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521B1 -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선택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521B1
KR100714521B1 KR1020000054262A KR20000054262A KR100714521B1 KR 100714521 B1 KR100714521 B1 KR 100714521B1 KR 1020000054262 A KR1020000054262 A KR 1020000054262A KR 20000054262 A KR20000054262 A KR 20000054262A KR 100714521 B1 KR100714521 B1 KR 10071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gital
signal
format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075A (ko
Inventor
우츠노미야히로시
코바야시사토시
카이부키후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환경을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비할 수 있는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정보 신호 제공로의 선택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디지털·버스를 통해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되어 오는 디지털·버스에 접속된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수신하며, 그 헤더부로부터 소스장치 정보와, 포멧정보를 IEEE1394 I/F 회로에 의해 추출하며, 그것을 콘트롤부로부터 OSD생성부로 공급하여 모니터 장치의 표시소자 화면에 표시한다.
정보 출력장치, 소스장치, 패킷, 이소크로너스, 포멧정보

Description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 선택방법{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 method for inform of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selecting the supply path of information signal}
도 1은 디지털·인터페이스와 아날로그·인터페이스(아날로그 입력단자)를 구비한 모니터 장치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a는 디코드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출력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적용한 모니터장치인 수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a는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에서 행해지는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b는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에서 행해지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신호의 한 실시형태가 적용된 모니터 장치에서 작성되는 콘텐츠 정보표(일람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콘텐츠 정보표의 작성처리와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콘텐츠 정보표의 제공처리를 설명하기위한 흐름도.
도 9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콘텐츠 정보표에 따른 정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의 공급경로 선택방법이 적용된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선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11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콘텐츠의 공급경로가 자동 선택되어 디지털 콘텐츠가 아날로그 신호로서 모니터 장치에 공급되어 영상 출력되는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안테나 12 : 튜너부
13 : 프론트 엔드부 14 : IEEE1394 I/F 회로
15 : 스위치 회로 16 : 멀티플렉서
17 : MPEG 디코더 18 : OSD생성회로
19 : 중첩회로 20 : 표시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IEEE1394 규격의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모니터장치 등의 정보 출력장치, 이 장치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등에게 통지하는 정보 통지방법 및 네트워크에서의 정보신호의 공급로의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방송 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통신 미디어를 통해, 또는, DVD(Digital Video Disk)등의 기록 매체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풍부하게 제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풍부하게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범위를 넓힘과 함께, 최종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환경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장치나 기록장치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같이, 각종의 디지털 기기에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고속으로 전송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열화시키지 않고 복제하거나, 재생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인터페이스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디지털 콘텐츠의 고속전송이 가능하며, 게다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가 주목되고 있다. 이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는,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 등 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의 경우,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출력원의 전자기기와 디지털 콘텐츠 출력선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출력원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출력선의 전자기기는, 디지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복제 제어정보에 따라서 복제제어가 가능한 기기인지 아닌지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 출력원의 전자기기는, 디지털 콘텐츠에 암호화를 시행하여 출력하지만, 출력선의 전자기기가 디지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복제 제어정보에 따라서 복제 제어가 불가능한 기기인 때에는 디지털 콘텐츠에 시행된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화 키 정보를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관하여 저작권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방송미디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이 행해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수신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모티터장치(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제공이 고려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은, 예를 들면,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MPEG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다중화하여 방송된다. 이 경우, 디지털 모니터장치에는, MPEG디코더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이 디지털 모니터 장치에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함으로써, MPEG인코드된 디지털 콘텐츠를 그대로 디지털 모니터장치로 공급하면, 그 디지털 콘텐츠를 디지털 모니터장치에서 디코드하여 재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지털 모니 터장치에도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모니터장치에 단순히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한 것만으로는 불합리함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디지털 모니터장치에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하면, 디지털 VTR이나 하드 디스크장치,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VTR을 일체화한 즉, 캠코더라고 칭하는 기기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VTR이나 캠코더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는, MPEG 인코드된 것이 아닌, DV(Digital Video)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DV신호로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DV방식은, 디지털 기기 메이커 등이 발기인이 되어 설립한 협의회[HD Digital Conference]가 정한 가정용 디지털 VTR규격이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 압축된 영상신호(DV신호)를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DV신호는, MPEG방식에 있어서의 I(인트라) 픽쳐(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성분만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VTR이나, 캠코더 등으로부터의 DV신호를 디지털 모니터장치에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어도, 디지털 모니터장치는, MPEG디코더 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급된 DV신호를 디코드하여 재생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듯이 MPEG 디코더 및 디지털·인터페이스가 설치됨과 함께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지털 모니터장치(1)에 디지털 VTR 등의 DV스트레이지(2),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의 MPEG-TS 스트레이지(3), DV캠코더(4)등이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도 1에 있어서, 실선 5, 6, 7은 디지털 신호 케이블이며, 점선 8, 9, 10은 아날로그 신호 케이블이다. 즉, 디지털 모니터장치(1)는, DV스트레이지(2), MPEG-TS스트레이지(3), DV 캠코더(4)의 각각과, 아날로그 접속됨과 함께 디지털 접속되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MPEG-TS스트레이지(3)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방송신호와 동일하게 MPEG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디지털 콘텐츠가 다중화 되어 형성된 MPEG-TS(TS는, 트랜스포트·스트림의 약칭)방식의 신호(이하, MPEG-TS 신호라고 칭함)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디지털 모니터장치(1)는, 자체에 DV스트레이지(2), MPEG-TS스트레이지(3), DV캠코더(4)의 각각에서 디코드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된 콘텐츠가 아날로그 신호 케이블(8, 9, 10)을 통해 공급된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하듯이, 종래대로 그 콘텐츠의 영상을 디지털 모니터장치(1)의 화면(G)에 표시함과 함께, 그 콘텐츠의 음성을 디지털 모니터장치(1)의 스피커(SP1, SP2)로부터 방음(放音)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모니터장치(1)는, MPEG-TS 스트레이지(3)로부터의 MPEG-TS신호가 디지털 신호 케이블을 통해 자체에 그대로 공급된 경우에도, MPEG디코더를 구비하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하듯이, 그 콘텐츠의 영상을 디지털 모니터장치(1)의 화면(G)에 표시함과 함께, 그 콘텐츠의 음성을 디지털 모니터장치(1)의 스피커(SP1, SP2)로부터 방음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모니터장치(1)는, DV 스트레이지(2), DV캠코더(4)로부터의 DV신호가 디지털 신호케이블을 통해 자체에 그대로 공급된 경우에는, DV디코더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예를들면, 도 2b에 도시하듯이 영상, 음성모두 뮤트(mute)되는 것에 의해 영상이나 음성이 노이즈로 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최종 사용자는, 왜,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는지를 즉석에서 알 수 없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듯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는, 모니터장치(1)가 접속된 네트워크의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어느 통로로 콘텐츠가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일도 불가능하다.
이와같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모니터장치(1)를 주체로하면, ① 디코드되어 재생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②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③ 아날로그 신호로서 공급되는 콘텐츠인 3가지의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②의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모니터장치(1)로 공급하도록 한 경우에는, 모니터 장치(1)나 그 밖의 기기의 고장과 잘못 등의 불합리가 발생된다. 또한, 동일 전자기기로부터 송출되는 콘텐츠라도,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와, 아날로그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서는 별개의 콘텐츠로서 취급되게 되며,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취급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환경을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하기 쉽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정보신호 공급로의 선택방법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는,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를 받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와,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의 출력원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소스 장치 정보와, 디지털 신호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수단과,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소스 장치 정보와, 포멧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다.
