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48B1 - 세부품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세부품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48B1
KR100649448B1 KR1020067000388A KR20067000388A KR100649448B1 KR 100649448 B1 KR100649448 B1 KR 100649448B1 KR 1020067000388 A KR1020067000388 A KR 1020067000388A KR 20067000388 A KR20067000388 A KR 20067000388A KR 100649448 B1 KR100649448 B1 KR 10064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ils
receiving
port
funnel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440A (ko
Inventor
칸지 이시구레
Original Assignee
아사히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rot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Jigging or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61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 Y10T29/53065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with 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장치를 소형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며 공급효율이 좋은 세부품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깔때기의 바닥부에 공급구를 가지고 세부품을 공급하는 깔때기부와, 상기 공급구에 아래로부터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깔때기부로부터 세부품을 인출하는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세부품을 수취하는 수취구를 구비한 수취부를 가지며, 상기 수취부는 상기 수취부의 상면으로 배출구를 덮으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면에는 수취구가 세부품을 1개만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수취구가 배출구에 면하는 상태와, 배출구로부터 벗어나서 수취구로부터 세부품의 인출이 가능해지는 상태를 반복하도록 하였다. 또, 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세부품의 상하의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수정부와, 자세가 수정된 세부품을 수취하는 인도구(引渡口)를 가지고 세부품을 장치 밖으로 인도하는 인도부를 가지며, 또한, 세부품을 수취부로부터 자세수정부로 반송함과 동시에, 자세수정부로부터 인도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가지도록 하였다.
깔때기, 세부품

Description

세부품의 공급장치{THIN PART-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세부품이 포함되는 조립물의 조립작업 등을 실시할 때에, 그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세부품을 당해 작업공정에 공급하기 위한 세부품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부품이란, 예를 들면, 전선의 말단에 장착되어, 단자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의 도입구의 방수마개가 되는 방수고무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부품(방수고무)에는, 별도로 절단하여 준비된 전선의 단말을 방수고무에 통과시켜 장착시키는 장착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이 장착장치에, 전선과 세부품으로서의 방수고무가 차례로 공급되고, 상기 방수고무를 통과시킨 상태의 전선을 대량 생산하여 배선작업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고무(X)는, 전선의 굵기와 사용목적에 따라서 세부품(방수고무)의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 예를 들면,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홀(H)이 관통하고 있고, 원주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단부(段部)(P1)를 가지며, 양쪽 단(端)(P2, P3)의 굵기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수고무(X)에는, 그 하나하나를 인출하여 다른 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전선의 장착장치에 방수고무를 차 례로 인도하여 공급하고, 그 방수고무의 홀(H)에 전선이 꿰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부품도 길이가 7㎜, 굵기가 5㎜인 것을 비롯하여 길이가 7㎜, 굵기가 1.2㎜인 것 까지 다양하다.
종래의 방수고무 공급장치는, 예를 들면,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500) 내에 방수고무(X)를 넣고, 드럼의 내벽에 설치된 날개부(501)에서 들어올려진 후에 낙하되며, 이 낙하하는 방수고무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받이부(5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이부에 이어지는 피더(503)라고 불리는 반송장치에 의하여 방수고무는 다음 공정으로 반송된다. 상기 피더(503)는 홈이 형성된 레일에 의한 반송장치이며, 레일의 홈에 받아진 방수고무(X)를 진동에 의해 전진시켜서 공급하는 공급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공급장치에서는 받이부(502)에 방수고무가 너무 많이 저류되어 다음 공정으로 방수고무를 공급하는데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된 본원 출원인에 의한 특허문헌1이 있다. 이에 의하면, 받이부에 공급되는 방수고무의 양을 적당량으로 조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받이부가 가득 차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특허문헌2에서는, 에어호퍼로부터 공급된 칩부품(세부품)이 레일의 위에 낙하하여, 레일 위의 부품사이즈에 맞는 홈에 들어간다. 이때, 과잉공급된 세부품은 스톱퍼에 부딪쳐서 부품상자에 모아진다. 한편 레일의 홈에 들어간 세부품은, 레일의 밑에 고정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레일에 미세한 진동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부품은 받이부에서 받아서 피더로 공급되는바, 그 때, 대략 원주형상을 갖는 세부품은, 피더의 홈에 세워진 형태로 수납되어 차례로 반송된다. 단, 그 때, 상하의 방향성을 갖는 세부품은, 다음 공정에 공급될 때에는 상하의 방향이 일치하여야 한다. 그래서, 피더상에서 소망하는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는 세부품을 어떤 방법으로든 제거하고, 소망하는 상하방향으로 정리되어 있는 세부품만을 공급해야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은 세부품을 받이부에 낙하시키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거나, 받이부에 받아지지 않고 탈락한 세부품을 다시 회수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거나, 낙하시킬 위치까지 들어올리기 위해서, 장치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더욱이, 세부품(방수고무)이 기름으로 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급장치가 오염되기 쉽고, 그 때문에 청소도 적당히 실시할 필요가 있게 되는바, 종래의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청소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 세부품의 치수의 차이가 작은 경우, 상하의 판별이 어려워지는 등, 또 그 형상에 따라서는 반송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호퍼로부터 피더로 공급된 세부품(방수고무) 가운데, 소망하는 방향과 역으로 되어 있는 것은 제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공정이 비효율적이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3-20115호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개평02-8198호 공보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세부품의 공급장치를 소형화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고, 공급효율이 좋은 세부품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깔때기의 바닥부에 공급구를 형성하여 세부품을 공급하는 깔때기부와, 상기 공급구에 아래에서부터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깔때기부로부터 세부품을 인출하는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세부품을 받는 수취구를 구비한 수취부를 갖는다(청구항1).
