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63B1 -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63B1
KR100619463B1 KR1020010061751A KR20010061751A KR100619463B1 KR 100619463 B1 KR100619463 B1 KR 100619463B1 KR 1020010061751 A KR1020010061751 A KR 1020010061751A KR 20010061751 A KR20010061751 A KR 20010061751A KR 100619463 B1 KR100619463 B1 KR 100619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zone
degassing chamber
cooling zone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797A (ko
Inventor
모리가즈미
이우라토루
이시모토데츠야
가츠마타가즈히코
마치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09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30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7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2854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F27B9/028Multi-chamber 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2009/249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series of little rams or ratchets, moving the charg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27B2009/3638Heaters located above and under the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5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 F27B9/047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the atmosphere consisting of protectiv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 F27B9/06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electrically heated
    • F27B9/063Resistor heating, e.g. with resistors also emitting IR 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92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a jam in the transport line or a production interru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F27D3/028Roller rails or succession of small sized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Abstract

트레이(22)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23)과,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트레이(22)가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예열 존(37), 가열 존(38), 냉각 존(39)과, 냉각 존(39)을 통과한 트레이(22)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26)과,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예열 존(37)으로 트레이(22)를 압입하는 푸셔(35; pusher)와, 냉각 존(39)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26)로 트레이(22)를 인출하는 풀러(36; puller)와,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 트레이(22)를 인출하는 중간 풀러(43)와, 입구측 탈기실(23)과 예열 존(37)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28)와, 해당 도어 바디(28)에 인접하도록 예열 존(37)의 트레이(22)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41)와, 가열 존(38)과 냉각 존(39)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42)와, 냉각 존(39)과 출구측 탈기실(26)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29)를 구비하며, 중간 도어(42)를 폐지 상태로 설정하여, 냉각 존(39)에 대한 입열을 억제하고, 또한, 냉각 존(39)에 있어서의 트레이(22)의 이동을 중간 풀러(43)로 행하여, 푸셔(35)가 가압해야 할 트레이(22)의 수를 적게 한다.
연속 소성로, 트레이, 탈기실, 푸셔, 풀러, 예열 존, 가열 존, 냉각 존

Description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Continuous sintering furnace and use thereof}
도 1은 종래의 연속 소성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소성로 본체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트레이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뜬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의 제 1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전체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소성로 본체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푸셔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도 4에 있어서의 풀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4에 있어서의 중간 풀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4에 있어서의 푸셔의 압입 하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의 제 2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전체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소성로 본체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3은 피소결 재료의 소정 개소 및 소성로 본체의 내측 벽면 소정 개소의 온도와 소결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소결 재료 22 : 트레이
23 : 입구측 탈기실 24 : 챔버
25 : 소성로 본체 26 : 출구측 탈기실
32 : 프리 롤러 34 : 하부 히터
44 : 상부 히터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소성로란 피소결 재료로부터 연속적으로 세라믹스 생성 소결 처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소성로이다. 주된 피처리 재료로서는 알루미나(Al2O3), 탄화 규소(SiO), 보론 니트라이드(BN) 등의 탄화계, 질화계 및 산화계 외의 세라믹스용 재료로, 그 처리 온도는 1600℃ 이상이 된다. 이러한 고온이고 또한 연속적으로 소결 처리를 행하는 상기 소성로는 구조, 재질, 기구가 중요한 요건이지만, 특히 재질에 대해서, 고온에 견디는 재질은 주로 흑연이 되기 때문에, 물성상의 구조 및 기구상의 제약이 크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속 소성로의 일례로, 이 연속 소성로는 피소결 재료(1)를 배치한 트레이(2)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측 탈기실(3)과, 해당 입구측 탈기실(3)로 이어지는 챔버(4) 내에 설치되고 또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트레이(2)가 입구측 탈기실(3)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소성로 본체(5)와, 챔버(4)로 이어지고 또한 소성로 본체(5)를 통과한 트레이(2)가 통과할 수 있는 출구측 탈기실(6)을 구비하고 있다.
챔버(4) 내측면과 소성로 본체(5) 외측면 사이에는 단열재(도시하지 않는다)가 충전되고, 또한 챔버(4)에는 이중 벽 수냉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입구측 탈기실(3) 및 출구측 탈기실(6)은 트레이(2)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와 하류측 개소 각각에 승강 가능한 도어 바디(7, 8, 9, 10)를 갖고 있다.
도어 바디(7, 8, 9, 10)를 하강 위치에 설정하면, 입구측 탈기실(3), 챔버(4), 출구측 탈기실(6)의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가 되며, 도어 바디(7, 8, 9, 10)를 상승 위치에 설정하면, 트레이(2) 통과가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입구측 탈기실(3), 소성로 본체(5) 및 출구측 탈기실(6) 내에는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좌우 한 쌍의 스키드 빔들(skid beams)(11, 12, 13)이 트레이(2)를 아래쪽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소성로 본체(5)의 길이 방향 중간부 안쪽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의 히터(14)가 트레이(2) 상의 피소결 재료(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이들 히터(14)에 의해 피소결 재료(1)의 가열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연속 소성로에는 입구측 탈기실(3)로부터 소성로 본체(5)로 트레이(2)를 1개씩 압입하는 푸셔(15)와, 소성로 본체(5)로부터 출구측 탈기실(6)로 트레이(2)를 1개씩 인출하는 풀러(16)가 부착되어 있다.
연속 소성로를 가동시킬 때에는 도어 바디(8, 9)를 닫은 상태에서 소성로 본체(5) 내로 무산화 가스를 충전하고, 히터(14)를 작동시켜 소성로 본체(5) 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로 가열한다.
이어서, 피소결 재료(1)가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2)를 입구측 탈기실(3)로 반입하여, 도어 바디(7)를 닫아 입구측 탈기실(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도어 바디(8)를 개방한 다음, 푸셔(15)에 의해 트레이(2)를 소성로 본체(5) 내로 압입하여, 다시 도어 바디(8)를 폐쇄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다른 트레이(2)를 입구측 탈기실(3)로부터 소성로 본체(5) 내로 압입하여, 해당 트레이(2)에 의해 이미 입구측 탈기실(3)에 압입되어 있는 트레이(2)를 출구측 탈기실(6)로 향해 압출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트레이(2)가 소성로 본체(5)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까지 진행했으면, 도어 바디(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바디(9)를 개방하고, 풀러(16)에 의해 트레이(2)를 소성로 본체(5) 내로부터 출구측 탈기실(6) 내로 인출하며, 또한, 도어 바디(9)를 폐쇄한 다음, 도어 바디(10)를 개방하여 트레이(2)를 외부로 취출한다.
