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616B1 -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성형품 - Google Patents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616B1
KR100582616B1 KR1020017001092A KR20017001092A KR100582616B1 KR 100582616 B1 KR100582616 B1 KR 100582616B1 KR 1020017001092 A KR1020017001092 A KR 1020017001092A KR 20017001092 A KR20017001092 A KR 20017001092A KR 100582616 B1 KR100582616 B1 KR 10058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arking
laser
black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032A (ko
Inventor
마사미 기따
히로시 사가네
다까시 마쯔모또
가즈히꼬 사에끼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267Marking of plastic artifacts, e.g. with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은, 카본 블랙이나 금속 화합물계백색 안료 등의 레이저에 예민한 성분을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 등의 분산제와 함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 정도의 엘라스토머가 배합될 수 있다. 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마킹을 실시할 수 있다.
레이저 마킹, 카본 블랙,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Description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 성형품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Laser Marking, Marking Method, and Marke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에 의해 문자, 기호, 그림, 사진 등의 마킹을 실시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마킹 방법, 및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로 인자(印字)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평) 7-286074호 공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수지에 실리콘계 물질을 배합하거나 일본 특허 공개(평) 1-22418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지에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을 배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물질은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분산 불량이 되는 경우가 많고, 그 결과 레이저에 의한 선명한 인자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금속을 배합하는 경우, 얻어진 조성물의 가공성, 기계적 성질이 현저히 저하되고 용도가 한정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미국 특허 제334825호 명세서에는 카본 블랙과 자외선 안정제를 올레핀 폴리머에 배합함으로써 전선 케이스에 인자가 가능하여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히 폴리올레핀에 카본 블랙을 배합하여도 카본 블랙의 분산 상태는 불균일하고 외관이 나쁠 뿐만 아니라 균일하고 양호한 인자 상태는 얻을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에 의해 성형품의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마크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마킹 방법, 및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마크가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성이나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및 마킹 방법 및 가공성이나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특정한 성분을 배합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인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i)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이며,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을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분산제와 함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에 의한 백색 인자 가능한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 및 (ii)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이며,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과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를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에서 선택된 분산제와 함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에 의한 흑색 인자 가능한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i)에서 얻을 수 있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백색 마킹하는 성형품의 백색 마킹 방법, 및 상기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ii)에서 얻을 수 있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흑색 마킹하는 성형품의 흑색 마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i)로 구성되며 또한 표면에 레이저에 의해 백색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 및 상기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ii)로 구성되고 또한 표면에 레이저에 의해 흑색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어느 것이나 좋으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프로필렌을 모노머 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 에틸렌을 모노머 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물성, 내열성, 가격의 밸런스 등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PP)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동 속도 (MFR) 값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g/10 분)정도이고, 굽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OOOO 내지 18OOO kgf/㎠ 정도이다. MFR가 너무 작으면 통상의 성형이 곤란해지기 쉽고, 반대로 너무 크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기 어렵다. 또한, 굽힘 탄성률이 너무 작으면 수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 사용시에 크리프를 일으키기 쉽고,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딱딱하여 사용시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첨가하여 다른 수지를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결정성이 높고 탄성율이 높은 수지를 사용할 경우 등에는 올레핀계, 스티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함)를 배합하여 탄성률을 조정할 수도 있다.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 정도이다. 엘라스토머의 양이 적으면 엘라스토머의 첨가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너무 많으면 탄성률이 떨어져 얻어진 성형물의 치수 안정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이저에 예민한 성분 (레이저 감수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으며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여 마킹할 때 사용되는 공지 내지 통상의 레이저 감수성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에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 등의 무기계 안료 등이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감수성 성분의 종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색의 마킹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백색 인자를 얻을 수 있으며 금속 화합물계 백색안료 등의 백색 안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흑색 인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 화합물계 등의 백색 안료와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를 병용함으로써 매우 선명한 흑색 마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으로는 원료나 제법에 상관 없이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켓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입경 및 흡유량은 마킹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쉽다. 카본블랙의 바람직한 평균 입경은 1O 내지 1OO nm 정도이며, 바람직한 흡유량은 50 내지 500 ㎖/g 정도이다.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이 너무 작거나 흡유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입자가 너무 미세하여 취급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이 너무 크거나 흡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분산성이 저하되어 성형품의 외관이 악화 되기 쉽다.
상기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산화납,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탈크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티탄산칼륨 등의 금속염 (금속의 탄산염, 규산염, 티탄산염 등의 옥소산염)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산화 티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들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으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이저에 예민한 성분의 사용량은 상기 성분의 종류에 따라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5 내지 50 중량% 정도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 감수성 성분으로 카본 블랙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4 중량%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정도이다. 또한,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를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2 내지 5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중량% 정도이다. 레이저 감수성 성분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콘트라스트가 선명한 인자 (백색 인자 또는 흑색 인자)를 얻기 어려우며 또한 상기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분산성이 저하되어 인자 부분의 해상도가 낮아지기 쉽다.