상기 수취부는 이 수취부의 상면으로 배출구를 덮으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그 상면에는 세부품을 1개만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수취구가 오목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수취구가 배출구에 면하는 상태와, 배출구로부터 벗어나서 수취구로부터 세부품을 인출할 수 있게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깔때기부로부터 인출관으로 세부품을 도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출관의 배출구로부터 떨어져 나온 세부품을, 이 배출구에 맞닿게 면하는 수취부의 수취구에 수납할 수가 있으며, 또, 이 수취부가 이동하여 수취구가 배출구로부터 벗어났을 때에는, 상기 세부품을 수취구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세부품을 이 수취구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어떤 방법으로든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세부품의 공급을 완수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공급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세부품을 낙하시키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며, 또, 잘못 흘러 떨어진 세부품을 회수하거나, 회수한 세부품을 재차 공급하기 위해 상방으로 반송하는 기구나, 그것을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없게 된다. 다만, 이 공급장치는 세부품의 형상과 자세에 상하의 구별이 없는 경우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세부품의 상하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수정부와, 자세가 수정된 세부품을 수취하는 인도구(引渡口)를 가지며, 상기 세부품을 장치의 밖으로 인도하는 인도부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반송부를 가지고, 세부품을 수취부로부터 자세수정부로 반송함과 동시에, 자세수정부로부터 인도부로 반송하도록 구성하였다(청구항2).
이에 의하여, 세부품에 상하로 구별되는 자세가 있는 경우에는, 세부품의 자세를 일치시켜서 장치 밖으로 인도할 수가 있다.
상기 반송부는, 세부품을 흡인하여 수납하는 것과 동시에, 배기하면서 송출할 수 있는 반송구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수취한 세부품을 반송구에 수납한 상태로 이동하여 반송하고, 다른 장소로 송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세부품이 수취부로부터 자세수정부로 반송되거나, 자세수정부로부터 인도부로 반송되도록 된다(청구항3).
또, 세부품이 상하의 자세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반송구에 수납된 세부품의 상하의 자세를 검지하는 자세검지수단을 갖도록 한다(청구항4).
상기 자세검지수단의 한 형태로서는, 세부품이 상하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반송구에 수납된 세부품의 비어져 나온 상황을 검지하여 상하의 자세를 검지할 수가 있다(청구항5). 상기 세부품의 비어져 나온 상황이란, 세부품이 반송구에서 비어져 나와 있는지 여부의 차이나, 상하 어느 경우에도 비어져 나와 있는 상황은 동일하나, 그 비어져 나와 있는 부분의 형상이 다르다거나, 또는 비어져 나와 있는 정도가 다르다거나 하는 등의 비어져 나와 있는 상태에 관한 모든 상황을 말한다.
또, 자세수정부에 있어서는, 반송부로부터 수취한 세부품의 자세를, 자세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통지에 따라서 수정할 수가 있다(청구항6). 자세수정의 구체적인 한 형태로서는, 자세수정부는 세부품을 수납한 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구를 설치하여 상하를 역전시키는 방법이 있다(청구항7).
또한, 상기 공급장치는, 인출관의 상단 개구로부터 세부품을 흡인하도록 하면 좋다(청구항8). 이에 의하여, 세부품을 인출관으로 흡인하여 도입할 수가 있으며, 단순히 깔때기부로부터 인출관의 내부로 낙하시켜서 인출하는 것에 비하여 더 효율적이다. 이때, 인출관의 흡인은 어떤 방식으로 하여도 좋으나, 예를 들면, 인출관의 중간부분에 흡인용 홀을 뚫어서, 이곳에서 흡인용모터로 흡인하는 방식도 좋다.
또한, 상기 세부품을 흡인하는 한 형태로서, 인출관의 상단 개구로부터의 흡인하는 방식으로, 배출구에 면하는 수취구에 의해 흡인이 되도록 하면 좋다(청구항9). 이와 같이 하면, 방수고무(세부품)를 인출관의 배출구까지 도입하는 것을 더 확실하고 빠르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수취구에로의 수취도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깔때기부의 공급구에 삽입된 인출관이, 깔때기부에 대하여 들고 나는 상대적인 왕복동작을 하여, 상단의 개구부가 공급구로부터 깔때기부의 내부로 돌출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였다. 또, 상대적인 왕복운동이기 때문에, 정지(靜止)하고 있는 깔때기부에 대하여 인출관이 왕복운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반대로 인출관이 정지해 있고 깔때기부가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쌍방이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깔때기부의 바닥부의 개구(깔때기부 테이퍼부분의 바닥부)에 세부품이 막히거나, 또는 세부품이 바닥부의 개구를 덮는 아치형상 등으로 되어 막히게 되는 것에 의해,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이 깔때기부의 바닥부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는 경우(따라서, 세부품도 인출관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라도, 인출관에서 이 막힘을 뚫을 수가 있다(청구항10).
또한,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을 교반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교반수단에 의해,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이 깔때기부의 바닥부에 공급되기 쉬워져서, 인출관으로의 인출이 촉진된다. 또, 세부품이 깔때기부 내에서 막히는 경우라도, 이것을 뚫을 수가 있으므로, 인출관으로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청구항11).
또, 깔때기부의 내부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교반수단을 갖게 하여도 좋다. 공기로 세부품을 교반하여 인출관의 상단 개구로 세부품의 공급을 촉진시키고, 또, 깔때기부 내에서 세부품이 막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뚫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청구항12).
