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934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934B1
KR100807934B1 KR1020067009090A KR20067009090A KR100807934B1 KR 100807934 B1 KR100807934 B1 KR 100807934B1 KR 1020067009090 A KR1020067009090 A KR 1020067009090A KR 20067009090 A KR20067009090 A KR 20067009090A KR 100807934 B1 KR100807934 B1 KR 10080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mergency stop
speed
stop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728A (ko
Inventor
겐이치 오카모토
히로시 기가와
다츠오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9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는, 구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안전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전기적 작동부는,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킨다. 기계적 작동부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킨다. 정전시에는, 백업 전원에 의해 적어도 구동 장치 및 구동 제어부의 기능이 유효화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상(異常)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표2002-532366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안전 제어 장치로부터 기동 신호가 출력되는 것에 의해, 전자석으로의 통전(通電)이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마찰 브레이크가 레일 맞물림 위치에 이동되어, 엘리베이터 칸이 긴급 정지된다. 안전 제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신호와 문턱 값 신호가 비교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문턱 값을 넘으면 기동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정전시나 빌딩용 전원이 끊긴 경우에도, 전자석으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이 긴급 정지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내에 승객이 있던 경우에는, 작업원이 현장에 가서, 포터블(portable)타입의 전원으로 전자석으로의 급전(給電)을 행하거나, 수동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어, 승객의 구출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작동부를 사용하면서, 정전시에 엘리베이터 칸 내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적어도 구동 장치 및 구동 제어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구동 장치, 구동 제어부, 안전 제어부 및 전기적 작동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 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도 7의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3은 도 22의 로프 정지 장치 및 각 로프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 및 도어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2는 도 31의 전기적 작동부 및 비상 정지 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hoisting machine)(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4)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5)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조속기(6)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6)는 조속기 본체(7)와, 조속기 본체(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풀리(9)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8)와 텐션 풀리(9)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에 연결된 거버너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의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8) 및 텐션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조속기(6)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강하 속도가 제 1 과속도보다 고속의 제2 과속도(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인 스위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1)는,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8)의 원심력에 대응하여 변위되는 과속 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접점부(16)를 갖고 있다. 접점부(16)는, 정전시에도 급전(給電)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인 배터리(12),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3)에, 각각 전원 케이블(14) 및 접속 케이블(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접점부(16)의 폐극(閉極)에 의해 전원 케이블(14), 스위치부(11),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수단은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갖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지지 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제동 부재인 쐐기(19)와, 쐐기(19)에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19)를 변위시키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고 액추에이터부(20)에 의해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2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쐐기(19),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 및 한 쌍의 안내부(21)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갖고 있다. 쐐기(19)는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인 스프링(2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안내부(21)로부터 떨어지도록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다.
스프링(23)은, 지지 부재(18)와 쐐기(1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용 배선(17)은 전자 마그넷(24)에 접속되어 있다. 쐐기(19)에는 전자 마그넷(24)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접점부(16)(도 1 참조)의 폐극에 의해 배터리(12)(도 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접점부(16)(도 1 참조)의 개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5)는 작동된다. 즉, 한 쌍의 쐐기(19)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점부(16)는 폐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는 배터리(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쐐기(19)는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흡인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도 2).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절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제 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후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로 되면, 접점부(16)가 개극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차단되며, 쐐기(19)는 스프링(23)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19)는 안내부(21)의 경사면(22)에 접촉하면서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안내부(21)와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도 3).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접점부(16)의 폐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통전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쐐기(19)는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터리(12)에 접속된 스위치부(11)와 각 비상 정지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속기(6)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을 전기적인 작동 신호로서 스위치부(11)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전송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단시간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비상 정지 장치(5)를 용이하게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전기적인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흔들림 등에 의한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20)와, 위쪽으로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2)을 포함하는 안내부(21)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 쐐기(19)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력을 확실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쐐기(19)를 하부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쐐기(19)를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와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과속도일 때에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가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35)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안내부(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갖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고 있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가동부(40)와,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1)를 갖고 있다.
