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102B1 - 연료탱크용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02B1
KR100765102B1 KR1020050030706A KR20050030706A KR100765102B1 KR 100765102 B1 KR100765102 B1 KR 100765102B1 KR 1020050030706 A KR1020050030706 A KR 1020050030706A KR 20050030706 A KR20050030706 A KR 20050030706A KR 100765102 B1 KR100765102 B1 KR 10076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lower chamber
chamber
fuel
flo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662A (ko
Inventor
야스시 우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4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Abstract

(과제)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플로트가 상승해서 밸브가 폐쇄되는 오동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캐니스터에의 통기로(通氣路)에 연이어 통하는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 내(T)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4)와,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4)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3)를 가진다. 플로트체(3)의 하강위치에 있어서 하부실(2)의 내면과 플로트체(3)의 외면 사이가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가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로트체(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이 플로트체(3)의 외면과 하부실(2)의 내면간의 간격이 똑같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 간격이 넓은 개소가 상기 기체의 메인 유로(20)가 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밸브{VALVE FOR FUEL TANK}
도 1은 밸브의 정면도
도 2는 밸브의 측면도
도 3은 밸브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9는 플로트체(3)의 요부 분리 측면도
도 10은 상부 케이스(26)의 정면도
도 11은 상부 케이스(26)의 측면도
도 12는 상부 케이스(26)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5는 상부 케이스(26)의 저면도
도 16은 하부 케이스(27)의 정면도
도 17은 하부 케이스(27)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19는 하부 케이스(27)의 측면도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G-G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H-H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연료탱크 내 1 - 상부공간
2 - 하부실 20 - 메인 유로
3 - 플로트체 4 - 연통부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경로에 형성한 밸브 시트를 케이싱의 측면구멍에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트의 밸브에 의해서 폐쇄하여 연료탱크 내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것에 의해 과급유를 방지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밸브가 폐쇄되기까지의 동안에는, 측면구멍 을 통해 케이싱 내에 유입되고, 밸브 시트를 통해서 경로에서 연료탱크 밖으로 흘러 나가는 연료탱크 내의 기체는, 케이싱 내에 있어서 플로트의 외면과 케이싱의 내면 사이를 흐르는 것이 되지만, 플로트의 외면과 케이싱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플로트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고, 이 때문에, 플로트는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흐름에 의하여 상향의 힘의 작용을 받는 것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연료의 액면이 만탱크의 레벨에 도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기체의 흐름에 의해 플로트가 들어 올려져서 폐쇄밸브상태가 예기치않게 만들어지는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또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급유시에 발생하는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역시 연료의 액면이 만탱크의 레벨에 도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이 흔들림 등에 의해서 플로트가 들어 올려져서 폐쇄밸브상태가 예기치않게 만들어지는 우려를 가지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23842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플로트를 상승시켜 폐쇄밸브상태를 만들어내는 밸브에 있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플로트가 상승해서 밸브가 폐쇄되는 오동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 관한 제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연료탱크용 밸브를, 이하의 (1)∼(7)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캐니스터에의 통기로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부공간과,
(2) 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과,
(3) 상부공간과 하부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와,
(4) 상기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하부실측에서 상기 연통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플로트체를 가지는 밸브로서,
(5) 플로트체의 하강위치에 있어서 하부실의 내면과 플로트체의 외면사이가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가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6) 플로트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체의 외면과 하부실의 내면간의 간격이 똑같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7) 상기 간격이 넓은 개소가 상기 기체의 메인 유로가 되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체가 연통부를 폐색시키는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되지 않은 때에는, 연료탱크 내의 기체는 급유에 의해서 하부실의 내면과 플로트체의 외면사이를 통해서 연통부에서 상부공간으로 흘러 들어가고 또한 상기 상부공간에서 통기로에 흘러 들어가는데, 이 기체는 상기 메인 유로에 많이 흐르는 한편, 이 메인 유로에는 플로트체의 외면의 일부만이 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흐르는 기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플로트체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의 모두가 플로트체에 작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플로트체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 기체의 흐름에 의해 예기치않게 플로트체가 상승하여 연통부를 폐색시키는 오동작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가 제 1 연통구멍과 제 2 연통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하부실의 수평방향의 단면 내곽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을 좌우로 구분하는 칸막이판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통구멍에 의해 상부공간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1 실과, 상기 제 2 연통구멍에 의해 상부공간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2 실로 구분되어 있고,