이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디지털·버스를 통해 주 디지털 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오는 소스 장치정보와, 포멧에 관한 정보가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이것들의 정보가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user)는, 공급된 주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버스에 접속된 어느 전자기기로부터 송출되며, 어떤 포멧인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정보 출력장치는,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관한 소스 장치 정보와,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테이블화 하는 테이블화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통지수단은, 테이블화 수단에 의해 테이블화된 정보를 통지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전자기기의 각각에 관하여 소스 장치번호, 포멧에 관한 정보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각 정보는, 테이블화 수단에 의해 관련되어져 테이블화 된다. 그리고, 이 테이블화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정보신호가 공급을 받고 있는 주 디지털 신호의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음과 함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복수의 전자기기와의 접속에 관하여서도 통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정보 출력장치는, 베이스 밴드 신호의 공급을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와, 해당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 입력단자의 각각에 접속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베이스 밴드신호의 출력원의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소스장치 정보와, 베이스 밴드신호가 부호화 된 상태로 있을때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테이블화된 정보로 부가하는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정보 출력장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신호의 소스 장치 번호와, 해당 베이스 밴드신호가 부호화 된 상태로 있을때의 포멧에 관한 정보가 테이블화 되어 있는 정보에 부가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공급을 받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관련하는 정보에 관해서도, 테이블화된 정보를 통해 일람표적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정보 출력장치는, 디지털 신호의 접속환경과, 베이스 밴드신호의 접속환경 양쪽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정보 출력장치는, 테이블화된 정보에 있어서, 현재 화상표시되어 있는 신호의 출력원 소스장치를 나타내는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테이블화된 정보에 있어서, 정보 출력장치가 공급을 받아 화상 표시하고 있는 신호의 출력원 소스장치가 식별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현재 화상표시되고 있는 신호의 출력원 전자기기와, 그렇지 않은 전자기기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정보 출력장치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중, 소정 포멧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는,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 가능인지 불가능인지를 판별하는 디코드 가부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통지수단은,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때에 통지를 행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디코드 가부수단에 의해 주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는, 디코드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으로 재생되지 않는 주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버스에 접속된 어느 전자기기로부터 어떠한 포멧의 신호인지를 알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는, 해당 정보 출력장치의 고장 등 틀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주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가능한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정보 신호의 전송경로를 변경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은,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포멧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가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포멧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디코드가 가능한 디지털 신호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실제로 디코드 하는 일 없이, 신속하게 자체에 공급된 디지털 신호는 디코드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통지수단은,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소스 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통지수단에 의해 표시소자에 표시함으로써 통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정보로서 확실하게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통지수단은,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통지수단에 의해 스피커로부터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음성정보로서 확실하게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통지수단은,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정보로서 또한,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서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소스장치 정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확실하게 정보 출력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 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통지수단은,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를 통지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에 의해,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에 관해서의 암호화의 유무가 검출되며, 이 암호화의 유무도 통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공급된 주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가 이루어진 것이며, 그 암호화가 해독되지 않기 때문에 주 디지털 신호가 정상으로 재생되지 않는 경우라도, 정상으로 재생되지 않는 것은, 암호화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출력장치의 고장 등 틀리는 일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정보 검출수단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의 암호화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며,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은,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하여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 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의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검출되며, 이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에 의해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 된 것인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 신호에 관하여 암호해독 등을 행하는 일 없이, 그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 된 것인지 아닌지를 확실에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테이블과 된 정보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가 임의로 액세스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테이블화된 정보는,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로부터도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출력장치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는, 자체 기기의 소스장치 ID나 포멧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화한 정보를 형성하는 일 없이, 정보 출력장치에서 테이블화되어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는,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로서, 베이스 밴드 신호의 공급을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와,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를 받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와, 해당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과, 해당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는 디코드 불능한 것이라고 판단된 때,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되도록 입력신호를 변환하는 입력신호 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공급된 주 디지털은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되지 않은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로부터의 신호 공급을 받도록, 입력신호의 변환수단에 의해 입력신호의 변환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되지 않은 포멧의 주 디지털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에 의해 디코드 되며, 디코드 후의 신호 공급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신호의 변환은,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는,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가능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여 베이스 밴드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불가능한 포멧의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가능한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지시수단에 의해 그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여 베이스 밴드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지시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목적하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출력장치의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이다.
본 정보 출력장치에 의하면,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가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 영상신호나 디지털 음성신호 등의 리얼 타이머성이 요구되는 디지털 정보 신호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디지털 정보신호의 저작권의 보호도 확실하면서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되지 않은 디지털 디코더가 공급된 경우에 그 디지털 디코더(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나 다른 외부기기로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가 디코드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디지털 데이터를 정상으로 재생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의 고장 및 틀리는 등의 불합리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버스에 의해 복수의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를 형성한 경우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정보표로서 일람표화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버스에 의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된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사용자나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에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목적하는 전자기기로의 최적인 공급경로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버스에 의해 복수의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를 형성한 경우, 자체에서 디코드 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가 공급된 때에 그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 가능한 전자기기를 경유하여 공급을 받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는 디코드 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라도 이것을 적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체를 통해 사용자에 있어서, 사용이 쉽고, 편리성이 높은 디지털·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의 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출력장치를 디지털 모니터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모니터 장치의 음성계의 설명에 관하여서는 생략한다.
(디지털 모니터장치에 관하여)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모니터장치(1)(이하, 간략하게 모니터 장치라고 칭함)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후술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수신기능을 구비함과 함께, 디지털·인터페이스로서,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듯이 DV스 트레이지(1), MPEG-TS스트레이지(3), DV캠코더(4)의 각각과, IEEE1394 규격의 디지털·버스(이하, 간략하게 디지털·버스라고 칭함)을 통해 접속됨과 함께, 아날로그 전송선에 의해서도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아울러서, 이하에서는 도 1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디지털 모니터장치의 구성 및 동작)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안테나(11), 튜너(12), 프론트엔드부(13),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회로(14)(이하, IEEE1394 I/F회로라고 칭함)와, 스위치회로(15), 디멀티플렉서(16), MPEG 디코더(17), OSD생성회로(18), 중첩회로(19), 표시회로(20) 3개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를 구비함과 함께,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의 각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30)을 구비한 것이다.
콘트롤부(30)는, 도 3에 도시하듯이, CPU 버스(24)를 통해 CPU(21), ROM(22), RAM(23)이 접속된 마이크로 컴퓨터 이며, ROM(2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RAM(23)을 워크영역(작업영역)으로서 이용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콘트롤부(30)에는 사용자(user)로부터의 조작입력을 받아들이는 키 조작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어느 타임으로 복호하여 표시하는 수신표시 모드와,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공급된 주 디지털 신호를 디코더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와,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를 통해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외부 입력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모드의 전환은 모니터장치(1)의 콘트롤부(30)에 접속된 키 조작부(25)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 선택 지시입력에 따라서 콘트롤부(30)가 각 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후술하듯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콘트롤부(30)는, 수신장치 모드시에, 튜너부(12)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프론트 엔드부(13)에서 복조하여 디멀티플렉서(16)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인출하여 MPEG디코더(17)에서 디코드 또는, IEEE1394 I/F회로(14)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부(30)는,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시에 있어서,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된 수신데이터 스트림을 디멀티 플렉서(16)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인출하여 MPEG디코더(17)에서 디코드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수신표시 모드와,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와, 아날로그 외부 입력모드의 각각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신표시 모드에 관하여)
우선,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수신 표시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수신표시 모드의 경우에는,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D1)가 튜너부(12)에 공급된다. 튜너부(12)는, 콘트롤부(30)로부터의 선국제어 신호에 따라 서 목적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국하며,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D2)를 프론트 엔드부(13)로 공급한다.
프론트 엔드부(13)는, 이것에 공급된 디지털 방송신호(D2)를 복조하며, 복조된 디지털 방송신호(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시행하여 수신 데이터 스트림(D3)을 형성한다. 본 수신 데이터 스트림(D3)은,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나 EPG(전자 프로그램표)를 형성하는 데이터 등이 다중화 된 것이다.
프론트 엔드부(13)에서 형성된 수신 데이터 스트림(D3)는, 스위치 회로(15)의 입력단(a)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15)는, 사용자에 의해 수신표시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D9)에 의해 변환된다.
따라서, 수신표시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15)는 입력단(a)에 공급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변환되며, 프론트 엔드부(13)로부터의 수신 데이터 스트림(D3)이, 스위치 회로(15)를 통해 디멀티 플렉서(16)로 공급된다.
디멀티 플렉서(16)는, 수신 데이터 스트림(D3)에 다중화 되어 있는 각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이나 EPG 등으로 나누어서 열거하여 변환하며, 콘트롤부(30)로부터의 선택 지시신호에 따라서 사용자 선호의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인출하며, 그 프로그램의 영상신호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D4)을 MPEG디코더(17)로 공급한다.
