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761B1 - 인버터 - Google Patents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761B1
KR100790761B1 KR1020060096247A KR20060096247A KR100790761B1 KR 100790761 B1 KR100790761 B1 KR 100790761B1 KR 1020060096247 A KR1020060096247 A KR 1020060096247A KR 20060096247 A KR20060096247 A KR 20060096247A KR 100790761 B1 KR100790761 B1 KR 10079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layer
load transistor
inverter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본
김성현
서경수
구찬회
임상철
이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761B1/ko
Priority to US11/834,044 priority patent/US7687807B2/en
Priority to JP2007231462A priority patent/JP498230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 H10K19/201Integrated device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e.g. 3D 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 H10K19/1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compris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기판에 유기반도체를 이용하여 인버터 회로를 제작할 때 문턱 전압을 위치 별로 제어 하기 위한 신규 인버터 구조와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반도체는 P-타입 물질이 안정적인데 P-타입 만으로 인버터를 제작할 경우 공핍 형 (Depletion) 부하와 인핸스먼트 형(Enhancement) 드라이버로 구성된 인버터(D-인버터)가 이득이 크고, 스윙 폭이 크며, 소비전력이 작으므로 인핸스먼트 부하와 인핸스먼트 드라이버로 구성된 인버터(E-인버터)에 비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핍 타입의 트랜지스터와 인핸스먼트 타입의 트랜지스터를 동일 기판에서 위치 별로 제어하여 제작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인핸스먼트 타입 특성을 보이는 버텀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를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에 사용하고 공핍 타입 특성을 보이는 탑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를 부하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이 구조를 이용하면 유기반도체 상부에 올라가는 제 2 절연막과 제 2 게이트 전극 물질에 의해 유기반도체의 패시베이션(passivation) 효과도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고, 집적도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버터, 유기반도체, 공핍형 트랜지스터, 더블 게이트, D-인버터

Description

인버터{Inverter}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D-인버터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3b는 E-인버터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OTFT 특성 향상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플라스틱 기판
22, 22' :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
30, 30' : 제1 절연체층
42, 42' :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
44, 44' : 단일층
46, 46' : 부하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
50, 50' : 제2 절연체층
62, 62' : 부하 트랜지스터 탑 게이트 전극
72, 72', 74, 74' : 유기반도체층
본 발명은 단일 타입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회로의 기초가 되는 인버터를 제작할 수 있는 유기반도체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기존의 실리콘 트랜지스터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온도가 낮아 구부림이 가능한 플라스틱 기판 위에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유망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주요 응용분야로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거나 RF-ID와 같은 회로에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픽셀 구동 스위치로 사용될 경우 단일 극성의 트랜지스터(예를 들면 P-타입)만으로도 충분하지만, 회로 소자로 사용될 경우 P-타입과 N-타입의 조합인 CMOS가 소비전력이나 동작 속도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기반도체의 경우 현재까지 N-타입 소자에 대해서는 안정적인 특성 확보 및 신뢰성이 없으므로 P-타입 단일 특성으로 인버터를 구성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3는 P-타입만으로 제작할 수 있는 2가지의 인버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공핍 트랜지스터로 부하를 만들고 인핸스먼트 트랜지스터로 드라이버를 만든 인버터를 보여주고 있고(D-인버터) 도 3b는 인핸스먼트 트랜지스터로 부하부와 드라이버부를 모두 제작한 인버터를 보여주고 있다(E-인버터).
