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17B1 -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17B1
KR101723517B1 KR1020140166054A KR20140166054A KR101723517B1 KR 101723517 B1 KR101723517 B1 KR 101723517B1 KR 1020140166054 A KR1020140166054 A KR 1020140166054A KR 20140166054 A KR20140166054 A KR 20140166054A KR 101723517 B1 KR101723517 B1 KR 10172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anthemum
minutes
drying
chrysanthemum flower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873A (ko
Inventor
마성심
Original Assignee
마성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성심 filed Critical 마성심
Priority to KR102014016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국화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화꽃과 한약재를 포함하는 향미가 강화되고 국화꽃의 고유의 형태, 향, 색상, 맛을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방국화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취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벌레의 유충이나 먼지, 이물질을 2회 내지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상기 원료준비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10℃ 내지 120℃에서 5분 내지 10분간 증열 후, 송풍에 의해 3분 내지 4분간 국화꽃을 식히는 원료증열단계와, 70℃ 내지 9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원료증열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40% 내지 60%로 건조한 후, 식히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단계 이후, 35℃ 내지 5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1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13% 내지 15%로 건조한 후, 식히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35℃ 내지 150℃의 온도에서 3분 내지 5분간 덖음 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히는 덖음단계와,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이물질 및 껍질을 제거한 후, 2회 내지 3회 세척하는 한약재 세척단계와, 상기 한약재를 30℃ 내지 50℃ 온도의 건조기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하는 한약재 건조단계와, 상기 한약재 건조단계를 거친 한약재를 분쇄하여 2mm 내지 5mm 크기의 한약재를 선별하는 한약재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한약재를 20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가마솥에서 볶음 후, 식히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와,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얻어진 국화꽃 1송이 내지 2송이에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0.2g 내지 0.3g 혼합하여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방국화차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CHRYSANTHEMUM TEA}
본 발명은 한방국화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화꽃과 한약재를 포함하는 향미가 강화되고 국화꽃의 고유의 형태, 향, 색상, 맛을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방국화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으로 음용되어져 왔고, 과거에는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에서 주로 음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전세계에서 폭넓게 음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종류의 차에 함유된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차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면서, 증가된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요구에 적합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차를 개발하고자 하는 요구도 증가되고 있다. 일 예로, 국화차나 감잎차 등의 다양한 전통차에 대한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국화(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국 또는·구화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으로, 현재에도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고,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상기 국화는 과거 사군자의 하나로 귀히 여겨왔다.
상기 국화는 개화형태에 따라 하나의 꽃대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스탠다드 국화와 하나의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을 피우는 스프레이 국화 등이 있고, 상기 스탠다드 국화는 흔히 장례식이나 제례용으로 사용되는 흰색, 노란색이 국내에서는 유통되고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 구고하는 보통 꽃꽃이나 꽃다발용으로 사용되며 시장이나 화원에서 보이는 다양한 색들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상기 국화는 추위에 아주 강하여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한 여러해살이 화초로 낮의 길이가 12시간 이하 상태에서 꽃눈분화가 이루어지는 단일식물이다. 상기 국화의 생육온도는 15℃ 내지 20℃이고, 상긱 꽃눈분화온도는 18℃정도이다.
상기 국화는 보통 높이 1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며,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이다.
상기 국화의 꽃의 색은 노란색, 흰색, 빨간색 또는 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상기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이라 하고, 9cm 이상인 것을 중륜이라 하며, 그 이하인 것을 소륜이라 한다. 상기 국화의 꽃은 관상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국화차의 재료 등 음용으로도 사용된다.
