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833B1 - 반도체이미지센서와그를위한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이미지센서와그를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833B1
KR100607833B1 KR1019980048523A KR19980048523A KR100607833B1 KR 100607833 B1 KR100607833 B1 KR 100607833B1 KR 1019980048523 A KR1019980048523 A KR 1019980048523A KR 19980048523 A KR19980048523 A KR 19980048523A KR 100607833 B1 KR100607833 B1 KR 10060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layer
conductive region
reg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258A (ko
Inventor
클리포드 아이 드롤리
마크 에스. 스웬슨
제니퍼 제이. 패터슨
쉬리나스 라마스와미
Original Assignee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5173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078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filed Critical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4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4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variation of applied mechanical force, e.g. of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10)는 N형 도전 영역(26)과 P형 핀 층(pinned layer)(37)을 포함하는 이미지 검출 소자를 갖는다. 그 두 영역들은 광의 상이한 주파수들로 전하 캐리어 수집 효과를 증가시키는 상이한 깊이들로 2개의 P-N 접합부들을 형성한다. 도전 영역(26)은, 도전 영역(26)의 일부가 MOS 트랜지스터(32)의 소스로 기능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각도 주입(angle implant)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이미지 센서와 그를 위한 방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발명자가 드롤리(Drowley) 등이고 발명의 명칭이 반도체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구조(METHOD OF A FORMING A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STRUCTURE)인 출원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COM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들로 기판 상에 반도체 이미지 센서들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통상적으로, 센서의 수광부는, 종종 포토-게이트(photo-gate)로서 언급되는 대면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서, 또는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접합부로서 형성된다. 포토-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광이 트랜지스터의 실리콘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결과적으로, 포토-게이트 구성은 감도가 감소되었다. 또한, 공핍 영역(depletion region)은 일반적으로 얕으므로(1미크론 이하), 적색광 흡수(red light absorption)에 의해 유발되는 캐리어들의 수집 효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종래의 포토-게이트 구성들은 표면 재결합에 의해 생성된 잡음에 대해 민감하다.
소스-드레인 접합부 구성은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대해 최적화되는 접합부를 가지며, 따라서, 또한 적색광에 의해 유발되는 캐리어들의 비효율적인 수집을 초래하는 얕은 접합부를 갖는다. 소스-드레인 접합부 구성의 또 다른 단점은, 통상적으로 접합 공핍 영역의 폭을 제한하는 고농도 도핑된(1016 atoms/cm3 이상) 영역에 접합부가 형성되므로, 적색광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캐리어들의 수집 효율을 더 감소시킨다. 게다가, 그러한 고농도 도핑된 영역에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은 광 검출 소자로부터 다른 전자 소자로 전달될 수 있는 전하량을 감소시키는 큰 커패시턴스를 초래한다.
종래의 CMOS 이미지 센서의 구성들은 종종 이미지 검출 소자 위에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감도가 더 감소했다.
따라서, 포토-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초래하고, 얕은 접합부 깊이를 갖지 않음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키고, 표면 재결합으로부터의 잡음을 최소화하고, 광 검출 영역 위에 실리사이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고, 광의 모든 파장들에 대해 캐리어 변환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넓은 공핍 영역을 가지며, 이미지 검출 소자로부터 다른 전자 소자로 전달되는 전하를 최소화하는 큰 커패시턴스를 갖지 않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반도체 이미지 센서(10)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다. 센서(10)는 반도체 기판(11)과 그 위에 형성된 인헨스먼트층(enhancement layer)(12)에 의해 형성된 하부 P형 기판을 포함한다. 센서(10)는 하부 기판의 제 1 부분(13)에 형성된 제 1 웰 또는 P형 웰(16)을 갖는다. 웰(16)은 통상적으로 하부 기판 층(12)의 제 2 부분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를 갖는다. 층(12)의 부분들(13, 14)은 층(12) 아래에 표시된 괄호로 식별된다. 이러한 층(12)의 제 2 부분은 하부 기판 내에 제 2 웰을 형성한다. 웰(16)의 표면 도핑 농도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x1016 atoms/cm3 이다. 웰(16)의 제 1 깊이, 즉, 깊이(24)는 일반적으로 층(12)의 깊이보다 낮고, 일반적으로 기판(11) 상에 다른 CMOS 디바이스들을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해 약 2 내지 4 미크론이다.
