 추출하여 표시 패널 모듈(2)을 조립하는 공정으로 제공한다.
파단에 의한 개봉의 진행과 함께, 베이스 시트(1E)는 베이스부(55)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1∼513)에 의해 견인되어 배출된다. 베이스 시트(1E)는, 우선,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롤러(511)에 상측으로부터 감겨 후방으로 방향을 바꾼 후, 하방에 있는 수지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롤러(512)와 이 후방의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롤러(513)의 사이를 통과하 여, 하방 내지 전방으로 배출되어 미도시의 회수대 등에 모아진다. 한편, 커버 시트(1D)는 베이스 시트(1E)의 견인 및 배출과 동기하여, 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5∼517)에 의해 견인되어 배출된다. 커버 시트(1D)는, 우선,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롤러(515)에 하측으로부터 감겨 전방으로 방향을 바꾼 후, 상방에 있는 수지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롤러(516)와, 이 전방 비스듬히 위쪽의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롤러(517)의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배출되어 시트 회수 상자(58)내로 떨어뜨려진다.
개봉 디바이스(5)중, 띠 형상 수납체(10)에서의 개봉전의 부분에는 롤러가 접하고 있지 않고, 띠 형상 수납체(10)는 베이스 시트(1E) 및 커버 시트(1D)가 각각 한쌍의 구동 롤러(512, 516)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개봉 디바이스(5)의 베이스부(55) 상면으로 끌려 들어간다. 즉, 띠 형상 수납체(10)를 개봉 디바이스내로 송부하는 기구가 별도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띠 형상 수납체(10)의 로딩, 개봉·파단, 및 그 후의 수지 시트의 회수·배출은, 모두, 한쌍의 구동 롤러(512, 516)의 구동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들 한쌍의 구동 롤러(512, 516)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531)에 의해 서로 동기가 취해지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모터(535)에 감속기를 통해 접속하는 톱니 형상 휠(534)과, 각 구동 롤러(512, 516)의 구동축에 접속하는 톱니 형상 휠(532, 533)에, 하나의 타이밍 벨트(531)가 걸쳐 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535)의 구동에 수반하여 구동 롤러(512, 516)가 완전히 동기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 개봉 디바이스(5)에는, 타이밍 벨트(531)을 거의 L자 형상의 영역내에 넣기 위한 보조 휠(536)이 모터(535)로부터의 톱니 형상 휠(534)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베이스부(55)의 우측의 측벽부(552) 및 우측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2)는, 하나의 거의 L자 모양의 지지 플레이트(502)와 이를 덮는 마찬가지로 거의 L자 모양의 커버 케이스(503)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부(55)의 좌측의 측벽부(551) 및 우측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는, 하나의 거의 L자 모양의 지지 플레이트(501)와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를 덮는 커버 케이스(504), 및, 베이스부(55)의 좌측 측벽부(551)의 선단부를 덮는 커버 케이스(50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롤러(511∼513, 515∼517)는 좌우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톱니 형상 휠(532∼534) 및 보조 휠(536)은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502)에 장착되고 있으며, 타이밍 벨트(531)와 함께 커버 케이스(503)에 의해 덮여 있다.
한편, 모터(535) 및 구동 롤러(512, 516)의 시동 및 정지는, 광학 센서 스위치(521)와 풋 스위치(538)에 의해 행해진다. 풋 스위치(538)는 작업원에 의해, 띠 형상 수납체(10)를 개봉 디바이스에 세트가 끝났을 때의 구동 롤러(512, 516)의 시동 및 긴급 정지를 위해 이용된다. 또한, 광학 센서 스위치(521)는 지지 롤러(511)의 조금 후방에 위를 향해 배치되며, 표시 패널 본체(21)가 도달한 것을 검지하여 모터(538)를 정지시킨다. 즉, 광학 센서 스위치(521)는 표시 패널 본체(21)가 지지 롤러(511)상을 지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55)상에 배열 가능한 개수의 표시 패널 본체(21)가 개봉된 시점에서 구동을 정 지시켜, 작업원 또는 로봇암 등에 의한 표시 패널의 회수 내지 전달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광학 센서 스위치(521)는, 구체예에 있어서, 적색 레이저광의 차광을 검지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537)가 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535)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적색 레이저광의 발광부(523)는 좌우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의 상단끼리의 사이에 걸쳐진, 낫표 형상의 금속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들보(563)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들보(563)는 레이저광을 전방의 광학 센서 스위치(521)의 수광부에 도달시키기 위해, 낫표 형상의 들보(563)째로 전방 하향으로 경사시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 센서 스위치(521)는 그 수광부가 발광부(523)를 향하도록, 대응하여 후방 비스듬히 위를 향해 배치된다.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천정판(57)의 누름대부(571)는 슬로프가 딸린 도입부(575)의 전단에 있는 수평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후방 프레임부(576)와, 좌우의 추출품 안착부(575)와, 이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부(573)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그리고, 광학 센서 스위치(521)는 전방 프레임부(573)에 하방으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 전방 프레임부(573)에는 좌우 방향에 걸쳐 6개의 나사 구멍(573A)이 배열되고 있고, 또한, 대응하여 수직부(56) 상단의 낫표 형상의 들보(563)에도6개의 나사 구멍(56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사이즈 등에 맞추어, 광학 센서 스위치(521) 및 레이저광 발광부(523)의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천정판(57)의 누름대부(571)의 후단부에는, 전방의 광학 센서 스위 치(521)와 같은 광학 센서 스위치(522)가 위를 향해 설치되고 있다. 자세하게는, 광학 센서 스위치(522)가 슬로프가 딸린 도입부(575)의 전단을 이루는 수평의 후방 프레임부(576)에 하방으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고, 낫표 형상의 들보(563)의 연재부(564)에 마찬가지로 장착된 발광부(524)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수광하여, 그 차단을 검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광학 센서 스위치(522)는 조금 후방으로 기운 위를 향해 배치되고 있으며, 누름대부(571) 위로 유도된 표시 패널 등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된다. 즉, 표시 패널 계수용의 광학 센서 스위치(522)로부터의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537)에 입력되고, 베이스부(55)의 측벽부(551)에 설치된 카운터 표시기(525)에 의해 계수 결과를 표시한다. 또는, LAN 등으로 접속된 프로세스 제어실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계수 결과를 표시한다. 계수용의 광학 센서 스위치(522)의 좌우 방향의 위치도, 자동 정지용의 광학 센서 스위치(521)와 마찬가지로 조정 가능하다. 즉, 후방 프레임부(576)에 마찬가지로 배열된 6개의 나사 구멍(576A)으로부터 한쌍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광학 센서 스위치(522)의 좌우 위치 설정에 대응하여, 발광부(524)의 위치 설정도 낫표 형상의 들보의 연재부(564)에 형성된 6개의 나사 구멍(574A)으로부터 대응하는 한쌍이 선택됨으로써 행해진다.
도1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의 롤러 기구(51)에 있어서 전후의 각 지지 롤러(511, 515)는 모두, 중앙부의 지름이 양단부의 지름보다 조금 굵어지도록,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를 따른 주면을 이룬다. 즉, 중앙부에서 양 단부를 향해 점차 지름이 감소하고 있다. 지지 롤러(511, 515)의 롤러면이 이와 같음으로 써, 견인되어 회수되는 띠 형상 시트가 좌우로 과도하게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어 개봉 및 시트 회수의 진행에 따라 자동적으로 좌우 위치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도13 및 도1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의 구동 롤러(516)는 이것에 전방으로부터 조합되는 보조 롤러(517)보다 축의 위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즉, 롤러(516, 517)의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이송되는 시트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시트가 보조 롤러(517)에 감기는 트러블의 발생이 방지되고 있다. 한편, 구동 롤러(516)로의 감김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 시트 회수 상자(58) 상연부로부터 수평 전방으로 연장되는 선반 형상 연부(581)가 구동 롤러(516)의 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롤러면에 근접한 위치에까지 연장되고 있다. 또한, 구동 롤러(516)의 중앙부에 소경 원주부(514)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시트 회수 상자(58)의 선반 형상 연부(581)의 중앙으로부터, 소경 원주부(514)에 의한 오목부내로 수평으로 연재되어 돌출하는 혀 모양 돌기(58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혀 모양 돌기(584)는, 자세하게는, 그 선단부가 소경 원주부(514)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의 근방에까지 연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경 원주부(514) 및 혀 모양 돌기(584)의 작용에 의해, 구동 롤러(517)로의 시트의 감김이 완전하게 방지되고 있다. 또, 선반 형상 연부(581)에는 이 길이 방향, 즉 구동 롤러(516)의 축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582)이 설치되고 있다. 이 슬릿(582)은 커터날을 삽입하여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본체(2)로부터의 표시 패널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로트 전환에 의해 띠 형상 수납체를 바꿀 필요가 생겼을 때에, 세트되어 있는 띠 형상 수납체의 분리 조 작을 용이하게 한다. 또는, 시트 회수 상자(58)가 가득 차 올 때, 일단, 시트를 절단하고 시트 회수 상자(58)내의 시트를 정리하여, 플라스틱 봉지 등으로 옮길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슬릿(582)에 대신하여, 구동 롤러(516)를 따라 연장되는 커터날을 설치하여 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정용 식품 랩 필름의 상자에 부속되는 커터날과 같은 톱니 형상의 커터날을 선반 형상 연부(581)의 상방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커터날을 구비해 둔다면, 배출된 시트부를 좌우의 한편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측 또는 상방측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또, 시트 회수 상자(58)는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시트 회수 상자(58)는 그 전방 끝의 좌우 양측에 있는 계합부(587)가 좌우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 562)의 중단 후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용 돌출판(567)에 계합하여 지지된다. 또한, 선반 형상 연부(581)의 양단의 상면이,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 562)의 내면에 있는 핀(568)에 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 56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한편, 전방의 구동 롤러(512)의 전방 하측에는, 금속제의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53)가 베이스부(55)의 좌우 측벽부(551, 552)의 전단 하부, 자세하게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전단 하부의 사이에 걸쳐져 지지되고 있다. 이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53)는 후방의 연부가 구동 롤러(512)의 롤러면에 근접하여 좌우 방향, 즉 롤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어, 구동 롤러(512)로의 시트의 감김을 방지한다. 또한, 후방 구동 롤러(5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방 구동 롤러(512)의 중앙부에 소경 원주부(514)가 설치되어 있고,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53)의 중앙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혀 모양 돌기(554)가 소경 원주부(514)에 의한 오목부내로 연장되고 있다. 혀 모양 돌기(554)의 선단부는, 마찬가지로, 소경 원주부(514)의 접선 방향으로 되는 곳의 근방에까지 연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방 구동 롤으로의 감김도 확실히 방지되고 있다.