지지부(39) 및 가동부(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수반하여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되며, 지지 안내구멍(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되어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기(34)는 지지부(3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도 7은 도 6의 구동부(4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구동부(41)는 가동부(40)에 장착된 가압부인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46)은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의해 변형된다.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40)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해 가동부(40)의 접촉 위치(실선)와 개리 위치(2점 파선)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유지된다.
전자 마그넷(48)은, 가동부(40)에 고정된 제 1 전자부(49)와, 제 1 전자부(49)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자부(50)를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제2 전자부(5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8)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하여 서로 반발된다. 즉, 제 1 전자부(49)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가동부(40)와 함께 제2 전자부(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출력부(32)는, 비상 정지 기구(5)의 작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 신호를 복귀시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 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흡인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접촉부(37)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 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2 과속도로 되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작동 신호의 전자 마그넷(48)에 의 입력에 의해, 제 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부(4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접촉 위치에서 가동부(40)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는 것으로부터,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쐐기(3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경사면(44)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34)와의 사이,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접촉면(45)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흡인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개리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고,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및 거버너 로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를 갖고 있으므로, 접촉부(37)의 중량을 쐐기(34)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작동 기구(38)의 접촉부(37)에 대한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작동 기구(3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7)를 경량으로 하는 것으로, 접촉부(37)의 변위 속도도 크게 할 수 있고, 제동력의 발생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구동부(41)는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서 유지하는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으므로, 가동부(40)의 변위시만의 전자 마그넷(48)에의 통전으로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혹은 개리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인 도어 개폐 센서(58)가 설치 되어 있다. 도어 개폐 센서(58)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59)가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59)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는 출력부(59)에 입력된다. 출력부(59)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개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가 파악된다.
출력부(5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59)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58)가 출력부(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59)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정지 장치(33)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엘리베이터 칸(3)에 장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 베이터 칸(3)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메인 로프(4)에는,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인 절단 검출 도선(61)이 삽통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메인 로프(4)의 절단의 유무는, 미약 전류의 통전의 유무에 의해 검출된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이 절단되면,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차단 신호인 로프 절단 신호가 출력부(62)에 입력된다. 출력부(62)에는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절단 검출 도선(61)으로부터의 로프 절단 신호에 의해,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절단 검출 도선(61)이 출력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6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검출 및 메인 로프(4)의 절단의 검출에 의해 이상 속도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으로서 메인 로프(4)에 삽통된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텐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메인 로프(4)의 로프 고정에 텐션 측정기가 설치된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가감속도 및 정지 층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67)를 갖고 있다. 출력부(66)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부(66)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실측치)와, 메모리부(67)에 기억된 제어 패턴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설정치)가 비교되게 되어 있다. 출력부(66)는,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 값(threshold)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문턱 값이란, 엘리베이터 칸(3)이 통상의 제동에 의해 승강로(1)의 단부(end portion)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66)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실측치와 제어 패턴의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 값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인 상부 칸(71)과, 상부 칸(7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인 하부 칸(7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내의 상단부에는,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 1 권상기(도시하지 않는다)와,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는다)를 승강시키는 제2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 1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제2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2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감겨져 있다.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는 제 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는 제2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1)내에는, 상부 칸(71)의 속도 및 하부 칸(72)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속도 센서(73)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내에는, 상부 칸(71)의 위치 및 하부 칸(72)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의 하부에는, 실시 형태 2에서 사용되는 비상 정지 장치(33)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칸(72)의 하부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반(13)내에는 출력부(79)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79)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 속도 센서(73)로부터의 상부 칸 속도 검출 신호, 하부 칸 속도 센서(74)로부터의 하부 칸 속도 검출 신호,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상부 칸 위치 검출 신호,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하부 칸 위치 검출 신호는, 출력부(79)에 입력된다. 즉, 출력부(7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부(7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 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될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출력부(79)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의 주행 상태는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출력부(79)에의 입력에 의해, 상부 칸(71)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 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출력부(79)에서 예측되었을 때, 출력부(79)로부터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부가, 동일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는 출력부(79)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각각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이르지 않아도,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될 때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제어반(13)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각각에 출력부(79)를 탑재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출력부(79), 및 하부 칸(72)에 탑재된 출력부(79)의 양쪽 모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양쪽 모두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한쪽에만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출력부(79)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 측됨과 동시에,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각각의 움직임의 이상 유무도 판단된다. 작동 신호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중 비정상인 움직임을 하는 쪽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에만 출력부(79)로부터 출력된다.
