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88Y1 - 국화차 티백 - Google Patents

국화차 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88Y1
KR200354088Y1 KR20-2004-0009489U KR20040009489U KR200354088Y1 KR 200354088 Y1 KR200354088 Y1 KR 200354088Y1 KR 20040009489 U KR20040009489 U KR 20040009489U KR 200354088 Y1 KR200354088 Y1 KR 200354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hrysanthemum
bag
flow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to KR20-2004-0009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화차 티백에 관한 것으로, 소금과, 감초, 당귀, 생강 또는 생지황 가운데 2이상의 한약재 성분을 첨가한 열수에, 선별된 국화꽃을 넣고 1-2분간 삶은 다음, 열풍 건조실에서 10-1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을 5-20%로 맞춘 국화차 소재를 40-60메시로 분쇄한 국화차 소재 분말을 이용한 것으로,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의 수용포대(2)와 끈(5)으로 연결된 손잡이(6)로 구성된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2)의 내부에 국화차 소재 분말(8)을 함입 내장시킨 국화차 티백(1)의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리 한방이나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음용해온 국화꽃을 차의 소재로 하여, 각종 한약재 성분을 함유시킨 기능성 차를 개발함으로써, 국화꽃 고유의 향을 유지하면서도 갈증을 해소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숙취 등으로 인한 두통, 감기, 현기증 예방 등의 약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국화차 티백{Chrisanthemum Tea Bag}
본 고안은 국화차 티백에 관하여, 좀더 상세하게는 소금과, 감초, 당귀, 생강 또는 생지황 가운데 2이상의 한약재 성분을 첨가한 열수에, 선별된 국화꽃을 넣고 1-2분간 삶은 다음, 열풍 건조실에서 10-1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을 5-20%로 맞춘 국화차 소재를 40-60메시로 분쇄한 국화차 소재 분말을 이용한 것으로,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의 수용포대와 끈으로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의 내부에 국화차 소재 분말을 함입 내장시킨 국화차 티백의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리 한방이나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음용해온 국화꽃을 차의 소재로 하여, 각종 한약재 성분을 함유시킨 기능성 차를 개발함으로써, 국화꽃 고유의 향을 유지하면서도 갈증을 해소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숙취 등으로 인한 두통, 감기, 현기증 예방 등의 약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국화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숙근초(宿根草)로서, 줄기는 목질이며 겨울에 시드는 것이 보통이고, 잎은 얕게 또는 깊게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국화로는 산국, 감국, 산구절초, 갯국화 등이 있다.
국화꽃은 일교차가 크고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료를 주지 않더라도 야행성이 있어서 잘 자라는 화초이다. 또한, 해충이나 질병이 없어 재배하기가 대체적으로 쉬운 편에 속하며, 묘목은 1년생 뿌리를 채취하여 30cm 정도를 4월말-5월초에 심으면 장마철에 50cm 정도 자라며 9월말-10월초에 꽃이 만발한다.
상기 국화꽃을 이용한 국화차는, 가을 이슬이 내릴 때 마시기 좋은 차로, 가을에 국화차 이상 좋은 차는 없을 만큼 그 향기가 그윽하기 그지없어 가히 으뜸으로 여겨져 왔다.
즉, 가을 이슬이 내릴 때 산야의 감국을 따서 볕에 말려 꼭 밀봉해 두었다가 차로 끓이면, 그 향기가 이를데 없거니와 정신이 맑아지고 한여름에는 갈증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용도로 애용되고 있다.
예컨데, 국화의 꽃에는 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보시릭산, 아카세틴이 함유되어 있고, 잎과 줄기, 뿌리에는 아테닌, 쵸린스타치드린, 크리산테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한 국화차는 두통, 고혈압, 저혈압, 풍열, 청열해독, 생선 비브리오균 억제, 노인이나 백내장 등의 노인병 예방, 그리고 간장과 눈을 보호해주고 피로회복과 소화를 도와주며 피부미용, 아토피성 피부염치료, 중금속 해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제주도에서와 같은 폐원된 감귤밭에 국화꽃을 심으면 농약이나 비료를 줄 필요없이 2~3회 김매기만 하면 국화는 잘 자라며, 국화꽃은 한번 개화하면 대략 1개월 정도 관상이 가능한 것으로, 꽃이 필 때 전량 수확하여 대체작물로서 재배가 가능하여, 기존에 관상용으로만 취급되던 국화의 용도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에는 상기 국화(주로 국화꽃)를 이용한 각종 기능성 음료가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주목을 받는 것이 국화차이다.
