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221B1 -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21B1
KR100732221B1 KR1020050011479A KR20050011479A KR100732221B1 KR 100732221 B1 KR100732221 B1 KR 100732221B1 KR 1020050011479 A KR1020050011479 A KR 1020050011479A KR 20050011479 A KR20050011479 A KR 20050011479A KR 100732221 B1 KR100732221 B1 KR 10073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ylinder portion
flat cable
holder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857A (ko
Inventor
고이치 야지마
가즈히코 이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351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52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0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026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0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34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0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34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03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34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0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25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1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60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7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14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145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4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190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01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244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45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40577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하여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되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외통부(5a)를 가지는 스테이터(1)에 대하여 내통부(7b)를 가지는 로우터(2)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고, 이들 외통부(5a)와 내통부(7b)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고리형상 공간(9) 내에 플랫 케이블(3)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함과 동시에, 그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를 고리형상 공간(9)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한 홀더(4)의 개구(14)에 통과시킨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홀더(4)의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로우터(2)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4b)을 세워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4b)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3)을 감아 되감김상태로 하였다.

Description

회전커넥터{ROTARY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에 구비되는 홀더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플랫 케이블의 단축효과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가이드벽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홀더의 평면도,
도 7은 가이드벽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홀더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홀더를 구비하는 회전커넥터의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를 구비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와 로우터의 걸어맞춤부분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홀더를 구비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예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가이드체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동작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가이드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가이드체에 구비되는 탄성 설편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이터 2 : 로우터
3 : 플랫 케이블
4, 41, 42, 43, 44, 45, 46, 47, 48, 49 : 홀더
4a : 고리형상 평판부 4b : 가이드벽(가이드부)
4b1 : 고리형상부 4b2 : 규제부
4c : 지지축 4n : 중공 통형상 벽
4r : 탄성 설편(제 1 탄성 가세부, 제 2 탄성 가세부)
5 : 케이스 5a : 외통부
6 : 커버 6a : 바닥판부
7 : 상부 로우터 7a : 천정판부
7b : 내통부 8 : 하부 로우터
9 : 고리형상 공간 13 : 롤러
14 : 개구 19, 20 : 활성(滑性) 시트
21 : 탄성 억제편 50 : 가이드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되어 에어백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우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고리형상 공간 내에 플랫 케이블이 반전부를 거쳐 역방향으로 감긴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커넥터는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1쌍의 하우징의 한쪽을 로우터, 다른쪽을 스테이터로서 사용하고, 이들 로우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을 수 납, 감은 것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와 같이 회전수가 유한한 핸들에 장착된 에어백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복수의 도체를 담지한 띠형상체이고, 이 플랫 케이블을 소용돌이타입상으로 감은 소용돌이타입과 도중에서 반전하여 역방향으로 감은 반전타입이 알려져 있으나, 후자의 반전타입의 쪽이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반전타입의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로우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고리형상 공간 내에 플랫 케이블을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복수의 롤러를 축 지지한 홀더를 회동 자유롭게 배치함과 동시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를 하나의 롤러에 루프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서는 로우터가 스테이터에 대하여 정역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이 스테이터의 외통부로부터 풀려 나와 로우터의 내통부에 단단히 감기거나, 그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풀려 나와 외통부에 되감긴다. 그때,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는 로우터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동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반전부를 따라 홀더도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들 이동량의 약 2배의 길이의 플랫 케이블이 외통부 또는 내통부로부터 풀려 나온다. 또 홀더에 축 지지된 복수의 롤러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의 지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을 반전부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풀어 낼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26836호 공보(제 2 내지 제 3페이지, 도 4)
대응특허 : USP6,409,527(선행기술 조사보고서에 첨부)
이와 같은 회전커넥터에 있어서는, 토탈 비용 중에 차지하는 플랫 케이블의 비율은 매우 높아,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질 수록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으나, 상기한 종래의 반전타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소용돌이타입에 비하여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기껏 절반정도밖에 짧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이 비용의 더 한층의 저감화를 방해하는 큰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하여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되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단단히 감겨진 상태에 있을 때에 로우터를 정역 어느 것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에 설치된 가이드부의 외측부에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부의 외측부에 되감긴 상태로부터 로우터를 어느 것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부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감겨져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즉,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에 일단 풀어 내지나, 되감감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부에 감기고, 이 가이드부의 외측부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 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단단히 감겨진 상태에 있을 때에 로우터를 정역 어느 것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에 설치된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되감긴 상태로부터 로우터를 어느 것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벽으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외통부의 외벽에 감겨져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즉,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게 되나, 되감김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겨지고, 이 가이드벽의 외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이 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개구 를 통하여 외통부를 향하는 플랫 케이블이 로우터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에서 이 가이드벽에 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가이드벽이 개구의 근방에 위치하는 규제부와 내통부의 대부분을 포위하는 고리형상부를 가지고, 개구를 통하여 외통부를 향하는 플랫 케이블이 이 가이드벽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개구 근방에 롤러를 축 지지하고, 개구를 통하여 외통부를 향하는 플랫 케이블이 이 롤러와 상기 가이드벽에 감기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홀더가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롤러를 축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3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 는 요철부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체의 외벽면에 감기고, 이 가이드체의 외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주면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의 가이드체의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단히 감기 동작시에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체의 외벽면에 밀착하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 로우터나 홀더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다수의 반구형상 볼록부를 점재시키거나, 가이드벽의 외벽면을 물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으나, 특히 가이드벽의 외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를 교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홀더의 가이드벽은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면 좋으나, 가이드벽이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면에 대하여 편심한 외벽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 가이드벽의 내벽면과 외벽면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홀더가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가이드벽이 세워 설치되어 있 으면, 홀더를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4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에 상기 개구를 거쳐 대향하는 볼록형상 벽부와 오목형상 벽부를 일체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가이드벽의 내주면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의 지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홀더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5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 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부와, 이 내벽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결벽과, 이 연결벽의 바깥쪽 끝부로부터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벽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내통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홀더의 상기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단단히 감긴 상태에 있을 때에 로우터를 정역 어느 것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내통부로부터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개구를 통하여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에 설치된 내벽부와 외벽부의 외벽면에 비원형상으로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내벽부와 외벽부에 되감긴 상태로부터 로우터를 어느 것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내벽부와 외벽부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감겨져 단단히 감긴 상태가 된다. 