실시 형태 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상부 칸(71)에는 출력부인 상부 칸용 출력부(81)가 탑재되고, 하부 칸(72)에는 출력부인 하부 칸용 출력부(82)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71)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상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3)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하부 칸(72)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상부 칸(71)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 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72)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하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4)을 통하여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부 칸(71)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하부 칸(72)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통상시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하지 않게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운전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 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측으로 낙하하고,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에 가까워지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되며,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 에 작동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6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부 칸 속도 센서(73)가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 속도 센서(73)와 하부 칸용 출력부(82)와의 사이,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와 상부 칸용 출력부(81)와의 사이에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 배선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에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칸간(間)거리 검출 수단인 칸간 거리 센서(91)가 탑재되어 있다. 칸간 거리 센서(91)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레이저 조사부와, 하부 칸(72)에 탑재된 반사부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과 하부 칸(72)사이의 거리는, 레이저 조사부와 반사부 사이의 레이저 광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간 거리 센서(91)에 의해 구해진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79)가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의 예측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6∼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도어 개폐 센서(58)를 적용하여 출력부에 개폐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되며, 실시 형태 4의 절단 검출 도선(61)을 적용하여 출력부에 로프 절단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구동부는 제 1 전자부(49) 및 제 1 전자 부(50)의 전자 반발력 혹은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의 반발판(反撥板)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마그넷(48)에는 작동 신호로서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가동부(40)에 고정된 반발판(51)에 발생하는 와전류와 전자 마그넷(48)으로부터의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부(40)가 변위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은 승강로(1)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출력부에 전송된다.
실시 형태 9.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159)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작동 기구(159)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를 통과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작동 기구(159)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동 기구(159)는, 한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된 봉 형상의 가동부(162)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며 가동부(162)를 왕복 변위시키는 구동부(163)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구동부(163)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164)과, 가동 철심(164) 과 링크 부재(158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65)을 갖고 있다. 또, 가동부(162)는,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163)는, 가동 철심(164)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166a,166b)와 각 규제부(166a,166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166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164)을 둘러싸는 고정 철심(166)과, 고정 철심(166)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 1 코일(167)과, 고정 철심(166)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2 코일(168)과, 제 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영구자석(169)을 갖고 있다.
한쪽의 규제부(166a)는, 가동부(162)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규제부(166b)는, 가동부(162)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은, 가동부(162)를 둘러싸는 환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 1 코일(167)은 영구자석(169)과 한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8)은 영구자석(169)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존재하 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2 코일(168)측보다 제 1 코일(167)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또,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 1 코일(167)측보다 제2 코일(168)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제2 코일(168)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168)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167)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167)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162)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동 철심(164)은 영구자석(169)에 의한 유지력으로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55)에 출력됨으로써, 제2 코일(168)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코 일(168)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는 제동된다.