플로트체의 수평방향의 단면 외곽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플로트체가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해서 이 제 1 실측에서 제 1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이 제 1 실에 수납된 제 1 플로트와,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해서 이 제 2 실측에서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이 제 2 실에 수납된 제 2 플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실 및 제 2 실의 단면 내곽형상은 어느 것이나 칸막이판의 일면과 하부실의 구분된 내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대략 반원형상이 되고, 이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 내곽형상을 가지는 제 1 실 및 제 2 실에 단면 외곽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하는 대응되는 플로트체가 수납되기 때문에, 제 1 실 및 제 2 실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하부실의 내면과 플로트체의 외면간의 간격은 똑같게는 되지 않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플로트와 제 2 플로트간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최소한으로 한 상태에서, 하부실 내에 적절하게 상기 메인 유로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관한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료탱크용 밸브를, 이하의 (1)∼(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캐니스터에의 통기로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부공간과,
(2) 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과,
(3) 상부공간과 하부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와,
(4) 상기 하부실의 측부측에 형성된 유입로에서의 상기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하부실측에서 상기 연통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플로트체를 가지는 밸브로서,
(5) 상기 플로트체를 완전히 상승시키는 하부실 내의 액면레벨이, 상기 유입로의 레벨과 동일하거나, 이것보다도 낮은 레벨이 되도록 플로트체의 부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 플로트체가 예기치않게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되는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즉각 플로트체를 최대 상승위치까지 떠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체를, 통의 하단부를 개방시킨 통형상체와, 이 통의 하단부에서 통형상체 내에 착탈(着脫)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부력조정체로 구성해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플로트체를 구성하는 통형상체의 구조를 바꾸는 일 없 이, 체적을 달리하는 부력조정체를 필요에 따라서 이 통형상체에 끼워넣게 함으로써, 부력을 달리하는 플로트체를 적절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1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 내지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특히, 도 4∼도 6은, 이 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플로트체(3)를 구성하는 제 1 플로트(30) 및 제 2 플로트(31)가 모두 하강위치에 있는 개방밸브상태를, 도 5는 제 1 플로트(30)만이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되어서 제 1 연통구멍(40)을 폐쇄밸브시킨 상태를,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또한 제 2 플로트(31)도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되어서 제 2 연통구멍(41)이 또한 폐쇄밸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플로트체(3)를 구성하는 통형상체(33)와 부력조정체(35)를 분리시킨 상태로서 나타내고 있고, 또, 도 10 내지 도 15는, 하부실(2)을 형성하는 하부실 구성체(25)의 상부 케이스(26)를, 도 16 내지 도 21은, 하부실(2)을 형성하는 하부실 구성체(25)의 하부 케이스(27)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는, 연료탱크 내(T)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캐니스터의 통기로에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진 밸브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밸브는, 이 통기의 차단 또는 감소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 연료튜브 내(T)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서 급유 노즐(급유 건 등이라고도 함)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과급유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캐니스터에의 통기로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 내(T)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이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는, 전체로서 연료탱크 내(T)에 인입된 상태로, 또는 하부실(2)측을 연료탱크 내(T)에 인입시킨 상태로, 연료탱크에 부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러한 밸브는, 그 상부에 외향의 플랜지(5)를 가지고 있고, 연료탱크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부착구멍에 대해, 이 플랜지(5)의 하측부분을 인입시키고, 또한, 연료탱크의 외면부(Ta)에 이 플랜지(5)의 외주부를 용착(溶着)해서 고정함으로써, 연료탱크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밸브는, 하부실(2)측을 연료탱크에 인입시킨 상태로 연료탱크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러한 밸브는,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어 이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4)를 폐색하도록 이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3)를 가지고 있다.
이 플로트체(3)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연통부(4)가 폐색되면, 연료탱크 내(T)의 내압이 상승되므로서, 상기 만탱크의 검지를 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밸브에 있어서는, 하강위치에 있어서 하부실(2)의 내면과 플로트체(3)의 외면 사이가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가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로트체(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이 플로트체(3)의 외면과 하부실(2)의 내면간의 간격이 똑같게 되지 않도록 하고 있고, 이 간격이 넓은 개소가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메인 유로(20)가 되도록 되어 있다(도 8참조).