즉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 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내벽부와 외벽부에 비원형상으로 감기고, 이들 내벽부와 외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에 설치한 내벽부와 연결벽 및 외벽부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홀더가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내벽부와 연결벽 및 외벽부가 세워 설치되어 있으면, 홀더를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홀더에 롤러를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이 롤러를 개구를 거쳐 연결벽에 대향시키면,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개구 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홀더에 개구 및 롤러를 거쳐 연결벽에 대향하는 대향벽을 설치하고, 대향벽의 안쪽 끝부를 내벽부에 연속시킴과 동시에, 대향벽의 바깥쪽 끝부에 내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른 외벽부를 설치하면, 플랫 케이블을 내벽부와 한 쌍의 외벽부에 비원형상으로 감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6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가 삽입되는 센터구멍을 가지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센터구멍을 포위하도록 복수의 기둥형상체를 병설함과 동시에, 이들 기둥형상체를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는 비고리형상 영역 내로 분산시키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내통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비고리형상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단단히 감긴 상태에 있을 때에 로우터를 정역 어느 것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내통부로부터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개구를 통하여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형상체에 비원형상으로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내벽부와 외벽부에 되감긴 상태로부터 로우터를 어느 것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홀더의 기둥형상체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감겨져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즉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 된 홀더의 각 기둥형상체에 비원형상으로 감기고, 이 비원형상 감김부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의 비고리형상 영역 내에 병설한 복수의 기둥형상체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기둥형상체는 모두 동일형상일 필요는 없고, 특히 개구로부터 비고리형상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속되는 부분을 쐐기형상의 기둥형상체로 하고, 다른 기둥형상체를 원주형상으로 하면,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개구를 통과할 때의 좌굴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회전시에 플랫 케이블을 원활하게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기둥형상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롤러를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하면, 로우터의 회전시에 플랫 케이블을 원활하게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7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 도록 둘레 방향으로 점재하는 복수의 중공 통형상 벽을 설치하고, 이들 중공 통형상 벽의 안쪽을 연결하는 가상 내주면을 상기 내통부와 대략 동심원형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중공 통형상 벽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을 상기 내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시키고, 이 가상 외주면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단단히 감긴 상태에 있을 때에 로우터를 정역 어느 것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홀더에 설치된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외주면에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플랫 케이블이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외주면에 되감긴 상태로부터 로우터를 어느 것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플랫 케이블이 각 중공 통형상 벽으로부터 외통부측으로 풀린 후, 다시 로우터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의 외벽에 감겨져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즉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각 중공 통형상 벽에 감기고, 이들 중공 통형상 벽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각 중공 통형상 벽을 내부에 합성수지재가 없는 중 공 통형상체로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홀더가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각 중공 통형상 벽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면, 홀더를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홀더의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사이에 각각 보조벽이 설치되고, 이들 보조벽이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안쪽을 연결하는 가상 내주면상에 배열되어 있으면, 플랫 케이블이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사이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팽 출되는 것을 각 보조벽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을 원활하게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8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와 상기 가이드 벽의 적어도 한쪽에 합성수지재를 제거한 두께 줄임부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와 가이드벽의 적어도 한쪽에 합성수지재를 제거한 두께 줄임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두께 줄임부로부서, 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를 형성하거나, 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거나, 고리형상 평판부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때 이들 두께 줄임부의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하여도 좋으나, 홀더에 복수의 두께 줄임부를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고리형상 평판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를 형성하면,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9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 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바닥판부와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양자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 탄성 가세부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와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홀더의 가이드벽을 로우터의 천정판부를 향하여 탄성 가세하는 가세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가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억제되어 홀더가 천정판부나 바닥판부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이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가세부가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에 한 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탄성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지고, 이 탄성 설편의 자유단을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에 탄성 접촉시키면, 구조가 간단한 제 1 탄성 가세부를 실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 설편이 고리형상 평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홀더를 바닥판부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탄성 설편의 자유단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홀더를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상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0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 및 그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벽을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벽에 설치된 개구 내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배치되는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의 내벽면을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원형의 관통구멍과 동심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로우터에 상기 내통부와 단부를 거쳐 연속되는 작은 지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작은 지름부에 삽입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기 단부에 압접 시키는 제 2 탄성 가세부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로우터의 내통부와 단부를 거쳐 연속되는 작은 지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을 작은 지름부에 삽입하고, 이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 2 탄성 가세부에 의하여 단부에 압접시켰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의 회전축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가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억제되어 홀더가 천정판부나 바닥판부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가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지고, 제 2 탄성 가세부가 이와 같은 고리형상 평판부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복수의 탄성 설편이면 구조가 간단한 제 2 탄성 가세부를 실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탄성 설편의 자유단에 곡면부가 형성되고, 이 곡면부를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에 탄성 접촉시키면, 홀더를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각 탄성 설편이 고리형상 평판부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홀더를 바닥판부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1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 및 바닥판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내통부 및 천정판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바닥판부의 상면에 활성 시트를 깔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공간의 하부 개구단을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부의 상면에 활성 시트가 깔려 있기 때문에,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는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고리형상 공간 내를 회동하여 홀더와 바닥판부의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쾌한 슬라이딩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의 하면을 활성 시트에 직접 슬라이딩 접촉시켜도 좋으나, 고리형상 평판부의 하면에 곡면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 슬라이딩 저항이 저감되어 홀더를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고리형상 공간의 상부 개구단을 구획 형성하는 천정판부의 하면에 다른 활성 시트를 깔면, 플랫 케이블의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상기 플랫 케이블이 이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변위하기 때문에 상기한 홀더와 바닥판부의 맞닿음부분 뿐만 아니라, 플랫 케이블과 천정판부의 맞닿음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슬라이딩 소리도 저감되어 이음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2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외통부에 상기 고리형상 공간의 안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성 억제편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벽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외통부에 고리형상 공간의 안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성 억제편을 설치하고, 이 탄성 억제편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벽의 외주면측에 가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리형상 공간의 지름방향으로의 진동이 작용하였다 하여도 플랫 케이블의 지름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여 덜거덕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탄성 억제편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복수의 탄성 억제편을 외통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하면, 플랫 케이블을 고리형상 공간의 중심방향으로 균형좋게 탄성 가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탄성 억제편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탄성 억제편의 한쪽 끝부를 외통부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지지하면, 탄성 억제편을 외통부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3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 및 로우터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 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체가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벽면을 가지는 평면으로 보아 C자형상을 이루고, 이 가이드체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내벽면의 하단(下端)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되감김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외통부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가이드체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가이드체의 외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외통부의 내벽면의 원주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드체를 원통형상의 내벽면에 대하여 외벽면이 편심되는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체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맞췄기 때문에, 가이드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가이드체의 원활한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가이드체의 내벽면 전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고,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가이드체의 내벽면을 따라 간헐적으로 점재시킨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내벽면과 외벽면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를 형성하면, 가이드체를 더 한층 경량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상단(上端)과 로우터의 천정판부와의 적어도 한쪽에 양자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3 탄성 가세부를 설치하면, 로우터의 회전축방향으로 외부 진동이 작용한 경우에도 가이드체가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제 3 탄성 가세부에 의하여 억제되기 때문에, 가이드체가 천정판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이음을 저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3 탄성 가세부가 가이드체의 내벽면 상단에 일체 형성된 복수의 탄성 설편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탄성 설편의 자유단을 천정판부의 하면에 탄성 접촉시키면, 구조가 간단한 제 3 탄성 가세부를 실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그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그 회전커넥터에 구비되는 홀더의 사시도, 도 4는 그 회전커넥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는 스테이터(1)와, 스테이터(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2)와, 이들 스테이터(1)와 로우터(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3)과, 스테이터(1)와 로우터(2) 사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4)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는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이고, 이 스테이터(1)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5)와 커버(6)로 이루어진다. 케이스(5)는 외통부(5a)와 그 외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덮개부(5b)를 가지고, 커버(6)는 바닥판부(6a)와 그 바깥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하는 하측 수납부(6b)를 가지고 있다. 바닥판부(6a)의 중앙에는 센터구멍(6c)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케이스(5)의 하단과 커버(6)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스냅결합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외통부(5a)의 하부 개구단이 바닥판부(6a)로 막힘과 동시에, 하측 수납부(6b)의 상부 개구단이 덮개부(5b)로 막히도록 되어 있다.
