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46B1 -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46B1
KR100689046B1 KR1020000026731A KR20000026731A KR100689046B1 KR 100689046 B1 KR100689046 B1 KR 100689046B1 KR 1020000026731 A KR1020000026731 A KR 1020000026731A KR 20000026731 A KR20000026731 A KR 20000026731A KR 100689046 B1 KR100689046 B1 KR 10068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ume
playback
data file
recording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084A (ko
Inventor
이지치스스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매체내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중지 지시가 내려질 때에, 중지 지시가 내려진 기록매체의 위치가 기록되므로 재생이 리줌재생 동안에 기록된 위치로부터 개시된다. 또한 데이터파일이 기록매체내에 기록되는 경우에, 소정의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기록위치가 저장되므로 재생 동안에 소정의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접속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외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외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외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상면 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형의 일예를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디렉토리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메모리의 파일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 1재생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지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줌-오프(resume-off)시 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생이 중지된 후 리줌-온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생이 중지된 후 리줌-트랙-온 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오프시에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온시에 리줌재생조 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줌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오프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온모드에서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트랙-온모드에서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오프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온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기록이 중지된 후 리줌-트랙-온 모드에서의 리줌재생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판형메모리 20,20A,20B. 드라이브장치
21. 표시부 22. 착탈기구
23. 헤드폰 출력단자 24. 라인출력단자
25. 마이크 입력단자 26. 라인 입력단자
27. 디지털 입력단자 30. 조작부
31. 재생키 32. 중지키
33. REW키 34. FF키
35. 일시 중지키 36. 기록키
37. 리줌키 41. CPU
42. 메모리인터페이스 43. USB인터페이스
44. 실시간 클럭 45. 표시드라이브
48. 플래시메모리 49. DSP
50. SAM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파일과 데이터파일을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대한 재생방법의 재개(resumption)를 이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복수의 데이터파일과 데이터파일을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된 후 재생되는 데이터파일과 데이터파일의 재생 개시위치를 이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고체저장장치를 탑재한 소형 기록매체를 형성하고, 전용구동장치 또는 구동장치가 오디오/비디오장치, 정보장치 등에 내장되어, 컴퓨터데이터, 정지화상데이터, 동화상데이터, 악곡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 악곡데이터를 기록하는 미디어로서, CDs(compact discs), MDs(Mini Disks)(상표) 등과 같은 미디어가 보급되고 있고, CD플레이어 및 MD레코더/플레이어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예를 들어, CD 또는 MD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1트랙에 악곡 한 곡을 형성함으로써 악곡데이터가 기록되고, 또한 TOC(Table of contents)로 불리는 관리정보가 그 매체에 기록되고, 따라서 트랙을 소정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다. 즉, 트랙번호가 각 트랙에 할당되고 TOC에 있어서 트랙번호마다 기록위치의 어드레스가 관리된다. 재생장치에 있어서, TOC를 참조함으로써, 각 트랙이 트랙번호의 순서대로 재생된다.
즉, 이용자가 재생조작을 실행하는 경우, 트랙은 선두 트랙번호로부터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즉, 재생 개시위치는 선두 위치로 그것은 트랙번호가 1인 선두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등의 재생동안에, 이용자가 악곡 중간에 일시적으로 재생을 중지하고 이후에 그 중지된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의 CD플레이어나 MD플레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리줌 기능"이라 불리는 것으로 재생조작이 실행될 때 미리 중지되는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는 기능이 부가된다.
이 리줌 기능은 이용자를 위해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재생조작에 대해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성을 더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특정한 악곡 중간에 재생이 중지된 후 재생이 중지된 위치로부터가 아닌 그 악곡 선두위치로부터 악곡을 재생하는 요구가 또한 있다. 또한, 기록 실행된 후, 악곡이 기록되는 트랙으로부터 또는 악곡의 선두로부터 재생되도록 하는 요구가 있다. 물론, 이것에 부가하여, 재생중에 재생 또는 기록 직전에 재생 또는 기록(또는 음향기록)조작에 관련된 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하기를 바라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종래 리줌기능에 의해 실현될 수 없는 원하는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재생조작이 종료된 후에 트랙번호를 선택 또는 FF(Fast Forward) 또는 REW(Rewinding)를 실행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을 리줌(resume) 할 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이 재생중에 데이터파일의 중지 지시되는 경우에 중지가 지시된 기록매체의 위치를 기록함으로써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이 중지되는 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시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 소정의 기록데이터파일의 기록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소정의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된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이 관리정보에 따라 관리되는 저장매체의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 위치로부터 재생을 리줌하는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장치는 저장매체내에 저장된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 수단과, 재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이용자가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리줌모드에 대응하며, 기록매체상에 있는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조작수단에 의해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선택되고 설정되는 리줌모드,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리줌 개시위치정보와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기록매체내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되고 데이터파일이 기록매체내에 기록된 후에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및 재생장치는 기록 및 재생장치내에 상기 저장매체내에 데이터파일을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기록이 종료된 후에 재생 개시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 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이용자가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조작수단과,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관리정보의 최소한 한 부분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수단과, 데이터파일이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내에 기록되며 기록된 데이터파일에 대한 관리정보의 한 부분이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리줌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되고, 리줌재생이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리줌모드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실행되도록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르면, 관리정보에 따라 한 개 이상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되고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는 위치에 관한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의 저장된 내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을 각각 개시하는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선택된 리줌모드,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와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데이터파일을 독출하여 재생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정보와 함께 저장 될 수 있는 기록매체내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파일이 상기 기록매체내에 기록된 후에 상기 관리정보의 한 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의 내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방법은, 기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다수의 리줌모드들로부터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기록매체내에 입력 데이터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의 최소한 한 부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리줌재생이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와 상기 다수의 리줌모드들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실행되도록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한 개의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관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혀질 때 다음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좀 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판형의 외부형태를 가지는 판형메모리는 기록매체의 일예로서 사용되고,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구동장치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일예로서 사용된다.
설명은 아래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 시단계 접속예
2. 판형메모리
3. 구동장치의 구성
4. 판평메모리의 파일구조
5. 각종 리줌모드 상태에서의 재생조작
6. 리줌 설정처리
7. 재생처리
8. 기록처리
9. 변형예
1. 시스템 접속예
도 1은 본 예의 구동장치(20)에 대한 각종 장치의 접속예를 나타낸다.
판형메모리(1)를 구동장치(20)에 장착한 결과로서, 구동장치(20)는 판형메모리(1)에 데이터를 기록 및 판형메모리(1)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곡데이터가 기록된 판형메모리(1)가 장착되는 경우에, 헤드폰(12)을 접속함으로써 프로그램인 그 악곡을 재생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외부재생장치로서 CD플레이어를 케이블(13)을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CD플레이어(10)로부터 재생 오디오신호를 얻고 그것을 판형메모리(1)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케이블(14)를 통해서 퍼스널컴퓨터(11)와 같은 정보장치와 접속함으로써, 퍼스널컴퓨터(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판형메모리(1)에 기록될 수 있고, 판형메모리(1)로부터 재생된 데이터가 퍼스널컴 퓨터(11)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판형메모리(1)에 마이크로폰과 접속을 통해서 픽업된 오디오를 또한 기록하거나 MD레코더와 같은 기록장치를 접속함으로써 기록장치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공급하고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방식으로, 각종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구동장치(20)는 휴대하는데 가장 적합한 상태로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거나 가정이나 직장에 배치된 장치와 접속함으로써 시스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예의 구동장치(20)는 표시부를 가짐으로써 구동장치(20)의 단일장치에 의해 판형메모리(1)에 기록된 문서데이터, 화상데이터 등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구동장치(20)(이후에 기술되는)의 구성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내장된 마이크로폰 및 내장된 스피커가 설치되면, 구동장치(20)의 단일장치는 악곡, 오디오의 재생 또는 기록을 실행하고 판형메모리(1)로부터의 화상을 이동할 수 있다.
