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86B1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86B1
KR100752886B1 KR1020057007777A KR20057007777A KR100752886B1 KR 100752886 B1 KR100752886 B1 KR 100752886B1 KR 1020057007777 A KR1020057007777 A KR 1020057007777A KR 20057007777 A KR20057007777 A KR 20057007777A KR 100752886 B1 KR100752886 B1 KR 10075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braking
operation signal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781A (ko
Inventor
켄-이치 오카모토
타쿠오 쿠기야
히로시 키가와
히데아키 코데라
아키나리 카지타
야수시 차다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에 출력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제동 가능한 비상 정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칸은 제동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ELEVATOR DEVICE, AND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상 속도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속기(調速機)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특개 2001-80840호 공보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의 이상을 검출하는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쐐기를 가압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낙하를 저지하는 비상 정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조속기의 쉬브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거버너 로프에 연결되며 또한 비상 정지 장치의 쐐기와 연동하는 세이프티 링크가 탑재되어 있다.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면, 거버너 로프가 구속되게 되어 있다. 거버너 로프의 구속에 의해 세이프티 링크가 동작되며, 쐐기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가압된다. 이 가압에 의한 제동력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낙하가 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이미 크게 상승해 버렸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의 충격이 커지고 만다.
또, 조속기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쐐기의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사이에, 거버너 로프의 구속, 및 세이프티 링크의 동작이 개재하므로, 예를 들면 조속기에서의 거버너 로프의 구속 동작의 지연, 거버너 로프의 신축, 및 세이프티 링크의 동작의 지연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 검출로부터 제동력의 발생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만다. 따라서, 제동력이 발생할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한층 더 커지게 되고, 엘리베이터 칸에의 충격이 한층 더 커지고 만다. 또,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까지의 제동 거리도 커지고 만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흔들림 등에 의해 세이프티 링크가 진동하여, 오작동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제동 부재를 가압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 및 작동 신호를 출력부로부터 제동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 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7의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 내는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 및 각 로프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 및 도어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 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hoisting machine)(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4)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5)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조속기(6)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6)는 조속기 본체(7)와, 조속기 본체(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풀리(9)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8)와 텐션 풀리(9)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에 연결된 거버너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의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8) 및 텐션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조속기(6)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강하 속도가 제1 과속도보다 고속의 제2 과속도(설정 과속도) 로 되었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인 스위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1)는,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8)의 원심력에 대응하여 변위되는 과속 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접점부(16)를 갖고 있다. 접점부(16)는, 정전시에도 급전(給電)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인 배터리(12),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3)에, 각각 전원 케이블(14) 및 접속 케이블(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접점부(16)의 폐극(閉極)에 의해 전원 케이블(14), 스위치부(11),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수단은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갖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지지 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제동 부재인 쐐기(19)와, 쐐기(19)에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19)를 변위시키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 (20)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고 액추에이터부(20)에 의해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2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쐐기(19),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 및 한 쌍의 안내부(21)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갖고 있다. 쐐기(19)는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인 스프링(2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안내부(21)로부터 떨어지도록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다.
스프링(23)은, 지지 부재(18)와 쐐기(1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용 배선(17)은 전자 마그넷(24)에 접속되어 있다. 쐐기(19)에는 전자 마그넷(24)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접점부(16)(도 1 참조)의 폐극에 의해 배터리(12)(도 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접점부(16)(도 1 참조)의 개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5)는 작동된다. 즉, 한 쌍의 쐐기(19)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점부(16)는 폐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는 배터리(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쐐기(19)는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흡인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도 2).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절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후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로 되면, 접점부(16)가 개극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차단되며, 쐐기(19)는 스프링(23)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19)는 안내부(21)의 경사면(22)에 접촉하면서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안내부(21)와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도 3).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접점부(16)의 폐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통전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쐐기(19)는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터리(12)에 접속된 스위치부(11)와 각 비상 정지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속기(4)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을 전기적인 작동 신호로서 스위치부(11)로부터 각 비상 정 지 장치(5)에 전송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단시간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비상 정지 장치(5)를 용이하게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전기적인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흔들림 등에 의한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20)와, 위쪽으로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2)을 포함하는 안내부(21)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 쐐기(19)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력을 확실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쐐기(19)를 하부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쐐기(19)를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와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과속도일 때에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가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35)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안내부(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갖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고 있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가동부(40)와,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1)를 갖고 있다.