로우터(2)는 핸들측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이고, 이 로우터(2)는 합성수지제의 상부 로우터(7)와 하부 로우터(8)로 이루어진다. 상부 로우터(7)는 고리형상의 천정판부(7a)와 그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오는 내통부(7b)를 가지고, 천정판부(7a)의 상면에는 상측 수납부(7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내통부(7b)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 치수를 가지고, 이 내통부(7b)의 내주면에 하부 로우터(8)가 일체화되어 있다. 하부 로우터(8)는 플랜지부(8a)를 가지는 통형상체이고, 이 하부 로우터(8)를 커버(6)의 센터구멍(6c)으로부터 삽입하여 내통부(7b)에 스냅결합함으로써, 로우터(2)가 스테이터(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상태에 있어서, 스테이터(1)측의 외통부(5a) 및 바닥판부(6a)와 로우터(2)측의 천정판부(7a) 및 내통부(7b)에 의하여 평면으로 보아 링형상의 고리형상 공간(9)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3)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도체를 한 쌍의 절연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한 띠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이 플랫 케이블(3)은 고리형상 공간(9) 내에 U자형 상의 반전부(3a)를 거쳐 역방향으로 수납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3)의 양쪽 끝에는 리드 블럭(9, 1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리드 블럭(9)은 커버(6)의 하측 수납부(6b) 내에 고정되고, 이 리드 블럭(9)에는 선단에 외부 커넥터(11a)를 가지는 리드선(11)이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리드 블럭(10)은 상부 로우터(7)의 상측 수납부(7c) 내에 고정되고, 이 리드 블럭(10)에는 선단에 외부 커넥터(12a)를 가지는 리드선(12)이 접속되어 있다.
홀더(4)는 커버(6)의 바닥판부(6a) 상에 탑재된 고리형상 평판부(4a)와, 이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벽(4b) 및 지지축(4c)을 가지고, 이들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판부(4a)는 외통부(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지고, 그 중앙에는 가이드구멍(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4d)은 내통부(7b)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어 있고, 홀더(4)는 내통부(7b)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고리형상 공간(9) 내를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상 평판부(4a)의 하면에는 바닥판부(6a)와의 슬라이딩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한 돌출부(4e)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4b)은 가이드구멍(4d)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내주면은 가이드구멍(4d)과 대략 동심원이나, 외주면은 중심구멍(4d)에 대하여 크게 편심되어 있다. 가이드벽(4b)의 일부는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서 노치되어 있고, 이 노치부 내에 원통형상의 지지축(4c)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가이드벽(4b)의 측면 사이의 개구(14) 내에 위 치하고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4b)의 외측부로서의 외벽면까지의 거리는 개구(14)를 거쳐 대향하는 부분이 가장 크고, 롤러(13)에 180도 대향하는 부분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의 동작을 주로 하여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중에 있어서, 외통부(5a)나 내통부(7b)를 포함하는 스테이터(1)와 로우터(2)는 생략하고 있다.
도 4(a)는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벽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를 나타내고, 이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반시계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가 로우터(2)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반전부(3a)를 따라 롤러(13)와 홀더(4)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이동량의 약 2배의 플랫 케이블(3)이 내통부(7b)측으로부터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다. 또한 로우터(2)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3)이 홀더(4)의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감기고, 최종적으로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감겨진 되감김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도 4(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3)은 가이드벽(4b)측으로부터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 후,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다시 회전함으로써,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벽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플랫 케이블(3)이 도 4(a)에 나타내는 단단히 감김상태 또는 도 4(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가 되는 도중에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은 홀더(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통부(5a)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기고, 이 외통부(5a)의 내벽면의 원주에 비하여 가이드벽(4b)의 외벽면의 원주가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3)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랫 케이블(3)의 단축효과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는 플랫 케이블을 외통부에 감아 되감김상태로 하는 종래 타입의 회전커넥터, 도 5(b)는 플랫 케이블을 홀더의 가이드벽에 감아 되감김상태로 하는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이고, 이들 양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의 경로의 내경(단단히 감김상태의 지름치수)을 r, 플랫 케이블의 경로의 외경(되감김상태의 지름치수)을 R, 로우터의 유한 회전수를 N이라 하면,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3)의 길이(L)는, (L/rπ) + (L/Rπ) = N 으로부터
L = rR ×Nπ/(r + R)
로서 주어진다. 여기서 내경(r)은 로우터의 내통부의 외경에 상당하고, 이 내통부가 스티어링 샤프트에 삽입되는 구조상, 내경(r)에 대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회전커넥터와 도 5(b)에 나타내는 회전커넥터는 동일하다. 또, 외경(R)에 대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회전커넥터의 경우, 외경(R)에 상당하는 것은 외통부의 내경이나, 도 5(b)에 나타내는 회전커넥터의 경우, 외경(R)에 상당하는 것은 가이드벽의 외경으로, 외통부의 내경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도 5(a)에 나타내는 종래예에 비하여 도 5(b)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예의 쪽이 외경(R)이 각별하게 작아지고, 로우터(2)의 유한 회전수(N)를 일정하게 확보한 다음에 플랫 케이블(3)의 길이(L)를 짧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통부의 외경을 50mm, 외통부의 내경을 100mm, 가이드벽의 외경을 70mm, 로우터의 유한 회전수를 6회라 하면, 종래 타입의 회전커넥터의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r = 50mm, R = 100mm, N = 6을 대입하면 L = 628mm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예의 회전커넥터의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r = 50mm, R = 70mm, N = 6을 대입하면 L = 549.5 mm가 되어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3)의 길이(L)를 78.5mm나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홀더(4)의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둘레방향으로 연속되는 가이드벽(4b)을 세워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점재시킨 것을 가이드벽(4b)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도 플랫 케이블(3)을 가이드벽(4b)의 외주면과 롤러(13)에 원형상으로 감을 수 있다. 또 가이드벽(4b)의 외벽을 플롯한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부(4b1)와 규제부(4b2)로 이루어지는 비원형상의 가이드벽(4b)으로 하고, 내통부(7b)의 대부분을 고리형상부(4b1)로 포위함과 동시에, 규제부(4b2)를 고리형상부(4b1)의 양쪽 끝으로부터 롤러(13)의 양측을 향하여 돌출시켜도 좋다. 이 경우 플랫 케이블(3)은 가이드벽(4b)의 고리형상 부(4b1)와 규제부(4b2) 및 롤러(13)에 난형으로 감기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1매의 플랫 케이블을 사용한 회전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2매의 플랫 케이블을 겹쳐서 사용한 2중 감기타입의 회전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요철이 형성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홀더의 평면도, 도 9는 회전커넥터의 동작 설명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가이드벽(4b)은 가이드구멍(4d)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내벽은 가이드구멍(4d)과 대략 동심원의 원주면으로 되어 있으나, 외벽은 가이드구멍(4d)에 대하여 크게 편심된 원주면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벽(4b)의 내벽과 외벽과의 사이에는 오목형상의 공동부(4f)가 형성되어 있고, 공동부(4f)에 의하여 홀더(41) 전체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벽(4b)의 외벽면의 대부분에는 요철부(4g)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부(4g)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벽(4b)의 일부는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서 노치되어 있고, 이 노치부 내에 원통형상의 지지축(4c)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가이드벽(4b)의 측면 사이의 개구(14) 내에 위치하고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4b)의 외벽면까지의 거리는, 롤러(13)가 지지된 개구(14)의 근방부분이 가장 크고, 롤러(13)와 180도 대향하는 부분이 최소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이 도 9(a)에 나타내는 단단히 감김상태 또는 도 9(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가 되는 도중에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은 홀더(41)의 가이드벽(4b)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통부(5a)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3)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감기고, 이 외통부(5a)의 내주면의 원주 길이에 비하여 가이드벽(4b)의 외벽면의 원주 길이가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3)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홀더(41)의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3)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는 요철부(4g)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3)이 가이드벽(4b)의 외벽면으로부터 풀리는 단단히 감김동작시에 플랫 케이블(3)은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밀착하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 로우터(2)나 홀더(41)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이터(1)와 로우터(2)나 홀더(4) 등의 가동부재와의 슬라이딩부분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전되고, 이 윤활제가 가이드벽(4b)의 외벽면까지 새어 나왔다 하여도 단단히 감김동작시에 플랫 케이블(3)을 가이드벽(4b)의 외벽면으로부터 원활하게 풀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 요철부(4g)는 가이드벽(4b)의 외벽면의 일부(최소 지름부분)를 제외하고 형성하고 있으나, 요철부(4g)를 가이드벽(4b)의 외벽면의 전 주위에 걸쳐 형성하여도 좋고, 가이드벽(4b)의 내벽면에도 동일한 요철부(4g)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가이드벽(4b)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요한 것은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4b)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14)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0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부(4b1)와 규제부(4b2)로 이루어지는 비원형상의 가이드체(4b)로 하고, 이와 같은 가이드벽(4b)과 롤러(13)에 플랫 케이블(3)을 난형으로 감도록 하면, 홀더(41)를 더 한층 경량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형상부(4b1)는 가이드구멍(4d)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규제부(4b2)는 고리형상부(4b3)의 한쪽 끝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롤러(13)는 개구(14)를 거쳐 규제부(4b2)에 대향하고 있다.