본 발명에서 분산제로는 상기 레이저 감수성 성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산계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지방산계 화합물에는 탄소수 2 이상 (예를 들면 2 내지 32 정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 또는 그의 유도체 (염, 에스테르, 아미드 등)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지방산계 화 합물로서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고급 지방산 (예를 들면 탄소수 10 내지 20 정도의 지방산); 라우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아연, 올레인산나트륨 등의 상기 고급 지방산의 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아연염 등);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라우린산아미드 등 상기 고급 지방산의 아미드; 등의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 (고급 지방산 또는 그의 유도체)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O.005 내지 6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정도이다. 분산제의 양이 너무 적으면 상기 레이저에 예민한 성분의 분산성이 낮아 선명한 인자를 얻기 어렵다. 또한, 분산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성형시에 분산제가 증발, 승화하여 금형에 부착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1) 폴리올레핀계 수지, 레이저에 예민한 성분, 분산제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 첨가제 등을 소정량 배합하고 통상의 용융 혼련법으로 혼련, 펠렛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2) 레이저에 예민한 화합물, 분산제 등을 마스터 배치화해두고, 성형시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소정량 배합하여 그대로 성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의 마킹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마킹하는 것이다.
성형품은 예를 들면 압출 성형 (필름, 시트, 이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 형, 압축 성형 등 플라스틱 성형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형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마킹에 사용하는 레이저 광선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가스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의 어느 것이나 좋지만 Nd:YAG 레이저가 가장 적절하게 사용된다. 마킹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내지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으나 마킹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레이저 광선을 종래 공지의 광학적 수법에 의해 적당한 크기의 스포트로 집광하고, 이 레이저 스포트를 컴퓨터로 제어되는 광학 거울을 여러 개 조합한 주사 장치를 사용하여 성형품 표면에 원하는 형상의 마크가 형성되도록 조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마킹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문자, 기호, 도형, 그림, 사진 등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킹 방법에 의해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원하는 형상의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및 마킹 방법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특정한 성분을 배합하기 때문에 레이저에 의해 성형품의 표면에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마킹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킹된 성형품에서는 표면에 형성된 마크가 선명하고 균일한 콘트라스트를 갖는다.
또한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가공성이나 기계적 성질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하에, 실시예에 의하며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하기 폴리머,카본 블랙, 금속 화합물 및 분산제를 사용하였다.
[폴리머]
PP:MI (=MFR)가 10 (g/10 분), 굽힘 탄성률이 130OO kgf/㎠인 폴리프로필렌
PP/엘라스토머: 상기 PP 80 중량부와 엘라스토머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주)제품, 상품명: 본다인 HX8290] 20 중량부를 통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한 것
PE/엘라스토머: [미쓰이 가가꾸(주) 제품, 상품명: 하이젝스 1300J] 80 중량부와 엘라스토머[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주) 제품, 상품명: 본다인 HX8290] 20 중량부를 통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한 것
[카본 블랙 (CB)]
CB-l: 퍼니스 블랙 (평균 입경 20 nm)
CB-2: 아세틸렌 블랙 (평균 입경 40 nm)
CB-3: 켓첸 블랙 (평균 입경 25 nm)
[금속 화합물]
M-1: 산화 티탄
M-2: 산화 아연
M-3: 티탄산칼륨
[분산제]
DA-1: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DA-2: 스테아린산
DA-3: 스테아린산아연
DA-4: 스테아린산칼슘
실시예 1 내지 8
폴리머와 카본 블랙 (레이저 감수성 성분으로서)과 분산제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백색 마크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두께 2 mm의 판상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하였더니 어느 경우도 선명한 인자가 가능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4
폴리머와 금속 화합물 (레이저 감수성 성분으로서)과 분산제를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흑색 마크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두께 2 mm의 판상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하였더니 어느 경우도 선명한 인자가 가능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17
폴리머와 금속 화합물 및 카본 블랙 (레이저 감수성 성분으로서)과 분산제를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흑색 마크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두께 2 mm의 판상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하였더니 어느 경우에도 선명한 인자가 가능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
폴리머와 카본 블랙과 분산제를 표 4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백색 마크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두께 2 mm의 판상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하였더니 어느 경우에도 선명한 인자를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7 내지 10
폴리머와 금속 화합물과 분산제를 표 5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흑색 마크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두께 2 mm의 판상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하였더니 어느 경우에도 선명한 인자를 얻을 수 없었다.
