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666B1 -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666B1
KR100615666B1 KR1020047002397A KR20047002397A KR100615666B1 KR 100615666 B1 KR100615666 B1 KR 100615666B1 KR 1020047002397 A KR1020047002397 A KR 1020047002397A KR 20047002397 A KR20047002397 A KR 20047002397A KR 100615666 B1 KR100615666 B1 KR 10061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s
tea
flower
tea tre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441A (ko
Inventor
지잉 수
Original Assignee
지잉 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잉 수 filed Critical 지잉 수
Publication of KR2004004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Toxicology (AREA)
  • Obesity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나무제품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차나무꽃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공방법은 채집, 탈수, 증열처리, 건조, 급속냉동 및 분쇄단계를 포함한다. 채집단계에서 수분되기 2 내지 3일전부터 수분된 후 2 내지 3일내의 차나무꽃을 선택하여 참대제 또는 비닐제 바구니에 담고 채집한 차나무꽃을 즉시 여러급별로 나누어 널어 놓으며; 탈수단계에서 차나무꽃을 2 내지 5cm의 두께로 대삿자리 또는 세멘트바닥에 널어 놓고 한시간에 한번씩 뒤번져 놓는바 생화를 널어 말리워 탈수시키는 시간은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한 탈수시간은 6시간이며; 탈수를 끝낸 후 증열처리단계에서 직접 차제조형증열처리기를 이용하여 차나무꽃주위의 온도가 80 내지 100도로 되도록 제어하며; 건조단계에서 건조는 여러번에 나누어 진행되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차 건조하는 것이며 건조시의 온도를 60 내지 180도범위에 제어하며 건조기 평판위의 꽃두께는 각각 2 내지 3cm이며 매번 건조시킨 후에 건조기에서 꺼내여 냉각시키며 상기 냉각시간을 점차적으로 연장하며; 급속냉동단계에서, 영하 20 내지 40도의 온도에서 20분간 급속히 냉동시키며; 분쇄단계에서는 냉동단계를 끝낸 차나무꽃을 즉시 분쇄기에 넣어 분쇄시킨다. 본 발명은 전부의 가공과정에서 모두 자연적인 가공방법을 이용하며 아무런 화학반응이거나 화학추출방법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나무꽃의 자연적인 영양성분과 여러가지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보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A PROCESS FOR TEA FLOWER}
본 발명은 차(茶)제품의 가공방법 및 이의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및 이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차는 인류가 제일 처음으로 이용한 순천연적인 음료이며 중국은 또한 전세계에서 차자원을 가장 먼저 개발이용한 나라이다. 차음료 및 차잎추출물이 생리작용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차는 해독작용과 지방감소작용, 그리고 년로방지 및 항암작용등 여러가지 작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용을 발생하는 주요성분은 차폴리페놀(tea polyphenols)이다. 차폴리페놀은 차잎중의 주요활성성분으로서 독특한 강산화작용을 갖고 있는바 가장 이상적인 천연적산화방지제이다. 차폴리페놀은 동물 및 식물기름, 식품, 음료수, 수산품, 우유제품, 사탕류, 의약보건제품등에 광범히 이용되고 있다.
차나무꽃은 차나무의 생식기관으로서 그 성장주기가 길기에 체내에 대량의 유기물질이 저장되어 있다. 특히 차폴리페놀, 아미노산, 단백질, 차다당류(tea polysaccharides), 사포닌(saponins)의 함유비율이 매우 높다. 인류는 이전부터 차나무를 심고 또 차를 이용하여 왔었지만 차나무꽃에 관한 연구와 응용은 홀시했으며 차나무가 꽃피고 열매 맺는 것은 후대를 번식하기 위한것이라고만 인정해왔다. 하지만 중국의 실정을 보면 차나무의 번식은 오래전부터 클론(clone)기술을 이용하여 무성방식으로 후대를 번식하여왔다. 따라서 차나무 종자의 사용비율이 극히 적기에 차나무가 꽃피고 열매를 맺는 것이 차나무에 있어서는 매우 큰 부담으로 되고 있다. 이는 차나무의 꽃싹이 분화(分化)되어서부터 차씨가 숙성되기까지 18 내지 20개월간 수요되며 이 성장기내에 차나무는 종자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꽃이 피고 새로운 생명을 성장시키므로 이들은 기나긴 성장발육기간내에 서로 물, 비료, 영양분을 다투어 흡수한다. 전해의 꽃종자와 당해의 꽃이 꽃싹의 45-55%를 차지하는바 이러한 과도한 생식 및 성장은 영양흡수에 엄중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차잎의 품질에 일정한 정도로 영향을 준다. 차나무의 생식발육을 "종지(終止)"시키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차나무꽃을 떼어내면 5천년래 줄곧 페기물로 인정되여 왔던 차나무꽃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차나무꽃의 품질과 산량을 제고할 수 있다.