또, 가이드벽(4b)에 형성된 요철부(4g)의 형상이나 형성위치 등도 상기 실시형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부(4b1)를 물결형상으로 형성하여 요철부(4g)로 하거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부(4b1)에 다수의 원주형상 볼록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요철부(4g)로 하거나, 도시 생략하였으나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다수의 반구형상 볼록부를 점재시켜 요철부(4g)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중요한 것은 가이드벽(4b)의 적어도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3)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는 요철부(4g)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 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발명에 관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롤러를 설치하지 않고 개구를 거쳐 가이드벽에 볼록형상 벽부와 오목형상 벽부를 일체 형성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홀더(42)는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1)가 이 개구(14) 내에 위치하고 있고, 볼록형상 벽부(4h)가 반전부(3a)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오목형상 벽부(4i)가 반전부(3a)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상 평판부(4a)의 하면에는 바닥판부(6a)와의 슬라이딩저항을 적게 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가이드벽(4b)의 내주면(4b10)과 외주면(4b20)과의 사이에는 홀더(42) 전체를 경량화하기 위한 공동부(4f)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발명에 관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가이드벽을 연결부, 내벽부 및 외벽부로 구성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43)의 가이드벽(4b)은, 센터구멍(4d)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고리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부(4b3)와, 이 내벽부(4b3)의 양쪽 끝으로부터 고리형상 평판부(4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벽으로서의 오목형상 벽부(4i) 및 대향벽(4h)과, 이들 오목형상 벽부(4i) 및 대향벽(4j)의 바깥쪽 끝부로부터 각각 내벽부(4b3)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외벽부(4b4, 4b5)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은 대략 동일한 두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상 벽부(4i)와 대향벽(4j)은 지지축(4c)을 거쳐 대향하고 있고,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오목형상 벽부(4i)와의 사이에 확보된 개구(14)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내통부(7b)로부터 개구(14)를 통하여 외통부(5a)를 향하는 플랫 케이블(3)은 내벽부(4b1)와 제 1 및 제 2 외벽부(4b4, 4b5)의 외벽면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 감김부를 비원형 감김면(P)이라 하면, 가이드구멍(4d)의 중심(O)[즉,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비원형 감김면(P)까지의 거리는, 롤러(13)가 지지된 개구(14)의 근방부분이 가장 크고, 제 1 및 제 2 외벽부(4b4, 4b5)의 연출방향을 따라 서서히 작아져 롤러(13)와 180도 대향하는 내벽부(4b3)의 약 반주부분이 최소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발명에 관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가이드벽 대신에 복수의 기둥형상체를 설치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홀더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44)의 가이드부(4p)는 원주형상의 다수의 가이드핀(4m1)과 평면으로 보아 쐐기형상으로 연속되는 오목형상 벽부(4i) 및 외벽부(4b4)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지지축(4c)과 각 가이드핀(4m1)과 오목형상 벽부(4i) 및 외벽부(4b4)와 고리형상 평판부(4a)상의 가이드구멍(4d)을 포위하는 비고리형상 영역(S) 내에 소정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여기서 비고리형상 영역(S)의 안 가장자리부는 가이드구멍(4d)과 동심원의 원형궤적(S1)으로 되어 있으나, 비고리형상 영역(S)의 바깥 가장자리부는 가이드구멍(4d)과 동심원이 아닌 난형의 비원형 궤적(S2) 으로 되어 있고, 각 가이드핀(4m1)의 대부분은 원형궤적(S1)의 바깥쪽을 따라 병설되고, 나머지 가이드핀(4m1)은 비원형 궤적(S2)의 안쪽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또 오목형상 벽부(4i)는, 원형 궤적(S1)으로부터 고리형상 평판부(4a)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외벽부(4b4)는 그 바깥쪽 끝부로부터 비원형 궤적(S2)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지지축(4c)은 오목형상 벽부(4i)와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오목형상 벽부(4i)와의 사이에 확보된 개구(14)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부(7b)로부터 개구(14)를 통하여 외통부(5a)를 향하는 플랫 케이블(3)은 비원형 궤적(S2)의 안쪽을 따라 병설된 각 가이드핀(4m1)과 외벽부(4b4)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구멍(4d)의 중심(O)[즉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비원형 궤적(S2)까지의 거리는 롤러(13)가 지지된 개구(14)의 근방부분이 가장 크고, 개구(14)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시히 작아져 롤러(13)와 180도 대향하는 약 반주부분이 최소로 되어 있다.
도 15는 홀더(4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홀더(44)에 있어서는 지지축(4c)에 롤러(13)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핀(4m1)에도 작은 지름의 롤러(16)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핀(4m1)과 플랫 케이블(3) 사이의 마찰저항이 저감되기 때문에, 로우터(2)의 회전시에 플랫 케이블(3)을 더욱 원활하게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을 수 있다. 또한 롤러(16)는 모든 가이드핀(4m1)에 축 지지될 필요는 없고, 플랫 케이블(3)과의 슬라이딩이 적은 부분에 배치도는 가이드핀(4m1)에 대해서는 롤러(16)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 롤러(16)를 사용하는 대신에 홀더(44)를 활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거나, 각 가이드부(4p)를 구성하는 가이드핀(4m1)이나 외벽부(4b4)의 표면에 활성 재료를 부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각 가이드부(4p)가 원주형상의 다수의 가이드핀(4m1)과 평면으로 보아 쐐기형상의 오목형상 벽부(4i) 및 외벽부(4b4)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외벽부(4b4)에 상당하는 부분에 복수의 가이드핀(4m1)을 병설하면, 모든 가이드부(4p)를 동일형상의 가이드핀(4m1)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가이드벽을 중공 통형상 벽으로 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각 중공 통형상 벽(4n)은 고리형상 평판부(4a)의 가이드구멍(4d)을 포위하도록 점재하여 배열되어 있고, 각 보조벽(4q)은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한 쌍의 중공 통형상 벽(4n)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중공 통형상 벽(4n)의 안쪽을 연결하는 가상 내주면을 P1이라 하면, 이 가상 내주면(P1)의 중심은 가이드구멍(4d)의 중심[즉 내통부(7b)의 중심](O)에 일치하고 있고, 각 보조벽(4q)도 가상 내주면(P1)상에 배열되어 있다. 단, 각 중공 통형상 벽(4n)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을 P2라 하면, 이 가상 외주면(P2)의 중심은 가이드구멍(4d)의 중심[내통부(7b)의 중심](O)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고, 지지축(4c)은 가상 외주면(P2)의 최대 지름부분[중심(O)까지의 거리가 가장 긴 부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중공 통형상 벽부(4n)의 측면 사이의 개구(14)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 중공 통형상 벽(4n)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P2)까지의 거리는 롤러(14)가 지지된 개구(14)의 근방부분이 가장 크고, 롤러(13)와 180도 대향하는 부분이 최소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발명에 관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홀더에 공동부 및/또는 두께 줄임부를 형성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홀더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17에 나타내는 홀더(46)에 있어서, 고리형상 평판부(4a)에 형성된 관통구멍(17)과 가이드벽(4b)에 형성된 공동부(4f)는 모두 두께 줄임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이들 관통구멍(17)과 공동부(4f)에 의하여 홀더(46) 전체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18의 홀더(47)에는 두께 줄임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관통구멍(18)이 추가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18)은 가이드벽(4b)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구멍(18)의 일부는 공동부(4f)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리형상 평판부(4a)에 관통구멍(17)을 형성함과 동시에, 가이드벽(4b)에 공동부(4f) 및 관통구멍(18)을 형성하면, 이들 3종류의 두께 줄임부에 의하여 홀더(47) 전체를 한층 경량화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9 발명에 관한 제 8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고리형상 평판부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제 1 탄성 가세부를 설치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 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홀더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홀더를 구비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이다.