이 후, 안내부(36)는 하강을 계속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 1 코일(167)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코일(167)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64)이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하여,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동 기구(159)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15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 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76)는,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작동 기구(159)와, 작동 기구(159)의 가동부(162)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가동부(162)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작동 기구(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 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를 가지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링크부(179)는 제 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가동부(162)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개 리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파고들게 하고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링크 부재(177)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 후퇴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가동부(162)의 구동부(163)로의 후퇴에 의해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고 가동부(162)가 전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가동부(162)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쐐기(34)가 파고든 것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형태 1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101)와, 권상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0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103)와, 복수 개의 메인 로프(4)가 감겨지고 구동장치 본체(1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4)를 갖고 있다. 권상기(101)에는, 각 메인 로프(4)가 감겨진 디플렉터 쉬브(105)와, 엘리베이터 칸(3)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감속용 제동 장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각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권상기(101)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비상 정지 장치(33),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감시 장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는,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계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직선적인 움직임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인코더, 혹은 예를 들면 승강로(1)내에 설치된 투광기 및 수광기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반사판을 가지며, 투광기의 투광으로부터 수광기의 수광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의 변위 측정기 등을 들 수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메모리부)(113)와,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출력부(연산부)(114)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부(113)에 기억되어 있다.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한쪽의 종단 층과 다른 쪽의 종단 층 사이의 구간)에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 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인 통상 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 1 이상 레벨)(116)과,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1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가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 층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과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인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 1 이상 레벨)(119)과,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20)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은, 정속 구간에서는 제로 값이 되도록, 한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정(+)의 값이 되도록, 다른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부(-)의 값이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과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113)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고,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비상 정지 장치(33), 제어반(102),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각각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입력된다. 출력 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가속도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권상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어반(102)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이상 가속도 설정치(119)를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 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가속도 설정치(120)를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라고 하는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가 감시 장치(108)에 의해 각각 별개로 판단되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의 이상 유무의 판단 기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계 변경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 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에 대응시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감속 구간에서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의 값이 작으므로,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도출하여도 좋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구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도출하여도 좋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2회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구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114)는 각 이상 판단 요소인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으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이상 판단 요소마다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
실시 형태 1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복수의 승강장 호출 버튼(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내에는, 복수의 행선 층 버튼(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 장치(127)는 출력부(114)를 갖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 성하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각 행선 층 버튼(126)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에는, 출력부(11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엘리베이터 칸(3)이 각 층의 사이를 승강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부)(12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1개씩 기억부(129)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출력부(114)에 출력하는 생성부(130)를 갖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19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생성부(13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산출하며,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 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목적 층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생성부(130)는, 산출된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을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부(13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출력부(114)를 통하여 위치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고 있다.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중 어느 한쪽이 예를 들면 승객 등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생성부(130)에 입력되면, 생성부(130)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및 호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이 산출되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하나씩 선택된다. 이 후, 생성부(130)에서는,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출력부(114)에 출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가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판단 기준을 생성하 게 되어 있으므로, 목적 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목적 층이 선택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부터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부터 생성부(13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으나, 제어반(102)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속도 패턴 및 통상 가속도 패턴에 의거하여 이상 속도 검출 패턴 및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을 각각 직접 생성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1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4)는 로프 고정 장치(1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로프 고정 장치(131)에 설치되고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인 복수의 로프 센서(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로프 센서(132)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파단 검출 신호를 출력 부(114)에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메인 로프(4)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로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로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 1 이상 레벨과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2 이상 레벨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파단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131) 및 각 로프 센서(1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 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로프 고정 장치(131)는, 각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복수의 로프 접속부(134)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접속부(134)는, 메인 로프(4)와 엘리베이터 칸(3)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스프링(133)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각 메인 로프(4)에 대한 위치는, 각 탄성 스프링(133)의 신축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프 센서(132)는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이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에 대응한 측정 신호를 출력부(14)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탄성 스프링(133)의 복원에 의한 신장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의 측정 신호가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또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을 직접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로프 센서로서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하여도 좋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각 로프 센서(131)로부터의 파단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로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 프(4)의 파단 개수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제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131)에 로프 센서(132)가 설치되어 있으나, 균형추(107)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로프 센서(132)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4)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단부 및 타단 부가 승강로(1)내의 구조물에 접속된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 현수용 쉬브(suspension sheave) 및 균형추 현수용 쉬브에 각각 감아서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로프 센서는, 승강로(1)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설치된다.