차나무꽃은 차나무의 정화(精華)로서 무더운 여름에 싹이 트고 추운 겨울에 꽃이 핀다. 꽃의 색갈로는 흰 색, 옅은 노란 색 및 분홍색이 있고 꽃의 직경은 4 내지 9mm이다. 꽃잎은 단엽(single lobe)과 복엽(multi lobe)두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5 내지 9잎의 꽃잎으로 이루어진다. 차나무꽃은 이화수분형인 양성화로서 한송이 꽃에 200 내지 300개의 웅예가 있고 웅예의 중심에 자예가 있다. 성숙된 차나무꽃은 꽃꿀을 빚어낼 수 있어 향기로운 냄새를 갖고 있다.
차나무꽃은 성장기간이 길지만 매우 여리므로 꽃을 선택한 후 채집, 운송하여 제품으로 가공하는 것은 간단하고도 복잡한 생산가공과정으로서 표면상으로는 간단히 보이지만 실제상 매개 가공과정에 대한 기술요구가 매우 높으며 만일 어느 가공과정에서 엄밀한 기술조작에 따라 가공하지 않았을 경우, 꽃속의 유효물질이 가공중에서 손실되어 휘발되므로 이런 경우에 꽃제품은 외형만 갖고 있을 뿐 양호한 품질이 부족한 페품으로 밖에 될 수 없는바 이는 노동력과 재력에 대한 랑비로 된다. 꽃은 차의 정화로서 꽃채집은 차의 정화를 얻기 위해서인바 꽃속에 함유된 유효물질을 생산가공과정에서 최대한으로 보존하는 관건적인 요소는 생산가공방법의 장악수준과 생산가공과정에 대한 과학기술의 응용정도이다. 기존기술중에 차나무꽃의 가공방법에 관하여서는 그 어떤 기재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나무꽃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차나무꽃을 가공하는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및 가공제품을 개발연구하는 것이 본 발명의 최초의 목적이다.
본 발명인은 세세대대로 차업을 경영하는 가정에서 태여나 여러해간의 차잎생산과 차나무꽃의 연구생산, 가공등 영역에 대한 실천경험에 근거하여 반복적인 연구를 거쳐 새로운 방법을 구상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기술성을 갖고 있으며 가공과정이 엄밀하고 간단하며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제품인 선도유지된(Freshness-kept) 차나무꽃, 마른 꽃, 화분, 화분분말, 꽃의 추출물등은 의약보건, 식품, 음료, 화장품, 부녀와 영아용품, 방직화공등 영역에 광범히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방법은 채집, 탈수, 증열처리, 건조, 급속냉동 및 분쇄단계를 포함한다. 채집단계에 서 수분(授粉)되기 2 내지 3일전부터 수분된 후 2 내지 3일내의 차나무꽃을 선택하여 참대제 또는 비닐제 의 바구니에 담고 채집한 차나무꽃을 즉시 여러급별로 나누어 널어 놓으며; 탈수단계에서 차나무꽃을 2 내지 5cm의 두께로 대삿자리 또는 세멘트바닥에 널어 놓고 한시간에 한번씩 뒤번져 놓는바 생화를 널어 말리워 탈수시키는 시간은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한 탈수시간은 6시간이며; 탈수를 끝낸 후 증열처리단계에서 직접 차제조용 증열처리기를 이용하여 차나무꽃 주위의 온도가 80 내지 100도로 되도록 제어하며; 건조단계에서 건조는 여러번에 나누어 진행되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차 건조하는 것이며 건조시의 온도를 60 내지 180도범위에 제어하며 건조기 평판위의 꽃두께는 각각 2 내지 3cm이며 매번 건조시킨 후에 건조기에서 꺼내여 냉각시키며 상기 냉각시간을 점차적으로 연장하며; 급속냉동단계에서, 영하 20 내지 40도의 온도에서 20분간 급속히 냉동시키며; 분쇄단계에서는 냉동단계를 끝낸 차나무꽃을 즉시 분쇄기에 넣어 분쇄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전부의 가공과정에서 모두 자연적인 가공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아무런 화학반응이거나 화학추출방법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나무꽃의 자연적인 영양성분과 여러가지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보존할 수 있다.