또한, 깔때기부의 내면에 날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깔때기부를 경사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는 교반수단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날개부에 올려진 세부품은 깔때기부의 회전으로 날개부가 상방에 위치하였을 때에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이 교반되는 것이다(청구항13).
또한, 깔때기부의 내부를 교반하는 교반 암(arm)을 교반수단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즉, 교반암으로 직접 세부품을 교반하는 방식이다(청구항14).
또, 세부품의 형상과 크기가 바뀌어도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을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두면 좋다. 깔때기부, 인출관, 및 수취부를 갖는 공급장치에서는 이들을 임의로 교환이 가능하게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 또한, 자세수정부, 인도부, 및 반송부도 아울러 갖는 공급장치라면, 이들을 임의로 교환이 가능하게 설치해두면 좋다(청구항15, 17).
또, 수취구, 반송구, 회전운동구, 및 인도구의 각 수납구로부터 선택되는 수납구 중에 세부품이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유·무검지센서를 설치하였다. 이 센서에 의해, 해당 수납구에서의 세부품의 수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의 수취신호통지와, 수취한 세부품의 다음 공정으로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송출신호통지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며, 각 공정에서의 세부품의 수수(授受)상황을 알 수가 있게 된다(청구항18).
예를 들면, 송출된 세부품이 상대공정에 받아들여졌는지 여부의 수수상황의 완료체크는, 상기 해당 송출신호통지와 해당 수취신호통지와의 대조체크에 의해, 송출된 세부품이 상대공정에 수취되었는지 여부의 수수완료를 체크할 수 있는 것이며, 송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상대공정측에서도 수취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청구항19).
또한, 이들의 송출신호통지, 수취신호통지를 다음 차례의 공정개시의 계기로 이용하면, 각 구성의 제어가 용이해진다(청구항20).
도 1은, 실시예1의 세부품의 공급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공급장치(300)의 A-A단면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공급장치(300)의 B-B단면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깔때기부의 상하의 왕복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수취부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6은, 수취부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2의 세부품의 공급장치(200)의 측면도.
도 8은, 실시예3의 세부품의 공급장치(300)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공급장치(100)를 측면에서 본 개략도.
도 10은, 원반형상의 제1 수납부의 상면도.
도 11은, 반송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제2 수납부의 상면도.
도 13은, 반송부의 동작과 방수고무(세부품)와의 이동의 천이(遷移)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세부품으로서의 방수고무(X)의 도면.
도 15는, 종래의 세부품 공급장치의 도면.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세부품의 공급장치
110, 210, 310 … 깔때기부
120, 220, 320 … 인출관
125, 225, 325 … 배출구
130, 230, 330 … 수취부
136, 236, 336, 336a, 336b … 수취구
340 … 자세수정부
341 … 회전운동구
350 … 인도부
351 … 인도구
360 … 반송부
361a, 361b … 반송구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세부품의 공급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세부품 공급장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다음에 본원 발명의 공급장치(10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한 기판(101)에 설치된 제1지지벽(102)과 제2지지벽(103)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고무를 투입하는 깔때기부(110)와, 이 깔때기부(110)로부터 방수고무를 인출하는 인출관(120)과, 이 인출관(1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방수고 무의 수취구(131)를 갖는 수취부(130)가, 위에서 아래로 상기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 이들은 제1지지벽(102) 및 제2지지벽(103)에 소정의 배치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즉, 이 세부품의 공급장치(100)는, 상기 제1지지벽(102)의 꼭지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11)와, 이 승강실린더(111)에서 승강되는 승강대(台)(112)와, 이 승강대(112)에 설치된 깔때기부(11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깔때기부(110)는 승강대(112)에 의해 상하의 왕복운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인출관(120)의 상단 개구(121)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왕복운동의 정점(頂点)(도4의(a))에서는, 통구(筒口)의 내부에 위치하며, 또 왕복운동의 저점(底点)(도4의(b))에서는, 깔때기부의 내부로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 공급장치(100)는, 제1지지벽(102) 및 제2지지벽(103)에 부착된 수평배치의 홀더부착판(122)과, 이 홀더부착판(122)에 설치된 원판형상의 홀더(123)를 가지며, 홀더의 판면 중앙에 세워 설치된 통부(124)에는, 인출관(120)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 인출관(120)은, 방수고무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굵기의 관이며, 그 상단의 개구(121)는 비스듬한 절단구로 되어 있다. 비스듬한 절단구로 하는 것이 방수고무를 상단의 개구(121)로 도입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이 인출관(120)은 상단의 개구(121)가 깔때기부(110)의 아래로부터 그 통구(1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이 홀더(123)로 지지되어 있다. 또, 인출관(120)의 하단의 배출구(125)는, 후술하는 수취부(130)의 상면부(131)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장치(100)에서는 기판(101)보다 한단 높은 위치에 설치된 레일대(台)(132)의 위에 수평레일(133)이 설치되며, 다리부(134)를 가진 수취부(130)가 제1지지벽(102)에 설치된 수평실린더(135)에 의해, 이 수평레일(133)의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취부(130)는, 대략 직방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면부(131)가 인출관(120)의 배출구(125)에 밑에서부터 근접하고 있으며, 따라서 인출관(120)의 배출구(125)를 아래로부터 덮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레일(133) 위의 수취부(130)가 수평실린더(135)에 의해 수평방향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면부에는 방수고무를 1개 수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수취구(13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인출관(120)의 배출구(125)로부터 배출되는 방수고무를 수취하여 이것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수취구(136)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취부(130)가 왕복운동의 일단측(Z1)에 위치할 때에는 그 수취구가 배출구(125)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 수취부(130)가 타단측(Z2)으로 이동하면, 상기 수취구(136)는 배출구(125)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되는 것이다. 그래서 벗어나면, 수취구(136)에 수납되어 있는 방수고무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수취부(130)의 측면(137)에는, 수취구(136)의 바닥부에 연이어 통하는 흡·배기(吸排氣)홀(138)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는 흡·배기펌프에 의해 수취구(136)에 대하여 흡기 또는 배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취부(130)가 일단측(Z1)에 있을 때에는 흡기를, 또, 타단측(Z2)에 있을 때에는 배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세부품(방수 고무)의 공급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처음에, 깔때기부(110)에 방수고무를 여러개 넣어둔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시동스위치를 누르면, 흡·배기펌프가 시동하여 수취구(136)의 흡·배기가 시작된다. 동시에 수취부(130)의 수평한 왕복운동과, 깔때기부(110)의 상하의 왕복운동이 시작된다.