실시 형태 1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부로서의 로프 센서(135)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으로 되어 있다. 각 도선은, 메인 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도선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출력부(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선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각 도선에의 통전의 각각의 차단이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감속에 의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5.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출입구 개폐 검출부인 도어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도어 센서(140)를 갖고 있다.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 닫힘 상태일 때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은,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또한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를 비정상으로 하는 이상 판단 기준이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문 닫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3) 및 도어 센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2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부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센서(140)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8)각각의 문 닫힘 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며, 출력부(114)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 센서(140)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고정된 고정부에 접촉됨으로써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혹은 비접촉으로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141)에는, 승강장 출입구(14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 층에 착지되어 있을 때,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계합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함께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센서(140)로부터의 문 닫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출입구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상태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는 닫힘 상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이상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며,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고,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만이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 및 승강장 출입구(141)각각의 상태를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승강장 도어(142)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와 함께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승강장 도어(142)를 서로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 등이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만이 변위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1)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권상기(101)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01)에는 제어반(102)의 제어에 의해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공급 케이블(150)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동장치 검출부인 전류 센서(151)가 설치되어 있다. 전류 센서(151)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의 전류치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구동장치 상태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류 센서(151)는 승강로(1)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류 센서(151)로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등을 들 수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전류 센서(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51)를 갖고 있다.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권상기(101)의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치인 통상 레벨과,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이상 레벨과, 제 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 1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 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의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대응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센서(151)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내의 전류의 크기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내의 전류의 크기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도 19)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통상 레벨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 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됨과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 1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 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51)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으나, 권상기(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16에서는, 출력부(114)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와는 별개로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균형추(107)에 탑재되고 균형추(107)를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균형추(107)를 제동하는 균형추 브레이크, 혹은 승강로(1)내에 설치되고 메인 로프(4)를 구속함으로써 메인 로프(4)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에, 출력부(114)에 의해 작동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기구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17.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권상기)(201) 및 디플렉터 풀리(20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20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203)와, 구동 장치 본체(2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204)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204) 및 디플렉터 풀리(202)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메인 로프(205)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205)의 제 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06)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205)의 제 2 단부에는, 균형추(207)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06) 및 균형추(207)는, 메인 로프(20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06) 및 균형추(207)는, 구동 장치(205)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06)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08)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06)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08)에 맞물려서 엘리베이터 칸(206)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209)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06)의 주행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210)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10)에는, 조속기 로프(211)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211)의 양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212)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11)의 하단부는, 조속기 로프(211)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풀리(213)에 감겨져 있다.
조속기 쉬브(210)의 근방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214)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 작동부(214)로서는, 조속기 쉬브(210)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 쉬브(210)와의 사이에 조속기 로프(211)를 끼워서 조속기 쉬브(210)의 회전 및 조속기 로프(21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로프 캐치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기계적 작동부(214)에 의해 조속기 로프(211)의 이동이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206)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조작 레버(212)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게 된다.
조속기 쉬브(210)의 근방에는,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211)를 파지하여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적 작동부(215)는, 조속기 로프(211)를 파지하는 파지부(216)와, 파지부(216)를 구동하는 전자 액추에이터(217)를 가지고 있다.
구동 장치(201)는, 구동 제어부(221)에 의해 제어된다. 구동 제어부(221)에 는, 엘리베이터 칸(206)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22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221)는, 센서(222)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06)의 주행 패턴을 작성하여,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201)를 제어한다.
구동 제어부(221)에는, 구동 장치(20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R0M, 프로그램에 기초한 연산을 실행하는 CPU, 및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 등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222)로서는, 예를 들면 조속기 쉬브(210)의 회전을 검출하는 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는, 안전 제어부(223)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 안전 제어부(223)에는, 센서(22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상 감시를 위한 센서(222)로서는, 위치 및 속도 센서에 더하여,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도어 개폐 센서,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 및 로프 절단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전 제어부(223)는, 센서(222)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전기적 작동부(215)에 대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안전 제어부(223)에는,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판단 기준이 되는 문턱 값이 저장된 R0M , 프로그램에 기초한 연산을 실행하는 CPU, 및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 등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201), 구동 제어부(221), 전기적 작동부(215) 및 안전 제어 부(223)에는, 상업용 전원(224)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구동 장치(201) 및 구동 제어부(221)에는, 제 1 백 업 전원(225)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백업 전원(225)은, 정전시나 상업용 전원(224)의 차단시에 구동장치(201) 및 구동 제어부(221)의 기능을 유효화한다.
전기적 작동부(215) 및 안전 제어부(223)에는, 제 2 백업 전원(226)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백업 전원(226)은, 정전시나 상업용 전원(224)의 차단시에 전기적 작동부(215) 및 안전 제어부(223)의 기능을 유효화한다.