MPEG디코더(17)는, 이것에 공급된 비디오 스트림(D4)이 MPEG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것이기 때문에, 이 압축을 풀어 데이터 압축전의 원래 상태의 비디오 데이터(D5)를 복원하여 이것을 중첩회로(19)로 공급한다. 중첩회로(19)에는 OSD(On Screen Display)생성회로(18)에 의해 생성된 표시데이터(OSD 데이터)가 공급된다.
OSD 데이터는,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D10)에 따라서, 영상을 형성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중첩된다. 예를 들어, 채널 콜시에 표시되는 채널 번호나 음량 조절시에 음량레벨을 도시하는 음량바, 또는 각종의 메시지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첩회로(19)는 MPEG 디코더(17)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D5)에 OSD메시지를 중첩한 영상신호(D6)를 형성하며, 이것을 표시회로(20)에 공급한다.
표시회로(20)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신호(D6)로부터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신호를 형성하며, 이것을 표시소자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이 모니터장치(1)의 음극선관 등의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멀티 플렉서(16)는, 이것에 공급된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스트림(D7)으로서 IEEE1394 I/F회로(14)에 공급한다. 데이터 스트림(D7)을 IEEE1394 I/F회로(14)는, 디멀티 플렉서(16)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콘텐츠)(D7)을 후술하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디지털·버스(5)로 송출하며,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가 접속된 네트워크의 다른 전자기기에 대하여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네트워크에 접속된 예를 들어, MPEG-TS스트레이지(3)에 의해 이 모니터장치(1)에 의해 수신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D7)은, 전술하였듯이,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다중화 되어 있는 신호이며, 즉, MPEG-TS방식의 디지털 신호이다.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
이어서,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디지털·버스(5, 6, 7)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외부기기)와 접속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버스를 통해 접속된 전자기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의 공급을 받는 경우에는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는 키 조작부(25)를 통해서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 신호의 공급을 받을지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콘트롤부(30)는, IEEE1394 I/F회로(14)에 제어회로(D11)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기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채널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동시에 콘트롤부(30)는, 스위치 회로(15)에 제어신호(D9)를 공급하며, 입력단(b)에 공급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화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지털·버스는 전술하듯이 IEEE1394 버스이며, 에이신크로너스(asynchronous:비동기) 통신방식과, 이소크로너스(isochronous) 통신방식인 2개의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된다. 이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은, 디지털·버스에 접속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전송채널(이소크로너스·채널)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4a, 도 4b는, IEEE1394 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과,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며, 하나의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순서(서브액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이중에서, 도 4a는,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의 패킷 송신순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지정한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양한 양의 데이터를 보내며, 그 응답을 얻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하듯이,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하나의 서브액션은, 크게 나누면 Arb(Arbitration Sequence)와 Ack(Acknowledgment)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b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패킷의 송신순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다양한 양의 데이터를 간략화한 어드레스에 일정한 간격으로 송출한다. 이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송출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은 없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하듯이,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다양한 이소크로너스·채널(제 1채널, 제 2채날, 제 3채널...)을 가지며, 각 이소크로너스·채널에 있어서의 1나의 서브 액션은, Arb(Arbitration Sequence)와, 패킷(Data Paket Transmission)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하였듯이, IEEE1394 I/F회로(14)는,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D11)에 따라서,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되어 오는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목적하는 외부기기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이소크로너스·채널을 선택하며, 그 이소크로너스·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선택은,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드부의 정보에 기토하여 행할 수 있다. 도 5는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헤더부의 1행째의 채널이 이소크로너스·채널번호의 필드이며, 또한, 헤더부 3행째의 SID(소스장치 ID)가 그 이소크로너스·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송신원의 외부장치(소스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인 노드ID의 필드이다.
또한, 이소크로너스·패킷에 관해서는, 「IEEE1394-1995 : IEEE Standard for a High Performance Serial Bus」와 「IEC61883: Consumer audio/video equipment」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EEE1394 I/F회로(14)는, 콘트롤부(30)로부터 지시된 외부기기로부터의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인 SID에 의해 검출하여 이소크로너스·채널No(이소크로너스·채널번호)를 특정하며, 이후 그 이소크로너스·채널No로 특정되는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수신한다.
이와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외부기기로부터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그리고,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D8)은, 스위치 회로(15)의 입력단(b)에 공급된다.
또한, IEEE1394 I/F회로(14)는,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등을 제 어 데이터(D12)로서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콘트롤부(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IEEE1394 I/F회로(14)는, 콘트롤부(30)로부터 제어신호(D5)로서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 등을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디지털·버스(5)로 송출하며,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회로(15)는, 전술한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가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로 된 때에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D9)에 의해, 입력단(b)측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IEEE1394 I/F회로(14)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D8)이 스위치 회로(15)를 통해 디멀티플렉서(16)로 공급된다.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수신표시 모드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디멀티플렉서(15)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D8)에 다중화 되어 있는 각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이나 EPG 등으로 나누어 배열하며, 콘트롤부(30)로부터의 선택지시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인출하며, 그 프로그램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D4)를 MPEG 디코더(17)에 공급한다.
MPEG 디코더(17)는, 이것에 공급된 비디오 스트림(D4)을 MPEG방식으로 압축해제하여 데이터 압축전 원래상태의 비디오 데이터(D5)를 복원하며, 이것을 중첩회로(19)에 공급한다. 그리고, 중첩회로(19)에서 비디오 데이터(D5)에 OSD생성회로(18)로부터의 표시데이터(OSD 데이터)를 중첩한 영상신호(D6)를 형성하며, 이것을 표시회로(20)로 공급한다.
표시회로(20)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신호(D6)로부터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신호를 형성하며, 이것을 표시소자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 ·버스(5)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 스트림 으로부터 추출된 프로그램의 영상이 음극선관 등의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된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디멀티 플렉서(16), MPEG디코더(17)를 구비하며,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등의 MPEG-TS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에 관해서는 디코더하여 재생할 수 있지만, DV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의 디코드는 할 수 없다.
즉, 도 1에 도시하듯이 네트워크를 형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MPEG-TS스트레이지(3)로부터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MPEG-TS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에 관해서는, 디코드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DV스트레이지(2), DV캠코더(4)로부터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DV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에 관해서는 디코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DV스트레이지(2)나 DV캠코더(4)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아도 디코드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것도 표시되지 않고, 이들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DV스트레이지(2)나 DV캠코더(4) 혹은 모니터장치(1)의 고장이라고 잘못인식을 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는, 자체에서 디코드 되지않은 디지털 데이터가 공급된 경우에는, 그 디지털 데이터의 이소크로너스·채널No나 소스장치ID, 또한, 그 디지털 데이터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장치(1)가 구비하는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포멧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DV방식, MPEG방식, JPEG방식 등의 데이터 압축부호와 방식을 포함하는 각종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정해진 1 워드 해당의 비트수, 헤더 사이즈나 헤더의 항목, 패킷 사이츠 등의 전송형태를 도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포멧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방식이나 전송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디코드 되지 않는 경우에 그 원인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전술하였듯이, 포멧에 관한 정보는 모니터장치(1)에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에 시행되어 있는 압축 부호화 방식을 도시하는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부호화 방식을 도시하는 정보를 이하에서는 포멧 정보라고 칭한다.
즉, IEEE1394 버스의 경우, 도 5를 이용하여 전술하였듯이,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드부는, 이소크로너스·채널No(Channel)나 소스장치 ID(SID), 이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시행되어 있는 압축부호화 방식을 도시하는 포멧정보(FMT)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IEEE1394 I/F회로(14)는, 수신선택된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로부터 전송채널 번호(Channel), 소스장치ID(SID), 포멧정보(FMT)를 추출하며, 이것들을 콘트롤부(30)로 공급한다. 그리고, 콘트롤부(30)는, 공급된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의 포멧정보(FMT)에 기초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자체에서는 디코드 되지 않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인 경우,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V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인 경우에는, IEEE1394 I/F회로(14)로부터 공급된 전송 채널번호(Channel), 소스장치ID(SID), 포멧정보(FMT)를 OSD생성 부(18)로 공급한다.