센서(10)의 이미지 캡쳐 소자 또는 광 검출 소자는 제 2 웰 또는 제 2 부분(14)에 형성되는 N형 도전 영역(26)을 포함한다. 도전 영역(26)은 하부 기판의 P형 물질과 제 1 P-N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 제 1 P-N 접합부는, 적색 파장들의 광을 쉽게 검출하기 위해 도전 영역(26)의 제 2 깊이, 즉, 깊이(29)에 위치되며, 통상적으로, 하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약 0.7 미크론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미크론이다. P형 핀 층(pinning layer)(37)이 영역(26) 내에 형성되고, 하부 기판과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영역(26)으로부터 하부 기판의 층(12)으로 외부로 연장한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은 이미지 센서의 이러한 소자에 인가된 전위를 고정한다(pin). 결과적으로, 결과로 생긴 포토다이오드는 종종 핀 포토다이오드(pinned photodiode)로 언급된다. 층(37)과 영역(26)의 교차부를 따라 제 2 P-N 접합부가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층(37)은 기판(11) 상의 다른 P-채널 MOS 트랜지스터들(도시되지 않음)의 저농도 도핑된 드레인 및 소스 영역들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된다. 제 2 P-N 접합부의 깊이는 제 1 P-N 접합부의 깊이보다 낮다. 이 깊이는 청색 파장들의 광의 흡수 또는 검출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된다. 전달 트랜지스터 또는 제 1 MOS 트랜지스터(32)가 도전 영역(26)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영역(26)의 일부가 트랜지스터(32)의 소스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 2 또는 리셋 MOS 트랜지스터(31)가 웰(16) 내에 형성된다. 트랜지스터(31)는, 결합 영역(41)에 의해 트랜지스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를 갖는다.
트랜지스터(32)의 게이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거기까지 연장하는 부분(14)의 표면의 약간을 노출하는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도전 영역(26)이 형성된다. 이어서, 영역(26)이 게이트(22)의 하부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판(11)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게이트(22) 쪽으로 떨어진 각도로 도펀트들이 주입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32)의 소스 및 영역(26)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마스킹 및 다른 처리 동작들을 저감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0)를 제조하는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화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다. 센서(10)는 고농도 도핑된 P형 기판(11)을 포함하며, 그 위에 저농도 도핑된 P형 인헨스먼트층(12)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기판(11)은 적어도 1x1016, 바람직하게는 1x1018 atoms/cm3의 제 1 또는 P형 도핑 농도를 가지며, 층(12)은 약 1x1015 atoms/cm3보다 크지 않은 P형 도핑 농도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층(12)은, 제 1 웰 또는 P-웰(16)이 형성되는 제 1 부분(13)과, 센서(10)의 광 검출 소자가 형성될 제 2 웰 또는 제 2 부분(14)을 포함한다. 고농도 도핑된 기판(11) 위에 놓이는 저농도 도핑된 제 2 부분(14)에 광 검출 소자들을 형성하는 것은 광 검출 소자에서의 캐리어 수집을 향상시킨다.
P형 웰(16)은, 층(12)의 제 1 부분(13)의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마스크(17)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웰(16)을 형성하기 위해 노출된 표면 내에 도펀트들이 형성된다. 웰(16)을 형성한 후, 마스크(17)는 제거된다.
도 3은 후속하는 형성 단계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센서(10)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의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소자 번호들을 갖는다. 게이트 산화물(18)이 센서(1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된다. 그 후, MOS 트랜지스터들(31, 32)에 대한 채널들을 생성하기 쉽게 하기 위해 채널 도핑 영역(19)이 형성된다. 트랜지스터들(31,32) 각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산화물(18) 상에 게이트들(23, 22)이 형성된다.