우선, 수취부(130)가 왕복운동의 일단측(Z1)에 오면 수취구(136)가 흡인되나, 일단측(Z1)에서는 수취구(136)가 배출구(125)에 맞닿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배출구(125)가 흡인되도록 되어, 그 결과, 깔때기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인출관(120)은 그 상단의 개구(121)가 방수고무를 흡인한다. 흡인된 방수고무는 배출구(125)로부터 배출되어 수취부(130)의 수취구(136)에 흡인되며, 1개만이 수취구(136)에 수납된다. 방수고무를 수취한 수취부(130)는 타단측(Z2)으로 이동하고, 그 방수고무를 다음 공정으로 인도하는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수취구(136)의 배출구(125)가 배출구(125)로부터 벗어나면, 이것에 대체되어 장치 밖의 인출부(1000)가 이 수취구(136)에 맞닿게 되는 것이다. 이 장치 밖의 인출부(1000)란, 수취구(136)의 방수고무를 흡인하여 인출하는 것이며, 이 때에는, 수취구(136) 자체는 배기에 의해 방수고무를 배출함과 동시에, 장치 밖의 인출부(1000)는 이것을 흡인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방수고무를 확실하게 수취하는 것이다. 장치 밖의 인출부(1000)로 인출된 방수고무는, 그대로 도시하지 않는 다음 공정으로 방수고무를 인도한다. 이렇게 인도되어 수취구(136)가 비워지게 된 수취부(130)는, 다시 일단측(Z1)으로 이동되고, 이하,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깔때기부(110)의 방수고무를 1개씩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깔대기부(110)의 바닥부에 있는 방수고무가 인출되고, 이것에 의해 깔때기부 내의 방수고무는 조금씩 바닥부로 내려가서 차례로 흡입된다. 그러나, 바닥부에 있는 방수고무가 인출되어도, 그 주위의 방수고무가 가득 채워져 있어서 바닥부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바닥부에 방수고무가 아치형상으로 쌓여 막혀서, 인출관에 흡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본 실시예의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깔때기부(110)가 승강운동을 하는 것에 의하여, 인출관(120)에서 막힌 부분을 뚫어 줄 수가 있기 때문에 방수고무의 공급이 지장없이 속행된다.
또,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교반수단에 의해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방수고무)을 교반하게 되면, 방수고무로 막힌 부분을 허물 수가 있으므로, 흡인이 되지 않는 상태을 회피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공급장치에서는, 세부품의 상하의 자세를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상하의 구별이 없는 세부품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또, 수취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왕복운동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의 범위내의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형상의 수취부(130)가 수직 회전축 L에서 180°마다의 간헐적인 회전을 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수취부(130)는 인출관(120)과 장치 밖의 인출부(1000)와의 각 위치에 정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며, 각 정지위치에서 세부품의 수취와 다음 공정으로의 인도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수취구(136, 136)가 회전축 L에 대칭으로 배 치되어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일단측(Z1)의 수취구(136)에서 인출관(12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부품을 수납하면서, 타단측(Z2)의 수취구(136)로부터는 먼저 수납된 세부품을 장치 밖의 수취부(1000)로 인도할 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 반송처리가 2배로 빨라진다.
예를 들면, 다음에 예시하는 실시예2와 같은 공급장치(200)라도 좋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공급장치(200)는, 도7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고무(세부품)를 공급하는 깔때기부(210)의 상부에 통체(211)를 얹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깔때기부(210)로부터 방수고무(세부품)를 인출하는 인출관(220)과, 이 인출관(2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방수고무를 수취하는 수취부(230)가,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취부(230)는 교환이 가능한 원반형상이며, 원반형상의 원주상에는 반 바퀴의 간격을 두고 2개의 수취구(236, 2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관 하단의 배출구에 맞닿는 위치상태로 이 수취구(236)에 위치시켜서 세부품을 수납하면, 180°회전하여 배출구로부터 벗어나 그 세부품을 인출할 수가 있게 된다. 동시에, 다른 비어있는 수취구(236)가 배출구(225)의 위치로 이동해 와서 이 배출구(225)에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취부(230)에 세부품(방수고무)이 수취되면, 수취부(230)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센서에 의해서 세부품의 존재가 감지되고, 이에 의해 180°회전하여 수취부(236)의 세부품(방수고무)을 장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인출부(1000)에 인도된다. 이 실시예2의 공급장치(200)도, 실시예1과 같이 상하 구별이 없는 세부품(방수 고무)을 공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3)
다시, 본원발명의 세부품(방수고무)을 공급하는 세부품 공급장치(300)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세부품 공급장치(300)는, 도8의 사시도 및 도9의 측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방수고무(세부품)를 공급하는 통체(312)와, 이 통체의 바닥부에 설치된 깔대기부(310)와, 깔때기부(310) 바닥부의 공급구에 아래로부터 삽입한 상태로 배치된 인출관(320)과, 인출관(320) 하단의 배출구(325)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세부품을 수취하는 수취구(326a, 326b)를 구비한 수취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깔때기부(310)는 승강(311)실린더에 의해 미세한 상하운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취부(330)와 가로로 일렬 배치되어, 수취부(33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세부품의 상하자세를 수정하는 자세수정부(340)와, 자세수정부(340)로부터 반송되어 온 세부품을 장치 밖으로 인도하는 인도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가로로 일렬 배열된 수취부(330), 자세수정부(340), 인도부(350)의 상방에 상기의 배열을 따라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부품을 수취부(330)→자세수정부(340)→인도부(350)의 순서로 반송하는 반송부(3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부(360)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실린더(335)에 의해 수평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우선, 깔때기부(310)와, 이것에 아래로부터 삽입되는 인출관(320)은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단, 상기 깔때기부(310)는 깔때기의 측면으로부터 공기관(313)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공기관(313)의 선단(先端)이 깔때기 내에서 깔때기의 바닥부를 향하여 압착공기를 간헐적으로 내뿜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바닥부 부근의 방수고무를 교반하도록 되어 있다.