지지부(39) 및 가동부(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수반하여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되며, 지지 안내구멍(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되어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 기(34)는 지지부(3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도 7은 도 6의 구동부(4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부(41)는 가동부(40)에 장착된 가압부인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46)은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의해 변형된다.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40)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해 가동부(40)의 접촉 위치(실선)와 개리 위치(2점 파선) 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유지된다.
전자 마그넷(48)은, 가동부(40)에 고정된 제1 전자부(49)와, 제1 전자부(49) 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자부(50)를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제2 전자부(5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8)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하여 서로 반발된다. 즉, 제1 전자부(49)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가동부(40)와 함께 제2 전자부(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출력부(32)는, 비상 정지 기구(5)의 작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 신호를 복귀시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흡인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접촉부(37)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2 과속도로 되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작동 신호의 전자 마그넷(48)에의 입력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자 반발력 에 의해, 가동부(4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접촉 위치에서 가동부(40)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는 것으로부터,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쐐기(3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경사면(44)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34)와의 사이,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접촉면(45)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흡인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개리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고,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및 거버너 로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를 갖고 있으므로, 접촉부(37)의 중량을 쐐기(34) 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작동 기구(38)의 접촉부(37)에 대한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작동 기구(3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7)를 경량으로 하는 것으로, 접촉부(37)의 변위 속도도 크게 할 수 있고, 제동력의 발생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구동부(41)는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서 유지하는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으므로, 가동부(40)의 변위시만의 전자 마그넷(48)에의 통전으로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혹은 개리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인 도어 개폐 센서(58)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센서(58)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59)가 제어 케이 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59)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는 출력부(59)에 입력된다. 출력부(59)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개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가 파악된다.
출력부(5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59)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58)가 출력부(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59)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정지 장치(33)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엘리베이터 칸(3)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메인 로프(4)에는,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인 절단 검출 도선(61)이 삽통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메인 로프(4)의 절단의 유무는, 미약 전류의 통전의 유무에 의해 검출된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이 절단되면,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차단 신호인 로프 절단 신호가 출력부(62)에 입력된다. 출력부(62)에는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절단 검출 도선(61)으로부터의 로프 절단 신호에 의해,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절단 검출 도선(61)이 출력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6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검출 및 메인 로프(4)의 절단의 검출에 의해 이상 속도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으로서 메인 로프(4)에 삽통된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텐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로프(4)의 로프 고정에 텐션 측정기가 설치된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가감속도 및 정지 층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67)를 갖고 있다. 출력부(66)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부(66)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실측치)와, 메모리부(67)에 기억된 제어 패턴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설정치)가 비교되게 되어 있다. 출력부(66)는,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threshold)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문턱값이란, 엘리 베이터 칸(3)이 통상의 제동에 의해 승강로(1)의 단부(end portion)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66)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실측치와 제어 패턴의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인 상부 칸(71)과, 상부 칸(7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인 하부 칸(7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의 상단부에는,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1 권상기(도시하지 않는다)와,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는다)를 승강시키는 제2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1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제2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2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감겨져 있다.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는 제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는 제2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속도 및 하부 칸(72)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속도 센서(73)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위치 및 하부 칸(72)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의 하부에는, 실시 형태 2에서 사용되는 비상 정지 장치(33)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칸(72)의 하부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반(13) 내에는 출력부(79)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79)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 속도 센서(73)로부터의 상부 칸 속도 검출 신호, 하부 칸 속도 센서(74)로부터의 하부 칸 속도 검출 신호,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상부 칸 위치 검출 신호,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하부 칸 위치 검출 신호는, 출력부(79)에 입력된다. 즉, 출력부(7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부(7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는, 엘리 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될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출력부(79)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의 주행 상태는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출력부(79)에의 입력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출력부(79)에서 예측되었을 때, 출력부(79)로부터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부가, 동일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상 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는 출력부(79)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이르지 않아도,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될 때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제어반(13) 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에 출력부(79)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출력부(79), 및 하부 칸(72)에 탑재된 출력부(79)의 양쪽 모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양쪽 모두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한쪽에만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출력부(79)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되는 동시에,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움직임의 이상 유무도 판단된다. 작동 신호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중 비정상인 움직임을 하는 쪽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에만 출력부(79)로부터 출력된다.
