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198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198B1
KR100558198B1 KR1020030064423A KR20030064423A KR100558198B1 KR 100558198 B1 KR100558198 B1 KR 100558198B1 KR 1020030064423 A KR1020030064423 A KR 1020030064423A KR 20030064423 A KR20030064423 A KR 20030064423A KR 100558198 B1 KR100558198 B1 KR 10055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input
unit
pip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325A (ko
Inventor
송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198B1/ko
Priority to CNB2004100562132A priority patent/CN100403399C/zh
Priority to US10/929,676 priority patent/US20050060660A1/en
Publication of KR2005002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을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OSD컨트롤러와; 상기 A/V 인풋 OSD 생성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 확인부와;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입력 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단자가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PIP실행부와;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PIP실행부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PIP실행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확인부로부터 상기 A/V 인풋 OSD 생성신호를 전달받은 때,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A/V기기의 연결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A/V 인풋 OSD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OSD컨트롤러를 조종하고,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를 조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외부 입력 선택시 선택하려고 하는 외부 입력의 화면이 PIP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A/V 인풋 OSD와 사용자가 선택한 외부 입력 화면 PIP가 나타난 모습
도 3은 도 1의 블록도에서 PIP실행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5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A/V 인풋 OSD만 나타난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외부입력단자부 13 : 외부입력인식부
14 : 외부입력확인부 15 : 외부입력선택부
17 : PIP실행선택부 19 : 제어부
21 : OSD컨트롤러 23 : PIP실행부
25 : 멀티플렉서 27 : 메인인풋캡쳐라인버퍼
29 : 서브인풋캡처라인버퍼 31 : 픽셀드롭부
33 : SRAM 35 : PIP오버레이부
41 : 디스플레이부 43 : A/V 인풋 OSD
45 : PIP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외부 입력 선택시 선택하려고 하는 외부 입력의 화면이 PIP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다양한 외부 입력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는 A/V 인풋 OSD를 통해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V 인풋 OSD에는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에 대한 텍스트 정보만 제시되고 각 단자가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는 영상의 내용에 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A/V 인풋 OSD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 입력의 종류를 체크한 다음, 각각의 외부 입력 화면을 화면전환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가 지원하는 외부입력의 종류가 많을수록 상기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은 가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 입력 선택시 선택하려고 하는 외부 입력의 화면이 PIP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을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OSD컨트롤러와; 상기 A/V 인풋 OSD 생성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 확인부와;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입력 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단자가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PIP실행부와;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PIP실행부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PIP실행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확인부로부터 상기 A/V 인풋 OSD 생성신호를 전달받은 때,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A/V기기의 연결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A/V 인풋 OSD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OSD컨트롤러를 조종하고,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를 조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PIP실행선택부에서 상기 PIP실행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상기 PIP실행부를 조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을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의 생성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A/V 인풋 OSD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A/V 인풋 OSD에 표시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되는 PIP 기능을 설정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PIP 기능이 온인 경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PIP 기능이 오프인 경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11)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11)에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 연결되었는지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13)와, 입력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와, 외부입력 선택부(15)와, PIP실행 선택부(17)와, 제어부(19)와, OSD컨트롤러(21)와, 외부입력 확인부(14)와, PIP실행부(23)를 포함한다.