국화차에 대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3-0058561 (2003.08.21)에서는, 국화꽃을 이용한 국화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깨끗이 씻은 대추와 감초와 생강을 끊는 물에 넣어 5분 내지 10분가량 우려낸 다음 상기 대추, 감초, 생강은 제거하고, 그 내에 다시 깨끗이 씻은 식용 국화꽃을 넣어 재차 5분 내지 10분가량 끊인 후, 국화꽃을 건져내어 건조실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켜 국화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있으며,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4-0013476(2004.02.27)에서는, 국화차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들 조성물은 식용국화, 구기자 및 쟈스민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식용국화는 감국 (또는 흰색 소국), 칠채 국화, 및 야국 세 종류의 국화가 특정 비율로 혼합될 때 최상의 맛과 향을 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화 특유의 향과 맛이 구기자 및 쟈스민의 향과 맛과 어우러진 국화차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한국특허등록번호 10-0375008(2003.02.22)에서는 감국화를 주재로 하는 녹국향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녹국향차는 정선된 감국화를 열기를 갖는 소금물에 침지시키고, 밀봉 건조시켜, 상기 건조된 감국화와 녹차잎을 혼합하여 밀봉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이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국화꽃을 이용한 제조방법은 식용국화를 깨끗한 물에 씻어 끊는 물에 일정시간 우려낸 다음 그 우려낸 물을 차로서 섭취하는 것이나 식용국화를 일정시간 증열시켜 분말로 만든 다음 이를 뜨거운 물에 함유시켜 차로서 섭취하는 단순한 제조방법에 국한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섭취 자들에게 국화특유의 맛고 향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국화만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므로 매우 쓴맛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화꽃을 증열한 이후, 여러 번의 건조과정을 거쳐 국화꽃의 건조시간을 줄이도록 하면서 국화꽃에서 나는 역겨운 냄새를 없애고, 국화꽃의 고유의 형태, 향, 색상, 맛을 최대한 보존하도록 하고, 몸에 유익한 한약재를 혼합하되 국화꽃의 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한약재의 유익한 성분을 함께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방국화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국화와 한약재의 성분이 음용수에 우러나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도록 하여 짧은 시간에 쉽게 한방국화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현대인에게 매우 유용한 한방국화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취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벌레의 유충이나 먼지, 이물질을 2회 내지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상기 원료준비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10℃ 내지 120℃에서 5분 내지 10분간 증열 후, 송풍에 의해 3분 내지 4분간 국화꽃을 식히는 원료증열단계와, 70℃ 내지 9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원료증열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40% 내지 60%로 건조한 후, 식히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단계 이후, 35℃ 내지 5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1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13% 내지 15%로 건조한 후, 식히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35℃ 내지 150℃의 온도에서 3분 내지 5분간 덖음 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히는 덖음단계와,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이물질 및 껍질을 제거한 후, 2회 내지 3회 세척하는 한약재 세척단계와, 상기 한약재를 30℃ 내지 50℃ 온도의 건조기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하는 한약재 건조단계와, 상기 한약재 건조단계를 거친 한약재를 분쇄하여 2mm 내지 5mm 크기의 한약재를 선별하는 한약재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한약재를 20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가마솥에서 볶음 후, 식히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와,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얻어진 국화꽃 1송이 내지 2송이에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0.2g 내지 0.3g 혼합하여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화꽃에서 나는 역겨운 냄새를 제거하고, 국화꽃 고유의 형태, 향, 색상, 맛이 최대한 보존되어 한약재의 유익한 성분과 함께 음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음용수에 담그게 되면 단시간 내에 쉽게 우러나게 되므로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한방국화꽃차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국화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국화차의 재료로 사용되는 국화꽃은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 수확할 수 있으며, 이때 국화꽃의 향이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꽃이 다 피지 않고 70% 내지 80%정도 개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개한 국화꽃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국화의 효능은 본초강목에 "장기적으로 복용을 하면 혈기에 좋으며 몸을 가볍게 하고 쉬 늙지않는다. 위장을 편안케 하여 오장을 도우며 사지를 고르게 한다. 그 밖에도 감기, 두통, 현기증에 유효하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밖에도 차로 음용하면 비타민(A, B), 콜린, 스타키드런, 아데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를 풀어주고 월경불순, 냉증을 다스리며 소화기능을 도와주고 간장기능을 도와 시력회복에 효과가 있고 비타민이 풍부하여 감기, 기침, 천식, 가래 해소, 후두염에 좋으며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 기능에도 좋아 사지가 차고 유연하지 못한 것을 풀어주며 노화를 느리게 한다.