이로써, 피소결 재료(1)는 소성로 본체(5) 내의 입구측 탈기실(3) 근처 부분의 예열 존(17)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천천히 승온되고, 소성로 본체(5) 내의 중간 부분의 가열 존(18)에서 소정 시간, 일정 온도로 가열되며, 더욱이, 소성로 본체(5) 내의 출구측 탈기실(6) 근처 부분의 서냉실(19)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서서히 냉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연속 소성로에 있어서, 동일 노 단면적에서 생산량을 증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열 존(18)을 길게 설정함과 동시에 트레이(2)의 이동 속도를 높게 하고 있다.
또한, 다품종을 소량씩 생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열 존(18)을 짧게 설정함과 동시에 트레이(2)의 이동 속도를 낮게 하여, 로트 수의 감소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연속 소성로는 단일 품종의 어느 정도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만, 가열 존(18)을 짧게 설정하여 트레이(2)의 이동 속도를 낮게 하는 다품종의 소량 생산에서는 피소결 재료(1)의 택트(tact) 시간이 길어지며, 가열 존(18)의 열 손실이 증대하여 서냉실(19)로의 입열이 되기 때문에, 피소결 재료(1)의 냉각 시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서냉실(19)을 길게 설정해야만 한다.
또한, 가열 존(18)에 대해 서냉실(19)이 항상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 존(18)에서의 처리 가스와 서냉실(19)에서의 처리 가스에 다른 것을 사용하면, 쌍방의 처리 가스가 혼합되어 버린다.
더욱이, 푸셔(15)에서 입구측 탈기실(3)로부터 예열 존(17)으로 압입되는 트레이(2)가 이미 예열 존(17), 가열 존(18), 서냉실(19)에 나열하고 있는 복수의 트레이(2)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압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열 존(18)과 서냉실(19) 사이에 중간 도어를 설치하여, 처리 가스 혼합을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노 바닥 구조에 상기 스키드 빔(12)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2)와, 스키드 빔(12) 사이의 슬라이딩 마찰 계수가 높고, 결과적으로, 푸셔(15)의 추력 및 트레이(2) 사이의 가압력이 증대하며, 트레이(2) 수를 많게 하면, 트레이(2)의 반송 경로를 이루는 스키드 빔(12) 상면이 파형 형상으로 왜곡을 초래하거나, 또는 스키드 빔(12) 상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거나 하면, 스키드 빔(12) 상면에 탑재된 트레이(2) 열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지 않게 되며,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릿지 형상(밀어올리는 현상)으로 들떠, 반송 불능의 원인으로 되었었다.
이때, 푸셔(15)에 의한 트레이(2)의 가압 하중을 크게 하면, 해당 트레이(2) 열이 도약하여 좌굴한다.
더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연속 소성로는 소성로 본체(5) 내를 세로로 통하는 스키드 빔(12)으로 트레이(2)를 지지하며, 해당 트레이(2)의 이동 경로의 좌우 양측 히터(14)에 의해 피소결 재료(1)를 가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위쪽이나 좌우 양측쪽으로부터 피소결 재료(1)에 전달되는 입열량에 비하면, 아래쪽으로부터 트레이(2)를 통해 피소결 재료(1)에 전달되는 입열량이 필연적으로 적으며, 피소결 재료(1) 중, 그 하부에 위치하는 소결 대상물 가열이 불충분해져, 제품의 제품 생산성 저하의 원인으로 되고 있다.
그 결과, 세라믹스 소결은 열처리 시간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노 길이를 연장하고, 반송 속도(택트)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노 내의 트레이(2) 수가 증가한다. 스키드식에서는 반송 한계가 낮기 때문에, 노 내의 트레이(2) 수에 제약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설비비, 제조 비용은 생산량 증대에 비례하여 저하하기 때문에, 반송 한계는 비용면에서의 제약이 된다.
마찰력이 증대하면, 노 상에서 발생하는 수평력이 증대하고, 노 바닥 구조 그 자체가 대형화한다. 재질 변경에 의한 대응은 고온 노인 경우, 흑연 이외의 유력한 재질이 없기 때문에, 재질 변경에 의한 대응은 곤란하다. 노 바닥 구조의 대형화는 최종적으로는 처리물의 상하 방향의 균열성을 악화시켜, 제품 생산성의 악화를 부른다. 즉 유효 존(제품이 소결되는 존) 면적이 축소하여, 생산량이 저하한다. 이 문제는 노의 가열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의미하며, 설비비,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마찰력 증대는 트레이(2), 스키드(12) 마모를 촉진시킨다. 그 결과 스키드(12)에 레벨 편차를 초래하여, 트레이(2) 사이의 레벨 차이를 생기게 하고, 브릿지 형성의 원인으로 되며, 시효 변화에 의한 반송 한계가 발생한다. 이로써 안정된 조업이 곤란해졌었다.