도14의 일점 쇄선은, 베이스 시트(1E)가 감기려고 했을 경우에, 혀 모양 돌기(554)에 의해 방지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의 구동 롤러(512)와 이것에 조합되는 보조 롤러(513)는, 축의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베이스 시트(1E)의 선단을 미리 전방으로 빼내 둔다면, 적당한 가이드 부재(557)의 작용 등에 의해 보조 롤러(513)로의 감김이 방지된다. 또,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53)에서의 구동 롤러(512)에 근접한 위치에, 시트 회수 상자(58)의 선반 형상 연부(58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터날을 삽입하기 위한 슬릿을 설치해 둘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53)의 일부, 또는, 이 하방에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톱니 형상의 커터날을 마련해 두어도 된다.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55)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있는 천정판(57)의 누름대부(571)에는, 전후 방향, 즉, 수지 시트 및 수납물의 이송 방향으로, 후방 프레임부(576)로부터 전방 프레임부(573)까지 연장되는 가로대(574)가 2개 설치되고 있어, 이에 따라, 누름대부(571)가 3개의 에어리어(571A, 571B, 571C)로 분리되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각 가로대(574)의 중앙부가 좌우 방향으 로 연장되는 보조 가로대(574A)를 통해, 천정판(57)의 추출품 안착부(572)와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누름대부(571)의 중앙의 에어리어(571B)만 보조 가로대(574A)가 없는 하나의 개구로 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대부 및 개구는, 개봉후에, 베이스 시트(1E)상에 있는 표시 패널(2)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 올리기 위해서이다. 도1 및 도2와 같이 개봉된 상태로, 작업원의 손가락, 또는 로봇암의 파지부 등에 의해, 각 표시 패널을 들어 올리게 되지만,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가로대(574)와, 수지 시트의 침하를 가능하게 하는 누름대부(571)가 존재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누름대부(571)가 없다면, 손가락끝으로 표시 패널(2)을 잡을 수 밖에 없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손가락의 배부분으로 표시 패널(21)의 양단을 확실히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인상과 전달을 위한 공정에 있어서, 작업 부담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2)을 낙하시켜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을 현격히 작게 할 수 있다.
이후, 본 실시예의 개봉 디바이스 및 개봉 방법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1 및 도1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55)의 천정판(57) 위에서, 누름대부(571)를 좌우로부터 사이에 두는 측부, 즉, 추출품 안착부(572)에는 고무 시트(585)가 접착되어 있다. 이 고무 시트(585)는 표시 패널(21) 등을 두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여, 손상이 생기는 위험성을 한층 더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고무 시트(585)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혼합 등에 의해 도전성이 부여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탄소 섬유를 끼워 넣은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면 체결부를 통해, 천정판(57)의 스테인레스면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있다. 또, 전방 끝의 스크레이퍼 형상 금구(533)는 전방을 향해, 약간 위를 향해 경사하여 연장되고 있으며, 상면에 고무 시트(586)가 마찬가지로 접착되어 있다. 이는, 만일, 자동 정지 기구가 고장나, 표시 패널(2)이 지지 롤러(511)를 통과한 경우에도, 표시 패널(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한편,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55)에 있어서 천정판(57)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의 도입부(575)는 전단에 있는 후방 프레임부(576)와, 이 후단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슬로프(577)와, 또한 이 후단에 연속하는 수직벽(578)으로 이루어진다. 슬로프(577)의 경사는, 예를 들면 30∼60도이고, 도시의 예에서는 거의 45도이다. 천정판(57)은 표면측이 평활한 스테인레스 강철 등으로 이루어져, 폴리오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1)가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수납체(10)에는 5개의 표시 패널이 수납될 때마다, 하나의 공수납부(15A)가 설치되고 있어, 이 공수납부(15A) 부분에서 구부려 지그재그 형상 내지 물결 형상으로 접어지고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1O)의 선단부에서는, 개봉 디바이스(10)로의 세트를 위한 리드 부분(10A)으로서, 5∼8개 정도의 수납부에 대응하는 치수의 빈 부분을 마련해 둔다(도9∼10). 이 리드 부분(10A)은 공수납부(15A)가 연속하여 설치된 것이라도 된다. 그러나, 수납부를 구분하는 접합부(12A)를 설치하지 않고 예정 파단선(18)만을 형성해 두는 편이, 리드 부분(1OA)으로부터 커버 시트(1D)와 베이스 시트(1E)를 분리하는 조작이 조금 용이하게 된다. 또, 띠 형상 수납체(1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져 합 쳐진 형태의 포장 유닛의 상태로 상자 포장되어 수송된다. 그리고, 리드 부분(10A)이 그 포장 유닛의 최표면에 위치하여 쿠션의 역할을 하게 된다.
개봉 디바이스(5)에 의해 띠 형상 수납체(10)의 개봉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띠 형상 수납체(10)를 도14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로 개봉 디바이스(10)의 후방 하부에 둔다. 그리고, 리드 부분(10A)을 꺼내, 수작업 등에 의해, 커버 시트(1D)와 베이스 시트(1E)로 분리하여, 각각, 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5∼517) 및 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1∼513)에 감는다.
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5∼517)로의 감기를 행하기 위해서는, 구동 롤러(516)와 보조 롤러(517)의 사이를 위를 향해, 커버 시트(1D)의 리드부를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이 감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조 롤러(517)는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56)의 상부의 좌우로부터, 레버(565)가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들 레버(565)는 전방 끝이 문기둥 형상 측판(561, 562)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지점에 가까운 개소로부터 하부로 연재된 부분이 보조 롤러(517)의 샤프트에 계합하고 있다. 좌우의 레버(565)를 들어 올리면, 보조 롤러(517)의 좌우의 샤프트가 긴 구멍(566)내를 후방 비스듬히 위로 이동한다. 또한, 도15 중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롤러(517)의 좌우의 샤프트는 좌우의 문기둥 형상 측판부(561, 562)의 광체내에 배치된 스프링(519)에 의해, 구동 롤러(516)로 향하는 스프링력을 받고 있다. 그리고, 긴 구멍(566)에는 후방 측에 계지부(566A)가 설치되고 있어, 보조 롤러(517)를 들어 올린 상태로 유지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 다. 따라서, 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5∼517)로의 감기를 행하기 위해서는, 레버(565)를 들어 올려 계지해 두고, 시트를 지지 롤러(516)의 후방으로 돌리고 나서, 구동 및 보조 롤러(515, 516)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레버(565)를 내리는 것만으로 된다.
한편, 전방의 한 세트의 롤러(511∼513)로의 감기를 행하기 위해서는, 구동 롤러(512)와 보조 롤러(513)의 사이에 시트를 하방으로 통과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개소의 상방을 지지 롤러(511)가 덮고 있다. 그 때문에, 감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도11 및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롤러(511)의 올리기 및 분리가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부(551, 552)의 전단부에는, 내면측 및 상방으로 열린 절결 형상 누름대부(556)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 롤러(511)의 좌우의 샤프트는 이 절결 형상 누름대부(556)의 바닥의 개소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고 있다. 또한, 측벽부(551, 552)의 내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좌우의 레버(565)가 지지 롤러(511)의 샤프트의 아래를 빠져 나가 개봉 디바이스(5)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좌우 어느 하나의 레버(565)를 충분히 들어 올린다면, 지지 롤러(511)의 한쪽의 샤프트가 돌출되어 절결 형상 누름대부(556)로부터 밀려 나온다. 이 후, 밀려 나온 샤프트 또는 롤러면을 잡아, 지지 롤러(511)의 전체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도1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롤러(513)의 좌우의 샤프트는 좌우의 측벽부(551, 552)의 광체내에서, 스프링(518)에 의해, 구동 롤러(511)로 향하는 스프링력을 받고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롤러(511)를 제거한 상태로, 보조 롤러(513)를 조금 후방으로 눌러 시트를 밀어 넣으면, 감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어 넣은 후에, 지지 롤러(511)를 시트 아래로 통과시키고, 절결 형상 누름대부(556)에 샤프트를 끼워 맞추면, 감기가 완료한다.
후방 및 전방의 롤러 세트로의 감기가 완료된 후에는 커버 시트(1D) 또는 베이스 시트(1E)를 적당히 끌어 당겨, 누름대부(571)의 후단 부근에서 파단이 진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개봉 동작을 위한 준비가 완료하였다면, 작업원은 풋 스위치(538)를 밟아, 전후의 구동 롤러(512, 516)에 의한 시트의 견인 동작을 개시시킨다. 그러면, 띠 형상 수납체(10)는 도입부(575)를 지나,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개봉이 진행된다. 표시 패널(2)이 누름대부(571)의 후단부를 통과할 때마다, 계수용 광학 센서(521)에 파악됨으로써, 개봉된 표시 패널(2)의 계수가 행해진다. 또한, 선두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2)이 누름대부(571)의 전단부에 이르면, 자동 정지용의 광학 센서(522)에 파악되어, 구동 롤러(512, 516)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 5개의 표시 패널(2)이 개봉된 상태로, 누름대부(571)상에 늘어서게 된다. 따라서, 작업원은 이들을 일단, 베이스부(55)상의 추출품 안착부(572)에 쌓아 올린 후, 한꺼번에 조립 라인으로 보낸다. 이와 같이 5개의 표시 패널(2)을 추출하는 택트 타임이 30초∼2분이면, 통상의 조립 라인 속도에 거의 합치하거나, 그것보다 짧은 것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의 개봉 디바이스(5)는, 섀시의 전체를 스테인레스판의 펀칭 및 휨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롤러나 센서 등의 부재도 범용의 것이기 때문에, 염가이면서도 단납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작동 기구 및 구조가 심플하기 때문에, 고장이 생길 가능성이 최소한으로 되어 있고, 만일 고장이 생긴 경우에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롤러(512, 516)에 대해, 내구성이 높은 엔프라 수지, 예를 들면 아세탈(델린) 수지에 의해 설치한다면, 일그러짐이 생길 가능성도 작으며 장기에 걸쳐 교환의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의 개봉 디바이스(5)는 운반이 가능한 탁상형으로서, 통상의 작업대 또는 간단한 테이블 위에 두고 개봉 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간 절약형이며, 공정 라인으로의 조합이나 레이아웃 변경에 대한 대응이 지극히 용이하다.