삭제
삭제
플로트체(3)가 연통부(4)를 폐색시키는 최대 상승위치{즉, 플로트체(3)가 완전히 상승된 위치}까지 상승되지 않은 때에는, 연료탱크 내(T)의 기체는 급유에 의해서 하부실(2)의 내면과 플로트체(3)의 외면 사이를 통해서 연통부(4)에서 상부공간(1)으로 흘러 들어가고 또한 이 상부공간(1)에서 통기로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 기체는 상기 메인 유로(20)에 많이 흐르는 한편, 이 메인 유로(20)에는 플로트체(3)의 외면의 일부만이 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흐르는 기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플로트체(3)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의 모두가 플로트체(3)에 작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체(3)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기체의 흐름에 의해 예기치않게 플로트체(3)가 상승해서 연통부(4)를 폐색함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T)의 연료레벨이 만탱크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급유 노즐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키는 오동작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로(20)는 예를 들면 하부실(2)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 내지 융기부를, 인접하는 돌기부 내지는 융기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해서 형성함과 아울러, 어떤 위치에서의 인접하는 돌기부 내지 융기부의 사이에서는 유로의 단면적이 비교적 크고, 다른 어떤 위치에서의 인접하는 돌기부 내지 융기부의 사이에서는 유로의 단면적이 비교적 작아지도록 해 둠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단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는 유로가 상기 메인 유로(20)가 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통부(4)가 제 1 연통구멍(40)과, 이 제 1 연통구멍(40)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4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실(2)의 수평방향의 단면 내곽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을 좌우로 구분하는 칸막이판(21)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통구멍(40)에 의해 상부공간(1)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1 실(22)과, 상기 제 2 연통구멍(41)에 의해 상부공간(1)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2 실(23)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플로트체(3)의 수평방향의 단면 외곽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트체(3)를,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하게 해서 상기 제 1 실(22)측에서 제 1 연통구멍(40)을 폐색하도록 제 1 실(22)에 수납된 제 1 플로트(30)와,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하게 해서 상기 제 2 실(23)측에서 제 2 연통구멍(41)을 폐색하도록 제 2 실(23)에 수납된 제 2 플로트(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실(22) 및 제 2 실(23)의 단면 내곽형상은 어느 것이나 칸막이판(21)의 일면과 하부실(2)의 구분된 내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대략 반원형상이 되고, 이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 내곽형상을 가지는 제 1 실(22) 및 제 2 실(23)에 단면 외곽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하는 대응되는 플로트체(3)가 수납되기 때문에, 제 1 실(22) 및 제 2 실(2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하부실(2)의 내면과 플로트체(3)의 외면간의 간격은 똑같게 되지 않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플로트(30)와 제 2 플로트(31)간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최소한으로 한 상태로, 하부실(2) 내에 적절하게 상기 메인 유로(20)를 형성시킬 수 있다(도 8 참조).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연료탱크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이하, 제 1 액면레벨(Ll)이라 함}이 된 위치에서 제 1 플로트(30)는 최대 상승위치까지 즉각 상승하지만, 이 제 1 액면레벨(L1)에서 제 2 플로트(31)는 하강위치에 머물고(도 5), 연료탱크 내(T)의 액면레벨이 이 제 1 액면레벨(L1)보다 높은 일정한 레벨{이하, 제 2 액면레벨(L2)이라 함}이 된 위치에서 제 2 플로트(31)가 최대 상승위치까지 즉각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이것에 의해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먼저, 제 1 플로트(30)에 의한 제 1 연통구멍(40)의 폐색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T)의 내압을 일단 상승시키고 급유 노즐측의 센서에 최초의 만탱크를 검지시켜 과급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후의 제 2 연통구멍(41)에서의 통기에 의한 내압의 저하후의 제 2 액면레벨(L2)까지의 추가급유를 허용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제 2 플로트(31)를 상승시켜 급유 노즐측의 센서에 2회째의 만탱크를 검지시켜서 이 추가급유에 있어서도 과급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로트체(3)는 상기 하부실(2)의 측부측에 형성된 유입로(24)로부터 