상기 OSD컨트롤러(21)는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11)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43)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입력 확인부(14)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 생성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PIP실행부(23)는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에 의해 선택된 단자가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낸다.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13)는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11)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외부 A/V기기를 인식한다.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13)는 신호판별칩을 포함하여 외부 A/V기기 연결잭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라인수를 읽어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외부입력 확인부(14)로부터 상기 A/V 인풋 OSD(43) 생성신호를 전달받은 때,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13)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A/V기기 의 연결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A/V 인풋 OSD(4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상기 OSD컨트롤러(21)를 조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A/V인풋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23)를 조종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A/V기기의 연결상태 뿐만 아니라,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의 외부입력 선택을 돕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PIP실행 선택부(17)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PIP실행부(23)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PIP실행 선택부(17)에서 상기 PIP실행부(23)가 동작하지 않도록 선택한 때,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도 상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이 PIP(45)로 나타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상기 PIP실행부(23)를 조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PIP실행 선택부(17)를 통해 상기 PIP실행부(23)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 뒤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컴포넌트 잭이 삽입된 컴포넌트 단자를 선택한 경우, 상기 컴포넌트 단자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되는 영상은 PIP(45)로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11)에 컴포넌트 단자가 마련되어 상기 컴 포넌트 단자에 삽입된 잭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된 수평주사선 신호 1080i가 상기 신호 판별칩의 레지스터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13)는 컴포넌트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과 같이, 사용자가 키입력등을 통해 A/V 인풋 OSD(43)생성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OSD 생성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OSD컨트롤러(21)를 조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컴포넌트단자가 연결상태임을 알리는 A/V 인풋 OSD(43)가 나타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외부입력 단자들 중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컴포넌트 단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는 컴포넌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45)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PIP실행부(23)는 스케일러 또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를 통해 메인 인풋이 PC이고 서브 인풋이 비디오인 PIP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PIP실행부(23)는 멀티플렉서(25)와 메인인풋 캡쳐 라인 버퍼와, 서브 인풋 캡쳐 라인 버퍼와, 픽셀 드롭부(31) 와, SRAM(33)과, PIP 오버레이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플렉서(25)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메인 인풋과 서브 인풋을 구분하여 각각 메인인풋 캡쳐 라인버퍼(27)와 서브인풋 캡쳐 라인버퍼(29)로 보낸다.
상기 메인인풋 캡쳐 라인버퍼(27)는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PIP 오버레이부(35)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인풋 캡쳐 라인버퍼(29)는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픽셀 드롭부(31) 에 전달하고 상기 픽셀 드롭부(31) 는 서브 인풋이 작은 이미지가 되도록 픽셀수를 떨어뜨린다. 그리고 서브 인풋은 메인 인풋과 동기등을 맞추기 위해 SRAM(33)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인풋과 상기 메인 인풋은 PLL을 이용해 동기를 맞추어 상기 PIP 오버레이부(35)로 전달되어 최종신호로 합쳐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1)를 통해 PIP로 나타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키버튼등의 외부입력 확인부(14)를 통해,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11)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43)의 생성신호를 발생시킨다(S11).
이 때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13)로부터 전달받은 A/V기기 연결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A/V 인풋 OSD(4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상기 OSD컨트롤러(21)를 조종한다(S13).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S15),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45)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23)를 조종한다(S19).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컴포넌트단자가 연결상태임을 알리는 A/V 인풋 OSD(43)가 나타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외부입력 단자들 중 상기 컴포넌트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9)는 컴포넌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45)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23)를 조종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는 컴포넌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45)로 나타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PIP실행 선택부(17)를 통해 상기 PIP실행부(23)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 경우(S17), 상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15)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43)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45)로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상기 PIP실행부(23)를 조종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는 외부입력 화면이 PIP(45)로 나타나지 않는다(S2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입력 선택시 선택하려고 하는 외부 입력의 화면이 PIP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을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OSD컨트롤러와;
    상기 A/V 인풋 OSD 생성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 확인부와;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입력 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단자가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PIP실행부와;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PIP실행부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PIP실행선택부와;