실시 형태 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에는 출력부인 상부 칸용 출력부(81)가 탑재되고, 하부 칸(72)에는 출력부인 하부 칸용 출력부(82)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71)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상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3)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하부 칸(72)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상부 칸(71) 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72)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하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4)을 통하여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부 칸(71)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하부 칸(72)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통상시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하지 않게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운전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측으로 낙하하고,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에 가까워지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되며,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 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6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부 칸 속도 센서(73)가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 속도 센서(73)와 하부 칸용 출력부(82)와의 사이,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와 상부 칸용 출력부(81)와의 사이에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 배선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에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칸간(間) 거리 검출 수단인 칸간 거리 센서(91)가 탑재되어 있다. 칸간 거리 센서(91)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레이저 조사부와, 하부 칸(72)에 탑재된 반사부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는, 레이저 조사부와 반사부 사이의 레이저 광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간 거리 센서(91)에 의해 구해진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79)가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의 예측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6∼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도어 개폐 센서(58)를 적용하여 출력부에 개폐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되며, 실시 형태 4의 절단 검출 도선(61)을 적용하여 출력부에 로프 절단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구동부는 제1 전자부(49) 및 제1 전자부(50)의 전자 반발력 혹은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 전성의 반발판(反撥板)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마그넷(48)에는 작동 신호로서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가동부(40)에 고정된 반발판(51)에 발생하는 와전류와 전자 마그넷(48)으로부터의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부(40)가 변위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은 승강로(1)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출력부에 전송된다.
실시 형태 9.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159)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작동 기구(159)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를 통 과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작동 기구(159)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동 기구(159)는, 한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된 봉 형상의 가동부(162)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며 가동부(162)를 왕복 변위시키는 구동부(163)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구동부(163) 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164)과, 가동 철심(164)과 링크 부재(158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65)을 갖고 있다. 또, 가동부(162) 는,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163)는, 가동 철심(164)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166a,166b)와 각 규제부(166a,166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166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164)을 둘러싸는 고정 철심(166)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1 코일(167)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2 코일(168)과,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영구자석(169)을 갖고 있다.
한쪽의 규제부(166a)는, 가동부(162)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규제부(166b)는, 가동부(162)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은, 가동부(162)를 둘러싸는 환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1 코일(167)은 영구자석(169)과 한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8)은 영구자석(169)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2 코일(168)측보다 제1 코일(167)측에서 많아 지며, 가동 철심(164)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또,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1 코일(167)측보다 제2 코일(168)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제2 코일(168)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168)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162)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동 철심(164)은 영구자석(169)에 의한 유지력으로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55)에 출력됨으로써, 제2 코일(168)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코일(168)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가 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는 제동된다.