이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하고 이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4)를 폐색하도록 이 하부실(2)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체(3)를 완전히 상승시키는 하부실(2) 내의 액면레벨이, 상기 유입로(24)의 레벨과 동일하거나, 이것보다도 낮은 레벨이 되도록 플로트체(3)의 부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연료탱크 내(T)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만탱크의 레벨{즉, 도시된 예에서는, 임시 만탱크레벨인 제 1 액면레벨(L1) 및 최종 만탱크레벨인 제 2 액면레벨(L2)}보다 낮은 경우에, 플로트체(3)가 예기치않게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되는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연료의 액면레벨이 만탱크의 레벨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즉각 플로트체(3)를 최대 상승위치까지 떠오르게 하여, 정확하게 만탱크를 검지하게 할 수 있다. 즉, 플로트체(3)를 완전히 상승시키는 하부실(2) 내의 액면레벨이 유입로(24)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급유시에 발생하는 연료탱크 내(T)의 연료의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만탱크의 레벨에 실제로 도달하지 않는 양의 급유밖에 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플로트체(3)가 밀어 올려져서 캐니스터의 통기로에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연료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 급유 노즐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키는 오동작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 이러한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에 있어서, 밸브는,
(1) 상부공간 구성체(10)와,
(2) 하부실 구성체(25)와,
(3) 제 1 플로트(30)와,
(4) 제 2 플로트(3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공간 구성체(10)}
상부공간 구성체(10)는, 하면을 개방시킨 엎어놓은 주발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개방부를 둘러싸는 하측을 향한 조립용 단차면(11)을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을 이루는 하부실 구성체(25)의 통의 상단부면을 둘러싸는 조립용 가장자리부(26a)를 상기 조립용 단차면(11)에 액밀(液密)하게 조립함으로써, 이 하부실 구성체(25)의 통의 상단부면의 상측에 상기 상부공간(1)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조립용 단차면(11)의 하측을 외향으로 돌출시킨 주회(周回) 플랜지(12)로 하고 있고, 또한, 이 주회 플랜지(1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하측으로 돌출시킨 용착용 주회돌기부(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밸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하부실 구성체(25)를 연료탱크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부착구멍에 연료탱크의 외측에서 인입시킨 상태로, 상기 용착용 주회돌기부(13)로써 연료탱크의 외면부(Ta)에 주회 플랜지(5)를 용착고정함으로써 연료탱크에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상부공간 구성체(10)의 측부에, 관의 일단부를, 관내부가 이 상부공간 구성체(10)의 내부에 연이어 통하게 되도록 하여, 일체로 연접시켜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접속관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관부(14)에 상기 통기로를 구성하는 튜브(도시생략) 등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실 구성체(25)}
하부실 구성체(25)는 상부 케이스(26)와 하부 케이스(27)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6)는, 통의 상단부를 폐색시키고, 통의 하단부를 개방시킨 대략 원통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27)는, 통의 상단부를 개방시킨 원통형상부(27a)와, 이 원통형상부(27a)의 통의 하단부에 컵 상부를 일체로 연접시킨 컵부(27b)를 구비하고 있다. 컵부(27b)는 수평방향의 단면 내곽형상이 원통형상부(27a)의 직경에 거의 동일한 장축과 이것보다 짧은 단축을 구비한 타원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6)의 통의 하단부측의 외측부에는, 걸어맞춤 돌기부(26b)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하부 케이스(27)의 원통형상부(27a)의 통의 상단부측의 측부에는, 걸어맞춤 창(27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걸어맞춤 창(27c)에 하부 케이스(27)의 내측에서 걸어맞춤 돌기부(26b)가 탄발인입되도록 하부 케이스(27)의 원통형상부(27a)의 통의 상단부에서 상부 케이스(26)의 통의 하단부를 인입시킴으로써, 양 케이스가 조립되고 그 내부에 하부실(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10, 도 16)
상부 케이스(26)의 내부는, 판의 상단부를 상부 케이스(26)의 상판내면에 일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판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부 케이스(26)의 통의 하단부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시키고, 또한, 판의 측부 가장자리를 상부 케이스(26)의 내면에 일체로 연접시킨 칸막이판(21)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21)에 의해서 구분된 제 1 실(22)과 제 2 실(23)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도 13, 도 14)