폴리머 카본블랙 분산제 레이저 마크의 종류 인자성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실시예 1 PP 99.94 CB-1 0.05 DA-1 0.01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2 PP 99.6 CB-1 0.2 DA-1 0.2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3 PP 98.5 CB-1 1 DA-1 0.5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4 PP 96 CB-1 3 DA-1 1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5 PP 98.5 CB-1 1 DA-2 0.5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6 PP 98 CB-1 1 DA-2 1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7 PP 98.2 CB-2 1 DA-3 0.8 백색 마크 선명
실시예 8 PP 98.2 CB-3 1 DA-3 0.8 백색 마크 선명
폴리머 금속 화합물 분산제 레이저 마크의 종류 인자성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실시예 9 PP 99.29 M-1 0.7 DA-1 0.01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0 PP 98.8 M-1 1 DA-1 0.2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1 PP 89.5 M-1 10 DA-1 0.5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2 PP 69 M-1 30 DA-1 1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3 PP 89.5 M-2 10 DA-1 0.5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4 PP 89 M-3 10 DA-1 1 흑색 마크 선명
폴리머 금속 화합물 카본블랙 분산제 레이저 마크의 종류 인자성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 종류 양(중량%)
실시예 15 PP 88.5 M-1 10 CB-1 1 DA-1 0.5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6 PP/엘라스토머 88.5 M-1 10 CB-1 1 DA-1 0.5 흑색 마크 선명
실시예 17 PP/엘라스토머 88.5 M-1 10 CB-1 1 DA-4 0.5 흑색 마크 선명
폴리머 카본블랙 분산제 레이저 마크의 종류 인자성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비교예 1 PP 99.995 CB-1 0.005 DA-1 0 백색 마크 콘트라스트가 부족하고 판독 불능
비교예 2 PP 90 CB-1 10 DA-1 0 백색 마크 CB 분산이 불량하고 불선명
비교예 3 PP 99 CB-1 0 DA-1 1 백색 마크 인자 불능
비교예 4 PP/엘라스토머 99 CB-2 0 DA-3 1 백색 마크 인자 불능
비교예 5 PE/엘라스토머 99 CB-2 1 DA-3 0 백색 마크 CB 분산이 불량하고 불선명
비교예 6 PP 99 CB-3 1 DA-3 0 백색 마크 CB 분산이 불량하고 불선명
폴리머 금속 화합물 분산제 레이저 마크의 종류 인자성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종류 양(중량%)
비교예 7 PP 95 M-1 5 DA-1 0 흑색 마크 산화티탄 분산이 불량하고 불선명
비교예 8 PP 99 M-1 0 DA-1 1 흑색 마크 인자가 불선명하고 판독 불능
비교예 9 PP 90 M-1 10 DA-2 0 흑색 마크 산화티탄 분산이 불량하고 불선명
비교예 10 PP 99 M-1 0 DA-4 1 흑색 마크 인자가 불선명하고 판독 불능


Claims (10)

  1.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로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을 0.01 내지 5 중량%,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0.005 내지 6 중량% 함유하도록,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을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분산제와 함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에 의한 백색 인자 가능한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
  2.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로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을 0.01 내지 5 중량%,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0.005 내지 6 중량%,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를 0.2 내지 50 중량% 함유하도록, 평균 입경 10 내지 100 nm의 카본 블랙과 금속 화합물계 백색 안료를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분산제와 함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에 의한 흑색 인자 가능한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고급 지방산계 화합물이 고급 지방산 아미드인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엘라스토머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 배합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기재된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백색 마킹하는, 성형품의 백색 마킹 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성형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흑색 마킹하는, 성형품의 흑색 마킹 방법.
  9. 제1항에 기재된 백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고 또한 표면에 레이저에 의해 백색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
  10. 제2항에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흑색 마킹용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고 또한 표면에 레이저에 의해 흑색 마킹이 실시된 성형품.