2. 판형메모리
도 2a, 도 2b, 도 2c 및 2d를 참조해서, 본 예에 사용된 기록매체인 판형메모리(1)의 외형을 이후에 설명한다.
판형메모리(1)는 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및 2d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형 하우징내에 소정의 기억용량을 가지는 메모리장치를 갖는다. 본 예에서, 이 메모리장치로서 플래시메모리가 사용된다.
도 2a의 평면도, 도 2b의 정면도, 도 2c의 측면도, 도 2d의 저면도로서 나타낸 하우징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몰드로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크기, 폭(W11, W12 및 W13)의 구체적인 예로서 W11=60mm, W12=20mm 및 W13=2.8mm이다.
예를 들어 10개의 전극을 가지는 단자부(2)는 하우징의 정면 하부로부터 그 저면 측부에 형성된다. 내부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독출조작 또는 내부메모리 장치에 기입조작은 이 단자부(2)로부터 실행된다. 하우징의 평평한 면을 따르는 하우징의 좌측 상부는 절결부(cutout section)(3)이다. 이 절결부(3)는 예를 들어 판형메모리(1)가 구동장치의 메인장치측의 착탈기구에 장착될 때 실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라벨 부착면(4)은 이용자가 기록내용을 써서 나타내는 라벨을 붙일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부면으로부터 그 저부측에 형성된다. 또한, 기록내용의 우발적인 삭제를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5)는 그 저부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판형메모리(1)에 있어서, 플래시메모리 용량은 4MB(메가바이트), 8MB(메가바이트), 16MB, 32MB, 64MB 및 128MB 중 하나로 지정된다. 또한, 데이터기록/재생용 파일시스템으로서 소위 FAT(File allocation Table)시스템이라 불리는 것이 사용된다.
기록속도는 1500Kbytes/sec ∼ 330Kbytes/sec이며, 독출속도는 2.45megabytes/sec이고, 기록단위는 512bytes 그리고 삭제 블록크기는 8KB 또는 16KB이다. 또한, 전원전압(Vcc)은 2.7 ∼ 3.6V 그리고 시리얼클럭은 최대 20MHz이다.
3. 구동장치의 구성
도 3a, 3b, 3c 및 3d 그리고 도 4를 참조해서, 본 예의 구동장치(20)의 구성을 이후에 설명한다. 도 3a, 3b, 3c 및 3d는 구동장치(20)의 외형 예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상면도, 좌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판형메모리(1)는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장치의 상면측에 형성된 착탈기구(22)에 장착된다.
이 구동장치(20)에서, 예를 들면 액정패널을 가지는 표시부(21)가 그 평평한 면에 형성됨으로써 재생된 화상 및 문자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 및 악곡과 관련된 정보 및 조작 등을 위한 안내 메세지가 표시부(21)에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각종 장치와 접속하기 위해서, 각종 단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폰단자(23)와 라인출력단자(24)는 상부측에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폰단자(23)에 접속되는 헤드폰(12)으로서, 재생오디오신호는 헤드폰(12)에 공급되고 이용자는 재생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케이블을 통해서 외부장치를 라인출력단자(24)와 접속함으로써, 재생오디오신호는 외부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증폭기와의 접속결과로서, 스피커 시스템으로 통해서 판형메모리(1)로부터 재생된 악곡/오디오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미니디스크 레코더 또는 테이프 레코더와의 접속결과로서, 판형메모리(1)로부터 재생된 악곡/오디오를 다른 매체에 재녹음(dub) 및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 라인출력단자(26), 디지털입력단자(27) 등은 구동장치(20)의 측면에 형성된다.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에 마이크로폰의 접속결과로서, 구동장치(20)는 마이크로폰으로 픽업(pick up)된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에 그것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CD플레이어(10)와 같은 외부장치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인입력단자(26)에 접속함으로써, 외부장치로부터 공급된 오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고 그것을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입력단자(27)는 광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CD플레이어가 디지털-출력-겸용 장치이면, 광케이블을 통해서 CD플레이어와 접속하는 것으로서 소위 "디지털 디버깅"이라 불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3d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면 구동장치(20)의 하부측에는 각종 통신 및 데이터전송이 USB겸용장치 예를 들면 USB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퍼스널컴퓨터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가능하게 되도록 USB커넥터(28)가 형성된다.
이들 단자의 종류 및 수는 단지 일예일 뿐이며 다른 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광-케이블-겸용 디지털 출력단자가 설치되거나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커넥터, 시리얼포트, RS232c커넥터, IEEE 1394커넥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구조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술하지 않는다. 헤드폰단자(23) 및 라인출력단자(24)는 하나의 단자로서 공용될 수 있고, 더욱이 디지털 출력단자가 그것과 공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 라인입력단자(26) 및 디지털 입력단자(27)가 하나의 단자로 공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동장치(20)에 있어서, 이용자가 사용한 조작자 예를 들면 재생키(31), 중지키(32), REW(및 AMS)키(33)(재감기/개시점 찾기), FF(및 AMS)키(34)(빨리 감기/개시점 찾기), 일시중지키(35), 레코드키(35) 등이 설치된다. 이들 조작키는 기록 재생조작 특히 오디오/악곡데이터 및 이동화상데이터로 적합한 것으로서 물론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면, 이들 이외에, 커서 이동키, 숫자키, 조작다이얼 등과 같은 조작자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에, 리줌키(37)(이후에 기술되는)는 리줌모드에 관련하는 조작으로 제공된다. 이 리줌키(37)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이후에 설명한다.
전원-온 키 및 전원-오프키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재생키(31)가 전원-온 키로서 사용되고 이후에 중지키(32)의 조작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스위치 오프되면, 전원-온 키는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전원-온 키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키의 다양한 수 및 종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도 3a에 나타낸 조작키 만이, 조작의 리줌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키의 수를 감축하고 키 수의 감축으로 인한 장치의 저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는 구동장치(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판형메모리(1)에 기입 및 판형메모리(1)로부터의 독출의 대상으로서 각종 메인데이터는 이 구동장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이동화상데이터, 정지화상데이터, 음성데이터, CDs 및 MDs의 고음질 오디오데이터(악곡데이 터), 제어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CPU(41)는 구동장치(20)용 중앙제어부이며 (이후에 기술되는)각 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실행한다. CPU(41)내에는, 예를 들면 동작프로그램과 각종 정수가 저장되는 ROM(41a)과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41b)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술된 각종 조작자(31 ∼ 37)에 대응하는 조작부(30)와 CPU(41)는 조작부(30)로부터의 조작 입력정보에 따른 동작프로그램으로 한정된 제어조작을 실행한다. 또한, 플래시메모리(48)가 설치되고, CPU(41)는 플래시메모리(48)에 악곡기록모드, 재생볼륨 및 표시모드 등의 각종 동작에 관계하는 시스템 설정정보를 기억한다,
본 예의 리줌재생조작은 이전의 재생 또는 기록조작에 관련한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조작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전의 재생 또는 기록조작에 관련한 위치판별정보로서, 트랙번호와 어드레스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위치판별정보(이하에서는 "리줌(resume) 데이터"라고 칭한다)는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된다.
실시간 클럭(44)은 일반적으로 "시계부"라 불리우는 것이며, 날짜 및 시간의 트랙을 유지한다. CPU(41)는 실시간 클럭(44)의 날짜 및 시간으로부터 현재의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한다.
USB인터페이스(43)는 USB커넥터(28)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의 통신인터페이스이다. CPU(41)는 예를 들면 USB인터페이스(43)를 통하여 도 1의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데이터, 컴퓨터데이터, 화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등이 송신 및 수신된다.
전원부에는 레귤레이터(46)와 DC/DC컨버터(47)가 포함된다. 전원이 공급되면, CPU(41)는 레귤레이터(46)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레귤레이터(46)는 그 지시에 따라서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개시한다.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은 DC/DC컨버터(47)에 의해 소정의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각 블록에 조작전원전압(Vcc)으로서 공급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AC어댑터 단자를 설치하여도 좋다.