제 1 및 제 2 백업 전원(225, 226)으로서는, 예를 들면 충전지(축전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백업 전원(225, 226)은, 각각의 전원으로도 1개의 전원으로도 좋다.
도 32는 도 31의 전기적 작동부(215) 및 비상 정지 장치(209)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작 레버(212)는, 축(212a)을 중심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엘리베이터 칸(206)에 설치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209)는, 조작 레버(212)에 설치된 브레이크 슈(209a)와, 브레이크 슈(209a)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08)을 끼우는 그리퍼(gripper)(209b)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로프(211)가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206)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조작 레버(212)가 요동되고, 브레이크 슈(209a)와 그리퍼(209b)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08)이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06)이 비상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정전에 의해 상업용 전원(224)으로부터의 급전이 차단되면, 백업 전원(225, 226)에 의한 급전이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구동 제어부(221)에서는, 전원이 상업용 전원(224)으로부터 제 1 백업 전원(225)으로 전환되면, 미리 설정된 승강장 층, 또는 가장 가까운 승강장 층에 엘리베이터 칸(206)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엘리베이터 칸(206)이 승강장 층으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 칸(206)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206)으로부터 나오면, 도어가 닫히고, 제 1 백업 전원(225)에 의한 급전이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201) 및 구동 제어부(221)의 운전은 정지되고, 정전이 종료하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또, 구동 장치(201)의 정지 중은, 구동 장치(201)의 브레이크에 의해 구동 쉬브(204)의 회전이 제동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206)이 이동하지 않는다. 단, 메인 로프(205)의 파단이나 트랙션 이상 등에 의해 만일 엘리베이터 칸(206)이 낙하한 경우, 엘리베이터 칸(206)의 주행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기계적 작동부(214)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206)이 급정지된다.
전기적 작동부(215)로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는 타입과, 전력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는 타입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후자의 타입에서는, 정전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하여 버리므로, 제 2 백업 전원(226)에 의해 급전을 계속하고, 엘리베이터 칸(206)이 승강장 층으로 이동하고 나서 제 2 백업 전원(226)에 의한 급전 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작동부(215)를 사용하면서, 정전시에 엘리베이터 칸(206) 내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전에 의한 운전 정지 중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 작동부(214)에 의해 감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221) 및 안전 제어부(223)에는, 엘리베이터 칸(206)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가 설치되어 있고, 정전 종료 후에는, 기억부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이 재개된다. 이와 같은 기억부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21) 및 안전 제어부(223)는, 기억부에 기억하는 운전 정보를 상시 갱신하고, 정전 후의 운전 정지시에 기억된 최신의 운전 정보를 운전 재개까지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정전 종료 후에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작동부는, 엘리베이터 칸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메인 로프의 파단을 직접 검출하여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으로도 좋다.
또, 전기적 작동부는,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액추에이터로 제동 부재(쐐기)를 구동하는 타입의 것으로 도 좋다.
실시 형태 18.
다음으로,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06)에는, 안전 제어부(223)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비상 정지 장치(227)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227)가 탑재되어 있다. 전기적 작동부(227)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7에서 나타낸 조속기나 기계적 작동부는, 실시 형태 18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7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정전에 의해 상업용 전원(224)으로부터의 급전이 차단되면, 백업 전원(225, 226)에 의한 급전이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구동 제어부(221)에서는, 전원이 상업용 전원(224)으로부터 제 1 백업 전원(225)으로 전환되면, 미리 설정된 승강장 층, 또는 가장 가까운 승강장 층으로 엘리베이터 칸(206)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엘리베이터 칸(206)이 승강장 층으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 칸(206)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206)으로부터 나오면, 도어가 닫히고, 제 1 백업 전원(225)에 의한 급전이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201) 및 구동 제어부(221)의 운전은 정지되고, 정전이 종료하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206)이 승강장 층에서 정지된 후, 전기적 작동부(215)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206)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후, 제 2 백업 전원(226)에 의한 급전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장 층에서 승객을 내리고 나서 도어가 닫는 동작을 한다는 정보가, 구동 제어부(221)로부터 안전 제어부(223)에 보내진다. 이 정보가 안전 제어부(223)에 보내지면, 전기적 작동부(227)에 작동 신호가 보내져서,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됨과 동시에, 제 2 백업 전원(226)에 의한 급전이 차단된다.