홀더(48)는 커버(6)의 바닥판부(6a)상에 탑재된 고리형상 평판부(4a)와, 이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벽(4b) 및 지지축(4c)을 가지고, 이것들은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판부(4a)는 외통부(5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4a)에는 제 1 탄성 가세부로서의 복수의 탄성 설편(4r)이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 설편(4r)은 고리형상 평판부(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예를 들면 120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3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자유단)은 고리형상 평판부(4a)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반구형상의 곡면부로 되어 있다. 이들 탄성 설편(4r)의 곡면부는 바닥판부(6a)의 상면에 탄성 접촉되어 있고, 그 반력에 의하여 가이드벽(4b)의 상단은 천정판부(7a)의 하면에 압접되어 있다(도 20 참조). 또 고리형상 평판부(4a)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가이드구멍(4d)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구멍(4d)이 내통부(7b)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됨으로써, 홀더(48)는 내통부(7b)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고리형상 공간(9) 내를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홀더(48)의 가이드벽(4b)은 가이드구멍(4d)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내주면은 가이드구멍(4d)과 대략 동심원이나, 외주면은 가이드구멍(4d)에 대하여 크게 편심되어 있다. 또 가이드벽(4b)의 일부는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서 노치되어 있고, 이 노치부 내에 원통형상의 지지축(4c)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4c)에는 롤러(13)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롤러(13)와 그것에 대향하는 가이드벽(4b)의 측면 사이의 개구(14)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로우터(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4b)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롤러(13)가 지지된 개구(14)의 근방부분이 가장 크고, 롤러(13)와 180도 대향하는 부분이 최소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벽(4b)의 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오목형상의 공동부(4f)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부(4f)에 의하여 홀더(48) 전체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홀더(48)의 고리형상 평판부(4a)에 복수의 탄성 설편(4r)을 일체 형성하고, 이들 탄성 설편(4r)의 선단의 곡면부를 바닥판부(6a)의 상면에 탄성 접촉함으로써, 고리형상 평판부(4a)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벽(4b)의 상단이 천정판부(7a)의 하면에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2)의 회전축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48)가 고리형상 공간(9)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각 탄성 설편(4r)의 탄성 가세력에 의하여 억제되고, 그 결과, 홀더(4)가 천정판부(7a)나 바닥판부(6a)에 기세좋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충돌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도 20참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0 발명에 관한 제 9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고리형상 평판부의 돌 출부 대신에 제 2 탄성 가세부를 설치하고, 또한 가이드벽이 천정판부의 하면에 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제 9 실시형태의 홀더와 로우터의 걸어맞춤부분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홀더를 구비한 회전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로우터(2)는 핸들측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이고, 이 로우터(2)는 합성수지제의 상부 로우터(7)와 하부 로우터(8)로 이루어진다. 상부 로우터(7)는 고리형상의 천정판부(7a)와 그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오는 내통부(7b)를 가지고, 천정판부(7a)의 상면에는 상측 수납부(7c)가 세워 설치되고, 내통부(7b)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치수를 가지는 중공구조로 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부(7b)의 하단부는 작은 지름부(7d)로 되어 있고, 이들 내통부(7b)와 작은 지름부(7d)는 단부(7e)를 거쳐 연속되어 있다. 내통부(7b)의 외경 치수는 바닥판부(6a)의 센터구멍(6c)보다도 어느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나, 작은 지름부(7d)의 외경치수는 센터구멍(6c)보다도 약간 작은 듯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하부 로우터(8)는 플랜지부(8a)를 가지는 통형상체이고, 이 하부 로우터(8)를 커버(6)의 센터구멍(6c)으로부터 삽입하여 내통부(7b)의 내주면에 스냅결합함으로써, 로우터(2)가 스테이터(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상태에 있어서, 스테이터(1)측의 외통부(5a) 및 바닥판부((6a)와 로우터(2)측의 천정판부(7a) 및 내통부(7b)에 의하여 평면으로 보아 링형상의 고리형상 공간(9)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홀더(49)는 커버(6)의 바닥판부(6a)상에 탑재된 고리형상 평판부(4a)와, 이 고리형상 평판부(4a)상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벽(4b') 및 지지축(4c)을 가지고, 이것들은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판부(4a)는 외통부(5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4a)에는 제 2 탄성 가세부로서의 복수의 탄성 설편(4r)이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 설편(4r)은 고리형상 평판부(4a)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고리형상 평판부(4a)에 3개의 탄성 설편(4r)이 120도의 등간격을 가지고 형성되고, 각 탄성 설편(4r)의 선단(자유단)은 고리형상 평판부(4a)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반구형상의 곡면부로 되어 있다. 또 고리형상 평판부(4a)의 중앙에는 원형의 가이드구멍(4d)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구멍(4d)을 상부 로우터(7)의 작은 지름부(7d)에 삽입하여 단부(7e)에 맞닿게 함으로써 홀더(49)는 내통부(7b)를 중심으로 고리형상 공간(9) 내를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로우터(7)의 단부(7e)와 하부 로우터(8)의 플랜지부(8a)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평판부(4a) 및 바닥판부(6a)가 끼워 유지되고, 각 탄성 설편(4r)의 곡면부가 바닥판부(6a)의 상면에 P1의 힘으로 탄성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형상 평판부(4a)에는 P1로부터의 반력(P2)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이드구멍(4d)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단부(7e)에 P2의 힘으로 압접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로우터(2)에 내통부(7b) 와 단부(7e)를 거쳐 연속되는 작은 지름부(7d)를 형성하고, 홀더(4)의 고리형상 평판부(4a)에 일체 형성한 각 탄성 설편(4r)의 선단을 바닥판부(6a)의 상면에 탄성 접촉함으로써 작은 지름부(7d)에 삽입한 가이드구멍(4d)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각 탄성 설편(4r)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하여 단부(7e)에 압접시켰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2)의 회전축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4)가 고리형상 공간(9)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억제되어 홀더(4)가 천정판부(7a)나 바닥판부(6a)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가이드벽(46')은 도 20에 있어서의 가이드벽(4b)보다도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탄성 설편(4r)이 바닥판부(6a)의 상면에 P1의 힘으로 탄성 접촉한 상태에서 P1로부터의 반력(P2)이 상향으로 작용할 때, 가이드구멍(4d)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단부(7e)에 P2의 힘으로 압접되어도 천정판부(7a)의 하면에 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1 발명에 관한 제 10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홀더와 바닥판부와의 사이에 활성 시트를 설치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고리형상 공간(9)의 하부 개구단에 위치하는 바닥판부(6a) 의 상면에는 제 1 활성 시트(19)가 접착되고, 고리형상 공간(9)의 상부 개구단에 위치하는 천정판부(7a)의 하면에는 제 2 활성 시트(20)가 접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활성 시트(19, 20)는 4불화 에틸렌 등의 활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 이들 활성 시트(19, 20)는 바닥판부(6a)와 천정판부(7a)에 직접 접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양 활성 시트(19, 20)를 스펀지 등의 도시 생략한 시트형상 탄성체를 거쳐 바닥판부(6a)와 천정판부(7a)에 접착하여도 좋다.