OSD생성부(18)는,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전송 채널번호(Channel), 소스장치ID(SID), 포멧정보(FMT)로부터 이것들을 표시하기 위한 OSD정보를 형성하며, 이것을 중첩회로(19)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가 DV스트레이지(2)나 DV캠코더(4)로부터 디지털·버스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듯이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화면(G)에는 전송CH(이소크로너스·채널No(Channel)),소스장치ID(SID), 포멧정보(FMT)가 표시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DV일정(2)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경우에 모니터 장치(1) 표시소자의 표시화면(G)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디코드 되지않는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경우에도, 그것은, 어느 이소크로너스·채널을 통해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어떤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데이터인지를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외부기기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는, 모니터장치(1)에서는 디코드 되지않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인 것을 알수 있다.
또한, 모니터장치(1)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에는, 단순히 전송CH, 소스장치ID, 포멧 정보를 통지한 것만으로는, 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지를 즉석 에서 이해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소스장치 ID 1번의 DV스트레이지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는, DV형식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 모니터장치에 의해서는 디코드 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되지 않는다」 또는, 「DV스트레이지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는, 포멧이 다르기 때문에 이 모니터 장치에 의해 표시되지 않는다」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메시지는, 콘트롤부(30)의 ROM(22)에 준비하여 두며, 콘트롤부(30)에 있어서, IEEE1394 I/F회로(14)로부터의 FMT가 DV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ROM(22)으로부터 판독되어 OSD생성부(18)로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위해 음성계의 설명에 관하여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들면, 표시만이 아닌, 음성 메시지를 모니터장치(1)의 스피커(SP1, SP2)로부터 방음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스피커(SP1, SP2)의 앞단에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피커(SP1, SP2)에 공급하는 음성 메시지 생성회로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물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음성메시지를 방음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디코드 되지않는 디지털 데이터가 공급되며, 그 디지털 데이터에 의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이소크로너스·채널No 나 소스장치ID, 포멧정보를 표시하는 등으로 하여 통지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장치의 고장 등이라고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이소크로너스·채널No나 소스장치ID, 포멧정보를 표시하는 등으로하여 통지하는 것에 의해, 예를들면, 그 디지털 데이터의 디코드가 가능한 외부기기를 경유하여 그 외부기기에서 디코드 된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하는 등,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수동으로 바꾸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장치(1),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로부터 추출되는 포멧정보(FMT)에 기초하여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데이블은 자체에서 디코드 가능한 포멧의 디지털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하며, 그 디코드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는, 자체에서 디코드 가능한 포멧의 디지털 데이터 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는 자체에서 디코드 가능한 포멧의 디지털 데이터인지 아닌지의 판별은 각종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포멧정보(FMT)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신딘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 등으로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아날로그 외부입력 모드)
이어서, 아날로그 외부 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듯이, DV 스트레이지(2), MPEG-TS 스트레이지(3), DV 캠코더(4)의 각각과 아날로그 전송선(8, 9, 10)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전송선을 통해 접속된 전자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의 공급을 받도록 하는 경우에는,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는 키조작부(25)를 통해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의 공급을 받을런지를 선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V스트레이지(2), MPEG-TS스트레이지(3), DV캠코더(4)의 각각은, 모니터장치(1)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의 어느것과 접속된다.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중첩회로(19)에 공급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첩회로(19)는, 콘트롤부(3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중 어느 것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의 대상으로 할런지를 선택하며,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에 OSD생성회로로부터의 OSD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회로(20)에 공급된다.
표시회로(20)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신호(D6)로부터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신호를 형성하며, 이것을 표시소자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전송선을 통해 공급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이 음극선관 등의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수신표시모드, 디지털 외부입력모드, 아날로그 외부 입력모드의 3가지의 모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바와 같이 디지털 외부 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경우에는, 소스장치ID, 포멧 정보 등을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경우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아도 모니터 장치(1)의 사용자가 기기의 고장이라고 틀리 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정보의 통지는, 이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디코드 되지 않은 포멧의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은 경우에 행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시에 있어서는, 공급을 받은 디지털 데이터의 디코드가 가능한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 정보의 통지를 행하며, 소정 시간 통지한 후에 그 통지를 종료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입력을 받아들인 뒤에 그 통지를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중첩회로(19)는, 영상신호에 OSD정보를 중첩하는 회로로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MPEG디코더(17)로 부터의 영상신호와, 3가지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로부터의 각각의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4가지의 다른 영상신호로 이루어지는 한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복수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디코드 되지 않았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부분에 전술한 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한 화면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콘텐츠 정보표의 작성에 관하여)
그런데, 도 6를 이용하여 전술한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가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로 있을때로서, 디코드 되지않은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한 때에는, 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정보의 통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것은 기기의 고장이 아닌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하였듯이 예를 들면, 그 디지털 데이터의 디코드가 가능한 외부기기를 경유하여 그 외부기기에서 디코드된 데이터의 공급을 받도록 하는 등 데이터의 공급경로를 수동으로 바꾸는 등의 구체적인 방책을 강구하는 경우에, 어느 외부기기가 어떠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 할 수 있는지를 알수 없으면,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신속하게 바꾸는 등의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듯이, 복수의 외부기기가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예를 들면, DV스트레이지(2)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더빙하고자 할때에, 어느 외부기기에 의해 더빙이 가능한지를 알수 없는 것 등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에 공급되는 신호(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정보표로서 테이블화 하며, 이것을 유지하여 모니터장치(1)나 다른 외부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상 편의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모니터장치(1)에 공급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화 하는 것에 의해 일람표로 모은 콘텐츠 정보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전송 채널No는, 이소크로너스·채널No에 대응하여 송신원ID는, 소스장치ID(SID)에 대응하며, 또한, 포멧은 포멧정보(FMT)에 대응되고 있다. 이들 의 각 정보는, 어느것도 이소크로너스·패킷(도 5참조)의 헤더부로부터 검출되는 정보이다.
또한, 암호화의 유무에 관해서도, 이소크로너스·패킷(도 5참조)의 헤더부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이며, 도 5에 있어서, 헤더부의 EMI가 콘텐츠 암호화의 제어코드를 나타내며,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정보이다. 이 EMI에 의해 그 이소크로너스·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디지털 콘텐츠)는 암호화가 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서는, IEEE1394 I/F회로(14)에 의해, 이소크로너스·채널을 차례로 바꾸어 수신가능한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스캐닝한다. 그리고, 수신된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추출된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콘텐츠 정보표(일람표)를 작성한다.
또한, 모니터장치(1)의 콘트롤부(30)는, 모니터장치(1)가 어느 모드이며, 어디로부터 정보의 제공을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그래서, 모니터장치(1)에서 현재 화상표시에 이용되고 있는 콘텐츠는,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된 어떠한 신호인지를 도시하는 정보에는 도 7에서 액티브란에서 ○표가 도시되듯이 지시자를 부가하여 그 밖의 콘텐츠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는, 전술하듯이 3가지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의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에 아날로그 전송선이 접속된 것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또는 아날로그 전송선의 임피던스나 신호의 전압레벨 등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아날로그 입력단자에 어느 전자기기로부터 어떠한 신호가 공급되는지는, 전술한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공급을 받는 디지털 데이터의 경우와 같이 자동적으로는 검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를 통해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관한 정보에 관해서는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가 키 조작부(25)를 통해 모니터장치(1)에 입력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콘텐츠 정보표(일람표)를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표시화면(G)에 표시하며, 디지털 접속에 대응시켜 아날로그 접속을 행하도록 함과 함께, 표시된 콘텐츠 정보표의 아날로그 신호란에도 디지털 접속과 동일하도록 접속된 아날로그 접속의 정보를 예를 들면, 키 조작부(25)를 통해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듯이, 모니터장치(1), DV스트레이지(2), MPEG-TS스트레이지(3), DV캠코더(4)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7에서 디지털 채널란에 도시하듯이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자동적으로 검출되어 일람표에 기록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자동적으로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일람표를 보면서, 디지털 접속에 대응하도록 아날로그 접속을 행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DV 스트레이지(2)의 아날로그 출력을 모니터 장치(1)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에 접속하며, MPEG-TS스트레이지(3)의 아날로그 출력을 모니터장치(1)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2) 에 접속하며, 또한, DV캠코더(4)의 아날로그 출력을 모니터장치(1)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3)에 접속한다.