이 후, 안내부(36)는 하강을 계속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1 코일(167)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코일(167)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64)이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하여,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동 기구(159)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15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76)는,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작동 기구(159)와, 작동 기구(159)의 가동부(162)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가동부(162)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작동 기구(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를 가지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링크부(179)는 제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가동부(162)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파고들 게 하고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링크 부재(177)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 후퇴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가동부(162)의 구동부(163)로의 후퇴에 의해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고 가동부(162)가 전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가동부(162)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쐐기(34)가 파고든 것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형태 1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101)와, 권상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0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103)와, 복수 개의 메인 로프(4)가 감겨지고 구동장치 본체(1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4)를 갖고 있다. 권상기(101)에는, 각 메인 로프(4)가 감겨진 디플렉터 쉬브(105)와, 엘리베이터 칸(3)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감속용 제동 장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각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권상기(101)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비상 정지 장치(33),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감시 장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계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직선적인 움직임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인코더, 혹은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투광기 및 수광기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반사판을 가지며, 투광기의 투광으로부터 수광기의 수광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의 변위 측정기 등을 들 수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메모리부)(113)와,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출력부(연산부)(114)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부(113)에 기억되어 있다.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한쪽의 종단 층과 다른 쪽의 종단 층 사이의 구간)에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 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인 통상 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1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가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 층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인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20)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은, 정속 구간에서는 제로 값이 되도록, 한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정(+)의 값이 되도록, 다른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부(-)의 값이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113)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고,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비상 정지 장치(33), 제어반(102),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각각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입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 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가속도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권상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어반(102)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 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가속도 설정치(119)를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 (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가속도 설정치(120)를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라고 하는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가 감시 장치(108)에 의해 각각 별개로 판단되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의 이상 유무의 판단 기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계 변경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에 대응시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감속 구간에서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의 값이 작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 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2회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114)는 각 이상 판단 요소인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으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이상 판단 요소마다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
실시 형태 1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복수의 승강장 호출 버튼(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 내에는, 복수의 행선 층 버튼(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 장치(127)는 출력부(114)를 갖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하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각 행선 층 버튼(126) 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에는, 출력부(11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엘리베이터 칸(3)이 각 층의 사이를 승강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부)(12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1개씩 기억부(129)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출력부(114)에 출력하는 생성부(130)를 갖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19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생성부(13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산출하며,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목적 층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생성부(130)는, 산출된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을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부(13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출력부(114)를 통하여 위치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고 있다.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 중 어느 한쪽이 예를 들면 승객 등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생성부(130)에 입력되면, 생성부(130)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및 호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이 산출되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하나씩 선택된다. 이 후, 생성부(130)에서는,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출력부(114)에 출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가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판단 기준을 생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목적 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목적 층이 선택된 경 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부터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부터 생성부(13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으나, 제어반(102)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속도 패턴 및 통상 가속도 패턴에 의거하여 이상 속도 검출 패턴 및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을 각각 직접 생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 1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4)는 로프 고정 장치(1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로프 고정 장치(131)에 설치되고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인 복수의 로프 센서(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로프 센서(132)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파단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메인 로프(4)에 대한 이상 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로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로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1 이상 레벨과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2 이상 레벨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파단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131) 및 각 로프 센서(1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고정 장치(131)는, 각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복수의 로프 접속부(134)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접속부(134)는, 메인 로프(4)와 엘리베이터 칸(3)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스프링(133)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각 메인 로프(4)에 대한 위치는, 각 탄성 스프링(133)의 신축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프 센서(132)는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이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에 대응한 측정 신호를 출력부(14)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탄성 스프링(133)의 복원에 의한 신장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의 측정 신호가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또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을 직접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로프 센서로서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각 로프 센서(131)로부터의 파단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로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제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 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131)에 로프 센서(132)가 설치되어 있으나, 균형추(107)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로프 센서(132)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4)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접속된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 현수용 쉬브(suspension sheave) 및 균형추 현수용 쉬브에 각각 감아서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로프 센서는,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설치된다.