도 23의 홀더(50)의 돌기(4e)는 제 1 활성 시트(10)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홀더(4)의 고리형상 평판부(4a)와 대향하는 바닥판부(6a)상에 제 1 활성 시트(19)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3)의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홀더(4)는 제 1 활성 시트(19)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고리형상 공간(9)내를 회동하고, 홀더(4)와 바닥판부(6a)의 맞닿음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쾌한 슬라이딩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평판부(4a)의 하면에 복수의 돌기(4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활성 시트(19)와의 슬라이딩 저항이 대폭으로 저감되어, 홀더(4)를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공간(9)의 상부 개구단에 위치하는 천정판부(7a)의 하면에 제 2 활성 시트(20)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3)은 그 단단히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제 2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변위하여 플랫 케이블(3)과 천정판부(7a)의 맞닿음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쾌한 슬라이딩 소리도 저 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2 발명에 관한 제 1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탄성 억제편을 구비하는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형태의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24의 스테이터(1)[케이스(5)]의 외통부(5a)에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3매의 탄성 억제편(21)이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각 탄성 억제편(21)은 고리형상 공간(9)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플랫 케이블(3)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탄성 억제편(21)의 한쪽 끝측에는 구멍을 가지는 지지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21a)의 구멍을 외통부(5a)에 형성한 지주에 압입함으로써, 각 탄성 억제편(21)은 약 120도의 등간격으로 외통부(5a)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탄성 억제편(21)은 외통부(5a)의 내벽에 근사한 곡율로 만곡되어 있고, 각 탄성 억제편(21)은 가이드벽(4b)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방향의 탄발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의 동작을 주로 하여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중에 있어서, 외통부(5a)나 내통부(7b)를 포함하는 스테이터(1)와 로우터(2)는 생략하고 있고,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탄성 억제편(21)도 생략하고 있다.
도 4(a)는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벽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도시 생략한 각 탄성 억제편(21)은 홀더(4)의 가이드벽(4b)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반시계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가 로우터(2)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반전부(3a)를 따라 롤러(13)와 홀더(4)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이동량의 약 2배의 플랫 케이블(3)이 내통부(7b)측으로부터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다. 또한 로우터(2)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3)이 홀더(4)의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감기고, 최종적으로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가이드벽(4b)의 외벽면에 감겨진 되감김상태가 된다. 또한 도시 생략한 각 탄성 억제편(21)은 이와 같은 플랫 케이블(3)의 지름방향의 변위에 따라 고정단측을 지지점으로 탄성 변형하고,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되감기 도중에서는 플랫 케이블(3)과 함께 외통부(5a)의 내벽측으로 가압되고, 도 4(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에서는 가이드벽(4b)에 감긴 플랫 케이블(3)의 외주면에 압접된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도 4(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3)은 가이드벽(4b)측으로부터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 후,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다시 회전함으로써,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벽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이 경우도 도시 생략한 각 탄성 설편(21)은 이와 같은 플랫 케이블(3)의 지름방향의 변위에 따라 고정단측을 지지점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스테이터(1)의 외통부(5a)에 고리형상 공간(9)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억제편(21)을 지지하고, 이들 탄성 억제편(21)의 탄발력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3)을 가이드벽(4b)의 외주면을 향하여 가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회전커넥터에 고리형상 공간(9)의 지름방향으로의 진동이 작용하였다 하여도 단단히 감기 도중 또는 되감기 도중에 있는 플랫 케이블(3)이 고리형상 공간(9) 내에서 함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플랫 케이블(3)의 요동에 기인하는 덜거덕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3매의 탄성 억제편(21)을 외통부(5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약 120도의 등간격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3)을 고리형상 공간(9)의 중심방향으로 밸런스 좋게 탄성 가세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억제편(21)을 외통부(5a)의 내벽에 근사한 곡율로 만곡형성하고, 이 탄성 억제편(21)의 한쪽 끝부에 형성한 지지부(21a)의 구멍을 외통부(5a)에 형성한 지주에 압입함으로써, 탄성 설편(21)을 외통부(5a)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지지하였기 때문에, 탄성 억제편(21)을 외통부(5a)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외통부(5a)에 3매의 탄성 억제편(21)을 지지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탄성 억제편(21)의 매수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1매의 플랫 케이블을 사용한 회전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2매의 플랫 케이블을 겹쳐서 사용한 2중 감기타입의 회전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3 발명에 관한 제 1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 홀더 대신에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의 가이드체를 사용하고 또한 바닥판부 상면에 가이드 홈을 설치한 점에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가이드체의 사시도, 도 27은 회전커넥터의 동작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가이드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가이드체에 구비되는 탄성 설편의 설명도이다.
스테이터(1)의 센터구멍(6c)의 주위에는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6d)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제의 가이드체(50)는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평면으로 보아 원형의 관통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0a)은 내통부(7b)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체(50)는 커버(6)의 바닥판부(6a)에 탑재되어 고리형상 공간(9) 내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은 관통구멍(50a)과 동심원의 원주면으로 되어 있으나, 가이드체(50)의 외벽면(4u)은 관통구멍(50a)의 중심에 대하여 크게 편심되어 있고, 그 편심량이 가장 큰 부분에서 내벽면(4t)과 외벽면(4u)은 개구(14) 를 거쳐 연통되어 있다. 즉 로우터(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이드체(50)의 외벽면(4u)까지의 거리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14)의 근방에서 가장 커져 있고, 이 개구(14) 내에 상기한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는 위치하고 있다(도 27참조). 또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의 하단에 돌출부(4s)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4s)는 커버(6)의 바닥판부(6a)에 형성된 가이드홈부(6d)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과 외벽면(4u)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4v)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부(4v)에 의하여 가이드체(50) 전체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의 동작을 주로 하여 도 2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7에 있어서, 외통부(5a)나 내통부(7b)를 포함하는 스테이터(1)와 로우터(2)는 생략하고 있다.
도 27(a)는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벽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를 나타내고, 이 단단히 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반시계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개구(15) 내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가 로우터(2)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반전부(3a)를 따라 가이드체(4)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이동량의 약 2배의 플랫 케이블(3)이 내통부(7b)측으로부터 가이드체(4)의 개구(14)를 통하여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다. 또한 로우터(2)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2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측으로 풀린 플랫 케이블(3)이 가이드체(51)의 외벽면(4u)에 감기고, 최종적으로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가이드체(51)의 외벽면(4u)에 감겨진 되감김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도 4(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로부터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3)은 가이드체(51)의 외벽면(4u)으로부터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풀린 후, 로우터(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다시 회전함으로써,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의 대부분이 내통부(7b)의 외주면에 감겨진 단단히 감김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에서는 플랫 케이블(3)이 도 27(a)에 나타내는 단단히 감김상태 또는 도 27(c)에 나타내는 되감김상태가 되는 도중에서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은 홀더(4)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통부(5a)의 내주면측으로 일단 풀리나, 되감김상태에서 플랫 케이블(3)은 고리형상 공간 내에 배치된 가이드체(50)의 외벽면(4b)에 감기고, 이 외통부(5a)의 내주면의 원주 길이에 비하여 가이드체(50)의 외벽면(4u)의 원주 길이가 충분히 짧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3)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가이드체(50)를 원통형상의 내벽면(4t)에 대하여 외벽면(4u)이 편심되는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s)를 바닥판부(6a)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6d)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 맞추게 하였기 때문에, 가이드체(50)의 지름치수를 짧게 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가이드체(50)를 고리형상 공간(9)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의 하단 전체에 돌출부(4s)를 연속 형성하고 있으나, 내벽면(4t)의 하단을 따라 간헐적 으로 점재시킨 복수의 돌출부(4s)이어도 좋다.