또, 상부 케이스(26)의 상판(26c)에는, 이 상판(26c)을 관통하는, 제 1 플로트(30)에 의해서 폐색되는 제 1 연통구멍(40)과, 제 2 플로트(31)에 의해서 폐색되는 제 2 연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통구멍(40)은 제 2 연통구멍(41)보다 구멍직경을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도 12)
또, 상부 케이스(26)의 제 1 실(22)과 제 2 실(23) 내에는 각각 리브 선단부로써 플로트체(3)의 외면을 안내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체(26d,26d…)가, 인접하는 지지 리브체(26d)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8, 도 13, 도 14)
지지 리브체(26d)는, 제 1 실(22) 및 제 2 실(23)에 면하는 상부 케이스(26)의 내면 및 칸막이판(21)의 판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체(26d,26d…)에 의해서, 플로트체(3)는, 칸막이판(21)의 폭방향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를 통과하는 이 칸막이판(21)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상의 직선(x)상에 플로트체(3)의 중심축을 거의 위치하게 하게 된다.(도 8)
또한, 이 플로트체(3)의 외면과 상부 케이스(26)의 내면 및 칸막이판(21)의 판면과의 사이에 플로트체(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기체의 유로가 되는 간격을 만든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27)의 원통형상부(27a)의 측부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창(27c)의 하측에 형성된 유입개구(27d)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기체가 이와 같이 지지되는 플로트체(3)의 외면과 상부 케이스(26)의 내면 사이를 통과해서 연통부(4)에서 상부공간(1)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도 1, 도 16)
하부 케이스(27)의 원통형상부(27a)와 컵부(27b)의 연통개소에는, 양자의 내경차(內徑差)만큼의 상측을 향한 단차면(27e)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17, 도 20)
또, 이 원통형상부(27a)의 직경방향 양측에 있어서, 이 단차면(27e)보다 상측에는, 원통형상부(27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길게 개방된 상기 유입개구(2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입개구(27d)의 개구하측 가장자리는 단차면(27e)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컵부(27b)는 타원형의 단면 내곽형상을 가지는 컵부(27b)의 이 타원형상의 단축방향을 따른 판면을 가지며, 상기 컵부(27b)를 좌우로 액밀하게 구분하는 컵칸막이판(27f)에 의해서 거의 동일한 크기의 제 1 컵실(27g)과 제 2 컵실(27h)로 구분되어 있다.(도 4, 도 17, 도 18, 도 20, 도 21)
그리고, 상기 제 1 컵실(27g)이 상기 제 1 실(22)의 하측에 위치되고, 또, 제 2 컵실(27h)이 상기 제 2 실(2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4)
그리고, 플로트 상부를 제 1 실(22)에 위치시키는 제 1 플로트(30)의 플로트 하부가 이 제 1 컵실(27g) 내에 수납되고, 또한, 플로트 상부를 제 2 실(23)에 위치시키는 제 2 플로트(31)의 플로트 하부가 이 제 2 컵실(27h) 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컵칸막이판(27f)은, 그 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하부 케이스(27)와 상부 케이스(26)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6)의 칸막이판(21)의 하부 가장자리에 맞대게 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또, 상기 단차면(27e)상에는, 제 1 컵실(27g)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컵부(27b)의 타원형상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원호상부분에 맞는 개구 가장자리에 판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이 원호를 따른 만곡을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판의 상단부를 유입개구(27d)의 개구 상부 가장자리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시킨 제 1 만곡판체(27i)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컵실(27g)에는, 상기 제 1 만곡판체(27i)의 양측 가장자리와 컵칸막이판(27f)의 사이를 제 1 유입로(24a)로 해서 유입개구(27d)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들어가게 되도록 되어 있다.(도 17, 도 20)
또, 상기 단차면(27e)상에는, 제 2 컵실(27h)의 개구 가장자리에 판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이 제 2 컵실(27h)의 내곽형상을 따른 내외면형상을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만곡판체(27j)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만곡판체(27j)는 컵칸막이판(27f)에 대해서 일체로 연접되어 있고, 만곡부분은 제 1 만곡판체(27i)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만, 컵칸막이판(27f)과의 연접측에 있어서는, 하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 절결부(切缺部)(27k)에 의해서, 상기 단차면(27e)보다 높으나 만곡부분의 판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은 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컵실(27h)에는, 상기 제 2 만곡판체(27j)의 절결부(27k)를 제 2 유입로(24b)로 해서 유입개구(27d)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들어가게 되도록 되어 있다.(도 2, 도 17, 도 20)