이와 같은 국화를 이용한 본 발명은 도 1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화꽃을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S10), 준비된 국화꽃을 증열하는 원료증열단계(S15), 증열단계를 거친 국화를 1차 건조하는 단계(S20)와 2차 건조하는 단계(S25), 건조된 국화를 덖는 덖음단계(S30), 한약재를 세척하는 한약재 세척단계(S35), 한약재를 건조하는 한약재 건조단계(S40), 국화꽃과 함께 첨가될 한약재를 선별하는 한약재 선별단계(S45), 선별된 한약재를 볶는 로스팅 단계(S50) 및 한약재와 국화꽃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55)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방국화차 제조방법을 일개의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원료준비단계(S10)
채취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벌레의 유충이나 먼지, 이물질을 2회 내지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이때, 국화차의 재료로 사용되는 국화꽃은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에 채취하며, 국화꽃의 향이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꽃이 다 피지 않고 70% 내지 80%정도 개화된 국화꽃을 사용한다.
또한, 채취한 국화꽃을 세척하는 경우, 국화꽃에 있는 벌레의 유충이나 먼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2. 원료증열단계(S15)
세척이 완료된 국화꽃을 11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간 증열한 후, 송풍에 의해 3분 내지 4분간 국화꽃을 식힌다. 이렇게 증열을 이용하는 이유는 국화꽃에 잔존하는 해충의 사멸과 미생물수를 감소시키며 국화꽃에서 나는 역겨운 냄새를 없애고, 국화꽃의 꽃잎에 남아있는 효소작용을 불활성화시켜 영양소의 손실을 적게하고, 국화꽃 고유의 형태, 향, 색상, 맛을 좋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때, 120℃를 초과하거나 10분을 초과하여 증열하는 경우에는 증열과정을 거친 국화꽃의 형태가 무너지거나 국화꽃의 향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미려한 상품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10℃ 미만이거나 5분 미만으로 증열하는 경우에는 국화꽃의 역겨운 냄새가 제거되기 어려우며, 해충의 사멸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이에 국화꽃은 110℃ 내지 120℃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증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증열단계를 거친 국화꽃은 송풍을 이용하여 식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풍을 이용하여 식힐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냉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2분 내지 3분간 국화꽃을 식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삭제
3. 1차 건조단계(S20)
상기 원료증열단계(S15)를 거친 국화꽃을 70℃ 내지 95℃ 온도의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건조한 후, 식힌다.
이때, 상기 원료증열단계(S15)를 거친 국화꽃을 70℃미만으로 건조시킬 경우 건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95℃를 초과하여 건조시킬 경우 국화꽃에 갈변현상이 일어나 상품성이 저하됨은 물론 국화꽃의 향이나 맛이 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원료증열단계(S15)를 거친 국화꽃을 1차 건조시킬 경우에는 70℃ 내지 9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수분함량이 너무 낮게 되면 국화꽃이 부스러져 국화꽃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어렵고 수분 함량이 너무 많으면 보존성이 떨어지므로 1차 건조단계에서의 수분함량은 40% 내지 6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국화꽃의 1차 건조시 원적외선을 가하면서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4. 2차 건조단계(S25)
상기 1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은 수분함량이 13% 내지 15%가 되도록 35℃ 내지 55℃의 건조기에서 2차 건조시킨 후 식힌다.