히터(14)는 좌우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고온 노인 경우 히터(14)는 2O00℃ 이상이 되기 때문에, 전극을 수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히터(14) 자체의 열 팽창(1m의 히터 길이에 대해 10mm 이상)을 흡수하기 때문에, 위쪽을 고정하고, 아래쪽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그러나 균열성을 생각하면, 노 바닥의 열 손실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좌우에 히터(14)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기본적으로 상하 방향의 입열을 제어할 수 없다. 노 높이를 필요 이상으로 연장하고, 히터 길이를 연장하는 등의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상하의 입열이 고정적으로 되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노 형태를 크게 하는 것은 가열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여, 설비비, 제조비 증대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노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또한 트레이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는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서는 피소결 재료가 배치되는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과, 상기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과, 상기 냉각 존을 통과한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과,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예열 존으로 트레이를 압입하는 푸셔(pusher)와, 냉각 존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풀러(puller)와,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중간 풀러와, 입구측 탈기실과 예열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에 인접하도록 예열 존의 트레이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가열 존과 냉각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냉각 존과 출구측 탈기실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가열 존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가열 존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고 또한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를 관통하는 가열용 통전체와, 해당 가열용 통전체의 양단에 설치한 전극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연속 소성에서는 피소결 재료가 배치되는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과, 상기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과, 상기 냉각 존을 통과한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과,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예열 존으로 트레이를 압입하는 푸셔와, 냉각 존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풀러와,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중간 풀러와, 입구측 탈기실과 예열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에 인접하도록 예열 존의 트레이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가열 존과 냉각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냉각 존과 출구측 탈기실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를 구비하고,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를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서는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고 또한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를 관통하는 가열용 통전체와, 해당 가열용 통전체의 양단에 설치한 전극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서는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소성로 본체 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는 다수의 프리 롤러의 열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복수 열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서는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또한 트레이 통과 방향에서 보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를 사용할 때에, 중간 도어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고, 가열 존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트레이를 중간 풀러에 의해 냉각 존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해당 트레이에 의해 이미 냉각 존에 위치하고 있는 트레이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압출한 후, 중간 도어를 폐지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연속 소성로를 사용할 때에, 푸셔 작동에 의해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가압되는 트레이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뜰 때의 푸셔 가압 하중을 가압 중단 하중으로서 미리 파악해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트레이의 가압에 따라 푸셔의 가압 하중이 상기 가압 중단 하중에 도달한 경우에, 푸셔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다시 푸셔에 의해 트레이를 가압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트레이를 중간 풀러에 의해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 인출하며, 중간 도어가 폐지 상태로 설정되도록 하여, 냉각 존에 대한 입열을 억제하고, 가열용 통전체를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에 관통시키며, 또한, 해당 가열용 통전체 양단 전극부를 홀더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시켜, 가열용 통전체와 소성로 본체와의 열 팽창 차이를 흡수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 있어서는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에 배치한 다수의 프리 롤러에 의해 트레이를 지지하여, 트레이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상부 히터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피소결 재료로 그 위쪽으로부터 전달시키고, 또한, 하부 히터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프리 롤러 사이의 갭 및 트레이를 통해서 피소결 재료에 그 아래쪽으로부터 전달시켜 피소결 재료를 가열하며, 가열용 통전체를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에 관통시키고, 또한, 해당 가열용 통전체 양단 전극부를 홀더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시켜, 가열용 통전체와 소성로 본체와의 열 팽창 차이를 흡수한다.
처리물을 상하에 끼운 히터 설치 방식은 상하 방향에서 입열을 바꿀 수 있다. 노 바닥은 처리물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저온부(노체)에 접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열 손실이 발생하며, 처리물에 온도 분포(온도 편차)가 발생한다. 상하 수평 히터 입열은 이 열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고온 노에서는 수평 히터는 히터 자체의 열 팽창, 가열 존의 노 길이방향, 노 폭방향의 열 팽창을 흡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로 노체는 철, 용접 구조로 되기 때문에, 제작 공차가 발생한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O링에 의한 양단 1점 지지 방식, (양단을 점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히터 열 팽창을 흡수하는 구조)로 했다. 이로써, 히터 및 가열 존의 열 팽창 흡수, 노체의 제작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 있어서는, 트레이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 열의 프리 롤러 열에 의해 트레이를 지지시키며, 하부 히터로부터 피소결 재료로의 복사열 에너지의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트레이와 프리 롤러 사이의 마찰력이 스키드 방식과 비교하여, 약 1/10 정도로 저감된다. 이로써, 이하의 효과가 있다.
마찰력 저감에 의해, 푸셔 추진력이 저감된다. 따라서 인접 트레이 사이의 내력이 저감된다. 이로써, 반송 한계가 향상하여, 반송 가능 트레이 수가 증대한다. 노 배치 가능한 트레이 수가 증가하여, 생산량이 증대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브릿지 형성은 트레이의 수평 레벨(노 바닥 레벨)과, 인접 트레이간 내력의 함수로 되어 있으며, 인접 트레이간 내력과 반송 한계는 거의 비례한다. 따라서 반송 한계는 약 10배가 된다.
마찰력은 노 바닥의 수평력이 되기 때문에, 마찰력 저감에 의해, 노 바닥 구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고온 노에서는 재료 선택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마찰력 저감이 극히 유력한 노 바닥의 소형화 수단이 된다. 노 바닥의 소형화에 의해, 노 내의 유효 공간이 증대한다. 고온 노에서는 히터 복사에 의한 처리물 가열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공간 증대는 가열 효율 증대가 된다. 또한 노 바닥의 열 손실은 노체로의 설치 면적에 의한 수평력 저감은 노 바닥 지지 기둥의 개수 저감으로 이어져, 열 손실 저감이 가능해진다.
처리물의 균열성은 열 손실의 밸런스에 의해 결정된다. 노 바닥 손실 저감은 이에 유효하여, 균열성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유효 존이 증대하여, 제품 비율이 향상한다. 제품 비율 향상은 설비 비용, 제조 비용 저감으로 이어진다.
노 바닥의 소형화에 의해, 유효 공간이 증대하여, 유효한 수평 히터 설치가 가능해진다. 처리물을 상하로부터 끼운 히터 구조는 노 바닥의 열 손실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찰력 저감은 트레이, 롤러 사이의 마모를 저감한다. 이로써, 마모에 의한 노 바닥 레벨 변화가 저감된다. 결과적으로 브릿지 형성이 억제되어, 조업이 안정화된다. 또한, 노 바닥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 간격이 신장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에 있어서는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를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또한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여, 피소결 재료의 폭방향의 온도 분포 균일화를 도모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는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의 트레이 이동을 중간 풀러로 행하고, 중간 도어를 폐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 존에 대한 입열을 억제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는 푸셔의 가압 하중이 미리 파악한 가압 중단 하중에 이르렀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트레이 열의 들뜸 유무를 판정하여, 가압 하중이 가압 중단 하중에 이르렀을 때에, 해당 푸셔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트레이 열의 들뜸 해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들뜸이 생긴 부분의 모든 조건을 변화시켜, 트레이 열을 푸셔의 가압 하중에 따라서 전진시킨다.