그 후, 도전 영역(26)이 형성될 제 2 부분(14)의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해 마스크(21)가 적용된다. 마스크(21)는 제 2 부분(14) 내에 게이트 산화물(18)의 표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며, 그 노출된 부분은 게이트(22)의 에지로부터 제 2 부분(14)으로 연장하고, 또한 게이트(22)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화살표(27)로 표시된 도펀트들이 게이트(22) 쪽으로 각도(28)로 주입된다. 각도(28)는 센서(1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선으로부터 측정된다. 각도(28)는 통상적으로 센서(10)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15도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도이다. 이러한 각도 주입은 트랜지스터(32)의 소스로서 기능하는 영역(26)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영역(26)이 게이트(22)의 약간 아래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사용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32)의 채널을 도전 영역(26)에 접속한다. 영역(26)을 형성한 다음에, 마스크(21)가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주입들이 영역(26)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층(12) 내에 영역(26)을 깊게 형성하기 위해서, 센서(10)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예를 들어, 120 내지 190keV의 높은 에너지 주입이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영역(26)의 일부가 게이트(22)의 아래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90 내지 130keV의 보다 낮은 에너지 주입이, 각도(28)와 실질적으로 같은 각도로 그리고 낮은 에너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센서(10)의 형성에서의 후속 단계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서의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소자 번호들로 표시된다.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과 트랜지스터(31)의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을 위한 영역들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마스크(34)가 적용된다. 그 후, 게이트들(22, 23)에 대해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을 자기-정렬하기 위해, 마스크들로서 게이트들(22, 23)의 에지들을 이용하여 소스-드레인 도펀트들(33)이 층(12)에 형성된다. 그 후, 마스크(34)는 제거된다.
도 5는 센서(10)의 형성에서의 후속 단계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서의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소자 번호들로 표시된다. 게이트(22)의 에지, 도전 영역(26)의 표면 및 도전 영역(26)에 연장하는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56)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마스크(36)가 적용된다. 영역(26)의 노출된 부분 내에, 영역(26)으로부터 영역(56) 내로 그리고 트랜지스터(32)로부터 떨어져서 외부로 연장하는 P형 핀 층(37)을 형성하기 위해 P형 도펀트들이 노출된 표면에 형성된다. 층(37)의 깊이와 도핑 농도는 모든 광 유도 전하를 영역(26)으로부터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으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층(37)은 약 0.2 내지 0.3 미크론의 깊이와, 약 5x1017atoms/cm3 이 상의 표면 도핑 농도를 갖는다. 층(37)을 형성한 후, 마스크(36)가 제거된다.
도 6은 센서(10)의 형성에서의 후속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서의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소자 번호들로 표시된다. 유전 물질이 센서(10)의 표면에 적용되고, 게이트들(22, 23)의 측벽들(sidewalls) 상에 스페이서들(spacers)(39)을 형성하고 센서(10)의 광 검출 소자 위에 놓이는 유 전체 덮개(dielectric covering)(38)을 형성하기 위해 패터닝된다. 덮개(38)는 통상적으로 후속 동작들을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해 게이트(22) 상으로 연장한다. 스페이서들(39)와 덮개(38)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은, 덮개(38) 위에 놓이는 임의의 물질의 유전상수와 하부 기판의 유전상수 사이의 유전상수를 갖도록 선택된다. 덮개(38)의 유전상수는, 하부 반도체 물질과 덮개(38)의 상부에 위치된 임의의 다른 유전체 또는 물질간의 반사들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덮개(38)의 물질은, 청색 스펙트럼과 적색 스펙트럼간의 광에 대한 반사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30 내지 7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질화물이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130 내지 200 나노미터의 두께도 적절하게 수행할 것이다. 또한, 알루미늄 산화물 및 알루미늄 질화물과 같은 다른 물질들도 덮개(38) 및 스페이서들(39)을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물질들임이 입증되었다.
다음에는, 드레인(42) 및 소스(4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결합 영역(41)의 형성을 초래하는 층(12) 내의 N형 도펀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서들(39) 및 덮개(38)가 마스크들로서 사용된다.
도 7은 센서(10)의 형성에서의 후속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의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소자 번호들로 표시된다. 결합 영역(41)과 게이트들(22, 23) 모두에 만들어진 콘택트들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저항 물질이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센서(10) 전체에 티타늄이 블랭킷 침착되고, 이어서 임의의 노출된 하부 실리콘 물질을 갖는 티타늄 실리사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어닐링된다. 결과적으로, 층(38)은 영역(26) 및 층(37)에 의해 형성된 포토 다이오드의 위에 실리사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티타늄 실리사이드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티타늄은 제거되고, 그에 따라, 게이트들(22, 23)과 결합 영역(41) 상에 저저항 콘택트 물질들(44)을 남긴다. 이러한 형성 기술들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10) 및 그의 적절한 부분들에 대해 형성된 콘택트들 상에 도시되지 않은 층간 유전체가 형성된다.