이때, 건조기의 온도가 35℃미만인 경우 건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55℃를 초과하는 경우 국화꽃에 갈변현상이 일어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국화꽃의 2차 건조시에는 35℃ 내지 55℃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수분함량이 너무 낮게 되면 국화꽃이 부스러져 형태유지가 어렵고 수분 함량이 너무 많으면 보존성이 떨어지므로 2차 건조단계에서의 수분함량은 13% 내지 1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국화꽃의 2차 건조시 원적외선을 가하면서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5. 덖음단계(S30)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35℃ 내지 150℃의 온도에서 3분 내지 5분간 덖음 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힌다.
이때, 덖음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덖음 시간을 줄이고, 덖음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덖음 시간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덖음 온도는 1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덖음 시간도 5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즉, 덖음 온도와 덖음 시간이 과한 경우 국화꽃에 갈변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되고, 꽃차 형태 및 향이 변하게 되므로 적정온도와 시간으로 덖음하여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6. 한약재 세척단계(S35)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이물질 및 껍질을 제거한 후, 2회 내지 3회 세척한다.
여기서, 상기 인삼은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중추신경의 흥분과 피로를 해소하며, 정력과 체력을 증진시킨다. 동의보감에는 인삼의 효능으로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주로 오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이며 정신을 안전시키고 눈을 맑게 하며 심규를 열어주고 기억력을 좋게한다. 허손된 곳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로 고름을 뱉는 거을 치료하며 담을 식힌다.'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삼의 약리효과는 아답토겐효과(러시아 브렉만 교수 연구수행- 생체가 가지고 있는 병적인자에 대하여 비특이적으로 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켜주는 효과), 당료병치료 효과(토론도 대학연구-당뇨병 환자 대상 하루 6g씩 홍상분만을 3개월간 섭취시킨 결과 공복 및 포도당 섭취 후 혈중 인슐린 농도를 현저히 낮춤), 임포텐스 치료효과(연세대학교 연구팀- 병원치료중인 환자 90명을 상대로 3그룹으로 나눠 6개월간 실험한 결과 긴장완화와 스트레스 해소로 성호르몬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음경에 혈류 증가를 가져옴)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백출은 삽주의 뿌리를 건조시킨 약재, 창출의 껍질을 벗긴 것을 백출이라 하며, 잎이 엉겅퀴 잎과 비슷하여 포계, 마계라고도 한다. 삽주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키가 50cm가량 자라며, 우리나라,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러한 백출의 약효성분은 아트락틸로(atractylol), 아트락틸론(atractylonen)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동물실험에서는 소화효소의 분비촉진과 지속적인 이뇨효과 및 진정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약간 쓰며 달다.
또한, 상기 백출은 건위/소화 작용에 있어 만선소화불량, 장염, 설사 등과 식용증진에도 탁월하며, 병후에 식용이 없고 전신이 쇠약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유효하다. 만성관절류머티즘에는 위령선, 방지 등을 배합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백봉령은 Poria cocos로서 비(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중초를 보해주며 습을 빼주고 수액대사를 돕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며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소나무를 베어 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낸지 여러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cm 내지 50cm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이러한 백봉령은 옛날로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肺經)비경(脾經)심경(心經)신경(腎經)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또한,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한약재를 국화꽃과 함께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국화꽃의 향미뿐 아니라 건강에도 유익한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약재를 세척하는 경우 한약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7. 한약재 건조단계(S40)
세척이 완료된 한약재를 30℃ 내지 50℃의 건조기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건조한다.
여기서, 50℃를 초과하는 온도로 3시간을 초과하여 건조하게 되면 한약재가 쉽게 부서지는 경향이 있어 후술되는 한약재 선별과정에서의 분쇄시 적정한 크기로 분쇄하기 어려워지고, 이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에서 원활한 로스팅이 이루어지지 않고 모두 부서져버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온도와 시간을 상기 한약재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8. 한약재 선별단계(S45)
건조된 한약재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2mm 내지 5mm 크기의 한약재만을 선별하여 별도 보관하도록 한다.