(적합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는, 소결 온도 1600℃ 이상 2500℃ 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성은 이하에 상술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속 소성로는 피소결 재료(1)가 배치되는 트레이(22)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23)과, 해당 입구측 탈기실(23)로 이어지는 챔버(24)와, 해당 챔버(24) 내에 설치되고 또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트레이(22)가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소성로 본체(25)와, 상기 챔버(24)로 이어지고 또한 소성로 본체(25)를 통과한 트레이(22)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26)과, 소성로 본체(25)의 대략 전체 길이 및 챔버(24)의 트레이(22) 반송 방향 하류 단부 근처 부분에 걸쳐 트레이(22)의 하면에 접하도록 피벗 지지한 다수의 프리 롤러(32)와, 해당 프리 롤러들(32) 사이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소성로 본체(25) 내의 소정 범위에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34)와, 피소결 재료(1)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소성로 본체(25)의 소정 범위에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44)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24) 내측면과 소성로 본체(25) 외측면 사이에는 단열재(도시하지 않는다)가 충전되며, 챔버(24)에는 이중 벽 수냉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소성로 본체(25)는 소결 대상물 입구단이 입구측 탈기실(23)에 인접하며, 소결 대상물 출구단이 출구측 탈기실(26)에 대해 소정 거리를 사이를 두고 있으며, 해당 소결 대상물 출구단과 출구측 탈기실(26) 사이에 냉각 존(39)을 형성하고 있다.
이 소성로 본체(25)의 소재에는 내열성에 뛰어난 흑연을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소성로 본체(25)의 소결 대상물 입구단 및 출구단에는 가스 타이트 구조를 가지고 또한 각각 승강 가능한 중간 도어(41, 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간 도어(41, 42)를 하강 위치에 설정하면, 소성로 본체(25)의 열 손실이 억제되고, 또한, 상승 위치에 설정하면, 트레이(22) 통과가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입구측 탈기실(23) 및 출구측 탈기실(26)은 트레이(22)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와 하류측 개소 각각에 승강 가능한 도어 바디(27, 28, 29, 30)를 갖고 있다.
이들 도어 바디(27, 28, 29, 30)를 하강 위치에 설정하면, 입구측 탈기실(23), 챔버(24), 출구측 탈기실(26)의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또한, 도어 바디(27, 28, 29, 30)를 상승 위치에 설정하면, 트레이(22)의 통과가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프리 롤러(32)는 소성로 본체(25) 등의 안쪽 바닥면에 세워 설치한 지주(32a) 상단부의 브래킷(32b)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 프리 롤러(32)의 열은 트레이(22) 하면의 폭방향 일단 근처 부분, 폭방향 타단 근처 부분 각각에 프리 롤러(32)가 접하도록 트레이(22) 폭방향으로 2열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측 탈기실(23) 및 출구측 탈기실(26) 내에는 프리 롤러(31, 33)가 상술한 프리 롤러(32)와 동일한 피벗 지지 구조로 트레이(22)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부 히터(34)와 상부 히터(44)는 예열 존(37)이 되는 소성로 본체(25)의 입구측 탈기실(23) 근처 부분을 제외한 범위에 배치되어 가열 존(38)을 형성하고 있으며, 해당 히터(34, 44)로의 통전에 의해 피소결 재료(1) 가열을 도모할 수 있다.
이들 히터(34, 44)는 트레이(22)의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또한 소성로 본체(25)의 좌우 벽부를 관통하는 가열용 통전체(34a, 44a)와, 해당 가열용 통전체(34a, 44a) 양단에 설치한 전극부(34b, 44b)를 지지하는 홀더(54, 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용 통전체(34a, 44a)의 소재로는 내열성이 우수한 흑연을 사용하고 있다.
전극부(34b, 44b)의 소재로는 구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극부(34b, 44b) 내부에는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송급되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54, 64)는 챔버(24)의 좌우 벽부에 해당 벽부 안쪽으로 연통하도록 설치한 지지 통(54a, 64a)과, 해당 지지 통(54a, 64a)의 단부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전극부(34b, 44b)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지지 시트(54b, 64b)와, 해당 지지 시트(54b, 64b)와 전극부(34b, 44b) 사이에 개재하는 밀봉 링(54c, 64c)을 갖고 있으며, 해당 밀봉 링(54c, 64c)을 중심으로 하는 전극부(34b, 44b) 요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연속 소성로에는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예열 존(37)으로 트레이(22)를 1개씩 압입하는 푸셔(pusher)(35), 냉각 존(39)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26)로 트레이(22)를 1개씩 인출하는 풀러(puller)(36) 및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 트레이(22)를 1개씩 인출하는 중간 풀러(43)가 부착되어 있다.
푸셔(35), 풀러(36), 중간 풀러(43)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지지부(35a, 36a, 43a)를 가지고 또한 트레이(22) 반송 경로에 평행하게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암(35b, 36b, 43b)과, 지지부(35a, 36a, 43a)에 트레이(22) 폭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핀(35c, 36c, 43c)을 통해 피벗 지지된 도크(35d, 36d, 43d; dock)와, 도크(35d, 36d, 43d)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지지부(35a, 36a, 43a)에 고착한 스토퍼(35e, 36e, 43e)로 구성되며, 트레이(22)의 통과 경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크(35d, 36d, 43d)는 각 트레이(22)의 동일 개소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각진 구멍(22a)의 앞 가장자리 부분에 인접하는 가압면(35f, 36f, 43f)과, 트레이(22) 하면으로 안내되는 요동면(35g, 36g, 43g)을 갖고 있으며, 암(35b, 36b, 43b)을 트레이(22)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이동시키면, 트레이(22) 하면에서 요동면(35g, 36g, 43g)이 안내되어 경사이동한 상태가 된 후, 도크(35d, 36d, 43d) 상단부가 각진 구멍(22a)에 결합한다.
또한 반대로, 암(35b, 36b, 43b)을 트레이(22)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시키면, 도크(35d, 36d, 43d)가 자중에 의해 각진 구멍(22a)의 전방 테두리 부분에 가압면(35f, 36f, 43f)이 인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스토퍼(35e, 36e, 43e)에 의해 도크(35d, 36d, 43d)의 회동이 규제되며, 암(35b, 36b, 43b) 이동에 따라서 트레이(22)가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향해 가압된다.
더욱이, 연속 소성로 운용 개시 전에, 소성로 본체(25) 내에 있어서, 푸셔(35) 작동에 의해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가압되는 트레이(22)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뜰 때의 푸셔(35)의 가압 하중을 로드 셀 등의 하중 검출 수단에 의해 가압 중단 하중(FO)으로서 미리 실측해 두고, 마찬가지로, 트레이(22) 열이 가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도약하여 좌굴할 때의 푸셔(35)의 가압 하중을 좌굴 발생 하중(F1)으로서 실측해 둔다(도 10 참조).