또, 제 2 백업 전원(226)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도록 하여도 좋다.
구동 장치(201)의 정지 중은, 구동 장치(201)의 브레이크에 의해 구동 쉬브(204)의 회전이 제동되고 있어, 엘리베이터 칸(206)이 이동하지 않는다. 또, 만일 메인 로프(205)가 파단된 경우도,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06)이 낙하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비상 정지 장치(209)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작동부(227)를 사용하면서, 정전시에 엘리베이터 칸(206) 내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전에 의한 운전 정지 중에 엘리베이터 칸(206)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8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7과 동일하게,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동 제어부(221) 및 안전 제어부(223)에 설치할 수 있고, 정전 종료 후에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06)에 탑재된 전기적 작동부(227)를 나타냈으나, 실시 형태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조속기 로프(211)를 파지하는 전기적 작동부(215)로 하여도 좋다. 즉, 실시 형태 17의 기계적 작동부(214)를 생략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전시에 엘리베이터 칸(206)이 승강장 층에서 정지된 후, 전기적 작동부(215)에 의해 조속기 로프(211)가 파지된다. 정전에 의한 운전 정지 중, 메인 로프(205)의 파단이나 트랙션 이상 등에 의해 만일 엘리베이터 칸(206)이 낙하한 경우, 조속기 로프(211)가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06)의 낙하 직후에 비상 정지 장치(209)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206)의 낙하가 저지된다.
이와 같은 조속기 로프(211)를 파지하는 전기적 작동부(215)를 사용한 경우, 비상 정지 장치(209)의 제동 부재를 직접 동작시켜 버리는 경우에 비하여, 정전 종료 후의 복원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 형태 17, 18 에서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으로도 좋다.
또, 실시 형태 17, 18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7, 18에서는, 구동 제어부와 안전 제어부를 각각 구성하였으나, 일체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 기계적 작동부 및 전기적 작동부의 구성도 실시 형태 17, 18에 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상(異常)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적어도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기계적 작동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의 파단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작동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정전시에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까지 이동된 후, 상기 백업 전원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적어도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백업 전원은, 정전시에 상기 안전 제어부 및 상기 전기적 작동부의 기능도 유효화하도록 되어 있고,
    정전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까지 이동된 후, 상기 전기적 작동부에 의해 상기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되고 나서, 상기 백업 전원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적어도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백업 전원은, 정전시에 상기 안전 제어부 및 상기 전기적 작동부의 기능도 유효화하도록 되어 있고,
    정전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까지 이동된 후, 상기 백업 전원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상기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상기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 및 상기 전기적 작동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
    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정전시에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까지 이동된 후, 상기 전기적 작동부에 의해 상기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되고 나서, 상기 백업 전원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정전시에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까지 이동된 후, 상기 백업 전원에 의한 급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상기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제어부,
    상기 안전 제어부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작동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조작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작동부, 및
    정전시에 적어도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백업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안전 제어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가 설치되어 있어, 정전 종료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이 재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67009090A 2006-05-10 2004-04-2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7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090A KR100807934B1 (ko) 2006-05-10 2004-04-27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090A KR100807934B1 (ko) 2006-05-10 2004-04-27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28A KR20060093728A (ko) 2006-08-25
KR100807934B1 true KR100807934B1 (ko) 2008-02-28

Family

ID=3760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090A KR100807934B1 (ko) 2006-05-10 2004-04-2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8231A (zh) * 2022-01-29 2022-05-27 吴哲 一种基于意外移动的电梯安全运行操作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477A (ja) * 1984-02-28 1985-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停電時運転装置
JPH092753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1354372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477A (ja) * 1984-02-28 1985-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停電時運転装置
JPH092753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1354372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28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JP4907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4963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JP49948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58045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42922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7932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025448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079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208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68398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271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83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15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91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45908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852571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72719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7518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