상기 실시예의 개봉 디바이스 및 개봉 방법에 의하면, 다음의 공정에 보내기 위해, 개봉된 표시 패널 등의 전자·전기 제품을 잡아 들어 올리는 조작을, 같은 자세 및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즉, 작업원은 리드부의 감기 조작을 행할 때 이외는, 개봉 디바이스의 좌우 한 측에 앉아 전달 작업을 행하는 것 만으로 된다.
또한, 로봇암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일정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대부(571)의 전방 단부에서 로봇암에 의해 표시 패널(2)을 잡아 1개씩 옮기고, 옮길 때마다 시트가 보내지도록 간헐 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래밍을 조금 바꾸는 등의 조작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작업원에 의한 조작과, 로봇암에 의한 조작의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반송 트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장의 트레이상에서도 추출 위치를 X-Y의 2축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비워진 트 레이를 트레이 수납 상자로부터 꺼내 표시 패널의 추출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도 로봇암의 위치 설정을 더 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개봉 방법 및 개봉 디바이스에 의하면, 띠 형상 수납체의 개봉을 위해서는, 커터날이나 패들 등의 금구를 띠 형상 수납체에 맞추어 누를 필요가 없어, 개봉 조작을 위해 표시 패널 등의 수납물에 상처나 손상을 줄 우려가 없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띠 형상 수납체(10)의 양 연부를 따라 미싱눈이 형성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다른 형상의 예정 파단선이라도 된다. 또한, 좌우 양 연부의 밀봉부가 박리되어 표면측의 시트부와 뒷면측의 시트부가 분리되어 가는 것이라도 완전히 동일하여, 개봉 디바이스의 설정에 대해 아무런 변경을 더할 필요도 없다. 또, 한쪽에만 예정 파단선이 형성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밀봉부가 박리되어 가는 것이라도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봉후의 표시 패널 등에 대해, 양 단면을 집도록 하여 잡아 올린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로봇암 선단의 진공척 등에 의해 상면을 흡착 보유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러한 경우, 로봇암 선단에 복수의 진공척을 배열시켜 둔다면, 동시에 예를 들면 5개의 표시 패널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부 상면이 거의 수평으로서, 개봉되었을 때에 베이스 시트 및 이 위의 표시 패널이 거의 수평으로 보유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경사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좌우 어느 쪽인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표시 패널이 들어 올려지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이 경사되어 베이스 시트상에 안착되고, 이 상태로 하면측으로부터 압출 핀의 작용에 의해 밀어 내져, 슈트 경로를 지나 다음의 공정으로 보내지는 것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누름대부(571)상의 개소로부터의 표시 패널을 추출할 때에, 구동 롤러(512, 516)의 회전 구동을 일단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개봉 작동을 연속하여 진행시켜 동시에 추출 작업을 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2-3 포장 디바이스 및 포장 방법〉
(HMB04Z022-1 발명자 4명: 히라따(平田), 시마다(嶋田), 오오하시(大橋), 이이즈까(飯塚)
띠 형상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위한 포장 디바이스의 구조에 관한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 도17 내지 도21의 부분 외관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7은 포장 디바이스(6)의 수직 이송부(602)를 도시하는 전방에서의 외관도이고, 도18은 포장 디바이스(6)의 상부(수평 이송부(601))를 도시하는 비스듬한 상방에서의 외관도이며, 도19는 포장 디바이스(6)의 전방에서 수평 이송부(601)로부터 수직 이송부(602)로 이행하는 개소의 만곡판(63)을 도시하는 비스듬한 상방에서의 외관도이다. 또한, 도20은 수평 이송부(601)내의 시트 개방용 가이드를 도시하는 상방에서의 외관도이고, 도21은 수직 이송부(602)내의 가열 밀봉부(64)를 도시하는 전방에서의 외관도이다. 또, 편의상, 띠 형상 수납체가 배출되는 하류측을 전방으로서 설명한다.
포장 디바이스(6)는 직사각형의 스틸대(65)의 상부 및 전방으로 조립되어 설치되고 있다. 직사각형의 스틸대(65)는 통상의 작업대와 같은 높이 및 구조를 갖고, 수평 천정판(651)이 앵글 강철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652) 위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652)의 하단 네 귀퉁이에 장착된 스토퍼가 딸린 캐스터(65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틸대(65)의 수평 천정판(651)상에는, 좌측(도18의 앞쪽)을 향해 상승하는 직사각형의 경사 천정판(661)이 이 윤곽을 따라 하방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662)과 이 직사각형 프레임(662)으로부터 수평 천정판(651)상을 향해 연장되는 앵글 강철재의 지주(663)를 통해 지지되고 있다.
경사 천정판(661)의 후방에는, 띠 형상의 수지 시트(1)가 감겨진 시트 롤(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롤 받침부(665)가 설치되어 있고, 스틸대(65)의 후방 좌단 부근으로부터 경사하여 연장되는 지지 들보(666)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또, 롤 받침부(665)의 회전축 및 롤(31)의 축은, 경사 천정판(661)의 상면과 거의 동일 면내에 있으며, 경사 천정판(661)의 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도17).
경사 천정판(661)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개구(685)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시트 롤(31)로부터 수지 시트(1)를 내보내고 끌어 들이기 위한 제1 이송 롤러 세트(671)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천정판(661)의 후단부에도 같은 개구(685)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수지 시트(1)를 만곡 이송부(63)로 송출하기 위한 제2 이송 롤러 세트(67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이송 롤러 세트(671, 672)는, 모두, 수 지 시트(1)의 표면측 및 뒷면측에 있는 롤러 샤프트(675, 676)와, 각 롤러 샤프트(675, 676)의 좌우의 개소에 장착된 수지 롤러(677A, 677B)로 이루어진다. 수지 롤러(677)는 차륜 형상이며, 아세탈 수지(델린)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이송 롤러 세트(671, 672)는 동일한 구조 및 치수이며, 좌우의 수지 롤러(677A, 677B)를 부착하는 위치는 제1 및 제2 이송 롤러 세트(671, 672)의 사이에서, 통상 동일하게 설정된다.
단, 제2 이송 롤러 세트(672)의 표면측의 롤러 샤프트(675)에 장착된 한쌍의 수지 롤러(677A, 677B)에 있어서는, 좌측의 수지 롤러(677A)의 지름이 우측의 수지 롤러(677B)의 지름보다 조금 크다. 예를 들면, 0.03∼0.2㎜만큼 크다. 이와 같은 좌우의 수지 롤러(677A, 677B)의 지름의 차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만곡판(63)상에 송출할 때의 시트 이송의 미묘한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각 롤러 세트(671, 672)의 수지 롤러(677)는 부착 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경사 천정판(661)상을 이송되는 수지 시트(1)의 폭에 부합하여 적절히 조정된다. 또, 경사 천정판(661)의 우연부를 따라, 시트 이송 가이드(664)가 설치되고 있다. 이 시트 이송 가이드(664)는 스테인레스 강철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의 각봉이 경사 천정판(661)의 구멍을 통해 나사 고정되어 설치되고 있다. 수지 시트(1)는 우연부가 시트 이송 가이드(664)를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수지 시트(1)의 폭이 전환되었을 때에는, 좌측의 수지 롤러(677A)의 부착 위치만을 변경하면 된다.
또한, 수지 시트(1)의 표면측에 있는 롤러 샤프트(675)는, 그 양단부가 경사 천정판(661)상에 장착된 지지 금구(678)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 금구(678)의 수직 긴 구멍(679)에 링 형상의 베어링 부재(681)가 상하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고, 이 베어링 부재(681)에 롤러 샤프트(675)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베어링 부재(681) 내면의 볼 베어링을 통해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681)에는 대응하는 지지 금구(678)에 대해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계합하는 플랜지(682)가 구비되어, 이에 따라 롤러 샤프트(675)의 좌우 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있다. 또, 뒷면측의 롤러 샤프트(676)도 같은 볼 베어링 및 지지 금구를 통해 경사 천정판(661)으로부터 지지된다. 단, 상하동은 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면측 및 뒷면측의 롤러 샤프트(675, 676)는 지지 금구(678)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베어링 부재(681)끼리, 또는, 롤러 샤프트의 선단부끼리의 사이에, 경사 천정판(661)의 구멍(683)을 가로지르는 코일 스프링(684)이 걸쳐져, 서로 미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받고 있다.
각 롤러 세트(671, 672)에서의 표면측 및 뒷면측의 롤러 샤프트(675, 676)는, 우단부(도18의 뒤쪽)에서 타이밍 벨트 및 톱니 형상 휠을 통해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즉, 이들 4개의 롤러 샤프트(675, 676)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동기되어, 동일 속도의 회전 구동을 받고 있다. 또, 표면측의 롤러 샤프트(675)의 우단부는, 코일 스프링(678)의 스프링력를 받고 있기 때문에, 한쌍의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 톱니 형상 휠을 부착한 샤프트에 접속되고 있고, 이 톱니 형상 휠이 전술한 타이밍 벨트를 통해서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표면측의 롤러 샤프트(675)를 위한 톱니 형상 휠은 휠 커버(686)내에 보유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 시트(1)에는, 미리,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포켓부(15B)가 밀봉부(1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부(12A)는, 초음파 밀봉에 의해 형성된 크레이프의 밀봉부이며,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부(1A, 1B)를 서로 떼어 냄으로써,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다. 도시의 예에서 1매의 띠 형상의 수지 시트(1)가 폭 방향으로 접어져 있고, 밀봉부(12A)는 절곡 개소(1C)와 평행으로 조금 사이를 둔 직선을 따라 형성되는 밀봉부(12C)와, 이것으로부터 가지 형상으로 시트폭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연장되는 밀봉부(12D)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지 시트(1)에는, 미리, 좌우 양 연부를 따라 미싱눈으로 이루어지는 예정 파단선(1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 우측의 예정 파단선(18)은 밀봉부(12C)보다 내측에 있다. 또한, 좌측의 예정 파단선(18)도 수직 이송부(602)로 이송된 후에 가열 밀봉부(64)에 의해 밀봉되는 개소보다 내측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켓부(15B)가 미리 형성된 수지 시트(1)가, 롤러 세트(671, 672)의 인출 구동에 의해, 시트 롤(31)로부터 내보내져, 제1 및 제2 롤러 세트(671, 672) 사이의 표시 패널 삽입부(61)에 도입된다.
경사 천정판(661)상이며 제1 롤러 세트(671)의 후방에는, 전후에 시트 가이드 핀의 쌍(668A, 668B)이 설치되고 있으며, 전후 쌍의 사이에서 구조, 치수 및 부착 위치가 동일하다. 각 한쌍의 시트 가이드 핀(668A, 668B) 중, 우측의 가이드 핀(668B)은 경사 천정판(661)상에 있으며, 시트 이송 가이드(664)와 거의 동일한 좌우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한편, 좌측의 시트 가이드 핀(668A)은 경사 천정판(661)에 설치된 좌우 방향의 긴 구멍(669)을 따라 부착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수지 시트(1)의 폭에 부합하여 설정된다.