도 3a의 D-인버터 타입이 소비전력, 이득, 스윙 폭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나 유기반도체는 기존의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도핑에 의해 문턱 전압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위치별로 문턱 전압특성이 다른 소자를 동일한 기판에 제작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치별로 문턱 전압특성이 다른 소자를 도 3a의 구조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위치 별로 서로 다른 표면 처리를 행하거나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게다가, 아직까지 유기반도체의 경우 동일 기판에서의 균일성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안정적인 인버터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의 기술을 보면 공핍 부하는 트랜지스터의 W/L(width/length)을 크게 하고, 인핸스먼트 드라이버는 W/L을 작게 하여 트랜지스터 사이즈(size) 효과로 전류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유기반도체의 패시배이션(passivation) 문제도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특성이 향상된 D-인버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안정적인 D-인버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심화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공핍 특성을 가지는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D-인버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핍 부하와 인핸스먼트 드라이버로 구성된 인버터를 제작할 때 기존에 사용하던 트랜지스터 W/L (width/length) 를 이용한 방법을 획기적으로 개량한 것으로, 기존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W/L이 큰 트랜지스터가 게이트 전압 조건 VG=0V에서 전류가 많이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공핍 부하로 사용하고 W/L이 작은 트랜지스터를 인핸스먼트 드라이버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최적으로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W/L 별로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모두 확보한 후에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는 문제점, 및 일반적으로 공핍 부하를 크게 설계하므로 집적도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P-타입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새로운 구조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버터는, 버텀 게이트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지는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탑 게이트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지는 부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인버터의 적층 구조는, 기판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체층; 상기 제1 절연체층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과,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과 부하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일층과, 부하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체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반도체층;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유기반도체층을 덮는 제2 절연체층; 및 상기 제2 절연체 상에 형성된 부하 트랜지스터 탑 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신규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인버터는, 플라스틱 기판(10)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22);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체층(30); 상기 제1 절연체층(30)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42)과,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과 부하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일층(44)과, 부하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46);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체층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유기반도체층(72, 74);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유기반도체층(72, 74)을 덮는 제2 절연체층(50); 및 상기 제2 절연체층(50) 상에 형성된 부하 트랜지스터 탑 게이트 전극(62)을 포함한다.
도 1의 왼쪽 영역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22)이 맨 하부에 형성되고 그 위에 제1 절연체층(30)이 형성되고 그 위에 다시 소오스/드레인 전극(42, 44)이 형성된 후 유기반도체층(72)이 증착된 버텀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1의 오른쪽에 형성된 부하 트랜지스터는 소오스/드레인 전극(44, 46)이 형성되고 그 위에 유기반도체층(74)이 형성된 후 제2 절연체층(54)이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탑 게이트 전극(62)이 형성된 탑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는 버텀 게이트 구조로 구현되고 부하 트랜지스터는 탑 게이트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다.
도 1의 구조는 도 3a와 같은 D-인버터 구조를 가지게 되는 바,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는, 소스가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입력신호 (Vin)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와 소스가 연결되며, 드레인에는 전원전압단 (Vcc)이 연결된다.
이때, 도시한 구조에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동일한 층(44)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62)은 제조 공정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층에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되므로 D-인버터 구성을 위한 별도의 연결 공정은 필요치 않는다. 이를 위해 제2 절연체층(50)을 패터닝할 때,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전극(62)이 증착중에,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이 되는 단일층(44)과 전도적으로 연결되도록 적당한 콘택트 홀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을 동일한 층(44)으로 형성한 구조는,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와 부하 트랜지스터의 W/L(width/length)가 동일하게 맞추기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상술한 개념을 확장하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더욱 특성이 우수한 더블 게이트 구조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인버터의 적층 구조는 도 1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22')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부하 트랜지스터 버텀 게이트 전극(24')을 더 포함하며, 제1 절연체층(30')에는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이 되는 단일층(44)과 부하 트랜지스터 버텀 게이트 전극(24')층을 전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이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도면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는 도 1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부와 동일하지만, 부하 트랜지스터는 더블 게이트의 구조를 사용하여 동일한 W/L에서 거의 2배 높은 턴온 전류(on-current)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더 우수한 공핍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22') 형성과 동시에 부하 트랜지스터의 버텀 게이트 전극(24')을 형성하고, 상기 버텀 게이트 전극(24')을 제1 절연체층(30')으로 덮은 다음, 제1 절연체층(30')을 원하는 형상대로 트랜지스터가 되도록 패터닝(pattern) 한다. 이때,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이 되는 단일층(44')이, 증착중에 상기 버텀 게이트 전극(24')과 전도적으로 연결되도록 적당한 콘택트 홀을 형성시킨다.