수취부(330)는, 도10의 상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회전운동이 가능한 원반형상을 하고 있다. 또, 수취부(330)에는, 2개의 수취구(336a, 336b)가 반 바퀴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수취구(336a)가 배출구에 면하는 위치에, 다른 한쪽의 수취구(336b)는 자세수정부(340)의 쪽에 위치하여 반 바퀴마다의 간헐적인 회전운동을 하는 것에 의하여, 2개의 수취구(336a, 336b)의 위치가 서로 교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관(320)으로부터 수취구(336a)로 세부품이 공급되면, 수취구(336a)의 밑에 설치된 유·무센서로서의 진공센서(도시하지 않음)에서 수취구(336a) 내의 세부품의 유무를 검지한다. 수취구(336a)에 세부품이 있는 것을 검지하면, 원반형상의 수취부(330)가 반 바퀴만큼 회전운동하고, 수취구(336a)의 세부품은 자세수정부(340)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이 가능한 원반형상의 수취부(330)의 수취구(336a, 336b)는 2개이나, 수취부(330)를 회전시켜서 효율적으로 세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원반형상의 수취구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취구를 동일한 간격으로 4개 설치하고, 1/4바퀴마다 회전운동시키는 것이라도 좋고, 수취구를 더 많이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인출관(320)의 배출구(325)와 수취부의 상면은, 그 간격이 매우 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 간격이 넓으면, 넓은 간극으로부터 방수고무가 흘러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근접해 있는 것이다. 또, 다음과 같은 이유도 있다. 즉, 방수고무에 따라서는 작은 통형상의 것도 있으며, 이 통형상의 양쪽 끝의 개구에 대소의 차이가 있으면, 큰 개구에 다른 방수고무의 작은 개구가 삽입되어, 방수고무가 연결된 상태로 인출관(320)으로부터 공급되는 일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이 연결된 방수고무를 인출관(320)의 배출구(325)와 수취구(336a, 336b)의 입구와의 약간의 간극에 끼어서 수취부(330)가 회전할 때에, 연결된 방수고무의 연결부분을 문지르게 하여 분리시키도록 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반송부(360)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반송구(361a, 361b)가 아래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취구(336b), 자세수정부(340)의 회전운동구(341), 인도부(350)의 인도구(351)는 가로로 나란히 위를 향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또, 반송부(360)의 2개의 반송구(361a, 361b)는, 상술한 가로로 일렬의 바로 위에, 동일한 가로로 일렬로 배열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반송부(360)는, 상기 가로 일렬과 동일한 방향의 수평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11의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이동과 수평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수취구(336b), 회전운동구(341), 인도구(351)는 동일한 간격(W)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반송부의 2개의 반송구(17a, 17b)도 이것과 동일한 간격(W)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은, 이 간격폭(W) 만큼만의 왕복이동을 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11 중의 S1과 S2의 위치를 수평으로 왕복하는 것이다. 그 리고, 반송부(360)가 S1의 위치에서는, 2개의 반송구(361a, 361b)가 수취구(336b)와 회전운동구(34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그 위치로부터 아래로 강하하면, 수취구(336b)와 회전운동구(341)에 수납되어 있는 2개의 방수고무(Xa, Xb)를 동시에 수취할 수가 있다. 또, 반송부(360)가 S2의 위치에서는, 2개의 반송구(361a, 361b)가 회전운동구(341)와 인도구(35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그 위치로부터 아래로 강하하면, 회전운동구(341)와 인도구(351)에 반송부(361a, 361b)의 2개의 방수고무(Xb, Xc)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자세수정부(340)는 반송체(360)의 하방에서, 상기 반송체(360)의 반송구(361a)와 대면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 것이며,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원주에 방수고무(Xb)를 수납할 수 있는 상하방향의 홀을 설치하여 이것을 회전운동구(341)로 하고, 이 회전운동구(341)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체(342)를 가지고 있다. 즉, 회전운동구(341)와 그 지지체(342)와의 관계는 축과 베어링의 관계이다.