ㄱ. 꽃채집: 꽃 및 꽃제품의 품질은 우선 차나무꽃원료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차나무꽃의 선택표준은 매우 엄격하다.
1. 차나무꽃이 피는 시일: 차나무꽃이 피는 시일은 꽃의 산지(産地)와 종류에 따라 부동한 바 일반적으로 당해의 10월부터 이듬해의 1월까지이다.
2. 생화선택표준: 꽃속에 8%이상의 차폴리페놀이 함유된 차나무꽃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나무꽃봉오리(아직 피지않은 꽃이거나 꽃잎이 금방 화예(꽃술)로부터 탈락된 꽃, 수분되기 전후의 2 내지 3일간에 꽃잎이 생신한 꽃을 선택한다. 꽃잎이 이미 시든 꽃은 선택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를 채집할 때에 조심히 뜯고 가볍게 놓아 화예가 탈락되지 않도록 또는 될수록 적게 탈락되도록 하여 꽃송이의 완전성을 유지시키며 생화를 통풍이 잘 되는 참대제 또는 환경보호형 꽃바구니나 광주리에 3kg을 초과하지 않을 정도로 담는다. 차밭에 큰 꽃광주리를 설치하며 광주리 밑부분에 쌓여진 차나무꽃이 통풍불량에 의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5kg 이하로 제한한다. 최초제조장소에 수송된 생화를 순서에 따라 제때에 대삿자리 또는 세멘트바닥에 널어 말리운다. 이슬이나 빗물이 묻은 꽃은 탈수처리에 의하여 표면층의 물을 제거한 후에야만 널어 말리울 수 있다. 그 두께는 2 내지 5cm를 초과하지 않기에 습기나 수분이 효과적으로 외부에 배출될 수 있다. 한시간에 한번씩 가볍게 뒤번져 놓아 널어 말리우는 과정에서 생화중의 10 내지 15%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소실되도록 한 후 다음 단계의 가공을 진행한다.
ㄴ. 선도가 유지된 꽃: 선도가 유지된 꽃의 제조에 사용되는 꽃의 채집은 일반적인 꽃보다 더욱 엄격한바 꽃떨기가 크고 화관(花冠, 꽃갓)이 완전한 7 내지 9mm의 복엽꽃을 선택한다. 빗물이나 이슬이 묻은 꽃은 선택하지 않는다. 기타 채집요구는 ㄱ와 같다. 선도유지된 꽃을 제조할 경우에는 채집과정에서 요구가 엄격할 뿐만아니라 탈수한 후에도 자세히 선택하여 널어 말리워야 한다. 생화의 호흡이 정지되어 수분이 자연적으로 5 내지 8% 범위로 소실된 후 주머니에 넣고 산소를 흡출하고 질소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50 내지 100그람씩 작은 주머니로 포장한다. 다음 50내지 200주머니씩 한상자에 포장하고 섭씨 2 내지 8도의 선도유지창고내에 보관한다. 선도유지창고는 정결하고 통풍이 잘 되어야 한다.