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전극층(62')을 위한 콘택트 홀의 형성 과정은 상기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탑 게이트 전극(62')과 버텀 게이트 전극(24')을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시키면, 공핍 특성이 요구되는 부하 트랜지스터부는 버텀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와 탑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어, 2배의 더 우수한 공핍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설명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부가적으로 더 추가되는 공정은 기존의 유기반도체 공정에서 제2 절연체층(50')과 탑 게이트 전극(62')이다. 그런데, 상기 층들은 유기반도체의 적층 구조내에 상부 박막으로서 반드시 형성시켜야 하는 패시배이션(passivation)층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상기 층들의 존재로 인한 추가적인 공정부담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구조 중 제조 공정상 재료적 관점에서 본 발명이 새롭게 제시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전극(62, 62')은, Ti, Cu, Cr, Al, Au, Mo, W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이나, ITO(Indium-Tin Oxide), IZO(Indium-Zine Oxide) 등의 전도성 산화막이나, PEDOT(Poly Ethylenedioxy Thiophene) 등의 전도성 고분자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의 버텀 게이트 전극(24')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42, 44, 46, 42', 44', 46')은, Au, Pt, Ni, P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물 질이나, ITO, IZO 등의 전도성 산화막이나, PEDOT 등의 전도성 고분자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경우에 있어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버텀 게이트 상부 채널을 형성하는 제1 절연체층(30')은 OTS(octadecyltrichlorosilane), HMDS(Hexamethyldisilazane) 등의 소수성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인핸스먼트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제작 및 동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하부 채널을 형성하는 제2 절연체층(50')은 표면처리에 큰 실익이 없으므로 별다른 표면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공핍 부하 트랜지스터 제작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4는 제 1절연체 층에 Al2O3를 사용하고 제 2절연체 층에 100C 이하에서 증착된 저온 Al2O3를 사용하여 만든 버텀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와 탑 게이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의 트랜스퍼 곡선(transfer curve)으로서 버텀 게이트 유기반도체의 경우 인핸스먼트 타입의 특성을 보여 주고 있고 탑 게이트 유기반도체의 경우 공핍 타입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을 실례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두 종류의 트랜지스터를 D-인버터 형태로 연결시키면 도 4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VG=0V에서 큰 전류 차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D-인버터를 실시함에 의해, 제조 공정이 단순한 D-인버터 구조, 특히,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안정적인 D-인버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D-인버터는 턴-온 전류 특성 즉, 공핍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트랜지스터 사이즈(size) 효과를 이용한 방법보다 쉽게 공핍 타입과 인핸스먼트 타입이 결합된 D-인버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게이트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W/L이 동일하게 하여도 D-인버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 및 제 2유전체층과 탑 게이트 전극층이 패시베이션(passivation)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여 인버터 소자의 수명과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유기반도체 채널을 구비하며 버텀 게이트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지는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유기반도체 채널을 구비하며 탑 게이트 트랜지스터 구조를 가지는 부하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이 동일한 층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층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층이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부하 트랜지스터는 유기반도체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는, 소스가 접지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며,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와 소스가 연결되며, 드레인에는 전원전압단 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6.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와 부하 트랜지스터의 W/L(width/length)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는,
    버텀 게이트 및 탑 게이트에 의한 이중 채널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층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버텀 게이트 전극층이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층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전극층이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이 동일한 층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층 및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버텀 게이트 전극층과 탑 게이트 전극층은 콘택트 홀을 통해 전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전극은,
    Ti, Cu, Cr, Al, Au, Mo, W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 ITO, IZO 또는 PEDO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Au, Pt, Ni, P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 ITO, IZO 또는 PEDO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버텀 게이트 상부 채널을 형성하는 절연체층은 OTS, HMDS등의 소수성 표면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탑 게이트 하부 채널을 형성하는 절연체층은 표면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4. 기판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체층;
    상기 제1 절연체층 상에 형성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과,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과 부하 트랜지스터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일층과,
    부하 트랜지스터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체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반도체층;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유기반도체층을 덮는 제2 절연체층; 및
    상기 제2 절연체 상에 형성된 부하 트랜지스터 탑 게이트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층에는,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 탑 게이트 전극과 상기 단일층을 전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부하 트랜 지스터 버텀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층에는,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 버텀 게이트 전극과 상기 단일층을 전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KR1020060096247A 2006-09-29 2006-09-29 인버터 KR10079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47A KR100790761B1 (ko) 2006-09-29 2006-09-29 인버터