실시 형태 1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부로서의 로프 센서(135)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으로 되어 있다. 각 도선은, 메인 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도선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출력부(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선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각 도선에의 통전의 각각의 차단이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감속에 의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5.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출입구 개폐 검출부인 도어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도어 센서(140)를 갖고 있다.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 닫힘 상태일 때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은,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또한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를 비정상으로 하는 이상 판단 기준이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문 닫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3) 및 도어 센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또,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2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부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센서(140)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8) 각각의 문 닫힘 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며, 출력부(114)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 센서(140)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고정된 고정부에 접촉됨으로써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혹은 비접촉으로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141)에는, 승강장 출입구(14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 층에 착지되어 있을 때,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계합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함께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센서(140)로부터의 문 닫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출입구 이 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상태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는 닫힘 상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이상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며,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고,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만이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 및 승강장 출입구(141) 각각의 상태를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승강장 도어(142)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와 함께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승강장 도어(142)를 서로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 등이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만이 변위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1)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101)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01)에는 제어반(102)의 제어에 의해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공급 케이블(150)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동장치 검출부인 전류 센서(151)가 설치되어 있다. 전류 센서(151)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의 전류치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구동장치 상태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류 센서(151)는 승강로(1)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류 센서(151)로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 등을 들 수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전류 센서(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51)를 갖고 있다.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권상기(101)의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치인 통상 레벨과,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레벨과, 제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의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대응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센서(151)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도 19)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통상 레벨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 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 (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51)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으나, 권상기(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16에서는, 출력부(114)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와는 별개로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균형추(107)에 탑재되고 균형추(107)를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균형추(107)를 제동하는 균형추 브레이크, 혹은 승강로(1) 내에 설치되고 메인 로프(4)를 구속함으로써 메인 로프(4)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에, 출력부(114)에 의해 작동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기구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상 속도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상기 제동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 및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동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 부재를 안내 가능한 안내부와,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제동 부재를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안내부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동 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며,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자 마그넷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안내부측으로 변위시키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상기 제동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 및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동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 부재를 안내 가능한 안내부와,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제동 부재를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의 접촉에 의한 제동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하는 상기 안내부측으로 상기 제동 부재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접촉부에 연결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변위에 수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접촉 상태 및 개리(開離)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 방향이 변화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복수의 상기 제동 수단이 탑재되며,