또, 자세수정부(340)의 상면측에는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운동구(341)의 근처에 자세검지수단으로서의 광센서(3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운동구(341)를 향해서 내려온 반송구(361a)의 근방을 검지하여, 반송구(361a)에 수납되어 있는 방수고무(X)의 비어져 나온 상황을 검지하고, 이에 의해서 방수고무의 상하의 자세를 검지한다.
자세수정부(360)는, 상기 광센서(343)로부터의 신호통지에 의거하여, 필요에 따라서 회전운동구(341) 중의 방수고무(Xb)를 180°회전시켜, 역방향의 방수고무 (Xb)의 자세를 반전시킴으로서 위를 향하도록 수정하는 것이다. 물론, 반송되어 온 방수고무(Xb)가 광센서(343)에 의해 검지된 자세가 수정이 필요없는 상향의 것이라면, 자세수정부(340)에 인도한 방수고무(Xb)는 그대로의 방향으로 반송구(361a)로 되돌려진다.
또한, 회전운동구(341)의 회전운동은 180°로 한정되지 않으며, 세부품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회전운동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검지수단은, 반송부(360)의 반송구(361a) 가까이에 고정 설치하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자세수정부(340)의 회전운동구(341)로부터 반송구(361a)가 방수고무를 빨아올렸을 때에도, 방수고무가 정상적인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재차 검지하여 확인하여도 좋다.
상기 방수고무의 자세검지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송부(360)의 반송구(361a)의 흡입구는 방수고무의 굵은 부분에 맞추어 굵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쪽으로 방수고무의 가는 부분에 맞추어 좁혀져서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는 부분을 갖는 방수고무는 바르게 흡입되면, 가는 부분이 안쪽의 가는 부분에서 고정되며, 굵은 부분은 반송구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고무가 반송구(361a)에 반대로 들어가면, 가는 부분이 반송구(361a)로부터 비어져 나와 자세검지수단에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11의 파선(343a)은, 검지하는 빛의 조사하는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인도부(350)는 장치 밖으로 방수고무를 인도하기 위한 것이며, 자세수정부(340)의 방수고무를 반송부(360)로부터 수취하여 그 인도구(351)로부터 장치 밖으 로 공급한다.
수취부(330)는, 배출구에 위치하였을 때의 수취구(336a) 안에 방수고무가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진공센서가 유·무센서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또, 2개의 반송구(361a, 361b)에도 동일한 유·무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시에 방수고무의 수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대한 수취신호통지를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급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방수고무의 공급장치(300)는, 깔때기부(310)로부터 인출관(320)을 거쳐서 첫번째의 방수고무(X1)가 수취부(330)의 수취구(336a)에 공급된다. 이 때, 수취부(330)는, 인출관(3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수취구(336a)를 수취부(330)의 하부로부터 흡인하고 있는바, 이 흡인상태를 진공센서에서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수취구(336a)에 방수고무(X1)가 들어갔다는 수취신호통지를 취득한다.
그리고, 도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수취신호통지를 받아서 수취부(330)가 반 회전하여 자세수정부(340) 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구(361a)는, 이 반 회전 후의 수취구(336a)를 향하여 강하하고, 수취구(336a)로부터의 방수고무(X1)의 배출과, 반송구(361a)에서의 흡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수취부(330)가 반 회전하여 방수고무(X1)가 반송구(361a)의 바로 밑으로 이동하게 되면, 또 하나의 비어있는 수취구(336b)가 배출구(325)의 아래로 돌아들어와서 2번째의 방수고무(X2)를 수취한다.
다음에 도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360)는, 상승하여 자세수정부(340)/인도부(350)의 상부까지 수평이동하면, 자세수정부(340)의 회전운동구(341)를 향해서 강하한다. 이 때, 반송구(361a)의 첫번째 방수고무(X1)의 자세를 자세검지수단인 광센서로 검지한다. 그리고, 자세수정부(340)의 회전운동구(341)에 첫번째의 방수고무를 인도한다.
동시에, 수취부(330)에서는 2번째의 방수고무(X2)를 수취하고 있으며, 수취부(330)의 반 회전으로 상기 2번째의 방수고무(X2)가 자세수정부(340)로부터 인도위치로 이동한다. 또, 비어있는 수취구(336a)가 배출구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3번째의 방수고무(X3)를 수취한다.
다음에 도1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360)가 수취부(330)/자세수정부(340)의 위로 되돌아온다. 또, 이 사이에 자세수정부(340)가 보유하고 있는 첫번째 방수고무(X1)의 자세수정이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360)가 강하하여, 수취구(336b)로부터 2번째의 방수고무(X2)를, 회전운동구(341)로부터 첫번째의 방수고무(X1)를, 각각의 반송구(361a, 361b)에서 수취한다.
다음에, 도13(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번째의 방수고무(X1, X2)를 수취한 반송부(360)가 자세수정부(340)/인도부(350)의 위에까지 수평이동하고, 강하하여 첫번째의 방수고무(X1)를 인도부(350)에, 2번째의 방수고무(X2)를 자세수정부(340)에 각각 인도한다. 또, 이 사이에 수취부(330)가 반 회전하여 3번째의 방수고무(X3)가 자세수정부(340)로부터 인도위치로 이동한다. 또, 비어있는 수취구(336b)가 배출구(325)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4번째의 방수고무(X4)를 수취한다.
다음에 도13(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360)가 수취부(330)/자세수정부(340)의 위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도13(e)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자세수정부(340)가 보유하고 있는 2번째의 방수고무(X2)의 자세수정이 이루어지며, 강하한 반송부(360)가 수취구(336a)로부터 3번째의 방수고무(X3)를, 회전운동구(341)로부터 2번째의 방수고무(X2)를, 각각의 반송구(361a, 361b)에서 수취한다. 그리고 이들이 실행되는 사이에, 인도부(350)로부터 첫번째의 방수고무(X1)가 장치 밖으로 인도된다.