도 8은 센서(10)의 핀 층(37)을 형성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영역(26)을 형성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각도(28)와 반대의 각도에서 주입을 수행함으로써 층(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화살표들(47)로 표시된 도펀트들이 센서(10)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각도(48)로 게이트(22)로부터 떨어져 주입된다. 통상적으로, 층(37)의 일부가 트랜지스터(32)로부터 떨어져 영역(26)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각도(48)는 10도 내지 25도이다. 층(37)의 이러한 부분은 인헨스먼트층(12)과의 콘택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처리 시퀀스들에 대해,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처리 동작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새로운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농도 도핑된 영역 위에 놓이는 저농도 도핑된 영역에 이미지 센서를 형성하는 것은 캐리어 수집을 향상시킨다. 깊은 도전 영역과 얕은 핀 층을 형성하는 것은 2개의 P-N 접합부들을 형성하며, 여기서, 하나의 P-N 접합부 및 그 연관된 공핍 영역은 적색 파장들의 광을 캡쳐하기 쉽도록 깊으며, 제 2 P-N 접합부 및 그 연관된 공핍 영역은 청색 파장의 광을 캡쳐하기 쉽도록 얕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표면 재결합을 최소화하고, 전하 전달을 최대화한다. 도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각도 주입을 이용하는 것은, 도전 영역이 전하 전달 트랜지스터의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제조 동작들을 최소화한다. 하부 기판의 유전상수와 상부 물질의 유전상수 사이의 유전상수를 갖는 유전 물질을 이용하는 것은 센서의 효율을 개선하고 반사들을 최소화한다. 광 검출 소자에 상부 실리사이드 물질이 없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또한 센서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에서 도 1의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속 제조 단계들에서 도 1의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미지 센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센서 16 : P형 웰
11 : 반도체 기판 26 : 도전 영역
12 : 인헨스먼트층

Claims (6)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11)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도전형 및 제 1 도핑 농도를 갖는 인헨스먼트층(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헨스먼트층의 제 1 부분 상에 제 1 웰(well)(16)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웰은 상기 제 1 도전형 및 상기 제 1 도핑 농도보다 큰 제 2 도핑 농도를 갖고, 상기 제 1 웰은 상기 인헨스먼트층 내로 제 1 깊이(24)를 갖는, 상기 제 1 웰(16)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헨스먼트층(12)의 제 2 부분에 제 2 도전형의 도전 영역(26)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전 영역의 제 1 부분은 MOS 트랜지스터(32)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도전 영역(26)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 영역 내에 핀 층(pinned layer)(37)의 제 1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MOS 트랜지스터(3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상기 도전 영역(26)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상기 핀 층(37)의 제 2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헨스먼트층(12)의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제 1 도전형의 핀 층(37)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26)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선으로부터 적어도 15도 각도(28)로 상기 MOS 트랜지스터 쪽으로 각을 이룬 제 1 각도(28)로 제 1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펀트를 상기 제 1 각도(28)로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제 1 도핑 농도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각도(28)로 제 2 도핑 농도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핀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대한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MOS 트랜지스터 쪽으로 상기 제 1 각도(28)로 상기 도전 영역에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에 대한 수직선으로부터 및 상기 MOS 트랜지스터로부터 제 2 각도(48)로 상기 핀 층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5. 상기 이미지 센서의 도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15도의 제 1 각도(28)의 주입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핀 층(37)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각도(48)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형성 방법.