착탈기구(22)에 장착되는 판형메모리(1)의 결과로서, CPU(41)가 메모리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판형메모리(1)를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 편집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표시드라이버(45)를 제어함으로써, CPU(41)는 디스플레이부(21)가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메뉴와 안내표시 또는 판형메모리(1)에 저장된 파일내용의 표시 등을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의 화상데이터가 판형메모리(1)에 기록되어 있을 경우, 이것을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도록 이러한 화상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본 예에서는 오디오신호(악곡신호, 음성신호)의 입출력의 목적으로, 디지털 입력단자(27),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 라인입력단자(26), 헤드폰단자(23), 라인출력단자(24)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 단자에 대한 오디오신호 처리시스템으로서는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 encryption/decryption processing section)(50), DSP(Digital Signal Processor)(49),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이하, AD/DA변환부라고 칭한다)(54), 전원증폭기(56), 마이크로폰 증폭기(53), 광입력모듈(51), 디지털 입력부(52)가 설치되어 있다.
SAM(50)은 CPU(41)와 DSP(49)사이의 데이터의 암호화 및 암호해독화를 실행하며, 암호화키를 CPU(41)와 교환한다. CPU(4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DSP(49)는 오디오 데이터 압축/압축해제처리와 반향처리, 톤제어, 등화(equalizing) 및 서라운드처리 등의 다양한 음향효과처리를 실행한다. 디지털 입력부(52)는 광입력 모듈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데이터의 입력 인터페이스처리를 실행한다. AD/DA변환부(54)는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AD변환 및 DA변환을 실행한다.
이들 블록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오디오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도록 한다.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서 광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입력단자(27)에 공급되는 신호는 광입력 모듈(27)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변환되어 입력되며, 디지털 입력부(52)에서는 송신포맷에 따른 수신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수신되어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는 DSP(49)에 의해 압축되고,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에서 기록데이터로 형성된다.
마이크로폰을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에 접속할 경우에, 그 입력 오디오신호는 마이크로폰 증폭기(53)에 의해 증폭되고, AD/DA변환부(54)에 의해 AD변환된 후에,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서 DSP(49)에 공급된다. 그리고, DSP(49)에서 압축처리를 행한 후, 그 데이터는 CPU(41)에 공급되며,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에서 기록데이터로 형성된다. 또한, 라인입력단자(26)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의 입 력 오디오신호는 AD/DA변환부(54)에 의해 AD변환되며,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서 DSP(49)에 공급된다. 그리고, DSP(49)에서 압축처리를 행한 후, 그 데이터는 CPU(41)에 공급되며,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에서 기록데이터로 형성된다.
한편,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로부터 독출된 오디오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할 경우, CPU(41)는 DSP(49)가 오디오데이터의 압축해제처리 및 각종 음향효과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런한 처리를 행한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는 AD/DA변환부(54)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어 전원증폭기(56)에 공급된다. 전원증폭기(56)에서는 그 신호에 대하여 헤드폰에 대한 증폭처리와 라인출력에 대한 증폭처리를 실행하며, 그 처리결과의 신호가 각각 헤드폰단자(23)와 라인출력단자(24)에 공급된다.
또한, 드라이브장치(20)에서는 판형메모리(1)로부터 독출되고, 디지털 입력단자(27), 헤드폰단자(23) 또는 라인입력단자(26)로부터 입력되어 압축처리되는 오디오데이터(압축데이터)에 대하여 SAM(50)에 의해 암호화처리가 실행되며, 그 데이터는 USB인터페이스(43)를 통한 USB커넥터(28)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더욱이, USB커넥터(28)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된 오디오데이터에 대하여, SAM(50)에 의해 일반적으로 소위 "암호해제화(decryption)"라 불리우는 디코딩처리가 실행된 후, 그 오디오데이터는 판형메모리(1)에 기록되거나 또는 DSP(49)에 의해 압축해제처리가 실행될 수 있으며, 그 오디오데이터를 헤드폰단자(23)와 라인출력단자(24)로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드라이브장치(20)의 구성은 단지 일예일 뿐이며, 단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판형메모리(1)에서 데이터를 기입 및 독출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하는 한 어떠한 유형의 기록 및 재생장치라도 좋다. 본 발명은 재생기능만을 갖는 재생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4. 판형메모리의 파일구조
이하에서는 판형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디렉토리구조의 일예를 도 5에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형메모리(1)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메인데이터의 예는 악곡데이터, 제어데이터 등과 같은 동화상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 음성데이터, 고음질 오디오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디렉토리구조에는 루트(root) 디렉토리로부터 VOICE(음성 디렉토리), DCIM(정지화상 디렉토리), MOxxxxnn(동화상 디렉토리), AVCTL(제어 디렉토리), HIFI(악곡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본 예에서는 악곡데이터용의 파일을 일예로서 사용하며, 재생되는 악곡의 리스트(이후에 설명되는)를 설명하기 때문에, 그 디렉토리(HIFI)의 서브디렉토리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렉토리(HIFI)의 서브디렉토리로서는 트랙리스트(TRKLIST), 오디오 데이터파일(A2D0001, A2D0002, …, A2DOOOn) 등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디렉토리명(폴더명, 파일명)(A2D0001 등)과 파일의 종류는 설명을 위하여 설정된다.
"트랙리스트(TRKLIST)"는 오디오 데이터파일 등에 대한 관리정보이며, 소위 일반적으로 CD나 MD의 TOC(Table of Contants)라 불리우는 것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이하에서는 이 트랙리스트를 "TOC"라고 칭한다. 특히, 판형메모리(1)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파일로서 트랙의 파트(parts), 명칭, 어드레스 포인터 등을 설명한다. 따라서, 이러한 TOC를 참조하여 드라이브장치(2)에 대하여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파일, 각 악곡의 명칭, 재생시의 액세스위치 등과 같은 트랙번호를 알 수 있게 된다. 오디오 데이터파일은 TOC의 트랙번호인 프로그램번호를 할당하는 상태로 관리되며, 이러한 트랙번호는 통상의 재생시에 재생되는 악곡의 순서에 대응한다.
오디오 데이터파일로서 트랙은 1개 프로그램으로서의 파일이며, 이들 각 트랙은 TOC의 트랙번호(TRK1, TRK2, …)의 순서로 관리된다. 이러한 예의 시스템에서, 트랙으로서 기록되는 오디오데이터는 DSP(49)에 의해 ATRAC2(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상표)방식의 압축을 실행하는 데이터이다.
상기의 TOC와 트랙을 기록하는 디렉토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 시스템에서는 트랙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디렉토리구조는 단지 일예일 뿐이며, 예를 들면 폴더를 서브디렉토리 이하의 레벨에 폴더를 더 형성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트랙과 결합되어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과 같은 부가정보파일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도 6은 판형메모리(1)에 기록된 파일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의 예에서, 판형메모리(1)에는 디렉토리구조의 루트에, 5개의 트랙 즉 5곡의 악곡을 각각 트랙(TRK1∼TRK5)에 기록한다. 이들 트랙(TRK1∼TRK5)은 개략 적으로 각각 TOC의 포인터(PTK1∼PTK5)에 의해 지정되도록 나타낸다. 즉, 트랙(TRK1∼TRK5)은 TOC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로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OC가 포인터뿐만 아니라 곡명과 각 트랙에 관한 다른 정보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기록상태에서, 재생시에 드라이브장치(20)는 TOC에 의해 관리되는 악곡의 순서대로, 즉 트랙번호의 순서대로 각 트랙을 재생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트랙번호를 특별하게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 트랙(TRK1)을 먼저 재생하고, 그 재생후에 트랙(TRK2)을 재생한다. 따라서, 그 순서로 재생이 실행되며, 트랙(TRK5)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재생조작을 종료시킨다.