이와같이, 디지털 접속에 대응되도록 아날로그 접속을 행하면, 도 7에 도시하듯이 콘텐츠 정보표의 디지털 란의 정보를, 그대로 콘텐츠 정보표의 아날로그 란에 복사할 수 있다.이와같이 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성되는 모니터장치(1)에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장치(1)에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정보표에 기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콘텐츠 정보표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에 관한 정보중, 전송채널No는,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에 할당되어진 아날로그 전송로 번호이며, 송신원ID는, 디지털 접속된 각 외부기기에 할당된 소스장치ID(SID)이다. 또한, 포멧 및 암호화의 유무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송출되는 콘텐츠가 디지털 데이터 이었을때의 포멧정보(FMT) 및 암호화의 유무를 도시하는 정보(EMI)이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 접속과 아날로그 접속을 대응시켜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그 접속관계에 관해서도 도 7에 도시하는 콘텐츠 정보표로서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장치(1)의 입력단자(S1, S2, S3)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모니터장치(1)에 대하여 예를 들면, 입력단자(S1, S2, S3)에 접속된 아날로그 전송선을 통해 또는, 무선에 의해 또는 별도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아날로그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있도록 하면, 아날로그 신호에 관한 정보도 자동적으로 부가하여 도 7에 도시하는 콘텐츠 정보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IEEE1394 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듯이 모니터장치(1)에서 형성된 일람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요구 하는 외부기기에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네크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의 각각에는, 현재, 모니터장치(1)에는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어느 외부기기로부터의, 어떠한 데이터가 공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그 신호가 자체에서 처리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사용자는 콘덴츠 정보표를 통해 어느 외부기기로부터의 신호는, 어느 외부기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가능한지 등의 그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알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서 행해지는 콘텐츠 정보표의 작성처리 및 콘텐츠 정보표의 문의에 응답하는 처리에 관하여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의 콘트롤부(30)는, 자체에 전원이 투입되어 동작가능한 상태로 되면 도 8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모니터 장치(1)의 콘트롤부(30)는,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되는 이소크로너스·채널(전송 채널)을 스캐닝하기 위해 변수 n에 0을 셋트한다(스텝 S101). 그리고, 콘트롤부(30)는 IEEE1394 I/F회로(14)에 이소크로너스·채널 n을 설정하며, 이소크로너스·채널 n에 접속한다(스텝 S102).
여기에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설정은, CPU(21)로부터 CPU 버스(24)를 통 해 IEEE1394 I/F회로(14)에 대하여 행해진다. IEEE1394 I/F회로(14)는,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설정이 행해지면, IEEE1394 버스 위를 흐르고 있는 이소크로너스 데이터중에서 설정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며, 그 선택된 채널에 패킷화되어 있는 데이터(이소크로너스·패킷)를 추출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 IEEE1394 I/F회로(14)는, IEEE1394 버스위를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를 폴링하는 목적으로 수신하는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설정을 복수개 가지고 있다. 즉, IEEE1394 I/F회로(14)는 복수의 수신용 이소크로너스·채널 설정을 가지며, 그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설정을 차례로 바꾸는 것에 의해 설정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데이터가 IEEE1394 I/F회로(14)에서 선택되어 그 선택된 채널에 패킷화 되어 있는 데이터(이소크로너스·패킷)가 인출 된다.
그리고, IEEE1394 I/F회로(14)는, 도 5를 이용하여 전술한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로부터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EMI), 소스장치ID(SID), 포멧정보(FMT)를 추출하여 그것을 콘트롤부(30)로 공급한다(스텝 S103).
콘트롤부(3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RAM(23)에 콘텐츠 정보표를 형성한다. 콘트롤부(30)는, IEEE1394 I/F회로(14)로부터 EMI, SID, FMT 등의 정보 공급을 받으면, 이것들의 정보 및 이소크로너스·채널의 번호(전송 채널No)를 나타내는 변수 n을 기본으로, 전송 채널No, 송신원 ID, 포멧정보, 암호화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RAM(23)에 형성하는 콘텐츠 정보표에 기술한다(스텝 S104).
그리고, 콘트롤부(30)는, 이소크로너스·채널을 스캐닝하기 위한 변수 n을 1만큼 증가시켜(스텝 S105), 변수 n이 IEEE1394-1995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이소크 로너스·채널수의 최대치인 63을 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6).
스텝(S106)에 있어서, 변수 n이, 이소크로너스·채널수의 최대치를 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중첩회로(19)에서 중첩되어 현재 시청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모든 콘덴츠에 관하여 콘덴츠 정보표의 액티브 란을 유효로 한다(스텝 107). 어느 콘덴츠가 현재 중첩회로(19)에서 중첩되어 시청되고 있는지는,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서 콘트롤부(30)가 중첩회로(19)를 제어하는 것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콘트롤부(30)는, IEEE1394 버스 및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콘텐츠 정보표의 문의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08). 여기에서, 동일 네트워크 상의 외부기기로부터 콘텐츠 정보표의 문의가 있는지 없는지는, 외부기기로부터 이 모니터장치(1)에 대한 디지털·버스를 통한 에이신크로너스 통신에 의해 알 수 있다.
스텝(S1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문의가 있다고 판단한 때에는, RAM(23)에 작성된 콘텐츠 정보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IEEE1394 I/F회로(14) 및 디지털·버스를 통해 요구하는 외부기기로 송신하며(스텝 S109), 스텝 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1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문의가 없다고 판단된 때에도 스텝 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어느것을 제공할런지는, 요구원의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판별한다. 그리고, 콘텐츠 정보표의 일부 제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해당 외부기기에 관한 정보만을 요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밖의 기기에 관한 정보만을 요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요구원의 외부기기에는, 항상, 콘텐드 정보표의 전부를 제공하도록 하며, 요구원의 외부기기에 있어서 콘텐츠 정보표를 가공하여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IEEE1394 버스 위를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콘텐츠 정보를 이소크로너스·채널을 차례로 바뀌도록 하여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각 이소크로너스·채널로 취급되는 디지털·데이터를 모니터하며, 그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접속되어 있는 외부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서 공급되는 콘텐츠의 정보에 관해서도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의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동일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와 아날로그 콘텐츠의 양쪽에 관하여 망라된 콘텐츠 정보표를 모니터 장치(1)에서 작성, 유지, 모니터장치(1)를 통해 사용자나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서 작성되는 콘텐츠 정보표를,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이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에 대하여 모니터장치(1)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듯이, 콘텐츠 정보표에 기초하여 모니터장치(1)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그림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도 7 에 도시한 콘텐츠 정보표 전체의 표시나 도 9에 도시하는 콘텐츠 정보표의 그림 표시의 경우에 콘트롤부(30)로부터 표시정보를 OSD생성회로(18)에 공급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그림화면 표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9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하듯이 현재 사용중의 전송로를 식별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굵게 표시하거나, 또는 그 전송선의 색을 바꾸거나, 또는 그 전송선의 휘도를 다른 전송선과는 다르도록 하거나, 또는 그 전송선의 표시를 점멸시키는 등으로 하여 강조하는 것에 의해 어느 외부기기로부터의 신호가 모니터장치(1)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한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콘텐츠 정보표를 작성한 경우에도 도 6에 도시하듯이 디코드 불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선택되어진 경우에, 그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 장치(1)의 표시소자의 표시화면(G)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디코드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되는 영상신호에 중첩되며, 그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 표시화면(G)에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에 아날로그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장치ID와, 모니터장치(1)의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와의 관계가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면,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듯이 공급된 아날로그 콘텐츠에 따른 영상신호를 표시함과 함께, 그 영상에 그 아날로그 콘텐츠가 디지털 데이터인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DV스트레이지(2), MPEG-TS 스트레이지(3), DV 캠코더(4)중 어느것이 모니터장치(1)에 대하여 디지털 접속됨과 함께 아날로그 접속 되는 경우뿐만 아닌, 디지털 접속만 시키는 기기도 있다면, 아날로그 접속만 되는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와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는 어느것인지를 나타내는 지시자(도 7에 도시한 콘텐츠 정보표의 액티브 란의 ○표에 대응하는 것)가 콘텐츠 정보표에 부가되기 때문에, 전술한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송선을 강조하거나, 또는 콘텐츠 정보표의 지시자에 의해 모니터장치(1)는, 어느 기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지를 사용자나 외부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콘텐츠 정보표를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는, 현재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현재 화상표시에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의 공급원을 도시하는 소스장치ID나 포멧정보)를 반전표시시키거나 점멸 표시시키도록 하여 모니터 장치(1)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다른 외부기기로부터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구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듯이 모니터장치(1)에서 작성되는 콘텐츠 정보표를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더빙을 행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의 경우로서, DV캠코더(4)로부터 모니터장치(1)에 아날로그 전송선(10)을 통해 아날로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 그 아날로그 콘텐츠에 따라서 모니터장치(1)인 표시소자 표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을 본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의 복제를 작성하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은 경우, 예를 들면,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표시화면에 콘텐츠 정보표를 표시하여 참조하는 것으로서, 또는, 콘텐츠 정보표를 그림표시하는 것으로서, 현재 모니터장치(1)의 표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송신원이나 압축부호화 방식, 암호화의 유무를 알고, DV스트레이지(2)와 MPEG-TS 스트레이지(3)중에서, 적절한 암호해독을 행하는 것 등을 포함하여 어느것이 적정하게 복제를 행할 수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 1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DV 스트레이지(2)가, DV캠코더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하게 복제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DV스트레이지(2)로부터, DV캠 코더(4)에 대하여 디지털 더빙요구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DV 스트레이지(2)에 대하여 DV캠코더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아 기록하는 지시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DV스트레이지(2)로부터 DV캠코더(4)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제공요구가 송출된다.