ㄷ. 마른 꽃: 마른 꽃 원료에 관한 요구는 선도유지꽃과 같다. 가공프로세스는 탈수 → 증열처리 → 건조이다(네번에 나누어 진행). 생화를 자연적으로 10 내지 15%의 수분을 잃을 때까지 널어 말리운 후 증열처리를 진행한다. 가장 바람직한 증열처리기는 60K,120K,180K형증열처리기와 철가마시루이다. 120K형증열처리기를 이용할 경우, 0.2kg/㎠2의 기체압력으로 꽃주위의 온도가 80 내지 100도로 될 때까지 가열한다. 바람직하게는 매시간에 200 내지 250kg의 꽃을 증열처리기에 첨가하여 말리운다. 꽃잎이 시들고 꽃색이 생화의 색깔보다 좀 짙어지면 증열처리기에서 꺼내여 냉각시킨다. 증열처리기내에서 폴리페놀산화효소가 제거되고 꽃표면의 수분이 증가되지만 꽃내부의 유효성분과 수분은 감소되지 않는다. 꽃속의 물질이 석출되거나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어 말리울 때에 뒤번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시간후에 꽃표면층이 수분이 증발되면 다음의 가공단계를 시작한다. 건조단계는 네번에 나누어 진행된다. 건조시, 10,14,16형 및 수동(手動)백엽(百葉)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연료는 나무, 석탄, 전기 천연가스 등이며 햇빛쪼임을 하지 않는 것(주로 내부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이 바람직하다. 만일 16형건조기를 이용하면, 제1차부터 제4차까지의 온도는 각각 60 내지 180도 범위에 속하며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100도이다. 건조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건조온도가 너무 높으면 차나무꽃의 영양성분에 영향을 끼치므로 건조평판위의 꽃의 두께는 각각 2 내지 3cm로 설정한다. 건조온도는 꽃속의 수분양이 감소됨에 따라 낮출 수 있으며 꽃을 말리우는 양(烘花量)은 꽃속의 수분이 감소됨에 따라 증가하여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건조단계에서 수분함유량은 각각 70%->50%->30%->8%->5% 내외로 변화되며, 수분함유량이 적절한 양에 도달하면 건조간격과정에 건조기에서 꺼내여 냉각시킨다. 냉각시간은 각각 1 내지 2시간, 2 내지 3시간, 3 내지 4시간이며 마지막으로 40시간 널어 말리운 후 건조를 진행한다. 널어 말리우는 경우에, 그 두께는 3 내지 10cm이다. 수분함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널어 말리우는 두께를 증가할 수 있으며 전체 건조과정에서 "온도, 꽃의 첨가량, 건조시간"을 엄격히 제어하여 꽃의 수분함유량을 제어하며 이들지간의 변증법적관계를 잘 응용하는 것은 꽃속의 수분을 제어하는 관건적인 요소이다. 제품인 마른 꽃을 10 내지 20kg 환경보호박스에 내외두층으로 포장하여 섭씨2 내지 10도의 선도유지창고에 보관한다. 예물곽과 편이주머니에 50 내지 100그람씩 포장하고 100곽 또는 50곽씩 대, 중박스로 포장하여 시장에 진입시킨다.
ㄹ. 차나무꽃분말: 차분말의 원료로는 채 피지 않은 꽃봉오리부터 이미 피였지만 시들지 않은 생화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차폴리페놀의 함유량은 8%이상이여야 한다. 차나무꽃을 채집하여 차나무꽃분말을 제조하려면 채집한 생화를 먼저 인공선택하여 시간이 오래되어 늙은 꽃(Old yellow flowers), 꽃잎이 시든 꽃, 꽃색이 변한 꽃을 전부 가려내여 이들이 가공단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미 선택된 생화를 널어 말리운다. 빗물이나 이슬이 묻은 꽃은 제때에 표면의 물을 증발시킨 후 다시 널어 말리운다. 널어 말리우는 꽃의 두께, 가공방법은 마른 꽃의 가공방법과 같다. 마지막에 건조를 거쳐 마른 꽃중의 수분함유량이 5 내지 6%범위에 유지된다. 다음 통용밀페식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10-3800메시 내지 1nm정도의 크기로 분쇄되어 차나무꽃의 각종 분말을 형성한다.
차나무 생화를 초미분으로 가공하는 순서: 이미 선택을 걸친 차나무꽃을 탈수처리를 진행한 후 순간적으로 300메시이상의 차나무꽃 초미분으로 분쇄한다. 이러한 가공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은 차나무꽃속의 유효물질, 약학성분과 원료의 천연적인 특성을 최대한으로 보존할 수 있다.