도 28은 가이드체(5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이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 상단에는 복수의 제 3 탄성 가세부로서의 탄성 설편(4w)이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 설편(4w)은 내벽면(4t)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예를 들면 120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3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자유단)은 내벽면(4t)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여 반구형상의 곡면부로 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탄성 설편(4w)의 곡면부는 상부 로우터(7)의 천정판부(7a)의 하면에 탄성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반력에 의하여 가이드체(50)는 바닥판부(6a)의 상면측에 탄성 가세되고, 가이드체(50)의 내벽면(4t)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4s)는 가이드홈부(6d)의 안 바닥면에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로우터(2)의 회전축방향으로 진동이 작용하였을 때에도 가이드체(50)가 고리형상 공간(9)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각 탄성 설편(4w)의 탄성 가세력에 의하여 억제되고, 그 결과, 가이드체(50)의 상단이 천정판부(7a)의 하면에 기세좋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충돌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홀더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부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함과 동시에,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체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체의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단히 감기 동작시에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밀착하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 로우터나 홀더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 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편심된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에 개구를 거쳐 대향하는 볼록형상 벽부와 오목형상 벽부를 일체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가이드벽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의 단단히 감기 및 되감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홀더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내통부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부와, 이 내벽부로부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결벽과, 이 연결벽의 바깥쪽 끝부로부터 내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벽부를 설치하고,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홀더의 내벽부와 외벽부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짧은 내벽부와 외벽부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단단히 감긴 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홀더에 설치한 내벽부와 연결벽 및 외벽부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센터구멍을 가지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센터구멍을 포위하도록 복수의 기둥형상체를 병설함과 동시에, 이들 기둥형상체를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는 비고리형상 영역 내에 분산시키고, 플랫 케이블이 내통부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비고리형상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기둥형상체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짧은 각 기둥형상체의 주위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홀더의 비고리형상 영역 내에 병설한 복수의 기둥형상체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7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에,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점재하는 복수의 중공 통형상 벽을 설치하고, 이들 중공 통형상 벽의 안쪽을 연결하는 가상 내주면을 내통부와 대략 동심원형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각 중공 통형상 벽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을 내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시키고, 이 가상 외주면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각 중공 통형상 벽의 가상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각 중공 통형상 벽을 내부에 합성수지재가 없는 중공 통형상체로 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8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에,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와 가이드벽의 적어도 한쪽에 합성수지재를 제거한 두께 줄임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홀더의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9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가 가지는 내통부 및 천정판부와 스테이터가 가지는 외통부 및 바닥판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에 외통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외경치수의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 에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와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가이드벽을 로우터의 천정판부를 향하여 탄성 가세하는 제 1 탄성 가세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가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억제되고, 홀더가 천정판부나 바닥판부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이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0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가 가지는 내통부 및 천정판부와 스테이터가 가지는 외통부 및 바닥판부와의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의 내벽면을 고리형상 평판부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과 동심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로우터의 내통부와 단부를 거쳐 연속되는 작은 지름부를 형성하고, 이 작은 지름부에 홀더의 관통구멍을 삽입하고, 이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 2 탄성 가세부에 의하여 단부에 압접시켰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로우터의 회전축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도 홀더가 고리형상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억제되어, 홀더가 천정판부나 바닥판부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11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가 가지는 내통부 및 천정판부와 스테이터가 가지는 외통부 및 바닥판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고리형상 공간의 하부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부의 상면에 활성 시트가 깔려 있기 때문에, 홀더의 고리형상 평판부는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고리형상 공간 내를 회동하여 홀더와 바닥판부의 맞닿음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쾌한 슬라이딩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2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로우터의 내통부와 스테이터의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에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벽의 외주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외통부에 고리형상 공간의 안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성 억제편을 설치하고, 이 탄성 억제편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가이드벽의 외주면측에 가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리형상 공간의 지름방향으로의 진동이 작용하였다 하여도 플랫 케이블의 지름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여 덜거덕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13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스테이터가 가지는 바닥판부 및 외통부와 로우터가 가지는 천정판부 및 내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이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가이드체를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벽면을 가지는 평면으로 보아 C자형상을 이루고, 이 가이드체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체의 내벽면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바닥판부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맞추었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외통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의 가이드체의 외벽면에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되고,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 가이드체를 원통형상의 내벽면에 대하여 외벽면이 편심되는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체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스테이터의 바닥판부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 딩 자유롭게 걸어맞추었기 때문에, 가이드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가이드체의 원활한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1)

  1.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이 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외통부를 향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벽에 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이 상기 개구의 근방에 위치하는 규제부와 상기 내통부의 대부분을 포위하는 고리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외통부를 향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가이드벽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 근방에 롤러를 축 지지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외통부를 향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롤러와 상기 가이드벽에 감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롤러를 축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에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을 저감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가 상기 가이드벽의 상기 외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 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이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벽면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내벽면과 외벽면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에 상기 개구를 거쳐 대향하는 볼록형상 벽부와 오목형상 벽부를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 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의 대부분을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부와, 이 내벽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결벽과, 이 연결벽의 바깥쪽 끝부로부터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벽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내통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홀더의 상기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벽부와 상기 연결벽 및 상기 외벽부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롤러를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개구를 거쳐 상기 롤러를 상기 연결벽에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개구 및 상기 롤러를 거쳐 상기 연결벽에 대향하는 대향벽을 설치하고, 이 대향벽의 안쪽 끝부를 상기 내벽부에 연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향벽의 바깥쪽 끝부에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른 외벽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5.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가 삽입되는 센터구멍을 가지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센터구멍을 포위하도록 복수의 기둥형상체를 병설함과 동시에, 이들 기둥형상체를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는 비고리형상 영역 내로 분산시키고,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내통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비고리형상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둥형상체에 비원형상으로 감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체의 일부를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비고리형상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속되는 쐐기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다른 기둥형상체를 원주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둥형상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롤러를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8.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내통부를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점재하는 복수의 중공 통형상 벽을 설치하고, 이들 중공 통형상 벽의 안쪽을 연결하는 가상 내주면을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중공 통형상 벽의 바깥쪽을 연결하는 가상 외주면을 상기 내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시키고, 이 가상 외주면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리형상 평판부를 가지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각 중공 통형상 벽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각 중공 통형상 벽의 사이에 각각 보조벽이 설치되고, 이들 보조벽이 상기 가상 내주면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1.