KR1020017001092A 1998-07-27 1999-07-26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성형품 KR100582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51198A JP4176877B2 (ja) 1998-07-27 1998-07-27 レーザーマーク可能な樹脂組成物、マーキング方法及びマーキングが施された成形品
JP98/226511 199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032A KR20010071032A (ko) 2001-07-28
KR100582616B1 true KR100582616B1 (ko) 2006-05-23

Family

ID=1684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092A KR100582616B1 (ko) 1998-07-27 1999-07-26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86518B1 (ko)
EP (1) EP1162232B1 (ko)
JP (1) JP4176877B2 (ko)
KR (1) KR100582616B1 (ko)
DE (1) DE69933140T2 (ko)
TW (1) TWI230720B (ko)
WO (1) WO2000006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2983B2 (ja) * 1999-01-25 2007-03-1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白色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
JP3963077B2 (ja) * 2000-12-25 2007-08-22 松下電工株式会社 成形体の加飾方法
JP3786357B2 (ja) * 2002-04-30 2006-06-14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及びマーキング方法
WO2006030654A1 (ja) * 2004-09-03 2006-03-23 Toyo Ink Mfg. Co., Ltd. 記録材および記録方法
JP2006241254A (ja) * 2005-03-01 2006-09-14 Daicel Polymer Ltd レーザーマーキング可能な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697977B1 (ko) * 2005-12-30 2007-03-23 삼성토탈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E102008025582A1 (de) * 2008-01-11 2009-07-16 Te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tancarbid
JP5235089B2 (ja) * 2008-03-27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取付構造
KR101130481B1 (ko) * 2009-08-04 2012-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백색 레이저 마킹용 수지 조성물
JP5386436B2 (ja) * 2009-10-26 2014-01-15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レーザー光溶着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8975323B2 (en) 2010-02-22 2015-03-10 Polyone Corporation UV laser markabl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und
JP6874504B2 (ja) * 2016-04-26 2021-05-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印字用多層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よりなる包装体及び印字体
EP3584089A1 (en) * 2018-06-19 2019-12-25 Borealis AG Polyolefin composition providing improved contrast of laser marks
ES2828355T3 (es) * 2018-06-19 2021-05-26 Borealis Ag Composición de poliolefina que proporciona marcado por fluorescenc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42A (ja) * 1992-06-05 1994-02-22 Nippon Kayaku Co Ltd マーキング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822B2 (ja) 1992-05-29 2000-10-23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
JP3352481B2 (ja) 1992-10-29 2002-12-03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
EP0607597B1 (en) * 1993-01-19 1999-03-03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Marking composition, molding thereof and marking method
US5300350A (en) * 1993-02-22 1994-04-05 The Dow Chemical Company Black-colored, laser-writable blends of carbonate polymer and polyester
JPH07286074A (ja) 1994-02-24 1995-10-31 Nippon Kayaku Co Ltd マーキング用組成物、成形物及びマーキング方法
DE4411067A1 (de) 1994-03-30 1995-10-05 Bayer Ag Polymerformmassen zur partiellen farblichen Veränderung durch Laserenergie, insbesondere zur Erzeugung bunter Zeichen
JPH07290827A (ja) 1994-04-25 1995-11-07 Lion Corp 印字方法
US5489639A (en) * 1994-08-18 1996-02-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pper salts for laser marking of thermoplastic compositions
DE19523086A1 (de) 1995-06-26 1997-01-02 Bayer Ag Verwendung von Polymerformmassen zur partiellen farblichen Veränderung durch Laserenergie zur Erzeugung von optischen Informationen mit sehr guten Kontrasten
JPH10237319A (ja) 1997-02-25 1998-09-08 Nippon Kayaku Co Ltd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樹脂成型物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JPH10305661A (ja) * 1997-05-09 1998-11-17 Dainippon Ink & Chem Inc レーザマーキング方法及びレーザ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
JPH11181104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Polychem Kk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のマーキ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42A (ja) * 1992-06-05 1994-02-22 Nippon Kayaku Co Ltd マーキング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2232A4 (en) 2003-05-02
DE69933140T2 (de) 2006-12-21
WO2000006644A1 (fr) 2000-02-10
JP2000044736A (ja) 2000-02-15
TWI230720B (en) 2005-04-11
KR20010071032A (ko) 2001-07-28
EP1162232A1 (en) 2001-12-12
DE69933140D1 (de) 2006-10-19
EP1162232B1 (en) 2006-09-06
US6586518B1 (en) 2003-07-01
JP4176877B2 (ja)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616B1 (ko) 레이저 마킹 가능한 수지 조성물, 마킹 방법 및 마킹된성형품
EP0739933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5998581B2 (ja) 樹脂組成物
JPS599576B2 (ja)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JP2006291196A (ja) レーザー加工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合樹脂部材
JPH0424645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33004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料着色用マスターバッチ
JP3325377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5376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0209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料着色用マスターバッチ
EP0867466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laser marking
JP3166279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75707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導電性材料
JP400126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KR100495449B1 (ko) 레이저마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61233033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4207312B2 (ja) 成型体用組成物及び成型体
JP2817129B2 (ja) 樹脂着色組成物
JPH11140271A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した成形品
JPS593825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462425B2 (ja) インフレ−ションフイルム成形用樹脂組成物とそのマスタ−バッチ
JP3507114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81139A (ja) レーザ印刷に適したプラスチック発泡体
CN116144103A (zh) 一种用于激光标记的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177063B2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ブロー成形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