이 DV스트레이지(2)로부터의 제공요구에 따라서, DV캠코더(4)로부터 DV스트레이지(2)에 디지털 데이터가 공급되어 DV스트레이지(2)에 의해 그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즉, 모니터장치(1)에 아날로그 신호로 DV캠코더(4)로부 터 공급되고 있는 동일 콘텐츠에 관하여 DV스트레이지(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선택에 관하여)
전술하였듯이,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자체에 공급되고 있는 콘텐츠의 전송채널, 소스장치ID, 포멧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자체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접속상태를 콘텐츠 정보 표시로서 일람 표시하거나 또는 그림표시하거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의 정보가 제공되어도, 모니터장치(1)나 이 모니터장치(1)가 접속된 외부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어떻게 조작하면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이하의 설명하는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둠으로써, 이 모니터장치(1)가 디코드되지 않은 디지털 콘텐츠(디지털 디코더)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그 디지털 콘텐츠의 영상을 영상 출력할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공급경로가 선택되어 그 모니터장치(1)가 디코드되지 않는 디지털 콘텐츠에 따른 영상을 영상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디지털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기능의 설정은, 키 조작부(25)를 통해 콘트롤부(30)의 RAM(23)등으로 행해지게된다. 이 때문에, RAM(23)은 불휘발성 의 메모리이며, 모니터장치(1)의 전원이 끊어진 뒤에도 설정 정보는 유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물론, 각종의 설정정보 유지용인 불휘발성 메모리를 설치하며, 그 메모리에 설정정보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어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로 된다. 전술하였듯이, 콘트롤부(30)는, RAM(23)에 유지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기능의 설정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하였듯이,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IEEE1394 I/F회로(14)는, 콘트롤부(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지시에 따른 외부기기에 할당되어진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추출하며, 그 이소크로너스·패킷의 헤더부로부터 이소크로너스·채널No(Channel)CH과, 포멧정보(FMT)를 추출하여, 이것을 콘트롤부(30)로 공급한다(스텝 S201).
콘트롤부(30)는, IEEE1394 I/F회로(14)로부터의 포멧정보를 참조하여 수신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정보는, 모니터장치(1)에서 디코드 가능한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것인지 아닌지(디코드 가능한 포멧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2).
스텝 S20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수신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정보는, 모니터장치(1)에서 디코드 가능한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것이라고 판단 된때에는, 전술한 디지털 외부입력 모드시의 처리에 따라서, 디코드된 디지털 콘텐츠를 모니터장치(1)의 화면에 표시하며(스텝 S212), 이 도 11, 도 12의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20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수신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정보는, 모니터장치(1)에서 디코드 불가능한 압축 부호화가 시행된 것이라고 판단된 때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하여 수신된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정보는, 디코드 불가능한 것을 통지하며, 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할 것인지, 디코드 가능한 장치를 찾을 것인지의 확인 입력을 구하며,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입력에 따라서 디코드 가능한 장치를 찾을 것인지 아닐지를 판단한다(스텝 S203).
즉, 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11, 도 12의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3의 판단처리에서 디코드 가능한 장치를 찾는다고 판단된 때에는, 콘트롤부(30)는, 변수 m에 "0"을 셋트하며(스텝 S204), 노드 IDm의 장치에 대하여 IEEE1394 I/F회로(14), 디지털·버스를 통해 스텝 S201에서 추출된 포멧 정보가 나타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의 디코드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에이신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문의한다(스텝 S205).
콘트롤부(30)는, 스텝 S205의 문의에 따른 응답을 디지털·버스,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하며, 노드 IDm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목적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6).
스텝 S206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문의선의 외부기기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그 문의선의 외부기기가 목적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없다고 판단된 때에는, 콘트롤부(30)는, 변수 m을 1개 증가시키며(스텝 S207), 그 변수m 가 노드 ID의 최대치를 넘었는지 아니지를 판단한다(스텝 S208).
스텝 S2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변수m이 노드ID의 최대치를 넘었다고 판단된 때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스텝 S211의 처리로 진행하며, 모니터 장치(1)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는 목적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외부기기는 접속되어 있지않은 뜻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화면에 표시하며(스텝 S211), 이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변수m가 노드ID의 최대치를 넘지 않았다고 판단된 때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스텝 S205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스텝 S206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문의처의 외부기기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그 문의처의 외부기기가 목적하는 압축 부호화의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된때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스텝 S209의 처리로 진행하며, 콘트롤부(30)는, 노드 IDm에 대응하는 외부장치에 스텝 S201에서 취득한 CH(이소크로너스·채널No)가 도시되는 이소크로너스·채널의 이소크로너스·패킷을 수신하여 디코드하며, 아날로그 출력하기 위해 IEEE1394 I/F회로(14), 디지털·버스를 통해 명령한다(스텝 S209).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하였듯이 디지털 접속과 아날로그 접속과는 대응하여 행해지고 있으며, 도 7을 이용하여 전술한 콘텐츠 정보표를 사전에 작성하여 둠으로써, 디코드 가능한 외부장치의 노드ID(노드 IDm)에 의해 콘트롤부(30)는, 목적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아날로그 출력하는 외부기기가 모니터장치(1)의 어느 아날로그 입력단자에 접속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래서, 콘트롤부(30)는, 중첩회로(19)를 제어하여 목적하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아날로그 출력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들여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스텝 S210), 이 도 11, 도 12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장치(1)에 디코드 되지않는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가 디지털·버스(5) 및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공급된 경우에도 디코드 가능한 외부기기를 경유하여 디코드 후의 아날로그신호의 공급을 받도록 함으로써 도 13a에 도시하듯이 목적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공급을 받아서, 그 영상을 모니터장치(1)의 표시소자의 화면(G)에 자동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미리 콘텐츠 정보표를 작성하여 둠으로써, 도 13b에 도시하듯이 그 아날로그 신호로서 공급을 받은 콘텐츠의 영상에 중첩되어 그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데이터의 상태에 있을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는, 원래 어느 외부기기로부터 송출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예의 경우에는, DV스트레이지(2)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콘텐츠를 DV캠코더(4)로 공급하며, 이것을 DV캠코더(4)에서 디코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것을 모니터장치(1)로 공급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DV신호를 디코드 되지않은 모니터장치(1)에서도, DV스트레이지로 부터의 디지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장치(1)의 사용자는, 번잡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목적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영상을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니터장치(1)나, 모니터장치(1)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임의의 외부기기로부터 송출하도록 한 디지털 콘텐츠를 확실하게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0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는, 이소크로너스·패킷으로부터 추출한 포멧정보(FMT)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하였듯이, IEEE1394 I/F회로(14)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그 디코드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는,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 압축 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는,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 압축부호화가 시행된 디지털 데이터인지 아닌지의 판별은, 각종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는, IEEE1394 I/F회로(14)의 다른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IEEE1394 I/F회로(14)의 다른 것에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꼭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입력단자로 바꾸어서 압축해제된 상태의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디지털 입력단자를 설치하여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한 경우에는, 공급된 베이스 밴드신호는, 이미 압축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해제 즉, 디코드되는 일 없이 공급된 베이스 밴드신호를 D/A 변환하는 것에 의해, 정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아날로그 입력단자(S1, S2, S3)로 바꾸어서 압축해제된 상태의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디지털 입력단자를 설치하여, 모니터장치(1)가 접속된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으며, 이것을 D/A변환한 후에 중첩회로(19)로 공급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데이터는, 압축부호화도 포함하며, 어떠한 부호화가 시행된 것을 그대로 모니터장치(1)로 공급하는 것이 아닌, 디코드하여 D/A변환 하면 사용가능한 상태로 되어 공급하는 경우와 또한, 전술하였듯이 D/A변환시키지 않고 그대로 이용가능한 아날로그 신호의 상태로서 공급하는 경우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에 있어서, MPEG디코더(17)로부터의 MPEG디코드 된 디지털 데이터는, 중첩회로(19)에서 D/A변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공급경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였지만,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니터장치(1)가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더빙을 행하는 경우에,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압출된 상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그대로 복제가능한 외부기기 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된 외부기기에 대하여,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디지털 콘텐츠의 공급을 받아, 복제를 행하도록 지시함과 함께, 목적하는 외부기기에 대해서는, 해당 검출된 외부기기에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목적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압축된 상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그대로 복제가능한 외부기기에 의해 정상으로 복제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되는 정보는, 전송CH, 소스장치ID, 포멧정보 만이 아닌,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콘텐츠인지,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콘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나,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의 공급경로나 원래의 콘텐츠 상태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더빙이 가능한 외부기기를 특정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의 모니터장치(1)는, 도 6에 도시하듯이, 디코드 되지않은 디지털 콘텐츠가 공급된 때에 그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정보인 전송CH(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콘텐츠 정보표를 작성하여 그 일부 혹은 전부를 표시하거나, 요구에 따라서 외부기기로 공급하는 기능과,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기능과의 전부가 탑재된 것이다.