5. 각종 리줌모드상태의 재생조작
도 7a, 7b, 7c 및 도 8a, 8b, 8c를 참조하여 본 예의 리줌재생조작의 예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재생을 리줌하기 위해서, 종래 일부의 CD플레이어, MD레코더 등은 이전의 재생조작을 중지한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기 위한 기능을 설치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리줌재생 등에 부가하여, 각종 리줌재생을 실현하고 있다. 즉, 리줌모드를 유효(온)한 상태로서 복수의 모드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전 조작이 기록조작일 경우에도, 리줌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예의 설명의 경우에는 리줌모드로서 3개의 상태, 즉 리줌-오프상태, 제 1 리줌 유효상태, 제 2리줌 유효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 1리줌 유효상태를 "리줌- 온"이라 칭하고, 제 2리줌 유효상태를 "리줌-트랙-온"이라 칭한다. "리줌-오프"는 리줌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리줌기능이 불능일 때 이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이다. "리줌- 온"과 "리줌-트랙-온"은 리줌기능의 사용을 원할 경우 그 재생목적에 부합하도록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도 7a, 7b, 7c, 7d는, 특정의 재생조작을 중지한 후, 다시 재생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의 각 리줌모드마다 재생 개시위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이전의 재생조작을 나타낸다. 도 7a, 7b, 7c, 7d 및 도 8a, 8b, 8c에 있어서, 각 트랙은 정상적인 재생순서인 트랙번호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판형메모리(1)의 물리적인 데이터 기록위치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7a, 7b, 7c,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가 재생조작을 실행한 결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TOC에 기초하여 트랙(TRK1)으로부터 재생(PB1)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트랙(TRK4) 도중에 중지조작을 실행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리줌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CPU(41)는 재생을 중지하는 중지위치 및/또는 트랙(TRK4)인 어드레스(Adx)를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러나, 중지시에 리줌-오프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저장할 필요가 없지만, 그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조작의 재개를 포함하는 재생 및 기록시의 CPU(41)의 상세한 처리를 설명한다.
리줌-오프시에 다음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7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용자에 의해 실행된 재생조작에 따라서 정상적인 재생 개시위치 즉, 트랙(TRK1)의 처음부터 재생(PB2)을 실행한다.
그러나, 도 7a의 재생시에 리줌-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 재생조작이 다음에 실행될 때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재생 개시위치는 이전의 중지위치가 된다. 다시 말하면,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된 어드레스(Adx)는 재생 개시위치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트랙(TRK4)중에 어드레스(Adx)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PB3)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조작에 따라서 실행된다.
도 7a의 재생시에 리줌-트랙-온으로 설정될 경우에, 다음 재생이 실행될 때는 도 7d에 나타내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재생 개시위치는 이전의 중지위치를 포함하는 트랙의 개시부터이다. 다시 말하면,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된 트랙번호의 트랙의 처음이 재생 개시위치인 것으로 추정되며, 트랙(TRK4)으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PB4)은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조작에 따라서 실행된다. 즉, 이용자는 리줌재생, 이전의 중지위치나 이전의 중지위치를 포함하는 트랙이 처음동안에 재생 개시위치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본 예에서는 기록조작후에 재생시에 리줌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a는 특정한 기록조작을 나타낸다. 이것은 예를 들면 트랙(TRK1∼TRK3)을 판형메모리(1)에 기록하여 기록조작을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록조작(REC1)으로서 2개의 트랙(TRK4, TRK5)을 새로이 기록한다.
그러한 기록조작 후 리줌-오프에서 다음의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즉, 이용자가 재생조작을 실행함에 따라서 통상의 재생 개시위치 즉 트랙(TRK1)의 처음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PB11)이 실행된다. 그러나, 도 8a의 기록시에 리줌-트랙-온으로 설정될 경우에, 다음의 재생조작이 실행될 때는 도 8c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즉, 재생 개시위치는 이전의 기록조작의 개시위치가 되며, 이전의 기록조작이 트랙(TRK4)으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PB12)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후 재생시에도 리줌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a와 8c의 예에서도, 리줌재생의 개시위치는 리줌- 온과 리줌-트랙-온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물론 재생 개시위치는 모드가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인 것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이후에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6. 리줌설정처리
상술한 바와 같은 리줌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미리 리줌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리줌키(37)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리줌키(37)를 조작시킬 경우, CPU(41)는 도 9의 처리에 따라서 리줌모드를 설정한다.
이용자가 리줌키(37)를 조작시킨 것을 검출하면, CPU(41)는 처리를 단계(F101)으로부터 단계(F102, 103)으로 진행시키고, 그 처리를 현재의 리줌모드에 따라서 처리를 분기시킨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3개의 리줌모드 즉 리줌-오프, 리줌-온 및 리줌-트랙-온 모드가 있다. 모드가 현재 리줌-오프일 경우, 그 처리는 단계(F104)으로 진행함으로써, 모드는 리줌- 온으로 설정된다. 한편, 모드가 현재 리줌- 온일 경우, 그 처리는 단계(F105)으로 진행함으로써 모드는 리줌-트랙-온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모드가 현재 리줌-트랙-온일 때, 처리는 단계(F106)으로 진행함으로써 모드는 리줌-오프로 설정된다.
리줌모드는 리줌키(37)의 조작에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변경설정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여러번 리줌키(37)를 누룸으로서 원하는 리줌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리줌키(37)의 조작에 따라서 모드설정은 다음과 같이 스위치된다. 리줌-오프→리줌-온→리줌-트랙-온→리줌-오프→….
7. 재생처리
도 10을 참조하여, 드라이브장치(20)가 프로그램 즉 판형메모리(1)에 기록되는 트랙을 재생하는 경우의 CPU(41)의 처리를 설명한다. 이러한 처리는 도 7a, 7b, 7c,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줌모드에 대응하는 재생조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용자가 재생키를 누름으로써, CPU(41)는 재생조작처리를 개시한다. CPU(41)는 재생키(31)의 조작에 따라서 도 10의 단계(F201)으로부터 단계(F202)으로 그 처리를 진행시킴으로서, 초기에 모드가 현재 리줌-오프인지의 여부나 리줌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리줌-오프일 경우에는 단계(F205)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통상의 재생 개시위치 즉 TOC에 의해 관리되는 트랙(TRK1)의 처음을 재생 개시위치가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모드가 현재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일지라도, 이때의 재생직전에 리줌-온 상태 또는 리줌-트랙-온 상태에서 기록이나 재생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나, 모든 트랙의 재생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전의 재생조작을 종료하는 경우, 즉 이전의 처리나 기록에 관한 트랙번호나 어드레스가 리줌데이터로서 저장되지 않을 경우에, 이때 재생시의 재생 개시위치는 리줌-오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두트랙의 선두로부터가 된다.
그리고, 단계(F209)에서, 예를 들면 TOC나 부가정보로서 기록된 문자정보를 재생하게 되는 제 1트랙(TRK1)의 트랙명은 디스플레이부(21)상에 표시된다. 캐릭터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트랙번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F210)에서 트랙(TRK1)의 재생은 단계(F210)에서 개시된다. 즉, 판형메모리(1)로부터 트랙(TRK1)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재생된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결과, 도 7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재생이 실행된다. 재생 오디오데이터의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 블록에 대한 처리를 행한 후, 헤드폰단자(23), 라인출력단자(24), USB커넥터(28) 등으로부터 재생 오디오데이터의 출력을 실행한다. 또한, 재생트랙시에 CPU(41)는 악곡과 부가정보 등의 연주 진행시간과 같은 트랙번호와 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트랙을 재생하는 동안, CPU(41)는 이용자에 의한 중지조작, 각각의 단계(F211), 단계(F212)에서 트랙재생의 종료를 감시한다. 현재 재생되는 트랙의 재생을 종료할 경우, 그 처리는 단계(F212)으로부터 단계(F213)으로 진행하여 현재 트랙이 마지막 트랙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 트랙이 마지막 트랙일 경우, 그 처리는 단계(F209)으로부터의 처리로 복귀함으로서, 이러한 경우의 트랙(TRK2)인 다음 트랙의 표시 및 재생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F209)에서 단계(F213)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TOC에 의해 관리되는 트랙이 트랙번호의 순서대로 재생된다. 적절한 시점에서 마지막 트랙의 재생이 완료될 경우, 단계(F213)에서 단계(F216)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판형메모리(1)로부터 독출되는 재생종료처리, 압축해제처리, DSP(49)에서의 음향처리, AD/DA변환부에서의 D/A변환처리 등이 완료되며, 재생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21)에서의 표시조작이 완료됨으로써, 일련의 재생조작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그 시점에서 이용자가 재생중에 중지키(32)를 조작시킬 경우, 그 처리는 단계(F211)에서 단계(F124)까지 진행하다. 이 시점에서 모드가 리줌-오프일 경우, 단계(F216)에서 종료처리가 실행되어 재생조작처리가 종료된다.