즉, 분쇄기를 이용하여 한약재를 분쇄시 여러 다양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는데, 분쇄된 후에는 2mm 내지 5mm 크기의 한약재만을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2mm미만인 경우 후술되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에서 그 크기가 너무 작아 타는 현상이 발생하고, 5mm초과인 경우 후술되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에서 로스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조직이 부드러워 지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태의 한약재를 사용하는 경우, 음용을 위해 물에 담가 한약재가 물에 우러나도록 하는 과정에서 한약재가 물에 신속하게 희석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한약재는 2mm 내지 5mm 크기를 선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한약재 로스팅 단계(S50)
2mm 내지 5mm 크기로 선별된 한약재를 20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가마솥에서 볶은 후 식힌다. 여기서, 상기 한약재를 로스팅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가마솥을 이용하여 로스팅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로스팅기기를 이용하여 한약재 로스팅을 진행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적정한 크기의 한약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적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로스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국화꽃과 함께 물에 희석하여 음용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한약재를 볶는 온도나 시간에 주위하여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200℃미만의 경우 조직이 덜 부드러워져 물에 희석시 원활한 희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250℃ 초과의 경우 한약재가 타는 현상이 발생하여 국화꽃과 함께 물에 희석하여 음용시 쓴맛이 강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온도 범위와 시간 범위를 준수하여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0. 혼합단계(S55)
덖음단계를 통해 얻어진 국화꽃 1송이 내지 2송이에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0.2g 내지 0.3g 혼합한다. 그리고, 티백제조기를 이용하여 티백으로 제조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실시 예]
채취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국화꽃을 3회 세척하여 송풍기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준비된 국화꽃을 115℃의 온도에서 7분간 증열 후, 송풍에 의해 식히고, 80℃의 건조기에서 1차 건조한 후, 다시 40℃ 온도의 건조기에서 2차 건조하였다. 이때, 1차 건조후와 2차 건조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히는 과정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140℃의 온도에서 국화꽃을 4분간 덖음 한 이후에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혀 한방 국화차에 사용될 국화꽃을 준비하였다.
이후,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3회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40℃ 온도의 건조기에서 3시간 건조하였고, 건조된 한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후, 2mm 내지 5mm의 한약재만을 선별하여 230℃ 온도에서 20분간 가마솥에서 볶음 후, 식히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런 후, 각각의 한약재 0.3g과 국화꽃 1송이를 티백에 담아 제조하여 한방 국화차를 완성하였다.
[비교 예]
채취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국화꽃을 3회 세척하여 송풍기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준비된 국화꽃을 115℃의 온도에서 7분간 증열 후, 송풍에 의해 식히고, 100℃의 건조기에서 1차 건조한 후, 다시 70℃ 온도의 건조기에서 2차 건조하였다. 이때, 1차 건조후와 2차 건조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히는 과정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150℃의 온도에서 국화꽃을 4분간 덖음 한 이후에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혀 한방 국화차에 사용될 국화꽃을 준비하였다.
이후,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3회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40℃ 온도의 건조기에서 3시간 건조하였고, 건조된 한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후, 2mm 내지 5mm의 한약재만을 선별하여 300℃ 온도에서 20분간 가마솥에서 볶음 후, 식히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런 후, 각각의 한약재 0.3g과 국화꽃 1송이를 티백에 담아 제조하여 한방 국화차를 완성하였다.
제조된 실시 예와 비교 예 한방국화차를 50인의 만 19세 이상의 남녀 성인 평가자로 하여금 50ml씩 마시게 한 후 색, 맛, 향, 전체 기호도를 9점법으로 실시하여 아래 표 1에 제시한다.