이하, 도13(f)와 (g)가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부품의 공급용 깔때기부로부터 세부품을 직접 1개씩 인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공급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인출관 등에 의해 인출하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원 공급장치의 형태에 의해서, 세부품의 기구와의 접촉이 감소하여 방수고무의 기름 등에 의한 오염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또, 흡인에 의해 인출함으로써 세부품의 신속한 공급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깔때기의 바닥부에 공급구를 가지고 세부품을 공급하는 깔때기부와, 상기 공급구에 아래에서부터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깔때기부로부터 세부품을 인출하는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세부품을 수취하는 수취구를 구비한 수취부를 가지며,
    상기 수취부는, 상기 수취부의 상면으로 상기 배출구를 덮으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면에는 수취구가 세부품을 1개만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배출구에 면하는 상태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벗어나서 상기 수취구로부터 상기 세부품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세부품의 상하의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수정부와, 자세가 수정된 세부품을 수취하는 인도구를 가지고 상기 세부품을 장치 밖으로 인도하는 인도부를 가지며,
    또, 세부품을 상기 수취부로부터 상기 자세수정부로 반송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자세수정부로부터 상기 인도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세부품을 흡인하여 수납하는 것과 동시에, 배기하여 송출할 수 있는 반송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세부품을 상기 반송구에 수납한 상태로 이동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품이 상하로 구별되는 자세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구에 수납된 세부품의 상하의 자세를 검지하는 자세검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품의 상하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자세검지수단이, 반송구에 수납된 세부품의 비어져 나온 상황을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의 자세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자세수정부는, 반송부로부터 수취한 세부품의 자세를, 상기 자세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통지에 의거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수정부는, 세부품을 수납하여 상하자세를 역전시키는 회전운동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세부품이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의 상단 개구부로부터의 세부품의 흡인이, 배출구에 면하는 수취구에 의해 흡인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의 공급구에 삽입된 인출관이, 상기 깔때기부에 대하여 들고 나는 상대적인 왕복동작을 하여, 상단 개구부가 상기 공급구로부터 깔때기부 내로의 돌출운동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 내의 세부품을 교반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의 내부로 공기를 분출시켜 세부품을 교반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의 내면에 날개부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깔때기부를 경사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는 교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의 내부를 교반하는 교반 암(arm)을 교반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 인출관, 및, 수취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 내에 세부품이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유·무센서를 가지며,
    상기 수취구에서의 세부품의 수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수취신호통지와, 수취한 세부품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송출신호통지의, 적어도 한쪽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 인출관, 수취부, 자세수정부, 인도부, 및, 반송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 반송구, 회전운동구, 및, 인도부에 있는 인도구의 각 수납구로부터 선택되는 수납구 내에 세부품이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유·무센서를 가지며,
    상기 해당 수납구에서의 세부품의 수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수취신호통지와, 수취한 세부품의 다음 공정으로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송출신호통지의 적어도 한쪽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된 세부품이 상대공정에게 수취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수수완료의 체크가, 해당 송출신호통지와 해당 수취신호통지와의 대조체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신호통지, 및/또는, 수취신호통지가 다음 차례 공정개시의 계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품의 공급장치.
KR1020067000388A 2003-07-08 2004-07-06 세부품의 공급장치 KR100649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3415 2003-07-08
JP2003193415 2003-07-08
JP2003307199 2003-08-29
JPJP-P-2003-00307199 2003-08-29
JPJP-P-2004-00156882 2004-05-26
JP2004156882 2004-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440A KR20060038440A (ko) 2006-05-03
KR100649448B1 true KR100649448B1 (ko) 2006-11-29

Family

ID=3356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388A KR100649448B1 (ko) 2003-07-08 2004-07-06 세부품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861889B2 (ko)
EP (1) EP1642852B9 (ko)
JP (2) JPWO2005003002A1 (ko)
KR (1) KR100649448B1 (ko)
WO (1) WO2005003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3417B2 (en) * 2008-04-11 2012-08-28 Baker Hughes Incorporated Electroloc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pping from a subterranean well
FR2933631B1 (fr) * 2008-07-10 2010-08-27 Jean Yves Delatt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composants
JP5330022B2 (ja) * 2009-02-24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部品選別装置及び防水栓挿入装置
KR102108018B1 (ko) * 2010-12-29 2020-05-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비지향된 물체용 공급장치
DE102013204425A1 (de) * 2013-03-14 2014-09-18 Hekum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Spritzgussteilen
JP6475664B2 (ja) 2016-05-31 2019-0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システム、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US10179705B2 (en) * 2016-11-16 2019-01-15 Sensata Technologies, Inc. Feeder and method for feeding components into an assembly line