도시의 예에서, 제1 및 제2 롤러 세트(671, 672) 및 시트 이송 가이드(664)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경사 천정판(661)의 상면을 덮도록, 직사각형의 제1 아크릴판(615)이 장착되고 있으며, 이 상면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수지 시트(1)의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지 시트(1)의 표면측 시트(1A)와 뒷면측 시트(1B)의 사이를 열어 표시 패널 삽입부(61)를 형성하기 위한 전후 한쌍의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가 아크릴판(615)상에 설치되고 있다.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는 도18 및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 등의 마찰 계수가 낮은 수지로 이루어진다. 약간 편평한 직방체상 블록을 개략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잘라내, 표면측에서 사변의 능선 및 선단부 근방의 능선을 원호상으로 구부린듯한 형상을 이룬다. 내부에는, 가스 공급관(623)을 구비하고, 시트 개방 가이드의 선단부를 향해 직원통상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그 선단이 노즐(624)이다.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는 선단부 근방에서, 횡단면이 이 노즐(624)을 둘러싸는 반원상 내지 원호상이며, 선단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상이다.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는 선단이 우측(도18의 뒤쪽)을 향해, 직각 삼각형의 경사변이 선단측 표시 패널 삽입부(61)의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는 경사 천정판(661)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긴 구멍(611, 612)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고, 수지 시트(1)의 우연부(도18의 앞쪽의 연부)가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의 선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위치로 설정된다. 도시의 예에서, 전방의 시트 개방 가이드(622)의 긴 구멍(612)의 더욱 전방에 같은 긴 구멍(613)이 설치되고 있어, 삽입되는 표시 패널의 치수가 커졌을 경우에, 전방의 시트 개방 가이드(622)를 부착하여, 시트 삽입부(61)의 전후 방향폭을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후의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 사이의 중간에는, 종횡의 치수가 삽입하는 표시 패널의 치수의 약 2∼3배인, 예를 들면 0.5∼3㎜ 두께라고 하는 비교적 얇은 표시 패널 슬라이딩용의 아크릴판(616)이, 뒷면측 시트부(1B)와 표면측 시트부(1A)의 사이에 오도록 장착되고 있다. 이 아크릴판(616)은 면 체결부(616A) 등에 의해, 경사 천정판(661)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표시 패널 슬라이딩용의 아크릴판(616)은 수지 롤(665)이 롤 지지부(655)에 세트되고, 제1 및 제2 롤러 세트 등에 의해, 적당한 치수만큼 이송된 후에, 표시 패널의 치수, 및, 수지 시트의 포켓부(15B) 등의 치수에 맞는 적당한 치수의 것이 선택되어, 표리의 시트부(1A, 1B)의 사이에 삽입되어 세트된다.
또, 삽입부(61)의 상방에는, 적색 레이저광의 차단을 검지하는 광학 센서(617)가 경사 천정판(661)에 부착되는 역 L자 형상의 암(618)을 통해 장착되고 있다. 또한, 광학 센서(617)의 바로 밑에는, 경사 천정판(661)에 좌우 방향으로 긴 구멍(619)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방에 설치된 적색 레이저 발광부의 빛이 아크릴판(615)을 투과하여 광학 센서(617)에 도달하도록 세트되어 있다. 수지 시트(1)의 포켓부(15B)에 표시 패널이 삽입될 때마다, 광학 센서(617)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여, 경사 천정판(661)의 좌측의 연부에 장착된 계수 표시기(620)에 포장 처리한 표시 패널의 개수가 표시된다.
제1 및 제2 롤러 세트(671, 672)에 의한 수지 시트(1)의 이송 구동은, 포켓부(15B)가 전후의 시트 개방 가이드(621, 622)의 정확히 중간의 위치에 오는 개소에서, 일단 정지된다. 이 때, 표시 패널(21)은 표시 패널 슬라이딩용의 아크릴판(616)에 실려, 가볍게 밀어 넣어지면, 그 아크릴판(61)을 타고 포켓부(15B)로 떨어지게 된다. 포켓부(15B)에 넣어진 표시 패널(도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패널 본체(21))이 시트 이송 구동에 의해, 전방의 시트 개방 가이드(622)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선단의 노즐(624)로부터 압축 공기 또는 압축 질소가 에어건상으로 분출되어, 표시 패널(21)을 포켓부(15B)의 바닥에까지 밀어 넣는다. 즉 수지 시트(1)의 연부에 따라 밀봉부(12C)의 근처에까지 확실히 밀어 넣는다. 이 때, 표시 패널 등의 수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다소의 진동이 가해지는 정도로 에어 블로우 또는 가스 블로우를 행하여도 되며,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소정 위치로 밀어 넣을 수가 있다.
또, 제1 시트 개방 가이드(62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시트간을 충분히 여는데 다소 기여한다. 그러나, 제2 시트 개방 가이드(622)로부터의 가스 분출만으로 충분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반드시 가스 분출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시트 개방 가이드(621)내의 가스 공급관(623) 및 노즐은 생략할 수 있다.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천정판(661)의 전방에는 스틸판으로 이루어지는 만곡판(63)이 계속되고 있어, 이들 상면이 연속한 매끄러운 시트 이송면을 이룬다. 만곡판(63)은 경사 천정판(661)의 상면을 따른 수평 이송부(601)로부터, 수직 이송부(602)로 수지 시트(1)를 순조롭게 이행시키기 위한 하나의 매끄러운 만 곡면을 이루고 있다. 좌측(도19의 앞쪽)에서는, 수직 이송부(602)까지의 낙차가 크기 때문에, 우측에서는(도19의 뒤쪽) 낙차가 작다. 그 때문에, 만곡판(63)은 이와 같은 낙차의 차이를 흡수하도록, 우측에서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크고, 좌측에서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수직 이송부(602)는 우측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만곡판(63)을 따라 이송되는 시트의 행로 길이는 좌우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거의 같다.
만곡판(63)에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큰 치수의 누름대부(6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대부(631)는 강직한 표시 패널(21)을 포켓부(15B)내에 수납한 수지 시트(1)가 만곡판(63)을 따라 이송될 때에, 수지 시트(1)의 폭 방향 중앙부에 생기는 복잡한 일그러짐 및 여기에 따른 응력을 흡수하여, 순조롭게 만곡판(63)을 따른 이송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의 예에서, 만곡판(63)의 하단은 스틸대(65)의 수평 천정판(651)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있다.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이송부(602)는 스틸대(65)로부터 지지받는 수직 지지·슬라이딩판(69)으로 이루어진다. 수직 지지·슬라이딩판(69)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수평 이송부(601)에서의 제1 롤러 세트(671)와 동일한 구조 및 치수를 갖는 제3 및 제4 롤러 세트(673, 674)가 배치되어, 수직 하방으로의 시트 이송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들 롤러 세트(673, 674)의 수지 롤러(677)의 배치 가능 개소에 대응하여, 수직 지지·슬라이딩판(69)에 좌우 방향으로 긴, 동일한 개구(685)가 설치되고 있다.
제3 및 제4 롤러 세트(673, 674)의 사이에서의 영역에서, 수직 지지·슬라이 딩판(69)의 우연부를 따른 개소에는, 수평 이송부(601)에서의 같은 각봉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가이드(691)가 장착되고 있다. 또한, 이 시트 가이드(691)의 좌측은 이것에 근접한 개소 및 수직 지지·슬라이딩판(69)의 좌연부에 따른 개소를 제외하고, 직사각형의 개구(692)로 되어 있다.
이 개구(692)에는 가열 밀봉부(64)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 밀봉부(64)는 개구(692)의 안쪽, 즉 수지 시트(1)의 안쪽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부(641)와 수지 시트(1)의 앞에 배치되며,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 장치(642)로 이루어진다. 누름 장치(642)는 수직 방향으로 긴 공기압 실린더(643)와 이 작동부(643A)의 측면을 따라 장착된 수직 방향으로 긴 블레이드(644)로 이루어진다. 또, 가열부(641)및 누름 장치(642)는 좌우 위치를 조정 가능한 지지 들보(645)를 통해, 스틸대(65)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644)는 스프링(649)을 통해 공기압 실린더(643)의 본체에 접속되어 있고, 공기압 실린더(643)의 작동에 의해 누른 후에는,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개구(692)의 우상단 부근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수직 이송부(601)와 같은 광학 센서(646)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직 지지·슬라이딩판(69)에 장착된 같은 역 L자 형상의 암(647)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광학 센서(646)는 개구(692)의 안쪽, 즉 수지 시트(1)의 안쪽에 배치되는 발광부(648)로부터의 적색 레이저광을 받아, 그 차단을 검지한다. 이 광학 센서(646)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표시 패널(21)이 통과한 것을 검지하면, 공기압 실린더(643)가 작동하여, 블레이드(644)에 의해, 수지 시트(1)를 가열부(641)에 꽉 누른다. 이 때, 예를 들면, 임펄스 전 류에 의한 가열이 행해져,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부(1A, 1B)를 접합하여 포켓부(15B)를 닫는 가열 밀봉 조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띠 형상 수납체(10)가 형성된다.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수납체(10)에는 5개의 표시 패널이 수납될 때마다, 하나의 공수납부(15A)가 설치되고 있어, 이 공수납부(15A) 부분에서 구부려 지그재그 형상 내지 물결 형상으로 접어지고 있다. 또한, 도2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공수납부(15A) 부분에서 구부려 직사각형의 마분지(45)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10)의 선단부에서는, 개봉 디바이스로의 세트를 위한 리드 부분(10A)으로서 5∼8개 정도의 수납부에 대응하는 치수의 빈 부분을 마련해 둔다. 이 리드 부분(10A)은 공수납부(15A)가 연속하여 설치된 것이라도 되며, 또한, 수납부를 구분하는 접합부(12A)를 형성하지 않고 예정 파단선(18)만을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또, 띠 형상 수납체(10)는 지그재그 형상에 접어져 모아진 형태(도23), 또는 하니콤 구조를 갖는 직사각형의 마분지(45)의 주위에 감은 형태의 포장 유닛(100)의 상태(도24)로 상자 포장되어 수송된다. 그리고, 리드 부분(10A)이 그 포장 유닛(100)의 최표면에 위치하여 쿠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개수의 표시 패널을 수납할 때마다 공수납부(15A)를 형성함으로써, 포장 유닛(100) 등의 상태로 있는 띠 형상 수납체(10)에서, 수납된 표시 패널(2)의 개수를 용이하게 셀 수 있다. 5개가 수납될 때마다 접혀져 있다면, 그 적층의 수에 5를 곱해 표시 패널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도9 및 도10과 같이 표시 패널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15)의 사이가 하나의 선상의 밀봉부(12A)만에 의해 구분되고, 소정 개수마다 공수납부(15A)가 설치된 띠 형상 수납체는, 도23 및 도24와 같이, 공수납부(15A)에서 구부리는 형태의 포장 형식에 적합하다. 공수납부(15A)는, 이와 같은 구부림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구부린 개소의 근방에서 접속 기판(22)의 선단부와 같은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부린 개소로 돌출하는 부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25 내지 도27에는 도24의 포장 유닛(100)을 상자 포장하는 양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25는 각 1개의 포장 유닛(100)을 유닛 상자(46)를 열은 상태로, 포장 유닛(100)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내부 상자(46)는 한장의 직사각형 마분지에 절삭을 넣고 나서 꺾음으로써 얻어지는 편평한 직사각형의 상자로서, 전후 2개의 주면부(463, 464)의 긴 변끼리를 잇는 홀쪽한 개소가 저부(465)이며, 양 주면부(463, 464) 외의 긴 변으로부터 선반 형상으로 돌출하는 부분은 상자를 닫았을 때에 서로 겹치는 덮개부(466, 467)이다. 각 주면부(463, 464)의 양쪽 짧은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면 L자 모양의 부분은, 상자를 닫았을 때에 포장 유닛(100)의 양 단부를 사이에 끼워 넣는 협지부(461)이다. 즉, 이들 협지부(461)는 띠 형상 수납체(10)의 공수납부(15A)의 개소를 통해, 안쪽에 있는 직사각형 마분지(45)를 사이에 끼워 넣는다. 내부 상자(46)의 덮개부(466, 467)에는 각 2개의 둥근 구멍(46)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상자(46)를 닫은 상태로, 둥근 구멍(462)에 손가락을 넣어 내부 상자(46)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시의 예의 포장 유닛(100)에서는, 미리,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 방 향으로 끈(48)이 감겨져, 감긴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끈에 대신하여,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해 붙여 둘 수도 있다. 그러나, 띠 형상 수납체(10)를 직사각형 마분지(45)에 감은 후, 즉시 내부 상자(46)에 수납하는 것이라도 된다.