US11/834,044 US7687807B2 (en) 2006-09-29 2007-08-06 Inverter
JP2007231462A JP4982307B2 (ja) 2006-09-29 2007-09-06 インバ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47A KR100790761B1 (ko) 2006-09-29 2006-09-29 인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761B1 true KR100790761B1 (ko) 2008-01-03

Family

ID=3921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247A KR100790761B1 (ko) 2006-09-29 2006-09-29 인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87807B2 (ko)
JP (1) JP4982307B2 (ko)
KR (1) KR1007907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24B1 (ko) * 2009-12-30 2012-06-18 전자부품연구원 상부 및 하부 게이트 구조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인버터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052A (ko) * 2015-06-23 2015-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장치
KR101623958B1 (ko) 2008-10-01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및 그의 동작방법과 인버터를 포함하는 논리회로
KR101758311B1 (ko) * 2008-11-07 2017-07-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180021009A (ko) * 2016-07-29 2018-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2977A1 (en) * 2008-10-03 2010-04-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230106737A (ko) 2008-10-03 2023-07-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CN101714546B (zh) * 2008-10-03 2014-05-1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106400B2 (en) * 2008-10-24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386236B (zh) 2008-10-24 2016-02-1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和用于制造该半导体器件的方法
KR101631454B1 (ko) * 2008-10-31 2016-06-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논리회로
WO2010050419A1 (en) * 2008-10-31 2010-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JP5587592B2 (ja) * 2008-11-07 2014-09-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5590868B2 (ja) * 2008-12-11 2014-09-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8704216B2 (en) 2009-02-27 201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76817B1 (ko) 2009-07-03 2014-12-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8115883B2 (en) 2009-08-27 2012-02-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45341B1 (ko) 2009-09-04 2017-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WO2011027676A1 (en) 2009-09-04 2011-03-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474256B (zh) * 2009-09-24 2016-03-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驱动器电路、包括驱动器电路的显示设备以及包括显示设备的电子电器
KR101915251B1 (ko) 2009-10-16 2018-11-0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WO2011052385A1 (en) 2009-10-30 2011-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N102598282B (zh) 2009-11-06 2015-09-2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CN105047669B (zh) 2009-12-28 2018-08-1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存储器装置和半导体装置
JP2012019122A (ja) * 2010-07-09 2012-01-26 Casio Comput Co Ltd トランジスタ構造体、トランジスタ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JP5630170B2 (ja) * 2010-09-14 2014-11-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ランジスタ構造体の製造方法
GB2485828B (en) 2010-11-26 2015-05-13 Plastic Logic Ltd Electronic devices
JP2013084333A (ja) 2011-09-28 2013-05-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シフトレジスタ回路
KR101614398B1 (ko) * 2012-08-13 2016-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장치
EP2768141A1 (en) 2013-02-15 2014-08-20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Active loads, especially for use in inverter circuits
US9620501B1 (en) * 2014-09-16 2017-04-11 Eastman Kodak Company Enhancement-depletion mode circuit element with differential passivation
FI20150334A (fi) * 2015-01-14 2016-07-15 Artto Mikael Aurola Paranneltu puolijohdekokoonpano
CN105575992A (zh) * 2015-12-22 2016-05-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互补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742308B (zh) 2016-02-29 2019-09-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互补型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WO2019066872A1 (en) * 2017-09-28 2019-04-04 Intel Corporation MONOLITHIC INTEGRATION OF A THIN FILM TRANSISTOR ON A COMPLEMENTARY TRANSIS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1307A (ja) * 1993-06-11 1994-05-31 Sanyo Electric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5705413A (en) 1995-10-12 1998-01-06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rmally stable mask
US5744823A (en) 1995-10-12 1998-04-28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in-film circuitry
KR19990073642A (ko) * 1998-03-02 1999-10-05 김영환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70350A (ko) * 2004-12-20 2006-06-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풀 스윙 유기 반도체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431A (en) 1973-12-28 1975-09-02 Teletype Corp Clocked dynamic inverter
US3946245A (en) 1975-02-12 1976-03-23 Teletype Corporation Fast-acting feedforward kicker circuit for use with two serially connected inverters
US4417162A (en) 1979-01-11 1983-11-2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ri-state logic buffer circuit
US4417840A (en) * 1979-10-04 1983-11-29 Kerr-Mcgee Coal Corporation Particulate material transfer system
JPS56111180A (en) 1980-02-06 1981-09-02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US4714840A (en) 1982-12-30 1987-12-22 Thomson Components - Mostek Corporation MOS transistor circuits having matched channel width and length dimensions
JP3522771B2 (ja) 1991-03-22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
WO1995022204A1 (en) * 1994-02-14 1995-08-17 Cascade Design Automation Corp. High-speed solid state buffer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998103A (en) * 1998-04-06 1999-12-07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Adhesion promotion method employing glycol ether acetate as adhesion promoter material