    상기 외부입력 확인부로부터 상기 A/V 인풋 OSD 생성신호를 전달받은 때, 상기 외부입력 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A/V기기의 연결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A/V 인풋 OSD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OSD컨트롤러를 조종하고,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상기 PIP실행부를 조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PIP실행선택부에서 상기 PIP실행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 선택부를 통해 상기 A/V 인풋 OSD에 나타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때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PIP로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상기 PIP실행부를 조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A/V기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외부입력 단자부와,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삽입된 외부 A/V기기 연결잭을 인식하는 외부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 단자부에 마련된 각 단자들의 외부 A/V기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A/V 인풋 OSD의 생성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A/V 인풋 OSD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A/V 인풋 OSD에 표시된 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되는 PIP 기능을 설정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PIP 기능이 온인 경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IP 기능이 오프인 경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외부 A/V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PIP로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64423A 2003-09-17 2003-09-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423A KR100558198B1 (ko) 2003-09-17 2003-09-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B2004100562132A CN100403399C (zh) 2003-09-17 2004-08-05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0/929,676 US20050060660A1 (en) 2003-09-17 2004-08-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423A KR100558198B1 (ko) 2003-09-17 2003-09-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25A KR20050028325A (ko) 2005-03-23
KR100558198B1 true KR100558198B1 (ko) 2006-03-10

Family

ID=3427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423A KR100558198B1 (ko) 2003-09-17 2003-09-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60660A1 (ko)
KR (1) KR100558198B1 (ko)
CN (1) CN1004033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14B1 (ko) * 2005-06-0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로부터의 신호 입력 알림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KR100699265B1 (ko) * 2005-07-2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43284B1 (ko) * 2005-09-07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영상기기를 이용한 듀얼 튜너 영상 처리 장치
KR100816942B1 (ko) * 2005-10-21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신호 선택방법 및 장치
KR101342369B1 (ko) 2007-01-26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신호 싱크 및 그의동작 방법
KR101380848B1 (ko) * 2007-03-12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4424371B2 (ja) * 2007-05-15 2010-03-03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127861B (zh) * 2007-09-26 2011-08-31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彩电外接端子的标示方法
TW200931970A (en) * 2008-01-15 2009-07-16 Tenx Technology Inc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817189B2 (en) *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JP5739852B2 (ja) * 2012-09-28 2015-06-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システム
CN108628640B (zh) * 2018-04-25 2022-03-0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设备中的端子插接引导方法、装置和显示设备
US11016788B2 (en) * 2018-11-28 2021-05-25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Application launch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7238492B2 (ja) * 2019-03-11 2023-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CN111405345B (zh) * 2020-03-19 2022-03-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显示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944A (ja) * 1992-01-14 1993-07-30 Sony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
US5565929A (en) * 1992-10-13 1996-10-15 Sony Corporation Audio-visual control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of appliances and controlling functions of appliances
KR950008122B1 (ko) * 1992-12-17 1995-07-25 주식회사금성사 티브이의 입력화면 탐색방법
US6239794B1 (en) *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JP3520572B2 (ja) * 1994-08-02 2004-04-1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機器選択方法
KR100197838B1 (ko) * 1995-09-14 1999-06-15 윤종용 정보텔레비젼의 신호 선택회로
KR100211056B1 (ko) * 1995-12-23 1999-07-15 이계철 다수개의 비디오에 대한 윈도우 제어방법
KR100233644B1 (ko) * 1996-12-02 1999-12-01 윤종용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부 입력신호 선택방법
KR100237303B1 (ko) * 1997-04-29 2000-01-15 윤종용 복합 영상기기의 주변 시스템 연결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H11338448A (ja) * 1998-04-27 199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オンスクリ―ンディスプレイ画面の出力方法および出力装置
JP4168304B2 (ja) * 1999-09-16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報知方法および情報信号供給経路選択方法
US6753928B1 (en) * 1999-11-17 2004-06-2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during programming of a television apparatus
KR20020068134A (ko) * 2001-02-20 2002-08-27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pip 표시방법
US7797718B2 (en) * 2001-05-03 2010-09-1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KR100744184B1 (ko) * 2001-05-09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03241310A1 (en) * 2002-04-24 2003-11-10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ying connections for devices on a data bu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0660A1 (en) 2005-03-17
KR20050028325A (ko) 2005-03-23
CN1598921A (zh) 2005-03-23
CN100403399C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1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97991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US20070139551A1 (en) Video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set format of video signal
US591746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data channel in a monitor and a method thereof
JP3883904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73623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of graphic image
KR100331832B1 (ko) 외부입력 연결인식장치 및 입력선택방법
JP2006174499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7248589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7256611A (ja) 画像表示装置
JP4935263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90036760A (ko) 디스플레이 해상도 자동 복구 장치 및 방법
JP336057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71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21555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1117693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0163709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별 선택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04496B1 (ko) 티브이의 입력선택 메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865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76822B1 (ko) 동시화면 기능을 가진 영상처리장치
KR20000036293A (ko)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1537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620861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200176654Y1 (ko)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