도26은 상기 내부 상자(46)를 수납하기 위한, 격벽(41)이 딸린 외부 상자(4)에 대해 도시한다. 외부 상자(4)의 내부에는 외부 상자(4), 내부 상자(46) 및 직사각형 마분지(45)의 소재와 동일한 하니콤 코어의 마분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다수의 격벽(41A, 41B)이 거의 수직 방향을 향하면서, 또한, 단면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편평한 직사각형의 소실(42)이 5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부 상자(4)의 4주의 벽면을 따라 다수의 공극실(43)이 형성되고 있다. 소실(42)에 따른 방향의 격벽(41A)에는, ㄷ자 형상의 절삭(411)이 상하의 각 변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27은 도26의 외부 상자(4)내에 내부 상자(46)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다. 격벽(41A)의 절삭(411)의 개소에, 같은 마분지를 단면 ㄷ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완충 스페이서(47)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완충 스페이서(47)는 외부 상자(4)의 바닥부 및 상부에 각 2개 배치되어, 각 내부 상자(46)를 외부 상자의 바닥벽 및 덮개로부터 격리하여 보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지 시트(1)에 미리 포켓부를 형성해 둔다고 설명하였지만, 삽입부(61)에 이송하기 직전에 시트부(1A, 1B)간의 박리 가능한 밀봉부(12A)를 형성하도록, 초음파 밀봉 장치를 포장 디바이스에 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 시트(1)의 우연부(경사 천정판(661)상의 낮은 측)를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12D)를 먼저 형성하여 두고, 표시 패널의 삽입을 행한 후, 좌우 방향의 접합부(1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28에는, 변형예의 띠 형상 수납체에 대해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 모듈(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점상 접합부(12E)가 형성되고 있다. 이 점상 접합부(12E)는 예를 들면, 수지 시트(1)가 제2 롤러 세트(672)에 도달하기 직전에, 점상으로 가열 밀봉을 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2 롤러 세트(672)의 근방에서 경사 천정판(661)에 개구를 설치하고, 가열 밀봉부(64)와 유사한 기구에 의한 점상의 임펄스 씰러를 설치한다. 점상 접합부(12E)는 접속 기판(122)이 가늘게 연장되어 있어, 진동 등을 받았을 때에 직사각형의 포켓부(15)내에서 표시 패널 모듈(2)이 어긋나 움직일 우려가 있는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점상 접합부(12E)는, 예를 들면 펀치 구멍을 뚫는 조작에 의해,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부(1A, 1B)를 접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3. 제3 실시의 형태-「반환 용기」〉
「반환 용기」, 즉 셀 카세트 대체품으로서의 각 실시예에 대해 도29 내지 도34, 도3 및 도23 및 도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9 내지 도31은 각 실시예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도시하는 평면적인 사시도이고, 이들 중, 도29 및 도31은 띠 형상 수납체(10)내에 표시 패널 본체(21)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30은 띠 형상 수납체(10)내에 표시 패널 모듈(2)이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다.
실시예의 띠 형상 수납체(10)의 구성 및 그 구체예는, 도9 및 도10을 이용하 여 이미 설명한 것과, 다음의 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접합부(12)는 절곡 개소(1C)와는 반대측의 연부, 즉 2중에지에 따른 개소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표시 패널을 삽입하는 삽입구의 개소에서는 수납부(15)가 닫혀지지 않았다. 또한, 구체예에 있어서, 각 수납부(15)의 시트 길이 방향의 치수가 50∼100㎜이고, 접합부(12)의 폭은, 예를 들면 1∼10㎜이다.
도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수지 시트(1)에는, 미리, 수납부로서의 포켓부(15B)가 밀봉부(12)에 의해 형성되어, 수납부가 딸린 띠 형상 시트(10B)를 이루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 밀봉부(12)는 절곡 개소(1C)와 평행으로 조금 사이를 둔 직선을 따라 형성되는 밀봉부(12C)와, 이것으로부터 가지 형상으로 시트폭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연장되는 밀봉부(12D)로 이루어진다. 이들 밀봉부(12C, 12D)는, 동시에, 초음파 밀봉이나 임펄스 밀봉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29 내지 도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수납부(15)는 표시 패널을 삽입한 후에도 닫혀져 있지 않다. 즉, 2중 에지를 따른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표시 패널의 추출, 및, 재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삽입구(15C)측을 상방으로 하여 표시 패널을 반송하기 위한 수납구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즉, 셀 카세트에 대신하는 수납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29 및 도30의 띠 형상 수납체(10)에 있어서는, 소정 개수마다 공수납부(15A)가 설치되어 있고, 선단에, 예를 들면 5∼8개 정도의 수납부에 대응하는 치수 리드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 부분(1OA)은 공수납부(15A)가 연속하여 설치된 것이라도 되고, 또한, 수납부를 구분하는 접합부(12A)를 형성하지 않는 것 이라도 된다. 이는, 도9 및 도10의 띠 형상 수납체와 마찬가지이며, 공수납부(15A)의 부분에서 접어 구부려 겹침으로써, 도23 또는 도24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도23의 상태, 또는 도24의 포장 유닛(100)으로 했을 경우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하다.
도29 또는 도30의 띠 형상 수납체(10)의 반송은,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결 형상으로 접어져,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격벽(41)이 딸린 마분지 상자(4)의 각 소실(42)에 수납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도31에는, 공수납부(15A)를 설치하지 않고, 연속하여 표시 패널 본체(21)를 각 수납부에 수납한 띠 형상 수납체(10)를 도시한다. 이 띠 형상 수납체(10)에는, 별도의 리드부(1OA)도 설치되지 않았다.
도33에는, 도31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서, 감기 위한 심체는 이용되고 있지 않고, 표면측 시트부(1A)가 소용돌이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도31의 띠 형상 수납체(10)는, 예를 들면, 도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환형 케이지(75)에 수납하여 반송을 행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도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수지 시트(1)에 적당한 일그러짐이 생기기 때문에, 수납부(15)의 삽입구(15C)가 충분히 열리기 쉽고, 표시 패널 등에 대해, 감압 가열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는데 적합하다.
도34에는, 도31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벤치 스케일의 오토클레이브(7)내에 내장하여 처리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33과 같이 컴팩트하게 모아지고, 또한, 삽 입구(15C)가 충분히 열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반응 용기 등의 안에 넣어 처리를 행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소용돌이 형상의 둥근 형태로 모아져 있기 때문에, 원통상 내지 방추상인 통상의 오토클레이브나 반응 용기내에 수납하는데 적합하다.
도3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오토클레이브(7)의 본체(71)에 감압·가압용 배관(74)과, 브라인 등이 순환하는 가열용 자켓(76)이 구비되어 있다. 도3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환형 케이지(75)에 넣은 채로, 오토클레이브 본체(71)내에 내장하여, 암(73)에 매달린 덮개(72)를 씌워 밀폐한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본체(21)에 대해, 편광판 접착후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미리 50℃로 승온하여 둔 브라인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감압·가압용 배관(74)으로부터 압축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5kg/cm2(약 O.5MPa)까지 가압하고, 이 상태로 40분간 유지한다. 처리 완료후에는, 환형 케이지(75)의 상태로, 오토클레이브(7)로부터 추출하여 다음의 처리 개소로 반송한다.
한편, 오토클레이브내에서 진공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오토클레이브(7)내에 내장한 후, 감압·가압용 배관(74)에 접속하는 진공 펌프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삽입구(15C)가 열린 상태의 띠 형상 수납체(10)를 이용함으로써, 카세트 케이스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현저히 간단한 장치에 의해 감압 조작이나 소정 온도에서의 보유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카세트 케이스를 수납하도록 하는 감압 챔버라면, 장치 코스트나 안전 점검 등의 관리 코스트가 크고 설 치 스페이스도 크다. 이에 비해, 상기 실시예와 같이, 벤치 스케일의 오토클레이브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장치 코스트 및 메인터넌스의 코스트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공간 절약형이고, 필요에 따라, 대차 등에 실어 이동 가능하다.