한편, 제 1 유입로(24a)의 하측 가장자리가 단차면(27e)과 동일 높이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입로(24b)가 절결부(27k)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그 높이는 제 1 유입관보다도 높은 위치에 오게 되는데, 그 위치가 상기 유입개구(27d)의 하측 가장 자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컵실(27g)에 플로트 하부를 수납시켜서 지지되는 제 1 플로트(30)는, 연료의 액면레벨이 유입개구(27d)의 개구하부 가장자리를 넘은 경우에 즉각 최대 상승위치까지 떠오르지만, 제 2 컵실(27h)에 플로트 하부를 수납시켜서 지지되는 제 2 플로트(31)는 이 단계에서는 상승되지 않고, 연료의 액면레벨이 제 2 유입로(24b)의 레벨을 넘기에 다다른 단계에서 최대 상승위치까지 떠오르도록 되어 있다.(도 2, 도 5, 도 6, 도 18)
삭제
또, 실시 예에 있어서는, 컵부(27b)의 저부, 즉, 제 1 컵실(27g)의 저부와 제 2 컵실(27h)의 저부에, 각각 원웨이 밸브(27m)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러한 저부에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것으로도 대용 가능하다.(도 3, 도 4)
이러한 원웨이 밸브(27m)는 원판상의 밸브덮개(27o)와 이 밸브덮개(27o)의 상면의 거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빠짐방지 머리부(27q)를 가진 다리부(27p)로 이루어지는 밸브체(27n)와, 컵부(27b)의 저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컵부(27b)의 하측에서 밸브체(27n)의 다리부(27p)가 인입되고, 밸브체(27n)의 상승위치에 있어서 이 밸브체(27n)의 밸브덮개(27o)에 의해서 하측에서 폐색되는 관통구멍(27r)과, 컵부(27b) 내에 있어서 이 관통구멍(27r)의 상측에 다리편(27t)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밸브체(27n)의 다리부(27p)를 상하이동가능하게 통과시키고, 또한, 빠짐방지 머리부(27q)가 상측에서 걸리게 되는 지지체(27s)로 구성되어 있다.(도 4)
삭제
삭제
이러한 밸브체(27n)는, 연료가 소비되어 그 액면레벨이 컵부(27b)의 저부의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에, 자중에 의해 내려가서, 밸브덮개(27o)에 의한 관통구멍(27r)의 폐색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컵부(27b) 내의 연료가 관통구멍(27r)에서 유출되고, 플로트체(3)가 하강위치까지 내려가게 되어, 상기 연통부(4)가 개방된다. 한편, 급유에 의해서 연료의 액면레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 상승에 의해서 밸브덮개(27o)를 관통구멍(27r)에 압압폐색하는 방향으로 밸브체(27n)는 밀어 올려지고, 연료의 액면레벨이 소정의 만탱크의 레벨이 되기까지 컵부(27b)내에 연료가 들어가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플로트체(3)를 상기 제 1 플로트(30) 및 제 2 플로트(31) 모두는 통의 상단부를 밸브체부(32)로 한 중공(中空)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도 5, 도 6)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플로트체(3)는, 통의 하단부를 개방시킨 통형상체(33)와, 이 통의 하단부에서 통형상체(33) 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부력조정체(35)로 구성되어 있다.(도 9)
부력조정체(35)는, 상단부를 폐색시키고, 하단부를 개방시킨 원통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외경을 통형상체(33)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약간 작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부력조정체(35)의 측부 외면에는, 통형상체(33)의 통의 하단부에서의 부력조정체(35)의 인입에 의해 통형상체(33)의 하부에 형성된 창구멍(34)에 탄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돌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은, 창구멍(34)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선단부를 인입시키고 걸어맞춤 돌기부(36)를 압압함으로써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로트체(3)를 구성하는 통형상체(33)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 없이, 체적을 달리하는 부력조정체(35)를 필요에 따라서 상기 통형상체(33)에 끼워넣게 함으로써, 부력을 달리하는 플로트체(3)를 적절하게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로(24)의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도 낮은 레벨에 하부실(2) 내의 액면레벨이 도달한 단계에서, 플로트체(3)가 상기 최대 상승위치로 즉각 이동하는 부력를 가지도록 하는 등의 세팅 내지는 튜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로트체(3)는, 부력조정체(35)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부력조정체(35) 내에 인입되고 이 부력조정체(35)의 상단부 내면에 스프링 상단부를 압압하고, 또한, 컵부(27b)의 저부 내면에 스프링 하단부를 압압하도록 조립된 압축 코일 스프링(6)에 의해서,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도 상향의 일정한 탄지력이 항상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도 4)
본 발명에 관한 연료탱크용 밸브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플로트가 상승해서 밸브가 폐쇄되는 오동작을 가급적 방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캐니스터에의 통기로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T)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4)와,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4)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3)를 가지는 밸브로서,