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와 상기 가이드벽의 적어도 한쪽에 합성수지재를 제거한 두께 줄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줄임부가 상기 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공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줄임부가 상기 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줄임부가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5.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바닥판부와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양자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 탄성 가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가세부가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탄성 설편으로 이루어지고, 이 탄성 설편의 자유단을 상기 바닥판부에 탄성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설편이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설편의 자유단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9.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 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 및 그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벽을 가지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벽에 설치된 개구 내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의 내벽면을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원형의 관통구멍과 동심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의 외벽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최대가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로우터에 상기 내통부와 단부를 거쳐 연속되는 작은 지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작은 지름부에 삽입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기 단부에 압접시키는 제 2 탄성 가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가세부가 이 고리형상 평판부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복수의 탄성 설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1. 외통부 및 바닥판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내통부 및 천정판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와 로우터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바닥판부의 상면에 활성 시트를 깔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평판부의 하면에 곡면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상기 활성 시트에 슬라이딩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부의 하면에 다른 활성 시트를 깔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4.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외통부와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통부가 설치된 로우터와,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바닥판부에 대향하는 고리형상 평판부를 설치하고, 이 고리형상 평판부상에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벽을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외통부에 상기 고리형상 공간의 안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성 억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억제편을 상기 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억제편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탄성 억제편의 한쪽 끝부를 상기 외통부에 한쪽 지지 빔형상으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7. 바닥판부 및 외통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천정판부 및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로우터와, 이들 스테이터 및 로우터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고리형상 공간 내에 도중에서 감김방향을 반전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양쪽 끝이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 플랫 케이블과, 상기 고리형상 공간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체가 상기 내통부와 동심원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벽면에 대하여 편심된 외벽면을 가지는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을 이루고, 이 가이드체의 최대 지름부분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체의 상기 내벽면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한 둥근 고리형상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걸어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내벽면을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내벽면과 상기 외벽면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공동부를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상단과 상기 천정판부와의 적어도 한쪽에 양자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3 탄성 가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탄성 가세부가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내벽면 상단에 일체 형성된 복수의 탄성 설편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탄성 설편의 자유단을 상기 천정판부의 하면에 탄성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KR1020050011479A 2004-02-12 2005-02-07 회전커넥터 KR100732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5157 2004-02-12
JP2004035157A JP4355229B2 (ja) 2004-02-12 2004-02-12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120587 2004-04-15
JP2004120587A JP2005302651A (ja) 2004-04-15 2004-04-15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140302 2004-05-10
JPJP-P-2004-00140303 2004-05-10
JPJP-P-2004-00140295 2004-05-10
JP2004140302A JP2005322536A (ja) 2004-05-10 2004-05-10 回転コネクタ
JP2004140300A JP2005323465A (ja) 2004-05-10 2004-05-10 回転コネクタ
JP2004140295A JP2005323464A (ja) 2004-05-10 2004-05-10 回転コネクタ
JP2004140303A JP2005323466A (ja) 2004-05-10 2004-05-10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140300 2004-05-13
JPJP-P-2004-00181582 2004-06-18
JP2004181582A JP2006006063A (ja) 2004-06-18 2004-06-18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188693 2004-06-25
JPJP-P-2004-00188704 2004-06-25
JP2004188704A JP2006014511A (ja) 2004-06-25 2004-06-25 回転コネクタ
JP2004188693A JP2006014510A (ja) 2004-06-25 2004-06-25 回転コネクタ
JP2004194111A JP2006019079A (ja) 2004-06-30 2004-06-30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194111 2004-06-30
JPJP-P-2004-00201906 2004-07-08
JP2004201906A JP2006024462A (ja) 2004-07-08 2004-07-08 回転コネクタ
JPJP-P-2004-00214550 2004-07-22
JP2004214550A JP2006040577A (ja) 2004-07-22 2004-07-22 回転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857A KR20060041857A (ko) 2006-05-12
KR100732221B1 true KR100732221B1 (ko) 2007-06-27

Family

ID=3470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479A KR100732221B1 (ko) 2004-02-12 2005-02-07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75453B2 (ko)
EP (1) EP1564849A1 (ko)
KR (1) KR100732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00956T3 (pl) * 2005-11-25 2009-01-30 Nexans Urządzenie do transmisji sygnału względnie prądu pomiędzy punktami końcowymi
JP5097364B2 (ja) * 2006-06-30 2012-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US7909361B2 (en) * 2008-06-10 2011-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steering wheel and column assembly including torsional damper device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2110942A (zh) * 2009-12-25 2011-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件
EP2542391B1 (en) * 2010-03-02 2014-06-25 ABB Research Ltd. A syste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tool to a robot wrist and a method therefor
CN102823096B (zh) * 2010-05-10 2015-11-25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JP5714996B2 (ja) * 2011-07-12 2015-05-07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US20130270399A1 (en) * 2012-04-13 2013-10-17 Ben Berkowitz Management of Cables That Traverse Moving Robot Joints
JP2014037210A (ja) * 2012-08-20 2014-02-27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US9579806B2 (en) 2012-08-23 2017-02-28 Rethink Robotics, Inc. Robotic power and signal distribution using laminated cable with separator webs
WO2017170650A1 (ja) *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651619B2 (ja) * 2016-05-31 2020-02-1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WO2019181841A1 (ja) * 2018-03-19 2019-09-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付構造
CN113069865B (zh) * 2021-04-01 2022-08-30 抚州市鹤达实业有限公司 一种变性淀粉生产用空气过滤净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023A (ja) * 1995-11-21 1997-06-06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H09185982A (ja) * 1995-12-28 1997-07-15 Nippon Plast Co Ltd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H11135220A (ja) 1997-10-28 1999-05-21 Yazaki Corp クロックスプリング
JP2000048924A (ja) 1998-07-24 2000-02-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96A (en) * 1987-05-27 1989-04-25 Alps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US6012935A (en) * 1994-07-19 2000-01-11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connector with carrier member
US6213797B1 (en) * 1994-07-19 2001-04-10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having non-compliant and compliant roller members
JPH08222340A (ja) * 1994-12-14 1996-08-30 Yazaki Corp ハンドル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間の電気的接続装置
JPH09274981A (ja) * 1995-08-11 1997-10-21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DE19534655B4 (de) * 1995-09-19 2004-03-1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Transportsystem für einen aufgewickelten elektrischen Leiter mit Wickelsinnumkehrung durch Schleifenbildung
FR2753842B1 (fr) * 1996-09-23 1998-12-11 Contacteur electrique tournant perfectionne
JPH11187553A (ja) * 1997-12-17 1999-07-09 Harness Syst Tech Res Ltd 回転接続装置
JP3627554B2 (ja) * 1999-01-20 2005-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676146B2 (ja) * 1999-10-22 2005-07-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2010462A (ja) * 2000-06-26 2002-01-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023A (ja) * 1995-11-21 1997-06-06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H09185982A (ja) * 1995-12-28 1997-07-15 Nippon Plast Co Ltd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H11135220A (ja) 1997-10-28 1999-05-21 Yazaki Corp クロックスプリング
JP2000048924A (ja) 1998-07-24 2000-02-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4849A1 (en) 2005-08-17
US7175453B2 (en) 2007-02-13
KR20060041857A (ko) 2006-05-12
US20050180727A1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221B1 (ko) 회전커넥터
JP511752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5252085A (en) Clock spring connector
JP5041449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30447B2 (ja) 回転コネクタ
WO2012067257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14037210A (ja) 回転コネクタ
US5707023A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rotor and fixed member
JP2002247746A (ja) ケーブルリール
KR0155026B1 (ko) 클럭 스프링 커넥터
JP2021030905A (ja) 配索方法および配索構造
JP2014041795A (ja) 回転コネクタ
US5692915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between stationary and rotatable bodies
JP7078659B2 (ja) 本体側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H11209005A (ja) ケーブルリール
JPH0955275A (ja) 固定体と回転体との電気的接続装置
JP2710570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011018618A (ja) 回転コネクタ
JP7405646B2 (ja) 本体側ユニットおよ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配索構造
JPH054458Y2 (ko)
JPH09185982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671973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3188801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H10189197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H07193960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