또한, 셀 카세트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사이즈 전환이 불필요해져, 표시 패널 등의 치수에 부합하여 도32의 수납부가 딸린 띠 형상 시트의 밀봉부의 간격 등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 본체에 대해 처리를 가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레이 기판 또는 대향 기판에 대해 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도33 및 도3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띠 형상 수납체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처리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보다 내열성 및 내구성이 높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4. 포장 방식의 변형예-이종 동포〉
도35에는, 도9 및 도10과 같은 하나의 띠 형상 수납체에 한 세트의 부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이어지는 4개의 수납부(15)마다, 휴대 전화용의 표시 패널 모듈을 조립하기 위해, 메인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A), 백라이트 유닛(25), 접속 기판(23) 및 서브 화면용 표시 패널 본체(21B)가 차례로 수납되고 있어, 표시 패널 모듈(2)을 조립하기 위한 키트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전술한 개봉 디바이스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개봉된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 표시 패널 모듈의 조립 공정으로의 부재의 공급을 행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각 포장 유닛(100)(도24의 것)에 각각, 별종의 부재를 수납하여, 하나의 마분지 상자(4)내에 수납할 수도 있다. 도36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휴대 전화용의 표시 패널 모듈을 조립하기 위해, 메인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A), 백라이트 유닛(25), 접속 기판(23) 및 서브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B)를 각각 제1∼4의 띠 형상 수납체(10-1∼10-4)에 수납하고, 각 띠 형상 수납체(10)를 격벽(41)이 딸린 하나의 마분지 상자(4)내에 있는 4개의 소실(42)에 각각 수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부재를 수납하는 각 띠 형상 수납체(10)를, 도24의 상태의 포장 유닛(100)으로, 도25에 도시하는 내부 상자(46)에 수납하고, 도26 및 도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분지 상자(4)의 각 소실(42)내에 수납할 수 있다.
〈5. 수납부가 딸린 띠 형상 시트의 변형예·구체예〉
〈5-1 귀부〉
도37에 도시하는 띠 형상 수납체(10)에 있어서는, 수지 시트(1)의 표면측 시트부(1A)와 뒷면측 시트부(1B)가 별개로 공급되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양 연부에 있어서 뒷면측 시트부(1B)가 표면측 시트부(1A)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귀부(14, 16)의 폭은 삽입구(15C)측보다, 수납부(15) 바닥측에서 크다. 이는 마분지 상자(4)내에 수납될 때에, 띠 형상 수납체(10)가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대응하여, 하방에 배치하는 측의 귀부(14)에 대해 폭을 보다 크게 취한 것이다.
표면측 시트부(1A) 또는 뒷면측 시트부(1B)가 다른 시트부로부터 돌출하는 치수(D1, D2)는,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한쪽의 연 부에만 2중에지의 귀부가 형성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충분한 폭의 「잡는 부분」(잡기 위한 단시트 연부)이 형성되고 있다면, 2중에지의 귀부에서, 표면측 시트부(1A)의 연부와 뒷면측 시트부(1B)의 연부를 용이하게 떼어 낼 수가 있어, 임의 검사를 위해 띠 형상 수납체(10)의 임의의 개소에서 개봉을 행할 때에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5-2 착색〉
도38에는, 하나의 띠 형상 수납체(10)가 복수의 영역(10D-1∼10D-3)으로 구분되어, 영역마다 다른 색(색상 1 ∼ 색상 3)(예를 들면, 청색, 적색 및 초록)의 착색이 실시된 것을 도시한다. 각 영역(10D-1∼10D-3)은 일련의 복수의 수납부(15)로 이루어지고, 도시의 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용의 표시 패널 모듈을 조립하기 위해, 메인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A), 백라이트 유닛(25) 및 서브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B)가, 각각 5개씩 수납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10D-1∼10D-3)의 사이에는, 공수납부(15A)가 설치되고 있다. 이는, 전술의 개봉 디바이스(6)에 의해, 각 부품을 각각 5개씩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영역마다 구분하여 착색을 실시함으로써, 개봉시의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분의 에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10)의 수지 시트(1)에 착색을 실시해 둠으로써, 일광이나 자외선의 영향으로부터 내부의 표시 패널 등을 보호할 수도 있다. 착색은 띠 형상 수납체(10)마다 행하여, 발송지나 포장지마다 상이한 색을 부여해 둘 수도 있다. 색 구분은, 예를 들면, 무색 투명, 파랑, 빨강, 스모크, 오렌지, 브라운, 핑크, 녹색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6의 각 띠 형상 수납체(10-1∼10-4)에 각각 다른 색을 부여해 둘 수 있다.
착색은 수지 재료로의 안료의 혼합, 또는, 성형후의 수지 시트로의 인쇄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인쇄에 의해 행하는 경우, 하나의 띠 형상 수납체(10)에 대해, 수납되는 부품의 종류나 품종이 전환될 때마다, 상이한 착색을 실시해 둘 수 있다. 또한, 인쇄에 의해 행하는 경우, 색 구분 모양 등의 모양을 첨부할 수도 있고, 바코드 등의 인쇄와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또, 외관 검사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착색의 색은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이나 로트 번호의 기재 등과 상이한 색으로 할 수 있고, 착색의 농도는 수지 시트(1)의 투명성을 해치지 않고, 표시 패널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윤곽 및 로트 번호 등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착색 등은 표면측 시트부(1A)에만 실시하여 둘 수도 있다.
〈5-3 접합부〉
각 수납부(15)를 구획하는 접합부(12)는, 이하와 같이, 여러가지의 형상이나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띠 형상의 수지 시트(1)에 포켓부(15B)를 형성하기 위한 접합부(12A 또는 12)를 형성하는 조작(도22 또는 도32를 참조)은, 통상, 단책상의 툴 엘리먼트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의 밀봉용 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툴이 포켓부(15B) 사이를 구분하는 1개의 가지 형상 부분(12C)과, 포켓부(15B)의 바닥을 따른 부분(12D)에 걸치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 고, 수지 시트(1)가 간헐적으로 이송되고, 순차적으로, 그 툴이 할당되어 표면측 및 뒷면측 시트부를 접합하는 밀봉이 행해진다.
도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부(15B)를 마련하기 위한 툴은, 그 포켓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가지 형상 부분(12C)과 바닥을 따른 부분(12D)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이라도 된다. 이 경우, 접합부의 가지 형상 부분(12C)은, 도39의 좌반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회의 툴 조작에 의한 것이 서로 겹쳐지거나, 거의 연속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도39의 우반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부(15B)의 사이에 공극(15C)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된다.
한편, 도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접히는 Z자 형상의 툴을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행함으로써, 각 수납부(15)의 4주를 구획하는 접합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순차적인 밀봉 조작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12)는 2중에지를 따라 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12F)과, 수지 시트의 폭 방향으로 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12C)과, 절곡 개소(C)를 따라 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12D)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전자·전기 제품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때마다, Z자 형상의 툴에 의해 접합부(12)를 형성하게 된다.
접합부(12)는 선상으로 연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와 같이 단책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파선상, 쇄선상 등의 형태로 형성하여 두어, 이에 따라 개봉시의 박리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2)를 구성하는 점상 부분은 정사각 형상 또는 원형 도트 형상이라도,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라도 되며, 또한, 동일 치수의 점상 부분이 이어져 파선상 또는 점선상을 이 루는 것 외에, 1점 쇄선, 2점 쇄선을 이루는 듯한 상이한 치수의 것이 조합되어 있어도 된다.
접합부(12)는 초음파 밀봉에 의해서도, 임펄스 실러 등의 가열 밀봉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어느 경우도, 폭이 적어도 O.1㎜이다.
도39 중에는, 표시 패널 모듈(2)의 각 치수와 수납부(15)의 치수에 부호가 첨부되어 있다. 바람직한 치수 구성의 예에서는, 띠 형상 수납체(10)의 길이 방향에서의 수납부(15)의 내측 치수(D3)는, 그 방향에서의 표시 패널 모듈(2)의 최대 외측 치수(D4)보다 5㎜ 이상 크고, 또한,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 방향에서의 수납부(15)의 내측 치수(D6)보다 작다. 즉, D4 + 5㎜ ≤ D3 ≤ D6의 식을 만족한다. 또한,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 방향에서의 수납부(15)의 내측 치수(D5)는, 그 폭 방향에서의 표시 패널 모듈(2)의 최대 외측 치수(D6)보다 5㎜ 이상 크고, 또한 그 2배보다 작다. 즉, D6 + 5 ㎜≤ D5 ≤ 2×D6의 식을 만족한다.
접합부(12)는 접착제나 자외선(UV) 경화성 수지를, 로봇암 선단의 디스펜서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성 필름, 양면 점착 테이프, 실에 의한 봉합, 스템플러의 심에 의한 결착 등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쪽의 시트부에 단면 Ω자 형상의 레일상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시트부에 내면에 단면 C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형성하여 두어, 이것들을 끼워 맞추어, 탈착 자재의 접합부(지프록: Zip Lock)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의 「반환 용기」로서의 이용도 가능하다.
〈5-4 예정 파단선을 이루는 절삭〉
도41에는 예정 파단선(18)으로서의 미싱눈을 이루는 각 절삭(18C)의 형상 및 치수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한 치수 구성의 예에 있어서, 예정 파단선(18)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절삭(18C)의 길이 치수(D7)는, 절삭(18C)간의 치수(D8)보다 크며, 어느 치수도 O.01㎜ 이상이다. 또한, 각 절삭(18C)의 폭(D9)도 O.01㎜ 이상이다.
도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삭(18C)은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부(1A, 1B)의 적어도 한편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시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한쪽의 시트부(1A, 1B)에서의 표면측의 면 또는 이면에, 단면 V자 형상의 홈(18C′) 등으로 해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4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V자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절삭(18C)은 톰슨칼에 의한 홀쪽한 직사각형으로 뚫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적절히, 이 네 귀퉁이의 각을 둥글게 한 긴 구멍 형상이라도 되고, 또한, 점선(도41 오른쪽 아래), 1점 쇄선 또는 2점 쇄선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도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삭(18C)은 예정 파단선(18)의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라도 된다. 또한, 도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서, 이 선단의 방향으로 파단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라도 되며, 〈자 형상에 대신하여 사다리꼴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도44와 같이, 예정 파단선(18)의 폭 방향으로 긴 몇 개의 직사각형의 절삭이 치수를 점감하도록 조합되어, 반복되는 것이라도 된다.