차나무꽃의 급속냉동가공단계에서 이미 선택을 걸친 차나무꽃을 영하20 내지 40도의 저온에서 20분간 급속냉동시킨 후 분쇄하어 상술한 품질의 차나무꽃분말을 제조한다. 이 단계에서 차나무꽃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은 파괴되지 않는다.
부동한 수요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뒤처리과정에는 차나무꽃속의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즉 이미 선택을 걸친 차나무생화와 마른 꽃을 이용하여 디아미노화추출(diamine extraction)을 진행하여 꽃속의 유효물질을 얻는 단계; 이미 선택을 걸친 차나무생화와 마른 꽃을 분리기내에 넣어 분리시켜 꽃잎, 화예, 화분, 화탁(receptacle)등 차나무꽃의 각종 개체(individual)를 얻는 차나무꽃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체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부동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나무꽃에 관한 독특한 가공방법을 제공하였다. 상기 가공방법의 부동한 단계에 의하여 부동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시장과 소비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보성 및 이용성이 구비된 신규기술로 인정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에 응용되는 기술원리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개선을 진행하였을 경우에, 발생되는 기능 및 작용이 여전히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범위에 속하면 이러한 개선 역시 본 발명에 속한다.

Claims (3)

  1. 채집단계에서 수분되기 2 내지 3일전부터 수분된 후 2 내지 3일내의 차나무꽃을 선택하여 참대제 또는 비닐제 바구니에 담고 채집한 차나무꽃을 즉시 여러급별로 나누어 널어 놓으며; 탈수단계에서 차나무꽃을 2 내지 5cm의 두께로 대삿자리 또는 세멘트바닥에 널어 놓고 한시간에 한번씩 뒤번져 놓는바 생화를 널어 말리워 탈수시키는 시간은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탈수를 끝낸 후 증열처리단계에서 직접 차제조용증열처리기를 이용하여 차나무꽃주위의 온도가 80 내지 100도로 되도록 제어하며; 건조단계에서 건조는 3 또는 4차로 나누어 진행되는바, 건조시의 온도를 60 내지 180도 범위에 제어하며 건조기 평판위의 꽃두께는 각각 2 내지 3cm이며 매번 건조시킨 후에 건조기에서 꺼내어 냉각시키되, 냉각시간을 점차적으로 연장하며; 급속냉동단계에서, 영하 20 내지 40도의 온도에서 20분간 급속히 냉동시키며; 분쇄단계에서는 냉동단계를 끝낸 차나무꽃을 즉시 분쇄기에 넣어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에서 널어 말리우는 시간이 6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3. 삭제
KR1020047002397A 2001-08-20 2001-08-20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KR10061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1/001229 WO2003015529A1 (fr) 2001-08-20 2001-08-20 Procede de traitement d'une fleur utilisee dans la preparation du t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41A KR20040040441A (ko) 2004-05-12
KR100615666B1 true KR100615666B1 (ko) 2006-08-25

Family

ID=457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397A KR100615666B1 (ko) 2001-08-20 2001-08-20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26005B2 (ko)
EP (1) EP1425974B1 (ko)
JP (1) JP2004537324A (ko)
KR (1) KR100615666B1 (ko)
AT (1) ATE376776T1 (ko)
CA (1) CA2457070C (ko)
DE (1) DE60131201T2 (ko)
TR (1) TR200400210T2 (ko)
WO (1) WO2003015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82B1 (ko) * 2009-02-03 2011-09-14 정소암 차(茶)꽃을 포함한 찻잎 와인의 제조방법
CN102986948A (zh) * 2012-12-02 2013-03-27 湖南金拓天油茶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油茶花组合袋泡茶的制备方法
CN105981854A (zh) * 2015-02-10 2016-10-05 陈国远 茶树花加工工艺
CN108740143A (zh) * 2018-05-30 2018-11-06 蹇清卯 一种含笑花茶的制作方法
CN108887410A (zh) * 2018-06-11 2018-11-27 朱光 一种兰花香绿茶的制备工艺
CN108902367A (zh) * 2018-06-26 2018-11-30 广西春之森茶业有限责任公司 一种有机茉莉花毛尖的制作方法
CN111034834A (zh) * 2020-01-13 2020-04-21 沈阳农业大学 一种榛子花袋泡茶的制备方法