예를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16185호(1998. 5. 25. 공개)에는 국화차의 제조방법으로서, 야생국화를 그늘에서 2-3개월 1차 건조시켜 잘게 절단한 후 찜질기에 넣고 90℃에서 4시간 정도 찐 다음, 50℃로 유지된 건조실에서 48시간 정도 2차 건조시키고, 이를 다시 볶음솥에 넣어서 30-40분 볶은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국화차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제조방법은 건조 및 분쇄 후 찌고 볶은 다음 다시 분쇄하는 공정이 결코 단순하지 만은 않고, 2번의 분할 건조를 거쳐 30분 이상을 볶기 때문에 제품의 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특히 음용시 국화가 갖는 약효성분과 국화 고유의 향이 충분히 우러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소금과 한약재 성분을 첨가한 열수에, 선별된 국화꽃을 넣고 1-2분간 삶은 다음, 열풍 건조실에서 10-1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을 5-20%로 맞춘 국화차 소재를 40-60메시로 분쇄한 국화차 소재 분말을 이용한 것으로,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의 수용포대와 끈으로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의 내부에 국화차 소재 분말을 함입 내장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우리 한방이나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음용해온 국화꽃을 차의 소재로 하여, 각종 한약재 성분을 함유시킨 기능성 차를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국화차 티백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국화차 티백을 티백포대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국화차 티백 2 : 수용포대 3,7 : 고정핀
4 : 접지 5 : 끈 6 : 손잡이
8 : 국화차 소재 분말 9 : 티백포대 10 : 덮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소금과, 감초, 당귀, 생강 또는 생지황 가운데 2이상의 한약재 성분을 첨가한 열수에, 선별된 국화꽃을 넣고 1-2분간 삶은 다음, 열풍 건조실에서 10-1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을 5-20%로 맞춘 국화차 소재를 40-60메시로 분쇄한 국화차 소재 분말을 이용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의 수용포대(2)와 끈(5)으로 연결된 손잡이(6)로 구성된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2)의 내부에 상기 국화차 소재 분말(8)을 함입 내장시킨 국화차 티백(1)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성분은 감초, 당귀, 생강 또는 생지황 가운데 2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것으로, 각각의 배합비율을 특정하지는 않으나 대략 동량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국화꽃은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자연 그대로의 토양에 순수 퇴비만을 사용하고 농약은 일절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 자란 국화꽃의 여린 잎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국화꽃의 채취시기와 관련하여, 통상 국화꽃은 늦가을부터 피기 시작하지만 꽃이 피기 시작하면 된서리를 맞을 수 있으므로, 국화 고유의 향과 약효성분에 치명적인 된서리가 내리기 전에 행하는 꽃잎의 채취 작업도 중요하다.
한편, 상기 본 고안에서는, 함수율을 조정한 국화차 소재를 분쇄한 티백의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함수율을 조정한 국화차 소재를 곧바로 진공 포장용기에 넣어 덕용 제품으로 출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대한민국 제주도 한라산 인근 청정지역에서 재배한 국화(감국)의 꽃잎을 채취하고 간단한 세척과정을 거쳐 깨끗한 꽃잎을 선별하였다.
이어서, 별도 준비한 소금과, 감초, 당귀, 생강 및 생지황이 첨가된 뜨거운 물에 상기 국화 꽃잎을 넣고 약 1분간 삶은 다음, 열풍 건조실에서 12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을 12%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수분 조정된 국화차 소재를 통상의 분쇄기에 넣고 50메시 정도로 분쇄한 다음, 티백 포장기에서 국화차 소재를 5g씩 담은 국화차 티백을 얻었다.
한편, 도1에는 본 고안의 국화차 티백의 일부 절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즉, 본 고안의 국화차 티백(1)은, 수용포대(2)와 끈(5)으로 연결된 손잡이(6)로 구성된 통상의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2)의 내부에 국화차 소재 분말(8)을 함입 내장시킨 국화차 티백(1)의 구성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포대(2)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봉지 형상으로서, 저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상단부가 밀폐형이고, 상단부의 일부에 접지(4)를 두고 있다.