〈5-5 예정 파단선의 레이아웃〉
도45 및 도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정 파단선(18)은 꺾인 선상, 또는 곡 선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4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수납되는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의 변화에 부합하여, 꺾인 선상으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예정 파단선(18)이 띠 형상 수납체(10)의 폭 방향에서의 전자·전기 제품의 양단의 조금 외측을 연장되고 있고, 메인 화면용 표시 패널 본체(21A)의 부분에서는, 예정 파단선(18)끼리의 간격이 크고, 치수가 보다 작은 서브 화면용 표시 패널 본체(21B)의 부분에서는 예정 파단선(18)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도4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예정 파단선(18)이 각 수납부(15)내의 표시 패널 본체(21)를 둘러싸는 U자 형상의 개별 추출선(18A)과, 이 U자의 측부끼리를 연결하는 브리지선(18B)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의 예에서, 개별 추출선(18A)은 띠 형상 수납체(10)의 2중에지에 따른 입구부(18G)가 오무라든 형상으로서, 이 2중에지의 부분에서 표면측 및 뒷면측의 시트 부분(1A, 1B)을 떼어 내, 그 개별 추출선(18A)의 내측에 있는 커버 시트(1D′)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개별 추출선(18A)의 존재에 의해, 임의의 수납부(15)에 수납된 전자·전기 제품을 용이하게 추출하여, 임의 검사 등을 행 할 수 있다. 이 때, 브리지선(18B)은 개별 추출선(18A)에서의 시트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소로부터 직각으로 분기하고 있기 때문에, 근처의 수납부(15)가 개봉되는 일은 없다. 또한, 브리지선(18B)의 존재에 의해, 예를 들면 전술한 개봉 디바이스(5)에 세팅하여, 연속적으로 커버 시트(1D)를 제거해 나갈 수도 있다.
띠 형상 수납체(10)의 표면측 및 뒷면측 시트부(1A, 1B) 중, 한쪽의 시트부에 도9 및 도10과 같은, 양 연부를 따른 직선상의 예정 파단선만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시트부에 상기의 개별 추출선(18A)과 같은 개별 추출만을 가능하게 하는 예정 파단선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임의 검사를 행한 후에도, 연속적인 개봉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도47에는, 도46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개별 추출선(18A)이 표시 패널 본체(21)의 사방을 둘러싼 닫힌 도형을 이루고 있다. 자세하게는, 네 귀퉁이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2중에지를 따른 개소에는, 개별 추출선(18A)으로부터 직각으로 분기하여, 시트부의 연부에까지 연장되는 직선상의 보조 예정 파단선(18E)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예정 파단선(18E)은 다른 예정 파단선보다 파단에 큰 응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다른 예정 파단선(18)보다 절삭(18C) 사이의 간격을 크게 취해 형성할 수 있다. 도47의 경우에도, 도4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중에지를 열어, 커버 시트(1D′)를 열 수 있고, 또한, 전술한 개봉 디바이스(5)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커버 시트(1D)를 열어 갈 수도 있다. 또, 도47의 띠 형상 수납체에 있어서, 선단부에서는 브리지선(18B)에 대응하는 개소가 절단선(18F)으로 되어 있고, 이들 절단선(18F)의 사이가 커버 시트를 벗기기 위한 추출 탭(1F)을 이루고 있다.
또, 도47과 같은 예정 파단선의 구성에 있어서, 2중에지를 따른 개소의 2개의 선을, 통상의 예정 파단선(18)과 브리지선(18B)의 개소를, 파단에 필요로 하는 응력이 큰 보조 예정 파단선(18E)으로 할 수 있다.
도48에는, 띠 형상 수납체(10)의 중심선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톱니 형상의 2개의 예정 파단선(18)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예정 파단선(18) 사이의 영역은 사다리꼴이 그 좌우 대칭축을 따라 겹쳐 쌓인 것 같은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각 사다리꼴이 좁아지는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커버 시트(1D)를 벗길 수 있다.
도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정 파단선(18)의 간격이 가장 좁은 개소로부터 빠져 나와 가장 넓은 개소로 들어가는 개소에는, 하나의 ㄷ자 형상의 보조 예정 파단선(18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정 파단선의 양단은, 예정 파단선(18)의 내측의 절곡점(18H)에 접속하고 있다. 근방의 시트 부분에 일그러짐을 더하여 보조 예정 파단선(18E)을 파단시켰다면, 이것이 추출용의 탭으로 되어, 하나의 수납부(15)를 개봉할 수 있다. 즉, 연속적으로 커버 시트(1D)를 벗기는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커버 시트(1D)를 벗김으로써, 수납부(15)를 1개만 열어 임의 검사 등을 행할 수 있다.
도49에는, 도9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평행으로 시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예정 파단선(18)이 표시 패널 본체(21)의 양 연부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한다. 이러한 배치라면, 표시 패널 등의 연부와 접합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잡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50에는, 일련의 수납부를 개봉하여, 한 세트의 부재를 추출 가능하게 하는 키트 부재 추출선(18D)이 형성된 경우에 대해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이어지는 3개의 수납부(15)에 메인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A), 백라이트 유닛(25) 및 서브 화면용의 표시 패널 본체(21B)가 각각 수납되고, 이와 같은 3개의 세트가 하나의 키트 부재 추출선(18D)을 따른 시트의 파단에 의해 추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표시 장치 그 밖의 전자·전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포장 장치에 있어서, 전자·전기 제품의 치수 변화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저코스트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전기 제품의 손상이나 분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전기 제품의 수납이나 수납체의 회수 등을 위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이며,
    평형의 제1 전자·전기 제품을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로 형성되는 수지 시트 띠에 끼워 넣어서 수지 시트 띠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평형의 제1 전자·전기 제품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평형의 제1 전자·전기 제품 각각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지 시트 띠를 융착 또는 접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평형의 제1 전자·전기 제품이 상기 수지 시트 띠의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띠 형상 수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도록 상기 띠 형상 수납체의 상태로 상기 평형의 제1 전자·전기 제품을 보관 또는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띠 형상 수납체의 수지 시트 띠로부터 인출된 제1 띠 형상 시트부를 제1 구동 롤러에 감고, 상기 수지 시트 띠로부터 인출된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제2 구동 롤러에 감는 단계와,
    상기 제1 구동 롤러 및 상기 제2 구동 롤러를 동기시켜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역방향으로 견인하는 단계와,
    이에 따라, 상기 수지 시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파단 또는 박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분리하면서 인출하며, 동시에, 상기 띠 형상 수납체를 파단 또는 박리의 개소로 순차적으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는, 각각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지름이 매끄럽게 증가하고 있는 중앙부 팽출 형상의 롤러에 감기고 나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롤러로 이송되고, 이들 구동 롤러를 거쳐 배출되는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전기 제품이 상기 제1 띠 형상 시트부상에 추출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소정의 추출 위치에까지 이송된 것을 센서에 의해 검지하고, 이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롤러의 회전 구동을 일단 정지하여, 상기 제1 전자·전기 제품을 들어 올려, 상기 제2 전자·전기 제품을 제조하는 가공 또는 조립의 공정으로 공급하는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4. 평탄한 띠 형상의 수지 시트의 사이에, 평형의 전자·전기 제품이 1열로 배치되고, 각 전자·전기 제품을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가 상기 수지 시트간을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 상기 각 전자·전기 제품이 소정 위치에서 보유되어 이루어지는 띠 형상 수납체로부터, 전자·전기 제품을 순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개봉(unpacking)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수납체의 수지 시트로부터 인출된 제1 띠 형상 시트부를 감아 견인하는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수지 시트로부터 인출된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감아 견인하는 제2 구동 롤러와,
    실질상 이들 제1 및 제2 구동 롤러의 회전 구동만에 의해, 상기 띠 형상 수납체를 순차적으로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이것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를 역방향으로 견인하여 파단 또는 박리에 의해 분리하는 시트 분리 진행 개소와,
    상기 시트 분리 진행 개소와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중간에 있으며,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상기 제1 띠 형상 시트부상에서 추출 가능하게 안착하는 추출 개소를 구비하는 개봉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 형상 시트부가 상기 추출 개소를 거친 후, 상기 제1 구동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감겨지는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띠 형상 시트부가 상기 시트 분리 진행 개소를 거친 후, 상기 제2 구동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감겨지는 제2 지지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띠 형상 시트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롤러를 거쳐 배출되는 배출 개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롤러는, 롤러면이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지름이 매끄럽게 증가하고 있는 개봉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개소내에 있는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파악하는 광학 센서와,
    이 광학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는 자동 정지 기구, 및 개봉 처리된 상기 전자·전기 제품의 적산 개수를 구하여 출력하는 계수 출력 기구를 구비하는 개봉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롤러 및 상기 제2 지지 롤러가, 상기 시트 분리 진행 개소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롤러는 이것에 조합되는 보조 롤러보다도 축의 높이가 낮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띠 형상 시트부는, 상기 제2 구동 롤러 및 보조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보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구동 롤러측으로 넘어져 배출되는 개봉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롤러가 타이밍 벨트에 의해 동기되어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개봉 디바이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개소에는,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와, 상기 지지 구조가 생략되어, 상기 전자·전기 제품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누름대부가, 상기 제1 띠 형상 시트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된 개봉 디바이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구동 롤러에는, 상기 띠 형상 시트부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레이드 형상 금구가, 이들 롤러의 축에 평행하며, 또한 롤러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 형상 금구의 중앙부에 혀 모양의 돌출부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또는 제2 구동 롤러의 중앙부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소경부(小徑部)가 설치된 개봉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띠 형상의 수지 시트 띠의 한쪽의 모서리를 따라 이것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접합부와, 시트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접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합부의 외측에, 표면측 및 이면측 시트부가 비접합 상태로 적층된 귀부(耳部)가 형성되는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0070045741A 2004-04-02 2007-05-11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KR100809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0503A JP4460935B2 (ja) 2004-04-02 2004-04-02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JPJP-P-2004-00110503 2004-04-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24A Division KR100758393B1 (ko) 2004-04-02 2005-04-01 띠 형상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띠 형상 수납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171A KR20070054171A (ko) 2007-05-28
KR100809158B1 true KR100809158B1 (ko) 2008-03-03

Family

ID=350492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24A KR100758393B1 (ko) 2004-04-02 2005-04-01 띠 형상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띠 형상 수납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 디바이스
KR1020070045741A KR100809158B1 (ko) 2004-04-02 2007-05-11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KR1020070045743A KR100809157B1 (ko) 2004-04-02 2007-05-11 전자·전기 제품의 띠 형상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24A KR100758393B1 (ko) 2004-04-02 2005-04-01 띠 형상 수납체의 제조 방법 및 띠 형상 수납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743A KR100809157B1 (ko) 2004-04-02 2007-05-11 전자·전기 제품의 띠 형상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7464B2 (ko)