그러나, 리줌모드를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재생동안에 이용자가 리줌키(37)를 조작시키는 경우에, 중지조작의 발생으로 인하여 단계(F214)으로 처리가 진행될 때, 그 처리는 단계(F215)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CPU(41)는 재생이 중지한 위치의 어드레스와 저장되도록 재생되는 트랙의 트랙번호를 리줌데이터로서 플래시메모리(48)에 다음의 재생조작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F216)의 처리를 실행한 후, 재생조작을 종료시킨다.
모드가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일 경우에, 재생중지조작이 실행될 때는 그 시점에서의 어드레스와 트랙번호가 저장되기 때문에, 다음 재생시간에서 저장된 어드레스나 저정된 트랙번호에 기초한 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모드가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일 경우에, 이용자에 의해 재생중지조작이 실행되고 이전의 재생 또는 기록시에 리줌데이터를 저장할 때, 처리는 단계(F202)에서 단계(F203)까지 진행함으로써, 이전의 조작이 기록조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전의 조작이 기록조작인지의 여부는 리줌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조작의 경우에는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트랙번호가 도 11의 처리의 단계(F309)(이하에 설명한다)에서 리줌데이터로서 저장되기 때문에, 그 데이터가 기록개시 어드레스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리줌데이터의 내용에 부가하는 경우, 이전의 조작은 기록조작이라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이전의 조작이 기록조작일 경우에, 처리는 단계(F208)으로 진행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된 기록개시 어드레스는 재생 개시위치로 설정되고, 그 처리는 단계(F209)과 다음 단계의 재생처리로 진행한다. 즉,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이 실행된다.
본 예의 경우에, 도 8a 및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후의 재생에 관해서는 리줌- 온과 리줌-트랙-온사이에 어떠한 판정도 없으며, 그 경우에는 기록개시트랙의 처음부터 재생이 실행되고,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변형예(이하에 설명한다)에서 또는 기록후의 재생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줌- 온과 리줌-트랙-온사이의 재생 개시위치가 다르게 될 경우에, 그 모드에 따라서 재생 개시위치의 설정이 다르게 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전의 조작이 재생조작일 경우에, 단계(F203)에서 단계(F204)까지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그 모드가 현재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인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분기지시를 실행한다. 그 모드가 리줌- 온일 경우에는 그 처리는 단계(F206)으로 진행하여, 저장되어 있는 재생중지된 위치의 어드레스를 재생 개시위치로 설정 하고, 그 처리는 단계(F209) 및 다음 단계의 재생처리로 진행한다. 즉, 도 7c에 나타낸 것과 같은 재생이 실행된다. 반대로, 모드가 리줌-트랙-온일 경우에는 단계(F207)으로 진행하여 저장된 트랙번호의 트랙의 개시를 재생 개시위치로 설정하고, 그 처리는 단계(F209) 및 다음 단계의 재생처리로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7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재생이 실행된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처리는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8a, 도 8b, 도 8c에서 나타낸 각 경우의 재생조작 즉 재생 개시위치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리줌- 온 또는 리줌-트랙-온의 상태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경우에, 마지막 트랙이 완료될 때까지의 재생전에 이용자가 중지조작을 실행할 때는 그 모드가 그 시점에서 리줌-오프로 변경되지 않는 한, 단계(F215)에서는 플래시메모리(48)에서 다음 시간동안 리줌재생조작을 위한 리줌데이터로서 그 어드레스와 트랙번호가 저장된다.
그러한 리줌재생처리는 악곡 등을 기록한 직후에 리줌재생을 실행함으로써, 이용자가 그 개시부터 기록된 부분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한 직후에는, 특히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는 재생이 자주 실행된다. 따라서, 기록한 직후에 그러한 리줌재생에 의해 기록개시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재생을 중지한 후에, 그 재생중지된 위치나 그 재생중지된 위치를 포함하는 트랙의 처음부터 재생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재생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특정한 악곡이 그 도중에 중지되는 경우에, 일부 이용자들은 다음번에 한번 더 그 개시부터 악곡을 재생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재생중지된 위치나 그 재생중지된 위치를 포함하는 트랙의 처음부터 리줌재생을 실행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용량은 매우 유용하게 된다. 물론, 각각의 이들 위치만으로부터의 리줌재생은 미리 리줌모드의 선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조작은 매우 간단하며, 검색조작이나 그 개시에 위치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청취를 희망하는 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8. 기록처리
도 10의 단계(F208)에서와 같이 기록 후에 재생시에 기록 개시트랙의 선두를 재생 개시위치로 만들기 위해서, 기록시에 그 위치가 리줌 데이터로 기록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포함하는 기록시의 과정은 도11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기록조작이 음성-기록 키(35)의 조작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실행될 때에, CPU(41)의 처리는 단계(F301)에서 단계(F302)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우선 기록이 대기 상태로 설정되며, 대기상태와 기록되는 트랙을 지시하는 트랙번호는 표시부(21)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기록조작이 도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트랙들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실행되는 경우에는, 기록은 트랙(TRK4)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그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용자가 재생키(31)를 조작시켜 기록개시 조작을 실행할 때에, 처리가 단계(F304)로 진행하며, 그로 인해 기록조작이 개시된다. 즉, AD/DA 변환부(54), DSP(49)등은 라인 입력단자(26), 마이크로폰 입 력단자(25), 디지털 입력단자(27) 또는 USB커넥터(28)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트랙으로서 판형메모리(1)에 기록된다. 또한, 표시부(21)는 트랙번호와 기록 진행시간의 표시를 나타낸다.
기록처리가 판형메모리(1)상에서 실행되는 동안에, CPU(41)는 단계(F305, F306, F307, F308)에서 이용자에 의한 중지 조작, 판형메모리(1)의 기록가능한 저장용량 또는 나머지 저장용량, 기록 데이터의 입력 종료와 트랙들의 변화들을 각각 감시한다.
예를 들면, CD플레이어나 퍼스널컴퓨터 등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트랙번호 데이터 등과 같이 트랙의 한계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입력데이터에 부가되기 때문에, CPU(41)는 한계를 감시함으로써 트랙변경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단자(25) 또는 라인 입력단자(26)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이상 동안의 무음(voiceless) 기간이 검출되면, 무음기간을 트랙변경시간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트랙 변경이 이와 같이 검출될 때에, CPU(41)는 과정을 단계(F308)에서 단계(F304)로 복귀시켜 다음 트랙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8a의 경우에서는 처리는 트랙(TRK4)의 기록에서 트랙(TRK5)의 기록으로 진행한다.
이용자가 중지키(32)에 의해 기록중지 조작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또는 판형메모리(1)가 그 한계까지 완전히 기록되고 데이터가 더 이상 기록될 수 없는 경 우에는, 또는 입력 데이터의 공급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F305, F306, 또는 F307)로부터 단계(F309)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시간적으로 그 지점에서의 리줌모드가 확인된다. 만약, 모드가 리줌-오프라면, 처리는 단계(F311) 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기록조작의 종료는 각 부에 통지된다. 그리고, 판형메모리(1)내에 기록된 TOC는 이 시간에 대한 기록조작에 따라 갱신됨으로써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F310)에서 그 모드가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상태라면, 이 시간에 대한 기록조작이 개시되는 어드레스와 트랙번호가 리줌 데이터로서 플래시메모리(48)에 저장되고, 이후에 단계(F311)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기록처리가 종료된다.