연속 소성로를 가동시킬 때에는 도어 바디(28, 29) 및 중간 도어(41, 42)를 폐쇄한 상태에서 소성로 본체(25) 내로 무산화 가스를 충전하여, 하부 히터(34)와 상부 히터(44)를 작동시켜 소성로 본체(25) 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로 가열한다.
이어서, 피소결 재료(1)가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22)를 입구측 탈기실(23)로 반입하고, 도어 바디(27)를 폐쇄하여 입구측 탈기실(2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도어 바디(28)를 개방한 다음, 푸셔(35)에 의해 트레이(22)를 소성로 본체(25) 내의 예열 존(37)으로 압입하여, 다시 도어 바디(28)를 폐쇄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다른 트레이(22)를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예열 존(37)으로 압입하여, 해당 트레이(22)에 의해 이미 예열 존(37)에 압입되어 있는 트레이(22)를 가열 존(38)을 향해 압출한다.
또한, 푸셔(35)를 작동시킬 때에는 해당 푸셔(35)의 가압 하중을 로드 셀 등의 하중 검출 수단으로 계측한다.
이 계측치가 상술한 가압 중단 하중(F0)에 이른 경우에는 소성로 본체(25) 내에서 트레이(22)의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뜬 것이 된다.
이렇게, 트레이(22)의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뜸을 검지했으면, 푸셔(35)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트레이(22) 열의 들뜸을 해소시킨 다음, 다시 푸셔(35)에 의해 트레이(22)를 가압한다.
또한, 푸셔(35)의 가압 하중이 가압 중단 하중(F0)에 다시 도달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뜨는 트레이(22)가 서로 인접하는 개소가 어긋나는 것 등의 모든 조건 변화에 기인하며, 최종적으로는 트레이(22) 열이 푸셔(35)의 가압 하중에 따라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트레이(22)가 가열 존(38)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까지 진행했으면, 중간 도어(42)를 개방하고, 중간 풀러(43)에 의해 트레이(22)를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 인출하여, 중간 도어(42)를 폐쇄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후속하는 트레이(22)를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 인출하여, 해당 트레이(22)에 의해 이미 냉각 존(39)으로 인출되어 있는 트레이(22)를 전방으로 향해 압출한다.
더욱이, 상기 트레이(22)가 냉각 존(39)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까지 진행했으면, 도어 바디(3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바디(29)를 개방하고, 풀러(36)에 의해 트레이(22)를 냉각 존(39)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26) 내로 인출하며, 도어 바디(29)를 폐쇄한 후, 도어 바디(30)를 개방하여 트레이(22)를 외부로 취출한다.
이로써, 피소결 재료(1)는 예열 존(37)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서서히 승온되며, 다음에 가열 존(38)에서 소정 시간,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에, 냉각 존(39)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서서히 냉각된다.
소성로 본체(25) 내의 가열 존(38)에서는 상부 히터(44)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피소결 재료(1)에 그 위쪽으로부터 전달시키며, 하부 히터(34)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프리 롤러(32) 사이의 갭 및 트레이(22)를 통해 피소결 재료(1)로 그 아래쪽으로부터 전달시키기 때문에, 해당 피소결 재료(1)에 대한 위쪽으로부터의 입열량과 아래쪽으로부터의 입열량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어, 피소결 재료(1) 중, 그 하부에 위치하는 소결 대상물도 충분히 가열된다.
이와 더불어, 트레이(22)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 열의 프리 롤러(32)의 열에 의해 트레이(22)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하면이 프리 롤러(32)에 접하는 형체 부분이 적어, 하부 히터(34)로부터 피소결 재료(1)로의 복사열 에너지의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히터(34) 및 상부 히터(44)를 트레이(22)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또한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소결 재료(1)의 폭방향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진다.
이렇게,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연속 소성로에서는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의 트레이(22) 이동을 중간 풀러(43)로 행한 다음, 중간 도어(42)를 폐지 상태로 설정하기 때문에, 냉각 존(39)에 대한 입열 및 가열 존(38)과 냉각 존(39) 사이의 가스 유통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냉각 존(39)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노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열 존(37) 및 가열 존(38)에 있어서의 트레이(22)의 이동을 푸셔(35)에 의해 행하고, 또한 가열 존(38)으로부터 냉각 존(39)으로의 트레이(22)의 이동과 냉각 존(39)에 있어서의 트레이(22)의 이동을 중간 풀러(43)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푸셔(35)가 가압해야 할 트레이(22)의 수가 적어지며, 트레이(22)의 열에 브릿지 형상의 들뜸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푸셔(35)의 가압 하중이 미리 파악한 가압 중단 하중(F0)에 이르렀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트레이(22) 열의 들뜸 유무를 판정하여, 가압 하중이 가압 중단 하중(F0)에 이르렀을 때에, 푸셔(35)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트레이(22) 열의 들뜸 해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들뜸이 생긴 부분의 모든 조건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푸셔(35)의 가압 하중에 따라서 트레이(22)의 열을 전진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 4 내지 도 9와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속 소성로는 트레이(22)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측 탈기실(23)과, 해당 입구측 탈기실(23)로 이어지는 챔버(24) 내에 설치되고 또한 복수의 트레이(22)가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소성로 본체(25)와, 챔버(24)로 이어지고 또한 소성로 본체(25)를 통과한 트레이(22)가 통과할 수 있는 출구측 탈기실(26)과, 상기 소성로 본체(25)의 대략 전체 길이 및 챔버(24)의 트레이(22) 반송 방향 하류단 근처 부분에 걸쳐 트레이(22) 하면에 접하도록 피벗 지지한 다수의 프리 롤러(32)와, 소성로 본체(25)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32)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34)와, 소성로 본체(25)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1)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44)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22) 상면에는 2열의 피소결 재료(1)를 폭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고, 또한, 트레이(22) 하면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성로 본체(25)는 소결 대상물 입구단이 입구측 탈기실(23)에 인접하고, 소결 대상물 출구단이 출구측 탈기실(26)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있으며, 소결 대상물 입구단 근처 부분 및 출구단 근처 부분의 개구 단면적이 중간 부분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입구측 탈기실(23) 및 출구측 탈기실(26)은 트레이(22)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와 하류측 개소 각각에 승강 가능한 도어 바디(27, 28, 29, 30)를 갖고 있다.
이들 도어 바디(27, 28, 29, 30)를 하강 위치에 설정하면, 입구측 탈기실(23), 챔버(24), 출구측 탈기실(26)의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또한 도어 바디(27, 28, 29, 30)를 상승 위치에 설정하면, 트레이(22) 통과가 허용되는 상태로 된다.