상기 수용포대(1)의 내부에는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국화차 소재 분말(8)을 5g 정도씩 담게 되는 것으로, 따라서, 상기 수용포대(1)의 재질은 사용시 내부의 국화차 소재 분말(8)이 잘 우러날 수 있는 면포 또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포대(2)는 사용시에 온수 등의 수중에 담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취급을 위하여 손잡이(6)를 별도로 갖추고 있는데, 상기 손잡이(6)는 2겹 혹은 접은 형상의 종이 재질이 좋다.
상기 수용포대(2)의 접지(4)와 상기 손잡이(6)는 끈(5)으로 연결하고, 고정핀(3),(7)을 통해 상기 끈(5)을 상기 접지(4)와 손잡이(7)에 각각 결속한다.
도2는 본 고안의 국화차 티백(1)을 티백포대(9)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티백포대(9)는 좌, 우, 저부가 밀폐되고 상부에는 덮개(10)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10)를 통해 상부가 개봉될 수 있는 봉지 형상이다.
따라서, 평상시(제품 미개봉시)에는 국화차 티백(1)을 내부에 저장한 상태로 있다가, 국화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상기 티백포대(9)의 덮개(10)를 열고 개봉하여, 내부의 국화차 티백(1)을 편리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금과, 감초, 당귀, 생강 또는 생지황 가운데 2이상의 한약재 성분을 첨가한 열수에, 선별된 국화꽃을 넣고 삶은 다음, 건조하여 함수율을 적당하게 맞춘 국화차 소재를 분쇄하여 티백 포장하는 구성으로, 우리 한방이나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음용해온 국화꽃을 차의 소재로 하여, 각종 한약재 성분을 함유시킨 기능성 차를 개발함으로써, 국화꽃 고유의 향을 유지하면서도 갈증을 해소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숙취 등으로 인한 두통, 감기, 현기증 예방 등의 약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관련 분야에의 이용 및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1)

  1.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의 수용포대(2)와 끈(5)으로 연결된 손잡이(6)로 구성된 티백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대(2)의 내부에 국화차 소재 분말(8)을 함입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차 티백
KR20-2004-0009489U 2004-04-07 2004-04-07 국화차 티백 KR200354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489U KR200354088Y1 (ko) 2004-04-07 2004-04-07 국화차 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489U KR200354088Y1 (ko) 2004-04-07 2004-04-07 국화차 티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21A Division KR20050098406A (ko) 2004-04-07 2004-04-07 국화차 티백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88Y1 true KR200354088Y1 (ko) 2004-06-23

Family

ID=4943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489U KR200354088Y1 (ko) 2004-04-07 2004-04-07 국화차 티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086A (ko) 2020-07-15 2022-01-24 한상희 국화꽃 발효숙성 차 제조방법
KR20220141990A (ko) * 2021-04-14 2022-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바나농장 재사용이 가능한 면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086A (ko) 2020-07-15 2022-01-24 한상희 국화꽃 발효숙성 차 제조방법
KR20220141990A (ko) * 2021-04-14 2022-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바나농장 재사용이 가능한 면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2447B1 (ko) 2021-04-14 2023-08-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바나농장 재사용이 가능한 면 티백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628B1 (ko) 기능성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609756A (zh) 一种有机茶叶的加工方法
CN100382714C (zh) 一种北方代茶树的覆盆子植物原料及其保健养生茶的生产方法
KR101799288B1 (ko) 황칠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황칠차
KR101627313B1 (ko) 황칠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차
KR101062411B1 (ko)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1673573B1 (ko) 표고버섯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표고버섯차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KR100460848B1 (ko) 녹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녹차
KR20050098406A (ko) 국화차 티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225B1 (ko) 담팔수나무 잎과 열매를 이용한 환 제조방법
JP2009165410A (ja) 葡萄葉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666B1 (ko) 차나무꽃의 가공방법
KR200354088Y1 (ko) 국화차 티백
KR100786826B1 (ko) 삼백초 차의 제조방법
KR100733142B1 (ko)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705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CN108432911A (zh) 一种有机桂花红茶的加工方法
KR102605615B1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Zee et al. Small-scale tea growing and processing in Hawaii
KR102091783B1 (ko) 버섯 가공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01813A (zh) 一种蒲公英绿茶及制作方法
JP3091757B1 (ja) ケナフ茶およびケナフ茶包装製品
KR101885650B1 (ko) 침출식 유자잎차 및 그 제조방법
Simea et al. The importance and use of the species Dracocepahlum moldav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