    상기 출력부는 각각의 상기 제동 수단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린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제동 수단에 출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의 절단의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 로프 절단 검출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메인 로프 절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메인 로프의 절단시에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제동 수단에 출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상기 제동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동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통상 운전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및 속도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를 가지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및 속도와 상기 제어 패턴과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을 때에,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제동 수단에 출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동일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감시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에 각각 탑재되고,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상기 제동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 및
    상기 작동 신호를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동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칸간(間) 거리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를 취득하고, 상기 이상 판단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장치, 및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각각의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 종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용 제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서의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값인 통상 레벨과, 상기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레벨과, 상기 제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한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값이 상기 제1 이상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감속용 제동 장치에 상기 작동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한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값이 상기 제2 이상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감속용 제동 장치 및 상기 비상 정지 장치에 상기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 치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통상 레벨, 상기 제1 이상 레벨 및 상기 제2 이상 레벨의 각각의 값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하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개폐 상태를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하나로서 상기 도어 개폐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린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를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하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파단의 유무를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의 상태를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하나로서 상기 로프 절단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1.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구동 전류 및 온도의 어느 한쪽을 검출하는 구동장치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구동 전류 및 상기 온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이상 판단 요소의 하나로서 상기 구동장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2.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57007777A 2003-03-18 2004-03-17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752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03/03263 2003-03-18
PCT/JP2003/003263 WO2004083090A1 (ja) 2003-03-18 2003-03-18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PCT/JP2004/003557 WO2004083091A1 (ja) 2003-03-18 2004-03-17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781A KR20050072781A (ko) 2005-07-12
KR100752886B1 true KR100752886B1 (ko) 2007-08-28

Family

ID=3301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777A KR100752886B1 (ko) 2003-03-18 2004-03-17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3) EP2522614A1 (ko)
JP (1) JP4607011B2 (ko)
KR (1) KR100752886B1 (ko)
CN (3) CN101229893B (ko)
WO (2) WO20040830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839A1 (ko) * 2014-07-09 2016-01-14 (주) 미주하이텍 승강기용 독립 제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4530A1 (en) * 2003-10-07 2005-05-26 Otis Elevator Company Remotely resettable ropeles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an elevator
EP1813566B1 (en) * 2004-11-16 2013-09-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4520319B2 (ja) * 2005-01-26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ル把持機構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06112008A1 (ja) 2005-04-13 2006-10-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403123B2 (ja) 2005-09-21 2010-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179756B2 (ja) * 2005-11-21 2013-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システム
CN101102955B (zh) * 2006-01-10 2010-05-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7088599A1 (ja) * 2006-02-01 2007-08-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ATE504532T1 (de) * 2006-11-08 2011-04-15 Otis Elevator Co Aufzugbremsvorrichtung
JP5191907B2 (ja) * 2007-01-23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112342B2 (ja) * 2007-02-15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700646B2 (ja) * 2007-03-26 2011-06-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903469B1 (ko) 2007-05-21 2009-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02452B1 (ko) 2007-06-19 2009-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4812037B2 (ja) * 2007-07-23 2011-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の速度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EP2389333B1 (en) * 2009-02-25 2018-09-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device
BRPI0924457A2 (pt) 2009-03-16 2016-02-16 Otis Elevator Co sistema de segurança de elevador, e, elevador
JP5355367B2 (ja) * 2009-12-07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1121742A (ja) * 2009-12-11 2011-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CN101792089A (zh) * 2010-03-23 2010-08-04 上海能港电气工程科技有限公司 起重机失控保护开关装置及相关控制方法
CN102858671B (zh) * 2010-04-22 2014-11-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装置
CN104860148B (zh) * 2010-06-18 2017-07-2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系统
CN102009886B (zh) * 2010-09-16 2012-12-26 广州市特种机电设备检测研究院 电梯非正常停机故障自动识别方法及装置
JP5645955B2 (ja) * 2010-11-01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02011076241A1 (de) * 2011-03-07 2012-09-13 Dekra Industri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üfung der ordnungsgemäßen Funktionsfähigkeit eines Aufzugs
CN103429518B (zh) * 2011-03-24 2015-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层电梯
KR20130122663A (ko) * 2011-04-01 2013-11-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3648952B (zh) * 2011-07-08 2016-01-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用调速器装置
WO2014006720A1 (ja) * 2012-07-05 2014-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2765644A (zh) * 2012-07-18 2012-11-07 江南大学 分布式电梯加速度故障诊断系统
WO2014077813A1 (en) * 2012-11-15 2014-05-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CN103010875B (zh) * 2012-12-19 2014-07-02 上海电机学院 电梯控制系统及电梯控制方法