프리 롤러(32)는 소성로 본체(25)의 안쪽 바닥면 등에 세워 설치한 지주(32a) 상단부의 브래킷(32b)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 프리 롤러(32)의 열은 트레이(22) 하면의 폭방향 일단 근처 부분, 폭방향 중앙 부분, 폭방향 타단 근처 부분 각각에 프리 롤러(32)가 접하도록 트레이(22) 폭방향으로 3열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측 탈기실(23) 및 출구측 탈기실(26) 내에는 프리 롤러(31, 33)가 상술한 프리 롤러(32)와 동일한 피벗 지지 구조로 트레이(22)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부 히터(34)와 상부 히터(44)는 소성로 본체(25)의 중간 부분(개구 단면적이 큰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히터(34, 44)로의 통전에 의해 피소결 재료(1)의 가열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연속 소성로에는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소성로 본체(25)로 트레이(22)를 1개씩 압입하는 푸셔(35)와, 소성로 본체(25)로부터 출구측 탈기실(26)로 트레이(22)를 1개씩 인출하는 풀러(36)와, 챔버(24)의 출구측 탈기실(26)에 인접하는 부분 내의 무산화성 가스를 교반하기 위한 팬(21)이 부착되어 있다.
연속 소성로를 가동시킬 때에는 도어 바디(28, 29)를 폐쇄한 상태에서 소성로 본체(25) 내로 무산화 가스를 충전하고, 하부 히터(34)와 상부 히터(44)를 작동시켜 소성로 본체(25) 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로 가열하며, 이와 더불어 팬(21)을 작동시켜 둔다.
이어서, 피소결 재료(1)가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22)를 입구측 탈기실(23)로 반입하고, 도어 바디(27)를 닫아서 입구측 탈기실(2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도어 바디(28)를 개방한 다음, 푸셔(35)에 의해 트레이(22)를 소성로 본체(25) 내로 압입하여, 다시 도어 바디(28)를 폐쇄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다른 트레이(22)를 입구측 탈기실(23)로부터 소성로 본체(25) 내로 압입하며, 해당 트레이(22)에 의해 이미 소성로 본체(25)로 압입되어 있는 트레이(22)를 출구측 탈기실(26)로 향해 압출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트레이(22)가 챔버(24)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까지 진행했으면, 도어 바디(3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바디(29)를 열고, 풀러(36)에 의해 트레이(22)를 챔버(24) 내로부터 출구측 탈기실(26) 내로 인출하며, 더욱이, 도어 바디(29)를 폐쇄한 다음, 도어 바디(30)를 개방하여 트레이(22)를 외부로 취출한다.
이로써, 피소결 재료(1)는 소성로 본체(25) 내의 입구측 탈기실(23) 근처 부분의 예열 존(37)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서서히 승온되며, 다음에 소성로 본체(25) 내의 중간 부분의 가열 존(38)에서 소정 시간,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 소성로 본체(25) 내의 출구측 탈기실(26) 근처 부분의 서냉실(40) 및 팬(21)이 설치되어 있는 챔버(24)의 출구측 탈기실(26)에 인접한 냉각 존(39)에서 소정 시간을 들여 서서히 냉각된다.
도 13은 피소결 재료(1)의 소정 개소(A, B, C, D) 및 소성로 본체(25)의 내측 벽면의 소정 개소(E)의 온도와 소결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로, 이 그래프로부터는 소결 개시로부터 약 4시간 20분 정도 경과하면, 각 개소(A, B, C, D, E)의 온도차가 미소(실측치로 약 6℃ 정도)해져, 피소결 재료(1)가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연속 소성로에서는 상부 히터(44)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피소결 재료(1)로 그 위쪽으로부터 전달시키고, 하부 히터(34)에 의한 복사열 에너지를 프리 롤러(32) 사이의 갭 및 트레이(22)를 통해 피소결 재료(1)로 그 아래쪽으로부터 전달시키기 때문에, 서로 독립한 상부 히터(44)와 하부 히터(34)를 적당히 제어함으로써, 해당 피소결 재료(1)에 대한 위쪽으로부터의 입열량과 아래쪽으로부터의 입열량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피소결 재료(1) 중, 그 하부에 위치하는 소결 대상물도 충분히 가열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또한, 트레이(22)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 열의 프리 롤러(32)의 열에 의해 트레이(22)를 지지하기 때문에, 그 하면이 프리 롤러(32)에 접하는 그림자 부분이 적어, 하부 히터(34)로부터 피소결 재료(1)로의 복사열 에너지의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히터(34) 및 상부 히터(44)를 트레이(22)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또한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소결 재료(1)의 폭방향의 온도 분포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가열용 통전체(34a, 44a)를 소성로 본체(25)의 좌우 벽부에 관통시키고 또한 그 양단의 전극부(34b, 44b)를 홀더(54, 64)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각 히터(34, 44)와 소성로 본체(25)와의 열 팽창 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노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또한 트레이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는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8)

  1. 피소결 재료가 배치되는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과, 상기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과, 상기 냉각 존을 통과한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과,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예열 존으로 트레이를 압입하는 푸셔(pusher)와, 냉각 존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풀러(puller)와,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중간 풀러와, 입구측 탈기실과 예열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에 인접하도록 예열 존의 트레이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가열 존과 냉각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냉각 존과 출구측 탈기실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가열 존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가열 존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고 또한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를 관통하는 가열용 통전체와, 해당 가열용 통전체의 양단에 설치한 전극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성로.
  2. 피소결 재료가 배치되는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입구측 탈기실과, 상기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송입되는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과, 상기 냉각 존을 통과한 트레이가 통과 가능한 출구측 탈기실과, 입구측 탈기실로부터 예열 존으로 트레이를 압입하는 푸셔와, 냉각 존으로부터 출구측 탈기실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풀러와, 가열 존으로부터 냉각 존으로 트레이를 인출하는 중간 풀러와, 입구측 탈기실과 예열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에 인접하도록 예열 존의 트레이 반송 방향 상류측 개소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가열 존과 냉각 존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중간 도어와, 냉각 존과 출구측 탈기실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바디를 구비하고,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를 예열 존, 가열 존 및 냉각 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성로.
  3.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고 또한 소성로 본체의 좌우 벽부를 관통하는 가열용 통전체와, 해당 가열용 통전체의 양단에 설치한 전극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성로.