만약, 이와 같이 모드가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 상태라면, 기록 개시위치의 어드레스와 트랙번호가 리줌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 10의 재생 처리에 있어서, 단계(F308)내의 기록 개시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줌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9. 변형예
실시예에 대해서 상기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과 조작에만 한정되지 않고, 조작 재개의 재생 개시위치의 예, 리줌모드의 종류, 수 및 저장된 위치 판별정보를 포함하는 리줌 데이터의 종류, 내용으로서 그리고 재생처리와 기록처리로서 각종 변형이 고려된다.
우선, 상기 예에서, 리줌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 최소한 재생 또는 기록이 이전의 재생 또는 기록시간에서 중지되어 있을 때에 미리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만약 모드가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이 아니라면, 도 10의 단계(F215) 또는 도 11의 단계(F310)에서 리줌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리줌 데이터가 재생 또는 기록이 중단될 때에 리줌모드에 상관없이 저장되어 있다면, 즉, 중지 조작이 실행될 때에, 단계(F215) 또는 단계(F310)의 처리가 항상 실행된다면, 리줌재생이 실행되는 재생조작 직전에 모드를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으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리줌재생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줌조작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F215) 또는 단계(F310)에서 트랙번호와 어드레스 모두가 예를 들어 리줌 데이터를 위해 저장되지만, 재생 중지 위치의 어드레스만이 저장될 수 있고, 기록의 경우에서는 재생 개시위치의 어드레스만이 저장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만약 어드레스가 알려진다면, TOC데이터로부터 트랙번호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F215)의 시점에서 만약 모드가 리줌-온 되면, 어드레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만약 모드가 리줌-트랙-온 되면 트랙번호는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계(F310)의 경우에, 기록이 개시된 트랙번호만이 저장될 수 있다.
어드레스와 트랙번호 모두가 상기 예에서 저장되는 경우 또는 단지 어드레스만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만약 재생전에 리줌모드가 리줌-온과 리줌-트랙-온 사이에서 스위치되더라도, 상기의 경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정 한 재생조작이 리줌-트랙-온에서 실행되고 중지 조작이 도중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최소한 트랙번호만이 다음 재생을 위해 저장될 필요가 있다. 만약 어드레스가 그 시간에 저장된다면, 리줌모드가 다음 재생 직전에 리줌-온으로 변경되더라도, 변경에 의해 중지된 위치로부터 재생에 대한 요구에 따라서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일부 재생 장치들은 다수의 기록매체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선택적인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관한 예는 CD체인저(changer)를 가진 CD플레이어이다. 상기와 같은 판형메모리(1)의 경우에서는, 다수의 판형메모리(1)를 장착하고 각각 재생시킬 수 있는 재생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매체에 대한 번호들이 리줌 데이터로서 부가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다수의 매체가 장착되더라도, 리줌재생시에는 재생이 이미 중지된 매체의 중지된 위치 또는 중지된 위치를 포함하는 트랙의 선두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기록 후에 리줌재생시에, 재생이 리줌-온과 리줌-트랙-온의 모든 경우에 대해 기록개시 트랙의 선두로부터 실행이 되지만, 다른 재생 위치가 도 12a, 12b, 12c, 12d와 13a, 13b, 13c,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어진 예가 고안될 수 있다.
도 12a, 12b, 12c, 12d는 도8a, 8b, 8c의 경우와 비슷한 방식으로 기록 직후의 재생조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의 경우에는, 트랙들(TRK4, TRK5)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후에, 재생이 리줌-오프시에 지시될 때에,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PB11)이 트랙(TRK1)의 선두로부터 실행된다. 또한 재생이 리줌-온에서 지시될 때에는, 재생(PB12)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제1 트랙(TRK4)의 선두로부터 실행된다. 게다가, 재생이 리줌-트랙-온에서 지시될 때에는, 재생(Pb13)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마지막 트랙(TRK5)의 선두로부터 실행된다. 즉, 기록 후에 리줌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자가 재생이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재생이 개시되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줌모드와 재생 개시위치사이의 관계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도 12d와 같이 리줌-온에서의 재생 또는 도12c 의 리줌-트랙-온에서의 재생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3a, 13b, 13c, 13d는 도 8a, 8b, 8c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록 직후의 재생조작을 또한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에, 트랙들(TRK4, TRK5)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후에, 재생이 리줌-오프시에 지시될 때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PB11)이 트랙(TRK1)의 선두로부터 실행된다. 또한 재생이 리줌-온에서 지시될 때에는, 재생(PB14)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이 실행된 최후 트랙의 종단 즉, 기록중지위치의 어드레스로부터 실행된다.
게다가, 재생이 리줌-트랙-온에서 지시될 때에는, 재생(PB16)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이 실행된 제1 트랙(TRK4)의 선두로부터 실행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는, 즉, 기록 후에 리줌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자가 재생이 리줌-온 또는 리줌-트랙-온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재생이 개시되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중지위치로부터의 재생(PB14)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실제적으로 재생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재 감기 조작에 대응하는 재감기(REW11)와 재생이 이 시점에서 실행되게 함으로써, 이용자는 기록이 기록중지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정확하게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기록조작의 종단 부분을 확인하기에 알맞은 리줌모드이다.
이와 같이 기록조작의 종단을 확인하기 위해서, 만약 리줌재생으로서 재생 개시위치가 기록중지위치 직전의 위치에 설정된다면, 재감기(rewinding)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이 되지 않더라도 기록 종단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서도, 재생이 리줌재생에 의해 기록중지위치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실행되게 함으로써, 이것은 기록 종단을 쉽게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도 13a, 13b, 13c, 13d의 경우에서는, 도 12a, 12b, 12c, 12d의 경우와 같이, 리줌모드와 재생 개시위치사이의 관계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도 13a, 13b, 13c, 13d와 도 12a, 12b, 12c, 12d의 변형은 각각 3개의 리줌모드들 즉, 리줌-오프, 리줌-온과 리줌-트랙-온이 나타나 있는 경우의 일예이다. 물론, 4 개 또는 그 이상의 형태들이 있을 수가 있다. 즉, 리줌-오프를 제외하고 리줌 기능을 실행하는 3개 이상의 모드들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기록매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메모리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다른 외부형태를 가진 고체 메모리 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메모리 모듈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메모리 장치는 플래시메모리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메모리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메모리 장치는 제거 가능한 휴대 용 매체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거되지 않는 방식으로 재생장치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도 있다.
또한, 리줌 시간에서 이용된 리줌 데이터는 판형메모리(1)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장치(20)로부터 제거되고, 장착될 수 있는 기록매체위에 기록될 수 있다. 판형메모리(1)내에 리줌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이 기록을 실행했던 구동장치(20) 이외의 구동장치에 의해 실행되더라도 재생이 도중에 중지되었던 위치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메모리 대신에 미니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하드 디스크, CD, CD-ROM, CD-R등과 같은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음악 데이터파일로서 트랙들의 리줌재생이 기술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일예이다. 음악 데이터로서 트랙들(파일들) 이외에,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또한 동화상파일, 오디오 데이터파일등에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스트리밍(streaming) 재생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와 같이 컴퓨터내에서 실행되는 오디오-비디오 재생 소프트웨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생 개시위치와 관련된 모드로서, 3개 이상의 모드들로부터 한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재생 개시위치를 통상의 재생 개시위치로 하는 리줌 무효상태로서의 리줌-오프 및 재생 개시위치를 각각 이전의 재생 또는 기록동작에 따른 소정의 위치인 복 수의 리줌 유효상태 예를 들면 리줌-온 및 리줌-트랙-온이 있다.