KR101425843B1 (ko) * 2013-03-06 2014-08-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81123A (ja) * 2013-03-21 2014-09-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CN104150316B (zh) * 2014-08-07 2017-05-24 江苏蒙哥马利电梯有限公司 一种防止电梯轿厢异常移动的装置
BE1022834B1 (fr) 2015-03-16 2016-09-16 Remote Quality Monitoring S.P.R.L. Procédé pour collecter des données concernant le fonctionnement d'un ascenseur
CN105173981A (zh) * 2015-08-28 2015-12-23 中菱电梯有限公司 一种安全可靠的曳引式乘客电梯及其安全控制方法
JP6062009B2 (ja) * 2015-09-18 2017-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7161492A1 (zh) * 2016-03-22 2017-09-28 黄志斌 一种独立式电梯坠落防护系统及其防护方法
CN105836566A (zh) * 2016-05-12 2016-08-10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紧急保护装置
JP6636411B2 (ja) * 2016-11-18 2020-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CN106586749A (zh) * 2016-12-27 2017-04-26 南通理工学院 应用于升降机的智能监测系统
US10501286B2 (en) * 2017-05-12 2019-12-10 Otis Elevator Company Simultaneous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safety actuation
EP3456674B1 (en) 2017-09-15 2020-04-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ension member slac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an emergency stop operation of an elevator system
CN109775508B (zh) * 2017-11-10 2020-07-1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紧急制动装置及具有该紧急制动装置的电梯系统
CN110361208A (zh) * 2018-03-26 2019-10-2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紧急制动装置的试验方法及用于该方法的装置
CN112236383B (zh) * 2018-06-19 2022-02-11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温度变迁确定装置、维护计划系统以及电梯系统
CN108639892B (zh) * 2018-07-25 2020-07-10 厦门乃尔电子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速度检测系统及方法
ES2896998T3 (es) * 2018-08-10 2022-02-28 Otis Elevator Co Controlador del accionador de seguridad eléctrica del elevador
US20210101777A1 (en) * 2019-10-03 2021-04-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control
JP7078145B1 (ja) * 2021-02-09 2022-05-3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3003350B (zh) * 2021-03-29 2022-11-25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安全控制方法以及电梯安全控制装置
CN113415689A (zh) * 2021-06-24 2021-09-21 北京房地天宇特种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方法及电梯
TWI823303B (zh) * 2022-03-23 2023-11-21 辛耘企業股份有限公司 具有防止掉落功能的升降設備與第一制動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6491A (ja) * 1990-07-09 199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US6161653A (en) 1998-12-22 2000-12-19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governor mechanism for an elevator car
JP2002533281A (ja) * 1998-12-23 2002-10-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電子式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6459U (ko) * 1977-09-07 1979-03-30
JPS5974875A (ja) * 1982-10-15 1984-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ヨン式エレベ−タ
JPH0674114B2 (ja) * 1984-11-13 1994-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防犯装置
JP2747071B2 (ja) * 1989-12-28 1998-05-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昇降機遠隔監視装置
JP2736176B2 (ja) * 1991-02-14 1998-04-02 株式会社東芝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292389A (ja) * 1991-03-18 1992-10-16 Toyota Motor Corp 昇降架台の落下防止装置
JP2635257B2 (ja) * 1991-12-10 1997-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059006B2 (ja) * 1992-08-31 2000-07-04 株式会社東芝 縦横自走式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3090809B2 (ja) * 1993-03-05 2000-09-25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
JPH06263360A (ja) * 1993-03-11 1994-09-20 Toshiba Corp 自走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5366045A (en) * 1993-09-03 1994-11-22 Eaton Corporation Brake mechanism for a storage and retrieval vehicle
ATE333431T1 (de) * 1995-10-17 2006-08-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gruppe
JPH1059648A (ja) * 1996-08-22 1998-03-0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
JPH11246141A (ja) * 1998-03-06 1999-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減速装置
JP4326618B2 (ja) * 1999-02-03 2009-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US6196355B1 (en) * 1999-03-26 2001-03-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scue system
JP4400956B2 (ja) 1999-09-14 2010-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553535B2 (ja) *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50209397D1 (de) * 2002-11-09 2007-03-15 Thyssenkrupp Elevato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6491A (ja) * 1990-07-09 199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US6161653A (en) 1998-12-22 2000-12-19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governor mechanism for an elevator car
JP2002533281A (ja) * 1998-12-23 2002-10-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電子式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839A1 (ko) * 2014-07-09 2016-01-14 (주) 미주하이텍 승강기용 독립 제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3091A1 (ja) 2004-09-30
CN101229893B (zh) 2012-04-04
CN101229893A (zh) 2008-07-30
JPWO2004083091A1 (ja) 2006-06-22
CN1701033B (zh) 2010-05-12
JP4607011B2 (ja) 2011-01-05
KR20050072781A (ko) 2005-07-12
CN101229892B (zh) 2011-04-06
EP2522614A1 (en) 2012-11-14
EP1604935A4 (en) 2011-07-13
EP1604935B1 (en) 2016-11-30
EP2522615A1 (en) 2012-11-14
CN101229892A (zh) 2008-07-30
WO2004083090A1 (ja) 2004-09-30
EP1604935A1 (en) 2005-12-14
CN1701033A (zh)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94963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EP1741656B1 (en) Elevator apparatus
JP4658045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1752407B1 (en) Elevator system
EP1741659B1 (en) Elevator apparatus
JP2010254480A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165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9208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68398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8079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271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15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91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8783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52571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745908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72719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7518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74592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20070029181A (ko) 엘리베이터의 레일 조인트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