JP2001051292A (ja) * 1998-06-12 200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表示装置
JP4008133B2 (ja) * 1998-12-25 2007-11-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GB9926670D0 (en) 1999-11-12 2000-01-12 Univ Liverpool Field effect transistor (FET) and FET circuitry
KR20020001169A (ko) 2000-06-26 2002-01-09 박종섭 에스램의 박막 트랜지스터형 부하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683333B2 (en) * 2000-07-14 2004-01-27 E Ink Corporation Fabrication of electronic circuit elements using unpatterned semiconductor layers
KR100418089B1 (ko) 2001-06-21 2004-0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US6998068B2 (en) 2003-08-15 2006-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ene-thiophene semiconductors
JP4069648B2 (ja) 2002-03-15 2008-04-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駆動装置
US7088145B2 (en) 2002-12-23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 powered logic circuitry
KR100522434B1 (ko) 2003-01-07 2005-10-20 장 진 유기 반도체의 선택적 증착 방법
US20040169176A1 (en) 2003-02-28 2004-09-02 Peterson Paul E. Methods of forming thin film transistors and related systems
JP2005079549A (ja) 2003-09-03 2005-03-24 Victor Co Of Japan Ltd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JP4887599B2 (ja) * 2003-11-19 2012-02-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回路基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66713A (ja) 2003-11-28 2005-06-23 Sharp Corp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US7030666B2 (en) 2004-02-27 2006-04-18 Motorola, Inc. Organic semiconductor inverting circuit
US7122398B1 (en) 2004-03-25 2006-10-17 Nanosolar, Inc. Manufacturing of optoelectronic devices
DE102004025423B4 (de) 2004-05-24 2008-03-06 Qimonda Ag Dünnfilm-Feldeffekt-Transistor mit Gate-Dielektrikum aus organischem 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6013108A (ja) 2004-06-25 2006-01-12 Ricoh Co Ltd 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59467A1 (de) * 2004-12-10 2006-07-20 Polyic Gmbh & Co. Kg Gatter aus organischen Feldeffekttransistoren
US20060197092A1 (en) * 2005-03-03 2006-09-07 Randy Hoffma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material on a substrate
KR100801961B1 (ko) * 2006-05-26 2008-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듀얼 게이트 유기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인버터
KR100816498B1 (ko) * 2006-12-07 2008-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면 처리된 층을 포함하는 유기 인버터 및 그 제조 방법
US7652339B2 (en) * 2007-04-06 2010-01-26 Xerox Corporation Ambipolar transistor desig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1307A (ja) * 1993-06-11 1994-05-31 Sanyo Electric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5705413A (en) 1995-10-12 1998-01-06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rmally stable mask
US5744823A (en) 1995-10-12 1998-04-28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in-film circuitry
KR19990073642A (ko) * 1998-03-02 1999-10-05 김영환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70350A (ko) * 2004-12-20 2006-06-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풀 스윙 유기 반도체 회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958B1 (ko) 2008-10-01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및 그의 동작방법과 인버터를 포함하는 논리회로
KR101758311B1 (ko) * 2008-11-07 2017-07-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1153824B1 (ko) * 2009-12-30 2012-06-18 전자부품연구원 상부 및 하부 게이트 구조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인버터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052A (ko) * 2015-06-23 2015-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장치
KR101593395B1 (ko) * 2015-06-23 2016-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장치
KR20180021009A (ko) * 2016-07-29 2018-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1820703B1 (ko) * 2016-07-29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114967B1 (ko) 2016-07-29 202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87807B2 (en) 2010-03-30
JP2008091896A (ja) 2008-04-17
US20080080221A1 (en) 2008-04-03
JP4982307B2 (ja)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761B1 (ko) 인버터
KR100816498B1 (ko) 표면 처리된 층을 포함하는 유기 인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1961B1 (ko) 듀얼 게이트 유기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인버터
KR101056678B1 (ko) 인버터 제작 방법 및 인버터
KR100248392B1 (ko) 유기물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결합된유기물능동구동전기발광소자및그소자의제작방법
KR100907255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010053039A (ko) 집적 무기/유기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 및 그 제조방법
TW200843118A (en) Ambipolar transistor design
JP2004047566A (ja)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182047A (ja) トランジスタ、トランジスタ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77750B2 (ja) 有機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CN111403418A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器件
US9412769B2 (en)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is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transistor
TW201411853A (zh) 薄膜電晶體及其製造方法,以及顯示單位及電子裝置
KR100724312B1 (ko) 풀 스윙 유기 반도체 회로
WO2010013621A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N101097936A (zh) 薄膜晶体管阵列面板及其制造方法
JP5548976B2 (ja) 半導体装置
CN100573956C (zh) 有机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平板显示器
KR20070099883A (ko) 세로형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TWI703735B (zh) 半導體基板、陣列基板、逆變器電路及開關電路
JP2013115111A (ja) 酸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49217B2 (en)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Schottky gate-channel junctions
KR101388124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회로 장치
JP2011060837A (ja) 有機fetア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