KR101940126B1 (ko) * 2018-04-18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방수씰 이송장치
KR101940125B1 (ko) * 2018-04-18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방수씰 이송장치
WO2021029177A1 (ja) * 2019-08-09 2021-02-18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ゴム栓供給装置
US20230373731A1 (en) * 2020-09-29 2023-11-23 Shinmaywa Industries, Ltd. Rubber plug supply apparatus
US20220170726A1 (en) * 2020-12-01 2022-06-02 Richard B. Weinberg DISPENSER FOR BBs
CN115535585B (zh) * 2022-11-28 2023-03-31 杭州深度视觉科技有限公司 理料装置及物料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736A (en) * 1970-08-05 1972-08-01 Hans Viessmann Rotary valve dispenser for tablets
JPS536916B2 (ko) * 1973-11-15 1978-03-13
US4051900A (en) * 1974-06-13 1977-10-04 Dale Hankins Propping material for hydraulic fracturing
JPS54163806A (en) * 1978-05-22 1979-12-26 Chukyo Electric Co Direction correcting apparatus of capsule
JPS5682716A (en) * 1979-12-11 198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rts feeder
JPS61190200A (ja) 1985-02-20 1986-08-23 Hitachi Ltd ジエツトポンプ
JPS61190200U (ko) * 1985-05-20 1986-11-27
JPH01145921A (ja) * 1987-11-30 1989-06-07 Murata Mfg Co Ltd 部品配向装置
JP2678918B2 (ja) 1988-07-06 1997-11-19 日本フィルコン株式会社 製紙用二重織物
JP2660724B2 (ja) 1988-06-30 1997-10-08 金井 宏之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
JP2792919B2 (ja) 1989-07-05 1998-09-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ドリルによる斜孔の穿孔方法
JPH03110016U (ko) * 1990-02-28 1991-11-12
JPH0729049Y2 (ja) * 1990-02-28 1995-07-05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30573Y2 (ja) * 1990-05-31 1995-07-12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JP2517844Y2 (ja) * 1991-04-30 1996-11-20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回路部品供給装置
US5161473A (en) * 1991-05-17 1992-11-10 Deere & Company See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 seeding implement
JPH04136628U (ja) * 1991-06-10 1992-12-18 南那須精工有限会社 ネジの矯正整列機
JP2627470B2 (ja) * 1991-12-14 1997-07-09 好高 青山 部品供給ロッドの検知装置
EP0544423B1 (en) * 1991-11-23 1997-02-12 Yoshitaka Aoyama Part-detecting device combined with a part-supply rod of a part-supply unit
JPH05338793A (ja) * 1992-06-10 1993-12-21 Sekisui Chem Co Ltd 成形品反転装置
US5385434A (en) * 1992-12-09 1995-01-3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delivery system
JPH0710259A (ja) * 1993-06-23 1995-01-13 Suga Seisakusho:Kk 連続的個別供給装置
JP2999136B2 (ja) * 1995-03-20 2000-01-17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部品供給装置
JPH10178297A (ja) * 1996-12-17 1998-06-30 Taiyo Yuden Co Ltd 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JP3381557B2 (ja) * 1997-06-30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ルクフィーダ
JP3579234B2 (ja) * 1997-12-09 2004-10-20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3632456B2 (ja) * 1998-07-06 2005-03-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部品供給装置
US6283272B1 (en) * 1998-12-14 2001-09-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tube orientation apparatus
US6386433B1 (en) * 1999-08-24 2002-05-14 Kulicke & Soffa Investments, Inc. Solder ball delivery and reflow apparatus and method
JP2001301952A (ja) * 2000-02-18 2001-10-31 Mitsuru Sato 段差を有する物品の状態検査装置および段差を有する物品の検査選別装置、ならびにカプセルの状態検査装置およびカプセルの検査選別装置
JP2003020115A (ja) * 2001-07-11 2003-01-21 Asahi Seiki Kk 細部品の供給装置
US6997341B2 (en) * 2001-12-14 2006-02-14 Pearson Research & Development, L.L.C. Vacuum drum pill counter
US7051900B2 (en) * 2004-09-27 2006-05-30 Reeves Timothy A Gas operated particle feed apparatus
US7415815B2 (en) * 2005-08-01 2008-08-26 Conopco, Inc. Tube dispensing magazine device and method
US9999949B2 (en) * 2007-09-14 2018-06-19 Seagate Technology Llc Work piece presen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6153A1 (en) 2006-09-07
US20100031613A1 (en) 2010-02-11
JPWO2005003002A1 (ja) 2007-09-20
EP1642852B9 (en) 2010-06-02
KR20060038440A (ko) 2006-05-03
EP1642852A1 (en) 2006-04-05
JP4958932B2 (ja) 2012-06-20
JP2009173448A (ja) 2009-08-06
WO2005003002A1 (ja) 2005-01-13
EP1642852A4 (en) 2008-10-01
EP1642852B1 (en) 2010-01-06
US7861889B2 (en)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8932B2 (ja) ゴム栓の供給装置
JP2010254332A (ja) ワーク挿入機構及びワーク挿入方法
CN108202995B (zh) 贴片元器件传送装置
JP5800378B1 (ja) 電子部品搬送装置
CN210140265U (zh) 橡胶塞的供给装置
JP2009188296A (ja) ウエーハの洗浄装置
JP2002176289A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TWI447060B (zh) Workpiece handling equipment
JP2020045177A (ja) 容器供給装置
CN213936149U (zh) 可防卡滞的刻蚀下料机的硅片自动下料传送机构
CN116969158A (zh) 一种自动入料设备
JP4873682B2 (ja) パーツフィーダ
KR100473692B1 (ko) 칩소터 장치
JP3568008B2 (ja) キャップ給送装置
JP2512256Y2 (ja)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TW202348513A (zh) 零件收容裝置
JP2562118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供給装置
JP2023172249A (ja) 加工装置
CN112614801A (zh) 可防卡滞的刻蚀下料机的硅片自动下料传送机构
JP3789226B2 (ja) 中空状焼菓子への油脂性原料の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JP3664528B2 (ja) 容器用キャップにおける内蓋装填装置及び内蓋装填方法
JP2003197342A (ja) 端子圧着装置
JP2020001929A (ja) 容器供給装置
JP2001074753A (ja) 自動分析装置
JPH0389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