    플로트체(3)의 하강위치에 있어서 하부실(2)의 내면과 플로트체(3)의 외면사이가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가 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로트체(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체(3)의 외면과 하부실(2)의 내면간의 간격이 똑같게 되지 않도록 하여 간격이 넓은 개소가 기체의 메인 유로(20)가 되도록 하며,
    연통부(4)가, 제 1 연통구멍(40)과 제 2 연통구멍(40)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하부실(2)의 수평방향의 단면 내곽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을 좌우로 구분하는 칸막이판(21)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통구멍(40)에 의해 상부공간(1)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1 실(22)과, 상기 제 2 연통구멍(41)에 의해 상부공간(1)에 연이어 통하게 한 제 2 실(23)로 구분되어 있고,
    플로트(3)체의 수평방향의 단면 외곽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트체(3)가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해서 상기 제 1 실(22)측에서 제 1 연통구멍(40)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1 실(22)에 수납된 제 1 플로트(30)와,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해서 상기 제 2 실(23)측에서 제 2 연통구멍(41)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2 실(23)에 수납된 제 2 플로트(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3. 캐니스터에의 통기로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T)내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4)와,
    상기 하부실(2)의 측부측에 형성된 유입로(24)에서의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4)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3)를 가지는 밸브로서,
    상기 플로트체(3)를 완전히 상승시키는 하부실(2) 내의 액면레벨이 상기 유입로(24) 보다도 낮은 레벨이 되도록 플로트체(3)의 부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플로트체(3)가 통의 하단부를 개방시킨 통형상체(33)와, 상기 통의 하단부에서 통형상체 내에 착탈(着脫)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부력조정체(3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KR1020050030706A 2004-04-14 2005-04-13 연료탱크용 밸브 KR100765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9579A JP4394508B2 (ja) 2004-04-14 2004-04-14 燃料タンク用バルブ
JPJP-P-2004-00119579 200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662A KR20060045662A (ko) 2006-05-17
KR100765102B1 true KR100765102B1 (ko) 2007-10-08

Family

ID=3461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706A KR100765102B1 (ko) 2004-04-14 2005-04-13 연료탱크용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43639B2 (ko)
JP (1) JP4394508B2 (ko)
KR (1) KR100765102B1 (ko)
CN (1) CN100387456C (ko)
DE (1) DE102005017138B4 (ko)
GB (2) GB2413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6932B8 (de) * 2005-08-05 2008-07-03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entil für den Kraftstoffbehälter von Kraftfahrzeugen
FR2896568B1 (fr) * 2006-01-26 2008-03-14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Dispositif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et clapet integrant ledit dispositif
WO2008031830A1 (en) * 2006-09-13 2008-03-20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Liquid tank venting system
US9492765B2 (en) * 2011-11-08 2016-11-15 Piolax, Inc. Valve unit
EP2829428B1 (en) 2012-03-22 2018-01-03 Nifco Inc. Valve device for fuel tank
JP6488122B2 (ja) * 2014-03-05 2019-03-2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841251B2 (ja) 2018-02-23 2021-03-1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バルブ
JP2020016210A (ja) * 2018-07-27 2020-01-30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886434B2 (ja) * 2018-07-27 2021-06-16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967030B2 (ja) * 2019-03-28 2021-11-17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弁装置
US20240001759A1 (en) * 2020-11-10 2024-01-04 Piolax, Inc. Valve device for fuel tan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382A (ja) * 1994-04-28 1995-11-07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用フロートバルブ