CN114668056A (zh) * 2022-03-25 2022-06-28 光照人(厦门)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糖尿病的有机茶调理配方及其应用
CN115644341A (zh) * 2022-11-07 2023-01-31 山东蓝奥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花卉酶解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7466164B1 (ja) 2023-09-18 2024-04-12 一般社団法人ジャパンオーガニックパーティー 茶花の有効利用形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4799A (en) * 1975-06-07 1976-12-13 Tetsutaro Takeda Process for preparing tea substitute
JPS62166846A (ja) * 1986-01-16 1987-07-23 Kenji Oota 茶の製造法
JPS62232363A (ja) * 1986-04-01 1987-10-12 Kenji Oota 玄米茶の元製造法
JPH0269143A (ja) * 1988-09-01 1990-03-08 Marusada Seichiya Kk 緑茶
JPH02167031A (ja) * 1988-12-21 1990-06-27 Marusada Seichiya Kk 緑茶
JP2604252B2 (ja) * 1989-11-28 1997-04-30 株式会社 フタバ 乾燥食用紫菊の製造方法
CN1025278C (zh) * 1991-01-09 1994-07-06 广东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用茶花制茶方法
JPH08140577A (ja) * 1994-11-18 1996-06-04 Osaka Yakuhin Kenkyusho:Kk ハス茶
JP3510930B2 (ja) * 1995-02-20 2004-03-29 株式会社福楽商店 アピオス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6040B2 (ja) * 1997-07-31 2011-04-27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組成物
JP2002241299A (ja) * 2001-02-13 2002-08-28 Ichimaru Pharco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CA2451144A1 (en) * 2001-06-21 2003-01-03 Kyowa Hakko Kogyo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 plant extract containing plant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1201T2 (de) 2008-08-07
US20040258813A1 (en) 2004-12-23
CA2457070A1 (en) 2003-02-27
DE60131201D1 (de) 2007-12-13
JP2004537324A (ja) 2004-12-16
TR200400210T2 (tr) 2004-11-22
KR20040040441A (ko) 2004-05-12
EP1425974A4 (en) 2005-01-12
CA2457070C (en) 2008-11-18
EP1425974A1 (en) 2004-06-09
EP1425974B1 (en) 2007-10-31
ATE376776T1 (de) 2007-11-15
WO2003015529A1 (fr) 2003-02-27
US7026005B2 (en)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1012B (zh) 茶叶的加工生产方法
CN102113594B (zh) 金银花微粉茶
CN104171172B (zh) 茶树花的加工方法
CN103947810B (zh) 牡丹红茶、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587C (zh) 茶树花加工工艺
CN102987034A (zh) 一种金花茶红茶的加工方法
CN102657274A (zh) 杜仲雄花茶及其制作方法
KR100615666B1 (ko)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CN101129189A (zh) 茶树鲜花的加工方法
CN106720808B (zh) 食叶草功能性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788449B1 (ko) 모링가 송이버섯 발효차와 이의 제조방법
CN110279010A (zh) 一种单宁酶恒温酶解技术制备蒸青抹茶的方法
CN112273493A (zh) 桑叶黑茶的制作方法
CN103283896A (zh) 一种杜仲雄花茶的制备方法
CN109845861A (zh) 一种澳洲坚果花花茶的制备方法
KR101811516B1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CN113016916A (zh) 真空冷冻干燥制备森淼金紫冠文冠果花茶的方法
KR101811517B1 (ko) 모링가 쌀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89267B1 (ko) 벼잎차 및 그 제조방법
CN108567042A (zh) 一种香气浓郁的无花果干茶片的制备方法
CN102396610A (zh) 金花茶叶花式黄茶的制备方法
RU215496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ового продукта столовой свеклы
CN107411052A (zh) 一种红椎菌粉的生产工艺
KR200354088Y1 (ko) 국화차 티백
KR102118699B1 (ko)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발포비타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