그러나, 디코드 되지않은 디지털 콘텐츠가 공급된 때, 그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정보인 전송CH(이소크로너스·채널No), 소스장치ID, 포멧정보를 표시하는 기 능만을 탑재한 모니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콘텐츠 정보표를 작성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거나, 요구에 따라서 외부기기로 공급하는 기능만을 탑재한 모니터 장치나, 콘텐츠의 공급경로의 자동 선택기능만을 탑재한 모니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3가지의 기능중, 임의의 2가지의 성능을 탑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암호화의 유무는, 이소크로너스·패킷의 EMI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니터장치(1)에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 등을 검출하여 암호화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등, 공급된 데이터의 상태로부터 암호화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 등이라고 불리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장치나 디지털 VTR,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디지털·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그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의 공급을 받아, 그 공급을 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드 하는 등으로 하여 출력하는 각종의 정보 출력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취급되는 디지털 데이터도 전술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만이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데이터 등 여러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1)는, IEEE1394 I/F회로(14)규격의 디지털·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디지털·인터페이스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주 디지털 데이터 이외에 그 주 디지털 데이터(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우어진 각종의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V방식과, MPEG-TS방식의 2종류의 압축부호화 방식의 신호를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하였지만, DV방식, MPEG방식, JPEG방식 등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또는 1 워드 해당 비트수, 패킷전송인지 아닌지, 패킷 전송일때에는, 패킷사이즈나 패킷의 헤더사이즈, 헤더의 항목 등의 전송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디코드되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경우에는 MPEG-TS신호 형식만이 아닌, 예를 들면, 미국에 있어서는, DSS방식이라고 칭하는 신호 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방송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DSS방식중에서도, SD(표준)방식과, HD(고정도)방식이 있다. 그리고, DSS방식에서도 SD방식이라면 디코드 가능하지만, HD방식의 경우에는, 디코드 되지 않는 수신기 등도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이와같이 디지털 방송에 의해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호화 방식이나 전송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방송신호가 자체에서는 디코드 되지않는 것일 때, 그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방송채널이나, 포멧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추출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예를 들어, 미리 각 방송채널 마다, 그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미리 디지털 방송신호의 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준비하여 두어 표시하는 것 등으로 하여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40)

  1.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이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 출력원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소스 장치정보와, 상기 디지털 신호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수단과,
    상기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스 장치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과,
    상기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각각에 관한 상기 소스 장치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테이블화하는 테이블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테이블화 수단에 의해 테이블화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 입력단자의 각각에 접속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밴드신호의 출력원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소스 장치정보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가 부호화 된 상태로 있을때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를 부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에서, 현재 화상표시되어 있는 신호의 출력원 소스장치를 나타내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중, 소정의 포멧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때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은, 상기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放音)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 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검출수단은,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의 암호화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 유무 검출수단은, 상기 정보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가 임의로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와 함께, 영상의 표시 상태에 관한 각종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소스 장치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소정시간 통지한 후, 통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8.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이는 디지털·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과,
    상기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신호가 자체기기에서는, 디코드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별된 때,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 입력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력신호를 전환하는 입력신호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가부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기기에서 디코드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가능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 하며, 베이스 밴드 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장치.
  21.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에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정보 통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는, 상기 디지털의 출력원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소스장치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신호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전송 가능하며,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관하여, 그 전자기기의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그 전자기기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에 관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테이블화하며,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2. 삭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베이스 밴드 신호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 입력단자의 각각에 접속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의 출력원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소스 장치 정보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가 부호화된 상태로 있을 때 포멧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로 부가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정보에 관해서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에서, 현재 화상표시되어 있는 신호의 출력원 소스장치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자체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며, 자체기기에서 디코드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때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가 자체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지 아닌지의 판별은,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통지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8. 제 21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표시소자를 통해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방음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는, 암호화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며,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암호화의 유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중, 상기 디지털 신호의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암호화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암호화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화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가 임의로 액세스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와 함께 영상의 표시 상태에 관한 각종 메시지를 검출하며,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와 함께 영상의 표시 상태에 관한 각종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 정보와 상기 포멧에 관한 정보를 소정시간 통지한 후, 통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방법.
  38. 디지털·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출력장치에 공급되는 정보신호의 공급경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선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장치는, 베이스 밴드신호의 공급을 받어들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디코드 가능한 부호화가 이루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며,
    상기 디지털신호가 자체기기에서는 디코드 불가능한 부호화가 시행되어 있다고 판단된 때,
    상기 베이스 밴드신호 입력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력신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신호 공급경로 선택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가 자체기기에서 디코드 불가능한 부호화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의 디코드가 가능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 하며, 베이스 밴드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신호 공급경로 선택방법.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버스는, IEEE1394 규격의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신호 공급경로 선택방법.