그러므로, 재생이 특정한 리줌 유효상태에서 개시될 때에, 리줌 유효상태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이 실행된다. 즉, 통상의 재생 개시위치인 선두 트랙의 개시위치 이외에, 이전의 재생과 기록조작에 관련된 위치로서 복수의 위치를 재생 개시위치로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재생장치가 사용될 때 이용자의 사정에 따라서 원하는 재생 개시위치를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해 재생장치의 사용성과 편리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줌 기능에서 설정될 수 있는 재생 개시위치로서, 이전 재생 동안에 재생조작이 중지된 위치와 이전 기록조작 동안에 기록된 한 개 또는 다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제 1데이터파일의 선두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 연속성을 띠고 있는 내용들을 가지는 데이터파일을 위한 재생장치는 이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게다가, 리줌 기능에서 설정될 수 있는 재생 개시위치로서 이전의 기록조작중에 기록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초의 데이터파일의 선두위치, 이전의 기록조작중에 기록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후의 데이터파일의 선두위치 및 이전의 기록조작중에 기록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마지막 데이터파일의 거의 종단위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이 실행된 후 이용자가 확인조작을 실행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많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명세서내에 기술된 특정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 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은 이후에 청구된 것처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 변형들과 동등한 구조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수정들, 동등한 구조와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된다.

Claims (30)

  1. 관리정보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되는 저장매체의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을 리줌하는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수단과,
    재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 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각각 지시하는 리줌-온모드 또는 리줌-트랙-온모드 중에서 이용자가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리줌모드에 대응하며, 기록매체상에 있는 재생개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리줌모드들로부터 선택되어 설정되는 리줌모드와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리줌 개시위치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 개시위치정보가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되는 경우에, 리줌재생은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리줌 개시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를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 내에 상기 리줌모드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이 개시될 때에 상기 제 2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리줌모드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을 중지시키는 지시를 하는 제 2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재생의 중지가 이용자에 의해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상기 재생 수단이 중지되도록하며, 상기 재생의 중지가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재생되어지는 데이터파일의 상기 기록매체내의 기록위치를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는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재생되어지는 데이터파일의 개시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재생의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재생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재생되어지는 데이터파일내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저장수단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는 데이터파일의 재생 중지가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된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재생되어지는 데이터파일의 재생위치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재생이 도중에 중지될 때에, 상기 조작수단은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선두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제 1리줌모드와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재생이 중지되었던 위치를 근거로 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제 2 리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내용들의 표(TOC)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0. 다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파일이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후에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 데이터파일을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기록이 종료된 후에 재생 개시 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리줌-온모드 또는 리줌-트랙-온모드 중에서 이용자가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관리정보의 최소한 한 부분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수단과,
    데이터파일이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되며, 상기 기록된 데이터파일에 대한 관리정보의 한 부분이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리줌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고, 리줌재생이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설정된 리줌모드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실행되도록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를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이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내에 상기 리줌모드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이 개시될 때에 상기 제 2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리줌모드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파일의 기록 중지를 지시하는 제 2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기록의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을 중지시키고, 기록의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기록되는 데이터파일의 관리정보의 일부분을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는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선두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줌모드는 데이터파일의 기록 중지가 상기 제 2조작수단에 의해 지시될 때에 기록되는 데이터파일의 종단 위치의 부근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기록이 중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종단 위치의 기록에 근거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제 1리줌모드와 연속적으로 기록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선두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제 2 리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내용들의 표(TOC)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17. 관리정보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되어 저장된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는 위치에 관한 재생개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의 저장된 내용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리줌재생을 실행하기 위한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을 각각 개시하는 리줌-온모드 또는 리줌-트랙-온모드 중에서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리줌모드들로부터 선택된 리줌모드와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재생개시 위치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데이터파일을 독출하여 재생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 이전에,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가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재생개시 위치정보가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판단될 때에, 재생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데이터파일이 재생되는 동안에 이용자에 의한 중지 지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데이터파일의 재생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에 의한 상기 중지 지시가 수신될 때에 재생되어지는 데이터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상기 관리정보의 일부분으로부터 얻는 단계와,
    상기 얻어진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수단내에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는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상기 기록매체내의 기록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관리정보의 최소한 한 부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는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재생 개시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내의 상기 재생 개시위치는 재생 중지 지시가 이용자에 의해 내려질 때에 재생되는 데이터파일내의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파일을 독출하고 재생시키는 리줌재생은 상기 재생개시 위치정보로서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파일의 선두로부터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생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파일을 독출하고 재생시키는 리줌재생은 재생 중지 지시가 이용자에 의해 내려질 때에 재생되는 데이터파일내의 중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실행되는 재생방법.
  25. 제 17항에 있어서,
    재생이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중간에 중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줌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선두로부터 재생을 실행하는 제 1리줌모드와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재생이 중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제 2 리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6. 다수의 데이터파일들이 관리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 데이터파일이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파일이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후에 상기 관리정보의 한 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의 내용들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재생이 개시되도록 리줌재생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방법은,
    기록이 중지된 후에 재생 개시 지시에 따라 다른 재생 개시위치로부터 재생 개시를 각각 지시하는 리줌-온모드 또는 리줌-트랙-온모드 중에서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리줌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저장매체 내에 입력 데이터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의 최소한 한 부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리줌재생이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와 상기 리줌모드들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실행되도록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파일을 재생시키는 재생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정보의 일부분은 설정 리줌모드에 근거하여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재생되는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 개시위치는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선두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재생되는 상기 데이터파일의 재생 개시위치는 마지막으로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기록 종단 위치와 가까운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기록이 중지되는 경우에, 상기 리줌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파일의 마지막 위치의 기록에 근거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제 1리줌모드와 연속적으로 기록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데이터파일들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데이터파일의 선두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제 2 리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KR1020000026731A 1999-05-21 2000-05-18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KR100689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58299A JP3873523B2 (ja) 1999-05-21 1999-05-21 再生装置
JP99-141582 1999-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84A KR20010007084A (ko) 2001-01-26
KR100689046B1 true KR100689046B1 (ko) 2007-03-08

Family

ID=1529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731A KR100689046B1 (ko) 1999-05-21 2000-05-18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8961B1 (ko)
EP (1) EP1059635B1 (ko)
JP (1) JP3873523B2 (ko)
KR (1) KR100689046B1 (ko)
CN (1) CN1168093C (ko)
DE (1) DE6002968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65B1 (ko) * 2008-07-23 2015-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82587A1 (en) * 1997-10-21 2001-08-21 Sony Corp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playback apparatus, recording/playback method, presentation medium and recording medium
US6631101B1 (en) * 1999-03-16 2003-10-07 Gateway, Inc.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recovering from interruption of DVD playback
CA2338695C (en) * 1999-05-28 2009-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memory card,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7170828B2 (en) 2000-12-15 2007-01-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movable face plate compressed digital music player
JP4649781B2 (ja) * 2001-06-20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230129B2 (ja) * 2001-06-22 2009-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レビュー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プログラム
JP4362248B2 (ja) * 2001-09-03 2009-11-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099945A (ja) * 2001-09-26 2003-04-04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制御方法
KR100563668B1 (ko) 2001-12-22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더빙 오디오 기록방법
KR100563667B1 (ko) 2001-12-24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의 정지영상 기록방법
KR100563670B1 (ko) * 2002-01-28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정지영상 기록방법
JP2003257038A (ja) * 2002-03-04 2003-09-12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制御方法
US7987007B2 (en) 2002-03-18 2011-07-26 Creative Technology Ltd Memory module with audio playback mode
KR20030087193A (ko) 2002-05-07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방송 스트림의 기록 관리방법
JP2003346464A (ja) * 2002-05-24 2003-12-05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その再生方法
MXPA04002365A (es) 2002-06-21 2004-11-22 Lg Electronics Inc Medio de grabacion que tiene estructura de datos para manejar la reproduccion de datos de video grabados en el mismo.