실시 예 비교 예
8.2 7.2
8.3 6.9
냄새 8.2 7.7
전체 기호도 8.5 7.4
1 ----------- 5 ------------- 9
나쁨 보통 좋음
상기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온도와 시간을 준수하여 제조된 한방 국화차가 그렇지 않은 한방 국화차에 비해 맛, 색, 냄새뿐만 아니라 전체기호도에서 관능평가 요원들의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채취된 국화꽃을 선별하여 시든 잎을 제거하고, 벌레의 유충이나 먼지, 이물질을 2회 내지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원료준비단계;
    상기 원료준비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10℃ 내지 120℃에서 5분 내지 10분간 증열 후, 송풍에 의해 3분 내지 4분간 국화꽃을 식히는 원료증열단계;
    70℃ 내지 9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원료증열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40% 내지 60%로 건조한 후, 식히는 1차 건조단계;
    상기 1차 건조단계 이후, 35℃ 내지 55℃ 온도의 건조기에서 상기 1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의 수분함량이 13% 내지 15%로 건조한 후, 식히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국화꽃을 135℃ 내지 150℃의 온도에서 3분 내지 5분간 덖음 후, 송풍에 의해 국화꽃을 식히는 덖음단계;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이물질 및 껍질을 제거한 후, 2회 내지 3회 세척하는 한약재 세척단계;
    상기 한약재를 30℃ 내지 50℃ 온도의 건조기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하는 한약재 건조단계;
    상기 한약재 건조단계를 거친 한약재를 분쇄하여 2mm 내지 5mm 크기의 한약재를 선별하는 한약재 선별단계;
    상기 선별된 한약재를 20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가마솥에서 볶음 후, 식히는 한약재 로스팅 단계;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얻어진 국화꽃 1송이 내지 2송이에 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 진피, 황기, 계피, 대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각각 0.2g 내지 0.3g 혼합하여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단계에서 국화꽃을 건조시 원적외선을 가하면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국회차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 국화꽃을 건조시 원적외선을 가하면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KR1020140166054A 2014-11-26 2014-11-26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KR10172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54A KR101723517B1 (ko) 2014-11-26 2014-11-26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54A KR101723517B1 (ko) 2014-11-26 2014-11-26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873A KR20160062873A (ko) 2016-06-03
KR101723517B1 true KR101723517B1 (ko) 2017-04-05

Family

ID=5619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54A KR101723517B1 (ko) 2014-11-26 2014-11-26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408A (zh) * 2018-09-07 2019-12-13 成都图径生物科技有限公司 充气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20162894A (ko) 2021-05-31 2022-12-09 이주연 인체 대사 촉진 체온 추출법에 의한 생일체질 보약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73B1 (ko) 2018-09-12 2020-02-26 홍수연 소화기능 증진을 유도하는 차 제조방법
KR102081674B1 (ko) 2018-09-12 2020-02-26 홍지연 향 및 영양성분이 강화된 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52B1 (ko) 2007-08-08 2007-09-13 한정남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106A (ko) * 2004-09-02 2004-10-07 주식회사 예향농원 국화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한 국화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52B1 (ko) 2007-08-08 2007-09-13 한정남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408A (zh) * 2018-09-07 2019-12-13 成都图径生物科技有限公司 充气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20162894A (ko) 2021-05-31 2022-12-09 이주연 인체 대사 촉진 체온 추출법에 의한 생일체질 보약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873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52B1 (ko)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KR101469646B1 (ko)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536B1 (ko) 국화, 댓잎, 매화, 난꽃, 회화가 함유된 사군자차 제조방법
CN103931829B (zh) 一种青刺茶的制备方法
CN103931827A (zh) 一种赶黄草茶及其制备方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N106857904A (zh) 一种花香绿茶加工工艺
CN108244296A (zh) 一种全发酵蒲公英茯砖茶的制作方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6417825A (zh) 一种桂花藏茶的制备方法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955770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101202829B1 (ko) 편백 차의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180005087A (ko) 민들레차 및 민들레차의 제조방법
CN103283896A (zh) 一种杜仲雄花茶的制备方法
KR102068934B1 (ko) 오소리 커피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70127671A (ko) 초고압을 이용한 유색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국장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5369B1 (ko)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KR100952877B1 (ko) 헛개차의 제조방법
KR101853416B1 (ko) 더치커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2382950B1 (ko) 혼합 벌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