  4.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소성로 본체 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는 다수의 프리 롤러의 열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복수 열로 나열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성로.
  5. 피소결 재료를 배치한 복수의 트레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으로 설치한 소성로 본체와, 해당 소성로 본체 내에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서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프리 롤러 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하부 히터와, 소성로 본체 내의 소정 범위에 걸쳐 피소결 재료의 통과 경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상부 히터를 구비하고, 하부 히터 및 상부 히터의 쌍방을 트레이 폭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또한 트레이 통과 방향에서 보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성로.
  6. 삭제
  7. 중간 도어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고, 가열 존의 반송 방향 최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트레이를 중간 풀러에 의해 냉각 존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해당 트레이에 의해 이미 냉각 존에 위치하고 있는 트레이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압출한 후, 중간 도어를 폐지 상태로 설정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
  8. 푸셔의 작동에 의해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가압되는 트레이의 열이 브릿지 형상으로 들뜰 때의 푸셔의 압입 하중을 가압 중단 하중으로서 미리 파악해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트레이의 가압에 따라 푸셔의 압입 하중이 상기 가압 중단 하중에 도달한 경우에, 푸셔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다시 푸셔에 의해 트레이를 가압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연속 소성로의 사용 방법.
KR1020010061751A 2000-10-10 2001-10-08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 KR100619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9146A JP4483064B2 (ja) 2000-10-10 2000-10-10 連続焼成炉
JPJP-P-2000-00309146 2000-10-10
JP2000317954A JP4472854B2 (ja) 2000-10-18 2000-10-18 連続焼成炉及びその使用方法
JPJP-P-2000-00317954 2000-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97A KR20020028797A (ko) 2002-04-17
KR100619463B1 true KR100619463B1 (ko) 2006-09-05

Family

ID=2660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751A KR100619463B1 (ko) 2000-10-10 2001-10-08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30780B2 (ko)
EP (2) EP1780487B1 (ko)
KR (1) KR100619463B1 (ko)
CN (1) CN100397020C (ko)
CA (1) CA2358434C (ko)
DE (1) DE60133520T2 (ko)
ES (2) ES2300308T3 (ko)
TW (1) TW5009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16B1 (ko) 2011-11-18 2012-09-03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롤러콘베이어식 소성로에서의 비상운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5716B2 (ja) * 2002-02-12 2009-07-29 Dowa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処理炉
EP1607704A4 (en) * 2002-10-23 2006-08-02 Internat Customer Service CONTINUOUS OVEN
DE602004027043D1 (de) 2003-06-27 2010-06-17 Ihi Corp Vakuumwärmebehandlungsofen der gaskühlart und kühlgasrichtungsschaltvorrichtung
JP4645592B2 (ja) * 2004-03-18 2011-03-09 株式会社Ihi 2室型熱処理炉
US6887074B1 (en) * 2004-05-28 2005-05-03 Teco Nanotech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vacuum sintering apparatus and vacuum sintering system adopted to the same
KR100842595B1 (ko) * 2004-08-04 2008-07-01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소성로 및 이것을 이용한 다공질 세라믹 부재의 제조방법
EP1647789A1 (en) * 2004-10-04 2006-04-19 Ngk Insulators, Ltd. Continuous heat treatment furnace and heat treatment method
DE102005005808A1 (de) * 2005-02-09 2006-08-10 Centrotherm Elektrische Anlag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iliziumsolarzellen
JP4741307B2 (ja) * 2005-05-20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CN101248193B (zh) * 2005-08-31 2014-09-10 株式会社Ihi 热处理用夹具和热处理装置及方法
US7507087B2 (en) * 2005-12-07 2009-03-24 Ajax Tocco Manetherm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continuous movement through a furnace
CN1979071B (zh) * 2005-12-09 2010-09-22 光洋热系统株式会社 连续烧制炉
JP4738372B2 (ja) * 2007-04-03 2011-08-0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ウオーキングビーム式熱処理装置
JP5216246B2 (ja) * 2007-06-04 2013-06-19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連続焼成炉
DE102008020449A1 (de) * 2008-04-01 2009-10-15 Manfred Husslein Industrieof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Industrieofens
JP5877358B2 (ja) * 2011-04-22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処理装置
CN102230730A (zh) * 2011-06-24 2011-11-02 浙江跃岭股份有限公司 铝合金汽车轮毂旋压预热炉
JP5727313B2 (ja) * 2011-07-04 2015-06-03 株式会社Ihi 連続焼成炉
JP5849542B2 (ja) * 2011-09-05 2016-01-27 株式会社Ihi 連続加熱炉
JP6240371B2 (ja) 2011-09-05 2017-11-29 株式会社Ihi 加熱炉および連続加熱炉
GB201317194D0 (ko) * 2013-09-27 2013-11-13 Ebner Ind Ofenbau
CN104197702B (zh) * 2014-09-04 2016-01-13 武汉东川自来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隧道窑结构及用于该隧道窑处理有机污染土壤的方法
DE102014114097B4 (de) 2014-09-29 2017-06-01 Danfoss Silicon Power Gmbh Sinterwerkzeug und Verfahren zum Sintern einer elektronischen Baugruppe
DE102014114093B4 (de) 2014-09-29 2017-03-23 Danfoss Silicon Power Gmbh Verfahren zum Niedertemperatur-Drucksintern
US10766165B2 (en) 2015-06-29 2020-09-08 Corning Incorporated Manufacturing line, process, and sintered article
DE202016009069U1 (de) * 2015-06-29 2022-01-24 Corning Incorporated Fertigungslinie und gesinterter Artikel
US10486332B2 (en) 2015-06-29 2019-11-26 Corning Incorporated Manufacturing system, process, article, and furnace
CN105135877B (zh) * 2015-08-25 2017-07-18 大埔县特陶科技有限公司 循环输送设备及使用该设备的无烟无臭节能环保排蜡隧道窑
CN205542906U (zh) * 2016-04-19 2016-08-31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烧结设备、有机发光二极管器件用封装系统