JP (1) JP4460935B2 (ko)
KR (3) KR100758393B1 (ko)
CN (3) CN101058344B (ko)
TW (1) TWI3262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79B1 (ko) * 2013-05-28 2014-12-15 주식회사 린도 발효섬유질배합사료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971B2 (ja) * 2003-11-11 2010-03-03 株式会社クレハ 制電性樹脂容器作製用キット
CA2505565C (en) * 2005-04-28 2008-09-16 Cam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JP4693577B2 (ja) * 2005-09-30 2011-06-0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収納体
TW200918970A (en) * 2007-10-18 2009-05-01 Wen-Hsiu Hong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ing plate
FR2928635B1 (fr) * 2008-03-13 2012-07-20 Centre Nat Rech Scient Bande support de composants
US20090250246A1 (en) * 2008-04-07 2009-10-08 Andrew Yaung Solder by numbers, a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printed circuit boards
DE102009013173A1 (de) * 2008-04-17 2009-10-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packungsmaschine für Waren in mit einer Blisterfolie zu verschließende Blisterformschalen
US20100037564A1 (en) * 2008-08-12 2010-02-18 Ming-Chih Chien Flat panel display package method
KR100947350B1 (ko) * 2008-08-26 2010-03-15 (주)상아프론테크 엘씨디 기판 적재 카세트용 바아
WO2010147043A1 (ja) * 2009-06-16 2010-12-2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0666A (ja) * 2009-12-22 2011-07-07 Shimano Inc 釣り情報表示装置の取付用具
CN102126569B (zh) * 2010-12-27 2012-10-03 东莞市龙顺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粘和/或热封功能的载带包装机
JP5530412B2 (ja) * 2011-09-21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包装帯
EP2578505B1 (en) * 2011-10-03 2014-07-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a food product from a web of a packaging material
DE202012001075U1 (de) 2012-02-03 2012-03-15 Bals Elektrotechnik Gmbh & Co. Kg Gehäusebausatz für elektrische Einrichtungen, insbesondere Steckvorrichtungen und Sicherungen umfassend
CN103253425A (zh) * 2012-02-17 2013-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包装串列
CN104512571B (zh) * 2013-09-30 2018-05-29 韩华泰科株式会社 部件装载装置
JP6285695B2 (ja) * 2013-11-19 2018-02-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連続包装体
CN103754399B (zh) * 2014-01-26 2015-09-02 芜湖杨燕制药有限公司 小药瓶包装的贴铝箔装置
CN103950647A (zh) * 2014-05-23 2014-07-30 成都微深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玻璃球的柔性链式包装袋
CN105405864B (zh) * 2015-12-08 2019-05-1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封装方法
JP6075662B1 (ja) * 2015-12-11 2017-02-08 上野精機株式会社 キャリアテープ走行装置
JP6730131B2 (ja) * 2016-08-18 2020-07-2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円筒梱包方法及び装置
CN107879110B (zh) * 2016-09-30 2024-03-26 上海宝弥金属制品有限公司 玻璃支撑条、玻璃周转架及玻璃处理方法
DE102017104893B4 (de) * 2017-03-08 2022-01-13 Sick Ag Optoelektronik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kmoduls
CN107235214B (zh) * 2017-06-16 2022-09-27 安庆师范大学 一种基于计算机主机的防磕碰运输箱
CN111788877B (zh) * 2018-03-21 2021-07-16 株式会社富士 带自动装填装置及其带连结方法
CN108974677B (zh) * 2018-06-29 2020-03-10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放置柔性显示屏的包装模具以及柔性显示屏的包装方法
CN109591432B (zh) * 2018-12-26 2020-10-02 湖南锐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尺寸触摸屏生产的面板贴合装置
JP7156236B2 (ja) * 2019-10-11 2022-10-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包装体、電子部品連および電子部品連形成装置
CN112141498A (zh) * 2020-10-20 2020-12-29 无锡新祥恒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结合型纸塑缓冲包装
CN114436010A (zh) * 2020-11-06 2022-05-06 瀚萱科技有限公司 电子组件包装卷带的检测设备及方法
CN113636195B (zh) * 2021-07-16 2023-04-18 极研(福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嵌入式智能芯片的封装盒
CN113771118B (zh) * 2021-09-24 2022-11-01 德阳洋诚塑业有限公司 一种切缝系统及控制方法
CN113911454B (zh) * 2021-10-20 2023-06-09 东莞乔律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pcb板自动真空包装设备
CN114212294B (zh) * 2022-02-21 2022-05-17 常州欣盛半导体技术股份有限公司 Cof载带输送装置
CN115410487B (zh) * 2022-06-27 2023-10-13 安顺市联顺达科技有限公司 飘带状显示屏的发光元件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326A (ko) * 1997-02-13 1998-10-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적층 시트의 수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6142A (ko) * 2003-12-09 2005-06-14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반도체 장치의 반송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4451A (en) * 1936-03-20 1940-03-19 Owens Illinois Glass Co Package for coffee or the like
US2718105A (en) * 1948-12-31 1955-09-20 Jl Ferguson Co Bag-like containers of flexible strip material, process of making same, process of filling same, and apparatus for accomplishing these purposes
US2993313A (en) * 1959-09-30 1961-07-25 John J Hogan Packaging
US3162539A (en) * 1962-02-12 1964-12-22 Dow Chemical Co Packaging arrangements
US3340669A (en) * 1963-01-07 1967-09-12 Dow Chemical Co Air cushioned packets
US3199756A (en) * 1963-04-09 1965-08-10 Coroga Company Package chain assembly and conveying means
JPS5323788A (en) 1976-08-12 1978-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cking device and method of tabular parts
JPS5827398A (ja) 1981-08-11 1983-0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集合体
JPS5923799A (ja) 1982-07-29 1984-02-07 清水 正久 ノン・テ−ルロ−タ−ヘリ
JPS60129390A (ja) 1983-12-15 1985-07-10 株式会社利根ボ−リング コアボ−リング用ドリルビツト
JPS60190100A (ja) 1984-03-09 1985-09-27 Murata Mfg Co Ltd 圧電スピ−カ
JPS62175378A (ja) 1985-10-19 1987-08-01 Fuji Photo Film Co Ltd 巻取装置
JPH07679B2 (ja) 1985-12-05 1995-01-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とα−オレフインの共重合方法
JPS62158673A (ja) * 1985-12-28 1987-07-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テ−ピング電子部品連
JPS63162757A (ja) 1986-12-26 1988-07-06 Ube Ind Ltd 樹脂組成物
JPH0798602B2 (ja) 1989-04-05 1995-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式物品搬送装置
US5090113A (en) 1989-04-05 1992-02-25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upplying articles
US4944979A (en) 1989-10-19 1990-07-31 At&T Bell Laboratories Tape conveyers for components
JP3010670B2 (ja) 1990-02-22 2000-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包装体、および、配線回路基板包装体からの配線回路基板取出し方法と装置
JP2616145B2 (ja) 1990-06-06 1997-06-04 コクヨ株式会社 床部材の連結用部材
EP0487788B1 (en) * 1990-11-28 1996-02-28 Crescent Holding N.V.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double opposed containers fed as a continuous band to filling stations and apt to be sealed by welding, as well as the packages thus obtained
JP2578902Y2 (ja) 1991-01-18 1998-08-20 株式会社 東京ウェルズ 電子部品テーピング装置
JP3047956B2 (ja) * 1994-08-29 2000-06-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方法
US5586657A (en) 1995-12-22 1996-12-24 Rayovac Corporation Security blister package
US5682731A (en) 1996-03-15 1997-11-04 Vichem Corporation Tape carrier for electronic and electrical parts
US5992639A (en) * 1997-04-02 1999-11-30 Fujitsu Limited Carrier tape with reinforced pocke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rrier tape
JPH11263387A (ja) *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包装装置
DE19936469A1 (de) * 1998-08-14 2000-02-17 Sig Pack Systems Ag Berin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länglicher Produkte und damit hergestellte Packungen
JP2000310785A (ja) 1999-04-28 2000-11-07 Ayumi Kogyo Kk 液晶注入方法および注入装置
JP3256856B2 (ja) 1999-09-29 2002-02-18 財団法人グリーンクロスジャパン 冷凍システム
US7516596B2 (en) * 2002-03-18 2009-04-14 Frito-Lay North America, Inc. Bandolier format packaging
JP3954433B2 (ja) 2002-05-16 2007-08-08 ローム株式会社 テープ状包装体
TW554900U (en) 2002-12-09 2003-09-21 Chi-Nian Ye Forming machine for packing, conveying, and carrying belt of electronic compon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326A (ko) * 1997-02-13 1998-10-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적층 시트의 수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6142A (ko) * 2003-12-09 2005-06-14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반도체 장치의 반송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79B1 (ko) * 2013-05-28 2014-12-15 주식회사 린도 발효섬유질배합사료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89482A (ja) 2005-10-20
CN1676428A (zh) 2005-10-05
KR100809157B1 (ko) 2008-03-03
CN101058343B (zh) 2012-08-08
CN101058343A (zh) 2007-10-24
CN101058344A (zh) 2007-10-24
TWI326266B (en) 2010-06-21
US20050241988A1 (en) 2005-11-03
US7757464B2 (en) 2010-07-20
KR20070053678A (ko) 2007-05-25
CN100354185C (zh) 2007-12-12
KR20070054171A (ko) 2007-05-28
CN101058344B (zh) 2011-08-17
KR100758393B1 (ko) 2007-09-14
TW200602727A (en) 2006-01-16
JP4460935B2 (ja) 2010-05-12
KR20060045410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58B1 (ko) 평면 표시 장치 등의 전자·전기 제품의 제조 방법 및이것을 위한 개봉 디바이스
JP4693577B2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収納体
WO2012124638A1 (ja) 直方体状被包装物包装体、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直方体状被包装物包装体の収納体、及び収納方法
JP2006326813A (ja) 薄肉部品積層体の自動組立装置および薄肉部品を備えた荷姿構造
JP4144712B2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開梱デバイス
JP4462427B2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JP2006282194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KR10231053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JP4270396B2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を収納する帯状収納体の製造方法及び梱包デバイス
JP2006282202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JP2004010051A (ja) 光学製品梱包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2207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WO2024116568A1 (ja) 積層体チップ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チップの製造装置
JP2006282201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KR102290086B1 (ko) 불량 칩 파쇄장치 및 파쇄방법
KR101561975B1 (ko) 쉬트 라미네이터
JP2006282213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JP2006282203A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WO2022162983A1 (ja) フィル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419349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CN115321012A (zh) 包装袋及包装装置
JP2009036896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4155451A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CN114852397A (zh) 一种柔性包装装置及料件的包装方法
CN115231054A (zh) 膜材存放装置及贴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