KR20030007428A (ko) * 2000-02-14 2003-01-23 라발-애그리컬쳐럴 코퍼레이티브 서사이어티즈 리미티드 개선된 연료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089Y2 (ko) * 1986-11-14 1992-09-28
JPH081133Y2 (ja) * 1989-03-31 1996-01-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ロールオーバーバルブ
JP2707396B2 (ja) * 1993-04-09 1998-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排出規制装置
JP3188066B2 (ja) * 1993-09-21 2001-07-16 愛三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カットオフバルブ装置
JP3630173B2 (ja) * 1994-03-17 2005-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8114274A (ja) * 1994-10-14 1996-05-07 Nok Corp 液体遮断弁
JP3503290B2 (ja) * 1995-08-03 2004-03-02 Nok株式会社 液体遮断弁
JP2943654B2 (ja) * 1995-04-07 1999-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排出防止装置
JP3337183B2 (ja) * 1995-04-21 2002-10-21 京三電機株式会社 止め弁の構造
US5687756A (en) * 1995-11-08 1997-11-18 Borg-Warner Automotive, Inc. Vehicle refueling valve
JP3777214B2 (ja) * 1996-01-08 2006-05-2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流出防止弁装置
JP3535338B2 (ja) * 1997-02-26 2004-06-07 株式会社アステア 燃料タンクの燃料遮断装置
JPH11229984A (ja) 1998-02-10 1999-08-24 Mikuni Adec Corp フロートバルブ
JP2001182633A (ja) * 1999-12-27 2001-07-06 Kyosan Denki Kk 燃料蒸発ガス処理装置
FR2811648B1 (fr) * 2000-07-13 2002-09-27 Solvay Automotive Fuel Systems Systeme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US6779544B2 (en) * 2001-03-02 2004-08-24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refueling shutoff valve and vent system
JP2002285925A (ja) * 2001-03-26 2002-10-03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02021665A (ja) * 2001-05-15 2002-01-23 Nifco Inc 燃料タンクの液面検知バルブ
JP3931291B2 (ja) * 2001-11-29 2007-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3911185B2 (ja) * 2002-04-05 2007-05-09 株式会社ニフコ 過給油防止バルブ
US6675779B2 (en) * 2002-06-13 2004-01-13 Stant Manufacturing Inc. Dual float valve for fuel tank vent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JP4078142B2 (ja) * 2002-07-23 2008-04-23 株式会社ニフコ 過給油防止バル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382A (ja) * 1994-04-28 1995-11-07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用フロートバルブ
KR20030007428A (ko) * 2000-02-14 2003-01-23 라발-애그리컬쳐럴 코퍼레이티브 서사이어티즈 리미티드 개선된 연료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19394B (en) 2006-11-22
US20050229967A1 (en) 2005-10-20
KR20060045662A (ko) 2006-05-17
CN100387456C (zh) 2008-05-14
DE102005017138A1 (de) 2005-11-24
CN1683776A (zh) 2005-10-19
JP2005299577A (ja) 2005-10-27
GB0600890D0 (en) 2006-02-22
GB0507369D0 (en) 2005-05-18
DE102005017138B4 (de) 2016-08-18
JP4394508B2 (ja) 2010-01-06
GB2413171A (en) 2005-10-19
US7243639B2 (en) 2007-07-17
GB2413171B (en) 2006-08-23
GB2419394A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102B1 (ko) 연료탱크용 밸브
JP3911185B2 (ja) 過給油防止バルブ
US7188613B2 (en) Fuel cut off valve
US9139084B2 (en) Small engine emissions control valve
US7571740B2 (en) Fuel cutoff valve
KR101409052B1 (ko) 연료탱크용 밸브 장치
US20010050104A1 (en) Fuel cutoff valve
US7886759B2 (en) Fuel cutoff valve
US6779546B2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JP2018013087A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JP4561687B2 (ja) タンク用流路構造体および燃料遮断弁
EP2756978B1 (en) Fuel tank connector
JP3064824B2 (ja) 燃料タンクの制御弁
US6779545B2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KR100879059B1 (ko) 컷 밸브
KR100712819B1 (ko) 연료탱크용 밸브
JP4206910B2 (ja) フロートバルブ
US11932100B2 (en) Valve device
JP4555209B2 (ja) 燃料漏れ防止弁
JP3877915B2 (ja) 液体遮断弁
JP4078142B2 (ja) 過給油防止バルブ
KR100690179B1 (ko) 연료탱크용 밸브
JPH10238429A (ja) 燃料タンクの燃料遮断装置
JP2011131710A (ja) 燃料遮断弁
JP2010173396A (ja) 燃料遮断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