KR1019980048523A 1997-11-14 1998-11-13 반도체이미지센서와그를위한방법 KR10060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70,720 1997-11-14
US8/970,720 1997-11-14
US08/970,720 US6023081A (en) 1997-11-14 1997-11-14 Semiconductor imag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58A KR19990045258A (ko) 1999-06-25
KR100607833B1 true KR100607833B1 (ko) 2006-10-31

Family

ID=2551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523A KR100607833B1 (ko) 1997-11-14 1998-11-13 반도체이미지센서와그를위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23081A (ko)
JP (4) JPH11233749A (ko)
KR (1) KR100607833B1 (ko)
CN (1) CN1146036C (ko)
TW (1) TW511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3526B1 (en) * 1997-11-27 2001-12-25 Nec Corporation Charge transfer devic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H11274454A (ja) * 1998-03-19 1999-10-08 Canon Inc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JP2921567B1 (ja) * 1998-04-22 1999-07-19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1609B2 (ja) * 1998-06-29 2008-03-19 マグナチップセミコンダクター有限会社 延伸されたピンドフォトダイオ―ドを有するイメ―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2839A (ja) * 1998-06-29 2000-03-21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フォトダイオ―ド、これを用いたイメ―ジセンサの単位画素及びこれからデ―タを得る方法
KR100384836B1 (ko) * 1999-06-28 2003-05-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3934827B2 (ja) * 1999-06-30 2007-06-2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DE19933162B4 (de) * 1999-07-20 2004-11-11 Institut für Mikroelektronik Stuttgart Stiftung des öffentlichen Rechts Bildzelle, Bildsensor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JP3624140B2 (ja) 1999-08-05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又は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
US6333205B1 (en) * 1999-08-16 2001-12-25 Micron Technology, Inc. CMOS imager with selectively silicided gates
US6194258B1 (en) * 2000-01-18 2001-02-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image sensor cell and a CMOS logic circuit device
JP3782297B2 (ja) * 2000-03-28 2006-06-07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4939B2 (ja) * 2000-04-14 2005-06-29 富士通株式会社 Cmos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08304A (ja) * 2000-04-19 2001-11-02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6303406B1 (en) * 2000-06-08 2001-10-1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integrating anti-reflection layer and salicide block
US6448595B1 (en) * 2000-06-26 2002-09-10 Twin Han Technology Co., Ltd. Active photodiode CMOS image sensor structure
TW449939B (en) * 2000-07-03 2001-08-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Photodiode structure
US6518085B1 (en) 2000-08-09 2003-02-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spectrally efficient photodiode structures for CMOS color imagers
US6734071B1 (en) 2000-08-30 2004-05-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insulative material against conductive structures
US6566697B1 (en) * 2000-11-28 2003-05-20 Dalsa, Inc. Pinned photodiode five transistor pixel
US6504195B2 (en) * 2000-12-29 2003-01-07 Eastman Kodak Company Alternate method for photodiode formation in CMOS image sensors
US6580106B2 (en) 2001-01-12 2003-06-17 Isetex. Inc CMOS image sensor with complete pixel reset without kTC noise generation
US6713796B1 (en) 2001-01-19 2004-03-30 Dalsa, Inc. Isolated photodiode
KR100562669B1 (ko) * 2001-12-31 2006-03-2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살리사이드 공정을 이용한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US7235835B2 (en) * 2002-05-14 2007-06-26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3840203B2 (ja) * 2002-06-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KR100864844B1 (ko) * 2002-06-28 2008-10-2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40036087A (ko) * 2002-10-23 2004-04-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광의 파장에 따라 포토다이오드의 깊이가 다른 씨모스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9208B1 (ko) * 2002-10-23 2005-03-2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살리사이드 공정을 이용한 이미지센서의 제조 방법
KR100977099B1 (ko) * 2002-12-27 2010-08-23 크로스텍 캐피탈, 엘엘씨 실리사이드 공정의 공정 마진을 향상시킨 시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EP1465258A1 (en) * 2003-02-21 2004-10-06 STMicroelectronics Limited CMOS image sensors
US6897504B2 (en) * 2003-03-31 2005-05-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alicided MOS device and one-sided salicided MOS device, and simultaneous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977285B2 (ja) * 2003-05-15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7148528B2 (en) * 2003-07-02 2006-12-12 Micron Technology, Inc. Pinned photodiod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ation