CN106322989B (zh) * 2016-09-12 2018-06-01 江西璞创晶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微晶发泡复合材料的烧成退火隧道窑
IT201700045233A1 (it) * 2017-04-26 2018-10-26 Sacmi Forno e metodo per la cottura di articoli ceramici di base
CN108253801A (zh) * 2018-03-23 2018-07-06 江苏丰东热技术有限公司 一种料盘及热处理生产系统
CN108413768A (zh) * 2018-05-11 2018-08-17 苏州科尔珀恩机械科技有限公司 连续式烧结炉
DE102018122887A1 (de) 2018-09-18 2020-03-19 Fct Systeme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Sintern von Bauteilen
CN109682206A (zh) * 2018-12-13 2019-04-26 福建荣华科技有限公司 高效烧结炉以及磷酸铁锂生产装置
KR102177048B1 (ko) * 2018-12-19 2020-11-10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용 소성로 및 이차전지 양극재의 소성 방법
CN110373517B (zh) * 2019-08-19 2023-12-12 合肥真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高真空除气炉
CN110468262A (zh) * 2019-09-19 2019-11-19 王晶 分段式连续热处理炉及物料热处理工艺
CN110657682A (zh) * 2019-09-27 2020-01-07 江苏琪心冶金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加热炉推钢机
CN111235572A (zh) * 2020-01-17 2020-06-05 黄山诺帆科技装备制造有限公司 搪瓷、不粘、燃气辐射加热炉
CN111545858A (zh) * 2020-05-12 2020-08-18 深圳市鑫陶窑炉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钎焊炉
CN111960658B (zh) * 2020-09-20 2023-08-22 连云港三明石英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芯管定位夹具的专用ovd烧结石英炉
CN113008040A (zh) * 2021-03-17 2021-06-22 万博汇电子实业(定南)有限公司 一种可快速冷却的真空烧结炉
CN112985069B (zh) * 2021-04-09 2022-12-06 江西科技学院 一种多级回转式气氛烧结炉及其烧结工艺
CN114562866B (zh) * 2022-02-17 2023-03-24 苏州市中辰昊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电池烘干炉
CN115093228B (zh) * 2022-06-24 2023-04-18 南京中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的远红外纳米陶瓷粉及其在散热涂料制备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94U (ja) * 1993-10-28 1995-05-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連続式熱処理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8141A (en) * 1948-09-22 1952-03-04 Gen Electric Continuous type furnace
US3778221A (en) * 1969-02-26 1973-12-11 Allegheny Ludlum Ind Inc Annealing furna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4397451A (en) 1981-06-10 1983-08-09 Chugai Ro Kogyo Co., Ltd. Furnace for the heat treatment of scale-covered steel
JPS60138065A (ja) * 1983-12-27 1985-07-22 Chugai Ro Kogyo Kaisha Ltd ガス浸炭焼入方法およびその連続式ガス浸炭焼入設備
JPS6127485A (ja) * 1984-07-17 1986-02-06 中外炉工業株式会社 連続式雰囲気熱処理炉
JPH0714353Y2 (ja) * 1988-07-08 1995-04-05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ハース型熱処理炉
JPH076746B2 (ja) * 1989-01-23 1995-01-3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多室炉における被処理物搬送装置
US5128286A (en) 1989-06-20 1992-07-07 Tonen Corporation Boron-containing, silicon nitride-based ceramic shaped body
JPH03125897A (ja) * 1989-10-12 1991-05-29 R I Denshi Kogyo:Kk 酸素濃度極低下雰囲気炉
DE4034653A1 (de) * 1990-10-31 1992-05-07 Loi Ind Ofenanlagen Verfahren und durchstossofen zum waermebehandeln von werkstuecken
JPH06323740A (ja) * 1993-05-14 1994-11-25 Tokai Konetsu Kogyo Co Ltd セラミックチェンガイド付ローラハース炉
JPH06330153A (ja) 1993-05-21 1994-11-29 Daido Steel Co Ltd 連続式熱処理炉における被処理材の装入及び抽出制御方法
DE4420464A1 (de) * 1994-06-13 1995-12-14 Loi Ind Ofenanlagen Ofen zum Erwärmen von Werkstücken
JP4023562B2 (ja) 1996-02-15 2007-12-1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連続式熱処理炉
US5997286A (en) * 1997-09-11 1999-12-07 Ford Motor Company Thermal treating apparatus and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94U (ja) * 1993-10-28 1995-05-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連続式熱処理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16B1 (ko) 2011-11-18 2012-09-03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롤러콘베이어식 소성로에서의 비상운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6960A (zh) 2002-05-01
ES2300308T3 (es) 2008-06-16
DE60133520D1 (de) 2008-05-21
EP1780487B1 (en) 2013-06-19
EP1197720A1 (en) 2002-04-17
CN100397020C (zh) 2008-06-25
US20020045144A1 (en) 2002-04-18
EP1197720B1 (en) 2008-04-09
EP1780487A3 (en) 2008-03-12
TW500910B (en) 2002-09-01
US6530780B2 (en) 2003-03-11
CA2358434C (en) 2008-01-15
EP1780487A2 (en) 2007-05-02
ES2428144T3 (es) 2013-11-06
CA2358434A1 (en) 2002-04-10
DE60133520T2 (de) 2009-05-07
KR20020028797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463B1 (ko) 연속 소성로 및 그 사용 방법
US5997286A (en) Thermal treating apparatus and process
JP4878564B2 (ja) 連続浸炭炉
US7507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continuous movement through a furnace
JPH06506180A (ja) ガス支持コンベアを備えたガラス板徐冷窯
US7196297B2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ly uniform materials processing
US44551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mical heat treatment of steel parts utilizing a continuous electric furnace
CN102620559A (zh) 一种新型坑道式折叠轨道连续烧成窑炉及其烧制方法
KR101289105B1 (ko) 소재 가열로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가열 방법
JP4472854B2 (ja) 連続焼成炉及びその使用方法
US4540363A (en) Ingot pusher furnace
US4106893A (en) Sintering furnace
EP0035865B1 (en) Vertical-shaft type kiln provided with means for transporting goods therethrough
KR100195970B1 (ko) 히터봉으로 구획된 열처리실을 갖는 상향장전식 열처리로
EP0237334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firing of ceramic products
JP4587022B2 (ja) 連続焼成炉および連続焼成方法
KR880000469B1 (ko) 수직형 연속 소둔로 및 그 조업방법
JP4483064B2 (ja) 連続焼成炉
JP3148438B2 (ja) ビームキルン
SU989288A1 (ru) Туннельна печь дл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из порошка
KR200255892Y1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용 브레이징 대상물 이송 장치
JP3148440B2 (ja) ビームキルン
JP3148439B2 (ja) ビームキルン
JPH0642877A (ja) ビームキルン
KR20020096405A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용 브레이징 대상물 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