KR100620185B1 (ko) 2002-06-21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US7783159B2 (en) 2002-06-24 2010-08-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for at least a segment of a tit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20030C2 (ru) 2002-06-24 2008-03-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видеоданных нескольких каналов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ATE547792T1 (de) 2002-10-15 2012-03-15 Lg Electronics Inc Aufzeichnungsmedium mit einer datenstruktur zur verwaltung der wiedergabe mehrerer darauf aufgezeichneter grafikströme un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erfahren und vorrichtungen
US20070055462A1 (en) * 2002-11-29 2007-03-08 Daniel Mulligan Circuit for use i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with wireless host interface
US20070078548A1 (en) * 2002-11-29 2007-04-05 May Daniel M Circuit for use in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having a radio receiver
US20070052792A1 (en) * 2002-11-29 2007-03-08 Daniel Mulligan Circuit for use in cellular telephone with video functionality
US7555410B2 (en) * 2002-11-29 2009-06-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ircuit for use with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with video functionality
US20040104707A1 (en) * 2002-11-29 2004-06-03 May Marcus W.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battery use by a handheld multiple function device
EP1571671A4 (en) * 2002-12-13 2008-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K DEVICE
JP3793152B2 (ja) 2002-12-26 2006-07-05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US7809775B2 (en) 2003-02-27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4077417A1 (en) 2003-02-28 2004-09-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andom/shuffle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620301B2 (en) 2003-04-04 2009-11-1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playback
KR101031318B1 (ko) * 2003-05-05 2011-05-02 톰슨 라이센싱 자동-재생/자동-멈춤 기능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366120B2 (ja) * 2003-06-03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025797A (ja)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Avデータ記録方法、avデータ再生方法、及び、avデータ記録媒体
US7301857B2 (en) * 2003-08-01 2007-11-27 Chrysler Llc Media player including a resume function
JP4610175B2 (ja) * 2003-10-15 2011-0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524759A (ja) * 2004-01-15 2008-07-10 サンディスク アイエル リミテッド ブックマーク付き着脱式メディア
US20050165501A1 (en) * 2004-01-23 2005-07-28 Lian Yam F.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se of memory devices for audio
JP2006024312A (ja) * 2004-07-09 2006-01-26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再生装置
WO2006009270A1 (en) * 2004-07-22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JP3925812B2 (ja) 2004-11-11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
WO2006103602A1 (en) * 2005-03-29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playback of a data stream stored by means of a media item
JP2007067660A (ja) 2005-08-30 2007-03-15 Sony Corp 撮像装置、再生制御方法
US8855714B2 (en) 2005-09-14 2014-10-07 Sandisk Il Ltd. Removable media player for mobile phones
JP3894226B1 (ja) * 2006-02-16 2007-03-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20070223872A1 (en) 2006-03-21 2007-09-27 Kan-Li Huang Dubbing method utilizing label for identifying dubbing status
JP4573130B2 (ja) * 2006-07-21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JP4804270B2 (ja) * 2006-08-23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JP4942499B2 (ja) * 2007-01-31 2012-05-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機
JP4919287B2 (ja) * 2007-05-30 2012-04-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楽曲データ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DE112008000916T5 (de) * 2007-06-11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Disk-Wiedergabeapparat
JP2009042583A (ja) * 2007-08-10 2009-02-26 Alpine Electronics Inc 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20090063980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back of multi-part media content
JP2009140565A (ja) * 2007-12-06 2009-06-25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92831B2 (en) * 2008-01-16 2014-11-18 Apple Inc. Memory subsystem hibernation
US8397014B2 (en) * 2008-02-04 2013-03-12 Apple Inc. Memory mapping restore and garbage collection operations
JP2009186797A (ja) * 2008-02-07 2009-08-20 Panasonic Corp 復号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US8238590B2 (en) 2008-03-07 2012-08-07 Bose Corporation Automated audio source control based on audio output device placement detection
JP2009278180A (ja) * 2008-05-12 2009-11-26 Fujitsu Ltd 再生装置、再生制御プログラム、及び、再生制御方法
US20090307409A1 (en) * 2008-06-06 2009-12-10 Apple Inc. Device memory management
CN102216990B (zh) 2008-11-13 2014-11-05 三菱电机株式会社 再现装置和再现方法
CN101751968A (zh) * 2008-11-28 2010-06-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存储设备的信息管理方法及电子设备
US8238570B2 (en) 2009-03-30 2012-08-07 Bose Corporation Personal acoustic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S8238567B2 (en) 2009-03-30 2012-08-07 Bose Corporation Personal acoustic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S8243946B2 (en) 2009-03-30 2012-08-14 Bose Corporation Personal acoustic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S8699719B2 (en) 2009-03-30 2014-04-15 Bose Corporation Personal acoustic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S8468293B2 (en) * 2009-07-24 2013-06-18 Apple Inc. Restore index page
US8516219B2 (en) * 2009-07-24 2013-08-20 Apple Inc. Index cache tree
KR20120050725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50051722A1 (en) * 2013-08-15 2015-02-19 Fusenet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JP6379533B2 (ja) * 2014-03-11 2018-08-29 株式会社リコー 出力装置及び出力システム
US9860626B2 (en) 2016-05-18 2018-01-02 Bose Corporation On/off head detection of personal acoustic device
US9838812B1 (en) 2016-11-03 2017-12-05 Bose Corporation On/off head detection of personal acoustic device using an earpiece microphone
GB2613370A (en) * 2021-12-01 2023-06-07 Codek Ltd Media play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4576A (ja) * 1986-03-14 1987-09-21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ツクアツプの位置制御方法
US4878129A (en) * 1986-08-27 1989-10-3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for reproduction of stored video signals with disk reproducing apparatus
JP2609542B2 (ja) * 1988-10-04 1997-05-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254959A (ja) * 1991-02-05 1992-09-10 Sony Corp 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2970008B2 (ja) * 1991-02-22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再生装置
KR100283967B1 (ko) * 1992-04-08 2001-03-02 이데이 노부유끼 씨디-롬 디스크 재생장치
TW258810B (ko) * 1992-05-25 1995-10-01 Sony Co Ltd
JP3493766B2 (ja) * 1994-10-27 2004-02-0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H08241565A (ja) * 1995-03-03 1996-09-17 Toshiba Corp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EP0787344B1 (en) * 1995-08-22 2003-12-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ayer for reading audio signals and/or video signals from a medium
JPH1097766A (ja) * 1996-09-17 1998-04-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同装置に適用する再生制御方法
KR100283948B1 (ko) * 1997-09-12 2001-05-02 윤종용 디스크플레이어제어장치및그방법
SG82587A1 (en) * 1997-10-21 2001-08-21 Sony Corp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playback apparatus, recording/playback method, presentation medium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65B1 (ko) * 2008-07-23 2015-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9683T2 (de) 2007-10-18
JP2000331466A (ja) 2000-11-30
DE60029683D1 (de) 2006-09-14
KR20010007084A (ko) 2001-01-26
CN1168093C (zh) 2004-09-22
EP1059635A3 (en) 2001-08-16
JP3873523B2 (ja) 2007-01-24
EP1059635B1 (en) 2006-08-02
CN1276605A (zh) 2000-12-13
EP1059635A2 (en) 2000-12-13
US6388961B1 (en) 200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046B1 (ko)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KR100626856B1 (ko) 재생방법, 재생장치, 편집방법 및 편집장치
RU2214630C2 (ru) Оптическ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1202085A (ja) 再生装置
JP4110670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
JP3932810B2 (ja) 記録装置
JPH05100699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4269122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00686275B1 (ko) 구동 장치, 구동 시스템 및 데이터 기록 및/또는 판독 방법
JP2007226867A (ja) マルチメディア装置
JP200226991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手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806625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
JP4587014B2 (ja)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3475462B2 (ja) データ再生装置、指示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3762633B2 (ja) 記録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JP4394465B2 (ja)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35365A (ja) 情報再生装置及び音声録音・再生装置
JP2001357609A (ja) 記憶装置、再生装置及び記憶再生装置
JPH094497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994303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874121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4079061A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ー装置、メディアプレーヤープログラム、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トラック再生停止方法。
JP2001126453A (ja) 再生装置
JPH1019913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126372A (ja) ダビ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