US6900484B2 (en) 2003-07-30 2005-05-31 Micron Technology, Inc. Angled pinned photodiode for high quantum efficiency
JP4155568B2 (ja) * 2003-08-07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05079567A (ja) * 2003-09-04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メラ
WO2005036646A1 (de) * 2003-10-07 2005-04-21 Institut Für Mikroelektronik Stuttgart Halbleiter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photodiode
JP4758061B2 (ja) * 2003-10-16 2011-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20233B2 (en) * 2003-10-22 2008-09-02 Micron Technology, Inc. Photodiode for improved transfer gate leakage
US7105906B1 (en) 2003-11-19 2006-09-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hotodiode that reduces the effects of surface recombination sites
US7037764B2 (en) * 2004-02-26 2006-05-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contact in a pixel cell
US20050274994A1 (en) * 2004-06-14 2005-12-15 Rhodes Howard E High dielectric constant spacer for imagers
KR100660324B1 (ko) * 2004-07-01 2006-12-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570819B1 (ko) * 2004-07-07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게이트 전극들에 중첩하면서 자기정렬된 포토다이오드들을 갖는 이미지 센서의 화소들을 제조하는방법들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미지 센서의 화소들
JP4647404B2 (ja) * 2004-07-07 2011-03-09 三星電子株式会社 転送ゲート電極に重畳しながら自己整列されたフォトダイオードを有する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100653691B1 (ko) * 2004-07-16 2006-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메인 화소 어레이 영역의 전면을 노출시키는패시베이션막을 갖는 이미지 센서들 및 그 제조방법들
JP4646577B2 (ja) * 2004-09-01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US7071019B2 (en) 2004-09-16 2006-07-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image sensor sensitivity
KR100606910B1 (ko) * 2004-12-29 2006-08-0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0389498C (zh) * 2005-06-07 2008-05-2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制备cmos图像传感器-混合硅化物的方法
KR100720474B1 (ko) * 2005-06-17 2007-05-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0395883C (zh) * 2005-06-28 2008-06-1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利用独立的源极形成的cmos图像传感器件和方法
JP4313789B2 (ja) * 2005-07-29 2009-08-12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19040B2 (en) * 2005-08-03 2010-05-18 Panasonic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US20070069260A1 (en) * 2005-09-28 2007-03-29 Eastman Kodak Company Photodetector structure for improved collection efficiency
US7875916B2 (en) * 2005-09-28 2011-01-25 Eastman Kodak Company Photodetector and n-layer structure for improved collection efficiency
US7728277B2 (en) * 2005-11-16 2010-06-01 Eastman Kodak Company PMOS pixel structure with low cross talk for active pixel image sensors
US7619266B2 (en) * 2006-01-09 2009-11-17 Aptina Imaging Corporation Image sensor with improved surface depletion
US7371599B2 (en) * 2006-04-17 2008-05-13 United Microeletronics Corp. Image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70241372A1 (en) * 2006-04-18 2007-10-18 Ching-Hung Kao Image sens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21957A (ja) * 2006-06-15 2008-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
WO2008008516A2 (en) * 2006-07-14 2008-0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orward scattering nanoparticle enhancement method and photo detector device
KR100792334B1 (ko) * 2006-08-21 2008-01-0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517651C (zh) * 2006-12-15 2009-07-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Cmos图像传感器的像素单元的形成方法
KR20090003854A (ko) * 2007-07-05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5487798B2 (ja) * 2009-08-20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20110177650A1 (en) * 2010-01-15 2011-07-21 Omnivision Technologies, Inc. Cmos image sensor with self-aligned photodiode implants
FR2986906B1 (fr) 2012-02-15 2015-06-19 New Imaging Technologies Sas Structure de pixel actif a transfert de charge ameliore
JP5624644B2 (ja) * 2013-05-08 2014-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US9570494B1 (en) * 2015-09-29 2017-02-1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image senso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433A (ko) * 1990-11-23 1992-06-26 백중영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시뮬레이션 장치
KR950011568A (ko) * 1993-10-28 1995-05-15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팽창가능한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피복재 제조방법
KR0136924B1 (ko) * 1994-07-06 1998-04-24 문정환 씨씨디(ccd) 영상소자의 제조방법