KR1020000054262A 1999-09-16 2000-09-15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선택방법 KR100714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61447? 1999-09-16
JP26144799A JP4168304B2 (ja) 1999-09-16 1999-09-16 情報出力装置、情報報知方法および情報信号供給経路選択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075A KR20010070075A (ko) 2001-07-25
KR100714521B1 true KR100714521B1 (ko) 2007-05-07

Family

ID=1736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262A KR100714521B1 (ko) 1999-09-16 2000-09-15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선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6738101B1 (ko)
JP (1) JP4168304B2 (ko)
KR (1) KR100714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304B2 (ja) * 1999-09-16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報知方法および情報信号供給経路選択方法
JP2002171449A (ja) * 2000-11-30 2002-06-1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223755A3 (en) * 2001-01-12 2004-08-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playback system and display unit
JP2003099020A (ja) * 2001-09-19 2003-04-04 Tietech Co Ltd 圧縮静止画像の表示方式
KR100474456B1 (ko) * 2002-11-12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방지를 위한 영상데이터의 암호화 전송장치 및 방법
JP4078645B2 (ja) * 2003-01-21 2008-04-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357029A (ja) * 2003-05-29 2004-12-16 Toshiba Corp 信号選択装置及び信号選択方法
KR100541451B1 (ko) * 2003-08-20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65058B1 (ko) * 2003-08-2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적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dvd 플레이어 및그 동작 방법
KR100558198B1 (ko) * 2003-09-1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73657A1 (en) * 2004-04-01 2005-12-08 Hiroshi Ichiki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60041920A1 (en) * 2004-08-19 200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parent addition of features to network devices
KR100603293B1 (ko) 2004-10-20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JP2006157339A (ja) * 2004-11-29 2006-06-15 Funai Electric Co Ltd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コントローラ機器
CN1989563B (zh) 2005-02-01 2011-06-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程序和再现方法
US7844355B2 (en) * 2005-02-18 2010-11-30 Panasonic Corporation Stream reproduction device and stream supply device
TWI308308B (en) * 2005-08-12 2009-04-01 Au Optronics Corp Driving circuits and driving modules, display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KR20070112596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소스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2008054300A (ja) * 2006-07-28 2008-03-06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8033138A (ja) * 2006-07-31 2008-02-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5265139B2 (ja) * 2007-06-13 2013-08-1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体内画像取得システム
KR20090011474A (ko) * 2007-07-26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된 디지털 인터페이스 인식방법
KR20110023441A (ko) * 2009-08-31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지원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케이블 연결 상태 표시 방법
US9706158B2 (en) * 2010-04-01 2017-07-11 Saturn Licensing Llc Receiver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usage of advanced television services
JP2011259205A (ja) * 2010-06-09 2011-12-22 Sony Corp 画像復号化装置と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0263642A (ja) * 2010-07-01 2010-11-18 Panasonic Corp 通信システム
JP5782524B2 (ja) * 2011-10-26 2015-09-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信号の送受信方法、表示装置、及びデコード装置
CN102932489B (zh) * 2012-10-28 2015-01-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多通道arinc429总线接口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154A (ko) * 1998-01-28 1999-08-25 이데이 노부유끼 전자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1492A1 (de) 1981-11-21 1983-07-07 Gorenje Körting Electronic GmbH & Co, 8217 Grassau Audio-video-heimanlage
JPS60160491A (ja) 1984-01-31 1985-08-22 Toshiba Corp Icカードとicカード発行装置
US4652874A (en) 1984-12-24 1987-03-24 Motorola, Inc.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 local network controller
US4723120A (en) 1986-01-14 1988-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multipoint communication networks utilizing point-to point hardware and interfaces
US4903016A (en) 1987-07-07 1990-02-20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control unit
US5007051A (en) 1987-09-30 1991-04-09 Hewlett-Packard Company Link layer protocol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JP2751270B2 (ja) 1988-11-29 1998-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vtcシステム
US5400246A (en) 1989-05-09 1995-03-21 Ansan Industries, Ltd. Peripheral data acquisition, monitor, and adaptive control system via personal computer
DE69023214T2 (de) * 1989-12-28 1996-04-11 Canon Kk Medienverband-Endgerät.
US5539390A (en) 1990-07-19 1996-07-23 Sony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addresses for series-connectd apparatuses
EP0725490B1 (en) 1990-07-19 1999-02-03 Sony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497468A (ja) 1990-08-16 1992-03-30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US5850573A (en) 1990-08-16 1998-12-1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in host computer connectable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FR2671884A1 (fr) 1991-01-17 1992-07-24 Moulinex Sa Procede d'attribution d'adresses dans un reseau domotique.
JP3128141B2 (ja) 1991-03-19 2001-0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JP3063253B2 (ja) 1991-07-06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またはビデオ機器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875108A (en) 1991-12-23 1999-02-23 Hoffberg; Steven M.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CA2091851A1 (en) 1992-03-25 1993-09-26 Michael J. Sherman Link layered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JP3144049B2 (ja) 1992-04-24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Av機器の編集制御方法
US5404544A (en) 1992-06-05 1995-04-04 Advanced Micro Devices System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signal to/from sleeping node identifying its existence to a network and awakening the sleeping node responding to received instruction
GB2268816B (en) 1992-07-14 1996-01-17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Controlling equipment
US5475835A (en) 1993-03-02 1995-12-12 Research Design & Marketing Inc. Audio-visual inventory and play-back control system
EP0626635B1 (en) 1993-05-24 2003-03-05 Sun Microsystems, Inc.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ethod for interfacing to remote devices
CN1113302C (zh) 1993-07-30 2003-07-02 佳能株式会社 通过通信线路控制设备的控制器和方法
JPH07134628A (ja) 1993-11-10 1995-05-23 Hitachi Ltd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0134299B1 (ko) * 1994-07-11 1998-04-29 김광호 가변장디코딩장치의 동기 복원방법 및 장치
JPH0845255A (ja) 1994-08-03 1996-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1996007971A1 (en) 1994-09-09 1996-03-14 Medialink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n interface
US5657221A (en) 1994-09-16 1997-08-12 Medialink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on-computer system devices by manipulat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JP3617105B2 (ja) 1995-02-16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JP3617115B2 (ja) 1995-03-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5687334A (en) 1995-05-08 1997-11-11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input and output devices of a computer
US6047103A (en) * 1995-10-09 2000-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tter, data transmitting method, data receiver,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661175B2 (ja) 1995-11-28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接続状態表示方法
US5787259A (en) 1996-03-29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terconnects of a PC with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US5793366A (en) 1996-11-12 1998-08-11 Sony Corporatio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EP0860823A4 (en) 1996-07-15 2001-05-02 Toshiba Kk DEVICE WITH DIGITAL INTERFACE, NETWORK SYSTEM WITH THIS DEVICE AND COPY PROTECTION PROCEDURE
US5847771A (en) 1996-08-14 1998-12-0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providing multiple digital pictures
JPH10145753A (ja) 1996-11-15 1998-05-29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6011579A (en) * 1996-12-10 2000-01-04 Motorola,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audio and video conferencing and telephony, with network interactivity
US5963450A (en) 1996-12-20 1999-10-05 Square D Company Operator interface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s having dissimilar data structures
JP3382118B2 (ja) * 1996-12-26 2003-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機器、情報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JP3640493B2 (ja) 1997-02-25 2005-04-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257098A (ja) * 1997-03-07 1998-09-25 Sony Corp 通信経路制御装置及び通信経路制御方法、並びに通信経路制御ユニット
JP4367971B2 (ja) * 1997-06-05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H118626A (ja) 1997-06-16 1999-01-12 Fujitsu Ltd 通信モードの識別方式
JP4014263B2 (ja) * 1997-10-01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変換装置及び映像信号変換方法
JP3402581B2 (ja) * 1998-11-30 2003-05-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ータ復元装置
JP4168304B2 (ja) * 1999-09-16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報知方法および情報信号供給経路選択方法
JP2001242786A (ja) * 1999-12-20 2001-09-07 Fuji Photo Film Co Ltd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記録媒体
US6968122B2 (en) * 2000-04-17 2005-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er and transmit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154A (ko) * 1998-01-28 1999-08-25 이데이 노부유끼 전자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2508B2 (en) 2008-05-13
US20040221069A1 (en) 2004-11-04
US6738101B1 (en) 2004-05-18
KR20010070075A (ko) 2001-07-25
JP2001086143A (ja) 2001-03-30
US8526494B2 (en) 2013-09-03
US20080187041A1 (en) 2008-08-07
JP4168304B2 (ja)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521B1 (ko) 정보 출력장치, 정보 통지방법 및 정보 신호 공급경로선택방법
JP4865355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1144779A (ja)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出力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接続関係特定方法
JP3966159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0187158A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
JPH11177957A (ja)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方法、並びに受信装置
JPH09214845A (ja) コピープロテクトシステム
JP3334866B2 (ja) 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選択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JP2007215208A (ja) 映像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364161B2 (ja) 受信装置、番組記録制御装置、番組記録制御方法および番組記録システム
WO1998052354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reproduction de signaux numeriques
JP4013937B2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コントローラ機器
JP2000217069A (ja) 番組受信装置及び番組説明画面の表示処理方法
JP3935300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816725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案内方法
KR20000057102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전자 기기, 및 데이터 송수신프로그램 공급 매체
JP2006157339A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コントローラ機器
JP4737200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電子機器
JP3534710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0232627A (ja) デコーダ装置
JP3788953B2 (ja) コピープロテクト装置
JP2004328383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被制御機器、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02793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523165A (ja) 複数の伝送ストリームパスを持つデジタル無線信号を受信するための装置
JP200610913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