KR0136925B1 (ko) * 1994-09-29 1998-04-24 문정환 고체촬상소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304B2 (ko) * 1972-08-28 1981-02-17
JPS5386516A (en) * 1977-01-10 1978-07-31 Hitachi Ltd Solid state pickup device
US4484210A (en) * 1980-09-05 1984-11-20 Nippon Electric Co., Ltd. Solid-state imaging device having a reduced image lag
JPS61128560A (ja) * 1984-11-27 1986-06-16 Fuji Electric Co Ltd イメ−ジセンサ
JPS61154063A (ja) * 1984-12-26 1986-07-12 Toshiba Corp 光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95571B2 (ja) * 1985-10-12 1994-11-24 新技術事業団 光電変換装置
US4735680A (en) * 1986-11-17 1988-04-05 Yen Yung Chau Method for the self-aligned silicide formation in IC fabrication
JPS63174358A (ja) * 1987-01-14 1988-07-18 Hitachi Ltd 固体撮像素子
JPS63266869A (ja) * 1987-04-24 1988-11-02 Hitachi Ltd 固体撮像装置
JPS63266870A (ja) * 1987-04-24 1988-11-02 Hitachi Ltd 多層配線部材の製造方法
JP2723520B2 (ja) * 1987-07-08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2728404B2 (ja) * 1987-07-22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撮像装置
JPH0787243B2 (ja) * 1990-10-18 1995-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H04355964A (ja) * 1990-12-21 1992-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970158B2 (ja) * 1991-12-20 1999-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H05315591A (ja) * 1992-05-11 1993-11-26 Sony Corp Ccd撮像素子の光電子読み出し部の形成方法
DE69321822T2 (de) * 1993-05-19 1999-04-01 Hewlett Packard Gmbh Photodiodenstruktur
JP2621767B2 (ja) * 1993-07-30 1997-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H0730088A (ja) * 1993-07-13 1995-01-31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3494312B2 (ja) * 1994-04-08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424360B2 (ja) * 1994-12-08 2003-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撮像装置
US5625210A (en) * 1995-04-13 1997-04-29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pixel sensor integrated with a pinned photodiode
JP3316106B2 (ja) * 1995-06-08 2002-08-19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4042B2 (ja) * 1996-01-19 2005-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US6100556A (en) * 1997-11-14 2000-08-08 Motorola In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433A (ko) * 1990-11-23 1992-06-26 백중영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시뮬레이션 장치
KR950011568A (ko) * 1993-10-28 1995-05-15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팽창가능한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피복재 제조방법
KR0136924B1 (ko) * 1994-07-06 1998-04-24 문정환 씨씨디(ccd) 영상소자의 제조방법
KR0136925B1 (ko) * 1994-09-29 1998-04-24 문정환 고체촬상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53646A (ja) 2014-03-20
JP2014060450A (ja) 2014-04-03
JP2010062588A (ja) 2010-03-18
CN1146036C (zh) 2004-04-14
JPH11233749A (ja) 1999-08-27
US6221686B1 (en) 2001-04-24
TW511286B (en) 2002-11-21
JP5868932B2 (ja) 2016-02-24
US6023081A (en) 2000-02-08
CN1217573A (zh) 1999-05-26
KR19990045258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833B1 (ko) 반도체이미지센서와그를위한방법
US6100556A (en)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structure
KR100647959B1 (ko) 능동픽셀센서및그제조방법
US6706550B2 (en) Photodiode having a plurality of PN injections and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US7078745B2 (en) CMOS imager with enhanced transfer of charge and low voltage operation
US5859450A (en) Dark current reducing guard ring
US6545302B2 (en) Image sensor capable of decreasing leakage current between diod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512280B2 (en) Integrated CMOS structure for gate-controlled buried photodiode
US6514785B1 (en) CMOS image sensor n-type pin-diode structure
US6392263B1 (en) Integrated structure for reduced leakage and improved fill-factor in CMOS pixel
US6091093A (en) Photodiode having transparent insulating film around gate islands above p-n junction
US6410359B2 (en) Reduced leakage trench isolation
US6621064B2 (en) CMOS photodiode having reduced dark current and improved light sensitivity and responsivity
US6566722B1 (en) Photo sensor in a photo diode on a semiconductor wafer
US20090166687A1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194260B1 (en) Method of forming a CMOS sensor
KR20030000654A (ko)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100329770B1 (ko) 반구형상의포토다이오드를갖는이미지센서
US20010045584A1 (en) Cmos sensor with shallow and deep regions
KR100326267B1 (ko) 큰정전용량의포토다이오드를갖는이미지센서및그제조방법
KR100298200B1 (ko) 핀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60059553A (ko) 부유 확산층을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형성 방법
KR100776150B1 (ko)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